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2636B1 -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 - Google Patents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72636B1 KR102372636B1 KR1020210096626A KR20210096626A KR102372636B1 KR 102372636 B1 KR102372636 B1 KR 102372636B1 KR 1020210096626 A KR1020210096626 A KR 1020210096626A KR 20210096626 A KR20210096626 A KR 20210096626A KR 102372636 B1 KR102372636 B1 KR 1023726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cket
- protruding
- valve body
- circumferential surface
- protrus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10687 lubricating oil Substances 0.000 claims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861 polyme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19 gre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44 transfo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5/00—Details relating to contact between valve members and seats
- F16K25/005—Particular materials for seats or closure el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06—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using a removable actuating or locking member, e.g. a ke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F16K37/00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fluid parame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F24D19/101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using a valve or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밸브바디; 상기 밸브바디의 양측에 각각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며, 외주면에 경사각을 갖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가 형성된 결속관을 포함하는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 각각에 결합되며, 내주면에 경사각을 갖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편이 형성된 결속부를 포함하는 소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결속관은 소켓의 결속부로 삽입되어, 걸림돌기와 걸림편이 상호 걸림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밸브바디와 소켓이 결합되는 과정에서 나사산 체결이 아닌 걸림돌기와 걸림편이 상호 걸림되어 끼워지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결합이 완료된 후에도 밸브바디로부터 소켓의 회전이 가능함에 따라, 체결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밸브가 향하는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정위치가 가능하며, 단일소재 또는 이종소재의 결합에도 결합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고, 누수 없이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로를 확보하기 위한 배관은 밸브, 수전 또는 피팅류 등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다양한 연결부가 구비된다.
다양한 연결부 중 하나의 예로, 보일러의 경우 가열된 온수를 각 방에 배치된 가지관에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분기를 위한 온수분배기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온수분배기는 각 방에 배치된 회유관과 온수가 흐르는 배관(코일 등)이 각각 연결되고, 관을 흐르는 온수를 제어할 수 있도록 밸브가 각각 구비된다.
즉 온수분배기 각각에는 온수의 공급과 차단 및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가 각각 구비되며, 이러한 밸브는 양측에 각각 배관과 매니폴드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종래에는 밸브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배관과 매니폴드 결합시, 서로 맞물리는 나사산을 형성하여 나사산 체결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밸브는 나사산 체결에 의해 연결되는 배관 또는 매니폴드를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밸브바디에 회전력이 전달되어 연결부위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고자 밸브바디를 메탈 소재와 같은 견고한 소재로만 제작이 가능하여 단가가 상승하고, 소재 활용의 다양성이 부족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 설치되어 있던 밸브의 방향이 정위치(예를 들어, 밸브가 특정을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위치) 상태가 아닌 경우, 밸브의 교체 또는 상태를 점검하거나, 밸브에 배관(코일) 또는 매니폴드 등을 탈부착하는 과정에서 체결력을 무시한 작업이 이루어져 체결부위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밸브바디와 소켓이 결합되는 과정에서 나사산 체결이 아닌 걸림돌기와 걸림편이 상호 걸림되어 끼워지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결합이 완료된 후에도 밸브바디로부터 소켓의 회전이 가능함에 따라, 체결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밸브가 향하는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정위치가 가능하며, 단일소재 또는 이종소재의 결합에도 결합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고, 누수 없이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밸브바디와 소켓이 나사산 체결이 아닌 걸림돌기와 걸림편이 상호 걸림되어 끼워지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메탈 소재의 소켓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도가 낮은 폴리머 소재로 밸브바디의 제조가 가능하여 단가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밸브바디와 소켓 사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하거나 또는 댐퍼 기능을 수행하는 우레탄 재질의 패드가 구비됨으로써, 서로 다른 재질의 결합에 의한 열변형에도 대응이 가능한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밸브바디 외측에 외부와 내부 공간을 연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 온도센서가 끼워지되, 클립을 통해 관통홀 일부분을 차단함으로써, 관통홀에 온도센서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온도센서의 탈부착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는 밸브바디; 밸브바디의 양측에 각각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며, 외주면에 경사각을 갖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가 형성된 결속관을 포함하는 연결관; 및 연결관 각각에 결합되며, 내주면에 경사각을 갖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편이 형성된 결속부를 포함하는 소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결속관은 소켓의 결속부로 삽입되어, 걸림돌기와 걸림편이 상호 걸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를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밸브바디와 소켓이 결합되는 과정에서 나사산 체결이 아닌 걸림돌기와 걸림편이 상호 걸림되어 끼워지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결합이 완료된 후에도 밸브바디로부터 소켓의 회전이 가능함에 따라, 체결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밸브가 향하는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정위치가 가능하며, 단일소재 또는 이종소재의 결합에도 결합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고, 누수 없이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밸브바디와 소켓이 나사산 체결이 아닌 걸림돌기와 걸림편이 상호 걸림되어 끼워지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메탈 소재의 소켓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도가 낮은 폴리머 소재로 밸브바디의 제조가 가능하여 단가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밸브바디와 소켓 사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하거나 또는 댐퍼 기능을 수행하는 우레탄 재질의 패드가 구비됨으로써, 서로 다른 재질의 결합에 의한 열변형에도 대응이 가능한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밸브바디 외측에 외부와 내부 공간을 연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 온도센서가 끼워지되, 클립을 통해 관통홀 일부분을 차단함으로써, 관통홀에 온도센서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온도센서의 탈부착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의 측면측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에서 연결관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에서 연결관을 나타낸 측면측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에서 소켓을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에서 연결관과 소켓이 결합되는 예를 나타낸 측면측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에서 서포트슬리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에서 서포트슬리브를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에서 서포트슬리브가 설치된 예를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의 저면측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에서 센서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에서 센서부를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에서 센서부를 나타낸 정면측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에서 클립을 나타낸 저면측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의 측면측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에서 연결관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에서 연결관을 나타낸 측면측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에서 소켓을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에서 연결관과 소켓이 결합되는 예를 나타낸 측면측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에서 서포트슬리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에서 서포트슬리브를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에서 서포트슬리브가 설치된 예를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의 저면측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에서 센서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에서 센서부를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에서 센서부를 나타낸 정면측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에서 클립을 나타낸 저면측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방향(예를 들어 "전", "후", "좌", "우", "위", "아래", "상", "하", "횡", "종", "정면", "배면", "일측", "타측", "내측" 및 "외측")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으며, 이러한 방향의 기재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성간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는 밸브바디와 소켓이 결합되는 과정에서 나사산 체결이 아닌 걸림돌기와 걸림편이 상호 걸림되어 끼워지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결합이 완료된 후에도 밸브바디로부터 소켓의 회전이 가능함에 따라, 체결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밸브가 향하는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정위치가 가능하며, 단일소재 또는 이종소재의 결합에도 결합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고, 누수 없이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의 측면측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는 종래의 밸브 구조에서 밸브바디의 연결관과 소켓 결합시 회전력을 이용하는 나사산 체결에 의해 연결관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파손된 부위를 통해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뿐만 아니라, 끼움결합에 의해 밸브바디(100)와 소켓(300)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밸브바디(100)와 소켓(300)이 단일소재 또는 이종소재로 이루어지더라도 우수한 체결력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밸브바디(100), 연결관(200), 소켓(300), 패드(400), 서포트슬리브(500) 및 센서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밸브바디(100)는 온수분배기에 연결되어 밸브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온수의 공급, 유량 및 유압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의 케이스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밸브바디(100)는 내부에 구성되는 유로를 개폐하는 유로개폐부(11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유로개폐부(110)는 밸브바디(100)의 내부 공간을 차단하거나 또는 개방되도록 하여 유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구성이 상세하게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종래의 다양한 밸브에 구성되는 내부 구성을 채택하여 다양하게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밸브바디(10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연결관(2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에서 연결관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에서 연결관을 나타낸 측면측 부분 단면도이다.
연결관(200)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밸브바디(100)의 양측에 각각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는 것으로, 연결관(200) 각각에는 후술되는 소켓(300)이 결합되어 상기 소켓(300)을 통해 배관(코일)이나 매니폴드 등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연결관(200)은 후술되는 소켓(300)이 끼움 결합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결속관(210)과 홈부(220) 및 연결관패킹(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결속관(210)은 연결관(200)의 끝단에 형성되어 후술되는 소켓(300)과 끼움결합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걸림돌기(211) 및 절개홈(2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결속관(210)은 소켓(300)과 결합됨으로써, 연결관(200)에 배관(코일)이나 매니폴드 등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결속관(2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경이 연결관(200)의 외경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후술되는 소켓(300)과 결속관(210)에 구비된 걸림돌기(211)가 걸림되는 과정에서 상기 소켓(300)의 걸림편(311)이 안내되도록 공간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한다.
걸림돌기(211)는 결속관(210) 끝단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후술되는 소켓(300)의 걸림편(311)에 걸림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걸림돌기(21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경사각을 갖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외경이 상기 결속관(210)의 끝단측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턱이 형성되도록 한다.
절개홈(212)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결속관(210)의 끝단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결속관(210)의 끝단에 형성된 걸림돌기(211)가 함께 절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절개홈(21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결속관(210)과 후술되는 소켓(300)이 연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결속관(210)은 소켓(300)의 내부 공간으로 끼워지고, 이때, 걸림돌기(211)와 소켓(300)에 구비된 걸림편(311)이 서로 교차하는 과정에서 다수 개의 절개홈(212)에 의해 걸림돌기(211)가 형성된 결속관(210)의 끝단 일부분이 중심축으로 오므라지게 되어 걸림돌기(211)와 걸림편(311)이 유연하게 교차할 수 있도록 하고, 교차가 완료된 이후, 텐션에 의해 오므라졌던 걸림돌기(211)가 원래의 형태로 복원됨에 따라, 걸림돌기(211)와 걸림편(311)의 걸림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홈부(220)는 연결관(200)의 외주면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후술되는 연결관패킹(230)이 끼워지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홈부(220)는 연결관(200)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홈부(220)는 연결관(200)의 장축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부(220)는 서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 쌍의 홈부(220) 각각에 후술되는 연결관패킹(230)이 안내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관패킹(230)은 기밀을 위한 오링으로, 홈부(220)에 안내되어 연결관(200)의 외주면과 소켓(300)의 내주면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기밀을 수행하여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홈부(220)는 연결관(200)의 외주면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후술되는 연결관패킹(230)이 끼워지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홈부(220)는 연결관(200)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연결관(200)은 외주면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주입홈(24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주입홈(240)은 연결관(200)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구리스 등과 같은 윤활유가 주입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200) 외주면에 한 쌍의 홈부(220)가 형성되는 경우, 한 쌍의 홈부(220) 사이에 주입홈(24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윤활유가 주입된 주입홈(240)은 홈부(220) 각각에 삽입된 한 쌍의 연결관패킹(230) 사이에 구비됨에 따라, 윤활유가 연결관패킹(230)의 기밀 기능에 의해 밸브바디(100) 외측으로 흘러 나오는 누유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입홈(240)은 구리스 등과 같은 윤활유가 주입됨에 따라, 연결관(200)에 후술되는 소켓(300)이 결합되는 경우, 상기 소켓(300)의 내주면과 연결관(200) 외주면 사이의 마찰을 줄여 보다 유연하게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소켓(300) 내주면의 직경과 연결관(200) 외주면의 직경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더라도 접촉 면적의 마찰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어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에서 소켓을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에서 연결관과 소켓이 결합되는 예를 나타낸 측면측 부분 단면도이다.
소켓(300)은 연결관(200)에 결합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연결관(200)에 구비되는 결속관(210)에 끼움결합되어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소켓(300)은 일측과 타측이 연통된 관 형태로 이루어지며, 결속부(310), 이음부(320) 및 단턱(3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결속부(310) 및 이음부(320)는 소켓(3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300)을 각각 결속부(310)와 이음부(320)의 구성으로 나누어 표시한 것으로, 소켓(300)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소켓(300)은 연결관(200)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소켓(300)을 연결관(200) 측, 즉 밸브바디(100) 측으로 이동시켜 결속관(210)이 상기 소켓(300)의 내부 공간으로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나아가, 소켓(300)은 한 쌍의 연결관(200) 각각에 결합되되, 상기 밸브바디(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층되는 형태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더 나아가, 한 쌍의 연결관(200) 각각에 결합되는 소켓(300)은 결속관(210)과의 끼움결합을 위한 구성, 즉 결속부(310), 이음부(320) 및 단턱(330)을 포함하는 구성은 동일하되,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배관(코일)이 연결되기 위한 소켓 또는 매니폴드가 연결되기 위한 소켓으로 구성되어 외형은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밸브바디(100)의 일측에 구비된 연결관(200)에 연결되는 소켓(300)은 외주면에 육각너트와 나사산이 형성되고, 밸브바디(100)의 타측에 구비된 연결관(200)에 연결되는 소켓(300)은 외주면에 육각너트만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결속부(310)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소켓(300)의 일측에 형성되며, 밸브바디(100)의 연결관(200)이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걸림편(31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걸림편(311)은 소켓(300)의 내주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경사각을 갖도록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소켓(300)의 내부 공간에 결속관(210)이 삽입되면, 상기 결속관(210)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돌기(211)와 걸림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걸림편(311)은 소켓(300)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내주면 원주방향을 따라 대칭인 형태로 이루어져 연결관(200)에 소켓(300)의 결합이 완료된 후에도 회전이 가능함으로써, 배관(코일) 결합시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유연하게 대처가 가능하여 파손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걸림편(311)은 걸림돌기(211)와 동일한 경사면을 갖도록 이루어지되, 내경이 밸브바디(100) 끝단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턱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에, 걸림편(311)과 걸림돌기(211)가 걸림되는 과정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소켓(300)이 밸브바디(100) 측으로 이동되어 연결관(200)이 소켓(300)의 내부 공간으로 끼워지면, 결속관(210)에 구비된 걸림돌기(211)와 결속부(310)에 구비된 걸림편(311)은 경사진 면에 의해 서로 교차한 후, 상기 걸림돌기(211)의 턱과 걸림편(311)의 턱이 서로 걸림된 형태가 되어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인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음부(320)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소켓(300)의 타측, 즉 결속부(310)의 끝단에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는 것으로, 후술되는 서포트슬리브(500)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나아가, 배관(코일)이나 매니폴드 등이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 이음부(320)의 내경은 연결관(200)의 내경과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이음부(3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 내주면에 내측으로 절삭되어 형성된 걸림턱(32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턱(321)은 후술되는 서포트슬리브(500)가 소켓(300)을 관통하여 연결관(200)으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서포트슬리브(500)에 형성된 돌출돌기(510)가 걸림되어 밸브바디(100) 측으로 이동되는 정도를 제한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결속부(310) 및 이음부(320)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결속부(310)의 내경은 이음부(320)의 내경 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내경의 차이로 인하며, 결속부(310)와 이음부(320) 사이에는 단턱(330)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33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관(210)의 끝단이 인접하도록 한다.
이는, 온수가 흐르는 과정에서 고온의 열로 인하여 구성들 각각은 열변형이 발생되는데, 이때, 밸브바디(100)의 소재를 폴리머 소재로 제조함에 따라, 열변형에 의해 길이가 늘어나더라도 결속부(310)의 끝단이 단턱(330)에 걸림되도록 함으로써, 열변형에 의한 밸브의 형태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밸브바디(100)와 소켓(300)의 끝단 사이에 링 형태의 패드(400)가 구비될 수 있다.
패드(400)는 링 형태로 이루어져 연결관(200)이 관통되며, 밸브바디(100)와 소켓(300)의 끝단 사이에 구비되어 댐퍼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패드(400)는 댐퍼기능을 수행함에 따라, 온수가 흐르는 경우, 고온의 열에 의해 구성들간 열변형이 발생되더라도 밸브바디(100) 또는 소켓(300)의 열변형에 의한 형태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패드(400)는 댐퍼기능이 우수한 우레탄패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패드(400)는 생략이 가능하되, 상기 패드(400)가 설치되기 위한 공간은 이격된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서로 인접하는 밸브바디(100)의 외주면과 소켓(300)의 끝단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어 신축공간이 확보되고, 이에, 구성들간 신축, 팽창이 발생되더라도 대응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진동 저감 효과로 인하여 내진방지 기능을 얻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에서 서포트슬리브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에서 서포트슬리브를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에서 서포트슬리브가 설치된 예를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이다.
설계조건에 따라, 연결관(200)과 소켓(300)의 결합이 완료되면, 상기 소켓(30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서포트슬리브(500)가 구비될 수 있다.
서포트슬리브(500)는 일측과 타측이 관통된 형태로 이루어져 유로의 기능을 수행하는 동시에 소켓(300)의 끝단에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며, 결속관(210)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서포트슬리브(500)는 외주면이 결속관(210)의 내주면에 밀착됨에 따라, 다수 개로 절개된 걸림돌기(211)가 상기 절개홈(212)에 의해 오므라지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유압 또는 열변형에 의해 밸브바디(100)로부터 소켓(300)을 외측으로 밀어내려는 힘이 발생되더라도 걸림돌기(211)와 걸림편(311)의 걸림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소켓(300)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서포트슬리브(5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돌기(510), 돌출링(520) 및 경사면(5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돌출돌기(510)는 서포트슬리브(500)의 끝단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져 소켓(300)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소켓(300)의 끝단에 형성된 걸림턱(321)에 걸림된다.
이에, 상기 소켓(300)과 연결관(200)의 내부 공간(유로)으로 삽입되는 서포트슬리브(500)는 돌출돌기(510)가 걸림턱(321)에 걸림됨에 따라, 밸브바디(100) 측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고 단속함으로써, 밸브바디(100)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돌출링(520)은 서포트슬리브(500)의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돌출링(520)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서포트슬리브(500)가 소켓(30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경우, 결속관(210)의 끝단과 단턱(330) 사이에 구비된다.
즉 소켓(300)과 연결관(200)의 내부 공간(유로)으로 서포트슬리브(500)가 삽입되면, 상기 돌출링(520)은 결속관(210)의 끝단과 단턱(330) 사이의 공간으로 끼워지게 되고, 이에, 서포트슬리브(500)가 좌,우로 진동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연결관(2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경사면(530)은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일측에 내주면이 외측으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도록 형성된다.
즉 밸브바디(100) 측으로 갈수록 서포트슬리브(500)의 내경이 점점 커지도록 경사면(530)이 형성됨에 따라, 연결관(200)의 내주면과 경사진 형태의 경사면(530)에 의해 온수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동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의 저면측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에서 센서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에서 센서부를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에서 센서부를 나타낸 정면측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에서 클립을 나타낸 저면측 사시도이다.
설계조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는 밸브바디(100)에 설치되어 온수의 압력, 온도 또는 누수여부를 측정하는 센서부(6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600)는 돌출바디(610), 온도센서(620) 및 클립(6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센서부(6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바디(100)의 하측에 설치되도록 이루어지되, 후술되는 돌출바디(610)는 밸브바디(100)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돌출바디(610)에 온도센서(620)와 클립(630)이 설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돌출바디(610)는 밸브바디(100)dlm 하측에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밸브바디(10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관통홀(611)이 형성되는 것으로, 슬라이드홈(6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관통홀(611)은 후술되는 온도센서(620)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슬라이드홈(612)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돌출바디(610)의 양측면 각각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지되, 일측 또는 타측으로 개구되며, 일측에서 타측으로 장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슬라이드홈(612)은 밸브바디(100)에 센서부(600)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클립(630)의 슬라이드돌기(631)가 안내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온도센서(620)는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센서부패킹)이 구비되며, 돌출바디(610)에 형성된 관통홀(611)에 끼워진다.
이러한 온도센서(620)는 온수의 압력, 온도 또는 누수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대, 센서부패킹(621)은 온도센서(620)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관통홀(611)과 그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기밀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클립(630)은 돌출바디(610)를 커버하여 온도센서(62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슬라이드돌기(631) 및 삽입돌기(6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클립(630)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단 각각이 상측으로 절곡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상세하게는, 정면측 단면이 상측으로 개구된 '∪'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돌출바디(610)에 클립(630)이 결합되는 경우, 상기 돌출바디(610)의 하측면과 양측면 일부분을 감싸도록 구비된다.
슬라이드돌기(631)는 클립(630)의 양측단 각각이 상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절곡된 양측단 각각의 내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돌출바디(610)에 클립(630)이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돌출바디(610)의 슬라이드홈(612)으로 안내된다.
즉 슬라이드돌기(631)는 슬라이드홈(61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됨으로써, 돌출바디(610)에 클립(630)이 타측에서 일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슬라이드돌기(631)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하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밸브바디(100) 내의 압력에 의해 클립(630)이 하측으로 이동되어 탈락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하측으로 절곡된 형태의 슬라이드돌기(631)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홈(612) 하측면에 보다 강하게 지지되기 때문에 압력에 의해 돌출바디(610)로부터 클립(630)이 하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밸브바디(100) 내의 압력에 의해 온도센서(620)가 배출되려는 힘이 발생되는데, 돌출바디(610)의 하측을 감싸도록 구비된 클립(630)의 슬라이드돌기(631)가 돌출바디(610)의 양측에 형성된 슬라이드홈(612)에 끼워짐으로써, 온도센서(620)가 이탈되는 것을 1차적으로 방지하고, 나아가, 슬라이드돌기(631)의 끝단이 하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져 돌출바디(610)로부터 클립(630)이 보다 강하게 지지되도록 하여 온도센서(620)가 이탈되는 것을 2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삽입돌기(632)는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클립(630)의 중간 일부분이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돌출바디(610)에 클립(630)이 결합되면, 상기 돌출바디(610)의 관통홀(611)에 삽입된다.
즉 클립(630)의 상단면에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삽입돌기(632)가 관통홀(611)로 안내되어 삽입됨으로써, 타측에서 일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된 클립(63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설계조건에 따라, 클립(630)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일측 일부분이 절개되도록 하되, 상측에서 하측까지 절개된 형태의 절삭홈(63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절삭홈(633)은 클립(630)의 상측에 지지되는 온도센서(620)가 별도의 케이블(도면에 미표시)로 연결되는 경우, 상기 케이블이 관통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며, 나아가, 클립(630)의 일측 일부분이 상기 절삭홈(633)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분리된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돌출바디(610)에 클립(630)이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절삭홈(633)에 의해 분리된 양측 부분이 보다 유연하게 돌출바디(610) 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적은 힘으로도 클립(630)의 설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센서부(600)가 밸브바디(100)에 결합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돌출바디(610)의 관통홀(611)에 온도센서(620)를 삽입하여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온도센서(620)와 관통홀(611) 사이에 위치하는 센서부패킹(621)에 의해 기밀이 유지되고, 다음으로, 돌출바디(610)의 슬라이드홈(612)에 클립(630)의 슬라이드돌기(631)가 끼워지도록 클립(630)을 돌출바디(610) 측으로 이동시키면, 클립(630)의 삽입돌기(632)가 관통홀(611)의 하측에 위치하여 온도센서(620)의 하측을 커버함으로써, 밸브바디(100)로부터 온도센서(62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즉 밸브바디(100)에 온도센서(620)가 끼움 결합에 의해 설치가 가능하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한 클립(630)이 설치되어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온도센서(620)의 탈부착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는 밸브바디(100)와 소켓(300)이 결합되는 과정에서 나사산 체결이 아닌 걸림돌기(211)와 걸림편(311)이 상호 걸림되어 끼워지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결합이 완료된 후에도 밸브바디(100)로부터 소켓(300)의 회전이 가능함에 따라, 체결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밸브바디(100)가 향하는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정위치가 가능하며, 단일소재 또는 이종소재의 결합에도 결합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고, 누수 없이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부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는 결합이 완료된 후에도 회전이 가능함에 따라, 우수한 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어 누수를 방지하고,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계량기, 수전, 분배기, 밸브, 피팅류 등 방향성과 결합성이 요구되는 모든 곳에 적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밸브바디(100)와 소켓(300)이 나사산 체결이 아닌 걸림돌기(211)와 걸림편(311)이 상호 걸림되어 끼워지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메탈 소재의 소켓(300)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도가 낮은 폴리머 소재로 밸브바디(100)의 제조가 가능하여 단가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밸브바디(100)와 소켓(300) 사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하거나 또는 댐퍼 기능을 수행하는 우레탄 재질의 패드(400)가 구비됨으로써, 서로 다른 재질의 결합에 의한 열변형에도 대응이 가능하다.
또한, 밸브바디(100) 외측에 외부와 내부 공간을 연통하는 관통홀(61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611)에 온도센서(620)가 끼워지되, 클립(630)을 통해 관통홀(611) 일부분을 차단함으로써, 관통홀(611)에 온도센서(620)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온도센서의 탈부착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0 : 밸브바디 110 : 유로개폐부
200 : 연결관 210 : 결속관
211 : 걸림돌기 212 : 절개홈
220 : 홈부 230 : 연결관패킹
240 : 주입홈
300 : 소켓 310 : 결속부
311 : 걸림편 320 : 이음부
321 : 걸림턱 330 : 단턱
400 : 패드
500 : 서포트슬리브 510 : 돌출돌기
520 : 돌출링 530 : 경사면
600 : 센서부 610 : 돌출바디
611 : 관통홀 612 : 슬라이드홈
620 : 온도센서 621 : 센서부패킹
630 : 클립 631 : 슬라이드돌기
632 : 삽입돌기 633 : 절삭홈
200 : 연결관 210 : 결속관
211 : 걸림돌기 212 : 절개홈
220 : 홈부 230 : 연결관패킹
240 : 주입홈
300 : 소켓 310 : 결속부
311 : 걸림편 320 : 이음부
321 : 걸림턱 330 : 단턱
400 : 패드
500 : 서포트슬리브 510 : 돌출돌기
520 : 돌출링 530 : 경사면
600 : 센서부 610 : 돌출바디
611 : 관통홀 612 : 슬라이드홈
620 : 온도센서 621 : 센서부패킹
630 : 클립 631 : 슬라이드돌기
632 : 삽입돌기 633 : 절삭홈
Claims (15)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밸브바디(100);
상기 밸브바디(100)의 양측에 각각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며, 외주면에 경사각을 갖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211)가 형성된 결속관(210)을 포함하는 연결관(200); 및
상기 연결관(200) 각각에 결합되며, 내주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경사각을 갖도록 돌출된 걸림편(311)이 형성된 결속부(310)를 포함하는 소켓(30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결속관(210)은 소켓(300)의 결속부(310)로 삽입되어, 걸림돌기(211)와 걸림편(311)이 상호 걸림되며,
상기 소켓(300)은
상기 밸브바디(100)의 연결관(200)이 삽입되는 결속부(310);
상기 결속부(310)의 외측에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결속부(310)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이음부(320); 및
상기 결속부(310)와 이음부(320) 사이에 형성되는 단턱(3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소켓(300)의 끝단에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며, 상기 결속관(210)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서포트슬리브(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이음부(320)는
끝단 내주면에 내측으로 절삭되어 형성된 걸림턱(321);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서포트슬리브(500)는
끝단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돌기(51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돌출돌기(510)는 걸림턱(321)에 걸림되어 소켓(30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정도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슬리브(500)는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돌출링(52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서포트슬리브(500)가 소켓(30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면, 상기 돌출링(520)은 결속관(210)의 끝단과 단턱(330)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슬리브(500)는
상기 밸브바디(100) 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넓어지도록 경사면(5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
- 밸브바디(100);
상기 밸브바디(100)의 양측에 각각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며, 외주면에 경사각을 갖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211)가 형성된 결속관(210)을 포함하는 연결관(200); 및
상기 연결관(200) 각각에 결합되며, 내주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경사각을 갖도록 돌출된 걸림편(311)이 형성된 결속부(310)를 포함하는 소켓(30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결속관(210)은 소켓(300)의 결속부(310)로 삽입되어, 걸림돌기(211)와 걸림편(311)이 상호 걸림되며,
상기 밸브바디(100)에 설치되어 온수의 압력, 온도 또는 누수여부를 측정하는 센서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센서부(600)는
상기 밸브바디(100)의 외주면에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밸브바디(100)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관통홀(611)이 형성된 돌출바디(610);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센서부패킹(621)이 구비되며, 상기 관통홀(611)에 끼워지는 온도센서(620); 및
상기 돌출바디(610)를 커버하여 온도센서(62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클립(6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돌출바디(610)는
양측면 각각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측이 개구되고, 일측에서 타측으로 장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슬라이드홈(61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클립(630)은
양측단 각각이 상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절곡된 양측단 각각의 내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슬라이드돌기(631);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슬라이드돌기(631)는
상기 슬라이드홈(612)에 끼워져 돌출바디(610)로부터 클립(630)의 탈락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클립(630)은
상단면에 하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삽입돌기(632);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삽입돌기(632)는
상기 관통홀(611)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 - 청구항 7 또는 10 중 선택된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200)은
외주면에 내측으로 파여진 원주방향의 홈부(220); 및
상기 홈부(220)에 끼워지는 연결관패킹(23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연결관패킹(230)은
상기 연결관(200)의 외주면과 결속부(310)의 내주면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200)은
외주면에 내측으로 파여진 원주방향의 주입홈(24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주입홈(240)은
윤활유가 주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
- 청구항 7 또는 10 중 선택된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바디(100)와 소켓(300)의 끝단 사이에 구비되는 링 형태의 패드(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96626A KR102372636B1 (ko) | 2021-07-22 | 2021-07-22 |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96626A KR102372636B1 (ko) | 2021-07-22 | 2021-07-22 |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72636B1 true KR102372636B1 (ko) | 2022-03-11 |
Family
ID=80814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96626A KR102372636B1 (ko) | 2021-07-22 | 2021-07-22 |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72636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85974B1 (ko) * | 2022-04-25 | 2023-01-09 | 주식회사 제이텍 | 밸브 조립체 |
KR102683185B1 (ko) * | 2024-01-29 | 2024-07-09 | 주식회사 태광씨엔에스 | 소방배관의 연결을 위한 연결구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10224U (ko) * | 1993-09-10 | 1995-04-24 | 로드안테나 | |
JP2003322283A (ja) * | 2002-05-07 | 2003-11-14 | Shokon Go | ガスホースの連結構造物 |
JP2011220469A (ja) * | 2010-04-12 | 2011-11-04 | Niigata Loading Systems Ltd | スイベルジョイント |
KR101739364B1 (ko) | 2015-04-06 | 2017-05-24 | (주)태양테크 | 배관연결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보일러의 난방분배기 |
KR20170129573A (ko) * | 2016-05-17 | 2017-11-27 | 아시아리드 주식회사 | 배관 결속용 구조체 |
-
2021
- 2021-07-22 KR KR1020210096626A patent/KR10237263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10224U (ko) * | 1993-09-10 | 1995-04-24 | 로드안테나 | |
JP2003322283A (ja) * | 2002-05-07 | 2003-11-14 | Shokon Go | ガスホースの連結構造物 |
JP2011220469A (ja) * | 2010-04-12 | 2011-11-04 | Niigata Loading Systems Ltd | スイベルジョイント |
KR101739364B1 (ko) | 2015-04-06 | 2017-05-24 | (주)태양테크 | 배관연결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보일러의 난방분배기 |
KR20170129573A (ko) * | 2016-05-17 | 2017-11-27 | 아시아리드 주식회사 | 배관 결속용 구조체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85974B1 (ko) * | 2022-04-25 | 2023-01-09 | 주식회사 제이텍 | 밸브 조립체 |
KR102683185B1 (ko) * | 2024-01-29 | 2024-07-09 | 주식회사 태광씨엔에스 | 소방배관의 연결을 위한 연결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72636B1 (ko) | 스마트 하이브리드 연결부 | |
US10337633B2 (en) | Relief valve with directable outlet | |
KR102071157B1 (ko) | 역 테이퍼 샤프트를 가지는 밸브 및 밸브 커플링 | |
US9534720B2 (en) | Quick connect assembly including for use in pressurized fluid applications and incorporating auto shut-off feature | |
US9447871B2 (en) | Multiple-ratio boost valve | |
EP3259509B1 (en) | System including a tubular fluid conduit and a quick connector fluid coupling with integrated check valve | |
US11105453B2 (en) | Pipe coupling member having valve element and coil spring for use therein | |
CN101344277A (zh) | 组装成单元且能分成多个区段的热水分配器 | |
CN101418869B (zh) | 供暖水流速控制阀 | |
US20150369377A1 (en) | Gland and packing assembly for ball valve and associated process of assembly | |
CN109477585A (zh) | 利用弹力维持气密性的连接部件及设置有其的阀门 | |
CN102414500A (zh) | 阀组件 | |
RU2396492C1 (ru) | Секционный радиатор | |
ZA200708742B (en) | Safety Valve | |
US20190128576A1 (en) | Temperature responsive liquid flow regulator | |
US20170241559A1 (en) | A valve arrangement | |
US20220349481A1 (en) | Globe Valve | |
CN107636554A (zh) | 用于控制流体的流通的恒温设备以及包括这种设备的恒温阀 | |
JP5967271B2 (ja) | 継手及び継手取付構造 | |
JP7549801B2 (ja) | 自在管継手 | |
US20220382303A1 (en) | Temperature-controlling water valve | |
US11549590B2 (en) | Valve for water flow control | |
US12066196B2 (en) | Hydronic expansion tank assembly | |
US20050016590A1 (en) | Gas plug connector | |
TWI808254B (zh) | 流體控制裝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