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9462A - 배관연결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보일러의 난방분배기 - Google Patents

배관연결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보일러의 난방분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9462A
KR20160119462A KR1020150048138A KR20150048138A KR20160119462A KR 20160119462 A KR20160119462 A KR 20160119462A KR 1020150048138 A KR1020150048138 A KR 1020150048138A KR 20150048138 A KR20150048138 A KR 20150048138A KR 20160119462 A KR20160119462 A KR 20160119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ottom plate
cover
water supply
bo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8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9364B1 (ko
Inventor
홍성정
홍석기
Original Assignee
(주)태양테크
홍성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양테크, 홍성정 filed Critical (주)태양테크
Priority to KR1020150048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9364B1/ko
Publication of KR20160119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9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9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9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58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disposition of pipes and pipe connections
    • F24D3/1066Distributors for heating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28Branched distribution 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일러의 난방분배기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배관이 각각 연결되는 급수관과 회수관을 감싸도록 보온커버가 장착된 난방분배기에 있어서, 상기 보온커버는 급수관과 회수관을 수용하기 위한 커버본체의 하단에 타공부가 형성된 바닥면을 구비하고, 상기 바닥면이 복수의 분할된 바닥판재로 구성되도록 하면서 커버본체에는 끼움부를 마련하여 바닥판재를 끼움부에 순차적으로 끼워 배관의 끼움 위치를 설정하도록 함으로써 보온커버를 설치할 때 바닥에 매립 시공된 배관을 강제로 구부려서 끼울 필요없이 배관을 쉽게 연결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배관연결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보일러의 난방분배기{water distributer for boiler}
본 발명은 보일러의 난방분배기에 관한 것으로, 난방분배기에 열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보온커버를 구비하면서도 보온커버를 설치할 때 바닥에 매립 시공된 배관을 강제로 구부려서 끼울 필요없이 보온커버의 바닥면을 복수로 분할된 유닛구조로 구현하여 간단하게 조립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방분배기는 가정에서 보일러를 통하여 가열한 온수를 배관을 통하여 각 방이나 주방 등으로 공급하는 것으로,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에너지관리가 취약한 장소에 보일러와 난방분배기가 설치되는데, 이로 인하여 겨울철에 열손실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즉, 난방분배기가 실외의 보일러실이나 난방이 이루어지지 않는 다용도실에 설치되므로 겨울철 난방이나 온수를 사용할 경우에 난방분배기에서의 온도손실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며, 난방분배기의 열손실은 30%가량에 육박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난방분배기에서의 에너지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난방분배기를 설치할 때 보온이 가능하도록 난방분배기를 감싸는 보온커버를 설치하는데, 이로 인하여 난방분배기 시공이 어려워진다는 문제가 있다.
즉, 종래에는 난방분배기에 보온커버가 없었기 때문에 배관을 난방분배기에 연결하기가 비교적 수월하였으나, 보온커버를 사용하면서부터 바닥이나 벽면에 매립시공되어 있는 배관을 보온커버의 구멍에 맞춰 끼우는 작업이 너무 어렵기 때문에 작업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즉, 바닥난방에서는 배관을 바닥에 매립 시공한 상태에서 일정기간(통상 며칠) 동안 수압테스트를 하여 누수 여부를 점검한 후 문제가 없다고 판단되면 배관에 보일러와 난방분배기를 연결하여 설치하는데, 이렇게 배관이 바닥에 매립된 상태에서 보온커버가 구비된 난방분배기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보온커버의 관통된 구멍에 여러 개의 배관을 각각 끼워 위치시키면서 보일러와 연결되도록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어렵고, 이 과정에서 강제로 배관을 구부리거나 변형하게 되므로 배관 표면에 손상이 발생하거나 장기적으로는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PBC파이프, 구리파이프, 동파이프 배관은 휨강도가 매우 낮기 때문에 보온커버의 구멍에 맞춰서 끼우기가 더욱 힘들다.
그리고 최근에는 보온커버의 단열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보온커버 내면에 단열재를 부착하는 등의 노력이 시도되고 있는데, 이러한 노력이 헛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배관이 조립되는 부분에서의 열기누출을 방지해야 하므로 보온커버에서 배관이 삽입되는 구멍을 크게 형성할 수 없기 때문에 배관 연결작업에 더욱 어려움이 있다.
KR 200201173 Y1 KR 200395231 Y1 KR 200418043 Y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난방분배기에 보온커버를 구비함에도 불구하고 배관을 쉽게 연결 시공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시공을 완료한 후 누수 등과 같은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에도 해체 및 조립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써 본 발명은, 다수의 배관이 각각 연결되는 급수관과 회수관을 감싸도록 보온커버가 장착된 난방분배기에 있어서, 상기 보온커버는 급수관과 회수관을 수용하기 위한 커버본체의 하단에 타공부가 형성된 바닥면을 구비하고, 상기 바닥면이 복수의 분할된 바닥판재로 구성되도록 하면서 커버본체에는 끼움부를 마련하여 바닥판재를 끼움부에 순차적으로 끼워 배관의 끼움 위치를 설정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난방분배기에 의하면, 지면 또는 벽면에 매립된 배관의 위치에 보온커버를 위치시킨 후 분할된 바닥판재로 각 배관의 위치를 고정 설치하므로 배관을 강제로 변형할 필요없이 간단한 조립에 의하여 힘을 들이지 않고 간편하게 난방분배기를 설치할 수 있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설치과정에서 배관을 강제로 구부리거나 형태를 변형시키지 않기 때문에 배관이나 보온커버, 연결조인트 등이 손상되지 않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신축 현장은 물론,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난방분배기를 쉽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구멍의 크기를 배관을 수용하는 범위 내에서 최대한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므로 보온커버 내부의 열이 누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시공현장에서의 배관의 수량에 관계없이 시공하고자 하는 현장의 배관수량에 맞는 바닥판재를 사용함으로써 보온커버에서의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난방분배기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보온커버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난방분배기의 시공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닥판체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급수관과 회수관의 장착구조를 나타낸 장착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난방분배기에 보온커버(100)가 장착된 것으로, 보온커버(10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급수관(20)과 회수관(30)에 연결되는 배관(10)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며, 상기 보온커버(100)는 커버본체(110)의 하단에 구비되는 바닥면(120)이 복수로 분할된 바닥판재(124)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배관(10)을 강제로 끼울 필요없이 커버본체(110)와 바닥면(120)을 순차적으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온커버(100)는 바닥에 매립되는 배관(10)과 보일러에 연결되는 배관(10)을 연결하기 위한 급수관(20) 및 회수관(30)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내공간이 형성된 커버본체(110)에 급수관(20)과 회수관(30)을 내장하고, 커버본체(110)의 상측으로는 보일러에 연결되는 배관(10)이 인입되고, 커버본체(110)의 하측으로는 바닥에 매립되는 배관(10)이 인입되어 급수관(20)과 회수관(30)에 각각 연결된다.
이를 위하여 커버본체(110)의 상면(112)에는 보일러에 연결되는 배관(10)이 인입될 수 있도록 타공부(11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타공부(112)는 커버본체(110)의 상측에 복수의 타공부(112)를 형성하고 각 타공부(112)에는 타공부를 막아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강제로 분리가능한 캡(114)을 형성하면 난방분배기와 보일러와의 설치관계에 따라서 시공자가 캡을 선택적으로 개봉하여 타공부(112)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커버본체(110)의 하측으로는 바닥면(120)이 구비되며, 바닥면(120)에는 바닥에 매립된 배관(10)을 커버본체 내측으로 인입할 수 있도록 타공부(122)가 구비된다.
바닥면(120)은 복수의 분할된 바닥판재(124)로 구성되며, 각각의 바닥판재(124)는 상기 커버본체(110)로부터 분리된다.
이를 위하여 커버본체(110)의 하단에는 끼움부(114)가 마련되며, 바닥판재(124)를 끼움부(114)에 순차적으로 끼워서 커버본체(110)의 바닥면(120)이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바닥판재(124)는 커버본체(100)의 끼움부(114)에 삽입되는 순서에 따라서 세 개의 유닛, 즉 제1바닥판재와 제2바닥판재와 제3바닥판재로 구성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각각의 바닥판재에 배관(10)의 외주면에 대응되게 반원형의 내입홈(126)을 형성하면 2열로 바닥에 매립된 배관을 감싸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재가 순차적으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바닥에 매립된 배관(1)은 급수관(20)에 연결되는 배관과 회수관(30)에 연결되는 배관이 통상 2열로 배열되게 시공하는데, 바닥판재를 세 개의 유닛으로 구성하면서 각각의 바닥판재에 내입홈(126)을 형성함으로써 난방분배기를 시공하고자 하는 위치에 커버본체(110)를 먼저 장착한 후 바닥판재(124)를 순차적으로 조립함으로써 배관(10)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다.
상기 커버본체(110)의 하단에 형성되는 끼움부(114)는 바닥판재(124)를 단순히 올려놓을 수 있도록 단순히 받침면(미도시)을 형성하거나, 또는 그 받침면에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걸림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커버본체(110)의 하단에 레일홈(116)을 형성하여 바닥판재(124)가 슬라이드 조립되도록 함은 물론 복수의 바닥판재(124)가 조립되어 수평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들리지 않고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작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닥판재(124)는 바닥판재(124)가 서로 접촉되는 면에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물림부(128)를 형성하면 복수의 바닥판재(124)를 수평 배열한 상태에서 밀폐성능을 우수하게 하여 바닥면(120)을 통한 열기누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맞물림부(128)는 고무나 실리콘 등 긴밀히 밀착되면서도 밀폐성능이 우수한 소재의 부자재를 별도로 접착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커버본체(110)의 내공간에는 급수관(20)과 회수관(30)이 수평으로 수용되어 장착되는 것으로, 커버본체(110)의 측벽(130)에는 급수관과 회수관을 체결고정하기 위한 홀더(1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홀더(140)는 급수관(20)의 양측과 회수관(30)의 양측을 커버본체(110)의 내공간에 체결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의 홀더(140)는 전방조립체(142)와 후방조립체(144)로 분할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방조립체(142)와 후방조립체(144)에 급수관(20)과 회수관(30)의 양단을 걸어 고정하기 위한 수용홈(146)을 각각 형성되어 급수관(20)과 회수관(30)을 감싸 고정하게 되는 것으로, 후방조립체(144)를 커버본체(110)의 측면(130)에 먼저 고정한 후, 급수관(20)과 회수관(30)을 후방조립체(144)에 끼우고, 급수관(20)과 회수관(30)이 후방조립체(144)에 끼워진 상태에서 전방조립체(142)를 후방조립체(144)에 조립하여 급수관(20)과 회수관(30)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수용홈(146)에는 급수관(20)과 회수관(30) 양단의 돌출된 플랜지를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단턱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조립체(142)와 후방조립체(144)에 형성된 수용홈(146)은 급수관과 회수관을 감싸면서 상,하로 유동공간이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난방분배기를 새로 설치하거나, 이미 시공되어 있는 장소에 난방분배기를 교체할 경우에 급수관(20)과 회수관(30)을 상,하로 유동시켜서 설치 장소의 배관 길이에 적합하도록 길이차이를 보상하면서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커버본체(110)의 개방된 전면에는 완전하게 밀폐되어 보온성능을 향상할 수 있도록 덮개(150)가 결합요소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때, 덮개(150)는 커버본체(110)의 끼움부(114)의 전방을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하면, 바닥판재(124)가 끼움부(114)에 삽입된 상태에서 별도의 고정수단이 없이 덮개(150)에 의하여 바닥판재(124)가 이탈되지 않고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덮개(150)에는 난방분배기의 급수관과 회수관에 연결되어 있는 배관의 개폐를 위하여 밸브를 조작하거나 난방분배기의 유지보수를 할 수 있도록 경첩으로 절첩 작동하면서 개방가능한 도어(15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본체(110)의 내면과 바닥면(120), 그리고 덮개(150)와 도어(152)의 내면에는 모두 단열시트(160)를 부착하여 보온커버(100)의 단열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10: 배관
20: 급수관
30: 회수관
100: 보온커버
110: 커버본체 112: 타공부
114: 끼움부 116: 레일홈
120: 바닥면 122: 타공부
124: 바닥판재 126: 내입홈
128: 맞물림부
130: 측벽
140: 홀더
142: 전방조립체 144: 후방조립체
146: 수용홈
150: 덮대 152: 도어
160: 단열시트

Claims (8)

  1. 다수의 배관(10)이 각각 연결되는 급수관(20)과 회수관(30)을 감싸도록 보온커버(100)가 장착된 난방분배기에 있어서,
    상기 보온커버(100)는,
    급수관과 회수관을 수용하기 위한 커버본체(110)의 하단에 타공부(122)가 형성된 바닥면(120)이 구비되고,
    상기 바닥면(120)은 복수의 분할된 바닥판재(124)로 구성되어 커버본체(110)에 형성된 끼움부(114)에 바닥판재(124)를 순차적으로 끼워 배관의 끼움 위치를 설정하게 되는 배관연결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보일러의 난방분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본체(110)의 끼움부(114)에 삽입되는 바닥판재(124)는 배관의 외주면에 대응되게 반원형의 내입홈(12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연결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보일러의 난방분배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본체(110)의 전방에 바닥판재(124)가 끼움부(114)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마감하기 위한 덮개(150)가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연결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보일러의 난방분배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150)에는 난방분배기의 배관 개폐상태를 조작하기 위한 도어(15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연결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보일러의 난방분배기.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114)는 바닥판재(124)가 슬라이드 조립되면서 복수의 바닥판재(124)가 수평으로 배치되도록 레일홈(116)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연결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보일러의 난방분배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바닥판재(124)는 열기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닥판재가 서로 접촉되는 면에 대응되게 맞물림부(12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연결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보일러의 난방분배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본체(110)는 측벽(130)에 급수관과 회수관을 체결고정하기 위한 홀더(140)가 구비되고, 상기 홀더(140)는 전방조립체(142)와 후방조립체(144)로 분할 구성되어 급수관과 회수관의 조립이 용이하게 되는 배관연결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보일러의 난방분배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조립체(142)와 후방조립체(144)에는 급수관과 회수관을 걸어 고정하기 위한 수용홈(146)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146)은 급수관과 회수관이 상,하 유동가능하게 형성되어 급수관과 회수관이 조립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연결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보일러의 난방분배기.
KR1020150048138A 2015-04-06 2015-04-06 배관연결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보일러의 난방분배기 KR101739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138A KR101739364B1 (ko) 2015-04-06 2015-04-06 배관연결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보일러의 난방분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138A KR101739364B1 (ko) 2015-04-06 2015-04-06 배관연결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보일러의 난방분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9462A true KR20160119462A (ko) 2016-10-14
KR101739364B1 KR101739364B1 (ko) 2017-05-24

Family

ID=57157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8138A KR101739364B1 (ko) 2015-04-06 2015-04-06 배관연결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보일러의 난방분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93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690B1 (ko) * 2020-04-01 2020-12-04 주식회사 아이엠아이시스템 다기능 온수분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6972B1 (ko) 2021-03-30 2021-12-07 박근식 스마트 하이브리드 분배기
KR102372636B1 (ko) 2021-07-22 2022-03-11 주식회사 한성시스코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173Y1 (ko) 2000-05-17 2000-11-01 김철수 온수분배기용 보온커버
KR200395231Y1 (ko) 2005-06-29 2005-09-07 주식회사 애강 냉,온수용 분배기박스
KR200418043Y1 (ko) 2006-03-16 2006-06-07 이봉효 냉, 온수용 분배기 헤더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7860B1 (ko) * 2004-10-09 2006-11-15 (주)파워클 급수 및 난방 분배기 고정용 박스
KR200405423Y1 (ko) * 2005-10-13 2006-01-10 주식회사 동명 유체 분배기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173Y1 (ko) 2000-05-17 2000-11-01 김철수 온수분배기용 보온커버
KR200395231Y1 (ko) 2005-06-29 2005-09-07 주식회사 애강 냉,온수용 분배기박스
KR200418043Y1 (ko) 2006-03-16 2006-06-07 이봉효 냉, 온수용 분배기 헤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690B1 (ko) * 2020-04-01 2020-12-04 주식회사 아이엠아이시스템 다기능 온수분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9364B1 (ko) 2017-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9364B1 (ko) 배관연결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보일러의 난방분배기
KR100515761B1 (ko) 냉온수배관 시스템의 시공방법
US20150225931A1 (en) Plumbing supply boxes
US10273665B2 (en) Cabinet and a method for production of a cabinet
KR100773378B1 (ko) 벽체 매립형 수전함에 결합되는 방수용 이중관고정부재의구조
KR20100000377U (ko) 분배기용 파이프 고정브라켓
KR200443777Y1 (ko) 온수분배기를 이용한 개수대 배관연결구
KR200426264Y1 (ko) 벽체매립형 수전함용 수전
KR101627180B1 (ko) 벽체매립형 온수분배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695480B1 (ko) 공동주택용 누수차단용 전기배관장치
AU2002300309B2 (en) Frame For Hot Water Supplier
KR101602230B1 (ko) 교환시에 설치가 용이한 보일러에 연결되는 난방 분배기
JP4785591B2 (ja) 壁貫通給湯配管用スリーブユニット
KR20190116784A (ko) 벽체 매립형 수전장치
GB2568072A (en) Gas Boiler Assembly and Method
CN218236309U (zh) 基于热水采暖系统中水通路蝶阀
CN108759546A (zh) 一种防胀裂的壳管结构及热水机
CN108951765A (zh) 一种嵌墙式管道盒及其安装方法
RU195496U1 (ru) Радиатор отопления с нижним подключением со встроенным термостатическим клапаном
CN215258359U (zh) 一种建筑暖通用管道密封装置
CN220135570U (zh) 一种商用热水供热循环系统
CN210716481U (zh) 一种碳钢新型单卡压式三通管件
CN219500677U (zh) 管路集成墙体系统
WO199101483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water damages due to leaks in plumbing in buildings
NO20111593A1 (no) Ror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