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6653A - ventilator heating system temperature humidity control of greenhouse - Google Patents

ventilator heating system temperature humidity control of greenhou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6653A
KR20160116653A KR1020150044731A KR20150044731A KR20160116653A KR 20160116653 A KR20160116653 A KR 20160116653A KR 1020150044731 A KR1020150044731 A KR 1020150044731A KR 20150044731 A KR20150044731 A KR 20150044731A KR 20160116653 A KR20160116653 A KR 20160116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humidity
air
module
facility 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47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강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제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제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제노텍
Priority to KR1020150044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6653A/en
Publication of KR20160116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665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tilating and heating system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a greenhouse, the system being configured to improve the overall air flow in the greenhouse and to be capable of adjust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through ventilation and heating which are available in all seasons. The ventilating and heating system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a greenhouse is installed in a greenhouse to control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the green house, and comprises: air circulating modules respectively attach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a main body case to suck air and circulate and discharge the air inside and from the main body case; a heating module formed inside the main body case and heating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one side of the main body case by means of an external operation to a certain temperature; and a control module selectively controlling the heating module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greenhouse.

Description

시설하우스의 온도·습도 제어용 환기 히팅 시스템{ventilator heating system temperature ·humidity control of greenhous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tilation heating system,

본 발명은 시설하우스의 온도·습도 제어용 환기 히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낮은 온도에서도 제습 효과를 높임과 함께 공기순환의 제어를 통해 최적의 작물 생장 환경을 제공하도록 한 시설하우스의 온도·습도 제어용 환기 히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tilation heating system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a facility hous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tilation heating system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a facility house that provides an optimal crop growth environment through control of air circulation, To a heating system.

일반적으로, 시설하우스는 냉해를 방지하면서 농작물의 생장조건을 왕성하게 하여 촉성재배하고 열대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시설물이다. 이러한 시설하우스에서 농작물을 재배함에 있어, 동절기엔 냉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난방은 필수적으로 행하여지고 있다.Generally, a facility house is a facility for cultivating and cultivating tropical plants by vigorously cultivating conditions of crops while preventing cold weather. In growing crops in these facility houses, heating is essential to prevent cold weather in winter.

이와 같이, 현재 농·축산에서는 동·식물의 생육환경을 최적으로 만들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해 왔으며, 최근에는 최적의 시설환경을 통한 품질 및 생산성 향상의 단계에 와 있다.In this way, in agriculture and livestock farming, many efforts have been made to optimize the growth environment of plants and plants. In recent years, the quality and productivity have been improved through optimum facility environment.

그러나 아직까지도 온도·습도 제어가 제대로 되지 않아 성장장해 및 병충해에 노출되어 농가의 적지 않은 피해가 보고되고 있으며, 최근 증가하고 있는 공기순환팬, 산업용 제습기 등을 활용하여 대책을 마련해 보고 있지만, 기대에 미치지 못하여 작물 특성에 맞는 제습의 필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However, since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are not properly controlled, the farmers have been exposed to growth disorders and insect pests, and there have been a lot of damages to the farmers. Recently, the air circulation fan and the industrial dehumidifier have been used to prepare countermeasures. And the necessity of dehumidification sui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crops is becoming more emphasized.

한편, 시설하우스 내의 과습으로 인한 피해는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특히 시설원예의 경우 과습으로 인하여 광합성보다 호흡량이 많아 작물의 생육 불량으로 인해 잘록과, 곤봉과, 과실낙화, 순멎이, 절화 수명 단축, 화색 변화 등이 발생된다.On the other hand, the damage caused by the drunkenness in the facility house is various.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facility horticulture, due to the excessive growth of the crops due to the excessive volume of photosynthesis, Change occurs.

시설 축산의 경우 암모니아 발생의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호흡기 질병, 설사병, 생리적 변화, 면역기능 약화, 성장부진 등의 피해가 발생된다. 버섯사의 경우 저습으로 인하여 균사 생장 정지의 치명적인 피해도 발생하고 있다.In the case of facility livestock farming, it is pointed out that it is the cause of ammonia generation, and damage such as respiratory disease, diarrhea, physiological change, weakened immune function, In the case of mushrooms, fatal damage to mycelial growth is also caused by low humidity.

현재 우리나라 농업은 WTO, FTA 체결로 인한 농업선진국의 다양한 농산물 수입개방 및 자유교역으로 경쟁력 저하는 물론이거니와 리우 환경협약, 도쿄 의정서 등 국제 환경 보호 협약에 의한 환경 관리 및 에너지 절감의 필요성 또한 절실히 느끼고 있다.At present, agriculture in Korea is not only competitive with the opening of imports and free trade of agricultural products by advanced agricultural countries due to WTO and FTA conclusion, but also feels the necessity of environment management and energy saving by international environmental protection convention such as Liu environmental treaty and Tokyo Protocol .

시설원예의 경우 농가경영비 상승 요인으로 생산성 증가 및 환경개선을 위한 투자를 기피하며, 또한 기존 제품들의 고가격 및 용량, 사용용도 등 국내 시설원예 요건과 맞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In the case of facility horticulture, it is most likely not to invest in productivity improvement and environment improvement due to increase of farmhouse operation cost, and also to meet the requirements of horticulture in domestic facilities such as high price, capacity and usage of existing products.

이에 대한 대책으로 농가의 생산성 및 품질 향상을 통한 농가 소득 증대, 환경개선 및 농가경영비의 절감 위한 기술개발과 보급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As a countermeasure against this problem, it is urgently required to develop and disseminate technology for raising the income of farm households, improving the environment, and reducing the cost of farmhouse management by improving the productivity and quality of the farmhouse.

시설 농업에 있어서 품질의 고급화는 경쟁력 확보의 지름길이다. 따라서 화훼 및 청과류를 비롯한 시설농업에 있어서 적당한 습도의 유지는 품질의 고급화와 병충해 방지에 필수적인 요건 중의 하나이다.In the facility agriculture, upgrading quality is a shortcut to securing competitiveness. Therefore, maintenance of proper humidity in plant agriculture such as flower and fruit is one of the essential requirements for quality improvement and prevention of sickness.

유럽 시설하우스의 경우 난방시스템은 보일러 배관 방식이 주 난방으로 사용되고 있어서 제습 및 가습기의 적용부분이 조금 넓지만 한국, 중국, 일본 등은 시설하우스가 널리 보급되어 있어 고습 환경이 발생하고 있다.In the case of the European facility house, the boiler piping system is used as the main heating system in the heating system, so the dehumidification and humidifier application areas are a little wider. However, in Korea, China and Japan,

온실 내 습도 관리는 대부분이 자연환기에 의존하고 있으며 특히 온도가 낮은 초봄, 늦가을, 겨울에는 열 손실 때문에 환기를 자주 할 수 없어 야간의 상대습도가 90% 이상인 상태가 유지되어 공기 중의 수분이 작물표면에 물방울 형태로 모아져 곰팡이 등의 병해가 발생한다.Most of the humidity control in the greenhouse depends on natural ventilation. Especially in the early spring, late autumn and winter when the temperature is low, it is not possible to ventilate frequently due to heat loss, so that the relative humidity of the nighttime is maintained at 90% Which is collected in the form of water droplets.

따라서 작물 생장에 맞는 최적의 온도·습도를 유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온풍난방기와 제습기를 설치하여 활용하고 있으나, 환기에 민감한 동·식물의 생육여건을 조절하지 못하여 큰 피해를 보는 결과를 가져오고 있다.Therefore, in order to maintain the optimum temperature and humidity suitable for growing crops, a warm-air heater and a dehumidifier are usually installed and used. However, it is not able to control the growth conditions of plants sensitive to ventilation, resulting in serious damage.

기존의 온풍난방기와 제습기를 각기 설치하여 활용할 때는 시설하우스의 상부의 공기만 유통되어 하부의 작물들에게는 순환된 공기가 미치지 못하고 있다.When the conventional warm air heater and dehumidifier are installed and used, only the air at the upper part of the facility house is circulated, and circulated air is not passed to the lower crops.

즉,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시설하우스에서 공기순환 제습기를 사용하여 공기를 순환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That is,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circulating air using an air circulation dehumidifier in a conventional facility house.

도 1에서와 같이, 기존의 온풍 난방기와 제습기를 각각 설치하여 활용하는 경우, 공기순환 제습기(20)가 시설하우스(10)의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일측 방향에서 타측 방향으로 공기를 순환시키고 있는데, 이는 시설하우스(10) 상부의 공기만 일측 방향으로 유통되어 하부의 작물들에게는 순환된 공기가 미치지 못하고 있다.1, when the existing warm air heater and the dehumidifier are installed and used, the air circulation dehumidifier 20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upper part of the facility house 10 to circulate air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This is because only the air on the upper part of the facility house 10 is circulated in one direction and circulated air is not supplied to the lower crops.

따라서, 시설하우스의 상부와 하부의 공기가 골고루 섞이면서 순환되어 습도를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제습-팬 순환 시스템이 필요하며, 찬 공기 유입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생육저하를 해결할 수 있는 제품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dehumidification-fan circulation system capable of efficiently controlling the humidity by circulating the air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facility house evenly, and there is a need for a product that can solve the drop in growth, .

또한, 현재 시판 중인 응축기를 활용한 농업용 제습기의 경우는 봄, 가을, 겨울과 같이 시설하우스의 온도가 낮은 계절에는 활용이 불가능하거나 효과가 미미하며, 고온다습한 여름의 경우에는 공기순환을 통한 제습이 보다 효율적이다.Also, in the case of the dehumidifier for agricultural use using the condenser currently on the market, it is impossible to utilize the dehumidifier in the season when the temperature of the facility house is low, such as spring, autumn and winter, or the effect is insignificant. In the case of hot and humid summer, This is more efficient.

기존의 제습기와 온풍난방 시스템의 구성은 이중으로 두 장비를 설치해야하므로 설치 비용이 높은 단점이 있다.The existing dehumidifier and hot-air heating system have a disadvantage of high installation cost because they are required to install two equipments.

특히, 시설하우스 내는 아침에 햇빛이 비추기 시작할 때부터 공기와 작물의 온도차(4 이상)가 심하게 일어나 작물의 표면에 이슬이 맺히는 현상이 발생하여 맺힌 물방울로 인해 작물들의 증산작용이 저해되며 잿빚 곰팡이와 같은 곰팡이류가 생겨나게 되어 병이 발생하게 됨 이로 인해 작물의 생산량이 저하된다.Especially, in the facility house, since the sunlight starts to shine in the morni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4 or more) between the air and the crop is seriously increased and dew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rop. The same fungus is generated and the disease is caused.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해뜨기 전인 오전 5~6시경부터 온풍 순환을 통해 작물의 온도편차를 줄여 이슬이 맺히지 않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required to reduce the temperature deviation of the crops by circulating hot air from 5 to 6 am before sunrise to prevent dew formation.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시설하우스에서 응축기를 활용하여 제습과 난방을 실시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dehumidification and heating using a condenser in a conventional facility house.

도 2에서와 같이, 하우스(10)의 내부 상단에 일정한 간격으로 갖도록 응축기(30)와 공기순환 제습기(20)를 설치하여 제습과 난방을 실시하고 잇다.As shown in FIG. 2, the condenser 30 and the air circulation dehumidifier 20 are installed at the upper inside of the house 10 at regular intervals to perform dehumidification and heating.

그러나 기존의 응축기(30)를 활용한 제습기의 경우 경량 설계가 어려워 시설하우스 내의 철골이 휘어지는 경우가 발생하고, 받침봉을 추가 제작하여 설치해야하므로 추가의 비용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dehumidifier using the conventional condenser 30, since the lightweight design is difficult, the steel frame in the facility house is bent, and the supporting rod is additionally manufactured and installed.

국내외 시설하우스 공기 순환 시스템은 대부분 유동형 제품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산업용 팬을 농업용으로 적용하고 있어 풍량이나 소음이 원예 환경과는 다소 동떨어진다.Domestic and overseas facility house air circulation system uses mostly flow type products, and industrial fan is applied for agricultural use, so air volume and noise are somewhat different from horticultural environment.

산업용 팬을 적용하였을 때 나는 소음은 80db 이상으로 작물에 스트레스를 주며 최적화된 바람의 세기는 미풍의 산들바람으로 그 이상의 풍량이 되면 작물에 스트레스 요인이 되어 작물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자라는 현상이 발생한다.When the industrial fan is applied, the noise is more than 80dB and the crop is stressed. The optimum wind intensity is the breeze breeze, and when the wind is above that level, the crop becomes a stress factor and the size of the crop grows differently .

현재 국내 농업에 사용되고 있는 온풍기 및 기타 난방시스템은 유동성이 없고 넓은 공간에서 활용하기 때문에 실내 온도편차가 많이 날 수밖에 없는 문제를 가지고 있어서 다양한 형태의 공기 순환팬을 추가로 사용하고 있지만 효과는 매우 미비하며 사용자가 수시로 직접 제어를 해줘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Since the hot air fan and other heating systems currently used in domestic agriculture have no fluidity and are utilized in a wide spa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oom temperature fluctuates much, so various types of air circulation fans are additionally used, but the effect is very poor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the user has to perform direct control from time to time.

(선행기술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10-0754772호: 배출수를 활용하는 농업용 제습기(Prior Art Document 1) Patent Registration No. 10-0754772: An agricultural dehumidifier utilizing drainage water

(선행기술문헌 2) 등록특허공보 제10-0890574호: 제을라이트를 이용한 온실 제습장치(Prior art document 2) Patent Registration No. 10-0890574: Greenhouse dehumidifier using luminescent light

(선행기술문헌 3) 등록특허공보 제10-0514434호: 시설하우스의 제습기(Prior Art Document 3) Patent Registration No. 10-0514434: Dehumidifier of a facility hous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시설하우스 내의 전체적인 공기 흐름을 개선하고 사계절 내내 활용이 가능한 환기 히팅을 통해 온도·습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시설하우스의 온도·습도 제어용 환기 히팅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ntilation heating system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a facility house, which can control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through ventilation heating, which can improve the overall air flow in the facility house, It has its purpos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시설하우스의 온도·습도 제어용 환기 히팅 시스템은 시설하우스에 설치되어 내부의 온도·습도를 제어하는 시설하우스의 온도·습도 제어용 환기 히팅 시스템이고, 본체 케이스의 일면 및 타면에 각각 부착되어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서 순환시키어 배출하는 공기순환 모듈과, 상기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 구성되어 외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본체 케이스의 일면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일정 온도로 가열하는 히팅 모듈과, 상기 시설하우스 내의 온도·습도에 따라 상기 히팅 모듈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ventilation heating system for controlling temperature and humidity of a facility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ntilation heating system for controlling temperature and humidity of a facility house installed in a facility house and controll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And an air circulation module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case for sucking air and circulating the air through the inside of the main body case to discharge the air introduced through one side of the main body case And a control module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heating module according to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facility house.

여기서, 상기 공기순환 모듈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일면 및 타면에 부착되어 흡입 및 배출을 통해 공기를 순환하는 공기 순환용 팬과, 상기 공기 순환용 팬을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일면 및 타면에 결합되어 공기 흐름의 방향을 조절하는 가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air circulation module includes an air circulation fan attached to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main body case for circulating air through suction and discharge, a motor for driving the air circulation fan, To guide the air flow.

상기 모터는 회전 속도 가변형 모터이고, 상기 가이드는 주름관으로 이루어지면서 설치 장소에 따라 상기 공기의 방향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The motor is a rotation speed variable type motor, and the guide is formed of a corrugated tube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air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lace.

또한, 상기 시설하우스의 지면과 상부에 각각 온도·습도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온도·습도 센서를 통해 상기 시설하우스의 내부의 온도·습도를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상기 제어모듈로 전송된다.Also,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s are installed on the ground and upper part of the facility house, and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the facility house are checked in real time through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 module.

상기 본체 케이스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 모듈과 상기 히팅 모듈은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어 온/오프를 제어한다.The main body case is made of stainless steel, and the control module and the heating module are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interface to control ON / OFF.

상기 온도·습도 센서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제어 모듈에 실시간으로 온도 정보를 제공한다.The temperature / humidity sensor provides temperature information to the control module in real tim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manner.

상기 제어 모듈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상기 히팅 모듈 또는 공기 순환 모듈을 제어하는 제 1 제어 기능과, 상기 시설하우스 내의 온도·습도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습도값과 비교하여 상기 히팅 모듈 또는 공기 순환 모듈을 제어하는 제 2 제어 기능과, 시간과 상기 시설하우스 내의 온도·습도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습도값과 비교하여 자동으로 상기 히팅 모듈 또는 공기 순환 모듈을 제어하는 제 3 제어 기능 중에서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히팅 모듈 또는 공기 순환 모듈을 제어한다.The control module includes a first control function for manually controlling the heating module or the air circulation module by the user and a second control function for compar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values set by the user with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formation in the facility house, A third control function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heating module or the air circulation module by comparing the time and the temperature / humidity value set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 humidity information in the facility house, And controls the heating module or the air circulation module through any one of the heating module and the air circulation module.

본 발명에 의한 시설하우스의 온도·습도 제어용 환기 히팅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ventilation heating system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facility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환풍-팬의 구조를 개선하여 시설하우스의 상부와 하부의 공기가 골고루 섞일 수 있도록 하며, 환풍-팬 내부에 히팅 모듈을 탑재하여 상황에 따라 공기를 따뜻하게 덥힘으로써 찬공기 유입으로 발생하는 피해를 방지하고 온도 조절의 역할까지 수행할 수 있다.First, the structure of the ventilation fan is improved so that the air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facility house can be mixed evenly, and a heating module is installed inside the ventilation fan to warm the air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can perform the role of temperature control.

둘째, 기존의 제습기는 사계절 내내 활용이 어려우며, 공기 순환이 원활하지 않으며, 제습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들이 있지만 개발제품은 독창적인 제품으로 공기순환 개선과 히팅 기능으로 제습의 효율이 높으며 사계절 내내 활용이 가능하다.Secondly, existing dehumidifiers are difficult to use all the seasons, air circulation is not smooth, and dehumidification efficiency is low. However, the developed products are original products, and air circulation improvement and heating function are effective for dehumidification. Do.

셋째, 가격적인 측면에서 기존의 제습기에 비해 저렴하며, 경량구조로 제작이 가능하여 시설하우스에 보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ird, it is cheaper than existing dehumidifiers in terms of price, and can be manufactured in a lightweight structure, making it easy to supply to the house.

넷째, 기존 방식과는 달리 공기를 가열하면서 제습을 수행하므로 시설하우스 농가들이 요구하고 있는 아침시간대에 작물표면에 이슬이 맺히는 현상을 없앨 수 있어 병충해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Fourth, unlike conventional methods, dehumidification is performed while heating the air,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dew formation on the surface of the crop in the morning hours required by the house house farmers, thereby preventing the insect pests and the like in advanc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시설하우스에서 공기순환 제습기를 사용하여 공기를 순환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시설하우스에서 응축기를 활용하여 제습과 난방을 실시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시설하우스의 온도·습도 제어용 환기 히팅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시설하우스의 온도·습도 제어용 환기 히팅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도 3의 환기 히팅 시스템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circulating air using an air circulation dehumidifier in a conventional facility house
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dehumidification and heating using a condenser in a facility house according to the prior art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entilation heating system for controlling temperature and humidity of a facility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ventilation heating system for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of a facility house in Fig. 3
FIG.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ventilation heating system of FIG. 3 in more detail;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rawings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never possible, in other drawings.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And certain features shown in the drawings are to be enlarged or reduced or simplified for ease of explanation, and the drawings and their components are not necessarily drawn to scale. Howev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understand these details.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시설하우스의 온도·습도 제어용 환기 히팅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시설하우스의 온도·습도 제어용 환기 히팅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5는 도 3의 환기 히팅 시스템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entilation heating system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a facility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ventilation heating system for controlling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facility house of FIG. 3 And FIG.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ventilation heating system of FIG. 3 in more detail.

본 발명에 의한 시설하우스의 온도·습도 제어용 환기 히팅 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설하우스(100)에 설치되어 내부의 온도·습도를 제어하는 시설하우스의 온도·습도 제어용 환기 히팅 시스템에 있어서, 양측면이 개구되고 내부 공간을 갖는 본체 케이스(210)와, 상기 본체 케이스(210)의 일면 및 타면에 각각 부착되어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본체 케이스(210)의 내부에서 순환시키어 배출하는 공기순환 모듈(220)과, 상기 본체 케이스(210)의 내부에 구성되어 외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본체 케이스(210)의 일면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일정 온도로 가열하는 히팅 모듈(230)과, 상기 시설하우스(100) 내의 온도·습도에 따라 상기 히팅 모듈(230)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모듈(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ventilation heating system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a facility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facility house 100 and is connected to a ventilation heating system for temperature / A main body case 210 having both side surfaces opened and having an inner space, and an air circulation fan 220 attached to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main body case 210 to suck air and circulate and discharge the air in the main body case 210, A heating module 230 installed inside the body case 210 for heating the air flowing through one side of the body case 210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by an external operation; And a control module (300)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heating module (230)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house (100).

여기서, 상기 시설하우스(100)를 하나의 실시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시설하우스를 포함하여 유리온실, 비닐하우스, 버섯사, 축사 등과 같이 동·식물을 생육 또는 재배하는 공간을 갖는 시설을 포함할 수 있다.Herein, the facility house 100 is described as one embodimen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facility having a space for growing or growing plants or plants such as a glasshouse, a greenhouse, a mushroom, . ≪ / RTI >

상기 본체 케이스(210)는 스테인레스 재질 또는 그 합금으로 이루어져, 습기가 많고 상대적으로 고온인 상기 시설하우스(100) 내부에서의 부식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The main body case 210 is made of stainless steel or an alloy thereof, and corrosion of the inside of the facility house 100, which is high in moisture and relatively high temperature, can be prevented in advance.

상기 공기순환 모듈(220)과 히팅 모듈(230)을 장착한 본체 케이스(210)는 상기 시설하우스(100)의 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시설하우스(100)의 밀폐된 공간의 공기를 좌우로 순환시켜줌으로서 동·식물의 신진대사를 촉진할 수가 있고, 상기 시설하우스(100) 내부 상부의 높은 온도를 주위로 순환시켜 줌으로서 에너지 절감효과를 도모함과 더불어 온도차에 의한 습도의 불균형을 제거할 수 있어 동·식물의 병충해 피해 축소와 생산증대 및 품질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The main body case 210 equipped with the air circulation module 220 and the heating module 230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inside of the facility house 100 to move the air in the closed space of the facility house 100 to the right and left Thereby circulating the plant, thereby promoting the metabolism of plants and plants. By circulating the high temperature in the upper part of the facility house 100 around the plant, the energy saving effect can be obtained and the imbalance of the humidity due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can be eliminat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amage of pests and diseases of plants and plants, increase production and improve quality.

여기서, 상기 공기순환 모듈(220)은 상기 본체 케이스(210)의 일면 및 타면에 부착되어 흡입 및 배출을 통해 공기를 순환하는 공기 순환용 팬(221)과, 상기 공기 순환용 팬(221)을 구동하는 모터(222)와, 상기 본체 케이스(210)의 일면 및 타면에 결합되어 공기 흐름의 방향을 조절하는 가이드(2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air circulation module 220 includes an air circulation fan 221 attached to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main body case 210 to circulate air through suction and discharge, And a guide 223 coupled to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main body case 210 to adjust the direction of air flow.

상기 공기 순환용 팬(221)은 상기 본체 케이스(210)의 적어도 일측면에 부착 및 고정되어 상기 시설하우스(10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흡입팬과 배출팬으로 각각 본체 케이스(210)의 일면과 타면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공기 순환용 팬(221)을 구성하는 흡입팬을 통해 시설하우스(10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팬을 통해 배출함으로써 시설하우스(100) 내의 공기를 순환시킴과 더불어 습도를 낮출 수가 있다.The air circulation fan 221 is attached to and fixed to at least on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case 210 to circulate the air inside the facility house 100. The main body case 210 210 and the other surface thereof. The air inside the facility house 100 is sucked through the suction fan constituting the air circulation fan 221 and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fan, thereby circulating the air in the facility house 100 and reducing the humidity.

상기 모터(222)는 회전 속도 가변형 모터로서,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면서 상기 공기 순환용 팬(221)을 구동한다.The motor 222 is a rotational speed variable motor, which is driven by external power supply to drive the air circulation fan 221.

상기 가이드(223)는 주름관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본체 케이스(210)로 유입되는 공기 및 배출되는 공기의 진행 방향으로 자유롭게 변경할 수가 있다. 즉, 상기 가이드(223)는 각도 조절이 비교적 간단한 재질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공기의 진행 방향을 사용자가 자유롭게 바꿀 수 있도록 상기 본체 케이스(210)의 양단에 각각 일정한 간격을 갖고 부착되어 있다. The guide 223 is made of a corrugated tube and can be freely changed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air flowing into the body case 210 and the discharged air. That is, the guide 223 is attached to both ends of the main body case 210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air can be freely changed by the user in a state where the angle adjustment is made of a relatively simple material.

따라서 상기 공기순환 모듈(220)과 히팅 모듈(230)을 장착한 본체 케이스(210)를 시설하우스(100)의 상단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한 상태에서 공기의 진행 방향으로 바꾸기 구성된 가이드(223)는 설치 장소에 따라 공기의 진행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가 있다.The guide 223 configured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air flow in a state where the main body case 210 equipped with the air circulation module 220 and the heating module 230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facility house 100 at regular intervals The direction of the air can be fre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lace.

상기 시설하우스(100)의 지면과 상부에 각각 온도·습도 센서(400)가 설치되고, 상기 온도·습도 센서(400)를 통해 상기 시설하우스(100)의 내부의 온도·습도를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상기 제어모듈(300)로 전송된다.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400 is installed on the ground and the upper part of the facility house 100 and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the facility house 100 are checked in real time through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400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 module 300.

여기서, 상기 온도·습도 센서(400)는 상기 시설하우스(100)의 지면과 상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지면 또는 상부의 어느 한쪽에만 설치하여 상기 시설하우스(100) 내부의 온도, 습도를 실시간으로 체크할 수가 있다.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400 is installed on the ground surface and the upper part of the facility house 100. However,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400 may be installed only on one of the ground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acility house 100, The temperature and the humidity can be checked in real time.

상기 제어 모듈(300)과 상기 히팅 모듈(230)은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어 온/오프를 제어한다.The control module 300 and the heating module 230 are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interface to control ON / OFF.

여기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Wi-Fi,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모듈(300)과 히팅 모듈(230)이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온도·습도 센서(400)로 획득된 온도· 습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어 모듈(300)은 상기 히팅 모듈(230)의 동작 유무를 결정하게 된다.Here, the communication interface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control module 300 and the heating module 230 using Wi-Fi and Bluetooth, and the temperature / humidity information obtained by the temperature / The control module 300 determines whether the heating module 230 operates.

상기 온도·습도 센서(400)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제어 모듈(300)에 실시간으로 온도 정보를 제공한다.The temperature / humidity sensor 400 provides temperature information to the control module 300 in real tim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manner.

상기 제어 모듈(300)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상기 히팅 모듈(230) 또는 공기 순환 모듈(220)을 제어하는 제 1 제어 기능과, 상기 시설하우스(100) 내의 온도·습도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습도값과 비교하여 상기 히팅 모듈(230) 또는 공기 순환 모듈(220)을 제어하는 제 2 제어 기능과, 시간과 상기 시설하우스(100) 내의 온도·습도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습도값과 비교하여 자동으로 상기 히팅 모듈(230) 또는 공기 순환 모듈(220)을 제어하는 제 3 제어 기능 중에서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히팅 모듈(230) 또는 공기 순환 모듈(220)을 제어한다.The control module 300 includes a first control function for manually controlling the heating module 230 or the air circulation module 220 by the user and a first control function for controlling the heating module 230 or the air circulation module 220, A second control function for controlling the heating module 230 or the air circulation module 220 in comparison with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values and a second control function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and the humidity set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formation in the facility house 100. [ And controls the heating module 230 or the air circulation module 220 through any one of the third control function that automatically controls the heating module 230 or the air circulation module 220 in comparison with the humidity valu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시설하우스의 온도·습도 제어용 환기 히팅 시스템을 유리온실, 비닐하우스, 버섯사, 축사 등의 밀폐된 공간의 공기를 좌우로 순환시켜줌으로서 동·식물의 신진대사 및 상부의 높은 온도를 순환시켜 줌으로서 에너지 절감효과를 도모하고, 온도차에 의한 습도의 불균형을 제거할 수 있어 동·식물의 병충해 피해 축소와 생산증대 및 품질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The ventilation heating system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facility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d as described above circulates air in an enclosed space such as a glasshouse, a greenhouse, a mushroom house, a hous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amage caused by the pests and diseases of plants and plants, to increase the production and to improve the quality.

뿐만 아니라 하나의 기기로 간단히 손쉽게 적정한 습도뿐만 아니라 온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시설내의 병충해 방지와 아울러 심한 습도 차이로 인한 화훼나 청과류의 품질 저하를 방지하고 생육을 좋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maintain the temperature as well as the appropriate humidity easily with a single device, thereby preventing degradation of plants and fruits due to severe hygroscopicity as well as prevention of insect pests in the facility and improving growth.

또한, 공기순환-팬과 히팅 모듈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응축기를 활용하는 제습기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므로 타사와의 경쟁에서 유리한 위치를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ir circulation fan and the heating module can be used in common, the price is lower than that of the dehumidifier utilizing the condenser, so that it is possible to secure a favorable position in competition with other companies.

특히, 기존의 제습기가 가지고 있는 봄, 가을, 겨울철의 저온 시의 냉각기 기능저하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본 발명에 의한 시설하우스의 온도·습도 제어용 환기 히팅 시스템은 사계절 내내 높은 효율의 제습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conventional dehumidifier does not cause a problem of deterioration of cooler function at low temperatures in spring, autumn and winter, the ventilation heating system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facility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high efficiency dehumidification performance hav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시설하우스의 온도·습도 제어용 환기 히팅 시스템은 독창적인 제품으로 저렴한 비용, 계절을 가리지 않는 활용성으로 인해 기존의 제품들에 비해 우수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우수성을 시설하우스 농가에 적극 홍보하여 보급해 나갈 것이며 충분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In addition, the ventilation heating system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facility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perior to the existing products due to its unique product, low cost, and seasonality. We will promote and disseminate these excellence to institutional house farmers and have sufficient competitiveness.

그리고 농업용 온풍기의 대체품으로 시설하우스의 보조난방장치로써 더욱 판매시장을 늘려갈 수 있을 것이며, 최적화된 풍량 제어기술로 타 제품과의 경쟁력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다.And as a substitute for hot air fan for agricultural use, it will be able to increase the sales market further by auxiliary heating system of the facility house, and it can gain advantage in competitiveness with other products with optimized air flow control technology.

따라서, 기존의 제습기는 응축기를 활용하여 공기 중의 수분을 빨아들여 물을 배출하는 방식으로 온도가 비교적 낮은 봄, 가을, 겨울에는 사실상 활용이 어려우며, 공기 순환을 고려하지 않아 제습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들이 있지만, 본 발명은 시설하우스 전체의 공기순환을 개선시키면서 열선 히팅을 통해 상대습도를 낮출 수가 있다.Therefore, the conventional dehumidifier suffers from the drawback that the dehumidification efficiency is lowered due to the fact that the dehumidifier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e air circulation and is not practically usable in spring, autumn, winter where the temperature is relatively low, , The present invention can lower the relative humidity through hot line heating while improving air circulation throughout the facility house.

구조적으로도 기존의 제습기에 비해 본 발명은 무게를 크게 줄일 수 있으며, 저렴한 가격으로 제작이 가능하고, 시설농가에서 요구하는 새벽 시간대의 작물 이슬 맺힘 현상을 줄이기 위해 시간대별 자동 제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In comparison with conventional dehumidifiers, the present invention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weight, can be manufactured at a low price, and can provide automatic control over time to reduce the occurrence of dew condensation at dawn time required by facility farmers have.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종래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0 : 시설하우스 210 : 본체 케이스
220 : 공기 순환 모듈 230 : 히팅 모듈
300 : 제어모듈 400 : 온도·습도센서
100: facility house 210: main body case
220: air circulation module 230: heating module
300: control module 400: temperature / humidity sensor

Claims (10)

시설하우스에 설치되어 내부의 온도·습도를 제어하는 시설하우스의 온도·습도 제어용 환기 히팅 시스템이고,
본체 케이스의 일면 및 타면에 각각 부착되어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서 순환시키어 배출하는 공기순환 모듈과,
상기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 구성되어 외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본체 케이스의 일면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일정 온도로 가열하는 히팅 모듈과,
상기 시설하우스 내의 온도·습도에 따라 상기 히팅 모듈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하우스의 온도·습도 제어용 환기 히팅 시스템.
It is a ventilation heating system for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of the facility house installed in the facility house and controlling the inside temperature and humidity.
An air circulation module attach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case to suck air and circulate the air in the main body case and discharge the air,
A heating module installed in the main body case and heating the air introduced through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case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by an external operation;
And a control module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heating module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facility hous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 모듈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일면 및 타면에 부착되어 흡입 및 배출을 통해 공기를 순환하는 공기 순환용 팬과, 상기 공기 순환용 팬을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일면 및 타면에 결합되어 공기 흐름의 방향을 조절하는 가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하우스의 온도·습도 제어용 환기 히팅 시스템.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ir circulation module comprises: an air circulation fan attached to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main body case to circulate air through suction and discharge; a motor for driving the air circulation fan; And a guide coupled to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cabinet for adjusting the direction of the air flow.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회전 속도 가변형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하우스의 온도·습도 제어용 환기 히팅 시스템.The ventilation heat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motor is a rotational speed variable moto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주름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하우스의 온도·습도 제어용 환기 히팅 시스템.The ventilation heating system for controlling temperature and humidity of a facility hous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guide comprises a corrugated pi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하우스의 지면과 상부에 각각 온도·습도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온도·습도 센서를 통해 상기 시설하우스의 내부의 온도·습도를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상기 제어모듈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하우스의 온도·습도 제어용 환기 히팅 시스템.2. Th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s are provided on the ground and upper part of the facility house, respectively, and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the facility house are checked in real time through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And a ventilation heating system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facility hous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설치 장소에 따라 상기 공기의 방향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하우스의 온도·습도 제어용 환기 히팅 시스템.The ventilation heat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guide is configured to adjust the direction of the air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loc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하우스의 온도·습도 제어용 환기 히팅 시스템.The ventilation heating system for controlling temperature and humidity of a facility hous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case is made of stainless stee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과 상기 히팅 모듈은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어 온/오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하우스의 온도·습도 제어용 환기 히팅 시스템.The ventilation heat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module and the heating module are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interface to control on / off.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습도 센서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제어 모듈에 실시간으로 온도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하우스의 온도·습도 제어용 환기 히팅 시스템.The ventilation heat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temperature / humidity sensor provides temperature information to the control module in real tim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mann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상기 히팅 모듈 또는 공기 순환 모듈을 제어하는 제 1 제어 기능과, 상기 시설하우스 내의 온도·습도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습도값과 비교하여 상기 히팅 모듈 또는 공기 순환 모듈을 제어하는 제 2 제어 기능과, 시간과 상기 시설하우스 내의 온도·습도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습도값과 비교하여 자동으로 상기 히팅 모듈 또는 공기 순환 모듈을 제어하는 제 3 제어 기능 중에서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히팅 모듈 또는 공기 순환 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하우스의 온도·습도 제어용 환기 히팅 시스템.The control modu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module comprises: a first control function for manually controlling the heating module or the air circulation module by the user; and a temperature control unit for compar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values set by the user according to temperature / A second control function for controlling the heating module or the air circulation module and comparing the time and the temperature / humidity value set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 humidity information in the facility house to automatically set the heating module or the air circulation module And controlling the heating module or the air circulation module through any one of the third control function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and the humidity of the facility house.
KR1020150044731A 2015-03-31 2015-03-31 ventilator heating system temperature humidity control of greenhouse KR2016011665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731A KR20160116653A (en) 2015-03-31 2015-03-31 ventilator heating system temperature humidity control of greenhou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731A KR20160116653A (en) 2015-03-31 2015-03-31 ventilator heating system temperature humidity control of greenhou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653A true KR20160116653A (en) 2016-10-10

Family

ID=57145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4731A KR20160116653A (en) 2015-03-31 2015-03-31 ventilator heating system temperature humidity control of greenhou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6653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7901A1 (en) * 2017-09-22 2019-03-28 30Mhz B.V. Monitoring device and system
KR102447621B1 (en) * 2021-12-29 2022-09-28 주식회사 신안그린테크 System for control of temperature and humidity using rail and temperature humidity sensor in greenhouse
KR102460087B1 (en) * 2022-01-26 2022-10-27 주식회사 블루윙모터스 Temperature control system of greenhouse for plants
KR102500208B1 (en) * 2022-06-27 2023-02-16 주식회사 신안그린테크 Intensive heating fan device in low-temperature area that can move position and move up and down through heat sens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4434B1 (en) 2003-08-18 2005-09-14 대한민국 Dehumidifier for greenhouse
KR100754772B1 (en) 2007-02-02 2007-09-03 (주)티이엔 Dehumidifier for equipment greenhouse using condensation water
KR100890574B1 (en) 2007-09-27 2009-03-25 대한민국 Dehumidifying equipment using zeolite in greenhous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4434B1 (en) 2003-08-18 2005-09-14 대한민국 Dehumidifier for greenhouse
KR100754772B1 (en) 2007-02-02 2007-09-03 (주)티이엔 Dehumidifier for equipment greenhouse using condensation water
KR100890574B1 (en) 2007-09-27 2009-03-25 대한민국 Dehumidifying equipment using zeolite in greenhous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7901A1 (en) * 2017-09-22 2019-03-28 30Mhz B.V. Monitoring device and system
KR102447621B1 (en) * 2021-12-29 2022-09-28 주식회사 신안그린테크 System for control of temperature and humidity using rail and temperature humidity sensor in greenhouse
KR102460087B1 (en) * 2022-01-26 2022-10-27 주식회사 블루윙모터스 Temperature control system of greenhouse for plants
KR102500208B1 (en) * 2022-06-27 2023-02-16 주식회사 신안그린테크 Intensive heating fan device in low-temperature area that can move position and move up and down through heat sens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1702B1 (en) An automatic temperature contol system for a greenhouse using temperature differential of inside and outside
KR20160116653A (en) ventilator heating system temperature humidity control of greenhouse
Coomans et al. Monitoring and energetic performance of two similar semi-closed greenhouse ventilation systems
US20220264809A1 (en) Greenhouse
KR102036006B1 (en) Energy Saving Heat Pump Thermohygrostat for Plant Factory and its Control Method
CN104317272A (en) Remote greenhouse environment adjusting system
KR101976264B1 (en) the interior and exterior aerial dispersal apparatus for growth and development room of animals and plants
CN204742039U (en) Green house cooling system structure
CN203618477U (en) Greenhouse air conditioning system
KR200458453Y1 (en) Circulator for green house
KR20050019235A (en) Dehumidifier for greenhouse
CN104381014A (en) System using rural idle cave to plant agaricus bisporus
KR20070008194A (en) Air conditioning and heating apparatus for vinyil house
CN106489522A (en) A kind of Volvariella volvacea (Bull.Ex Franch.) Singer. room and its application process
CN110521458A (en) A kind of integrated form greenhouse
JP5590589B2 (en) Grape cultivation field with ventilation fan and its method
KR200487259Y1 (en) Greenhouse for controlling humidity automatic
KR200375541Y1 (en) An automatic ventilating device of growing-house
CN206294603U (en) A kind of strawberry gets over summer seedling raising greenhouse
KR101307892B1 (en) Waste heat withdrawing method of greenhouse by heat pump
KR102456638B1 (en) Multi-level controllable cooling and heating apparatus of facility house for farming
CN221011065U (en) Agricultural greenhouse
CN216600986U (en) Air mixing homogenization climatic chamber
Boyaci Investig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 Fan-Pad Cooling System and The Horizontal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Changes in The Greenhouse
CN213127339U (en) Greenhouse heat insulation and ventil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