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5519A - 수냉 방식의 구동부를 구비한 터보 블로워 장치 - Google Patents

수냉 방식의 구동부를 구비한 터보 블로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5519A
KR20160115519A KR1020150043396A KR20150043396A KR20160115519A KR 20160115519 A KR20160115519 A KR 20160115519A KR 1020150043396 A KR1020150043396 A KR 1020150043396A KR 20150043396 A KR20150043396 A KR 20150043396A KR 20160115519 A KR20160115519 A KR 201601155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oling water
driving unit
turbo blow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3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욱
Original Assignee
(주) 에이스터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이스터보 filed Critical (주) 에이스터보
Priority to KR1020150043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5519A/ko
Publication of KR20160115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55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58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 F04D29/5806Cooling the drive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7/00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17/08Centrifugal pumps
    • F04D17/10Centrifugal pumps for compressing or evacuating
    • F04D17/105Centrifugal pumps for compressing or evacuating with double s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63Sound attenu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19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for machines with closed casing and closed-circuit cooling using a liquid cooling medium, e.g. o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보 블로워 장치는 본체의 내부 일측 하부에 형성된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외기를 흡입하여 송풍하기 위한 구동부가 배치되며, 상기 구동부는, 외관을 형성하는 구동부 하우징, 구동부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되 내측면에 코일이 감겨진 스테이터가 결합되며 상기 구동부 하우징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내측 하우징, 내측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배치되어 유입되는 외기를 가압 송풍하는 임펠러, 회전축(209)의 외측면에 연동되게 배치되는 로터, 및 구동부 하우징에 주조 방식으로 내장되는 워터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워터 파이프는 구동부 하우징의 원주를 따라 나선 형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워터 파이프는 구동부 하우징의 원주를 따라 나선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냉 방식의 구동부를 구비한 터보 블로워 장치{Turbo Blower Apparatus having Water Cooling Type of Drive Part }
본 발명은 수냉 방식으로 냉각을 수행하는 터보 블로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테이터 및 로터가 내부에 배치되는 하우징에 냉각수가 유동할 수 있는 워터 파이프를 내장하게 함으로써 종래에 하우징의 표면을 따라 냉각수가 유동하게 하는 과정을 통해 발생할 수 있는 냉각수의 누설을 방지하는 동시에 구동 모터의 동작 안정성을 향상하게 하는 터보 블로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풍기는 유체의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기계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송풍기는 유동을 일으키는 임펠러, 임펠러로 들어가고 나오는 유동을 안내하는 케이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송풍기의 분류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날개차를 통과하는 유동의 특성에 따라, 축류형 송풍기(Axial Blower), 반경류형 송풍기(Radial Blower), 혼합류형 송풍기(Mixed Blower)로 구분된다.
일 예로, 반경류형 송풍기는 원심력에 의한 압력 증가가 주된 목적이며 따라서 유량보다는 압력이 필요한 곳에 많이 사용된다. 또한, 원심형 송풍기는 보통 임펠러 입구 유동은 회전축 방향이나 출구 유동은 회전축의 직각 방향이 되도록 나선형의 케이싱을 사용하는 경우와, 임펠러 입구 유동과 출구 유동이 둘 다 회전축 방향이 되도록 튜브형 케이싱을 사용하는 경우로 크게 구별된다.
원심 송풍기의 일종인 터보 블로워(Turbo Blower)는 비교적 압력비가 큰 원심 송풍기를 말하는 것으로, 임펠러를 용기 속에서 고속 회전시켜 기체를 방사상(放射狀)으로 흐르게 하고, 원심력을 이용하는 원심송풍기중에서 압력비가 작은 것을 원심형 통풍기, 터보통풍기라 하고, 압력비가 그 이상의 것을 원심형 송풍기, 터보송풍기라고 한다.
이러한 터보 블로워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본체 내부에 마련되어 실질적으로 공기의 가압이 이루어지는 구동부,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본체에 형성된 공기 유입구를 통해 본체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구동부를 통해 일정 압력 이상으로 가압된 후 배출된다.
한편, 구동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구동부를 구성하는 로터를 회전하게 하여 스테이터와 로터 사이에서 전력을 발생하게 하는데, 이 경우에 상기 스테이터와 로터 사이의 구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해소하기 위하여 수냉 또는 공냉 방식의 냉각 과정이 요구된다.
특히, 상기 수냉 방식의 냉각 과정을 운용하기 위해서는 구동부를 통해 냉각수가 유동할 수 있도록 유동로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한 변수가 된다. 한편, 종래의 경우에는 냉각수 유동로를 확보하기 위해서 복수의 부재를 결합하는 과정을 통해 형성되는 채널을 이용하여 냉각수의 이송을 담당하게 하였다. 상기한 채널과 같은 냉각수 이송로의 경우에는 복수 부재의 결합면을 통한 냉각수의 누설 위험이 상존함으로 인해서 오링과 같은 누설 방지부재의 사용이 필수적일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도 누설의 위험성이 여전히 상존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0781298호를 참조하면, 워터자켓이 구비되어 냉각수에 의해 냉각이 진행되는 블로워(130)가 제공되고, 상기 워터자켓은 블로워(130)를 구성하는 모터 및 임펠러의 주위에 배치되고, 그 내부로 블로워(130)를 냉각시키는 냉각수가 유동하는 냉각유로와 연결되어진다.
그러나, 위 종래기술은 워터자켓이 블로워(130) 상에 배치되는 구체적인 배치 구조 및 상기 워터자켓에 형성되는 냉각유로의 구체적인 형상 내지 배치에 대한 내용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이 없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테이터 및 로터가 내부에 배치되는 하우징에 냉각수가 유동할 수 있는 워터 파이프를 내장하게 함으로써 종래에 하우징의 표면을 따라 냉각수가 유동하게 하는 과정을 통해 발생할 수 있는 냉각수의 누설을 방지하는 동시에 구동 모터의 동작 안정성을 향상하게 하는 터보 블로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터보 블로워 장치는 본체(100)에 형성된 유입구(101)를 통해 유입된 외기를 흡입하여 송풍하기 위한 구동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200)는, 송풍 케이싱(202)이 결합되며 외관을 형성하는 구동부 하우징(220); 상기 구동부 하우징(220)의 내부에 배치되되 내측면에 코일이 감겨진 스테이터(205)가 결합되며 상기 구동부 하우징(220)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내측 하우징; 상기 내측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209); 상기 회전축(209)의 일측에 배치되어 유입되는 외기를 가압 송풍하는 임펠러(208); 상기 회전축(209)의 외측면에 연동되게 배치되는 로터(211); 및 구동부 하우징(220)에 주조 방식으로 내장되는 워터 파이프(222);를 포함하고, 상기 워터 파이프(222)는 구동부 하우징(220)의 원주를 따라 나선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터보 블로워 장치는, 상기 구동부(200)를 제어하는 제어부(300);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구동부(200)를 통과한 공기가 유동하는 배관 상에 설치되는 블로우 오프 밸브(400); 상기 본체(100) 내부에 설치되는 소음실(500); 상기 블로우 오프 밸브(400)와 상기 소음실(500)을 연결하는 소음부 연결 배관(600); 및 상기 구동부(200)에 냉각수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냉각수 순환부(7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부 하우징(220)은 상기 워터 파이프(222)를 내장하는 하우징 몸체(221), 상기 하우징 몸체(221)의 일측 외주면에 형성되는 냉각수 유입구(225), 상기 하우징 몸체(221)의 타측 외주면에 형성되는 냉각수 배출구(227), 및 상기 하우징 몸체(221)의 일측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하우징 플랜지(22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임펠러(208)는 상기 하우징 몸체(221)를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00)의 하부 공간에는 양면에 각각 흡음재가 부착된 격벽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마련되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본체 하부의 마주보는 양측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외기는 상기 격벽에 의해 다수회 유로 방향이 변경된 후 상기 구동부로 유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음실 내부에는 공간을 구획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분리벽이 마련되며, 상기 분리벽에는 배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소음실의 내벽에는 흡음판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각수 유입구(225) 및 상기 냉각수 배출구(227)는 각각 복수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냉각수 유입구(225)로 진입하는 냉각수는 상기 워터 파이프(222)에 엇갈리는 형태로 배치되는 한쌍의 유로를 통해 독립적으로 유동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터보 블로워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구동부 하우징에 주조와 같은 제조 방법을 통해 워터 파이프를 내장하게 함으로써 종래에 하우징의 표면을 따라 냉각수가 유동하게 하는 과정을 통해 발생할 수 있는 냉각수의 누설을 방지한다. 즉, 워터 파이프가 구동부 하우징에 일체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여 상기 워터 파이프 내부를 유동하는 냉각수의 누설로 인한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한다.
둘째, 종래에 공랭 방식을 적용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냉각팬을 배치함으로 인해 발생한 문제점을 극복하는 동시에 냉각공기의 유동으로 인하여 내부 구동부에서 발생하여 외부로 전달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게 한다.
셋째, 구동부를 포함하는 본체 내에 다수의 격벽을 마련하고 양측방향에 공기유입구를 형성함으로써, 본체 내의 구동부에서 발생하여 외부로 전달되는 소음을 한층 저감할 수 있다.
넷째, 워터 파이프 내장의 냉각 구조를 마련함으로써 구동부의 내부 구성품인 로터, 스테이터, 회전축 등의 부품을 냉각하여 부품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체 구동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보 블로워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하부 영역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상부 영역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보 블로워 장치의 구동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C-C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구동부 하우징에 형성된 워터 파이프를 따라 형성되는 유동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보 블로워 장치는, 본체(100)의 하부에 형성된 유입구(101)를 통해 유입된 외기를 흡입한 후 고압으로 송풍하기 위한 구동부(200)가 본체(100)의 내부 일측에 배치되고, 본체(100)의 내부 타측에 제어부(300)가 배치된다. 이러한 제어부(300)는 구동부(200)의 구동에 관련된 인버터 등 각종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부(200)가 마련된 공간과 제어부(300)가 마련된 공간은 별도의 격벽에 의해 구분되며, 제어부(300)가 구비된 영역과 대응하는 본체(100)의 일부분에는 제어부(300)가 마련된 내부 공간을 냉각하기 위한 공기 유입구가 마련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구동부(200)가 마련된 공간을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0)의 내부 일측 공간은, 실질적으로 구동부(200)가 설치되는 상부 공간 및 상기 상부 공간과 구획판(102)에 의해 구획되는 하부 공간으로 나뉘어진다. 이러한 구획판(102)에는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을 연통하도록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체(100)의 내벽에는 소음 저감을 위한 흡음재가 부착된다.
이러한 하부 공간에는, 양면에 각각 흡음재(104)가 부착된 격벽(103)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마련되고, 본 실시예에서 유입구(101)는 본체(100) 하부의 마주보는 양측에 각각 마련된다. 즉, 본 실시예는, 본체(100) 내에서 격벽(103) 및 유입구(101)에 의해 공기 유로 방향이 다수회 변경되는 구조를 마련함으로써, 후술하는 구동부(200)에서 발생하여 외부로 전달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구동부(200)에서 발생하는 소음은 격벽(103)에 의해 다수회 유로 방향이 변경된 후 유입구(101)를 통해 주로 배출된다. 이때, 본체(100) 내에서 소음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격벽(103)의 흡음재(104) 및 본체(100) 내벽의 흡음재에 의해 일정 부분 흡수되고, 소음 전달 경로가 대략 3번 정도 변경되면서 외부로 전달되는 소음의 세기가 저감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입구(101)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복수로 마련된다.
본 실시예는, 이와 같이 소음의 전달 경로 방향을 다수회 변경함과 더불어 흡음재(104)를 구비함으로써, 구동부(200)에서 발생하여 본체(100) 외부로 전달되는 소음의 세기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격벽(103)은 본체(100)의 양측 유입구(101)를 통해 유입된 외기의 흐름이 안정적으로 진행되도록 배치되어 공기의 흡입 손실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격벽(103)의 양측에는 흡음재(104)가 마련되어 공기의 유동에 따른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와 같이 소음의 외부 전달시 소음의 세기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터보 블로워 장치는, 본체(100) 내부에 설치되되 구동부(200)를 통과한 공기가 유동하는 배관 상에 설치되는 블로우 오프 밸브(400, blow off valve(BOV)), 본체(100) 내부에 설치되는 소음실(500), 블로우 오프 밸브(400)와 소음실(500)을 연결하는 소음부 연결 배관(600), 및 구동부(200)에 냉각수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냉각수 순환부(700)를 더 포함한다.
블로우 오프 밸브(400)는 구동부(20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이 과도한 경우 구동하여 이러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구동부(200)를 통해 가압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관 상에 설치된다.
소음실(500)은 본체(100) 내부 공간의 일측에 별도의 구획재를 통해 구획된 상태로 마련된다.
또한, 소음부 연결 배관(600)은 블로우 오프 밸브(400)와 소음실(500)을 연결하도록 마련되며, 냉각수 순환부(700)는 구동부(200)에 장입된 워터 파이프에 냉각수를 공급하거나 회수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 3을 참조하면 구동부(200)의 임펠러(208)를 통해 압력이 과도하게 증가한 공기는 소음부 연결 배관(600)을 통해 소음실(500)로 유입된 후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어느 정도 온도가 상승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구동부(200)에 의한 외기 가압 효율을 보다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소음부 연결 배관(600)을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구동부(200)에 의해 과도하게 가압된 후 블로우 오프 밸브(400)에 의해 바이패스된 공기를 의미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소음실(500) 내부에는 공간을 구획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분리벽(510)이 마련된다. 이러한 분리벽(510)은 소음실(500)을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공기의 외부 배출 과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분리벽(510)은 1개로 마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분리벽(510)에는 배기공(511)이 마련되어 이웃하는 다른 공간으로 공기가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블로우 오프 밸브(400)에 의해 소음실(500) 측으로 피드백된 공기는 상당한 압력과 유속을 갖고 있으므로, 이러한 공기가 직접 소음실(500)을 형성하는 내벽을 타격할 경우 상당한 배출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소음실(500)의 내벽에 흡음판(520)이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흡음판(520)은, 소음부 연결 배관(600)으로부터 소음실(500)로 가압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과 마주보는 소음실(500)의 일측 내벽에 마련되어 소음을 저감하게 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흡음판(520)은, 복수의 홀이 타공된 타공판(521)과, 타공판(521)의 일측에 마련되는 흡음부재(522)를 포함한다. 여기서, 타공판(521)은 소음실(500) 내측 공간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흡음부재(522)는 타공판(521)의 배면에 부착된다. 이러한 흡음부재(522)는 발포 스티로폼,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소음부 연결 배관(600)을 통해 소음실(500)의 제1 영역으로 유입된 가압 공기 및 냉각 공기(구동부 내측 구성요소를 냉각한 공기)는 분리벽(510)의 배기공(511)을 통해 이웃하는 소음실(500)의 제2 영역으로 이동한 후 배출공(미도시)을 통해 본체(100) 외부로 배출된다.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구동부(200)의 구조를 설명한다.
먼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부(200)는 실질적으로 본체(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일정 이상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배출하는 것으로서, 외관을 형성하는 구동부 하우징(220), 구동부 하우징(220)의 내부에 배치되되 내측면에 코일이 감겨진 스테이터(205)가 결합되며 구동부 하우징(220)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내측 하우징, 내측 하우징의 중심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209), 회전축(209)의 일단부에 흡입구(207)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를 가압 송풍하는 임펠러(208), 및 회전축(209)의 외측면에 연동되게 배치된 로터(211)를 포함한다. 미설명 도면 부호 214는 임펠러(208)를 회전하기 위해 회전축(209)에 결합된 임펠러 회전축이다.
즉, 구동부(200)는 스테이터(205)로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회전축(209), 로터(211) 및 임펠러(208)가 회전하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임펠러(208)에 의해 가압된 공기는 구동부 하우징(220)의 일측에 결합되는 송풍 케이싱(202)을 통해 후경로로 이동한다.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구동부(200)의 외관을 형성하는 구동부 하우징(220)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설명한다.
구동부 하우징(220)은 하우징 몸체(221), 하우징 몸체(221) 내에 내장된 워터 파이프(222), 하우징 몸체(221)의 일측 외주면에 형성되는 냉각수 유입구(225), 하우징 몸체(221)의 타측 외주면에 형성되는 냉각수 배출구(227), 및 하우징 몸체(221)의 일측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하우징 플랜지(224)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임펠러(208)는 상기 하우징 몸체(221)를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되거나 일측에 단수의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임펠러(208)가 하우징 몸체(221)를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경우에는 단일한 하우징 몸체(221) 상에 복수의 임펠러(208)를 배치함으로 인해서 공간 활용성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출력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워터 파이프(222)는 일예로 사형 주조 방식으로 하우징 몸체(221)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배치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냉각수 유입구(225) 지점에서 냉각수 배출구(227) 지점에 이르기까지 하우징 몸체(221)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부 하우징(220)은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구동부 하우징(220)의 일측에는 가압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송풍 케이싱(202)이 결합된다. 여기서, 회전축(209)의 일단부에는 회전축(209)의 회전과 동시에 회전 가능하도록 임펠러(208)가 마련되며, 흡입구(207)로 유입된 외기는 고속 회전하는 임펠러(208)에 의해 가압된 후 소음부 연결 배관(600) 측으로 유입되거나, 본체 토출구 측으로 이동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임펠러(208)가 구비된 회전축(209)의 일측 영역은 저널 베어링(212)에 의해 회전이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냉각수 순환부(700)에서 공급되는 냉각수는 냉각수 유입구(225)를 통해 구동부 하우징(220) 내부에 배치된 워터 파이프(222)로 유입되고, 워터 파이프(222)를 통해 유동하는 과정을 통해 스테이터(205) 및 로터(211)에서 발생된 열을 흡수한다. 상기와 같이 열이 흡수된 냉각수는 냉각수 배출구(227)를 통해 구동부 하우징(220)으로부터 토출된 이후에 냉각수 순환부(700)로 회수되어 온도 조절이 이루어진 후 다시 워터 파이프(222)로 투입된다.
즉, 구동부 하우징(220)에 내장된 워터 파이프(222)로 유입된 냉각수는 내측 하우징, 스테이터(205), 로터(211) 및 회전축(209) 등을 냉각한 후 재투입되는 순환 유동 과정을 진행하며, 상기 과정 중에 전술한 각 구성요소들에 대한 개별 냉각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과열을 예방하여 부품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이하,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구동부(200)의 외관을 형성하는 구동부 하우징의 다른 실시예(220')에 따른 구조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부 하우징의 일 실시예(200)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차별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구동부 하우징(220')은 하우징 몸체(221) 상에 복수의 냉각수 유입구(225,226) 및 냉각수 배출구(227,228)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냉각수 유입구(225,226) 및 냉각수 배출구(227,228)는 하우징 몸체(221) 내에 내장된 워터 파이프(222)에 각각 연통되고, 하우징 몸체(221)의 일측 외주면 및 타측 외주면에 각각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여기에서, 제1 냉각수 유입구(225)로 유입된 냉각수는 워터 파이프(222)를 거쳐 제1 냉각수 배출구(227)로 배출되고, 제2 냉각수 유입구(226)로 유입된 냉각수는 워터 파이프(222)를 거쳐 제2 냉각수 배출구(228)로 배출된다. 구체적으로 도 10을 참조하면, 냉각수가 유동하는 워터 파이프(222)는 서로 엇갈리는 형태로 한쌍의 유로가 형성됨으로써 복수의 냉각수 유입구(225,226)로 진입하는 냉각수가 각각 독립적인 유동을 하게 한다. 상기 한쌍의 유로는 하우징 몸체(221)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 형상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 본체
101: 유입구
103: 격벽
104: 흡음재
200: 구동부
202: 송풍 케이싱
205: 스테이터
208: 임펠러
209: 회전축
211: 로터
220,220' : 구동부 하우징
222 : 워터 파이프
300: 제어부
400: 블로우 오프 밸브
500: 소음실
510: 분리벽
511: 배기공
520: 흡음판
521: 타공판
522: 흡음재
600: 소음부 연결 배관
700: 냉각수 순환부

Claims (7)

  1. 본체(100)에 형성된 유입구(101)를 통해 유입된 외기를 흡입하여 송풍하기 위한 구동부(200)를 포함하는 터보 블로워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200)는,
    송풍 케이싱(202)이 결합되며 외관을 형성하는 구동부 하우징(220);
    상기 구동부 하우징(220)의 내부에 배치되되 내측면에 코일이 감겨진 스테이터(205)가 결합되며 상기 구동부 하우징(220)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내측 하우징;
    상기 내측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209);
    상기 회전축(209)의 일측에 배치되어 유입되는 외기를 가압 송풍하는 임펠러(208);
    상기 회전축(209)의 외측면에 연동되게 배치되는 로터(211); 및
    구동부 하우징(220)에 내장되는 워터 파이프(222);를 포함하고,
    상기 워터 파이프(222)는 구동부 하우징(220)의 원주를 따라 나선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 블로워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보 블로워 장치는,
    상기 구동부(200)를 제어하는 제어부(300);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구동부(200)를 통과한 공기가 유동하는 배관 상에 설치되는 블로우 오프 밸브(400);
    상기 본체(100) 내부에 설치되는 소음실(500);
    상기 블로우 오프 밸브(400)와 상기 소음실(500)을 연결하는 소음부 연결 배관(600); 및
    상기 구동부(200)에 냉각수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냉각수 순환부(700);를 더 포함하는,
    터보 블로워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 하우징(220)은 상기 워터 파이프(222)를 내장하는 하우징 몸체(221), 상기 하우징 몸체(221)의 일측 외주면에 형성되는 냉각수 유입구(225), 상기 하우징 몸체(221)의 타측 외주면에 형성되는 냉각수 배출구(227), 및 상기 하우징 몸체(221)의 일측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하우징 플랜지(224)를 포함하는,
    터보 블로워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208)는 상기 하우징 몸체(221)를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 블로워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하부 공간에는 양면에 각각 흡음재가 부착된 격벽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마련되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본체 하부의 마주보는 양측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외기는 상기 격벽에 의해 다수회 유로 방향이 변경된 후 상기 구동부로 유입되는,
    터보 블로워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실 내부에는 공간을 구획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분리벽이 마련되며, 상기 분리벽에는 배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소음실의 내벽에는 흡음판이 구비되는,
    터보 블로워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유입구(225) 및 상기 냉각수 배출구(227)는 각각 복수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냉각수 유입구(225)로 진입하는 냉각수는 상기 워터 파이프(222)에 엇갈리는 형태로 배치되는 한쌍의 유로를 통해 독립적으로 유동하는,
    터보 블로워 장치.
KR1020150043396A 2015-03-27 2015-03-27 수냉 방식의 구동부를 구비한 터보 블로워 장치 KR201601155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396A KR20160115519A (ko) 2015-03-27 2015-03-27 수냉 방식의 구동부를 구비한 터보 블로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396A KR20160115519A (ko) 2015-03-27 2015-03-27 수냉 방식의 구동부를 구비한 터보 블로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5519A true KR20160115519A (ko) 2016-10-06

Family

ID=57164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3396A KR20160115519A (ko) 2015-03-27 2015-03-27 수냉 방식의 구동부를 구비한 터보 블로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55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83100A (zh) * 2021-08-11 2022-01-04 山东恒信电器集团有限公司 一种电磁涡流刹车风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83100A (zh) * 2021-08-11 2022-01-04 山东恒信电器集团有限公司 一种电磁涡流刹车风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7057B1 (ko) 터보 블로워장치
US10753372B2 (en) Direct drive type dual turbo blower cooling structure
KR101847165B1 (ko) 에어포일 베어링을 장착한 터보블로워의 냉각 유로 구조
JP4949702B2 (ja) 空冷式電動モータを有するコンプレッサ装置
KR200484535Y1 (ko) 흡기공을 포함하는 터보 블로워
JP2007002836A (ja) ブロワ
JP6552851B2 (ja) 圧縮機駆動用モータおよびその冷却方法
TWI518245B (zh) 乾真空泵裝置、排氣單元,以及消音器
KR20160115518A (ko) 냉각공기 순환배관을 포함한 터보 블로워 장치
KR20140075924A (ko) 전동식 오일펌프
KR20160136959A (ko) 냉각성능이 향상된 펌프
JP2009264205A (ja) 遠心圧縮機
KR101470148B1 (ko) 공기압축기의 모터 냉각 장치
KR102098610B1 (ko) 가스밸브유닛룸 공기순환장치
KR102433580B1 (ko) 공기 압축기
KR20160115519A (ko) 수냉 방식의 구동부를 구비한 터보 블로워 장치
CN111049319B (zh) 全闭外扇型旋转电机以及外部气体风扇组
KR101221396B1 (ko) 터보 블로워 구동장치
KR101221395B1 (ko) 터보 블로워장치
KR101756979B1 (ko) 냉각성능이 향상된 펌프
JP4916304B2 (ja) ポンプ装置
JP6976001B2 (ja) 冷却熱平衡が可能な高速デュアルターボ機械
KR20140132509A (ko) 터보 블로워장치
KR100726461B1 (ko) 보텍스 튜브를 이용한 모터 냉각 장치
KR20140017923A (ko) 터보 블로워의 인렛 가이드 베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