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2275A - 근시 조절 안과용 렌즈의 설계 - Google Patents

근시 조절 안과용 렌즈의 설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2275A
KR20160122275A KR1020167028323A KR20167028323A KR20160122275A KR 20160122275 A KR20160122275 A KR 20160122275A KR 1020167028323 A KR1020167028323 A KR 1020167028323A KR 20167028323 A KR20167028323 A KR 20167028323A KR 20160122275 A KR20160122275 A KR 20160122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front
refractive power
lens
far
pro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8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3359B1 (ko
Inventor
미첼 제이. 콜린스
브레트 에이 데이비스
칼리드 에이. 체합
쑤 쳉
디. 로버트 이스칸더
Original Assignee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60122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2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3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3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1Contact lenses for the eyes bifocal; multifocal
    • G02C7/044Annular configuration, e.g. pupil tuned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24Methods of designing ophthalmic lenses
    • G02C7/027Methods of designing ophthalmic lenses considering wearer's parame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24Methods of designing ophthalmic lenses
    • G02C7/028Special mathematical design techniqu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1613Intraocular lenses having special lens configurations, e.g. multipart lense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pseudo-accommodative lenses, lenses having aberration corrections, diffractive lenses, lenses for variably absorb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lenses having variable focu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22Correction of higher order and chromatic aberrations, wave front measurement and calcul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24Myopia progression preven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yeglasse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근시 진행을 지연시키거나 중지시키기 위해 동공 크기는 물론 근거리 및 원거리 시력에 대한 교정 계수에 따르는 파면 측정치를 사용하여 렌즈가 설계된다.

Description

근시 조절 안과용 렌즈의 설계{DESIGN OF MYOPIA CONTROL OPHTHALMIC LENSES}
관련 출원과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본 명세서에 전체적으로 참고로 포함된, 2009년 2월 2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1/149193호, 및 2010년 2월 1일자로 출원된 미국 정식 출원 제12/697,931호의 이익을 청구한다.
본 발명은 근시 진행을 예방하거나, 중지시키거나, 또는 지연시키기 위한 설계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투보기로도 알려진 근시는, 눈의 전체 도수(power)가 너무 높거나 너무 강하여 원거리 물체로부터의 광이 망막 앞에 초점을 맺게 하는 굴절 상태이다. 이는 관찰자에 의해 원거리 물체가 흐릿한 것으로 인식되며, 이때 흐릿한 정도는 근시의 중증도(severity)에 관계된다. 이러한 상태는 흔히 유년기에 처음 보이고, 통상 취학 연령기에 인지된다. 근시의 중증도의 진행 또는 증가는 통상 근시의 경우에 청년기 때까지 보인다.
미국 특허 제6,045,578호는 근시 진행을 멈추도록 시도하기 위해 콘택트 렌즈 설계에서 축상(on-axis) 종 구면 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 LSA)를 사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설계 접근법은 개인 눈/또는 그룹 평균 데이터의 특정 파면(wavefront)/굴절력 특성 또는 세밀한 일(close work)과 관련된 동공 크기의 변화를 다루는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미국 특허 제7,025,460호는 근시 진행을 멈추도록 노력하기 위해 상면 만곡(field curvature)(축외(off-axis) 초점 변동)을 변화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러한 접근법의 배경 수학은 단순 원추 방정식(simple conic equation)이 이에 부가되는 짝수 차수의 다항식 항을 갖는 "확장 원추곡선론(extended conics)"을 사용한다. 이들 원추 및 다항식 항은 제안된 설계의 콘택트 렌즈 표면 형상이 상면 만곡의 요구되는 정도를 생성하도록 처리된다. 이러한 접근법은 축외 설계를 다룬다. 렌즈의 축상 광학 설계는 다루어진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근거리 작업과 관련된 동공 크기 및 파면 변화는 다루어지지 않았다.
미국 제2003/0058404호 및 미국 제2008/0309882호는, 눈의 파면을 측정하고 근시 진행을 지연시키기 위해 맞춤화된 교정으로 눈의 파면을 교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는 근거리 자극 거리에 대해 파면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하지 않았고, 원거리 자극 및 근거리 자극에 대해 측정된 파면 사이의 차이를 고려할 것을 제안하는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근거리 작업과 관련된 동공 크기 변화도 또한 설계 과정의 관점이 아니었다.
유럽 특허 제1853961호는 근거리 작업 전과 후 파면의 측정을 제안한다. 이어서, 파면 수차의 변화는 맞춤형 콘택트 렌즈로 교정된다. 이는 근거리 작업 전과 후의 파면만이 다루어지기 때문에, 원거리 및 근거리 자극에 대해 측정된 파면의 차이를 포함하지 않는다. 그것은 설계 과정에서 근거리 작업과 관련된 동공 크기 변화를 고려하지 않는다. 눈 발달(eye growth)을 조절하는 설계를 생성하기 위한 그룹 또는 모집단(population) 데이터가 포함되지 않는다.
근시 진행을 지연시키거나 중지시키기 위한 보다 완전한 접근법이 여전히 요구된다. 이는 본 명세서에서 다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서, 근시의 진행을 조절하고 지연시키는데 유용한 안과용 렌즈의 제조에 사용되는 방법 및 생성된 설계는 눈으로부터의 파면 데이터의 사용을 포함한다. 안과용 렌즈는 예를 들어 콘택트 렌즈, 안구내 렌즈, 각막 인레이(corneal inlay), 및 각막 온레이(corneal onlay)를 포함한다. 또한, 이들은 라식(LASIK) 수술과 같은 각막 굴절 수술을 위한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 근시를 지연시키기 위한 렌즈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 및 설계는 능동적 조절 수준을 갖는 환자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생산되는 안과용 렌즈를 위한 설계는 에지 구역에 의해서도 둘러싸인 주연부 구역에 의해 둘러싸이는 중심 광학 구역을 구비한 볼록한 표면, 및 착용자의 눈에 놓이는 오목한 표면을 포함하고; 광학 구역의 임의의 위치에서의 렌즈 도수는 정점(apical) 축상 원거리 평균된 파면 유도된 도수에, 각각의 위치(x)에서의 원거리 및 근거리 평균 파면 유도된 도수 사이의 차이 및 정점 근거리 및 원거리 파면 유도된 도수 사이의 차이의 1배수(single), 부분 배수(partial multiple) 또는 다배수(multiple)로부터 유도되는 교정치(correction)를 더한 합에 의해 설명되며; 이들 설계를 사용하여 제조된 렌즈는 근시의 진행을 조절하거나 지연시키는데 유용하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 안과용 렌즈 설계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은 파면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파면 데이터를 방사상 도수 맵으로 변환시키는 단계, 및 렌즈 도수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서, 총 모집단 파면 데이터가 고려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서, 하위 모집단(sub-population) 파면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가 고려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서, 개인 대상자(individual subject)에 대한 데이터가 고려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서, 파면 데이터는 다수의 파면 파일의 평균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서, 렌즈 설계 도수 프로파일은 모든 자오선을 회전 대칭 형태로 평균함으로써 계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서, 렌즈 설계 도수 프로파일은 근거리 도수 프로파일의 역에 의해 계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서, 렌즈 설계 도수 프로파일은 근거리 도수 프로파일의 음의 수차를 상쇄시킴으로써 계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서, 렌즈 설계 도수 프로파일은 원거리 파면 도수 프로파일을 근거리 파면 도수 프로파일에 더함으로써 계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서, 렌즈 설계 도수 프로파일은 원거리 파면 도수 프로파일의 배수를 근거리 파면 도수 프로파일에 더함으로써 계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서, 렌즈 설계 도수 프로파일은 원거리 파면 도수 프로파일의 일부를 근거리 파면 도수 프로파일에 더함으로써 계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서, 근시 진행을 지연시키기 위해 렌즈를 설계하는 방법은 기계어 명령과 같은 명령으로 인코딩되고, 컴퓨터 내에 프로그램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서, 물품은 근시 진행을 지연시키기 위해 렌즈를 설계하기 위한 실행가능한 명령을 포함하고; 본 방법은 눈을 특징짓는 파면 데이터를 방사상 도수 맵으로 변환시키는 단계, 렌즈 도수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도수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에지 구역에 의해서도 둘러싸인 주연부 구역에 의해 둘러싸이는 중심 광학 구역을 구비한 볼록한 표면, 및 착용자의 눈에 놓이는 오목한 표면을 구비하는 렌즈를 위한 렌즈 설계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광학 구역의 임의의 위치에서의 렌즈 도수는 정점 원거리 평균된 파면 유도된 도수에, 각각의 위치에서의 원거리 및 근거리 평균 파면 유도된 도수 사이의 차이 및 정점 근거리 및 원거리 파면 유도된 도수 사이의 차이의 1배수, 부분 배수 또는 다배수로부터 유도되는 교정치를 더한 합에 의해 설명된다.
<도 1>
도 1은 둘 모두 동일한 눈에 대해, 좌측 패널에서는 파면 오차를, 그리고 우측 패널에서는 계산된 굴절력을 도시한다.
<도 2>
도 2는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에 관한 굴절력 데이터의 프로파일 도표를 도시한다. 좌측 패널은 모든 이용가능한 자오선을 도시하고, 우측 패널은 평균, 최대값 및 최소값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도 3>
도 3은 3m 거리에서의 조절 자극에 대한 개인 및 그룹 평균에 대한 평균 굴절력 프로파일의 그래프이다.
<도 4>
도 4는 0.33m 거리에서의 조절 자극에 대한 개인 및 그룹 평균에 대한 평균 굴절력 프로파일의 그래프이다.
<도 5>
도 5는 원거리 자극 수준 및 근거리 자극 수준 둘 모두에 대한 그룹 평균 굴절력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도 6>
도 6은 도수의 증가량이 근거리 파면 도수에 대한 그룹 평균 데이터의 자연적 음의 도수 편이(natural negative power shift)를 상쇄시키도록 설계되는 것을 도시한다.
<도 7>
도 7은 도수의 증가량이 근거리 파면 도수에 대한 그룹 평균 데이터에서 명백한 자연적 음의 도수 편이를 다시 원거리 파면 도수 프로파일로 편이시키도록 설계되는 것을 도시한다.
<도 8>
도 8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에 기초한 최종 렌즈 도수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도 9>
도 9는 도수의 증가량이 근거리 파면 도수에 대한 그룹 평균 데이터에서 명백한 자연적 음의 도수 편이를 다시 원거리 파면 도수 프로파일보다 크게 편이시키도록 설계되는 것을 도시한다.
<도 10>
도 10은 본 발명의 방법의 일 태양의 실시에서 정보의 흐름을 도시한다.
<도 11a 및 도 11b>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방법의 일 태양에 따라 설계된 렌즈의 도수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도 12a 내지 도 12c>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방법의 일 태양에 따라 설계된 렌즈의 도수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도 13a 내지 도 13c>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의 방법의 일 태양에 따라 설계된 렌즈의 도수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도 14a 및 도 14b>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방법의 일 태양에 따라 설계된 렌즈의 도수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근시의 진행을 치료하고 지연시키며 때때로 중지시키는데 유용한 콘택트 렌즈를 설계하고 생산하도록 파면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원거리 자극 수준 및 근거리 자극 수준 둘 모두에 대한 눈 파면 데이터는 COAS(미국 뉴멕시코주 앨버커키 소재의 웨이브프론트 사이언시즈 인크(Wavefront Sciences Inc))와 같은 파면 센서를 사용하여 환자로부터 수집된다. 이러한 파면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제르니케(Zernike) 다항식 계수의 형태이지만, 또한 특정 직교 또는 극 좌표에서의 한 세트의 파면 높이일 수 있다. 제르니케 계수를 명명하기 위한 바람직한 시스템이 ANSI Z80.28에서 OSA 방법으로서 설명되었다.
맞춤형 렌즈에 기초한 개인을 위한 렌즈 또는 모집단 또는 하위 모집단에 대해 평균된 렌즈를 설계하기 위한 방법. 이러한 방법은 모든 광학 구역 자오선이 동일한 회전 대칭 설계, 또는 각각의 자오선이 고유하고 파면 분석의 결과인 비-회전 대칭 설계를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 형태에서, 조절 또는 휘도로 인한 동공의 크기의 알려진 변화가 고려된다.
안과용 렌즈 설계를 생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법은 부분적으로 눈 파면 데이터에 기초하고,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1. 원거리 자극 수준 및 근거리 자극 수준에 대한 눈 파면 데이터가 파면 센서를 사용하여 환자로부터 수집된다.
2. 각각의 파면은, 예컨대 동공 중심을 통해 시축을 따라, 전후방 축으로서 규정되는 Z축의 방향으로 방사상 경사를 추정함으로써 굴절력 맵으로 변환된다.
3. 축방향 초점 거리(즉, 방사상 '법선(normal)'과 z축의 교점)를 계산하고 이 초점 거리를 광학 도수 값으로 변환한다(도 1).
본 방법의 다른 실시 형태에서, 굴절력 맵은 하기와 같이 제르니케 굴절력 다항식
Figure pat00001
를 사용하여 한 세트의 추정된 파면 제르니케 계수로부터 계산되며(첨부된 2007년도 이스칸더(Iskander) 등을 참조),
Figure pat00002
(1)
여기에서 C j 는 파면 제르니케 다항식 계수이고, r max 는 동공 반경에 대응하며,
Figure pat00003
(2)
이때
Figure pat00004
(3)
Figure pat00005
이다.
눈 동공 크기도 또한 파면 측정으로부터 직접적으로, 또는 독립적 동공 측정에 의해 (예컨대, 동공계를 사용하여) 추정된다. 동공이 파면에 독립적으로 측정되면, 그것은 유사한 조명 조건 하에서 그리고 환자가 파면이 측정되었을 때 사용된 것과 동일한 조절 자극 수준(예를 들어 0 D 및 3 D 조절 자극 수준)을 생성하는 원거리 표적 및 근거리 표적에 초점을 맞춘 상태에서 측정되어야 한다. 충분한 직경의 파면 맵을 얻기 위해, 중간 내지 낮은 휘도 조건에서 파면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거리 및 근거리 파면은 동일한 휘도 조건, 예를 들어 제곱 미터당 50 칸델라 이하에서 측정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안과용 렌즈는 하기의 부분 및 특성을 갖는다:
a) 에지 구역에 의해서도 둘러싸인 주연부 구역에 의해 둘러싸이는 중심 광학 구역을 구비한 볼록한 표면, 및 환자의 눈에 놓이는 오목한 표면과;
b) 광학 구역의 임의의 위치에서의 렌즈 도수는 정점 원거리 평균된 파면 유도된 도수에, 각각의 위치(x)에서의 원거리 및 근거리 평균 파면 유도된 도수 사이의 차이 및 정점 근거리 및 원거리 파면 유도된 도수 사이의 차이의 1배수, 부분 배수 또는 다배수로부터 유도되는 교정치를 더한 합에 의해 설명되고, 광학 렌즈 도수는 근시의 진행을 조절하거나 지연시키는데 유용하다.
데이터 파일은, 파면 역학관계(wavefront dynamics)의 경향을 확인하고 이상치(outlier) 또는 무효 데이터를 제거하기 위해 (예컨대, 파면 파일 관리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파면 제르니케 계수, 동공 크기 및 굴절력 맵이 분석되는 스크리닝 공정(screening process)을 통해 처리된다.
다수의 파면 데이터 세트가 수집되었으면(바람직한 바와 같이), 굴절력 맵은 무작위 오차 및 조절의 미세변동과 같은 요인과 관련된 변동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평균될 수 있다.
공정의 다음 단계는 평균 굴절력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것이다. 이는 굴절력 데이터의 모든 고려된 준-자오선(semi-meridian)을 평균함으로써 계산된다(즉, 방위각/자오선 각 좌표를 무시하고서, 방사상 극 좌표에 관하여 평균을 계산함). 이러한 프로파일은 개인 또는 그룹 평균 데이터에 대해 생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바와 같이 방위각 주파수(azimuthal frequency)가 4차를 초과하여서는 중요할 것 같지 않다고 가정하면, 최소한 8개의 자오선이 있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32개 이상의 자오선이 있어야 한다.
방사상 좌표(중심으로부터의 거리)에 관한 굴절력 데이터의 프로파일 도표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모든 측정된 준-자오선으로부터의 데이터가 좌측에 도시되어 있다. 이는 비-회전 대칭 설계에 사용될 수 있다. 평균, 최대값 및 최소값 굴절력 프로파일이 우측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평균은 산술 평균, 중앙값 또는 기하 평균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임의의 종래의 산술 평균 산출 방식으로 계산될 수 있다. 이는 개인 맞춤형 또는 모집단 기반 회전 대칭 설계에 사용될 수 있다.
도 3에는, 6m 거리에서의 조절 자극에 대한 개인 및 그룹 평균에 대한 우측 눈 평균 굴절력 프로파일이 도시되어 있다(즉, 조절 자극이 0.17 D임). 이는 대략 원거리(먼 거리) 시력이다.
도 4에는, 0.33m 거리에서의 조절 자극에 대한 개인 및 그룹 평균에 대한 좌측 눈 평균 굴절력 프로파일이 도시되어 있다(즉, 조절 자극이 3.00 D임). 이는 근거리 시력을 나타낸다.
원거리 및 근거리 자극 수준 둘 모두에 대한 그룹 평균 굴절력 프로파일이 도 5에 함께 도시되어 있다. 이어서, 이들 데이터는 근시 조절을 위한 렌즈의 요구되는 굴절력 프로파일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도수 프로파일에 의한 안과용 렌즈 설계 방법:
상이한 데이터 소스가 근시 조절을 위한 콘택트 렌즈 설계를 유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에는 하기의 것이 포함된다:
개인 대상자 데이터에 기반한 맞춤형 설계, 또는 특정 하위 모집단(예컨대, 연령이 10 내지 16세인 어린 아시아 어린이)의 데이터에 기반한 그룹 설계, 또는 모든 이용가능한 데이터(예컨대, 모든 근시 환자)에 기반한 일반 모집단 설계.
더욱이, 회전 대칭 설계 또는 비-회전 대칭 설계 둘 모두가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하여 획득가능하다. 모든 고려된 준-자오선을 가로질러 데이터가 평균될 때(도 5 참조), 그것은 회전 대칭 설계를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데이터가 그의 준-자오선 형태로 유지되면(도 2의 좌측 패널), 그것은 비-회전 대칭 설계를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비-회전 대칭 교정 형태는 토릭(toric), 구면-실린더형, 고위 수차 교정을 갖는 구면-실린더형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토릭은 정 난시 및 부정 난시 둘 모두의 교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된 설계의 추가의 개선은 대상자(또는 대상자의 모집단)의 동공 크기에 기초할 수 있다. 근거리 조절 수준에 대한 자연적 동공 크기는 전형적으로 원거리/먼 거리 조절 수준에 대한 자연적 동공 크기보다 작다. 따라서, 중심시(foveal vision)(축상)에 기반한 광학 설계의 경우, 근거리 파면에 기초하여 눈 발달을 조절하기 위해 요구되는 광학 도수의 변화는 근거리 파면이 측정된 때 존재하는 보다 작은 동공에 대응하는 광학 구역 직경으로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내부 중심 영역의 외부에서, 광학 설계는 원거리 시력에 관련되는 것으로 복귀될 수 있다.
다음은 모든 고려된 준-자오선으로부터의 평균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얻은 예시적인 설계 방법이다. 이들 접근법은 회전 대칭 설계를 생성할 것이다(이들이 렌즈 회전을 최소화시키도록 안정화되어야 하는 요건은 없음).
방법 1:
제1 방법에서, 자오선 평균된 근거리 파면 굴절력이 설계를 위한 시작점으로서 사용된다. 설계는 렌즈의 중심으로부터의 현(chord) 직경의 증가에 따른 렌즈의 굴절력의 증가(더욱 큰 양의 도수)를 필요로 한다. 도수의 증가량은 근거리 파면 도수에 대한 그룹 평균 데이터에서 명백한 자연적 음의 도수 편이를 상쇄시키도록 설계된다(도 6). 흑색 화살표는 요구되는 양의 도수 변화를 나타낸다. 따라서, 근거리 파면은 0 도수 변화로 교정된다.
방법 2:
제2 방법에서, 자오선 평균된 근거리 파면 굴절력이 설계를 위한 시작점으로서 다시 사용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 목표 도수 변화는 자오선 평균된 원거리 파면 굴절력이다. 설계는 렌즈의 중심으로부터의 현 직경의 증가에 따른 렌즈의 굴절력의 증가(더욱 큰 양의 도수)를 필요로 한다. 도수의 증가량은 근거리 파면 도수에 대한 그룹 평균 데이터에서 명백한 자연적 음의 도수 편이를 다시 원거리 파면 도수 프로파일로 편이시키도록 설계된다(도 7). 흑색 화살표는 요구되는 양의 도수 변화를 나타낸다. 환자가 -3.00 D 원거리 교정을 필요로 하였다면, 이 경우의 렌즈 도수 프로파일은 중심에서 -3.00 D일 것이고, 0.6 ㎜의 광선 높이(ray height)에서 도수의 요구되는 증가는 약 0.25 D일 것이며(순 도수 -2.75), 1 ㎜ 광선 높이에서 도수의 요구되는 증가는 약 0.5 D일 것이다(순 도수 -2.50 D). 도 7은 파면 유도된 도수 프로파일을 나타내고, 도 8은 전술된 원리에 기초하여 중심 오차 및 주연부로 가는 프로파일 둘 모두를 교정하기 위한 렌즈 설계 도수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는 1.6 ㎜의 광선 높이(3.2 ㎜의 직경)까지 적용되는 실제 설계를 보이지만, 파면이 보다 큰 직경으로 측정되면, 설계는 더욱 확장 적용될 것으로 인식된다. 또한, 설계는 적합한 수학적 방법에 의해 4 ㎜ 광선 높이까지 외삽법으로 산정될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된다.
도 8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에 기초한 최종 렌즈 도수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방법 3: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서, 자오선 평균된 근거리 파면의 굴절력이 설계를 위한 시작점으로서 다시 사용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 목표 도수 변화는 자오선 평균된 원거리 파면 굴절력에 도달하기 위해 차이의 2배이다. 차이의 2배가 바람직하지만, 차이는 원거리 파면 굴절력의 4배까지의 범위일 수 있다. 설계는 렌즈의 중심으로부터의 현 직경의 증가에 따른 렌즈의 굴절력의 증가(더욱 큰 양의 도수)를 필요로 한다. 도수의 증가량은 근거리 파면 도수에 대한 그룹 평균 데이터에서 명백한 자연적 음의 도수 편이를 다시 원거리 파면 도수 프로파일보다 많이 편이시키도록 설계된다(도 9). 흑색 화살표는 요구되는 양의 도수 변화를 나타낸다. 또한, 1 미만의 배수, 예를 들어 차이의 0.5배가 유용한 것으로 인식된다. 이는 환자의 자연스러운 시야에 더욱 근사할 수 있지만, 여전히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한다.
Figure pat00006
방법 1 내지 방법 3에서, 설계 도수 프로파일은 다음과 같이 계산되었다:
렌즈 설계 도수 프로파일(PowProf)은 방정식에 의해 수학적으로 기술되었다:
여기에서, RPD(x)는 광선 높이 x에서 원거리에서 측정된 평균 파면 유도된 원거리 굴절력이고, RPN(x)는 광선 높이 x에서 근거리에서 측정된 평균 파면 유도된 근거리 굴절력이며, k(x)는 임의의 적합한 수학 함수, 예를 들어 상수 곱셈기(constant multiplier)이고, 이에 대한 바람직한 값은 1 내지 2이지만, 사용가능한 범위는 0.25 내지 4로 연장되거나, 역 스타일즈 크로포드 효과(inverse Stiles Crawford effect)와 마찬가지로 x에 따라 변한다. 선택된 경우에, 함수 RPD는 0의 경사를 갖는 평탄 라인(flat line)으로 대체될 수 있다. RPD(0)은 평균 파면 유도된 원거리 정점 굴절력이고, RPN(0)은 광선 높이 x에서 근거리에서 측정된 평균 파면 유도된 근거리 정점 굴절력이다.
방법 4 내지 방법 6에서, 모든 고려된 준-자오선으로부터의 데이터(준-자오선을 가로질러 평균되지 않음)가 사용된다. 이러한 접근법은 비-회전 대칭 설계를 생성한다. 이들 설계는 렌즈 회전을 최소화시키도록 안정화되어야 한다.
방법 4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형태에서, 준-자오선 근거리 파면의 굴절력이 설계를 위한 시작점으로서 사용된다. 설계는 렌즈의 중심으로부터의 현 직경의 증가에 따른 렌즈의 굴절력의 증가(더욱 큰 양의 도수)를 필요로 한다. 도수의 증가량은 근거리 파면 도수에 대한 데이터에서 명백한 자연적 음의 도수 편이를 상쇄시키도록 설계된다.
도수가 음인 모든 자오선 및 현 위치의 경우, 도수는 다시 0으로 변화될 것이다. 이러한 접근법은 방법 1과 유사하지만, 모든 자오선을 가로지른 모든 위치에 적용된다(단지 방법 1에서와 같은 평균 자오선 데이터가 아님).
방법 5 및 방법 6:
이들 방법은 또한 (각각) 방법 2 및 방법 3과 유사하다. 방법 5에서, 근거리 파면에 대한 도수가 음인 도수 프로파일의 각각의 위치는 원거리 파면의 대응하는 점과 정합하도록 편이된다. 대부분의 경우에, 원거리 파면은 각각의 위치에서 양의 도수 변화를 가질 것이지만, 몇몇 경우에는 도수 변화가 음일 수 있다.
방법 6에서, 근거리 파면에 대한 도수가 음인 도수 프로파일의 각각의 위치는 원거리 파면의 대응하는 점과 정합하는데 요구되는 도수의 2배만큼 편이된다. 원거리 파면 도수 변화 프로파일이 임의의 위치에서 음의 도수가 되면, 이 설계 접근법은 이러한 위치에서의 기본(default) 도수를 0과 동일하게 만들도록 변경될 수 있다.
방법 7:
근거리 자극에 대한 파면 직경은 대략 3.5 ㎜(광선 높이 1.75 ㎜)인 반면, 원거리 파면에 대해 직경은 대략 4 ㎜(광선 높이 2 ㎜)이다. 중심 3.5 ㎜(이 경우에) 내의 도수 프로파일은 전술된 방법 1 내지 방법 6에 기초하여 설계될 수 있다. 3.5 ㎜ 중심 영역의 에지로부터 광학 구역(예컨대, 7 ㎜)의 에지까지, 렌즈 도수 변화는 원거리 파면으로부터 유도된 도수 변화를 따르도록 설계될 수 있다(원거리 파면에서 1.75에서 2 ㎜까지의 흑색 화살표 참조). 원거리 파면이 7 ㎜ 광학 구역의 에지로 연장되지 않으면, 도수 진행은 원거리 도수 프로파일 변화의 외삽 또는 도수의 점근선일 수 있다.
이러한 설계 접근법은 눈 발달을 조절하기 위해 근거리 파면 교정과 관련된 임의의 시력 손실을 제한하도록 시도한다. 그것은 원거리에서의 관찰시 동공이 커질 때 "활성화"되는 렌즈의 광학 영역(광학 구역의 주연부 영역)에 대해 더욱 원거리 파면 쪽으로 맞추어진 교정을 제공함으로써 이를 수행한다.
원거리에 대한 시력을 최적화시키지 않지만 눈 발달 조절을 향상시키는 대안적인 접근법은 근거리 파면의 에지로부터 7 ㎜ 광학 구역의 에지로 근거리 파면 도수 프로파일 변화를 외삽법으로 산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정보의 흐름이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특정 난시 또는 토릭 설계를 생성하기 위한 이러한 방법의 적용이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1a에는, 원거리 파면 유도된 평균된 도수 값에서 근거리 파면 유도된 평균된 도수 값을 차감함으로써 유도된 도수 프로파일이 도시되어 있다. 도 11b에는, -6.00DS -2.00 DC × 135의 도수를 갖는 종래의 토릭 렌즈의 자오선이 도시되어 있다.
도 12는 -1.00 DS, -3.00 DS, 및 -6.00 DS의 정점 도수를 갖는 본 방법에 의해 생성된 특정 구면 렌즈 설계의 상세한 도수 프로파일 도표를 도시한다. 도시된 프로파일은 축상의 그리고 렌즈의 광학 구역의 주연부로 나아가는 도수이다.
도 13은 -9.00 DS의 정점 도수를 갖는 본 방법에 의해 생성된 특정 구면 렌즈 설계, 및 -1.00DS -1.00 DC × 45 및 -3.00 DS -1.00 DC × 0의 토릭 설계의 상세한 도수 프로파일 도표를 도시한다. 도시된 프로파일은 축상의 그리고 렌즈의 광학 구역의 주연부로 나아가는 도수이다.
도 14는 -6.00DS -2.00 DC × 135 및 -9.00 DS -1.00 DC × 90의 정점 도수를 갖는 본 방법에 의해 생성된 특정 난시 또는 토릭 렌즈 설계의 상세한 도수 프로파일 도표를 도시한다. 도시된 프로파일은 축상의 그리고 렌즈의 광학 구역의 주연부로 나아가는 도수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데이터 저장 장치이며, 이 데이터는 그 후에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판독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예는 읽기 전용 메모리, 랜덤 액세스 메모리, CD-ROM, DVD, 자기 테이프, 광학 데이터 저장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코드가 분배 방식으로 저장되고 실행되도록 네트워크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을 통해 분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또는 서브세트를 포함한 컴퓨터 프로그래밍 또는 엔지니어링 기술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코드 수단을 구비한 임의의 이러한 생성된 프로그램이 하나 이상의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내에 구현되거나 제공될 수 있어서, 본 발명에 따라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즉 제조 물품을 제조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예를 들어 고정된 (하드) 드라이브, 디스켓, 광 디스크, 자기 테이프, 읽기 전용 메모리(ROM) 등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 또는 인터넷이나 다른 통신 네트워크 또는 링크와 같은 임의의 송신/수신 매체일 수 있다. 컴퓨터 코드를 포함한 제조 물품은 하나의 매체로부터 직접 코드를 실행함으로써, 하나의 매체로부터 다른 하나의 매체로 코드를 복사함으로써, 또는 코드를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함으로써 제조 및/또는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또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구현하는 하나 이상의 처리 시스템 - 하나 이상의 처리 시스템은 중앙 처리 장치(CPU), 메모리, 저장 장치, 통신 링크 및 장치, 서버, I/O 장치, 또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이나 서브세트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처리 시스템의 임의의 하위구성요소 - 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 입력은 사람이 응용 프로그램과 같은 다른 프로그램을 통하는 것을 포함하여 데이터를 컴퓨터에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키보드, 마우스, 펜, 음성, 터치 스크린, 또는 임의의 다른 수단으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컴퓨터 과학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시스템 또는 컴퓨터 하위시스템을 생성하기 위해, 전술된 바와 같이 생성된 소프트웨어를 적합한 범용 또는 전용 컴퓨터 하드웨어와 쉽게 조합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컴퓨터 명령으로 구현된 방법은 전술된 설계를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 전술된 하나의 방법에 따라 생성된 설계는 렌즈를 생산하는 데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렌즈는 콘택트 렌즈이다. 소프트 콘택트 렌즈의 형성을 위한 예시적인 재료는 실리콘 탄성중합체,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 미국 특허 제5,371,147호, 제5,314,960호 및 제5,057,578호에 개시된 것을 제한 없이 포함하는 실리콘 함유 거대단량체, 하이드로젤, 실리콘 함유 하이드로젤 등 및 이들의 조합을 제한 없이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표면은 실록산이거나, 또는 폴리다이메틸 실록산 거대단량체, 메타크릴옥시프로필 실록산, 및 이들의 혼합물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하는 실록산 작용기, 실리콘 하이드로젤 또는 하이드로젤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재료에는 아쿠아필콘(acquafilcon), 에타필콘(etafilcon), 젠필콘(genfilcon), 레네필콘(lenefilcon), 세네필콘(senefilcon), 발라필콘(balafilcon), 로트라필콘(lotrafilcon), 또는 갈리필콘(galyfilcon)이 제한 없이 포함된다.
렌즈 재료의 경화는 임의의 편리한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료는 금형 내에 침착되고, 열 경화, 조사 경화, 화학적 경화, 전자기선 경화 등과 이들의 조합에 의해 경화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성형은 자외광을 사용하여 또는 가시광의 전체 스펙트럼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렌즈 재료를 경화시키기에 적합한 엄밀 조건은 선택된 재료 및 형성되는 렌즈에 좌우될 것이다. 적합한 공정이 본 명세서에 전체적으로 참고로 포함되는 미국 특허 제4,495,313호, 제4,680,336호, 제4,889,664호, 제5,039,459호, 및 제5,540,410호에 개시된다.
본 발명의 콘택트 렌즈는 임의의 편리한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그러한 방법은 선반을 사용하여 금형 삽입물을 제조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금형 삽입물은 금형을 형성하는 데 사용된다. 이후, 적합한 렌즈 재료가 금형들 사이에 위치되고, 수지의 압축 및 경화가 이어져서 본 발명의 렌즈를 형성한다.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다른 많은 공지된 방법이 본 발명의 렌즈를 제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Claims (14)

  1. 콘텍트 렌즈의 설계 방법에 있어서,
    a)원거리 표적과 근거리 표적에 환자의 눈의 초점이 맞은 상태에서 측정된 원거리 및 근거리의 파면 오차 및 동공 직경을 취득하는 단계와,
    b)상기 파면 오차를 방사상의 굴절력 맵으로 변환하는 단계와,
    c)상기 파면 오차 및 동공 직경에 기초하는 근거리 시력 및 원거리 시력의 교정을 포함하는 렌즈 설계 굴절력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는 에지 구역에 의해서도 둘러싸인 주연부 영역에 의해 둘러싸인 중심 광학 영역을 갖는 볼록면, 및 착용자의 눈 위에 놓이는 오목면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 영역 내의 임의의 위치의 광학 렌즈 굴절력은, 정점 거리에서 평균화된 파면으로부터 도출되는 굴절력에, 각 위치(x)에서의 원거리 평균 파면으로부터 도출된 굴절력과 근거리 평균 파면으로부터 도출된 굴절력의 차이의 1배수, 차이의 부분 배수 또는 다배수로부터 도출되는 교정, 및 정점의 근거리 파면으로부터 도출된 굴절력과 정점의 원거리 파면으로부터 도출된 굴절력의 차이를 더한 합계로서 수학적으로 기술되고, 상기 광학 렌즈 굴절력은 근시의 진행을 조절하거나 지연시키는데 유용하고,
    상기 콘택트 렌즈 설계 방법은 또한,
    상기 근거리 시력의 교정을 근거리 파면이 측정될 때에 존재하는 상기 동공 직경에 대응한 광학 영역의 직경에 제한하는 단계와, 상기 렌즈 설계 굴절력 프로파일은 상기 방사상의 굴절력 맵에서의 모든 자오선을 회전 대칭한 형태로 평균화함으로써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집단 전체의 파면 오차를 취득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서브 집단의 파면 오차를 취득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개인 환자의 파면 오차를 취득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면 오차가 복수의 파면 파일의 평균인,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설계 굴절력 프로파일은 근거리 굴절력 프로파일의 역에 의해 계산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설계 굴절력 프로파일은 근거리 굴절력 프로파일의 음의 수차를 상쇄함으로써 계산되는,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설계 굴절력 프로파일은 원거리 파면 굴절력 프로파일을 근거리 파면 굴절력 프로파일에 더함으로써 계산되는,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설계 굴절력 프로파일은 원거리 파면 굴절력 프로파일의 배수를 근거리 파면 굴절력 프로파일에 더함으로써 계산되는, 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설계 굴절력 프로파일은 원거리 파면 굴절력 프로파일의 일부를 근거리 파면 굴절력 프로파일에 가함으로써 계산되는, 방법.
  11. 눈의 특징을 의미하는 파면 오차를 방사상의 굴절력 맵으로 변환하는 단계와, 주어진 파면 오차 및 동공 직경에 기초하는 근거리 시력 및 원거리 시력의 교정을 포함하는 렌즈 굴절력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이 저장된 컴퓨터 사용 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물품에 있어서,
    상기 물품으로부터 명령을 받은 컴퓨터가, 당해 명령에 기초하여, 에지 구역에 의해서도 둘러싸이는 주연부 영역에 의해 둘러싸인 중심 광학 영역을 갖는 볼록면, 및 착용자의 눈 위에 놓이는 오목면을 갖는 렌즈를 설계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설계에서, 상기 광학 영역 내의 임의의 위치의 광학 렌즈 굴절력은, 정점 거리에서 평균화된 파면으로부터 도출되는 굴절력에, 각 위치(x)에서의 원거리 평균 파면으로부터 도출된 굴절력과 근거리 평균 파면으로부터 도출된 굴절력의 차이의 1배수, 차이의 부분 배수 또는 다배수로부터 도출되는 교정, 및 정점의 근거리 파면으로부터 도출된 굴절력과 정점의 원거리 평균 파면으로부터 도출된 굴절력의 차이를 더한 합계로서 수학적으로 기술되고, 상기 광학 렌즈 굴절력은 근시의 진행을 조절하거나 지연시키는데 유용하고,
    상기 근거리 시력의 교정은 근거리 파면이 측정될 때에 존재하는 상기 동공 직경에 대응한 광학 영역의 직경에 제한되어 있고,
    상기 렌즈 설계 굴절력 프로파일은 상기 방사상의 굴절력 맵에서의 모든 자오선을 회전 대칭한 형태로 평균화함으로써 계산되고 있는, 물품.
  12. 제1항에 있어서, 렌즈 굴절력이,
    Figure pat00007

    에 의해 결정되는 방법.
  13. 근시의 진행을 지연시키기 위한 렌즈를 설계하는 방법에 있어서,
    중심 광학 영역, 상기 광학 영역을 둘러싸는 주연부 영역, 및 상기 주연부 영역을 둘러싸는 에지 구역을 갖는 렌즈를 설계하는 단계로서, 상기 중심 광학 영역의 굴절력은, 원거리 시력을 교정하기 위해서 필요로 하는 굴절력으로부터, 원거리 시력을 교정하기 위해서 필요로 하는 굴절력보다도 적어도 0.5 디옵터만큼 양의 굴절력으로 점차 증가하는 굴절력 프로파일을 포함하고, 상기 중심 광학 영역은 굴절력 프로파일에 있어서 최대값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주연부 영역의 굴절력은 원거리 시력을 교정하기 위해서 필요로 하는 굴절력을 갖고 있는, 상기 렌즈를 설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를 설계하는 단계는 또한,
    상기 원거리 시력의 교정을 근거리 파면이 측정될 때에 주어지는 동공 직경에 대응하는 광학 영역의 직경을 제외한 광학 영역에 적용하는 단계와,
    상기 굴절력 프로파일은 주어진 파면 오차로부터 변환된 방사상의 굴절력 맵에서의 모든 자오선을 회전 대칭한 형태로 평균화함으로써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근시의 진행을 지연시키기 위한 렌즈를 설계하는 방법에 있어서,
    중심 광학 영역, 상기 광학 영역을 둘러싸는 주연부 영역, 및 상기 주연부 영역을 둘러싸는 에지 구역을 갖는 렌즈를 설계하는 단계로서, 상기 중심 광학 영역의 굴절력이, 원거리 시력을 교정하기 위해서 필요로 하는 굴절력으로부터, 원거리 시력을 교정하기 위해서 필요로 하는 굴절력보다도 적어도 0.5 디옵터만큼 양의 굴절력으로 점차 증가하는 굴절력 프로파일을 포함하고, 상기 중심 광학 영역은 굴절력 프로파일에 있어서 최대값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주연부 영역의 굴절력은 상기 중심 광학 영역의 굴절력 프로파일로부터 외삽된 굴절력 프로파일을 갖고 있는, 상기 렌즈를 설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를 설계하는 단계는 또한,
    상기 원거리 시력의 교정을 근거리 파면이 측정될 때에 주어지는 동공 직경에 대응하는 광학 영역의 직경을 제외한 광학 영역에 적용하는 단계와,
    상기 굴절력 프로파일을 주어진 파면 오차로부터 변환된 방사상의 굴절력 맵에서의 모든 자오선을 회전 대칭한 형태로 평균화함으로써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67028323A 2009-02-02 2010-02-02 근시 조절 안과용 렌즈의 설계 KR1017733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919309P 2009-02-02 2009-02-02
US61/149,193 2009-02-02
US12/697,931 2010-02-01
US12/697,931 US8960901B2 (en) 2009-02-02 2010-02-01 Myopia control ophthalmic lenses
PCT/US2010/022815 WO2010088644A1 (en) 2009-02-02 2010-02-02 Design of myopia control ophthalmic lense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7020002A Division KR20110126642A (ko) 2009-02-02 2010-02-02 근시 조절 안과용 렌즈의 설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2275A true KR20160122275A (ko) 2016-10-21
KR101773359B1 KR101773359B1 (ko) 2017-08-31

Family

ID=4208468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7020002A KR20110126642A (ko) 2009-02-02 2010-02-02 근시 조절 안과용 렌즈의 설계
KR1020167028323A KR101773359B1 (ko) 2009-02-02 2010-02-02 근시 조절 안과용 렌즈의 설계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7020002A KR20110126642A (ko) 2009-02-02 2010-02-02 근시 조절 안과용 렌즈의 설계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2) US8960901B2 (ko)
EP (2) EP3153912A1 (ko)
JP (1) JP6017137B2 (ko)
KR (2) KR20110126642A (ko)
CN (1) CN102301271B (ko)
AU (1) AU2010207951B2 (ko)
BR (1) BRPI1007901B1 (ko)
CA (1) CA2751216C (ko)
DK (1) DK2391919T3 (ko)
ES (1) ES2618228T3 (ko)
HK (1) HK1164460A1 (ko)
PL (1) PL2391919T3 (ko)
RU (2) RU2528592C2 (ko)
SG (3) SG10201702169YA (ko)
WO (1) WO20100886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98994B1 (en) 2008-12-22 2019-05-29 Medical College of Wisconsin, Inc. Apparatus for limiting growth of eye length
US8960901B2 (en) 2009-02-02 2015-02-24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Myopia control ophthalmic lenses
WO2012012826A1 (en) 2010-07-26 2012-02-02 Vision Crc Limited Treating ocular refractive error
JP2012103669A (ja) * 2010-10-12 2012-05-31 Seiko Epson Corp 眼鏡用レンズ、眼鏡、及び眼鏡用レンズの製造方法
TWI588560B (zh) 2012-04-05 2017-06-21 布萊恩荷登視覺協會 用於屈光不正之鏡片、裝置、方法及系統
US9827250B2 (en) 2012-07-31 2017-11-28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Lens incorporating myopia control optics and muscarinic agents
US9201250B2 (en) 2012-10-17 2015-12-01 Brien Holden Vision Institute Lenses, devices, methods and systems for refractive error
US9541773B2 (en) 2012-10-17 2017-01-10 Brien Holden Vision Institute Lenses, devices, methods and systems for refractive error
US8998408B2 (en) * 2013-01-30 2015-04-07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Asymmetric lens design and method for preventing and/or slowing myopia progression
US9625739B2 (en) * 2014-08-20 2017-04-18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Pupil size-independent lens design and method for preventing and/or slowing myopia progression
US10061143B2 (en) * 2014-08-29 2018-08-28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Multifocal lens design for preventing and/or slowing myopia progression
BR112017004765B1 (pt) 2014-09-09 2022-08-23 Staar Surgical Company Lente configurada para implantação em um olho de um humano
US10371964B2 (en) 2015-09-15 2019-08-06 Largan Medical Co., Ltd. Contact lens product
CN106526888B (zh) 2015-09-15 2019-08-06 星欧光学股份有限公司 隐形眼镜产品
US10845622B2 (en) 2015-09-15 2020-11-24 Largan Medical Co., Ltd. Multifocal contact lens and contact lens product
BR112018068184B1 (pt) 2016-03-09 2023-02-14 Staar Surgical Company Lente configurada para implantação em um olho de um ser humano
CN115185103A (zh) 2016-08-01 2022-10-14 华盛顿大学 用于治疗近视的眼科镜片
CN106526857B (zh) * 2016-12-09 2019-03-22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调焦方法和装置
JP7222981B2 (ja) 2017-05-08 2023-02-15 サイトグラス・ヴィジョ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近視を軽減するためのコンタクト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0884264B2 (en) 2018-01-30 2021-01-05 Sightglass Vision, Inc. Ophthalmic lenses with light scattering for treating myopia
US11947197B2 (en) 2018-03-29 2024-04-02 Reopia Optics, Inc. Spectacles for presbyopia treatment and myopia progression control and associated methods
US11681161B2 (en) 2018-03-29 2023-06-20 Reopia Optics, Inc. Anti-myopia-progression spectacles and associated methods
US10921612B2 (en) 2018-03-29 2021-02-16 Reopia Optics, Llc. Spectacles and associated methods for presbyopia treatment and myopia progression control
US10774164B2 (en) 2018-08-17 2020-09-15 Staar Surgical Company Polymeric composition exhibiting nanogradient of refractive index
TWI794831B (zh) * 2020-06-10 2023-03-01 董曉青 周邊象限隱形眼鏡之結構及其方法
EP4105713A1 (en) * 2021-06-17 2022-12-21 Essilor International Eyewear for a subject having an eye provided with a myopia control solution and associate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5313A (en) * 1981-04-30 1985-01-22 Mia Lens Production A/S Preparation of hydrogel for soft contact lens with water displaceable boric acid ester
US4680336A (en) * 1984-11-21 1987-07-14 Vistakon, Inc. Method of forming shaped hydrogel articles
EP0344913B1 (en) 1988-05-31 1997-09-2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Alginate wound dressing of good integrity
US4889664A (en) * 1988-11-25 1989-12-26 Vistakon, Inc. Method of forming shaped hydrogel articles including contact lenses
US5039459A (en) * 1988-11-25 1991-08-13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Method of forming shaped hydrogel articles including contact lenses
US5057578A (en) * 1990-04-10 1991-10-1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ilicone-containing block copolymers and macromonomers
US5314960A (en) * 1990-04-10 1994-05-24 Permeable Technologies, Inc. Silicone-containing polymers, oxygen permeable hydrophilic contact lenses and methods for making these lenses and treating patients with visual impairment
US5371147A (en) * 1990-10-11 1994-12-06 Permeable Technologies, Inc. Silicone-containing acrylic star polymers, block copolymers and macromonomers
WO1992014691A1 (en) 1991-02-16 1992-09-03 Solvay Interox Limited Catalytic hydroxylation of phenol
JPH0539059A (ja) 1991-08-08 1993-02-19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センタメンバ
JP2549965B2 (ja) 1992-03-12 1996-10-30 清 小林 融雪屋根
US5362647A (en) 1993-02-12 1994-11-08 Allergan,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destroying hydrogen peroxide
US5546734A (en) 1993-09-02 1996-08-20 Riverhood International Corporation Packaging machine and method of packaging articles
US5540410A (en) * 1994-06-10 1996-07-30 Johnson & Johnson Vision Prod Mold halves and molding assembly for making contact lenses
JP3482728B2 (ja) 1995-03-08 2004-01-06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磁気シールド用粉末
IL117935A0 (en) 1995-05-04 1996-08-04 Johnson & Johnson Vision Prod Multifocal ophthalmic lens
US5929969A (en) * 1995-05-04 1999-07-27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Multifocal ophthalmic lens
US6045578A (en) * 1995-11-28 2000-04-04 Queensland University Of Technology Optical treatment method
FR2743154B1 (fr) * 1995-12-29 1998-03-06 Essilor Int Lentille oculaire artificielle multifocale a transparence variable avec l'eclairement
JP3683093B2 (ja) 1998-03-11 2005-08-17 株式会社メニコン 多焦点型コンタクトレンズ
US6260966B1 (en) * 1998-03-11 2001-07-17 Menicon Co. Ltd. Multifocal ocular lens
US6314960B1 (en) 1998-09-28 2001-11-13 Frank L. Vines Dental medication vacuum pump delivery tray
US6199984B1 (en) * 1999-03-17 2001-03-13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Progressive addition lenses with varying power profiles
US7803153B2 (en) 1999-12-29 2010-09-28 New England College Of Optometry Method for preventing myopia progression through identification and correction of optical aberrations
US6260717B1 (en) 2000-05-25 2001-07-17 Ralph L. Keller, Jr. Golf club support apparatus
US7178918B2 (en) * 2000-09-08 2007-02-20 Griffin Richard A Ophthalmic lenses with induced aperture and redundant power regions
US6474814B1 (en) * 2000-09-08 2002-11-05 Florida Optical Engineering, Inc Multifocal ophthalmic lens with induced aperture
US6554425B1 (en) 2000-10-17 2003-04-29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Ophthalmic lenses for high order aberration correction and processes for production of the lenses
JP3798613B2 (ja) * 2000-10-20 2006-07-19 Hoyaヘルスケア株式会社 マルチフォーカルレンズの設計方法
DE20122584U1 (de) * 2001-03-27 2006-07-27 Windmöller & Hölscher Kg Einheit zur Einstellung des Druckbildes in einer Rotationsdruckmaschine
WO2004099858A1 (en) 2002-08-30 2004-11-18 Polyvue Technologies, Inc. Hydrogel contact lens and method of producing for correction of higher order optical aberrations of the eye
US7370962B2 (en) * 2002-10-31 2008-05-13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Pupil regulated multifocal contact lenses
SE0203564D0 (sv) * 2002-11-29 2002-11-29 Pharmacia Groningen Bv Multifocal opthalmic lens
US7320517B2 (en) * 2002-12-06 2008-01-22 Visx, Incorporated Compound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for laser surgery and other optical applications
US7293873B2 (en) 2002-12-06 2007-11-13 Visx, Incorporated Presbyopia correction using patient data
US7434936B2 (en) * 2002-12-06 2008-10-14 Amo Manufacturing Usa, Llc Residual accommodation threshold for correction of presbyopia and other presbyopia correction using patient data
US7036931B2 (en) * 2003-01-29 2006-05-02 Novartis Ag Ophthalmic lenses
DK1691741T3 (da) * 2003-11-19 2010-04-26 Vision Crc Ltd Metoder og apparater til ændring af relativ krumning af felt og positioner af perifere brændpunkter uden for aksen
US7503655B2 (en) * 2003-11-19 2009-03-17 Vision Crc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ltering relative curvature of field and positions of peripheral, off-axis focal positions
US7300152B2 (en) * 2004-06-14 2007-11-27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Contact lenses and methods for their design
US7341345B2 (en) 2004-07-19 2008-03-11 Massachusetts Eye & Ear Infirmary Ocular wavefront-correction profiling
JP4492858B2 (ja) * 2004-07-20 2010-06-30 株式会社ニデック 眼科装置及び眼内屈折力分布算出プログラム
TWI410696B (zh) 2005-02-15 2013-10-01 Univ Queensland 控制近視的方法與裝置
US7798640B2 (en) 2005-10-28 2010-09-21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Ophthalmic lenses useful for the correction of presbyopia which incorporate high order aberration correction
JP4363573B2 (ja) 2005-12-12 2009-11-11 Hoyaヘルスケア株式会社 マルチフォーカルレンズ
NZ573194A (en) * 2006-06-08 2011-12-22 Vision Crc Ltd A non-multifocal contact lens comprising a central optical zone and a peripheral optical zone
WO2008021120A2 (en) * 2006-08-07 2008-02-21 James Thor Williams Controlling parking lot lighting
JP4976794B2 (ja) * 2006-09-19 2012-07-18 株式会社東芝 駅務システム及びセキュリティ通信方法
US20080084534A1 (en) * 2006-10-10 2008-04-10 Joseph Michael Lindacher Lens having an optically controlled peripheral portion and a method for designing and manufacturing the lens
EP2095175A1 (en) 2006-12-19 2009-09-02 Novartis AG Premium vision ophthalmic lenses
TWI370278B (en) 2006-12-20 2012-08-11 Essilor Int Pixellized transparent optical component comprising an absorbent coating, production method thereof and use thereof in an optical element
WO2008078804A1 (ja) * 2006-12-27 2008-07-03 Hoya Corporation 多焦点眼用レンズ
US7832859B2 (en) * 2007-03-09 2010-11-16 Auckland Uniservices Limited Contact lens and method
WO2009101202A1 (en) * 2008-02-15 2009-08-20 Amo Regional Holdings System, ophthalmic lens, and method for extending depth of focus
US8992013B2 (en) * 2008-04-30 2015-03-31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Method of designing progressive addition lenses
WO2010019397A2 (en) * 2008-08-11 2010-02-18 Novartis Ag A lens design and method for preventing or slowing the progression of myopia
US8960901B2 (en) 2009-02-02 2015-02-24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Myopia control ophthalmic len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618228T3 (es) 2017-06-21
US8960901B2 (en) 2015-02-24
KR20110126642A (ko) 2011-11-23
EP3153912A1 (en) 2017-04-12
AU2010207951A1 (en) 2011-08-18
BRPI1007901B1 (pt) 2019-11-26
KR101773359B1 (ko) 2017-08-31
US20100195044A1 (en) 2010-08-05
WO2010088644A1 (en) 2010-08-05
JP6017137B2 (ja) 2016-10-26
PL2391919T3 (pl) 2017-06-30
JP2012517029A (ja) 2012-07-26
CA2751216C (en) 2017-08-01
CA2751216A1 (en) 2010-08-05
SG2014007025A (en) 2014-03-28
DK2391919T3 (en) 2017-03-13
CN102301271A (zh) 2011-12-28
SG173191A1 (en) 2011-09-29
CN102301271B (zh) 2014-01-29
HK1164460A1 (en) 2012-09-21
EP2391919A1 (en) 2011-12-07
RU2528592C2 (ru) 2014-09-20
BRPI1007901A2 (pt) 2016-02-16
EP2391919B1 (en) 2016-12-21
RU2014124374A (ru) 2015-12-27
US9547182B2 (en) 2017-01-17
RU2011136475A (ru) 2013-03-10
AU2010207951B2 (en) 2014-09-18
SG10201702169YA (en) 2017-04-27
US20150124213A1 (en) 2015-05-07
RU2580210C2 (ru) 2016-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3359B1 (ko) 근시 조절 안과용 렌즈의 설계
KR101772854B1 (ko) 근시 조절 안과용 렌즈의 디자인
JP6346088B2 (ja) 近視の進行を治療するための眼科用レンズ
JP6294994B2 (ja) コンタクトレンズ
TWI635846B (zh) 使用光學波前來決定眼睛上的鏡片對位
CA3046726C (en) Calculation of actual astigmatism correction and nomographs for corneal laser treatment
TW201832744A (zh) 用於角膜雷射治療之球面像差參數之優化
TWI519843B (zh) 用以減緩近視發展之眼用鏡片與方法,及設計其隱形眼鏡之方法,以及用來執行其方法的物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