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8584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링크 설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링크 설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8584A
KR20160118584A KR1020150046905A KR20150046905A KR20160118584A KR 20160118584 A KR20160118584 A KR 20160118584A KR 1020150046905 A KR1020150046905 A KR 1020150046905A KR 20150046905 A KR20150046905 A KR 20150046905A KR 20160118584 A KR20160118584 A KR 20160118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rch
access technology
wireless access
signal
candid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6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5115B1 (ko
Inventor
윤성록
강영명
권창열
이명환
정도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46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5115B1/ko
Priority to EP16773424.3A priority patent/EP3278597B1/en
Priority to PCT/KR2016/003233 priority patent/WO2016159643A1/en
Priority to CN201680020498.5A priority patent/CN107466484B/zh
Priority to US15/090,592 priority patent/US10219200B2/en
Publication of KR20160118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8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5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5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4G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통신 시스템을 IoT 기술과 융합하는 통신 기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 (예를 들어,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무선 접속 기술(RAT: radio access technology)들을 이용하여 링크를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제1무선 접속 기술 및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지원하는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1무선 접속 기술을 통해,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위한 탐색(discovery) 구간의 시작 시점을 알리는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을 통해, 상기 탐색 구간 동안, 탐색을 위한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와 다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링크 설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LINK SETUP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링크(link) 설정에 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이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무선 통신의 발달로 다양한 기기(device)들 간 연결이 무선(wireless)화되고 있다. 상기 연결의 무선화는 유선(wired) 연결 대비 다양한 장점들, 예를 들어, 이동성 증대, 기기의 디자인 향상, 낮은 파손 위험 등의 장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유선 연결의 경우 물리적인 커넥터(connecter)에 의해 직관적인 기기 간 연결이 가능하나, 상기 무선 연결의 경우 다양한 규격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육안으로의 구별이 불가능하다. 더욱이, 무선 연결을 위한 접속 절차는 규격 별로 서로 다르게 규정되므로, 사용자의 입장에서 불편함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무선 연결의 불편함을 줄이고, 빠르고 직관적으로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연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 접속 시, NFC(near field communications) 또는 BLE(Bluetooth low energy)를 이용하여 태깅(tagging)하거나 또는 인접성(proximity)이 판단되면, 상기 NFC 또는 상기 BLE를 통해 상기 Wi-Fi 접속에 필요한 정보를 교환하고, 빠르게 Wi-Fi 접속을 수행하게 하는 기술이 제시된 바 있다. 이러한 기술은 WFA(Wi-Fi Alliance)의 ASP2.0 TG(application specific platform 2.0 task group)에 의해 표준화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 무선 접속 기술(RAT: radio access technology)을 통한 링크(link) 설정 시, 다른 무선 접속 기술을 이용하여 필요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무선 접속 기술의 특성이 상이하므로, 단일한 절차가 모든 무선 접속 기술들의 조합을 지원할 수 없다. 따라서, 무선 접속 기술의 특성을 고려한 효율적인 접속 절차가 제시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수의 무선 접속 기술(RAT: radio access technology)들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링크를 설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접속 기술의 특성을 고려한 효율적인 접속 절차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접속 기술의 주파수 특성을 고려한 접속 절차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링크 설정을 위한 에너지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이한 커버리지(coverage)를 다른 무선 접속 기술을 이용하여 링크를 설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무선 접속 기술을 이용하여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위한 탐색(discovery) 구간을 동기화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무선 접속 기술(RAT: radio access technology) 및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지원하는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1무선 접속 기술을 통해,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위한 탐색(discovery) 구간의 시작 시점을 알리는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을 통해, 상기 탐색 구간 동안, 탐색을 위한 신호들을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무선 접속 기술 및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지원하는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무선 접속 기술을 통해,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위한 탐색 구간의 시작 시점을 알리는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을 통해, 상기 탐색 구간 동안, 탐색을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무선 접속 기술 및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지원하는 장치는, 상기 제1무선 접속 기술을 통해,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위한 탐색 구간의 시작 시점을 알리는 정보를 송신하는 제1통신 모듈과,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을 통해, 상기 탐색 구간 동안, 탐색을 위한 신호들을 송신하는 제2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무선 접속 기술 및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지원하는 장치는, 상기 제1무선 접속 기술을 통해,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위한 탐색 구간의 시작 시점을 알리는 정보를 수신하는 제1통신 모듈과,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을 통해, 상기 탐색 구간 동안, 탐색을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제2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무선 접속 기술(RAT: radio access technology)들을 이용하여 탐색(discovery) 구간을 동기화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링크(link) 설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링크(link)를 설정하는 장치들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접속 기술(RAT: radio access technology)에 따른 커버리지의 차이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링크 설정 절차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방송 신호의 구성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탐색 구간 동기화 절차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링크 설정을 제어하는 장치의 탐색 구간 동기화를 위한 동작 절차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링크 설정에 참여하는 장치의 탐색 구간 동기화를 위한 동작 절차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탐색 구간 동기화 절차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링크 설정을 제어하는 장치의 탐색 구간 동기화를 위한 동작 절차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링크 설정에 참여하는 장치의 탐색 구간 동기화를 위한 동작 절차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탐색 구간의 빔 훈련을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장치의 빔 훈련을 위한 동작 절차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후보 장치의 빔 훈련을 위한 동작 절차를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빔 훈련을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탐색 구간의 빔 훈련을 도시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장치의 빔 훈련을 위한 동작 절차를 도시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후보 장치의 빔 훈련을 위한 동작 절차를 도시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빔 훈련을 도시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를 유도하는 절차를 도시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장치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후보 장치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링크 설정 절차를 활용한 컨텐츠 공유를 위한 인터페이스의 예를 도시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링크 설정 절차를 활용한 컨텐츠 공유 절차를 도시한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주변 다른 장치들을 표시하는 인터페이스의 예들을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수의 무선 접속 기술들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링크(link)를 설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무선 접속 기술(RAT: radio access technology)들을 지원하는 장치(device)들 간 빠른 접속과 효율적인 에너지 운용을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무선 접속 기술을 지칭하는 용어, 각 무선 접속 기술에 의해 사용되는 대역을 지칭하는 용어, 장치들을 지칭하는 용어, 신호의 종류를 지칭하는 용어, 링크 설정을 위해 사용되는 자원들 또는 시간 구간들을 지칭하는 용어, 연결 상태를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대상을 지칭하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은 특정 통신 규격(예: BLE(Bluetooth low energy), Wi-Fi(Wireless Fidelity) 등)에서 정의하고 있는 용어 및 명칭들을 사용한다. 하지만, 본 발명이 상기 용어 및 명칭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규격에 따르는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서로 다른 무선 접속 기술을 이용하여 접속 절차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전자 장치들은 데이터 통신에 사용될 무선 접속 기술의 링크 설정을 위한 정보를 다른 보조적 무선 접속 기술을 통해 사전에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통신에 사용될 무선 접속 기술에서 요구하는 인증(authentication) 정보, IP(Internet protocol) 할당 정보 등이 미리 교환됨으로써, 접속 절차가 간소화되고, 이로 인해 접속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이터 통신에 사용될 무선 접속 기술에 의해 점유되는 대역(band)은 'IB(in-band)', 상기 보조적 무선 접속 기술에 의해 점유되는 대역은 'OOB(out-of-band)'라 지칭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 상기 IB 및 상기 OOB는 물리적 주파수 대역은 물론, 해당 무선 접속 기술을 지칭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에서의 커버리지(coverage)는 주로 신호의 세기와 관련된다. 따라서, OOB에서 접속이 가능하다면, IB에서도 접속이 가능한 것이 일반적이다. 즉, OOB의 무선 통신 범위가 IB의 무선 통신 범위와 유사하거나, 또는, 더 좁다는 가정이 성립할 수 있다. 일부 통신 규격들의 조합(예: NFC(near field communication)/BLE 및 Wi-Fi)에 있어서, 커버리지가 유사하거나 또는 더 좁다는 전제는 성립될 수 있다.
그러나, IB로서 고주파를 사용하는 초고속 무선 접속 기술을 채용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전제는 성립하지 아니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을 위한 주파수가 높아지면, 대역폭(bandwidth) 확보가 용하므로 전송 속도가 높아질 수 있다. 그러나, 고주파 신호의 특성으로 인해, 무선 통신 범위, 즉, 커버리지는 좁아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2.4GHz 대역을 사용하는 BLE에 비교하여, 60GHz 대역을 사용하는 Wi-Fi 기술인 WiGig(Wi-Fi gigabits) 경우, 거리에 따른 신호 손실이 100배 이상 크다. 또한, 신호의 회절이나 투과 성능이 떨어지므로, 제한된 상황에서만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고주파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기술은 신호 손실 극복을 위해 대부분 빔포밍(beamforming)을 수행한다. 상기 빔포밍은 신호에 방향성(directivity)을 부여함으로써, 신호 이득(gain)을 높이는 기술이다. 따라서, 링크 설정 시, 빔포밍을 위한 빔 훈련(beam training) 절차가 고려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OOB를 이용한 사전 정보 교환 만으로는, 고주파 특성을 가지는 또는 다른 커버리지를 가지는 IB에서의 링크 설정의 효율성이 최대화되기 어렵다. 따라서, 이하 본 발명은, 고주파 특성을 가지거나, 더 좁은 커버리지를 가지는 IB 및 OOB 간 상호 연동에 기반한 링크 설정을 위한 다양한 실시 예들을 제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링크를 설정하는 장치들을 도시한다. 상기 도 1은 2개의 장치들 110, 120을 예시하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3개 이상의 장치들 간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도 1을 참고하면, 장치A 110 및 장치B 120는 휴대용 전자 장치(portable electronic device)일 수 있으며,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전화(mobile phone), 이동 패드(mobile pad),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AP(access point), 프린터(printer), 카메라(camera), 그외 통신 기능을 가진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중 하나, 또는, 상술한 장치들 중 둘 이상의 기능들을 결합한 장치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장치A 110 및 상기 장치B 120은 스마트홈 전자 장치(smarthome electronic device)일 수 있으며, TV, PC(personal computer), 스피커(speaker), 셋탑박스(set-top box), 콘솔 게임기(console gaming device), 그 외 통신 기능을 가진 전자 장치 중 하나, 또는, 상술한 장치들 중 둘 이상의 기능들을 결합한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장치A 110는 데이터 통신 모듈(module) 112, 보조 통신 모듈 114, 접속 제어 프로세서(processor) 116, 컨텐츠 소스(contents source) 118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B 120는 데이터 통신 모듈 122, 보조 통신 모듈 124, 접속 제어 프로세서 126, 컨텐츠 싱크(contents sink) 128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A 110 및 상기 장치B 120는 다수의 무선 통신 수단들을 포함하며, 이를 통해 다수의 무선 접속 기술들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장치A 110 및 상기 장치B 120에 포함된 상기 데이터 통신 모듈들 112 및 122는 고주파 대역을 사용하는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지원하고, 상기 보조 통신 모듈들 114 및 124는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를 사용하는 제1무선 접속 기술을 지원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은 28GHz, 39Ghz, 60GHz, 70GHz 대역 등을, 상기 제1무선 접속 기술은 900MHz, 2GHz, 2.4GHz, 5GHz 등의 대역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장치A 110 및 상기 장치B 120는 상기 데이터 통신 모듈들 112 및 122을 통한 높은 전송율을 활용함으로써 고품질 컨텐츠의 빠른 전송이 가능하다. 반면, 상기 장치A 110 및 상기 장치B 120는 상기 보조 통신 모듈들 114 및 124를 통해 상대적으로 낮은 전력 소모로 제어 및 관리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장치A 110의 상기 접속 제어 프로세서 116는 상기 데이터 통신 모듈 112 및 상기 보조 통신 모듈 114을 제어함으로써, 서로 다른 무선 접속 기술들 간 상호 연동에 기반한 접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유사하게, 상기 장치B 120의 상기 접속 제어 프로세서 126는 상기 데이터 통신 모듈 122 및 상기 보조 통신 모듈 124을 제어함으로써, 서로 다른 무선 접속 기술들 간 상호 연동에 기반한 접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A 110 및 상기 장치B 120는 상기 컨텐츠 소스 118 및 상기 컨텐츠 싱크 128를 통해 컨텐츠를 저장 및 재생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접속 기술에 따른 커버리지의 차이를 도시한다. 상기 도 2는 다수의 장치들 110, 120-1 내지 120-5가 분포한 상황을 예시한다.
상기 도 2를 참고하면, 장치A 110를 보유한 사용자가 상기 장치A 110를 통해 다수의 장치들 120-1 내지 120-5 중 하나 이상의 장치B 120와 링크를 설정하고자 한다. 이때, 사전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제1무선 접속 기술의 커버리지는 보조 통신 범위 251, 데이터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제2무선 접속 기술의 커버리지는 데이터 통신 범위 253이다. 즉,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은 고주파를 이용하므로, 상기 데이터 통신 범위 253이 상기 보조 통신 범위 251보다 좁다.
상기 데이터 통신 범위 253에 속한 장치B1 120-1, 장치B2 120-2, 장치B3 120-3는 데이터 통신 및 보조 통신이 모두 가능한 범위에 위치한다. 그러나, 나머지 장치B4 120-4, 장치B5 120-5는 상기 보조 통신만 가능한 범위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장치A 100가 상기 제1무선 접속 기술을 통해 연결 가능한 다른 장치들로서 상기 장치들 120-1 내지 120-5를 탐색(discovery)할 수 있으나, 탐색된 장치들 중 일부인 상기 장치B4 120-4 및 상기 장치B5 120-5와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없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링크 설정 절차를 도시한다.
상기 도 3을 참고하면, 301단계에서, 제1무선 접속 기술(예: BLE)을 통한 장치 탐색 단계(device discovery phase)가 수행된다. 상기 장치A 110는 보조 통신 모듈 114 (예: BLE 모듈) 이용하여 주변 다른 장치의 탐색(device discovery)을 수행하고, 그 결과 장치 목록 (device list)을 획득한다. 상기 도 2와 같은 경우, 상기 다른 장치들 120-1 내지 120-5이 탐색될 수 있다. 즉, 상기 301단계는 보조 통신 모듈을 통한 사전 탐색 단계이다. 단,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301단계는 생략될 수 있으며, 이후의 일련의 절차상 특정 설정에서만 지원된다. 왜냐하면, 데이터 통신의 고주파 특성으로 인해 상대적인 통신 가능 범위가 제약되고, 이로 인해, 상기 301단계에서 획득된 장치 목록에 포함된 다른 장치들과의 제2무선 접속 기술을 통한 연결이 보장되지 아니하기 때문이다.
이후, 303단계에서, 대역 전환(band switch) 광고(advertisement) 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대역 전환 광고 단계에서, 상기 장치A 110는 상기 보조 통신 모듈 114을 통해 대역 전환을 공지한다. 다시 말해, 상기 장치A 110는 대역 전환을 알리는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신호를 수신한 다른 장치들은 선택적으로 데이터 통신 모듈을 활성화(enable)한다. 상기 도 2와 같은 경우, 상기 다른 장치들 120-1 내지 120-5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데이터 통신 모듈 122 (예: Wi-Fi 모듈)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후, 305단계에서, 제2무선 접속 기술(예: 고주파 Wi-Fi)을 위한 탐색 단계(discovery phase)가 수행된다. 상기 탐색 단계에서, 상기 장치A 110 및 상기 다른 장치들 120-1 내지 120-5 간 빔포밍이 수행되고, 빔포밍 맵(beamforming map) 또는 장치 맵(device map)이 결정되거나, 또는, 수신 신호 감도 등에 기초하여 통신 가능 여부가 판단된다. 즉, 상기 장치A 110는 상기 다른 장치들 120-1 내지 120-5에 대한 빔 훈련 절차를 수행하고, 링크 설정 가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정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장치와 향후 데이터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이후, 307단계에서, 데이터 전송 및 해지 단계(data transfer and release phase)가 수행된다. 상기 데이터 전송 및 해지 단계에서, 사용자는 장치 목록에서 지정하거나 또는 상기 목록을 대체하는 UI/UX(user interface/user experience)를 통해 링크를 설정할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를 선택한다. 이에 따라, 상기 장치A 110는 선택된 다른 장치와의 통신 링크를 설정한 후, 실행되는 서비스에 따른 컨텐츠를 전달한다. 이때, 추가적으로, 상기 장치A 110는 데이터 통신 범위 밖에 위치하거나, 선택되지 아니한 나머지 장치로, 상기 보조 통신 모듈 114를 통해 접속할 의사가 없음을 통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나머지 장치는 상기 데이터 통신 모듈 122를 비활성화(disable)할 수 있다.
상기 도 3과 같은 절차에서, 상기 장치A 110는 탐색 절차 등을 제어하므로, '제어 장치(control device)'라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A 110와 제1무선 접속 기술을 통해 연결 가능한 상기 다른 장치들 120-1 내지 120-5은 제2무선 접속 기술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의 후보(candidate)이므로, '후보 장치(candidate device)'라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른 장치들 120-1 내지 120-3은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고, 상기 장치A 110와의 데이터를 공유(sharing)하므로 '공유 장치(sharing device)'라 지칭될 수 있다.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링크 설정 절차는, 사용자의 개입이 가능한 시점이 보조 통신, 즉, 제1무선 접속 기술을 통한 통신 만으로 판단할 수 없다는 특징을 가진다. 왜냐하면, 제2무선 접속 기술의 고주파 통신의 특성(예: 짧은 도달 거리, 빈약한 투과성, 회절성)을 고려한 데이터 통신 가능 여부의 판단이 필요하며, 상기 판단은 데이터 통신을 위한 제2무선 접속 기술을 통한 무선 링크에서 수행이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제2무선 접속 기술이 빔포밍을 요구하는 경우, 상기 빔포밍은 상기 제1무선 접속 기술을 통해 수행될 수 없다. 더 나아가, 만일 상기 제1무선 접속 기술을 이용하여 연결할 후보 장치들 120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위치를 사용자의 선택 시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개입 전에 데이터 통신을 위한 모듈, 즉, 상기 제1무선 접속 기술을 위한 통신 모듈의 추가적인 동작이 요구된다. 따라서, 상술한 특징들로 인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링크 설정의 전반적 절차 및 이하 후술하는 세부 절차들은 종래 기술 대비 차별화된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대역 전환 절차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장치 탐색 절차의 구체적인 운용 방식에 따라 접속 성능에 영향이 미칠 수 있다. 상기 대역 전환 절차 및 상기 탐색 절차에 대한 실시 예들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탐색 절차는, 상기 제어 장치 110가 제1무선 접속 기술을 이용하여 대역 전환을 알리는 방송 신호를 전송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상기 방송 신호는 방송 프레임(frame) 또는 방송 메시지라 지칭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어느 시점에 대역 전환을 할 것인지를 알리는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는 매 전송마다 대역 전환까지 남은 시간으로 갱신(update)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 장치 110 및 후보 장치들 120간, 이후의 제2무선 접속 기술을 통한 탐색 구간에 대한 타이머(timer)가 동기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방송 신호는 이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방송 신호의 구성 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방송 신호는 길이 471, 타입(type) 472, 오프셋 카운트(offset count) 473, TU(time unit) 474, 개인 식별정보 475, 서비스 속성 47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길이 471는 상기 방송 신호의 길이, 상기 타입 472는 상기 방송 신호가 상기 대역 전환을 알리는 프레임 또는 메시지임을 알리는 정보이다. 상기 오프셋 카운트 473 및 상기 TU 474는 상기 대역 전환까지의 남은 시간을 지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송 신호가 매 TU 마다 송신되는 경우, 상기 오프셋 카운트 473는 매 송신 마다 1씩 감소하며, 상기 TU 474는 하나의 TU의 시간 길이를 나타낸다. 상기 개인 식별정보 475는 상기 방송 신호를 송신하는 상기 제어 장치 110의 사용자 또는 상기 제어 장치 110에 대한 식별정보(identification)이다. 상기 개인 식별정보 475는 후보 장치들 120이 상기 제어 장치 110와의 링크 설정을 시도할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개인 식별정보 475는 전화번호(phone numb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속성 476은 상기 제어 장치 110에 의해 개시될 서비스의 속성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상기 서비스 속성 476은 고속의 데이터 전송 속도 필요 여부, 보안 수준, 개시할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속성 476은 상기 도 3에서 설명한 상기 발견 단계, 즉, 305단계에서 이루어지는 빔 탐색을 가변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가 높은 전송 속도를 요구하는 경우, 상기 제어 장치 110는 신호 품질을 높이기 위해 빔폭(bandwidth)을 좁게 운영하면서, 다수의 빔 섹터들을 탐색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가 높은 보안 수준을 요구하는 경우, 상기 제어 장치는 신호 전달 범위를 좁히기 위해 빔폭을 크게 운영하면서, 소수의 빔 섹터들을 탐색할 수 있다.
구체적인 탐색 절차는 상기 방송 신호에 대한 ACK(acknowledgement) 사용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ACK이 사용되지 아니하는 경우, 상기 제어 장치 110는 상기 방송 신호를 정해진 횟수만큼 반복 송신한 후, 대역을 전환한다. 반면, 상기 ACK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 방송 신호를 수신한 상기 후보 장치들 120이 상기 ACK를 다른 방송 신호를 통해 응답한다. 이때, 상기 ACK을 송신한 장치들을 사전에 탐색했거나 또는 알고 있는 장치의 목록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제어 장치 110는 모든 후보 장치들 120이 응답함을 판단한 후, 상기 방송 신호의 전송을 중단함으로써, 채널 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상기 후보 장치들 120이 많을수록 상기 ACK이 사용되지 아니하는 전자의 방식이, 상기 후보 장치들 120이 적을수록 상기 ACK이 사용되는 후자의 방식이 유리하다. 서비스 또는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따라, 상술한 두 가지 방식들의 선택적 운용이 필요하다. 상기 대역이 전환될 시점이 도래하면, 상기 후보 장치들 120은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위한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고, 2차적인 탐색 절차를 준비한다. 이때, 상기 후보 장치들 120의 타이머 간 오차 또는 데이터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는 지연(delay) 등을 고려하여, 대역 전환 시점 후에 보호 시간(guard time)이 운용될 수 있다.
상기 탐색 절차의 구체적인 과정이 이하 도 5 및 이하 도 8과 함께 설명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탐색 구간 동기화 절차를 도시한다. 상기 도 5는 ACK이 사용되지 아니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상기 도 5를 참고하면, 501단계에서, 상기 제어 장치 110는 후보 장치들 120로 대역 전환 광고 신호를 반복적으로 송신한다. 상기 대역 전환 광고 신호는 오프셋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프셋은 제2무선 접속 기술의 탐색 구간의 시작, 즉, 대역 전환의 시점을 지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프셋은 상기 대역 전환 광고 신호가 송신되는 시점으로부터 상기 탐색 구간이 시작되는 시점까지의 남은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대역 전환 광고 신호가 일정 시간 간격(예: 1TU)으로 송신되므로, 상기 오프셋은 매 송신 시 감소된다. 이에 따라, 상기 후보 장치들 120은, 적어도 하나의 대역 전환 광고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탐색 구간이 시작되는 시점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대역 전환 광고 신호는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파라미터들, 구체적으로, 상기 길이 471, 상기 타입 472, 상기 오프셋 카운트 473, 상기 TU 474, 상기 개인 식별정보 475, 상기 서비스 속성 47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대역 전환 광고 신호는 상기 대역 전환 광고 신호에 대한 ACK의 사용 여부에 대한 지시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503단계에서, 상기 제어 장치 110는 비콘(beacon)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비콘 신호의 송신에 앞서, 상기 제어 장치 110는 보호 시간을 할당할 수 있다. 상기 비콘 신호는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을 통한 통신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최적의 빔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비콘 신호를 이용한 구체적인 탐색 및 빔포밍 절차는 이하 도 11 및 이하 도 15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링크 설정을 제어하는 장치의 탐색 구간 동기화를 위한 동작 절차를 도시한다. 상기 도 6은 상기 도 5와 같은 절차를 위한 상기 제어 장치 110의 동작 절차를 예시한다.
상기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제어 장치는 601단계에서 대역 전환 광고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대역 전환 광고 신호는 제1무선 접속 기술(예: BLE)을 통해 송신되며, 제2무선 접속 기술(예: WiGig)의 탐색 구간이 시작되는 시점을 알린다. 예를 들어, 상기 탐색 구간이 시작되는 시점은, 절대적인 시간 값 또는 상대적인 시간 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대적인 시간 값은 상기 대역 전환 광고 신호의 송신 시점부터 상기 탐색 구간의 시작 시점까지의 남은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을 통한 링크 설정 여부의 판단을 위해, 상기 대역 전환 광고 신호는 상기 장치에 대한 식별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어, 상기 제어 장치는 6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위한 탐색 구간이 도래하는지 판단한다. 만일, 상기 탐색 구간이 도래하지 아니하였으면,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601단계로 되돌아가 상기 대역 전환 광고 신호를 반복적으로 송신한다. 이때, 상기 대역 전환 광고 신호에 포함된 상기 탐색 구간의 시작 시점이 상대적인 시간 값으로 표현되는 경우, 상기 시간 값은 이전 송신된 때보다 감소된다.
반면, 상기 탐색 구간이 도래하였으면, 상기 제어 장치는 6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위한 탐색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1무선 접속 기술 및 제2무선 접속 기술은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며,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의 커버리지가 상기 제1무선 접속 기술의 커버리지 보다 좁다. 따라서, 상기 대역 전환 광고 신호를 수신하였더라도,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을 통한 링크 설정의 성공을 보장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위한 탐색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 장치는 빔포밍된 탐색 신호들을 송신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링크 설정에 참여하는 장치의 탐색 구간 동기화를 위한 동작 절차를 도시한다. 상기 도 7는 상기 도 5와 같은 절차를 위한 상기 후보 장치들 120 중 하나의 동작 절차를 예시한다.
상기 도 7을 참고하면, 후보 장치는 701단계에서 대역 전환 광고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대역 전환 광고 신호는 제1무선 접속 기술(예: BLE)을 통해 수신되며, 제2무선 접속 기술(예: WiGig)의 탐색 구간이 시작되는 시점을 알린다. 예를 들어, 상기 탐색 구간이 시작되는 시점은, 절대적인 시간 값 또는 상대적인 시간 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대적인 시간 값은 상기 대역 전환 광고 신호의 송신 시점부터 상기 탐색 구간의 시작 시점까지의 남은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을 통한 링크 설정 여부의 판단을 위해, 상기 대역 전환 광고 신호는 상기 대역 전환 광고 신호를 송신하는 제어 장치에 대한 식별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어, 상기 후보 장치는 703단계로 진행하여 링크 설정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다시 말해, 상기 장치는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위한 탐색 절차에 참여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후보 장치는 상기 대역 전환 광고 신호에 포함된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링크 설정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후보 장치는 상기 식별정보를 통해 상기 제어 장치가 미리 정의된 허용 범위에 속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식별정보가 전화번호인 경우, 상기 후보 장치는 전화번호부에 상기 식별정보가 저장되어있으면, 상기 탐색 절차에 참여할 것을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후보 장치는 상기 제어 장치가 개시할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기초하여 상기 링크 설정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각 후보 장치는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상기 탐색 절차의 허용 여부를 사전에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대역 전환 광고 신호를 통해 개시할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후보 장치는 상기 제어 장치와의 접근성(proximity)에 기초하여 상기 링크 설정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후보 장치는 상기 대역 전환 광고 신호를 통해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상기 신호 세기가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탐색 절차에 참여할 것을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후보 장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링크 설정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후보 장치는 표시 수단을 통해 데이터 통신의 연결 여부를 문의하는 인터페이스(interface)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탐색 절차에 참여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후보 장치는 항상 상기 탐색 절차에 참여할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703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링크 설정을 수행할 것이 결정되면, 상기 후보 장치는 705단계로 진행하여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위한 탐색 구간을 동기화한다. 즉, 상기 후보 장치는 상기 대역 전환 광고 신호에 포함된 상기 탐색 구간의 시작 시점을 알리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탐색 구간의 시작 시점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후보 장치는, 상기 대역 전환 광고 신호의 송신 시점부터 상기 탐색 구간의 시작 시점까지의 남은 시간에 따라 타이머의 값을 설정하고, 상기 타이머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어, 상기 후보 장치는 7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위한 탐색 구간이 도래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탐색 구간의 동기화를 위해 타이머가 사용된 경우, 상기 후보 장치는 상기 타이머가 만료(expired)되는지 판단한다.
상기 탐색 구간이 도래하였으면, 상기 장치는 7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위한 탐색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1무선 접속 기술 및 제2무선 접속 기술은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며,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의 커버리지가 상기 제1무선 접속 기술의 커버리지 보다 좁다. 따라서, 상기 대역 전환 광고 신호를 수신하였더라도,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을 통한 링크 설정의 성공을 보장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후보 장치는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위한 탐색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후보 장치는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위한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고, 빔포밍된 탐색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탐색 구간 동기화 절차를 도시한다. 상기 도 8은 ACK이 사용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상기 도 8를 참고하면, 801단계에서, 상기 제어 장치 110는 후보 장치들 120을 탐색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제어 장치 110는 후보 장치들 120의 목록을 결정한다. 상기 후보 장치들 120은 ACK을 송신할 것으로 기대되는 장치들로서, 상기 후보 장치들 120의 목록은 ACK 수신 완료의 판단을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후보 장치들 120은 제2무선 접속 기술(예: WiGig)를 통한 IB에서의 데이터 통신의 이력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 장치 110는 상기 이전에 IB에서의 데이터 통신에 참여한 장치들을 상기 후보 장치들 120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1무선 접속 기술(예: BLE)를 통한 OOB에서의 탐색(discovery)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 장치 110는 상기 제1무선 접속 기술을 통한 탐색 절차를 수행하고, 탐색된 장치들을 상기 후보 장치들 120로 결정할 수 있다.
803단계에서, 상기 제어 장치 110는 후보 장치들 120로 대역 전환 광고 신호를 반복적으로 송신한다. 상기 대역 전환 광고 신호는 오프셋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프셋은 제2무선 접속 기술의 탐색 구간의 시작, 즉, 대역 전환의 시점을 지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프셋은 상기 대역 전환 광고 신호가 송신되는 시점으로부터 상기 탐색 구간이 시작되는 시점까지의 남은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대역 전환 광고 신호가 일정 시간 간격(예: 1TU)으로 송신되므로, 상기 오프셋은 매 송신 시 감소된다. 이에 따라, 상기 후보 장치들 120은 상기 탐색 구간이 시작되는 시점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대역 전환 광고 신호는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파라미터들, 구체적으로, 상기 길이 471, 상기 타입 472, 상기 오프셋 카운트 473, 상기 TU 474, 상기 개인 식별정보 47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대역 전환 광고 신호는 상기 대역 전환 광고 신호에 대한 ACK의 사용 여부에 대한 지시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805단계에서, 상기 제어 장치 110는 상기 후보 장치들 120 전부 또는 일부로부터 ACK을 수신한다. 상기 ACK은 상기 제어 장치 100에게 상기 대역 전환 광고 신호를 수신하였음을 알린다. 상기 ACK은 상기 ACK을 송신하는 장치의 이름(name)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장치의 이름은 상기 제1무선 접속 기술의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식별자이거나 또는 다른 식별정보(예: 전화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CK을 수신함으로 인해, 상기 제어 장치 110는 상기 후보 장치들 120 중 어느 장치가 상기 대역 전환 광고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도 8의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제어 장치 110는 상기 803단계에서 상기 대역 전환 광고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805단계에서 상기 ACK을 수신한다. 그러나, 상기 ACK이 언제나 상기 대역 전환 광고 신호의 송신 완료 후에 수신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대역 전환 광고 신호의 반복적 송신 도중에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역 전환 광고 신호 #1이 송신되고 대역 전환 광고 신호 #2가 송신되기 전, 적어도 하나의 ACK이 수신될 수 있다. 즉, 상기 803단계 및 상기 805단계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807단계에서, 상기 제어 장치 110는 대역 전환 광고의 송신을 중단(suspend)한다. 상기 도 8의 실시 예는 상기 805단계에서 모든 후보 장치들 120로부터 ACK이 수신된 상황을 가정한다. 상기 제어 장치 110는 상기 ACK에 포함된 장치 이름을 이용하여 상기 후보 장치들 120의 목록에 포함된 후보 장치들 120 각각으로부터의 ACK 수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모든 후보 장치들 120로부터 ACK이 수신되면, 상기 제어 장치 110는 상기 대역 전환 광고 신호를 더 이상 송신할 필요가 없음을 판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 장치 110는 상기 대역 전환 광고 신호의 송신을 중단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및 자원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링크 설정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의 탐색 구간 동기화를 위한 동작 절차를 도시한다. 상기 도 9는 상기 도 8과 같은 절차를 위한 상기 제어 장치 110의 동작 절차를 예시한다.
상기 도 9를 참고하면, 제어 장치는 901단계에서 후보 장치들을 결정한다. 상기 후보 장치들은 ACK을 송신할 것으로 기대되는 후보 장치들로서, 상기 후보 장치들의 목록은 ACK 수신 완료의 판단을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 장치는 이전에 제2무선 접속 기술(예: WiGig)을 통해 IB에서의 데이터 통신에 참여한 장치들을 상기 후보 장치들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 장치는 제1무선 접속 기술(예: BLE)을 통한 탐색 절차를 수행하고, 탐색된 장치들을 상기 후보 장치들로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 장치는 903단계로 진행하여 대역 전환 광고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대역 전환 광고 신호는 상기 제1무선 접속 기술을 통해 송신되며,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의 탐색 구간이 시작되는 시점을 알린다. 예를 들어, 상기 탐색 구간이 시작되는 시점은, 절대적인 시간 값 또는 상대적인 시간 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대적인 시간 값은 상기 대역 전환 광고 신호의 송신 시점부터 상기 탐색 구간의 시작 시점까지의 남은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을 통한 링크 설정 여부의 판단을 위해, 상기 대역 전환 광고 신호는 상기 장치에 대한 식별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어, 상기 제어 장치는 905단계로 진행하여 모든 후보 장치들의 ACK이 수신되었는지 판단한다.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대역 전환 광고 신호에 대한 ACK을 수신하며, 상기 ACK은 상기 ACK을 송신한 후보 장치의 장치 이름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후보 장치들의 목록 및 상기 ACK에 포함된 장치 이름을 비교함으로써, 모든 후보 장치들의 ACK이 수신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상기 모든 후보 장치들의 ACK이 수신되지 아니하였으면, 상기 제어 장치는 9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위한 탐색 구간이 도래하는지 판단한다. 만일, 상기 탐색 구간이 도래하지 아니하였으면,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931단계로 되돌아가 상기 대역 전환 광고 신호를 반복적으로 송신한다. 이때, 상기 대역 전환 광고 신호에 포함된 상기 탐색 구간의 시작 시점이 상대적인 시간 값으로 표현되는 경우, 상기 시간 값은 이전 송신된 때보다 감소된다.
만일, 상기 모든 후보 장치들의 ACK이 수신되었으면, 상기 제어 장치는 9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위한 탐색 구간이 도래하는지 판단한다. 이 경우, 상기 907단계와 달리, 상기 탐색 구간이 도래하지 아니하더라도,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903단계로 되돌아가지 아니한 채, 대기한다.
이후, 상기 제어 장치는 9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위한 탐색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1무선 접속 기술 및 제2무선 접속 기술은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며,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의 커버리지가 상기 제1무선 접속 기술의 커버리지 보다 좁다. 따라서, 상기 대역 전환 광고 신호를 수신하였더라도,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을 통한 링크 설정의 성공을 보장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위한 탐색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장치는 빔포밍된 탐색 신호들을 송신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링크 설정에 참여하는 후보 장치의 탐색 구간 동기화를 위한 동작 절차를 도시한다. 상기 도 10는 상기 도 8과 같은 절차를 위한 상기 후보 장치들 120 중 하나의 동작 절차를 예시한다.
상기 도 10을 참고하면, 후보 장치는 1001단계에서 대역 전환 광고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대역 전환 광고 신호는 제1무선 접속 기술(예: BLE)을 통해 수신되며, 제2무선 접속 기술(예: WiGig)의 탐색 구간이 시작되는 시점을 알린다. 예를 들어, 상기 탐색 구간이 시작되는 시점은, 절대적인 시간 값 또는 상대적인 시간 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대적인 시간 값은 상기 대역 전환 광고 신호의 송신 시점부터 상기 탐색 구간의 시작 시점까지의 남은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을 통한 링크 설정 여부의 판단을 위해, 상기 대역 전환 광고 신호는 상기 대역 전환 광고 신호를 송신하는 제어 장치에 대한 식별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어, 상기 후보 장치는 1003단계로 진행하여 ACK을 송신한다. 상기 ACK은 제어 장치에게 상기 대역 전환 광고 신호를 수신하였음을 알린다. 상기 ACK은 상기 후보 장치의 이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름은 상기 제1무선 접속 기술의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식별자이거나 또는 다른 식별정보(예: 전화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후보 장치는 1005단계로 진행하여 링크 설정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다시 말해, 상기 장치는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위한 탐색 절차에 참여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후보 장치는 상기 대역 전환 광고 신호에 포함된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링크 설정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후보 장치는 상기 식별정보를 통해 상기 제어 장치가 미리 정의된 허용 범위에 속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식별정보가 전화번호인 경우, 상기 후보 장치는 전화번호부에 상기 식별정보가 저장되어있으면, 상기 탐색 절차에 참여할 것을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후보 장치는 상기 제어 장치와의 접근성(proximity)에 기초하여 상기 링크 설정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후보 장치는 상기 대역 전환 광고 신호를 통해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상기 신호 세기가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탐색 절차에 참여할 것을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후보 장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링크 설정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후보 장치는 표시 수단을 통해 데이터 통신의 연결 여부를 문의하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탐색 절차에 참여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후보 장치는 항상 상기 탐색 절차에 참여할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1005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링크 설정을 수행할 것이 결정되면, 상기 후보 장치는 1007단계로 진행하여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위한 탐색 구간을 동기화한다. 즉, 상기 후보 장치는 상기 대역 전환 광고 신호에 포함된 상기 탐색 구간의 시작 시점을 알리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탐색 구간의 시작 시점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후보 장치는, 상기 대역 전환 광고 신호의 송신 시점부터 상기 탐색 구간의 시작 시점까지의 남은 시간에 따라 타이머의 값을 설정하고, 상기 타이머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어, 상기 후보 장치는 10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위한 탐색 구간이 도래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탐색 구간의 동기화를 위해 타이머가 사용된 경우, 상기 후보 장치는 상기 타이머가 만료되는지 판단한다.
상기 탐색 구간이 도래하였으면, 상기 장치는 10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위한 탐색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1무선 접속 기술 및 제2무선 접속 기술은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며,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의 커버리지가 상기 제1무선 접속 기술의 커버리지 보다 좁다. 따라서, 상기 대역 전환 광고 신호를 수신하였더라도,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을 통한 링크 설정의 성공을 보장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후보 장치는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위한 탐색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후보 장치는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위한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고, 빔포밍된 탐색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 예들에 따르면, 장치들은 특정 시점에 데이터 통신을 위한 모듈을 활성화하고, 탐색 모드로 동작한다.
탐색 구간이 동기화되지 아니하는 경우, 빔포밍의 주체가 되는 제어 장치가 비콘(beacon) 프레임을 전방향으로 섹터 스윕(SS: sector sweep)하고, 이후 후보 장치들 120이 순차적으로 역방향으로 SSW(sector sweep) 프레임을 섹터 스윕한다. 이때, 프레임을 수신하는 장치들은 수신 빔 방향을 전방향(omni direction) 또는 부분 전방향(quasi-omni direction)으로 설정하고, 가장 우수한 수신 품질을 가지는 빔 섹터(beam sector)를 선택하고, 상대방 장치로 선택된 빔 섹터를 알린다. SSW 프레임을 섹터 스윕하는 경우, 다수의 장치들 간 경쟁이 이루어지므로, 동일 시점에서 발생한 시도에 의한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예측하기 어려운 시간 지연 및 에너지 소비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들과 같이 탐색 구간이 동기화되는 경우, 보다 효율적인 빔포밍, 즉, 빔 훈련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들은 보조 통신 모듈을 이용한 사전 대역 전환 방송 신호를 통해 탐색 구간이 동기화됨을 활용한다. 동일하게 빔포밍 주체인 제어 장치가 비콘 프레임들을 전방향으로 섹터 스윕하면, 모든 후보 장치들 120이 상기 비콘 프레임들을 동시에 수신한다. 이어, 상기 제어 장치가 비콘 프레임을 전방향 또는 부분 전방향 형태로 반복하여 전송한다. 이때, 상기 후보 장치들 120은 수신 빔을 섹터 스윕하면서 상기 비콘 프레임들을 수신하고, 가장 우수한 신호 품질을 가지는 빔 섹터를 고른다. 이 경우, 2회의 섹터 스윕 시간 만으로 다수의 후보 장치들 120의 동시 빔포밍이 완료될 수 있다.
상술한 동기화에 기반한 탐색 절차는 장치들 간 직접 연결에서 더욱 큰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동기화 없는 탐색 절차의 경우, 빔포밍 주체인 제어 장치 및 후보 장치들 120이 각각 전송 빔 훈련을 수행하므로, 한 방향 통신에 대한 최적의 빔이 선택된 것이라 할 수 없다. 그러나, 상술한 동기화에 기반한 탐색 절차는 상기 제어 장치가 전송 빔 훈련을, 상기 후보 장치들 120이 수신 빔 훈련을 수행하므로, 컨텐츠가 상기 제어 장치에서 상기 후보 장치들 120로 전달되는 상황에 대한 최적의 빔 설정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장치들 간 컨텐츠 공유 시, 접속을 시작한(initiated) 장치가 컨텐츠를 가지고 있고, 빔포밍의 주체가 되므로, 대부분의 경우 최적의 빔 설정의 이득이 발생한다. 상술한 동기화 기반 탐색 절차는 이하 도 11과 같이 진행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탐색 구간의 빔 훈련을 도시한다. 상기 도 11은 제어 장치, 즉, 상기 제어 장치 110의 2회의 섹터 스윕들을 통해 빔 훈련이 완료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상기 도 11을 참고하면, 제1구간 동안, 상기 제어 장치 110는 송신 섹터 스윕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제어 장치 110는 지원 가능한 빔 방향들로 비콘 신호들을 빔포밍하고, 빔포밍된 비콘 신호들 1101-1 내지 1101-N을 순차적으로 송신한다. 이때, 상기 후보 장치들 120은 모두 청취 상태(listen-state)로 대기한다. 다시 말해, 상기 후보 장치들 120은 상기 빔포밍된 비콘 신호들 1101-1 내지 1101-N의 검출을 시도한다. 이때, 상기 후보 장치들 120은 수신 빔포밍 없이 전방향 수신 빔을 통해 상기 비콘 신호들 1101-1 내지 1101-N을 수신한다. 이에 따라, 상기 후보 장치들 120 각각은 최적의 송신 빔을 판단할 수 있다. 단,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후보 장치들 120 중 일부는 상기 비콘 신호들 1101-1 내지 1101-N 모두를 검출하지 못할 수 있다.
제2구간 동안, 상기 제어 장치 110는 전방향 빔을 통해 비콘 신호들 1103-1 내지 1103-N을 순차적으로 송신한다. 이때, 상기 후보 장치들 120은 수신 빔포밍을 수행한다. 즉, 상기 후보 장치들 120은 수신 섹터 스윕한다. 이에 따라, 상기 후보 장치들 120 각각은 최적의 수신 빔을 판단할 수 있다. 단,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후보 장치들 120 중 일부는 상기 비콘 신호들 1103-1 내지 1103-N 모두를 검출하지 못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후보 장치들 120 각각은 최적의 송신 빔 및 최적의 수신 빔을 알리는 피드백 정보를 송신한다. 단, 상기 후보 장치들 120 중 상기 비콘 신호들 1101-1 내지 1101-N을 검출하지 못한 일부는, 상기 피드백 정보를 송신하지 아니한다.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최적의 송신 빔을 지시하는 정보, 상기 최적의 수신 빔을 지시하는 정보, 상기 최적의 송신 빔 및 상기 최적의 수신 빔의 조합에 의한 채널 품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 장치 110는 상기 후보 장치들 120 각각과 제2무선 접속 기술을 통해 링크 설정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 장치 110는 상기 피드백 정보를 송신한 후보 장치에 대하여 링크 설정이 가능하다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 장치 110는 임계치 이상의 채널 품질을 보고한 후보 장치에 대하여 링크 설정이 가능하다 판단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장치의 빔 훈련을 위한 동작 절차를 도시한다. 상기 도 12는 상기 도 11과 같은 절차를 위한 상기 제어 장치 110의 동작 절차를 예시한다.
상기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제어 장치는 1201단계에서 제1구간 동안 빔포밍된 탐색 신호들을 송신한다. 상기 탐색 신호는 비콘 프레임으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탐색 신호는 타임스탬프(timestamp), 비콘 간격(beacon interval), 상기 제어 장치의 능력 정보(capability information), 서비스 셋 식별자(service set identifi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 상기 제어 장치는 1203단계로 진행하여 제2구간 동안 무지향성 훈련 신호들을 송신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제어 장치는 빔포밍되지 아니한, 즉, 전방향 빔을 통해 상기 훈련 신호들을 송신한다. 상기 훈련 신호는 상기 탐색 신호와 동일하게 구성되거나, 또는,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 장치는 1205단계로 진행하여 피드백을 수신한다. 상기 피드백은 본 절차에 앞서 제1무선 접속 기술을 통해 송신된 대역 전환 광고 신호를 수신한 후보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즉, 상기 피드백은 상기 후보 장치들 중 상기 탐색 신호 및 상기 훈련 신호를 검출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로부터 수신된다. 상기 피드백은 해당 장치의 최적의 송신 빔을 지시하는 정보, 상기 해당 장치의 최적의 수신 빔을 지시하는 정보, 상기 최적의 송신 빔 및 상기 최적의 수신 빔의 조합에 의한 채널 품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피드백은 상기 제1무선 접속 기술 또는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이어, 상기 제어 장치는 1207단계로 진행하여 통신 가능 장치 및 최적 빔을 결정한다. 즉, 상기 제어 장치는 후보 장치들 각각과 제2무선 접속 기술을 통해 링크 설정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피드백 정보를 송신한 후보 장치에 대하여 링크 설정이 가능하다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 장치는 임계치 이상의 채널 품질을 보고한 후보 장치에 대하여 링크 설정이 가능하다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도 12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1201단계 및 상기 1203단계에서 탐색 신호들 및 훈련 신호들을 송신한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1무선 접속 기술에 대한 신호 세기 또는 상기 도 4에서 정의한 상기 서비스 속성 476에 기초하여 탐색/훈련 신호 전송을 동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무선 접속 기술에 대한 신호 세기가 강하거나, 미리 정의된 임계값을 넘으면, 상기 제어 장치는 빔폭을 상대적으로 크게 설정하고, 섹터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빔 훈련에 소모되는 시간이 감소하고, 상기 제어 장치의 소모 전력도 감소하는 장점이 있다. 제1무선 접속 기술에 대한 다수의 신호 값들이 측정된 경우, 상기 제어 장치는 가장 작은 값에 기초하여 상기 빔폭을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서비스 속성 476이 서비스가 높은 전송 속도를 요구함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제어 장치는 신호 품질을 높이기 위해 빔폭을 상대적으로 좁게 설정하고, 다수의 빔 섹터들을 탐색할 수 있다. 반면, 서비스가 높은 보안 수준을 요구하는 경우, 상기 제어 장치는 신호 전달 범위를 좁히기 위해 상기 빔폭을 상대적으로 크게 설정하고, 비교적 소수의 빔 섹터들을 탐색할 수 있다. 상기 빔폭이 조절될 수 있는 경우, 상기 빔폭 및 상기 빔 섹터 개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는 상기 1201단계에서 송신되는 탐색/훈련 신호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후보 장치의 빔 훈련을 위한 동작 절차를 도시한다. 상기 도 13은 상기 도 11과 같은 절차를 위한 상기 후보 장치들 120 중 하나의 동작 절차를 예시한다.
상기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후보 장치는 1301단계에서 제1구간 동안 빔포밍된 탐색 신호를 검출한다. 상기 제1구간 동안, 제어 장치로부터 다수의 서로 다른 방향으로 빔포밍된 탐색 신호들이 순차적으로 송신된다. 상기 후보 장치는 수신 빔포밍 없이 상기 탐색 신호의 검출을 시도하며, 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탐색 신호를 검출한다. 이때,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탐색 신호에 적용된 빔 방향이 상기 후보 장치에 대한 최적의 송신 빔이다. 상기 탐색 신호는 비콘 프레임으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탐색 신호는 타임스탬프, 비콘 간격, 상기 제어 장치의 능력 정보, 서비스 셋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 상기 후보 장치는 1303단계로 진행하여 제2구간 동안 수신 빔포밍을 통해 훈련 신호를 검출한다. 상기 제2구간 동안,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빔포밍되지 아니한, 즉, 전방향 빔을 통해 상기 훈련 신호들이 반복적으로 송신된다. 상기 후보 장치는 서로 다른 방향의 수신 빔들을 통해 상기 훈련 신호의 검출을 시도하며, 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훈련 신호를 검출한다. 이때,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훈련 신호에 적용된 빔 방향이 상기 후보 장치에 대한 최적의 수신 빔이다.
이후, 상기 제어 장치는 1305단계로 진행하여 피드백을 송신한다. 상기 피드백은 상기 최적의 송신 빔을 지시하는 정보, 상기 최적의 수신 빔을 지시하는 정보, 상기 최적의 송신 빔 및 상기 최적의 수신 빔의 조합에 의한 채널 품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13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 예에서, 상기 후보 장치는 상기 1301단계 및 상기 1303단계에서 탐색/훈련 신호들을 수신한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탐색/훈련 신호들의 빔폭이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시 말해, 상기 제어 장치가 빔 훈련을 동적으로 운영하는 경우, 상기 후보 장치는 상기 1201단계에서 빔폭 및 빔 섹터 개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따라 이후의 빔 훈련 절차를 적응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도 11 내지 상기 도 13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 예들은 제어 장치가 송신을 위한 최적의 빔을 결정하고, 후보 장치가 수신을 위한 최적의 빔을 결정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 장치가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후보 장치가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최적화된 무선 링크가 얻어질 수 있다. 역방향으로, 즉, 상기 후보 장치로부터 상기 제어 장치로 데이터가 송신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상반성(reciprocity)이 성립되므로, 상기 후보 장치의 수신 빔이 송신 빔으로서, 상기 제어 장치의 송신 빔이 수신 빔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상반성이 성립되지 아니하는 환경하에서, 상기 수신 빔이 상기 송신 빔으로, 상기 송신 빔이 상기 수신 빔으로 사용될 수 없다. 따라서, 이 경우, 다수의 후보 장치들 중 데이터를 공유할 하나 이상의 장치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 장치 및 선택된 장치는 역방향의 빔 훈련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역방향의 빔 훈련은 하기 도 14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빔 훈련을 도시한다. 상기 도 14는 상기 후보 장치 120-1 및 후보 장치 120-1 간 역방향 빔 훈련 절차를 예시한다. 다수의 후보 장치들이 선택된 경우, 상기 도 18에 예시된 절차가 각 후보 장치들에 대하여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도 14를 참고하면, 제1구간 동안, 상기 후보 장치 120-1는 송신 섹터 스윕을 수행한다. 즉, 상기 후보 장치 120-1는 지원 가능한 빔 방향들로 비콘 신호들을 빔포밍하고, 빔포밍된 비콘 신호들 1401-1 내지 1401-N을 순차적으로 송신한다. 이때, 상기 제어 장치 110는 청취 상태로 대기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제어 장치 110은 상기 빔포밍된 비콘 신호들 1401-1 내지 1401-N의 검출을 시도한다. 이때, 상기 제어 장치 110은 수신 빔포밍 없이 전방향 수신 빔을 통해 상기 비콘 신호들 1401-1 내지 1401-N을 수신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 장치 110는 역방향 링크에 대한 최적의 송신 빔을 판단할 수 있다. 단,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어 장치 110 중 일부는 상기 비콘 신호들 1401-1 내지 1401-N 모두를 검출하지 못할 수 있다. 제2구간 동안, 상기 후보 장치 120-1는 전방향 빔을 통해 비콘 신호들 1403-1 내지 1403-N을 순차적으로 송신한다. 이때, 상기 제어 장치 110은 수신 빔포밍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제어 장치 110은 수신 섹터 스윕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 장치 110는 역방향 링크에 대한 최적의 수신 빔을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 장치 110는 최적의 송신 빔 및 최적의 수신 빔을 알리는 피드백 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최적의 송신 빔을 지시하는 정보, 상기 최적의 수신 빔을 지시하는 정보, 상기 최적의 송신 빔 및 상기 최적의 수신 빔의 조합에 의한 채널 품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11 내지 상기 도 13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 예는 제어 장치 110가 2회의 섹터 스윕을 수행한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어 장치 110에 의한 1회의 섹터 스윕 및 후보 장치들 120 각각에 의한 섹터 스윕으로서, 탐색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장치들은 보조 통신 모듈을 통해 사전에 후보 장치들 120의 섹터 스윕 구간을 스케줄링(scheduling)함으로써, 충돌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스케줄링을 포함하는 탐색 절차는 이하 도 14와 같이 진행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탐색 구간의 빔 훈련을 도시한다. 상기 도 11은 제어 장치, 즉, 상기 제어 장치 110의 섹터 스윕 및 후보 장치들 120, 즉, 상기 후보 장치들 120의 스케줄링된 섹터 스윕을 통해 빔 훈련이 완료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상기 도 15를 참고하면, 상기 제어 장치 110 및 후보 장치들 120은 슬롯 할당 절차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 장치 110는 상기 후보 장치들 120 각각에 제2구간의 슬롯들을 할당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 장치 110은 상기 후보 장치들 120로 상기 슬롯 할당 결과를 통지한다. 상기 슬롯 할당 결과는 방송 신호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 장치 110는 제1무선 접속 기술을 통해 상기 슬롯 할당 결과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슬롯 할당 절차는 대역 인에이블링 협상 단계(band enabling negotiation phase)로 지칭될 수 있다.
이어, 제1구간 동안, 상기 제어 장치 110는 송신 섹터 스윕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제어 장치 110는 지원 가능한 빔 방향들로 비콘 신호들을 빔포밍하고, 빔포밍된 비콘 신호들 1501-1 내지 1501-N을 순차적으로 송신한다. 이때, 상기 후보 장치들 120은 모두 청취 상태로 대기한다. 다시 말해, 상기 후보 장치들 120은 상기 빔포밍된 비콘 신호들 1501-1 내지 1501-N의 검출을 시도한다. 이때, 상기 후보 장치들 120은 수신 빔포밍 없이 전방향 수신 빔을 통해 상기 비콘 신호들 1501-1 내지 1501-N을 수신한다. 이에 따라, 상기 후보 장치들 120 각각은 최적의 송신 빔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도 15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후보 장치들 120 각각은 상기 최적의 송신 빔을 알리는 정보를 피드백할 수 있다. 단,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후보 장치들 120 중 일부는 상기 비콘 신호들 1501-1 내지 1501-N 모두를 검출하지 못할 수 있다.
이후, 제2구간 동안, 상기 후보 장치들 120 각각은 할당된 슬롯에서 송신 섹터 스윕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어 장치 110는 수신 빔포밍 없이 전방향 수신 빔을 통해 상기 후보 장치들 120 각각에서 송신된 훈련 신호를 수신한 후, 각 슬롯의 후단에서 해당 후보 장치로 피드백 정보를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피드백 정보는 빔포밍 없이, 즉, 전방향 빔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후보 장치는 지원 가능한 빔 방향들로 훈련 신호들을 빔포밍하고, 빔포밍된 훈련 신호들 1503-1 내지 1503-M을 순차적으로 송신하고, 상기 제어 장치 110는 상기 제1후보 장치로 피드백 정보 1505를 송신한다. 또한, 제2후보 장치는 지원 가능한 빔 방향들로 훈련 신호들을 빔포밍하고, 빔포밍된 훈련 신호들 1507-1 내지 1507-M을 순차적으로 송신하고, 상기 제어 장치 110는 상기 제2후보 장치로 피드백 정보 1509를 송신한다. 상기 피드백 정보 1505 및 상기 피드백 정보 1509는 상기 제어 장치 110에서 판단된 최적의 빔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한다. 채널 상반성(channel reciprocity)에 의해 송신 빔 및 수신 빔의 유사성이 인정되므로, 상기 후보 장치들 120 각각은 상기 피드백 정보를 통해 최적의 수신 빔을 판단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장치의 빔 훈련을 위한 동작 절차를 도시한다. 상기 도 16은 상기 도 15와 같은 절차를 위한 상기 제어 장치 110의 동작 절차를 예시한다.
상기 도 16을 참고하면, 상기 제어 장치는 1601단계에서 탐색 구간의 제2구간 내의 슬롯들을 후보 장치들로 할당하고, 슬롯 할당 결과를 통지한다. 상기 제어 장치는 방송 신호를 통해 상기 슬롯 할당 결과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슬롯은 상기 제2구간을 시간 축에서 분할한 자원 단위이며, 하나의 슬롯은 다수의 훈련 신호들 및 피드백 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자원을 점유한다. 상기 슬롯 할당 결과는 슬롯 번호 및 장치 이름의 조합들을 통해 통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 장치는 제1무선 접속 기술(예: BLE)을 통해 상기 슬롯 할당 결과를 송신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 장치는 1603단계로 진행하여 제1구간 동안 빔포밍된 탐색 신호들을 송신한다. 상기 탐색 신호는 비콘 프레임으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탐색 신호는 타임스탬프, 비콘 간격, 상기 제어 장치의 능력 정보, 서비스 셋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 장치는 1605단계로 진행하여 제2구간의 m번째 슬롯에서 빔포밍된 훈련 신호를 검출한다. 상기 m번째 슬롯 동안, 후보 장치들 중 하나로부터 빔포밍된 훈련 신호들이 반복적으로 송신된다. 여기서, 상기 m은 최초 1이다. 상기 제어 장치는 수신 빔포밍 없이 상기 훈련 신호의 검출을 시도하며, 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훈련 신호를 검출한다. 이때,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훈련 신호에 적용된 빔 방향이 상기 후보 장치에 대한 최적의 수신 빔이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어 장치는 채널 품질을 측정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 장치는 1607단계로 진행하여 피드백을 송신한다. 상기 피드백은 상기 최적의 수신 빔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1605단계를 통해 확인된 최적의 수신 빔을 해당 후보 장치로 통지한다. 이때, 상기 제어 장치는 빔포밍 없이, 즉, 무지향성 빔을 통해 상기 피드백을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 장치는 해당 후보 장치에 대한 최적의 송신 빔을 통해 상기 피드백을 송신할 수 있다.
이어, 상기 제어 장치는 1609단계로 진행하여 모든 슬롯들에 대한 처리가 완료되었는지 판단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1601단계에서 할당된 모든 슬롯들에서 훈련 신호 검출을 시도하였는지 판단한다. 만일, 상기 모든 슬롯들에 대한 처리가 완료되지 아니하였으면, 상기 제어 장치는 16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m을 1 증가한 후, 상기 1605단계로 되돌아간다.
반면, 상기 모든 슬롯들에 대한 처리가 완료되었으면, 상기 제어 장치는 1613단계로 진행하여 통신 가능 장치 및 최적 빔을 결정한다. 즉, 상기 제어 장치는 후보 장치들 각각과 제2무선 접속 기술(예: WiGig)을 통해 링크 설정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 장치는 1605단계에서 검출된 훈련 신호를 송신한 후보 장치에 대하여 링크 설정이 가능하다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 장치는 임계치 이상의 채널 품질을 가진 후보 장치에 대하여 링크 설정이 가능하다 판단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후보 장치의 빔 훈련을 위한 동작 절차를 도시한다. 상기 도 17은 상기 도 15와 같은 절차를 위한 상기 후보 장치들 120 중 하나의 동작 절차를 예시한다.
상기 도 17을 참고하면, 상기 후보 장치는 1701단계에서 탐색 구간의 제2구간 내의 슬롯들에 대한 할당을 확인한다. 다시 말해, 상기 후보 장치는 제어 장치로부터 슬롯 할당 결과를 수신한다. 상기 슬롯은 상기 제2구간을 시간 축에서 분할한 자원 단위이며, 하나의 슬롯은 다수의 훈련 신호들 및 피드백 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자원을 점유한다. 상기 슬롯 할당 결과는 슬롯 번호 및 장치 이름의 조합들을 통해 통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후보 장치는 제1무선 접속 기술(예: BLE)을 통해 상기 슬롯 할당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후보 장치는 1703단계로 진행하여 제1구간 동안 빔포밍된 탐색 신호를 검출한다. 상기 제1구간 동안,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다수의 서로 다른 방향으로 빔포밍된 탐색 신호들이 순차적으로 송신된다. 상기 후보 장치는 수신 빔포밍 없이 상기 탐색 신호의 검출을 시도하며, 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탐색 신호를 검출한다. 이때,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탐색 신호에 적용된 빔 방향이 상기 후보 장치에 대한 최적의 송신 빔이다. 상기 탐색 신호는 비콘 프레임으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탐색 신호는 타임스탬프, 비콘 간격, 상기 제어 장치의 능력 정보, 서비스 셋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후보 장치는 상기 최적의 송신 빔을 알리는 피드백을 상기 제어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이어, 상기 후보 장치는 17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2구간에서 상기 후보 장치에 할당된 슬롯이 도래하는지 판단한다. 즉, 상기 후보 장치는 상기 제2구간에 포함되는 다수의 슬롯들 중 하나를 할당받는다. 따라서, 상기 후보 장치는 다른 후보 장치에 할당된 슬롯 동안 탐색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지 아니할 수 있다.
사기 할당된 슬롯이 도래하면, 상기 후보 장치는 17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할당된 슬롯 동안 빔포밍된 훈련 신호들을 송신한다. 즉, 상기 후보 장치는 지원 가능한 빔 방향들로 상기 훈련 신호들을 빔포밍하고, 빔포밍된 훈련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송신한다.
이후, 상기 후보 장치는 17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피드백을 수신한다. 상기 피드백은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 결정된 상기 후보 장치를 위한 최적의 수신 빔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후보 장치는 빔포밍 없이, 즉, 무지향성 빔으로 상기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도 15 내지 상기 도 17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 예들은 제어 장치가 송신을 위한 최적의 빔 및 수신을 위한 최적의 빔을 결정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 장치가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후보 장치가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최적화된 무선 링크가 얻어질 수 있다. 역방향으로, 즉, 상기 후보 장치로부터 상기 제어 장치로 데이터가 송신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상반성이 성립되므로, 상기 후보 장치의 수신 빔이 송신 빔으로서, 상기 제어 장치의 송신 빔이 수신 빔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상반성이 성립되지 아니하는 환경하에서, 상기 수신 빔이 상기 송신 빔으로, 상기 송신 빔이 상기 수신 빔으로 사용될 수 없다. 따라서, 이 경우, 다수의 후보 장치들 중 데이터를 공유할 하나 이상의 장치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 장치 및 선택된 장치는 역방향의 빔 훈련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역방향의 빔 훈련은 하기 도 18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빔 훈련을 도시한다. 상기 도 14는 상기 후보 장치 120-1 및 후보 장치 120-1 간 역방향 빔 훈련 절차를 예시한다. 다수의 후보 장치들이 선택된 경우, 상기 도 18에 예시된 절차가 각 후보 장치들에 대하여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도 18을 참고하면, 제1구간 동안, 상기 후보 장치 120-1는 송신 섹터 스윕을 수행한다. 즉, 상기 후보 장치 120-1는 지원 가능한 빔 방향들로 비콘 신호들을 빔포밍하고, 빔포밍된 비콘 신호들 1801-1 내지 1801-N을 순차적으로 송신한다. 이때, 상기 제어 장치 110는 청취 상태로 대기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제어 장치 110는 상기 빔포밍된 비콘 신호들 1801-1 내지 1801-N의 검출을 시도한다. 이때, 상기 제어 장치 110는 수신 빔포밍 없이 전방향 수신 빔을 통해 상기 비콘 신호들 1801-1 내지 1801-N을 수신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 장치 110는 역방향 링크에 대한 최적의 송신 빔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도 18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제어 장치 110는 상기 최적의 송신 빔을 알리는 정보를 피드백할 수 있다. 이후, 제2구간 동안, 상기 제어 장치 110는 송신 섹터 스윕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후보 장치 120-1는 수신 빔포밍 없이 전방향 수신 빔을 통해 상기 제어 장치 110에서 송신된 훈련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제어 장치 110로 피드백 정보를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피드백 정보는 빔포밍 없이, 즉, 전방향 빔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후보 장치 120-1는 지원 가능한 빔 방향들로 훈련 신호들을 빔포밍하고, 빔포밍된 훈련 신호들 1803-1 내지 1803-M을 순차적으로 송신하고, 상기 후보 장치 120-1는 상기 제어 장치 110로 피드백 정보 1805를 송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들은 동기화된 탐색 구간을 통해 통신 가능 여부 및 최적의 빔을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컨텐츠를 공유 받을 의사가 없는 사용자가 대역 전환 요청에 대해 선택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실시 예를 제시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불필요한 장치 활성화로 인한 에너지 낭비가 방지되고, 경우에 따라, 사용자의 위치 정보가 의도하지 아니한 사용자에게 노출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대역 전환 요청에 대한 선택적 대응은 사전에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위한 통신 모듈 활성화의 허용 범위를 설정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는 모든 요청을 허용하지 아니하고, 저장된 연락처에 포함된 사용자로부터 요청이 발생한 경우, 또는, 인접성이 판단되는 경우, 또는, 사용자에 의해 허용 여부가 선택된 경우로 허용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이때, 사전 판단을 위한 정보는 보조 통신 모듈, 즉, 제1무선 접속 기술을 위한 통신 모듈을 통해 교환되거나 획득될 수 있다.
나아가, 데이터 링크 설정의 대상이 아닌 장치들이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위한 통신 모듈을 활성화한 경우, 상기 통신 모듈을 다시 비활성화하기 위한 절차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제어 장치 100는 보조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후보 장치들 120에게 IB에서 탐색이 된 장치들의 목록 및 링크 설정을 위해 선택된 장치들의 목록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위한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를 유도하는 절차는 이하 도 19와 같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모듈의 비활성화를 유도하는 절차를 도시한다. 상기 도 19는 상기 후보 장치들 120 중 장치 집합A 130에 속한 장치들이 선택되고, 장치 집합B 140에 속한 장치들의 데이터 통신 모듈을 비활성화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상기 도 19를 참고하면, 1901단계에서 제2무선 접속 기술(예: WiGig)을 위한 탐색 단계가 수행된다. 예를 들어, 상기 탐색 단계는 상기 도 11 또는 상기 도 15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 장치 110는 상기 후보 장치들 120 중 통신이 가능한 장치들을 판단할 수 있다.
1903단계에서, 상기 제어 장치 110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선택한다. 상기 제어 장치 110는 제2무선 접속 기술을 통해 상기 통신이 가능한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 장치 110는 미리 정의된 규칙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본 예시의 경우, 상기 장치 집합A 130가 선택된다.
1905단계에서, 상기 제어 장치 110는 상기 장치 집합A 130 및 상기 장치 집합B 140로 협상 광고(negotiation advertisement)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협상 광고는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적어도 하나의 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협상 광고는 상기 장치 집합A 130에 속한 장치들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협상 광고 신호는 제1무선 접속 기술을 통해 송신된다. 예를 들어, 상기 협상 광고 신호는 BLE 광고 프레임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1907단계에서, 상기 장치 집합B 140에 속한 장치들은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위한 통신 모듈을 비활성화한다. 즉, 상기 장치 집합B 140에 속한 장치들은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위한 통신 모듈을 오프(off)하거나, 슬립(sleep) 상태로 천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단, 상기 장치 집합B 140에 속한 장치들은 상기 제어 장치 110와의 통신 외 다른 목적을 위해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위한 통신 모듈의 활성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1909단계에서, 상기 제어 장치 110는 상기 장치 집합A 130에 속한 장치들로 데이터를 송신한다. 상기 데이터는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을 통해 송신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장치 110는 상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빔포밍한 후, 빔포밍된 신호를 송신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는 유니캐스트(unicast), 멀티캐스트(multicast) 또는 브로드캐스트(broadcast)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장치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다. 상기 제어 장치는 제1무선 접속 기술 및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지원한다. 상기 제1무선 접속 기술에 비해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은 더 높은 주파수를 이용한다. 또한,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에 비해 상기 제1무선 접속 기술은 더 적은 전력 소비로 운용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도 20을 참고하면, 상기 제어 장치는 200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1무선 접속 기술을 통해,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위한 탐색 구간의 시작 시점을 알리는 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탐색 구간의 시작 시점을 알리는 정보는 상기 제1무선 접속 기술에 따른 방송 신호를 통해 송신되며, 상기 방송 신호는 상기 제어 장치의 개인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탐색 구간의 시작 시점을 알리는 정보는 상기 정보가 송신되는 시점으로부터 상기 시작 시점까지의 잔여 시간을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상기 탐색 구간의 시작 시점을 알리는 정보는 반복적으로 송신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탐색 구간의 시작 시점을 알리는 정보는 매 송신 마다 감소한다.
이후, 상기 제어 장치는 20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을 통해, 상기 탐색 구간 동안, 탐색을 위한 신호를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탐색을 위한 신호는 비콘 프레임일 수 있다. 상기 탐색 구간은 제1구간 및 제2구간을 포함한다. 상기 제1구간 동안, 상기 제어 장치는 다수의 방향들로 송신 빔포밍된 신호들을 송신한다. 이때, 상기 제1구간 동안, 다수의 후보 장치들이 청취 상태로 동작한다. 상기 제2구간 동안, 상기 제어 장치는 전방향 빔을 통해 상기 탐색을 위한 신호들을 송신한다. 단,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2구간 동안,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탐색을 위한 신호들을 송신하지 아니하고, 후보 장치들 각각에 의해 송신 빔포밍된 신호들을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후보 장치들에 상기 제2구간 내의 슬롯들을 분배하고, 각 슬롯에서 해당 후보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어 장치는 각 슬롯에서 해당 후보 장치로 검출 결과를 알리는 피드백을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롯들의 할당은 상기 2003단계에 앞서 수행될 수 있으며, 할당 결과는 상기 제1무선 접속 기술을 통해 송신된다.
상기 도 20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탐색 구간의 시작 시점을 알리는 정보를 송신한 후, 적어도 하나의 후보 장치로부터 ACK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든 후보 장치들로부터 ACK이 수신되면,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탐색 구간의 시작 시점을 알리는 정보의 송신을 중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2001단계에 앞서 상기 후보 장치들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1무선 접속 기술의 탐색 절차를 수행하거나, 또는, 과거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로 데이터를 공유한 장치들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후보 장치들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20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2003단계 이후, 상기 제어 장치는 데이터를 공유할 적어도 하나의 후보 장치의 목록을 알리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후보 장치들 중 상기 목록에 포함되지 아니한 일부 장치들은,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위한 통신 모듈을 비활성화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도 21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후보 장치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다. 상기 후보 장치는 제1무선 접속 기술 및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지원한다. 상기 제1무선 접속 기술에 비해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은 더 높은 주파수를 이용한다. 또한,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에 비해 상기 제1무선 접속 기술은 더 적은 전력 소비로 운용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도 21를 참고하면, 상기 후보 장치는 210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1무선 접속 기술을 통해,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위한 탐색 구간의 시작 시점을 알리는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탐색 구간의 시작 시점을 알리는 정보는 상기 제1무선 접속 기술에 따른 방송 신호를 통해 제어 장치로부터 송신되며, 상기 방송 신호는 상기 제어 장치의 개인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탐색 구간의 시작 시점을 알리는 정보는 상기 정보가 송신되는 시점으로부터 상기 시작 시점까지의 잔여 시간을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상기 탐색 구간의 시작 시점을 알리는 정보는 반복적으로 송신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탐색 구간의 시작 시점을 알리는 정보는 매 송신 마다 감소한다.
이후, 상기 후보 장치는 21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을 통해, 상기 탐색 구간 동안, 탐색을 위한 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탐색을 위한 신호는 비콘 프레임일 수 있다. 상기 탐색 구간은 제1구간 및 제2구간을 포함한다. 상기 제1구간 동안, 상기 후보 장치는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 다수의 방향들로 송신 빔포밍된 신호들 중 하나를 검출한다. 이때, 상기 제1구간 동안, 상기 후보 장치를 포함한 다수의 장치들이 청취 상태로 동작한다. 상기 제2구간 동안, 상기 후보 장치는 전방향 빔을 통해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탐색을 위한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한다. 단,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2구간 동안, 상기 후보 장치는, 상기 탐색을 위한 신호들을 검출하지 아니하고, 상기 후보 장치에 할당된 슬롯 동안 서로 다른 방향들로 송신 빔포밍된 탐색을 위한 신호들을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후보 장치는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제2구간 내의 슬롯 할당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후보 장치는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후보 장치에 의해 송신된 신호들의 검출 결과를 알리는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롯들의 할당은 상기 2103단계에 앞서 수행될 수 있으며, 할당 결과는 상기 제1무선 접속 기술을 통해 수신된다.
상기 도 21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탐색 구간의 시작 시점을 알리는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제어 장치로 ACK을 송신할 수 있다. 상기 ACK은 상기 후보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21에 도시된 절차와 달리, 상기 2103단계에서 상기 탐색을 위한 신호가 검출되지 아니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후보 장치는, 상기 제1무선 접속 기술을 통해,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공유할 적어도 하나의 후보 장치의 목록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후보 장치가 상기 목록에 포함되지 아니하면, 상기 후보 장치는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위한 통신 모듈을 비활성화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도 22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이하 사용되는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도 22을 참고하면, 상기 장치는 통신부 2210, 저장부 2220, 제어부 2230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부 22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부 2210는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상기 통신부 2210는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상기 통신부 2210는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 2210는 기저대역 신호를 RF(radio frequency) 대역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환한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부 2210는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mixer), 오실레이터(oscillator), DAC(Digital to Analog Convertor), ADC(Analog to Digital Conver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 2210는 다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통신부 2210는 빔포밍(beamforming)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빔포밍을 위해, 상기 통신부 2210는 다수의 안테나들 또는 안테나 요소(element)들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들 각각의 위상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통신부 2210는 서로 다른 다수의 무선 접속 기술들을 지원하기 위해 다수의 통신 모듈들 2212 및 221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 2210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들을 처리하기 위해 서로 다른 통신 모듈들 2212 및 221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모듈 2212은 제1무선 접속 기술을, 제2모듈 2214는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지원한다. 상기 제1무선 접속 기술에 비해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은 더 높은 주파수를 이용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서로 다른 무선 접속 기술들은 NFC, BLE, Wi-Fi, WiGig, 셀룰러 망(예: LTE(Long Term Evolu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들은 극고단파(SHF: super high frequency)(예: 2.5GHz, 5Ghz) 대역, mm파(millimeter wave)(예: 60GHz)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 22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이에 따라, 상기 통신부 2210는 송신부, 수신부 또는 송수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 2220는 상기 장치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부 2220는 이전 제2무선 접속 기술을 통한 데이터 공유에 대한 이력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력은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을 통해 데이터를 공유한 다른 장치들의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 2220는 상기 제어부 223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 2230는 상기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 2230는 상기 통신부 2210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 2230는 상기 저장부 222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 223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 2230는 통신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CP(communication processor) 또는 응용 프로그램 등 상위 계층을 제어하는 AP(appl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 2230는 상기 제1모듈 2212 및 상기 제2모듈 2214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무선 접속 기술들 간 상호 연동에 기반한 링크 설정 절차를 제어하는 링크 설정부 223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 2230는 상기 장치가 상기 도 5 내지 상기 도 21에 설명된 상기 제어 장치 110 또는 상기 후보 장치들 120 중 하나와 같이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 2230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장치가 제어 장치로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 2230는 상기 제1모듈 2212을 통해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위한 탐색 구간의 시작 시점을 알리는 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탐색 구간의 시작 시점을 알리는 정보는 상기 제1무선 접속 기술에 따른 방송 신호를 통해 송신되며, 상기 방송 신호는 상기 제어 장치의 개인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탐색 구간의 시작 시점을 알리는 정보는 상기 정보가 송신되는 시점으로부터 상기 시작 시점까지의 잔여 시간을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 2230는 상기 제2모듈 2214을 통해, 상기 탐색 구간 동안, 탐색을 위한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탐색 구간의 제1구간 동안, 상기 제어부 2230는 상기 제2모듈 2214을 통해 다수의 방향들로 송신 빔포밍된 신호들을 송신한다. 상기 탐색 구간의 제2구간 동안, 상기 제어부 2230는 상기 제2모듈 2214을 통해 전방향 빔을 통해 상기 탐색을 위한 신호들을 송신한다. 단,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2구간 동안, 상기 제어부 2230는, 상기 탐색을 위한 신호들을 송신하지 아니하고, 후보 장치들 각각에 의해 송신 빔포밍된 신호들을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 2230는 상기 제1구간에 앞서 상기 후보 장치들에 상기 제2구간 내의 슬롯들을 분배하고, 상기 제1모듈 2212를 통해 슬롯 할당 결과를 송신한 후, 각 슬롯에서 해당 후보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 2230는 각 슬롯에서 해당 후보 장치로 검출 결과를 알리는 피드백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장치가 제어 장치로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 2230는 상기 탐색 구간의 시작 시점을 알리는 정보를 송신한 후, 적어도 하나의 후보 장치로부터 ACK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든 후보 장치들로부터 ACK이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 2230는 상기 탐색 구간의 시작 시점을 알리는 정보의 송신을 중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 2230는 상기 2001단계에 앞서 상기 후보 장치들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 2230는 상기 제1무선 접속 기술의 탐색 절차를 수행하거나, 또는, 과거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로 데이터를 공유한 장치들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후보 장치들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장치가 제어 장치로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 2230는 데이터를 공유할 적어도 하나의 후보 장치의 목록을 알리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후보 장치들 중 상기 목록에 포함되지 아니한 일부 장치들은,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위한 통신 모듈을 비활성화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장치가 후보 장치로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 2230는 상기 제1모듈 2212을 통해,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위한 탐색 구간의 시작 시점을 알리는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 2230는 상기 제2모듈 2214을 통해, 상기 탐색 구간 동안, 탐색을 위한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탐색 구간의 제1구간 동안, 상기 제어부 2230는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 다수의 방향들로 송신 빔포밍된 신호들 중 하나를 검출하고, 상기 탐색 구간의 제2구간 동안, 전방향 빔을 통해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탐색을 위한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한다. 단,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2구간 동안, 상기 제어부 2230는, 상기 탐색을 위한 신호들을 검출하지 아니하고, 상기 후보 장치에 할당된 슬롯 동안 서로 다른 방향들로 송신 빔포밍된 탐색을 위한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 2230는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제2구간 내의 슬롯 할당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후보 장치에 의해 송신된 신호들의 검출 결과를 알리는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장치가 후보 장치로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 2230는 상기 탐색 구간의 시작 시점을 알리는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제어 장치로 ACK을 송신할 수 있다. 상기 ACK은 상기 후보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장치가 후보 장치로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 2230는 상기 탐색을 위한 신호의 검출에 실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 2230는, 상기 제1모듈 2212을 통해,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공유할 적어도 하나의 후보 장치의 목록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후보 장치가 상기 목록에 포함되지 아니하면, 상기 제어부 2230는 상기 제2모듈 2214을 비활성화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 2230는 탐색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도 22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어부 2230의 제어에 따라 정보를 출력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기능들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는 상기 출력 및 입력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드웨어 모듈은 센서, 키보드, 키패드, 스피커, 마이크, 터치스크린,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LPD(light emitting polymer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FLED(Flexible LE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는 표시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표시부'라 지칭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들을 통해 제어 장치 및 후보 장치들 간에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을 통한 통신이 가능해지면, 부가적으로 장치들간에 거리 및 각도가 추정될 수 있다. 상기 거리 및 각도는 사용자가 후보 장치 중 컨텐츠 혹은 서비스를 공유할 장치를 선택하는 정보로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혹은 상기 서비스의 공유를 위한 UI(user interface)/UX(user experience)는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링크 설정 절차를 활용한 컨텐츠 공유를 위한 인터페이스의 예를 도시한다. 즉, 상기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링크 설정 절차의 활용 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23은 상기 제어 장치 110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데이터 공유를 위한 UI/UX를 예시한다.
상기 도 23의 (a)를 참고하면, 상기 제어 장치 110는 이미지 컨텐츠를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 장치 110는 이미지들의 목록 및 선택된 이미지를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는 선택된 이미지를 공유할 목적으로, 선택된 이미지가 표시된 영역 중 하나의 지점 2382에서 미리 정의된 터치 입력(touch input)을 발생시킨다. 상기 미리 정의된 터치 입력은 데이터 공유를 위한 것으로서, 롱 프레스(long press)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롱 프레스는 일정 시간 이상 하나의 지점에서 프레스(press) 상태를 유지하는 터치 입력이다. 예를 들어, 상기 일정 시간은 1초 또는 2초로 정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 장치 110는 컨텐츠 공유 명령을 감지(detect)한다.
상기 도 23의 (b)를 참고하면, 상기 제어 장치 110는 데이터 공유가 가능한 다른 장치들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장치 110는 상기 이미지가 표시된 영역 내에 공유 가능한 다른 장치를 알리기 위한 UI 2384를 표시한다. 상기 UI 2384는 주변 장치 맵(map)이라 지칭될 수 있다. 상기 UI 2384는 선택된 이미지의 썸네일(thumbnail) 또는 축소된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공유 가능한 다른 장치들을 알리는 아이템(item)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썸네일 또는 상기 축소된 이미지는 생략될 수 있다. 즉, 상기 컨텐츠 공유 명령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제어 장치 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링크 설정 절차를 수행한다. 즉, 상기 제어 장치 110는 제1무선 접속 기술 및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도 3과 같은 절차를 수행한 후,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을 통해 링크 설정 가능한 장치들을 확인하고, 상기 링크 설정 가능한 장치들을 상기 UI 2384를 통해 표시한다.
상기 도 23과 같은 UI/UX를 통해, 사용자는 컨텐츠 브라우징(browsing) 중 즉각적인 데이터 공유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링크 설정 절차를 통해, 짧은 시간 동안 데이터가 공유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링크 설정 절차를 활용한 컨텐츠 공유 절차를 도시한다. 상기 도 24는 상기 도 23과 같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상기 제어 장치 110의 동작 방법을 예시한다.
상기 도 24를 참고하면, 상기 제어 장치 110는 2401단계에서 컨텐츠에 대한 공유 명령이 발생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제어 장치 110는 컨텐츠(예: 사진, 동영상 등)을 표시한 상태이며, 미리 정의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컨텐츠에 대한 공유 명령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미리 정의된 사용자의 입력은, 고정된 지점에서의 일정 시간 이상의 롱 프레스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공유 명령이 발생하면, 상기 제어 장치 110는 2403단계로 진행하여 탐색 절차를 수행한다. 즉, 상기 제어 장치 110는 제1무선 접속 기술 및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도 3과 같은 절차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장치 110는 제1무선 접속 기술을 통해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위한 탐색 구간의 시작 시점을 알리는 정보를 송신한 후, 상기 탐색 구간 동안,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을 통해 탐색을 위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어 장치는 탐색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에 대한 각도 및 거리를 추정할 수 있다.
이어, 상기 제어 장치 110는 2405단계로 진행하여 컨텐츠의 썸네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은 상기 각도에 따라 표시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은, 상기 썸네일을 중심으로, 상기 각도에 대응하는 위치에 표시된다. 각 아이템은 해당하는 주변 장치의 종류 또는 소유자의 식별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썸네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은 상기 도 23의 (b)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도 23의 (b)와 같은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의 위치를 2차원 평면 상에서 표현한다. 그러나, 현실의 공간은 3차원으로서, 위치는 높낮이를 가진다. 그러나, 상기 도 23에 예시된 2차원 표현은 상하를 구분하지 아니하므로, 사용자가 접속할 기기를 선택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상기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하기 도 25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주변 다른 장치들을 표시하는 인터페이스의 예들을 도시한다. 즉, 상기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링크 설정 절차의 다른 활용 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25는 상기 제어 장치 110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데이터 공유를 위한 UI/UX를 예시한다.
상기 도 25의 (a)를 참고하면, 주변 장치들 2520-1 내지 2520-3이 x-y 평면 상 동일한 좌표에 위치하고, z축으로 서로 다른 좌표에 위치한다. 즉, 상기 도 25의 (a)는 상기 주변 장치들 2520-1 내지 2520-3의 위치가 높낮이에 의해 구분되는 상황을 예시한다. 이때, 상기 장치는 상기 주변 장치들 2520-1 내지 2520-3에 대한 탐색을 수행한 후, (b), (c) 또는 (d)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주변 장치들 2520-1 내지 2520-3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b), 상기 (c), 상기 (d)의 예시에서, 상기 주변 장치들 2520-1 내지 2520-3의 아이템들은 상기 주변 장치들 2520-1 내지 2520-3와 유사한 외형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다른 모양 및 색채를 가지는 아이템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도 25의 (b)를 참고하면, 상기 장치는 3차원의 공간을 표현하며, 상기 3차원 공간 내에서 상기 주변 장치들 2520-1 내지 2520-3를 표시한다. 나아가, 상기 장치는 다른 주변 장치들을 더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도 25의 (b)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3차원 공간의 가시도(viaibility)를 향상시키기 위해, 가이드 선(guide line)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가이드 선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도 25의 (c)를 참고하면, 상기 장치는 2차원 지도를 표시하지만, 2차원 평면 상 동일 위치에 높낮이가 다른 장치들이 중첩되어 있는 경우, 상기 다른 장치들을 그룹핑(grouping) 한 후, 위/아래 구별이 가능하도록 표시한다. 즉, 상기 장치는 상기 주변 장치들 2520-1 내지 2520-3를 그룹핑하고, 위/아래 구별이 가능하도록 표시한다. 상기 도 25의 (c)에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룹핑은 다각형으로 표현될 수 있고, 상기 주변 장치들 2520-1 내지 2520-3의 높낮이는 다각형의 너비의 변화를 통해 표현될 수 있다. 이에 대체하여 또는 병행하여, 상기 장치는 상대적으로 상단에 있는 장치에 비해 하단에 위치한 장치의 아이템을 작게 표시함으로써, 높낮이를 표현할 수 있다.
상기 도 25의 (d)를 참고하면, 상기 장치는 2차원 지도를 표시한다. 그러나, 상기 도 23의 경우와 달리, x-y 평면이 아닌 y-z 평면이 표시된다. 따라서, 서로 높낮이가 다른 상기 주변 장치들 2520-1 내지 2520-3은 화면 내에서 상하로 구분된다. 즉, 전후좌우에 의한 표시가 아닌 상하좌우에 의한 표시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발명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OM: Read Only Memory),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D-ROM: Compact Disc-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s: Digital Versatile Disc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발명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34)

  1. 제1무선 접속 기술 및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지원하는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무선 접속 기술을 통해,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위한 탐색(discovery) 구간의 시작 시점을 알리는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을 통해, 상기 탐색 구간 동안, 탐색을 위한 신호들을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무선 접속 기술에 대한 신호 세기,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을 통해 제공할 서비스의 특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탐색을 위한 신호들의 빔폭을 조절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탐색을 위한 신호의 빔폭 및 상기 탐색을 위한 신호에 대한 빔 섹터 개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탐색 구간의 시작 시점을 알리는 정보에 대한 ACK(acknowledge)을 수신하는 과정과,
    모든 후보 장치들로부터 상기 ACK이 수신되면, 상기 탐색 구간의 시작 시점을 알리는 정보의 송신을 중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탐색을 위한 신호들을 송신하는 과정은,
    다른 장치들이 수신 빔포밍을 수행하는 구간에서, 전방향(omni-direction) 빔을 통해 신호들을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다른 장치들에 상기 탐색 구간 내의 슬롯들을 할당하는 과정과,
    상기 슬롯들 각각에서 상기 다른 장치들 각각에 의해 송신 빔포밍된 탐색을 위한 신호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다른 장치로 상기 탐색을 위한 신호의 검출 결과를 알리는 피드백을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데이터를 공유할 적어도 하나의 다른 장치의 목록을 알리는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탐색 구간의 시작 시점을 알리는 정보는, 상기 정보가 송신되는 시점으로부터 상기 시작 시점까지의 잔여 시간을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탐색을 위한 신호들을 이용하여 탐색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장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1무선 접속 기술 및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지원하는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무선 접속 기술을 통해,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위한 탐색(discovery) 구간의 시작 시점을 알리는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을 통해, 상기 탐색 구간 동안, 탐색을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탐색을 위한 신호의 빔폭 및 상기 탐색을 위한 신호에 대한 빔 섹터 개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탐색 구간의 시작 시점을 알리는 정보에 대한 ACK(acknowledge)을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탐색을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은,
    상기 탐색 구간의 시작 시점을 알리는 정보를 수신한 다수의 장치들이 청취 상태(listen state)로 동작하는 구간에서, 다수의 방향들로 송신 빔포밍된 신호들 중 하나를 검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탐색을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은,
    상기 탐색 구간의 시작 시점을 알리는 정보를 수신한 다수의 장치들이 수신 빔포밍을 수행하는 구간에서, 전방향(omni-direction) 빔을 통해 송신된 상기 탐색을 위한 신호들 중 하나를 검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탐색 구간 내의 슬롯들에 대한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장치에 할당된 슬롯 동안 서로 다른 방향들로 송신 빔포밍된 탐색을 위한 신호들을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탐색을 위한 신호의 검출 결과를 알리는 피드백을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16. 청구항 10에 있어서,
    데이터를 공유할 적어도 하나의 다른 장치의 목록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목록에 상기 장치가 포함되지 아니하면,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위한 통신 모듈을 비활성화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17.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탐색 구간의 시작 시점을 알리는 정보는, 상기 정보가 송신되는 시점으로부터 상기 시작 시점까지의 잔여 시간을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1무선 접속 기술 및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지원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무선 접속 기술을 통해,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위한 탐색(discovery) 구간의 시작 시점을 알리는 정보를 송신하는 제1통신 모듈과,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을 통해, 상기 탐색 구간 동안, 탐색을 위한 신호들을 송신하는 제2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1무선 접속 기술에 대한 신호 세기,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을 통해 제공할 서비스의 특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탐색을 위한 신호들의 빔폭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장치.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1통신 모듈은, 상기 탐색을 위한 신호의 빔폭 및 상기 탐색을 위한 신호에 대한 빔 섹터 개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는 장치.
  21.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1통신 모듈은, 상기 탐색 구간의 시작 시점을 알리는 정보에 대한 ACK(acknowledge)을 수신하고,
    모든 후보 장치들로부터 상기 ACK이 수신되면, 상기 탐색 구간의 시작 시점을 알리는 정보의 송신을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장치.
  22.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2통신 모듈은, 다른 장치들이 수신 빔포밍을 수행하는 구간에서, 전방향(omni-direction) 빔을 통해 신호들을 송신하는 장치.
  23. 청구항 18에 있어서,
    다른 장치들로 상기 탐색 구간 내의 슬롯들을 할당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통신 모듈은, 상기 슬롯들 각각에서 상기 다른 장치들 각각에 의해 송신 빔포밍된 탐색을 위한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다른 장치로 상기 탐색을 위한 신호의 검출 결과를 알리는 피드백을 송신하는 장치.
  24.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1통신 모듈은, 데이터를 공유할 적어도 하나의 다른 장치의 목록을 알리는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
  25.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탐색 구간의 시작 시점을 알리는 정보는, 상기 정보가 송신되는 시점으로부터 상기 시작 시점까지의 잔여 시간을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장치.
  26.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탐색을 위한 신호들을 이용하여 탐색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장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장치.
  27. 제1무선 접속 기술 및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지원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무선 접속 기술을 통해,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위한 탐색(discovery) 구간의 시작 시점을 알리는 정보를 수신하는 제1통신 모듈과,
    상기 제2무선 접속 기술을 통해, 상기 탐색 구간 동안, 탐색을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제2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장치.
  28.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제1통신 모듈은, 상기 탐색을 위한 신호의 빔폭 및 상기 탐색을 위한 신호에 대한 빔 섹터 개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
  29.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제1통신 모듈은, 상기 탐색 구간의 시작 시점을 알리는 정보에 대한 ACK(acknowledge)을 송신하는 장치.
  30.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제2통신 모듈은, 상기 탐색 구간의 시작 시점을 알리는 정보를 수신한 다수의 장치들이 청취 상태(listen state)로 동작하는 구간에서, 다수의 방향들로 송신 빔포밍된 신호들 중 하나를 검출하는 장치.
  31.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제2통신 모듈은, 상기 탐색 구간의 시작 시점을 알리는 정보를 수신한 다수의 장치들이 수신 빔포밍을 수행하는 구간에서, 전방향(omni-direction) 빔을 통해 송신된 상기 탐색을 위한 신호들 중 하나를 검출하는 장치.
  32.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제1통신 모듈은,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탐색 구간 내의 슬롯들에 대한 할당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통신 모듈은, 상기 장치에 할당된 슬롯 동안 서로 다른 방향들로 송신 빔포밍된 탐색을 위한 신호들을 송신하고,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탐색을 위한 신호의 검출 결과를 알리는 피드백을 수신하는 장치.
  33.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제1통신 모듈은, 데이터를 공유할 적어도 하나의 다른 장치의 목록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목록에 상기 장치가 포함되지 아니하면, 상기 제2통신 모듈을 비활성화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장치.
  34.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탐색 구간의 시작 시점을 알리는 정보는, 상기 정보가 송신되는 시점으로부터 상기 시작 시점까지의 잔여 시간을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장치.
KR1020150046905A 2015-04-02 2015-04-0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링크 설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305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905A KR102305115B1 (ko) 2015-04-02 2015-04-0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링크 설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EP16773424.3A EP3278597B1 (en) 2015-04-02 2016-03-30 Apparatus and method for link setup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CT/KR2016/003233 WO2016159643A1 (en) 2015-04-02 2016-03-30 Apparatus and method for link setup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201680020498.5A CN107466484B (zh) 2015-04-02 2016-03-30 用于无线通信系统中的链路建立的装置和方法
US15/090,592 US10219200B2 (en) 2015-04-02 2016-04-04 Apparatus and method for link setup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905A KR102305115B1 (ko) 2015-04-02 2015-04-0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링크 설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584A true KR20160118584A (ko) 2016-10-12
KR102305115B1 KR102305115B1 (ko) 2021-09-27

Family

ID=57006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6905A KR102305115B1 (ko) 2015-04-02 2015-04-0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링크 설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219200B2 (ko)
EP (1) EP3278597B1 (ko)
KR (1) KR102305115B1 (ko)
CN (1) CN107466484B (ko)
WO (1) WO20161596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14937B1 (en) * 2015-06-26 2020-09-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used in control node and serving radio node and associated device
CN107689820A (zh) * 2016-08-03 2018-02-13 索尼公司 无线通信系统中的电子设备和服务器以及无线通信方法
US11012106B2 (en) * 2016-09-23 2021-05-18 Qualcomm Incorporated Implementation of improved omni mode signal reception
US9942886B1 (en) 2016-10-07 2018-04-10 Qualcomm Incorporated Variable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signaling and transmission
JP7039181B2 (ja) 2016-11-02 2022-03-22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non-PCP/AP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WO2018083915A1 (ja) * 2016-11-02 2018-05-11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US10194390B2 (en) * 2016-12-12 2019-01-29 Whp Workflow Solutions, Inc. Energy efficient communication for data asset transfers
CN108616976B (zh) * 2017-01-06 2023-03-24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接入网设备和终端
US11140706B2 (en) * 2017-02-01 2021-10-05 Qualcomm Incorporated Data transmissions during base station beamsweep
US10779273B2 (en) 2017-03-10 2020-09-15 Qualcomm Incorporated NR uplink transmit beam selection based on PDCCH/PDSCH receive beams
US11843554B2 (en) * 2017-03-23 2023-12-12 Ntt Docomo, Inc. User equipment and 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US10256872B2 (en) * 2017-05-02 2019-04-09 Apple Inc. Methods for performing antenna beam scanning
US10484935B2 (en) * 2017-06-12 2019-11-19 Qualcomm Incorporated Discovery for spectrum renting
JP7088925B2 (ja) * 2017-06-13 2022-06-21 株式会社Nttドコモ 端末、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システム
US10993181B2 (en) * 2017-08-11 2021-04-27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and apparatuses for power management via cross-rat signaling in a non-standalone configuration
US10687291B2 (en) * 2017-10-02 2020-06-16 Qualcomm Incorporated Carrier sharing between multiple radio access technologies
KR102364641B1 (ko) * 2018-02-08 2022-02-18 삼성전자 주식회사 빔포밍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빔 운용 방법 및 장치
US20220046631A1 (en) * 2019-05-10 2022-02-10 Qualcomm Incorporated Beam management for sidelink
US11272556B2 (en) 2019-09-06 2022-03-08 Apple Inc. Bluetooth—ultra wideband synchronization
WO2021160261A1 (en) * 2020-02-13 2021-08-19 Nokia Technologies Oy Energy efficient mobility management for dual-mode user equipment
CN113890695B (zh) * 2020-07-01 2023-09-1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传输处理方法、装置及终端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99918A1 (en) * 2009-11-20 2011-08-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assisting in network discovery
WO2013149189A1 (en) * 2012-03-30 2013-10-03 Intel Corporation Systems for communicating using multiple frequency bands in a wireless network
WO2013172755A1 (en) * 2012-05-15 2013-11-2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Device discovery of second user equipments in a second network for d2d communication
WO2014124237A1 (en) * 2013-02-07 2014-08-14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Long-range device discovery with directional transmissions
US20140293992A1 (en) * 2013-03-27 2014-10-02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synchronization within a neighborhood aware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97018B2 (en) * 2005-04-01 2010-09-14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multi-band access point to associate with a multi-band mobile station
US7724703B2 (en) * 2005-10-13 2010-05-25 Belden, Inc.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network monitoring
KR100943619B1 (ko) * 2006-10-02 2010-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확장성 대역폭을 지원하는 셀룰러 무선통신시스템을 위한 하향링크 동기채널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JP5221551B2 (ja) * 2006-10-25 2013-06-26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の均一圏外サーチ
EP2073597A1 (en) * 2007-12-21 2009-06-2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Technique for providing network access via multiple mobile platforms
US8289940B2 (en) * 2008-07-15 2012-10-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channel access in dual rate wireless networks
US8274903B2 (en) * 2008-08-20 2012-09-2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witching between a base channel and a 60 GHz channel
US8503377B2 (en) 2008-09-25 2013-08-06 Intel Corporation Methods for multi-ba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bandwidth management
US8923244B2 (en) * 2009-08-12 2014-12-3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of advertising handoff
US9391853B2 (en) * 2009-12-23 2016-07-12 Apple Inc. Efficient service advertisement and discovery in a peer-to-peer networking environment with dynamic advertisement and discovery periods based on operating conditions
US8594054B2 (en) * 2010-07-21 2013-11-26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 for scheduling TD-SCDMA idle intervals
KR101572736B1 (ko) * 2010-11-16 2015-11-27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무선 다이렉트 링크 동작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8908656B2 (en) * 2011-01-10 2014-12-09 Qualcomm Incorporated Support for multi-radio coexistence during connection setup
US9008659B1 (en) * 2011-03-10 2015-04-14 Marvell International Ltd. Cell reselection methods based on tracking area for cellular systems
US20140341109A1 (en) * 2011-06-02 2014-11-20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Managing Converged Gateway Communications
US9066240B2 (en) * 2011-09-30 2015-06-23 Qualcomm Incorporated Discontinuous reception (DRX) based mechanisms for connection setup
US9877139B2 (en) * 2011-10-03 2018-01-23 Intel Corporation Device to device (D2D) communication mechanisms
US9084180B2 (en) * 2011-12-14 2015-07-1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iscovery and paging messages
US8989736B2 (en) * 2012-08-01 2015-03-2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etermining reselection parameters for detected cells
US9036603B2 (en) * 2012-08-03 2015-05-19 Intel Corporation Network assistance for device-to-device discovery
TWI611708B (zh) * 2012-08-28 2018-01-11 Idac控股公司 從主波束的通信鏈路交遞的方法及裝置
US9813920B2 (en) * 2012-09-19 2017-11-0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iscovery messages
JP6075585B2 (ja) * 2012-12-31 2017-02-08 ▲ホア▼▲ウェイ▼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デバイス対デバイス通信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US8989145B2 (en) * 2013-01-25 2015-03-24 St-Ericsson Sa Methods and systems for a generic multi-radio access technology
JP6085041B2 (ja) * 2013-02-07 2017-02-22 アイディーエーシー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指向性メッシュ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干渉測定および管理
CN104113851B (zh) * 2013-04-16 2019-04-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d2d发现方法及基站、用户设备
TW201509144A (zh) * 2013-05-08 2015-03-0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在長期進化(lte)系統中網路輔助干擾取消及/或抑制(naics)方法、系統及裝置
CN110830227B (zh) * 2013-07-04 2022-08-19 韩国电子通信研究院 用于多连接性的方法
WO2015006637A1 (en) * 2013-07-11 2015-01-15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s and procedures for scheduling to sector-edge and non-sector-edge station groups
EP3085141B1 (en) * 2013-12-18 2022-01-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Beamforming for coordinated multipoint communications
EP3116150B1 (en) * 2014-03-07 2021-05-1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ceiving discovery reference signal by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WO2015141970A1 (en) * 2014-03-17 2015-09-2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ran assistance information for cell chang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306686B2 (en) * 2014-05-02 2016-04-05 Macmillan New Ventures, LLC Audience response communication system
US9929839B2 (en) * 2014-08-08 2018-03-27 Futurewei Technologies, Inc. Device, network, and method for communications with fast adaptive transmission and reception
EP3187014B1 (en) * 2014-08-28 2019-11-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for communicating radiation pattern information and related network nodes and base stations
KR102263688B1 (ko) * 2014-10-07 2021-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른 무선 접속 기술을 이용한 다중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60119942A1 (en) * 2014-10-24 2016-04-2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aligning multiple radio access technologies
US9763189B2 (en) * 2014-11-21 2017-09-12 Qualcomm Incorporated Low power synchroniz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9544798B1 (en) * 2015-07-23 2017-01-10 Qualcomm Incorporated Profiling rogue access point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99918A1 (en) * 2009-11-20 2011-08-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assisting in network discovery
WO2013149189A1 (en) * 2012-03-30 2013-10-03 Intel Corporation Systems for communicating using multiple frequency bands in a wireless network
WO2013172755A1 (en) * 2012-05-15 2013-11-2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Device discovery of second user equipments in a second network for d2d communication
WO2014124237A1 (en) * 2013-02-07 2014-08-14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Long-range device discovery with directional transmissions
US20140293992A1 (en) * 2013-03-27 2014-10-02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synchronization within a neighborhood aware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219200B2 (en) 2019-02-26
US20160295502A1 (en) 2016-10-06
KR102305115B1 (ko) 2021-09-27
EP3278597B1 (en) 2020-02-26
CN107466484A (zh) 2017-12-12
CN107466484B (zh) 2020-11-17
EP3278597A4 (en) 2018-06-27
WO2016159643A1 (en) 2016-10-06
EP3278597A1 (en) 2018-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511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링크 설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1512669B (zh) Wlan分发网络中的多频带毫米波发现
EP3241283B1 (en) Fast association in millimeter wave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s
JP5073066B2 (ja) 無線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アソシエーションおよび再アソシエーションを実行するための構成
JP6219946B2 (ja) マルチロールデバイスのためのチャネルスキャン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CN105850179B (zh) 用于蜂窝协议中的选择性干扰协调的系统、方法和设备
CN113812208B (zh) 用于脱离模式的用户设备协调集合
US9560586B2 (en) Communication method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US9497691B2 (en) Communication method in wireless LAN system
CN107466090B (zh) 利用指针信号在可用信道中进行通信的接入点、无线终端、存储介质和方法
CN110115064A (zh) 标识用于接入无线切换的目标小区的波束
CN104170521A (zh) 小区内设备到设备通信的集中控制
US9756554B2 (en) Active scanning method in wireless LAN system
WO2008088186A1 (en)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out-of-band channels
JP2011514058A (ja) 高周波無線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全方向性通信および指向性通信の組み合わせ
WO2019091446A1 (zh) 无线通信系统中的装置和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20532247A (ja) マルチバンドミリメートル波ネットワークの発見
WO2022037706A1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JP2016015572A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09155959A (zh) 电子装置、信息处理设备和信息处理方法
US10051556B2 (en) Method for scanning for access point in wireless LAN system
US9301336B2 (en) Communication method in WLAN system
CN108347768B (zh) 前导资源分组方法、前导选择方法,网络设备及终端设备
US1009162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stablishing a personal basic service set (PBSS) over a wireless network to facilitate peer-to-peer group communication
US10986552B2 (en) Connection establishment in a 5G radio access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