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0066A - 전기소독기 - Google Patents

전기소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0066A
KR20160120066A KR1020150049100A KR20150049100A KR20160120066A KR 20160120066 A KR20160120066 A KR 20160120066A KR 1020150049100 A KR1020150049100 A KR 1020150049100A KR 20150049100 A KR20150049100 A KR 20150049100A KR 20160120066 A KR20160120066 A KR 20160120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mode
sterilizer
main body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9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인철
Original Assignee
류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인철 filed Critical 류인철
Priority to KR1020150049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0066A/ko
Publication of KR20160120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00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14Plasma, i.e. ionised ga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독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조작도 용이하고, 에너지가 절약되며, 피소독물의 손상도 방지되는 새로운 구성의 전기소독기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방으로 개방되는 소독챔버(110)가 구비되고, 상기 소독챔버(110)를 커버하는 도어(120)가 전면에 구비된 소독기본체(100); 상기 소독기본체(100)에 내장되어 상기 소독챔버(110) 내부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램프(200); 상기 소독기본체(100)에 내장되어 상기 소독챔버(110) 내부에 음이온을 방출하는 음이온발생기(300); 상기 소독기본체(100)에 구비되어 상기 소독챔버(110)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기(400); 및 상기 소독기본체(100)에 구비되어 상기 자외선램프(200), 음이온발생기(300), 열풍기(4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500)에는 상기 열풍기(400)의 열풍온도를 봄/가을모드로 전환시키는 봄/가을모드버튼(530), 열풍온도를 여름모드로 전환시키는 여름모드버튼(540) 및 겨울모드로 전환시키는 겨울모드버튼(55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소독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전기소독기{Electric sterilizer}
본 발명은 전기소독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독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조작도 용이하고, 에너지가 절약되며, 피소독물의 손상도 방지되는 새로운 구성의 전기소독기에 관한 것이다.
전기소독기는 물품의 살균보관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병원이나 단체 급식소, 식당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장소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기소독기는 자외선이나 음이온, 오존 등을 이용하여 물품을 살균하는데, 물품의 살균을 위해서는 물품 즉, 피소독물의 건조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피소독물의 표면에 묻은 물기가 먼저 제거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를 위해 대부분의 전기소독기에는 피소독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열풍기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우리나라는 계절에 따라 온도차가 많이 나며, 이러한 온도차에 의해 계절별 대기의 절대습도도 많은 차이를 보인다. 절대습도는 기온과 비례하기 때문에, 기온이 높은 여름에는 절대습도가 높고, 기온이 낮은 겨울에는 절대습도가 낮다.
그리고 절도습도가 낮은 겨울이 절대습도가 높은 여름에 비해 건조가 상대적으로 더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전기소독기를 작동시킬 때 계절 별로 열풍온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기소독기는 사용자가 계절에 따라 일일이 온도조절을 하여야 하므로 사용에 불편함이 따른다. 또한, 이러한 불편함으로 인해 사용자 중에는 계절별로 열풍의 온도를 조절하지 않고 계절에 상관없이 항상 동일한 온도로 소독기를 작동시키기도 한다.
그런데, 계절별로 열풍의 온도를 조절하지 않고 소독기를 작동시키면, 불필요하게 소독기를 고온으로 작동시키는 결과가 초래되어 에너지가 낭비되며, 또한, 피소독물이 고온에 노출되어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되기도 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05798호(2006. 01. 04.)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독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계절별로 적절한 온도의 열풍이 공급되기 때문에 에너지가 절약되어 경제적이며, 조작도 용이하고, 피소독물의 손상도 방지되는 새로운 구성의 전기소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전방으로 개방되는 소독챔버(110)가 구비되고, 상기 소독챔버(110)를 커버하는 도어(120)가 전면에 구비된 소독기본체(100); 상기 소독기본체(100)에 내장되어 상기 소독챔버(110) 내부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램프(200); 상기 소독기본체(100)에 내장되어 상기 소독챔버(110) 내부에 음이온을 방출하는 음이온발생기(300); 상기 소독기본체(100)에 구비되어 상기 소독챔버(110)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기(400); 및 상기 소독기본체(100)에 구비되어 상기 자외선램프(200), 음이온발생기(300), 열풍기(4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500)에는 상기 열풍기(400)의 열풍온도를 봄/가을모드로 전환시키는 봄/가을모드버튼(530), 열풍온도를 여름모드로 전환시키는 여름모드버튼(540) 및 겨울모드로 전환시키는 겨울모드버튼(55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소독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봄/가을모드의 열풍온도는 상기 여름모드의 열풍온도에 비해 낮고, 상기 겨울모드의 열풍온도는 상기 봄/가을모드의 열풍온도에 비해 낮게 설정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계절에 따라 열풍의 온도를 변환시키는 봄/가을모드버튼, 여름모드버튼 및 겨울모드버튼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계절에 따라 일일이 온도를 수동으로 설정하지 않고 각 버튼만 조작하여 열풍의 온도를 계절에 맞는 온도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은 각 계절별로 적절한 온도의 열풍이 공급되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고온의 열풍이 공급되어 에너지가 낭비되는 문제가 해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에너지가 절감되므로 경제적이다. 뿐만 아니라, 불필요하게 고온의 열풍이 공급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피소독물이 고온에 노출되어 손상되는 것도 방지된다.
또, 본 발명은 계절별로 적절한 온도의 열풍이 공급되어 피소독물이 신속하게 건조되고, 자왼선램프(20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과 음이온발생기(300)에서 발생되는 음이온에 의해 복합적으로 살균이 이루어지므로 피소독물이 효과적으로 소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요부확대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부분절개 사시도와 사진이다.
본 발명은 소독챔버(110)가 구비된 소독기본체(100), 소독챔버(110) 내부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램프(200) 및 음이온발생기(300), 소독기본체(100)에 구비되어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기(40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소독기본체(100)는 사각함체형상으로 되어 내부에는 전방으로 개방되는 소독챔버(110)가 구비된다. 그리고 소독기본체(100)의 전면에는 소독챔버(110)의 전방을 커버하는 한 쌍의 회동식 커버(112)가 구비되며, 소독챔버(110) 내부에는 피소독물을 올려놓기 위한 다수개의 선반(114)이 상하로 이격되게 구비된다.
이러한 소독기본체(100)에 내부에 상기 자외선램프(200)와 음이온발생기(300), 및 열풍기(400)가 설치된다. 자외선램프(20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과 음이온발생기(300)에서 발생되는 음이온에 의해 피소독물이 살균, 소독된다
그리고 상기 열풍기(400)는 히터(410)와, 히터(410)에서 발생되는 열을 송풍시키는 송풍팬(4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소독기본체(100)의 소독챔버(110) 상측에 타공판(102)으로 구획된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 열풍기(400)가 구비되어, 열풍공급수단(400)에서 송풍되는 열풍이 상기 타공판(102)의 다공을 통해 소독챔버(110)로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소독기본체(100) 내부에는 소독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0)가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500)는 소독기의 전원공급을 제어하고, 상기 자외선램프(200), 음이온발생기(300) 및 열풍기(40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프로그래밍된다.
이러한 제어부(500)에는 자외선램프(200), 음이온발생기(300) 및 열풍기(400)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전원버튼(510)과, 상기 자외선램프(200) 및 음이온발생기(300)의 개별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자외선램프버튼(520) 및 음이온발생기버튼(530)과 더불어, 계절별로 상기 열풍기(400)의 열풍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계절별모드버튼 등을 포함하는 입력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계절별모드버튼은 열풍온도를 봄/가을모드로 전환시키는 봄/가을모드버튼(540), 열풍온도를 여름모드로 전환시키는 여름모드버튼(550) 및 겨울모드로 전환시키는 겨울모드버튼(56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봄/가을모드버튼(540)에 의해 작동되는 봄/가을모드는 겨울모드에 비해 열풍온도가 높고, 상기 여름모드버튼(550)에 의해 작동되는 여름모드는 상기 봄/가을모드에 비해 열풍온도가 높게 설정된다. 바람직하게는 겨울모드는 열풍온도가 ( )℃로 조절되고, 봄/가을모드는 ( )℃, 여름모드는 ( )℃로 조절된다.
겨울에는 봄/가을이나 여름에 비해 대기온도가 낮기 때문에 겨울에는 봄/가을이나 여름에 비해 절대습도가 낮고, 봄/가을에는 여름에 비해 대기온도가 낮기 때문에 봄/가을에는 여름에 비해 절대습도가 낮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절대습도가 낮은 겨울은 봄/가을이나 여름에 비해 열풍온도를 낮게 설정할 필요가 있고, 여름에는 상대적으로 열풍온도를 높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겨울에는 겨울모드를 작동시켜서 봄/가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열풍이 소독챔버(110)에 공급되도록 하고, 봄/가을에는 봄/가을모드를 작동시켜서 겨울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높고 여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열풍이 소독챔버(110)에 공급되도록 하며, 여름에는 여름모드를 작동시켜서 봄/가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의 열풍이 공급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어부(500)의 상기 버튼들, 즉, 입력수단들은 소독기본체(100)의 전면 상단부에 설치되는 조작패널에 소정형태로 배열되는데, 조작패널에는 상기 버튼들 외에도 열풍온도를 표시하는 온도표시창(572), 소독기의 작동시간을 표시하는 시간표시창(574) 등이 더 구비되며,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계절별모드의 온도를 보정할 수 있도록 온도조절버튼(576) 및 작동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시간조절버튼(578) 등이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전기소독기의 사용시간 설정기능이 세가지모드로 제공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전기소독기를 연속으로 가동하는 모드와, 일정시간만 가동하고 꺼지는 모드와, 일정시간 가동한 후에 다음날에 동일하게 가동이 반복되는 모드를 가지도록 프로그래밍되어 사용자의 편리가 도모된다.
또, 제어부(500)에는 전기소독기의 온도가 과열, 즉, 온도가 일정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온도감지센서가 단락된 경우, 도어가 열린 경우 등을 경보하는 경보기능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열풍온도를 계절별로 제어하기 위한 계절별모드버튼들이 구비되기 때문에, 계절별모드버튼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게 계절별로 열풍 온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또한, 계절별로 열풍온도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열풍온도가 불필요하게 고온으로 설정되어 에너지가 낭비되는 것이 방지되고, 또한, 고온의 열풍에 의해 피소독물이 손상되는 것도 방지된다.

Claims (2)

  1. 전방으로 개방되는 소독챔버(110)가 구비되고, 상기 소독챔버(110)를 커버하는 도어(120)가 전면에 구비된 소독기본체(100);
    상기 소독기본체(100)에 내장되어 상기 소독챔버(110) 내부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램프(200);
    상기 소독기본체(100)에 내장되어 상기 소독챔버(110) 내부에 음이온을 방출하는 음이온발생기(300);
    상기 소독기본체(100)에 구비되어 상기 소독챔버(110)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기(400); 및
    상기 소독기본체(100)에 구비되어 상기 자외선램프(200), 음이온발생기(300), 열풍기(4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500)에는 상기 열풍기(400)의 열풍온도를 봄/가을모드로 전환시키는 봄/가을모드버튼(530), 열풍온도를 여름모드로 전환시키는 여름모드버튼(540) 및 겨울모드로 전환시키는 겨울모드버튼(55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소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봄/가을모드의 열풍온도는 상기 여름모드의 열풍온도에 비해 낮고,
    상기 겨울모드의 열풍온도는 상기 봄/가을모드의 열풍온도에 비해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소독기.



KR1020150049100A 2015-04-07 2015-04-07 전기소독기 KR201601200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100A KR20160120066A (ko) 2015-04-07 2015-04-07 전기소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100A KR20160120066A (ko) 2015-04-07 2015-04-07 전기소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0066A true KR20160120066A (ko) 2016-10-17

Family

ID=57250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9100A KR20160120066A (ko) 2015-04-07 2015-04-07 전기소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006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798Y1 (ko) 2005-10-06 2006-01-11 주원산기 주식회사 식기 소독보관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798Y1 (ko) 2005-10-06 2006-01-11 주원산기 주식회사 식기 소독보관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89635B2 (ja) 低温プラズマ・紫外線複合殺菌装置
JP2022143985A (ja) 恒温庫および保温材が装着された被服の初期化方法
ES2720773T3 (es) Recipiente de desodorización y desinfección
CN203524559U (zh) 一种毛巾消毒烘干装置
KR20130102241A (ko) 제습기능과 살균기능을 구비한 옷장
KR20080055288A (ko) 광촉매를 이용한 신발 살균 자판기
JP2006057898A (ja) 履物用殺菌・乾燥キャビネット
KR20120092800A (ko) 신발 살균 건조기 그 외 환기 장치
KR200454036Y1 (ko) 문이 없는 신발장 및 개방된 곳을 살균하는 살균기
KR20190055583A (ko) 태양전지판이 구비된 휴대형 자외선 살균기
CN201436908U (zh) 组合式消毒鞋柜
CN204951715U (zh) 大型分室多功能餐具消毒房
CN201524055U (zh) 多功能电热烘鞋机
KR20140101641A (ko) 스탠드형 간이 건조기
KR20160114831A (ko) 제습 및 살균 기능을 가지는 가구
KR200347100Y1 (ko) 살균, 탈취 및 건조 수단을 구비한 신발수납장
KR20170069393A (ko) 세라믹 허니컴 히터를 구비한 에어 커튼
KR200296964Y1 (ko) 신발소독건조기.
JP3157460U (ja) エアータオル装置
KR20160120066A (ko) 전기소독기
CN202477628U (zh) 多功能电子消毒鞋柜
KR200471377Y1 (ko) 캐비넷형 근적외선 소독장치
CN105411203A (zh) 一种除湿杀菌鞋柜
CN100447330C (zh) 衣物干燥消毒柜
KR20030089523A (ko) 신발 살균 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