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7904B1 - 발가락 교정기 - Google Patents

발가락 교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7904B1
KR101697904B1 KR1020160114393A KR20160114393A KR101697904B1 KR 101697904 B1 KR101697904 B1 KR 101697904B1 KR 1020160114393 A KR1020160114393 A KR 1020160114393A KR 20160114393 A KR20160114393 A KR 20160114393A KR 101697904 B1 KR101697904 B1 KR 101697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e
flat plate
reinforcing member
buffer chamber
suppor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4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현덕
Original Assignee
서현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현덕 filed Critical 서현덕
Priority to KR1020160114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79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7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7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9Toe correcting or spread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발가락 교정기에 관한 것으로, 엄지 발가락 및 소지 발가락에 대해 삽입링 형태의 삽입부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걷거나 뛰는 등 움직임이 과도하게 발생하더라도 발가락 교정기의 착용 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돌출 가이드부의 내부 공간에 완충 챔버를 형성함으로써, 돌출 가이드부의 형상을 완충 챔버에 의해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변형 가능하게 하여 다양한 발가락 크기를 갖는 사람들에게도 착용 상태에서 발가락에 대한 압박이나 통증 정도가 심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하며, 선택적으로 삽입 보강 부재를 삽입하여 강성 보강을 통해 발가락 지지 가이드 기능을 강화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어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발가락 교정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발가락 교정기{DEVICE FOR CORRECTING TOES}
본 발명은 발가락 교정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엄지 발가락 및 소지 발가락에 대해 삽입링 형태의 삽입부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걷거나 뛰는 등 움직임이 과도하게 발생하더라도 발가락 교정기의 착용 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돌출 가이드부의 내부 공간에 완충 챔버를 형성함으로써, 돌출 가이드부의 형상을 완충 챔버에 의해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변형 가능하게 하여 다양한 발가락 크기를 갖는 사람들에게도 착용 상태에서 발가락에 대한 압박이나 통증 정도가 심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하며, 선택적으로 삽입 보강 부재를 삽입하여 강성 보강을 통해 발가락 지지 가이드 기능을 강화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어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발가락 교정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직립 보행을 하는 인간의 특성상 일상 생활은 대부분 선 상태에서 이루어지는데, 그 기초는 정상적이고 튼튼한 발이 기본이다. 특히 발가락 부위는 걷는 행위나 뛰는 행위와 같은 이동 동작시 부드러운 체중 분산을 통해 몸 전체의 균형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발가락이 비정상적인 형태가 되면 체중 분산의 리듬이 깨져 인체 골격의 여러 부분에 악영향을 미치게 됨은 물론 여러 가지 부작용을 유발하게 된다.
그런데, 최근 외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사람들은 외출시 키가 커보이게 하면서 세련된 차림새를 위하여 뒷굽은 높고 앞 부분의 폭이 좁아 보이는 구두를 착용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여자들이 주로 착용하는 하이힐은 뒷굽이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앞부분을 더욱 길고 뾰족하게 한 형태가 유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신발의 뒷굽이 높아지고 앞 부분의 폭이 좁아지면 맵시는 좋아지지만, 뒷굽이 높은 신발을 착용한 상태로 장시간 동안 걷거나 서 있게 되면, 높은 뒷굽으로 인하여 신체의 하중이 발의 앞쪽으로 쏠리게 되고, 그로 인해 발의 앞 부분이나 발가락에 과도한 하중이 가해지게 되어 발과 발가락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신발 앞 부분의 폭이 좁아짐에 따라 발의 양 측면과 상측에서 가해지는 압력이 증가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발 및 발가락이 변형될 수도 있다.
즉, 뒷굽이 높고 앞 부분의 폭이 좁은 신발이 발가락이나 발 볼 등을 심하게 압박함으로써 발가락이 구부러지고 굳은살이 형성되는 등 여러 가지로 발의 건강에 악영향을 주며, 특히 엄지 발가락이나 새끼 발가락이 안쪽으로 휘어져 '외반모지' 라는 기형을 유발함으로써 신발 착용시 많은 통증을 유발하기도 한다.
또한, 선천적인 발가락뼈의 이상이나 사고 또는 원인불명의 사유로 인해 정상적인 발 모양이 되지 못하여 발가락이 뒤틀리는 기형이나 발가락이 아래 또는 위로 휘어지는 기형이 발생하여 발가락이 나란하게 배열되지 않음으로써 신체적 및 심리적 고통을 야기하기도 한다.
이러한, 발가락의 기형은 보행시 체중의 대부분을 지탱하는 엄지 발가락이 체중을 정상적으로 분산시키지 못해 부자연스러운 걸음걸이를 유발하고, 이로 인하여 발목이나 무릎 관절, 허리 등에 이상이 발생하고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발가락과 발의 연결부위가 돌출된 경우에는 돌출 부위로 인해 신발 착용시 신발과의 마찰로 인해 살갗이 벗겨지는 등의 통증을 유발하고, 이로 인해 걸음걸이가 더욱 부자연스러워지는 등의 악순환을 야기하게 된다.
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비정상적인 발가락을 정상적인 형태로 교정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 결과로서 발가락 교정기가 출시되어 이용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발가락 교정기는 발가락이 안착될 수 있는 지지 부재의 상면에 각 발가락 사이사이에 삽입되어 발가락 위치를 가이드하는 교정 돌기가 다수개 돌출 형성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발가락 교정기는 일정한 형상으로 고정 형성되기 때문에, 사람마다 다른 발가락 형태에 대해 최적화된 상태로 적용하기가 어렵고, 착용시 통증 및 불편함이 야기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단순히 교정 돌기에 의해 발가락에 착용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걷거나 뛰는 등 상대적으로 많은 움직임이 발생하는 경우, 착용 상태가 안정적이지 못하고 발가락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636448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엄지 삽입부 및 소지 삽입부를 삽입링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엄지 발가락 및 소지 발가락에 대한 가이드 기능이 강화될 뿐만 아니라 착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특히,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엄지 발가락 및 소지 발가락에 대해 삽입링 형태의 삽입부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걷거나 뛰는 등 움직임이 과도하게 발생하더라도 발가락 교정기의 착용 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발가락 교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돌출 가이드부의 내부 공간에 완충 챔버를 형성함으로써, 돌출 가이드부의 형상을 완충 챔버에 의해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변형 가능하게 하고, 이에 따라 다양한 발가락 크기를 갖는 사람들에게도 착용 상태에서 발가락에 대한 압박이나 통증 정도가 심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하는 발가락 교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완충 챔버에 별도의 삽입 보강 부재를 삽입 결합하거나 또는 분리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삽입 보강 부재를 선택적으로 삽입하거나 분리 제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완충 챔버를 통한 형상 변형 기능을 통해 상대적으로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하도록 선택하거나 또는 삽입 보강 부재를 이용한 강성 보강을 통해 발가락 지지 가이드 기능을 강화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어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발가락 교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삽입 보강 부재의 길이를 조절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삽입 보강 부재를 완충 챔버에 삽입한 상태에서도 돌출 가이드부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마다 자신의 발가락 형상에 따라 그 간격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더욱 편리하고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는 발가락 교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면에 발가락이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지지 바디; 상기 지지 바디의 상면 일단부에 엄지 발가락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링의 형태로 형성되어 엄지 발가락의 위치를 지지 가이드하는 엄지 삽입부; 상기 지지 바디의 상면 타단부에 소지 발가락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링의 형태로 형성되어 소지 발가락의 위치를 지지 가이드하는 소지 삽입부; 및 상기 엄지 삽입부와 소지 삽입부 사이에 형성되어 검지, 중지 및 약지 발가락의 위치를 지지 가이드하도록 상기 지지 바디의 상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가락 교정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엄지 삽입부, 소지 삽입부 및 돌출 가이드부는 상기 지지 바디와 함께 연성 재질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 가이드부는 그 내부 공간에 속이 빈 공간 형태로 완충 챔버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 챔버는 상기 지지 바디의 하단면까지 연장되어 외부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완충 챔버에 삽입 결합되거나 분리 제거될 수 있는 별도의 삽입 보강 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 챔버는 상기 엄지 삽입부의 측벽 중 검지 발가락과 인접한 부분의 측벽과, 상기 소지 삽입부의 측벽 중 약지 발가락과 인접한 부분의 측벽의 내부 공간에도 상기 삽입 보강 부재가 삽입 또는 분리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 보강 부재는, 각각의 상기 완충 챔버에 삽입되도록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의 하단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평판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 보강 부재의 평판부에는 각각 적어도 일측면에 상기 완충 챔버의 내측면과 마찰 접촉하도록 마찰 접촉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바디의 하단면에는 상기 삽입 보강 부재의 연결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오목한 형태의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 보강 부재는 2개의 평판부를 하나의 연결부를 통해 연결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2개의 상기 평판부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도록 길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하나의 평판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1 연결부와, 나머지 평판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2 연결부로 분리 형성되고, 상기 제 1 연결부 및 제 2 연결부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결합홈에 슬라이드 삽입 결합될 수 있는 결합 돌기가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결합 돌기의 외측면에는 삽입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요철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의 내측면에는 상기 요철홈에 맞물림 결합될 수 있도록 맞물림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 가이드부의 양측면, 상기 엄지 삽입부의 측벽 중 검지 발가락과 인접한 부분의 측벽 양측면 및 상기 소지 삽입부의 측벽 중 약지 발가락과 인접한 부분의 측벽 양측면에는 각각 발가락의 측면 부위를 지압할 수 있도록 측면 지압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엄지 삽입부 및 소지 삽입부를 삽입링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엄지 발가락 및 소지 발가락에 대한 가이드 기능이 강화될 뿐만 아니라 착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특히,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엄지 발가락 및 소지 발가락에 대해 삽입링 형태의 삽입부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걷거나 뛰는 등 움직임이 과도하게 발생하더라도 발가락 교정기의 착용 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돌출 가이드부의 내부 공간에 완충 챔버를 형성함으로써, 돌출 가이드부의 형상을 완충 챔버에 의해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변형 가능하게 하고, 이에 따라 다양한 발가락 크기를 갖는 사람들에게도 착용 상태에서 발가락에 대한 압박이나 통증 정도가 심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완충 챔버에 별도의 삽입 보강 부재를 삽입 결합하거나 또는 분리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삽입 보강 부재를 선택적으로 삽입하거나 분리 제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완충 챔버를 통한 형상 변형 기능을 통해 상대적으로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하도록 선택하거나 또는 삽입 보강 부재를 이용한 강성 보강을 통해 발가락 지지 가이드 기능을 강화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어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삽입 보강 부재의 길이를 조절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삽입 보강 부재를 완충 챔버에 삽입한 상태에서도 돌출 가이드부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마다 자신의 발가락 형상에 따라 그 간격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더욱 편리하고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교정기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교정기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교정기의 형상 조절 기능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교정기의 삽입 보강 부재에 대한 결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교정기의 삽입 보강 부재에 대한 길이 조절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교정기의 삽입 보강 부재를 통한 형상 조절 방식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교정기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교정기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교정기의 형상 조절 기능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교정기의 삽입 보강 부재에 대한 결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교정기는 착용 안정성이 강화되고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로서, 지지 바디(100)와, 엄지 삽입부(200)와, 소지 삽입부(300)와, 돌출 가이드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 바디(100)는 상면에 발가락이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5개의 발가락이 모두 안착될 수 있도록 발의 폭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지지 바디(100)의 상면은 발가락이 편안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발가락의 길이 방향을 따라 중간 부위가 볼록한 형태로 만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엄지 삽입부(200)는 지지 바디(100)의 상면 일단부에 엄지 발가락(T1)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링의 형태로 형성되어 엄지 발가락(T1)의 위치를 지지 가이드한다. 소지 삽입부(300)는 지지 바디(100)의 상면 타단부에 소지 발가락(T5)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링의 형태로 형성되어 소지 발가락(T5)의 위치를 지지 가이드한다. 즉, 엄지 삽입부(200) 및 소지 삽입부(3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에 관통홀 형태의 발가락 삽입 공간(201,301)이 형성되는 삽입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 가이드부(400)는 엄지 삽입부(200)와 소지 삽입부(300) 사이에 위치하도록 지지 바디(100)의 상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검지, 중지 및 약지 발가락(T2,T3,T4)의 위치를 지지 가이드하도록 형성된다. 즉, 돌출 가이드부(400)는 2개 형성되는데, 검지 발가락(T2)과 중지 발가락(T3) 사이에 위치하도록 1개 형성되고, 중지 발가락(T3)과 약지 발가락(T4) 사이에 위치하도록 1개 형성되며, 이러한 돌출 가이드부(400)의 사이 공간(401)에 각각 발가락(T2,T3,T4)이 삽입 가이드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5개의 발가락은 지지 바디(100)의 상면에 안착되고, 이 상태에서 엄지 발가락(T1) 및 소지 발가락(T5)은 각각 삽입링 형태의 엄지 삽입부(200) 및 소지 삽입부(300)에 삽입되어 위치 가이드되고, 검지, 중지 및 약지 발가락(T2,T3,T4)은 그 사이에 위치하는 2개의 돌출 가이드부(400)에 의해 분리되어 위치 가이드된다.
이때, 엄지 발가락(T1) 및 소지 발가락(T5)이 삽입링 형태의 엄지 삽입부(200) 및 소지 삽입부(300)에 삽입되므로, 엄지 발가락(T1) 및 소지 발가락(T5)에 대한 가이드 기능이 강화될 뿐만 아니라 착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특히,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엄지 발가락(T1) 및 소지 발가락(T5)에 대해 삽입링 형태의 삽입부(200,300)가 제공되므로, 사용자가 걷거나 뛰는 등 움직임이 과도하게 발생하더라도 발가락 교정기의 착용 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돌출 가이드부(400)의 양측면, 엄지 삽입부(200)의 측벽 중 검지 발가락(T2)과 인접한 부분의 측벽(202)의 양측면 및 소지 삽입부(300)의 측벽 중 약지 발가락(T4)과 인접한 부분의 측벽(302)의 양측면에는 각각 발가락의 측면 부위를 지압할 수 있도록 별도의 측면 지압 돌기(60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 지압 돌기(600)를 통해 발가락의 혈액 순환을 도울 수 있으며, 발가락의 위치 교정 기능을 더욱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엄지 삽입부(200), 소지 삽입부(300) 및 돌출 가이드부(400)는 지지 바디(100)와 함께 일체로 형성되며, 변형 가능하도록 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돌출 가이드부(400)는 그 내부 공간에 속이 빈 형태로 완충 챔버(C)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완충 챔버(C)는 엄지 삽입부(200)의 측벽 중 검지 발가락과 인접한 부분의 측벽(202)과, 소지 삽입부(300)의 측벽 중 약지 발가락과 인접한 부분의 측벽(302)의 내부 공간에도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완충 챔버(C)가 형성됨에 따라 형상 변경이 더욱 자유로워 사람마다 다른 형상의 발가락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발가락에 착용시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한다.
완충 챔버(C)에 의해 형상 변경 동작 상태를 살펴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돌출 가이드부(400)의 내부 공간에 완충 챔버(C)가 형성되는 경우,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기본 상태에서 돌출 가이드부(400) 사이의 간격은 X1 상태로 유지되지만, 사용자가 돌출 가이드부(400) 사이에 발가락을 끼워넣는 경우, 발가락의 두께가 X1보다 크게 되면, 돌출 가이드부(400) 내부 공간에 형성된 완충 챔버(C)가 압착 변형되어 돌출 가이드부(400) 사이 간격은 X2까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돌출 가이드부(400) 사이 간격이 완충 챔버(C)에 의해 원활하게 조절되므로, 어린 아이부터 어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발가락 크기를 갖는 사람들에게도 착용 상태에서 발가락에 대한 압박이나 통증 정도가 심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편안하게 발가락 교정기를 착용할 수 있다.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엄지 삽입부(200)와 돌출 가이드부(400) 사이 간격 및 소지 삽입부(300)와 돌출 가이드부(400) 사이 간격 또한 마찬가지 방식으로 조절된다.
한편, 이러한 완충 챔버(C)에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삽입 보강 부재(500)가 삽입 결합되거나 분리 제거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삽입 보강 부재(500)가 완충 챔버(C)에 삽입 결합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가이드부(400)의 강성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완충 챔버(C)에 의한 형상 변형이 상대적으로 감소하고, 삽입 보강 부재(500)에 의한 지지 가이드 기능이 상대적으로 강화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발가락 교정기를 착용하고 걷거나 외부 활동이 많은 경우에는 발가락 교정기에 의한 통증 완화를 위해 삽입 보강 부재(500)를 분리 제거한 상태로 착용하고, 집안에서 편안하게 앉아있는 경우와 같이 상대적으로 움직임이 덜 한 경우에는 발가락에 대한 교정 기능을 강화하여 삽입 보강 부재(500)를 완충 챔버(C)에 삽입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교정기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삽입 보강 부재(500)를 선택적으로 삽입하거나 분리 제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완충 챔버(C)를 통한 형상 변형 기능을 통해 상대적으로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하거나 또는 삽입 보강 부재(500)를 통한 강성 보강을 통해 발가락 지지 가이드 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삽입 보강 부재(500)는 완충 챔버(C)에 삽입될 수 있는 단순 플레이트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 보강 부재(500)는 각각의 완충 챔버(C)에 삽입되도록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평판부(510)와, 평판부(510)의 하단에 연장 형성되어 평판부(510)를 연결하는 연결부(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평판부(510)에는 적어도 일측면에 완충 챔버(C)의 내측면과 마찰 접촉하도록 마찰 접촉 돌기(53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마찰 접촉 돌기(530)를 통해 삽입 보강 부재(500)가 완충 챔버(C)에 삽입한 상태에서 마찰력에 의해 쉽게 빠져나오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연결부(520)는 다수개의 평판부(510)를 연결하도록 평판부(510)의 하단에 연장 형성되는데, 예를 들면, 4개의 평판부(510)를 모두 연결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1 내지 도 3,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평판부(510)를 연결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연결부(520)가 2개의 평판부(510)를 연결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삽입 보강 부재(500)는 2개의 평판부(510)가 하나의 연결부(520)로 연결된 구조로 2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지지 바디(100)의 하단면에는 삽입 보강 부재(500)의 연결부(52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오목한 형태의 안착홈(10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삽입 보강 부재(500)가 완충 챔버(C)에 삽입된 경우, 이러한 안착홈(101)에 삽입 보강 부재(500)의 연결부(520)가 안착됨으로써, 지지 바디(100)의 하단면에 삽입 보강 부재(500)에 의한 단턱이 발생하지 않아 착용시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안착홈(101)에 의해 지지 바디(100)의 형상 또한 좀더 자유롭게 변형 가능하므로, 더욱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교정기의 삽입 보강 부재에 대한 길이 조절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교정기의 삽입 보강 부재를 통한 형상 조절 방식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 보강 부재(50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평판부(510)를 하나의 연결부(520)를 통해 연결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연결부(520)는 2개의 평판부(510)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도록 길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를 위해, 연결부(520)는 하나의 평판부(510)로부터 연장되는 제 1 연결부(521)와, 나머지 하나의 평판부(510)로부터 연장되는 제 2 연결부(522)로 분리 형성되고, 제 1 연결부(521) 및 제 2 연결부(522)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홈(521-1)이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결합홈(521-1)에 슬라이드 삽입 결합될 수 있는 결합 돌기(522-1)가 대응되게 형성되며, 결합 돌기(522-1)의 외측면에는 삽입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요철홈(522-2)이 형성되고, 결합홈(521-1)의 내측면에는 요철홈(522-2)에 맞물림 결합될 수 있도록 맞물림 돌기(52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제 2 연결부(522)의 결합 돌기(522-1)가 제 1 연결부(521)의 결합홈(52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요철홈(522-2) 및 맞물림 돌기(521-2)에 의해 맞물림 결합되고, 요철홈(522-2)에 대한 맞물림 돌기(521-2)의 결합 위치를 조절하여 제 1 연결부(521)와 제 2 연결부(522) 사이 거리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연결부(5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부(520)의 길이를 조절하게 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보강 부재(500)를 완충 챔버(C)에 삽입한 상태에서도 돌출 가이드부(400)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지지 바디(100) 및 돌출 가이드부(400)는 일체형으로 연성 재질로 형성되므로, 외력에 의해 형상 변형이 가능한데, 도 7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보강 부재(500)의 연결부(520)의 길이를 더 늘리거나 줄임으로써, 돌출 가이드부(400) 사이 간격을 X1 또는 X3로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교정기는 삽입 보강 부재(500)를 완충 챔버(C)에 삽입하여 강성을 보강한 상태에서도 돌출 가이드부(400)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마다 다른 발가락 크기에 따라 그 간격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지지 바디 101: 안착홈
200: 엄지 삽입부 300: 소지 삽입부
400: 돌출 가이드부 500: 삽입 보강 부재
510: 평판부 520: 연결부
530: 마찰 접촉 돌기 600: 측면 지압 돌기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상면에 발가락이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지지 바디;
    상기 지지 바디의 상면 일단부에 엄지 발가락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링의 형태로 형성되어 엄지 발가락의 위치를 지지 가이드하는 엄지 삽입부;
    상기 지지 바디의 상면 타단부에 소지 발가락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링의 형태로 형성되어 소지 발가락의 위치를 지지 가이드하는 소지 삽입부; 및
    상기 엄지 삽입부와 소지 삽입부 사이에 형성되어 검지, 중지 및 약지 발가락의 위치를 지지 가이드하도록 상기 지지 바디의 상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 가이드부
    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 가이드부의 내부 공간과, 상기 엄지 삽입부의 측벽 중 검지 발가락과 인접한 부분의 측벽 내부 공간과, 상기 소지 삽입부의 측벽 중 약지 발가락과 인접한 부분의 측벽 내부 공간에는 속이 빈 공간 형태로 완충 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완충 챔버는 상기 지지 바디의 하단면까지 연장되어 외부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완충 챔버에 삽입 결합되거나 분리 제거될 수 있는 별도의 삽입 보강 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삽입 보강 부재는
    각각의 상기 완충 챔버에 삽입되도록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의 하단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평판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가락 교정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보강 부재의 평판부에는 각각 적어도 일측면에 상기 완충 챔버의 내측면과 마찰 접촉하도록 마찰 접촉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가락 교정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바디의 하단면에는 상기 삽입 보강 부재의 연결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오목한 형태의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가락 교정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보강 부재는 2개의 평판부를 하나의 연결부를 통해 연결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2개의 상기 평판부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도록 길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가락 교정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하나의 평판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1 연결부와, 나머지 평판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2 연결부로 분리 형성되고,
    상기 제 1 연결부 및 제 2 연결부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결합홈에 슬라이드 삽입 결합될 수 있는 결합 돌기가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결합 돌기의 외측면에는 삽입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요철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의 내측면에는 상기 요철홈에 맞물림 결합될 수 있도록 맞물림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가락 교정기.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가이드부의 양측면, 상기 엄지 삽입부의 측벽 중 검지 발가락과 인접한 부분의 측벽 양측면 및 상기 소지 삽입부의 측벽 중 약지 발가락과 인접한 부분의 측벽 양측면에는 각각 발가락의 측면 부위를 지압할 수 있도록 측면 지압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가락 교정기.
KR1020160114393A 2016-09-06 2016-09-06 발가락 교정기 KR101697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393A KR101697904B1 (ko) 2016-09-06 2016-09-06 발가락 교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393A KR101697904B1 (ko) 2016-09-06 2016-09-06 발가락 교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7904B1 true KR101697904B1 (ko) 2017-01-18

Family

ID=57991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4393A KR101697904B1 (ko) 2016-09-06 2016-09-06 발가락 교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790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3514B1 (ko) * 2017-03-03 2018-12-2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발가락 사이 넓힘 보조기
CN110742716A (zh) * 2019-10-22 2020-02-04 温州职业技术学院 一种矫正拇趾外翻的鞋垫及鞋子
KR20200073399A (ko) 2018-12-14 2020-06-24 (주)에이투지커머스 발가락 교정기
KR20220091953A (ko) * 2020-12-24 2022-07-01 주식회사 와이에이치라이프 좌우 및 상하 겸용 가능한 발가락 교정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61654A (ja) * 2006-06-01 2008-03-21 Keisuke Shimura 足指サポータ
JP4215859B2 (ja) * 1998-05-20 2009-01-28 アズマ工業株式会社 足指用清涼具
KR20140107898A (ko) * 2013-02-28 2014-09-05 이인기 발가락 지압기
JP5646006B1 (ja) * 2013-06-11 2014-12-24 株式会社 イースマイル 足指間パッド
KR101636448B1 (ko) 2015-03-03 2016-07-05 성순호 발가락 교정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15859B2 (ja) * 1998-05-20 2009-01-28 アズマ工業株式会社 足指用清涼具
JP2008061654A (ja) * 2006-06-01 2008-03-21 Keisuke Shimura 足指サポータ
KR20140107898A (ko) * 2013-02-28 2014-09-05 이인기 발가락 지압기
JP5646006B1 (ja) * 2013-06-11 2014-12-24 株式会社 イースマイル 足指間パッド
KR101636448B1 (ko) 2015-03-03 2016-07-05 성순호 발가락 교정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3514B1 (ko) * 2017-03-03 2018-12-2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발가락 사이 넓힘 보조기
KR20200073399A (ko) 2018-12-14 2020-06-24 (주)에이투지커머스 발가락 교정기
KR102150708B1 (ko) 2018-12-14 2020-09-01 (주)에이투지커머스 발가락 교정기
CN110742716A (zh) * 2019-10-22 2020-02-04 温州职业技术学院 一种矫正拇趾外翻的鞋垫及鞋子
CN110742716B (zh) * 2019-10-22 2021-09-28 温州职业技术学院 一种矫正拇趾外翻的鞋垫及鞋子
KR20220091953A (ko) * 2020-12-24 2022-07-01 주식회사 와이에이치라이프 좌우 및 상하 겸용 가능한 발가락 교정구
KR102646350B1 (ko) * 2020-12-24 2024-03-11 주식회사 와이에이치라이프 좌우 및 상하 겸용 가능한 발가락 교정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7904B1 (ko) 발가락 교정기
US4360027A (en) Thin, light-weight flexible orthopedic device
US10058143B2 (en) Outsole for orthopedic device
JP6675600B2 (ja) 軽負担の深脚足型装具
KR200480494Y1 (ko) 발가락 교정기
KR102140044B1 (ko) 셀프 맞춤형 발바닥 교정구
KR20160001214U (ko) 착용감이 향상된 관절보호 신발 안창
WO2011067948A1 (ja) ハイヒール用中敷
KR20120000447A (ko) 무릎 통증완화 및 예방을 위한 탈부착 내외측 웨지를 구비한 인솔
KR101622906B1 (ko) 발가락 교정용 신발
KR101441021B1 (ko) 발가락 교정기
US20080178495A1 (en) Foot Clip
KR101588651B1 (ko) 발가락 교정구
KR101579926B1 (ko) 발가락 교정기와 압박수단을 구비한 하지(下地) 착용물
KR101861912B1 (ko) 발가락 교정구
TWM469772U (zh) 鞋墊裝置
KR20190000855U (ko) 발가락 교정용 덧신
KR101797734B1 (ko) 내반슬 및 외반슬 교정구
KR102659993B1 (ko) 기능성 슬리퍼
EP3714723B1 (en) Insole capable of assisting corrections of various foot problems
KR200488994Y1 (ko) 균형패드가 부착될 수 있는 인솔
KR20180002000U (ko) 인솔에 부착가능한 균형패드
KR101007606B1 (ko) 발바닥 압력 분산을 위한 여성용 구두 중창용 아대, 이를 가진 중창 및 구두
TWM393187U (en) Adjustable foot arch stabilizing pad
WO2020243876A1 (zh) 一种高跟鞋足舒支持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