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0652A - 구강센서 포장재 - Google Patents

구강센서 포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0652A
KR20160120652A KR1020160014984A KR20160014984A KR20160120652A KR 20160120652 A KR20160120652 A KR 20160120652A KR 1020160014984 A KR1020160014984 A KR 1020160014984A KR 20160014984 A KR20160014984 A KR 20160014984A KR 20160120652 A KR20160120652 A KR 20160120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sensor
cable
oral
packag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4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도
김영균
김태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이언스
(주)바텍이우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이언스, (주)바텍이우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이언스
Publication of KR20160120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06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61B6/14
    • A61B6/14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02Wrappers or flexible covers
    • B65D65/22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75/305Skin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27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 B65D75/5833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for tearing out a portion of the wall
    • B65D75/5844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for tearing out a portion of the wall the portion of the wall being a narrow strip, e.g. between lines of wea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delicate optical, measuring, calculating or control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 B65D2313/08Double sided adhesive tape, e.g. for suspension of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촬영 전 구강센서를 덮어 포장하고, 촬영 후 절개하여 구강센서로부터 벗겨낼 수 있는 구강센서 포장재에 관한 것으로, 구강센서 및 상기 구강센서에 연결된 케이블의 일부를 포장하는 포장재에 있어서, 상기 구강센서와 상기 케이블 일부의 전후면에 각각 대응되는 제1 시트 및 상기 제1 시트와 일측이 연결된 제2 시트와; 상기 제1 시트와 상기 제2 시트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어 해당 시트를 찢을 수 있도록 하는 띠 형태의 절취띠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시트와 상기 제2 시트 사이에 구강센서를 정렬한 후 상기 제1 시트 및 상기 제2 시트를 포개어 상기 구강센서를 포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구강센서 포장재{PACKAGING MATERIAL FOR INTRA ORAL SENSOR}
본 발명은 구강 내 촬영을 위한 구강센서를 충격, 타액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포장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촬영 전 구강센서를 덮어 포장하고, 촬영 후 절개하여 구강센서로부터 벗겨낼 수 있는 구강센서 포장재에 관한 것이다.
치과 치료를 위하여 엑스선 등의 방사선 촬영을 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구강 내에 삽입되는 구강센서가 필요하다.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96820호에는 엑스선 촬영을 위한 장치들이 나타나 있으며, 엑스선 소스와 대향하는 구강 내의 촬영위치에 구강센서가 고정된다. 통상 이러한 구강센서들은 위생과 방수를 위해 포장재에 둘러 쌓인 채 사용되며, 포장재는 1회용으로 사용 후 제거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강 내 방사선 촬영을 위해서는 소정의 기구물이 사용될 수 있는데, 해당 기구물은 엑스선 조사위치를 가이드 하는 콘부(1), 콘부(1)와 대향하는 센서고정부(5), 콘부(1)와 센서고정부(5)를 연결하는 로드부(6)를 포함한다. 따라서 센서고정부(5)에 구강센서(2)를 고정한 후 환자가 로드부(6)의 일부에 마련된 바이트부(3)를 물어 구강센서(2)가 구강 내에 고정되면, 구강 외측의 콘부(1)를 통해 엑스선을 조사하여 콘부와 구강센서 사이의 구강 구조물을 엑스선 촬영한다.
구강센서는 반도체 소자 및 회로 등(이하, 전기소자라 함)을 포함하기 때문에 액체가 침투하는 경우 오작동을 일으키거나 합선될 수 있다. 또한, 구강센서는 1회용이 아니기 때문에 위생상 포장재(10)에 삽입한 채로 구강촬영을 수행하게 된다. 일반적인 포장재는 일단이 개방된 2중 랩 구조, 즉, 봉투형태로서 개방된 일단을 통해 구강센서(2) 및 케이블(4)이 삽입된다.
그러나, 이러한 봉투구조는 구강센서(2)를 회전시켜 포장재(10)의 개방된 일단이 케이블(4) 주위에 꽈배기 형태로 꼬이도록 함으로써 구강센서(2)를 고정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바, 구강센서(2) 및 케이블(4)을 포장하는 과정이 까다롭고, 구강센서(2)와 포장재(10)가 면밀하게 결합되지 않기 때문에 포장재(10)가 구강센서(2)에서 이탈될 수 있으며, 이물감이 크고, 포장재(10)와 구강센서(2) 사이 공간으로 타액 등이 흘러 들어가 구강센서(2)가 오염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구강센서(2)를 반복적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케이블(4)이 계속적으로 꼬이게 되어 케이블(4)에 손상을 야기하게 되고, 이에 따라 구강센서 제품의 수명이 단축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촬영 후 구강센서(2)로부터 포장재(10)를 벗겨낼 때 포장재(10)에 타액 등이 묻어 불쾌감이 생길 수 있고, 자칫 포장재(10)에 묻은 타액 등이 구강센서(2)로 옮겨져 오염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96820호 위생캡을 구비한 엑스-레이 구강 촬영용 정렬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촬영 전 포장재를 구성하는 2장의 시트 사이에 구강센서를 놓고 열접합 또는 접착 등으로 포장하고, 촬영 후 2장의 시트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된 절취띠를 이용하여 절개함으로써 구강센서를 쉽게 분리할 수 있는 구강센서 포장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2장의 시트 중 구강센서의 케이블이 수납되는 공간에 해당하는 부분의 내외부에 접착 수단을 마련하고, 이러한 접착 수단을 통하여 구강센서 및 케이블을 고정함으로써 케이블 꼬임에 따른 제품 수명 단축을 방지할 수 있는 구강센서 포장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강센서 및 상기 구강센서에 연결된 케이블의 일부를 포장하는 포장재에 있어서, 상기 구강센서와 상기 케이블 일부의 전후면에 각각 대응되는 제1 시트 및 상기 제1 시트와 일측이 연결된 제2 시트와; 상기 제1 시트와 상기 제2 시트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어 해당 시트를 찢을 수 있도록 하는 띠 형태의 절취띠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시트와 상기 제2 시트 사이에 구강센서를 정렬한 후 상기 제1 시트 및 상기 제2 시트를 포개어 상기 구강센서를 포장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시트와 상기 제2 시트는 상기 일측을 기준으로 대칭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시트와 상기 제2 시트 중 어느 하나의 가장자리를 따라 마련된 접착제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1 시트와 상기 제2 시트는 상기 구강센서를 사이에 두고 서로의 가장자리가 접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시트와 상기 제2 시트는 구강센서를 사이에 두고 서로의 가장자리가 열 접합될 수 있다.
또한, 구강센서 및 상기 구강센서에 연결된 케이블의 일부를 포장하는 포장재를 포장하는 포장재에 있어서, 상기 구강센서와 상기 케이블 일부의 전후면에 각각 대응되는 제1 시트 및 제2 시트와; 상기 제1 시트와 상기 제2 시트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어 해당 시트를 찢을 수 있도록 하는 띠 형태의 절취띠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트와 상기 제2 시트는 양 측단부 및 전단부가 서로 연결된 봉투형태를 구성하며, 상기 제2 시트의 후단부 내면에 형성된 제1 접착부; 및 상기 제1 시트의 후단부 외면에 형성된 제2 접착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봉투 형태는, 상기 구강센서 수용 구간 및 상기 케이블 일부 수용 구간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접착부 및 상기 제2 접착부는 상기 케이블 일부 수용 구간 중 상기 케이블이 배치되는 영역의 나머지 부분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구강센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접착부 및 상기 제2 접착부는 각각 양면테이프이고, 상기 양면테이프 상에 부착되는 이형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촬영 전 포장재로 구강센서를 열접합 또는 접착 등의 방법으로 포장함으로써 포장재가 구강센서에서 이탈하지 않고 촬영대상자에게 이물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촬영 후 절취띠를 잡아당김으로써 포장재를 찢어낼 수 있으므로 구강센서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포장재의 구강센서의 케이블이 수납되는 공간에 해당하는 부분의 내외부에 접착 수단을 마련하고, 이러한 접착 수단을 통하여 구강센서 및 케이블을 고정함으로써 케이블 꼬임에 따른 제품 수명 단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구강 내 엑스선 촬영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센서 포장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포장재에 구강센서를 정렬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센서 포장재로 구강센서를 포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과정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구강센서 포장재가 구강센서를 포장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센서 포장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포장재가 구강센서를 포장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강센서 포장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강센서 포장재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이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구비할 수 있는 것을 의미 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강센서 포장재는 서로 포개어질 수 있는 제1 시트(110) 및 제2 시트(120)를 구비하고, 이들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절취띠(130, tear strip)를 구비한다. 이 실시예에서 절취띠가 형성된 시트는 제1 시트이다.
제1 시트(110) 및 제2 시트(120)는 각각 구강센서의 전후면을 여유 있게 덮는 제1 부분(141)과 케이블의 전후면을 여유있게 덮는 제2 부분(142)을 가질 수 있으며, 제2 부분(142)의 폭은 제1 부분(141)의 폭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절취띠(130)는 제1 시트(110)에 접착된 이종재료의 띠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1시트(110)는 절취띠(130)의 접착지점을 따라 서로 분리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절취띠(130)는 제1 시트(110)의 제2 부분(142) 외부로 연장되어 사람이 잡고 뜯을 수 있는 파지부(131)를 갖는다.
제1 시트(110)와 제2 시트(120)는 별개의 시트일 수도 있으나, 이 실시예에서는 도 2와 같이 제1 및 제2 시트(110, 120)의 일측이 서로 결합되어 이를 기준으로 접어서 서로 포개어지는 전개도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결합선을 기준으로 제1 및 제2 시트(110, 120)는 서로 대칭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제1 시트(110)와 제2 시트(120)는 양 측단부 및 전단부가 서로 연결된 봉투 형태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제1 시트(110)와 제2 시트(120)가 봉투 형태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제1 부분(141)의 폭과 제2 부분(142)의 폭을 동일하게 하여 구강센서가 봉투 내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시트(110) 또는 제2 시트(120) 중 어느 하나에 구강센서(2)를 올려 놓은 후 나머지 하나의 시트를 상기 시트에 포개지도록 접어서, 구강센서(2)의 상하면을 비롯한 케이블(4)의 일부를 제1 시트(110) 및 제2 시트(120)가 덮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1 시트(110) 및 제2 시트(120) 중 어느 하나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접착제(150)가 발라져 있을 수 있고, 그 결과 제1 시트(110) 및 제2 시트(120)를 포개어지도록 접으면 구강센서 및 케이블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접착될 수 있다.
한편, 이와 달리 제1 시트(110)와 제2 시트(120)는 열접합 등의 방법으로 그 가장자리가 접합 될 수 있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강센서(2) 상하로 제1 시트(110) 및 제2 시트(120)를 포갠 후 소정의 안착부(161)에 거치한 다음 접합기(160, 170)를 이용하여 제1 시트(110) 및 제2 시트(120)의 가장자리를 상하면에서 가열 가압하여 열접합할 수 있다.
따라서, 포장재(100)가 구강센서(2)에 꼭 맞게 포장할 수 있어서, 구강센서(2)를 회전시키는 과정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제1 시트(110) 및 제2 시트(120)의 접합 후 구강센서(2)가 포장재(100) 외부로 이탈하기는 매우 어렵다. 한편, 제1 시트(110) 및 제2 시트(120)는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재로 이루어져 일정 온도 및 압력 이상인 경우 서로 접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4)은 최소한 구강 내로 삽입되는 부분이 포장재(100)로 둘러 쌓이게 되므로 구강센서(2)로 구강 내의 타액 등 이물질이 침투되지 못한다. 또한, 촬영자는 촬영이 완료된 후 절취띠(130)의 파지부(131)를 잡아 당겨 제1 시트(110)를 찢어낼 수 있으며, 찢어진 부분으로 구강센서(2)를 포장재(1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여 다음 촬영 시 재사용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로서, 절취띠(230)가 제1 시트(210) 및 제2 시트(220)에 걸쳐 사선으로 배치된다. 즉, 제1 시트(210)의 제2 부분에서 시작된 절취띠(230)는 제1 시트(210)의 제1 부분에서 제2 시트(220)의 제1 부분으로 넘어가 제2 시트(220)의 제1 부분 일측 끝까지 연결된다.
따라서 촬영 후 포장재(100)를 개방하는 경우 절취띠(230)의 파지부(231)를 잡고 나선형으로 돌려 제1 시트(110) 및 제2 시트(120) 모두를 찢어낼 수 있다. 따라서, 구강센서(2)를 포장재에서 분리하는 것이 더욱 용이해질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강센서 포장재(100)를 도시한 도면으로, 본 발명의 구강센서 포장재(100)는, 제1 시트(110), 제2 시트(120), 절취띠(130), 제1 접착부(310), 제2 접착부(320) 및 이형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시트(110)와 제2 시트(120)는 양 측단부 및 전단부가 서로 연결된 봉투형태를 구성하고, 제1 시트(110)가 구강센서(2)와 케이블(4) 일부의 전면에, 제2 시트(120)가 구강센서(2)와 케이블(4) 일부의 후면에 각각 대응되어 배치된다.
또한, 절취띠(130)는, 제1 시트(110)와 제2 시트(120)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어 해당 시트를 찢을 수 있도록 하는 띠 형태로, 절취띠(130)가 접착된 경로에 따라서 제1 시트(110) 및/또는 제2 시트(120)에 절개유도선(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절취띠(130)는, 제1 시트(110) 또는 제2 시트(120)의 길이보다 길게 구성되어 제1 시트(110) 또는 제2 시트(120)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고, 연장 부분을 파지부(131)로 하여 사용자가 잡고 제1 시트(110) 및/또는 제2 시트(120)를 뜯어내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제1 접착부(310)는, 제2 시트(120) 후단부 내면에 형성되어 제1 시트(110) 및 제2 시트(120)를 접착시키고, 이를 통하여 구강센서(2)와 케이블(4) 일부가 봉투 내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도 8a 및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착부(310)가 제2 시트(120) 후단부 내면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제1 시트(110) 및 제2 시트(120)를 접착시킬 수 있는 한 그 위치는 변경 가능하며, 제1 시트(110)의 후단부 내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제1 시트(110) 및 제2 시트(120) 모두의 후단부 내면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제2 접착부(320)는, 제1 시트(110)의 후단부 외면에 형성되어 제1 시트(110)를 접어 케이블(4) 일부가 배치된 부분만을 남기고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2 접착부(320)는, 봉투 형태의 개구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이물질이 침투하지 않도록 케이블(4) 일부를 제1 시트(110) 및 제2 시트(120)로 단단히 감쌀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도 8a 및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접착부(320)가 제1 시트(110)의 후단부 외면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봉투 형태의 개구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이물질이 침투하지 않도록 케이블(4)의 둘레를 단단히 감쌀 수 있는 한 그 위치는 변경 가능하며, 제2 시트(120)의 후단부 외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시트(110) 및 제2 시트(120)가 형성하는 봉투의 내부는 구강센서(2) 수용 구간, 즉, 제1 부분(141) 및 케이블(4) 일부 수용 구간, 즉, 제2 부분(142)을 구비한 길이일 수 있고, 제1 접착부(310) 및 제2 접착부(320)는 케이블(4) 일부 수용 구간 중 케이블이 배치되는 영역의 나머지 부분에 대응하는 길이 및 넓이로 형성되어 구강센서(2) 및 케이블(4)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접착부(310) 및 제2 접착부(320)는 양면 테이프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양면 테이프 상에 이형지(400)가 부착되어 구강센서(2) 및 케이블(4)가 봉투 내부로 진입할 때 제1 접착부(310)에 의하여 방해받지 않도록 할 수 있고, 구강센서(2) 및 케이블(4)이 봉투 내부에 진입할 때 발생할 수 있는 구김으로 제2 접착부(320)가 원하지 않는 모양으로 달라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강센서 포장재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8a 내지 도 9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강센서 포장재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형지(400)가 붙어있는 채로 제1 시트(110) 및 제2 시트(120)로 이루어진 봉투 내에 구강센서(2) 및 케이블(4)을 진입시킨다.
이후에,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형지(400)를 제거하면, 제1 접착부(310) 및 제2 접착부(320)가 노출된다. 이때, 제1 시트(110) 및 제2 시트(120)가 투명의 재질이고, 제1 접착부(310) 및 제2 접착부(320)도 투명 재질의 양면테이프인 경우 제2 접착부(320)를 통하여 제1 접착부(310)까지 빛이 투과되어 배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다음에,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시트(110) 및 제2 시트(120)의 한 모서리를 접어 케이블(4) 옆에 형성된 틈 중 일 측을 막게 된다.
최종적으로,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시트(110) 및 제2 시트(120)의 다른 모서리를 접어 케이블(4) 옆에 형성된 틈 중 다른 측을 막게 된다.
즉, 제1 접착부(310) 및 제2 접착부(320)인 양면테이프를 통하여 종래의 포장재처럼 케이블(4)을 꼬지 않고도 봉투 내부에 이물질 유입을 막을 수 있도록 봉투 내부 및 외부를 고정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케이블(4)을 꼬지 않고도 구강센서(2) 및 케이블(4)을 봉투에 고정시키는 동시에 봉투 내 이물질 유입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4) 불량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절연 물질인 제1 시트(110) 및 제2 시트(120)로 구강센서(2) 및 케이블(4)을 단단히 감싸게 되므로, 의료 기기로 인하여 인체 내부로 전기적 충격이 가해질 수 있는 위험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포장재 110, 210: 제1 시트
120, 220: 제2 시트 130, 230: 절취띠
131, 231: 파지부 310: 제1 접착부
320: 제2 접착부 400: 이형지

Claims (7)

  1. 구강센서 및 상기 구강센서에 연결된 케이블의 일부를 포장하는 포장재에 있어서,
    상기 구강센서와 상기 케이블 일부의 전후면에 각각 대응되는 제1 시트 및 상기 제1 시트와 일측이 연결된 제2 시트와;
    상기 제1 시트와 상기 제2 시트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어 해당 시트를 찢을 수 있도록 하는 띠 형태의 절취띠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시트와 상기 제2 시트 사이에 구강센서를 정렬한 후 상기 제1 시트 및 상기 제2 시트를 포개어 상기 구강센서를 포장하는 구강센서 포장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와 상기 제2 시트는 상기 일측을 기준으로 대칭형상인 구강센서 포장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와 상기 제2 시트 중 어느 하나의 가장자리를 따라 마련된 접착제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1 시트와 상기 제2 시트는 상기 구강센서를 사이에 두고 서로의 가장자리가 접착되는 구강센서 포장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와 상기 제2 시트는 구강센서를 사이에 두고 서로의 가장자리가 열 접합되는 구강센서 포장재.
  5. 구강센서 및 상기 구강센서에 연결된 케이블의 일부를 포장하는 포장재를 포장하는 포장재에 있어서,
    상기 구강센서와 상기 케이블 일부의 전후면에 각각 대응되는 제1 시트 및 제2 시트와;
    상기 제1 시트와 상기 제2 시트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어 해당 시트를 찢을 수 있도록 하는 띠 형태의 절취띠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트와 상기 제2 시트는 양 측단부 및 전단부가 서로 연결된 봉투형태를 구성하며,
    상기 제2 시트의 후단부 내면에 형성된 제1 접착부; 및
    상기 제1 시트의 후단부 외면에 형성된 제2 접착부를 포함하는 구강센서 포장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봉투 형태는, 상기 구강센서 수용 구간 및 상기 케이블 일부 수용 구간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접착부 및 상기 제2 접착부는 상기 케이블 일부 수용 구간 중 상기 케이블이 배치되는 영역의 나머지 부분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구강센서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강센서 포장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부 및 상기 제2 접착부는 각각 양면테이프이고,
    상기 양면테이프 상에 부착되는 이형지를 더 포함하는 구강센서 포장재.
KR1020160014984A 2015-04-08 2016-02-05 구강센서 포장재 KR201601206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49802 2015-04-08
KR1020150049802 2015-04-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0652A true KR20160120652A (ko) 2016-10-18

Family

ID=57244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4984A KR20160120652A (ko) 2015-04-08 2016-02-05 구강센서 포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065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820Y1 (ko) 2005-07-04 2005-09-27 주식회사바텍 위생캡을 구비한 엑스-레이 구강 촬영용 정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820Y1 (ko) 2005-07-04 2005-09-27 주식회사바텍 위생캡을 구비한 엑스-레이 구강 촬영용 정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13288A (en) Container for dental X-ray film package
US4241828A (en) Compact sheath package for medical instruments
EP1492457B1 (en) Automatically opening medical device packag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9643355B2 (en) Dental sensor holder and method of holding a dental sensor
JP4587214B2 (ja) 薬品又は化粧品用使い捨てアプリケータ
US4557381A (en) Wrap for impregnated dressing
CH649470A5 (it) Confezione sigillata per bende adesive.
JP2006516414A (ja) 液状、半液状又は粉状の処置用物質の使い捨てパッケージング
US8245487B2 (en) Packaging system for a sterilizable item
CA2644998A1 (en) Protective envelope for a radiographic sensor
JPH02143241A (ja) 口内のx線撮影のための遮蔽具
KR20160120652A (ko) 구강센서 포장재
JPH0643594A (ja) 歯科用放射線透過写真の現像および定着装置
US5450465A (en) Method for enclosing dental X-ray film pack and enclosure therefor
KR101824104B1 (ko) 구강센서의 포장을 위한 포장재 및 포장방법
US20020068891A1 (en) Ready made charcoal compress kit
JPH0531651Y2 (ko)
US20100098220A1 (en) Intra-oral envelope blank for a silver-based x-ray film
KR101215052B1 (ko) 사용이 간편한 일회용 개량 밴드
JP7208662B1 (ja) 内容物入りフィルム包装袋
KR20130003864U (ko) 일회용 원터치 의료밴드
JPH0447709Y2 (ko)
KR101773341B1 (ko) 다목적 의료 밴드
JP3203159U (ja) サポータ付き湿布およびその包装体
JP2713754B2 (ja) 医療器具を無菌的に接合する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