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7848A - 프리즘판, 이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및 프리즘판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프리즘판, 이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및 프리즘판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7848A
KR20160117848A KR1020150045665A KR20150045665A KR20160117848A KR 20160117848 A KR20160117848 A KR 20160117848A KR 1020150045665 A KR1020150045665 A KR 1020150045665A KR 20150045665 A KR20150045665 A KR 20150045665A KR 20160117848 A KR20160117848 A KR 20160117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ilm
prisms
prism
plat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5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4030B1 (ko
Inventor
이강우
김유라
신명주
정승환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45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4030B1/ko
Priority to US15/019,348 priority patent/US10078172B2/en
Publication of KR20160117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7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4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4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56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arranged along two different directions in a plane, e.g. honeycomb arrangement of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 G02B5/045Prism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3Prismatic sheet or layer; Brightness enhancement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1Diffusing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6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for producing polarisation effects, e.g. by a surface with polarizing properties or by an additional polarizing elements
    • G02F2001/133607

Abstract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한다.
백라이트 유닛은 프리즘판을 포함한다. 프리즘판은 베이스 필름 및 복수 개의 프리즘들을 포함한다. 베이스 필름은 도광판 상에 배치되어 프리즘들이 도광판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프리즘들은 베이스 필름 상에 배치된다. 프리즘들 각각을 두께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의 형상은 2개의 밑각들 각각이 둔각인 등본 사다리꼴이다. 프리즘들은 도광판에서 방출되는 빛을 집광한다.

Description

프리즘판, 이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및 프리즘판 제조방법{PRISM PLAT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RISM PLATE}
본 발명은 프리즘판, 이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및 상기 프리즘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장치와 같은 비 발광형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이 자체적으로 발광하지 못하기 때문에, 표시패널에 광을 공급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 된 광을 상기 표시 패널 측으로 가이드하는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으로부터 출사된 광의 경로를 제어하는 광학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최근 표시장치의 해상도는 1920×1080의 해상도를 제공하는 FHD(Full High Definition)에서 7680 X 4320의 해상도(8K) 또는 3840 x 2160의 해상도(4K)를 제공하는 UHD(Ultra High Definition)로 높아지는 등 표시장치의 해상도는 점점 더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픽셀의 크기가 작아져서 표시화면의 휘도가 작아진다.
커브드 표시장치에서는 시야각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 편광부재 등을 사용하는데, 이로 인해서도 표시화면의 휘도가 작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고집광 백라이트 유닛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원 발명은 표시패널에 고집광 된 광을 제공할 수 있는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 도광판, 및 프리즘판을 포함한다. 상기 도광판은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 된 광을 상기 표시 패널 측으로 가이드한다.
상기 프리즘판은 베이스 필름 및 복수 개의 프리즘들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필름은 상기 도광판 상에 배치된다. 상기 복수 개의 프리즘들은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배치된다. 상기 복수 개의 프리즘들 각각을 두께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의 형상은 2개의 밑각들 각각이 둔각인 사다리꼴이다.
상기 사다리꼴은 등변 사다리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개의 밑각들 각각의 크기는 하기 [식 1]을 만족한다.
[식 1]
Figure pat00001
(여기서,
Figure pat00002
는 상기 베이스 필름의 굴절율,
Figure pat00003
은 상기 프리즘판의 굴절율,
Figure pat00004
는 상기 베이스 필름에 입사되는 광의 입사각,
Figure pat00005
는 상기 복수 개의 프리즘들 각각에서 출사되는 빛의 출사각을 의미함.)
상기 베이스 필름에 입사되는 광의 입사각(
Figure pat00006
)은
Figure pat00007
라디안이고, 상기 복수 개의 프리즘들 각각에서 출사되는 빛의 출사각(
Figure pat00008
)은 0 라디안 일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프리즘들 각각의 굴절율은 1.45 내지 1.65이고, 상기 베이스 필름의 귤절율은 1.51 내지 1.71일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프리즘들 각각의 굴절율은 상기 베이스 필름의 굴절율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다리꼴의 아랫변(lower base)의 길이는 상기 사다리꼴의 윗변(upper side)의 길이의 0.3배 내지 0.7배 일 수 있다. 상기 윗변의 길이는 45um 내지 55u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프리즘판과 표시패널 사이에 확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산판은 편광부재 및 렌즈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렌즈부재는 상기 편광부재 상에 배치된다. 상기 렌즈부재는 각각이 볼록한 렌즈면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확산패턴들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 개의 확산패턴들 각각의 밑변의 길이는 9um 내지 11u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렌즈부재의 굴절율은 1.43 내지 1.63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패널에는 일 방향축을 따라 커브 된 표시면이 정의된다. 상기 도광판은 상기 일 방향축을 따라 커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즘판 제조방법은 제1 베이스 필름 상에 제1 접착력을 가지는 제1 접착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접착부재 상에 두께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의 형상은 2개의 밑각들 각각이 예각인 등변 사다리꼴인 복수 개의 프리즘들을 포함하는 프리즘 층을 형성하는 단계, 제2 베이스 필름 상에 상기 제1 접착력보다 큰 제2 접착력을 가지는 제2 접착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프리즘 층을 상기 제2 접착부재와 접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접착부재와 상기 프리즘 층을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사된 빛의 집광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프리즘판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리즘판의 복수 개의 프리즘들에 의한 도광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II-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AA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광도를 비교 실시예에 따른 집광도과 비교하여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프리즘판의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8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즘판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즘판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장치(DD)는 표시패널(100), 확산판(200), 백라이트 유닛(300), 및 커버부재(400-B, 400-T)를 포함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표시장치(DD)는 표시패널(100) 또는 확산판(200)을 지지하는 몰드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장치(DD)는 기준점(CC)을 중심으로 소정의 곡률과 소정의 곡률반경(R-D)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표시장치(DD)는 곡면의 표시면(DS)을 포함한다. 실질적으로 표시면(DS)은 표시패널(100)으로부터 제공된다. 곡률반경(R-D)은 표시면(DS)으로부터 측정된다. 예컨대, 65인치 표시장치(DD)는 약 4000mm의 곡률반경(R-D)을 가질 수 있다. 표시장치(DD)의 곡률 및 곡률반경(R-D)은 표시패널(100)의 곡률 및 곡률반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단, 표시장치(DD)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커브 되지 않은 플랫한 표시면을 제공할 수 있다.
밴딩되기 이전의 평평한 표시면(DS)은 제1 방향축(DR1)과 제2 방향축(DR2)에 의해 정의되고, 표시패널(100)의 두께 방향은 제3 방향축(DR3)으로 정의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표시패널(100)은 영상을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100)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별도의 광원이 필요한 비발광형, 즉 반사/투과형 또는 투과형 표시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표시패널(100)은 액정 표시패널로 설명된다.
표시패널(100)은 제1 기판(110), 제1 기판(110)과 마주하는 제2 기판(120), 및 그 사이에 배치된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액정층은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20) 사이에 형성된 전계에 따라 배열 상태가 변경되는 복수의 액정 분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표시패널(100)의 상부 및 하부에는 한 쌍의 편광판(미도시)이 배치된다.
표시패널(100)은 제1 방향축(DR1)을 따라 오목한 형태로 커브될 수 있다. 표시패널(100)은 유연한 재료로 형성된 플랫한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20)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표시패널(100)은 소정의 곡률로 밴딩된 후, 밴딩된 상태로 커버부재(400-B, 400-T)에 고정 및/또는 결합될 수 있다. 커버부재(400-B, 400-T)는 평평한 상태로 되돌아 가려는 표시패널(100)을 지지한다. 즉, 표시장치(DD)의 곡률은 커버부재(400-B, 400-T)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리지드(rigid)한 재료로 형성된 커브된 제1 기판(110) 및 커브된 제2 기판(120)을 이용하여 표시패널(100) 자체가 커브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단, 표시패널(100)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커브되지 않은 플랫한 형태일 수 있다.
확산판(200)은 제3 방향축(DR3) 상에서 표시패널(100)과 백라이트 유닛(300) 사이에 배치된다. 확산판(200)은 백라이트 유닛(300)으로부터 수신된 광의 특성을 향상시켜 표시패널(100)에 제공한다. 확산판(200)은 입사된 광을 균일하게 확산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확산판(200)은 소정의 곡률 및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다. 확산판(200)의 곡률 및 곡률반경은 표시패널(100)의 곡률 및 곡률반경(R-D)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단, 확산판(20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패널(100)과 백라이트 유닛(300) 사이에 플랫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확산판(200)은 생략될 수도 있다.
백라이트 유닛(300)은 광원(310), 도광판(320), 반사부재(330), 및 프리즘판(340)을 포함한다.
광원(310)으로부터 방출된 광은 도광판(320)으로 입사된다. 광원(310)은 복수 개의 발광다이오드 패키지들(311) 및 인쇄회로기판(312)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다이오드 패키지들(311)은 인쇄회로기판(312)에 실장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발광다이오드 패키지들(311)은 도광판(320)의 일 측부를 따라 배열되나, 본 발명의 발광다이오드 패키지들(311)의 위치 및 개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광판(320)은 광원(310)에서 발생된 광을 표시패널(100) 쪽으로 유도한다. 도광판(320)은 입사면(미도시), 대향면(미도시), 및 출사면(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입사면은 광원(310)으로부터 광이 입사되는 면이다. 출사면은 광을 표시패널(100) 쪽으로 출사시키는 면이다. 대향면은 출사면에 대향하는 배면이다. 도광판(320)의 출사면과 대향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광을 산란시키는 산란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도광판(320)은 광원(310)으로부터 입사면으로 조사된 빛을 평면광으로 바꾸어 출사면을 통해 표시패널(100)로 가이드 한다.
반사부재(330)는 도광판(320)의 대향면과 인접하게 배치된다. 반사부재(330)는 도광판(320)의 대향면을 통해 출광된 광을 반사시킨다. 반사부재(330)에 의해 반사된 광은 도광판(320)으로 다시 입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반사부재(330)는 수 마이크로미터 내지 수백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를 갖는 시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반사부재(330)는 도광판(320)의 바닥면 상에 코팅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프리즘판(340)은 도광판(320) 상에 배치된다. 프리즘판(340)은 도광판(320)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집광한다. 프리즘판(340)에 의해 집광된 광은 제3 방향축(DR3)과 평행한 방향으로 향하게 된다.
프리즘판(340)은 베이스 필름(341, 도 4 참조) 및 복수 개의 프리즘들(342, 도 4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4 내지 도 5b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광판(320)은 소정의 곡률 및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다. 도광판(320)의 곡률 및 곡률반경은 표시패널(100)의 곡률 및 곡률반경(R-D)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커버부재(400-B, 400-T)는 바텀 커버(400-B)와 탑 커버(400-T)를 포함한다. 결합된 바텀 커버(400-B)와 탑 커버(400-T)는 표시장치(DD)의 커브드된 형상을 유지시킨다. 바텀 커버(400-B)와 탑 커버(400-T) 각각은 사출/압출 성형된 일체형의 샤시 또는 플라스틱 몰드이거나, 서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재(400-B, 400-T)는 상술한 표시패널(100), 확산판(200), 및 백라이트 유닛(300)을 보호한다. 개구부(OP-400)는 표시패널의 전면(front surface)을 노출시켜 표시면(DS)을 정의한다.
바텀 커버(400-B)는 바닥부(400-BP)와 바닥부(400-BP)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측벽(400-SW)을 포함한다. 바닥부(400-BP)는 오목한 형태로 커브될 수 있다. 측벽(400-SW)의 상단부에는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측벽(400-SW)의 단차에 의해 확산판(200)의 가장자리들이 지지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산판(200)을 설명한다.
확산판(200)은 편광부재(210) 및 렌즈부재(220)을 포함한다. 렌즈부재(220)는 편광부재(210) 상에 배치된다. 렌즈부재(220)는 제3 방향축(DR3)과 나란한 두께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의 모양이 볼록한 곡선 모양은 복수 개의 확산패턴들(DFP)을 포함한다.
편광부재(210)는 프리즘판(340)로부터 집광되어 방출된 광을 일 방향으로 편광시킨다. 편광부재(210)를 통과한 광은 렌즈부재(220)의 확산패턴들(DFP)에 의해 확산된다.
복수 개의 확산패턴들(DFP) 각각의 밑변의 길이(PL)는 9um 내지 11um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확산패턴들(DFP) 각각의 밑변의 길이(PL)는 10um일 수 있다. 또한, 렌즈부재(220)의 굴절율은 1.43 내지 1.63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치범위들을 만족시키는 경우, 확산판(200)에 입사된 광은 균일하게 확산되면서 출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확산판(200)을 사용하는 경우, UHD(Ultra High Definition)급 디스플레이 또는 커브드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화면의 시인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확산판(200)을 사용하는 경우, 표시장치(DD)의 휘도 저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고집광 된 빛을 방출할 수 있는 백라이트 유닛(300)이 필요하다.
도 4는 도 2의 II-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AA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5b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즘판(340)을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프리즘판(340)은 베이스 필름(341) 및 복수 개의 프리즘들(342)를 포함한다.
베이스 필름(341)은 프리즘들(342)이 도광판(320, 도 2 참조)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프리즘들(342)에 의해 도광판(320, 도 2 참조)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베이스 필름(341)은 폴리에틸렌 프탈레이트(Polyethylene phthalate)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프리즘들(342)은 베이스 필름(341) 상에 배치된다. 프리즘들(342)는 합성수지(resin)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프리즘들(342) 각각을 제3 방향축(DR3)과 평행한 두께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의 형상은 2개의 밑각들 각각이 둔각인 사다리꼴이다. 즉, 사다리꼴의 윗변의 길이(TZL1)는 아랫변의 길이(TZL2) 보다 길다.
상기 사다리꼴은 등변 사다리꼴일 수 있다. 이 경우, 두 밑각의 크기는 같다. 프리즘들(342) 각각의 단면이 이와 같은 등변 사다리꼴 형상을 포함하는 경우, 프리즘판(340)은 하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용이하게 집광하여 상부로 출광시킬 수 있다.
밑각의 크기 아랫변의 길이(TZL2) / 윗변의 길이(TZL1) 휘도(nit)

110도
0.1 7699
0.3 16588
0.5 16621
0.7 10355
0.9 4319
[표 1]은 사다리꼴의 밑각의 크기가 110도 일 때, 아랫변의 길이(TZL2)와 윗변의 길이(TZL1)의 비율에 따른 휘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표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사다리꼴의 아랫변의 길이(TZL2)가 윗변의 길이(TZL1)의 0.3배 내지 0.7배인 경우 휘도값이 높다. 따라서, 사다리꼴의 아랫변의 길이(TZL2)는 윗변의 길이(TZL1)의 0.3배 내지 0.7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사다리꼴의 윗변의 길이(TZL1)는 45um 내지 55um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다리꼴의 윗변의 길이(TZL1)는 50um일 수 있다. 사다리꼴의 윗변의 길이(TZL1)가 상기 범위보다 큰 경우, 그 크기에 의해 표시장치의 사용자의 눈에 프리즘들(342)이 시인되어 표시품질이 나빠질 수 있다. 반대로, 사다리꼴의 윗변의 길이(TZL1)가 상기 범위보다 작은 경우, 프리즘들(342)과 표시장치의 화소들 간의 공간 주파수(spatial frequency)의 차이에 의해 모아레(moire) 무늬가 발생하여 표시품질이 나빠질 수 있다.
도 5b에는, 프리즘판(340)에 입사된 입사광(LI)이 프리즘판(340)을 통과하여 출사되는 출사광(LO)이 되기까지의 광경로가 화살표로 도시되어 있다.
광경로의 변화는 베이스 필름(341)의 굴절율과 프리즘(342)의 굴절율의 차이에 의해 발생한다. 베이스 필름(341)의 굴절율은 1.51 내지 1.71일 수 있다. 프리즘들(342) 각각의 굴절율은 1.45 내지 1.65일 수 있다. 프리즘들(342) 각각의 굴절율은 베이스 필름(341)의 굴절율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 필름(341)의 굴절율과 프리즘(342)의 굴절율이 상기 범위 및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프리즘판(340)에 입사된 빛은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은 광경로를 갖게 된다.
베이스 필름의 굴절율을
Figure pat00009
, 프리즘판의 굴절율을
Figure pat00010
, 베이스 필름에 입사되는 광의 입사각을
Figure pat00011
, 복수 개의 프리즘들 각각에서 출사되는 빛의 출사각을
Figure pat00012
라 하는 경우,
Figure pat00013
와의 관계는 하기의 [수학식 1]과 같다.
[수학식 1]
Figure pat00014

상기 [수학식 1]을
Figure pat00015
에 관하여 정리하면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된다.
[수학식 2]
Figure pat00016

등변 사다리꼴에서
Figure pat00017
Figure pat00018
의 합은
Figure pat00019
라디안이므로,
Figure pat00020
이다. 이와 같은 관계식을 토대로
Figure pat00021
을 구하면 하기 [수학식 3]과 같다.
[수학식 3]
Figure pat00022

[수학식 1]을 참조하면, 예를들어,
Figure pat00023
가 약
Figure pat00024
라디안,
Figure pat00025
이 약 1.51,
Figure pat00026
이 약 1.57이고,
Figure pat00027
이 약
Figure pat00028
라디안인 경우
Figure pat00029
는 0 라디안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3]을 참고하여 베이스 필름의 굴절율, 프리즘판의 굴절율, 입사광(LI)의 입사각(
Figure pat00030
), 및
Figure pat00031
의 크기를 조절하면 출사광(LO)의 출사각(
Figure pat00032
)을 조절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광도를 비교 실시예에 따른 집광도과 비교하여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그래프(GP1, 이하 제1 그래프), 제1 비교 실시예에 대한 그래프(GP2, 이하 제2 그래프), 제2 비교 실시예에 대한 그래프(GP3, 이하 제3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서는 상기 실시예들 각각에서 방출되는 빛의 휘도의 최고값이 1이라고 가정하고 서로 상대적인 그래프 형태를 비교하였다.
제1 그래프(GP1)는 제1 집광폭(VA1)을 갖고, 제2 그래프(GP2)는 제2 집광폭(VA2)를 가지며, 제3 그래프(GP3)은 제3 집광폭(VA3)을 갖는다. 제1 내지 제3 집광폭(VA1, VA2, VA3)은 광이 얼마나 집약되게 방출되는지를 나타낸다. 집광폭(VA1, VA2, VA3)이 좁을수록, 프리즘판(340, 도 5b 참고)에서 출사되는 출사광(LO, 도 5b 참고)의 집광정도가 높음을 나타낸다.
제1 집광폭(VA1)은 제2 집광폭(VA2) 및 제3 집광폭(VA3) 보다 작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비교 실시예들에 비하여 집광도가 높다. 이렇게 고집광된 광을 통해 백라이트 유닛(300, 도 2 참조)의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프리즘판의 단면도이다.
프리즘판(340) 상에는 보조 프리즘판(350)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보조 프리즘판(350)은 프리즘판(340)과 같은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보조 프리즘판(350)의 굴절율은 프리즘판(340)의 굴절율과 같을 수 있다. 보조 프리즘판(350)은 프리즘판(340)과 일체의 형상일 수 있다.
도 8a 내지 8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즘판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즘판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도 8a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프리즘판(340)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8a 및 도 9를 참조하면, 프리즘판(340)의 제조방법은 제1 베이스 필름(BS1) 상에 제1 접착부재(AD1)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접착부재(AD1)는 제1 접착력을 가진다.
도 8b 및 도 9를 참조하면, 프리즘판(340)의 제조방법은 제1 접착부재(AD1) 상에 프리즘층(PRL)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단계를 통해서 제1 조립부재(AS1)가 형성된다. 제1 조립부재(AS1)는 제1 베이스 필름(BS1), 제1 접착부재(AD1), 및 프리즘층(PRL)을 포함한다.
프리즘층(PRL)은 복수 개의 프리즘들(PR)을 포함한다. 프리즘들(PR) 각각을 두께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의 형상은 2개의 밑각들 각각이 예각인 사다리꼴이다. 상기 사다리꼴은 등변 사다리꼴임이 바람직하다.
제1 접착부재(AD1)는 성질이 서로 다른 제1 베이스 필름(BS1)과 프리즘층(PRL)을 접착시킨다. 제1 베이스 필름(BS1)과 프리즘층(PRL)은 프라이머(primer) 처리를 통해 부착될 수 있다. 프라이머 처리를 통해 제1 베이스 필름(BS1)과 프리즘층(PRL) 간의 부착력을 낮출수 있다. 제1 베이스 필름(BS1)과 프리즘층(PRL) 간의 부착력이 낮아야 하는 이유는 이후 제조 단계에서 제1 베이스 필름(BS1)과 프리즘층(PRL)을 분리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도 8c 및 도 9를 참조하면, 프리즘판(340)의 제조방법은 제2 베이스 필름(BS2) 상에 제2 접착부재(AD2)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단계를 통해서 제2 조립부재(AS2)가 형성된다. 제2 조립부재(AS2)는 제2 베이스 필름(BS2) 및 제2 접착부재(AD2)를 포함한다. 제2 접착부재(AD2)는 제2 접착력을 가진다. 제2 접착력은 제1 접착력보다 크다.
도 8d 및 도 9를 참조하면, 프리즘판(340)의 제조방법은 프리즘층(PRL)을 제2 접착부재(AD2)와 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즉, 제1 조립부재(AS1)와 제2 조립부재(AS2)를 접착시키는 것이다.
도 8e 및 도 9를 참조하면, 프리즘판(340)의 제조방법은 제1 접착부재(AD1)와 프리즘층(PRL)을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접착력은 제1 접착력보다 크기 때문에, 제1 접착부재(AD1)와 프리즘층(PRL)을 분리시키는 단계에서 프리즘층(PRL)이 제2 접착부재(AD2) 또는 제2 베이스 필름(BS2)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접착부재(AD1)와 프리즘층(PRL)을 분리시키면, 제2 베이스 필름(BS2), 제2 접착부재(AD2), 및 프리즘층(PRL)을 포함하는 결합체가 형성된다. 이는 도 4에 도시된 프리즘판(34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프리즘층(PRL)에 포함된 프리즘들(PR)의 특징에 대한 내용은 도 5a, 도 5b, 및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DD: 표시장치 100: 표시패널
200: 확산판 300: 백라이트 유닛
400-B: 바텀 커버 400-T: 탑 커버
310: 광원 320: 도광판
330: 반사부재 340: 프리즘판
341: 베이스 필름 342: 프리즘

Claims (20)

  1.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 된 광을 상기 표시 패널 측으로 가이드하는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 상에 배치되는 베이스 필름 및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프리즘들을 포함하는 프리즘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프리즘들 각각을 두께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의 형상은 2개의 밑각들 각각이 둔각인 사다리꼴인 표시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꼴은 등변 사다리꼴인 표시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밑각들(
    Figure pat00033
    ) 각각의 크기는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표시장치.
    [식 1]
    Figure pat00034

    (여기서,
    Figure pat00035
    은 상기 베이스 필름의 굴절율,
    Figure pat00036
    은 상기 프리즘판의 굴절율,
    Figure pat00037
    는 상기 베이스 필름에 입사되는 광의 입사각,
    Figure pat00038
    는 상기 복수 개의 프리즘들 각각에서 출사되는 빛의 출사각을 의미함.)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에 입사되는 광의 입사각(
    Figure pat00039
    )은
    Figure pat00040
    라디안이고, 상기 복수 개의 프리즘들 각각에서 출사되는 빛의 출사각(
    Figure pat00041
    )은 0 라디안인 표시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프리즘들 각각의 굴절율은 1.45 내지 1.65이고,
    상기 베이스 필름의 귤절율은 1.51 내지 1.71인 표시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프리즘들 각각의 굴절율은 상기 베이스 필름의 굴절율보다 작은 표시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꼴의 아랫변(lower base)의 길이는 상기 사다리꼴의 윗변(upper side)의 길이의 0.3배 내지 0.7배인 표시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윗변의 길이는 45um 내지 55um인 표시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판 상에 보조 프리즘판이 배치된 표시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프리즘판과 상기 프리즘판은 일체의 형상인 표시장치.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판과 상기 표시패널 사이에 확산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확산판은,
    편광부재; 및
    상기 편광부재 상에 배치되며, 각각이 볼록한 렌즈면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확산패턴들을 포함하는 렌즈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확산패턴들 각각의 밑변의 길이는 9um 내지 11um인 표시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재의 굴절울은 1.43 내지 1.63인 표시장치.
  14.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에는 일 방향축을 따라 커브 된 표시면이 정의되는 표시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상기 일 방향축을 따라 커브 된 표시장치.
  16. 베이스 필름; 및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프리즘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프리즘들 각각을 두께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의 형상은 2개의 밑각들 각각이 둔각인 등변 사다리꼴 모양인 프리즘판.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프리즘들 각각의 굴절율은 1.45 내지 1.65이고,
    상기 베이스 필름의 귤절율은 1.51 내지 1.71인 프리즘판.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꼴의 아랫변(lower base)의 길이는 상기 사다리꼴의 윗변(upper side)의 길이의 0.3배 내지 0.7배인 프리즘판.
  19. 제1 베이스 필름 상에 제1 접착력을 가지는 제1 접착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접착부재 상에 두께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의 형상은 2개의 밑각들 각각이 예각인 등변 사다리꼴인 복수 개의 프리즘들을 포함하는 프리즘 층을 형성하는 단계;
    제2 베이스 필름 상에 상기 제1 접착력보다 큰 제2 접착력을 가지는 제2 접착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프리즘 층을 상기 제2 접착부재와 접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접착부재와 상기 프리즘 층을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리즘판 제조방법.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꼴의 윗변(upper side) 의 길이는 상기 사다리꼴의 아랫변(lower base)의 길이의 0.3배 내지 0.7배인 프리즘판 제조방법.
KR1020150045665A 2015-03-31 2015-03-31 프리즘판, 이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및 프리즘판 제조방법 KR102394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665A KR102394030B1 (ko) 2015-03-31 2015-03-31 프리즘판, 이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및 프리즘판 제조방법
US15/019,348 US10078172B2 (en) 2015-03-31 2016-02-09 Prism plat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rism pl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665A KR102394030B1 (ko) 2015-03-31 2015-03-31 프리즘판, 이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및 프리즘판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7848A true KR20160117848A (ko) 2016-10-11
KR102394030B1 KR102394030B1 (ko) 2022-05-06

Family

ID=57017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5665A KR102394030B1 (ko) 2015-03-31 2015-03-31 프리즘판, 이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및 프리즘판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078172B2 (ko)
KR (1) KR1023940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5257A (ko) * 2018-07-06 2020-01-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4035378A (zh) * 2021-11-25 2022-02-11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21357B2 (en) * 2016-06-21 2018-03-20 Sharp Kabushiki Kaisha Thin backlight with recycling to reduce the bezel width
KR102479943B1 (ko) * 2017-10-10 2022-12-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1665664B (zh) * 2020-06-29 2022-12-06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4051A (ja) * 2002-09-02 2004-03-25 Keiwa Inc 光学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KR20120023450A (ko) * 2010-09-03 2012-03-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도광판의 제조방법
JP2013073239A (ja) * 2011-09-27 2013-04-22 Skc Haas Display Films Co Ltd 高輝度光学シートを製造する方法
KR20140060078A (ko) * 2012-11-09 2014-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
JP2014145985A (ja) * 2013-01-30 2014-08-14 Mitsui Chemicals Inc 偏光性拡散フィルム、偏光性拡散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偏光性拡散フィルムを含む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312320C (en) 1987-11-12 1993-01-05 Makoto Oe Plane light source unit
TWI240832B (en) 2000-12-13 2005-10-01 Mitsubishi Rayon Co Light deflection device
JP5211715B2 (ja) * 2007-03-20 2013-06-12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
KR20110072124A (ko) 2009-12-22 2011-06-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73131B1 (ko) 2010-02-19 2012-08-14 주식회사 창강화학 통합형 광학시트를 구비한 백라이트유닛
JP5211131B2 (ja) * 2010-10-07 2013-06-1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KR102037402B1 (ko) 2011-08-05 2019-10-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20130051130A (ko) * 2011-11-09 2013-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유닛 및 이를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
KR20140011702A (ko) 2012-07-18 2014-01-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KR101995777B1 (ko) 2012-10-12 2019-07-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4051A (ja) * 2002-09-02 2004-03-25 Keiwa Inc 光学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KR20120023450A (ko) * 2010-09-03 2012-03-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도광판의 제조방법
JP2013073239A (ja) * 2011-09-27 2013-04-22 Skc Haas Display Films Co Ltd 高輝度光学シートを製造する方法
KR20140060078A (ko) * 2012-11-09 2014-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
JP2014145985A (ja) * 2013-01-30 2014-08-14 Mitsui Chemicals Inc 偏光性拡散フィルム、偏光性拡散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偏光性拡散フィルムを含む液晶表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5257A (ko) * 2018-07-06 2020-01-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4035378A (zh) * 2021-11-25 2022-02-11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78172B2 (en) 2018-09-18
KR102394030B1 (ko) 2022-05-06
US20160291239A1 (en) 2016-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9853B2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448047B1 (ko) 광 제어 소자, 면 광원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US7356211B2 (en) Lighting system
EP2075623B1 (en) Optical shee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8743315B2 (en) Surface light source devic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lens
WO2020233394A1 (zh) 背光模组及显示装置
KR101385474B1 (ko) 액정 표시장치
US20160216435A1 (en) Curved display device
US20080170415A1 (en) White light generating unit, backlight assembly hav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160117848A (ko) 프리즘판, 이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및 프리즘판 제조방법
KR20090117419A (ko) 표시장치
WO2007119584A1 (ja) 液晶表示装置
JP2012164583A (ja) 導光板、面光源装置、透過型表示装置
JP2008235271A (ja) 導光板及びそ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
KR20160027559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20090303414A1 (en) Optical member with a scatter layer, and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WO2010140397A1 (ja) 光出射角調整シート、表示パネル、表示装置、および光出射角調整シートの製造方法
JP5003298B2 (ja) 光学シート、そ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50066847A (ko) 광속 제어 부재, 발광 장치 및 표시장치
TW201512742A (zh) 背光模組
JPH09211451A (ja) バックライト装置並びに当該装置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液晶テレビ及びビューファインダ
JP2004152496A (ja) 導光板
JP4815930B2 (ja) 光透過フィルム、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1183642A (ja) マルチプリズム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KR102002546B1 (ko) 화상생성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