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2120A - Apparatus for manufacturing hydrogen containing wate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manufacturing hydrogen containing wa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12120A KR20160112120A KR1020150037236A KR20150037236A KR20160112120A KR 20160112120 A KR20160112120 A KR 20160112120A KR 1020150037236 A KR1020150037236 A KR 1020150037236A KR 20150037236 A KR20150037236 A KR 20150037236A KR 20160112120 A KR20160112120 A KR 2016011212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orage
- negative
- ion exchange
- water
- unit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7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UFHFLCQGNIYNRP-UHFFFAOYSA-N Hydrogen Chemical compound [H][H] UFHFLCQGNIYNR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4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6
- 238000005342 ion exchan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CBENFWSGALASAD-UHFFFAOYSA-N Ozone Chemical compound [O-][O+]=O CBENFWSGALASAD-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9000003463 adsorb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9000003014 ion exchange membra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1 cancer Chemical compound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6722 reduc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MHAJPDPJQMAIIY-UHFFFAOYSA-N Hydrogen peroxide Chemical compound OO MHAJPDPJQMAII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6010028980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1000011510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LMJMSJWJFRBEC-UHFFFAOYSA-N Potassium Chemical compound [K] ZLMJMSJWJFRBE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78 acidific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170 cell membra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6010008118 cerebral infar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6106 cerebrovascular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95 desor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84 detox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601 diabetes mell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087 diges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51 drink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188 drinking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68 electroly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431 hydrogen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09 hydrophob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645 metal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55 metallic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group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4 osmo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91 potas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0 potas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85 radioa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79 redox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reduc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54—Mixing with ga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 B01F3/04—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02—Hydrogen or oxygen
- C25B1/0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17—Cells comprising dimensionally-stable non-movable electrode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thereof
- C25B9/19—Cells comprising dimensionally-stable non-movable electrode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thereof with diaphragms
- C25B9/23—Cells comprising dimensionally-stable non-movable electrode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thereof with diaphragms comprising ion-exchange membranes in or on which electrode material is embedd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30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15—Electrolytic cell with membranes or diaphragm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25—Electrical variabl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6—Power supply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6—Power supply
- C02F2201/46165—Special power supply, e.g. solar energy or batteri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3—Pressur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tallur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저장수를 수용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음수를 수용하는 음수부; 상기 저장부와 상기 음수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저장수와 상기 음수 사이의 이온 교환을 통하여 상기 저장부에 오존을 발생시키고, 상기 음수부에 수소를 발생시키는 이온교환부; 및 상기 저장부에 결합되어, 상기 오존의 환원으로 발생되는 산소에 의한 상기 저장부 내의 압력 상승을 방지하는 압력상승방지부; 를 포함하는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 hydrogen-containing water producing apparatus is disclose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negative portion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portion to receive negative water; An ion exchange portion interposed between the storage portion and the negative portion to generate ozone in the storage portion through ion exchange between the stored water and the negative water and generate hydrogen in the negative portion; And a pressure rise preventing part coupled to the storage part to prevent a pressure rise in the storage part due to oxygen generated by the reduction of the ozone; Containing water can be provid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ydrogen-containing water producing apparatus.
사람의 몸은 사람이 마시는 물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사람의 몸은 금속이온의 균형을 통해 세포 내 삼투압작용을 조절하기 때문에 칼슘, 칼륨, 마그네슘과 같은 미네랄 성분을 적절히 포함하고 있는 물을 통해 몸에 필요한 미네랄 성분을 보충해주는 것이 좋다.The human body is closely related to the water that people drink. Specifically, since the human body regulates the osmotic action through the balance of the metal ions, it is good to supplement the necessary minerals in the body through the water properly containing the minerals such as calcium, potassium and magnesium.
또한, 사람의 몸은 대부분 산성이기 때문에 이를 중화하기 위해 약알칼리성의 물을 마시는 것이 좋은데 이는 암을 억제하고 항산화물질과 체내 효소의 활동을 도우며, 음식물 분해와 소화 흡수능력을 끌어올리고 면역력 강화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human body is mostly acidic, it is better to drink weakly alkaline water to neutralize it. It helps to inhibit cancer, helps the activity of antioxidants and enzymes in the body, increases the ability of digestion and absorption of food, .
이러한 장점을 가진 수소수는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방사능 유출로 대다수의 국민들이 방사능의 체내 오염 문제가 대두되었을 때, 수소수의 방사능 해독 효능이 밝혀져 그 수요가 가속화되고 있다.In 2011, Fukushima Nuclear Power Plant (Fukushima Nuclear Power Plant), which has such an advantage, has been accelerating the demand for radioactive detoxification of a few people when the radiation pollution problem of the majority of the citizens of the country has emerged.
수소수는 체내활성산소와 결합하여 물로 변환하여 체내로 흡수되거나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소는 세포막을 통과할 수 있어 세포 안에 있는 나쁜 활성산소를 체외로 배출시킬 수 있다. 수소수는 암, 당뇨, 뇌경색 등 체내과잉활성산소를 원인으로 하는 각종 질병에 우수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밝혀져 각광받고 있다.Hydrogen peroxide can be converted into water by binding with active oxygen in the body and absorbed or released into the body. For example, hydrogen can pass through cell membranes and release bad oxygen in the cells. Hydrophobic water has been spotlighted to have an excellent effect on various diseases caused by excessive active oxygen, such as cancer, diabetes, and cerebral infarction.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0-269246호(2010.12.02, 음료용 수소함유수를 제조하는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The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10-269246 (2010.12.02, a method for producing hydrogen-containing water for beverag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온 교환을 통한 수소함유수 제조에 있어서, 이온 교환에 따른 생성물에 의하여 저장부 내의 압력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hydrogen-containing water producing apparatus capable of preventing the pressure in the storage section from rising due to a product resulting from ion exchange in the production of hydrogen-containing water through ion exchang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저장수를 수용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음수를 수용하는 음수부; 상기 저장부와 상기 음수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저장수와 상기 음수 사이의 이온 교환을 통하여 상기 저장부에 오존을 발생시키고, 상기 음수부에 수소를 발생시키는 이온교환부; 및 상기 저장부에 결합되어, 상기 오존의 환원으로 발생되는 산소에 의한 상기 저장부 내의 압력 상승을 방지하는 압력상승방지부; 를 포함하는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negative portion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portion to receive negative water; An ion exchange portion interposed between the storage portion and the negative portion to generate ozone in the storage portion through ion exchange between the stored water and the negative water and generate hydrogen in the negative portion; And a pressure rise preventing part coupled to the storage part to prevent a pressure rise in the storage part due to oxygen generated by the reduction of the ozone; Containing water can be provided.
상기 압력상승방지부는, 상기 저장부의 일측에서 외부로 연장되는 배출통로; 및 상기 저장부에 탑재되어 상기 저장부 내의 용존 오존을 흡착하는 흡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sure rising prevention part may include: a discharge passage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storage part to the outside; And an adsorbent mounted on the storage unit for adsorbing dissolved ozone in the storage unit.
상기 압력상승방지부는 상기 저장부와 상기 배출통로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저장부로부터 유입된 산소를 상기 배출통로로 전달하는 보조저장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sure rising prevention part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reservoir interposed between the reservoir and the discharge passage for delivering the oxygen introduced from the reservoir to the discharge passage.
상기 저장부에 발생되는 상기 오존이 상기 이온교환부에서 상기 흡착제로 이동되도록, 상기 이온교환부 및 상기 흡착제 사이에 해면체가 개재될 수 있다.A sponge body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ion exchange portion and the adsorbent so that the ozone generated in the storage portion is transferred to the adsorbent in the ion exchange portion.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저장부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저장부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흡착제를 수용하는 수용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may include an opening / closing unit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unit to open / close the storage unit, and the opening / closing unit may include a receiving frame for receiving the adsorbent.
상기 이온교환부는, 상기 저장부의 개방된 상부에 설치되는 양전극; 상기 음수부의 개방된 하부에 설치되는 음전극; 및 상기 양전극과 상기 음전극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음수부에 설치되는 이온교환막을 포함할 수 있다.The ion exchange unit may further include: a positive electrode installed on an open top of the storage unit; A negative electrode provided at an open lower portion of the negative portion; And an ion exchange membrane disposed in the negative portion so as to be interpos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상기 저장수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상기 양전극과 상기 이온교환막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저장부 내주면에 설치되는 제1 실링부; 및 상기 음수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상기 음전극과 상기 이온교환막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음수부 내주면에 설치되는 제2 실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first sealing part interpos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ion exchange membrane so as to prevent leakage of the stored water, the first sealing part being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orage part; And a second sealing portion interposed between the negative electrode and the ion exchange membrane to prevent leakage of the negative water, the second sealing portion being provid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negative portion.
하부에 제1 전원 단자가 형성되며, 상기 저장부, 상기 음수부, 상기 이온교환부 및 상기 압력상승방지부를 수용하는 포트 프레임; 을 더 포함할 수 있다.A port frame receiving the storage unit, the negative electrode, the ion exchange unit, and the pressure rise prevention unit; As shown in FIG.
상기 제1 전원 단자와 접촉하여 상기 이온교환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전원 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포트 프레임이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본체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second power source terminal for supplying power to the ion exchange unit in contact with the first power source terminal, wherein the port frame is detachably formed.
상기 저장부에는 저장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may be provided with a water level sensor for measuring the water level of the stored water.
상기 수위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n alarm unit for generating an alarm according to the measured value of the water level sensor.
상기 수위센서로부터 전송받은 측정값이 기설정값 미만이면, 상기 알람부에 알람이 발생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원 단자와 상기 제2 전원 단자가 접촉 시, 상기 이온교환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larm unit to generate an alarm when the measured value transmitted from the water level sensor is less than a preset value,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first power terminal and the second power terminal, And a timer for controlling a time for supplying power to the ion exchange portion.
상기 본체 프레임에는, 상기 제어부로 조작신호가 입력되도록, 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body frame may include a button portion for inputting an operation signal to the control portion.
상기 포트 프레임에는 전원이 충전 가능한 내장배터리가 탑재될 수 있다.
The port frame may be equipped with a built-in battery that can be charged with power.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온 교환을 통한 수소함유수 제조에 있어서, 이온 교환에 따른 생성물에 의하여 저장부 내의 압력이 상승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장치의 내구성이 증대되고 수소함유수의 제조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duction of hydrogen-containing water through ion exchange, the product in ion exchange prevents the pressure in the reservoir from rising, thereby enhancing the durability of the apparatus, ≪ / RTI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포트 프레임이 본체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는 이온교환부의 일어나는 이온 교환 및 양전극과 음전극에 발생되는 생성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이온교환부, 제1 실링부 및 제2 실링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5는 도 4의 점선 표시에 따른 단면도이다.1 is a view showing a hydrogen-containing water 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rt frame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frame.
FIG.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on exchange occurring in the ion exchange portion and the products generated in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ion exchange portion, the first sealing portion, and the second sealing por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dotted line in FIG.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compon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Also,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term "on" means to be located above or below the object portion, and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the object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gravitational direction.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term " coupled " is used not only in the case of direct physical contact between the respectiv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contact relation between the constituent elements, but also means that other constituent elements are interposed between the constituent elements, Use them as a concept to cover each contact.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sizes and thicknesses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ose shown in the drawing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a hydrogen-containing water 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throughout. A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hydrogen-containing water 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10)는 저장부(100), 음수부(200), 이온교환부(300) 및 압력상승방지부(400)를 포함하고,1, a hydrogen-containing water produc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저장부(100)는 저장수(W1)를 수용하는 용기일 수 있다.The
저장부(100)에는 저장수(W1)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수위센서는 저장수(W1)의 수위 측정값을 감지하여 후술하게 될 제어부에 측정값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The
저장부(100)는 저장부(100)를 개폐하는 개폐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The
개폐부(110)는 저장부(100)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개폐부(110)가 탈착되는 저장부(100)의 개방된 부분으로 저장수(W1)를 공급받을 수 있다. The opening and closing
개폐부(100)는 예를 들어 저장부(100)에 체결 또는 분리될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개폐부(110)는 후술하게 될 흡착제(430)를 수용하는 수용프레임(111)을 포함할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수용프레임(111)은 개폐부(110)에 탈착될 수 있다. 수용프레임(111)이 개폐부(110)에 탈착됨으로써 흡착제(430)가 수용프레임(111)으로부터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다.The
음수부(200)는 음수(W2)를 수용하는 용기일 수 있다. 음수부(200)는 저장부(10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음수부(200)는 저장부(100)에 탈착될 수 있다.The
음수부(200)에는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음수부(200)는 사용자가 직접 저장부로부터 분리하여 물을 마실 수 있는 용기일 수 있다. 음수부는 예를 들어 약 2L의 음수(W2)를 수용할 수 있다.A handle may be formed on the
음수부(200)에 수용되는 음수(W2) 및 저장부(100)에 수용되는 저장수(W1)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명칭을 달리하고 있을 뿐 다른 성분으로 이루어진 물질은 아니며, 음수(W2) 및 저장수(W1)는 음용 가능한 물일 수 있다.The negative number W2 received in the
이온교환부(300)는 저장부(100)와 음수부(20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The
이온교환부(300)는 저장수(W1)와 음수(W2) 사이의 이온 교환을 통하여 저장부(100)에 오존을 발생시키고, 음수부(200)에 수소를 발생시킬 수 있다.The
도 3는 이온교환부(300)의 일어나는 이온 교환 및 양전극과 음전극에 발생되는 생성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on exchange occurring in the
도 3을 참조하면, 이온교환부(300)는 양전극(310), 음전극(330) 및 이온교환막(350)을 포함할 수 있다.3, the
양전극(310)은 저장부(100)의 개방된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양전극(310)에는 오존이 발생될 수 있다.The
음전극(330)은 음수부(200)의 개방된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음전극(330)에는 수소가 발생될 수 있다.The
이온교환막(350)은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이에 개재되도록 음수부(200)에 설치될 수 있다. 이온교환막(350)은 이온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킬 수 있다. 이온교환막(350)은 음수(W2)를 투과시키지 않을 수 있다.The
도 3의 수소이온 및 산소이온은 설명 상 편의를 위해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지 반드시 단일이온인 상태로 이온교환막(350)을 투과하는 것은 아니며 수산화이온(OH-)의 상태로 투과될 수도 있다. 또한, 양전극(310) 및 음전극(330)에서 발생되는 생성물을 오존과 수소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으로 마시는 물에 함유되는 금속성 이온과의 반응에 의한 생성물이 존재할 수도 있다.The hydrogen ions and oxygen ions shown in FIG. 3 are schematically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but they may not be permeable to the
도 3을 참조하면, 양전극(310) 및 음전극(330) 사이에서 물의 전기분해를 통하여 산화, 환원 반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수소이온은 음전극(330)으로, 산소이온은 양전극(310)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음전극(330)에서 수소가 발생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소는 물에 대한 용해도가 높으므로 음수(W2)에 용해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oxidation and reduction reactions may be performed between the
한편, 양전극(310)에서는 양전극(310)에 발생된 산소가 저장부(100) 내의 저장수(W1)와 반응하여 아래의 화학식 1과 같이 오존(O3)이 발생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화학식 1][Chemical Formula 1]
O2 + H2O → O3 + 2e- + 2H+ O 2 + H 2 O → O 3 + 2e - + 2H +
오존은 극히 미량으로도 특유의 냄새로 불쾌감을 유발하고, 인체에 유해하므로 가능한 한 존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존은 산소와 비교하여 불안정한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물에 용해되어 분해되거나 자발적으로 환원되어 산소가 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ozone is not present as much as possible because it causes an unpleasant feeling due to a peculiar smell even in a very small amount and is harmful to human body. Since ozone is composed of unstable bonds compared to oxygen, it can be dissolved in water and decomposed or spontaneously reduced to oxygen.
산소는 상온에서 기체로 존재하므로, 이온 교환이 거듭됨에 따라 저장부(100) 내에 기체 상태의 산소가 계속적으로 발생하게 되고, 저장부(100) 내 압력은 상승할 수 있다. 저장부(100) 내 압력 상승은 저장수(W1)의 범람을 야기시키고, 저장부(100) 또는 이온교환부(300)를 손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저장부(100) 내 압력 상승을 방지하여야 한다.Since the oxygen exists as a gas at room temperature, as the ion exchange is repeated, gaseous oxygen is continuously generated in the
압력상승방지부(400)는 저장부(100)에 결합될 수 있다. 압력상승방지부(400)는 오존의 환원으로 발생되는 산소에 의한 저장부(100) 내의 압력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저장부(100) 내 저장수(W1)의 양은 이온 교환이 거듭될수록 점점 줄어들 수 있다.The pressure
압력상승방지부(400)는 배출통로(410) 및 흡착제(430)를 포함할 수 있고, 보조저장소(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sure rise preventing
배출통로(410)는 저장부(100)의 일측에서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The
배출통로(410)는 저장부(100) 내의 산소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100) 내 산소가 배출됨에 따라 저장부(100) 내 압력이 낮아질 수 있다. The
배출통로(410)를 통하여 배출되는 물질은 산소인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산소를 포함한 물질일 수도 있다.Although the material discharged through the
배출통로(410)의 외부로 연장되는 일측은 상향 연장될 수 있다. 배출통로(410)의 외부로 연장되는 일측을 배출구, 배출통로(410)의 저장부(100)와 연결되는 타측을 유입구로 설명하기로 한다.One side extending outwardly of the
배출구는 음수부(200) 최상단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배출구가 음수부(200) 최상단보다 높게 배치됨으로써 배출된 산소가 음수(W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outlet may be disposed higher than the uppermost portion of the
배출통로(410)의 유입구에는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밸브는 저장부(100)로부터 배출되는 산소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밸브는 예를 들어 유량 조절 밸브일 수 있다.A valve may be provided at the inlet of the
배출통로(410)는 이온교환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에 한해서, 저장부(100)에 저장수(W1)를 공급하는 통로가 될 수도 있다. 개폐부(110)를 개폐하기 어려운 경우나 개폐부(110)에 결함이 생긴 경우에 저장부(100)에 저장수(W1)를 공급하는 대안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The
보조저장소(450)는 저장부(100)와 배출통로(41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보조저장소(450)는 저장부(100)로부터 유입된 산소를 보조적으로 수용하는 용기일 수 있다. The
보조저장소(450)는 저장부(100) 내에 발생하는 산소가 다량인 경우, 배출통로(410) 내의 압력 상승으로 인한 배출통로(410) 손상이 방지되도록 산소를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00) 내 압력 상승 또는 저장수(W1)의 공급량 조절 실패로 저장수(W1)가 저장수의 외부로 범람될 우려가 있는 경우, 보조저장소(450)는 저장부(100)에 수용되는 저장수(W1)의 일부를 수용하는 용기가 될 수도 있다.The
보조저장소(450)가 더 포함되는 경우, 밸브는 저장부(100)와 보조저장소(450)를 연결하는 연결통로에 설치될 수 있고, 배출통로(410)의 유입구는 보조저장소(450)에 연결될 수 있다.When the
흡착제(430)는 저장부(100)에 탑재될 수 있다. 흡착제(430)는 저장부(100) 내의 용존 오존을 흡착할 수 있다.The adsorbent 430 may be mounted on the
흡착제(430)와 이온교환부(300) 사이에는 해면체(130)가 개재될 수 있다. 해면체(130)가 개재됨에 따라 저장부(100)에 발생되는 오존이 저장부(100)의 개방된 상부에 잔류시키지 않고 하부로 빠르게 이동될 수 있다. The
구체적으로, 해면체(130)는 이온교환부(300)의 양전극(310)과 흡착제(430) 사이의 매개물일 수 있고, 양 단부가 양전극(310) 및 흡착제(430)에 각각 접촉되어 양전극(430)에서 발생되는 오존을 우선적으로 흡수하여 흡착제(430)에 흡착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해면체(130)는 이온교환부(300)의 양전극(310)과 흡착제(430)에 접촉되는 한에서, 저장부(100) 내에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흡착제(430)는 용존 오존을 흡착하여 냄새로 인한 사용자의 불쾌감 유발을 방지하고 오존이 산소로 분해되는 속도를 지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부(100) 내 압력 상승을 지연시킬 수 있다.The adsorbent 430 adsorbs dissolved ozone to prevent the user's discomfort caused by the odor and delay the rate at which the ozone decomposes into oxygen. Accordingly, the pressure rise in the
흡착제(430)는 개폐부(110)의 수용프레임(111)에 수용될 수 있다. 흡착제(430)는 수용프레임(111)에 수용된 상태에서 개폐부(110)가 저장부(100)를 폐쇄하면서 저장부(100) 내에 탑재될 수 있다. The adsorbent 430 may be received in the receiving
흡착제(430)는 수용프레임(111)이 개폐부(110)에 탈착 가능함에 따라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다. 수용프레임(111)에는 통공이 형성되어 해면체(130)가 흡착제(430)에 접촉되게 할 수 있다.Adsorbent 430 can be easily replaced according to the desorption it is possible to accommodate the
흡착제(430)는 탄소를 포함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흡착제(430)는 블록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adsorbent 430 may be made of a material containing carbon. The adsorbent 430 may be formed in a block shape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s required.
도 4는 이온교환부(300), 제1 실링부(500) 및 제2 실링부(600)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점선 표시에 따른 단면도이다.4 is an enlarged view of the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10)는 제1 실링부(500) 및 제2 실링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4 and 5, a hydrogen-containing water produc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제1 실링부(500)는 양전극(310)과 이온교환막(35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제1 실링부(500)는 저장부(100) 내주면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실링부(500)는 음수부(200) 외부로 음수(W2)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제1 실링부(500)는 절연성 및 방수성이 우수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실링부(500)은 예를 들어 실리콘을 포함하는 물질일 수 있다.The
제2 실링부(600)는 음전극(330)과 이온교환막(35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제2 실링부(600)는 음수부(200) 내주면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실링부(600)는 저장부(100) 외부로 저장수(W1)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제2 실링부(600)는 절연성 및 방수성이 우수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실링부(600)은 예를 들어 실리콘을 포함하는 물질일 수 있다.The
예를 들어, 음수(W2) 및 저장수(W1)는 일반적인 물의 성질을 가지는데, 물의 표면장력에 의한 모세관현상으로 저장수(W1)가 저장부(100)의 내주면을 따라 올라오거나 음수(W2)가 음수부(200)의 내주면을 따라 내려갈 수 있다. 이 경우, 저장수(W1) 및 음수(W1)가 이온교환막(350) 주변에서 서로 뒤섞이거나 이온교환막(350)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제1 실링부(500) 및 제2 실링부(600)는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negative number W2 and the stored water W1 have general water properties. The capillary phenomenon caused by the surface tension of water causes the stored water W1 to rise alo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도 2는 포트 프레임이 본체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rt frame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frame.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10)는 포트 프레임(800) 및 본체 프레임(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hydrogen-containing water produc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포트 프레임(800)은 저장부(100), 음수부(200), 이온교환부(300) 및 압력상승방지부(400)를 수용하는 틀일 수 있다. 포트 프레임(800)은 보조저장소(450)를 수용할 수도 있다.The
포트 프레임(800)은 상기 구성들을 일체로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포트 프레임(800)을 들어올려 음수(W2)를 직접 마시거나 컵에 따라 마실 수 있다.The
포트 프레임(800)의 하부에는 제1 전원 단자(81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원 단자(810)는 후술하게 될 본체 프레임(700)의 제2 전원 단자(710)와 접촉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A
상기 포트 프레임(800)에는 전원이 충전 가능한 내장배터리가 탑재될 수 있다. 포트 프레임(800)에는 지속적인 전원공급원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장소에 제약 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어 휴대성 및 이동성이 증대될 수 있다.The
포트 프레임(800)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별도로 설치된 뚜껑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The upper portion of the
포트 프레임(800)이 있는 경우, 저장부(100)와 맞닿는 포트 프레임(800)의 하부가 개방되어, 저장수(W1)를 공급받을 수 있다. 개폐부(110)는 포트 프레임(800)의 개방된 하부를 개폐할 수도 있다.When the
포트 프레임(800)은 저장부(100), 음수부(200), 이온교환부(300) 및 압력상승방지부(400)를 수용할 수도 있고, 포트 프레임(800) 자체 내에서 구획되어 구획된 부분 각각이 저장부(100), 음수부(200), 이온교환부(300) 및 압력상승방지부(400)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The
본체 프레임(700)은 포트 프레임(800)이 탈착 가능한 거치대일 수 있다.The
본체 프레임(700)에는 제2 전원 단자(710)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 프레임(700)의 제2 전원 단자(710)는 포트 프레임(800)의 제1 전원 단자(810)와 접촉되어 본체 프레임(700)에서 포트 프레임(800)으로 전원을 인가시킬 수 있다.A
본체 프레임(700)은 제1 전원 단자(810)와 제2 전원 단자(710)가 접촉 시, 이온교환부(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온 교환을 일으킬 수 있다.The
본체 프레임(700)은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10)의 구성들을 지지하는 받침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체 프레임(700)의 하부는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 및 측부는 포트 프레임(800)의 탈착 및 거치가 용이하도록 포트 프레임(800)이 접촉되는 내주면이 포트 프레임(800)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10)는 알람부 및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hydrogen-containing water produc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larm unit and a control unit.
알람부는 저장부에 설치된 수위센서의 수위 측정값에 따라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알람부는 예를 들어 LED 조명, 사이렌 등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시로 알람부는 수위 측정값을 스크린 상에 표시할 수도 있고, 이 경우 알람부는 본체 프레임(700)에 설치될 수 있다.The alarm unit can generate an alarm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measurement value of the water level sensor installed in the storage unit. The alarm unit may be, for example, an LED light, a siren, or the like, and may be variously configured as needed. Further, in another example, the alarm unit may display the water level measurement value on the screen, and in this case, the alarm unit may be installed in the
제어부는 알람부에 알람이 발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alarm unit to generate an alarm.
제어부는 수위센서로부터 수위 측정값을 전송받을 수 있다. 수위센서로부터 전송받은 측정값이 기설정값 미만이면, 제어부는 알람부에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값이란, 저장부의 하단으로부터 상부까지의 높이에서 저장수(W1)의 수위가 약 10분의 1만큼의 높이일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기설정값은 변동될 수 있으므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control unit can receive the water level measurement value from the water level sensor. If the measured value transmitted from the water level sensor is less than the preset value, the control unit can generate an alarm in the alarm unit. Here, the preset value may be the height of the stored water W1 at a height from the lower en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unit by about one tenth. However, the preset value may be vari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so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제어부는 본체 프레임(700) 또는 포트 프레임(800)에 설치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be installed in the
제어부는 타이머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timer.
타이머는 제1 전원 단자(810)와 제2 전원 단자(710)가 접촉 시, 이온교환부(3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타이머에 의하여 사용자가 임의대로 설정하여 음수(W2)에 수소가 발생되는 시간이 조절될 수 있다.The timer can control the time for supplying power to the
예를 들어 전원공급 시간을 길게 하는 경우, 음전극(330)에서 발생되는 수소량은 증가될 수 있지만 수소는 밀도가 낮은 물질이므로, 장시간 방치하는 경우 쉽게 증발될 수 있다. 따라서 전원공급 시간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For example, when the power supply time is extended, the amount of hydrogen generated in the
타이머 및 이를 포함하는 제어부는 본체 프레임(700)에 설치되는 버튼부(730)로부터 조작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버튼부(730)는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일 수 있다.The timer and the control unit including the timer can receive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다른 예시로서, 제어부는 버튼부(730)의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전원공급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 unit may receive the operation signal of the
예를 들어 전원공급량을 높게 하는 경우, 양전극(310) 및 음전극(330) 사이의 산화환원 반응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음전극(330)에서 발생되는 수소량이 증가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power supply is increased, the redox reaction between the
버튼부(730)가 조작됨에 따라 전원공급모듈(710)에 전원이 공급 여부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부(730)을 한 번 누르면 전원공급모듈(710)에 전원이 공급되어 이온교환부(300)에서 이온 교환이 일어나게 하여 음수(W2)에 수소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버튼부(730)을 한 번 더 누르면 전원공급모듈(710)에 전원 공급을 차단시킬 수 있다.As the
버튼부(730)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을 구체적인 예시로 들면, 버튼부(730)가 하나인 경우 사용자가 버튼부(730)를 약 3초 간 길게 누르면 제어부는 그 입력신호를 전달받아 전원을 포트 프레임(800)에 인가시키거나 차단시킬 수 있다. 또한, 버튼부(730)를 1회 누를 때마다 전원공급 시간이 1분 단위로 길어지거나 전원공급량이 약 10% 증가될 수 있다. 이는 버튼부(730)의 조작으로 가능한 동작을 예시로 든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만은 아니다.As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it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1: 저장수
W2: 음수
10: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100: 저장부
110: 개폐부
111: 수용프레임
130: 해면체
200: 음수부
300: 이온교환부
310: 양전극
330: 음전극
350: 이온교환막
400: 압력상승방지부
410: 배출통로
430: 흡착제
450: 보조저장소
500: 제1 실링부
600: 제2 실링부
700: 본체 프레임
710: 제2 전원 단자
730: 버튼부
800: 포트 프레임
810: 제1 전원 단자W1: Save count
W2: Negative
10: Hydrogen-containing water producing device
100:
110:
111: receiving frame
130:
200: Negative part
300: ion exchange portion
310: positive polarity
330: Negative polarity
350: ion exchange membrane
400: Pressure rise prevention portion
410: discharge passage
430: adsorbent
450: Secondary storage
500: first sealing portion
600: second sealing portion
700: Body frame
710: Second power supply terminal
730: button portion
800: Port frame
810: first power terminal
Claims (14)
상기 저장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음수를 수용하는 음수부;
상기 저장부와 상기 음수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저장수와 상기 음수 사이의 이온 교환을 통하여 상기 저장부에 오존을 발생시키고, 상기 음수부에 수소를 발생시키는 이온교환부; 및
상기 저장부에 결합되어, 상기 오존의 환원으로 발생되는 산소에 의한 상기 저장부 내의 압력 상승을 방지하는 압력상승방지부;
를 포함하는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stored water;
A negative portion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portion to receive negative water;
An ion exchange portion interposed between the storage portion and the negative portion to generate ozone in the storage portion through ion exchange between the stored water and the negative water and generate hydrogen in the negative portion; And
A pressure rise preventing part coupled to the storage part to prevent a pressure rise in the storage part due to oxygen generated by the reduction of the ozone;
Containing water.
상기 압력상승방지부는,
상기 저장부의 일측에서 외부로 연장되는 배출통로; 및
상기 저장부에 탑재되어 상기 저장부 내의 용존 오존을 흡착하는 흡착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essure rising prevention portion may include:
A discharge passage extending outwardly from one side of the storage portion; And
And an adsorbent mounted on the storage section for adsorbing dissolved ozone in the storage section.
상기 압력상승방지부는
상기 저장부와 상기 배출통로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저장부로부터 유입된 산소를 상기 배출통로로 전달하는 보조저장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ressure rise prevention portion
And an auxiliary reservoir interposed between the storage unit and the discharge passage for transferring the oxygen introduced from the storage unit to the discharge passage.
상기 저장부에는, 상기 저장부에 발생되는 상기 오존이 상기 이온교환부에서 상기 흡착제로 이동되도록, 상기 이온교환부 및 상기 흡착제 사이에 해면체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sponge is interposed between the ion exchange portion and the adsorbent so that the ozone generated in the storage portion is transferred to the adsorbent in the ion exchange portion.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저장부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저장부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흡착제를 수용하는 수용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torage unit
And an opening / closing part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part for opening / closing the storage part,
Wherein the opening / closing portion includes a receiving frame for receiving the adsorbent.
상기 이온교환부는,
상기 저장부의 개방된 상부에 설치되는 양전극;
상기 음수부의 개방된 하부에 설치되는 음전극; 및
상기 양전극과 상기 음전극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음수부에 설치되는 이온교환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on-
A positive electrode disposed on an open top of the storage unit;
A negative electrode provided at an open lower portion of the negative portion; And
And an ion exchange membrane provided in the negative portion so as to be interpos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상기 저장수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상기 양전극과 상기 이온교환막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저장부 내주면에 설치되는 제1 실링부; 및
상기 음수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상기 음전극과 상기 이온교환막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음수부 내주면에 설치되는 제2 실링부;
를 더 포함하는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 first sealing part interpos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ion exchange membrane so as to prevent leakage of the stored water, the first sealing part being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orage part; And
A second sealing part interposed between the negative electrode and the ion exchange membrane to prevent leakage of the negative water, the second sealing part being provid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negative part;
Wherein the hydrogen-containing water produc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하부에 제1 전원 단자가 형성되며, 상기 저장부, 상기 음수부, 상기 이온교환부 및 상기 압력상승방지부를 수용하는 포트 프레임;
을 더 포함하는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ort frame receiving the storage unit, the negative electrode, the ion exchange unit, and the pressure rise prevention unit;
Wherein the hydrogen-containing water produc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상기 제1 전원 단자와 접촉하여 상기 이온교환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전원 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포트 프레임이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본체 프레임;
을 더 포함하는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A main body frame having a second power source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source terminal and supplying power to the ion exchange unit, the port frame being removably formed;
Wherein the hydrogen-containing water produc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상기 저장부에는 저장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torage unit is provided with a water level sensor for measuring the water level of the stored water.
상기 수위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And an alarm unit for generating an alarm according to the measured value of the water level sensor.
상기 수위센서로부터 전송받은 측정값이 기설정값 미만이면, 상기 알람부에 알람이 발생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원 단자와 상기 제2 전원 단자가 접촉 시, 상기 이온교환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alarm unit to generate an alarm if the measured value transmitted from the water level sensor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Wherein the control unit includes a timer for controlling a time for supplying power to the ion exchange unit when the first power source terminal and the second power source terminal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본체 프레임에는, 상기 제어부로 조작신호가 입력되도록, 버튼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main body frame is provided with a button portion for inputting an operation signal to the control portion.
상기 포트 프레임에는 전원이 충전 가능한 내장배터리가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port frame is equipped with an internal battery capable of being charged with power.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37236A KR101748788B1 (en) | 2015-03-18 | 2015-03-18 | Apparatus for manufacturing hydrogen containing water |
PCT/KR2016/001907 WO2016148413A1 (en) | 2015-03-18 | 2016-02-26 | Device for producing hydrogen-containing wa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37236A KR101748788B1 (en) | 2015-03-18 | 2015-03-18 | Apparatus for manufacturing hydrogen containing wat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12120A true KR20160112120A (en) | 2016-09-28 |
KR101748788B1 KR101748788B1 (en) | 2017-06-19 |
Family
ID=56920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37236A KR101748788B1 (en) | 2015-03-18 | 2015-03-18 | Apparatus for manufacturing hydrogen containing water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748788B1 (en) |
WO (1) | WO2016148413A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09665B1 (en) * | 2018-03-23 | 2018-10-18 | 임관덕 | Apparatus for manufacturing hydrogen containing water |
KR20210027988A (en) * | 2019-09-03 | 2021-03-11 | 주식회사 웰텍코리아 | Water purifier for manufacturing hydrogen containing water and ozone containing wat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46046B1 (en) * | 2017-07-12 | 2019-02-08 | 최환선 | Electrolyzed Hydrogen water generating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39106B1 (en) * | 2003-10-09 | 2005-12-26 | 바이오닉스(주) | apparatus for generating reduced water |
KR101100535B1 (en) * | 2009-07-24 | 2011-12-29 | 현대제철 주식회사 | Coil winding shape control device using width direction temperature and its method |
KR101041514B1 (en) * | 2010-04-27 | 2011-06-16 | (주)엘켐텍 | Highly concentrated oxygen water purifier with electrolytic oxygen generator |
KR101036381B1 (en) * | 2011-02-23 | 2011-05-23 | 주식회사 이온팜스 | Alkaline water ionizer |
KR101278455B1 (en) * | 2011-05-23 | 2013-07-01 | 문상봉 | The portable water generator containing hydrogen gas or containing oxygen gas |
KR101442565B1 (en) * | 2014-02-26 | 2014-09-22 | 한동하이드로 주식회사 | Portable Hydrowater Generating Appartus |
-
2015
- 2015-03-18 KR KR1020150037236A patent/KR101748788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6
- 2016-02-26 WO PCT/KR2016/001907 patent/WO2016148413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09665B1 (en) * | 2018-03-23 | 2018-10-18 | 임관덕 | Apparatus for manufacturing hydrogen containing water |
KR20210027988A (en) * | 2019-09-03 | 2021-03-11 | 주식회사 웰텍코리아 | Water purifier for manufacturing hydrogen containing water and ozone containing wat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6148413A1 (en) | 2016-09-22 |
KR101748788B1 (en) | 2017-06-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20982B1 (en) | Water ionizer | |
KR101604804B1 (en) | Hydrogen water generator | |
KR101442565B1 (en) | Portable Hydrowater Generating Appartus | |
KR101748788B1 (en) | Apparatus for manufacturing hydrogen containing water | |
KR101683109B1 (en) | Apparatus for manufacturing hydrogen containing water | |
KR101575164B1 (en) | Apparatus for manufacturing ionic water | |
WO2019061710A1 (en) | Base structure of hydrogen-oxygen-separated electrolysis device and electrolysis device with base structure | |
KR101724631B1 (en) | Hydrogen generating device | |
CN101687158A (en) | Gas generation apparatus | |
KR101748789B1 (en) | Apparatus for manufacturing hydrogen containing water | |
KR101280595B1 (en) | Apparatus for producing acid-ion water | |
KR20190030836A (en) | Hydrogen water generator | |
KR101036381B1 (en) | Alkaline water ionizer | |
KR101695673B1 (en) | Manufacturing apparatus of SPA Hydrogen water | |
KR101446193B1 (en) | Electrode use hydrogen water generation device | |
CN111527240B (en) | Portable gas supply device | |
KR101771166B1 (en) | Apparatus for manufacturing hydrogen containing water | |
KR20160117990A (en) | Portable type hydrogen water supply tank barrel structure | |
WO2018233185A1 (en) | Hydrogen mineral water generator and production method | |
CN107981666B (en) | A new type of hydrogen-rich water cup | |
KR20180130279A (en) | Portable tumblers for manufacturing hydrogen containing water | |
JP2018030095A (en) | Hydrogen water generator and adsorption cartridge for hydrogen water generators | |
KR102315928B1 (en) | Water purifier for manufacturing hydrogen containing water and ozone containing water | |
JP6824509B2 (en) | Hydrogen generator and power generator | |
KR101909665B1 (en) | Apparatus for manufacturing hydrogen containing wa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0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6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6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