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1582A - 초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RLC (Radio Link Control) 계층의 상태 보고를 전송하는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초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RLC (Radio Link Control) 계층의 상태 보고를 전송하는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1582A
KR20170121582A KR1020160050237A KR20160050237A KR20170121582A KR 20170121582 A KR20170121582 A KR 20170121582A KR 1020160050237 A KR1020160050237 A KR 1020160050237A KR 20160050237 A KR20160050237 A KR 20160050237A KR 20170121582 A KR20170121582 A KR 201701215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lc
nack
pdu
data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0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60050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1582A/ko
Publication of KR20170121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15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15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user or device properties, e.g. MTC-capable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04W28/065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using assembly or disassembly of p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RLC (Radio Link Control) 계층의 상태 보고를 전송하는 방법 및 관련 메시지 구성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RLC 개체에서 상태보고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둘 이상의 구조로 구분되는 RLC 상태 PDU를 구성하는 단계 및 둘 이상의 구조 중 어느 하나의 구조를 이용하여 RLC 상태보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초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RLC (Radio Link Control) 계층의 상태 보고를 전송하는 방법 및 그 장치{Methods for reporting RLC layer status information in mobile system providing high speed data service and Apparatuses thereof}
본 발명은 초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RLC (Radio Link Control) 계층의 상태 보고를 전송하는 방법 및 관련 메시지 구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RLC 개체에서 상태보고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둘 이상의 구조로 구분되는 RLC 상태 PDU를 구성하는 단계 및 둘 이상의 구조 중 어느 하나의 구조를 이용하여 RLC 상태보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및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무선접속망 구조 및 무선프로토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RLC STATUS PDU 구성의 제 1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RLC STATUS PDU 구성의 제 2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RLC STATUS PDU 구성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Normal RLC STATUS PDU 구성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Compact RLC STATUS PDU 구성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4에서의 예에서 ReportWindowSize 계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를 지원하는 단말 또는 coverage enhancement를 지원하는 단말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및 coverage enhancement를 지원하는 단말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및/또는 coverage enhancement를 지원하기 위한 특정 카테고리로 정의된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TE 기반의 MTC 관련 동작을 수행하는 새롭게 정의된 3GPP Release-13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UE category/type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기존의 LTE coverage 대비 향상된 coverage를 지원하거나, 혹은 저전력 소모를 지원하는 기존의 3GPP Release-12 이하에서 정의된 UE category/type, 혹은 새롭게 정의된 Release-13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UE category/type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무선통신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무선통신시스템은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 및 기지국(Base Station, BS, 또는 eNB)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사용자 단말은 무선 통신에서의 단말을 의미하는 포괄적 개념으로서, WCDMA 및 LTE, HSPA 등에서의 UE(User Equipment)는 물론, GSM에서의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기지국 또는 셀(cell)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지점(station)을 말하며, 노드-B(Node-B), eNB(evolved Node-B), 섹터(Sector), 싸이트(Site),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릴레이 노드(Relay Node), RRH(Remote Radio Head), RU(Radio Unit), small cell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 또는 셀(cell)은 CDMA에서의 BSC(Base Station Controller), WCDMA의 NodeB, LTE에서의 eNB 또는 섹터(싸이트) 등이 커버하는 일부 영역 또는 기능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및 릴레이 노드(relay node), RRH, RU, small cell 통신범위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상기 나열된 다양한 셀은 각 셀을 제어하는 기지국이 존재하므로 기지국은 두 가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i) 무선 영역과 관련하여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스몰 셀을 제공하는 장치 그 자체이거나, ii) 상기 무선영역 그 자체를 지시할 수 있다. i)에서 소정의 무선 영역을 제공하는 장치들이 동일한 개체에 의해 제어되거나 상기 무선 영역을 협업으로 구성하도록 상호작용하는 모든 장치들을 모두 기지국으로 지시한다. 무선 영역의 구성 방식에 따라 eNB, RRH, 안테나, RU, LPN, 포인트, 송수신포인트, 송신 포인트, 수신 포인트 등은 기지국의 일 실시예가 된다. ii)에서 사용자 단말의 관점 또는 이웃하는 기지국의 입장에서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하게 되는 무선 영역 그 자체를 기지국으로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스몰 셀, RRH, 안테나, RU, LPN(Low Power Node), 포인트, eNB, 송수신포인트, 송신 포인트, 수신 포인트를 통칭하여 기지국으로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은,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Uplink 또는 Downlink)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향링크(Uplink, UL, 또는 업링크)는 사용자 단말에 의해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하향링크(Downlink, DL, 또는 다운링크)는 기지국에 의해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무선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FDMA, OFDM-T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GSM, WCDMA, HSPA를 거쳐 LTE 및 LTE-advanced로 진화하는 비동기 무선통신과, CDMA, CDMA-2000 및 UMB로 진화하는 동기식 무선 통신 분야 등의 자원할당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무선통신 분야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기술분야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LTE, LTE-advanced와 같은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반송파 또는 반송파 쌍을 기준으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구성하여 규격을 구성한다.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등과 같은 제어채널을 통하여 제어정보를 전송하고,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등과 같은 데이터채널로 구성되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한편 EPDCCH(enhanced PDCCH 또는 extended PDCCH)를 이용해서도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셀(cell)은 송수신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 또는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 point 또는 transmission/reception point)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를 가지는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 그 송수신 포인트 자체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은 둘 이상의 송수신 포인트들이 협력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다중 포인트 협력형 송수신 시스템(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CoMP 시스템) 또는 협력형 다중 안테나 전송방식(coordinated multi-antenna transmission system), 협력형 다중 셀 통신시스템일 수 있다. CoMP 시스템은 적어도 두 개의 다중 송수신 포인트와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중 송수신 포인트는 기지국 또는 매크로 셀(macro cell, 이하 'eNB'라 함)과, eNB에 광케이블 또는 광섬유로 연결되어 유선 제어되는, 높은 전송파워를 갖거나 매크로 셀영역 내의 낮은 전송파워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RRH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에서 단말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에서 다중 송수신 포인트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PUCCH, PUSCH, PDCCH, EPDCCH 및 PDSCH 등과 같은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되는 상황을 ‘PUCCH, PUSCH, PDCCH, EPDCCH 및 PDSCH를 전송, 수신한다’는 형태로 표기하기도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PDCCH를 전송 또는 수신하거나 PDCCH를 통해서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한다는 기재는 EPDCCH를 전송 또는 수신하거나 EPDCCH를 통해서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이하에서 기재하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은 PDCCH를 의미하거나, EPDCCH를 의미할 수 있으며, PDCCH 및 EPDCCH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도 사용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PDCCH로 설명한 부분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EPDCCH를 적용할 수 있으며, EPDCCH로 설명한 부분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EPDCCH를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기재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High Layer Signaling)은 RRC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RRC 정보를 전송하는 RRC시그널링을 포함한다.
eNB은 단말들로 하향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eNB은 유니캐스트 전송(unicast transmission)을 위한 주 물리 채널인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그리고 PDSCH의 수신에 필요한 스케줄링 등의 하향링크 제어 정보 및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예를 들면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에서의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승인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 되는 것을 해당 채널이 송수신되는 형태로 기재하기로 한다.
종래의 무선 접속망 구조에서 각 계층별 수행 기능은 다음과 같다. 먼저, 물리 계층은 무선 채널을 이용하여 상위 계층에게 정보전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매체접속제어 (Medium Access Control; MAC) 계층은 상위의 논리채널 (Logical channel)과 전송채널 (Transport channel)간 매핑, 다수의 논리채널에 속한 MAC SDU(Service Data Unit)들의 Multiplexing/demultiplexing, HARQ 동작 지원, 전송 스케줄링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링크제어 (Radio Link Control; RLC) 계층은 상위계층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분할 (Segmentation) 및 병합 (Concatenation)하여 하위계층이 무선 구간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에 적합하도록 데이터 크기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RLC는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 자동 반복 및 요청 (Automatic Repeat and Request; ARQ) 을 통한 재전송 기능을 수행한다.
패킷데이터수렴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계층은 IP 패킷 헤더 사이즈를 줄여주는 헤더압축 (Header Compression) 기능을 수행하고, 상위계층 데이터의 in-sequence delivery를 지원한다. 또한, 암호화 (Ciphering)와 무결성 보호 (Integrity protection) 기능을 수행하여 보안 (Security)을 지원한다.
이하 RLC 계층에 대해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RLC 계층에서는 ARQ를 지원하기 위해 각 데이터 RLC PDU 마다 일련번호 (Sequence Number; SN)를 포함한 PDU 헤더를 붙여 보냄으로써, RLC entity의 수신측으로 하여금 어떤 PDU가 전송 중 소실되었는지 확인하고 송신측으로 전송상태를 보고할 수 있도록 한다. 3GPP 표준에 따르면, RLC 수신측이 데이터의 수신 결과를 송신측으로 보고하는 메시지(RLC STATUS PDU)는 다음의 도2와 도3의 예시와 같이 구성된다.
- D/C: Data PDU/Control PDU 구분자(1bit), Control PDU이면 0, Data PDU이면 1
- CPT: Control PDU type(000: Control PDU type, 001-111: reserved)
- ACK_SN: 다음 수신 못한 RLC Data PDU의 SN, 즉 현재까지 수신한 RLC Data PDU들의 최대 SN+1
- NACK_SN: 수신기에서 lost로 감지한 RLC Data PDU의 SN
- E1: NACK_SN+E1+E2 가 다음에 이어질지 나타내는 표시자(1bit)
- E2: 이번 NACK_SN 다음에 SOstart+SOend 정보가 이어서 포함될지 나타내는 표시자(1bit)
- SOstart: RLC Data PDU 일부가 유실되었을 경우 유실 부분이 해당 AMD PDU(NACK_SN에 해당하는)의 Data field에서 몇 번째 byte부터 유실된 것인지를 나타내는 필드
- SOend: RLC Data PDU 일부가 유실되었을 경우 유실 부분이 해당 AMD PDU(NACK_SN에 해당하는)의 Data field에서 몇 번째 byte까지 유실된 것인지를 나타내는 필드
한편, 스마트폰 및 다양한 모바일 멀티미디어 Application들의 활성화로 인해 모바일 트래픽 사용량이 엄청난 속도로 증가하는 상황에서, 이러한 급증하는 트래픽을 수용하기 위해 Gbps급의 초고속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는 차세대 셀룰러 시스템, 즉 5세대 셀룰러 시스템(5th Generation Cellular System, 이하 5G 시스템)이 주목을 받고 있다. 최근 ITU-R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 Radiocommunication Sector) WP (Working Party) 5D에서는 5G 시스템의 8가지 핵심 성능지표를 제시하였는데, 이 중 최대 전송률은 20Gbps이상이고 사용자 체감 전송률 역시 Gbps급이다. 이에 따라 5G 시스템이 사용자에게 Gbps 급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물리계층뿐만 아니라 MAC/RLC/PDCP에 대한 최적 구조 및 기능 도출이 필요하다.
5G 시스템에서 초고속 데이터 처리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종래 기술에서 다음의 문제점이 있다. 먼저, 고속 데이터 전송에서도 ARQ가 잘 동작하기 위해서 ARQ Window size 및 RLC SN의 크기가 커져야 한다., 또한, 초고속 데이터 handling이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기지국/단말의 상위계층 processing burden이 되는 요소들을 줄여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RLC/MAC계층에서 초고속 데이터 handling을 위한 기능별, 메시지 구조별 설계 최적화 (optimization) 과정이 필요하다. 종래 기술에서는 RLC계층과 MAC 계층에서 각각 SDU 병합 기능을 지원한다. 특히, RLC 계층에서는 SDU 병합을 지원하기 위해 길이가 유동적인 RLC Data PDU header의 구조를 사용하는데, 이로 인해 RLC 수신측이 매 헤더의 세부 필드를 읽어서 가변적인 구조를 처리해야한다. 이는 패킷 프로세싱 복잡도를 증가시켜 Gbps급 데이터 처리에 심각한 burden을 줄 수 있다. 만약 병합 기능을 MAC에서만 수행하고 RLC Data PDU Header는 최대한 static하고 간단하게 구성하면, RLC 프로세싱 부하가 줄어 초고속 데이터 처리를 용이하게 될 것이다.
다만, RLC에서 SDU병합 기능을 지원하지 않을 경우에는 다음의 추가적인 고려사항이 있다. RLC에서 SDU들을 병합하지 않으므로 하나의 RLC Data PDU에 단지 하나의 RLC SDU 또는 SDU segment만이 포함되고, MAC PDU에 다수의 RLC PDU들이 multiplexing되므로, 무선 구간 전송 에러가 발생시 인접한 다수의 RLC PDU들(연속적인 다수의 RLC SN들)이 전송 실패할 수 있다. 이 경우, 종래의 RLC STATUS PDU 구조에 따르면 RLC 수신 결과를 보고하는 RLC STATUS PDU 크기가 너무 커질 수 있다. RLC SN size가 종래 기술(3gpp표준)에서 정의하는 최대 size인 18bits라고 가정하면 RLC STATUS PDU 크기는 훨씬 더 커질 수 있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RLC STATUS PDU 구성의 예이다. 따라서, 5G 즉, 초고속 무선 서비스에 적합하도록 최적화된 RLC STATUS PDU 구조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초고속 무선 서비스를 지원하는 기지국/단말 시스템에서 대량의 패킷 처리가 용이하도록 향상된 RLC 동작 방법과 RLC 제어 메시지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초고속 무선 서비스를 지원하는 기지국/단말 시스템에서 대량의 패킷 처리가 용이하도록 동작하는 향상된 RLC 동장 방법과 RLC STATUS feedback을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RLC STATUS PDU 구성 방법 및 메시지 구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체적인 동작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RLC STATUS PDU는 normal STATUS PDU와 compact STATUS PDU의 두 가지 구조로 나누어진다. 두 Control PDU는 Header내 CPT 값으로 구분된다. 예로, normal STATUS PDU는 Control PDU type=000으로 지정하고, Compact STATUS PDU는 Control PDU type=001로 지정하여 구분한다.
Normal STATUS PDU는 다음의 정보요소(field)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 ACK_SN: 다음 수신 못한 RLC Data PDU (이전 RLC STATUS PDU로 보고되지 않은)의 SN, 즉 현재까지 수신한 RLC Data PDU들의 최대 SN+1
- NACK_SN: 수신기에서 lost로 감지한 RLC Data PDU의 SN
NACK_SN field 뒤에는 언제나 xE1 field 와 xE2 field가 이어서 뒤따른다.
- xE1: NACK_SN+xE1+xE2가 다음에 이어질지 나타내는 표시자(1bit)
- xE2: 이번 NACK_SN 다음에 SOstart+SOend가 이어서 포함될지 나타내는 표시자(2bits)
■ 00: 이번 NACK_SN field다음에 SOstart+SOend, NACK_COUNT, 또는Compact_NACK_COUNT와 같은 부가적인 field가 추가되지 않음
■ 01: 이번 NACK_SN field다음에 NACK_COUNT field가 이어짐.
이때, NACK_COUNT는 NACK_SN 값부터 연속으로 유실된 SN의 개수
■ 10: 이번 NACK_SN field다음에 Compact_ NACK_COUNT field가 이어짐.
이때, Compact_NACK_COUNT는 NACK_SN 값부터 연속으로 유실된 SN의 개수로서 NACK_COUNT field보다 size가 작음. 예로, sizeof(Compact_NACK_COUNT)=sizeof(NACK_COUNT)/2로 설정할 수 있음.
■ 11: 이번 NACK_SN 다음에 SOstart+SOend가 이어서 포함됨
Compact STATUS PDU는 다음의 정보요소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 ACK_SN: 다음 수신 못한 RLC Data PDU의 SN, 즉 현재까지 수신한 RLC Data PDU들의 최대 SN+1
- NACK_SN_gap: 수신기에서 유실(lost)로 감지한 RLC Data PDU의 SN값과 ACK_SN 값의 차이. 이때, NACK_SN_gap 의 IE size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signaling을 통해서 논리채널 별로 설정한다. NACK_SN_gap field뒤에는 언제나 xE1, xE2 fields가 뒤따른다.
- xE1: NACK_SN_gap +xE1+xE2 가 다음에 이어질지 나타내는 표시자(1bit)
- xE2: 이번 NACK_SN_gap field다음에 SOstart+SOend가 이어서 포함될지 나타내는 표시자(2bits)
■ 00: 이번 NACK_SN_gap field다음에 SOstart+SOend, NACK_COUNT, Compact_ NACK_COUNT 와 같은 부가적인 field가 추가되지 않음
■ 01: 이번 NACK_SN_gap field다음에 NACK_COUNT field가 이어짐.
이때, NACK_COUNT는 (ACK_SN-NACK_SN_gap)%MAX_SN 값부터 연속으로 유실된 SN의 개수. NACK_COUNT field의 size는 NACK_SN_gap IE 크기와 동일함.
■ 10: 이번 NACK_SN_gap field다음에 Compact_ NACK_COUNT field가 이어짐.
이때, Compact_NACK_COUNT는 (ACK_SN-NACK_SN_gap)%MAC_SN 값부터 연속으로 유실된 SN의 개수로서 NACK_COUNT field보다 size가 작고, NACK_SN_gap 와 함께 RRC signaling을 통해서 단말로 전달됨.
■ 11: 이번 NACK_SN_gap field다음에 SOstart+SOend가 이어서 포함됨
RLC 수신측에서 STATUS report을 수행하는 절차는 다음과 같다. RLC 수신측에서는 1) 송신측으로부터 RLC Data 수신 상황 보고를 요구하는 Poll 받거나 2) RLC Data PDU가 유실 되었음을 감지하면, STATUS PDU를 구성하여 현재까지의 수신 상황을 송신측으로 보고한다. 이때, 한번 STATUS PDU를 송신하였으면 t-StatusProhibit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까지 STATUS reporting을 미루었다가 만료된 후 하나의 STATUS PDU를 구성하여 송신측으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라 RLC 수신측이 RLC STATUS PDU를 구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RLC 수신측은 하나의 STATUS PDU를 통해 report될 SN의 window size 즉, ReportWindowSize를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수학식 1]
ReportWindowSize=VR(MS)-VR(R) 식1)
이때, VR(MS)는 다음 수신 못한 RLC Data PDU의 SN, 즉 현재까지 수신한 RLC Data PDU들의 최대 SN+1로서 STATUS PDU에 'ACK_SN'에 입력될 값이고, VR(R)은 현재까지 in-sequence delivery를 완료한 마지막 Data PDU의 SN이다. VR(R)은 RLC 수신측의 Receiving Window에서 가장 낮은 값에 해당한다.
RLC 수신측은 계산된 ReportWindowSize가 power(2, sizeof(NACK_SN_gap field length)) 보다 크면 Normal STATUS PDU를 이용하여 STATUS report을 수행하고, power(2, sizeof(NACK_SN_gap field length)) 보다 작으면 Compact STATUS PDU를 구성하여 송신측으로 RLC Data PDU 수신 상황을 보고한다. 또한, 유실된 PDU들이 연속된 SN을 갖는 경우에는 도 5/6의 b, c)와 같이 NACK_COUNT 또는 Compact NACK_COUNT field를 추가하여 구성한다.
RLC 송신측은 수신한 RLC STATUS PDU(D/C = 0)에서 CPT 를 확인하여 Normal STATUS PDU (CPT=0) 와 Compact STATUS PDU (CPT=1)를 구분한다. 만약, 수신한 PDU가 Compact STATUS PDU 이면, PDU내 ACK_SN과 NACK_SN_gap을 이용하여 NACK_SN을 계산(아래 식 2 참조)하고, 유실된 해당 Data PDU 또는 PDU segment에 대한 절대값 SN 정보를 획득한다.
[수학식 2]
NACK_SN=(ACK_SN-NACK_SN_gap)%MAX_SN 식 2)
만약, 해당 NACK_SN에 대해서 NACK_COUNT 또는 Compact NACK_COUNT가 포함된 경우(xE2=01 or 10), 유실된 Data PDU는 NACK_COUNT 또는 Compact NACK_COUNT 수 만큼 복수의 PDU임을 확인하고 해당 Data PDU들의 SN은
{NACK_SN, NACK_SN+1, NACK_SN+2,…, NACK_SN+ NACK_COUNT(or Compact NACK_COUNT)-1}이다. RLC 송신측은 해당 Data PDU에 대해서 ARQ 재전송 절차를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초고속 무선 서비스를 지원하는 기지국/단말 시스템에서 대량의 패킷 처리가 용이하도록 RLC 수신 상황에 따라 효율적으로 RLC STATUS PDU를 구성하는 방법 및 STATUS PDU구조를 제공함으로써, RLC feedback으로 인한 부가적인 무선자원overhead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1000)은 제어부(1010)과 송신부(1020), 수신부(1030)을 포함한다.
제어부(1010)는 전술한 본 발명을 수행하기에 필요한 초고속 무선 서비스를 지원하는 기지국/단말 시스템에서 대량의 패킷 처리가 용이하도록 동작하는 향상된 RLC 동장 방법과 RLC STATUS feedback을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RLC STATUS PDU 구성 방법 및 메시지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따른 전반적인 기지국의 동작을 제어한다.
송신부(1020)와 수신부(1030)는 전술한 본 발명을 수행하기에 필요한 신호나 메시지, 데이터를 단말과 송수신하는데 사용된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1100)은 수신부(1110) 및 제어부(1120), 송신부(1130)을 포함한다.
수신부(1110)는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제어정보 및 데이터, 메시지를 해당 채널을 통해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1120)는 전술한 본 발명을 수행하기에 필요한 초고속 무선 서비스를 지원하는 기지국/단말 시스템에서 대량의 패킷 처리가 용이하도록 동작하는 향상된 RLC 동장 방법과 RLC STATUS feedback을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RLC STATUS PDU 구성 방법 및 메시지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따른 전반적인 단말의 동작을 제어한다.
송신부(1130)는 기지국에 상향링크 제어정보 및 데이터, 메시지를 해당 채널을 통해 전송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언급한 표준내용 또는 표준문서들은 명세서의 설명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 생략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한다. 따라서, 위 표준내용 및 표준문서들의 일부의 내용을 본 명세서에 추가하거나 청구범위에 기재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

  1. RLC 개체에서 상태보고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둘 이상의 구조로 구분되는 RLC 상태 PDU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둘 이상의 구조 중 어느 하나의 구조를 이용하여 RLC 상태보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60050237A 2016-04-25 2016-04-25 초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RLC (Radio Link Control) 계층의 상태 보고를 전송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1701215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0237A KR20170121582A (ko) 2016-04-25 2016-04-25 초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RLC (Radio Link Control) 계층의 상태 보고를 전송하는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0237A KR20170121582A (ko) 2016-04-25 2016-04-25 초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RLC (Radio Link Control) 계층의 상태 보고를 전송하는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1582A true KR20170121582A (ko) 2017-11-02

Family

ID=60383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0237A KR20170121582A (ko) 2016-04-25 2016-04-25 초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RLC (Radio Link Control) 계층의 상태 보고를 전송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158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12039A1 (en) Terminal, base station, radio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US1088022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RLC layer status report
US108738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528571B1 (en) Communication method using frequency band of base s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using method
WO2016159230A1 (ja)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EP3297317B1 (en)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10616871B2 (en) Uplink data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US11133918B2 (en)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KR20180046358A (ko)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US20180249487A1 (en) User terminal, radio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KR101615855B1 (ko) 하향링크 제어채널에서의 블라인드 디코딩을 조절하는 방법 및 장치
JPWO2017033780A1 (ja)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KR102186397B1 (ko) 짧은 전송 시간 간격의 프레임 구조에서 채널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50126535A (ko) 듀얼 커넥티비티 하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KR102193191B1 (ko) 코드 블록 그룹 기반의 전송 블록을 송수신하는 방법
KR102023539B1 (ko) Rlc 상태 리포트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EP3609253A1 (en) Method for d2d operation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using said method
KR20170121582A (ko) 초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RLC (Radio Link Control) 계층의 상태 보고를 전송하는 방법 및 그 장치
US20210184792A1 (en) Radio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KR20180036909A (ko) 커버리지 확장을 위한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80023136A (ko)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하향 링크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40133392A (ko) 복수의 기지국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KR20180131374A (ko) 차세대 무선망을 위한 전송 블록을 재전송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180125118A (ko) 차세대 무선망에서 적응적 crc 설정 방법 및 그 장치
KR20180112217A (ko) 차세대 무선망을 위한 무선 링크 관리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