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3090A - 메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메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3090A
KR20160123090A KR1020150053192A KR20150053192A KR20160123090A KR 20160123090 A KR20160123090 A KR 20160123090A KR 1020150053192 A KR1020150053192 A KR 1020150053192A KR 20150053192 A KR20150053192 A KR 20150053192A KR 20160123090 A KR20160123090 A KR 20160123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sture
menu item
image
area
men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3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민욱
박민규
안찬수
전한경
김건수
박정현
황민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53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3090A/ko
Publication of KR20160123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30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메뉴 운용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메뉴 아이템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1 제스처가 입력되는 과정과 상기 제1 제스처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제1 메뉴 아이템에 관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메뉴 아이템을 표시하며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이 표시되는 영역을 상기 제2 메뉴 아이템을 선택하기 위한 영역으로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메뉴 아이템을 표시하는 중에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이 표시되는 영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메뉴 아이템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3 제스처를 감지하면, 상기 선택된 제2 메뉴 아이템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밖에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메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METHOD FOR OPERATING MENU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 THE SAM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메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는 일정 관리 기능, 메모 기능 등의 다수의 부가 기능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전자 장치는 상기와 같은 다수의 부가 기능을 설정하기 위하여 메뉴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 장치에서 메뉴 인터페이스는 계층식 메뉴 구조로 구성되어있다. 상기 계층식 구조는 사용자가 최상위 레벨 메뉴에서부터 최하위 레벨 메뉴까지 레벨(depth)을 증가시키면서 메뉴를 탐색하는 형태를 의미한다. 상기 메뉴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는 메뉴의 기능을 선택 또는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 특성상 신속하고 간단한 입력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한 손으로 메뉴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최근 전자 장치는 손목에 착용하는 형태의 스마트 와치(smart watch) 또는 글라스 형태의 장치 등과 같이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하는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특히,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항시 착용할 수 있도록 소형화, 경량화 및 디자인화되고 있다.
전자 장치에서 제공하는 부가 기능이 다양해짐에 따라, 원하는 메뉴의 기능 수행을 위한 단계가 복잡해지고 있다. 즉, 사용자는 원하는 메뉴를 수행하기까지 다수의 메뉴 레벨(depth)을 거쳐 선택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뉴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다수의 메뉴 레벨을 거쳐야 하므로 메뉴 탐색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메뉴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한 손으로 많은 키를 입력하는 경우 전자 장치를 떨어뜨릴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 예컨대, 스마트 와치의 경우 한 손에 착용되고, 다른 한 손으로 스마트 와치의 기능을 제어해야 하므로 한 손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메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메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는 한 손으로 조작할 수 있는 메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메뉴를 검색 및 선택할 수 있는 메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스처를 감지하고, 상기 제스처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 아이템을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메뉴 아이템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1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제스처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에 관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메뉴 아이템을 표시하며,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이 표시되는 영역을 상기 제2 메뉴 아이템을 선택하기 위한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메뉴 아이템을 표시하는 중에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이 표시되는 영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메뉴 아이템 중에 하나를 선택하는 제3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제2 메뉴 아이템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메뉴 운용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메뉴 아이템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1 제스처가 입력되는 과정과 상기 제1 제스처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제1 메뉴 아이템에 관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메뉴 아이템을 표시하며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이 표시되는 영역을 상기 제2 메뉴 아이템을 선택하기 위한 영역으로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메뉴 아이템을 표시하는 중에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이 표시되는 영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메뉴 아이템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3 제스처를 감지하면, 상기 선택된 제2 메뉴 아이템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메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는 메뉴의 접근을 용이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메뉴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심리스(seamless)하고 빠른 메뉴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메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는 메뉴 탐색을 위해 입력되는 키 횟수를 감소시키며 아울러, 메뉴 탐색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메뉴 운용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a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메뉴 운용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메뉴 운용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메뉴 운용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메뉴 운용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메뉴 운용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메뉴 운용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6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메뉴 운용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메뉴 운용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메뉴 운용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메뉴 운용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메뉴 운용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8 및 도 29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메뉴 운용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메뉴 운용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1 및 도 32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메뉴 운용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메뉴 운용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메뉴 운용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메뉴 운용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메뉴 운용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modification), 균등물 (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 (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가진다,” “가질 수 있다,”“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 (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A 또는 B,”“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또는 “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스마트폰 (smartphone), 태블릿 PC (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 (mobile phone), 화상 전화기, 전자북 리더기 (e-book reader), 넷북 컴퓨터 (netbook computer),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카메라 (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 (wearable device)(예: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앱세서리 (appcessory), 전자 문신, 스마트 미러, 또는 스마트 와치 (smart 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설명된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 (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부 110, 저장부 120,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130 및 프로세서 140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 110은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 간의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통신부 110은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Wi-Fi(wireless fidelity), BT(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은 cellular 통신(예: LTE, LTE-A, CDMA, WCDMA, UMTS, WIBRO 또는 GSM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선 통신은,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 232)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 120은 전자 장치의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와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로그 정보, 컨텐츠, 오브젝트 등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저장부 120은 프로세서 140의 제어 하에 제1 메뉴 아이템이 표시되는 영역이 제어 영역으로 전환하는 경우, 상기 제어 영역에서 수행되는 기능을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 120은 프로세서 140의 제어 하에 상기 제어 영역이 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되는 경우, 상기 분할된 각 영역에서 수행되는 기능을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130은 표시부 131과 터치패널 132를 포함하는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 131은 프로세서 140의 제어 하에 전자 장치의 이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들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 131은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ed Diod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벤디드 디스플레이(Bended Display) 그리고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유연하게(flexible), 투명하게(transparent) 또는 착용할 수 있게(wearable) 구현될 수 있다. 터치패널 132는 손 제스처를 감지하는 손 터치패널과 펜 제스처를 감지하는 펜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복합 터치패널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표시부 131은 프로세서 140의 제어 하에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메뉴 아이템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에서 제1 제스처가 입력되면, 표시부 131은 프로세서 140의 제어 하에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에 관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메뉴 아이템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 131은 제어부 140의 제어 하에 상기 제2 메뉴 아이템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메뉴 아이템이 표시되는 영역에 근접하게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메뉴 아이템이 표시되는 영역에 대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 131은 프로세서 140의 제어 하에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이 표시되는 영역을 제어 영역으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터치패널 132는 프로세서 140의 제어 하에 상기 제어 영역에서 제2 메뉴 아이템을 선택하기 위한 제스처인 제2 제스처 및 제3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터치패널 132는 프로세서 140의 제어 하에 상기 제2 메뉴 아이템이 표시되는 영역에서 상기 제2 메뉴 아이템을 선택하기 위한 제스처인 제2 제스처 및 제3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표시부 131은 프로세서 140의 제어 하에 상기 제2 제스처가 감지된 제2 메뉴 아이템에 선택 인디케이터를 적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 131은 프로세서 140의 제어 하에 상기 제2 제스처가 감지된 제2 메뉴 아이템에 색깔, 음영 등의 선택 인디케이터를 적용하여 상기 제2 제스처가 감지되지 않은 제2 메뉴 아이템과 구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 131은 프로세서 140의 제어 하에 상기 제2 메뉴 아이템을 실행하기 위한 제3 제스처에 응답하여 제2 메뉴 아이템의 실행에 따른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전자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 및 전자 장치의 내부 구성들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고, 배터리에서 상기 구성들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 140은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메뉴 아이템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2개 이상의 레벨(depth)의 메뉴 아이템을 가지는 모든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상기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메뉴 아이템 중 하나의 제1 메뉴 아이템을 선택하기 위한 제1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에 관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메뉴 아이템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스처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메뉴 아이템 중 하나의 제1 메뉴 아이템에서 감지되는 롱 프레스, 특정 방향으로의 드래그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메뉴 아이템이 표시되는 영역에 근접하게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메뉴 아이템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 140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메뉴 아이템이 표시되는 영역에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메뉴 아이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메뉴 아이템으로 대체하여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하나의 제1 메뉴 아이템에서 롱 프레스를 감지하면,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이 표시되는 영역을 제어 영역으로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 영역은 제2 제스처를 감지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프로세서 140은 제1 메뉴 아이템의 레벨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레벨에 기반하여 상기 제어 영역을 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상기 레벨에 기반하여 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된 각 제어 영역에서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 140은 상기 제어 영역을 2개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경우, 하나의 제어 영역에서 제2 메뉴 아이템을 제어하기 위한 제스처를 감지하는 영역으로 설정하고, 다른 하나의 제어 영역에서 제3 메뉴 아이템을 제어하기 위한 제스처를 감지하는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 140은 하나의 제어 영역에서 제1 메뉴 아이템에 관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메뉴 아이템을 표시하는 영역, 다른 하나의 제어 영역에서 제1 메뉴 아이템에 관련되는 최근 실행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메뉴 아이템을 표시하는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특정 방향으로의 드래그를 감지하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메뉴 아이템의 영역에서 상기 제2 메뉴 아이템을 선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메뉴 아이템이 표시되는 중에 제2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제2 제스처가 입력된 제2 메뉴 아이템에 색깔, 음영 등의 선택 인디케이터를 적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상기 제2 제스처에 의해 상기 선택 인디케이터가 표시된 제2 메뉴 아이템에서 제3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선택 인디케이터가 표시된 제2 메뉴 아이템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제4 제스처가 감지되면 상기 제3 제스처의 의해 실행된 제2 메뉴 아이템의 기능을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상기 전자 장치는 위치 정보 수신을 위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모듈, 마이크와 스피커를 구비하는 오디오 처리부, 이미지 또는 동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 모듈, 방송 수신을 위한 방송 수신 모듈, 하드 키(Hard Key)기반의 입력 지원을 위한 입력부 등의 부가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들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으나, 그들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메뉴 운용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프로세서 140은 201동작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메뉴 아이템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2개 이상의 레벨(depth)의 메뉴 아이템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사진 편집 어플리케이션, 사진 앨범 어플리케이션,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알람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203동작에서 제1 제스처가 입력되면, 205동작에서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에 관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메뉴 아이템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서 상기 제2 메뉴 아이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메뉴 아이템이 표시되는 영역에 근접하게 표시되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메뉴 아이템이 표시되는 영역에 대체되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1 제스처는 상기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메뉴 아이템 중 하나의 제1 메뉴 아이템의 위치에서 감지되는 롱 프레스, 특정 방향으로의 드래그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터치 제스처가 일정 시간 유지되는 경우, 프로세서 140은 상기 제1 제스처가 입력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터치 제스처가 유지되는 중에 특정 방향으로의 드래그가 감지되면, 프로세서 140은 상기 제1 제스처가 입력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제스처가 롱 프레스인 경우, 프로세서 140은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이 표시되는 영역을 제어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 영역은 제2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한 영역을 의미한다. 이하 개시되는 상기 제어 영역과 상기 제2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한 영역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어 영역은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메뉴 아이템 중 하나의 제2 메뉴 아이템을 선택하기 위한 영역을 의미한다.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이 표시되는 영역을 제어 영역으로 설정하는 경우, 프로세서 140은 상기 제어 영역을 음영, 색상 등으로 다른 영역(예컨대, 제2 메뉴 아이템이 표시되는 영역)과 구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140은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레벨(depth)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제1 메뉴 아이템의 레벨에 기반하여 상기 제어 영역을 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 할 수 있다.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레벨은 상기 제1 메뉴 아이템과 관련되는 하위 메뉴 아이템(예컨대, 제2 메뉴 아이템, 제3 메뉴 아이템)의 개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 140은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레벨에 기반하여 분할된 각 제어 영역에서 다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레벨이 2인 경우, 프로세서 140은 상기 제어 영역을 2개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상기 2개의 영역 중 하나의 제어 영역을 제2 메뉴 아이템을 선택하기 위한 제스처(예컨대, 스크롤 앤 선택 제스처)를 감지하는 영역, 다른 하나의 제어 영역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메뉴 아이템을 선택하기 위한 제스처(예컨대, 스크롤 앤 선택 제스처)를 감지하는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 140은 하나의 제어 영역을 제1 메뉴 아이템과 관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메뉴 아이템을 표시하는 영역, 다른 하나의 제어 영역을 제1 메뉴 아이템과 관련되는 최근 실행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메뉴 아이템을 표시하는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최근 실행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메뉴 아이템이 표시됨에 따라 사용자는 최근 사용한 메뉴를 용이하고 빠르게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제스처가 특정 방향으로의 드래그인 경우, 프로세서 140은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메뉴 아이템이 표시되는 영역에서 상기 제2 메뉴 아이템을 선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209동작에서 제2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메뉴 아이템 중 상기 제2 제스처가 입력된 위치의 제2 메뉴 아이템에 선택 인디케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2 제스처는 터치 제스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제스처는 제어 영역에서 감지되거나, 또는 제2 메뉴 아이템이 표시되는 영역에서 감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 인디케이터는 제2 메뉴 아이템에서 상기 제2 제스처가 감지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알려주기 위한 것이다. 상기 선택 인디케이터는 색깔, 음영 등으로 다른 제2 메뉴 아이템(예컨대, 상기 제2 제스처가 감지되지 않은 아이템)과 구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 140은 상기 제2 제스처가 유지되는 중에 특정 방향으로의 드래그(예컨대, 동일한 레벨 간에 이동하는 드래그)를 감지할 수 있다. 동일한 레벨 간에 이동하는 드래그가 감지되면, 프로세서 140은 상기 드래그가 감지되는 방향으로 선택 인디케이터를 이동하여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211동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메뉴 아이템 중 하나의 제2 메뉴 아이템을 선택하기 위한 제3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제2 메뉴 아이템을 실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3 제스처는 제2 제스처가 입력된 위치의 제2 메뉴 아이템에 대응하는 위치의 제어 영역에서 입력되는 롱 프레스, 제2 메뉴 아이템이 표시되는 영역에서 입력되는 특정 방향으로의 드래그(예컨대, 상이한 레벨로의 이동 제스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 영역에서 예컨대, 터치 제스처가 일정 시간 유지되는 경우, 프로세서 140은 상기 제3 제스처가 입력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메뉴 아이템이 표시되는 영역에서 예컨대, 터치 제스처가 유지되는 중에 특정 방향으로의 드래그가 감지되면, 프로세서 140은 상기 제3 제스처가 입력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 영역에서 제3 제스처인 롱 프레스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롱 프레스에 대응하는 위치의 제2 메뉴 아이템을 실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3 제스처가 특정 방향으로의 드래그인 경우, 프로세서 140은 상기 제3 제스처가 감지되는 위치의 제2 메뉴 아이템을 실행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215동작에서 제4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제3 제스처의 의해 실행된 제2 메뉴 아이템의 기능을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 메뉴 아이템의 기능을 제어하는 동작은 후술하는 효과 이미지의 intensity를 조절하는 동작, undo 동작, redo 동작, 히스토리(history) 효과 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작, 이미지 잘라내기(crop) 동작, flip 동작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메뉴 운용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 140은 도 3a의 <3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메뉴 아이템 301(menu1 301a, menu2 301b, menu3 301c 및 menu4 301d)을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상기 제1 메뉴 아이템 menu1 301a에서 사용자의 손가락 300에 의해 터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 300에 의해 상기 터치 제스처를 감지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스타일러스 펜을 통해 감지될 수 있다.
상기 menu1 301a에서 터치 제스처가 감지되면, 프로세서 140은 menu1 301a에 선택 인디케이터 305를 적용하여 다른 제1 메뉴 아이템인 menu2 301b, menu3 301c 및 menu4 301d와 구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선택 인디케이터 305가 표시됨으로써 사용자는 menu1 301a에서 상기 터치 제스처가 입력되었음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3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 제스처가 유지되는 중에 우측 방향으로의 드래그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우측 방향으로의 드래그는 menu3 301c에서 멈춘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프로세서 140은 상기 우측 방향으로의 드래그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 인디케이터 305를 상기 meuu3 301c로 이동하여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도 3b의 <3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menu3 301c에서 롱 프레스(즉, 제1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롱 프레스는 제1 메뉴 아이템과 관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메뉴 아이템을 표시하는 동작일 수 있다. 상기 롱 프레스에 응답하여 프로세서 140은 menu3 301c를 선택 인디케이터 309를 적용하여 다른 제1 메뉴 아이템과 구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제스처와 제1 제스처에 따른 선택 인디케이터는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 140은 상기 터치 제스처에 따른 선택 인디케이터는 음영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 제스처에 따른 선택 인디케이터는 색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menu3 301c에서 감지되는 상기 롱 프레스에 응답하여 프로세서 140은 도 3b의 <3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메뉴 아이템 menu3 301c에 관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메뉴 아이템 303(sub menu1 303a, sub menu2 303b 및 sub menu3 303c)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메뉴 아이템 menu3 301c에서 감지되는 롱 프레스에 응답하여 프로세서 140은 상기 제1 메뉴 아이템 301이 표시되는 영역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영역(즉, 제2 제스처를 감지하는 영역) 401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 영역에 음영 효과를 적용하여 제2 메뉴 아이템이 표시되는 영역과 구별되게 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어 영역은 음영 효과가 적용되지 않고 제2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한 영역의 기능만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영역 401은 상기 표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메뉴 아이템 303을 선택, 실행 또는 제2 메뉴 아이템과 관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메뉴 아이템을 표시하기 위한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영역이다. 상기 제어 영역 401에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의 드래그가 감지되면, 프로세서 140은 상기 드래그가 감지되는 방향에 따라 사용자의 손가락 300에 대응되는 위치의 제2 메뉴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 140은 상기 드래그가 감지되는 방향에 따라 제2 메뉴 아이템의 선택 인디케이터 405를 이동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드래그가 감지되는 방향에 따라 선택 인디케이터가 이동되어 표시됨에 따라 사용자는 선택되는 제2 메뉴 아이템이 변경되었음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 영역 401 중 menu3 301c에서 사용자 손가락 300이 감지되면, 프로세서 140은 상기 사용자 손가락 300이 감지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의 제2 메뉴 아이템인 sub menu2 303b가 선택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상기 sub menu2 303b가 선택되었음을 시각적으로 알려주기 위하여 상기 sub menu2 303b를 선택 인디케이터 405를 적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상기 제어 영역 401에서 상기 사용자 손가락 300의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의 드래그를 감지할 수 있다.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 300이 좌쪽 방향으로 드래그된 후 menu 2 301b에서 감지되면, 프로세서 140은 상기 사용자 손가락 300이 감지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의 제2 메뉴 아이템인 sub menu1 303a가 선택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상기 선택 인디케이터 405를 상기 sub menu2 303b에서 sub menu1 303a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서 제1 메뉴 아이템의 레벨(depth)이 다수개인 경우, 프로세서 140은 제어 영역 401을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레벨에 기반하여 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메뉴 아이템 301에 관련되는 서브 메뉴 아이템이 제2 메뉴 아이템 303, 제3 메뉴 아이템 305로 2개인 경우, 프로세서 140은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레벨을 2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상기 결정된 제1 메뉴 아이템의 레벨인 2를 기반으로 상기 제어 영역 401을 2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menu3 301c에서 제1 제스처가 입력되면, 프로세서 140은 상기 제1 메뉴 아이템 menu3 301c와 관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메뉴 아이템 303을 표시하고, 제어 영역 401을 2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 140은 상기 제어 영역 401을 A 영역 401a 및 R 영역 401b로 분할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 영역 401에서 2개의 영역으로 분할된 경우, 프로세서 140은 상기 분할된 각각의 영역이 다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 140은 상기 A 영역 401a를 제2 메뉴 아이템을 선택 또는 실행하기 위한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R 영역 401b를 제1 메뉴 아이템과 제2 메뉴 아이템의 중간 메뉴 아이템 또는 제2 메뉴 아이템의 옵션 팝업창을 표시하는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서 menu3 301c에서 제1 제스처를 감지하면, 프로세서 140은 도 5b의 <5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menu3 301c와 관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메뉴 아이템 303(sub menu1 303a, sub menu2 303b 및 sub menu3 303c)을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제1 메뉴 아이템 301의 영역을 제어 영역(즉, 제2 제스처를 감지하는 영역) 401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영역 401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메뉴 아이템 중 sub menu2 303b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롱 프레스를 감지하는 경우, 프로세서 140은 도 5b의 <5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sub menu2 303b와 관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메뉴 아이템 305(sub menu1 305a, sub menu2 305b 및 sub menu3 305c)를 표시할 수 있다. 제3 메뉴 아이템 305가 표시에 대응하여 프로세서 140은 제어 영역 401을 2개의 영역(예컨대, A 영역 401a, R 영역 401b)으로 분할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 140은 상기 2개의 영역으로 분할된 제어 영역 401 중 상기 A 영역 401a를 제3 메뉴 아이템 305를 제어하기 위한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R 영역 401b를 제2 메뉴 아이템 303을 제어하기 위한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A 영역 401a에서 터치 제스처가 감지되면, 프로세서 140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메뉴 아이템 중 상기 터치 제스처가 감지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sub menu2 305b가 선택됨을 시각적으로 알려주기 위하여 상기 sub menu2 305b에 선택 인디케이터 515를 적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 140은 상기 제어 영역 401을 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으며, 상기 분할된 각각의 영역에서 감지되는 제스처에 따라 상이한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c의 <5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메뉴 아이템 301 중 menu3 301c를 실행하는 제스처가 입력되면, 프로세서 140은 상기 제어 영역 401을 2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의 손가락 300에 의해 상기 제어 영역 401 중 R 영역 401b에서 제1 제스처를 감지하는 경우, 프로세서 140은 상기 menu3 301c와 관련되는 모든 제2 메뉴 아이템 303(sub menu1 303a, sub menu2 303b 및 sub menu3 303c)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자의 손가락 300에 의해 상기 제어 영역 401 중 A 영역 401a에서 제1 제스처를 감지하는 경우, 프로세서 140은 도 5c의 <5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menu3 301c와 관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메뉴 아이템 303(sub menu1 303a, sub menu2 303b 및 sub menu3 303c) 중 최근 실행한 제2 메뉴 아이템 531(sub menu1 303a 및 sub menu3 303c)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 140은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메뉴 아이템 301 중 menu3 301c에서 터치 앤 상측 방향으로의 드래그 601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상측 방향으로의 드래그 601에 응답하여 프로세서 140은 menu3 301c에 선택 인디케이터를 적용하여 다른 제1 메뉴 아이템(menu1 301a, menu2 301b 및 menu3 301d)과 구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상기 menu3 301c에 선택 인디케이터가 적용되어 표시됨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menu3 301c가 실행된 아이템임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상측 방향으로의 드래그 601에 응답하여 프로세서 140은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메뉴 아이템 menu3 301c와 관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메뉴 아이템 303(sub menu1 303a, sub menu2 303b 및 sub menu3 303c)을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메뉴 아이템 303이 표시되는 영역에서 하나의 제2 메뉴 아이템을 선택하기 위한 터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의 손가락 300에 의해 sub menu2 303b에서 터치 제스처가 입력되면, 프로세서 140은 상기 sub menu2 303b에 선택 인디케이터 605를 적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sub menu2 303b가 선택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알려줄 수 있다.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 140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메뉴 아이템 303이 표시되는 영역에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의 드래그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의 드래그가 감지되면, 프로세서 140은 상기 드래그가 감지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선택되는 제2 메뉴 아이템을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상기 드래그가 감지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선택 인디케이터 605를 이동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좌측 방향으로 드래그함에 따라 사용자의 손가락 300이 sub menu1 303a에 위치하는 경우, 프로세서 140은 상기 선택 인디케이터 605를 상기 sub menu2 303b에서 sub menu1 303a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6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sub menu1 303a에서 상측 방향으로의 드래그 611을 감지하는 경우, 프로세서 140은 상기 sub menu1 303a를 실행하기 위한 제스처로 결정하고, 상기 sub menu1 303a 실행에 따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서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메뉴 아이템 menu3에서 탭 제스처를 감지하는 경우, 프로세서 140은 상기 menu3과 관련되는 모든 제2 메뉴 아이템 701(sub menu1, sub menu2, sub menu3 및 sub menu4)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서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메뉴 아이템 menu3에서 롱 프레스 또는 터치 앤 상측 방향으로의 드래그를 감지하는 경우, 프로세서 140은 menu3과 관련되는 최근에 실행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메뉴 아이템 703(sub menu1, sub menu3, sub menu4)을 표시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메뉴 운용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경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상단 50% 위치에서 롱 프레스 또는 상측 방향으로의 드래그를 감지하는 경우, 프로세서 140은 메뉴(예컨대, 제1 메뉴 아이템)를 실행하는 동작(YES)으로 결정하고, 이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 140은 상기 메뉴(예컨대, 제1 메뉴 아이템)와 관련되는 하위 메뉴(예컨대, 제2 메뉴 아이템)를 표시할 수 있다. 반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하단 50% 위치에서 롱 프레스 또는 하측 방향으로의 드래그를 감지하는 경우, 프로세서 140은 메뉴(예컨대, 제1 메뉴 아이템)의 실행을 취소하는 동작(NO)으로 결정하고, 이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하위 메뉴(예컨대, 제2 메뉴 아이템)가 표시된 상태에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하단 50% 위치에서 롱 프레스 또는 하측 방향으로의 드래그를 감지하는 경우, 프로세서 140은 상기 하위 메뉴(예컨대, 제2 메뉴 아이템)와 관련되는 상위 메뉴(예컨대, 제1 메뉴 아이템)를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메뉴 아이템은 상기 도 8의 <a>와 같이 표시되어 터치 제스처가 감지되는 위치에 따라 메뉴를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메뉴 아이템 811이 표시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메뉴 아이템 811에서 제1 제스처가 입력되면, 프로세서 140은 상기 제1 메뉴 아이템 811과 관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메뉴 아이템 813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메뉴 아이템 811을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메뉴 아이템 811에서 제2 메뉴 아이템을 표시하기 위한 터치 제스처 901(예컨대, 제1 제스처)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제스처 901에 응답하여 프로세서 140은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메뉴 아이템과 관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메뉴 아이템 813을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메뉴 아이템 811이 표시되는 영역을 제어 영역 821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상기 제어 영역 821에서 사용자의 손가락 300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메뉴 아이템 813을 제어하는 제스처(즉, 제2 제스처 및 제3 제스처 감지)에 대응하여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의 <a> 및 <b>의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작은 화면 상에서 화면 영역을 가리지 않고 여러 레벨의 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 14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메뉴 아이템 1001을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메뉴 아이템 1001에서 하나의 제1 메뉴 아이템을 선택하는 입력을 감지하면,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택된 제1 메뉴 아이템과 관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메뉴 아이템 1003을 표시할 수 있다. 제2 메뉴 아이템 1003을 표시하는 경우, 프로세서 140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메뉴 아이템 1001의 일부가 숨겨진 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메뉴 아이템 1003에서 하나의 제2 메뉴 아이템을 선택한 상태에서 실행하는 제스처 1013을 감지(예컨대, 제2 제스처가 유지되는 중에 제3 제스처 감지)하면, 상기 선택된 제2 메뉴 아이템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서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는 메뉴 아이템이 표시되는 영역 1101과 제어 영역 1103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메뉴 아이템이 표시되는 영역 1101은 제1 메뉴 아이템, 제2 메뉴 아이템 등이 표시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영역 1103은 상기 메뉴 아이템이 표시되는 영역 1101에 표시되는 메뉴를 제어(예컨대, 상위 메뉴로 이동, 하위 메뉴로 이동, 메뉴의 동일한 레벨로의 이동)하기 위한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서 상기 메뉴 아이템이 표시되는 영역 1101은 고정된 상태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메뉴 아이템에서 상기 제1 메뉴 아이템과 관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메뉴 아이템을 표시하기 위한 제1 제스처가 입력되면, 프로세서 140은 상기 메뉴 영역 1101에 선택된 제1 메뉴 아이템과 관련되는 제2 메뉴 아이템을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 제스처가 입력됨에 따라 프로세서 140은 상기 메뉴 아이템이 표시되는 영역 1101을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에서 제2 메뉴 아이템으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 영역 1103은 메뉴가 표시되는 영역 1101과 동일하게 고정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 140은 상기 고정된 상태의 제어 영역 1103에서 제스처 감지 시, 상기 제스처에 대응하는 메뉴 표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어 영역 1103은 고정된 상태가 아닐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손가락 300이 감지되는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방향으로의 드래그가 감지되면, 프로세서 140은 상기 드래그가 감지되는 방향에 매핑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좌측 방향으로의 드래그 1113을 감지하면, 프로세서 140은 메뉴 영역 1101에 표시되는 메뉴 목록을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표시할 수 있다. 우측 방향으로의 드래그 1115를 감지하면, 프로세서 140은 메뉴 목록(예컨대, 제1 메뉴 아이템 및 제2 메뉴 아이템)을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측 방향으로의 드래그 1117을 감지하면, 프로세서 140은 메뉴를 선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하측 방향으로의 드래그 1119를 감지하면, 프로세서 140은 상기 메뉴의 선택 취소 또는 이전 메뉴로 복귀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롱 프레스 제스처 1111을 감지하면, 프로세서 140은 메뉴를 선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 140은 제어 영역 1103에서 터치 앤 상측 방향으로의 드래그 1121이 감지되면, 메뉴를 선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 140은 제어 영역 1103에서 롱 프레스가 감지되면, 상기 메뉴를 선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상측 방향으로의 드래그 1121 또는 롱 프레스가 감지되면, 프로세서 140은 도 1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택된 메뉴인 menu2 1125와 관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메뉴 아이템(예컨대, sub menu1 1135)을 상기 메뉴 아이템이 표시되는 영역 1101에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을 표시하는 메뉴 아이템이 표시되는 영역 1101은 상기 상측 방향으로의 드래그 1121에 응답하여 제2 메뉴 아이템으로 대체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메뉴 운용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프로세서 140은 1201동작에서 사진 편집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진 편집 어플리케이션은 다음 <표 1>와 같은 메뉴 아이템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기 <표 1>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레벨에 따른 메뉴 아이템은 사용자 설정에 의해 변경 가능할 수 있다.
제1 사진 편집 메뉴 아이템 제2 사진 편집 메뉴 아이템
(제1 레벨(depth))
crop transform
lasso
tone contrast
effect decalcomanie(mirror)
contrast
portrait remove red
decoration sticker
collage layout
프로세서 140은 1203동작에서 상기 사진 편집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이미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사진 편집 메뉴 아이템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 140은 상기 <표 1>에서 제1 사진 편집 메뉴 아이템을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1205동작에서 제1 제스처가 입력되면, 1209동작에서 상기 제1 사진 편집 메뉴 아이템에 관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사진 편집 메뉴 아이템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 140은 상기 <표 1>에서 선택된 제1 사진 편집 메뉴 아이템과 관련되는 제1 레벨의 제2 사진 편집 메뉴 아이템을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1211동작에서 제2 제스처가 입력되면, 제2 사진 편집 메뉴 아이템의 선택 인디케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선택 인디케이터는 제2 사진 편집 메뉴 아이템에서 상기 제2 제스처가 감지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알려주기 위한 것이다. 상기 선택 인디케이터는 색깔, 음영 등으로 상기 제2 제스처가 감지되지 않은 제2 사진 편집 메뉴 아이템과 구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1213동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사진 편집 메뉴 아이템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3 제스처가 입력되면, 선택된 제2 사진 편집 메뉴 아이템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1215동작에서 상기 제1 레벨에 해당하는 제2 사진 편집 메뉴 아이템을 실행에 따른 효과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효과 이미지는 상기 1203동작에서 표시된 이미지에 상기 제3 제스처에 의해 실행된 제1 레벨의 제2 사진 편집 메뉴 아이템을 적용한 이미지일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1217동작에서 제4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효과 이미지의 편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효과 이미지의 편집 기능은 효과 이미지의 intensity 조절하는 동작, undo 동작, redo 동작, 히스토리 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작, crop 동작, flip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12의 1217동작은 이하 설명하는 도 13 내지 도 32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메뉴 운용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프로세서 140은 도 12의 1201동작 내지 1213동작에서 사진 편집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표시되는 원(original) 이미지에 적어도 하나의 효과가 적용된 효과 이미지를 이미지 영역(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1301동작에서 상기 효과 이미지의 intensity를 조절하는 제스처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intensity를 조절하는 제스처가 입력되면, 프로세서 140은 1303동작에서 효과 이미지에 조절된 intensity 값을 적용하여 이미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intensity를 조절하는 제스처는 이미지 영역에서 감지되는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의 드래그,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의 드래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의 드래그,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의 드래그가 감지되면, 프로세서 140은 상기 드래그되는 방향에 따라 원 이미지에 적용된 효과(effect), 색조(tone)의 intensity를 조절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상기 드래그가 감지되는 방향에 따라 대응되는 intensity 값을 효과 이미지에 적용하여 프리뷰 이미지로 이미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intensity를 조절하기 위한 제스처가 해제되면, 프로세서 140은 상기 제스처 해제 시점의 intensity 값을 효과 이미지에 적용하여 최종 이미지로 이미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도 13의 intensity를 조절하는 동작은 하기 도 14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메뉴 운용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스처가 입력되면, 프로세서 140은 선택된 제1 사진 편집 메뉴 아이템과 관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사진 편집 메뉴 아이템을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제2 아이템 표시 중에 입력되는 제2 제스처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사진 편집 메뉴 아이템에 선택 인디케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사진 편집 메뉴 아이템 중 하나의 제2 사진 편집 메뉴 아이템을 선택하는 제3 제스처 1403을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이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사진 편집 메뉴 아이템 중 상기 제3 제스처 1403이 감지된 제2 사진 편집 메뉴 아이템의 효과를 원 이미지에 적용한 효과 이미지를 이미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서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 이미지에 효과가 적용된 효과 이미지가 표시된 상태에서 프로세서 140은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으로의 드래그 1411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 140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드래그에 따라 100에 가까운 intensity 값을 효과 이미지에 적용할 수 있고,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드래그에 따라 0에 가까운 intensity 값을 효과 이미지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효과 이미지의 intensity 값을 조절하는 드래그가 감지되면, 프로세서 140은 좌측 또는 우측의 일부 영역에 intensity 상태바 1407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intensity 상태바 1407을 통해 효과의 intensity가 조절되는 수치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서 도 1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 이미지에 효과가 적용된 효과 이미지가 표시된 상태에서 프로세서 140은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의 드래그 1413을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 140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드래그에 따라 100에 가까운 intensity 값을 효과 이미지에 적용할 수 있고,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드래그에 따라 0에 가까운 intensity 값을 효과 이미지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효과 이미지의 intensity 값을 조절하는 드래그가 감지되면, 프로세서 140은 상측 또는 하측의 일부 영역에 intensity 상태바 1407을 표시할 수 있다.
이하 설명하는 도 15에서 제4 제스처는 undo 제스처, redo 제스처, history 효과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스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다양한 효과나 필터를 사용하여 이미지를 변형할 수 있다. 즉, 원 이미지에 상기 다양한 효과나 필터를 반복적으로 적용하거나 취소할 수 있으며, 최적의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하여 효과를 적용하기 전과 후를 비교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에서 감지되는 undo 제스처, redo 제스처 또는 history 효과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스처에 응답하여 이전의 적어도 하나의 효과 이미지 레이어를 중첩 배치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이전의 적어도 하나의 효과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내비게이션 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 140은 원 이미지 레이어와 상기 원 이미지에 효과가 적용된 적어도 하나의 효과 이미지 레이어를 중첩한 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효과 이미지가 표시된 상태에서 undo 제스처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효과 이미지와 상기 undo 제스처 입력에 따른 원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원 이미지가 표시된 상태에서 redo 제스처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원 이미지와 상기 redo 제스처 입력에 따른 효과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프로세서 140은 1501동작에서 undo 제스처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undo 제스처는 우측 베젤에서 좌측 방향으로의 드래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ndo 제스처가 입력되면, 프로세서 140은 1502동작에서 undo 제스처에 응답하여 효과 이미지의 일부와 원 이미지 일부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우측 베젤에서 좌측 방향으로의 드래그가 감지됨에 따라 프로세서 140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130에서 상기 undo 제스처가 입력되는 위치를 기준으로 왼쪽 영역에 효과 이미지의 일부, 오른쪽 영역에 원 이미지의 일부를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1503동작에서 undo 제스처가 해제됨을 감지하면, 1505동작에서 상기 undo 제스처가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임계치는 상기 undo 제스처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130의 영역 중 50%를 초과하는지 여부, 또는 undo 제스처의 이동 속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ndo 제스처가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면, 프로세서 140은 1507동작에서 상기 undo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우측 베젤에서 좌측 방향으로 드래그의 undo 제스처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130의 영역 중 50%를 초과하는 경우, 프로세서 140은 상기 효과 이미지를 undo 제스처에 따른 undo 이미지(예컨대, 원 이미지)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는, undo 제스처의 이동 속도가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효과 이미지를 상기 undo 제스처에 따른 undo 이미지(예컨대, 원 이미지)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1501동작에서 undo 제스처가 입력되지 않으면, 프로세서 140은 1509동작에서 redo 제스처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redo 제스처는 좌측 베젤에서 우측 방향으로의 드래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edo 제스처가 입력되면, 프로세서 140은 1510동작에서 redo 제스처에 응답하여 원 이미지의 일부와 효과 이미지의 일부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좌측 베젤에서 우측 방향으로의 드래그가 감지됨에 따라 프로세서 140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130에서 상기 redo 제스처가 입력되는 위치를 기준으로 왼쪽 영역에 효과 이미지의 일부, 오른쪽 영역에 원 이미지의 일부를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1511동작에서 redo 제스처가 해제됨을 감지하면 1513동작에서 상기 redo 제스처가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임계치는 상기 redo 제스처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130의 영역 중 50%를 초과하는지 여부, 또는 redo 제스처의 이동 속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edo 제스처가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면, 프로세서 140은 1515동작에서 상기 redo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redo 제스처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130의 영역 중 50%를 초과하는 경우, 원 이미지를 상기 redo 제스처에 따른 redo 이미지(예컨대, 효과 이미지)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는, redo 제스처의 이동 속도가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원 이미지를 상기 redo 제스처에 따른 redo 이미지(예컨대, 효과 이미지)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상기 1509동작에서 redo 제스처가 입력되지 않으면, 1517동작에서 history 효과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스처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상기 history 효과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스처가 입력되면, 1519동작에서 이미지 영역에 원 이미지와 적어도 하나의 history 효과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history 효과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스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130의 엣지(edge)에서 감지되는 롱 프레스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130의 엣지에서 롱 프레스를 감지하는 경우, 프로세서 140은 이전의 적어도 하나의 효과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 140은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130의 엣지에서 롱 프레스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롱 프레스가 감지되는 면적을 분석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상기 분석된 면적에 기반하여 이미지 영역을 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된 각각의 이미지 영역에 history 효과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이전의 효과 이미지가 5개인 것으로 가정하면, 상기 분석된 롱 프레스의 면적이 기 설정된 영역의 40%인 경우, 프로세서 140은 효과 이미지를 2개 표시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이미지 영역을 2개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2개의 영역에 원 이미지와 이전의 효과 이미지를 1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분석된 롱 프레스의 면적이 기 설정된 영역의 80%인 경우, 프로세서 140은 효과 이미지를 4개 표시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이미지 영역을 4개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4개의 영역에 원 이미지와 이전의 효과 이미지 3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history 효과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스처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전의 효과 이미지가 표시된 상태에서 프로세서 140은 1521동작에서 상기 history 효과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스처가 해제됨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history 효과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스처는 엣지 영역 또는 표시되는 이전의 효과 이미지에서 해제될 수 있다. 상기 history 효과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스처가 엣지 영역에서 해제되는 경우, 프로세서 140은 이전의 효과 이미지로 변경하여 표시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history 효과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스처가 감지되기 전의 이미지를 이미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history 효과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스처가 이전의 효과 이미지에서 해제되는 경우, 프로세서 140은 상기 history 효과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스처가 해제된 위치의 효과 이미지로 변경하여 이미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history 효과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스처에 따라 이전의 효과 이미지가 복수개 표시되고, 상기 history 효과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스처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특정 방향으로의 드래그 후 해제되면, 프로세서 140은 1523동작에서 원 이미지를 상기 특정 방향으로의 드래그가 해제된 위치의 undo 효과 이미지로 변경하여 이미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도 15의 동작을 도 16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6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메뉴 운용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효과가 적용된 효과 이미지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130 상의 동일한 위치에 중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이미지에 새로운 효과가 적용되면 상기 새로운 효과가 적용된 이미지를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130 상의 동일한 위치 최상단에 배치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항상 최종 결과물인 최상단에 배치된 이미지만을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서 도 16을 참조하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130 상에 표시되는 이미지는 제1 레이어 이미지 1601, 제2 레이어 이미지 1603 및 제3 레이어 이미지 1605 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미지 영역의 최상단에 배치되는 이미지는 제1 레이어 이미지 1601이다. 다시 말해, 상기 제2 레이어 이미지 1603은 상기 제1 레이어 이미지 1601 이전에 적용된 1번째 이미지이고, 상기 제3 레이어 이미지 1605는 상기 제1 레이어 이미지 1601 이전에 적용된 2번째 이미지이다.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130의 베젤로부터 시작되는 swipe 제스처를 감지하면, 프로세서 140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130 상의 동일한 위치에 중첩하여 배치된 복수의 이미지 레이어들 간의 네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이미지 레이어 간의 네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프로세서 140은 각각의 이미지 레이어의 일부를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130 상에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이미지 레이어 간의 변화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130의 우측 베젤에서 시작되는 swipe 제스처가 감지되면, 프로세서 140은 바로 이전의 이미지(예컨대, 아래쪽 레이어)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swipe 제스처가 유지되는 중 현재 터치점을 기준으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130의 이미지 영역을 분할하여 현재 이미지와 이전의 이미지를 각각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swipe 동작 후 터치 해제되는 위치가 이미지 레이어의 50% 지점을 초과하는 경우, 프로세서 140은 undo 동작 1701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프로세서 140은 최근 이미지를 이전의 이미지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swipe 제스처가 해제되는 위치가 레이어의 50% 지점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 140은 undo 동작을 취소하는 동작 1703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프로세서 140은 최근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swipe 제스처의 속도가 일정 값 이상인 상태에서 해제(release)되면, 프로세서 140은 undo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130 상의 이미지 영역에 최근 이미지 1711이 표시된 상태일 수 있다. 우측 베젤에서 좌측 방향으로의 swipe 제스처 1721를 감지하면 상기 이미지 영역이 2개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분할된 영역 중 왼쪽 영역에 최근 이미지 1711을 표시하고, 오른쪽 영역에 이전의 이미지 1713을 각각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좌측 방향으로의 swipe 제스처 1721이 이미지 영역의 50%를 초과한 상태에서 해제되는 경우, 프로세서 140은 상기 이미지 영역에 1713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좌측 방향으로의 swipe 제스처 1721이 이미지 영역의 50%를 초과하지 않은 상태에서 해제되는 경우, 프로세서 140은 상기 이미지 영역에 최근 이미지 1711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130의 좌측 베젤에서 시작되는 swipe 제스처로 바로 다음의 이미지(예컨대, 위쪽 레이어)로 이동하여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swipe 제스처가 유지되는 중 현재 터치점을 기준으로 이미지 영역을 분할하여 현재 이미지와 이전의 이미지를 각각 표시할 수 있다. 상기 swipe 동작 후 터치 해제되는 위치가 이미지 레이어의 50% 지점을 초과하는 경우, 프로세서 140은 redo 동작 1801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프로세서 140은 이전의 이미지를 최근 이미지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swipe 제스처가 해제되는 위치가 이미지 레이어의 50% 지점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 140은 redo 동작을 취소하는 동작 1803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프로세서 140은 이전의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swipe 제스처의 속도가 일정 값 이상인 상태에서 해제(release)되면, 프로세서 140은 redo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130의 이미지 영역에 이전의 이미지 1713이 표시된 상태일 수 있다. 좌측 베젤에서 우측 방향으로의 swipe 제스처 1811를 감지하면, 프로세서 140은 상기 이미지 영역이 2개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분할된 영역 중 왼쪽 영역에 최근 이미지 1711을 표시하고, 오른쪽 영역에 이전의 이미지 1713을 각각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우측 방향으로의 swipe 제스처 1811이 이미지 영역의 50%를 초과한 상태에서 해제되는 경우, 프로세서 140은 상기 이미지 영역에 최근 이미지 1711을 표시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우측 방향으로의 swipe 제스처 1811이 이미지 영역의 50%를 초과하지 않은 상태에서 해제되는 경우, 프로세서 140은 상기 이미지 영역에 이전의 이미지 1713을 표시할 수 있다.
이하 설명하는 도 19에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130의 우측 베젤에서 롱 프레스가 감지되면, 프로세서 140은 적어도 하나의 히스토리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상기 롱 프레스가 유지되는 중에 특정 방향으로의 드래그 후 해제됨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롱 프레스가 해제되면, 프로세서 140은 이미지 영역에 상기 해제된 위치의 히스토리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히스토리 이미지가 표시된 상태에서 드래그 제스처를 통해 이미지로 변경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 undo/redo 동작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도 1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영역에 1917 이미지, 1915 이미지, 1913 이미지, 1911 이미지 순으로 중첩되어 배치되는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 영역에 표시되는 최상단 이미지는 1911 이미지이다. 상기 1917 이미지, 1915 이미지, 1913 이미지, 1911 이미지는 각각 다른 효과가 적용된 이미지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1917 이미지는 원(original) 이미지, 상기 1915 이미지는 poster 효과가 적용된 이미지, 상기 1913 이미지는 stained glass 효과가 적용된 이미지, 상기 1911 이미지는 watercolor 효과가 적용된 이미지 일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영역에 표시되는 이미지는 도 1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단 이미지인 1911 이미지가 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130의 우측 베젤에서 롱 프레스 제스처 1921이 감지되면, 프로세서 140은 도 1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영역을 히스토리 개수만큼 분할하여 각 분할된 영역에 1911 이미지, 1913 이미지, 1915 이미지, 1917 이미지를 각각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상기 롱 프레스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특정 방향으로의 드래그 후 해제됨을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특정 방향으로의 드래그는 1917 이미지에서 해제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1917 이미지에서 상기 드래그가 해제되면, 프로세서 140은 도 19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1917 이미지를 이미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미지 영역에 표시되는 이미지는 상기 도 1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911 이미지에서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스토리 이미지 중 하나인 1917 이미지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자의 의해 입력된 제스처의 면적에 따라 표시되는 히스토리 이미지의 개수가 조정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130의 우측 베젤에서 롱 프레스가 감지되면, 상기 감지되는 롱 프레스의 면적을 분석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상기 롱 프레스의 면적과 기 설정된 면적의 크기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롱 프레스의 면적이 기 설정된 면적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 2001, 프로세서 140은 예컨대, 2개의 히스토리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 140은 이미지 영역을 2개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왼쪽 영역에 최상단 이미지인 1911 이미지와 오른쪽 영역에 히스토리 이미지인 1913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도 2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130의 우측 베젤에서 감지되는 롱 프레스의 면적과 기 설정된 면적의 크기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롱 프레스의 면적이 기 설정된 면적의 크기보다 큰 경우 2005, 프로세서 140은 2개 이상의 히스토리 이미지(즉, 1913 이미지, 1915 이미지 및 1917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 140은 상기 롱 프레스의 면적에 기반하여 이미지 영역을 4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분할된 영역 각각에 1개의 최상단 이미지와 상기 3개의 히스토리 이미지를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도 21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메뉴 운용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21 내지 도 24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undo 동작, redo 동작, history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undo 동작은 우측 베젤에서 좌측 방향으로의 swipe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redo 동작은 좌측 베젤에서 우측 방향으로의 swipe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history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동작은 특정 영역(예컨대, 베젤)에서의 롱 프레스 제스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프로세서 140은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우측 베젤에서 좌측 방향으로의 swipe 2101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좌측 방향으로의 swipe 2101에 응답하여 프로세서 140은 이미지 영역에 이전의 이미지를 최근 이미지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 또한, swipe 2101이 이미지 영역 중 50%를 초과하는 경우, 프로세서 140은 undo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 14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우측 베젤에서 롱 프레스 2111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롱 프레스 제스처 2111에 응답하여 프로세서 140은 상기 제스처를 history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스처로 결정하고, 이미지 영역에 2개 이상의 이전의 이미지를 최근 이미지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히스토리 이미지가 표시되는 중에 하나의 히스토리 이미지에서 상기 swipe가 해제됨을 감지하는 경우, 프로세서 140은 상기 해제된 위치의 히스토리 이미지로 변경하여 이미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도 2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이미지 영역은 4개의 영역으로 분할되고 각각의 영역에 4개의 히스토리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이미지 영역은 4개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분할된 4개의 영역 각각에 2201, 2203, 2205, 2207 이미지가 각각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들은 각각 다른 효과가 적용된 이미지일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도 22의 <a>와 같이 표시된 상태에서 적용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선택하기 위한 해당 베젤에서 중심점 방향으로의 swipe를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상기 감지된 swipe가 해제됨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해제되는 영역의 이미지를 이미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서 도 2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젤에서 터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베젤에서 감지되는 휠 방향에 따라 이동하는 제스처에 응답하여 상기 제스처가 감지되는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상기 휠 방향에 따라 이동하는 제스처에 대응되는 이미지에 선택 인디케이터를 적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휠 방향에 따라 이동하는 제스처에 대응되는 이미지에 선택 인디케이터를 적용하여 표시함에 따라 사용자는 선택된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베젤의 휠 방향에 따라 감지되는 사용자 손가락 300에 응답하여 프로세서 140은 선택 인디케이터를 2201 이미지에서 2203 이미지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도 2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베젤은 회전 가능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베젤이 왼쪽 방향으로의 회전을 감지하면, 프로세서 140은 메뉴 아이템이 선택되었음을 나타내기 위한 선택 인디케이터 영역을 <a>의 2201 이미지에서 <b>의 2203 이미지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각 형태의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가질 수 있다.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 140은 이미지 2401이 표시된 상태에서 이미지 영역의 중심점에서 롱 프레스 2411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롱 프레스 2411에 응답하여 프로세서 140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히스토리 이미지(2401 이미지, 2403 이미지, 2405 이미지 및 2407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상기 2개 이상의 히스토리 이미지 중 하나의 히스토리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 140은 상기 2개 이상의 히스토리 이미지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롱 프레스가 유지되는 중에 특정 방향으로의 swipe(예컨대, 중심점 방향)를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상기 swipe가 해제되는 위치의 이미지를 이미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 140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2403 이미지에서 swipe가 해제되는 경우,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2403 이미지를 이미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메뉴 운용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25에서 제4 제스처는 이미지를 잘라내기(crop) 위한 crop 제스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crop 제스처는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비율 항목을 포함하는 리스트에서 하나의 이미지 비율 항목을 선택하는 동작일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프로세서 140은 2501동작에서 특정 비율로 이미지를 잘라내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비율을 포함하는 crop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crop 메뉴는 square, 3:2, 4:3, 5:4, 7:5, 16:9의 이미지 비율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2503동작에서 상기 표시된 crop 메뉴에서 상기 crop 제스처가 해제됨을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2505동작에서 상기 crop 제스처가 해제된 위치의 해당 이미지 비율로 crop된 이미지를 이미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메뉴 운용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사진 편집 메뉴에서 crop 메뉴 아이템에서 제1 제스처가 입력되면, 프로세서 140은 상기 crop 메뉴 아이템과 관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사진 편집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사진 편집 메뉴 중 transform에서 입력되는 제2 제스처를 유지하는 중에 제3 제스처가 입력되면 프로세서 140은 상기 transform 메뉴 아이템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상기 transform 메뉴 아이템 실행에 응답하여 crop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이미지를 crop하기 위한 crop 메뉴를 선택하는 crop 제스처 2605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crop 제스처 2605에 응답하여 프로세서 140은 2607과 같이 복수의 이미지 비율 항목을 포함하는 crop 메뉴를 이미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crop 메뉴는 square, 3:2, 4:3, 5:4, 7:5, 16:9의 이미지 비율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crop 제스처 2605가 유지되는 중에 상기 표시된 crop 메뉴에서 잘라내기 하고자 하는 이미지 비율 항목으로 드래그 후 상기 crop 제스처 2605가 해제됨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crop 제스처 2605가 해제됨에 응답하여, 프로세서 140은 선택된 이미지 비율로 이미지를 crop하여 이미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crop 제스처 2605가 해제되지 않고 드래그가 이동되는 경우, 프로세서 140은 상기 드래그가 이동되는 위치에 따른 해당 이미지 비율의 이미지를 프리뷰 이미지로 이미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이하 설명하는 도 27 내지 도 30은 이미지를 변형하는 조작에 있어서 별도의 메뉴를 선택하는 것이 아닌 이미지 위의 격자가 나뉜 특정 지점에 기능을 할당하여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프로세서 140은 이미지 영역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9등분하고, 각 모서리, 격자로 구분된 면 그리고 격자로 구분된 각 외곽선에 사용자의 제스처와 조합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기능이 할당된 영역에서 제스처가 입력되면, 프로세서 140은 상기 제스처에 응답하여 이미지를 변형시킬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메뉴 운용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27에서 제4 제스처는 flip 제스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되는 이미지의 특정 위치에 핸들러가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flip 제스처는 상기 핸들러에서 감지되는 터치 제스처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프로세서 140은 2701동작에서 이미지 영역에 표시되는 이미지에서 flip 제스처가 입력되면 2703동작에서 상기 이미지를 반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핸들러를 통해 좌우반전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스처가 감지되면, 프로세서 140은 이미지의 좌우를 반전하여 이미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핸들러를 통해 상하반전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스처가 감지되면, 프로세서 140은 이미지의 상하를 반전하여 이미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2705동작에서 상기 반전된 이미지의 적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반전된 이미지를 적용하는 경우, 프로세서 140은 2709동작에서 이미지 반전 효과가 적용된 반전된 이미지를 이미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2705동작에서 이미지 영역의 중심점에서 탭 제스처가 입력되면, 프로세서 140은 상기 반전된 이미지를 적용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반전 이미지를 이미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의 특정 위치에 표시되는 핸들러는 제거될 수 있다.
반면, 반전된 이미지를 적용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 140은 2707동작에서 반전 효과를 제거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2703동작에서 이미지의 영역의 중심점에서 더블 탭 제스처가 감지되면, 프로세서 140은 상기 이미지에 적용된 반전 효과를 제거하고 원 이미지로 복구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28 및 도 29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메뉴 운용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서 도 2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영역에 표시되는 이미지는 9등분의 격자 무늬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격자로 구분된 면에 핸들러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도 28에서 핸들러는 이미지를 반전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상기 핸들러는 상변 또는 하변의 중앙, 좌변 또는 우변의 중앙에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핸들러는 하변 및 우변의 중앙에 배치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우변의 중앙에 배치된 핸들러에서 터치 제스처 2803을 감지하는 경우, 프로세서 140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반전된 이미지를 이미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하변의 중앙에 배치된 핸들러에서 터치 제스처 2805를 감지하는 경우, 프로세서 140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반전된 이미지를 이미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우 반전 또는 상하 반전된 이미지를 완료하기 위한 입력인 탭 제스처 2901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탭 제스처 2901에 응답하여 프로세서 140은 좌우 반전 또는 상하 반전된 이미지를 적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좌우 반전 또는 상하 반전된 이미지를 취소(이미지 변형을 취소)하기 위한 입력인 더블 탭 제스처를 감지하는 경우, 프로세서 140은 원 이미지로 복원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30은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메뉴 운용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30에서 제4 제스처는 특정 방향으로의 핸들러 조절 제스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0을 참조하면, 프로세서 140은 3001동작에서 특정 방향으로의 핸들러 조절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핸들러는 이미지의 모서리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3003동작에서 상기 특정 방향으로의 핸들러 조절 제스처에 매핑된 콜라쥬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각진 모서리에 배치된 핸들러를 특정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콜라쥬를 구성하는 레이아웃의 roundness 기능, margin 기능, 행 또는 열의 개수를 추가 또는 감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1 및 도 32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메뉴 운용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1 및 도 32를 참조하면, 콜라쥬 메뉴 아이템 실행으로 디폴트로 설정된 콜라쥬가 표시될 수 있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하단 모서리에 핸들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핸들러를 터치한 상태에서 특정 방향으로 드래그를 감지하면, 상기 감지되는 방향에 따라 각기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도 3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러를 터치 3101한 상태에서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방향으로의 드래그 3111을 감지하는 경우, 프로세서 140은 상기 콜라쥬를 구성하는 각 레이아웃의 모서리를 둥글게 변형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는,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러를 터치 3101한 상태에서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방향으로의 드래그 3121을 감지하는 경우, 프로세서 140은 상기 콜라쥬를 구성하는 각 레이아웃 간의 여백을 넓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도 3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러를 터치 3201한 상태에서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방향으로의 드래그 3211을 감지하는 경우, 프로세서 140은 표시되는 이미지의 행 개수를 증가시켜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디폴트로 설정된 행의 개수를 3개로 가정하면,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들러를 터치한 상태에서 상측 방향으로 드래그 3211이 감지됨에 따라 행 개수를 3개에서 5개로 증가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도 3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러를 터치 3201한 상태에서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방향으로의 드래그 3221을 감지하는 경우, 프로세서 140은 표시되는 이미지의 열 개수를 증가시켜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디폴트로 설정된 열의 개수를 2개로 가정하면, 핸들러를 터치한 상태에서 좌측 방향으로 드래그 3221이 감지됨에 따라 열 개수를 2개에서 3개로 증가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33은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메뉴 운용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3을 참조하면, 프로세서 140은 3301동작에서 메시지 작성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3303동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메시지 메뉴 아이템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메시지 메뉴 아이템은 이모티콘, 수신자 설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3305동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메시지 메뉴 아이템 중 하나의 제1 메시지 메뉴 아이템을 선택하는 제1 제스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3309동작에서 상기 선택된 제1 메시지 메뉴 아이템에 관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메시지 메뉴 아이템을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3311동작에서 제2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메뉴 아이템의 선택 인디케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3313동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메시지 메뉴 아이템 중 상기 선택 인디케이터가 표시되는 하나의 제2 메시지 메뉴 아이템에서 제3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제2 메시지 메뉴 아이템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도 33의 동작을 하기 도 3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4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메뉴 운용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4를 참조하면, 프로세서 140은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메시지 메뉴 아이템을 포함하는 메시지 작성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메시지 메뉴 아이템(예컨대, 제1 이모티콘 아이템 3401)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1 제스처 3411이 입력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메시지 메뉴 아이템(예컨대, 상기 제1 이모티콘 아이템에 관련되는 제2 이모티콘 아이템 3402)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제스처 3411은 롱 프레스, 또는 하측방향으로의 드래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이모티콘 아이템 3402에서 제2 제스처가 입력되면 프로세서 140은 상기 제2 제스처에 따른 제2 이모티콘 아이템에 선택 인디케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선택 인디케이터가 표시되는 위치에서 제2 이모티콘 아이템을 선택하기 위한 제3 제스처 3413이 입력되면, 프로세서 140은 도 3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택된 제2 이모티콘 아이템을 메시지 입력 창에 표시 3421할 수 있다.
도 35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메뉴 운용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5를 참조하면, 프로세서 140은 3501동작에서 알람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3503동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알람 메뉴 아이템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알람 메뉴 아이템은 알람, 세계시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3505동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알람 메뉴 아이템 중 하나의 알람 메뉴 아이템을 선택하는 제1 제스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3509동작에서 상기 제1 제스처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제1 알람 메뉴 아이템과 관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알람 메뉴 아이템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알람 메뉴 아이템이 알람인 경우, 프로세서 140은 상기 제2 알람 메뉴 아이템인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알람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알람 메뉴 아이템이 세계시각인 경우, 프로세서 140은 상기 제2 알람 메뉴 아이템인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세계시각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3511동작에서 제2 제스처가 입력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알람 메뉴 아이템의 선택 인디케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3513동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알람 메뉴 아이템 중 상기 선택 인디케이터가 표시되는 위치에서 제3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제3 제스처가 입력된 제2 알람 메뉴 아이템을 실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리스트로 표시된 알람시각 또는 세계시각을 선택하는 제스처가 감지되면, 프로세서 140은 상기 선택된 알람시각 또는 세계시각으로 알람 또는 세계시각을 설정할 수 있다.
도 36은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메뉴 운용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6을 참조하면,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알람 메뉴 아이템 3601을 포함하는 알람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알람 메뉴 아이템 3601은 알람 3601a, 세계시각 3601b, 스톱워치 3601c, 타이머 3601d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제1 알람 메뉴 아이템 3601 중 알람 3601a에서 제1 제스처 3611이 입력되면, 프로세서 140은 상기 제1 제스처 3611을 제2 알람 메뉴 아이템 3603을 표시하기 위한 입력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제스처 3611은 롱 프레스, 또는 하측방향으로의 드래그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상기 제1 제스처에 응답하여 제2 알람 메뉴 아이템 3603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2 알람 메뉴 아이템 3603은 “오전 07:13”, “오전 09:07”, 오전 11: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알람 메뉴 아이템 3603에서 제2 제스처가 유지되는 중에 “오전 09:07”에서 제3 제스처를 감지하는 경우, 프로세서 140은 상기 “오전 09:07”로 알람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도 3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알람 메뉴 아이템 3601을 포함하는 알람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 140은 상기 제1 알람 메뉴 아이템 3601은 알람 3601a, 세계시각 3601b, 스톱워치 3601c, 타이머 3601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알람 메뉴 아이템 3601 중 세계시각 3601b에서 제1 제스처 3621이 입력되면, 프로세서 140은 제2 알람 메뉴 아이템 3605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2 알람 메뉴 아이템 3605는 적어도 하나의 세계시각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 알람 메뉴 아이템 3605는 “서울/대한민국 11:13 pm”, “런던/영국 02:13 pm”, “파리/프랑스 06:13 am”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알람 메뉴 아이템 3605에서 제2 제스처가 유지되는 중에 “런던/영국 02:13 pm”에서 제3 제스처를 감지하는 경우, 프로세서 140은 상기”런던/영국 02:13 pm”을 세계시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에 대하여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통신부
120: 저장부
130: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131: 표시부
132: 터치패널
140: 프로세서

Claims (46)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스처를 감지하고, 상기 제스처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 아이템을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메뉴 아이템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1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제스처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에 관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메뉴 아이템을 표시하며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이 표시되는 영역을 상기 제2 메뉴 아이템을 선택하기 위한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메뉴 아이템을 표시하는 중에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이 표시되는 영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메뉴 아이템 중에 하나를 선택하는 제3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제2 메뉴 아이템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이 표시되는 영역에서 제2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메뉴 아이템에 선택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레벨(depth)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레벨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이 표시되는 영역을 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전자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분석된 제1 메뉴 아이템의 레벨이 2인 경우,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이 표시되는 영역을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분할하는 전자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분석된 제1 메뉴 아이템의 레벨이 2인 경우,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이 표시되는 영역에서 상기 제2 메뉴 아이템을 선택하는 제3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제2 메뉴 아이템에 관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메뉴 아이템을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영역을 상기 제2 메뉴 아이템을 선택하기 위한 스크롤 앤 터치 제스처를 감지하는 영역, 상기 제2 영역을 상기 제3 메뉴 아이템을 선택하기 위한 스크롤 앤 터치 제스처를 감지하는 영역으로 설정하는 전자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되는 제2 제스처가 유지되는 중에 특정 방향으로의 드래그를 감지하면, 상기 감지되는 드래그 방향에 따라 상기 선택 인디케이터를 이동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메뉴 아이템 중 하나를 선택하는 상제 제1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제스처에 의해 선택된 제1 메뉴 아이템에 관련되는 최근에 실행한 제2 메뉴 아이템을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메뉴 아이템이 표시되는 영역에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메뉴 아이템을 근접하게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메뉴 아이템이 표시되는 영역에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메뉴 아이템을 대체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4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되는 제4 제스처에 대응하여 상기 실행된 제2 메뉴 아이템의 기능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 아이템을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은,
    사진 편집 어플리케이션, 사진 앨범 어플리케이션,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알람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사진 편집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제3 제스처에 대응하여 실행된 제2 메뉴 아이템에 따른 효과 이미지를 이미지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효과 이미지가 표시되는 상기 이미지 영역에서 상기 효과 이미지의 intensity를 조절하기 위한 제스처, undo 제스처, redo 제스처, history 효과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스처, crop 제스처, flip 제스처 중 적어도 하나의 제4 제스처를 감지하는 전자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이미지 영역에서 상기 효과 이미지의 intensity를 조절하기 위한 제스처인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의 드래그, 또는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의 드래그가 입력되면, 상기 드래그에 기반하여 상기 효과 이미지의 intensity를 조절하고, 상기 드래그가 해제되면, 상기 효과 이미지에 상기 조절된 intensity를 적용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이미지 영역에서 상기 undo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이미지 영역에 상기 효과 이미지의 일부와 원 이미지의 일부를 표시하고, 상기 undo 제스처가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효과 이미지를 원 이미지로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이미지 영역에서 상기 redo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이미지 영역에 효과 이미지의 일부와 원 이미지의 일부를 표시하고, 상기 redo 제스처가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원 이미지를 효과 이미지로 변경하는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이미지 영역에서 상기 history 효과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이미지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효과 이미지를 표시하며, 상기 history 효과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스처가 유지되는 중에 특정 방향으로의 드래그 후 해제되면 상기 드래그가 해제된 위치의 효과 이미지를 상기 이미지 영역에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이미지 영역에서 상기 history 효과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되는 history 효과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스처의 면적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면적에 기반하여 상기 이미지 영역을 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된 이미지 영역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효과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이미지 영역에서 상기 crop 제스처가 입력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 비율 정보를 포함하는 crop 메뉴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되는 crop 메뉴에서 선택되는 이미지 비율 정보에 기반하여 이미지를 crop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이미지 영역에 핸들러를 포함하는 상기 효과 이미지를 표시하는 중에 상기 flip 제스처가 입력되면, 좌우 또는 상하 반전된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핸들러를 특정 방향으로 조절하는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되는 제스처의 특정 방향에 기반하여 매핑된 기능인 콜라쥬를 구성하는 레이아웃의 모서리를 변형하는 기능, 여백을 조정하는 기능, 행, 열 개수를 증가 또는 감축하는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22.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이모티콘 아이템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1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제스처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제1 이모티콘 아이템에 관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이모티콘 아이템을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이모티콘 아이템을 표시하는 중에 입력되는 제2 제스처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메뉴 아이템의 선택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이모티콘 아이템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3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제2 이모티콘 아이템을 메시지 입력 창에 입력하는 전자 장치.
  2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알람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알람 아이템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1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제스처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제1 알람 아이템에 관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알람시각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알람시각 리스트를 표시하는 중에 입력되는 제2 제스처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알람시각 리스트의 선택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알람시각 리스트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3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알람시각으로 알람을 설정하는 전자 장치.
  24. 메뉴 운용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메뉴 아이템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1 제스처가 입력되는 과정;
    상기 제1 제스처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제1 메뉴 아이템에 관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메뉴 아이템을 표시하며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이 표시되는 영역을 상기 제2 메뉴 아이템을 선택하기 위한 영역으로 설정하는 과정;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메뉴 아이템을 표시하는 중에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이 표시되는 영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메뉴 아이템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3 제스처를 감지하면, 상기 선택된 제2 메뉴 아이템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메뉴 운용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이 표시되는 영역에서 제2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메뉴 아이템에 선택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메뉴 운용 방법.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뉴 아이템을 선택하기 위한 영역으로 설정하는 과정은,
    상기 제1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의 레벨(depth)을 분석하는 동작; 및
    상기 분석된 레벨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이 표시되는 영역을 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메뉴 운용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된 제1 메뉴 아이템의 레벨이 2인 경우, 상기 분할하는 동작은,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이 표시되는 영역을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분할하는 동작인 메뉴 운용 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된 제1 메뉴 아이템의 레벨이 2인 경우, 상기 제2 메뉴 아이템을 실행하는 과정은,
    상기 선택된 제2 메뉴 아이템에 관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메뉴 아이템을 표시하는 과정인 메뉴 운용 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메뉴 아이템을 선택하기 위한 스크롤 앤 터치 제스처를 감지하는 영역이며,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3 메뉴 아이템을 선택하기 위한 스크롤 앤 터치 제스처를 감지하는 영역인 메뉴 운용 방법.
  30.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메뉴 아이템에 선택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제2 제스처가 유지되는 중에 특정 방향으로의 드래그를 감지하는 과정; 및
    상기 감지되는 드래그 방향에 따라 상기 선택 인디케이터를 이동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메뉴 운용 방법.
  31.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메뉴 아이템은,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에 관련되는 최근에 실행한 제2 메뉴 아이템인 메뉴 운용 방법.
  32.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메뉴 아이템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메뉴 아이템이 표시되는 영역에 근접하게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이 표시되는 영역에 대체되어 표시되는 메뉴 운용 방법.
  33. 제 24 항에 있어서,
    제4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되는 제4 제스처에 대응하여 상기 실행된 제2 메뉴 아이템의 기능을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메뉴 운용 방법.
  34.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메뉴 아이템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메뉴 아이템은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메뉴 아이템인 메뉴 운용 방법.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은, 사진 편집 어플리케이션, 사진 앨범 어플리케이션,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알람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인 메뉴 운용 방법.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사진 편집 어플리케이션이면, 상기 제3 제스처에 대응하여 실행된 제2 메뉴 아이템에 따른 효과 이미지를 이미지 영역에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4 제스처는, 상기 효과 이미지가 표시되는 상기 이미지 영역에서 입력되는 상기 효과 이미지의 intensity를 조절하기 위한 제스처, undo 제스처, redo 제스처, history 효과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스처, crop 제스처, flip 제스처 중 적어도 하나인 메뉴 운용 방법.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영역에서 상기 효과 이미지의 intensity를 조절하기 위한 제스처인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의 드래그, 또는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의 드래그가 입력되면, 상기 드래그에 기반하여 상기 효과 이미지의 intensity를 조절하는 과정; 및
    상기 드래그가 해제되면, 상기 효과 이미지에 상기 조절된 intensity를 적용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메뉴 운용 방법.
  38.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영역에서 상기 undo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undo 제스처에 대응하여 상기 이미지 영역에 상기 효과 이미지의 일부와 원 이미지의 일부를 표시하는 과정; 및
    상기 undo 제스처가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효과 이미지를 원 이미지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메뉴 운용 방법.
  39.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영역에서 redo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redo 제스처에 대응하여 상기 이미지 영역에 상기 효과 이미지의 일부와 원 이미지의 일부를 표시하는 과정; 및
    상기 redo 제스처가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원 이미지를 효과 이미지로 변경하는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메뉴 운용 방법.
  40.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영역에서 상기 history 효과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이미지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효과 이미지를 표시하는 과정;
    상기 history 효과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스처가 유지되는 중에 특정 방향으로의 드래그 후 해제되면 상기 드래그가 해제된 위치의 효과 이미지를 상기 이미지 영역에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메뉴 운용 방법.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history 효과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되는 history 효과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스처의 면적을 분석하는 과정; 및
    상기 분석된 면적에 기반하여 상기 이미지 영역을 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효과 이미지를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된 이미지 영역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효과 이미지를 표시하는 과정인 메뉴 운용 방법.
  42.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영역에서 상기 crop 제스처가 입력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 비율 정보를 포함하는 crop 메뉴를 표시하는 과정; 및
    상기 crop 메뉴에서 선택되는 이미지 비율 정보에 기반하여 이미지를 crop하여 상기 이미지 영역에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메뉴 운용 방법.
  43.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효과 이미지는 핸들러를 포함하며, 상기 핸들러에서 flip 제스처가 입력되면, 좌우 또는 상하 반전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메뉴 운용 방법.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러를 특정 방향으로 조절하는 제스처가 입력되는 과정; 및
    상기 입력되는 제스처의 특정 방향에 기반하여 매핑된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매핑된 기능은 콜라쥬를 구성하는 레이아웃의 모서리를 변형하는 기능, 여백을 조정하는 기능, 행, 열 개수를 증가 또는 감축하는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인 메뉴 운용 방법.
  45.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이면,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은 제1 이모티콘 아이템, 상기 제2 메뉴 아이템은 제2 이모티콘 아이템이며,
    상기 제2 메뉴 아이템을 실행하는 과정은,
    상기 제2 이모티콘 아이템에서 제3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되는 제3 제스처에 대응하여 선택된 제2 이모티콘 아이템을 메시지 입력 창에 입력하는 과정인 메뉴 운용 방법.
  4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알람 어플리케이션이면,
    상기 제1 메뉴 아이템은 제1 알람 아이템, 상기 제2 메뉴 아이템은 알람시각 리스트이며,
    상기 제2 메뉴 아이템을 실행하는 과정은,
    상기 알람시각 리스트에서 제3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되는 제3 제스처에 대응하여 선택된 알람시각으로 알람을 설정하는 과정인 메뉴 운용 방법.
KR1020150053192A 2015-04-15 2015-04-15 메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601230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192A KR20160123090A (ko) 2015-04-15 2015-04-15 메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192A KR20160123090A (ko) 2015-04-15 2015-04-15 메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3090A true KR20160123090A (ko) 2016-10-25

Family

ID=57446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3192A KR20160123090A (ko) 2015-04-15 2015-04-15 메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309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3883A1 (ko) * 2021-08-02 2023-02-09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3883A1 (ko) * 2021-08-02 2023-02-09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6684B1 (ko) 디스플레이 사용량을 관리하기 위한 기법들
US11340757B2 (en) Clock faces for an electronic device
US20210318798A1 (en) User interface camera effects
US10282067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controlling an interface based on touch operations
TWI613582B (zh) 用於重新組態使用者介面物件之方法、觸敏式電子器件及非暫時性電腦可讀儲存媒體
CN107690613A (zh) 用于操纵应用窗口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US20230273431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roviding input for head-worn image display devices
EP4298498A2 (en) User interfaces related to time
TW201346703A (zh) 用以提供數位邊框之裝置及方法
US20150220215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windows
KR101575762B1 (ko) 편집 처리장치 및 편집 처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CN104142794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US20150082211A1 (en) Terminal and method for editing user interface
JP2011164676A (ja) 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2381051B1 (ko) 키패드를 표시하는 전자장치 및 그의 키패드 표시 방법
US10515475B2 (en) Implementing layered navigation using interface layers
US20150012856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for one handed operation
KR20160123090A (ko) 메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WO2013047023A1 (ja) 表示装置、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433519B1 (ko) 단말기의 한글 입력장치 및 방법
US20200089336A1 (en) Physically Navigating a Digital Space Us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4035660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JP6434339B2 (ja)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