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4132A - 업링크 액세스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업링크 액세스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4132A
KR20160114132A KR1020167023427A KR20167023427A KR20160114132A KR 20160114132 A KR20160114132 A KR 20160114132A KR 1020167023427 A KR1020167023427 A KR 1020167023427A KR 20167023427 A KR20167023427 A KR 20167023427A KR 20160114132 A KR20160114132 A KR 20160114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book
uplink
terminal
pilot sequence
pi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3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1426B1 (ko
Inventor
이춘 우
순칭 장
옌 천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60114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4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1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1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4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uplink, i.e. towards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891Spatial equalizers
    • H04L25/03898Spatial equalizers codebook-based design
    • H04L25/03904Spatial equalizers codebook-based design cooperative design, e.g. exchanging of codebook information between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H04W74/0833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using a random access proced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the mobile station comprising multiple antennas, e.g. to provide uplink diversity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분야에 관한 것이며 단말기에 의해 기지국에 전송되는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 양이 비교적 소량이기 때문에 발생하는 자원 낭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업링크 액세스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업링크 액세스 방법은,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로부터 제1 코드북을 취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코드북 및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제1 코드북에 대응하는 제1 파일럿 시퀀스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코드북 및 상기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파일럿 시퀀스에 대응하는 파일럿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기지국에 상기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상기 파일럿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업링크 액세스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은 업링크 액세스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업링크 액세스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PLINK ACCESS METHOD, DEVICE AND SYSTEM}
본 발명의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업링크 액세스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지국의 커버리지 영역 내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이한 위치의 사용자가 업링크 액세스를 수행하기 위해 동일한 송신 매체를 사용하는 경우, 기지국은 상이한 사용자 신호 간을 구별하기 위해 복수의 액세스 기술을 사용해야 한다. 예를 들어,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희소 코드 다중 액세스) 기술은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 분할 다중 액세스),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ddress,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및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에 의해 결합된 하이브리드 다중 액세스 기술이며, 동일한 영역 내의 상이한 위치의 사용자는 업링크 액세스 및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기 위해 SCMA 액세스 기술을 사용하는 경우에 동일한 시간-주파수 자원 블록을 사용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기지국에 업링크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기 전에,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에 동기를 유지하기 위해, 단말기는 먼저 업링크 액세스 초기화를 수행해야 하고, 그 후에 단말기는 기지국에 업링크 자원 요청 메시지를 전송해야 한다. 기지국은, 업링크 자원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그 업링크 자원 요청 메시지에 따라 업링크 자원 할당 메시지를 생성하고, 그 업링크 자원 할당 메시지를 단말기에 전송한다. 단말기는,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업링크 자원 할당 메시지를 수신한 후. 업링크 자원 할당 메시지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파일럿 신호를 생성하고, 그 후 단말기는 기지국에 의해 할당되는 업링크 자원 블록에, 업링크 데이터 신호를 전송한다. 즉,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의 양에 관계없이, 단말기는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파일럿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기지국과 상호작용해야 한다. 그러나 실시간 온라인 서비스 및 머신형 통신 서비스(machine type communication service)가 출현함에 따라, 단말기와 기지국은 매번 짧은 시간 통신하고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의 양은 적다. 이 경우에, 업 링크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기 전에,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의 전술한 상호작용에서 점유된 자원은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점유된 자원보다 많을 수 있으므로; 단말기에 의해 기지국에 전송되는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의 양이 비교적 적을 때, 단말기는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파일럿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기지국과 여러 번 상호작용하고, 이는 자원의 낭비를 야기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기에 의해 기지국에 전송되는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의 양이 비교적 적을 때, 단말기가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파일럿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기지국과 상호작용해야 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자원 낭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업링크 액세스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하의 기술적 방안을 사용한다:
제1 측면에 따르면, 업링크 액세스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업링크 액세스 방법은,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로부터 제1 코드북을 취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코드북 및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제1 코드북에 대응하는 제1 파일럿 시퀀스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코드북 및 상기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파일럿 시퀀스에 대응하는 파일럿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기지국에 상기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상기 파일럿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측면을 참조하여,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로부터 제1 코드북을 취득하는 단계는,
상기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의 양이 미리 설정된 데이터량 임계치 미만인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에 상기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로부터 상기 제1 코드북을 취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측면을 참조하여,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코드북 및 상기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코드북에 따라 상기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를 데이터 변조 심볼에 매핑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변조 심볼에 따라 상기 업링크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측면을 참조하여,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사이의 매핑 관계는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 사이의 매핑 관계이고,
각각의 코드북은 하나의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에 대응하고, 각각의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는 하나 이상의 파일럿 시퀀스를 포함하고, 임의의 두 개의 코드북에 대응하는 두 개의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에는 동일한 파일럿 시퀀스가 존재하지 않는다.
제1 측면 및 제1 내지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 전에,
상기 기지국에 랜덤 액세스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랜덤 액세스 정보는, 상기 기지국이 업링크 클록 정보에 따라 업링크 클록 조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의 업링크 클록 정보를 포함함 -;
상기 기지국에서 전송되는 상기 업링크 클록 조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업링크 클록 조정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클록 정보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2 측면에 따르면, 업링크 액세스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업링크 액세스 방법은,
단말기에 의해 전송되는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파일럿 신호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제1 파일럿 시퀀스에 따라 생성되고, 상기 제1 파일럿 시퀀스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로부터 취득되는 제1 코드북 및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의 매핑 관계에 따라 취득되는 상기 제1 코드북에 대응하는 파일럿 시퀀스이고; 상기 업링크 데이터 신호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취득되는 상기 제1 코드북 및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 의해 생성된다.
제2 측면을 참조하여,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단말기에 의해 상기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로부터 취득되는 상기 제1 코드북은, 상기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의 양이 미리 설정된 데이터량 임계치 미만인 경우에 상기 미리 설정된 코드북으로부터 취득된다.
제2 측면을 참조하여,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사이의 매핑 관계는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 사이의 매핑 관계이고,
각각의 코드북은 하나의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에 대응하고, 각각의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는 하나 이상의 파일럿 시퀀스를 포함하고, 임의의 두 개의 코드북에 대응하는 두 개의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에는 동일한 파일럿 시퀀스가 존재하지 않는다.
제2 측면 및 상기한 제1 내지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단말기에 의해 전송되는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단말기에 의해 전송되는 랜덤 액세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랜덤 액세스 정보는 상기 단말기의 업링크 클록 정보를 포함함 -;
상기 업링크 클록 정보에 따라 업링크 클록 조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업링크 클록 조정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클록 정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에 상기 업링크 클록 조정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3 측면에 따르면, 단말기가 제공되며, 상기 단말기는,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제1 취득 유닛;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로부터 제1 코드북을 취득하도록 구성된 제2 취득 유닛;
상기 제1 코드북 및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제1 코드북에 대응하는 제1 파일럿 시퀀스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제3 취득 유닛;
상기 제1 코드북 및 상기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1 생성 유닛;
상기 제1 파일럿 시퀀스에 대응하는 파일럿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2 생성 유닛; 및
기지국에 상기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상기 파일럿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제1 전송 유닛을 포함한다.
제3 측면을 참조하여,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2 취득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의 양이 미리 설정된 데이터량 임계치 미만인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에 상기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로부터 상기 제1 코드북을 취득하도록 구성된다.
제3 측면을 참조하여,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생성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코드북에 따라 상기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를 데이터 변조 심볼에 매핑하고;
상기 데이터 변조 심볼에 따라 상기 업링크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제3 측면을 참조하여,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사이의 매핑 관계는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 사이의 매핑 관계이고,
각각의 코드북은 하나의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에 대응하고, 각각의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는 하나 이상의 파일럿 시퀀스를 포함하고, 임의의 두 개의 코드북에 대응하는 두 개의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에는 동일한 파일럿 시퀀스는 존재하지 않는다.
제3 측면 및 그 제1 내지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기지국에 랜덤 액세스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제2 전송 유닛 - 상기 랜덤 액세스 정보는, 상기 기지국이 업링크 클록 정보에 따라 업링크 클록 조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의 업링크 클록 정보를 포함함 -;
상기 기지국에서 전송되는 상기 업링크 클록 조정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및
상기 업링크 클록 조정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클록 정보를 조정하도록 구성된 조정 유닛을 더 포함한다.
제4 측면에 따르면, 기지국이 제공되며, 상기 기지국은,
단말기에 의해 전송되는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수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파일럿 신호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제1 파일럿 시퀀스에 따라 생성되고, 상기 제1 파일럿 시퀀스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로부터 취득되는 제1 코드북 및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의 매핑 관계에 따라 취득되는 상기 제1 코드북에 대응하는 파일럿 시퀀스이고; 상기 업링크 데이터 신호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취득되는 상기 제1 코드북 및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 의해 생성된다.
제4 측면을 참조하여,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단말기에 의해 상기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로부터 취득되는 상기 제1 코드북은, 상기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의 양이 미리 설정된 데이터량 임계치 미만인 경우에 상기 미리 설정된 코드북으로부터 취득된다.
제4 측면을 참조하여,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사이의 매핑 관계는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 사이의 매핑 관계이고,
각각의 코드북은 하나의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에 대응하고, 각각의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는 하나 이상의 파일럿 시퀀스를 포함하고, 임의의 두 개의 코드북에 대응하는 두 개의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에는 동일한 파일럿 시퀀스가 존재하지 않는다.
제4 측면과 그 제1 및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에 의해 전송되는 랜덤 액세스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수신 유닛 - 상기 랜덤 액세스 정보는 상기 단말기의 업링크 클록 정보를 포함함 -;
상기 업링크 클록 정보에 따라 업링크 클록 조정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 유닛;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업링크 클록 조정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클록 정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에 상기 업링크 클록 조정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유닛을 더 포함한다.
제5 측면에 따르면, 업링크 액세스 시스템이 제공되며, 상기 업링크 액세스 시스템은,
전술한 하나 이상의 단말기 및 전술한 하나 이상의 기지국을 포함한다.
제6 측면에 따르면, 단말기가 제공되며, 상기 단말기는,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및 송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추가로,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로부터 제1 코드북을 취득하고;
상기 제1 코드북 및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제1 코드북에 대응하는 제1 파일럿 시퀀스를 취득하고;
상기 제1 코드북 및 상기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파일럿 시퀀스에 대응하는 파일럿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송신기는, 기지국에 상기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상기 파일럿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제6 측면을 참조하여,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상기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의 양이 미리 설정된 데이터량 임계치 미만인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에 상기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로부터 상기 제1 코드북을 취득하도록 구성된다.
제6 측면을 참조하여,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코드북에 따라 상기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를 데이터 변조 심볼에 매핑하고;
상기 데이터 변조 심볼에 따라 상기 업링크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제6 측면을 참조하여,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사이의 매핑 관계는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 사이의 매핑 관계이고,
각각의 코드북은 하나의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에 대응하고, 각각의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는 하나 이상의 파일럿 시퀀스를 포함하고, 임의의 두 개의 코드북에 대응하는 두 개의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에는 동일한 파일럿 시퀀스는 존재하지 않는다.
제6 측면과 그 제1 내지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송신기는 추가로, 상기 기지국에 랜덤 액세스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랜덤 액세스 정보는, 상기 기지국이 업링크 클록 정보에 따라 업링크 클록 조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의 업링크 클록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기지국에서 전송되는 상기 업링크 클록 조정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추가로, 상기 업링크 클록 조정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클록 정보를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7 측면에 따르면, 기지국이 제공되며, 상기 기지국은,
단말기에 의해 전송되는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파일럿 신호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제1 파일럿 시퀀스에 따라 생성되고, 상기 제1 파일럿 시퀀스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로부터 취득되는 제1 코드북 및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의 매핑 관계에 따라 취득되는 상기 제1 코드북에 대응하는 파일럿 시퀀스이고; 상기 업링크 데이터 신호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취득되는 상기 제1 코드북 및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에 의해 생성된다.
제7 측면을 참조하여,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단말기에 의해 상기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로부터 취득되는 상기 제1 코드북은, 상기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의 양이 미리 설정된 데이터량 임계치 미만인 경우에 상기 미리 설정된 코드북으로부터 취득된다.
제7 측면을 참조하여,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사이의 매핑 관계는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 사이의 매핑 관계이고,
각각의 코드북은 하나의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에 대응하고, 각각의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는 하나 이상의 파일럿 시퀀스를 포함하고, 임의의 두 개의 코드북에 대응하는 두 개의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에는 동일한 파일럿 시퀀스가 존재하지 않는다.
제7 측면과 그 제1 내지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수신기는 추가로, 상기 단말기에 의해 전송되는 랜덤 액세스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랜덤 액세스 정보는 상기 단말기의 업링크 클록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기지국은,
상기 업링크 클록 정보에 따라 업링크 클록 조정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업링크 클록 조정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클록 정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에 상기 업링크 클록 조정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송신기를 더 포함한다.
제8 측면에 따르면, 업링크 액세스 시스템이 제공되며, 상기 업링크 액세스 시스템은,
전술한 하나 이상의 단말기 및 전술한 하나 이상의 기지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업링크 액세스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따르면, 단말기는 단말기의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로부터 제1 코드북을 직접 취득하고, 제1 코드북 및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제1 코드북에 대응하는 제1 파일럿 시퀀스를 취득하고,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파일럿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기지국에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파일럿 신호를 전송하기 전에, 단말기는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파일럿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기지국과 상호작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의 정보 교환 프로세스를 줄이고, 특히,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가 비교적 적을 때, 단말기가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파일럿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기지국과 상호작용해야 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자원 낭비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술적 방안 또는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 실시예 또는 종래기술의 설명에 필요한 첨부도면을 간단하게 소개한다. 명백히, 이하의 설명에서의 첨부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여줄 뿐이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이하, 당업자라고 함)는 창의적인 노력 없이 이들 첨부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링크 액세스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업링크 액세스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업링크 액세스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업링크 액세스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단말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기지국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링크 액세스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단말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단말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기지국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기지국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업링크 액세스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술적 방안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명백히,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부가 아니라 일부일 뿐이다.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창의적인 노력 없이 얻은 모든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기에 적용되는 업링크 액세스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업링크 액세스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01: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를 취득한다.
업링크 서비스는 음성 서비스 또는 데이터 서비스일 수 있으며, 그러면 단말기는 업링크 음성 서비스 데이터 또는 업링크 데이터 서비스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유의해야 할 것은,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를 취득하기 전에, 기지국이 업링크 클록 정보에 따라 업링크 클록 조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단말기는 먼저 랜덤 액세스 정보를 기지국에 전송하고, 랜덤 액세스 정보는 단말기의 업링크 클록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후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업링크 클록 조정 정보를 수신하고. 업링크 클록 조정 정보에 따라 단말기의 클록 정보를 조정한다는 것이다.
단계 102: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로부터 제1 코드북을 취득한다.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의 양이 미리 설정된 데이터량 임계치 미만인 것으로 결정한 경우, 단말기는 단말기의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로부터 제1 코드북을 취득한다. 유의해야 할 것은, 제1 코드북은 단말기에 의해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에서 무작위로 선택되는 코드북일 수 있고; 또, 단말기의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는 기지국의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와 동일하다는 것이다. 업링크 서비스가 음성 서비스일 때,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는 업링크 음성 서비스 데이터이고, 미리 설정된 데이터량 임계치는 단말기에 미리 설정된, 음성 서비스의 최대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에 대응하는 데이러ㅌ량 임계치이고; 업링크 서비스가 데이터 서비스일 때,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는 업링크 데이터 서비스 데이터이고, 미리 설정된 데이터량 임계치는 단말기에 미리 설정된, 데이터 서비스의 최대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에 대응하는 데이터량 임계치이다.
단계 103: 제1 코드북 및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제1 코드북에 대응하는 제1 파일럿 시퀀스를 취득한다.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사이의 매핑 관계는 직접적으로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사이의 매핑 관계일 수 있거나, 또는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 사이의 매핑 관계일 수 있으며, 각각의 코드북은 하나의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에 대응하고, 각각의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는 하나 이상의 파일럿 시퀀스를 포함하며, 임의의 두 개의 코드북에 대응하는 두 개의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에는 동일한 파일럿 시퀀스가 존재하지 않는다.
단계 104: 제1 코드북 및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신호를 생성한다.
단말기는 제1 코드북에 따라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를 데이터 변조 심볼에 매핑하고, 데이터 변조 심볼을 캐리어 신호와 승산하여 업링크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고, 그 업링크 데이터 신호를 무선 주파수 전송에 사용되는 고주파 신호로 변환한다.
단계 105: 제1 파일럿 시퀀스에 대응하는 파일럿 신호를 생성한다.
제1 파일럿 시퀀스는 파일럿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변조된다. 변조(modulation)는, 신호원으로부터의 정보가 채널 송신에 적합한 형태의 정보로 변경될 수 있도록, 신호원으로부터의 정보가 처리되어 캐리어에 부가되는 프로세스이다. 즉, 변조는 캐리어가 신호에 따라 변화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다.
단계 106: 기지국에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파일럿 신호를 전송한다.
제1 코드북 및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고, 제1 파일럿 시퀀스에 대응하느 파일럿 신호를 생성한 후, 단말기는 업링크 데이터 자원 블록의 위치에서, 기지국에 업링크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고, 파일럿 신호는 업링크 데이터 자원 블록의 위치에 삽입되어 업링크 데이터 신호와 함께 기지국에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기는 단말기의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로부터 제1 코드북을 직접 취득하고, 제1 코드북 및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사이의 매핑관계 따라, 제1 코드북에 대응하는 제1 파일럿 시퀀스를 취득하고,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파일럿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업링크 데이터 신호와 파일럿 신호를 기지국에 전송하기 전에, 단말기는 업링크 데이터 신호와 파일럿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기지국과 상호작용할 필요가 없으며, 이로써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의 정보 교환 프로세스를 줄이고, 특히,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의 양이 비교적 적을 때, 단말기가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파일럿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기지국과 상호작용해야 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자원 낭비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대응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지국에 적용되는 업링크 액세스 방법을 제공한다. 이 업링크 액세스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201: 단말기에 의해 전송되는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파일럿 신호를 수신한다.
파일럿 신호는 단말기에 의해 제1 파일럿 시퀀스에 따라 생성되고, 제1 파일럿 시퀀스는, 단말기에 의해,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로부터 취득되는 제1 코드북에 따라, 그리고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의 매핑 관계에 따라, 취득되는 제1 코드북에 대응하는 파일럿 시퀀스이다. 업링크 데이터 신호는 제1 코드북 및 단말기에 의해 취득되는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에 따라 단말기에 의해 생성된다.
단말기에 의해 단말기의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로부터 취득되는 제1 코드북은,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의 양이 미리 설정된 데이터량 임계치 미만인 경우에 미리 설정된 코드북으로부터 취득된다.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사이의 매핑 관계는 직접적으로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 사이의 매핑 관계일 수 있거나,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 사이의 매핑 관계일 수 있으며, 각각의 코드북은 하나의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에 대응하고, 각각의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는 하나 이상의 파일럿 시퀀스를 포함하고, 임의의 두 개의 코드북에 대응하는 두 개의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에는 동일한 파일럿 시퀀스가 존재하지 않는다.
유의해야 할 것은, 단말기에 의해 전송되는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기 전에, 단말기에 의해 전송되는 랜덤 액세스 정보를 먼저 수신하고 - 랜덤 액세스 정보는 단말기의 업링크 클록 정보를 포함함 -; 업링크 클록 정보에 따라 업링크 클록 조정 정보를 생성하고; 단말기가 업링크 클록 조정 정보에 따라 단말기의 클록 정보를 조정할 수 있도록, 단말기에 업링크 클록 조정 정보를 전송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기지국은, 단말기에 의해 전송되는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며, 업링크 데이터 신호는 단말기에 의해 취득되는 제1 코드북 및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에 따라 단말기에 의해 생성되고, 파일럿 신호는 단말기에 의해 제1 코드북에 대응하는 제1 파일럿 시퀀스에 따라 생성된다. 종래기술과 비교하면, 단말기에 의해 전송되는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파일럿 신호가 수신되기 전에, 단말기는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파일럿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기지국과 상호작용할 필요가 없으며, 이로써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의 정보 교환 프로세스를 줄이고, 특히,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의 양이 비교적 적을 때, 단말기가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파일럿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기지국과 상호작용해야 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자원 낭비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기와 기지국에 적용되는 업링크 액세스 방법을 제공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업링크 액세스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301: 단말기가 업링크 액세스 초기화를 수행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301은 구체으로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3011: 기지국이 단말기에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한다.
기지국에 업링크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기 전에, 단말기는 먼저 업링크 액세스 초기화를 수행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단말기에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하며,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단말기가 셀 캠핑(cell camping) 및 업링크 서비스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셀의 셀 주소, 루트 시퀀스 번호(root sequence number), 단말기가 업링크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시간-주파수 자원, 업링크 데이터 자원 블록의 위치, 및 랜덤 액세스 자원 블록의 위치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단계 3012: 단말기가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 따라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사이의 매핑 관계를 확립한다.
단말기는,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수신한 후,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내의 셀 주소, 루트 시퀀스 번호, 등에 따라, 하나 이상의 파일럿 시퀀스를 생성하여, 하나의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를 형성하고, 단말기는 파일럿 시퀀스에 의해 점유되는 시간-주파수 자원의 자원 요소 위치 및 사이클릭 시프트 파라미터(cyclic shift parameter)에 따라, 파일럿 시퀀스를 그룹화하여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를 취득하고, 단말기의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 내의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사이여 매핑 관계를 형성할 수 있으며,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사이의 매핑 관계는 또한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 사이의 매핑 관계일 수도 있으며, 각각의 코드북은 하나의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에 대응하고, 각가의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는 하나 이상의 파일럿 시퀀스를 포함하고, 임의의 두 개의 코드북에 대응하는 두 개의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에는 동일한 파일럿 시퀀스가 존재하지 않는다.
단계 3013: 단말기는 기지국에 랜덤 액세스 정보를 전송한다.
단말기는,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사이의 매핑 관계를 확립한 후, 기지국에 의해 할당되는 랜덤 액세스 자원 블록의 위치에서, 기지국에 랜덤 액세스 정보를 전송하며, 랜덤 액세스 정보는 단말기의 업링크 클록 정보를 포함한다.
유의해야 할 것은, 업링크 클록 정보는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의 시간 동기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고, 기지국 간에 업링크 데이터 신호의 직교성(orthogonality)을 보장하기 위해, 상이한 단말기의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를 변조하여 취득되는 업링크 데이터 신호가 기지국에 도달하는 경우에 시간 정렬(time alignment)이 필요하며, 이는 셀내 간섭(intra-cell interference)을 없애는데 도움이 된다. 그러나, 업링크 데이터 신호가 공간적으로 송신되는 경우에 지연이 존재한다. 단말기가 호출 중에 기지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기지국에 의해 단말기에 전송되는 다운링크 데이터 신호는 점점 늦게 단말기에 도달하고; 또, 단말기의 업링크 데이터 신호도 또한 기지국에 점점 늦게 도달한다. 업링크 데이터 신호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 신호가 과도하게 지연되면, 기지국에 의해 수신되는 현재의 타임슬롯과 기지국이 다음 단말기의 업링크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타임슬롯 내의 업링크 데이터 신호가 충첩되고, 이는 심볼간 간섭을 야기한다. 따라서, 단말기는 업링크 클록 정보를 기지국에 전송하여, 기지국에 의해 단말기에 전송된 업링크 클록 조정 정보에 따라 단말기의 업링크 클록을 조정하여, 단말기가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에 동기를 유지해야 한다.
단계 3014: 기지국이 랜덤 액세스 정보에 따라 업링크 클록 조정 정보를 생성한다.
랜덤 액세스 자원 블록의 위치에서 랜덤 액세스 정보를 수신한 후에, 그 위치는 단말기에 대응하고, 기지국은 랜덤 액세스 정보에 따라 업링크 클록 조정 정보를 생성하며, 랜덤 액세스 정보는 단말기 업링크 클록 정보를 포함한다.
단계 3015: 기지국이 단말기에 업링크 클록 조정 정보를 전송한다.
단계 3016: 단말기가 업링크 클록 조정 정보에 따라 단말기의 클록 정보를 조정한다.
업링크 데이터 신호가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에 송신될 수 있도록, 단말기는, 기지국에 의해 할당된 랜덤 액세스 자원 블록의 위치에서, 업링크 클록 조정 정보를 수신하고, 업링크 클록 조정 정보에 따라, 단말기의 클록을 조정하여 기지국과의 동기를 확립한다.
단계 302: 단말기가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를 취득한다.
사용자는 음성 서비스 또는 데이터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 단말기를 조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키보드를 트리거하여, 피호출 사용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다이얼키를 트리거할 수 있다. 단말기는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고, 업링크 음성 서비스 데이터를 취득하고, 기지국에 호출 요청을 전송하거나, 또는 사용자는 단말기를 사용하여 웹페이지를 검색하기 위해 인터넷을 서핑할 수 있으며, 그 후 단말기는 업링크 데이터 서비스를 취득하고, 기지국에 데이터 요청을 전송한다.
단계 303: 단말기가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한다.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의 양이 미리 설정된 데이터량 임계치 미만인 경우에, 단말기는 단말기의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로부터 제1 코드북을 취득하고, 제1 코드북 및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제1 코드북에 대응하는 제1 파일럿 시퀀스를 취득하고,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파일럿 신호를 생성하고, 기지국에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파일럿 신호를 전송한다. 업링크 서비스는 음성 서비스 또는 데이터 음성일 수 있다. 업링크 서비스가 음성 서비스일 때,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는 업링크 음성 서비스 데이티고, 미리 설정된 데이터량 임계치는 단말기에 미리 설정된, 음성 서비스의 최대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에 대응하는 데이터량 임계치이고; 업링크 서비스가 데이터 서비스일 때,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는 업링크 데이터 서비스 데이터이고, 미리 설정된 데이터량 임계치는 단말기에 미리 설정된, 데이터 서비스의 최대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에 대응하는 데이터량 임계치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303은 구체적으로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3031: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의 양이 미리 설정된 데이터량 임계치 미만인 경우에, 단말기가 단말기의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로부터 제1 코드북을 취득한다.
단말기는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에서 제1 코드북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취득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는 기지국의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와 동일하다. 코드북 세트 내의 코드북은
Figure pct00001
비트를 사용하여 인코딩될 수 있으며, 여기서 K는 존재하는 단말기의 수량이고, K는 1 이상의 정수이다.
단계 3032: 단말기가, 제1 코드북 및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제1 코드북에 대응하는 제1 파일럿 시퀀스를 취득한다.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사이의 매핑 관계는 직접적으로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사이의 매핑 관계일 수 있거나, 또는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 사이의 매핑 관계일 수 있으며, 각각의 코드북은 하나의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에 대응하고, 각각의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는 하나 이상의 파일럿 시퀀스를 포함하며, 임의의 두 개의 코드북에 대응하는 두 개의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에는 동일한 파일럿 시퀀스가 존재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단말기의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는 하나 이상의 코드북을 포함하며, 각각의 코드북은 하나의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에 대응하고, 각각의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는 하나 이상의 파일럿 시퀀스를 포함하고, 임의의 두 개의 코드북에 대응하는 두 개의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에는 동일한 파일럿 시퀀스가 존재하지 않으며, 두 개의 상이한 파일럿 시퀀스는 서로 직교한다. 단말기는, 제1 코드북과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제1 코드북에 대응하는 제1 파일럿 시퀀스를 취득한다.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 내의 파일럿 시퀀스는
Figure pct00002
비트를 사용하여 인코딩될 수 있으며, 여기서 M은 코드북 세트 내의 각 코드북에 대응하는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 내의 파일럿 시퀀스의 수량이고, M은 1 이상의 정수이다.
단계 3033: 단말기가 제1 코드북에 따라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를 데이터 변조 심볼에 매핑한다.
단말기는 단말기에 의해 기지국에 전송될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를, 무작위로 선택되는 제1 코드북을 사용하여 변조 기술에 따라 데이터 변조 심볼에 매핑하며, 변조 기술은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직교 진폭 변조) 등일 수 있고, 데이터 변조 심볼은 기저대역 신호(baseband signal)의 진폭 및 위상에 대응하며, 기저대역 신호는 단말기에 의해 전송되는, 변조되지 않은 원래의 전기 신호이다, 즉, 원래의 전기 신호는 스펙트럼 시프팅(spectrum shifting) 및 변환 등의 변조가 수행되지 않은, 송신될 신호를 직접 표현하는 신호이다. 예를 들어, 이야기하는 중에 생성된 음파가 기저대역 신호이다.
제1 코드북은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희소 코드 다중 액세스) 코드북이고, SCMA는 하이브리드 다중 액세스 모드이며, 단말기에 의해 기지국에 전송될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는 SCMA 코드북을 사용하여 데이터 변조 심볼에 매핑되는 것으로 가정된다. 즉, QAM 변조 기술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기술의 조합에 따라, 복수의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가 동일한 시간-주파수 자원 블록을 사용하며, 각각의 시간-주파수 자원 블록은 수 개의 자원 요소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먼저, 이용 가능한 시간-주파수 자원 블록이 수 개의 직교 시간-주파수 자원 블록으로 분할되며, 각각의 시간-주파수 자원 블록은 L개의 자원 요소를 포함한다. K개의 단말기가 있고, K개의 단말기가 기지국에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는 각각 S비트의 크기를 갖는 데이터 블록으로 분할되고, 각각의 데이터 블록은 SCMA 코드북
Figure pct00003
을 검색하여 데이터 변조 심볼의 그룹
Figure pct00004
에 매핑되며, 각각의 데이터 변조 심볼은 시간-주파수 자원 블록 내의 하나의 자원 요소에 대응한다. K는 1 이상의 정수이고, L은 1 이상의 정수이고, X는 1 이상의 정수이다.
유의해야 할 것은, 상이한 SCMA 코드북은 심볼 0DML 상이한 위치에 따라 서로 구별된다는 것이다. S비트의 크기를 갖는 데이터 블록에 대해, 각각의 SCMA 코드북은
Figure pct00005
개의 가능한 데이터 블록에 대응하는
Figure pct00006
개의 상이한 변조 심볼 그룹을 포함한다. 각각의 변조 심볼 그룹은 일부 심볼이 0이고, 동일한 SCMA 코드북의 상이한 변조 심볼 그룹 내의 심볼 0에서의 자원 요소 위치는 동일하다. 또, SCMA 코드북은 희소성 조건(sparsity condition)을 충족한다, 즉, 변조 심볼 그룹 내의 심볼 0에 의해 점유되는 자원 요소의 수량이 자원 요소의 총 수량의 절반 이상이다.
예를 들어, 단말기의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가 각각 2비트 크기의 데이터 블록으로 분할되면, 변조 심볼 그룹의 길이는 4이고, 데이터 블록의 그룹은 QAM 변조를 사용하여 하나의 데이터 변조 심볼에 매핑된다. 예를 들어, 2비트 데이터가 4QAM을 사용하여 네 개의 성좌점(constellation point)을 갖는 하나의 데이터 변조 심볼에 매핑되며, 00은 1+i에 매핑되고, 01은 1-i에 매핑되고, 10은 -1+i에 매핑되고, 11은 -1-i에 매핑된다. 또한, 하나의 데이터 변조 심볼이 CDMA 기술에 따라 복수의 데이터 변조 심볼로 확장된다. 예를 들어, 변조 심볼 1+i은 확산 코드(spreading code) 1001, 즉, 1+i, -1-i, -1-i, 및 1+i을 사용하여 네 개의 변조 심볼로 확장된다. 유의해야 할 것은, SCMA 코드북은 변조 심볼 그룹에 대응하고, 데이터 블록을 복수의 데이터 변조 심볼에 매핑한다는 것이다. 또, SCMA 코드북은 동일한 데이터 변조 심볼의 단순한 확장이 아니라, 미리 정해진 심볼의 그룹이고, SCMA 코드북의 일부 심볼의 위치는 0이다. 상이한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는 상이한 코드북을 사용하여 동일한 데이터 블록을 상이한 변조 심볼 그룹에 매핑한다.
단계 3034: 단말기가 데이터 변조 심볼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신호를 생성한다.
단말기는 무작위로 선택되는 제1 코드북을 사용하여 변조 기술에 따라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를 데이터 변조 심볼에 매핑하며, 데이터 변조 심볼은 기저대역 신호의 진폭 및 위상에 대응한다. 기저대역 신호의 주파수가 비교적 낮기 때문에, 단말기가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를 취득한 후, 단말기가 기지국에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의, 변조되지 않은 신호가 본 발명에서 기저대역 신호이다. 그 후, 무선 주파수 전송에 사용되는 업링크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기저대역 신호는 캐리어 신호를 승산하여 고주파 신호로 변환된다. 캐리어는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변죄되는 파형을 가리키며, 일반적으로 사인파이이다. 캐리어 신호는 공통 신호(common signal)를 특정 주파수를 갖는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는 데 사용된다. 공통 신호가 로드(load)되지 않는 경우, 고주파 신호의 진폭은 고정되어 있고, 공통 신호가 로드된 후, 고주파 신호의 진폭은 공통 신호에 따라 변화한다, 즉, 진폭이 변조된다. 고주파 신호의 위상, 주파수, 등도 또한 변조될 수 있다. 공통 신호는 음성 신호, 이미지 신호, 등이다.
단계 3035: 단말기가 제1 파일럿 시퀀스에 따라 파일럿 신호를 생성한다.
단말기는, 제1 코드북에 대응하는, 단계 3032에서 취득되는 제1 파일럿 시퀀스에 따라, 제1 파일럿 시퀀스에 대응하는 파일럿 신호를 생성한다.
단계 3036: 단말기가 기지국에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파일럿 신호를 전송한다.
단말기는 제1 코드북 및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고, 제1 파일럿 시퀀스에 대응하는 파일럿 신호를 생성하고, 기지국이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파일럿 신호에 따라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도록, 제1 액세스 자원 블록의 위치에서, 기지국에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파일럿 신호를 전송한다.
기지국은, 단말기에 의해 전송되는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파일럿 신호를 수신한 후, 채널 추정 및 디코딩을 수행하여 단말기의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신호 추정 및 디코딩의 구체적인 프로세스에 대해, 자세한 것은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단말기가,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의 양이 미리 설정된 데이터량 임계치 이상인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단말기의 업링크 액세스 모드는 기존의 모드와 일치하고, 차이점은, 단말기가 먼저 기지국에 업링크 자원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기지국이, 업링크 자원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기지국의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에서 제2 코드북을 취득하고, 제2 코드북 및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제2 코드북에 대응하는 제2 파일럿 시퀀스를 취득하고, 단말기가, 제2 코드북의 시퀀스 번호에 따라, 단말기의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로부터 제2 코드북을 취득하고, 제2 파일럿 시퀀스의 시퀀스 번호에 따라 제2 코드북에 대응하는 제2 파일럿 시퀀스를 취득할 수 있도록, 단말기에 제2 코드북의 시퀀스 번호 및 제2 파일럿 시퀀스의 시퀀스 번호를 전송하며; 최종적으로, 제2 코드북 및 제2 파일럿 시퀀스에 따라, 단말기가 제2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제2 파일럿 신호를 생성하여, 기지국에 제2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제2 파일럿 신호를 전송한다. 기지국의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는 단말기의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와 동일하며, 기지국에 미리 설정된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는 단말기에 미리 설정된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와 동일하다.
유의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업링크 액세스 방법의 단계들의 순서는 적절히 조정될 수 있고, 상황에 따라가 단계가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단계 3034와 단계 3035 사이의 순서는 시퀀스는 서로 바뀔 수도 있다, 즉, 파일럿 신호가 먼저 생성된 다음 업링크 데이터 신호가 생성될 수 있거나, 또는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의 양이 미리 설정된 데이터량 임계치 이상일 때, 제2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제2 파일럿 신호를 기지국에 전송하기 전에, 단말기는 먼저 제2 파일럿 신호를 생성한 다음 제2 업링크 데이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개시된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쉽게 생각해 낼 수 있는 임의의 변형 방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며, 자세한 것은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업링크 액세스 방법에 따르면, 단말기가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를 취득한 후에, 단말기가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의 양이 미리 설정된 데이터량 임계치 미만인 것으로 결정한 경우에, 단말기는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로부터 제1 코드북을 취득하고, 제1 코드북 및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제1 코드북에 대응하는 제1 파일럿 시퀀스를 취득하고, 제1 코드북 및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고, 제1 파일럿 시퀀스에 대응하는 파일럿 신호를 생성하고, 기지국에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파일럿 신호를 전송하며; 그 후, 단말기에 의해 전송되는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파일럿 신호를 수신한 후, 기지국은 채널 추정 및 디코딩을 수행하여 단말기의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종래기술과 비교하면, 단말기는 단말기의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로부터 제1 코드북을 직접 취득하고, 제1 코드북 및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제1 코드북에 대응하는 제1 파일럿 시퀀스를 취득하고,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파일럿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기지국에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파일럿 신호를 전송하기 전에, 단말기는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파일럿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기지국과 상호작용할 필요가 없으며, 이로써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의 정보 교환 프로세스를 줄이고, 특히,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의 양이 비교적 적을 때, 단말기가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파일럿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기지국과 상호작용해야 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자원 낭비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기(70)를 제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70)는 제1 취득 유닛(701), 제2 취득 유닛(702), 제3 취득 유닛(703), 제1 생성 유닛(704), 제2 생성 유닛(705), 및 제1 전송 유닛(706)을 포함한다.
제1 취득 유닛(701)은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구성된다.
업링크 서비스는 음성 서비스 또는 데이터 서비스일 수 있으며, 그러면 단말기는 업링크 음성 서비스 데이터 또는 업링크 데이터 서비스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유의해야 할 것은,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를 취득하기 전에, 기지국이 업링크 클록 정보에 따라 업링크 클록 조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단말기는 먼저 랜덤 액세스 정보를 기지국에 전송하고, 랜덤 액세스 정보는 단말기의 업링크 클록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후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업링크 클록 조정 정보를 수신하고, 업링크 클록 조정 정보에 따라 단말기의 클록 정보를 조정한다는 것이다.
제2 취득 유닛(702)은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로부터 제1 코드북을 취득하도록 구성된다.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의 양이 미리 설정된 데이터량 임계치 미만인 것으로 결정한 경우, 단말기는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로부터 제1 코드북을 취득한다. 유의해야 할 것은, 제1 코드북은 단말기에 의해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에서 무작위로 선택되는 코드북일 수 있고; 또, 단말기의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는 기지국의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와 동일하다는 것이다.
제3 취득 유닛(703)은, 제1 코드북 및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제1 코드북에 대응하는 제1 파일럿 시퀀스를 취득하도록 구성된다.
제1 생성 유닛(704)은 제1 코드북 및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단말기는 제1 코드북에 따라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를 데이터 변조 심볼에 매핑하고, 데이터 변조 심볼을 캐리어 신호와 승산하여 업링크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고, 그 업링크 데이터 신호를 무선 주파수 전송에 사용되는 고주파 신호로 변환한다.
제2 생성 유닛(705)은 제1 파일럿 시퀀스에 대응하는 파일럿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제1 파일럿 시퀀스는 파일럿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변조된다. 변조(modulation)는, 신호원으로부터의 정보가 채널 송신에 적합한 형태의 정보로 변경될 수 있도록, 신호원으로부터의 정보가 처리되어 캐리어에 부가되는 프로세스이다. 즉, 변조는 캐리어가 신호에 따라 변화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파일럿 신호는, 측정이나 모니터링을 목적으로, 통신 네트워크에서 전송되는 신호이다.
제1 전송 유닛(706)은 기지국에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파일럿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단말기는 단말기의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로부터 제1 코드북을 직접 취득하고, 제1 코드북 및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사이의 매핑관계 따라, 제1 코드북에 대응하는 제1 파일럿 시퀀스를 취득하여,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파일럿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기지국에 업링크 데이터 신호와 파일럿 신호를 전송하기 전에, 단말기는 업링크 데이터 신호와 파일럿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기지국과 상호작용할 필요가 없으며, 이로써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의 정보 교환 프로세스를 줄이고, 특히,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의 양이 비교적 적을 때, 단말기가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파일럿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기지국과 상호작용해야 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자원 낭비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제2 취득 유닛(702)은 구체적으로,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의 양이 미리 설정된 데이터량 임계치 미만인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에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로부터 제1 코드북을 취득하도록 구성된다.
제1 생성 유닛(704)은 구체적으로,
제1 코드북에 따라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를 데이터 변조 심볼에 매핑하고;
데이터 변조 심볼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사이의 매핑 관계는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 사이의 매핑 관계이고,
각각의 코드북은 하나의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에 대응하고, 각각의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는 하나 이상의 파일럿 시퀀스를 포함하고, 임의의 두 개의 코드북에 대응하는 두 개의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에는 동일한 파일럿 시퀀스가 존재하지 않는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70)는,
기지국에 랜덤 액세스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제2 전송 유닛(707) - 기지국이 업링크 클록 정보에 따라 업링크 클록 조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랜덤 액세스 정보는 단말기의 업링크 클록 정보를 포함함 -;
기지국에서 전송되는 업링크 클록 조정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708); 및
업링크 클록 조정 정보에 따라 단말기의 클록 정보를 조정하도록 구성된 조정 유닛(709)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지국(80)을 제공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기지국(80)은,
단말기에 의해 전송되는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수신 유닛(801)을 포함하고,
파일럿 신호는 단말기에 의해 제1 파일럿 시퀀스에 따라 생성되고, 제1 파일럿 시퀀스는, 단말기에 의해,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로부터 취득되는 제1 코드북 및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의 매핑 관계에 따라, 취득되는 제1 코드북에 대응하는 파일럿 시퀀스이고; 업링크 데이터 신호는 단말기에 의해 취득되는 제1 코드북 및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에 따라 단말기에 의해 생성된다.
이와 같이, 기지국은, 단말기에 의해 전송되는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며, 업링크 데이터 신호는 단말기에 의해 취득되는 제1 코드북 및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에 따라 단말기에 의해 생성되고, 파일럿 신호는 단말기에 의해 제1 코드북에 대응하는 제1 파일럿 시퀀스에 따라 생성된다. 종래기술과 비교하면, 단말기에 의해 전송되는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파일럿 신호가 수신되기 전에, 단말기는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파일럿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기지국과 상호작용할 필요가 없으며, 이로써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의 정보 교환 프로세스를 줄이고, 특히,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의 양이 비교적 적을 때, 단말기가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파일럿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기지국과 상호작용해야 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자원 낭비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단말기에 의해,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로부터 취득되는 제1 코드북은,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의 양이 미리 설정된 데이터량 임계치 미만인 경우에 미리 설정된 코드북으로부터 취득된다.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사이의 매핑 관계는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 사이의 매핑 관계이고,
각각의 코드북은 하나의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에 대응하고, 각각의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는 하나 이상의 파일럿 시퀀스를 포함하고, 임의의 두 개의 코드북에 대응하는 두 개의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에는 동일한 파일럿 시퀀스가 존재하지 않는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80)은
단말기에 의해 전송되는 랜덤 액세스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수신 유닛(802) - 랜덤 액세스 정보는 단말기의 업링크 클록 정보를 포함함 -;
업링크 클록 정보에 따라 업링크 클록 조정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 유닛(803); 및
단말기가 업링크 클록 조정 정보에 따라 단말기의 클록 정보를 조정할 수 있도록, 단말기에 업링크 클록 조정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유닛(894)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업링크 액세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링크 액세스 시스템(90)은,
하나 이상의 단말기(901); 및
하나 이상의 기지국(902)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901)는,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를 취득하고;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로부터 제1 코드북을 취득하고; 제1 코드북 및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제1 코드북에 대응하는 제1 파일럿 시퀀스를 취득하고; 제1 코드북 및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고; 제1 파일럿 시퀀스에 대응하는 파일럿 신호를 생성하고; 기지국에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파일럿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기지국(902)은,
단말기에 의해 전송되는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파일럿 신호는 단말기에 의해 제1 파일럿 시퀀스에 따라 생성되고, 제1 파일럿 시퀀스는, 단말기에 의해,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로부터 취득되는 제1 코드북 및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의 매핑 관계에 따라 취득되는 제1 코드북에 대응하는 파일럿 시퀀스이고; 업링크 데이터 신호는 단말기에 의해 취득되는 제1 코드북 및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에 따라 단말기에 의해 생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기(100)를 제공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0)는 프로세서(1001) 및 송신기(1002)를 포함한다.
업링크 서비스는 음성 서비스 또는 데이터 서비스일 수 있으며, 그러면 단말기는 업링크 음성 서비스 데이터 또는 업링크 데이터 서비스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유의해야 할 것은,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를 취득하기 전에, 기지국이 업링크 클록 정보에 따라 업링크 클록 조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단말기는 먼저 랜덤 액세스 정보를 기지국에 전송하고, 랜덤 액세스 정보는 단말기의 업링크 클록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후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업링크 클록 조정 정보를 수신하여, 업링크 클록 조정 정보에 따라 단말기의 클록 정보를 조정한다는 것이다.
프로세서(1001)는 추가로,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로부터 제1 코드북을 취득하도록 구성된다.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의 양이 미리 설정된 데이터량 임계치 미만인 것으로 결정한 경우, 단말기는 단말기의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로부터 제1 코드북을 취득한다. 유의해야 할 것은, 제1 코드북은 단말기에 의해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에서 무작위로 선택되는 코드북일 수 있고; 또, 단말기의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는 기지국의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와 동일하다는 것이다.
프로세서(1001)는 추가로, 제1 코드북 및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제1 코드북에 대응하는 제1 파일럿 시퀀스를 취득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1001)는 추가로, 제1 코드북 및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단말기는 제1 코드북에 따라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를 데이터 변조 심볼에 매핑하고, 데이터 변조 심볼을 캐리어 신호와 승산하여 업링크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고, 그 업링크 데이터 신호를 무선 주파수 전송에 사용되는 고주파 신호로 변환한다.
프로세서(1001)는 추가로, 제1 파일럿 시퀀스에 대응하는 파일럿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제1 파일럿 시퀀스는 파일럿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변조된다. 변조(modulation)는, 신호원으로부터의 정보가 채널 송신에 적합한 형태의 정보로 변경될 수 있도록, 신호원으로부터의 정보가 처리되어 캐리어에 부가되는 프로세스이다. 즉, 변조는 캐리어가 신호에 따라 변화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파일럿 신호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측정 또는 모니터링을 목적으로, 전송되는 신호이다.
송신기(1002)는, 기지국에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파일럿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단말기는 단말기의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로부터 제1 코드북을 직접 취득하고, 제1 코드북 및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사이의 매핑관계 따라, 제1 코드북에 대응하는 제1 파일럿 시퀀스를 취득하고,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파일럿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기지국에 업링크 데이터 신호와 파일럿 신호를 전송하기 전에, 단말기는 업링크 데이터 신호와 파일럿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기지국과 상호작용할 필요가 없으며, 이로써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의 정보 교환 프로세스를 줄이고, 특히,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의 양이 비교적 적을 때, 단말기가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파일럿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기지국과 상호작용해야 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자원 낭비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프로세서(1001)는 구체적으로,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의 양이 미리 설정된 데이터량 임계치 미만인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에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로부터 제1 코드북을 취득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1001)는 구체적으로,
제1 코드북에 따라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를 데이터 변조 심볼에 매핑하고;
데이터 변조 심볼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사이의 매핑 관계는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 사이의 매핑 관계이고,
각각의 코드북은 하나의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에 대응하고, 각각의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는 하나 이상의 파일럿 시퀀스를 포함하고, 임의의 두 개의 코드북에 대응하는 두 개의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에는 동일한 파일럿 시퀀스가 존재하지 않는다.
송신기(1002)는 추가로, 기지국에 랜덤 액세스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랜덤 액세스 정보는, 기지국이 업링크 클록 정보에 따라 업링크 클록 조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단말기의 업링크 클록 정보를 포함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업링크 클록 조정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1003)를 더 포함한다.
프로세서(1001)는 추가로, 업링크 클록 조정 정보에 따라 단말기의 클록 정보를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지국(110)을 제공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110)은,
단말기에 의해 전송되는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1101)를 포함하고,
파일럿 신호는 단말기에 의해 제1 파일럿 시퀀스에 따라 생성되고, 제1 파일럿 시퀀스는, 단말기에 의해,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로부터 취득되는 제1 코드북 및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의 매핑 관계에 따라, 취득되는 제1 코드북에 대응하는 파일럿 시퀀스이고; 업링크 데이터 신호는 단말기에 의해 취득되는 제1 코드북 및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에 따라 단말기에 의해 생성된다.
단말기에 의해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로부터 취득되는 제1 코드북은,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의 양이 미리 설정된 데이터량 임계치 미만인 경우에 미리 설정된 코드북으로부터 취득된다.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사이의 매핑 관계는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 사이의 매핑 관계이고,
각각의 코드북은 하나의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에 대응하고, 각각의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는 하나 이상의 파일럿 시퀀스를 포함하고, 임의의 두 개의 코드북에 대응하는 두 개의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에는 동일한 파일럿 시퀀스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기지국은, 단말기에 의해 전송되는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며, 업링크 데이터 신호는 단말기에 의해 취득되는 제1 코드북 및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에 따라 단말기에 의해 생성되고, 파일럿 신호는 단말기에 의해 제1 코드북에 대응하는 제1 파일럿 시퀀스에 따라 생성된다. 종래기술과 비교하면, 단말기에 의해 전송되는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파일럿 신호가 수신되기 전에, 단말기는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파일럿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기지국과 상호작용할 필요가 없으며, 이로써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의 정보 교환 프로세스를 줄이고, 특히,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의 양이 비교적 적을 때, 단말기가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파일럿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기지국과 상호작용해야 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자원 낭비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수신기(1101)는 추가로, 단말기에 의해 전송되는 랜덤 액세스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랜덤 액세스 정보는 단말기의 업링크 클록 정보를 포함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1101)은,
업링크 클록 정보에 따라 업링크 클록 조정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1102); 및
단말기가 업링크 클록 조정 정보에 따라 단말기의 클록 정보를 조정할 수 있도록, 단말기에 업링크 클록 조정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송신기(1103)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업링크 액세스 시스템(120)을 더 포함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링크 액세스 시스템(1201)은,
하나 이상의 단말기(1201); 및
하나 이상의 기지국(1202)을 포함하며,
단말기(1201)는,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를 취득하고;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로부터 제1 코드북을 취득하고; 제1 코드북 및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제1 코드북에 대응하는 제1 파일럿 시퀀스를 취득하고; 제1 코드북 및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고; 제1 파일럿 시퀀스에 대응하는 파일럿 신호를 생성하고; 기지국에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파일럿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기지국(1202)은,
단말기에 의해 전송되는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도록 ㄱ구성되고,
파일럿 신호는 단말기에 의해 제1 파일럿 시퀀스에 따라 생성되고, 제1 파일럿 시퀀스는, 단말기에 의해,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로부터 취득되는 제1 코드북 및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의 매핑 관계에 따라, 취득되는 제1 코드북에 대응하는 파일럿 시퀀스이고; 업링크 데이터 신호는 단말기에 의해 취득되는 제1 코드북 및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에 따라 단말기에 의해 생성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업링크 액세스 시스템은 단말기와 기지국에 적용된다. 단말기는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를 취득한 후에, 단말기는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의 양이 미리 설정된 데이터량 임계치 미만인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단말기는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로부터 제1 코드북을 취득하고, 제1 코드북 및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제1 코드북에 대응하는 제1 파일럿 시퀀스를 취득하고, 제1 코드북 및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고, 제1 파일럿 시퀀스에 대응하는 파일럿 신호를 생성하고, 기지국에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파일럿 신호를 전송하며, 그러면 기지국은 단말기에 의해 전송되는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파일럿 신호를 수신한다. 종래기술과 비교하면, 단말기는 단말기의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로부터 제1 코드북을 직접 취득하고, 제1 코드북 및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제1 코드북에 대응하는 제1 파일럿 시퀀스를 취득하여,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파일럿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기지국에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파일럿 신호를 전송하기 전에, 단말기는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파일럿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기지국과 상호작용할 필요가 없으며, 이로써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의 정보 교환 프로세스를 줄이고, 특히,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의 양이 비교적 적을 때, 단말기가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파일럿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기지국과 상호작용해야 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자원 낭비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당업자는, 편의성과 간략한 설명을 위해, 전술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상세한 작동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의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참조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것은 본 명세서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것을 명백히 알 수 ㅇD을 것이다.
본 출원에 제공된 여러 실시예에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기재된 장치 실시예는 예시일 뿐이다. 예를 들어, 유닛 분할은 논리 기능 분할일 뿐이고, 실제 구현에서는 다른 분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는 구성요소는 다른 시스템에 결합 또는 통합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특징(feature)은 무시되거나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 표시되거나 논의된 상호 결합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일정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장치 또는 유닛 간의 간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전자적으로, 기계적으로, 또는 기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별개의 부분(separate part)으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할 수도 분리할 수 없을 수도 있으며, 유닛으로 표시된 부분은 물리적인 유닛일 수도 물리적인 유닛이 아닐 수도 있으며, 한 장소에 위치할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산될 수 있다. 유닛들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실시예의 방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제 필요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으로 통합될 수 있거나, 또는 각각의 유닛이 물리적으로 단독으로 존재할 수 있거나, 둘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으로 통합되어 있다. 통합 유닛은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거나,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에 더해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방법 실시예의 단계들 중 일부 또는 전부가 관련 하드웨어에 명령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방법 실시예의 단계들이 수행된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ROM,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의,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 방식일 뿐이고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개시된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쉽게 알아낼 수 있는 변형 또는 대체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의 보호 범위를 따라야 한다.

Claims (29)

  1.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로부터 제1 코드북을 취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코드북 및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제1 코드북에 대응하는 제1 파일럿 시퀀스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코드북 및 상기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파일럿 시퀀스에 대응하는 파일럿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기지국에 상기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상기 파일럿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업링크 액세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로부터 제1 코드북을 취득하는 단계는,
    상기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의 양이 미리 설정된 데이터량 임계치 미만인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에 상기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로부터 상기 제1 코드북을 취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업링크 액세스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드북 및 상기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코드북에 따라 상기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를 데이터 변조 심볼에 매핑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변조 심볼에 따라 상기 업링크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업링크 액세스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사이의 매핑 관계는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 사이의 매핑 관계이고,
    각각의 코드북은 하나의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에 대응하고, 각각의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는 하나 이상의 파일럿 시퀀스를 포함하고, 임의의 두 개의 코드북에 대응하는 두 개의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에는 동일한 파일럿 시퀀스가 존재하지 않는, 업링크 액세스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 전에,
    상기 기지국에 랜덤 액세스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랜덤 액세스 정보는, 상기 기지국이 업링크 클록 정보에 따라 업링크 클록 조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의 업링크 클록 정보를 포함함 -;
    상기 기지국에서 전송되는 상기 업링크 클록 조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업링크 클록 조정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클록 정보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업링크 액세스 방법.
  6. 단말기에 의해 전송되는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파일럿 신호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제1 파일럿 시퀀스에 따라 생성되고, 상기 제1 파일럿 시퀀스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로부터 취득되는 제1 코드북 및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의 매핑 관계에 따라 취득되는 상기 제1 코드북에 대응하는 파일럿 시퀀스이고; 상기 업링크 데이터 신호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취득되는 상기 제1 코드북 및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 의해 생성되는, 업링크 액세스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의해 상기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로부터 취득되는 상기 제1 코드북은, 상기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의 양이 미리 설정된 데이터량 임계치 미만인 경우에 상기 미리 설정된 코드북으로부터 취득되는, 업링크 액세스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사이의 매핑 관계는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 사이의 매핑 관계이고,
    각각의 코드북은 하나의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에 대응하고, 각각의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는 하나 이상의 파일럿 시퀀스를 포함하고, 임의의 두 개의 코드북에 대응하는 두 개의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에는 동일한 파일럿 시퀀스가 존재하지 않는, 업링크 액세스 방법.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의해 전송되는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단말기에 의해 전송되는 랜덤 액세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랜덤 액세스 정보는 상기 단말기의 업링크 클록 정보를 포함함 -;
    상기 업링크 클록 정보에 따라 업링크 클록 조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업링크 클록 조정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클록 정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에 상기 업링크 클록 조정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업링크 액세스 방법.
  10.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제1 취득 유닛;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로부터 제1 코드북을 취득하도록 구성된 제2 취득 유닛;
    상기 제1 코드북 및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제1 코드북에 대응하는 제1 파일럿 시퀀스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제3 취득 유닛;
    상기 제1 코드북 및 상기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1 생성 유닛;
    상기 제1 파일럿 시퀀스에 대응하는 파일럿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2 생성 유닛; 및
    기지국에 상기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상기 파일럿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제1 전송 유닛
    을 포함하는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취득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의 양이 미리 설정된 데이터량 임계치 미만인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에 상기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로부터 상기 제1 코드북을 취득하도록 구성되는, 단말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생성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코드북에 따라 상기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를 데이터 변조 심볼에 매핑하고;
    상기 데이터 변조 심볼에 따라 상기 업링크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단말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사이의 매핑 관계는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 사이의 매핑 관계이고,
    각각의 코드북은 하나의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에 대응하고, 각각의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는 하나 이상의 파일럿 시퀀스를 포함하고, 임의의 두 개의 코드북에 대응하는 두 개의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에는 동일한 파일럿 시퀀스는 존재하지 않는, 단말기.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 랜덤 액세스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제2 전송 유닛 - 상기 랜덤 액세스 정보는, 상기 기지국이 업링크 클록 정보에 따라 업링크 클록 조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의 업링크 클록 정보를 포함함 -;
    상기 기지국에서 전송되는 상기 업링크 클록 조정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및
    상기 업링크 클록 조정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클록 정보를 조정하도록 구성된 조정 유닛을 더 포함하는 단말기.
  15. 단말기에 의해 전송되는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수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파일럿 신호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제1 파일럿 시퀀스에 따라 생성되고, 상기 제1 파일럿 시퀀스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로부터 취득되는 제1 코드북 및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의 매핑 관계에 따라 취득되는 상기 제1 코드북에 대응하는 파일럿 시퀀스이고; 상기 업링크 데이터 신호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취득되는 상기 제1 코드북 및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 의해 생성되는, 기지국.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의해 상기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로부터 취득되는 상기 제1 코드북은, 상기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의 양이 미리 설정된 데이터량 임계치 미만인 경우에 상기 미리 설정된 코드북으로부터 취득되는, 기지국.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사이의 매핑 관계는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 사이의 매핑 관계이고,
    각각의 코드북은 하나의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에 대응하고, 각각의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는 하나 이상의 파일럿 시퀀스를 포함하고, 임의의 두 개의 코드북에 대응하는 두 개의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에는 동일한 파일럿 시퀀스가 존재하지 않는, 기지국.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의해 전송되는 랜덤 액세스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수신 유닛 - 상기 랜덤 액세스 정보는 상기 단말기의 업링크 클록 정보를 포함함 -;
    상기 업링크 클록 정보에 따라 업링크 클록 조정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 유닛;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업링크 클록 조정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클록 정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에 상기 업링크 클록 조정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유닛을 더 포함하는 기지국.
  19.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나 이상의 단말기 및 제1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나 이상의 기지국을 포함하는 업링크 액세스 시스템.
  20.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및 송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추가로,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로부터 제1 코드북을 취득하고;
    상기 제1 코드북 및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제1 코드북에 대응하는 제1 파일럿 시퀀스를 취득하고;
    상기 제1 코드북 및 상기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파일럿 시퀀스에 대응하는 파일럿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송신기는, 기지국에 상기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상기 파일럿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단말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상기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의 양이 미리 설정된 데이터량 임계치 미만인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에 상기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로부터 상기 제1 코드북을 취득하도록 구성되는, 단말기.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코드북에 따라 상기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를 데이터 변조 심볼에 매핑하고;
    상기 데이터 변조 심볼에 따라 상기 업링크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단말기.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사이의 매핑 관계는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 사이의 매핑 관계이고,
    각각의 코드북은 하나의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에 대응하고, 각각의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는 하나 이상의 파일럿 시퀀스를 포함하고, 임의의 두 개의 코드북에 대응하는 두 개의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에는 동일한 파일럿 시퀀스는 존재하지 않는, 단말기.
  24. 제20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추가로, 상기 기지국에 랜덤 액세스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랜덤 액세스 정보는, 상기 기지국이 업링크 클록 정보에 따라 업링크 클록 조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의 업링크 클록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기는 상기 기지국에서 전송되는 상기 업링크 클록 조정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추가로, 상기 업링크 클록 조정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클록 정보를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단말기.
  25. 단말기에 의해 전송되는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파일럿 신호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제1 파일럿 시퀀스에 따라 생성되고, 상기 제1 파일럿 시퀀스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로부터 취득되는 제1 코드북 및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의 매핑 관계에 따라 취득되는 상기 제1 코드북에 대응하는 파일럿 시퀀스이고; 상기 업링크 데이터 신호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취득되는 상기 제1 코드북 및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 의해 생성되는, 기지국.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의해 상기 미리 설정된 코드북 세트로부터 취득되는 상기 제1 코드북은, 상기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의 양이 미리 설정된 데이터량 임계치 미만인 경우에 상기 미리 설정된 코드북으로부터 취득되는, 기지국.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사이의 매핑 관계는 코드북과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 사이의 매핑 관계이고,
    각각의 코드북은 하나의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에 대응하고, 각각의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는 하나 이상의 파일럿 시퀀스를 포함하고, 임의의 두 개의 코드북에 대응하는 두 개의 파일럿 시퀀스 서브세트에는 동일한 파일럿 시퀀스가 존재하지 않는, 기지국.
  28. 제25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추가로, 상기 단말기에 의해 전송되는 랜덤 액세스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랜덤 액세스 정보는 상기 단말기의 업링크 클록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업링크 클록 정보에 따라 업링크 클록 조정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업링크 클록 조정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클록 정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에 상기 업링크 클록 조정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송신기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
  29. 제20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나 이상의 단말기 및 제25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나 이상의 기지국을 포함하는 업링크 액세스 시스템.
KR1020167023427A 2014-01-29 2014-01-29 업링크 액세스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18814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4/071773 WO2015113258A1 (zh) 2014-01-29 2014-01-29 一种上行接入方法、装置及系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4132A true KR20160114132A (ko) 2016-10-04
KR101881426B1 KR101881426B1 (ko) 2018-07-24

Family

ID=53756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3427A KR101881426B1 (ko) 2014-01-29 2014-01-29 업링크 액세스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735228B2 (ko)
EP (1) EP3086485B1 (ko)
JP (1) JP6356819B2 (ko)
KR (1) KR101881426B1 (ko)
CN (2) CN110429962B (ko)
BR (1) BR112016017356B1 (ko)
CA (1) CA2942582C (ko)
RU (1) RU2637789C1 (ko)
WO (1) WO20151132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90717B1 (en) 2014-09-30 2019-01-09 Huawei Technologies Co., Ltd. Data communication method and related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EP3328149B1 (en) 2015-08-28 2019-11-27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uplink transmission in random access process
US10470171B2 (en) * 2016-04-01 2019-11-05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artitioning resources for joint decoding in the downlink
CN107645370B (zh) * 2016-07-20 2020-12-08 华为技术有限公司 资源映射方法和装置
WO2018027912A1 (en) * 2016-08-12 2018-02-15 Lenovo Innovations Limited (Hong Kong) Sparse code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CN108347774B (zh) * 2017-01-24 2021-10-15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的传输方法和装置
CN106998308B (zh) * 2017-03-09 2020-02-18 清华大学 一种基于时变码本的稀疏码多址接入中的跳码传输方法
KR102206068B1 (ko) * 2017-03-24 2021-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9474395B (zh) * 2017-09-07 2020-10-16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终端、网络设备和通信系统
CN108964864B (zh) * 2018-08-21 2020-11-13 电子科技大学 一种scma多址系统中的非正交导频与信号传输方法
CN110677182B (zh) * 2019-10-15 2021-06-01 哈尔滨工业大学 基于上行链路分层空时结构scma码本的通信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41824A1 (en) * 2008-06-30 2010-01-06 Alcatel Lucent Method of assigning precoding vectors in a mobile cellular network
KR20100081898A (ko) * 2009-01-07 2010-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코드북을 이용한 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
US20110085453A1 (en) * 2009-10-13 2011-04-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nd transmitting pilots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41638B2 (ja) 1997-12-18 2003-09-02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チャネル推定値を求める装置および方法
US6967936B1 (en) * 2000-02-11 2005-11-22 Lucent Technologies Inc. Uplink timing synchronization and access control for a multi-acces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70110140A1 (en) 2005-11-14 2007-05-17 Ipwireless, Inc. Automatic selection of coherent and noncoherent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S2540931T3 (es) 2006-01-18 2015-07-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ransmisión localizada y distribuida
CN101087170B (zh) * 2006-06-08 2012-04-18 上海原动力通信科技有限公司 时分双工模式下的上行通信方法和系统
KR20080035424A (ko) * 2006-10-19 2008-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전송 방법
FI20065689A0 (fi) 2006-10-31 2006-10-31 Nokia Corp Datasekvenssirakenne ja tiedonsiirtomenetelmä
US8194781B2 (en) 2006-12-29 2012-06-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channel message in a MIMO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7720164B2 (en) * 2007-02-26 2010-05-1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Transmission scheme for uplink access in a FDMA system
US20090111445A1 (en) * 2007-10-29 2009-04-30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plink transmission timing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9130612B2 (en) * 2008-01-07 2015-09-08 Qualcomm Incorporated Unified uplink control signal formats
US8537790B2 (en) * 2008-03-10 2013-09-17 Motorola Mobility Llc Hierarchical pilot struct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094616B2 (en) * 2008-05-02 2012-01-10 Intel Corporation OFDMA contention-based random access channel design for mobile wireless systems
CN101621848B (zh) * 2008-06-30 2012-05-23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信号传输方法、基站及通信系统
JP5221285B2 (ja) * 2008-11-05 2013-06-26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及び方法
US8351544B2 (en) * 2008-12-15 2013-01-08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debook-based feedback in a closed loop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638732B2 (en) 2009-01-07 2014-0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cating resources using codebook in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0102435A1 (en) 2009-03-09 2010-09-16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of a multiple-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8649456B2 (en) * 2009-03-12 2014-02-11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channel information feedback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KR101283904B1 (ko) * 2009-04-16 2013-07-16 알까뗄 루슨트 다중 기지국들 mimo 시스템에서 오브젝트 단말을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1931447A (zh) 2009-06-22 2010-12-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上行数据发送方法及装置
WO2010151092A2 (ko) 2009-06-26 2010-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mimo 전송에서 참조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EP2449694B1 (en) * 2009-06-29 2016-11-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for adapting a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CA2773954C (en) * 2009-07-03 2016-06-07 Nortel Networks Limited Uplink control signal design for wireless system
CN101990293B (zh) 2009-08-07 2013-03-13 华为技术有限公司 预编码处理方法、码本集合以及基站
EP2481248A4 (en) * 2009-09-21 2017-07-05 Apple Inc. Signaling and channel estimation for uplink transmit diversity
US8331488B2 (en) * 2009-10-13 2012-12-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using non-coherent and coherent modulation
US8995356B2 (en) * 2009-10-14 2015-03-31 Qualcomm Incorporated Coding methods and apparatus for broadcast channels
WO2011087275A2 (ko) * 2010-01-12 2011-07-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지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코드북 구성 및 하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NZ601291A (en) * 2010-01-18 2014-10-31 Ericsson Telefon Ab L M Radio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and methods therein
KR101782647B1 (ko) * 2010-01-28 2017-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정보 인코딩 방법 및 장치
WO2012027819A1 (en) * 2010-09-02 2012-03-08 Nortel Networks Limited Generation and application of a sub-codebook of an error control coding codebook
CN102468947A (zh) * 2010-11-05 2012-05-23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信道质量信息的反馈方法和设备
CN102546080B (zh) * 2010-12-21 2014-06-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下行基带信号生成方法及相关设备、系统
US8553792B2 (en) * 2011-01-14 2013-10-08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Non-coherent space-time trellis-coded modulations for network-coded wireless relay communications
CN102882657B (zh) 2011-07-15 2018-01-23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上行链路秩自适应的方法、设备和系统
CN103378889A (zh) 2012-04-24 2013-10-30 株式会社Ntt都科摩 码本生成方法、码本生成装置以及初始码本生成方法
EP2847916A1 (en) 2012-05-11 2015-03-18 Optis Wireless Technology, LLC Reference signal design for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s
JP5510576B2 (ja) * 2013-03-07 2014-06-04 富士通株式会社 パイロット制御方法
US10028302B2 (en) 2013-03-08 2018-07-17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uplink grant-free transmission sche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41824A1 (en) * 2008-06-30 2010-01-06 Alcatel Lucent Method of assigning precoding vectors in a mobile cellular network
KR20100081898A (ko) * 2009-01-07 2010-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코드북을 이용한 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
US20110085453A1 (en) * 2009-10-13 2011-04-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nd transmitting pilo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429962B (zh) 2021-12-14
BR112016017356B1 (pt) 2023-02-07
RU2637789C1 (ru) 2017-12-07
EP3086485A1 (en) 2016-10-26
US10735228B2 (en) 2020-08-04
JP2017510158A (ja) 2017-04-06
BR112016017356A2 (ko) 2017-08-08
EP3086485A4 (en) 2016-12-21
EP3086485B1 (en) 2020-09-23
US20160337149A1 (en) 2016-11-17
CN110429962A (zh) 2019-11-08
CN106063151B (zh) 2019-07-12
KR101881426B1 (ko) 2018-07-24
CA2942582A1 (en) 2015-08-06
CA2942582C (en) 2021-01-26
CN106063151A (zh) 2016-10-26
JP6356819B2 (ja) 2018-07-11
WO2015113258A1 (zh) 2015-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1426B1 (ko) 업링크 액세스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09644016B (zh) 基于跳频的定位测量
US9967075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KR101827754B1 (ko) 유연한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 물리 전송 데이터 프레임 프리앰블의 동적 구성 방법
JP6931060B2 (ja) 情報送信方法、情報受信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JP2013524598A (ja) マルチキャリア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アップリンク送信のタイミング
JP2017519402A (ja) 同期信号送受信方法、同期信号送受信装置、および同期信号送受信デバイス
US10484209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CN107888531B (zh) 一种参考信号传输方法和装置
CN108123903B (zh) 通信系统中的信号处理方法和设备
CN110971377B (zh) 数据传输方法和装置
KR20200116497A (ko) 통신 방법, 통신 장치, 및 네트워크 장치
CN107370586B (zh) 一种信道传输方法及装置
US8423020B2 (en) Communication method, mobile station apparatus and wireless base station apparatus
US10193719B2 (en) Signal processing method, network equipment, system and computer storage medium
JP6559844B2 (ja) アップリンクアクセス方法、装置、およびシステム
CN106411492A (zh) 一种srs资源配置方法及装置
CN114698110A (zh) 资源映射方法、装置及设备
CN109429337B (zh) 用于非授权频带通信的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EP4336758A1 (en) Client device operation mode indication, and related device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KR20170049379A (ko) 협대역 무선통신 셀률러 시스템을 위한 동기신호를 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이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
RU2772302C2 (ru) Терминал и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CN108737304B (zh) 一种上行通信方法、装置、基站及用户设备
CN105790908A (zh) 数据传输、数据处理方法及装置
US20140341321A1 (en) Transmitter and transmission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