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8624A - 유착 방지제 - Google Patents

유착 방지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8624A
KR20160118624A KR1020150047013A KR20150047013A KR20160118624A KR 20160118624 A KR20160118624 A KR 20160118624A KR 1020150047013 A KR1020150047013 A KR 1020150047013A KR 20150047013 A KR20150047013 A KR 20150047013A KR 20160118624 A KR20160118624 A KR 201601186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on
aqueous solution
weight
parts
polyethylene glyc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7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8349B1 (ko
Inventor
김은진
백인수
김선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아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아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아이텍
Priority to KR1020150047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8349B1/ko
Publication of KR20160118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8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8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8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31/043Proteins; Polypeptides;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L31/046Fibrin; Fibrino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31/041Mixture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bstract

본 발명은 유착 방지제에 관한 것으로, 실크 피브로인(Silk Fibroin) 수용액 1 내지 50 중량부; 및 온도감응성 고분자 수용액 20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생분해성 천연고분자인 실크 피브로인은 국소부위 출혈을 막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치유기간 중에는 물리적 장벽으로서 역할을 하여 유착 방지 기능을 극대화 시킬 수 있고, 그 이후에는 체내에서 생분해되어 흡수됨으로써, 효과적인 유착 방지를 할 수 있으며, 생체 적합성이 뛰어난 온도감응성 고분자 수용액은 상온에서 액체 형태이고, 체온(35 내지 38°C)에서는 겔(gel)형태로 전이되는 특성이 있으므로, 체내에서 흘러내리지 않고 상처부위에 도포가 용이하여 유착 방지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유착 방지제 {ADHESION BARRIER AGENT}
본 발명은 유착 방지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착은 서로 떨어져 있는 피부나 막 등이 염증이 생겨서 서로 들러붙는 것을 말하며, 수술 후 발생하는 장기 및 조직의 유착은 손상된 조직세포가 증식하고 재생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여기서, 과도한 유착 또는 의도치 않은 다른 장기 및 조직과의 유착은 장기의 기능 장애를 초래하여 경우에 따라서는 유착박리 재수술이 필요하며, 생명을 위협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그리고, 임상적으로 가장 큰 문제가 되는 것은 복부수술 후에 발생하는 복막 유착, 장 유착으로 반복적인 수술, 거친 수술, 과도한 출혈, 봉합물질의 조직 반응, 수술 중의 이물질, 수술 후 염증 등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유착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은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수술시 섬세한 주의와 불필요한 시술로 인한 조직손상과 이물질에 의한 유착을 최소화시키는 방법이다.
둘째, 염증성 반응과 유착 형성에 필요한 병리 생리학적 과정에서 유착기전에 근거하여 약물치료로 억제하는 방법이다.
셋째, 수술 후 유착 방지막을 사용하여 상처 부위를 감싸거나 덮어줌으로써, 주변 조직과의 접촉을 물리적으로 차단시키는 방법이다.
여기서, 유착 방지막의 제형은 고형(내인성 및 외인성), 액체형 및 겔형 등이 있고, 수술 후 유착 방지는 합병증을 줄일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요인이므로, 이를 위해 유착 방지제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유착 방지제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52954호(출원일 : 2002. 09. 04, 공고일 : 2006. 02. 20, 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에서는 열감응성 유착방지용 조성물, 용액, 필름, 스폰지 및 분말이 제시된 바 있었다.
구체적으로, 종래기술은 천연 고분자(히알루론산)와 열감응성 고분자인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체내 이물반응이 적고 체내에서 분해 및 흡수를 통해 체외로 완전한 배출이 이루어지며, 여러 가지 기능의 약물을 담지하여 사용함으로써 약물을 수술부위에 일정 기간 국부적으로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술 시 또는 수술 후 간편한 적용방법에 의한 조직 간에 유착형성을 감소시키거나 방지 할 수 있는 유착방지용 필름, 스폰지, 용액, 분말, 열감응성 조성물 및 그 적용방법을 제공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은 체내에서 쉽게 씻겨나가기 때문에 유착방지 효율성이 낮은 문제점이 아직 남아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생체 적합성이 뛰어나고 지혈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온도에 따라 졸(sol)-겔(gel) 전이가 일어나 체내에서 흘러내리지 않고 상처부위에 도포가 용이한 유착 방지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유착 방지제는, 실크 피브로인(Silk Fibroin) 수용액 1 내지 50 중량부; 및 온도감응성 고분자 수용액 20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온도감응성 고분자 수용액은 온도감응성 고분자를 증류수에 용해시켜 마련되며, 상기 온도감응성 고분자는 폴리-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Poly(N-isopropylacrylamide), PNiPAAM) 공중합체, 폴리에틸렌글리콜(PEG)-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폴리에틸렌글리콜(PEG) 공중합체 및 폴리에틸렌글리콜(PEG)-폴리락타이드글리콜라이드(PLGA)-폴리에틸렌글리콜(PEG) 공중합체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혼합으로 마련된다.
또한, 상기 유착 방지제는 상기 온도감응성 고분자 수용액에 의해 상온에서는 제형이 액체 형태이며, 35 내지 38°C의 온도에서는 제형이 겔(gel) 형태로 전이되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유착 방지제는, 항생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항생제는 페니실린(penicillin),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 카나마이신(kanamycin), 클로람페니콜(chliramphenicol), 악토노마이신(actinomysin), 암피실린(ampicillin), 바시트라신(bacitracin), 그라미시딘(gramicidin), 날리딕신산(naildixic acid), 네오마이신(neomtcin), 노낵틴(nonactin), 노르플록사신(norfloxacin), 패튤린(patulin) 및 테라마이신(terramysin)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혼합으로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유착 방지제는, 첨가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첨가제는 카보폴(cabopol),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ydropropylcellulose),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ollidone), 알지네이트(alginate) 및 염화나트륨(sodium chloride)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혼합으로 마련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생분해성 천연고분자인 실크 피브로인은 국소부위 출혈을 막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치유기간 중에는 물리적 장벽으로서 역할을 하여 유착 방지 기능을 극대화 시킬 수 있고, 그 이후에는 체내에서 생분해되어 흡수됨으로써, 효과적인 유착 방지를 할 수 있다.
둘째, 생체 적합성이 뛰어난 온도감응성 고분자 수용액은 상온에서 액체 형태이고, 체온(35 내지 38°C)에서는 겔(gel)형태로 전이되는 특성이 있으므로, 체내에서 흘러내리지 않고 상처부위에 도포가 용이하여 유착 방지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혼합용액의 온도 변화에 따른 졸(sol)-겔(gel) 전이 거동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비교예에서 제조된 혼합용액의 온도 변화에 따른 졸(sol)-겔(gel) 전이거동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험예2에 따른 복벽 훼손 및 맹장막 마찰 모델 동물실험 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유착 방지제를 주입하지 않은 대조군의 유착부위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5 및 도6은 본 발명의 유착 방지제를 주입한 실험군의 유착부위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유착 방지제에 관한 설명>
본 발명은 상처부위의 지혈 작용과 함께 비정상적인 조직의 유착을 방지할 수 있는 생체 적합성이 뛰어난 유착 방지제에 관한 것으로, 실크 피브로인(Silk Fibroin) 수용액 및 온도감응성 고분자 수용액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실크(Silk)는 누에고치로부터 얻어지는 섬유상 단백질로 화학적으로 천연 단백질에 속하는 천연고분자이다.
구체적으로, 실크는 중심부에 두 가닥으로 존재하는 피브로인(Fibroin)과 그 주변을 감싸고 있는 세리신(Sericin)으로 구성되며, 이 중 친수성 및 점착성을 갖는 단백질은 세리신은 정련과정을 거쳐 제거되고, 의료용 소재로 피브로인만 이용된다.
이와 같은, 실크 피브로인은 강도, 광택, 촉감 등이 우수하여 예전부터 최고급 의류용 소재로 이용되어 왔고, 생체 적합성 및 생분해성이 뛰어나 의료용 소재로도 활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실크 피브로인을 용해하여 섬유뿐만이 아니라, 필름, 스펀지, 나노섬유, 미세입자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실크 피브로인 수용액은 수용성인 실크 피브로인 분말을 증류수에 용해시켜 마련될 수 있으며, 증류수 100 중량부에 실크 피브로인 분말 1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실크 피브로인 분말이 1 중량부 미만이면 유착 방지제로써 사용하기 부적합하고, 50 중량부를 초과하면 수용액으로 제조가 힘든 문제점이 생기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온도감응성 고분자 수용액은 상온에서는 수용액인 졸(sol) 형태이다가 온도가 증가하여 흐림점 또는 저온임계용액온도(LCST)에 이르면 수용액은 반고체형인 겔(gel) 형태로 전이된다.
다시 말해, 온도 감은성 고분자 수용액은 LCST 이하의 온도에서는 물과 수소결합으로 인해 용해되어 있다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수소결합이 해리되어 고분자끼리 엉키면서 침전으로 형성되어 겔 형태로 전이되는 것이다.
온도감응성 고분자 수용액은 온도감응성 고분자를 증류수에 용해시켜 마련될 수 있으며, 농도에 따라 졸(sol)-겔(gel) 전이온도가 달라지는데, 본 발명은 증류수 100 중량부에 온도감응성 고분자 20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온도감응성 고분자가 20 중량부 미만이면 상온뿐만이 아니라, 체내(35 내지 38°C)에서도 계속 액체 형태를 유지하므로, 유착 방지제로 사용하기 부적합하고, 50 중량부를 초과하면 수용액으로 제조가 힘든 문제점이 생기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실크 피브로인 수용액 및 온도감응성 고분자 수용액이 혼합된 유착 방지제는 온도감응성 고분자 수용액에 의해 상온에서는 제형이 액체 형태이고, 체내(35 내지 38°C)에 주입되면 제형이 겔(gel) 형태로 전이되는 특징이 있으므로, 아무리 복잡한 구조의 장기 및 조직에서도 주입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수술 시 발생할 수 있는 국소부위 출혈을 막아주어 유착방지의 기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여기서, 온도감응성 고분자는 온도감응성 고분자는 폴리-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Poly(N-isopropylacrylamide), PNiPAAM) 공중합체, 폴리에틸렌글리콜(PEG)-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폴리에틸렌글리콜(PEG) 공중합체 및 폴리에틸렌글리콜(PEG)-폴리락타이드글리콜라이드(PLGA)-폴리에틸렌글리콜(PEG) 공중합체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혼합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글리콜(PEG)-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폴리에틸렌글리콜(PEG) 공중합체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써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폴록사머(Poloxamer)라고도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유착 방지제는 감염을 막기 위한 항생제 및 강도 또는 점도를 높이기 위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항생제는 페니실린(penicillin),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 카나마이신(kanamycin), 클로람페니콜(chliramphenicol), 악토노마이신(actinomysin), 암피실린(ampicillin), 바시트라신(bacitracin), 그라미시딘(gramicidin), 날리딕신산(naildixic acid), 네오마이신(neomtcin), 노낵틴(nonactin), 노르플록사신(norfloxacin), 패튤린(patulin) 및 테라마이신(terramysin)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혼합으로 마련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첨가제는 카보폴(cabopol),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ydroxy propylcellulose),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 pyrollidone), 알지네이트(alginate) 및 염화나트륨(sodium chloride)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혼합으로 마련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따른 유착 방지제는 실크 피브로인 수용액, 온도감응성 고분자 수용액, 항생제 및 첨가제를 혼합하여 제조된 혼합용액을 필터 멸균하여 주사기에 주입함으로써, 주사 가능한 제재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실시예 >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의 표1과 같은 조성물을 이용하여 유착 방지제를 제조하였으며, 실크 피브로인 수용액 및 폴록사머407 수용액에 용해된 실크 피브로인 및 폴록사머407의 중량부에 따라 실시예 및 비교예로 나누었다.
조성물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실크 피브로인 (중량부) 10 30 10 30
폴록사머407 (중량부) 40 40 10 10
<실시예1>
증류수 100 중량부에 수용성인 실크 피브로인 분말 10 중량부를 용해시켜 실크 피브로인 수용액을 제조하였고, 증류수 100 중량부에 온도감응성 고분자인 폴록사머407 40 중량부를 용해시켜 폴록사머407 수용액을 0 내지 5°C의 온도에서 교반시켜 제조하였다.
상기 실크 피브로인 수용액 및 폴록사머407 수용액을 혼합하여 0 내지 5°C의 온도에서 교반시켜 혼합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2>
증류수 100 중량부에 수용성인 실크 피브로인 분말 30 중량부를 용해시켜 실크 피브로인 수용액을 제조하였고, 증류수 100 중량부에 온도감응성 고분자인 폴록사머407 40 중량부를 용해시켜 폴록사머407 수용액을 0 내지 5°C의 온도에서 교반시켜 제조하였다.
상기 실크 피브로인 수용액 및 폴록사머407 수용액을 혼합하여 0 내지 5°C의 온도에서 교반시켜 혼합용액을 제조하였다.
<비교예1>
증류수 100 중량부에 수용성인 실크 피브로인 분말 10 중량부를 용해시켜 실크 피브로인 수용액을 제조하였고, 증류수 100 중량부에 온도감응성 고분자인 폴록사머407 10 중량부를 용해시켜 폴록사머407 수용액을 0 내지 5°C의 온도에서 교반시켜 제조하였다.
상기 실크 피브로인 수용액 및 폴록사머407 수용액을 혼합하여 0 내지 5°C의 온도에서 교반시켜 혼합용액을 제조하였다.
<비교예2>
증류수 100 중량부에 수용성인 실크 피브로인 분말 30 중량부를 용해시켜 실크 피브로인 수용액을 제조하였고, 증류수 100 중량부에 온도감응성 고분자인 폴록사머407 10 중량부를 용해시켜 폴록사머407 수용액을 0 내지 5°C의 온도에서 교반시켜 제조하였다.
상기 실크 피브로인 수용액 및 폴록사머407 수용액을 혼합하여 0 내지 5°C의 온도에서 교반시켜 혼합용액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1 > : 온도에 따른 졸(sol)-겔(gel) 전이거동의 관찰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및 비교예2에서 제조된 혼합용액을 10ml의 유리병(Vial)에 각각 3g씩 넣은 후 사람의 체온인 37°C에서 졸-겔 전이 거동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그 결과를 도1 및 도2에 나타내었다.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1 및 실시예2에서 제조된 혼합용액은 20°C에서 액체 형태이고, 37°C에서 겔화(gelation)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겔 형태로 마련된 실시예1 및 실시예2의 혼합용액은 37°C에서 점도가 높아져 체내에서 흘러내리지 않고 수술 시 발생하는 상처부위에 잘 도포되어 유착방지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반면,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1 및 비교예2에서 제조된 혼합용액은 폴록사머407 수용액이 20 중량부 미만이므로, 20°C뿐만이 아니라, 37°C에서도 겔화가 되지 않고 액체 형태를 계속 유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37°C에서도 액체 형태를 계속 유지하는 비교예1 및 비교예2의 혼합용액은 체내에서 흘러내리므로, 상처부위에 정확한 도포가 어렵기 때문에 유착방지의 기능을 제대로 할 수 없다.
< 실험예2 > : 동물실험을 통한 유착방지제의 유효성 평가
본 발명에 따른 유착 방지제의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동물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대상 동물로는 래트(outbred male Sprague Dawley rats)를 이용하였고, 실험을 실시하기 전에 3일간 실험실에서 적응시켰으며, 래트는 8주령인 (weight: 230∼280g) 16마리를 모두 건강한 상태에서 동물실험에 적용하였다.
동물실험에 이용된 모델은 복벽 훼손 및 맹장막 마찰 모델(Renee Kennedy, Darren J. Costain, Vivian C. MeAlister and Timothy D. G. Lee, "Prevention of experimental postoperative peritoneal adhesions by N,O-carboxymethyl chitosan", Surgery, Vol. 120, No. 5, 866-870, 1996)이었다.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래트의 배 부위 안쪽 복막을 칼로 긁어내어 상처를 내고, 인접한 맹장의 장막을 사포로 마찰시켜 벗겨내어 출혈을 유도함으로써, 유착이 쉽게 발생할 수 있는 조건을 인위적으로 만들어 주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1 및 실시예2를 통해 제조된 유착방지제를 주입한 래트(실험군1 및 실험군2) 및 유착 방지제를 주입하지 않은 래트(대조군)로 분류하여 4주 후 각각의 유착발생 상태, 심도 및 유착방지 유효성을 살펴보았다.
여기서, 대조군인 유착 방지제를 삽입하지 않은 래트 및 실험군인 유착 방지제를 삽입한 래트에 대하여 수술이 끝나고, 4주 후 맹장과 복막내부의 조직재생이 완료되면 다시 쥐의 복부를 열고 유착발생 상태, 심도 및 유착방지 유효성을 살펴보고 Vlahos의 실험방법(Angie Vlahos, Pingyang Yu, Charles E. Lucas, Anna M. Ledgerwood, "Effect of a composite membrane of chitosan and poloxamer gel on postoperative adhesive interations", The American Surgeon, Vol. 67, 15-21, 2001)에 따라 유착정도를 평가하여 하기의 표2에 나타내었다.
점수(유착등급) 대조군(Control) 실시예1(실험군1) 실시예2(실험군2)
래트 4마리 래트 4마리 래트 4마리
0 0 4 4
1 0 0 0
2 0 0 0
3 2 0 0
4 2 0 0
평균점수 3.5 0.0 0.0
유착의 총계 및 백분율 4(100%) 0(0%) 0(0%)
하기의 표3은 Vlaho’s의 실험방법에 따른 유착정도 평가 및 유착등급을 나타낸 것이다.
유착등급 Vlaho’s의 실험방법에 따른 유착정도 평가
0 No adhesions(유착 없음)
1 One thin filmy adhesion(하나의 얇은 유착)
2 Two or more thin filmy adhesion(둘 이상의 얇은 유착)
3 Thick adhesion with focal point(초점이 있는 두꺼운 유착)
4 Thick adhesion with planner attachment(평면적 부착을 가진 두꺼운 유착)
5 Very thick vascularized adhesion(매우 두꺼운 혈관형성 유착)
상기 표2 및 표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에서 래트 2마리씩 각각 유착등급의 수치가 3 및 4 이고, 평균이 3.5의 수치로 강한 유착정도를 보이고 있으며, 그 결과는 도4에 나타내었다.
반면, 상기 표2 및 표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1 및 실시예2에 따른 실험군1 및 실험군2에서는 유착정도가 0.0의 수치를 나타내었다. 이는 생체유래의 이상적인 특성 및 지혈능이 있는 실크 피브로인에 의해 본 발명의 유착 방지제가 생체 적합성 및 지혈능이 뛰어나 상처치유 효과를 향상시키고, 상처치유 기간에는 조직과 조직 사이에서 물리적 장벽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도5 및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직의 유착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의 래트는 맹장과 복벽이 심하게 유착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고, 반면에, 도5 및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1 및 실시예2에 따라 제조된 본 발명의 유착 방지제를 주입한 실험군1 및 실험군2의 래트는 복벽이 깨끗하게 치료된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따른 유착 방지제는 국소부위 출혈을 막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치유기간 중에는 물리적 장벽으로서 역할을 하여 유착 방지 기능을 극대화 시킬 수 있고, 그 이후에는 체내에서 생분해되어 흡수됨으로써, 효과적인 유착 방지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실크 피브로인(Silk Fibroin) 수용액 1 내지 50 중량부; 및
    온도감응성 고분자 수용액 20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착 방지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응성 고분자 수용액은 온도감응성 고분자를 증류수에 용해시켜 마련되며,
    상기 온도감응성 고분자는 폴리-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Poly(N-isopropylacrylamide), PNiPAAM) 공중합체, 폴리에틸렌글리콜(PEG)-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폴리에틸렌글리콜(PEG) 공중합체 및 폴리에틸렌글리콜(PEG)-폴리락타이드글리콜라이드(PLGA)-폴리에틸렌글리콜(PEG) 공중합체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혼합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착 방지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착 방지제는 상기 온도감응성 고분자 수용액에 의해 상온에서는 제형이 액체 형태이며, 35 내지 38°C의 온도에서는 제형이 겔(gel) 형태로 전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착 방지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착 방지제는,
    항생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항생제는 페니실린(penicillin),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 카나마이신(kanamycin), 클로람페니콜(chliramphenicol), 악토노마이신(actinomysin), 암피실린(ampicillin), 바시트라신(bacitracin), 그라미시딘(gramicidin), 날리딕신산(naildixic acid), 네오마이신(neomtcin), 노낵틴(nonactin), 노르플록사신(norfloxacin), 패튤린(patulin) 및 테라마이신(terramysin)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혼합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착 방지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착 방지제는,
    첨가제을 더 포함하며,
    상기 첨가제는 카보폴(cabopol),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ydroxy propylcellulose),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 pyrollidone), 알지네이트(alginate) 및 염화나트륨(sodium chloride)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혼합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착 방지제.
KR1020150047013A 2015-04-02 2015-04-02 유착 방지제 KR101668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7013A KR101668349B1 (ko) 2015-04-02 2015-04-02 유착 방지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7013A KR101668349B1 (ko) 2015-04-02 2015-04-02 유착 방지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624A true KR20160118624A (ko) 2016-10-12
KR101668349B1 KR101668349B1 (ko) 2016-10-21

Family

ID=57173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7013A KR101668349B1 (ko) 2015-04-02 2015-04-02 유착 방지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83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22945A (zh) * 2019-10-11 2019-12-03 杨鑫 一种医用生物凝胶止血敷料及其制备方法
CN111968335A (zh) * 2020-08-28 2020-11-20 上海科技大学 一种离子导体材料的用途、火灾感应装置、报警方法、设备和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8709B1 (ko) 2020-11-24 2022-10-2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난소암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복강 내 투여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411A (ko) * 2002-09-04 2004-03-10 주식회사 바이오레인 열감응성 유착방지용 조성물, 용액, 필름, 스폰지, 분말및 그 적용방법
KR20050045113A (ko) * 2003-11-10 2005-05-17 주식회사 바이오레인 기포를 포함하는 유착방지제
KR100565881B1 (ko) * 2003-07-24 2006-03-29 이진호 생체적합성 공중합체를 이용한 조직유착 방지제
KR20140140212A (ko) * 2013-05-28 2014-12-09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친수성 천연고분자를 함유하는 다층구조의 나노섬유상 유착방지막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411A (ko) * 2002-09-04 2004-03-10 주식회사 바이오레인 열감응성 유착방지용 조성물, 용액, 필름, 스폰지, 분말및 그 적용방법
KR100565881B1 (ko) * 2003-07-24 2006-03-29 이진호 생체적합성 공중합체를 이용한 조직유착 방지제
KR20050045113A (ko) * 2003-11-10 2005-05-17 주식회사 바이오레인 기포를 포함하는 유착방지제
KR20140140212A (ko) * 2013-05-28 2014-12-09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친수성 천연고분자를 함유하는 다층구조의 나노섬유상 유착방지막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22945A (zh) * 2019-10-11 2019-12-03 杨鑫 一种医用生物凝胶止血敷料及其制备方法
CN111968335A (zh) * 2020-08-28 2020-11-20 上海科技大学 一种离子导体材料的用途、火灾感应装置、报警方法、设备和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8349B1 (ko) 2016-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63459B2 (ja) 癒着予防のためのハイドロゲル膜
EP3659631B1 (en) Wound dressing comprising hyaluronic acid-calcium and polylysi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1330652B1 (ko) 성장인자 담지 가능한 유착방지용 고분자 조성물
KR20100093516A (ko) 외과용 하이드로겔
ES2311455T3 (es) Composiciones de poliacidos, de polimeros no ionicos de monomeros de oxido de alquileno y cationes multivalentes y su utilizacion para la reduccion de adherencias.
JP5579941B2 (ja) 癒着防止又は止血に有用な医薬組成物
US20130252921A1 (en) Adhesion barrier containing hyaluronic acids and l-arginine
US10105387B2 (en) Temperature sensitive adhesion prevention composition and use thereof
KR102444452B1 (ko) 온도 감응성 고분자 조성물
KR101668349B1 (ko) 유착 방지제
JP2022546512A (ja) 温度感応型組織癒着防止用ハイドロゲル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EP4186536A1 (en) Anti-adhesion polymer composition
Shi et al. Drug-incorporated electrospun fibers efficiently prevent postoperative adhesion
KR101389831B1 (ko) 온도 감응형 유착방지제
KR101799534B1 (ko) 조직 유착 방지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45885B1 (ko) 입자형 무세포 진피 기반의 온도감응성 유착방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13577400A (zh) 一种海洋植物多糖防粘连材料的制备方法
JP2023092390A (ja) 止血材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