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9528A - 냉장고 및 이를 이용한 체성분 측정 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 및 이를 이용한 체성분 측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9528A
KR20160119528A KR1020150048304A KR20150048304A KR20160119528A KR 20160119528 A KR20160119528 A KR 20160119528A KR 1020150048304 A KR1020150048304 A KR 1020150048304A KR 20150048304 A KR20150048304 A KR 20150048304A KR 20160119528 A KR20160119528 A KR 201601195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body composition
unit
fingerprint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8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3081B1 (ko
Inventor
박종원
히로시 아와타
김관준
김현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48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3081B1/ko
Priority to US15/092,546 priority patent/US9892248B2/en
Publication of KR20160119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9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3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3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7Measuring body composition by impedance, e.g. tissue hydration or fat cont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17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171Identification of persons based on the shapes or appearances of their bodies or parts thereof
    • A61B5/1172Identification of persons based on the shapes or appearances of their bodies or parts thereof using fingerprin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5Ha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75User input or interface means, e.g. keyboard, pointing device, joysti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75User input or interface means, e.g. keyboard, pointing device, joystick
    • A61B5/749Voice-controlled inte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handling medical images, e.g. DICOM, HL7 or PAC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16Operational features thereof
    • A61B3/0041Operational features thereof characterised by display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28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visual acuity; for determination of refraction, e.g. phorop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1French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4Sensors detecting the presence of a pers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Abstract

냉장고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의 일 측에 배치된 손잡이, 손잡이를 사용자가 파지하면, 사용자의 지문 및 사용자의 체성분을 측정하는 측정부, 측정된 체성분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측정된 지문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로서 측정된 체성분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장고 및 이를 이용한 체성분 측정 방법{REFRIGERATOR AND METHOD FOR MEASURING BODY COMPOSITION USING THE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 및 체성분 측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체성분 및 사용자의 지문을 측정할 수 있는 냉장고 및 이를 이용한 체성분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식품을 신선하게 장기간 보관하기 위하여, 냉장고 내부의 저장실을 저온으로 유지하는 장치를 말한다.
근래, 냉장고는 위에서 언급한 식품을 보관하는 용도를 넘어 보다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도록 발전하고 있다.
특히, 냉장고는 각 가정의 집안에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가전제품으로서, 냉장고에서 구현되는 기능의 확장은, 보다 많은 사용자의 삶의 질을 풍족하게 할 수 있다.
특히, 현대인의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감에 따라 사용자는 냉장고에 몸에 좋은 음식을 저장하고 섭취하는 것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사용자의 건강을 관리할 수 있는 기능에 대한 요구가 증대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필요성에 귀감이 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체성분 및 사용자의 지문을 측정할 수 있는 냉장고 및 이를 이용한 체성분 측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의 일 측에 배치된 손잡이, 상기 손잡이를 사용자가 파지하면, 상기 사용자의 지문 및 상기 사용자의 체성분을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된 체성분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측정된 지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로서 상기 측정된 체성분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측정부는,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감지부 및 한 쌍의 전극부에 접촉된 상기 사용자의 체성분을 측정하는 체성분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문감지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를 파지하였을 때, 상기 파지한 손의 엄지 손가락이 상기 손잡이에 닿을 수 있는 가동범위에서 상기 엄지 손가락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접촉면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성분측정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를 양손으로 파지하였을 때, 상기 파지한 양손의 손바닥이 상기 손잡이에 닿는 부위 각각에 걸쳐 상기 한 쌍의 전극부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장고는 양문형 타입(side by side door type: SBS type)이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양 도어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전극부는, 상기 양 도어 각각의 상기 손잡이를 파지한 두 손에 별도로 접촉되도록, 상기 양 손잡이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문감지부에서 상기 지문의 인식이 기결정된 시간 지속되면, 상기 체성분의 측정을 개시하도록 상기 체성분측정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지문에 대응하는 기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가 검색되면, 상기 체성분을 측정하도록 상기 측정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정부는, 상기 손잡이를 파지한 상기 사용자의 손에 교류전류를 출력하여, 상기 손의 임피던스를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임피던스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올바른 방법으로 상기 손잡이를 파지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정부는, 상기 체성분을 측정하기 위한 교류전류를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공급된 교류전류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한 쌍의 전극과의 연결을 다른 전극으로 스위칭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문감지부에서 상기 지문이 인식되는 신호의 패턴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된 옵션의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체성분측정부에서 상기 한 쌍의 전극부 중 적어도 하나에 접촉된 손의 임피던스의 크기가 변화하는 패턴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된 옵션의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장부는,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나이, 성별, 신장 및 체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부가 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된 복수의 부가 정보 중에서 상기 식별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부가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검색된 부가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사용자의 체성분을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사용자의 시력을 검사하기 위한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냉장고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음성이 상기 표시된 문자와 대응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문자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체성분을 측정하는 체성분 측정 방법은, 상기 냉장고의 저장실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의 일 측에 배치된 손잡이를 파지한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지문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지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손잡이를 파지한 상기 사용자의 양손과 접촉한 한 쌍의 전극부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체성분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로서 상기 측정된 체성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체성분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지문의 인식이 기결정된 시간 지속되면, 상기 사용자의 체성분을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성분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인식된 지문에 대응하는 기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가 검색되면, 상기 사용자의 체성분을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성분 측정 방법은 상기 체성분을 측정하기 위한 교류전류를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공급된 교류전류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한 쌍의 전극과의 연결을 다른 전극으로 스위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성분 측정 방법은,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나이, 성별, 신장 및 체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부가 정보가 기저장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복수의 부가 정보 중에서 상기 식별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부가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성분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된 부가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사용자의 체성분을 분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성분 측정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시력을 검사하기 위한 문자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음성이 상기 표시된 문자와 대응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표시된 문자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다 편리한 사용자의 신체 측정 정보의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가정 내에서 별도의 신체 측정 기기가 필요치 않게 되어, 공간의 경제성이 증대한다.
별도의 입력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 그대로 조작이 가능하다. 또한, 전원과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구성에 의해 회로의 복잡성이 감소하고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접근성이 좋은 냉장고를 이용하여 간과하기 쉬운 눈 건강을 수월하게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간략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냉장고의 손잡이의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성분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체성분 측정을 위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화면의 예시,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사용자가 손잡이를 이용하여 조작 가능한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11은 도 8 내지 도 10의 패턴에 따라 입력된 사용자 조작에 의해 화면이 변경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회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간략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5는 도 14의 냉장고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성분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17은 도 16의 체성분 측정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간략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냉장고(100)는 측정부(110), 디스플레이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냉장고(100)는 외형을 이루는 본체에 하나 또는 복수의 식품을 저온으로 저장할 수 있는 저장실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저장실의 개폐를 위한 하나 또는 복수의 도어가 구성될 수 있다. 냉장고(100)에는 기계실이 구비되고, 기계실의 열교환장치에 의해 외부 공기와 저장실 내부 공기간에 열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냉장고(100)의 도어의 일 측에는 손잡이가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저장실을 개패하기 위한 도어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포함될 수 있다. 손잡이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측정부(110)는 사용자가 손잡이를 파지하면, 사용자의 지문 및 사용자의 체성분을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측정부(110)는 파지한 사용자의 손에 지문을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측정부(100)는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측정부(110)는 파지한 사용자의 체성분을 측정하기 위하여 한 쌍의 전극부를 갖는 체성분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측정부(110)는 부가 정보를 반영하여 체성분을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측정부(110)는 식별된 사용자에 대한 기저장된 부가 정보를 반영하여 보다 정확한 체구성 성분의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부가 정보는 사용자의 나이, 성별, 신장 및 체중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측정부(110)는 손잡이를 파지한 사용자의 손에 교류전류를 출력하여 손의 임피던스를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측정부(110)는 손잡이에 구비된 두 개의 전극을 통해 손잡이를 파지한 사용자의 손으로 교류전류를 방출할 수 있다. 그리고, 측정부(110)는 출력한 교류전류의 크기와 두 전극 사이의 전압을 측정하여 손의 임피던스를 계산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측정된 체성분 정보를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체성분을 측정한 사용자에게 측정 결과를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는 측정된 체성분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측정된 체성분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이외에 다양한 선택가능한 옵션 및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화면들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냉장고(100)의 각 구성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냉장고(100)에서 구현된 체성분 측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CPU와, 냉장고(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ead-Only Memory: ROM) 및 냉장고(1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기억하거나, 냉장고(100)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위한 기억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ndom Access Memory: RAM)을 포함한다. CPU는 싱글 코어 프로세서, 듀얼 코어 프로세서, 트리플 코어 프로세서 및 쿼드 코어 프로세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CPU, 롬 및 램은 내부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된다.
제어부(130)는 측정부(110)에서 측정된 지문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식별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지문이 측정되면, 지문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 고유하게 인식될 수 있는 식별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측정된 체성분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측정된 체성분 정보를 식별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로서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식별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식별 정보로서 저장부에 등록된 사용자로 저장하고, 식별 정보와 연관시켜 측정된 체성분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에 저장되는 체성분 정보는 누적되어 저장될 수도 있고, 새롭게 매회 측정될 때마다 갱신될 수 있다.
저장부는 부가 정보가 더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는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부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는 냉장고(100) 내의 저장매체 및 외부 저장 매체, 예를 들어, USB 메모리를 포함한 Removable Disk, 네트워크를 통한 웹서버(Web serv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어프로그램의 저장 및 수행 등에 이용되는 RAM, ROM에 대해 제어부(130)의 일 구성으로 설명하였지만, 저장부의 일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측정된 지문에 대응하는 기저장된 식별 정보가 검색되면 체성분을 측정하도록 측정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지문의 측정이 이루어지면, 측정된 지문에 대응되는 식별 정보를 저장부에서 검색하고, 식별 정보가 검색되면, 기등록된 사용자로 취급하고, 체성분의 측정을 개시하도록 측정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기저장된 식별 정보가 검색되지 아니하면, 제어부(130)는 신규 사용자로 판단하고, 사용자를 저장부에 등록하기 위한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측정부(110)에서 측정된 손의 임피던스의 크기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올바른 방법으로 손잡이를 파지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기설정된 임계값과 측정부(110)에서 측정된 손의 임피던스를 비교하여 사용자가 체성분을 측정하기에 올바른 방법으로 손잡이를 파지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저장부에서 식별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부가 정보를 검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측정된 지문을 이용하여 식별된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저장부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식별 정보와 대응된 부가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검색된 부가 정보를 반영한 체성분의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측정부(110)에 부가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상 설시한 바와 같은 냉장고는 사용자가 자신에 해당하는 식별 정보를 찾아 선택해야 하는 번거로운 조작 없이 자신에 해당하는 정보로서 측정된 체성분 정보의 관리 및 저장이 가능하다.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냉장고(100)는 지문감지부(111) 및 체성분측정부(112)를 포함하는 측정부(110), 디스플레이부(120), 제어부(130), 저장부(140) 및 입력부(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20), 제어부(130), 저장부(140)에 대한 구성 및 동작은 도 1의 디스플레이부(120), 제어부(130), 저장부(140)의 구성 및 동작을 포함하는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지문감지부(111)는 지문을 인식한다. 구체적으로, 지문감지부(111)는 손잡이를 파지한 사용자의 손가락의 지문을 인식할 수 있다. 지문감지부(111)는 다양한 형태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문감지부(111)는 렌즈와 프리즘을 이용하여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지문에 전반사시켜 지문의 골과 산이 가진 반사율의 차이를 반영되는 반사상을 생성하는 광학형 지문인식센서가 될 수 있다. 또한, 지문감지부(111)는 지문의 골과 산의 정전용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전기신호를 디지털 이미지로 구현하는 정전용량형 지문인식센서가 될 수 있다. 또한, 지문감지부(111)는 지문이 접촉할 때 지문의 골과 산의 열의 차이에 의해 온도변화를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초전물질을 이용한 열감지형 지문인식센서가 될 수 있다.
지문감지부(111)는 사용자가 손잡이를 파지하였을 때, 파지한 손의 엄지 손가락이 손잡이에 닿을 수 있는 가동범위에서 엄지 손가락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접촉면이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문감지부(111)는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접촉면을 사용자가 손잡이를 파지하였을 때 엄지손락의 지문이 자연스럽게 닿을 수 있는 위치에 구비할 수 있다.
체성분측정부(112)는 한 쌍의 전극부를 구비하고, 전극부에 접촉된 사용자의 체성분을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성분측정부(112)는 4개의 전극으로 구성된 한 쌍의 전극부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4개의 전극은 교류전류를 출력하기 위한 양단 및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양단의 전극으로 구성될 수 있다.
체성분측정부(112)는 생체전기저항법(BIA)을 이용한 알고리즘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성분측정부(112)는 미세전류를 인체에 흘려주어 측정된 인체의 임피던스로부터 몸의 구성 성분인 체수분, 체지방, 제지방 등을 계산하는 알고리즘으로 구성될 수 있다. 체성분측정부(112)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체성분측정부(112)는 사용자가 손잡이를 양손으로 파지하였을 때, 파지한 양손의 손바닥이 손잡이에 닿는 부위 각각에 걸쳐 한 쌍의 전극부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성분측정부(112)의 전류를 출력하기 위한 한 쌍의 전극부는 손잡이의 내부에 함입되고 그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어, 손잡이를 잡은 사용자의 양손에 접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냉장고(100)가 양문형 타입(SBS type)이고, 손잡이가 양 도어에 각각 구비되는 경우, 체성분측정부(1112)의 전극부는 양 도어 각각의 손잡이를 파지한 두 손에 별도로 접촉되도록 양 손잡이에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저장부(140)는 냉장고(100)의 제어 및 동작에 필요한 각종 실행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40)는 냉장고(100)의 하드웨어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기 위한 플랫폼, 프로그램 구동을 위한 OS 및 특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된 어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사용자의 건강 정보가 이력으로서 시간에 따라 누적되어 저장될 수 있다.
입력부(150)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50)는 사용자의 누름 조작을 수신하는 버튼으로 구현되거나, 터치 조작을 수신하는 정전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는 입력부(150)가 사용자의 인터페이싱을 위한 별도의 구성으로 설명하였으나, 구현시에는 디스플레이부(120)와 함께 화면상에 터치 입력이 가능한 하나의 터치 스크린 패널이 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지문감지부(111)에서 지문의 인식이 기결정된 시간 지속되면, 체성분의 측정을 개시하도록 체성분측정부(112)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지문감지부(111)에서 지문을 인식시키는 사용자의 조작이 기결정된 시간 지속되면, 체성분을 측정하고자 하는 의도로 판단하고, 별도의 입력 조작 없이 손잡이를 파지한 사용자의 양손으로 전류를 흘려보내어 체성분을 측정하도록 체성분측정부(112)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조작 명령에 따라 옵션의 선택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옵션들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표시된 옵션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조작 명령에 따라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지문감지부(111)에서 지문이 인식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지문감지부(111)에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접촉면에 접촉을 감지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지문이 인식되는 신호의 패턴에 따라 옵션의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체성분측정부(112)에서 한 쌍의 전극부 중 적어도 하나에 접촉된 손의 임피던스 크기가 변화하는 패턴에 따라 옵션의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손잡이를 파지하는 손의 상태에 따라 변화하는 임피던스의 크기를 기설정된 양자값을 기준으로 이진화하여, 이진화된 값이 변화하는 패턴에 따라 옵션의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위에 상술한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패턴은 후에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상 설시한 바와 같은 냉장고는 체성분측정을 위한 손잡이의 올바른 파지를 별도의 구성 없이 감지하고 별도의 입력장치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 없이 손잡이를 움켜 쥐거나 터치하는 패턴 동작만으로 옵션의 선택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냉장고(300)는 본체(10), 좌측 및 우측 도어(20-1, 20-2), 디스플레이(120) 및 좌측 및 우측 손잡이(30-1, 30-2)를 포함한다.
냉장고(300)의 본체(10)는 냉장고(300)의 외관을 형성하고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막아주고, 격벽을 통해 저장실을 구획하며, 외기를 차단하고, 내부 공기를 저온으로 유지하기 위한 단열재질을 포함한다.
냉장고(300)는 세 개의 저장실을 가지고 있다. 맨 상단의 저장실은 두 개의 문을 양쪽으로 여는 양문형 도어가 구비되고, 그 아래의 두단의 저장실은 서랍형 도어가 구비된다.
좌측 및 우측 도어(20-1, 20-2) 각각에는 손잡이(30-1, 30-2)가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단 저장실의 개폐를 위한 좌측 및 우측 도어(20-1, 20-2) 각각은 본체의 최좌측과 최우측에 힌지결합되고, 좌우 손잡이(30-1, 30-2)는 도어(20-1, 20-1)를 닫았을 때, 냉장고(300)의 가운데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는 냉장고(300)의 전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120)는 냉장고(300)를 바라보는 사용자가 화면을 볼 수 있도록 도어(20-1 또는 20-2)의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손잡이(30-1, 30-2)의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위(40)에 구비된 구성을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냉장고의 손잡이의 확대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3의 양문형 냉장고(300)의 가운데에 배치된 두 손잡이(30-1, 30-2) 각각의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위(40)에는 지문감지부의 접촉면(50-1, 50-2) 및 전극부(60-1, 60-2)가 구비된다. 그리고, 한 쌍의 전극부(60-1, 60-2) 각각은 전류전극(61-1, 61-2) 및 전압전극(62-1, 62-2)이 포함된다.
도 4의 예시에서 손잡이(30-1, 30-2)는 가는 원통형으로서, 사용자가 손잡이(30-1, 30-2)를 파지하면, 사용자의 손은 손잡이(30-1, 30-2)의 외주면을 따라 손바닥이 감싸고, 엄지 손가락은 손잡이(30-1, 30-2)의 길이방향으로 뻗어서 손잡이(30-1, 30-2)를 누른다.
접촉면(50-1, 50-2) 및 전극부(60-1, 60-2)는 파지한 손의 형태를 따라 배치된다. 접촉면(50-1, 50-2)은 엄지 손가락의 지문을 인식할 수 있는 곳에 배치되고, 전극부(60-1, 60-2)는 사용자의 양 손바닥을 따라 전류를 도통시키고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곳에 배치된다.
또한, 각 손잡이(30-1, 30-2)의 접촉면(50-1, 50-2) 및 전극부(60-1, 60-2)는 일반적인 사용자가 한 손으로 모두 덮을 수 있는 거리 이내에서 배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회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냉장고에서 사용자가 접근 가능하도록 노출된 입력부(150) 및 디스플레이부(120), 내장된 제어부(130) 및 저장부(140)는 블럭도로 도시되고, 측정부(110)의 지문감지부(111) 및 체성분측정부(112)는 개략적인 회로로 도시된다.
지문감지부(111)의 접촉부(50-1 및/또는 50-2)에서 지문을 인식한 신호 및 인식된 지문의 디지털 이미지는 제어부(130)로 전송된다.
체성분측정부(112)는 전극부(60-1, 60-2), 전원부(71) 및 전압측정부(72)를 포함한다. 제어부(130)의 체성분 측정 개시 명령에 따라 전원부(71)에서 교류전류를 공급하고, 공급된 교류전류는 전원부(71)의 출력단이 연결된 전류전극(61-1, 61-2)로 출력된다.
출력된 전류는 한 쌍의 전류전극(61-1, 61-2)에 접촉된 사용자의 양손을 따라 사용자의 몸을 관통하면서 전위차를 형성한다.
전압측정부(72)는 사용자의 양손과 접촉한 한 쌍의 전압전극(62-1, 62-2)과 연결되어 형성된 전위차를 측정한다. 그리고, 전압측정부(72)는 측정된 전압을 제어부(130)로 전달한다.
제어부(130)는 공급한 전류량과 측정된 전위차를 이용하여 임피던스를 계산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계산된 임피던스와 함께 측정이 이루어진 사용자의 부가 정보 등을 더 반영하여 사용자의 체성분을 산출한다.
이상의 도 5에서는 하나의 제어부(130)가 체성분을 측정하기 위한 연산까지 모두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구현시에는 별도의 프로세서가 측정부(110)에 포함되어 체성분의 측정을 위한 연산에 전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성분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냉장고의 냉장고의 저장실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의 일 측에 배치된 손잡이를 파지한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지문을 인식한다(S610).
그리고, 인식된 지문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식별한다(S620). 구체적으로, 지문의 고유한 특징과 대응되는 식별 정보를 생성되거나, 기등록된 사용자의 식별 정보가 검색되어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손잡이를 파지한 사용자의 양손과 접촉한 한 쌍의 전극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체성분을 측정한다(S630). 구체적으로, 생체전기저항법(BIA)에 따른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체성분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식별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로서 측정된 체성분 정보를 저장한다(S640). 구체적으로, 측정이 이루어진 사용자의 식별 정보와 대응시켜 측정된 체성분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체성분 측정 방법은 가정에서 쉽게 접근 가능한 냉장고에서 자동으로 사용자를 식별하고, 계측된 신체 정보를 저장하는바, 복수의 사용자가 이용하더라도 사용자 선택을 위한 번거로운 조작 없이 수월한 건강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성분 측정 방법은 도 1 및 도 2의 냉장고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신체 계측 방법은, 신체 계측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각 블록들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상의 컴퓨터 기록 가능한 코드로써 실시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컴퓨터시스템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디바이스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롬(ROM), 램(RAM), 씨디-롬(CD-ROMs), 마그네틱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 및 상기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텔레비전과 같은 영상디스플레이 장치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코드는 반송파의 컴퓨터 데이터 신호로 실시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체성분 측정을 위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화면의 예시이다.
도 7의 (a) 내지 (d)를 참조하면, 도 7(a)는 냉장고에 사용자의 지문이 기결정된 시간동안 인식되면 체지방계측모드로 진입할지 여부를 확인하는 화면이다. 사용자가 이 화면에서 사용자 조작에 의해 취소하는 명령을 입력하면, 냉장고는 통상의 모드로 돌아간다. 반대로, 사용자가 이 화면에서 사용자 조작에 의해 결정하는 명령을 입력하면, 도 7(b)의 화면으로 전환된다.
도 7(b)의 화면은 인식된 지문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부가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화면이다. 도 7(b)의 예에서는 인식된 지문에 기초하여 검색된 고유 식별 번호는 5번이고, 키, 무게, 나이, 성별의 부가 정보가 나열된다. 사용자는 이 화면에서 부가 정보를 결정하거나, 체지방 계측을 취소하는 선택을 할 수 있다. 사용자가 부가 정보를 결정하면 도 7(d)의 화면으로 전환된다.
도 7(c)는 인식된 지문으로부터 기등록된 사용자 정보를 찾을 수 없는 경우, 표시되는 화면이다. 사용자는 이 화면에서 신규 등록을 시작하거나, 취소할 수 있다.
도 7(d)는 체지방 계측의 시작 또는 취소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이다. 사용자가 시작을 선택하면, BIA 방법에 따른 절차가 실행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사용자가 손잡이를 이용하여 조작 가능한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8 내지 도 10의 예시는 지문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의 그래프 또는 손잡이를 파지한 사용자의 손의 임피던스의 크기를 이진화한 그래프일 수 있다. 즉, 도 8 내지 도 10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시된 타이밍 그래프는 사용자가 파지한 손잡이에서 조작 가능한 두 가지 방법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입력한 신호의 패턴의 예시임을 전제한다. 그리고, 타이밍 그래프의 빗금이 쳐진 구간은 패턴을 판단하기 위한 신호로 고려하지 않는 don't care구간이다.
도 8(a) 및 8(b)는, 사용자에게 두 가지의 선택 가능한 옵션이 주어진 경우, 가령, 디스플레이된 화면에 결정 및 취소의 두 가지 선택이 주어진 경우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작의 입력 패턴을 도시한다.
이 예시에서, 도 8(a)는 손잡이를 파지한 사용자의 왼손의 조작을 통해 결정이 선택되고, 도 8(b)는 손잡이를 파지한 사용자의 오른손의 조작을 통해 취소가 선택된다. 또한, 패턴을 판단하는 단계로 진입한 이후, 시구간 t1 및 t3는 0.5초 이상, t2는 0.3초 이상 0.8초 이하로 기정의될 수 있다.
도 9(a) 및 9(b)는 하나의 지문감지부만이 존재할 때, 사용자에게 두 가지의 선택 가능한 옵션이 주어진 경우, 한 손의 조작만으로 두 가지 주어진 옵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조작의 입력 패턴을 도시한다.
도 9(a)는 도 8(a)의 신호 패턴과 동일하다. 도 9(b)의 경우, 도시된 타이밍 그래프는 패턴을 판단하는 총 시구간 동안 신호가 ON 상태가 되는 시구간이 두 번 존재한다. 예를 들어, 도 9(b)의 패턴에서 시구간 t4는 0.2초 이상 0.5초 미만, t5는 0.3초 이상 0.8초 이하, t6는 0.5초 이상으로 기정의될 수 있다.
도 10(a) 내지 10(d)는 추가적인 입력 패턴을 도시한다. 도 10(a)는 도 8(a)및 8(b)의 조작을 양손으로 동시에 입력하는 패턴을 나타낸다. 도 10(b)는 도 9(b)의 조작을 양손에서 동시에 입력하는 패턴을 나타낸다.
도 10(c)는 손잡이를 파지한 사용자의 왼손의 조작을 나타내는 타이밍 그래프로서, 패턴을 판단하는 시구간에서 ON 상태의 신호가 지속되는 시간에 따른 명령이 입력된다. 도 10(d)는 손잡이를 파지한 사용자의 오른손의 조작을 나타내는 타이밍 그래프로서, 패턴을 판단하는 시구간에서 ON 상태의 신호가 지속되는 시간에 따른 명령이 입력된다. 예를 들어, 도 10(c) 및 10(d)의 패턴에서 시구간 t7는 0.8초 초과될 때 입력가능한 패턴으로 기정의될 수 있다.
도 11은 도 8 내지 도 10의 패턴에 따라 입력된 사용자 조작에 의해 화면이 변경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도 11(a)의 화면이 표시된다. 구체적으로, 체지방계측모드로 진입한 후 인식된 지문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식별 정보 및 그와 대응되는 부가 정보가 표시된다.
그리고, 변경 가능한 옵션을 나타내기 위하여 글자 및 화살표의 음영이 반전 되는 하이라이트가 표시된다.
이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도 8(a)의 제1 패턴은 설정값을 한번 감소시키는 명령에 대응하고, 도 8(b)의 제2 패턴은 설정값을 한번 증가시키는 명령에 대응한다.
그리고, 도 10(a)의 제3 패턴은 리스팅된 옵션의 다음 옵션으로의 이동 명령에 대응하고, 도 10(b)의 제4 패턴은 리스팅된 옵션의 이전 옵션으로의 이동 명령에 대응한다.
그리고, 도 10(c)의 제5 패턴은 설정값을 ON 상태의 신호가 입력되는 시간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명령에 대응하고, 도 10(d)의 제6 패턴은 설정값을 ON 상태의 신호가 입력되는 시간에 따라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명령에 대응한다.
다시 도 11을 참조하면, 도 11(a)의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1 패턴이 입력되면, 도 11(b)의 식별번호가 1 감소된 화면으로 전환되고, 반대로 제2 패턴이 입력되면, 도 11(c)의 식별번호가 1 증가된 화면으로 전환된다.
도 11(a)의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3 패턴이 입력되면, 도 11(d)의 키를 설정하는 다음 옵션으로 이동한 화면으로 전환되고, 도 11(d)가 표시된 상태에서 제4 패턴이 입력되면, 다시 도 11(a)의 식별 번호를 설정하는 이전 옵션으로 이동한 화면으로 전환된다.
도 11(d)의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5 패턴이 입력되면, ON상태의 신호가 입력된 시간에 따라 13이 증가한 도 11(e)의 화면이 표시된다. 반대로, 제6 패턴이 입력되면, ON상태의 신호가 입력된 시간에 따라 17이 감소한 도 11(f)의 화면이 표시된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회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와 비교하여 회로에 두 개의 전원부(81-1, 81-2) 및 두 개의 전압측정부(82-1, 82-2)가 추가적으로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좌측 전원부(81-1) 및 전압측정부(82-1)는 한 쌍의 전극부(60-1, 60-2) 중 좌측의 전극부(60-1)의 전류전극(61-1) 및 전압전극(62-1)과 연결되고, 우측 전원부(81-2) 및 전압측정부(82-2)는 우측의 전극부(60-2)의 전류전극(61-2) 및 전압전극(62-2)과 연결된다.
추가된 전원부(81-1, 81-2)는 교류전류를 공급하여 한 손잡이의 두 전극((61-1, 62-1) 및/또는 (61-2, 62-2))을 통해 접촉된 사용자의 손으로 공급된 교류전류를 출력한다.
추가된 전압측정부(82-1, 82-2)는 한 손잡이의 두 전극((61-1, 62-1) 및/또는 (61-2, 62-2)) 사이의 전압을 측정한다.
제어부(130)는 공급된 교류전류와 측정된 전압으로부터 손잡이를 파지한 사용자의 손의 임피던스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측정된 임피던스의 크기를 기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사용자가 올바르게 손잡이를 파지하고 있는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도 13은 도 12의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와 비교하여, 회로에 추가적인 전원부(81-1, 81-2) 및 전압측정부(82-1, 82-2)를 포함하지 않고, 대신 4개의 스위칭 소자(SW0, SW1, SW2, SW3)로 구성된 두 개의 스위칭부(91, 92)가 포함된다.
제1 제1 스위칭부(91)는 교류전류를 공급하는 전원부(71)에서 공급된 교류전류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한 쌍의 전극과의 연결을 다른 전극으로 스위칭한다. 구체적으로, 제1 스위칭부(91)는 전원부(71)의 출력단 및 복수의 전극 사이에 연결되어, 스위칭 동작에 의해 전원부(71)의 교류전류가 출력될 두 전극을 선택할 수 있다.
제1 스위칭부(91)는 두 개의 스위칭 소자(SW0, SW1)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 스위칭 소자(SW0)는 제1 단이 전원부(71)의 일단과 연결되고, 제2 단이 한 쌍의 전류전극(61-1, 61-2) 중 일측(61-1)과 연결되고, 제3 단 및 제4 단이 한 쌍의 전압전극(62-1, 62-2)과 연결된다. 그리고, 제2 스위칭 소자(SW1)는 제1 단이 전원부(71)의 타단과 연결되고, 제2 단이 한 쌍의 전류전극(61-1, 61-2) 중 타측(61-2) 및 제3 단 및 제4 단이 한 쌍의 전압전극(62-1, 62-2)와 연결된다.
스위칭 소자(SW0, SW1)는 제어부(1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전원부(71)의 양단과 전극(61-1, 61-2, 62-1, 62-2)과의 연결을 전환한다. 일 예로서, 스위칭 소자(SW0, SW1)가 모두 제1 상태(S1)가 되면, 전원부(71)의 양단과 전류전극(61-1, 61-2)이 연결된다. 스위칭 소자(SW0, SW1)가 모두 제2 상태(S2)가 되면, 전원부(71)의 양단과 전류전극(61-1) 및 전압전극(62-1)이 연결된다. 스위칭 소자(SW0, SW1)가 모두 제3 상태(S3)가 되면, 전원부(71)의 양단과 전류전극(61-2) 및 전압전극(62-2)이 연결된다.
제2 스위칭부(92)는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측정부(72)의 양단과 한 쌍의 전극과의 연결을 다른 전극으로 스위칭한다. 구체적으로, 제2 스위칭부(92)는 전압측정부(72)의 양단 및 복수의 전극 사이에 연결되어, 스위칭 동작에 의해 전압측정부(72)가 전압을 측정할 두 전극을 선택할 수 있다.
제2 스위칭부(92)는 두 개의 스위칭 소자(SW2, SW3)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3 스위칭 소자(SW2)는 제1 단이 전압측정부(72)의 일단과 연결되고, 제2 단이 한 쌍의 전압전극(62-1, 62-2) 중 일측(62-2)과 연결되고, 제3 단이 한 쌍의 전류전극(61-1, 61-2) 중 일측(61-1)과 연결되고 제4 단이 한 쌍의 전압전극(62-1, 62-2) 중 일측(62-2)과 연결된다. 그리고, 제4 스위칭 소자(SW3)는 제1 단이 전압측정부(72)의 타단과 연결되고, 제2 단이 한 쌍의 전압전극(62-1, 62-2) 중 타측(62-1)과 연결되고, 제3 단이 한 쌍의 전압전극(62-1, 62-2) 중 타측(62-1)과 연결되고, 제4 단이 한 쌍의 전류전극(61-1, 61-2) 중 타측(61-2)과 연결된다.
스위칭 소자(SW2, SW3)는 제어부(1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전압측정부(72)의 양단과 전극(61-1, 61-2, 62-1, 62-2)과의 연결을 전환한다. 일 예로서, 스위칭 소자(SW2, SW3)가 모두 제1 상태(S1)가 되면, 전압측정부(72)의 양단과 전압전극(62-1, 62-2)이 연결된다. 스위칭 소자(SW2, SW3)가 모두 제2 상태(S2)가 되면, 전압측정부(72)의 양단과 전류전극(61-1) 및 전압전극(62-1)이 연결된다. 스위칭 소자(SW2, SW3)가 모두 제3 상태(S3)가 되면, 전압측정부(72)의 양단과 전류전극(61-2) 및 전압전극(62-2)이 연결된다.
이와 같은 회로 구성에 의해, 추가적인 전원공급장치와 전압계를 더 포함하지 않더라도 손잡이를 파지하는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간략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냉장고(1400)는 디스플레이부(1410), 입력부(1420) 및 제어부(143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410)는 화면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410)는 사용자의 시력을 검사하기 위한 문자를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력을 검사하기 위한 기설정된 크기를 갖는 글자 또는 숫자가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10)에서 표시되는 화면에는 시력 측정을 위한 문자 뿐만 아니라, 난시나 망막의 이상, 색맹인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는 그림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410)에는 좌안과 우안을 따로 검사하기 위한 안내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입력부(1420)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1420)는 사용자가 표시된 화면으로부터 문자를 식별하였는지 확인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420)는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는 마이크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냉장고(1400)에 부착된 버튼 또는 터치를 감지하는 입력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430)는 냉장고(1400)의 각 구성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30)는 냉장고(1400)의 시력 측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냉장고(1400)의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30)는 입력부(1420)에 수신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410)의 화면을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30)는 사용자의 입력이 화면에 표시된 문자와 대응되는지 여부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410)의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410)의 화면에 숫자 '8'이 표시되고, 입력부(1420)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 '팔'이 입력되면, 제어부(1430)는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을 분석하여, 수신된 음성이 표시된 문자와 대응된다고 판단하고, 표시되는 문자를 더 높은 수준의 문자로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4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냉장고는 사용자가 가정에서 매일 보고 접하는 가전기기로서 보다 쉬운 조작과 편한 접근성으로 눈 건강을 관리할 수 있다.
도 15는 도 14의 냉장고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냉장고(1400)는 디스플레이부(1410), 입력부(1420), 제어부(1430), 통신부(1440), 거리센서(1450) 및 저장부(1460)를 포함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410), 입력부(1420), 제어부(143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은 도 14의 디스플레이부(1410), 입력부(1420), 제어부(1430)의 그것을 포함하는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통신부(1440)는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440)는 사용자의 휴대 가능한 단말 장치 또는 집안에 구축된 홈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1440)는 외부의 단말 장치로부터 사용자가 단말 장치에 입력한 문자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440)는 홈 네트워크의 홈 서버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440)에서 지원하는 통신 방식은 유선 통신뿐만 아니라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IrDA), RF(Radio Frequency)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440)는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망 등을 거쳐 인터넷망의 홈 서버에 접속하는 형태의 통신이 수행 될 수 있다.
거리센서(1450)는 사용자와의 거리를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거리센서(1450)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포함하고, 조사된 빛이 사용자로부터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저장부(146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각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시력 측정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460)에는 시력 검사를 위하여 표시될 화면과 시력 계산을 위한 알고리즘이 저장될 수 있다. 그 외에도 저장부(1460)는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되거나 설치된 실행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430)는 통신부(1440)를 통해 입력된 문자에 대응하는 신호로부터 표시된 문자와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디스플레이부(1410)에 표시될 화면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30)는 거리센서(1450)가 감지한 거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냉장고(1400)로부터 떨어진 거리가 시력 측정을 위한 거리에 미치지 못하거나 너무 멀리 떨어져 있으면, 거리를 조정할 것을 요청하는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4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30)는 시력을 계산하는 알고리즘에 따라 사용자의 시력을 계산하고, 입력되거나 식별된 사용자 정보에 대응시켜 계산된 시력 정보를 저장부(1460)에 저장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냉장고는 사용자가 가정에서 매일 보고 접하는 가전기기로서 보다 쉬운 조작과 편한 접근성으로 눈 건강을 관리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성분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먼저 시력 측정을 위한 문자를 표시한다(S1610). 구체적으로, 냉장고는 시력 측정을 위하여, 일정 시력마다 기설정된 크기를 갖는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한다(S1620). 구체적으로, 냉장고는 시력 측정을 위하여 일정 거리 이격된 사용자가 발성한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된 음성과 표시된 문자가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630). 구체적으로, 냉장고는 수신된 음성을 분석하여 음성이 표시된 문자의 발음과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S1630의 판단 결과에 따라 표시되는 문자를 변경한다(S1640). 구체적으로, 냉장고는 분석된 음성이 표시된 문자와 대응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더 높은 수준의 시력에 해당하는 더 작은 크기의 문자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냉장고를 이용한 체성분 측정 방법은, 사용자의 접근성을 높인 가전제품인 냉장고에서 보다 쉬운 조작으로 눈 건강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성분 측정 방법은, 도 14 및 도 15의 냉장고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체성분 측정 방법은 체성분 측정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7은 도 16의 체성분 측정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먼저, 등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705). 구체적으로, 냉장고는 앞선 실시예에 적용된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거나, 별도의 사용자 입력을 통해 등록된 사용자 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등록된 사용자가 아니라면(S1705:N), 사용자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신규 등록 절차를 수행한다(S1710).
등록된 사용자인 경우(S1705:Y), 기등록된 사용자들 중에서 해당하는 사용자를 선택한다(S1715). 구체적으로, 냉장고는 등록된 사용자의 고유 식별 번호 또는 이름이 표시된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시력 측정을 위한 화면을 표시한다(S1720). 구체적으로, 냉장고는 특정 시력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크기의 문자가 포함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한다(S1725). 구체적으로, 냉장고는 표시된 문자를 식별하거나 식별하지 못하였음을 나타내는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된 음성의 뜻과 표시된 문자의 뜻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730). 구체적으로, 냉장고는, 수신된 음성을 분석하여 표시된 문자와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두 의미가 일치하지 않으면(S1730:N), 냉장고는 표시된 문자에 해당하는 시력보다 낮은 수준의 시력에 해당하는 문자를 포함하는 화면으로 변경한다(S1735). 그리고, 변경된 수준의 문자를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한다(S1720)
만약, 두 의미가 일치하면(S1730:Y), 냉장고는 사용자가 표시된 문자를 맞춘 횟수가 기설정된 임계횟수(Th)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740).
일치횟수가 임계횟수(Th)에 미치지 못하면, 냉장고는 표시된 문자에 해당하는 시력보다 높은 수준의 시력에 해당하는 문자를 포함하는 화면으로 변경한다(S1745). 그리고, 변경된 수준의 문자를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한다(S1720)
일치횟수가 임계횟수(Th) 이상 도달하면(S1740:Y), 사용자의 시력을 계산한다(S1750). 구체적으로, 냉장고는 표시된 문자와 사용자가 식별하여 맞춘 문자 그리고 틀린 문자들로부터 기저장된 시력 계산 알고리즘에 따라 사용자의 시력을 계산할 수 있다.
다음으로, S1750의 계산 결과를 표시하고, 이를 저장한다(S1755). 구체적으로, 냉장고는 사용자에게 계산된 시력 검사 결과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저장부에 검사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냉장고를 이용한 체성분 측정 방법은, 사용자의 접근성을 높인 가전제품인 냉장고에서 보다 쉬운 조작으로 눈 건강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성분 측정 방법은, 도 14 및 도 15의 냉장고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체성분 측정 방법은 체성분 측정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1400: 냉장고 110: 측정부
111: 지문감지부 112: 체성분측정부
120, 1410: 디스플레이부 130, 1430: 제어부
140, 1460: 저장부 150, 1420: 입력부
1440: 통신부 1450: 거리센서

Claims (20)

  1. 냉장고에 있어서,
    저장실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의 일 측에 배치된 손잡이;
    상기 손잡이를 사용자가 파지하면, 상기 사용자의 지문 및 상기 사용자의 체성분을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된 체성분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측정된 지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로서 상기 측정된 체성분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감지부; 및
    한 쌍의 전극부에 접촉된 상기 사용자의 체성분을 측정하는 체성분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감지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를 파지하였을 때, 상기 파지한 손의 엄지 손가락이 상기 손잡이에 닿을 수 있는 가동범위에서 상기 엄지 손가락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접촉면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성분측정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를 양손으로 파지하였을 때, 상기 파지한 양손의 손바닥이 상기 손잡이에 닿는 부위 각각에 걸쳐 상기 한 쌍의 전극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는 양문형 타입(side by side door type: SBS type)이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양 도어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전극부는,
    상기 양 도어 각각의 상기 손잡이를 파지한 두 손에 별도로 접촉되도록, 상기 양 손잡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문감지부에서 상기 지문의 인식이 기결정된 시간 지속되면, 상기 체성분의 측정을 개시하도록 상기 체성분측정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지문에 대응하는 기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가 검색되면, 상기 체성분을 측정하도록 상기 측정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손잡이를 파지한 상기 사용자의 손에 교류전류를 출력하여, 상기 손의 임피던스를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임피던스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올바른 방법으로 상기 손잡이를 파지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체성분을 측정하기 위한 교류전류를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공급된 교류전류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한 쌍의 전극과의 연결을 다른 전극으로 스위칭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문감지부에서 상기 지문이 인식되는 신호의 패턴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된 옵션의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체성분측정부에서 상기 한 쌍의 전극부 중 적어도 하나에 접촉된 손의 임피던스의 크기가 변화하는 패턴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된 옵션의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나이, 성별, 신장 및 체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부가 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된 복수의 부가 정보 중에서 상기 식별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부가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검색된 부가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사용자의 체성분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사용자의 시력을 검사하기 위한 문자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음성이 상기 표시된 문자와 대응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문자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사용자의 체성분을 측정하는 체성분 측정 방법에 있어서,
    냉장고의 저장실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의 일 측에 배치된 손잡이를 파지한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지문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지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손잡이를 파지한 상기 사용자의 양손과 접촉한 한 쌍의 전극부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체성분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로서 상기 측정된 체성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체성분 측정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체성분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지문의 인식이 기결정된 시간 지속되면, 상기 사용자의 체성분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성분 측정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체성분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인식된 지문에 대응하는 기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가 검색되면, 상기 사용자의 체성분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성분 측정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체성분을 측정하기 위한 교류전류를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공급된 교류전류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한 쌍의 전극과의 연결을 다른 전극으로 스위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성분 측정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나이, 성별, 신장 및 체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부가 정보가 기저장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복수의 부가 정보 중에서 상기 식별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부가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성분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된 부가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사용자의 체성분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성분 측정 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시력을 검사하기 위한 문자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음성이 상기 표시된 문자와 대응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표시된 문자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성분 측정 방법.
KR1020150048304A 2015-04-06 2015-04-06 냉장고 및 이를 이용한 체성분 측정 방법 KR102023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304A KR102023081B1 (ko) 2015-04-06 2015-04-06 냉장고 및 이를 이용한 체성분 측정 방법
US15/092,546 US9892248B2 (en) 2015-04-06 2016-04-06 Refrigerator and method for measuring body composition using the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304A KR102023081B1 (ko) 2015-04-06 2015-04-06 냉장고 및 이를 이용한 체성분 측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9528A true KR20160119528A (ko) 2016-10-14
KR102023081B1 KR102023081B1 (ko) 2019-09-20

Family

ID=57017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8304A KR102023081B1 (ko) 2015-04-06 2015-04-06 냉장고 및 이를 이용한 체성분 측정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892248B2 (ko)
KR (1) KR1020230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9999A (ko) 2017-04-26 2018-11-05 (주)도넛시스템엘에스아이 체성분측정 기능을 가진 가전장치
US10650220B2 (en) 2017-01-26 2020-05-12 Samsung Display Co., Ltd. Security device and security system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70608A (zh) * 2017-07-10 2017-10-20 绵阳美菱软件技术有限公司 一种冰箱系统及一种冰箱
CN109489334B (zh) * 2017-09-13 2021-07-06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冰箱及其控制方法、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19095518A1 (zh) * 2017-11-20 2019-05-23 上海绿联软件股份有限公司 基于服务器大数据分析的智能冰箱、健康管理方法及系统
CN108050755A (zh) * 2017-12-16 2018-05-18 常熟市久昇电器有限公司 一种带有显示功能的冰箱外壳
CN108877435A (zh) * 2018-07-17 2018-11-23 陕西中科大西科普文化发展有限公司 一种用于演示电磁感应原理的实验教学教具
US11006812B2 (en) 2018-10-11 2021-05-18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Status indicator and lighting assembly for an appliance do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3776A (ko) * 2003-10-07 2005-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체지방 측정 전자기기, 그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시스템
KR20060026338A (ko) * 2004-09-20 2006-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시력 검사 장치와 방법 및 시력에따른 글자 크기 변경 방법
US20060217600A1 (en) * 2005-03-22 2006-09-28 Lee Ik K Refrigerator for health management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1739B1 (ko) 1995-04-14 1998-06-15 구자홍 영상표시매체를 이용한 시력검사 방법
KR19980028497A (ko) 1996-10-22 1998-07-15 배순훈 시력측정이 가능한 tv와 tv를 이용한 시력 측정방법
US6280396B1 (en) * 1998-08-03 2001-08-28 American Weights And Measures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body composition
US6733131B1 (en) * 1998-12-03 2004-05-11 Jeffrey N. Weiss Eye self-test device
US6068378A (en) 1998-12-03 2000-05-30 Weiss; Jeffrey N. Eye self-test device
US20030135336A1 (en) * 2001-12-17 2003-07-17 Masahiro Inoue Body data measuring apparatus
KR20040017978A (ko) * 2002-08-23 2004-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0484814B1 (ko) 2002-09-13 2005-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지문 인식 기능과 연동되는 인터넷 냉장고 및 그 동작방법
US20040171464A1 (en) * 2003-02-28 2004-09-02 Darren Ashby Exercise device with body fat monitor
KR100618265B1 (ko) 2004-03-04 2006-09-01 주식회사 팬택 시력 검사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60042541A (ko) 2004-11-09 2006-05-1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티브이 모니터를 이용한 시력 검사 방법
KR20060054625A (ko) 2004-11-15 2006-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시력측정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시력측정방법
KR100681593B1 (ko) 2005-01-14 2007-02-0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체지방 측정기능을 가지는 냉장고
KR101151056B1 (ko) 2005-07-29 2012-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체중관리장치를 이용한 체중관리방법
AU2006234670B2 (en) * 2005-03-30 2010-08-12 Lg Electronics Inc. Avatar refrigerator
KR20070027284A (ko) 2005-09-06 2007-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동작방법
JP2007143665A (ja) 2005-11-24 2007-06-14 Funai Electric Co Ltd 視力検査機能付きテレビジョン装置および映像表示装置
US7775056B2 (en) * 2006-01-18 2010-08-17 Merck Sharp & Dohme Corp. Intelligent refrigerator for storing pharmaceutical product containers
JP2007244728A (ja) * 2006-03-17 2007-09-27 Omron Healthcare Co Ltd 体組成計
US8166872B2 (en) * 2008-03-12 2012-05-01 Whirlpool Corporation Modified atmosphere for food preservation
KR20100121214A (ko) 2009-05-08 2010-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의 시력 검사 방법
KR20120086536A (ko) 2011-01-26 2012-08-03 구오섭 온라인 시력검사 시스템
KR101266905B1 (ko) 2011-08-26 2013-05-28 조현용 시력 검사장치
KR101776717B1 (ko) 2011-12-01 2017-09-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시력검사 시스템 및 방법
US9638461B2 (en) * 2014-02-17 2017-05-02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Method for operating a refrigerator appliance
KR20140098723A (ko) 2014-07-08 2014-08-08 이도훈 순차 지문 입력을 이용하는 atm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3776A (ko) * 2003-10-07 2005-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체지방 측정 전자기기, 그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시스템
KR20060026338A (ko) * 2004-09-20 2006-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시력 검사 장치와 방법 및 시력에따른 글자 크기 변경 방법
US20060217600A1 (en) * 2005-03-22 2006-09-28 Lee Ik K Refrigerator for health managem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50220B2 (en) 2017-01-26 2020-05-12 Samsung Display Co., Ltd. Security device and security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180119999A (ko) 2017-04-26 2018-11-05 (주)도넛시스템엘에스아이 체성분측정 기능을 가진 가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92248B2 (en) 2018-02-13
KR102023081B1 (ko) 2019-09-20
US20160292409A1 (en) 2016-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3081B1 (ko) 냉장고 및 이를 이용한 체성분 측정 방법
TWI612264B (zh) 冰箱
RU2683622C2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и способ для идентификации отпечатков пальцев
KR20040017978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66244A (ko) 냉장고에 의해 헬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냉장고
EP1136037A1 (en) Portable bioelectrical impedance measuring instrument
US20180129297A1 (en) Movement detection apparatus for detecting a hand movement
CN107077709B (zh) 营养素量计算装置及具备该装置的冰箱
US20130321009A1 (en) Gesture recognition system
JP2017062709A (ja) ジェスチャー操作装置
US20110295145A1 (en) Body composition monitor, measurement result output method, and measurement result output program product
CN109241876A (zh) 一种基于k近邻算法的手势识别系统及方法
WO2018062102A1 (ja) 筐体及びシステム
EP3747363A1 (en) Noninvasive intelligent blood glucose meter
KR20170068588A (ko) 터치 감응형 조작자 제어 장치를 장착한 가전 기기, 그리고 가전 기기의 작동 방법
KR20150089834A (ko)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원격 제어 장치
CN107664622A (zh) 用于估计血液中物质的装置和方法
KR101151056B1 (ko) 냉장고의 체중관리장치를 이용한 체중관리방법
US20170112393A1 (en) Measurement apparatus and measurement method
US11328482B1 (en) Enclosure for virtual fitting
JP2006320549A (ja) センサ内蔵スイッチ
TWM573213U (zh)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instrument
CN111093527B (zh) 认知功能评价装置
KR102068584B1 (ko) 골밀도 측정장치
KR20060018408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