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0013A - 진공 단열재 설치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진공 단열재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진공 단열재 설치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진공 단열재 설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0013A
KR20160120013A KR1020150048941A KR20150048941A KR20160120013A KR 20160120013 A KR20160120013 A KR 20160120013A KR 1020150048941 A KR1020150048941 A KR 1020150048941A KR 20150048941 A KR20150048941 A KR 20150048941A KR 20160120013 A KR20160120013 A KR 20160120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vacuum insulator
vacuum insulation
insulator
mount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8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0951B1 (ko
Inventor
전순복
Original Assignee
전순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순복 filed Critical 전순복
Priority to KR1020150048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0951B1/ko
Publication of KR20160120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0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0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0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2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of the insulation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04B1/803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with vacuum spaces included in the slab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2001/389Brack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42Slab shaped vacuum insu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10Insulation, e.g. vacuum or aerogel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에 진공 단열재를 설치하는데 이용되는 진공 단열재 설치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다른 진공 단열재 설치 브라켓은 건축물에 진공 단열재를 설치하기 위한 진공 단열재 설치 브라켓으로서, 진공 단열재의 제1 표면을 지지하는 제1 플레이트와, 진공 단열재의 제2 표면을 지지하는 제2 플레이트와, 진공 단열재의 두께 방향을 따라 제1 및 제2 플레이트의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진공 단열재 설치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진공 단열재 설치 방법{BRACKET FOR MOUNTING VACUUM INSULATOR AND METHOD FOR MOUNTING VACUUM INSULAT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축물에 진공 단열재를 설치하는데 이용되는 진공 단열재 설치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진공 단열재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진공 단열재는 진공의 낮은 열전도 특성을 이용한 고성능 단열재로서, 최근들어 스티로폼 또는 우레탄과 같은 종래 단열재 대신에 신축 또는 개축되는 건축물에 적용되고 있다. 진공 단열재는 스페이서 역할을 수행하는 심재를 외피재 속에 삽입한 후 내부를 감압하여 밀봉한 단열재로서 소정 두께를 갖는 사각형 패널로 제작되며, 매우 낮은 열전도도를 갖는다.
이때, 심재로는 폴리우레탄 발포체와 같은 유기 심재 또는 유리 섬유와 실리카와 같은 무기 심재가 이용될 수 있으며, 종래의 일반적인 단열재가 0.031~0.040W/mk의 단열 성능을 발휘하는 반면, 진공 단열재는 0.0002~0.015W/mk의 우수한 단열 성능을 발휘한다. 이러한 진공 단열재의 단열 성능은 진공도를 유지함으로써 발현되는데, 진공 단열재 파손으로 인해 내부로 공기가 유입됨으로써 단열 성능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실제 시공 현장에서 진공 단열재 설치 시 특별한 주의를 요한다.
이러한 진공 단열재를 벽체에 설치하기 위한 종래 진공 단열재 설치구가 2009년 7월 30일자 공개된 일본 특허공개 제2009-167683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a는 종래기술의 제 1 예에 따른 진공 단열재 설치구를 이용하여 진공 단열재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b는 종래기술의 제 1 예에 따른 진공 단열재 설치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a 및 1b를 참조하면, 종래기술의 제 1 예에 따른 진공 단열재 설치구(3)는 일체로 구성된 내측 원형 플레이트(4), 외측 원형 플레이트(5) 및 원통체(6)를 포함하고, 진공 단열재(1)는 내측 및 외측 원형 플레이트(4, 5) 사이에 끼움 고정된다. 이러한 제 1 예의 진공 단열재 설치구(1)를 이용하여 규격화된 양산 진공 단열재(Standardized Mass-product of Vacuum Insultor)(즉, 진공도, 두께, 폭, 길이 및 재질 등이 미리 정해진 규격에 맞추어 양산된 진공 단열재)를 설치할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제 1 예에 따른 진공 단열재 설치구(3)가 앵커 볼트(2)에 장착된 상태에서 다수의 진공 단열재 설치구(3)에 진공 단열재(1)를 설치할 경우, 작업자는 진공 단열재(1)를 구부린 상태에서 다수의 진공 단열재 설치구(3)의 내측 및 외측 원형 플레이트(4, 5)에 끼워 설치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진공 단열재(1)가 구부려지게 되면 진공 단열재(1)가 파손되어 그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현상(이른바, 진공 깨짐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크며, 결국 건축물의 진공 단열 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와 달리, 진공 단열재 설치구(3)를 앵커 볼트(2)에 장착하기에 앞서 제 1 예에 따른 진공 단열재 설치구(3)의 내측 및 외측 원형 플레이트(4, 5)에 진공 단연재(1)를 먼저 끼우는 방식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다수의 진공 단열재()가 제 1 예에 따른 다수의 진공 단열재 설치구(3)에 끼움 고정된 상태에서 벽체(A)에 일괄 시공될 수밖에 없으며, 이러한 일괄 시공 방식은 진공 단열재 시공 현장에 실제 적용되기 어려울 것이다.
도 2a는 종래기술의 제 2 예에 따른 진공 단열재 설치구를 이용하여 진공 단열재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b는 종래기술의 제 2 예에 따른 진공 단열재 설치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 및 2b를 참조하면, 종래기술의 제 2 예에 따른 진공 단열재 설치구(3)는 일체로 구성된 외측 플레이트(5) 및 원통체(6)를 포함한다.
제 2 예에 따른 진공 단열재 설치구(3)를 이용하여 진공 단열재(1)를 설치한 경우,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 단열재(1)는 벽체(A)와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되고, 그 직접적 접촉에 따른 마찰로 인해 진공 단열재(1)가 찢겨져 파손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 그 결과, 진공 단열재에는 진공 깨짐 현상이 발생하여 건축물의 단열 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도 3a는 종래기술의 제 3 예에 따른 진공 단열재 설치구를 이용하여 진공 단열재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b는 종래기술의 제 3 예에 따른 진공 단열재 설치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 및 3b를 참조하면, 종래기술의 제 3 예에 따른 진공 단열재 설치구(3)는 내측 원형 플레이트(5)와 대직경 원통체(6)가 일체로 구성된 내측 구성 부품 및 외측 원형 플레이트(5)와 소직경 원통체(7)가 일체로 구성된 외측 구성 부품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 3 예에 따른 진공 단열재 설치구(3)를 이용하여 진공 단열재(1)를 설치할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제 3 예에 따른 진공 단열재 설치구(3)를 이용하여 진공 단열재(1)를 설치할 경우, 먼저 대직경 원통체(6)을 앵커 볼트(2)에 삽입 장착한 후 진공 단열재(1)를 대직경 원통체(6) 상에 위치시키고, 이후 소직경 원통체(5)가 앵커 볼트(2)와 대직경 원통체(6)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도록 외측 구성 부품의 소직경 원통체(5)를 정렬시켜야 하기 때문에 진공 단열재의 시공에 있어서 상당한 불편이 초래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제 3 예의 진공 단열재 설치구(3)에 따르면, 2개의 대직경 및 소직경 원통체(6, 7)가 앵커 볼트(2)에 중첩 삽입된다. 따라서, 대직경 원통체(7)의 두께만큼 단열 시공되지 않는 영역이 증가하게 되며, 그에 따라 건축물의 단열 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규격화된 양산 진공 단열재를 파손 없이 건축물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이와 함께 외장재의 자중에 의해 진공 단열재 설치 브라켓에 작용하는 굽힘 모멘트(Bending Moment)에 의해 진공 단열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진공 단열재 설치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진공 단열재 설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단열재 설치 브라켓은 건축물에 진공 단열재를 설치하기 위한 진공 단열재 설치 브라켓으로서, 상기 진공 단열재의 제1 표면을 지지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진공 단열재의 제2 표면을 지지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진공 단열재의 두께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의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진공 단열재의 두께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장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진공 단열재의 제1 표면과 상기 건축물 사이에 간극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는 각각 반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에 진공 단열재를 설치하기 위한 진공 단열재 설치 방법은, a) 상기 건축물에 앵커 볼트를 고정시키는 단계; b) 상기 진공 단열재의 제1 표면을 지지하는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진공 단열재의 제2 표면을 지지하는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진공 단열재의 폭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의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진공 단열재 설치 브라켓과 상기 진공 단열재를 체결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진공 단열재를 상기 건축물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진공 단열재 사이의 틈새를 단열 테이프로 밀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단열재 설치 브라켓을 이용하여 진공 단열재를 파손 없이 건축물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단열재 설치 브라켓은 외장재의 자중에 의해 진공 단열재 설치 브라켓에 작용하는 굽힘 모멘트에 의해 진공 단열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a는 종래기술의 제 1 예에 따른 진공 단열재 설치구를 이용하여 진공 단열재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b는 종래기술의 제 1 예에 따른 진공 단열재 설치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는 종래기술의 제 2 예에 따른 진공 단열재 설치구를 이용하여 진공 단열재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b는 종래기술의 제 2 예에 따른 진공 단열재 설치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는 종래기술의 제 3 예에 따른 진공 단열재 설치구를 이용하여 진공 단열재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b는 종래기술의 제 3 예에 따른 진공 단열재 설치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단열재 설치 브라켓, 외장재 설치 브라켓 및 앵커 볼트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단열재 설치 브라켓, 외장재 설치 브라켓 및 앵커 볼트가 모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단열재 설치 브라켓을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단열재 설치 브라켓을 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단열재 설치 브라켓이 진공 단열재의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단열재 설치 브라켓을 이용하여 진공 단열재를 설치하기 위한 진공 단열재 시공 흐름도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의 기재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가 단수형으로 기재하였다고 해서, 그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구성요소은 복수 개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은 본 발명의 진공 단열재 설치 브라켓, 외장재 설치 브라켓 및 앵커 볼트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진공 단열재 설치 브라켓, 외장재 설치 브라켓 및 앵커 볼트가 모두 조립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진공 단열재 설치 브라켓을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진공 단열재 설치 브라켓을 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6c는 본 발명의 진공 단열재 설치 브라켓이 진공 단열재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앵커 볼트(Anchor Bolt)(10)는,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 단열재(20)가 설치되는 진공 단열재 설치 브라켓(30) 및 외장재가 설치되는 외장재 설치 브라켓(50)를 지지하는 구성요소로서, 진공 단열재(20)를 시공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측벽 등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앵커 볼트(10)의 견고한 고정은 건축물의 측벽에 형성된 구멍 내에서 앵커 볼트(10)의 헤드(Head)(11)를 웨지 슬리브(Wedge Sleeve)(미도시)와 함께 쐐기 결합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단열재 설치 브라켓(30)은 제1 플레이트(31), 제2 플레이트(32) 및 연결부(33)를 포함한다.
제1 플레이트(First Plate)(31)는 진공 단열재(20)와 건축물의 측벽 사이에 개재되어 진공 단열재(20)의 제1 표면을 지지하고 진공 단열재(20)와 건축물의 측벽 사이에 간극(Gap)을 형성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간극을 통해 진공 단열재(20)와 건축물의 측벽이 서로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진공 단열재(20)가 파손되어 진공 깨짐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한다.
제2 플레이트(Second Plate)(32)는 일 측면에서 진공 단열재(20)의 제1 표면에 반대되는 표면인 제2 표면을 지지하고, 타 측면에서 후술하는 외장재 설치 브라켓(50)을 지지하는 구성요소이다.
제1 및 제2 플레이트(31, 32)는 진공 단열재(20)의 두께 방향으로 사전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제1 및 제2 플레이트(31, 32) 간의 이격 거리는 실질적으로 진공 단열재(20)의 두께와 동일하다. 이때, 제1 및 제2 플레이트(31, 32)는 반원 디스크 형상의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에 따라 진공 단열재(20)가 제1 및 제2 플레이트(31, 32)의 곡선 에지(Curved Edges) 사이에 파손 없이 안정적으로 끼워질 수 있다.
연결부(33)는 제1 및 제2 플레이트(31, 32)의 직선 단부(Straight Ends)를 진공 단열재(20)의 두께 방향으로 연결하는 구성요소이다. 연결부(33)의 중앙부에는 앵커 볼트(10)에 걸려 끼워지도록 진공 단열재(20)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된 장착홈(3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진공 단열재 설치 브라켓(30)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의 진공 단열재(20)의 좌우 가장자리에 각각 끼움 체결된다. 도 6c에는 2개의 진공 단열재 설치 브라켓(30)이 진공 단열재(20)의 좌우 가장자리에 각각 끼움 체결된 예가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진공 단열재 설치 브라켓(30)은 진공 단열재(20)의 상하 가장자리에 구비될 수 있으며, 2개 이상의 진공 단열재 설치 브라켓(30)이 진공 단열재(20)의 각 가장자리에 끼움 체결될 수도 있다.
외장재 설치 브라켓(50)은 석재 등과 같은 외장재를 설치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수직부(51)와 수평부(52)를 포함하는 'L'형상의 구성요소이다.
수직부(51)에는 수직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 수직 장공(53)이 형성되어 있으며, 수직 장공(53)을 관통하여 앵커 볼트(10)가 삽입된다. 이러한 수직 장공(53)을 통해 외장재 설치 브라켓(50)은 앵커 볼트(10)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외장재 설치 브라켓(50)은 상하 방향으로의 미세 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수평부(52)에는 수평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 수평 장공(54)이 형성되어 있으며, 수평 장공(54)을 관통하여 외장재와 암수 결합하는 외장재 설치핀이 삽입된다. 이러한 수평 장공(54)을 통해 외장재는 수평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외장재는 수평 방향으로의 미세 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수직 및/또는 수평 방향으로의 미세 위치 조정을 통해 외장재 설치 브라켓(50)에 설치되는 외장재의 제작 오차를 보완할 수 있다.
외장재가 외장재 설치 브라켓(50)에 설치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재의 자중에 의해 발생되는 굽힘 모멘트(BM)가 외장재 설치 브라켓(50)을 통해 진공 단열재 설치 브라켓(30)에 전달된다. 이때, 진공 단열재 설치 브라켓(30)에 전달되는 굽힘 모멘트(BM)는 오로지 연결부(33)를 통해 건축물의 측벽으로 전달되며 제2 플레이트(32)에는 전혀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굽힘 모멘트(BM)가 제2 플레이트(32)에 직접 작용하여 제2 플레이트(32)를 변형시킴으로써 결국 진공 단열재(20)를 파손시키는 현상은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연결부(33)가 외장재 설치 브라켓(50)을 지지하기 때문에, 석재 등과 같은 고중량의 외장재가 브라켓(50)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제, 도 7에 도시된 진공 단열재 설치 흐름도를 참조하여 진공 단열재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단열재 설치 방법은, 앵커 볼트 설치 위치 표시 단계(S100), 앵커 볼트 고정 단계(S200), 진공 단열재 설치 브라켓 체결 단계(S300) 및 진공 단열재 설치 단계(S400)를 포함한다.
앵커 볼트 설치 위치 표시 단계(S100)는 진공 단열재(20)의 규격화된 크기를 고려하여 건축물의 측벽이나 천정 슬라브 등에 앵커 볼트(10)가 설치될 위치를 표시하는 단계를 말한다. 이러한 앵커 볼트 설치 위치 표시 단계는 먹줄 등을 이용한 일반적인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앵커 볼트 고정 단계(S200)는 건축물의 측벽이나 천정 슬라브 등에 표시된 설치 위치에 앵커 볼트(10)를 고정하는 단계를 말한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드릴 공구 등을 이용하여 그 표시된 설치 위치에 구멍을 뚫고, 이후 구멍 내부에서 앵커 볼트(10)의 헤드(11) 부분을 웨지 슬리브와 함께 쐐기 고정시킴으로써 앵커 볼트(10)를 건축물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진공 단열재 설치 브라켓 체결 단계(S300)는 진공 단열재의 좌우 및/또는 상하 가장자리 각각에 적어도 하나의 진공 단열재 설치 브라켓(30)을 끼워 체결시키는 단계를 말한다.
진공 단열재 설치 단계(S400)는, 진공 단열재(20)에 설치된 진공 단열재 설치 브라켓(30)의 장착홈(34)을 통해 앵커 볼트(10)에 걸어 끼움으로써 건축물에 진공 단열재(20)를 설치하는 단계를 말한다.
외장재 설치 브라켓을 앵커 볼트에 장착하는 단계(S500)은 외장재가 설치되는 외장재 설치 브라켓(50)를 수직부(51)의 장공을 통해 앵커 볼트(10)에 삽입하여 장착하는 단계를 말한다.
단계(S500) 수행 이후, 외장재 설치 브라켓(50)을 앵커 볼트(10)에 삽입 장착한다. 이후, 앵커 볼트(10), 진공 단열재 설치 브라켓(30) 및 외장재 설치 브라켓(50)를 체결시키기 위해 너트(56)가 와셔(55)와 함께 앵커 볼트(10)에 나사 결합된다.
또한, 다수의 진공 단열재(20) 사이의 틈새로부터의 열 손실을 줄이기 위해 그 틈새를 단열 테이프로 밀봉하는 단계가 추가로 수행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앞서 설명된 구체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앞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그러한 수정이나 변경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 : 앵커 볼트
20 : 진공 단열재
30 : 진공 단열재 설치 브라켓
31 : 제1 플레이트
32 : 제2 플레이트
33 : 연결부
34 : 장착홈
50 : 외장재 설치 브라켓

Claims (6)

  1. 건축물에 진공 단열재를 설치하기 위한 진공 단열재 설치 브라켓으로서,
    상기 진공 단열재의 제1 표면을 지지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진공 단열재의 제2 표면을 지지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진공 단열재의 두께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의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는 진공 단열재 설치 브라켓.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진공 단열재의 두께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장착홈을 포함하는
    진공 단열재 설치 브라켓.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진공 단열재의 제1 표면과 상기 건축물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진공 단열재 설치 브라켓.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는 각각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진공 단열재 설치 브라켓.
  5. 진공 단열재의 제1 표면을 지지하는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진공 단열재의 제2 표면을 지지하는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진공 단열재의 두께 방향을 따라 제1 및 제2 플레이트의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진공 단열재 설치 브라켓을 이용하여 진공 단열재를 건축물에 설치하기 위한 진공 단열재 설치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건축물에 앵커 볼트를 고정시키는 단계;
    b) 상기 진공 단열재 설치 브라켓과 상기 진공 단열재를 체결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진공 단열재를 상기 건축물에 설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진공 단열재 설치 방법.
  6.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단열재 사이의 틈새를 단열 테이프로 밀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진공 단열재 설치 방법.
KR1020150048941A 2015-04-07 2015-04-07 진공 단열재 설치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진공 단열재 설치 방법 KR101730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941A KR101730951B1 (ko) 2015-04-07 2015-04-07 진공 단열재 설치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진공 단열재 설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941A KR101730951B1 (ko) 2015-04-07 2015-04-07 진공 단열재 설치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진공 단열재 설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0013A true KR20160120013A (ko) 2016-10-17
KR101730951B1 KR101730951B1 (ko) 2017-04-27

Family

ID=57250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8941A KR101730951B1 (ko) 2015-04-07 2015-04-07 진공 단열재 설치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진공 단열재 설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095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8656A (ko) 2018-10-30 2020-05-08 (주)세영하우징 진공단열재 고정브래킷
KR20200048657A (ko) 2018-10-30 2020-05-08 (주)세영하우징 진공단열재 조립체
KR102402687B1 (ko) * 2021-07-28 2022-05-26 주식회사 퓨처하우징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 및 이것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274B1 (ko) 2020-07-10 2021-05-28 황병선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7683A (ja) * 2008-01-16 2009-07-30 Smile Kobo:Kk 外断熱構造及びそれに用いる真空断熱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8656A (ko) 2018-10-30 2020-05-08 (주)세영하우징 진공단열재 고정브래킷
KR20200048657A (ko) 2018-10-30 2020-05-08 (주)세영하우징 진공단열재 조립체
KR102402687B1 (ko) * 2021-07-28 2022-05-26 주식회사 퓨처하우징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 및 이것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0951B1 (ko) 2017-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0951B1 (ko) 진공 단열재 설치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진공 단열재 설치 방법
KR101741427B1 (ko)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KR101437429B1 (ko) 건물 외장재 및 외부 단열재 설치 브라켓
KR20170121098A (ko) 진공 단열재 설치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진공 단열재 설치 방법
KR101970309B1 (ko) 결로 방지를 위한 마감패널 및 이를 구비한 마감장치
KR20190000830U (ko) 단열재 시공을 위한 간격유지구
US10508433B2 (en) Vacuum insulating material providing assembly and vacuum insulating material providing method using same
KR20200048656A (ko) 진공단열재 고정브래킷
WO2022010103A1 (ko)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
KR20150055519A (ko) 벽돌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벽돌벽 시공방법
KR101080710B1 (ko) 불연속적인 구조체를 활용한 단열 커튼월 시스템
WO2016190610A1 (ko) 단열재모듈 및 이를 이용한 단열벽구조 및 이를 이용한 단열벽 시공방법
KR20200048657A (ko) 진공단열재 조립체
JP6456594B2 (ja) 内装壁の取付構造及び取付方法
KR102133944B1 (ko)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KR20140071621A (ko) 단열재용 유니버셜 인서트
KR20170004836A (ko) 진공 단열재 설치 어셈블리
KR20140093126A (ko)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
KR101758745B1 (ko) 건축물용 외장패널 고정구조
KR20160125661A (ko)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381107B1 (ko) 하이브리드 패널의 고정구조
KR102193077B1 (ko) 관통 슬리브유닛
JP4648543B2 (ja) エレベータ階扉構体
KR20210156395A (ko) 단열기능과 천공관을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장치 및 시공방법
JP7098541B2 (ja) 建物の壁構造、サッシ及び建物の壁の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