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8477A - 적응가이드가 표시된 누진다초점 렌즈 - Google Patents

적응가이드가 표시된 누진다초점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8477A
KR20160118477A KR1020150046635A KR20150046635A KR20160118477A KR 20160118477 A KR20160118477 A KR 20160118477A KR 1020150046635 A KR1020150046635 A KR 1020150046635A KR 20150046635 A KR20150046635 A KR 20150046635A KR 20160118477 A KR20160118477 A KR 20160118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enter
center point
adaptive guide
guide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6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경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비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비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비츠
Priority to KR1020150046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8477A/ko
Publication of KR20160118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84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 G02C7/061Spectacle lenses with progressively varying focal power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12Locally varying refractive index, gradient index len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시선 집중 및 적응시간이 빠른 적응가이드가 표시된 누진다초점 렌즈가 개시된다. 상기 누진다초점 렌즈는 일 측면에 원용부가 형성되어 있고, 다른 측면에 근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누진다초점 렌즈에 있어서, 상기 원용부의 원용 광학중심점 및 상기 근용부의 근용 광학중심점의 적어도 하나를 둘러싸며, 내부에서는 보이고,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는 적응가이드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적응가이드가 표시된 누진다초점 렌즈{multifocal lenses is adapted guide is being displayed}
본 발명은 적응가이드가 표시된 누진다초점 렌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선 집중 및 적응시간이 빠른 적응가이드가 표시된 누진다초점 렌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 세계가 고령화 사회로 변하고 있는 추세에 따라 누진다초점 렌즈의 수요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누진다초점 렌즈는 근용도수 및 제조회사에 따라 저가부터 고가까지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중년층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수정체가 탄력을 잃게 되어 가까운 거리의 작은 글씨를 보거나 책 또는 신문 등을 볼 때 목적물을 눈에서 점점 멀리하여만 잘 보이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40대 초반부터 나타나는 눈의 노안 현상에서 기인하는 것으로서, 중년층들의 근거리 작업시 많은 불편함을 야기하고 있다. 일단 노안이 시작되면 근용안경을 사용해야 하지만, 볼 수 있는 거리가 한정되어 있고 근거리 이외에는 볼 수 없으며, 항상 근용안경을 휴대하고 다녀야만 하는 많은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근용안경에는 돋보기, 이중초점렌즈, 삼중초점렌즈, 누진다초점렌즈 등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이러한 종류들 중 누진다초점 렌즈는 위쪽 부분으로 먼 거리를, 가운데 부분으로 중간거리를, 아래 부분으로는 가까운 거리를 보도록 설계되어 있어 하나의 렌즈로 근거리 및 원거리 모두를 단지 시선을 이동함으로써 볼 수 있다는 편리함이 있으며, 누진다초점 렌즈를 사용하면 근용 안경(돋보기)을 항상 휴대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원용 안경 및 근용 안경, 즉 2 개 안경을 번갈아 써야만 하는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적응가이드가 있는 누진다초점 렌즈의 상면사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누진다초점 렌즈는 환자의 굴절력을 측정하고, 환자에게 맞는 렌즈가 주문 및 배송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안경테에 맞게 가공된다. 렌즈를 가공한 후에 렌즈에 표시되어 있는 원용 광학중심점(먼 곳을 보는 부분, 12), 근용 광학중심점(가까운 곳을 보는 부분, 16) 가이드 선은 사용자(착용자)에게 맞게 피팅(fitting) 후 알코올로 제거되어 시야가 확보되는 방식이다. 하지만 안경을 사용하다 보면 여러 원인에 의하여 처음 피팅된 상태가 아닌, 시선이 틀어진 상태로 안경을 착용하고 다니는 경우가 많아서, 특히 누진다초점 렌즈를 처음 사용하는 적응자의 경우, 계단을 올라가거나, 신문 등을 읽을 때 불편함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본에서는 적응가이드 형상의 스티커를 붙여 착용자의 적응을 돕지만, 외부에서 스티커가 보여 미관상 이미지가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습기에 의해 스티커가 쉽게 떨어지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누진다초점 렌즈를 제공함에 있어서, 시선가이드용 안내 표시를 렌즈에 표시해줌으로써, 사용자가 누진다초점 렌즈에 보다 쉽게 적응할 수 있어, 누진다초점 렌즈에 적응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적응가이드가 표시된 누진다초점 렌즈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 측면에 원용부가 형성되어 있고, 다른 측면에 근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누진다초점 렌즈에 있어서, 상기 원용부의 원용 광학중심점 및 상기 근용부의 근용 광학중심점의 적어도 하나를 둘러싸며, 내부에서는 보이고,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는 적응가이드가 형성되어 있는 누진다초점 렌즈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응가이드가 표시된 누진다초점 렌즈는 사용자의 시선 집중 및 적응시간이 절감되고, 적응 가이드가 사용자에게만 보여 미관상 우수하다.
도 1은 통상적인 적응가이드가 있는 누진다초점 렌즈의 상면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누진다초점 렌즈의 내측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누진다초점 렌즈 적응가이드의 다양한 예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누진다초점 렌즈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누진다초점 렌즈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내부에서 바라본 도면(a) 및 외부에서 바라본 도면(b).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누진다초점 렌즈의 내측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누진다초점 렌즈(20)는 착용자의 시선 집중 및 적응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것으로써, 원용부(24), 근용부(28) 및 적응가이드(32)를 포함하고, 누진부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용부(24)는 상기 누진다초점 렌즈(20)의 일 측면에 위치하는 원용 광학중심점(36)의 주위에 형성되어, 원거리를 보기 위한 영역(far vision viewing portion)을 말하고, 상기 근용부(28)는 상기 누진다초점 렌즈(20)의 다른 측면에 위치하는 근용 광학중심점(42)의 주위에 형성되어 근거리를 보기 위한 영역(near vision viewing portion)을 말하며, 상기 누진부는 중간거리를 보기 위한 영역으로써, 상기 중간거리는 대략적으로 50 내지 200 cm이고, 상기 원거리는 이보다 먼거리를, 근거리는 이보다 가까운 거리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은데, 예를 들면, 시력검사시 원용 시력은 착용자와의 거리가 500 cm 이상인 곳에 시표를 두고 검사하고, 근용 시력은 착용자와의 거리가 40 cm인 곳에 시표를 두고 검사하기도 하지만, 상기 원거리 및 근거리에 대한 확실한 정의는 존재하지 않는다. 상기 누진다초점 렌즈(20)를 착용하는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눈동자의 위치 및 방향을 원용부(24), 누진부, 근용부(28) 중 어느 한 곳을 선택적으로 결정함으로써, 근거리에서 원거리까지의 다양한 시계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적응가이드(32)는 원시, 근시 등의 시력 타입에 따라 다양하게 표시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착용자가 원거리 및 근거리를 바라볼 때, 어느 곳으로 통하여 봐야 하는지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써, 렌즈(22) 내측(안구측) 표면상에 원용부(24)의 원용 광학중심점(36) 및 근용부(28)의 근용 광학중심점(42)의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광학중심점을 둘러싸서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서는 보여 착용자가 어디를 통하여 봐야 하는지 가이드할 수 있고,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아 미관상 결함이 없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누진다초점 렌즈 적응가이드의 다양한 예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응가이드(32)의 형상은 상기 원용 광학중심점(36) 및 근용 광학중심점(42)을 표시할 수 있으면 형상은 무관하나, 바람직하게는 원용 광학중심점(36) 및 근용 광학중심점(42)을 부분적으로 둘러싸서 나누는 직선 또는 점선의 형상(a), 원용 광학중심점(36) 및/또는 근용 광학중심점(42)을 둘러싸는 도넛(doughnut) 형상(b, c), 원용 광학중심점(36) 및/또는 근용 광학중심점(42)을 점선으로 둘러싸는 형상(d), 원용 광학중심점(36) 및/또는 근용 광학중심점(42)을 둘러싸는 사각형의 형상(e), 원용 광학중심점(36) 및/또는 근용 광학중심점(42)을 좌상측, 우상측, 좌하측 및 우하측에 직각의 형태로 둘러싸고 있는 형상(f), 원용 광학중심점(36) 및/또는 근용 광학중심점(42)의 상하좌우를 바(bar)의 형태로 둘러싸고 있는 형상(g), 원용 광학중심점(36) 및/또는 근용 광학중심점(42)의 상하좌우에서 삼각형을 이용하여 둘러싸고, 상기 삼각형의 꼭지점을 이용하여 광학중심점(36, 42)을 표시하는 형상(h), 원용 광학중심점(36) 및/또는 근용 광학중심점(42)을 화살표를 이용하여 표시하는 형상(i) 등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누진다초점 렌즈의 측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누진다초점 렌즈는 상기 적응가이드(32)를 요철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적응가이드(32)를 요철(32a, 32b)을 이용하여 형성할 경우, 상기 요철(32a, 32b)은 착용자의 내측 원용부 및/또는 근용부의 주위를 둘러싸서 형성된 오목부(32a)와 볼록부(32b)로 형성되며, 오목부(32a)는 곡률반경(radius of curvature) R을 가지고 볼록부(32b)는 곡률반경 r을 갖는다. 이때, 상기 오목부(32a) 및 볼록부(32b)의 곡률 반경은 R > r 의 관계, 바람직하게는 상기 볼록부(32b)의 곡률반경 r은 0 이고, 상기 오목부(32a)만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형태를 갖는다. 상기 볼록부(32b)의 곡률 반경이 너무 크면, 상기 적응가이드(32)는 물결의 형상일 수 있고, 상기 적응가이드(32)가 물결의 형상이면, 후술되는 빛의 산란 효과가 나타나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요철(32a, 32b)을 렌즈(22)의 내측에 형성하기 위해서는 특히 형성되는 적응가이드(32)의 오목부(32a) 및 볼록부(32b)의 곡률반경 R, r을 정확히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상기 적응가이드(32)는 금형을 이용하는 방법, 샌드 블라스팅(sand blasting)을 이용하는 기계적 방법, 에칭(etching)과 같은 화학적 방법 및 레이저 빔 가공방법 등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요철을 이용하여 적응가이드(32)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요철(32a, 32b)이 렌즈의 내측에 형성시키는 것이므로 주위의 환경, 예를 들면 비, 눈 등에 오염이 되어도 닦아내면 오염물이 제거되어, 반 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금형을 이용하는 방법은 초기 금형 제작 비용이 많이 소요되지만, 대량 생산이 가능한 이점이 있고, 상기 샌드 블라스팅은 콤프레셔의 강한 공기압력으로 실리카 샌드(silica sand) 또는 미세하고 단단한 입자상의 연마제를 렌즈 표면에 분사하여 표면을 불투명하게 하는 기법이며, 상기 에칭에 의한 방법은 렌즈가 플루오르화수소(hydrogen fluoride)에 부식되는 성질을 이용하여 화학적인 처리과정을 거쳐 렌즈 표면에 요철을 형성시키는 기법이고, 상기 레이저 빔에 의한 방법은 레이저 마커의 컨트롤러에 입력되는 파워값에 의하여 평탄한 표면의 피가공물에 대해서는 균일한 요철면을 형성하는 기법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누진다초점 렌즈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내부에서 바라본 도면(a) 및 외부에서 바라본 도면(b)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누진다초점 렌즈(20)는 적응가이드(32)가 요철(32a, 32b)의 형상으로 형성되었을 경우, 착용자의 안구 상(48)은 적응가이드(32)로부터 짧은 거리에 위치하기 때문에 착용자의 안구 상(48)으로부터 나오는 빛은 렌즈(20)의 적응가이드(32)를 통과할 때, 일정각의 범위내에서는 적응가이드(32)의 오목부(28a) 곡면의 접선면에 대하여 거의 수직으로 입사한다. 즉, 입사각이 0에 가까울 만큼 작아서 굴절이 작게 일어나기 때문에 거의 직진하게 된다. 따라서, 적응가이드(32)로부터 먼 거리에 있는 외부에서 렌즈(20)를 보는 경우, 적응 가이드(32)를 통과하는 빛은 굴절되지 않기 때문에 산란이 되지 않고, 외부에서는 적응가이드(32)를 볼 수 없어 정상적인 안경으로 보인다.
반면에, 외부 물체의 상은 적응가이드(32)로부터 먼 거리에 위치하기 때문에 평행광선의 형태로 진행되어 렌즈(20)를 통과하게 된다.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빛은 렌즈(20)의 적응가이드(32)를 통과할 때, 여러 입사각으로 나뉘어 굴절되는데, 그 때문에 빛은 불규칙하게 산란된다. 따라서, 렌즈(20)의 적응가이드(32)를 통과하지 않은 빛은 굴절되지 않기 때문에 산란되지 않아 착용자가 정상적으로 외부를 볼 수 있고, 렌즈(20)의 적응가이드(32)를 통과하는 빛은 굴절을 일으키기 때문에 산란되어 착용자의 눈에는 불투명하게 나타나 착용자는 적응가이드를 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누진다초점 렌즈는 노안이 발생하는 성인들 뿐만 아니라, 어린이용 렌즈 등에 이용할 경우, 안경을 착용하는 아이들의 시선집중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하기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7)

  1. 일 측면에 원용부가 형성되어 있고, 다른 측면에 근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누진다초점 렌즈에 있어서,
    상기 원용부의 원용 광학중심점 및 상기 근용부의 근용 광학중심점의 적어도 하나를 둘러싸며, 내부에서는 보이고,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는 적응가이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누진다초점 렌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가이드는 원용 광학중심점 및/또는 근용 광학중심점을 둘러싸는 도넛 형상을 가지는 것인, 누진다초점 렌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가이드는 원용 광학중심점 및/또는 근용 광학중심점의 상하좌우에 위치한 바(BAR)의 형태를 가지는 것인, 누진다초점 렌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가이드는 원용 광학중심점 및/또는 근용 광학중심점을 둘러싸는 점선의 형태를 가지는 것인, 누진다초점 렌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가이드는 상기 원용부의 원용 광학중심점 및 상기 근용부의 근용 광학중심점을 둘러싸서 형성되어 있는 것인, 누진다초점 렌즈.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가이드는 오목부 및 볼록부가 연속되어 형성되어있는 요철 형상이고, 외부로부터 평행하게 들어오는 빛은 상기 요철을 통과하면서 산란되어 불투명하게 보여 내부에서는 적응가이드를 볼 수 있고, 내부로부터 나가는 빛은 상기 요철에 수직으로 통과하여 빛의 굴절이 없어 외부에서는 적응가이드를 볼 수 없는 것인, 누진다초점 렌즈,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곡률반경 R을 가지고, 상기 볼록부는 곡률반경 r을 가지며, 상기 오목부 및 볼록부의 곡률반경은 R > r의 관계를 가지는 것인, 누진다초점 렌즈.
KR1020150046635A 2015-04-02 2015-04-02 적응가이드가 표시된 누진다초점 렌즈 KR201601184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635A KR20160118477A (ko) 2015-04-02 2015-04-02 적응가이드가 표시된 누진다초점 렌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635A KR20160118477A (ko) 2015-04-02 2015-04-02 적응가이드가 표시된 누진다초점 렌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477A true KR20160118477A (ko) 2016-10-12

Family

ID=57173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6635A KR20160118477A (ko) 2015-04-02 2015-04-02 적응가이드가 표시된 누진다초점 렌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847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61166B1 (en) Single vision lenses
US10989932B2 (en) Progressive spectacle lens having a variable refractive index and method for the design and production thereof
KR102263497B1 (ko) 적어도 하나의 광학 렌즈 및 안경 프레임을 포함하는 광학 장비를 결정하는 방법
WO2014097853A1 (ja) 眼鏡レンズ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CA2471193A1 (en) Multifocal ophthalmic lenses
CA3040466C (en) Reduced distortion spectacle lens
JP5115364B2 (ja) 眼鏡レンズの傾き角算出方法、眼鏡、眼鏡の製造方法
WO1989004987A1 (en) Multi-focal lens equipped with small progressive-focal lens
KR20160118477A (ko) 적응가이드가 표시된 누진다초점 렌즈
JPS5988718A (ja) 眼の輻輳を考慮した累進焦点眼鏡レンズ
US6322215B1 (en) Non-progressive trifocal ophthalmic lens
KR102588915B1 (ko) 비-처방 안과 렌즈의 선택 차트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TW201350315A (zh) 用以製造用於安全眼鏡的雙目鏡之方法與裝置
WO2023166822A1 (ja) 眼鏡レンズ、眼鏡レンズの製造方法、眼鏡レンズの設計方法、眼鏡及び眼鏡の製造方法
CN220367491U (zh) 旨在由配戴者配戴的光学镜片
JP2017530395A (ja) 眼鏡レンズ、及び眼鏡レンズを決定する方法
CN117957480A (zh) 隐形边缘镜片
AU727930B2 (en) Improved single vision lenses
JP2001004963A (ja) 回旋角が一定な累進多焦点レンズおよびセミフィニッシュトレンズブランクおよび製造方法
Garner Optical Requirements for Personal Eye Protectors
JPH0572503A (ja) 累進焦点レン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