KR20160124275A - 조립식 띠장 브래킷 및 그를 이용한 pcip 공법 - Google Patents

조립식 띠장 브래킷 및 그를 이용한 pcip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4275A
KR20160124275A KR1020150053569A KR20150053569A KR20160124275A KR 20160124275 A KR20160124275 A KR 20160124275A KR 1020150053569 A KR1020150053569 A KR 1020150053569A KR 20150053569 A KR20150053569 A KR 20150053569A KR 20160124275 A KR20160124275 A KR 20160124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support
link member
height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3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동종
Original Assignee
양동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동종 filed Critical 양동종
Priority to KR1020150053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4275A/ko
Publication of KR20160124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42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20/00Temporary installations or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띠장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띠장을 받치기 위한 받침용 링크체; 및 상기 받침용 링크체를 말뚝에 매달기 위해 말뚝 일측에 걸리는 높이조절용 링크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받침용 링크체는, 상기 띠장을 받치도록 되어 있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받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받침부에서 상기 말뚝에 밀착되도록 상향 연장되어 상기 높이조절용 링크체에 결합되는 제1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높이조절용 링크체는, 상기 말뚝의 일측에 걸리도록 되어 있는 걸림부; 상기 걸림부에서 상기 말뚝에 밀착되도록 하향 연장되는 수하부; 및 상기 수하부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체결부에 결합되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높이조절용 링크체는 상기 말뚝의 관입깊이에 편차가 발생한 때, 상기 편차를 줄일 수 있는 길이의 상기 수하부를 갖는 다른 높이조절용 링크체로 대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띠장 브래킷의 몸체가 높이조절용 링크체와 받침용 링크체의 조립에 의해 구성되므로, 말뚝의 관입깊이에 편차가 발생한 때 정상 깊이의 말뚝에 사용되는 높이조절용 링크체를 수하부의 길이가 다른 높이조절용 링크체로 대체하는 것으로 간단하게 받침용 링크체의 받침부 높이차를 최소화하여 안정적으로 띠장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조립식 띠장 브래킷 및 그를 이용한 PCIP 공법{Assembling-Type Furring Strip Bracket And PCIP Construction Method Using It}
본 발명은 띠장 브래킷 및 그를 이용한 PCIP 공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흙막이 벽체 시공 시 흙막이 벽체를 이루는 말뚝에 띠장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브래킷을 2단 조립식으로 제작함으로써, 말뚝의 관입깊이 편차를 다양한 길이를 갖는 브래킷의 높이조절용 링크체에 의해 수용하여 균일한 높이에서 띠장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띠장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흙막이벽의 시공 중 띠장 설치 시 띠장이 거치되기 위한 브래킷이 말뚝에 설치되고, 브래킷에 띠장이 올려져 지지되고, 버팀보가 띠장에 지지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버팀보는 띠장의 하중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며, 조립 설치와 해체시의 편리성을 가져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973601호의 흙막이 벽의 띠장 지지용 브래킷(10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판부(112)와, 이 평판부(112)로부터 각각 직각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레그부(114a)(114b)들을 갖고 평판부(112)에는 볼트 삽입용 장공(111)이 형성되고 레그부(114a)(114b)들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멍(113)이 형성된 고정채널(110)과; 평판부(112)와 레그부(114a)(114b)들로 둘러싸인 공간에 삽입되는 제1 단부(121)와, 레그부(114a)(114b)들에 형성된 구멍(113)에 삽입되는 제2 단부(122)와, 제1 단부(121)와 제2 단부(122)를 연결하면서 다단으로 절곡된 다단 절곡부를 갖는 한 쌍의 받침절곡근(120a)(120b)을 포함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띠장 지지용 브래킷(100)은 제1 단부(121)와 제2 단부(122)가 서로 직각 방향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받침절곡근(120a)(120b)의 제2 단부(122)가 고정채널(110)의 구멍(113)에 끼워지는 구조이므로, 제2 단부(122)를 고정채널(110)의 구멍(113)에서 빼내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받침절곡근(120a)(120b)의 해체가 용이하지 않다. 또한 받침부(123a)에 작용하는 띠장의 하중에 의해 변형의 염려가 있다. 또한, 장공(111)을 통해 볼트(200)를 흙막이 말뚝(300)에 박아 브래킷(100)을 고정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로워 작업 효율이 크게 떨어진다. 또한, 장공(111)을 통해 말뚝(300)에 결합된 볼트(200)가 볼트머리에 의해 평판부(112)를 누르는 힘에 의해서만 브래킷(100)에 걸리는 띠장의 수직하중을 지지하므로, 지지강도가 취약하고, 따라서 브래킷(100)이 아래로 처질 위험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국내 출원 특허 제10-2014-0079181호(띠장 브래킷)를 출원한 바 있다. 이 띠장 브래킷에 의하면, 말뚝의 상단고정공과 말뚝 중간부에 설치된 종단구멍을 이용하여 갈고리 형태로 된 걸림부를 걸고, 걸림부 아래에 연결되어 수평하게 돌출된 받침부 위에 띠장을 거치할 수 있어 받침부가 띠장의 수직하중에 의해 처지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나, 흙막이 벽체를 이루는 말뚝들 사이에 관입편차가 발생하는 경우, 브래킷의 걸림부를 거는 높이가 달라지고, 따라서 띠장을 지지하는 받침부의 높이에도 편차가 발생하여 띠장을 균일하게 지지할 수 없게 된다.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742221호(가시설용 정착장치) 한국 특허 출원번호 제10-2014-0079181호(띠장 브래킷)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말뚝에 안정되게 매달아 고정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말뚝에의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할 뿐 아니라, 몸체를 받침용 링크체와 높이조절용 링크체에 의해 2단 조립식으로 제작하여 말뚝 시공 시 관입깊이에 편차가 발생하더라도 높이조절용 링크체의 교체를 통해 띠장이 거치되는 받침용 링크체의 높이차를 최소화하도록 한 조립식 띠장 브래킷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띠장을 받치기 위한 받침용 링크체; 및 상기 받침용 링크체를 말뚝에 매달기 위해 말뚝 일측에 걸리는 높이조절용 링크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받침용 링크체는, 상기 띠장을 받치도록 되어 있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받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받침부에서 상기 말뚝에 밀착되도록 상향 연장되어 상기 높이조절용 링크체에 결합되는 제1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높이조절용 링크체는, 상기 말뚝의 일측에 걸리도록 되어 있는 걸림부; 상기 걸림부에서 상기 말뚝에 밀착되도록 하향 연장되는 수하부; 및 상기 수하부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체결부에 결합되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높이조절용 링크체는 상기 말뚝의 관입깊이에 편차가 발생한 때, 상기 편차를 줄일 수 있는 길이의 상기 수하부를 갖는 다른 높이조절용 링크체로 대체 가능한 조립식 띠장 브래킷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는 상기 띠장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1 체결부에서 상기 띠장의 폭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받침부의 돌출단으로부터 상기 받침부를 일변으로 하는 직각삼각형의 빗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봉이다.
그리고,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제2 체결부에 결합되도록 환형으로 되어 있는 암형 고리; 및 상기 말뚝에 밀착되도록 상기 받침부에서 상향 연장되어 상기 암형 고리와 상기 받침부를 연결하는 연결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암형 고리에 결합되도록 갈고리 형태로 되어 있는 수형 고리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봉은 상기 제1 체결부가 상기 제2 체결부에 결합된 때, 상기 말뚝에 밀착되도록 상기 말뚝과의 사이로 지지돌기가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연결봉에서 하방으로 연속해서 뻗어 있는 지지봉; 및 상기 받침부와 상기 지지봉을 두 변으로 하는 직각삼각형의 빗변 위치에 형성된 경사봉;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경사봉 일측에서 수직하게 위쪽으로 받침부까지 연장되는 가새봉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봉은 상기 제1 체결부가 상기 제2 체결부에 결합된 때, 상기 말뚝에 밀착되도록 상기 말뚝과의 사이로 지지돌기가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말뚝의 타측에 형성된 종단구멍에 삽입되도록 상기 경사봉 하단에서 횡방향으로 돌출된 삽입돌기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말뚝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경사봉 하단에 형성된 버팀봉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조립식 띠장 브래킷의 걸림부를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종단구멍이 형성된 말뚝을 원심 성형에 의해 미리 성형하는 말뚝 기성형단계; 지반에 구멍을 굴착하는 단계;상기 말뚝 기성형단계에서 성형된 말뚝을 상기 구멍 굴착단계에서 굴착한 구멍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말뚝 삽입단계에서 상기 말뚝이 삽입된 상기 구멍 위를 마감하는 두부마감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말뚝 기성형단계는 상기 종단구멍과 동일한 크기 및 형태의 가림쇠를 상기 종단구멍이 형성될 형틀 위치에 배치한 후, 상기 형틀을 회전시켜 상기 말뚝을 원심 성형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종단구멍은 상기 조립식 띠장 브래킷의 상기 걸림부를 걸어 고정할 수 있는 길이를 갖도록 상하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띠장 브래킷은 받침용 링크체와 높이조절용 링크체로 이루어진 2단 조립식으로 되어 있으므로, 띠장 브래킷이 설치되는 말뚝의 관입깊이에 편차가 발생한 때, 높이조절용 링크체를 교체하여 간단하게 말뚝의 관입 편차를 수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관입 편차에도 불구하고 띠장이 거치되는 각각의 받침용 링크체 간의 높이차를 최소화하여 띠장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띠장 브래킷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띠장 브래킷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띠장 브래킷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띠장 브래킷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띠장 브래킷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띠장 브래킷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의 띠장 브래킷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띠장 브래킷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의 띠장 브래킷의 설치상태를 되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받침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판상형의 띠장 브래킷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띠장 브래킷을 첨부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식 띠장 브래킷(10)은 받침용 링크체(30)와 높이조절용 링크체(40)로 구성된다.
여기서, 받침용 링크체(30)는 띠장(50)을 받치기 위해 구비되고, 높이조절용 링크체(40)는 받침용 링크체(30)를 말뚝(20)에 거는 높이를 조절하면서 받침용 링크체(30)를 통해 띠장(50)을 말뚝(20)에 매달기 위해 구비된다.
그런데, 받침용 링크체(3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띠장(50)을 직접적으로 받치는 받침부(31)와, 이 받침부(31)를 밑에서 지지하는 지지부(33), 및 높이조절용 링크체(40)와 결합되는 제1 체결부(35)로 구성된다.
여기서, 받침부(31)는 도 7이나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띠장(70)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그를 위해 제1 체결부(35)의 연결봉(36)에서 말뚝(20)의 반대쪽을 향해 띠장(50)의 폭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된다.
그리고, 지지부(33)는 띠장(50)을 받치는 받침부(31)를 하부에서 지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그를 위해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부(31)의 하부에 배치된다. 더욱이, 지지부(33)는 도 6의 도시와 같이 말뚝(20) 반대쪽으로 돌출된 받침부(31)의 말단에서, 받침부(31)를 상변으로 하는 직각삼각형의 빗변에 해당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봉에 의해 받침부(31)를 지지할 수도 있다. 그에 따르면, 지지부(33)는 한 변이 열린 직각삼각형의 형태를 갖는다.
지지부(33)는 그 외에도 여러 다른 형태로 받침부(31)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지지부(33)는 위에서 언급한 빗변 방향의 경사봉(37) 외에도 도시와 같이 제1 체결부(35)의 연결봉(36)에서 하방으로 연속적으로 뻗어 있는 지지봉(39) 및/또는 경사봉(37) 일측에서 수직하게 위쪽으로 받침부(31)까지 연장되는 가새봉(41)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33)의 경사봉(37)과 지지봉(39)은 받침부(31)와 함께 직각삼각형 모양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지지부(33)는 조립식 띠장 브래킷(10)이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말뚝(20)의 상단고정공(21)에 거치된 때, 하단 부분이 움직이지 못하게 하기 위해 경사봉(37)의 하단에 삽입돌기(43)가 횡방향으로 돌출되고, 말뚝(20)에는 이 삽입돌기(43)와 대응하는 위치에 종단구멍(23)(24)이 관통된다. 그에 따르면, 삽입돌기(43)는 도시와 같이 조립식 띠장 브래킷(10)이 거치된 때, 종단구멍(23)(24)에 삽입되어 지지부(33) 또는 받침용 링크체(30)를 지지한다. 여기서, 종단구멍(23)은 후술한 바와 같이 높이조절용 링크체(40)의 수하부(49) 길이 변화에 대응하여 변경되는 삽입돌기(43)의 삽입 위치 변화에 맞추기 위해,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예를 들어 3단 이상 다단으로 상하 배열되어 형성되거나 도 8에 도시한 것처럼, 상하로 길게 연장된 긴 구멍의 형태로 형성된다.
반면, 다른 실시 예의 지지부(33)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돌기(43)를 없애는 대신 그 자리에 버팀봉(45) 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버팀판을 형성한다. 그에 따르면 삽입돌기(43)를 끼우기 위한 종단구멍(23)(24)을 말뚝(20) 표면에 형성할 필요는 없다. 그렇더라도, 버팀봉(45) 또는 버팀판이 말뚝(20) 표면에 지지부(33) 즉, 경사봉(37)에 걸리는 하중을 분산시켜 말뚝에 전달하며, 따라서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부(33) 및 받침부(31)를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제1 체결부(35)는 받침용 링크체(30)를 높이조절용 링크체(40)에 연결하도록 되어 있으며, 그를 위해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높이조절용 링크체(40)의 제2 체결부(51)와 결합되는 암형 고리(34)가 상부에 형성되고, 받침부(31)에서 이 암형 고리(34)를 향해 위로 곧게 연장되는 연결봉(36)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암형 고리(34)는 높이조절용 링크체(40)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나, 도시와 같이 환형의 링 형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위와 같이 제1 체결부(35)가 암형 고리(34)로 구성되고, 그에 따라 제2 체결부(51)가 아래에 설명한 것처럼 갈고리 형태의 수형 고리로 구성될 경우, 말뚝(20)의 표면과 연결봉(36) 사이에 들뜬 공간이 발생되는 구조적인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연결봉(36)은 도시와 같이, 말뚝(20)을 향한 배면에 지지돌기(38)가 돌출된다. 그에 따르면, 연결봉(36)은 제1 체결부(35)의 암형 고리(34)와 제2 체결부(51) 즉, 수형 고리가 결합된 때, 지지돌기(38)를 통해 말뚝(20)에 밀착되어 연결봉(36)을 지지한다.
한편, 높이조절용 링크체(4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말뚝(20) 상단 또는 중단에 걸려 받침용 링크체(30) 및 받침용 링크체(30)에 거치된 띠장(50)을 말뚝(20)에 매달되도록 되어 있으며, 그를 위해 말뚝(20)의 상단고정공(21)에 걸리도록 되어 있는 걸림부(47), 이 걸림부(47)에서 하향 연장되는 수하부(49), 및 이 수하부(49) 하측에 형성되어 제1 체결부(35)와 결합되는 제2 체결부(51)로 구성된다.
여기서, 걸림부(47)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말뚝(20)의 상단고정공(21)에 걸리되도록 ㄷ 모양으로 절곡되어 있으나, 이외에도 말뚝(20)에 걸 수 있는 다른 어떤 형태로도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수하부(49)는 걸림부(47)와 제2 체결부(51)를 연결하도록 되어 있으며, 그를 위해 걸림부(47)로부터 말뚝(20) 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하향 연장되어 높이조절용 링크체(40)의 길이를 결정한다. 따라서, 높이조절용 링크체(40)가 예를 들어 도 7의 B로 도시한 것처럼 다른 높이조절용 링크체(40)보다 길어지려면, 수하부(49)가 길어져야 하며, 도 8의 C로 도시한 것처럼 다른 높이조절용 링크체(40)보다 짧아지려면, 수하부(49)가 짧아져야 한다. 결국에, 높이조절용 링크체(40)는 수하부(49)의 길이에 따라 전체 길이가 달라진다.
그리고, 제2 체결부(51)는 받침용 링크체(30)의 제1 체결부(35)에 결합되어 높이조절용 링크체(40)에 받침용 링크체(30)가 조립되도록 하며, 그를 위해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하부(49)의 하측 단에 형성된다. 여기서, 제2 체결부(51)는 제1 체결부(35)의 암형 고리(34)와 결합되도록 대응하는 갈고리 형태로 된 수형 고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제2 체결부(51)도 제1 체결부(35)와 같이, 받침용 링크체(30)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제1 체결부(35)와 대응하는 여러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이 구성된 조립식 띠장 브래킷(10)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띠장 브래킷(10)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CIP(Cast In-place Pile) 공법에 의해 형성된 주열식 흙막이 벽체(60)의 각 말뚝(20) 상단고정공(21)에 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말뚝(20)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열되어 형성된 복수의 종단구멍(24)에 선택적으로 걸려 설치된다.
이때, 띠장 브래킷(10)은 조립식이므로, 도 9에 도시한 것처럼 먼저 높이조절용 링크체(40)를 말뚝(20)에 건다. 그에 따라 높이조절용 링크체(40)는 상단의 걸림부(47)가 예를 들어, 말뚝(20)의 상단고정공(21)에 걸려 고정된 상태로 말뚝(20)에 매달린다. 그러나, 높이조절용 링크체(4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부(47)를 말뚝(20) 외주면의 종단구멍(24)에 끼워 고정할 수도 있다.
그런 다음,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높이조절용 링크체(40)를 이용해 받침용 링크체(30)를 말뚝(20)에 건다. 그를 위해, 받침용 링크체(30) 상단의 암형 고리(34)를 높이조절용 링크체(40) 하단의 수형 고리(51)에 걸어 받침용 링크체(30)가 말뚝(20)에 매달리도록 한다. 그와 동시에, 받침용 링크체(30) 하단의 삽입돌기(43)가 말뚝(20)의 종단구멍(24)에 삽입되어 좌우 흔들림없이 고정된다. 그리고, 지지봉(39)의 지지돌기(38)가 말뚝(20) 외주면에 밀착되면서 받침용 링크체(30)는 전후로도 흔들리지 않고 고정된다.
그에 따라,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열식 흙막이 벽체(60)의 각 말뚝(20)에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의 띠장 브래킷(10)이 걸린 다음에는 받침용 링크체(30)의 받침부(31) 위에 띠장(50)을 거치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때, 예를 들어 도 7에 B로 도시한 것처럼, 말뚝(20) 중 하나가 관입깊이의 편차로 인해 도 7에 A로 도시된 다른 말뚝(20)들보다 위로 올라가 있는 경우에는, 편차를 줄일 수 있도록 다른 것에 비해 길이가 더 긴 수하부(49)를 갖는 높이조절용 링크체(40)가 사용된다. 반대로, 도 8에 C로 도시한 것처럼, 말뚝(20) 중 하나가 다른 말뚝(20)들보다 아래로 내려가 있는 경우에는, 다른 것에 비해 길이가 더 짧은 수하부(49)를 갖는 높이조절용 링크체(40)를 사용한다. 그에 따라, 띠장 브래킷(10)들은 말뚝(20)의 관입편차에도 불구하고 받침부(31)의 높이차를 줄여 안정적으로 띠장(50)을 거치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위와 같이 띠장 브래킷(10)을 말뚝(20)의 외주면 중간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말뚝(20)의 측면에 길이가 긴 종단구멍(24)을 형성하여야 하는 바, CIP(Cast In-place Pile) 공법 즉, 주열식 흙막이 벽체 시공 방법에 의해 주열식 흙막이 벽체를 구성함에 있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멍 굴착 단계(B)에서 지반을 굴착하여 구멍(70)을 뚫은 뒤, H빔 말뚝과 철근망으로 된 심재를 삽입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생략하고, 그 대신 도 9와 같은 콘크리트 말뚝(20)을 말뚝 기성형단계(A)에서 미리 제작한다. 그 다음, 말뚝 삽입단계(C)에서 기성형된 말뚝(20)을 구멍(70)에 삽입한 다음, 최종 두부 마감단계(D)에서 구멍(70)에 삽입된 말뚝(20) 위에 두부(80)를 형성하여 정리하는 것으로 공사를 마무리 할 수 있다. 출원인은 이와 같이 콘크리트 말뚝(20)을 미리 만드는 CIP공법을 종전의 CIP 공법과 구분하여 PCIP(Pre-Cast In-place Pile) 공법이라고 명명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PCIP 공법에 의해 흙막이 벽체 공사 전에 미리 제작되는 콘크리트 말뚝(20)은 원심 성형에 의해 생산되며, 이 과정에서 말뚝(20)에 종단구멍(24)이 형성되는데, 그를 위해서는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원심성형 전에 종단구멍(24)을 만들 형틀(90) 위치에 종단구멍(24)과 동일한 크기 및 형태의 가림쇠(91)를 두어 원심 성형 시 종단구멍(24) 자리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지 못하도록 하면 된다. 다만, 종단구멍(24)은 갈고리 형태로 절곡되어 일정 길이 이상의 높이를 갖는 띠장 브래킷(10)의 걸림부(47)를 끼워 걸 수 있도록 상하로 길게 연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 띠장 브래킷 20 : 말뚝
30 : 받침용 링크체 31 :받침부
33 : 지지부 35 : 제1 체결부
40 : 높이조절용 링크체 45 : 버팀봉
47 : 걸림부 49 : 수하부
50 : 띠장 51 : 제2 체결부(수형 고리)
60 : 흙막이 벽체

Claims (13)

  1. 띠장을 받치기 위한 받침용 링크체; 및
    상기 받침용 링크체를 말뚝에 매달기 위해 말뚝 일측에 걸리는 높이조절용 링크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받침용 링크체는,
    상기 띠장을 받치도록 되어 있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받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받침부에서 상기 말뚝에 밀착되도록 상향 연장되어 상기 높이조절용 링크체에 결합되는 제1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높이조절용 링크체는,
    상기 말뚝의 일측에 걸리도록 되어 있는 걸림부;
    상기 걸림부에서 상기 말뚝에 밀착되도록 하향 연장되는 수하부; 및
    상기 수하부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체결부에 결합되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높이조절용 링크체는 상기 말뚝의 관입깊이에 편차가 발생한 때, 상기 편차를 줄일 수 있는 길이의 상기 수하부를 갖는 다른 높이조절용 링크체로 대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띠장 브래킷.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띠장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1 체결부에서 상기 띠장의 폭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띠장 브래킷.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받침부의 돌출단으로부터 상기 받침부를 일변으로 하는 직각삼각형의 빗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띠장 브래킷.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경사봉 일측에서 수직하게 위쪽으로 받침부까지 연장되는 가새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띠장 브래킷.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제2 체결부에 결합되도록 환형으로 되어 있는 암형 고리; 및
    상기 말뚝에 밀착되도록 상기 받침부에서 상향 연장되어 상기 암형 고리와 상기 받침부를 연결하는 연결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암형 고리에 결합되도록 갈고리 형태로 되어 있는 수형 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띠장 브래킷.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은 상기 제1 체결부가 상기 제2 체결부에 결합된 때, 상기 말뚝에 밀착되도록 상기 말뚝과의 사이로 지지돌기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띠장 브래킷.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연결봉에서 하방으로 연속해서 뻗어 있는 지지봉; 및
    상기 받침부와 상기 지지봉을 두 변으로 하는 직각삼각형의 빗변 위치에 형성된 경사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띠장 브래킷.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은 상기 제1 체결부가 상기 제2 체결부에 결합된 때, 상기 말뚝에 밀착되도록 상기 말뚝과의 사이로 지지돌기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띠장 브래킷.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말뚝의 타측에 형성된 종단구멍에 삽입되도록 상기 경사봉 하단에서 횡방향으로 돌출된 삽입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띠장 브래킷.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말뚝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경사봉 하단에 형성된 버팀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띠장 브래킷.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의 조립식 띠장 브래킷의 걸림부를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종단구멍이 형성된 말뚝을 원심 성형에 의해 미리 성형하는 말뚝 기성형단계;
    지반에 구멍을 굴착하는 단계;
    상기 말뚝 기성형단계에서 성형된 말뚝을 상기 구멍 굴착단계에서 굴착한 구멍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말뚝 삽입단계에서 상기 말뚝이 삽입된 상기 구멍 위를 마감하는 두부마감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열식 흙막이 벽체 시공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말뚝 기성형단계는
    상기 종단구멍과 동일한 크기 및 형태의 가림쇠를 상기 종단구멍이 형성될 형틀 위치에 배치한 후, 상기 형틀을 회전시켜 상기 말뚝을 원심 성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열식 흙막이 벽체 시공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종단구멍은 상기 조립식 띠장 브래킷의 상기 걸림부를 걸어 고정할 수 있는 길이를 갖도록 상하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열식 흙막이 벽체 시공방법.
KR1020150053569A 2015-04-16 2015-04-16 조립식 띠장 브래킷 및 그를 이용한 pcip 공법 KR201601242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569A KR20160124275A (ko) 2015-04-16 2015-04-16 조립식 띠장 브래킷 및 그를 이용한 pcip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569A KR20160124275A (ko) 2015-04-16 2015-04-16 조립식 띠장 브래킷 및 그를 이용한 pcip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4275A true KR20160124275A (ko) 2016-10-27

Family

ID=57247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3569A KR20160124275A (ko) 2015-04-16 2015-04-16 조립식 띠장 브래킷 및 그를 이용한 pcip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42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95937A (zh) * 2020-09-04 2021-01-08 北京市政建设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考虑咬合桩缺陷的渗流分析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221B1 (ko) 2006-08-21 2007-07-24 (주)리튼브릿지 가시설용 정착장치
KR20140079181A (ko) 2012-12-18 2014-06-26 (주) 금산 압입 방향 제어가 가능한 회전 압입식 굴착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221B1 (ko) 2006-08-21 2007-07-24 (주)리튼브릿지 가시설용 정착장치
KR20140079181A (ko) 2012-12-18 2014-06-26 (주) 금산 압입 방향 제어가 가능한 회전 압입식 굴착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95937A (zh) * 2020-09-04 2021-01-08 北京市政建设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考虑咬合桩缺陷的渗流分析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90584A (en) Apparatus for securing adjustable support structures for manhole covers, grates and the like
US10006186B2 (en) Earth ancho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KR101515344B1 (ko) Phc파일 두부보강 구조체
KR102052591B1 (ko) 지오벨트 지지구, 지오벨트 고정장치 및 옹벽 시공방법
US8418414B2 (en) Swimming pool brace assembly
KR20160124275A (ko) 조립식 띠장 브래킷 및 그를 이용한 pcip 공법
KR101050493B1 (ko) 수직 거푸집 지지용 거푸집지지 조립체를 설치하기 위한 매립 콘 장치, 이를 이용한 거푸집지지 조립체의 설치구조, 및 이를 이용한 수직 콘크리트 부재의 시공방법
KR101893658B1 (ko) 모노파일 시공을 위한 현장 타설 말뚝 상단과 교각 하단 사이 연결부 거푸집 장치 및 시공방법
KR101515348B1 (ko) 파일의 두부 보강 구조체
US7900880B2 (en) Lifting anchor support
KR102186470B1 (ko) 다웰바 스틸폼
KR200244705Y1 (ko) 도로 공사시 도수로 시공용 거푸집
KR20110136138A (ko) 와이어와 거푸집 지지프레임을 이용한 지하바닥판 시공방법
KR101855932B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어스 앵커 브라켓
KR20190018786A (ko) 개량형 멍에트러스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벽체거푸집 구조
JP5121028B2 (ja) ライナープレート及び深礎工法
KR100458323B1 (ko) 기초공사용 강관의 상단부 보강구조
KR101758987B1 (ko) Phc 파일과 앵커볼트를 이용한 흙막이 벽체의 시공방법
KR102035996B1 (ko) 데크패널을 이용한 천장 거푸집 시공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중에도 처짐을 방지하는 결속지지구
KR102102440B1 (ko) 서포트를 이용한 잭서포트의 인양과 해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잭서포트의 설치와 해체 방법
KR102178790B1 (ko) 합벽지지대
KR101938988B1 (ko) 메쉬망을 이용한 토류벽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815602B1 (ko) 기초공사용 강관말뚝의 두부 보강장치
JPH073783A (ja) 拡底基礎部拡長鉄筋
JP3723541B2 (ja) 富士山の崩壊予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