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9426A - 무선 베어러 재구성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베어러 재구성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9426A
KR20160119426A KR1020160037352A KR20160037352A KR20160119426A KR 20160119426 A KR20160119426 A KR 20160119426A KR 1020160037352 A KR1020160037352 A KR 1020160037352A KR 20160037352 A KR20160037352 A KR 20160037352A KR 20160119426 A KR20160119426 A KR 20160119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dcp
radio bearer
data
wlan
bea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7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0022B1 (ko
Inventor
홍성표
최우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US15/562,463 priority Critical patent/US10485042B2/en
Priority to PCT/KR2016/003203 priority patent/WO2016159634A1/ko
Publication of KR20160119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9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04W76/16Involving differ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e.g. a packet-switched [PS] bearer in combination with a circuit-switched [CS] bearer
    • H04W76/02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5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per individual bearer or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9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 H04W36/00698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using different RA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04W36/14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 H04W36/1446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wherein at least one of the networks is unlicen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04W76/028
    • H04W76/04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2Manipulation of transport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10Access point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e.g. multi-mode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9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9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 H04W36/0069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using split of the control plane or user pla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AN(Radio Access Network) 레벨에서 기지국이 무선 연결을 설정한 단말에 WLAN 연결을 추가하여 사용자 플레인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 플레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 데이터 베어러를 구성 또는 재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단말이 무선 베어러를 재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무선 자원만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와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개체에서 PDCP 데이터 복구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및 PDCP 개체에서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리오더링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선 베어러 재구성 방법 및 그 장치{Methods for reconfiguring radio bearer and Apparatuses thereof}
본 발명은 RAN(Radio Access Network) 레벨에서 기지국이 무선 연결을 설정한 단말에 WLAN 연결을 추가하여 사용자 플레인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 플레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 데이터 베어러를 구성 또는 재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이 발전해나감에 따라 사업체들 및 개인들과 같은 소비자들은 매우 다양한 무선 단말기들을 사용하게 되었다. 현재의 3GPP 계열의 LTE(Long Term Evolution), LTE-Advanced 등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음성 위주의 서비스를 벗어나 영상, 무선 데이터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는 고속 대용량의 통신 시스템으로서, 유선 통신 네트워크에 준하는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용량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식으로 다수의 셀(cell)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기지국이 한정적 주파수 자원을 이용하여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하는 다수의 단말에 제공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즉, 특정 사업자가 독점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자원을 확보하는 것은 많은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특정 사업자 또는 특정 통신시스템이 독점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비면허 주파수 대역은 다수의 사업자 또는 통신시스템이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파이로 대표되는 WLAN 기술은 비면허대역의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여 데이터 송수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이동통신 시스템도 해당 와이파이 AP(Access Point) 등을 사용하여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특히, 기지국이 WLAN의 무선자원과 기지국 무선자원을 이용하여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절차 및 방법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안출된 본 발명은 WLAN 무선자원 및 기지국 무선자원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무선 베어러를 기지국이 추가/수정/해제/변경하는 구체적인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WLAN 무선자원을 이용하는 무선 베어러를 기지국 무선자원을 이용하는 무선 베어러로 변경하여 재구성하는 구체적인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지국 무선자원을 이용하는 무선 베어러를 WLAN 무선자원을 이용하는 무선 베어러로 변경하여 재구성하는 구체적인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본 발명은 단말이 무선 베어러를 재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무선 자원만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와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개체에서 PDCP 데이터 복구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및 PDCP 개체에서 상기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리오더링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이 무선 베어러를 재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기지국 무선 자원만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 수신하는 단계 및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개체에서 상기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리오더링 절차를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지국이 단말의 무선 베어러를 재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무선 자원만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단계와 단말로부터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상태 리포트를 수신하는 단계 및 PDCP 상태 리포트에 기초하여 PDCP 개체에서 전달 성공 여부가 확인되지 않은 PDCP SDU(PDCP Service Data Unit) 또는 PDCP PDU(PDCP Protocol Data Unit)를 재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베어러를 재구성하는 단말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무선 자원만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수신부 및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개체에서 PDCP 데이터 복구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PDCP 개체에서 상기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리오더링 절차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베어러를 재구성하는 단말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기지국 무선 자원만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 수신하는 수신부 및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개체에서 상기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리오더링 절차를 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의 무선 베어러를 재구성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무선 자원만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송신부와 단말로부터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상태 리포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PDCP 상태 리포트에 기초하여 PDCP 개체에서 전달 성공 여부가 확인되지 않은 PDCP SDU(PDCP Service Data Unit) 또는 PDCP PDU(PDCP Protocol Data Unit)를 재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지국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지국이 WLAN 무선자원을 동적으로 이용하여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지국 무선자원에 더해 WLAN 무선자원을 추가하여 사용자 플레인 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단말과 무선 베어러를 재구성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공하여 AM RLC에 매핑되는 무선 베어러의 손실 없는 데이터 전송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듀얼 커넥티비티 상황에서의 2C 솔루션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듀얼 커넥티비티 상황에서의 3C 솔루션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듀얼 커넥티비티 상황에서의 1A 솔루션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를 지원하는 단말 또는 coverage enhancement를 지원하는 단말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및 coverage enhancement를 지원하는 단말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및/또는 coverage enhancement를 지원하기 위한 특정 카테고리로 정의된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TE 기반의 MTC 관련 동작을 수행하는 새롭게 정의된 3GPP Release 13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UE category/type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기존의 LTE coverage 대비 향상된 coverage를 지원하거나, 혹은 저전력 소모를 지원하는 기존의 3GPP Release 12 이하에서 정의된 UE category/type, 혹은 새롭게 정의된 Release-13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UE category/type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무선통신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무선통신시스템은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 및 기지국(Base Station, BS, 또는 eNB)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사용자 단말은 무선 통신에서의 단말을 의미하는 포괄적 개념으로서, WCDMA 및 LTE, HSPA 등에서의 UE(User Equipment)는 물론, GSM에서의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기지국 또는 셀(cell)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지점(station)을 말하며, 노드-B(Node-B), eNB(evolved Node-B), 섹터(Sector), 싸이트(Site),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릴레이 노드(Relay Node), RRH(Remote Radio Head), RU(Radio Unit), small cell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 또는 셀(cell)은 CDMA에서의 BSC(Base Station Controller), WCDMA의 Node-B, LTE에서의 eNB 또는 섹터(싸이트) 등이 커버하는 일부 영역 또는 기능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및 릴레이 노드(relay node), RRH, RU, small cell 통신범위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상기 나열된 다양한 셀은 각 셀을 제어하는 기지국이 존재하므로 기지국은 두 가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i) 무선 영역과 관련하여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스몰 셀을 제공하는 장치 그 자체이거나, ii) 상기 무선영역 그 자체를 지시할 수 있다. i)에서 소정의 무선 영역을 제공하는 장치들이 동일한 개체에 의해 제어되거나 상기 무선 영역을 협업으로 구성하도록 상호작용하는 모든 장치들을 모두 기지국으로 지시한다. 무선 영역의 구성 방식에 따라 eNB, RRH, 안테나, RU, LPN, 포인트, 송수신포인트, 송신 포인트, 수신 포인트 등은 기지국의 일 실시예가 된다. ii)에서 사용자 단말의 관점 또는 이웃하는 기지국의 입장에서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하게 되는 무선 영역 그 자체를 기지국으로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스몰 셀, RRH, 안테나, RU, LPN(Low Power Node), 포인트, eNB, 송수신포인트, 송신 포인트, 수신포인트를 통칭하여 기지국으로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은,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Uplink 또는 Downlink)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향링크(Uplink, UL, 또는 업링크)는 사용자 단말에 의해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하향링크(Downlink, DL, 또는 다운링크)는 기지국에 의해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무선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FDMA, OFDM-T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GSM, WCDMA, HSPA를 거쳐 LTE 및 LTE-Advanced로 진화하는 비동기 무선통신과, CDMA, CDMA-2000 및 UMB로 진화하는 동기식 무선 통신 분야 등의 자원할당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무선통신 분야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기술분야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LTE, LTE-Advanced와 같은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반송파 또는 반송파 쌍을 기준으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구성하여 규격을 구성한다.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등과 같은 제어채널을 통하여 제어정보를 전송하고,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등과 같은 데이터채널로 구성되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한편 EPDCCH(enhanced PDCCH 또는 extended PDCCH)를 이용해서도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셀(cell)은 송수신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 또는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 point 또는 transmission/reception point)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를 가지는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 그 송수신 포인트 자체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은 둘 이상의 송수신 포인트들이 협력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다중 포인트 협력형 송수신 시스템(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CoMP 시스템) 또는 협력형 다중 안테나 전송방식(coordinated multi-antenna transmission system), 협력형 다중 셀 통신시스템일 수 있다. CoMP 시스템은 적어도 두 개의 다중 송수신 포인트와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중 송수신 포인트는 기지국 또는 매크로 셀(macro cell, 이하 'eNB'라 함)과, eNB에 광케이블 또는 광섬유로 연결되어 유선 제어되는, 높은 전송파워를 갖거나 매크로 셀 영역 내의 낮은 전송파워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RRH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에서 단말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에서 다중 송수신 포인트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PUCCH, PUSCH, PDCCH, EPDCCH 및 PDSCH 등과 같은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되는 상황을 'PUCCH, PUSCH, PDCCH, EPDCCH 및 PDSCH를 전송, 수신한다'는 형태로 표기하기도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PDCCH를 전송 또는 수신하거나 PDCCH를 통해서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한다는 기재는 EPDCCH를 전송 또는 수신하거나 EPDCCH를 통해서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이하에서 기재하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은 PDCCH를 의미하거나, EPDCCH를 의미할 수 있으며, PDCCH 및 EPDCCH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도 사용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PDCCH로 설명한 부분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EPDCCH를 적용할 수 있으며, EPDCCH로 설명한 부분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EPDCCH를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기재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High Layer Signaling)은 RRC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RRC 정보를 전송하는 RRC시그널링을 포함한다.
eNB은 단말들로 하향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eNB은 유니캐스트 전송(unicast transmission)을 위한 주 물리 채널인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그리고 PDSCH의 수신에 필요한 스케줄링 등의 하향링크 제어 정보 및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예를 들면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에서의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승인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 되는 것을 해당 채널이 송수신되는 형태로 기재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WLAN 캐리어는 WLAN의 무선자원을 의미하는 것으로 WLAN 무선링크, WLAN 무선, WLAN 무선자원 또는 WLAN 무선네트워크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용어로 기재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WLAN 무선링크, WLAN 무선, WLAN 캐리어 또는 WLAN 무선네트워크 등을 WLAN 무선자원으로 기재하여 설명하고, WLAN 무선자원을 이용하는 베어러를 WLAN 베어러로 기재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WLAN 종단은 논리적인 WLAN 네트워크 노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WLAN AP 또는 WLAN AC가 될 수 있다. WLAN 종단은 기존 WLAN AP 또는 기존 WLAN AC와 같은 WLAN 네트워크 노드일 수도 있고, 기존 WLAN AP 또는 기존 WLAN AC에 WLAN 병합 전송을 위한 추가 기능을 포함한 WLAN 네트워크 노드일 수도 있다. WLAN 종단은 독립적인 개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또 다른 개체에 포함되는 기능적인 개체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WLAN 네트워크 노드를 필요에 따라 WLAN 종단 또는 WLAN AP로 기재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필요에 따라 기지국(eNB)이 제공하는 무선자원을 기지국 무선자원, 기지국 캐리어 또는 E-UTRAN 캐리어로 기재하여 설명하고, 기지국 무선자원을 이용하는 베어러를 기지국 베어러로 기재하여 설명한다.
3GPP/WLAN 인터워킹 기술은 RAN assisted WLAN 인터워킹 기능을 제공한다. E-UTRAN은 RRC_IDLE 그리고 RRC_CONNECTED 상태의 단말들에 대해 E-UTRAN과 WLAN 간에 단말 기반의 양방향 트래픽 제어(traffic steering)을 도울 수 있다.
E-UTRAN은 단말에 브로드캐스트 시그널링 또는 전용 RRC 시그널링을 통해 도움 파라미터를 제공한다. RAN 도움 파라미터들은 E-UTRAN 시그널 강도 임계치, WLAN 채널 이용 임계치, WLAN 백홀 데이터 전송율 임계치, WLAN 신호 강도(또는 WLAN 신호강도 임계치, 예를 들어 BeaconRSSI 임계치) 및 오프로드 선호도 지시자(Offload Preference Indicat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E-UTRAN은 단말에 브로드캐스트 시그널링을 통해 WLAN 식별자 리스트(a list of WLAN identifiers)를 제공할 수 있다.
단말은 3GPP TS 23.402 Architecture enhancements for non-3GPP accesses 문서에 규격화된 E-UTRAN과 WLAN 간의 트래픽 스티어링(traffic steering) 결정을 위해, TS 36.304 문서에 정의된 접속 네트워크 선택 및 트래픽 제어 룰(access network selection and traffic steering rules) 또는 TS 24.312 문서에 정의된 ANDSF policies을 평가하는데 RAN 도움 파라미터들을 사용할 수 있다.
TS 36.304 문서에 정의된 접속 네트워크 선택 및 트래픽 제어 룰(access network selection and traffic steering rules)이 만족(fulfilled) 될 때, 단말은 AS(access stratum) 상위 계층에 이를 표시(indicate)할 수 있다.
단말이 접속 네트워크 선택 및 트래픽 제어 룰을 적용할 때, 단말은 E-UTRAN과 WLAN 간에 APN 단위(granularity)로 트래픽 제어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RAN assisted WLAN 인터워킹 기능은 E-UTRAN과 WLAN이 독립적(standalone)으로 구축되어 연동하는 방법만을 제공한다.
Rel-12 RAN assisted WLAN 인터워킹에 비해 RAN 레벨에서 좀 더 타이트한 통합을 고려하는 LTE WLAN 인터그래이션(integration) 기능의 필요성도 높아졌다. 전술한 바와 같이 Rel-12 RAN assisted WLAN 인터워킹은 APN 단위로 E-UTRAN과 WLAN이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것만이 가능했었다. 따라서, 단말이 사용자 플레인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있어서, 단말의 무선상태와 이동성 등을 고려하여 E-UTRAN이 RAN 레벨에서 WLAN 캐리어를 E-UTRAN 내의 하나의 캐리어로 추가하여 E-UTRAN 캐리어 및/또는 WLAN 캐리어를 동시에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 없었다. 또는 단말이 특정 베어러에 속한 사용자 플레인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있어서, E-UTRAN 캐리어를 유지한 상태에서 단말의 무선 상태와 이동성 등을 고려하여 E-UTRAN이 RAN 레벨에서 단말에 WLAN 캐리어를 E-UTRAN 내의 하나의 캐리어처럼 추가하도록 구성하고 E-UTRAN 캐리어 및/또는 WLAN 캐리어를 통해 전송할 수 없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E-UTRAN이 RAN 레벨에서 WLAN 캐리어를 E-UTRAN 내의 하나의 캐리어로 추가하여 E-UTRAN 캐리어 및/또는 WLAN 캐리어를 통해 사용자 플레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E-UTRAN 레이어 2 상에서 사용자 플레인 데이터를 분리(또는 split 또는 routing)하는 방법과 사용자 플레인 데이터를 연동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일 예로, 듀얼 커넥티비티 솔루션 중 2C와 3C를 기반으로 사용자 플레인 데이터 분리 방법과 연동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듀얼 커넥티비티 솔루션 2C와 3C는 3GPP 듀얼 커넥티비티 섹션에 제시된 솔루션으로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듀얼 커넥티비티 상황에서의 2C 솔루션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일 예로, 단말에 WLAN 무선자원을 추가하여 구성하기 위한 구조는 듀얼 커넥티비티 2C 솔루션과 유사하게 PDCP 개체(entity)에서 WLAN 캐리어를 통해 전송할 데이터를 WLAN AP와 연동하여 전송하고, 피어링된 PDCP 개체에서 이를 수신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2C 솔루션 구조에서 마스터기지국(MeNB)의 PDCP 개체는 세컨더리 기지국(SeNB)의 RLC 개체와 연결된다.
도 2는 듀얼 커넥티비티 상황에서의 3C 솔루션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다른 예로, 단말에 WLAN 무선자원을 추가하여 구성하기 위한 구조는 듀얼 커넥티비티 3C 솔루션과 유사하게 PDCP 개체에서 E-UTRAN 캐리어를 통해 전송할 데이터 및/또는 WLAN 캐리어를 통해 전송할 데이터를 분리하여 전송하고, 피어링 된 PDCP 개체에서 이를 수신(또는 병합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3C 솔루션 구조에서 마스터기지국(MeNB)의 PDCP 개체는 마스터 기지국의 RLC 개체와 세컨더리 기지국의 RLC 개체에 연결되며, PDCP 개체에서 라우팅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은 듀얼 커넥티비티 상황에서의 1A 솔루션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또 다른 예로, 듀얼 커넥티비티 상황에서의 1A 솔루션 구조도 고려해 볼 수 있다. 1A 구조에서는 각 기지국의 PDCP 개체가 해당 기지국 내 RLC 개체와 연결된다.
그러나, E-UTRAN이 단말에 E-UTRAN 캐리어와 무선 연결(예를 들어 RRC Connection)을 설정한 상태에서 RAN 레벨에서 WLAN 캐리어를 추가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WLAN AP와의 상호동작(interaction)이 필요하다. 이는 동일한 E-UTRAN 기술을 사용하는 세컨더리 기지국과의 듀얼 커넥티비티 동작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WLAN 캐리어에는 종래 듀얼 커넥티비티에서 제공하는 RLC 기능이 제공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기지국이 WLAN 캐리어를 추가하여 단말과 무선 베어러(또는 데이터 무선 베어러, 이하에서는 무선 베어러로 기재함)를 추가하거나, 수정하거나, 해제하는데 있어서 이를 위한 동작이 필요하지만 이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방법이 제시되지 않았다. 즉 무선 베어러의 추가, 수정, 변경, 해제 등의 구성/재구성 동작은 연계된 각 레이어 2 개체의 세부 동작을 수반한다. 따라서 이에 대한 각 레이어2 개체들의 효율적인 동작에 대한 정의가 필요하다. 하지만 이에 대해 구체적인 방법이 전혀 개시되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기지국이 WLAN 캐리어를 추가하여 단말과 무선 베어러를 추가/수정/해제/변경 등을 하기 위한 무선 베어러 구성 또는 재구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무선 베어러의 추가, 수정, 변경, 해제 등의 동작에 연계된 각 레이어 2 개체들의 효율적인 동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지국과 WLAN AP가 non-co-located 된 시나리오에서 제공될 수 있다. 기지국과 WLAN AP가 non-co-located 된 시나리오에서 기지국과 WLAN AP는 비이상적인 백홀(non-ideal backhaul) 또는 near-ideal 백홀 또는 ideal 백홀을 통해 연결 또는 구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지국과 WLAN AP가 co-located 된 시나리오에서도 제공될 수도 있다.
E-UTRAN이 RAN 레벨에서 단말에 WLAN 무선자원을 하나의 캐리어로 추가하고 E-UTRAN 캐리어와 WLAN 캐리어를 사용하여 사용자 플레인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이를 위한 프로토콜 구조와 각 세부 레이어의 동작이 제공되어야 한다.
E-UTRAN이 WLAN 무선자원 또는 WLAN 캐리어를 하나의 캐리어로 추가하는 것은 논리적으로 또는 개념적으로 단말과 기지국이 기존 E-UTRAN 셀에 추가로 WLAN 캐리어를 통한 데이터 전송을 위한 기능/개체를 추가하여 구성하는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E-UTRAN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표기한 것으로 LTE/LTE-Advanced/임의의 3GPP 무선 액세스 또는 기지국을 의미할 수 있다.
E-UTRAN이 RAN 레벨에서 단말에 WLAN 무선자원을 E-UTRAN 내의 하나의 캐리어로 추가하여 E-UTRAN 캐리어 또는 WLAN 캐리어를 통해 무선 베어러 단위로 사용자 플레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 E-UTRAN 레이어 2의 서브 레이어 상에서 사용자 플레인 데이터를 분리(또는 split 또는 routing) 또는 연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듀얼 커넥티비티 2C 솔루션과 유사하게 PDCP 개체에서 WLAN 캐리어를 통해 전송할 데이터를 WLAN AP와 연동하여 전송하고, 피어링된 PDCP 개체에서 이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듀얼 커넥티비티 2C 솔루션과 유사하게 PDCP 개체에서 WLAN 캐리어를 통해 전송할 데이터를 WLAN AP와 연동하여 전송하고 피어링된 PDCP 개체에서 이를 수신하는 베어러를 WLAN 베어러로 표시한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해당 개념을 의미하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WLAN 베어러는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및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WLAN 베어러는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향링크 데이터는 E-UTRAN 캐리어를 통해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WLAN 베어러는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고, 하향링크 데이터는 E-UTRAN 캐리어를 통해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E-UTRAN 캐리어는 LTE-WLAN Aggregation 상황에서 기지국의 무선자원만을 사용하는 베어러를 의미할 수 있고, WLAN 베어러는 LTE-WLAN Aggregation 상황에서 WLAN 무선자원만을 사용하는 베어러를 의미할 수 있다. WLAN 베어러는 사용하는 무선자원을 스위칭하여 변경할 수 있다. 즉, 스위치 WLAN 베어러는 WLAN 무선자원만을 사용하다가 상위 계층 메시지를 통해 재구성됨으로써 기지국 무선자원만을 사용하도록 스위칭 되거나, 기지국 무선자원만을 사용하다가 상위 계층 메시지를 통해 재구성됨으로써 WLAN 무선자원만을 사용하도록 스위칭 될 수도 있다. 즉, 이하에서는 WLAN 베어러가 WLAN 무선자원만을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베어러 재구성 등에 따라 기지국 무선자원만을 이용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는 스위치 베어러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한편, 전술한 듀얼 커넥티비티 3C 솔루션과 유사하게 PDCP 개체에서 E-UTRAN 캐리어를 통해 전송할 데이터 및/또는 WLAN 캐리어를 통해 전송할 데이터를 분리하여 전송하고, 피어링 된 PDCP 개체에서 이를 수신(또는 병합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듀얼 커넥티비티 3C 솔루션과 유사하게 PDCP 개체에서 E-UTRAN 캐리어를 통해 전송할 데이터 및/또는 WLAN 캐리어를 통해 전송할 데이터를 분리하여 전송하고 피어링된 PDCP 개체에서 이를 수신하는 베어러를 병합 베어러(Integration bearer, aggregation bearer, WLAN split bearer)로 표시한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해당 개념을 의미하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병합 베어러는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그리고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하향링크 데이터를 E-UTRAN 캐리어와 WLAN 캐리어를 통해 전송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향링크 데이터를 E-UTRAN 캐리어와 WLAN 캐리어를 통해 전송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병합 베어러는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하향링크 데이터를 E-UTRAN 캐리어와 WLAN 캐리어를 통해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향링크 데이터를 E-UTRAN 캐리어를 통해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병합 베어러는 하향링크 데이터를 E-UTRAN 캐리어와 WLAN 캐리어를 통해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향링크 데이터를 WLAN 캐리어를 통해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병합 베어러는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향링크 데이터를 E-UTRAN 캐리어와 WLAN 캐리어를 통해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하향링크 데이터를 E-UTRAN 캐리어를 통해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향링크 데이터를 E-UTRAN 캐리어와 WLAN 캐리어를 통해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하향링크 데이터를 WLAN 캐리어를 통해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기지국과 RRC 연결(Connection)을 설정한 단말에 대해, 기지국은 WLAN 캐리어를 추가하여 WLAN 베어러를 추가 구성 또는 재구성할 수 있다.
일 예로, RRC 연결을 설정한 단말은 코어망 시그널링을 통해 새로운 무선 베어러를 WLAN 베어러로 추가할 수 있다. RRC 연결을 설정한 단말은 코어망 시그널링을 통해 새로운 무선 베어러를 병합 베어러로 추가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RRC 연결을 설정한 단말에 이미 구성된 무선 베어러(E-UTRAN 베어러)를 WLAN 베어러로 재구성/수정/변경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RRC 연결을 설정한 단말에 이미 구성된 무선 베어러(E-UTRAN 베어러)를 병합 베어러로 재구성/수정/변경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기지국과 RRC 연결을 설정한 단말에 E-UTRAN 캐리어를 통해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베어러(DRB), 또는 E-UTRAN 캐리어를 통해서만 전송되는 무선베어러(DRB)를 E-UTRAN 베어러 또는 기지국 베어러로 표시한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해당 개념을 의미하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WLAN 베어러 추가( addition )
RRC 연결 재구성(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통해 단말에 WLAN 베어러를 추가하는 경우, 단말은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PDCP 개체(PDCP entity)를 설정한다. 그리고 PDCP 구성정보(PDCP-Config)에 따라 PDCP 개체를 구성한다.
단말은 WLAN 캐리어를 통해 사용자 플레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개체를 설정한다. 그리고 설정된 개체를 구성하기 위한 정보에 따라 해당 개체를 구성한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단말에서 WLAN 캐리어를 통해 사용자 플레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개체를 WLAN 개체로 기재한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해당 개념을 의미하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병합 베어러 추가(addition)
RRC 연결 재구성(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통해 단말에 병합 베어러를 추가하는 경우, 단말은 다음과 같은 동작을 할 수 있다.
단말은 PDCP 개체를 설정한다. 그리고 PDCP 구성정보(PDCP-Config)에 따라 PDCP 개체를 구성한다.
단말은 RLC 개체를 설정한다. 그리고 RLC 구성정보(RLC-Config)에 따라 RLC 개체를 구성한다.
단말은 WLAN 개체를 설정한다. 그리고 WLAN 개체 구성정보에 따라 WLAN 개체를 구성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 및 기지국의 동작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특히, 본 발명은 단말과 기지국에 구성된 특정 무선 베어러를 E-UTRAN 베어러에서 WLAN 베어러로 또는 WLAN 베어러에서 E-UTRAN 베어러로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서 각 실시예 별로 나누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무선 베어러를 재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무선 자원만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와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개체에서 PDCP 데이터 복구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및 PDCP 개체에서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리오더링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WLAN 무선 자원만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410). 단말은 전술한 WLAN 베어러 추가 또는 병합 베어러 추가 방법을 이용하여 기지국 또는 WLAN AP와 무선 베어러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단말에 추가 구성된 특정 무선 베어러는 WLAN 무선자원만을 이용하는 WLAN 베어러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의 WLAN 베어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후 상위계층 시그널링에 의해서E-UTRAN 베어러로 변경되어 재구성될 수 있다. 한편, 단말은 기지국 무선자원만을 이용하는 E-UTRAN 베어러도 별도로 구성할 수 있다.
단말은 WLAN 무선자원만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특정 무선 베어러(예를 들어, WLAN 베어러)에 대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 타입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무선 베어러에 대한 무선 베어러 타입 정보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의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에 포함될 수 있다. 즉, 단말에 WLAN 베어러가 구성된 경우에 무선 베어러 타입 정보는 해당 WLAN 베어러가 WLAN 무선자원만을 사용하는 베어러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과 같이 WLAN 베어러를 E-UTRAN 베어러로 변경하여 재구성하기 위해서, 단말은 해당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무선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는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기존 WLAN 베어러의 무선 베어러 타입에 대한 정보를 E-UTRAN 베어러를 나타내는 무선 베어러 타입에 대한 정보로 변경하는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즉, 단말은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무선 베어러 타입 정보가 기존 무선 베어러 타입 정보와 변경되는 경우, 해당 특정 무선 베어러의 타입이 변경됨을 인지할 수 있다.
한편, 단말은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개체에서 PDCP 데이터 복구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420). WLAN 무선자원만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무선 베어러 타입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단말은 PDCP 개체에서 PDCP 데이터 복구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해당 특정 무선 베어러의 무선 베어러 타입을 WLAN 베어러에서 E-UTRAN 베어러로 변경하기 위해서, 특정 무선 베어러를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 때, 종래 WLAN 무선자원만을 이용하여 수신하던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손실 또는 누락을 방지하기 위해서, PDCP 개체는 PDCP 데이터 복구 절차를 수행해야 한다.
예를 들어, PDCP 개체는 PDCP 상태 리포트를 생성하고, PDCP 상태 리포트를 PDCP PDU(PDCP Protocol Data Unit)에 포함하여 하위계층으로 전달할 수 있다. 즉, PDCP 개체는 PDCP 계층에서의 PDCP 상태 리포트를 생성하고, 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위해서 작성된 PDCP 상태 리포트를 하위계층(예를 들어, RLC 계층 또는 MAC 계층)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단말은 PDCP 데이터 복구 절차가 개시되면, PDCP 상태 리포트를 기지국으로 전송하여, 기지국이 해당 특정 무선 베어러가 재구성되는 경우에 PDCP 데이터를 재전송하는데에 도움을 준다. 구체적인 PDCP 데이터 복구 동작은 아래의 실시예 별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단말은 PDCP 개체에서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리오더링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430). 단말은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특정 무선 베어러가 WLAN 베어러에서 E-UTRAN 베어러로 타입이 변경되면, PDCP 개체에서 해당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리오더링 절차를 수행한다. 즉, 기지국이 WLAN 무선자원을 이용하여 단말로 전송하던 하향링크 데이터를 기지국 무선자원을 이용하여 단말로 전송함에 있어서, 순서대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in sequence transmission),데이터 누락 또는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서 단말은 수신되는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리오더링 절차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리오더링 타이머를 구성하기 위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수신할 수 있으며, 리오더링 타이머를 구성하기 위한 정보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 수신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리오더링 절차를 수행함에 있어서, 리오더링 타이머가 만료되면 리오더링을 위해 저장된 모든 PDCP SDU를 연계된 COUNT 값의 올림차순으로 상위계층으로 전달한다. 즉, RLC UM 방식(UM RLC 모드)과 유사하게 주기적으로 리오더링 타이머가 만료되면, 순서를 벗어나 수신되어 저장된 모든 PDCP SDU를 상위계층으로 전달하여 하향링크 데이터를 순서대로 상위계층으로 전달한다. 또한, 단말은 3GPP TS 36.323 문서의 리오더링 절차를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은 WLAN 무선자원만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베어러를 기지국 무선자원만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베어러로 재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 과정에서 순서대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in sequence transmission), 하향링크 데이터의 누락 또는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서, PDCP 개체에서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하향링크 데이터를 리오더링하고, 기지국의 PDCP 데이터 재전송을 돕기 위해서 PDCP 상태 리포트를 생성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달하는 특정 무선 베어러를 기지국 베어러로 재구성하는 방법을 기지국 관점에서 재차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은 단말의 무선 베어러를 재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무선 자원만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단계와 단말로부터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상태 리포트를 수신하는 단계 및 PDCP 상태 리포트에 기초하여 PDCP 개체에서 전달 성공 여부가 확인되지 않은 PDCP SDU(PDCP Service Data Unit) 또는 PDCP PDU(PDCP Protocol Data Unit)를 재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지국은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무선 자원만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610). 전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은 WLAN 베어러를 E-UTRAN 베어러로 변경하기 위해서 특정 무선 베어러(예를 들어, WLAN 베어러)에 대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는 정보를 생성하여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데이터 무선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는 정보를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 전송할 수 있으며, 상위계층 시그널링은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일 수 있다.
한편,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는 정보는 단말의 리오더링 절차 수행에 사용되는 리오더링 타이머를 구성하기 위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리오더링 타이머를 구성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여 리오더링 타이머를 구성하고, 특정 무선 베어러가 재구성되는 경우 리오더링 타이머를 이용하여 리오더링 절차를 수행한다.
또한,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상태 리포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520). 기지국은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는 경우, 단말로부터 해당 특정 무선 베어러의 PDCP 상태 리포트를 수신한다. 단말이 특정 무선 베어러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단말은 PDCP 상태 리포트를 하위계층으로 전송할 첫번째 PDCP PDU로 생성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또한, 기지국은 PDCP 상태 리포트에 기초하여 PDCP 개체에서 전달 성공 여부가 확인되지 않은 PDCP SDU 또는 PDCP PDU를 재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530). 기지국은 PDCP 상태 리포트를 이용하여 PDCP 데이터 복구를 수행하여, 기지국 무선자원만을 이용하여 단말로 하향링크 데이터를 재전송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WLAN 무선자원을 이용하여 단말로 전달하던 PDCP PDU에 대해서 기지국 무선자원을 이용하여 단말로 재전송한다. 즉, 특정 무선 베어러를 재구성함에 따라 AM RLC 개체로 전달 성공 여부가 확인되지 않은 PDCP PDU를 PDCP 데이터 복구 절차에 따라 단말로 재전송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WLAN 무선자원만을 이용하는 특정 무선 베어러(WLAN 베어러)를 기지국 무선자원만을 이용하는 특정 무선 베어러(E-UTRAN 베어러)로 재구성하는 실시예에 대해서 다시 한 번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WLAN 베어러 → E-UTRAN 베어러 재구성/수정/변경
1) PDCP 재설정(re-establishment)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통해 단말에 구성된 WLAN 베어러를 E-UTRAN 베어러로 재구성/수정/변경하는 경우, 단말은 다음과 같은 동작을 할 수 있다.
단말은 PDCP 개체를 재설정한다.
WLAN 개체는 다음의 동작 중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 가능할 때, 수신측에서 PDCP 개체로 전달할 수 있는 PDCP PDUs를 상위계층으로 전달한다.
- 수신 측에서 남은 데이터를 버린다.
- 송신 측에서 데이터를 버린다.
- 제어 데이터를 버린다.
전술한 바와 같이 PDCP 재설정을 수행하면, 단말이 무선 베어러 변경과정에서 손실된 데이터에 대해, PDCP 재설정에 따라 성공적인 전달이 확인되지 않은 PDCP SDUs를 전송 또는 재전송하므로 손실없는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PDCP 개체의 변동이 없는 베어러 변경에 대해서도 헤더 압축 프로토콜 리셋과 시큐리티 키 변경, PDCP SDUs 전송 또는 재전송 등의 복잡한 세부 동작을 처리해야 하며, 이에 따라 복잡성이 증가되고 지연이 유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PDCP 개체를 재설정하지 않고, 특정 무선 베어러를 재구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2) PDCP 데이터 복구
전술한 1)의 실시예와 같이, PDCP 개체를 재설정하는 경우, 불필요한 동작이 수행되어 복잡성이 증가되고, 지연이 유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PDCP 개체의 재설정없이 PDCP 데이터 복구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이 경우, PDCP 개체는 재구성되거나, 유지될 수 있다.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통해 단말에 구성된 WLAN 베어러를 E-UTRAN 베어러로 재구성/수정/변경하는 경우, 단말은 다음과 같은 동작을 할 수 있다. WLAN 베어러를 E-UTRAN 베어러로 재구성/수정/변경하기 위한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는 데이터 무선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는 "drb-ToAddModList"에 DRB 타입을 포함할 수 있다. 해당 특정 무선 베어러의 DRB 타입이 현재 타입에서 변경되어 수신되는 경우, 단말은 해당 특정 무선 베어러를 재구성할 수 있다.
단말은 WLAN 개체로 이전에 제출된 PDCP 데이터 복구(data recovery)를 수행한다.
WLAN 개체는 다음의 동작 중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 가능할 때, 수신측에서 PDCP 개체로 전달할 수 있는 PDCP PDUs를 상위계층으로 전달한다.
- 수신 측에서 남은 데이터를 버린다.
- 송신 측에서 데이터를 버린다.
- 제어 데이터를 버린다.
종래 기술에서 PDCP 데이터 복구는 재설정된 AM RLC 개체로 이전에 제출된 모든 PDCP PDUs에 대해 재전송을 수행한다. 따라서, WLAN 베어러를 WLAN 베어러로 변경하는 경우에는 베어러 변경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에(또는 PDCP 데이터 복구를 수행하기 전에) WLAN 개체로 제출된 PDCP PDUs에 대해 재전송을 수행해야 한다.
PDCP 데이터 복구에 따라 만약 무선 베어러가 상위 계층에 의해 업링크로 PDCP 상태 리포트를 보내도록 구성되었다면, PDCP 상태 리포트를 생성하여 이를 하위 계층에 전송을 위한 첫번째 PDCP PDU로 제출한다.
단말에서 상향링크에 대한 PDCP 데이터 복구가 수행되면, 기지국에서는 해당 PDCP 데이터에 대한 리오더링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 또는 기지국에서 하향링크에 대한 PDCP 데이터 복구가 수행되면, 단말은 해당 PDCP 데이터에 대한 리오더링 기능(reordering function)을 수행해야 한다.
종래 기술에서 PDCP 데이터 복구는 Rel-12 듀얼 커넥티비티에서 규격화된 스플릿 베어러에 대한 베어러 변경이 발생될 때(예를 들어, PDCP 재설정 없이 스플릿 베어러가 스플릿 베어러로 변경될 때 또는 PDCP 재설정 없이 스플릿 베어러가 MCG 베어러로 변경될 때)만 수행된다.
또한 종래기술에서 단말에 스플릿 베어러가 구성될 때 리오더링 기능이 수행되었다. 일 예를 들어, 단말은 듀얼 커넥티비티 상황에서 PDCP 개체가 두 개의 AM RLC 개체와 연관되어 구성되는 경우(the PDCP entity is associated with two AM RLC entities)에 리오더링 기능이 수행되었다. 다른 예를 들어, PDCP 재설정 없이 스플릿 베어러가 스플릿 베어러로 변경될 때에 리오더링 기능이 수행되었다. 또한, 종래에는 단말에 PDCP 재설정 없이 스플릿 베어러가 MCG 베어러로 변경될 때(the PDCP entity is associated with one AM RLC entity after it was, according to the most recent reconfiguration, associated with two AM RLC entities without performing PDCP re-establishment)에 리오더링 기능이 사용되었다.
이에 따라, PDCP는 듀얼 커넥티비 분리 베어러 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면 바로 리오더링 기능을 시작했으며, 설정된 리오더링 타이머(t-Reordering-r12)를 통해 RLC UM과 같은 리오더링 방법을 적용했다. 즉, 리오더링을 위해 모든 저장된 PDCP SDU(s)를 상위계층으로 전달한다. TS 36.323에 규격화된 세부 절차는 다음과 같다.
순서대로 PDCU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해 리오더링을 트리거될 때 리오더링 타이머가 완료되면 리오더링을 위해 저장된 모든 PDCP SDU를 연계된 COUNT 값의 오름차순으로 상위 계층으로 전달했다.( When t-Reordering expires, the UE shall:
- deliver to upper layers in ascending order of the associated COUNT value:
- all stored PDCP SDU(s) with associated COUNT value(s) less than Reordering_PDCP_RX_COUNT;
- all stored PDCP SDU(s) with consecutively associated COUNT value(s) starting from Reordering_PDCP_RX_COUNT;)
이와 달리, 본 발명은 WLAN 베어러를 E-UTRAN 베어러로 재구성/수정/변경하는 경우에 PDCP 데이터 복구를 사용한다면, 리오더링 절차를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특정 무선 베어러가 하향링크인 경우, 기지국은 이를 위한 리오더링 타이머를 구성하기 위한 정보(또는 이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RRC 메시지에 포함하여 단말에 전달할 수 있다. 특정 무선 베어러가 상향링크인 경우, 기지국은 이를 위한 리오더링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전술한 리오더링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때 PDCP에서 제공하는 하향링크 데이터 수신 절차를 이용할 수 있다. 전술한 리오더링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때, AM RLC에 매핑되는 무선 베어러에 대해서는, 만약 하위 계층 재설정이 아니라면, PDCP에 의해 수신된 PDCP SDU 또는 PDCP PDU는 곧바로 상위 계층으로 전달된다. 즉, 전술한 리오더링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단일 무선링크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는 RLC가 in-sequence 전달을 보장하기 때문에 PDCP를 리오더링하지 않고 바로 상위 계층으로 전달할 수 있다. 하지만, 전술한 리오더링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때, AM RLC에 매핑되는 무선 베어러에 대해서, 만약 하위 계층 재설정이 발생하면, 핸드오버 등과 같이 PDCP 재설정에 연관되기 때문에 PDCP에서 리오더링을 수행하여 상위 계층으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WLAN 베어러를 E-UTRAN 베어러로 재구성/수정/변경하는 경우에 PDCP 데이터 복구를 사용한다면, 단말은 전술한 종래의 리오더링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때 종래의 PDCP에서 제공하는 하향링크 데이터 수신 절차를 개선하여 리오더링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만약 PDCP 개체에 의해 수신된 PDCP PDU가 WLAN 베어러에서 E-UTRAN 베어러 변경으로 인한 것이라면(또는 WLAN 개체의 해제로 인한 것이라면 또는 WLAN 개체의 특정 동작으로 인한 것이라면) 다음과 같이 리오더링을 하도록 할 수 있다.
- elseif received PDCP SN = Last_Submitted_PDCP_RX_SN + 1 or received PDCP SN = Last_Submitted_PDCP_RX_SN ― Maximum_PDCP_SN:
-- deliver to upper layers in ascending order of the associated COUNT value:
--- all stored PDCP SDU(s) with consecutively associated COUNT value(s) starting from the COUNT value associated with the received PDCP PDU;
- set Last_Submitted_PDCP_RX_SN to the PDCP SN of the last PDCP SDU delivered to upper layers;
다른 예를 들어, 만약 PDCP에 의해 수신된 PDCP PDU가 WLAN 베어러에서 E-UTRAN 베어러 변경으로 인한 것이라면(또는 WLAN 개체의 해제로 인한 것이라면 또는 WLAN 개체의 특정 동작으로 인한 것이라면) 다음과 같이 리오더링을 하도록 할 수 있다.
- deliver to upper layers in ascending order of the associated COUNT value:
-- all stored PDCP SDU(s) with consecutively associated COUNT value(s) starting from the COUNT value associated with the received PDCP PDU;
- set Last_Submitted_PDCP_RX_SN to the PDCP SN of the last PDCP SDU delivered to upper layer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특정 무선 베어러가 WLAN 베어러에서 E-UTRAN 베어러로 베어러 타입이 변경되는 경우, 수신측(예를 들어, 하향링크에서 단말)은 PDCP 재설정없이 PDCP 데이터 복구 절차를 수행하고, PDCP 개체에서 리오더링 타이머를 이용하여 리오더링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위에서는 WLAN 베어러를 E-UTRAN 베어러로 재구성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전술한 특정 무선 베어러는 스위칭 기능을 포함하는 것으로 E-UTRAN 베어러가 WLAN 베어러로 재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특정 무선 베어러가 기지국 무선자원만을 이용하는 것으로 구성된 경우, WLAN 무선자원만을 이용하도록 재구성되는 경우의 본 발명에 따른 절차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단말은 무선 베어러를 재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기지국 무선 자원만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 수신하는 단계 및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개체에서 상기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리오더링 절차를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기지국 무선 자원만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610). 도4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은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E-UTRAN 베어러를 WLAN 베어러로 재구성하기 위해서, 데이터 무선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는 정보는 무선 베어러를 기지국 무선 자원만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 베어러 타입에서 WLAN 무선 자원만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 베어러 타입으로 변경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는 정보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단말은 상위계층 시그널링에 포함된 데이터 무선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는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특정 무선 베어러의 타입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특정 무선 베어러를 재구성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또한, 단말은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개체에서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리오더링 절차를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620). 특정 무선 베어러를 E-UTRAN 베어러에서 WLAN 베어러로 재구성하기 위해서, 단말은 PDCP 개체에서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리오더링 절차를 개시한다. 예를 들어, 단말은 PDCP 개체에서 리오더링 타이머를 이용하여 PDCP SDU를 카운팅하고, 리오더링 타이머가 만료되면, PDCP SDU를 상위계층으로 전달한다.
다만, E-UTRAN 베어러를 WLAN 베어러로 재구성하는 경우, 도 4와 달리 단말의 PDCP 개체는 PDCP 데이터 복구 절차를 수행하지 않고, 리오더링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단말은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E-UTRAN 베어러를 불필요한 지연 및 데이터 손실없이 WLAN 베어러로 재구성할 수 있다.
이하, E-UTRAN 베어러를 WLAN 베어러로 재구성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아래에서 설명한다.
E-UTRAN 베어러 → WLAN 베어러 재구성/수정/변경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통해 단말에 구성된 E-UTRAN 베어러를 WLAN 베어러로 재구성/수정/변경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기지국은 단말로 E-UTRAN 베어러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는 정보를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WLAN에서는 E-UTRAN의 RLC 개체와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지 않았다. 따라서 E-UTRAN 베어러를 WLAN 베어러로 재구성/수정/변경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 플레인 데이터를 E-UTRAN 캐리어를 통한 전송에서 WLAN 캐리어를 통한 전송으로 스위치하는 과정에서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AM RLC(Acknowledged mode Radio Link Control)에 매핑되는 무선 베어러들에 대해서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통해 단말에 구성된 E-UTRAN 베어러를 WLAN 베어러로 재구성/수정/변경할 때도 손실 없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실시예를 사용할 수 있다.
1) PDCP 재설정(re-establishment)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통해 단말에 구성된 E-UTRAN 베어러를 WLAN 베어러로 재구성/수정/변경하는 경우, 단말은 다음과 같은 동작을 할 수 있다.
단말은 PDCP 개체를 재설정한다.
단말은 RLC 개체를 재설정한다.
단말은 WLAN 개체를 설정한다. 그리고 WLAN 개체 구성정보에 따라 WLAN 개체를 구성 또는 재구성한다.
상위 계층(예를 들어, RRC)에 의해 PDCP 재설정이 요청되면, AM RLC에 매핑되는 무선 베어러에 대해 단말은 다음의 동작 중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한다.
- 업링크에 대한 헤더 압축 프로토콜을 리셋한다(reset the header compression protocol for uplink and start with an IR state in U-mode (if configured).
- 다운링크에 대한 헤더 압축 프로토콜을 리셋한다(reset the header compression protocol for downlink and start with NC state in U-mode (if configured)).
- 상위 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암호화 알고리즘과 키를 적용한다(apply the ciphering algorithm and key provided by higher layers during the re-establishment procedure).
- 다운링크에 대해, 하위 계층(RLC)의 재설정에 의해, 하위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PDCP 데이터를 처리한다(process the PDCP Data PDUs that are received from lower layers due to the re-establishment of the lower layers).
- 업링크에 대해, 하위 계층(예를 들어, RLC)에 의해 해당 PDCP PDU의 성공적인 전달이 확인되지 않은 첫 번째 PDCP SDU로부터, PDCP 재설정 이전에 PDCP SDU에 연계된 COUNT 값의 오름차순으로 이미 PDCP SNs(Sequence Numbers)를 가지고 연계된 모든 PDCP SDUs의 전송 또는 재전송을 아래와 같이 수행한다(from the first PDCP SDU for which the successful delivery of the corresponding PDCP PDU has not been confirmed by lower layers, perform retransmission or transmission of all the PDCP SDUs already associated with PDCP SNs in ascending order of the COUNT values associated to the PDCP SDU prior to the PDCP re-establishment as specified below)
-- PDCP SDU의 헤더 압축 수행.
-- PDCP SDU에 연계된 COUNT 값을 통해 PDCP SDU의 암호화를 수행.
-- PDCP 데이터 PDU를 하위 계층으로 제출.
상위 계층에 의해 RLC 재설정이 요청되면, AM RLC 개체(또는 단말 또는 단말의 AM RLC 개체)는 다음의 동작 중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한다.
- 가능할 때, SN(Serial Number)가 수신 측에서 최대 받아들일 수 있는 수신상태 변수(VR(MR): Maximum acceptable receive state variable)보다 작은 값을 가진 AMD PDUs의 임의의 바이트 세그멘트로부터, RLC SDUs를 재조립하고, RLC 헤더들을 제거하고 그리고 모든 재조립된 RLC SDUs를 RLC SN의 오름차순으로 상위계층으로 전달한다(when possible, reassemble RLC SDUs from any byte segments of AMD PDUs with SN < VR(MR) in the receiving side, remove RLC headers when doing so and deliver all reassembled RLC SDUs to upper layer in ascending order of the RLC SN, if not delivered before).
- 수신 측에서 남은 AMD PDUs와 AMD PDUs의 바이트 세그멘트를 버린다(discard the remaining AMD PDUs and byte segments of AMD PDUs in the receiving side).
- 송신 측에서 모든 RLC SDUs와 AMD PDUs를 버린다(discard all RLC SDUs and AMD PDUs in the transmitting side).
- 모든 RLC 제어 PDUs를 버린다(discard all RLC control PDUs).
전술한 바와 같이 PDCP 재설정과 RLC 재설정을 수행하면, 단말이 RLC 재설정에 따라 송신 측에서 전송하지 못한 모든 RLC SDUs와 AMD PDUs를 버리더라도, PDCP 재설정에 따라 성공적인 전달이 확인되지 않은 PDCP SDUs를 전송 또는 재전송하므로 손실없는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PDCP 개체의 변동이 없는 베어러 변경에 대해서도 헤더 압축 프로토콜 리셋과 시큐리티 키 변경, PDCP SDUs 전송 또는 재전송 등의 복잡한 세부 동작을 처리해야 하며, 이에 따라 복잡성이 증가되고 지연이 유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PDCP 재설정 없이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재구성 방법을 아래와 같이 수행할 수 있다.
2) PDCP 데이터 복구
일 예로,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통해 단말에 구성된 E-UTRAN 베어러를 WLAN 베어러로 재구성/수정/변경하는 경우, 단말은 다음과 같은 동작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PDCP 개체는 재구성되거나 유지될 수 있다.
단말은 PDCP 데이터 복구(data recovery)를 수행한다.
단말은 RLC 개체를 재설정한다. 또는 단말은 RLC 개체를 재구성한다.
단말은 WLAN 개체를 설정한다 그리고 WLAN 개체 구성정보에 따라 WLAN 개체를 구성 또는 재구성 한다.
다른 예로,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통해 단말에 구성된 E-UTRAN 베어러를 WLAN 베어러로 재구성/수정/변경하는 경우, 단말은 다음과 같은 동작을 할 수 있다.
만약 DRB 추가수정구성정보에 PDCP 구성정보가 포함되었다면, PDCP 구성정보에 따라 PDCP 개체를 재구성한다.
단말은 RLC 개체를 재설정한다. 또는 단말은 RLC 개체를 재구성한다.
단말은 WLAN 개체를 설정한다 그리고 WLAN 개체 구성정보에 따라 WLAN 개체를 구성 또는 재구성한다.
상위 계층에 의해 RLC 개체에 재설정이 요청되면, AM RLC 개체(또는 단말 또는 단말의 AM RLC 개체)는 전술한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RLC 재설정에 따른 버려지는 데이터(SDUs 또는 PDUs)에 따라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손실없는 전송을 보장하기 위해 단말은 PDCP 데이터 복구를 수행할 수 있다. PDCP 데이터 복구를 위해 AM RLC에 매핑되는 무선베어러에 대해 단말(또는 단말의 PDCP 개체 또는 PDCP 개체)은 다음의 동작 중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 하위 계층(예를 들어, RLC 계층)에 의해 성공적인 전달이 확인되지 않은 첫 번째 PDCP PDU로부터, 연계된 COUNT 값의 오름차순으로 재설정된 AM RLC 개체로, 이전에 제출된 모든 PDCP PDUs의 재전송을 수행한다(perform retransmission of all the PDCP PDUs previously submitted to re-established AM RLC entity in ascending order of the associated COUNT values from the first PDCP PDU for which the successful delivery has not been confirmed by lower layers).
- 만약 무선 베어러가 상위 계층에 의해 업링크로 PDCP 상태 리포트를 보내도록 구성되었다면, 상태 리포트를 생성하여 이를 하위 계층에 전송을 위한 첫번째 PDCP PDU로 제출한다(if the radio bearer is configured by upper layers to send a PDCP status report in the uplink (statusReportRequired), compile a status report, and submit it to lower layers as the first PDCP PDU for the transmission).
단말에서 상향링크에 대한 PDCP 데이터 복구가 수행되면, 기지국에서는 해당 PDCP 데이터에 대한 리오더링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 기지국에서 하향링크에 대한 PDCP 데이터 복구가 수행되면, 단말은 해당 PDCP 데이터에 대한 리오더링 기능(reordering function)을 수행해야 한다.
종래 기술에서 PDCP 데이터 복구는 Rel-12 듀얼 커넥티비티에서 규격화된 스플릿 베어러에 대한 베어러 변경이 발생될 때(예를 들어, PDCP 재설정 없이 스플릿 베어러가 스플릿 베어러로 변경될 때 또는 PDCP 재설정 없이 스플릿 베어러가 MCG 베어러로 변경될 때)만 수행된다.
또한 종래기술에서 단말에 스플릿 베어러가 구성될 때 리오더링 기능이 수행되었다. 일 예를 들어, 단말은 듀얼 커넥티비티 상황에서 PDCP 개체가 두 개의 AM RLC 개체와 연관되어 구성되는 경우(the PDCP entity is associated with two AM RLC entities)에 리오더링 기능이 수행되었다. 다른 예를 들어, PDCP 재설정 없이 스플릿 베어러가 스플릿 베어러로 변경될 때에 리오더링 기능이 수행되었다. 또한, 종래에는 단말에 PDCP 재설정 없이 스플릿 베어러가 MCG 베어러로 변경될 때(the PDCP entity is associated with one AM RLC entity after it was, according to the most recent reconfiguration, associated with two AM RLC entities without performing PDCP re-establishment)에 리오더링 기능이 사용되었다.
이에 따라, PDCP는 듀얼 커넥티비 분리 베어러 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면 바로 리오더링 기능을 시작했으며, 설정된 리오더링 타이머(t-Reordering-r12)를 통해 RLC UM과 같은 리오더링 방법을 적용했다. 즉, 리오더링을 위해 모든 저장된 PDCP SDU(s)를 상위계층으로 전달한다. TS 36.323에 규격화된 세부 절차는 다음과 같다.
순서대로 PDCU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해 리오더링을 트리거될 때 리오더링 타이머가 완료되면 리오더링을 위해 저장된 모든 PDCP SDU를 연계된 COUNT 값의 오름차순으로 상위 계층으로 전달했다.( When t-Reordering expires, the UE shall:
- deliver to upper layers in ascending order of the associated COUNT value:
- all stored PDCP SDU(s) with associated COUNT value(s) less than Reordering_PDCP_RX_COUNT;
- all stored PDCP SDU(s) with consecutively associated COUNT value(s) starting from Reordering_PDCP_RX_COUNT;)
이와 달리, 본 발명은 WLAN 베어러를 E-UTRAN 베어러로 재구성/수정/변경하는 경우에 PDCP 데이터 복구를 사용한다면, 리오더링 절차를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특정 무선 베어러가 하향링크인 경우, 기지국은 이를 위한 리오더링 타이머를 구성하기 위한 정보(또는 이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RRC 메시지에 포함하여 단말에 전달할 수 있다. 특정 무선 베어러가 상향링크인 경우, 기지국은 이를 위한 리오더링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전술한 리오더링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때 PDCP에서 제공하는 하향링크 데이터 수신 절차를 이용할 수 있다. 전술한 리오더링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때, AM RLC에 매핑되는 무선 베어러에 대해서는, 만약 하위 계층 재설정이 아니라면, PDCP에 의해 수신된 PDCP PDU는 곧바로 상위 계층으로 전달된다. 즉, 전술한 리오더링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단일 무선링크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는 RLC가 in-sequence 전달을 보장하기 때문에 PDCP를 리오더링하지 않고 바로 상위 계층으로 전달할 수 있다. 하지만, 전술한 리오더링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때, AM RLC에 매핑되는 무선 베어러에 대해서, 만약 하위 계층 재설정이 발생하면, 핸드오버 등과 같이 PDCP 재설정에 연관되기 때문에 PDCP에서 리오더링을 수행하여 상위 계층으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E-UTRAN 베어러를 WLAN 베어러로 재구성/수정/변경하는 경우에 PDCP 데이터 복구를 사용한다면, 단말은 전술한 종래의 리오더링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때, PDCP에서 제공하는 하향링크 데이터 수신 절차를 개선하여 리오더링을 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일 예를 들어, 만약 PDCP에 의해 수신된 PDCP SDU 또는 PDCP PDU가 하위 계층의 재설정으로 인한 것이라면(또는 E-UTRAN 베어러에서 WLAN 베어러 변경으로 인한 것이라면) 다음과 같이 리오더링을 하도록 할 수 있다.
- elseif received PDCP SN = Last_Submitted_PDCP_RX_SN + 1 or received PDCP SN = Last_Submitted_PDCP_RX_SN ― Maximum_PDCP_SN:
-- deliver to upper layers in ascending order of the associated COUNT value:
--- all stored PDCP SDU(s) with consecutively associated COUNT value(s) starting from the COUNT value associated with the received PDCP PDU;
- set Last_Submitted_PDCP_RX_SN to the PDCP SN of the last PDCP SDU delivered to upper layers;
다른 예를 들어, 만약 PDCP에 의해 수신된 PDCP PDU 또는 PDCP SDU가 하위 계층의 재설정으로 인한 것이라면(또는 E-UTRAN베어러에서 WLAN 베어러 변경으로 인한 것이라면) 다음과 같이 리오더링을 하도록 할 수 있다.
- deliver to upper layers in ascending order of the associated COUNT value:
-- all stored PDCP SDU(s) with consecutively associated COUNT value(s) starting from the COUNT value associated with the received PDCP PDU;
- set Last_Submitted_PDCP_RX_SN to the PDCP SN of the last PDCP SDU delivered to upper layers;
3) RLC 개체에서 전송 또는 재전송 수행
일 예로,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통해 단말에 구성된 E-UTRAN 베어러를 WLAN 베어러로 재구성/수정/변경하는 경우, 단말은 다음과 같은 동작을 할 수 있다.
만약, DRB 추가수정구성정보에 PDCP 구성정보가 포함되었다면, PDCP 구성정보에 따라 PDCP 개체를 재구성한다.
만약 DRB추가수정구성정보에 RLC 구성정보가 포함되었다면, RLC 구성정보에 따라 RLC 개체를 재구성한다.
단말은 WLAN 개체를 설정한다 그리고 WLAN 개체 구성정보에 따라 WLAN 개체를 구성 또는 재구성 한다.
다른 예로,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통해 단말에 구성된 E-UTRAN 베어러를 WLAN 베어러로 재구성/수정/변경하는 경우, 단말은 다음과 같은 동작을 할 수 있다.
업링크로 전송된 PDCP 데이터(예를 들어, PDUs 또는 SDUs)에 대해 PDCP는 재전송을 트리거 하지 않는다. 또는 PDCP가 RLC 개체로 제출한 PDCU PDUs에 대해 PDCP는 재전송을 트리거 하지 않는다.
RLC 개체는 모든 펜딩(pending)된 RLC SDUs 또는 RLC PDUs의 전송 또는 재전송을 완료한다.
단말은 WLAN 개체를 설정한다. 그리고 WLAN 개체 구성정보에 따라 WLAN 개체를 구성 또는 재구성한다.
즉 E-UTRAN 베어러를 WLAN 베어러로 재구성하는 경우 RLC 개체를 해제하지 않고 RLC 개체에서 전송 또는 재전송을 완료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기지국과 RRC 연결을 설정한 단말에 대해, 기지국은 WLAN 캐리어를 추가하여 WLAN 베어러를 구성/재구성하는 것은 E-UTRAN 커버리지 하에 있는 것을 가정한다. 이에 따라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통해 단말에 구성된 E-UTRAN 베어러를 WLAN 베어러로 재구성/수정/변경하더라도, 단말은 E-UTRAN 캐리어/셀을 통해 기지국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환경에 있다.
따라서, 단말은 E-UTRAN 베어러를 WLAN 베어러로 전환할 때, 손실없는 전송을 위해 제공하는 AM RLC에 매핑되는 무선 베어러에 대해 RLC 개체를 통해 전송 또는 재전송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UTRAN 베어러를 WLAN 베어러로 재구성/수정/변경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동작 중의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 상향링크에 대해, RLC 개체는 베어러 재구성/수정/변경 이전에 PDCP 개체로부터 수신한 PDCP SDUs/PDUs에 대하여 전송 또는 재전송을 수행한다. 또는, 상향링크에 대해 RLC 개체는 베어러 재구성/수정/변경 이전에 PDCP 개체로부터 수신한 RLC SDUs 또는 RLC PUDs에 대해 전송 또는 재전송을 수행한다. 또는, 상향링크에 대해, 베어러 재구성/수정/변경 이전에 PDCP 개체가 제출한 PDCP PDUs에 대해서는 RLC 개체가 전송 또는 재전송을 수행한다.
- 상향링크에 대해, PDCP 개체는 베어러 재구성/수정/변경되면, 베어러 재구성/수정/변경 이전에 PDCP 개체가 제출한 PDCP PDUs의 다음 PDCP PDU부터, WLAN 개체를 통해 전송한다. 또는 WLAN 개체에 PDCP PDUs를 제출한다. 또는 WLAN 개체를 통해 PDCP PDUs를 전달한다.
- 하향링크에 대해, RLC 개체는 하위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RLC 데이터를 처리한다.
- 하향링크에 대해, PDCP 개체는 하위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PDCP 데이터를 처리한다.
이 때, 해당 WLAN 베어러가 재구성/수정/변경 또는 해제 될 때까지 RLC 개체는 유지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RLC 개체는 베어러 재구성/수정/변경 이전에 PDCP 개체로부터 수신한 모든 PDCP PDUs(또는 RLC SDUs 또는 RLC PDUs)의 전송 또는 재전송이 성공적으로 완료될 때까지 유지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RLC 개체는 베어러 재구성/수정/변경 이전에 PDCP 개체로부터 수신한 모든 PDCP PDUs의 전송 또는 재전송이 성공적으로 완료될 수 있도록 일정 시간(타이머)을 유지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WLAN 베어러에서 E-UTRAN 베어러로의 빠른 스위치을 위해, 또는 WLAN 베어러의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해, 또는 일시적인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해, RLC 개체는 재구성 또는 유지될 수도 있다.
E-UTRAN 베어러를 WLAN 베어러로 재구성/수정/변경하는 경우, 전술한 동작의 수행을 지시하기 위한 정보 및/또는 이와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리오더링 타이머 구성 정보)가 RRC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또는 E-UTRAN 베어러를 WLAN 베어러로 재구성/수정/변경하는 경우, 전술한 동작이 수행되도록 사전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4) RLC 개체에서 WLAN 개체를 통해 전송 또는 재전송 수행
일 예로,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통해 단말에 구성된 E-UTRAN 베어러를 WLAN 베어러로 재구성/수정/변경하는 경우, 단말은 다음과 같은 동작을 할 수 있다.
만약, DRB 추가수정구성정보에 PDCP 구성정보가 포함되었다면, PDCP 구성정보에 따라 PDCP 개체를 재구성한다.
만약 DRB추가수정구성정보에 RLC 구성정보가 포함되었다면, RLC 구성정보에 따라 RLC 개체를 재구성한다.
단말은 WLAN 개체를 설정한다 그리고 WLAN 개체 구성정보에 따라 WLAN 개체를 구성 또는 재구성한다.
다른 예로,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통해 단말에 구성된 E-UTRAN 베어러를 WLAN 베어러로 재구성/수정/변경하는 경우, 단말은 다음과 같은 동작을 할 수 있다.
만약, DRB 추가수정구성정보에 PDCP 구성정보가 포함되었다면, PDCP 구성정보에 따라 PDCP 개체를 재구성한다.
만약 RLC 개체(또는 RLC 개체의 일부 기능, 예를 들어 ARQ 또는 재전송 기능)를 WLAN 개체(또는 WLAN 개체의 일부 기능, 예를 들어 ARQ 또는 재전송 기능)으로 재구성한다.
또 다른 예로,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통해 단말에 구성된 E-UTRAN 베어러를 WLAN 베어러로 재구성/수정/변경하는 경우, 단말은 다음과 같은 동작을 할 수 있다.
상향링크로 전송된 PDCP 데이터(예를 들어, PDUs 또는 SDUs)에 대해 PDCP는 재전송을 트리거 하지 않는다. 또는 PDCP가 RLC 개체로 제출한 PDCU PDUs에 대해 PDCP는 재전송을 트리거 하지 않는다.
RLC 개체 또는 WLAN 개체는 모든 펜딩(pending)된 RLC SDUs 또는 RLC PDUs의 전송 또는 재전송을 완료한다.
예를 들어, RLC 개체 또는 WLAN 개체는 WLAN 캐리어를 통해 모든 펜딩(pending)된 RLC SDUs 또는 RLC PDUs의 전송 또는 재전송을 완료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RLC 개체 또는 WLAN 개체는 WLAN 캐리어를 통해 모든 펜딩(pending)된 PDCP PDUs의 전송 또는 재전송을 완료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상향링크에 대해, RLC 개체 또는 WLAN 개체는 베어러 재구성/수정/변경 이전에 PDCP 개체로부터 수신한 PDCP PDUs에 대하여 전송 또는 재전송을 수행한다. 또는, 상향링크에 대해 RLC 개체 또는 WLAN 개체는 베어러 재구성/수정/변경 이전에 PDCP 개체로부터 수신한 RLC SDUs 또는 RLC PUDs에 대해 전송 또는 재전송을 수행한다. 또는, 상향링크에 대해, 베어러 재구성/수정/변경 이전에 PDCP 개체가 제출한 PDCP PDUs에 대해서는 RLC 개체 또는 WLAN 개체가 전송 또는 재전송을 수행한다.
한편, 특정 무선베어러가 WLAN 베어러에서 WLAN 베어러로 데이터 무선 베어러 타입의 변경없이 재구성되는 경우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에 단말 및 기지국이 동작에 대해서 아래에서 설명한다.
WLAN 베어러 → WLAN 베어러 재구성/수정/변경
WLAN AP/네트워크/SSID/BSSID/HESSID/Domain Name List 등의 변경으로 특정 WLAN AP/네트워크/SSID/BSSID/HESSID/Domain Name List를 통한 WLAN 베어러를 다른 WLAN AP/네트워크/SSID/BSSID/HESSID/Domain Name List를 통한 WLAN 베어러로 재구성/수정/변경해야 할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WLAN AP/네트워크/SSID/BSSID/HESSID/Domain Name List 등의 변경으로 PDCP 개체에서 해당 WLAN 개체로 전달한 데이터가 손실될 수 있다. AM RLC(Acknowledged mode Radio Link Control)에 매핑되는 무선 베어러들에 대해서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통해 단말에 구성된 WLAN 베어러를 WLAN 베어러로 재구성/수정/변경할 때도 손실 없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1) PDCP 재설정(re-establishment)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통해 단말에 구성된 WLAN 베어러를 WLAN 베어러로 재구성/수정/변경하는 경우, 단말은 다음과 같은 동작을 할 수 있다.
단말은 PDCP 개체를 재설정한다.
WLAN 개체는 다음의 동작 중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 가능할 때, 수신측에서 PDCP 개체로 전달할 수 있는 PDCP PDUs를 상위계층으로 전달한다.
- 수신 측에서 남은 데이터를 버린다.
- 송신 측에서 데이터를 버린다.
- 제어 데이터를 버린다.
전술한 바와 같이 PDCP 재설정을 수행하면, 단말이 베어러 변경과정에서 손실된 데이터에 대해, PDCP 재설정에 따라 성공적인 전달이 확인되지 않은 PDCP SDUs를 전송 또는 재전송하므로 손실없는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PDCP 개체의 변동이 없는 베어러 변경에 대해서도 헤더 압축 프로토콜 리셋과 시큐리티 키 변경, PDCP SDUs 전송 또는 재전송 등의 복잡한 세부 동작을 처리해야 하며, 이에 따라 복잡성이 증가되고 지연이 유발될 수 있다.
2) PDCP 데이터 복구
위에서 설명한 PDCP 재설정 없이 PDCP 개체 재구성 또는 PDCP 개체를 유지하면서, PDCP 데이터 복구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예로,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통해 단말에 구성된 WLAN 베어러를 WLAN 베어러로 재구성/수정/변경하는 경우, 단말은 다음과 같은 동작을 할 수 있다.
단말은 WLAN 개체로 이전에 제출된 PDCP 데이터 복구(data recovery) 절차를 수행한다.
WLAN 개체는 다음의 동작 중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 가능할 때, 수신측에서 PDCP 개체로 전달할 수 있는 PDCP PDUs를 상위계층으로 전달한다.
- 수신 측에서 남은 데이터를 버린다.
- 송신 측에서 데이터를 버린다.
- 제어 데이터를 버린다.
종래 기술에서 PDCP 데이터 복구 절차에서는 재설정된 AM RLC 개체로 이전에 제출된 모든 PDCP PDUs에 대해 재전송을 수행한다. 따라서, WLAN 베어러를 WLAN 베어러로 변경하는 경우에는 베어러 변경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에(또는 PDCP 데이터 복구를 수행하기 전에) 이전 WLAN 네트워크로 제출된 PDCP PDUs에 대해 새로운 WLAN 네트워크를 통해 재전송을 수행해야 한다.
PDCP 데이터 복구 절차에 따라 만약 무선 베어러가 상위 계층에 의해 상향링크로 PDCP 상태 리포트를 보내도록 구성되었다면, PDCP 상태 리포트를 생성하여 이를 하위 계층에 전송을 위한 첫번째 PDCP PDU로 제출한다.
단말에서 상향링크에 대한 PDCP 데이터 복구가 수행되면, 기지국에서는 해당 PDCP 데이터에 대한 리오더링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 기지국에서 하향링크에 대한 PDCP 데이터 복구가 수행되면, 단말은 해당 PDCP 데이터에 대한 리오더링 기능(reordering function)을 수행해야 한다.
종래 기술에서 PDCP 데이터 복구는 Rel-12 듀얼 커넥티비티에서 규격화된 스플릿 베어러에 대한 베어러 변경이 발생될 때(예를 들어, PDCP 재설정 없이 스플릿 베어러가 스플릿 베어러로 변경될 때 또는 PDCP 재설정 없이 스플릿 베어러가 MCG 베어러로 변경될 때)만 수행된다.
또한 종래기술에서 단말에 스플릿 베어러가 구성될 때 리오더링 기능이 수행되었다. 일 예를 들어, 단말은 듀얼 커넥티비티 상황에서 PDCP 개체가 두 개의 AM RLC 개체와 연관되어 구성되는 경우(the PDCP entity is associated with two AM RLC entities)에 리오더링 기능이 수행되었다. 다른 예를 들어, PDCP 재설정 없이 스플릿 베어러가 스플릿 베어러로 변경될 때에 리오더링 기능이 수행되었다. 또한, 종래에는 단말에 PDCP 재설정 없이 스플릿 베어러가 MCG 베어러로 변경될 때(the PDCP entity is associated with one AM RLC entity after it was, according to the most recent reconfiguration, associated with two AM RLC entities without performing PDCP re-establishment)에 리오더링 기능이 사용되었다.
이에 따라, PDCP는 듀얼 커넥티비 분리 베어러 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면 바로 리오더링 기능을 시작했으며, 설정된 리오더링 타이머(t-Reordering-r12)를 통해 RLC UM과 같은 리오더링 방법을 적용했다. 즉, 리오더링을 위해 모든 저장된 PDCP SDU(s)를 상위계층으로 전달한다.
따라서, 전술한 WLAN 베어러를 WLAN 베어러로 재구성/수정/변경하는 경우에 PDCP 데이터 복구를 사용한다면, 리오더링 기능을 함께 동작시킬 수 있다. 기지국은 이를 위한 리오더링 타이머를 구성하기 위한 정보(또는 이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RRC 메시지에 포함하여 단말에 지시할 수 있다. 기지국은 이를 위한 리오더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전술한 리오더링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때, PDCP에서 제공하는 하향링크 데이터 수신 절차를 이용할 수 있다. 전술한 리오더링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때, AM RLC에 매핑되는 무선 베어러에 대해서는, 만약 하위 계층 재설정이 아니라면, PDCP에 의해 수신된 PDCP PDU는 곧바로 상위 계층으로 전달된다. 즉, 전술한 리오더링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RLC가 in-sequence 전달을 보장하기 때문에 PDCP를 리오더링하지 않고 바로 상위 계층으로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리오더링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때, AM RLC에 매핑되는 무선 베어러에 대해서, 만약 하위 계층 재설정이 발생하면, 핸드오버 등과 같이 PDCP 재설정에 연관되기 때문에 PDCP에서 리오더링을 수행하여 상위 계층으로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WLAN 베어러 변경은 RLC 재설정을 수반하지 않기 때문에 종래 기술에 따른 리오더링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때 PDCP에서 제공하는 하향링크 데이터 수신 절차를 이용할 수 없다.
따라서 전술한 WLAN 베어러를 WLAN 베어러로 재구성/수정/변경하는 경우에 PDCP 데이터 복구를 사용한다면, 단말은 전술한 리오더링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때 종래의 PDCP에서 제공하는 하향링크 데이터 수신 절차를 개선하여 리오더링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만약 PDCP에 의해 수신된 PDCP SDU 또는 PDCP PDU가 WLAN 베어러에서 WLAN 베어러 변경으로 인한 것이라면(또는 WLAN 개체의 해제로 인한 것이라면 또는 WLAN 개체의 특정 동작으로 인한 것이라면) 다음과 같이 리오더링을 하도록 할 수 있다.
- elseif received PDCP SN = Last_Submitted_PDCP_RX_SN + 1 or received PDCP SN = Last_Submitted_PDCP_RX_SN ― Maximum_PDCP_SN:
-- deliver to upper layers in ascending order of the associated COUNT value:
--- all stored PDCP SDU(s) with consecutively associated COUNT value(s) starting from the COUNT value associated with the received PDCP PDU;
- set Last_Submitted_PDCP_RX_SN to the PDCP SN of the last PDCP SDU delivered to upper layers;
다른 예를 들어, 만약 PDCP에 의해 수신된 PDCP SDU 또는 PDCP PDU가 WLAN 베어러에서 WLAN 베어러 변경으로 인한 것이라면(또는 WLAN 개체의 해제로 인한 것이라면 또는 WLAN 개체의 특정 동작으로 인한 것이라면) 다음과 같이 리오더링을 하도록 할 수 있다.
- deliver to upper layers in ascending order of the associated COUNT value:
-- all stored PDCP SDU(s) with consecutively associated COUNT value(s) starting from the COUNT value associated with the received PDCP PDU;
- set Last_Submitted_PDCP_RX_SN to the PDCP SN of the last PDCP SDU delivered to upper layer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말과 기지국이 특정 무선 베어러를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함에 있어서, 해당 특정 무선 베어러의 베어러 타입 정보 또는 WLAN 네트워크 변경에 따른 재구성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E-UTRAN 베어러를 WLAN 베어러로 변경하는 절차 및 WLAN 베어러를 E-UTRAN 베어러로 변경하는 절차에 있어서, PDCP 재설정 없이 수행하여 불필요한 지연 및 데이터 재전송을 억제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특정 무선 베어러의 재구성 시에 손실없는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동작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단말 및 기지국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다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무선 베어러를 재구성하는 단말(700)은, 기지국으로부터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무선 자원만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수신부(730) 및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개체에서 PDCP 데이터 복구 절차를 수행하고, PDCP 개체에서 상기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리오더링 절차를 수행하는 제어부(710)를 포함한다.
수신부(730)는 데이터 무선 베어러 타입 변경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는 정보는 특정 무선 베어러를 WLAN 무선 자원만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 베어러 타입에서 기지국 무선 자원만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 베어러 타입으로 변경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한편, 수신부(730)는 기지국 무선 자원만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 수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는 정보는 특정 무선 베어러를 기지국 무선 자원만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 베어러 타입에서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무선 자원만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 베어러 타입으로 변경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수신부(730)는 PDCP 개체에서 리오더링 절차를 수행하는 데에 사용되는 리오더링 타이머를 구성하기 위한 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으며,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 타이머를 구성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710)는 리오더링 절차를 수행함에 있어서, 리오더링 타이머가 만료되면 리오더링을 위해 저장된 모든 PDCP SDU를 연계된 COUNT 값의 올림차순으로 상위계층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10)는 PDCP 데이터 복구 절차를 수행함에 있어서, PDCP 상태 리포트를 생성하고, PDCP 상태 리포트를 PDCP PDU(PDCP Protocol Data Unit)에 포함하여 하위계층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10)는 WLAN 베어러를 E-UTRAN 베어러로 재구성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PDCP 데이터 복구 절차 및 리오더링 절차를 모두 수행하고, E-UTRAN 베어러를 WLAN 베어러로 재구성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PDCP 데이터 복구 절차없이 리오더링 절차만 수행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수신부(730)는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제어정보 및 데이터, 메시지를 해당 채널을 통해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710)는 전술한 본 발명을 수행하기에 필요한 기지국이 WLAN 캐리어를 추가하여 단말과 무선 베어러를 추가/수정/해제/변경 등을 위한 구성/재구성에 따른 전반적인 단말의 동작을 제어한다.
송신부(720)는 기지국에 상향링크 제어정보 및 데이터, 메시지를 해당 채널을 통해 전송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를 참조하면, 기지국(800)은 WLAN 무선 자원만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송신부(820)와 단말로부터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상태 리포트를 수신하는 수신부(830) 및 PDCP 상태 리포트에 기초하여 PDCP 개체에서 전달 성공 여부가 확인되지 않은 PDCP PDU(PDCP Protocol Data Unit) 또는 PDCP SDU(PDCP Service Data Unit)를 재전송하는 제어부(810)를 포함한다.
송신부(820)는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는 정보는 특정 무선 베어러를 WLAN 무선 자원만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 베어러 타입에서 기지국 무선 자원만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 베어러 타입으로 변경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는 정보는 특정 무선 베어러를 기지국 무선 자원만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 베어러 타입에서 WLAN 무선 자원만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 베어러 타입으로 변경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송신부(820)는 단말이 리오더링 절차를 수행하는 데에 사용되는 리오더링 타이머를 구성하기 위한 정보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리오더링 타이머를 구성하기 위한 정보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예를 들어, RRC 메시지)을 통해서 전송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제어부(810)는 전술한 본 발명을 수행하기에 필요한 기지국이 WLAN 캐리어를 추가하여 단말과 무선 베어러를 추가/수정/해제/변경 등을 위한 구성/재구성에 따른 전반적인 기지국의 동작을 제어한다.
송신부(820)와 수신부(830)는 전술한 본 발명을 수행하기에 필요한 신호나 메시지, 데이터를 단말과 송수신하는데 사용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언급한 표준내용 또는 표준문서들은 명세서의 설명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 생략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한다. 따라서, 위 표준내용 및 표준문서들의 일부의 내용을 본 명세서에 추가하거나 청구범위에 기재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단말이 무선 베어러를 재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무선 자원만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개체에서 PDCP 데이터 복구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PDCP 개체에서 상기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리오더링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는 정보는,
    상기 특정 무선 베어러를 상기 WLAN 무선 자원만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 베어러 타입에서 상기 기지국 무선 자원만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 베어러 타입으로 변경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DCP 데이터 복구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는,
    PDCP 상태 리포트를 생성하고, 상기 PDCP 상태 리포트를 PDCP PDU(PDCP Protocol Data Unit)에 포함하여 하위계층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PDCP 개체에서 리오더링 절차를 수행하는 데에 사용되는 리오더링 타이머를 구성하기 위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오더링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는,
    리오더링 타이머가 만료되면 리오더링을 위해서 저장된 모든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의 PDCP SDU(PDCP Service Data Unit)를 상위계층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단말이 무선 베어러를 재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기지국 무선 자원만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개체에서 상기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리오더링 절차를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는 정보는,
    상기 특정 무선 베어러를 상기 기지국 무선 자원만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 베어러 타입에서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무선 자원만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 베어러 타입으로 변경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기지국이 단말의 무선 베어러를 재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무선 자원만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단계;
    단말로부터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상태 리포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PDCP 상태 리포트에 기초하여 PDCP 개체에서 전달 성공 여부가 확인되지 않은 PDCP PDU(PDCP Protocol Data Unit) 또는 PDCP SDU(PDCP Service Data Unit)를 재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는 정보는,
    상기 특정 무선 베어러를 상기 WLAN 무선 자원만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 베어러 타입에서 상기 기지국 무선 자원만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 베어러 타입으로 변경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는 정보는,
    상기 단말의 리오더링 절차 수행에 사용되는 리오더링 타이머를 구성하기 위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무선 베어러를 재구성하는 단말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무선 자원만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개체에서 PDCP 데이터 복구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PDCP 개체에서 상기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리오더링 절차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는 정보는,
    상기 특정 무선 베어러를 상기 WLAN 무선 자원만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 베어러 타입에서 상기 기지국 무선 자원만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 베어러 타입으로 변경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PDCP 데이터 복구 절차를 수행하는 상기 제어부는,
    PDCP 상태 리포트를 생성하고, 상기 PDCP 상태 리포트를 PDCP PDU(PDCP Protocol Data Unit)에 포함하여 하위계층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PDCP 개체에서 리오더링 절차를 수행하는 데에 사용되는 리오더링 타이머를 구성하기 위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오더링 절차를 수행하는 상기 제어부는,
    리오더링 타이머가 만료되면 리오더링을 위해서 저장된 모든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의 PDCP SDU(PDCP Service Data Unit)를 상위계층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6. 무선 베어러를 재구성하는 단말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기지국 무선 자원만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개체에서 상기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리오더링 절차를 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는 정보는,
    상기 특정 무선 베어러를 상기 기지국 무선 자원만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 베어러 타입에서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무선 자원만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 베어러 타입으로 변경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8. 단말의 무선 베어러를 재구성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무선 자원만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송신부;
    단말로부터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상태 리포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PDCP 상태 리포트에 기초하여 PDCP 개체에서 전달 성공 여부가 확인되지 않은 PDCP PDU(PDCP Protocol Data Unit) 또는 PDCP SDU(PDCP Service Data Unit)를 재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지국.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는 정보는,
    상기 특정 무선 베어러를 상기 WLAN 무선 자원만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 베어러 타입에서 상기 기지국 무선 자원만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 베어러 타입으로 변경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는 정보는,
    상기 단말의 리오더링 절차 수행에 사용되는 리오더링 타이머를 구성하기 위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KR1020160037352A 2015-04-02 2016-03-29 무선 베어러 재구성 방법 및 그 장치 KR101870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562,463 US10485042B2 (en) 2015-04-02 2016-03-29 Method for reconfiguring wireless bearer and device thereof
PCT/KR2016/003203 WO2016159634A1 (ko) 2015-04-02 2016-03-29 무선 베어러 재구성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974 2015-04-02
KR20150046974 2015-04-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9426A true KR20160119426A (ko) 2016-10-13
KR101870022B1 KR101870022B1 (ko) 2018-06-22

Family

ID=57174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7352A KR101870022B1 (ko) 2015-04-02 2016-03-29 무선 베어러 재구성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485042B2 (ko)
KR (1) KR101870022B1 (ko)
CN (1) CN107211475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532528A (ja) * 2017-08-10 2019-11-07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UM RLCエンティティに関連したPDCPエンティティの再構成(re−establishment)のための方法及びその装置
KR20200003635A (ko) * 2018-07-02 2020-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방법 및 장치
CN111434183A (zh) * 2017-09-29 2020-07-17 三星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以双连接处理用户平面的方法和用户设备
US11950313B2 (en) 2017-08-11 2024-04-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erforming bearer type change of a plurality of bearers configured for user equip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4248B1 (ko) 2014-09-05 2018-01-04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랜 캐리어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CN107071913B (zh) 2014-09-18 2020-04-21 株式会社Kt 用于处理用户平面数据的方法及装置
US10736175B2 (en) * 2014-10-02 2020-08-04 Kt Corporation Method for processing data using WLAN carrier and apparatus therefor
JP2018510548A (ja) * 2015-02-09 2018-04-12 華為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Rlcデータパケットオフロード方法および基地局
CN112437491A (zh) * 2015-05-15 2021-03-02 夏普株式会社 用户设备和由用户设备执行的方法
US10560870B2 (en) * 2016-07-26 2020-02-11 Htc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of handling cellular-WLAN aggregation
EP3501130B1 (en) * 2016-08-22 2023-05-03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efficient switching on a split bearer
US11096184B2 (en) * 2017-03-13 2021-08-17 Huawei Technologies Co., Ltd. Data processing method, terminal device, and base station
CN108924947A (zh) * 2017-03-21 2018-11-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确定无线承载方式的方法及装置
US11102670B2 (en) * 2017-03-23 2021-08-2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lossless data packet based on quality of service (qos) framewor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CN111386725B (zh) * 2017-09-28 2023-03-21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处理pdcp操作的方法和系统
CN109845318B (zh) * 2017-09-28 2020-03-1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用于数据处理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US20190104560A1 (en) * 2017-10-02 2019-04-04 Mediatek Singapore Pte. Ltd. Method of Data Recovery with Uplink Switching
WO2019093828A1 (en) * 2017-11-10 2019-05-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561713B1 (ko) * 2017-11-10 2023-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CN110138685B (zh) * 2018-02-08 2021-01-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装置
WO2019233056A1 (zh) * 2018-06-07 2019-12-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下行数据的接收方法及终端设备
KR20200017110A (ko) * 2018-08-08 2020-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유실 없이 pdcp의 버전을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0150997A1 (en) * 2019-01-25 2020-07-30 Mediatek Singapore Pte. Ltd. Apparatus and methods to support dual-protocol for mobility enhancement
WO2020243291A1 (en) * 2019-05-29 2020-12-03 Google Llc Sequence number transfer for radio bearers
KR20210054998A (ko) * 2019-11-06 2021-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피드백 기반 이더넷 헤더 압축 또는 압축 해제를 수행하는 방법 또는 장치
US11638197B1 (en) * 2021-10-26 2023-04-25 Asustek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UE-to-network relay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13686A2 (en) * 2013-01-17 2014-07-24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placement
WO2015020508A1 (ko) * 2013-08-09 2015-02-12 주식회사 팬택 이중연결 시스템에서 멀티 플로우를 고려한 pdcp 재배열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48634A1 (ja) * 2006-06-20 2007-12-27 Ntt Docomo, Inc. 移動通信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ユーザ装置、基地局及び方法
WO2009018318A2 (en) * 2007-08-02 2009-02-05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rocedures
US20090168723A1 (en) * 2007-11-27 2009-07-0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out-of-order packets during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488015B1 (ko) * 2008-01-25 2015-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핸드오버 수행방법 및 데이터 생성방법
US8509180B2 (en) * 2008-05-02 2013-08-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 handover in LTE
US8630259B2 (en) * 2008-08-04 2014-01-14 Qualcomm Incorporated PDCP behaviour at handover and connection re-establishment
US8989004B2 (en) * 2010-11-08 2015-03-2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multi-point HSDPA communication utilizing a multi-link PDCP sublayer
US8867511B2 (en) * 2010-12-09 2014-10-2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resets during handovers in a single frequency dual carrie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416300B1 (en) * 2011-04-29 2022-06-22 Apple Inc. System and method of rank adaptation in mimo communication system
CN105592500A (zh) * 2011-05-27 2016-05-18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流传输方法及用户设备
US9402264B2 (en) * 2011-09-30 2016-07-26 Intel Corporation Methods to transport internet traffic over multiple wireless networks simultaneously
RU2581622C2 (ru) * 2011-10-03 2016-04-20 Интел Корпорейшн Механизмы одноранговой (d2d) коммуникации
US9294926B2 (en) * 2011-10-07 2016-03-22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ing different radio access technologies using carrier aggregation
CN103428788B (zh) * 2012-05-18 2016-12-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转发的方法、设备及通讯系统
CN103491605B (zh) * 2012-06-12 2017-06-06 诺基亚技术有限公司 用于信令无线承载的配置的方法、设备
WO2014022970A1 (zh) * 2012-08-07 2014-02-13 华为技术有限公司 切换处理方法及基站
JP2015534355A (ja) * 2012-09-14 2015-11-26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無線システムでWi−Fiオフローディングを行うためのモビリティ制御方法
US9603192B2 (en) * 2013-01-16 2017-03-21 Ncore Communication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hybrid access to a core network
US20160021581A1 (en) 2013-01-17 2016-01-2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placement
WO2014175677A1 (en) * 2013-04-26 2014-10-3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partial handover proced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4182339A1 (en) * 2013-05-09 2014-11-13 Intel IP Corporation Small data communications
CN110830227B (zh) * 2013-07-04 2022-08-19 韩国电子通信研究院 用于多连接性的方法
CN203353686U (zh) * 2013-07-16 2013-12-25 刘秋明 电子烟
EP3050354B1 (en) * 2013-09-25 2020-04-29 Intel Corporation End-to-end (e2e) tunneling for multi-radio access technology (multi-rat)
US20150089382A1 (en) * 2013-09-26 2015-03-26 Wu-chi Feng Application context migration framework and protocol
US9585048B2 (en) * 2013-10-30 2017-02-28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aggregating data from WWAN and WLAN
EP3883330A1 (en) * 2013-10-30 2021-09-22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Carrier aggregation configuration in wireless systems
US10206147B2 (en) * 2013-12-19 2019-02-12 Qualcomm Incorporated Serving gateway relocation and secondary node eligibility for dual connectivity
US9918251B2 (en) * 2013-12-31 2018-03-13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dynamically splitting bearers between various radio access technologies (RATs)
CN104812000A (zh) * 2014-01-27 2015-07-2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数据传输的方法及装置
WO2015113497A1 (en) * 2014-01-28 2015-08-06 Mediatek Singapore Pte. Ltd. Methods for re-order pdcp packets
US10004098B2 (en) * 2014-01-29 2018-06-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a plurality of carrier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2017510176A (ja) * 2014-02-21 2017-04-06 コンヴィーダ ワイヤレス, エルエルシー 統合スモールセルおよびWiFiネットワーク内ハンドオーバ
US9596707B2 (en) * 2014-03-13 2017-03-14 Intel Corporation Bearer mobility and splitting in a radio access network-based,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network having an integrate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CN104935413B (zh) * 2014-03-19 2019-12-27 夏普株式会社 分组数据汇聚协议pdcp实体及其执行的方法
EP3461171A1 (en) * 2014-03-20 2019-03-27 Kyocera Corporation Cellular base station for interworking with wlan access point
WO2015163625A1 (en) * 2014-04-24 2015-10-2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establishing layer-2 entities for d2d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WO2016021820A1 (en) * 2014-08-08 2016-02-1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rocessing a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re-ordering function at a user equipment in a dual connectivity system and device therefor
US10142799B2 (en) * 2014-08-19 2018-11-27 Qualcomm Incorporated Multicasting traffic using multi-connectivity
US9749902B2 (en) * 2014-08-19 2017-08-29 Qualcomm Incorporated Admission control and load balancing
CN107071913B (zh) * 2014-09-18 2020-04-21 株式会社Kt 用于处理用户平面数据的方法及装置
US10219310B2 (en) * 2014-12-12 2019-02-26 Alcatel Lucent WiFi boost with LTE IP anchor
WO2016118103A1 (en) * 2015-01-20 2016-07-28 Intel IP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pdcp pdus of an e-rab
JP6295371B2 (ja) * 2015-03-06 2018-03-14 京セラ株式会社 無線端末、基地局、及び方法
US10264481B2 (en) * 2015-03-19 2019-04-16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managing power operation modes of a user equipment (UE) communicating with a plurality of radio access technologies (RATs)
US10869344B2 (en) * 2015-03-19 2020-12-15 Acer Incorporated Method of radio bearer transmission in dual connectivity
EP3796742B1 (en) * 2015-04-03 2023-06-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multi-connection using different wireless connection technologies in wireless commun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13686A2 (en) * 2013-01-17 2014-07-24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placement
WO2015020508A1 (ko) * 2013-08-09 2015-02-12 주식회사 팬택 이중연결 시스템에서 멀티 플로우를 고려한 pdcp 재배열 방법 및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532528A (ja) * 2017-08-10 2019-11-07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UM RLCエンティティに関連したPDCPエンティティの再構成(re−establishment)のための方法及びその装置
US11032740B2 (en) 2017-08-10 2021-06-0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a re-establishment of a PDCP entity associated with UM RLC ent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US11950313B2 (en) 2017-08-11 2024-04-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erforming bearer type change of a plurality of bearers configured for user equipment
CN111434183A (zh) * 2017-09-29 2020-07-17 三星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以双连接处理用户平面的方法和用户设备
CN111434183B (zh) * 2017-09-29 2024-03-12 三星电子株式会社 无线通信系统中以双连接处理用户平面的方法和用户设备
KR20200003635A (ko) * 2018-07-02 2020-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211475B (zh) 2020-10-30
US20180092146A1 (en) 2018-03-29
KR101870022B1 (ko) 2018-06-22
US10485042B2 (en) 2019-11-19
CN107211475A (zh) 2017-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0022B1 (ko) 무선 베어러 재구성 방법 및 그 장치
US1006410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user plane data
KR101640681B1 (ko) 듀얼 커넥티비티에서 기지국 변경 방법 및 그 장치
EP3501153B1 (en) Ue network mobilty during incoming ims call setup to preferred network
US10736175B2 (en) Method for processing data using WLAN carrier and apparatus therefor
US10616871B2 (en) Uplink data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JP2020520582A (ja) データユニットを送信する方法及び装置
JP7378569B2 (ja) 非認識応答モード(um)データ無線ベアラ(drb)のためのロスレス送信
KR101814248B1 (ko) 무선랜 캐리어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211471B1 (ko) 듀얼 커넥티비티 하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KR101905941B1 (ko) Wlan 캐리어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KR101853527B1 (ko) Wlan 캐리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160034182A (ko) 사용자 플레인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160040419A (ko) Wlan 캐리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170113768A (ko) Lwa 환경에서 베어러 구성 방법 및 장치
KR20170113767A (ko) Lwa 환경에서 pdcp 동작 방법 및 장치
KR101985991B1 (ko)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KR20170036959A (ko) Lte-wlan 이동성 제어방법 및 장치
KR20170113766A (ko) Lwa 환경에서 데이터 라우팅 방법 및 장치
KR20170121582A (ko) 초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RLC (Radio Link Control) 계층의 상태 보고를 전송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170109121A (ko) Wlan 종단 변경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