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0555A - 이동통신 단말의 수신 메시지 중요도 평가 및 목록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의 수신 메시지 중요도 평가 및 목록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0555A
KR20160120555A KR1020150049775A KR20150049775A KR20160120555A KR 20160120555 A KR20160120555 A KR 20160120555A KR 1020150049775 A KR1020150049775 A KR 1020150049775A KR 20150049775 A KR20150049775 A KR 20150049775A KR 20160120555 A KR20160120555 A KR 201601205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importanc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9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5968B1 (ko
Inventor
이건수
허성욱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49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5968B1/ko
Priority to JP2016077565A priority patent/JP2016201796A/ja
Publication of KR20160120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0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5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5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552
    • H04L51/1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04M1/7247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wherein the items are sorted according to specific criteria, e.g. frequency of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로 수신되는 메시지 중 기계적으로 발송된 메시지 등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스팸성 메시지(SMS, MMS 등) 또는 중요도가 낮은 메시지를 다양한 평가 요소들에 기하여 자동으로 평가 내지 분류 등 처리하는 한편, 그에 따라 메시지 순위를 변경하거나 분류를 달리하여 메시지 목록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 의한 수신 메시지 처리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로의 특정 발신자로부터의 제1 메시지 수신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1 메시지에 대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의 반응정보를 상기 특정 발신자 정보에 대응시켜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기록된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의 반응정보를 참조하여, 이후 수신된 상기 특정 발신자의 제2 메시지에 대한 중요도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의 수신 메시지 중요도 평가 및 목록 표시 방법 {METHOD FOR EVALUATING IMPORTANCE OF RECEIVED MESSAGES AND DISPALYING LIST OF RECEIVED MESSAGES IN A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로의 수신 메시지 중요도 평가 및 목록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로 수신되는 메시지 중 기계적으로 발송된 메시지 등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스팸성 메시지(SMS, MMS 등) 또는 중요도가 낮은 메시지를 자동으로 평가 내지 분류 등 처리하는 한편, 그에 따라 메시지 목록을 표시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의 보급 초기부터 SMS, MMS 등의 문자 메시지는 개인간의 통신수단일 뿐 아니라, 외부 서버 등 ESME(External Short Message Entity)와 통신하는 수단으로 활용되어 왔다. 그러므로 이러한 메시지를 이용한 다수의 수신자들에 대한 마케팅이 널리 행하여져 왔다. 이동통신 단말에서 처리 가능한 메시지를 통한 마케팅은 마케팅 주체들(가령, 광고주)에게는 매우 유용한 수단임에 틀림없으나, 일반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만일 그 사용자가 해당 정보에 대해 별 관심이 없는 경우라면 반복된 스팸성 메시지는 매우 번거롭고 귀찮은 것으로 여겨질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이동통신 단말의 메시지 목록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 목록 중에는 그 사용자에게 중요한 연락처로부터의 메시지들(12, 16, 22, 24, 28, 30)이 있을 수 있는 반면, 적지 않은 수의 마케팅을 위한 스팸성 메시지들(14, 18, 20, 26)이 수신된 시간을 기준으로 한 순위에 따라 함께 표시된다.
스팸성 메시지는 예컨대 15XX-XXXX와 같은 형식의 것들이 많은데, 이는 이른바 대표번호 서비스라고도 하며 일반 전화번호 대신 국번이 '15XX', '16XX', '18XX'로 시작되는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서비스로, 암기가 쉬운 번호라는 장점을 가진 까닭에 주로 기업의 콜 센터나 프랜차이즈 업체 등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스팸성 메시지가 반드시 위와 같은 경우로 국한되지는 않으며, 010-XXXX-XXXX와 같은 형태의 일반 이동통신 전화번호의 형태인 경우도 많아, 전화번호만으로는 쉽게 구별되기 곤란할 수 있다.
이러한 스팸성 메시지가 기계적으로 다수 상대방에게 동시 전송되는 경우가 많은 특징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망에서 자동으로 검출 및 차단하거나, 다수 사용자들의 스마트 폰 등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과 서버의 연동을 통하여 다수 상대방에게 동시 전송되는 발신자의 메시지를 검출하고 이를 스팸성 메시지로 분류하는 방식의 검출 방법이 제안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스팸성 메시지 역시 이동통신망을 이용하는 사용자 내지 고객에 해당하므로 이동통신망에서 이를 일괄적으로 검출 및 차단한다는 것은 고객의 메시지를 임의로 차단하는 것이 되어 현실적으로 적용되기 곤란할 뿐 아니라 이동통신망을 통한 메시지의 누락 등으로 인해 통신의 신뢰성을 해하여 선의의 피해자가 발생할 수 있고, 다수 사용자들의 스마트 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과의 연동을 이용하는 방식 역시 데이터 네트워크의 부담과 서버의 처리 부하가 작지 않아 항상 적용하기는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현재까지 제안된 위와 같은 스팸성 메시지 검출 방법의 알고리즘은 모든 경우에 대하여 항상 적용될 수 있는 완벽한 것은 아니므로, 이에 의하여 스팸성 메시지를 단순 차단하는 방식은 정확도를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이 부족하여, 전달되어야 할 메시지가 차단되는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종래의 스마트 폰 등 이동통신단말(10)의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또는 별도로 설치된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UI 또는 UE(User Experience) 상의 통상적인 수신 메시지 목록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순히 수신된 시간을 기준으로 한 순위에 따라 메시지들(도면 부호 12 내지 30)을 열거하고 있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위와 같은 스팸성 메시지나 기계적으로 발송된 메시지들과 그 사용자에게 중요한 메시지들이 시간 순으로 열거되므로, 그 사용자에게 의미 있는 중요한 메시지를 찾기 위해서는 별도의 검색이나 스크롤(Scroll) 등의 작업이 필요하게 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허문헌1: 공개번호 10-2014-0042205호 특허문헌2: 등록번호 10-1060122호 특허문헌3: 공개번호 10-2009-0096113호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로 수신되는 메시지들 중 기계적으로 발송된 메시지 등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스팸성 메시지(SMS, MMS 등) 또는 중요도가 낮은 메시지를 다양한 평가 요소들에 기하여 자동으로 평가 내지 분류 등 처리하는 한편, 그에 따라 메시지 순위를 변경하거나 분류를 달리하여 메시지 목록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의 수신 메시지에 대한 반응을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러한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후속 수신되는 해당 발신자의 메시지에 대해 그 중요도를 평가하거나 분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수신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유형별로 파악하여 긍정적 반응정보와 부정적 반응정보에 따라 보다 정확하게 수신 메시지를 평가하거나 분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메시지 목록의 표시에 있어서, 단순히 수신 시간에 따른 나열 방식이 아닌, 평가된 메시지의 분류에 따라 구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더욱 빠른 시간에 중요한 메시지들을 쉽게 확인하여 열람 및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메시지 목록의 표시에 있어서, 단순히 수신 시간에 따른 나열 방식이 아닌, 평가된 메시지의 중요도에 따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더욱 빠른 시간에 중요한 메시지들을 쉽게 확인하여 열람 및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 의한 수신 메시지 처리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로의 특정 발신자로부터의 제1 메시지 수신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1 메시지에 대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의 반응정보를 상기 특정 발신자 정보에 대응시켜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기록된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의 반응정보를 참조하여, 이후 수신된 상기 특정 발신자의 제2 메시지에 대한 중요도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측면에 의한 수신 메시지 처리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로의 수신 일시에 기한 수신 메시지의 디폴트 표시 순위와 별도로, 상기 메시지의 중요도에 따른 순위 상승 요인 또는 순위 하강 요인을 정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의 메시지 수신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메시지에 대하여 상기 순위 상승 요인 또는 순위 하강 요인을 검출하여 상기 디폴트 표시 순위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측면에 의한 수신 메시지 표시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로 수신되는 복수개의 메시지 각각에 대하여 발신자 전화번호, 메시지 내용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의 반응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준에 의해 중요도를 평가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에 의한 상기 복수개의 메시지 목록의 표시요청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 목록을 활성화하고, 상기 복수개의 메시지 각각에 대한 상기 평가된 중요도에 따라 상기 메시지 목록에서 상기 복수개의 메시지가 구별되도록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측면에 의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술한 어느 한 특징에 따른 단계들을 실행시키기 위한 것인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측면에 의한 수신 메시지 처리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로의 특정 발신자로부터의 제1 메시지 수신을 검출하는 메시지 수신부; 상기 제1 메시지에 대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의 반응정보를 상기 특정 발신자 정보에 대응시켜 기록하는 정보 기록부; 및 상기 기록된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의 반응정보를 참조하여, 이후 수신된 상기 특정 발신자의 제2 메시지에 대한 중요도를 평가하는 중요도 평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측면에 의한 수신 메시지 처리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로의 수신 일시에 기한 수신 메시지의 디폴트 표시 순위에 대하여, 상기 메시지의 중요도에 따른 순위 상승 요인 또는 순위 하강 요인을 정하는 중요도 평가부;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의 메시지 수신을 검출하는 메시지 수신부; 및 상기 수신 메시지에 대하여 상기 순위 상승 요인 또는 순위 하강 요인을 검출하여 상기 디폴트 표시 순위를 변경하는 메시지 목록 관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측면에 의한 수신 메시지 표시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로 수신되는 복수개의 메시지 각각에 대하여 발신자 전화번호, 메시지 내용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의 반응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준에 의해 중요도를 평가하는 중요도 평가부; 상기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에 의한 상기 복수개의 메시지 목록의 표시요청을 감지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메시지 목록을 활성화하고, 상기 복수개의 메시지 각각에 대한 상기 평가된 중요도에 따라 상기 메시지 목록에서 상기 복수개의 메시지가 구별되도록 화면에 표시하는 메시지 목록 관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로 수신되는 메시지 중 기계적으로 발송된 메시지 등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스팸성 메시지 또는 중요도가 낮은 메시지를 다양한 평가 요소들에 기하여 자동으로 평가 내지 분류 등 처리하는 한편, 그에 따라 메시지 순위를 변경하거나 분류를 달리하여 메시지 목록에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의 수신 메시지에 대한 반응을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러한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후속 수신되는 해당 발신자의 메시지에 대해 그 중요도를 평가하거나 분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다양한 수신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유형별로 파악하여 긍정적 반응정보와 부정적 반응정보에 따라 정확하게 수신 메시지를 평가하거나 분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메시지 목록의 표시에 있어서, 단순히 수신 시간에 따른 나열 방식이 아닌, 평가된 메시지의 분류에 따라 구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더욱 빠른 시간에 중요한 메시지들을 쉽게 확인하여 열람 및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메시지 목록의 표시에 있어서, 단순히 수신 시간에 따른 나열 방식이 아닌, 평가된 메시지의 중요도에 따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더욱 빠른 시간에 중요한 메시지들을 쉽게 확인하여 열람 및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이동통신 단말로의 메시지 목록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로의 메시지 처리 및 표시 장치의 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로의 메시지 처리 및 표시 장치의 다른 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로의 메시지 처리 및 표시 방법의 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로의 메시지 처리 및 표시 방법의 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로의 메시지 처리 및 표시 방법의 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로의 메시지 처리 및 표시 방법의 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해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아니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 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수신 메시지에 대한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의 ‘반응정보’란, 해당 메시지의 발신자에 대하여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가 어떠한 반응을 하였는지를 나타낼 수 있는 정보를 말하는데, 이는 이후 동일 발신자로부터 후속 메시지가 수신되었을 경우 그 사용자에게 의미 있는 중요한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예컨대, '반응정보'는 수신 메시지에 대한 열람, 답신, 전달, 삭제 및 무반응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중요한 상대방으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었을 경우, 사용자는 가령 일정 기간 내에 이를 열람하거나, 답신하거나 타인에게 전달하는 등의 반응을 보이게 되며, 마케팅 성격의 메시지 등 중요하지 않은 메시지인 경우에는 일정 기간 내에 열람 없이 삭제하거나, 반응을 보이지 않고 방치하는 등(무반응)의 처리를 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수신자의 '반응정보'에 기하여 동일 발신자로부터 후속 메시지가 수신되었을 경우 그 사용자에게 의미 있는 중요한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주요한 특징의 하나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로의 메시지 처리 및 표시 시스템의 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10)은 이동전화기, PDA, 스마트 폰, 태블릿 등 다양한 형태 및 명칭의 것일 수 있으며, 이동통신망 및 무선 인터넷 망에 접속 가능한 것일 수 있다(여기서 무선 인터넷 망이란 3G, 4G 등의 이동통신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는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포함한다). SMS, MMS 등 메시지의 수신 및 처리가 가능한 것이며, 소정 서비스를 위한 서버(200)가 무선 인터넷 망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10)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의 이동통신 단말(10)은, 예컨대, 사용자의 입력을 구별 감지하고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도시하지 않음), 메시지 수신부(110), 정보 기록부(120), 정보 조회부(130), 중요도 평가부(140), 메시지 목록 관리부(150)를 포함하는 수신 메시지 처리 및 표시 시스템(100)을 구비할 수 있다.
메시지 수신부(110)는 이동통신 단말(10)에서 소정 발신자로부터의 메시지 수신을 검출하고, 해당 메시지로부터 발신자 정보와 내용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정보 기록부(120)는, 수신 메시지에 대한 이동통신 단말(10) 사용자의 반응정보를 특정 발신자 정보에 대응시켜 기록할 수 있다. 여기서, '반응정보'란 상술한 바와 같이, 해당 메시지의 발신자에 대하여 이전에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가 어떠한 반응을 하였는지를 나타낼 수 있는 정보를 말하는데, 이는 이후 동일 발신자로부터 후속 메시지가 수신되었을 경우 그 사용자에게 의미 있는 중요한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정보 조회부(130)는, 수신 메시지의 중요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단말 자체 내 또는 외부 서버에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도시하지 않음)를 참조하여야 할 경우에, 필요한 정보를 조회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가령, 상술한 정보 기록부(120)에서 기록한 특정 발신자 별 '반응정보' 관련 데이터베이스, 또는 대표번호(가령, 15XX, 16XX 등) 데이터베이스, 또는 각 사용자 또는 다수 사용자들이 협업에 의해 마케팅 메시지로 등록한 발신자 정보의 데이터베이스, 또는 메시지 내용에 마케팅 관련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마케팅 관련 어휘 데이터베이스 등이 정보 조회부(130)의 조회 대상이 될 수 있다.
중요도 평가부(140)는, 수신된 복수개의 메시지 각각에 대하여 발신자 전화번호, 메시지 내용 및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의 반응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준에 의해 중요도를 평가할 수 있다.
상기 중요도 평가부(140)에서 수행하는 중요도의 평가는 평가 결과에 따라 순위를 조정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는데, 이는 이동통신 단말(10)에서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수신 일시에 기한 수신 메시지의 디폴트 표시 순위와 별도로, 수신 메시지의 중요도를 평가하기 위한 구성을 말한다. 이때, 중요도 평가부(140)는 미리 설정된 수신 메시지의 순위 상승 요인 또는 순위 하강 요인을 파악하여 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순위의 조정 시에는 상술한 반응정보를 고려할 수 있는데, 가령, 반응정보가 상술한 열람, 답신 또는 전달인 경우 순위의 상승 요인으로 고려하여, 수신 일시에 기한 수신 메시지의 디폴트 표시 순위에 비해 순위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가령, 반응정보가 상술한 삭제 또는 무반응인 경우 순위의 하강 요인으로 고려하여, 수신 일시에 기한 수신 메시지의 디폴트 표시 순위에 비해 순위를 하강시킬 수도 있다.
또한, 메시지 목록 관리부(150)는,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메시지 목록의 표시요청이 감지하면, 메시지 목록을 활성화하고, 복수개의 메시지 각각에 대한 중요도 평가부(140)에서 평가된 중요도에 따라, 메시지 목록에서 복수개의 메시지 중요도가 소정의 표시 방법에 의해 구별되도록 화면에 표시한다.
가령, 메시지 목록 관리부(150)는, 수신 메시지에 대하여 상술한 순위 상승 요인 또는 순위 하강 요인을 검출하여 수신 일시를 기준으로 하는 디폴트 표시 순위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로의 메시지 처리 및 표시 시스템의 다른 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의 실시예에서 메시지 수신부(110), 정보기록부(120), 정보 조회부(130), 중요도 평가부(140), 메시지 목록 관리부(150)의 전부 또는 일부의 구성은 서버(200)에 구비되어 이동통신 단말(1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과의 데이터 통신을 통하여 수행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이러한 실시형태 중 정보기록부(220), 정보조회부(230), 중요도 평가부(240)가 서버(200)에 구현된 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의 이동통신 단말(10)은, 예컨대, 사용자의 입력을 구별 감지하고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며, 서버(200)와 필요한 데이터를 주고받는 애플리케이션(300)을 구비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300)은 메시지 수신부(310)를 포함할 수 있는데, 메시지 수신부(310)는 이동통신 단말(10)에서 소정 발신자로부터의 메시지 수신을 검출하고, 해당 메시지로부터 발신자 정보와 내용 정보를 판독하여 서버(200)로 기타 필요한 정보를 전송한다.
서버(200)의 정보 기록부(220)는, 수신 메시지에 대한 이동통신 단말(10) 사용자의 반응정보를 단말(10)의 애플리케이션(300)으로부터 수신하여 특정 발신자 정보에 대응시켜 기록할 수 있다. 여기서, '반응정보'란 상술한 바와 같이, 해당 메시지의 발신자에 대하여 이전에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가 어떠한 반응을 하였는지를 나타낼 수 있는 정보를 말하는데, 이는 이후 동일 발신자로부터 후속 메시지가 수신되었을 경우 그 사용자에게 의미 있는 중요한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정보 조회부(230)는, 수신 메시지의 중요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서버에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도시하지 않음)를 참조하여야 할 경우에, 필요한 정보를 조회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가령, 상술한 정보 기록부(220)에서 기록한 특정 발신자 별 '반응정보' 관련 데이터베이스, 또는 대표번호(가령, 15XX, 16XX 등) 데이터베이스, 또는 각 사용자 또는 다수 사용자들이 협업에 의해 마케팅 메시지로 등록한 발신자 정보의 데이터베이스, 또는 메시지 내용에 마케팅 관련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마케팅 관련 어휘 데이터베이스 등이 정보 조회부(230)의 조회 대상이 될 수 있다.
중요도 평가부(240)는, 수신된 복수개의 메시지 각각에 대하여 발신자 전화번호, 메시지 내용 및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의 반응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준에 의해 중요도를 평가할 수 있다.
상기 중요도 평가부(240)에서 수행하는 중요도의 평가는 평가 결과에 따라 순위를 조정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는데, 이는 이동통신 단말(10)에서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수신 일시에 기한 수신 메시지의 디폴트 표시 순위와 별도로, 수신 메시지의 중요도를 평가하기 위한 구성을 말한다. 이때, 중요도 평가부(240)는 미리 설정된 수신 메시지의 순위 상승 요인 또는 순위 하강 요인을 파악하여 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순위의 조정 시에는 상술한 반응정보를 고려할 수 있는데, 가령, 반응정보가 상술한 열람, 답신 또는 전달인 경우 순위의 상승 요인으로 고려하여, 수신 일시에 기한 수신 메시지의 디폴트 표시 순위에 비해 순위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가령, 반응정보가 상술한 삭제 또는 무반응인 경우 순위의 하강 요인으로 고려하여, 수신 일시에 기한 수신 메시지의 디폴트 표시 순위에 비해 순위를 하강시킬 수도 있다.
또한, 단말(10)의 애플리케이션(300)에 포함되는 메시지 목록 관리부(350)는,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메시지 목록의 표시요청이 감지하면, 메시지 목록을 활성화하고, 복수개의 메시지 각각에 대한 중요도 평가부(240)에서 평가된 중요도를 상기 서버(200)로부터 수신하여, 메시지 목록에서 복수개의 메시지 중요도가 소정의 표시 방법에 의해 구별되도록 화면에 표시한다.
가령, 메시지 목록 관리부(350)는, 수신 메시지에 대하여 상술한 순위 상승 요인 또는 순위 하강 요인을 검출하여 수신 일시를 기준으로 하는 디폴트 표시 순위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도 3의 변형 실시예 외에도, 단말(10)의 애플리케이션(300)과 서버(200)에 각 기능을 적절히 분배한 다양한 실시형태가 존재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자명하다. 가령, 이동통신 단말로의 메시지 수신을 검출하는 기능 역시 서버에 구비되어, 단말(10)의 애플리케이션(300)으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받아 수신하여 수행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목록 관리부(350) 역시 서버(200)에 구비되어 단말(10)에 구비된 메시지 목록 관리 기능을 하는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과의 연동에 의해 메시지 목록에서 복수개의 메시지 중요도가 소정의 표시 방법에 의해 구별되도록 화면에 표시하는 작용을 제어하도록 변형 구현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로의 메시지 처리 및 표시 방법의 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10)로 수신되는 복수개의 메시지 각각에 대하여 발신자 전화번호, 메시지 내용 및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의 반응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준에 의해 중요도를 평가하며, 이동통신 단말(10) 사용자에 의한 복수개의 메시지 목록의 표시요청을 감지하면, 메시지 목록을 활성화하고, 복수개의 메시지 각각에 대한 평가된 중요도에 따라 메시지 목록에서 복수개의 메시지의 중요도가 구별되도록 화면에 표시하게 되는데, 그 과정의 구체적인 한 실시예에 관해 도 4에 나타낸다.
우선, 이동통신 단말(10)로의 메시지 수신을 감지하면(S10), 메시지의 헤더 등으로부터 발신자 정보를 추출한다(S15). 메시지의 중요도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기준이 단독 또는 결합되어 적용될 수 있는데, 가령, 발신자 전화번호를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와 조회하여 대표번호(가령, 국번이 15XX, 16XX 등)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20), 대표번호에 해당될 경우 마케팅 메시지로 분류(S85)할 수 있다. 또한, 각 사용자 또는 다수 사용자의 협업에 의하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조회하여 마케팅 업체로 등록된 발신자로부터의 메시지인지를 판단하여(S30), 그에 해당될 경우 마케팅 메시지로 분류(S85)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반응정보를 고려하여 중요 메시지로 분류(S80)할 수도 있는데, 여기서 반응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신된 메시지에 대한 열람, 삭제, 답신, 전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일정 기간 동안 누적된 동일 발신자로부터의 메시지의 수신 횟수와 열람 횟수(또는 답신 횟수나 전달 횟수)를 비교함으로써 반응률을 산출하여 소정 기준치와 비교하고(S40), 반응률이 소정 기준보다 낮으면 마케팅 메시지로 분류(S85)하고, 소정 기준보다 높을수록 중요 메시지로 처리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반응률 = 열람 횟수 / 수신 횟수
그 외에도, 일정 기간 동안 누적된 동일 발신자로부터의 메시지의 수신 횟수와 삭제 횟수(또는 무반응 횟수)를 비교함으로써 반응률을 산출(아래 예시)하여, 반응률이 소정 기준보다 높을수록 마케팅 메시지로 처리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반응률 = (수신 횟수 - 삭제횟수) / 수신 횟수
그 외에도, 다수의 기준이 복합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는데, 가령, 긍정적 요소인 열람, 답신, 전달 횟수를 모두 더하고 부정적 요소인 삭제 횟수와 무반응 횟수를 감산하거나 이들 중의 일부 기준만을 적용하는 방식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한 중요한 기술사상은, 해당 메시지의 발신자에 대하여 이전에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가 어떠한 반응을 하였는지를 나타낼 수 있는 정보인 반응정보를 이용하여 이후 동일 발신자로부터 후속 메시지가 수신되었을 경우 그 사용자에게 의미 있는 중요한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점에 있으며, 구체적인 기준에 있어서는 위에서 예시한 바 또는 그 외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통상의 기술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 주소록에 수신된 메시지의 특정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조회하여(S50),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마케팅 메시지로 분류(S85)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나아가, 수신 메시지의 내용을 추출하여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와 조회하여 마케팅과 관련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S70)되는 경우, 마케팅 메시지로 분류(S85)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예시된 과정에 의하여 메시지 유형이 분류되면, 수신된 메시지 중 마케팅 메시지로 평가되는 메시지들을 화면상에 구분된 별도 섹션으로 표시할 수 있다(S90)(가령, 도 6).
도 4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각 단계는 도 2를 기초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1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수행될 수도 있지만, 도 3 또는 그 외의 가능한 변형 실시형태와 같이, 그 전부 또는 일부의 단계들이 서버(200)에서 이루어져 단말(10)과의 데이터 통신에 기반하여 각 단계들에 필요한 정보들을 교환하면서 수행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자명하다.
메시지의 표시 방식에 있어서도 다양한 예가 가능한데, 도 6 및 도 7은 몇 가지의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메시지 중요도를 평가한 결과에 따라 중요 메시지 항목(210)과 마케팅 메시지 항목(220)을 별도로 표시한 예를 나타내며, 도 7은 메시지 중요도를 평가한 결과에 따라 수신 일시에 기한 수신 메시지의 디폴트 표시 순위와 달리 표시 순위를 조정한 것을 예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로의 메시지 처리 및 표시 방법의 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특히 다양한 평가 요소에 기하여 메시지의 순위를 조정하는 내용을 포함한다.
이동통신 단말로의 메시지 수신을 감지하여(S110), 발신자 정보를 추출하고(S115), 이동통신 단말로의 수신 일시에 기한 수신 메시지의 디폴트 표시 순위와는 별도로, 상기 메시지의 중요도에 따른 순위 상승 요인 또는 순위 하강 요인을 정하게 된다.
그 구체적 예를 살펴보면, 만일 대표번호 또는 DB에 마케팅 메시지로 등록된 번호일 경우에는 기계적으로 발송되는 메시지 또는 그와 동등한 성격의 메시지로 파악하여 순위를 소정 값 하강시킬 수 있다(S120).
한편, 상술한 사용자의 반응정보를 파악하여 반응정보의 내용에 따라 설정된 값으로 적절히 순위를 조정할 수 있다(S130).
또한, 주소록에 저장된 번호인 경우에, 순위를 소정 값 상승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S140). 이는 주소록에 저장되어 있는 것인 경우, 설령 기계적으로 발송된 메시지나 과거의 반응정보가 부정적인 경우에도 그 사용자에게 중요한 메시지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서, 메시지로부터 내용을 추출하고(S150), 사전에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와의 대조를 통하여 마케팅과 관련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순위의 하강 요인으로 고려하여 순위를 조정할 수 있다(S160).
도 5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각 단계는 도 2를 기초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1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수행될 수도 있지만, 도 3 또는 그 외의 가능한 변형 실시형태와 같이, 그 전부 또는 일부의 단계들이 서버(200)에서 이루어져 단말(10)과의 데이터 통신에 기반하여 각 단계들에 필요한 정보들을 교환하면서 수행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자명하다.
위 실시예들을 통해 예시적으로 설명되고 있는 순위 상승 요인 또는 순위 하강 요인 또는 각각의 메시지 평가요소들은 각각 일부만이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변형 적용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명백하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 기록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 / 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요소가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요소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10: 사전 데이터베이스
11: 속성 단어 데이터베이스
12: 서술어 사전 데이터베이스
15: 정교화 사전 데이터베이스
16: 평가 데이터베이스
20: 사용후기 데이터베이스
30: 패턴 추출부
32: 형태소 분석/단문 분할부
34: 평판 패턴 추출부
36: 패턴 정교화부
40: 요약정보 발췌부
50: 요약정보 제공부
61, 62, 63: 요약정보 예시
100: 사용자 반응정보 제공 시스템

Claims (23)

  1. 이동통신 단말로의 특정 발신자로부터의 제1 메시지 수신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1 메시지에 대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의 반응정보를 상기 특정 발신자 정보에 대응시켜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기록된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의 반응정보를 참조하여, 이후 수신된 상기 특정 발신자의 제2 메시지에 대한 중요도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신 메시지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정보는 상기 제1 메시지에 대한 열람, 답신, 전달, 삭제 및 무반응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수신 메시지 처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요도 평가는 상기 제2 메시지의 순위를 조정하는 것인 수신 메시지 처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정보가 열람, 답신 또는 전달인 경우 상기 순위의 상승 요인으로 고려하는 것인 수신 메시지 처리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정보가 삭제 또는 무반응인 경우 상기 순위의 하강 요인으로 고려하는 것인 수신 메시지 처리 방법.
  6. 이동통신 단말로의 수신 일시에 기한 수신 메시지의 디폴트 표시 순위와 별도로, 상기 메시지의 중요도에 따른 순위 상승 요인 또는 순위 하강 요인을 정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의 메시지 수신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메시지에 대하여 상기 순위 상승 요인 또는 순위 하강 요인을 검출하여 상기 디폴트 표시 순위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신 메시지 처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메시지가 기계적으로 발송되는 메시지인 경우 상기 순위의 하강 요인으로 고려하는 것인 수신 메시지 처리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사전에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와의 대조를 통하여 마케팅과 관련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순위의 하강 요인으로 고려하는 것인 수신 메시지 처리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 주소록에 상기 메시지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순위의 상승 요인으로 고려하는 것인 수신 메시지 처리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발신자의 이전 메시지에 대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의 반응정보를 상기 순위의 상승 요인 또는 하강 요인으로 고려하는 것인 수신 메시지 처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정보가 열람, 답신 또는 전달인 경우 상기 순위의 상승 요인으로 고려하는 것인 수신 메시지 처리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정보가 삭제 또는 무반응인 경우 상기 순위의 하강 요인으로 고려하는 것인 수신 메시지 처리 방법.
  13. 이동통신 단말로 수신되는 복수개의 메시지 각각에 대하여 발신자 전화번호, 메시지 내용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의 반응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준에 의해 중요도를 평가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에 의한 상기 복수개의 메시지 목록의 표시요청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 목록을 활성화하고, 상기 복수개의 메시지 각각에 대한 상기 평가된 중요도에 따라 상기 메시지 목록에서 상기 복수개의 메시지가 구별되도록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신 메시지 표시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중요도 평가 단계는, 상기 발신자 전화번호를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와 조회하여 대표번호 또는 등록된 업체인 경우 마케팅 메시지로 분류하는 것인 수신 메시지 표시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중요도 평가 단계는, 상기 발신자 전화번호를 상기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 주소록에 상기 특정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중요 메시지로 평가하는 것인 수신 메시지 표시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중요도 평가 단계는, 상기 메시지 내용을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와 조회하여 마케팅과 관련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마케팅 메시지로 분류하는 것인 수신 메시지 표시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중요도 평가 단계의, 상기 반응정보는,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대한 열람, 삭제, 답신, 전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수신 메시지 표시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메시지 중 마케팅 메시지로 평가되는 메시지들을 화면상에 구분된 별도 섹션으로 표시하는 것인 수신 메시지 표시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중요도 평가 결과에 따른 순위에 기하여 상기 복수개의 메시지 목록을 화면에 표시하는 것인 수신 메시지 표시 방법.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의 단계들을 실행시키기 위한 것인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21. 이동통신 단말로의 특정 발신자로부터의 제1 메시지 수신을 검출하는 메시지 수신부;
    상기 제1 메시지에 대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의 반응정보를 상기 특정 발신자 정보에 대응시켜 기록하는 정보 기록부; 및
    상기 기록된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의 반응정보를 참조하여, 이후 수신된 상기 특정 발신자의 제2 메시지에 대한 중요도를 평가하는 중요도 평가부를 포함하는 수신 메시지 처리 시스템.
  22. 이동통신 단말로의 수신 일시에 기한 수신 메시지의 디폴트 표시 순위에 대하여, 상기 메시지의 중요도에 따른 순위 상승 요인 또는 순위 하강 요인을 정하는 중요도 평가부;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의 메시지 수신을 검출하는 메시지 수신부; 및
    상기 수신 메시지에 대하여 상기 순위 상승 요인 또는 순위 하강 요인을 검출하여 상기 디폴트 표시 순위를 변경하는 메시지 목록 관리부를 포함하는 수신 메시지 처리 시스템.
  23. 이동통신 단말로 수신되는 복수개의 메시지 각각에 대하여 발신자 전화번호, 메시지 내용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의 반응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준에 의해 중요도를 평가하는 중요도 평가부;
    상기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에 의한 상기 복수개의 메시지 목록의 표시요청을 감지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메시지 목록을 활성화하고, 상기 복수개의 메시지 각각에 대한 상기 평가된 중요도에 따라 상기 메시지 목록에서 상기 복수개의 메시지가 구별되도록 화면에 표시하는 메시지 목록 관리부를 포함하는 수신 메시지 표시 시스템.
KR1020150049775A 2015-04-08 2015-04-08 이동통신 단말의 수신 메시지 중요도 평가 및 목록 표시 방법 KR101695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775A KR101695968B1 (ko) 2015-04-08 2015-04-08 이동통신 단말의 수신 메시지 중요도 평가 및 목록 표시 방법
JP2016077565A JP2016201796A (ja) 2015-04-08 2016-04-07 移動通信端末の受信メッセージの重要度評価および目録表示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775A KR101695968B1 (ko) 2015-04-08 2015-04-08 이동통신 단말의 수신 메시지 중요도 평가 및 목록 표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0555A true KR20160120555A (ko) 2016-10-18
KR101695968B1 KR101695968B1 (ko) 2017-01-13

Family

ID=57244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9775A KR101695968B1 (ko) 2015-04-08 2015-04-08 이동통신 단말의 수신 메시지 중요도 평가 및 목록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6201796A (ko)
KR (1) KR10169596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18955A (zh) * 2018-02-09 2018-08-1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消息处理方法及装置
KR20210034829A (ko) * 2019-09-23 2021-03-31 에스씨 대호 주식회사 문자메시지의 미리보기 이미지 출력을 위한 설정 방법
KR20220041541A (ko) * 2020-09-25 2022-04-0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차량 내에서 알림 메시지를 심리스하게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및 그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72303A (zh) * 2017-07-07 2017-09-15 珠海市小源科技有限公司 短信分类方法及其装置
CN107506246A (zh) * 2017-08-08 2017-12-2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信息展示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4339623A (zh) * 2021-12-23 2022-04-12 拉扎斯网络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通知消息处理方法及装置
KR102624944B1 (ko) * 2022-01-19 2024-01-15 네이버 주식회사 라이브 커머스 플랫폼에서의 실시간 인스펙터를 위한 방법, 컴퓨터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6113A (ko) 2008-03-07 2009-09-10 김준식 스팸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060122B1 (ko) 2011-01-19 2011-08-29 (주)지란지교소프트 스팸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40042205A (ko) 2012-09-28 2014-04-07 박동철 스팸 전화번호 공유 및 관리 방법
JP2014170322A (ja) * 2013-03-01 2014-09-18 Hitachi Information & Telecommunication Engineering Ltd 受信メールの優先度別自動振分け装置および方法
KR20140125672A (ko) * 2013-04-19 2014-10-29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의 미확인 메시지 표시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8639A (ja) * 2001-09-03 2003-03-14 Nec Access Technica Ltd 携帯電話機
JP2003167828A (ja) * 2001-11-29 2003-06-13 Toppan Printing Co Ltd 電子メール装置、電子メール管理方法、電子メールプログラム
US20040266402A1 (en) * 2003-06-30 2004-12-30 Schavitz Mary J. Apparatus and method for message control o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20050267944A1 (en) * 2004-06-01 2005-12-01 Microsoft Corporation Email manager
JP4281688B2 (ja) * 2005-01-26 2009-06-17 日本電気株式会社 メール参照システム及び概要一覧表示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01374297B (zh) * 2007-08-22 2013-07-0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移动通信终端和短信发送方法
JP2009294951A (ja) * 2008-06-05 2009-12-17 Panasonic Corp 電子メール送信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6113A (ko) 2008-03-07 2009-09-10 김준식 스팸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060122B1 (ko) 2011-01-19 2011-08-29 (주)지란지교소프트 스팸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40042205A (ko) 2012-09-28 2014-04-07 박동철 스팸 전화번호 공유 및 관리 방법
JP2014170322A (ja) * 2013-03-01 2014-09-18 Hitachi Information & Telecommunication Engineering Ltd 受信メールの優先度別自動振分け装置および方法
KR20140125672A (ko) * 2013-04-19 2014-10-29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의 미확인 메시지 표시장치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18955A (zh) * 2018-02-09 2018-08-1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消息处理方法及装置
CN108418955B (zh) * 2018-02-09 2021-01-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消息处理方法及装置
KR20210034829A (ko) * 2019-09-23 2021-03-31 에스씨 대호 주식회사 문자메시지의 미리보기 이미지 출력을 위한 설정 방법
KR20220041541A (ko) * 2020-09-25 2022-04-0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차량 내에서 알림 메시지를 심리스하게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및 그 동작 방법
KR20220065745A (ko) * 2020-09-25 2022-05-2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차량 내에서 알림 메시지를 심리스하게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5968B1 (ko) 2017-01-13
JP2016201796A (ja) 2016-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5968B1 (ko) 이동통신 단말의 수신 메시지 중요도 평가 및 목록 표시 방법
AU2011338871B2 (en) Electronic communications triage
JP6178928B2 (ja) メッセージ管理システムのための動的なフィルタ生成
US979419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reating auto-reply messages
US7966224B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generating a relationship-based recommendation
CN107040494B (zh) 用户账号异常防范方法和系统
US8490185B2 (en) Dynamic spam view settings
US20100106781A1 (en) Automatic update of contact information in messaging
MX2014010229A (es) Sistema y procesamientos para compartir datos entre multiples dispositivos de usuario final.
US9060253B2 (en) Identifying and blocking mobile messaging service spam
US20120143806A1 (en) Electronic Communications Triage
US9231782B2 (en) Communication support system, communication suppor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2013008210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Barcodes in Electronic Data Communications
KR20120130778A (ko) 회사 소셜 네트워크의 사용자에 의해 수신된 메시지들의 분류 방법
US20060264204A1 (en) Method for sending a message waiting indication
US1006977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spam in outbound transactional emails
JP2001331422A (ja) メール評価装置
CN109120743B (zh) 联系人添加方法及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0985951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메시지 구분 표시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KR20170009222A (ko) 수신자 간 관계 확인 방법 및 이 방법을 활용한 스팸 메시지 탐지 방법
KR101060122B1 (ko) 스팸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655771B1 (ko) 위젯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커스터마이징 방법 및 장치
KR100528590B1 (ko) 저장된 스팸 메일을 재전송하고 스팸 룰을 변경하는 등의처리를 행하는 스팸 메일 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있는 기록매체
JPWO2018221029A1 (ja) ユーザ状態推定装置
CN106878532A (zh) 信息显示方法、信息显示装置和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