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7058A - 토석류 피해방지용 멀티 네트 - Google Patents

토석류 피해방지용 멀티 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7058A
KR20160117058A KR1020150045658A KR20150045658A KR20160117058A KR 20160117058 A KR20160117058 A KR 20160117058A KR 1020150045658 A KR1020150045658 A KR 1020150045658A KR 20150045658 A KR20150045658 A KR 20150045658A KR 20160117058 A KR20160117058 A KR 20160117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front net
debris
earth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5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7284B1 (ko
Inventor
조성하
이경수
유보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산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산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산이엔지
Priority to KR1020150045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7284B1/ko
Publication of KR20160117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7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7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7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4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e.g. avalanche preventing structures, galleries
    • E01F7/04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against falling rocks, e.g. galleries, nets, rock traps

Abstract

본 발명은 토석류 발생에 따른 충격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고 토석류의 허용저사량을 향상시켜 토석류 붕괴에 따른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토석류 피해방지용 멀티 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네트는, 토석류의 흐름을 가로막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전면네트와; 토석류의 흐름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일측이 상기 전면네트와 연동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네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토석류 피해방지용 멀티 네트{Multi net for reducing damages of debris flow}
본 발명은 토석류 발생에 따른 충격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고 토석류의 허용저사량을 향상시켜 토석류 붕괴에 따른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토석류 피해방지용 멀티 네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전 세계적으로 기상이변으로 인한 토석류의 붕괴에 따른 피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토석류의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고자 국내에서는 여러 방면으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현재까지 국내의 토석류 피해 저감과 관련된 연구는 시작단계에 불과하며, 이 분야에서의 국가 경쟁력은 선진국 수준 50% 이하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토석류 붕괴에 따른 피해를 저감하기 위하여 1986년부터 사방댐공법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방댐공법은 취성체 및 강성체인 콘크리트 구조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토석류의 동적 충격에너지 흡수에 취약한 단점이 있다. 또한, 사방댐을 건설하기 위해서는 대규모 토목공사가 필요하기 때문에 공사비용이 많이 들뿐 아니라, 콘크리트 시공으로 인해 주변환경을 심각하게 훼손하는 등의 여러 문제점을 안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이러한 사방댐공법을 대체할 만한 공법이 아직까지 개발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위와 같은 여러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방댐공법은 현재까지도 국내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2013∼2017년까지 토석류 붕괴 저감을 위하여 약 5000여 개 이상의 사방댐이 전국적으로 건설 예정이며, 향 후의 기상이변에 따른 자연재해 증가 양상을 고려할 때 향후 건설될 사방댐 개소 수는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최근에 국외에서는 위와 같은 사방댐공법의 적용에 따른 여러 가지 폐해요인의 대안으로서 연성재료인 강재를 사용하여 토석류의 피해를 저감하는 네트공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네트공법은 주로 낙석방지를 위해 설계된 것으로, 일회성 충격 흡수에는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토석류 흐름에 의하여 네트에 가해지는 충격에너지는 동ㆍ정하중 이외에도 크리프(creep) 하중을 포함하기 때문에 네트 설치 구간에 따라 네트의 강성 변화가 발생하며, 이에 따라 네트의 인장하중이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토석류 발생시 사태물질은 물과 세립 및 조립질 물질(목재, 암괴, 흙)이 혼재해 있으며, 이는 결국 물의 이동을 억제하기 때문에 수압에 의한 충격에너지는 더욱 증가하게 네트의 허용저사량(토사를 받을 수 있는 총량)이 줄어들게 된다. 아울러, 종래의 네트는 부식에 약한 일반 강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수분과 접촉하는 구간은 부식 발생 가능성이 높고, 이에 따라 네트의 장기 내구성 및 강도감소가 발생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국내외에서 토석류 피해억제를 위하여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네트공법은 주로 낙석방지를 위해 설계된 것이기 때문에 낙석 발생시 일회성 충격 흡수에는 효과적이지만 여러 가지 구조적 결함의 존재로 인해 대규모의 토석류를 억제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즉, 종래의 네트공법은 낙석 방지를 위해 설계된 네트를 단순하게 토석류 발생구간에 적용하였기 때문에, 네트에 가해지는 충격에너지는 네트의 전 구간에 동일하게 전달되는 것으로 간주하여 설계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메커니즘을 적용하여 네트를 설계할 경우, 네트의 설계에 적용되는 재원은 단지 네트에 가해지는 충격에너지 최대값을 고려하여 설계되기 때문에 네트의 경제적인 설계를 어렵게 만든다. 또한 토석류 발생규모가 네트의 허용저사량을 초과할 경우에는 기존 네트의 상,하부 구간에 추가적 네트를 설치하여 다단 방식으로 설치해야만 하기 때문에 작업성, 경제성 측면에서 매우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이를 대체할 공법개발이 절실하게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실용공개 제2008-0003416호(2008.08.20)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토석류의 흐름을 가로막는 방향으로 설치된 전면네트에 이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하부네트를 설치하되, 상기 하부네트의 일부분을 지표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함으로써, 토석류가 전면네트에 충격할 경우 상기 전면네트의 변형과 함께 수반되는 하부네트의 연직방향 진동운동을 통해 토석류의 자연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전면네트에 가해지는 토석류에 의한 충격에너지를 효과적으로 감소시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토석류 피해방지용 멀티 네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토석류의 거동을 고려하여 전면네트의 다수의 영역별로 충격허용하중을 달리 설정함으로써, 토석류의 동ㆍ정적 하중에 따른 충격에너지를 유연하게 흡수할 수 있고, 아울러 토석류에 대한 허용저사량을 최대로 증대시킬 수 있는 토석류 피해방지용 멀티 네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네트는, 토석류의 흐름을 가로막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전면네트와; 토석류의 흐름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일측이 상기 전면네트와 연동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면네트와 하부네트는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네트의 일측은 전면네트의 최하단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상부 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면네트는 서로 다른 충격허용하중을 갖도록 설계된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네트에는 토석류의 충격에너지를 분산시킬 수 있도록 브레이싱 케이블(bracing cable)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전면네트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하부네트를 접합 설치함에 따라, 토석류가 전면네트에 충격할 경우 상기 전면네트의 변형과 함께 수반되는 하부네트의 연직방향 진동운동을 통하여 하부네트 위에 퇴적되는 토석류 중에 포함된 수분의 자연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토석류가 속도 및 중량이 현저하게 감소된 상태로 전면네트에 충격되도록 하여 전면네트에 가해지는 토석류의 충격에너지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토석류의 붕괴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토석류의 거동을 고려하여 전면네트의 상하 다수의 영역별로 충격허용하중을 달리 설정함으로써, 토석류의 동ㆍ정적 하중 충격을 유연하게 흡수할 수 있고, 토석류에 대한 허용저사량을 최대로 증대시켜 토석류 붕괴시 안전성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전면네트의 특정 영역에 있어 토석류 충격에 따른 메쉬의 탄성 변형량을 극대화하도록 설정함에 따라 토석류의 충격에 따른 충격에너지를 최소화할 수 있고 수분 배출을 용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면네트 부분에 상기 전면네트를 대각선 또는 상하좌우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형태로 복수의 브레이싱 케이블(Bracing cable)을 설치함으로써, 토석류의 충격시 전면네트에 설치된 브레이싱 케이블을 통해 충격에너지를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토석류의 충격에 따른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토석류 피해방지용 멀티 네트 구조를 도시한 요부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멀티 네트를 구성하는 전면네트의 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한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면네트가 서로 다른 충격허용하중을 갖는 다수의 구간으로 구획된 모습을 예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멀티 네트를 구성하는 하부네트의 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한 상세도.
도 5는 토석류 충격 전의 멀티 네트 모습을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
도 6은 토석류 충격 후의 멀티 네트 모습을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
본 발명에 따른 토석류 피해방지용 멀티 네트 공법은 토석류 붕괴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기존의 네트공법과 달리 토석류의 붕괴에 따른 거동 특성을 최대한 고려한 것으로서, 특히, 토석류의 충격시 전면네트와 연동하여 진동운동을 하는 하부네트를 통해 토석류 중에 포함된 수분이 자연배수되도록 함으로써 토석류의 충격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고 토석류에 대한 허용저사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토석류 피해방지용 멀티 네트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토석류 피해방지용 멀티 네트 구조를 도시한 요부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멀티 네트를 구성하는 전면네트의 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한 상세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전면네트가 서로 다른 충격허용하중을 갖는 다수의 구간으로 구획된 모습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멀티 네트를 구성하는 하부네트의 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토석류 피해방지용 멀티 네트(100)는 토석류의 붕괴시 토석류의 흐름을 막아줄 수 있도록 설치된 전면네트(110)와, 상기 전면네트(110)의 일측에 결합되어 토석류의 충격시 상기 전면네트(110)의 변형에 따라 연동하여 진동운동을 하며 토석류 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의 배출을 유도하는 하부네트(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멀티 네트(100)를 구성하는 전면네트(Front Net; 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링네트(Ring Net) 형태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링네트는 소선(Strand)을 링(Ring) 형태로 말아서 묶은 것을 네트모양으로 엮어 짠 것으로서, 기하학적으로 하중분산이 가장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링 모양의 강연선으로 제작된 네트이다.
즉, 전면네트(1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연선으로 이루어진 상부 로프(112)와 하부 로프(113), 그리고 좌,우측의 측면로프(114)로 둘러싸인 직사각형 공간 내부에 소선을 둥글게 말아 묶은 다수의 링(111)이 상호 연결되어 네트(Net) 모양을 형성하도록 엮어 짠 것이다.
이때, 상기 전면네트(110)의 상단 양쪽 모서리부와 하단 양쪽 모서리부 각 고정점(116)에는 전면네트(110)를 상하좌우 방향에서 팽팽하게 잡아줄 수 있도록 한 쌍의 상부 지지로프(130)와 하부 지지로프(140)가 각각 연결된다.
이러한 전면네트(110)는 토석류의 흐름을 가로막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상,하부 지지로프(130)(140)를 통해 지반에 고정된 지주(미도시)상에 견고하게 매달아 고정하게 된다.
한편, 토석류는 낙석과 달리 흙과, 돌, 물이 혼합된 유체로서, 유체와 고체의 중간적 거동을 하고 중력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토석류가 상기한 구성의 전면네트(110)에 충격될 경우 전면네트(110)의 하부구간에 가장 큰 충격에너지가 가해진다.
즉, 토석류가 전면네트(110)에 초기 충격시 상기 전면네트(110)의 하부구간에는 중력의 영향으로 인해 동하중(dynamic load)이 가해지게 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토석류가 전면네트(110)에 충격하여 이동이 정지함과 동시에 퇴적되어 전면네트(110)에는 상기 동적 하중(충격에너지) 이외에도 추가적으로 정적하중(토석류 무게 ×토석류 퇴적높이)인 주동토압(active earth pressure)이 작용하게 된다.
그러나 토석류가 상기와 같은 전면네트(110)에 충격한 후 퇴적될 경우 전면네트(110)에 가해지는 동하중과 주동토압의 작용점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데, 이때, 토석류의 충격으로 인해 전면네트(110)에 가해지는 동하중, 정하중과 충격흡수메커니즘은 다음과 같이 설명이 가능하다.
먼저, 유체 거동을 하는 토석류가 전면네트(110)에 최초로 부딪힘에 따라 전면네트(110)의 높이만큼 동하중과 주동토압이 전면네트(110)의 하단부에 가해진다. 이때, 상기 전면네트(110)에 가해지는 동하중과 정하중은 토석류 높이(H1)와 비례한다.
이 후, 전면네트(110)에 부딪힌 토석류는 상기 전면네트(110)의 하부구간에 지속적으로 퇴적하게 되는데, 이때 뒤따라오는 토석류는 퇴적된 토석류를 타고 전면네트(110) 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동하중의 크기는 뒤따라오는 토석류 높이(H2)와 비례하게 되며, 이때의 동하중 작용점은 퇴적된 토석류 높이(H1)만큼 이동하게 된다.
또한, 이어서 뒤따라오는 토석류 또한 전면네트(110) 앞 부분에 퇴적되기 때문에 다음 단계에서의 주동토압 크기는 H1 + H2만큼 증가하게 된다. 이때, 토석류는 점성이 크기 때문에 퇴적높이가 높아질수록 전면네트(110)에 작용하는 동하중은 감소하는 반면 주동토압은 증가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전면네트(110) 높이 이상으로 토석류가 퇴적하게 되면, 이 시점부터 전면네트(110)에는 동하중은 가해지지 않고 주동토압만이 가해진다.
이와 같이 토석류가 전면네트(110)로 이동할 경우, 동하중은 전면네트(110)의 하부구간에서부터 상부구간으로 이동하는 반면, 정하중은 하부구간에서 점진적으로 커지게 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면네트(110)로 이동하게 되는 토석류의 동적ㆍ정적 거동을 고려하여, 전면네트(110)의 하부구간으로 갈수록 가해지는 하중이 클 것으로 가정하여, 토석류의 동하중 및 정하중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전면네트(110)를 동하중이 크게 작용하는 하부구간과 적게 작용하는 상부구간 등으로 구획하여 상기 상하방향 각 구간별로 재료적 특성을 달리하여 각 구간별로 충격허용하중이 다르게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네트(110)는 토석류의 실제 동적ㆍ정정 거동을 고려하여 상하방향으로 서로 다른 충격허용하중을 갖는 3개의 구간(A,B,C)으로 구획되도록 제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면네트(110)의 상하방향 각 구간별 충격허용하중은 상기 전면네트(110)의 상부구간(A), 중간구간(B), 하부구간(C) 내에 위치한 각 링의 직경을 서로 달리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각 구간(A)(B)(C)별로 링의 충격허용강도를 달리 설계함으로써 상기 전면네트(110)의 상하 각 구간(A)(B)(C)별로 충격허용하중을 달리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전면네트(110)에 형성되는 상부구간(A), 중간구간(B), 하부구간(C)의 구체적인 형상, 면적 등은 토석류 붕괴 관련 실내 현장 실험과 수치해석 등의 방법을 통해 적절한 형태 및 범위로 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토석류의 거동을 고려하여 전면네트(110)에 구획된 다수의 영역별(A)(B)(C)로 충격허용하중을 서로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토석류의 동ㆍ정적 하중 충격을 전면네트(110)의 상하 각 구간별로 유연하게 흡수할 수 있다.
아울러,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면네트(110)에 토석류의 충격에너지를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브레이싱 케이블(bracing cable;150)이 추가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브레이싱 케이블(150)은 전면네트(110)에 작용하는 하중 및 휨ㆍ비틀림 모멘트에 저항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토석류의 규모가 클 경우에 추가적으로 전면네트(110)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브레이싱 케이블(150)은 도 3에서와 같이 전면네트(110)를 "X"자 형태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거나, 또는 전면네트(110)의 중심부를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면네트(110)에 대각선 방향 또는 상하좌우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형태의 복수의 브레이싱 케이블(150)을 설치함에 따라, 토석류의 충격시 전면네트(110)에 결합된 브레이싱 케이블(150)로 충격에너지를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토석류의 충격 흡수효과를 한층 배가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규모가 큰 토석류에 대한 허용저사량을 한층 더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멀티 네트(100)를 구성하는 하부네트(120)는 전술된 전면네트(110)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링네트의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토석류의 흐름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어 그 전단부가 전면네트(110)와 접합되도록 설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네트(120)의 상세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부네트(120)는 강연선으로 이루어진 전방 로프(122)와 후방 로프(123), 그리고 좌우의 측면 로프(124)로 둘러싸인 직사각형 공간 내에 다수의 링(121)이 서로 연결되어 네트(Net) 모양으로 엮어 짠 형태를 이루고 있다.
상기 하부네트(120)는 경사가 있는 지표면(E) 위에 깔아 놓아 고정시킨 상태에서 그 전방 측 단부를 상기 전면네트(110)에 접합함으로써 상기 전면네트(110)와 일체로 결합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전면네트(110)와 하부네트(120)는 고강도 PC 강연선(prestressing strand)으로 제작된다. 일반적으로 PC 강연선은 다수의 소선(Strand) 가닥이 다발 형태로 결합하여 비틀린 형태로 제작되는데, 이러한 PC 강연선을 다른 재료와 접합할 경우 통상 접합되는 강연선의 끝단부 전체를 압착하는 방식으로 접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일반적인 방법을 적용할 경우 압착 불량시 강연선 전체가 압착구에서 탈락할 수 있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PC 강연선이 압착되는 압착구 부분에 강연선 수만큼 홈을 낸 뒤 각각의 강연선을 각 홈에 주입한 후, 연결볼트를 주입하여 압착을 수행함으로써 과도한 충격 발생시 강연선이 압착구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방법을 적용하게 되면 전면네트(110)와 하부네트(120)를 한층 견고하게 구조로 접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면네트(110)에 접합되는 하부네트(120)의 전방 측 단부는 상기 전면네트(110)의 최하단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된 상부 측 부분에 결합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전면네트(110)의 전체 높이의 1/3되는 높이에 접합시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면네트(110)와 하부네트(120)의 접합위치는 실제 토석류의 발생규모, 전면네트(110)의 변형강도 등의 여러 사항을 고려하여 토석류의 수분배출을 최대화할 수 있는 적정 높이로 실험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토석류의 충격에 따른 전면네트(110)의 탄성 변형량을 고려하여 상기 전면네트(110)의 각 메쉬(mesh)에 대한 탄성 변형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구조로 설계할 경우, 전면네트(110)에 충격되는 토석류 충격에너지를 최소화할 수 있고, 상기 전면네트(110)와 연동하여 연직방향 진동운동을 하는 하부네트(120)의 각 메쉬를 통해 수분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토석류 충격 전,후의 멀티 네트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이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석류의 충격에 의해 전면네트(110)가 토석류의 흐름 방향을 따라 거동하기 전까지 하부네트(120)는 그 자중에 의해 지표면(E) 위에 안착된 상태에서 전면네트(110)와 접합된 전방 측 단부가 지표면(E)과 소정거리 이격된 높이에 존재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토석류가 붕괴되어 하부네트(120)에 도달되면 점토, 토사와 같은 미세입자들은 전면네트()와 연결된 하부네트()의 하부구간에 자동 퇴적되며,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암괴, 나무 등과 같은 유송잡물 등은 전면네트()의 상부구간으로 이동하여 충격하게 된다.
이때, 토석류의 충격으로 인해 전면네트(110)가 탄성 변형되어 늘어나게 되면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전면네트(110)와 접합된 하부네트(120)는 ΔH만큼 지표면(E)과 거리를 두고 연속적으로 연직방향으로 진동운동을 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전면네트(110)에 충격하여 퇴적된 토석류의 하부구간이 지표면(E)으로부터 떨어져 자유면에 노출된 상태에서 하부네트(120)의 연직방향 진동운동으로 인해 상하방향으로 터는 효과가 발생되기 때문에 토석류 중에 포함된 토사 및 수분이 하부네트(120) 밑으로 빠져나가 토석류의 전체 자중이 감소되는 효과를 얻게 되고, 이로 인해 전면네트(110)에 가해지는 충격에너지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전면네트(110)의 하부구간에 퇴적된 유송잡물과 하부네트(120)에 의하여 토석류는 발생속도가 급격히 감소하므로 전면네트(110)에 가해지는 충격에너지의 저감속도를 크게 증가키실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전면네트(110)에 가해지는 충격에너지의 저감이 가능해짐에 따라, 붕괴된 토사류를 받을 수 있는 전면네트(110)의 허용저사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네트(100)를 사용하게 되면 일차적으로는 토석류의 거동을 억제하여 전면네트(110)가 가해지는 충격에너지를 최소화시킬 수 있고, 전면네트(110)와 연동하는 하부네트(120)의 탄성 거동을 이용하여 수분과 토석류와의 분리작업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네트(110)를 상하방향으로 구획된 다수의 구간별로 충격허용하중을 달리 설계함으로써, 전면네트(110)의 특정 영역에서 토석류의 충격으로 인한 메쉬(mesh)의 탄성 변형량을 극대화할 수 있기 때문에 전면네트(110)의 상하방향 각 구간별로 토석류의 동적ㆍ정적하중의 충격을 보다 유연하게 흡수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토석류의 충격에 따른 충격에너지를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전면네트(110)에 대각선 방향 또는 상하좌우 직선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형태로 브레이싱 케이블(150)을 설치하게 되면, 상기 브레이싱 케이블(150)을 통해 토석류의 충격에 따른 충격에너지를 효과적으로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토석류의 과도한 충격에 따른 네트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토석류에 대한 네트의 허용저사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멀티 네트(100)를 사용하여 많은 량의 토석류의 흐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토석류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0 : 멀티 네트 110 : 전면네트
120 : 하부네트 130 : 상부 지지로프
140 : 하부 지지로프 150 : 브레이싱 케이블

Claims (5)

  1. 토석류의 흐름을 가로막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전면네트(110)와;
    토석류의 흐름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일측이 상기 전면네트(110)와 연동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네트(120);
    를 포함하는 토석류 피해방지용 멀티 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네트(110)와 하부네트(120)는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석류 피해방지용 멀티 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네트(120)의 일측은 상기 전면네트(110)의 최하단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상부 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석류 피해방지용 멀티 네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네트(110)는 서로 다른 충격허용하중을 갖도록 설계된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석류 피해방지용 멀티 네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네트(110)에는 브레이싱 케이블(bracing cable)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석류 피해방지용 멀티 네트.
KR1020150045658A 2015-03-31 2015-03-31 토석류 피해방지용 멀티 네트 KR101747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658A KR101747284B1 (ko) 2015-03-31 2015-03-31 토석류 피해방지용 멀티 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658A KR101747284B1 (ko) 2015-03-31 2015-03-31 토석류 피해방지용 멀티 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7058A true KR20160117058A (ko) 2016-10-10
KR101747284B1 KR101747284B1 (ko) 2017-06-14

Family

ID=57146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5658A KR101747284B1 (ko) 2015-03-31 2015-03-31 토석류 피해방지용 멀티 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72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7902B1 (ko) * 2017-07-28 2019-12-20 주식회사 다산이엔지 토석류 피해 저감을 위한 멀티 네트 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869020B1 (ko) * 2017-12-22 2018-06-20 (주)이산 산지계곡부에 설치되는 토석류 제어장치
KR102096666B1 (ko) 2018-06-08 2020-04-02 심석래 토석류 방지 구조물의 마모 및 유실 방지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3416A (ko) 2005-05-17 2008-01-07 엠/에이-컴, 인크. 멀티모드 육상 이동 무선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57844B2 (ja) * 2010-08-18 2013-12-04 株式会社トーエス 落石防護網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3416A (ko) 2005-05-17 2008-01-07 엠/에이-컴, 인크. 멀티모드 육상 이동 무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7284B1 (ko) 2017-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38527B (zh) 一种柔性拦挡网及其设计方法
KR20100138967A (ko) 낙석 방지 구조물, 낙석 방지 방법, 및 낙석 방지 구조물의 설계 방법
CA2874772C (en) Soil reinforcement system including angled soil reinforcement elements to resist seismic shear forc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KR101747284B1 (ko) 토석류 피해방지용 멀티 네트
CN113123325B (zh) 一种地下连续墙及其施工方法
CN210341949U (zh) 一种防滑坡功能的坡地防护结构
CN203007958U (zh) 滑坡体清除用防护系统
KR102057902B1 (ko) 토석류 피해 저감을 위한 멀티 네트 장치 및 그 시공방법
CN110359381B (zh) 柔性网与缓冲垫层组合式自清理棚洞系统及其设计方法
JP2019027024A (ja) 防護柵
CN112014256A (zh) 一种水力学物理模型结构及边坡稳定性的判别方法
CN107974926B (zh) 一种自平衡复位桥梁减震装置
Faga et al. Seismic design of elevated steel tanks with concentrically braced supporting frames
CN207597642U (zh) 一种变电站结构抗震填充墙
CN106906856B (zh) 框架结构建筑物的抗震加固结构
KR20170008310A (ko) 유구조의 방호 구조체
US20190218742A1 (en) Soil Reinforcement System Including Angled Soil Reinforcement Elements To Resist Seismic Shear Forc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JP6007147B2 (ja) 防護柵における支柱下端の保全構造および保全方法
CN208023594U (zh) 一种边坡防护装置
CN220352883U (zh) 一种具有减震消能功能的挡墙单元与格宾挡土墙
CN208056130U (zh) 泥石流沟道中输电塔基防护装置
KR101134930B1 (ko) 원전 격납건물 충돌완충설비
RU123421U1 (ru) Гидротехническое сооружение
CN216892509U (zh) 挡墙结构
CN214272114U (zh) 一种新型抗震建筑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