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3815A -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 - Google Patents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3815A
KR20160113815A KR1020150039977A KR20150039977A KR20160113815A KR 20160113815 A KR20160113815 A KR 20160113815A KR 1020150039977 A KR1020150039977 A KR 1020150039977A KR 20150039977 A KR20150039977 A KR 20150039977A KR 20160113815 A KR20160113815 A KR 20160113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calibration
toe
calibration frame
cor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9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돈
Original Assignee
박광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광돈 filed Critical 박광돈
Priority to KR1020150039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3815A/ko
Publication of KR20160113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38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4Insertions or other supports preventing the foot canting to one side , preventing supination or pro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5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 A43B7/223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상적인 생활을 하면서도 불편함을 느끼지 않고 외관상으로도 전혀 드러나지 않는 상태에서 무지외반증을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무지외반증 교정기는 발을 감싸는 형태가 대부분으로서, 이를 착용하고 신발을 신으면 불편함이 느껴질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걷는 자세가 불안정해 지고 이로 인하여 다리와 허리 등에 2차적인 병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엄지발가락을 휜 반대 방향으로 되돌리기 위하여 종래의 교정기를 착용하면, 발을 감싸고 있는 교정기가 발에 뒤틀리는 힘을 주게 되며, 발에 압박을 줄 수밖에 없다.
이러한 현상은 또 다른 부작용을 낳을 수 있으며, 이런 불편함은 일상생활 속에서 종래의 교정기를 꾸준하게 착용하기가 매우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 되고 있다.
또 다른 종래의 무지외반증 교정기는 엄지발가락과 둘째 발가락 사이에 끼워 넣어 엄지발가락을 밀어내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무지외반증 교정기는 엄지발가락이 교정되는 효과를 가져오는 동시에 둘째 발가락 또한 밀림으로서 또 다른 발가락의 변형이 수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은 교정 장치가 신발 내부에 설치됨으로서 외관상 아무런 표시가 나지 않으며, 교정 장치가 신발 내부의 앞쪽에 고정되어지며 엄지발가락과 둘째 발가락 사이에 교정 장치의 일부가 위치하여 엄지발가락의 위치를 교정하는 구조로서 교정기의 그 어떤 일부분도 발바닥에는 위치하지 않아서, 일상생활 속에서 불편함 없이 자연스럽게 교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은 교정기가 올바른 위치에 고정이 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고정 장치가 설치가 됨으로서, 쉽고 편하면서도 정확하게 교정용 신발을 착용할 수 있게 하여준다.
또한, 본 발명의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은 변형의 정도에 따라서 달라지는 엄지발가락의 위치에 대응 할 수 있도록, 신발 내부에 설치되는 교정기에 있어서 엄지발가락의 위치를 조절해주는 조절판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Orthoptic shoes for Hallux Valgus}
본 발명은 엄지발가락이 둘째 발가락 쪽으로 휘는 무지외반증을 교정하기 위한 신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일상적인 생활을 하면서도 불편함을 느끼지 않고 외관상으로도 전혀 드러나지 않는 상태에서 무지외반증을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무지외반증은 엄지발가락이 둘째 발가락 쪽으로 휘는 것으로서 맨발로 생활하는 사람에게서는 발병율이 약 2%이나 신발을 신는 사람에게서는 약 33%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를 볼 때 신발이 무지외반증의 가장 큰 원인이라 할 수 있다. 즉 볼이 좁고 굽이 높은 신발의 착용은 엄지발가락에 대하여 외측으로 압박을 가하며 안쪽 돌출부를 직접 자극하여 통증을 일으키거나 신경 자극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이 질환의 문제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점차 변형이 심해지고 나머지 작은 발가락마저도 같이 기울어지며, 발바닥의 굳은 살 및 신경종 등 여러 질환을 유발한다는 데 있다. 또한, 이러한 기형이 점차 심해지면서 걸음걸이에 문제가 발생하고 이차적으로 무릎 및 고관절, 허리 등에 통증을 일으키기 때문에 조기 치료가 필요한 것이다.
그러나, 무지외반증이 있다고 반드시 수술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무지외반증의 일차적인 치료는 비수술적 요법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일단 변형을 악화시키는 굽이 높고 앞이 뾰족한 신발을 피하고 발의 돌출 부위를 자극하지 않는 편한 신발을 착용하여 동통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신발 안에 엄지발가락과 두 번째 발가락 사이를 벌려주는 교정 도구 등을 착용해서 변형의 진행을 늦추며 교정의 효과를 기대해 볼 수도 있다.
종래의 무지외반증 교정기는 도 13과 도 14와 같이 발을 감싸는 형태로서, 이를 착용하고 신발을 신으면 불편함이 느껴질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걷는 자세가 불안정해 지고 이로 인하여 다리와 허리 등에 2차적인 병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도 13과 같이 엄지발가락을 휜 반대 방향으로 되돌리기 위하여 종래의 교정기를 착용하면, 발을 감싸고 있는 교정기가 발에 뒤틀리는 힘을 주게 되며, 발에 압박을 줄 수밖에 없다.
이러한 현상은 또 다른 부작용을 낳을 수 있으며, 이런 불편함은 일상생활 속에서 종래의 교정기를 꾸준하게 착용하기가 매우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 되고 있다.
또 다른 종래의 무지외반증 교정기는 도 15와 같이 엄지발가락과 둘째 발가락 사이에 끼워 넣어 엄지발가락을 밀어내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무지외반증 교정기는 엄지발가락이 교정되는 효과를 가져오는 동시에 둘째 발가락 또한 밀림으로서, 또 다른 발가락의 변형이 수반되는 단점이 있다.
종래의 발명특허(등록번호: 200437328)는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신발 내부에 휘어진 엄지발가락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장치가 고정된 위치에 구비된 것이다. 이는 발가락의 변형 정도가 각기 다른 여러 사람이 착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며, 또한 특허의 대표도와 같은 윗부분이 열려 있는 샌들형태가 아니고 윗부분이 닫혀있는 일반적인 구두나 운동화의 경우에는 고정 장치에 엄지발가락을 끼우는 것조차 어려운 일이 발생할 수 있다.
종래의 무지외반증 교정기 및 교정용 신발이 가지고 있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은 신발 내부의 앞쪽에 엄지발가락을 교정 위치로 안내하는 교정기가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은 신발 내부에 설치되는 교정기가 신발과 분리되어 질 수 있는 구조로서, 신발 외부에서 교정기를 발가락에 설치를 한 후에 신발을 신음으로서, 신발 내부에서 교정기에 발을 맞추는 어려움을 없앤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은 신발 내부의 앞부분에 교정기가 정확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유도하는 고정 장치가 있어서, 교정기를 발에 착용하고 신발을 신더라도 교정기와 발이 정확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여, 정교한 교정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의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은 교정 장치가 엄지발가락의 변형 정도에 따라서 엄지발가락의 교정 위치를 조절 할 수 있도록 교정 장치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은 교정 장치가 신발 내부에 설치됨으로서, 외관상 아무런 표시가 나지 않으며 일상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교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은 교정 장치가 신발 내부의 앞쪽에 고정되어지며 엄지발가락과 둘째 발가락 사이에 교정 장치의 일부가 위치하여 엄지발가락의 위치를 교정하는 구조로서, 교정기의 그 어떤 일부분도 발바닥에는 위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을 착용하더라도, 발바닥에 그 어떤 이물감을 느끼지 않으며 편안한 보행을 할 수 있게 하여 준다.
또한, 본 발명의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은 신발 외부에서 교정기를 발가락에 착용시킨 상태에서 신발 내부로 밀어 넣어 고정시킬 수도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서, 편안하고 간단하게 착용이 가능하게 하여준다.
또한, 본 발명의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은 교정 장치가 신발 내부에서 이동이 가능하여, 신발 내부에서 쉽게 교정기를 발가락에 착용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은 교정기가 올바른 위치에 고정이 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고정 장치가 설치가 됨으로서, 쉽고 편하면서도 정확하게 교정용 신발을 착용할 수 있게 하여준다.
본 발명의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은 엄지발가락 변형의 정도에 따라서 달라지는 엄지발가락의 위치에 대응 할 수 있도록, 신발 내부에 설치되어져 엄지발가락의 위치를 조절해주는 교정판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교정 과정에서 발가락의 위치 상태가 변화하는 대로 교정기를 적절하게 보정함으로서 완벽한 교정 효과를 볼 수 있게 하여 준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의 도면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하면 아래와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 보인 투과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에서 신발 외피를 제거한 상태로서, 내부 구조를 나타내 보인 부분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에서 신발 외피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이 사람의 발에 착용되어졌을 경우에 발과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의 신발창에 고정되어지는 교정틀 고정수단과 교정틀 위치 유도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무지외반증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본 발명의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을 쉽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교정 장치 이동 및 고정 수단과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의 구성요소 중에서 교정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내 보인 분해 사시도,
도 10은 신발 창 및 신발 외피에 고정되어지는 구성요소를 나타내 보인 부분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의 교정 장치를 상세하게 나타내 보인 부분 사시도,
도 12는 무지외반증의 현상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13은 종래의 무지외반증 교정 장치 중 발을 감싸고 엄지발가락을 벌리는 형태의 하나를 보여주는 도면,
도 14는 종래의 무지외반증 교정 장치 중 발을 감싸고 엄지발가락과 둘째 발가락 사이에 끼우는 형태의 하나를 보여주는 도면,
도 15는 종래의 무지외반증 교정 장치 중 엄지발가락과 둘째 발가락 사이에 끼우는 형태의 하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은 같은 기능을 갖는 동일한 구성요소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질 수 있으며 그 배치 또한 달리하여 변형 되어 질 수 있다. 여기서는 대표적인 형상의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을 예로 들어 설명을 한다.
도 1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은 사람의 발바닥을 지탱해 주는 신발창(10)과, 발등과 발의 옆면을 감싸주는 신발 외피(20)와, 신발 내부의 앞쪽에 설치되어 지는 교정 장치(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교정 장치(30)는 도 9와 같이 신발창(10) 위에 고정되어지는 교정틀 고정수단(31)과 교정틀 위치 유도 수단(32)을 포함하며, 신발 내부에서 이동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교정틀(33)과 이 교정틀에 교정판 고정 볼트(36)로서 고정되어지는 교정판(34)과 이 교정판의 위치 조절을 가능하게 하여주는 간격 조정핀(35)과 항시 교정틀 고정수단(31)에 연결되어져 있으면서 상기 교정틀(33) 및 교정판(34)이 신발 내부에서 이동이 가능하게끔 교정틀 고정수단과는 유격을 갖는 교정틀 고정 볼트(37)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은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교정 장치(30)가 신발의 내부 앞쪽에 설치되어지며, 좀 더 자세히 나타내 보이기 위하여 도 3과 같이 신발 외피(20)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와 도 4와 같이 신발 외피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를 게시하였다.
도 5와 같이 사람이 본 발명의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을 착용하였을 경우에, 사람의 엄지발가락과 둘째 발가락 사이에 교정판(34)이 위치하여 엄지발가락의 위치를 강제하게 함으로서, 무지외반증을 앓고 있는 사람의 엄지발가락을 원래의 위치 방향으로 오도록 하는 교정 효과를 볼 수 있게 한다.
무지외반증을 앓고 있는 사람마다 엄지발가락이 휜 정도가 다르고 사람마다 엄지발가락의 크기가 다르며, 같은 사람이라도 교정전과 교정 중의 엄지발가락 휨 정도가 다를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은 상기와 같이 여러 상황에 모두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도 5와 같이 교정판(34)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정판 고정 볼트(36)로 고정되어지는 교정판(34)은 얇은 두께로 구성 되어진 여러 장의 간격 조정핀(35) 사이의 자유로운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만약에, 도 4와 같은 상태로 교정 장치가 신발의 내부에 고정이 되어 있을 경우에는, 엄지발가락이 심하게 휘어버린 사람이 엄지발가락과 둘째 발가락 사이에 이미 고정되어져 있는 교정판(34)을 끼우기가 매우 어렵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은 교정 장치가 신발내부에서 이동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더욱 심하게는 신발과 분리되어져 외부에서 발에 장착이 된 채로 신발을 신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분리형 구조를 갖는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은 도 7과 같이 신발창(10) 또는 신발 외피(20)에 부착되는 교정틀 고정수단(31)에 유격을 가지고 연결되어져서 회전이 가능한 교정틀 고정 볼트를 갖는다.
이러한 까닭으로, 도 8과 같이 교정 장치(30)가 신발 내부에서 이동이 가능하게 되며 엄지발가락이 심하게 휜 사람도 교정 장치를 발가락 사이에 쉽게 착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발가락의 휨 상태가 매우 심하여 상기와 같이 신발 내부에서 교정 장치를 착용하는 것이 어려운 사람의 경우에는 신발 밖에서 발에 교정 장치를 착용한 후에 신발을 신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신발은 교정틀(33)과 신발이 교정틀 고정 볼트(37)로서 연결이 되어 있음으로서 언제든지 분리와 결합이 가능한 구조로서 이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도 10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신발창에 고정되어져 있는 교정틀 위치 유도 수단(32)은 교정틀 고정 볼트(37)를 조여서 교정틀을 제위치에 고정시키려고 할 때, 교정틀(33)을 정확한 위치에 견고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하여준다. 이를 위하여 도 11과 같이 교정틀 하부에는 교정틀 위치 유도수단이 부드럽게 들어맞을 수 있는 교정틀 위치 유도 홈(38)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1 :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
10 : 신발창
20 : 신발 외피
30 : 교정 장치
31 : 교정틀 고정수단
32 : 교정틀 위치 유도 수단
33 : 교정틀
34 : 교정판
35 : 간격 조정핀
36 : 교정판 고정 볼트
37 : 교정틀 고정 볼트
38 : 교정틀 위치 유도 홈
40 : 발

Claims (5)

  1.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에 있어서,
    발바닥을 지탱하여주는 신발창과;
    상기 신발창 상부에 위치하며 발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감싸주는 신발 외피와;
    상기 신발창과 신발 외피 사이의 앞쪽에 위치하는 무지외반증 교정 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무지외반증 교정 장치는,
    엄지발가락과 둘째 발가락 사이에 위치하며 엄지발가락을 둘째 발가락 반대 방향으로 밀어주는 교정판과;
    상기 교정판을 고정시켜주며 상기 신발창에 견고히 연결되어지는 교정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지외반증 교정 장치는,
    상기 교정판의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엄지발가락과 둘째 발가락 사이가 위치할 수 있는 곳에 위치하며 교정판과 위치 교환이 가능한 다수의 간격 조정핀과;
    상기 교정판과 간격 조정핀을 교정틀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교정판 고정 볼트가 추가로 더해져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지외반증 교정 장치는
    상기 신발창 또는 신발 외피에 고정되어지는 교정틀 고정수단과;
    상기 교정틀 고정수단에 교정틀을 고정시키는 교정틀 고정 볼트가 추가로 더해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틀 고정 볼트는 신발 창이나 신발 외피에 고정되어 있는 교정틀 고정수단에 유격을 가지고 연결되어지거나, 휘어질 수 있는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
  5. 제 1항에 있어서,
    신발창에 고정되어져서 상기 교정틀이 정확한 곳에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위치를 지정해 주는 교정틀 위치 유도 수단과;
    상기 교정틀 하부에 교정틀 위치 유도 수단과 들어 맞는 교정틀 위치 유도 홈이 추가로 더해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
KR1020150039977A 2015-03-23 2015-03-23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 KR201601138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9977A KR20160113815A (ko) 2015-03-23 2015-03-23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9977A KR20160113815A (ko) 2015-03-23 2015-03-23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3815A true KR20160113815A (ko) 2016-10-04

Family

ID=57165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9977A KR20160113815A (ko) 2015-03-23 2015-03-23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38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59903A1 (ko) * 2017-03-02 2018-09-07 이춘영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59903A1 (ko) * 2017-03-02 2018-09-07 이춘영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60181A1 (en) Orthopedic device for the mechanical treatment of hallux valgus
US10702411B2 (en) Varus/valgus correcting device
US5921009A (en) Foot leverage system and method
KR101709736B1 (ko) 발가락 교정기를 갖는 깔창
KR200457048Y1 (ko)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
KR20190049118A (ko) 발가락 교정기 및 이를 포함하는 교정 장치
KR101697904B1 (ko) 발가락 교정기
KR101441021B1 (ko) 발가락 교정기
KR100388136B1 (ko) 인체공학적 단하지 보조기
KR20160113815A (ko)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
KR20160014485A (ko) 발가락 교정구
US9956108B2 (en) Sock assembly for correcting toe deformation
KR101579926B1 (ko) 발가락 교정기와 압박수단을 구비한 하지(下地) 착용물
KR20160014487A (ko) 발가락 교정용 신발
KR101588651B1 (ko) 발가락 교정구
KR200437328Y1 (ko) 무지외반증 환자의 발가락 교정을 위한 신발
KR101861912B1 (ko) 발가락 교정구
KR101870288B1 (ko) 무지외반증 치료용 신발
KR20180090548A (ko) 발가락 교정구
KR20150017855A (ko) 무지외반증 교정기
CA2260298A1 (en) Foot leverage system and method
KR101620715B1 (ko) 발가락 교정구
KR101781059B1 (ko) 발가락 교정구
KR102271611B1 (ko) 무지외반증 예방용 롤링신발
KR102637140B1 (ko) 하수족 교정용 도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