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5842A - Paddy field working machine - Google Patents

Paddy field work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5842A
KR20160115842A KR1020160036088A KR20160036088A KR20160115842A KR 20160115842 A KR20160115842 A KR 20160115842A KR 1020160036088 A KR1020160036088 A KR 1020160036088A KR 20160036088 A KR20160036088 A KR 20160036088A KR 20160115842 A KR20160115842 A KR 201601158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forming
groove
float
forming portion
cover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60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다로 나카무라
요시키요 나카가와
쇼타 이시하라
요시히토 가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60115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584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6Machines for making or covering drills or furrows for sowing or planting
    • A01C5/062Devices for making drills or furrows
    • A01C5/064Devices for making drills or furrows with rot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6Machines for making or covering drills or furrows for sowing or planting
    • A01C5/066Devices for covering drills or furrow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20Parts of seeders for conducting and depositing seed
    • A01C7/206Seed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ertilizing (AREA)
  • Sow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A paddy field working device is arranged with a first and a second groove forming unit and a soil covering member, while inhibiting the horizontal width of the entire soil covering member. A first soil covering member (37) for reclaiming the groove by a first groove forming unit (41) supplied with a first separation body along with the progression of gas is provided on the lateral side of the first groove forming unit (41) and on the position of the rear side of the first groove forming unit (41). A second groove forming unit (42), in the lateral side of the first groove forming unit (41) and the position of the rear side of the first groove forming unit (41), is provided on the position overlapped with a first soil covering member (37) from the side.

Description

수전 작업기{PADDY FIELD WORKING MACHINE}{PADDY FIELD WORKING MACHINE}

본 발명은 비료, 약제 및 종자, 다른 종류의 약제, 다른 종류의 비료 등과 같이, 다른 복수 종류의 농업용의 분립체를 논바닥에 공급하는 승용형 전식기나 승용형 직파기 등의 수전 작업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feeding type working machine such as a passenger-type electric vehicle or a passenger-type straightener which feeds a plurality of different kinds of agriculture-use granular materials, such as fertilizers, medicines and seeds, other kinds of medicines and other kinds of fertilizers.

수전 작업기에서는, 약제와 비료, 종자와 비료, 종자와 약제와 같이, 다른 2종류의 분립체를 논바닥에 공급하도록 구성한 것이 있다.In the water treatment machine, two different kinds of granular materials, such as medicines and fertilizers, seeds and fertilizers, seeds and medicines, are supplied to the bottom of rice fields.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서는 기체의 진행에 수반하여 논바닥에 홈을 형성하는 제1 홈 형성부(특허문헌 1의 도 8 및 도 10의 부호 17)를 구비하고, 복토 부재(특허문헌 1의 도 8 및 도 10의 부호 88)를 제1 홈 형성부의 횡측에 구비하고 있다.For example, in Patent Document 1, there is provided a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reference numeral 17 in Fig. 8 and Fig. 10 of Patent Document 1) for forming a groove in the bottom of a rice paddle with the progress of the gas, 88 in Fig. 8 and Fig. 10, 88) are provided on the lateral side of the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이에 의해, 제1 조출부(특허문헌 1의 도 1, 도 3, 도 5의 부호 15)에 의해 조출된 제1 분립체(특허문헌 1에서는 비료)가, 제1 공급 파이프(특허문헌 1의 도 1, 도 4, 도 10의 부호 18, 19)로부터, 제1 홈 형성부에 의해 논바닥에 형성된 홈에 공급된다.Thereby, the first granulated material (the fertilizer in Patent Document 1) fed out by the first feeding portion (the first numerical value of Fig. 1, Fig. 3 and Fig. 5 of Patent Document 1) 18, 19 in Figs. 1, 4, and 10) to the grooves formed on the rice paddle by the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특허문헌 1에서는 기체의 진행에 수반하여 논바닥에 홈을 형성하는 제2 홈 형성부(특허문헌 1의 도 8 및 도 10의 부호 12)를 구비하고 있고, 제2 홈 형성부를 복토 부재의 연장 단부의 횡측에 구비하고 있다(특허문헌 1의 도 8 및 도 10 참조).In Patent Document 1, there is provided a second groove forming portion (reference numeral 12 in Fig. 8 and Fig. 10 of Patent Document 1) for forming a groove in the rice paddy with the progress of the gas, and the second groove forming portion is an extension (See Figs. 8 and 10 of Patent Document 1).

이에 의해, 제2 조출부(특허문헌 1의 도 4 및 도 6의 부호 7)에 의해 조출된 제2 분립체(특허문헌 1에서는 종자)가, 제2 공급 파이프(특허문헌 1의 도 1, 도 4, 도 10의 부호 13)로부터, 제2 홈 형성부에 의해 논바닥에 형성된 홈에 공급된다.As a result, the second granular material (seed in Patent Document 1) fed by the second feeding portion (the reference numeral 7 in Fig. 4 and Fig. 6 of Patent Document 1) is fed to the second feeding pipe 4 and 10 in Fig. 10) to the groove formed on the rice field by the second groove forming portion.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1-30441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1-30441

제1 및 제2 홈 형성부, 복토 부재를 구비하는 경우, 특허문헌 1에서는, 측면에서 볼 때 제1 홈 형성부와 복토 부재가 중복되도록, 제1 홈 형성부의 횡측에 복토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In the case where the first and second groove forming portions and the cover member are provided, the cover member is provided on the lateral side of the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so that the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and the cover member overlap each other when viewed from the side .

이에 의해, 복토 부재의 위치를 설정하는 경우, 제1 홈 형성부와 복토 부재의 접촉을 피하면서, 측면에서 볼 때 제1 홈 형성부와 복토 부재가 중복되도록 제1 홈 형성부의 횡측에 복토 부재를 구비하기 위해, 복토 부재와 제1 홈 형성부를 좌우 방향으로 약간 이격할 필요가 있다.Thus, when setting the position of the covering memb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tact between the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and the covering member from being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covering member and the covering member overlap each other when viewed from the side, It is necessary to slightly separate the covering member and the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in the left-right direction.

따라서, 제1 및 제2 홈 형성부, 복토 부재에 걸치는 전체가 횡폭이 큰 것으로 되어 있어, 개선의 여지가 있다.Therefore, the total width across the first and second groove forming portions and the covering member is large, which is a room for improvement.

본 발명은 수전 작업기에 있어서, 제1 및 제2 홈 형성부, 복토 부재를 구비하는 경우, 제1 및 제2 홈 형성부, 복토 부재의 전체의 횡폭을 억제하면서, 제1 및 제2 홈 형성부, 복토 부재를 배치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and second grooved portions and the cover member are provided, the first and second grooved portions and the cover member ar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grooved portions So that it is possible to arrange the reinforcing member, the reinforcing member and the reinforcing member.

[I][I]

(구성) (Configuration)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수전 작업기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구성하는 데 있다.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ides in the following configuration of a water receiving machine.

제1 분립체를 저류하는 제1 저류부와, 제2 분립체를 저류하는 제2 저류부와, 상기 제1 저류부로부터 제1 분립체를 조출하는 제1 조출부와, 상기 제2 저류부로부터 제2 분립체를 조출하는 제2 조출부를 구비하고,A first storage section for storing the first granular material, a second storage section for storing the second granular material, a first discharge section for discharging the first granular material from the first storage section, And a second feeding part for feeding out the second granular material from the second feeding part,

기체의 진행에 수반하여 논바닥에 홈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홈 형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조출부에 의해 조출된 제1 및 제2 분립체가, 제1 및 제2 홈 형성부에 접속된 제1 및 제2 공급 파이프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홈 형성부에 의해 논바닥에 형성된 홈에 공급되도록 구성하고,And first and second grooved portions forming grooves in the bottom of the rice paddle along with the progress of the gas,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granular materials fed out by the first and second feeding portions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grooves, The first and second supply pipes connected to the forming portion are supplied to the groove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rice paddle by the first and second groove forming portions,

기체의 진행에 수반하여 제1 분립체가 공급된 상기 제1 홈 형성부에 의한 홈을 매립하는 제1 복토 부재를, 상기 제1 홈 형성부의 횡측이고 또한 상기 제1 홈 형성부의 후방측의 위치에 구비하고,The first ground member for filling the groove formed by the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supplied with the first granular material with the progress of the gas is arranged at a position on the lateral side of the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and on the rear side of the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Respectively,

상기 제2 홈 형성부를, 상기 제1 홈 형성부의 횡측이고 또한 상기 제1 홈 형성부의 후방측의 위치에서,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제1 복토 부재와 중복되는 위치에 구비하고 있다.The second groove forming portion is provided at a position overlapping with the first covering member when viewed from the side at a position on the lateral side of the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and on the rear side of the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작용 및 발명의 효과)(Effect of Action and Invention)

[I]-1[I] -1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의하면, 제1 복토 부재를 제1 홈 형성부의 횡측이고 제1 홈 형성부의 후방측의 위치에 구비하고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vering member is provided on the lateral side of the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and at the rear side of the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이상과 같이, 제1 복토 부재가 제1 홈 형성부의 횡측에 위치하고 있지 않으므로, 좌우 방향에서 제1 홈 형성부와 제1 복토 부재를 접근시킬 수 있어, 제1 홈 형성부 및 제1 복토 부재의 전체의 횡폭을 억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irst cover member is not located on the lateral side of the first groove-formed portion, the first groove-formed portion and the first cover member can approach each other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e entire width can be suppressed.

이 경우에, 제1 복토 부재가 제1 홈 형성부의 횡측에 위치하고 있지 않으므로, 좌우 방향에서 제1 홈 형성부와 제1 복토 부재를 접근시켜도, 제1 복토 부재를 제1 홈 형성부에 접촉시키지 않고, 제1 복토 부재를 무리 없이 적정한 자세로 설정할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first cover member is not located on the lateral side of the first groove formation unit, even if the first groove formation unit and the first cover member approach each other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e first cover member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irst groove- And the first cover member can be set to a proper attitude without difficulty.

[I]-2[I] -2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의하면, 제2 홈 형성부를 구비하는 경우, 제2 홈 형성부를 제1 홈 형성부의 횡측이고 또한 제1 홈 형성부의 후방측의 위치에 구비하고 있고, 제2 홈 형성부를 측면에서 볼 때 제1 복토 부재와 중복되는 위치에 구비하고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cond groove forming portion is provided, the second groove form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lateral side of the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and on the rear side of the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And is provided at a position overlapping with the first covering member when viewed from the side.

이상과 같이, 제2 홈 형성부를 제1 홈 형성부의 횡측이고 또한 제1 홈 형성부의 후방측의 위치에 구비함으로써, 좌우 방향에서 제1 홈 형성부와 제2 홈 형성부를 접근시킬 수 있어, 제1 및 제2 홈 형성부의 전체의 횡폭을 억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providing the second groove forming portion at the lateral side of the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and at the rear side of the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the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and the second groove forming portion can be made closer to each other in the lateral direction, 1 and the entire second groove forming portion can be suppressed.

제2 홈 형성부를 측면에서 볼 때 제1 복토 부재와 중복되는 위치에 구비함으로써, 전후 방향에서 제1 및 제2 홈 형성부가 이격된 것으로 되지 않고, 제1 및 제2 홈 형성부, 복토 부재의 전체의 전후 방향의 길이를 억제할 수 있다.Since the second groove forming portion is provided at a position overlapping the first covering member when viewed from the side, the first and second groove forming portions are not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groove forming portions,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entir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3[I] -3

전항 [I]-1에 기재된 상태에 있어서, 제1 분립체가 제1 공급 파이프의 출구로부터 나왔을 때에 횡측으로 비산되었을 경우, 제1 복토 부재가 제1 홈 형성부의 횡측에 위치하고 있지 않으므로, 제1 분립체가 횡측의 제1 복토 부재에 부착될 가능성을 적게 할 수 있는 것이고, 제1 복토 부재에 있어서 제1 분립체의 덩어리가 성장할 가능성을 적게 할 수 있다.In the state described in the preceding item [I] -1, when the first powder material is scattered laterally when it comes out from the outlet of the first supply pipe, since the first covering material is not located on the lateral side of the first groove forming par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ssibility that the body is adhered to the lateral first side cover member and the possibility that the first bulk body is lumpy can be reduced in the first cover member.

[I]-4[I] -4

전항 [I]-1, 2, 3에 기재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의하면, 제1 복토 부재로의 제1 분립체의 부착 및 제1 복토 부재에서의 제1 분립체의 덩어리의 성장을 억제하면서, 제1 홈 형성부 및 제1 복토 부재의 전체의 횡폭을 억제할 수 있는 점, 제1 및 제2 홈 형성부의 전체의 횡폭을 억제할 수 있는 점 및 제1 및 제2 홈 형성부, 제1 복토 부재의 전체의 전후 방향의 길이를 억제할 수 있는 점에 의해, 제1 및 제2 홈 형성부, 제1 복토 부재의 전체를 콤팩트하게 통합하여 배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the above [I] -1, 2, and 3, the attachment of the first powder compact to the first cover member and the lump of the first powder compact in the first cover member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entire width of the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and the first covering member while suppressing the growth of the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and the whole groove width of the first and second groove forming portions, The entire length of the groove forming portion and the first cover memb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an be suppressed so that the entire first and second groove forming portions and the first cover member can be integrally and compactly arranged.

[II][II]

(구성)(Configuration)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본 발명의 제1 특징의 수전 작업기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구성하는 데 있다.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ides in the following configuration of a water receiving machine of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기체의 진행에 수반하여 제2 분립체가 공급된 상기 제2 홈 형성부에 의한 홈을 매립하는 제2 복토 부재를 구비하고,And a second covering member for covering the groove formed by the second groove forming portion supplied with the second powder material along with the progress of the gas,

상기 제2 복토 부재를, 상기 제2 홈 형성부의 횡측의 위치에서,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제2 홈 형성부와 중복되는 위치에 구비하고 있다.And the second covering member is provided at a position overlapping with the second groove forming portion when viewed from the side in a lateral position of the second groove forming portion.

(작용 및 발명의 효과)(Effect of Action and Invention)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의하면, 제2 홈 형성부에 대해 제2 복토 부재를 구비하는 경우, 전후 방향에서 제2 홈 형성부와 제2 복토 부재가 접근하므로, 제2 홈 형성부 및 제2 복토 부재의 전체의 전후 방향으로 길이를 억제할 수 있고, 제1 및 제2 홈 형성부, 제1 및 제2 복토 부재의 전체의 전후 방향의 길이를 억제할 수 있고, 제1 및 제2 홈 형성부, 제1 및 제2 복토 부재의 전체를 콤팩트하게 통합하여 배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cond covering member is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groove forming unit, the second groove forming unit and the second covering member approach each oth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entire length of the covering memb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o suppress the entire l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groove forming portions and the first and second covering member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orming por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covering members can be arranged compactly and integrally.

[III][III]

(구성)(Configuration)

본 발명의 제3 특징은,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 특징의 수전 작업기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구성하는 데 있다.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ides in the following construction of the water receiving machine of the first or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1 복토 부재의 기초부를, 상기 제1 홈 형성부의 횡측이고 또한 상기 제1 홈 형성부의 후방측의 위치에 구비하고, 상기 제1 복토 부재를 상기 제1 홈 형성부에 의한 홈 및 후방을 향하는 경사 후방으로 연장하고,Wherein the base portion of the first cover member is provided at a lateral side of the first groove formation portion and at a position on the rear side of the first groove formation portion and the first cover member is fixed to the groove formed by the first groove- Extending toward the rear of the inclined posture,

상기 제2 홈 형성부를, 좌우 방향에서 상기 제1 복토 부재에 대해 상기 제1 홈 형성부와는 반대측인 상기 제1 홈 형성부의 횡측의 위치에 구비하고 있다.The second groove forming portion is provided at a lateral position of the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which is opposite to the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cover member in the lateral direction.

(작용 및 발명의 효과)(Effect of Action and Invention)

[III]-1[III] -1

복토 부재로서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홈 형성부에 의한 홈 및 후방을 향하는 경사 후방으로 연장된 것이 있다.As the cover member, there is a groove formed by the groove forming portion and an inclined rear portion extending toward the rear, a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

전술한 바와 같은 제1 복토 부재를 구비하는 경우, 본 발명의 제3 특징에 의하면, 제1 복토 부재의 기초부가 제1 홈 형성부의 횡측에 위치하고 있지 않으므로, 좌우 방향에서 제1 홈 형성부와 제1 복토 부재의 기초부를 접근시켜도, 제1 복토 부재를 제1 홈 형성부에 접촉시키지 않고, 제1 홈 형성부에 의한 홈 및 후방을 향하는 경사 후방으로 무리 없이 연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hir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ase portion of the first covering member is not located on the lateral side of the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the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and the second groove forming portion The first cover member can be extended to the groove formed by the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and the inclined rearward facing toward the rear without making contact with the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III]-2[III] -2

전항 [III]-1에 기재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3 특징에 의하면, 제2 홈 형성부를 구비하는 경우, 제2 홈 형성부를 제1 복토 부재의 연장 단부의 횡측이 아니라, 좌우 방향에서 제1 복토 부재에 대해 제1 홈 형성부와는 반대측(제1 복토 부재의 연장 단부와는 반대측)에 구비하고 있다.According to the thir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ate described in the preceding paragraph [III] -1, when the second groove forming portion is provided, the second groove forming portion is formed not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extending end portion of the first covering member but in the left- Is form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opposite to the extending end of the first covering member) with respect to the first covering member.

이에 의해, 제1 복토 부재에 대해, 좌우 방향에서 일방측에 제1 홈 형성부를 구비하고, 좌우 방향에서 타방측(제1 복토 부재의 연장 단부와는 반대측)에 제2 홈 형성부를 구비하는 상태가 되어, 제1 및 제2 홈 형성부, 제1 복토 부재의 전체의 횡폭을 억제할 수 있다.Thus, in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is provided on one side in the left-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covering member and the second groove form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pposite the extending end portion of the first covering member) So that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entire width of the first and second groove forming portions and the first cover member.

[III]-3[III] -3

전항 [III]-1, 2에 기재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특징에 의하면, 제1 복토 부재를 제1 홈 형성부에 접촉시키지 않고 제1 홈 형성부에 의한 홈 및 후방을 향하는 경사 후방으로 무리 없이 연장할 수 있는 점 및 제1 및 제2 홈 형성부, 제1 복토 부재의 전체의 횡폭을 억제할 수 있는 점에 의해, 제1 및 제2 홈 형성부, 제1 복토 부재(제2 복토 부재)의 전체를 콤팩트하게 통합하여 배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hir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ver member is not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and the groove formed by the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and the inclined surface facing the rear side The first and second groove forming portions and the first covering member can be formed by the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and the first covering portion, The second cover member) can be arranged compactly and integrally.

[IV][IV]

(구성)(Configuration)

본 발명의 제4 특징은, 본 발명의 제3 특징의 수전 작업기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구성하는 데 있다.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ides in the following configuration of the water receiving machine of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기체의 진행에 수반하여 제2 분립체가 공급된 상기 제2 홈 형성부에 의한 홈을 매립하는 제2 복토 부재를 구비하고,And a second covering member for covering the groove formed by the second groove forming portion supplied with the second powder material along with the progress of the gas,

상기 제2 복토 부재의 기초부를, 좌우 방향에서 상기 제2 홈 형성부에 대해 상기 제1 복토 부재와는 반대측인 상기 제2 홈 형성부의 횡측의 위치에서,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제2 홈 형성부와 중복되는 위치에 구비하고,Wherein the base portion of the second covering member is disposed at a position on the lateral side of the second groove forming portion which is opposite to the first covering member with respect to the second groove forming portion in the lateral direction, Which is located at a position overlapping with the center,

상기 제2 복토 부재를 상기 제2 홈 형성부에 의한 홈 및 후방을 향하는 경사 후방으로 연장하고 있다.And the second covering member extends to the groove formed by the second groove forming portion and rearwardly inclined rearward.

(작용 및 발명의 효과)(Effect of Action and Invention)

[IV]-1[IV] -1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2 복토 부재를 제2 홈 형성부에 의한 홈 및 후방을 향하는 경사 후방으로 연장하도록 구성하는 경우, 본 발명의 제4 특징에 의하면, 제2 복토 부재의 기초부를 좌우 방향에서 제2 홈 형성부에 대해 제1 복토 부재와는 반대측인 제2 홈 형성부의 횡측의 위치에 구비하고 있고, 제2 복토 부재의 기초부를 측면에서 볼 때 제2 홈 형성부와 중복되는 위치에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제1 복토 부재와의 간섭을 피하면서, 제2 복토 부재의 기초부를 무리 없이 배치할 수 있다.A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in the case where the second covering member is configured to extend to the groove formed by the second groove forming portion and the rearward inclined rear portion, according to the fourth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portion is provided at a lateral position of the second groove forming portion opposite to the first covering member with respect to the second groove forming por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the base portion of the second covering member is provided with the second groove forming portion And are provided at overlapping positions. Thereby, it is possible to dispose the base portion of the second covering member without disrupting while avoiding interference with the first covering member.

[IV]-2[IV] -2

전항 [IV]-1에 기재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4 특징에 의하면, 제2 복토 부재가 제2 홈 형성부에 대해 제1 복토 부재와는 반대측의 위치로부터, 제2 홈 형성부에 의한 홈 및 후방을 향하는 경사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1 및 제2 복토 부재가 서로 따르도록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및 제2 복토 부재의 서로의 간섭을 피하면서, 좌우 방향에서 제2 복토 부재를 제1 복토 부재에 접근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fourth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ate described in the preceding paragraph [IV] -1, the second covering member is moved from the position opposite to the first covering member to the second groove defining por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covering members extend in the same direction so as to follow each other. Thereby, the second cover member can approach the first cover member in the left-right direction while avoiding interference between the first cover member and the second cover member.

[IV]-3[IV] -3

전항 [IV]-1, 2에 기재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특징에 의하면, 제1 복토 부재와의 간섭을 피하면서 제2 복토 부재의 기초부를 무리 없이 배치할 수 있는 점 및 제1 및 제2 복토 부재의 서로의 간섭을 피하면서 좌우 방향에서 제2 복토 부재를 제1 복토 부재에 접근시킬 수 있는 점에 의해, 제1 및 제2 홈 형성부, 제1 및 제2 복토 부재의 전체를 콤팩트하게 통합하여 배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rrange the base portion of the second covering member without difficulty while avoiding interference with the first covering member as described in the preceding paragraph [IV] -1, And the second cover member can be moved closer to the first cover member in the left-right direction while avoiding interference between the first cover member and the second cover member, And the whole can be compactly integrated.

[V][V]

(구성)(Configuration)

본 발명의 제5 특징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특징의 수전 작업기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구성하는 데 있다.A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ides in the following structure of any one of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of the water receiv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1 홈 형성부가, 논바닥에 홈을 형성하는 제1 홈 형성체와, 상기 제1 홈 형성체의 후방부의 우측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제1 우측 벽부와, 상기 제1 홈 형성체의 후방부의 좌측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제1 좌측 벽부를 구비하고 있고,Wherein the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includes a first groove forming body forming a groove in a rice field, a first right wall portion extending rearward from a right portion of a rear portion of the first groove forming body, And a first left side wall portion extending rearward from a left side portion of the rear portion,

상기 제1 우측 벽부 및 제1 좌측 벽부의 하단부가 플로트의 저면보다도 상측에 위치하고,The lower end portions of the first right side wall portion and the first left side wall portion are located above the bottom surface of the float,

상기 제1 공급 파이프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1 분립체의 출구가, 상기 제1 우측 벽부 및 제1 좌측 벽부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And an outlet of the first powder compact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supply pipe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right wall portion and the first left wall portion.

(작용 및 발명의 효과)(Effect of Action and Invention)

[V]-1[V] -1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홈 형성부를, 논바닥에 돌입하여 홈을 형성하는 홈 형성체와, 홈 형성체의 후방부의 우측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우측 벽부와, 홈 형성체의 후방부의 좌측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좌측 벽부를 구비하여 구성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홈 형성부에 있어서, 공급 파이프가 홈 형성부에 접속되었을 경우, 공급 파이프의 출구가 홈 형성부의 우측 및 좌측 벽부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다.A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the groove forming portion includes a groove forming body for forming a groove by entering the bottom of rice field, a right side wall portion extending rearward from the right side of the rear portion of the groove forming body, And a left side wall portion extending rearward from the left side portion of the portion. In such a groove forming portion, when the supply pipe is connected to the groove forming portion, the outlet of the supply pipe is often located between the right and left wall portions of the groove forming portion.

전술한 상태에 있어서, 예를 들어 약제와 같이 미세한 분립체를 공급 파이프의 출구로부터 홈 형성부에 의한 홈에 공급하는 경우, 분립체가 공급 파이프의 출구로부터 나왔을 때에 홈 형성부의 우측 및 좌측 벽부에 접촉하면, 논바닥의 물에 의해 분립체가 홈 형성부의 우측 및 좌측 벽부의 내면에 부착되고, 분립체의 덩어리가 성장하여 막힘으로 발전하는 경우가 있다.In the above-described state, for example, when fine particles are fed from the outlet of the supply pipe to the groove formed by the groove forming portion such as a medicine, when the powder is discharged from the outlet of the supply pipe, contact with the right and left wall portions , The powder is adhered to the inner surfaces of the right and left side wall portions of the groove forming portion by the water of the rice paddy, and the lumps of the powder particles grow and clogged to generate electricity.

[V]-2[V] -2

전항 [V]-1에 기재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5 특징에 의하면, 제1 홈 형성부의 제1 우측 벽부 및 제1 좌측 벽부의 하단부가 플로트의 저면보다도 상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제1 홈 형성부의 제1 우측 벽부 및 제1 좌측 벽부의 하단부를 논바닥보다도 상측에 위치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fth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right side wall portion of the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an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first left wall portion are located above the bottom surface of the float in the state described in the preceding item [V] -1, The first right side wall portion of the forming portion an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first left side wall portion can be positioned above the rice field floor.

이에 의해, 제1 분립체가 제1 공급 파이프의 출구로부터 나왔을 때에, 제1 홈 형성부의 제1 우측 벽부 및 제1 좌측 벽부에 접촉하는 경우가 적어져, 논바닥의 물이 제1 홈 형성부의 제1 우측 벽부 및 제1 좌측 벽부의 내면에 도달하기 어려워지므로, 제1 분립체가 제1 홈 형성부의 제1 우측 벽부 및 제1 좌측 벽부의 내면에 부착될 가능성을 적게 할 수 있는 것이고, 제1 분립체의 덩어리가 성장하여 막힘으로 발전할 가능성을 적게 할 수 있다.As a result, when the first granular material comes out of the outlet of the first supply pipe, the contact with the first right side wall portion and the first left side wall portion of the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is reduc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ssibility that the first granular material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right side wall portion and the first left side wall portion of the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ssibility that the sieve lump grows and develops due to clogging.

[V]-3[V] -3

전항 [V]-2에 기재한 바와 같이, 제1 분립체가 제1 공급 파이프의 출구로부터 나왔을 때에, 제1 홈 형성부의 제1 우측 벽부 및 제1 좌측 벽부의 하측을 통해 제1 홈 형성부의 횡측(외측)으로 나왔다고 해도, 본 발명의 제5 특징에 의하면, 전항 [I]-1에 기재한 바와 같이, 제1 복토 부재가 제1 홈 형성부(제1 공급 파이프의 출구)보다도 후방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제1 복토 부재에 제1 분립체가 부착될 가능성을 적게 할 수 있는 것이고, 제1 복토 부재에 있어서 제1 분립체의 덩어리가 성장할 가능성을 적게 할 수 있다.When the first granulated material comes out of the outlet of the first supply pipe, the first right-side wall portion and the first left-side wall portion of the first groove- (I) - 1, the first cover member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the outlet of the first supply pip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ssibility that the first granular material is attached to the first ground member and the possibility that the first granular material lumps grow in the first ground member can be reduced.

[VI][VI]

(구성)(Configuration)

본 발명의 제6 특징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5 특징의 수전 작업기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구성하는 데 있다.A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ides in the following configuration of any one of the first to fifth embodiments of the water receiv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2 홈 형성부가, 논바닥에 홈을 형성하는 제2 홈 형성체와, 상기 제2 홈 형성체의 후방부의 우측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제2 우측 벽부와, 상기 제2 홈 형성체의 후방부의 좌측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제2 좌측 벽부를 구비하고 있고,Wherein the second groove forming portion includes a second groove forming body forming a groove on a rice field, a second right wall portion extending rearward from a right side portion of a rear portion of the second groove forming body, And a second left side wall portion extending rearward from a left side portion of the rear portion,

상기 제2 우측 벽부 및 제2 좌측 벽부의 하단부가 플로트의 저면보다도 하측에 위치하고,The lower end portions of the second right side wall portion and the second left side wall portion are positioned below the bottom surface of the float,

상기 제2 공급 파이프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분립체의 출구가, 상기 제2 우측 벽부 및 제2 좌측 벽부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And an outlet of the second powder compact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upply pipe is located between the second right wall portion and the second left wall portion.

(작용 및 발명의 효과)(Effect of Action and Invention)

[VI]-1[VI] -1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홈 형성부를, 논바닥에 돌입하여 홈을 형성하는 홈 형성체와, 홈 형성체의 후방부의 우측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우측 벽부와, 홈 형성체의 후방부의 좌측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좌측 벽부를 구비하여 구성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홈 형성부에 있어서, 공급 파이프가 홈 형성부에 접속되었을 경우, 공급 파이프의 출구가 홈 형성부의 우측 및 좌측 벽부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다.A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the groove forming portion includes a groove forming body for forming a groove by entering the bottom of rice field, a right side wall portion extending rearward from the right side of the rear portion of the groove forming body, And a left side wall portion extending rearward from the left side portion of the portion. In such a groove forming portion, when the supply pipe is connected to the groove forming portion, the outlet of the supply pipe is often located between the right and left wall portions of the groove forming portion.

전술한 상태에 있어서, 예를 들어 비료와 같이 비교적 큰 입자의 분립체를 공급 파이프의 출구로부터 홈 형성부에 의한 홈에 공급하는 경우, 분립체를 가능한 한 비산시키지 않고 홈 형성부에 의한 홈에 공급하고 싶다는 요망이 있다.In the above-described state, for example, when the powder of relatively large particles such as fertilizer is supplied from the outlet of the supply pipe to the grooves formed by the grooved portions, the grooves formed by the grooved portions There is a desire to supply.

[VI]-2[VI] -2

전항 [VI]-1에 기재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6 특징에 의하면, 제2 홈 형성부의 제2 우측 벽부 및 제2 좌측 벽부의 하단부가 플로트의 저면보다도 하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제2 홈 형성부의 제2 우측 벽부 및 제2 좌측 벽부의 하단부를 논바닥보다도 하측에 위치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sixth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ate described in the preceding paragraph [VI] -1, since the second right side wall portion of the second groove forming portion an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econd left side wall portion are located below the bottom surface of the float, The second right side wall portion an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econd left side wall portion can be positioned below the rice field floor.

이에 의해, 제2 분립체가 제2 공급 파이프의 출구로부터 나왔을 때에 비산되려고 해도, 제2 홈 형성부의 제2 우측 벽부 및 제2 좌측 벽부에 의해 제2 분립체의 비산이 억제되고, 제2 분립체가 제2 홈 형성부에 의한 홈에 공급된다.Thus, even if the second granular material is to be scattered when it comes out from the outlet of the second supply pipe, scattering of the second granular material is suppressed by the second right wall portion and the second left wall portion of the second groove forming portion, And is supplied to the groove formed by the second groove forming portion.

[VI]-3[VI] -3

전항 [I]-2에 기재한 바와 같이, 제2 홈 형성부를 측면에서 볼 때 제1 복토 부재와 중복되는 위치에 구비하고 있고, 제2 홈 형성부의 횡측에 제1 복토 부재가 위치하고 있다.As described in [I] -2 above, the second groove forming portion is provided at a position overlapping with the first covering member when seen from the side, and the first covering member is positioned on the lateral side of the second groove forming portion.

본 발명의 제6 특징에 의하면, 제2 분립체가 제2 공급 파이프의 출구로부터 나왔을 때에 횡측으로 비산하려고 해도, 제2 홈 형성부의 제2 우측 벽부 및 제2 좌측 벽부에 의해 제2 분립체의 비산이 억제되고, 제2 분립체가 횡측의 제1 복토 부재에 부착될 가능성을 적게 할 수 있는 것이고, 제1 복토 부재에 있어서 제2 분립체의 덩어리가 성장할 가능성을 적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second powder material is to be scattered laterally when the second powder material comes out from the outlet of the second supply pipe, the second right and left wall portions of the second groove- The possibility that the second granular material adheres to the transverse first covering material can be reduced and the possibility that the second covering material is lumpy in the first covering material can be reduced.

[VII][VII]

(구성)(Configuration)

본 발명의 제7 특징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6 특징의 수전 작업기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구성할 일 있다.A 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as follows in any one of the first to sixth embodiments of the water receiv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1 홈 형성부를 플로트에 연결하고,The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float,

상기 제1 홈 형성부의 횡측이고 또한 상기 제1 홈 형성부의 후방측 위치의 상기 플로트의 부분에, 전후 방향을 따른 상하 방향의 종벽부를 연결하고, 상기 종벽부에 상기 제1 복토 부재를 연결하고 있다.A vertical wall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is connected to a portion of the float on the lateral side of the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and in the rear side position of the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and the first cover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wall portion .

(작용 및 발명의 효과)(Effect of Action and Invention)

전항 [I]-3에 기재한 바와 같이, 제1 분립체가 제1 공급 파이프의 출구로부터 나왔을 때에 횡측으로 비산된 경우, 본 발명의 제7 특징에 의하면, 플로트에 흐르려고 하는 제1 분립체를 종벽부에 의해 멈출 수 있고, 제1 공급 파이프의 출구로부터 나온 제1 분립체가 플로트에 부착될 가능성을 적게 할 수 있는 것이고, 플로트에 있어서 제1 분립체의 덩어리가 성장할 가능성을 적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where the first granular material is scattered laterally when the first granular material comes out from the outlet of the first supply pipe as described in the preceding paragraph [I] -3, the first granular material to flow in the float The possibility that the first granulated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outlet of the first supply pipe adheres to the float can be reduced and the possibility that the mass of the first granulated material grows in the float can be reduced.

[VIII][VIII]

(구성)(Configuration)

본 발명의 제8 특징은, 본 발명의 제7 특징의 수전 작업기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구성하는 데 있다.An eigh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ides in the following configuration of a water receiving machine of the 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1 복토 부재의 위치를 상하로 변경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And the position of the first covering member can be changed up and down.

(작용 및 발명의 효과)(Effect of Action and Invention)

본 발명의 제8 특징에 의하면, 논바닥의 상태(논바닥의 진흙의 경연이나, 논바닥의 물의 양 등)에 따라, 제1 복토 부재의 위치(논바닥으로의 돌입 깊이)를 상하로 변경함으로써, 제1 분립체가 공급된 제1 홈 형성부에 의한 홈을 적절히 매립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igh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first covering member (the depth of penetration into the rice paddy) is changed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state of the rice paddy (the contest of the clay of the rice paddy,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fill the grooves formed by the first groove forming portions supplied with the first granular material.

[IX][IX]

(구성)(Configuration)

본 발명의 제9 특징은, 본 발명의 제8 특징의 수전 작업기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구성하는 데 있다.A ni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ides in the following construction of the water receiving machine of the eigh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후 방향에 대한 상기 제1 복토 부재의 경사 자세를 상기 플로트의 저면을 따라 변경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And the inclined posture of the first covering member with respect to the front-rear direction can be changed along the bottom surface of the float.

(작용 및 발명의 효과)(Effect of Action and Invention)

본 발명의 제9 특징에 의하면, 제1 복토 부재의 위치(논바닥으로의 돌입 깊이)를 상하로 변경할 수 있는 것에 더하여(전항 [VIII] 참조), 전후 방향에 대한 제1 복토 부재의 경사 자세도 변경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ni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being capable of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covering member (the depth of penetration into the bottom of the rice paddy) up and down (see [VIII] Can also be changed.

이에 의해, 논바닥의 상태(논바닥의 진흙의 경연이나, 논바닥의 물의 양 등)에 따라, 제1 복토 부재의 자세(논바닥으로의 돌입 깊이 및 경사 자세)를 미세하게 설정할 수 있고, 제1 분립체가 공급된 제1 홈 형성부에 의한 홈을 적절히 매립할 수 있다.Thus, the attitude (the depth of entry into the rice field and the inclined posture) of the first soil member can be finely set in accordance with the state of the rice paddy (the contest of the mud of the rice paddy, the amount of water at the rice field, etc.)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fill the groove formed by the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supplied with the first granular material.

도 1은 승용형 직파기의 전체 측면도.
도 2는 파종 장치, 시비 장치 및 약제 공급 장치의 측면도.
도 3은 파종 장치, 시비 장치 및 약제 공급 장치의 배면도.
도 4는 약제 공급 장치의 배면도.
도 5는 플로트의 부근 평면도.
도 6은 파종 장치, 시비 장치 및 약제 공급 장치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중앙의 플로트의 평면도.
도 8은 도 7에 있어서 VIII-VIII 방향에서 본 종단 측면도.
도 9는 도 7에 있어서 IX-IX 방향에서 본 종단 측면도.
도 10은 제1 홈 형성부에 있어서의 홈 형성기, 복토 부재, 공급 파이프 및 지지 부재 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11은 발명의 실시의 제1 다른 형태에 있어서의 중앙의 플로트, 홈 형성기 및 복토 부재 부근의 평면도.
도 12는 발명의 실시의 제2 다른 형태에 있어서의 중앙의 플로트, 홈 형성기 및 복토 부재 부근의 평면도.
도 13은 발명의 실시의 제3 다른 형태에 있어서의 중앙의 플로트, 홈 형성기 및 복토 부재 부근의 평면도.
도 14는 발명의 실시의 제4 다른 형태에 있어서의 중앙의 플로트, 홈 형성기 및 복토 부재 부근의 평면도.
도 15는 발명의 실시의 제5 다른 형태에 있어서의 중앙의 플로트, 홈 형성기 및 복토 부재 부근의 평면도.
도 16은 발명의 실시의 제6 다른 형태에 있어서의 중앙의 플로트, 홈 형성기 및 복토 부재 부근의 평면도.
도 17은 발명의 실시의 제7 다른 형태에 있어서의 중앙의 플로트, 홈 형성기 및 복토 부재 부근의 평면도.
1 is an overall side view of a passive type duplexer;
2 is a side view of a seeding apparatus, a fertilizer apparatus, and a drug supply apparatus.
3 is a rear view of the seeding apparatus, fertilizing apparatus, and medicament supply apparatus.
4 is a rear view of the medicine supply device.
5 is a plan view in the vicinity of a float;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ame structure of a seeding apparatus, a fertilizing apparatus, and a drug supply apparatus.
7 is a plan view of a float in the center;
Fig. 8 is a longitudinal side view of Fig. 7 viewed from the direction VIII-VIII. Fig.
9 is a longitudinal sectional side view taken along the line IX-IX in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groove forming machine, a soil member, a supply pipe, a support member, and the like in the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11 is a plan view of a central float, a groove former, and a vicinity of a covering member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invention;
12 is a plan view of a central float, a groove former, and a vicinity of a covering member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FIG. 13 is a plan view of a central float, a groove forming unit, and a vicinity of a covering member in a thir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FIG.
FIG. 14 is a plan view of a central float, a groove forming unit, and a vicinity of a covering member in a fourth embodiment of the invention; FIG.
FIG. 15 is a plan view of a central float, a groove forming unit, and a vicinity of a covering member in a fifth embodiment of the invention; FIG.
16 is a plan view of a central float, a groove forming unit, and a vicinity of a covering member in a sixth embodiment of the invention;
17 is a plan view of a central float, a groove forming unit and a vicinity of a covering member in a seventh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은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이하와 같이 기재하고 있다. 기체의 작업 주행 시에 있어서의 전진측의 진행 방향이 「전방」이고, 후진측의 진행 방향이 「후방」이다. 전후 방향에서의 전방 방향 자세를 기준으로 하여 우측에 상당하는 방향이 「우측」이고, 좌측에 상당하는 방향이 「좌측」이다.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left-right direc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as follows unless otherwise specified.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advancing side at the time of running of the machine is "forward" and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backward side is "rearward".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right side is the " right side " and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left side is the " left side "

[1][One]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륜(1) 및 후륜(2)으로 지지된 기체의 후방부에, 링크 기구(3)가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고, 링크 기구(3)를 승강 구동하는 유압 실린더(4)가 구비되어 있고, 링크 기구(3)의 후방부에 파종 장치(5), 시비 장치(6) 및 약제 공급 장치(7)가 지지되고, 수전 작업기의 일례인 6조 형식의 승용형 직파기가 구성되어 있다.A link mechanism 3 is supported on a rear portion of a base supported by the front wheel 1 and the rear wheel 2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nd a hydraulic cylinder 4, and a seeding device 5, a fertilizer device 6 and a medicine supply device 7 are supported on the rear portion of the link mechanism 3, and a six-row type passive type looper .

[2][2]

다음에, 파종 장치(5), 시비 장치(6) 및 약제 공급 장치(7)를 지지하는 프레임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frame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seeding apparatus 5, the fertilizer apparatus 6, and the medicament supply apparatus 7 will be described.

도 2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의 횡프레임(8)이 구비되고, 판재로 구성된 상자 형상의 프레임부(17)가 횡프레임(8)의 중앙부에 연결되어 있고, 프레임부(17)에 보스부(9)가 연결되어 있다. 횡프레임(8)의 우측 및 좌측부에 전후 방향의 횡프레임(10)이 후방 방향으로 연결되고, 프레임부(17) 및 횡프레임(10)에 상하 방향의 종프레임(11)이 연결되어 있고, 종프레임(11)의 상부에 걸쳐서 좌우 방향의 횡프레임(12)이 연결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2 and 6, a transverse frame 8 in the lateral direction is provided, and a box-shaped frame portion 17 made of a plate material is connect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transverse frame 8, 17 are connected to the boss portion 9. The transverse frame 10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is connected to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transverse frame 8 in the rear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frames 11 are connected to the frame portion 17 and the transverse frame 10, A transverse frame 12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ngitudinal frame 11.

도 2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프레임(8)의 중앙부, 우측 및 좌측부에 전후 방향의 횡프레임(13)이 후방 방향으로 연결되고, 횡프레임(13)에 상하 방향의 종프레임(14)이 연결되어 있다. 횡프레임(10)에 브래킷(18)이 연결되어 있고, 종프레임(14) 및 브래킷(18)의 상부에 걸쳐서 좌우 방향의 횡프레임(15)이 연결되어 있다.2 and 6, the transverse frame 1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onnected to the center portion, the right and left side portions of the transverse frame 8 in the rear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frames 13 14) are connected. A bracket 18 is connected to the transverse frame 10 and a transverse frame 15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s connected to the longitudinal frame 14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bracket 18.

도 2, 도 5,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및 좌측의 횡프레임(13)이 전방으로 연장되고, 우측 및 좌측의 횡프레임(13)의 전방부에 브래킷(13b)이 연결되어 있고, 우측 및 좌측의 횡프레임(13)의 브래킷(13b)에 평판 형상의 벽부재(19)가 연결되어 있다. 후륜(2)의 후방측에 벽부재(19)가 위치하고 있고, 후륜(2)으로부터 후방으로 비산된 진흙이 우측 및 좌측의 플로트(16)에 적재되지 않도록, 후륜(2)으로부터 후방으로 날려진 진흙이 벽부재(19)에 의해 막힌다.As shown in Figs. 2, 5 and 6, the right and left transverse frames 13 extend forward and the brackets 13b are connected to the front portions of the right and left transverse frames 13 And a plate-like wall member 19 is connected to the brackets 13b of the right and left side frames 13, respectively. The wall member 19 is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rear wheel 2 and the rear wall 2 is blown backward from the rear wheel 2 so that the mud scattered rearward from the rear wheel 2 is not loaded on the right and left floats 16. [ The mud is blocked by the wall member 19.

도 2, 도 5,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프레임(8)에 있어서, 횡프레임(13) 사이의 부분에 전후 방향의 횡프레임(20)이 전방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고, 레이크 형상의 정지 부재(21)가 횡프레임(20)의 전방부에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정지 부재(21)가 플로트(16)(후술하는 [6] 참조)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논바닥에 있어서 플로트(16) 사이의 부분이 정지 부재(21)에 의해 정지된다.As shown in Figs. 2, 5 and 6, in the transverse frame 8, the transverse frame 20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is connected to the portion between the transverse frames 13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stop member 21 is connected to the front portion of the transverse frame 20. Thereby, the stop member 21 is positioned between the float 16 (see [6] described later) and the part between the floats 16 on the rice field bottom is stopped by the stop member 21. [

도 2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 기구(3)의 후방부의 하부에, 프레임부(17)의 상부가 전후 축심 P1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횡프레임(8) 등의 전체가 전후 축심 P1 주위로 롤링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횡프레임(12)의 우측 및 좌측부에 브래킷(12a)이 전방 방향으로 연결되고, 링크 기구(3)의 후방부의 상부와 횡프레임(12)의 브래킷(12a)에 걸쳐서 스프링(22)이 접속되어 있고, 스프링(22)에 의해 횡프레임(8) 등의 전체가 기체와 병행한 자세로 가압되어 있다.2 and 6,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portion 17 is rotatably suppor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rear portion of the link mechanism 3 so as to be rotatable about the longitudinal axis center P1, and the whole of the transverse frame 8, Is rotatably supported around the front and rear axial centers P1. A bracket 12a is connected to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transverse frame 12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a spring 22 is connected across the upper part of the rear portion of the link mechanism 3 and the bracket 12a of the transverse frame 12 And the whole of the transverse frame 8 and the like is pressed by the spring 22 in a posture in parallel with the gas.

[3][3]

다음에, 파종 장치(5)의 지지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seeding apparatus 5 will be described.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종 장치(5)에 있어서, 6개의 조출부(23)가 횡프레임(15)에 소정 간격을 두고 연결되고, 조출부(23)의 하부에 안내 부재(24)가 연결되어 있고, 안내 부재(24)는 후방측이 개방된 단면 コ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철 코팅 처리된 종자를 저류하는 호퍼(25)가 2개 구비되어 있고, 3개의 조출부(23)의 상부에 걸쳐서 호퍼(25)가 연결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2 and 3, in the seeding apparatus 5, six feeding portions 23 are connected to the transverse frame 15 at a predetermined interval, (24) is connected, and the guide member (24) is configured in the shape of a cross section whose rear side is opened. Two hoppers 25 for storing the iron-coated seeds are provided, and the hopper 25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three feeding portions 23.

이에 의해,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퍼(25)의 종자가 조출부(23)에 의해 소정량씩 조출되고, 종자가 안내 부재(24)의 내면에 접촉하지 않고 안내 부재(24)의 내부를 통해 낙하하여, 논바닥(표면)에 공급된다.2 and 3, the seed of the hopper 25 is fed by a predetermined amount by the feeding portion 23 so that the seed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member 24, 24, and is supplied to the rice paddy (surface).

이상과 같이, 파종 장치(5)는 조출부(23), 안내 부재(24) 및 호퍼(25)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조출부(23)의 바로 아래의 논바닥(표면)에, 복수 입자의 종자를 하나의 괴상으로 공급(점파)하는 표면 뿌리기 형식(점파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eding apparatus 5 is provided with the feeding portion 23, the guide member 24, the hopper 25, and the like. On the rice field just below the feeding portion 23, It is composed of surface scattering type (scattering type) in which seeds of plural particles are supplied as one mass (point wave).

[4][4]

다음에, 시비 장치(6)의 지지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supporting structure of the fertilizer device 6 will be described.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비 장치(6)에 있어서, 6개의 조출부(26)(제2 조출부에 상당)가 횡프레임(12)에 소정 간격을 두고 연결되고, 비료(농업용의 제2 분립체에 상당)를 저류하는 호퍼(27)(제2 저류부에 상당)가 2개 구비되어 있고, 3개의 조출부(26)의 상부에 걸쳐서 호퍼(27)가 연결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2 and 3, in the fertilizer unit 6, six feeding portions 26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eeding portion) are connected to the transverse frame 12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hopper 27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torage portion) for storing the second granular materia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granular material for agricultural use) is provided, and the hopper 27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three feeding portions 26 .

도 2, 도 3,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로트(16)에 구절판(28)(제2 홈 형성체에 상당) 및 복토 부재(31)(제2 복토 부재에 상당)가 연결되고, 구절판(28)에 홈 형성기(29)가 연결되어 있고, 조출부(26)와 홈 형성기(29)에 걸쳐서 호스(30)가 접속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2, 3, and 5, the float 16 is connected to the translucent plate 28 (corresponding to the second groove forming member) and the covering member 31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vering member) A groove forming device 29 is connected to the phrase plate 28 and a hose 30 is connected to the feed forming device 26 and the groove forming device 29.

이에 의해, 도 2, 도 3,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퍼(27)의 비료가 조출부(26)에 의해 조출되고, 호스(30)로부터 홈 형성기(29)에 공급되고, 구절판(28) 및 홈 형성기(29)에 의해 논바닥에 형성된 홈에 비료가 공급되는 것이고, 기체의 진행에 수반하여 복토 부재(31)에 의해 진흙이 횡측의 구절판(28) 및 홈 형성기(29)에 의한 홈에 향해 압출되고, 비료가 공급된 홈이 매립된다.2, 3, and 5, the fertilizer of the hopper 27 is fed out by the feeding portion 26, fed from the hose 30 to the groove forming machine 29, 28 and grooving device 29 are provided with grooves formed in the bottom of the paddy field by means of the grooving device 29 and the soil is supplied by the cover material 31 to the transversal side plate 28 and the grooving device 29 And grooves supplied with fertilizer are buried.

이상과 같이, 시비 장치(6)는 조출부(26), 호퍼(27), 구절판(28), 홈 형성기(29), 호스(30) 및 복토 부재(31)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종자가 공급되는 위치의 횡측 옆 위치의 전방측의 위치에 있어서, 논바닥으로부터 하방의 위치에 비료를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종자의 횡측 옆 논바닥의 하방의 위치에 비료가 위치하는 상태).As described above, the fertilizer device 6 is constituted by a feeding portion 26, a hopper 27, a phrase plate 28, a groove forming device 29, a hose 30 and a soil member 31, (In a state in which the fertilizer is located at a position below the side of the rice paddy on the side of the se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seed) at a position on the front side of the lateral side position of the seed supply position.

[5][5]

다음에, 약제 공급 장치(7)의 지지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medicine supply device 7 will be described.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제 공급 장치(7)에 있어서, 6개의 조출부(32)(제1 조출부에 상당)가 횡프레임(12)에 소정 간격을 두고 연결되고, 약제(농업용의 제1 분립체에 상당)를 저류하는 호퍼(33)(제1 저류부에 상당)가 3개 구비되어 있고, 2개의 조출부(32)의 상부에 걸쳐서 호퍼(33)가 연결되어 있다. 도 2, 도 4,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로트(16)에 구절판(34)(제1 홈 형성체에 상당) 및 복토 부재(37)(제1 복토 부재에 상당)가 연결되고, 구절판(34)에 홈 형성기(35)가 연결되어 있고, 조출부(32)와 홈 형성기(35)에 걸쳐서 호스(36)가 접속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2 and 4, in the medicine supply device 7, six delivery portions 32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livery portions) are connected to the transverse frame 12 at predetermined intervals, (Corresponding to the first storage portion) for storing the agricultural materi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granular material for agricultural use), and the hopper 33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two feeding portions 32 have. As shown in Figs. 2, 4 and 5, the float 16 is connected to the phrase plate 34 (corresponding to the first groove forming member) and the covering member 37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vering member) A groove forming machine 35 is connected to the phrase plate 34 and a hose 36 is connected to the feed forming section 32 and the groove forming machine 35. [

이에 의해, 도 2, 도 4,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퍼(33)의 약제가 조출부(32)에 의해 조출되고, 호스(36)로부터 홈 형성기(35)에 공급되고, 구절판(34) 및 홈 형성기(35)에 의해 논바닥에 형성된 홈에 약제가 공급되는 것이고, 기체의 진행에 수반하여 복토 부재(37)에 의해 진흙이 횡측의 구절판(34) 및 홈 형성기(35)에 의한 홈을 향해 압출되고, 약제가 공급된 홈이 매립된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s. 2, 4 and 5, the medicine of the hopper 33 is fed out by the feeding portion 32, fed from the hose 36 to the groove forming machine 35, 34 and grooving machine 35 are used to feed medicines to the groove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rice paddy and the mud is conveyed to the transversal side plate 34 and the grooving machine 35 by the covering material 37 along with the progress of the gas And the grooves supplied with the medicine are embedded.

이상과 같이, 약제 공급 장치(7)는 조출부(32), 호퍼(33), 구절판(34), 홈 형성기(35), 호스(36) 및 복토 부재(37)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종자가 공급되는 위치의 전방측의 위치에 있어서, 논바닥으로부터 하방의 위치에 약제를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종자의 바로 아래에 약제가 위치하는 상태).As described above, the medicine supply device 7 is constituted by the feeding portion 32, the hopper 33, the phrase plate 34, the groove forming machine 35, the hose 36 and the cover member 37 , And is configured to supply the medicine at a position below the bottom of the rice paddy at a position on the front side of the position where the seed is fed (a state in which the medicine is located just below the seed).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스부(9)에 입력축(40)이 지지되고, 전동축(39)이 입력축(40)에 접속되어 있고, 기체의 엔진(도시하지 않음)의 동력이 전동축(39)을 통해 입력축(40)에 전달된다.1 and 2, the input shaft 40 is supported by the boss 9, the transmission shaft 39 is connected to the input shaft 40, and the power of the engine (not shown) Is transmitted to the input shaft (40) through the transmission shaft (39).

입력축(40)의 동력이 2개의 전동계에 분기하여, 한쪽의 전동계로부터 파종 장치(5)의 조출부(23)에 동력이 전달되고, 다음에 약제 공급 장치(7)의 조출부(32)에 동력이 전달되어 있고, 다른 쪽의 전동계로부터 시비 장치(6)의 조출부(26)에 동력이 전달된다.The power of the input shaft 40 branches to two electric power systems so that power is transmitted from the one electric motor system to the output portion 23 of the seeding device 5 and then the output portion 32 of the medicine feeder 7 And power is transmitted from the other electric power system to the feeding portion 26 of the fertilizer 6. [

[6][6]

다음에, 플로트(16)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float 16 will be described.

도 2, 도 5,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로트(16)는 폭이 넓은 전방부(16a) 및 폭이 좁은 후방부(16b)를 구비하고 있고, 전방부(16a)의 후단부의 좌우 중앙으로부터 후방부(16b)가 후방으로 연장되어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2, 5 and 7, the float 16 has a wide front portion 16a and a narrow rear portion 16b. The float 16 has a front portion 16a and a rear portion 16b. And the rear portion 16b extends rearward from the center.

도 2, 도 5, 도 6,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프레임(13)의 후방부에 브래킷(13a)이 연결되고, 플로트(16)의 후방부(16b)에 브래킷(43)이 연결되어 있고, 3개의 플로트(16)의 브래킷(43)이, 횡프레임(13)의 브래킷(13a)의 횡축 중심 P2 주위에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2, 도 3,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및 좌측의 플로트(16)가 우측 및 좌측의 후륜(2)의 후방측에 위치하고, 중앙의 플로트(16)가 우측 및 좌측의 후륜(2)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배수용의 홈을 논바닥에 형성하는 구절기(38)가, 우측 및 좌측의 플로트(16)의 후방부의 저면에 설치되어 있다.The bracket 13a is connect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transverse frame 13 and the bracket 43 is attached to the rear portion 16b of the float 16 as shown in Figs. 2, 5, 6, And the brackets 43 of the three floats 16 are vertically swingably supported around the horizontal axis P2 of the bracket 13a of the transverse frame 13. [ The float 16 on the right and left sides is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right and left rear wheels 2 and the float 16 in the center is located on the right and left rear wheels 2 as shown in Figs. 2, 3, 2, and a separator 38 for forming a groove for receiving the water on the rice field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ar portion of the float 16 on the right and left sides.

이 승용형 직파기에서는 횡프레임(8)에 대한 중앙의 플로트(16)의 상하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횡프레임(8)의 논바닥으로부터의 높이를 검출하는 높이 센서(도시하지 않음), 유압 실린더(4)에 작동유를 급배 조작하는 제어 밸브(도시하지 않음) 및 높이 센서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제어 밸브를 조작하는 제어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다.A height sensor (not shown) for detecting the height of the transverse frame 8 from the plow bottom by detecting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float 16 at the center relative to the transverse frame 8, a hydraulic cylinder 4 And a control device (not shown) for operating the control valve based on the detected value of the height sensor.

이에 의해, 논바닥에 접지 추종하는 중앙의 플로트(16)에 대해, 횡프레임(8)[파종 장치(5), 시비 장치(6) 및 약제 공급 장치(7)]이 상방 및 하방으로 이동하면, 높이 센서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 밸브가 조작되고, 횡프레임(8)[파종 장치(5), 시비 장치(6) 및 약제 공급 장치(7)]이 논바닥으로부터 설정 높이로 유지되도록, 유압 실린더(4)가 작동한다.As a result, when the transverse frame 8 (the seeding apparatus 5, the fertilizer 6 and the medicament feeder 7) moves upward an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center float 16 following the ground on the rice paddy , The control valve is operated by the control device on the basis of the detected value of the height sensor and the lateral frame 8 (seeding device 5, fertilizer device 6 and medicine feed device 7) The hydraulic cylinder 4 is operated.

전술한 바와 같이, 중앙의 플로트(16)는 횡프레임(8)의 논바닥으로부터의 높이를 검출하는 높이 센서로서 기능하므로, 중앙의 플로트(16)의 상하 요동 범위는 비교적 큰 것으로 설정되어 있고, 수평면에 대해 약간 전방 하강의 자세가, 중앙의 플로트(16)의 기준 자세[높이 센서의 검출값이 설정 높이에 상당하는 값이 되고, 유압 실린더(4)가 정지하는 위치]가 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enter float 16 functions as a height sensor for detecting the height from the rice bottom of the transverse frame 8, the up-and-down swing range of the float 16 at the center is set to be relatively large, The posture of slightly forward descent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becomes the reference attitude of the center float 16 (the detection value of the height sensor becomes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set height and the hydraulic cylinder 4 stops).

중앙의 플로트(16)에 대해 우측 및 좌측의 플로트(16)는, 높이 센서의 기능은 구비하고 있지 않고, 주로 논바닥을 정지하여, 횡프레임(8)[파종 장치(5), 시비 장치(6) 및 약제 공급 장치(7)]의 자세를 안정시키는 것이다.The float 16 on the right and left sid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float 16 does not have the function of the height sensor and stops the rice paddy mainly to stop the traverse frame 8 (the seeding device 5, 6) and the medicine feeder 7).

이에 의해, 우측 및 좌측의 플로트(16)의 상하 요동 범위는 중앙의 플로트(16)의 상하 요동 범위보다도 작은 것으로 설정되어 있고, 수평면과 평행한 자세가 기준 자세[우측 및 좌측의 플로트(16)의 상하 요동 범위의 중앙 위치]가 되어 있다.Thus, the up-and-down swing range of the right and left floats 16 is set to be smaller than the up-and-down swing range of the float 16 at the center, and the posture parallel to the horizontal plane is set as the reference posture (right and left floats 16) Center position of the up-and-down swing range of the swing arm].

[7][7]

다음에, 구절판(34) 및 홈 형성기(35)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phrase plate 34 and the groove forming machine 35 will be described.

도 7, 도 8,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절판(34)은 측면에서 볼 때 삼각 형상의 판상으로 구성되고, 기체의 진행에 수반하여 논바닥에 홈을 형성하는 것이고, 플로트(16)의 전방부(16a)의 우측 및 좌측의 후단부의 저부에 위치하도록, 볼트(44)에 의해 플로트(16)에 연결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7, 8, and 10, the phrase plate 34 is formed in a triangular plate 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and forms grooves in the bottom of the rice paddle as the gas progresses. And is connected to the float 16 by a bolt 44 so as to be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right and left rear ends of the front portion 16a.

도 7, 도 8,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 형성기(35)는 판재를 단면 U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구성되어 있고, 전방 벽부(35a), 우측 벽부(35b)(제1 우측 벽부에 상당) 및 좌측 벽부(35c)(제1 좌측 벽부에 상당)를 구비하고 있다. 홈 형성기(35)의 전방 벽부(35a)에 대해, 홈 형성기(35)의 우측 및 좌측 벽부(35b, 35c)의 하단부(35d)가 상측에 위치하고 있고, 홈 형성기(35)의 전방 벽부(35a)가 볼트(45)에 의해, 구절판(34)의 후방부에 연결되어 있다.7, 8 and 10, the groove forming machine 35 is constituted by bending a plate member in a U-shaped cross section and includes a front wall portion 35a, a right wall portion 35b And a left side wall portion 35c (corresponding to the first left side wall portion). The lower end portion 35d of the right and left side wall portions 35b and 35c of the groove forming machine 35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front wall portion 35a of the groove forming machine 35 and the front wall portion 35a Is connect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phrase plate 34 by a bolt 45. As shown in Fig.

도 7, 도 8,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 형성기(35)의 전방 벽부(35a)의 횡폭은 구절판(34)의 횡폭과 대략 동일하고, 구절판(34)의 후방부의 우측부의 상부로부터 홈 형성기(35)의 우측 벽부(35b)가 후방으로 연장되고, 구절판(34)의 후방부의 좌측부의 상부로부터 홈 형성기(35)의 좌측 벽부(35c)가 후방으로 연장된 상태가 되어 있다.The lateral width of the front wall portion 35a of the groove forming machine 35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lateral width of the phrase plate 34 and is set at a distance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right side portion of the rear portion of the phrase plate 34 The right side wall portion 35b of the groove forming machine 35 extends rearward and the left side wall portion 35c of the groove forming machine 35 extends rear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left side portion of the rear portion of the phrase plate 34. [

도 8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 형성기(35)가 구절판(34)에 연결된 상태에 있어서, 홈 형성기(35)의 우측 및 좌측 벽부(35b, 35c)의 하단부(35d)가, 플로트(16)의 저면(16c)보다도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플로트(16)가 논바닥에 접지한 상태에 있어서, 홈 형성기(35)의 우측 및 좌측 벽부(35b, 35)의 하단부(35d)가 논바닥보다도 상측에 위치한다.The lower end portions 35d of the right and left wall portions 35b and 35c of the groove forming machine 35 are connected to the float 34 as shown in Figs. 8 and 10, And is located above the bottom surface 16c of the base 16. Thereby, in the state where the float 16 is grounded to the bottom of the paddy field, the lower end 35d of the right and left side wall portions 35b, 35 of the groove forming machine 35 is positioned above the rice paddy.

이상과 같이, 구절판(34) 및 홈 형성기(35)(전방 벽부(35a), 우측 벽부(35b) 및 좌측 벽부(35c)]에 의해, 제1 홈 형성부(41)가 구성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41 is constituted by the phrase plate 34 and the groove forming machine 35 (the front wall portion 35a, the right wall portion 35b and the left wall portion 35c).

[8][8]

다음에, 약제 공급 장치(7)[조출부(32)]와 홈 형성기(35)의 접속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connection between the medicine feeding device 7 (feeding portion 32) and the groove forming machine 35 will be described.

도 8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무제이고 주름 상자 형상인 접속부(56)가 홈 형성기(35)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경질 수지제의 공급 파이프(46)(제1 공급 파이프에 상당)가 접속부(56)에 설치되어 있다. 공급 파이프(46)는 상부로부터 하부에 걸쳐서 내부의 단면적이 변화되지 않는 둥근 파이프의 직관으로 구성되어, 충분한 길이를 구비하고 있고, 공급 파이프(46)의 길이 방향이 플로트(16)의 저면(16c)과 대략 직교하도록, 접속부(56)에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8 and 10, a connecting portion 56 of a rubber-like and bell-like shape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groove forming machine 35, and a supply pipe 46 made of a hard resin Is provided in the connection portion 56. [ The supply pipe 46 is formed of a straight pipe of a round pipe whose internal cross sectional area is unchang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has a sufficient length so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ly pipe 46 is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16c In the connecting portion 56 so as to be substantially orthogonal to each other.

도 8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 파이프(46)는 접속부(56)로부터 상방으로 크게 나오는 길이를 구비하고 있고, 공급 파이프(46)의 하부에 위치하는 약제의 출구(46a)가, 홈 형성기(35)의 우측 및 좌측 벽부(35b, 35c)의 상부에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공급 파이프(46)의 출구(46a)가 후방 내림 형상으로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고, 공급 파이프(46)의 출구(46a)의 외주부의 후방부(46b)가, 공급 파이프(46)의 출구(46a)의 외주부의 전방부(46c)보다도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8 and 10, the supply pipe 46 has a length extending upwardly from the connection portion 56, and the outlet 46a of the medicine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ly pipe 46 is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46,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right and left wall portions 35b, 35c of the groove forming machine 35. [ The outlet 46a of the supply pipe 46 is formed obliquely downwardly and the rear portion 46b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outlet 46a of the supply pipe 46 is connected to the outlet 46a of the supply pipe 46, Is located below the front portion 46c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이에 의해, 도 8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로트(16)의 저면(16c)과 평행한 면에서의 공급 파이프(46) 내부의 단면이 원 형상인 것에 비해, 공급 파이프(46)의 출구(46a)가 후방 내림 형상의 타원 형상(긴 구멍 형상)이 된다[공급 파이프 출구의 외주부를 따른 면(후방 내림 형상의 비스듬한 면)의 면적이, 플로트의 저면과 평행한 면에서의 공급 파이프 내부의 단면적보다도 큰 값이 되어 있는 상태에 상당].8 and 10, the cross section of the inside of the supply pipe 46 on the plane parallel to the bottom face 16c of the float 16 is circular.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8 and 10, (An oblique surface of the rearward descending shape) along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outlet of the supply pipe is formed into an elliptical shape (long hole shape) Equivalent to a state in which the value is larger than the internal cross-sectional area].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 형성기(35)의 대략 바로 위에 조출부(32)가 위치하고 있고, 조출부(32)의 하부에 깔때기부(47)가 설치되고, 깔때기부(47)와 공급 파이프(46)의 상부에 걸쳐서 호스(36)가 접속되어 있다.2 and 4, the feed portion 32 is located immediately above the groove forming machine 35, the funnel portion 47 is provided below the feed portion 32, and the funnel portion 47 And a hose 36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ly pipe 46.

호스(36)는 상부로부터 하부에 걸쳐서 내부의 단면적이 변화되지 않는 둥근 호스의 직관으로 구성되고, 호스(36)의 내경과 공급 파이프(46)의 내경이 대략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고, 깔때기부(47)와 공급 파이프(46)의 상부에 걸쳐서, 호스(36)가 대략 연직 형상(직선 형상)으로 접속되어 있다.The inner diameter of the hose 36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supply pipe 46 are set to be substantially equal to each other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funnel portion 47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ly pipe 46, the hose 36 is connected in a substantially vertical shape (linear shape).

[9][9]

다음에, 복토 부재(37)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covering member 37 will be described.

도 7, 도 8,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로 긴 평판 형상의 지지 부재(48)가, 플로트(16)의 상면에 볼트(49)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지지 부재(48)의 우측 및 좌측 단부(48a)가 상방향으로 절곡되고, 우측 및 좌측의 단부에 연결 구멍(48b)이 개구되어 있고, 연결 구멍(48b)의 위치에 너트(48c)가 구비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7, 8 and 10, a horizontally elongated plate-like support member 48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loat 16 by bolts 49. As shown in Fig. The right and left end portions 48a of the support member 48 are upwardly bent and the connection holes 48b are opened at the right and left ends and the nuts 48c are provided at the positions of the connection holes 48b. .

도 7, 도 8,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재를 단면 L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브래킷(50)이 구성되어 있고, 브래킷(50)의 종벽부(50a)에 연결용 긴 구멍(50c)이 개구되어, 횡벽부(50b)에 연결 구멍(도시하지 않음) 및 너트(50d)가 구비되어 있다.7, 8, and 10, the bracket 50 is formed by bending the plate member in an L-shaped cross section, and the connecting long hole 50c is formed in the vertical wall portion 50a of the bracket 50, And a connecting hole (not shown) and a nut 50d are provided in the transverse wall portion 50b.

볼트(51)가 브래킷(50)의 긴 구멍(50c) 및 지지 부재(48)의 연결 구멍(48b)에 삽입되고, 지지 부재(48)의 너트(48c)에 체결되어 있고, 브래킷(50)의 종벽부(50a)가 지지 부재(48)의 우측 및 좌측의 단부(48a)에 연결되어 있다.The bolt 51 is inserted into the long hole 50c of the bracket 50 and the connection hole 48b of the support member 48 and is fastened to the nut 48c of the support member 48, The longitudinal wall portion 50a of the support member 48 is connected to the right and left end portions 48a.

이상의 구조에 의해, 도 7, 도 8,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부재(48)의 우측 및 좌측 단부(48a) 및 브래킷(50)의 종벽부(50a)가, 전후 방향을 따른 상하 방향의 상태에서, 측면에서 볼 때 홈 형성기(35)[제1 홈 형성부(41)]의 우측 및 좌측 벽부(35b, 35c)의 후방측[공급 파이프(46)의 출구(46a)의 후방측]에 위치하고 있고, 브래킷(50)의 종벽부(50a)가, 홈 형성기(35)[제1 홈 형성부(41)]의 우측 및 좌측 벽부(35b, 35c)[공급 파이프(46)의 출구(46a)]로부터 하방[플로트(16)의 저면(16c)]을 향해 연장된 상태로 되어 있다.The right and left end portions 48a of the support member 48 and the vertical wall portion 50a of the bracket 50 are supported by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racket 50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s shown in Figs. 7, 8, The rear side of the outlet 46a of the supply pipe 46 of the right and left wall portions 35b and 35c of the groove forming machine 35 (the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41) And the vertical wall portion 50a of the bracket 50 is located on the right and left wall portions 35b and 35c of the groove forming machine 35 (the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41) (The bottom surface 16c of the float 16) from the outlet (outlet 46a).

지지 부재(48)의 우측 및 좌측 단부(48a) 및 브래킷(50)의 종벽부(50a)가, 평면에서 볼 때 홈 형성기(35)[공급 파이프(46)의 출구(46a)]의 횡측[플로트(16)의 좌우 중앙측]이고, 또한 홈 형성기(35)[제1 홈 형성부(41)][공급 파이프(46)의 출구(46a)]의 후방측에 위치하고 있다.The right and left end portions 48a of the support member 48 and the vertical wall portion 50a of the bracket 50 are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groove forming machine 35 (outlet 46a of the supply pipe 46) And is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groove forming machine 35 (the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41) (the outlet 46a of the supply pipe 46).

도 7, 도 8,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재를 단면에 へ 형상으로 절곡하여 복토 부재(37)가 구성되고, 복토 부재(37)에 전후의 연결 구멍(37a, 37b)이 개구되어 있다. 복토 부재(37)를 브래킷(50)의 횡벽부(50b)의 하면에 덧대고, 볼트(52)를 복토 부재(37)의 연결 구멍(37a, 37b)에 삽입하여 브래킷(50)의 너트(50d)에 체결함으로써, 복토 부재(37)가 브래킷(50)에 연결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7, 8, and 10, the plate member is bent into a cross section to form the cover member 37, and the front and rear connection holes 37a and 37b are opened in the cover member 37 have. The bolt member 37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transverse wall portion 50b of the bracket 50 and the bolt 52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holes 37a and 37b of the cover member 37, 50d so that the covering member 37 is connected to the bracket 50. As shown in Fig.

이상의 구조에 의해, 도 7, 도 8,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토 부재(37)[복토 부재(37)의 기초부]가, 평면에서 볼 때 홈 형성기(35)[제1 홈 형성부(41)][공급 파이프(46)의 출구(46a)]의 횡측[플로트(16)의 좌우 중앙측]이고, 또한 홈 형성기(35)[제1 홈 형성부(41)][공급 파이프(46)의 출구(46a)]의 후방측에 위치하고 있고, 복토 부재(37)가 구절판(34) 및 홈 형성기(35)[제1 홈 형성부(41)]에 의한 홈 및 후방을 향하는 경사 후방[플로트(16)의 횡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7, 8, and 10, the covering member 37 (the base portion of the covering member 37) is provided with a groove forming unit 35 (first groove forming (The left and right center sides of the float 16) of the first and second grooves 41 and 41 (the outlet 46a of the supply pipe 46) and the groove forming machine 35 (the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41) (The outlet 46a of the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46), and the cover member 37 is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groove plate 35 and the groove forming portion 35 (the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41) (Lateral lateral side of the float 16).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토 부재(37)[복토 부재(37)의 기초부]가, 측면에서 볼 때 홈 형성기(35)[제1 홈 형성부(41)]의 후방측[공급 파이프(46)의 출구(46a)의 후방측]에 위치하고 있다.8, the cover member 37 (base portion of the cover member 37)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groove forming machine 35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41) (The rear side of the outlet 46a of the outlet 46).

도 8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부재(48)의 우측 및 좌측의 단부(48a)에 대한 브래킷(50)의 연결 위치를, 브래킷(50)의 긴 구멍(50c)을 따라 변경함으로써, 복토 부재(37)의 위치를 상하로 변경할 수 있다[복토 부재(37)의 논바닥으로의 돌진 깊이를 변경할 수 있음).8 and 10, by changing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bracket 50 with respect to the right and left end portions 48a of the support member 48 along the long hole 50c of the bracket 50 ,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soil member 37 up and down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depth of rushing of the soil member 37 to the rice paddy).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토 부재(37) 및 후술하는 [12]에 기재된 복토 부재(31)가, 횡축 중심 P2보다도 후방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플로트(16)가 전방 하강이 될수록 복토 부재(37, 31)의 논바닥으로의 돌입 깊이가 얕아진다.7 and 8, since the cover member 37 and the cover member 31 described in [12] to be described later extend to the rear side than the center axis P2 of the transverse axis, as the float 16 descends forward The penetration depth of the soil members 37 and 31 into the rice paddy becomes shallow.

전항 [6]에 기재와 같이, 중앙의 플로트(16)의 기준 자세가 수평면에 대해 약간 전방 하강의 자세로 되어 있고, 우측 및 좌측의 플로트(16)의 기준 자세가 수평면과 평행한 자세로 되어 있다.As described in the preceding paragraph [6], the reference posture of the float 16 in the center is slightly lower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and the reference posture of the float 16 on the right and left sides is in a posture parallel to the horizontal plane have.

이에 의해, 우측 및 좌측의 플로트(16)의 복토 부재(37)에 비해, 중앙의 플로트(16)의 복토 부재(37)의 논바닥으로의 돌입 깊이가 얕아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우측 및 좌측의 플로트(16)의 브래킷(50)의 연결 위치에 대해, 중앙의 플로트(16)의 브래킷(50)의 연결 위치를 낮게[복토 부재(37)의 논바닥으로의 돌입 깊이가 깊어지는 측] 설정하면 된다.Thereby, as compared with the cover material 37 of the float 16 on the right and left floors 16, the depth of penetration of the float 16 of the center float 16 into the paddy field tends to become shallower. When the connecting position of the bracket 50 of the float 16 at the center is set to be low (the side where the penetration depth of the soil member 37 into the rice paddle becomes deeper)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position of the bracket 50 of the float 16 do.

도 7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토 부재(37)의 연결 구멍(37b)이 긴 구멍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복토 부재(37)의 연결 구멍(37a)을 지지점으로 하고, 브래킷(50)의 횡벽부(50b)에 대한 복토 부재(37)의 연결 위치를, 복토 부재(37)의 연결 구멍(37b)을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후 방향에 대한 복토 부재(37)의 경사 자세를 플로트(16)의 저면(16c)을 따라 변경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7 and 10, the connecting hole 37b of the covering member 37 is formed by a long hole. The connecting position of the covering member 37 with respect to the transverse wall portion 50b of the bracket 50 is set to the connecting hole 37a of the covering member 37 37b. Thereby, the inclined posture of the covering member 37 with respect to the front-rear direction can be changed along the bottom surface 16c of the float 16.

[10][10]

다음에, 구절판(28) 및 홈 형성기(29)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phrase plate 28 and the groove forming machine 29 will be described.

도 7, 도 8,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절판(28)은 측면에서 볼 때 삼각 형상의 판상으로 구성되고, 기체의 진행에 수반하여 논바닥에 홈을 형성하는 것이다. 구절판(28)은 플로트(16)의 전방부(16a)의 우측 및 좌측의 후단부의 저부에 위치하도록, 볼트(49)에 의해 지지 부재(48)(전항 [9] 참조)와 함께 플로트(16)에 연결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7, 8, and 9, the phrase plate 28 is formed in a triangular plate 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and grooves are formed in the bottom of rice paddies as the gas progresses. The phrase plate 28 is connected to the float 16 (see [9]) by a bolt 49 by a bolt 49 so as to be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right and left rear ends of the front portion 16a of the float 16. [ ).

도 7, 도 8,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 형성기(29)는 판재를 단면 U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구성되어 있고, 전방 벽부(29a), 우측 벽부(29b)(제2 우측 벽부에 상당) 및 좌측 벽부(29c)(제2 좌측 벽부에 상당)를 구비하고 있고, 홈 형성기(29)의 전방 벽부(29a)가 볼트(53)에 의해, 구절판(28)의 후방부에 연결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7, 8 and 9, the groove forming machine 29 is formed by bending a sheet material in a U-shaped cross section and includes a front wall portion 29a, a right wall portion 29b And the front wall portion 29a of the groove forming device 29 is connect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phrase plate 28 by a bolt 53 have.

도 7, 도 8,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 형성기(29)의 전방 벽부(29a)의 횡폭은 구절판(28)의 횡폭과 대략 동일하고, 구절판(28)의 후방부의 우측부로부터 홈 형성기(29)의 우측 벽부(29b)가 후방으로 연장되고, 구절판(28)의 후방부의 좌측부로부터 홈 형성기(29)의 좌측 벽부(29c)가 후방으로 연장된 상태로 되어 있다.9, the lateral width of the front wall portion 29a of the groove forming machine 29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lateral width of the phrase plate 28, and the width from the right side of the rear portion of the phrase plate 28 The right side wall portion 29b of the forming device 29 extends rearward and the left side wall portion 29c of the groove forming device 29 extends rearward from the left side portion of the rear portion of the phrase plate 28. [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 형성기(29)가 구절판(28)에 연결된 상태에 있어서, 홈 형성기(29)의 우측 및 좌측 벽부(29b, 29c)의 하단부(29d)가, 플로트(16)의 저면(16c)보다도 하측에 위치하고 있고, 구절판(28)의 후방부 하단부와 대략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플로트(16)가 논바닥에 접지한 상태에 있어서, 홈 형성기(29)의 우측 및 좌측 벽부(29b, 29c)의 하단부(29d)가 논바닥보다도 하측에 위치한다.The lower end 29d of the right and left wall portions 29b and 29c of the groove forming machine 29 is connected to the float 28 as shown in Figs. 8 and 9, And is positioned at substantially the same height as the lower end of the rear portion of the phrase plate 28. [ The lower end 29d of the right and left wall portions 29b and 29c of the groove forming device 29 is positioned below the rice paddy in a state where the float 16 is grounded to the rice paddy.

이상과 같이, 구절판(28) 및 홈 형성기(29)[전방 벽부(29a), 우측 벽부(29b) 및 좌측 벽부(29c)]에 의해, 제2 홈 형성부(42)가 구성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groove forming portion 42 is constituted by the phrase plate 28 and the groove forming machine 29 (the front wall portion 29a, the right wall portion 29b and the left wall portion 29c).

이상의 구조에 의해,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 형성기(29)[제2 홈 형성부(42)]가 평면에서 볼 때 홈 형성기(35)[제1 홈 형성부(41)][공급 파이프(46)의 출구(46a)]의 횡측[플로트(16)의 좌우 중앙측]이고, 또한 홈 형성기(35)[제1 홈 형성부(41)][공급 파이프(46)의 출구(46a)]의 후방측에 위치하고 있다.7 and 8, when the groove forming machine 29 (the second groove forming portion 42) is viewed from the plane, the groove forming machine 35 (the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41) (The left and right center sides of the float 16) of the outlet pipe 46 (the outlet 46a of the supply pipe 46), and the groove forming machine 35 (the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41) (46a).

홈 형성기(29)[제2 홈 형성부(42)]가, 평면에서 볼 때 좌우 방향에서 복토 부재(37)에 대해 홈 형성기(35)[제1 홈 형성부(41)]와는 반대측[플로트(16)의 좌우 중앙측]인 홈 형성기(35)[제1 홈 형성부(41)]의 횡측에 위치하고 있다.The groove forming part 29 (the second groove forming part 42) is provid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groove forming part 35 (the first groove forming part 41) with respect to the covering material 37 in the left- (The left and right center sides of the first grooved portion 16) (the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41).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 형성기(29)[제2 홈 형성부(42)]가, 측면에서 볼 때 홈 형성기(35)[제1 홈 형성부(41)]의 후방측[공급 파이프(46)의 출구(46a)의 후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구절판(28)[제2 홈 형성부(42)]의 전방부가, 측면에서 볼 때 홈 형성기(35)의 우측 및 좌측 벽부(35b, 35c)[제1 홈 형성부(41)]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고, 홈 형성기(29)[제2 홈 형성부(42)]가, 측면에서 볼 때 복토 부재(37)와 중복되어 있다.7 and 8, the groove forming machine 29 (second groove forming portion 42)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groove forming machine 35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41) (The rear side of the outlet 46a of the supply pipe 46). The front portion of the phrase plate 28 (second groove forming portion 42)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right and left wall portions 35b and 35c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41) of the groove forming machine 35 when viewed from the side And the groove forming unit 29 (the second groove forming unit 42) overlaps with the covering member 37 as viewed from the side.

[11][11]

다음에, 시비 장치(6)[조출부(26)]와 홈 형성기(29)의 접속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connection between the fertilizer device 6 (feed portion 26) and the grooving device 29 will be described.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무제의 접속부(54)가 홈 형성기(29)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접속부(54)는 홈 형성기(29)의 상부에 설치되는 주름 상자부(54a), 공급 파이프(54b)(제2 공급 파이프에 상당) 및 접속 파이프(54c)를 구비하여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구성되어 있다. 접속부(54)의 공급 파이프(54b) 및 접속 파이프(54c)는 상부로부터 하부에 걸쳐서 내부의 단면적이 변화되지 않는 둥근 파이프의 직관으로 구성되어 있고, 서로 비스듬히 교차하도록 접속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8 and 9, a rubber connecting portion 54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groove forming unit 29. As shown in Fig. The connecting portion 54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rrugated box portion 54a, the supply pipe 54b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upply pipe) and the connecting pipe 54c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groove forming device 29 . The supply pipe 54b and the connection pipe 54c of the connection portion 54 are formed by straight pipes of a round pipe whose cross sectional area is not changed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and are connected so as to cross each other at an angle.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부(54)가 홈 형성기(29)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접속부(54)의 공급 파이프(54b)의 길이 방향이, 플로트(16)의 저면(16c)과 대략 직교하는 상태로 되어 있고, 접속부(54)의 공급 파이프(54b)의 하부에 위치하는 비료의 출구(54d)가, 홈 형성기(29)의 우측 및 좌측 벽부(29b, 29c)의 상부에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8 and 9,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ly pipe 54b of the connection portion 54 is the same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ttom surface 16c of the float 16 in the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portion 54 is provided in the groove forming device 29 And the outlet 54d of the fertilizer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ly pipe 54b of the connecting portion 54 is in a state of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upper portion of the right and left wall portions 29b and 29c of the groove forming machine 29 As shown in FIG.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부(54)가 홈 형성기(29)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접속부(54)의 접속 파이프(54c)가, 전방을 향하는 경사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 형성기(29)의 상방의 전방측에 조출부(26)가 위치하고, 조출부(26)의 출구(26a)가 후방을 향하는 경사 하방을 향하고 있고, 조출부(36)의 출구(26a)와 접속부(54)의 접속 파이프(54c)에 걸쳐서, 호스(30)가 접속되어 있다.8 and 9, the connecting pipe 54c of the connecting portion 54 extends obliquely upward toward the front in the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portion 54 is provided in the groove forming device 29.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2, the feed portion 26 is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groove forming device 29 and the outlet 26a of the feed portion 26 is directed downward toward the rear, The hose 30 is connected to the outlet 26a of the connecting portion 54 and the connecting pipe 54c of the connecting portion 54. [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스(30)는 조출부(36)의 출구(26a)로부터 접속부(54)의 접속 파이프(54c)를 향해 점차 가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고, 측면에서 볼 때 약간 크랭크 형상으로 구부러지고, 호스(30)의 중간부가 플로트(16)의 저면(16c)과 대략 직교하는 상태(연직에 가까운 상태)가 되어 있다.2, the hose 30 is configured to be gradually tapered from the outlet 26a of the feeding portion 36 toward the connecting pipe 54c of the connecting portion 54, and has a slightly crank shape And the middle portion of the hose 30 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16c of the float 16 (close to vertical).

[12][12]

다음에, 복토 부재(31)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covering member 31 will be described.

도 7, 도 8,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재를 단면으로 へ 형상으로 절곡하여 복토 부재(31)가 구성되어 있고, 복토 부재(31)에 전후의 연결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개구되어 있다. 플로트(16)의 후방부(16b)의 우측 및 좌측부에, 평판 형상의 플랜지부(16d)가 성형되어 있다. 복토 부재(31)가 플로트(16)의 플랜지부(16d)의 하면에 덧대어지고, 볼트(55)에 의해 복토 부재(31)가 플로트(16)의 플랜지부(16d)에 연결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7, 8, and 9, the plate member is bent into a cross-sectional shape to form a cover member 31. The cover member 31 has front and rear connection holes (not shown) . A flat flange portion 16d is formed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rear portion 16b of the float 16. The covering member 31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16d of the float 16 and the covering member 31 is connected to the flange portion 16d of the float 16 by the bolt 55. [

이상의 구조에 의해, 도 7, 도 8,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토 부재(31)[복토 부재(31)의 기초부]가, 평면에서 볼 때 좌우 방향에서 홈 형성기(29)[제2 홈 형성부(42)]에 대해 복토 부재(37)와는 반대측[플로트(16)의 좌우 중앙측]인 홈 형성기(29)[제2 홈 형성부(42)]의 횡측에 위치하고 있다. 복토 부재(31)가 구절판(28) 및 홈 형성기(29)[제2 홈 형성부(42)]에 의한 홈 및 후방을 향하는 경사 후방[플로트(16)의 횡외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복토 부재(31, 37)가 서로 따르도록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복토 부재(31)[복토 부재(31)의 기초부]가 측면에서 볼 때 홈 형성기(29)[제2 홈 형성부(42)]와 중복되어 있다.7, 8, and 9, the cover member 31 (the base portion of the cover member 31) is form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in the plan view, (The left and right center sides of the float 16) opposite to the cover member 37 with respect to the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42 and the second groove forming portion 42. The second groove forming portion 42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groove forming portion 29 The cover member 31 is extended in the groove and the rearward inclined rear side (the lateral outer side of the float 16) by the phrase plate 28 and the groove forming unit 29 (the second groove forming unit 42) The members 31 and 37 extend in the same direction so as to follow each other. The base member 31 (base portion of the cover member 31) overlaps with the groove forming unit 29 (the second groove forming unit 42) when viewed from the side.

[발명의 실시의 제1 다른 형태][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상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있어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해도 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it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토 부재(37)를, 평면에서 볼 때 홈 형성기(35)의 횡측[플로트(16)의 좌우 중앙측]이고, 또한 홈 형성기(35)의 후방측에 위치시키고, 경사 후방[플로트(16)의 횡외측]으로 연장한다.As shown in Fig. 11, the covering member 37 is positioned on the lateral side (the left and right center sides of the float 16) of the groove forming machine 35 as viewed in plan and on the rear side of the groove forming machine 35 , And an inclined rear (lateral lateral side of the float 16).

홈 형성기(29)를, 좌우 방향에서 복토 부재(37)에 대해 홈 형성기(35)와는 반대측[플로트(16)의 좌우 중앙측]인 홈 형성기(35)의 횡측이고 또한 홈 형성기(35)의 후방측에 위치시키고, 측면에서 볼 때 복토 부재(37)와 중복시킨다.The groove forming device 29 is disposed on the lateral side of the groove forming device 35 which is opposite to the groove forming device 35 with respect to the covering member 37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right and left central sides of the float 16) And is overlapped with the cover member 37 when viewed from the side.

복토 부재(31)를, 좌우 방향에서 홈 형성기(29)에 대해 복토 부재(37)측[플로트(16)의 횡외측]인 홈 형성기(29)의 횡측에 위치시키고, 경사 후방[플로트(16)의 좌우 중앙측]으로 연장한다. 이 경우, 복토 부재(31)가 측면에서 볼 때 홈 형성기(29)와 중복되는 위치에 위치해도 된다.The float member 31 is positioned on the lateral side of the groove forming unit 29 on the side of the cover member 37 (lateral lateral side of the float 16) with respect to the groove forming unit 29 in the lateral direction, (Left and right center side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In this case, the covering member 31 may be located at a position overlapping with the groove forming unit 29 as viewed from the side.

[발명의 실시의 제2 다른 형태][Secon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상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있어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해도 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토 부재(37)를, 평면에서 볼 때 홈 형성기(35)의 횡측[플로트(16)의 횡외측]이고, 또한 홈 형성기(35)의 후방측에 위치시키고, 경사 후방[플로트(16)의 좌우 중앙측]으로 연장한다.12, the covering member 37 is positioned on the lateral side (lateral lateral side of the float 16) of the groove forming machine 35 as viewed in plan and on the rear side of the groove forming machine 35, (Left and right center sides of the float 16).

홈 형성기(29)를, 좌우 방향에서 홈 형성기(35)에 대해 복토 부재(37)와는 반대측[플로트(16)의 좌우 중앙측]인 홈 형성기(35)의 횡측이고 또한 홈 형성기(35)의 후방측에 위치시키고, 측면에서 볼 때 복토 부재(37)와 중복시킨다.The grooved portion 29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grooved portion 35 on the opposite side of the grooved portion 35 from the grooved portion 35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left and right center sides of the float 16) And is overlapped with the cover member 37 when viewed from the side.

복토 부재(31)를, 좌우 방향에서 홈 형성기(29)에 대해 복토 부재(37)와는 반대측[플로트(16)의 좌우 중앙측]인 홈 형성기(29)의 횡측에 위치시키고, 경사 후방[플로트(16)의 횡외측]으로 연장한다. 이 경우, 복토 부재(31)가 측면에서 볼 때 홈 형성기(29)와 중복되는 위치에 위치해도 된다.The float member 31 is positioned on the lateral side of the groove forming unit 29 which is the opposite side of the float member 37 from the groove forming unit 29 (left and right center sides of the float 16) (Transversely outward side of the base 16). In this case, the covering member 31 may be located at a position overlapping with the groove forming unit 29 as viewed from the side.

[발명의 실시의 제3 다른 형태][Thir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상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있어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해도 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토 부재(37)를, 평면에서 볼 때 홈 형성기(35)의 횡측[플로트(16)의 횡외측]이고, 또한 홈 형성기(35)의 후방측에 위치시키고, 경사 후방[플로트(16)의 좌우 중앙측]으로 연장한다.13, the cover member 37 is placed on the lateral side (lateral lateral side of the float 16) of the groove forming machine 35 as seen in plan view and on the rear side of the groove forming machine 35, (Left and right center sides of the float 16).

홈 형성기(29)를, 좌우 방향에서 홈 형성기(35)에 대해 복토 부재(37)와는 반대측[플로트(16)의 좌우 중앙측]인 홈 형성기(35)의 횡측이고 또한 홈 형성기(35)의 후방측에 위치시키고, 측면에서 볼 때 복토 부재(37)와 중복시킨다.The grooved portion 29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grooved portion 35 on the opposite side of the grooved portion 35 from the grooved portion 35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left and right center sides of the float 16) And is overlapped with the cover member 37 when viewed from the side.

복토 부재(31)를, 좌우 방향에서 홈 형성기(29)에 대해 복토 부재(37)측[플로트(16)의 횡외측]인 홈 형성기(29)의 횡측에 위치시키고, 경사 후방[플로트(16)의 좌우 중앙측]으로 연장한다. 이 경우, 복토 부재(31)가 측면에서 볼 때 홈 형성기(29)와 중복되는 위치에 위치해도 된다.The float member 31 is positioned on the lateral side of the groove forming unit 29 on the side of the cover member 37 (lateral lateral side of the float 16) with respect to the groove forming unit 29 in the lateral direction, (Left and right center side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In this case, the covering member 31 may be located at a position overlapping with the groove forming unit 29 as viewed from the side.

[발명의 실시의 제4 다른 형태][Fourth embodiment of the invention]

상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있어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해도 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it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토 부재(37)를, 평면에서 볼 때 홈 형성기(35)의 횡측[플로트(16)의 좌우 중앙측]이고, 또한 홈 형성기(35)의 후방측에 위치시키고, 경사 후방[플로트(16)의 횡외측]으로 연장한다.As shown in Fig. 14, the cover member 37 is positioned on the lateral side (right and left center side of the float 16) of the groove forming machine 35 as seen in plan view and on the rear side of the groove forming machine 35 , And an inclined rear (lateral lateral side of the float 16).

홈 형성기(29)를, 좌우 방향에서 홈 형성기(35)에 대해 복토 부재(37)와는 반대측[플로트(16)의 횡외측]인 홈 형성기(35)의 횡측이고 또한 홈 형성기(35)의 후방측에 위치시키고, 측면에서 볼 때 복토 부재(37)와 중복시킨다.The groove forming device 29 is disposed on the lateral side of the grooving device 35 which is opposite to the grooved member 35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lateral side of the float 16) And overlaps with the cover member 37 when viewed from the side.

복토 부재(31)를, 좌우 방향에서 홈 형성기(29)에 대해 복토 부재(37)측[플로트(16)의 좌우 중앙측]인 홈 형성기(29)의 횡측에 위치시키고, 경사 후방[플로트(16)의 횡외측]으로 연장한다. 이 경우, 복토 부재(31)가 측면에서 볼 때 홈 형성기(29)와 중복되는 위치에 위치해도 된다.The cover member 31 is placed on the lateral side of the groove forming unit 29 which is the side of the cover member 37 (left and right center sides of the float 16) with respect to the groove forming unit 29 in the lateral direction, 16). In this case, the covering member 31 may be located at a position overlapping with the groove forming unit 29 as viewed from the side.

[발명의 실시의 제5 다른 형태][Fifth Embodiment of the Invention]

상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있어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해도 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토 부재(37)를, 평면에서 볼 때 홈 형성기(35)의 횡측[플로트(16)의 횡외측]이고, 또한 홈 형성기(35)의 후방측에 위치시키고, 경사 후방[플로트(16)의 좌우 중앙측]으로 연장한다.15, the cover member 37 is placed on the lateral side (lateral lateral side of the float 16) of the groove forming machine 35 as seen in plan view and on the rear side of the groove forming machine 35, (Left and right center sides of the float 16).

홈 형성기(29)를, 좌우 방향에서 복토 부재(37)에 대해 홈 형성기(35)와는 반대측[플로트(16)의 횡외측]인 홈 형성기(35)의 횡측이고 또한 홈 형성기(35)의 후방측에 위치시키고, 측면에서 볼 때 복토 부재(37)와 중복시킨다.The groove forming device 29 is disposed on the lateral side of the groove forming machine 35 which is opposite to the groove forming machine 35 (lateral lateral side of the float 16) with respect to the covering member 37 in the left- And overlaps with the cover member 37 when viewed from the side.

복토 부재(31)를, 좌우 방향에서 홈 형성기(29)에 대해 복토 부재(37)측[플로트(16)의 좌우 중앙측]인 홈 형성기(29)의 횡측에 위치시키고, 경사 후방[플로트(16)의 횡외측]으로 연장한다. 이 경우, 복토 부재(31)가 측면에서 볼 때 홈 형성기(29)와 중복되는 위치에 위치해도 된다.The cover member 31 is placed on the lateral side of the groove forming unit 29 which is the side of the cover member 37 (left and right center sides of the float 16) with respect to the groove forming unit 29 in the lateral direction, 16). In this case, the covering member 31 may be located at a position overlapping with the groove forming unit 29 as viewed from the side.

[발명의 실시의 제6 다른 형태][Sixth embodiment of the invention]

상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있어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해도 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it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토 부재(37)를, 평면에서 볼 때 홈 형성기(35)의 횡측[플로트(16)의 좌우 중앙측]이고, 또한 홈 형성기(35)의 후방측에 위치시키고, 경사 후방[플로트(16)의 횡외측]으로 연장한다.As shown in Fig. 16, the cover member 37 is positioned on the lateral side (right and left center side of the float 16) of the groove forming machine 35 as viewed in plan and on the rear side of the groove forming machine 35 , And an inclined rear (lateral lateral side of the float 16).

홈 형성기(29)를, 좌우 방향에서 홈 형성기(35)에 대해 복토 부재(37)와는 반대측[플로트(16)의 횡외측]인 홈 형성기(35)의 횡측이고 또한 홈 형성기(35)의 후방측에 위치시키고, 측면에서 볼 때 복토 부재(37)와 중복시킨다.The groove forming device 29 is disposed on the lateral side of the grooving device 35 which is opposite to the grooved member 35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lateral side of the float 16) And overlaps with the cover member 37 when viewed from the side.

복토 부재(31)를, 좌우 방향에서 홈 형성기(29)에 대해 복토 부재(37)와는 반대측[플로트(16)의 횡외측]인 홈 형성기(29)의 횡측에 위치시키고, 경사 후방[플로트(16)의 좌우 중앙측]으로 연장한다. 이 경우, 복토 부재(31)가 측면에서 볼 때 홈 형성기(29)와 중복되는 위치에 위치해도 된다.The float member 31 is positioned on the lateral side of the groove forming unit 29 which is opposite to the float member 37 (lateral lateral side of the float 16) with respect to the groove forming unit 29 in the lateral direction, 16). In this case, the covering member 31 may be located at a position overlapping with the groove forming unit 29 as viewed from the side.

[발명의 실시의 제7 다른 형태][Seventh embodiment of the invention]

상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있어서,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해도 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토 부재(37)를, 평면에서 볼 때 홈 형성기(35)의 횡측[플로트(16)의 횡외측]이고, 또한 홈 형성기(35)의 후방측에 위치시키고, 경사 후방[플로트(16)의 좌우 중앙측]으로 연장한다.17, the cover member 37 is positioned on the lateral side (lateral lateral side of the float 16) of the groove forming machine 35 as seen in plan view and on the rear side of the groove forming machine 35, (Left and right center sides of the float 16).

홈 형성기(29)를, 좌우 방향에서 복토 부재(37)에 대해 홈 형성기(35)와는 반대측[플로트(16)의 횡외측]인 홈 형성기(35)의 횡측이고 또한 홈 형성기(35)의 후방측에 위치시키고, 측면에서 볼 때 복토 부재(37)와 중복시킨다.The groove forming device 29 is disposed on the lateral side of the groove forming machine 35 which is opposite to the groove forming machine 35 (lateral lateral side of the float 16) with respect to the covering member 37 in the left- And overlaps with the cover member 37 when viewed from the side.

복토 부재(31)를, 좌우 방향에서 홈 형성기(29)에 대해 복토 부재(37)와는 반대측[플로트(16)의 횡외측]인 홈 형성기(29)의 횡측에 위치시키고, 경사 후방[플로트(16)의 좌우 중앙측]으로 연장한다. 이 경우, 복토 부재(31)가 측면에서 볼 때 홈 형성기(29)와 중복되는 위치에 위치해도 된다.The float member 31 is positioned on the lateral side of the groove forming unit 29 which is opposite to the float member 37 (lateral lateral side of the float 16) with respect to the groove forming unit 29 in the lateral direction, 16). In this case, the covering member 31 may be located at a position overlapping with the groove forming unit 29 as viewed from the side.

[발명의 실시의 제8 다른 형태][Eighth Embodiment of the Invention]

상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 [발명의 실시의 제7 다른 형태]에서는, 1개의 플로트(16)에, 2조의 구절판(34) 및 홈 형성기(35)[제1 홈 형성부(41)], 2조의 구절판(28) 및 홈 형성기(29)[제2 홈 형성부(42)], 2조의 복토 부재(37), 2조의 복토 부재(31)를 구비하고 있지만, 1개의 플로트(26)에, 1조의 구절판(34) 및 홈 형성기(35)[제1 홈 형성부(41)], 1조의 구절판(28) 및 홈 형성기(29)[제2 홈 형성부(42)], 1조의 복토 부재(37), 1조의 복토 부재(31)를 구비하도록 구성해도 된다.In the above-described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wo float plates 34 and a groove forming unit 35 (first groove forming unit Two floors 28 and a groove forming unit 29 (second groove forming unit 42), two sets of floors 37 and two sets of floors 31 are provided. However, One set of the phrase plate 34 and the groove forming machine 35 (the first groove forming section 41), one set of the phrase plate 28 and the groove forming machine 29 (the second groove forming section 42) A pair of a covering material 37, and a pair of covering materials 31 may be provided.

[발명의 실시의 제9 다른 형태][Ninth embodiment of the invention]

상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 [발명의 실시의 제8 다른 형태]에 있어서, 복토 부재(31)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In the above-described [mode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cover member 31 may not be provided.

본 발명은 승용형 직파기뿐만 아니라 승용형 전식기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고, 2종류의 농업용의 분립체뿐만 아니라, 3종류 이상의 농업용의 분립체를 논바닥에 공급하는 수전 작업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not only to the passive type circular wave machine but also to the passenger type electric rotary machin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water receiving machine for feeding three or more kinds of agricultural pulverized bodies to the bottom of a rice paddy field.

16 : 플로트
16c : 플로트의 저면
26 : 제2 조출부
27 : 제2 저류부
28 : 제2 홈 형성체
29b : 제2 우측 벽부
29c : 제2 우측 벽부
29d : 제2 우측 벽부 및 제2 좌측 벽부의 하단부
31 : 제2 복토 부재
32 : 제1 조출부
33 : 제1 저류부
34 : 제1 홈 형성체
35b : 제1 우측 벽부
35c : 제1 좌측 벽부
35d : 제1 우측 벽부 및 제1 좌측 벽부의 하단부
37 : 제1 복토 부재
41 : 제1 홈 형성부
42 : 제2 홈 형성부
46 : 제1 공급 파이프
46a : 제1 공급 파이프의 출구
50a : 종벽부
54b : 제2 공급 파이프
54d : 제2 공급 파이프의 출구
16: Float
16c: the bottom of the float
26: Section 2
27: Second storage section
28: Second groove forming body
29b: second right side wall portion
29c: second right side wall portion
29d: a lower end portion of the second right side wall portion and the second left side wall portion
31: second soil member
32:
33: first storage section
34: first groove forming body
35b: first right side wall portion
35c: first left side wall portion
35d: a lower end portion of the first right side wall portion and the first left side wall portion
37: First soil member
41: first groove forming part
42: second groove forming part
46: first supply pipe
46a: outlet of the first supply pipe
50a:
54b: second supply pipe
54d: outlet of the second supply pipe

Claims (9)

제1 분립체를 저류하는 제1 저류부와, 제2 분립체를 저류하는 제2 저류부와, 상기 제1 저류부로부터 제1 분립체를 조출하는 제1 조출부와, 상기 제2 저류부로부터 제2 분립체를 조출하는 제2 조출부를 구비하고,
기체의 진행에 수반하여 논바닥에 홈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홈 형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조출부에 의해 조출된 제1 및 제2 분립체가, 제1 및 제2 홈 형성부에 접속된 제1 및 제2 공급 파이프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홈 형성부에 의해 논바닥에 형성된 홈에 공급되도록 구성하고,
기체의 진행에 수반하여 제1 분립체가 공급된 상기 제1 홈 형성부에 의한 홈을 매립하는 제1 복토 부재를, 상기 제1 홈 형성부의 횡측이고 또한 상기 제1 홈 형성부의 후방측의 위치에 구비하고,
상기 제2 홈 형성부를, 상기 제1 홈 형성부의 횡측이고 또한 상기 제1 홈 형성부의 후방측의 위치에서,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제1 복토 부재와 중복되는 위치에 구비하고 있는, 수전 작업기.
A first storage section for storing the first granular material, a second storage section for storing the second granular material, a first discharge section for discharging the first granular material from the first storage section, And a second feeding part for feeding out the second granular material from the second feeding part,
And first and second grooved portions forming grooves in the bottom of the rice paddle along with the progress of the gas,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granular materials fed out by the first and second feeding portions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grooves, The first and second supply pipes connected to the forming portion are supplied to the groove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rice paddle by the first and second groove forming portions,
The first ground member for filling the groove formed by the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supplied with the first granular material with the progress of the gas is arranged at a position on the lateral side of the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and on the rear side of the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Respectively,
Wherein the second groove forming portion is provided at a position overlapping with the first covering member when viewed from the side at a position on the lateral side of the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and on the rear side of the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기체의 진행에 수반하여 제2 분립체가 공급된 상기 제2 홈 형성부에 의한 홈을 매립하는 제2 복토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복토 부재를, 상기 제2 홈 형성부의 횡측의 위치에서,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제2 홈 형성부와 중복되는 위치에 구비하고 있는, 수전 작업기.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cond covering member for burying the groove formed by the second groove forming portion supplied with the second powder material along with the progress of the gas,
Wherein the second covering member is provided at a position on the lateral side of the second groove forming portion and at a position overlapping the second groove forming portion when viewed from the sid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토 부재의 기초부를, 상기 제1 홈 형성부의 횡측이고 또한 상기 제1 홈 형성부의 후방측의 위치에 구비하고, 상기 제1 복토 부재를 상기 제1 홈 형성부에 의한 홈 및 후방을 향하는 경사 후방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2 홈 형성부를, 좌우 방향에서 상기 제1 복토 부재에 대해 상기 제1 홈 형성부와는 반대측인 상기 제1 홈 형성부의 횡측의 위치에 구비하고 있는, 수전 작업기.
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base portion of the first covering member is provided at a lateral side of the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and at a rear side of the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A groove formed by one grooved portion and a rearwardly inclined rearwardly extending portion,
Wherein the second groove forming portion is provided at a lateral position of the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opposite to the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cover member in the lateral direction.
제3항에 있어서, 기체의 진행에 수반하여 제2 분립체가 공급된 상기 제2 홈 형성부에 의한 홈을 매립하는 제2 복토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복토 부재의 기초부를, 좌우 방향에서 상기 제2 홈 형성부에 대해 상기 제1 복토 부재와는 반대측인 상기 제2 홈 형성부의 횡측의 위치에서,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제2 홈 형성부와 중복되는 위치에 구비하고,
상기 제2 복토 부재를 상기 제2 홈 형성부에 의한 홈 및 후방을 향하는 경사 후방으로 연장하고 있는, 수전 작업기.
4.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second covering member for burying the groove formed by the second groove forming portion supplied with the second powder material along with the progress of the gas,
Wherein the base portion of the second covering member is disposed at a position on the lateral side of the second groove forming portion which is opposite to the first covering member with respect to the second groove forming portion in the lateral direction, Which is located at a position overlapping with the center,
And the second covering member extends to the groove formed by the second groove forming portion and the rearward inclined rearward.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 형성부가, 논바닥에 홈을 형성하는 제1 홈 형성체와, 상기 제1 홈 형성체의 후방부의 우측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제1 우측 벽부와, 상기 제1 홈 형성체의 후방부의 좌측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제1 좌측 벽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 우측 벽부 및 제1 좌측 벽부의 하단부가 플로트의 저면보다도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공급 파이프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1 분립체의 출구가, 상기 제1 우측 벽부 및 제1 좌측 벽부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수전 작업기.
5. The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comprises: a first groove forming body which forms a groove in a rice field; and a second groove forming body which extends rearward from a right portion of a rear portion of the first groove forming body And a first left side wall portion extending rearward from a left side portion of a rear portion of the first groove forming body,
The lower end portions of the first right side wall portion and the first left side wall portion are located above the bottom surface of the float,
And an outlet of the first powder compact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supply pipe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right wall portion and the first left wall portion.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홈 형성부가, 논바닥에 홈을 형성하는 제2 홈 형성체와, 상기 제2 홈 형성체의 후방부의 우측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제2 우측 벽부와, 상기 제2 홈 형성체의 후방부의 좌측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제2 좌측 벽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2 우측 벽부 및 제2 좌측 벽부의 하단부가 플로트의 저면보다도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공급 파이프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분립체의 출구가, 상기 제2 우측 벽부 및 제2 좌측 벽부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수전 작업기.
6. The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second groove forming portion comprises: a second groove forming body which forms a groove on the rice field; and a second groove forming body which extends rearward from the right portion of the rear portion of the second groove forming body And a second left side wall portion extending rearward from a left side portion of a rear portion of the second groove formation body,
The lower end portions of the second right side wall portion and the second left side wall portion are positioned below the bottom surface of the float,
And an outlet of the second powder compact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upply pipe is located between the second right wall portion and the second left wall portion.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 형성부를 플로트에 연결하고,
상기 제1 홈 형성부의 횡측이고 또한 상기 제1 홈 형성부의 후방측의 위치의 상기 플로트의 부분에, 전후 방향을 따른 상하 방향의 종벽부를 연결하고, 상기 종벽부에 상기 제1 복토 부재를 연결하고 있는, 수전 작업기.
The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wherein the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is connected to a float,
A vertical wall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is connected to a portion of the float on the lateral side of the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and on the rear side of the first groove forming portion, and the first cover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wall portion A faucet working machin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토 부재의 위치를 상하로 변경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는, 수전 작업기.8. The anchor handl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first covering member is configured to be vertically movable. 제8항에 있어서, 전후 방향에 대한 상기 제1 복토 부재의 경사 자세를 상기 플로트의 저면을 따라 변경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는, 수전 작업기.9. The anchorage work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inclined posture of the first covering member with respect to the anteroposterior direction is changeable along the bottom surface of the float.
KR1020160036088A 2015-03-26 2016-03-25 Paddy field working machine KR20160115842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64657 2015-03-26
JP2015064657A JP6579770B2 (en) 2015-03-26 2015-03-26 Paddy field ma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5842A true KR20160115842A (en) 2016-10-06

Family

ID=57164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6088A KR20160115842A (en) 2015-03-26 2016-03-25 Paddy field working machin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579770B2 (en)
KR (1) KR20160115842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4214B1 (en) * 2017-11-09 2019-09-23 대한민국 Soil-grading and planter-installing device detachable with furrowing machin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0441A (en) 2009-07-29 2011-02-17 Kubota Corp Paddy field working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21530Y2 (en) * 1974-11-21 1980-05-23
JPS5931812U (en) * 1982-08-23 1984-02-28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Float structure of flooded direct seeding machine with fertilizer applicator
JPS5931811U (en) * 1982-08-25 1984-02-28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Arrangement structure of each work equipment in flooded soil complex work equipment
JPS6064015U (en) * 1983-10-11 1985-05-07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Float of flooded seeding machine
JPH02123809U (en) * 1989-03-20 1990-10-11
JPH0928124A (en) * 1995-07-24 1997-02-04 Seibutsukei Tokutei Sangyo Gijutsu Kenkyu Suishin Kiko Machine for direct sowing of rice on flooded paddy field
JP3573189B2 (en) * 1997-10-31 2004-10-06 独立行政法人農業・生物系特定産業技術研究機構 Paddy direct sowing machine
JP3652273B2 (en) * 2001-04-24 2005-05-25 株式会社クボタ Direct seeding machine
JP5486260B2 (en) * 2009-09-30 2014-05-07 株式会社クボタ Paddy field work equipment
JP5984690B2 (en) * 2013-01-21 2016-09-06 株式会社クボタ Paddy field machine
JP6091343B2 (en) * 2013-06-05 2017-03-08 株式会社クボタ Paddy field machi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0441A (en) 2009-07-29 2011-02-17 Kubota Corp Paddy field working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182083A (en) 2016-10-20
JP6579770B2 (en) 2019-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7422B1 (en) Paddy field working machine
KR101149913B1 (en) Direct seeding machine
CA2824410A1 (en) Molded ribs for an agricultural implement tank
KR102382289B1 (en) Riding-type paddy field work machine
KR102247415B1 (en) Paddy field working machine
CN216650418U (en) Long-acting soil improvement giant weeding type intelligent farmland material deep placement machine
KR20160115842A (en) Paddy field working machine
JP7241824B2 (en) Paddy work machine
JP6943920B2 (en) Rice transplanter
JP6030535B2 (en) Paddy field machine
KR102646310B1 (en) Paddy field working machine
KR20170077036A (en) Riding type direct sowing machine
JP6440610B2 (en) Paddy field work equipment
JP5831573B2 (en) Working machine
JP2019154443A5 (en)
JP6510266B2 (en) Powder and granular material feeder
JP6847146B2 (en) Granule supply device and paddy field work machine
JP2016158609A (en) Paddy field work machine
JP2012090527A (en) Working machine
KR102450180B1 (en) Grain feeding device
JP2017006153A (en) Paddy field work machine
JP2020096614A (en) Rice field implement
CN114258742A (en) Long-acting soil improvement giant weeding type intelligent farmland material deep placement machine
KR20170072120A (en) Paddy field work device
JP5889156B2 (en) Paddy field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