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2070A - 기생 정전용량을 감쇄하는 터치 검출 장치를 갖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터치 검출 방법 - Google Patents

기생 정전용량을 감쇄하는 터치 검출 장치를 갖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터치 검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2070A
KR20160112070A KR1020150036800A KR20150036800A KR20160112070A KR 20160112070 A KR20160112070 A KR 20160112070A KR 1020150036800 A KR1020150036800 A KR 1020150036800A KR 20150036800 A KR20150036800 A KR 20150036800A KR 20160112070 A KR20160112070 A KR 20160112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fic
sensor node
sensing line
touch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6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익찬
Original Assignee
크루셜텍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루셜텍 (주) filed Critical 크루셜텍 (주)
Priority to KR1020150036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2070A/ko
Publication of KR20160112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20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H04N13/040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05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lenticular lenses, e.g. arrangements of cylindrical len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으로 이루어지는 입체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입체 영상이 줌 인 될 때, 광투과 영역 및 광차단 영역을 형성하는 패럴렉스 배리어를 포함하며, 상기 패럴렉스 배리어를 구성하는 요소들은 두 개 이상의 층으로 형성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내, 복수의 구동 라인과 감지 라인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센서 노드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의 터치 검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 노드 중 터치 여부 검출 대상이 되는 특정 센서 노드를 제외한 다른 센서 노드에 발생하는 기생 정전용량을 감쇄시키는 감쇄부를 포함하되, 상기 감쇄부는 상기 특정 센서 노드의 검출 시기에 상기 특정 센서 노드를 포함하는 특정 감지 라인의 출력단 전압을 상기 다른 센서 노드에 인가되도록 하는, 터치 검출 장치를 갖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기생 정전용량을 감쇄하는 터치 검출 장치를 갖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터치 검출 방법{TOUCH DETECTING THREE DIMENSIONA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PARASITIC CAPACITANCE}
본 발명은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내의 터치 검출장치에 있어서, 터치를 검출하는 센서 노드의 출력단 전압을 다른 센서 노드에 인가하여 기생 정전용량을 감쇄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A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 기술의 발달로 인해 시청자로 하여금 장면 속에 있는 것과 같이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입체감 실현 기술 또한 개발되고 있다. 즉, 2D 디스플레이에서의 높은 화질 구현에 중점을 두었던 상황에서 3D 디스플레이의 개발로 그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다.
현재 개발된 3D 디스플레이 방식은 안경 방식과 무안경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안경 방식은 편광 안경 방식(Passive Glasses Type)과 셔터 글라스 방식(Shutter Glasses Type)이 대표적이다. 편광 안경 방식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좌안용 영상 및 우안용 영상을 동시에 출력해주고, 사용자는 편광 안경을 이용하여 좌안용 영상은 좌안을 통해서, 우안용 영상은 우안을 통해서 볼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디스플레이가 깜빡거리지 않기 때문에 눈에 피로감을 덜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편광 안경을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화질 저하의 문제가 따르는 단점이 있다. 한편, 셔터 글라스 방식은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을 순차적으로 재생하고, 사용자는 좌/우의 셔터가 번갈아가며 개폐되는 안경을 통해 상기 재생되는 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화질 저하 문제가 상대적으로 덜 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디스플레이가 깜빡이기 때문에 눈에 피로감을 많이 줄 수 있다는 단점을 갖는다.
무안경 방식의 3D 디스플레이 구현 방법에는 대표적으로 렌티큘러 렌즈(Lenticular Lens) 방식과 패럴렉스 배리어(Parallax Barrier) 방식이 있다. 도 1은 렌티큘러 렌즈 방식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렌티큘러 렌즈 방식은 디스플레이 패널(11) 전면에 단면이 반원 형태인 렌즈가 배열된 스크린(12)을 배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에서 나오는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이 각각 스크린(12)을 통해 굴절되어 시청자의 좌안과 우안으로 향하게끔 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렌티큘러렌즈 방식은 제조가 어렵고 그 단가가 비싸며 렌즈의 배치로 인해 시청자의 입장에서는 물결무늬를 느끼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해 무안경 방식의 3D 디스플레이에 있어서는 패럴렉스 배리어 방식이 상대적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도 2a는 패럴렉스 배리어 방식의 3D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21) 전면에 패럴렉스 배리어(22)가 배치된다. 패럴렉스 배리어(22)는 복수의 라인 패턴을 갖는다. 예를 들어, 홀수 라인(a)은 디스플레이 패널(21)에서 나오는 광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슬릿으로서 기능하고, 짝수 라인(b)은 디스플레이 패널(21)에서 나오는 광을 그대로 투과시키는 역할을 하는 슬릿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1)은 좌안용 영상(L)과 우안용 영상(R)이 세로 열 방향으로 교번적으로 배치된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한다. 이 때, 패럴렉스 배리어(22)에 의해 좌안용 영상(L)과 우안용 영상(R) 각각 시청자의 좌안 및 우안으로 입사된다. 이에 따라 시청자는 영상으로부터 입체감을 느낄 수 있는데 이렇게 양안 시차에 의한 입체감을 제공하는 것이 패럴렉스 배리어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패럴렉스 배리어 방식에 있어서는 배리어를 구성하는 슬릿 간의 격차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된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에 대해서만 입체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즉, 동일한 영상에 대해 확대 또는 축소를 하면 배리어에 의해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이 제대로 차단되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입체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문제점이 수반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21)에서 출사되는 영상 프레임이 줌 인(Zoom In) 되는 경우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줌 인이란 원본 영상에서 단위 픽셀이 표현하던 정보를 복수개의 픽셀이 표현하도록 확대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2b는 디스플레이 패널(21)에서 출사되는 영상이 2배 줌 인 된 경우를 나타낸다.
원본 영상은 하나의 픽셀씩 번갈아가며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으로 구성되었었으나, 도 2b를 참조하면, 2배 줌 인 된 경우에는 연속되는 2개의 픽셀에 좌안용 영상이 표시되고 그 다음 2개의 픽셀에 우안용 영상이 표시된다. 영상은 줌 인 되어 확대되었으나, 패럴렉스 배리어(22)에서의 광차단 영역과 광투과 영역의 너비는 변화가 없기 때문에 좌안용 영상 중 일부가 제대로 차단 또는 투과되지 못하고 시청자의 우안으로 입사되고, 우안용 영상 중 일부가 제대로 차단 또는 투과되지 못하고 시청자의 좌안으로 입사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대로 된 입체감을 느낄 수 없게 된다.
한편, 터치 스크린 패널은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에 표시된 문자나 도형을 사람의 손가락이나 다른 접촉 수단으로 접촉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장치로서, 영상 표시 장치 위에 부착되어 사용된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사람의 손가락 등으로 접촉된 접촉 위치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전기적 신호는 입력 신호로서 이용된다.
터치 스크린 패널을 구현하는 방식으로는 저항막 방식, 광감지 방식 및 정전 용량 방식 등이 알려져 있다. 이 중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은 사람의 손 또는 물체가 접촉될 때 도전성 감지 패턴이 주변의 다른 감지 패턴 또는 접지 전극 등과 형성하는 정전 용량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접촉 위치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정전식 터치 스크린 패널의 일 예에 관한 분해 평면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터치 스크린 패널(10)은 투명 기판(12)과 투명 기판(12) 위에 차례로 형성된 제1 센서 패턴층(13), 제1 절연막층(14), 제2 센서 패턴층(15) 및 제2 절연막층(16)과 금속 배선(17)으로 이루어진다.
제1 센서 패턴층(13)은 투명 기판(12) 위에 횡방향을 따라 연결될 수 있으며, 행 단위로 금속 배선(17)과 연결된다.
제2 센서 패턴층(15)은 제1 절연막층(14) 위에 열방향을 따라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센서 패턴층(13)과 중첩되지 않도록 제1 센서 패턴층(13)과 교호로 배치된다. 또한, 제2 센서 패턴층(15)은 열 단위로 금속 배선(17)과 연결된다.
터치 스크린 패널(10)에 사람의 손가락이나 접촉 수단이 접촉되면 제1 및 제2 센서 패턴층(13, 15) 및 금속 배선(17)을 통하여 구동 회로 측으로 접촉 위치에 따른 정전용량의 변화가 전달된다. 그리고 이렇게 전달된 정전용량의 변화가 전기적 신호로 변환됨에 따라 접촉 위치가 파악된다.
제1 센서 패턴층(13) 및 제2 센서 패턴층(15)은 도전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 센서 패턴층은 기판 위에 행 또는 열 방향을 따라 연결된 복수의 라인이 배치될 수 있는데, 제1 센서 패턴층(13)에 배치된 행 방향의 라인들과 제2 센서 패턴층(15)에 배치된 열 방향의 라인들에 의해 형성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통해 터치 스크린 패널(10)에 대한 접촉 수단의 접촉 여부 및 그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각 라인 사이의 거리가 매우 가깝기 때문에, 접촉이 발생한 위치뿐만 아니라 그 주변에도 정전용량들이 발생하게 되어, 접촉 위치의 주변에 발생된 정전용량들이 기생 정전용량으로 작용될 수 있다. 이러한 기생 정전용량은 터치 발생 여부 검출의 정확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을 발생시켜 악영향을 미치게 하므로, 이러한 기생 정전용량을 최소화하여 터치 발생 여부 검출에서의 오류를 방지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입체 영상 표시 장치내의 터치 검출 장치에서, 복수의 센서 노드를 포함하는 터치 검출 장치 및 그 방법에 있어서, 센서 노드에 발생하는 기생 정전용량을 감쇄시켜 터치 여부 검출의 감도가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으로 이루어지는 입체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입체 영상이 줌 인 될 때, 광투과 영역 및 광차단 영역을 형성하는 패럴렉스 배리어를 포함하며, 상기 패럴렉스 배리어를 구성하는 요소들은 두 개 이상의 층으로 형성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내의 복수의 구동 라인과 복수의 감지 라인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센서 노드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의 터치 검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 노드 중 터치 여부 검출 대상이 되는 특정 센서 노드를 제외한 다른 센서 노드에 발생하는 기생 정전용량을 감쇄시키는 감쇄부를 포함하되, 상기 감쇄부는 상기 특정 센서 노드의 검출 시기에 상기 특정 센서 노드를 포함하는 특정 감지 라인의 출력단 전압을 상기 다른 센서 노드에 인가되도록 하는, 터치 검출 장치를 갖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복수의 구동 라인과 복수의 감지 라인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센서 노드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의 터치 검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 노드 중 터치 여부 검출 대상이 되는 특정 센서 노드를 제외한 다른 센서 노드에 발생하는 기생 정전용량을 감쇄시키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센서 노드의 출력단 전압 변화의 차이에 기초하여 터치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감쇄 단계는 상기 특정 센서 노드를 포함하는 특정 감지 라인의 출력단 전압을 상기 다른 센서 노드에 인가되도록 하는, 터치 검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검출 단계는, 상기 특정 감지 라인을 플로팅시킨 상태에서 상기 특정 센서 노드를 포함하는 특정 구동 라인에 인가된 교번전압에 따른 상기 특정 감지 라인의 전압 변화량 검출을 통해 터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 검출 단계는, 상기 특정 감지 라인을 충전한 후 플로팅시키는 단계; 및 상기 특정 구동 라인에 교번전압을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감쇄 단계는 버퍼를 포함하되, 상기 버퍼의 입력단은 상기 특정 감지 라인의 출력단과 연결되고, 상기 버퍼의 출력단은 상기 특정 센서 노드에 포함되는 구동 라인 및 감지 라인을 제외한 다른 구동 라인 및 감지 라인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페럴랙스 배리어 방식의 입체 영상 구현을 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내의 터치 검출 장치에서, 복수의 센서 노드를 포함하는 터치 검출 장치에 있어서, 검출 대상인 센서 노드의 출력단 전압을 다른 센서 노드에 인가함으로써, 기생 정전용량이 감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터치 감도가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렌티큘러 렌즈 방식의 3D 디스플레이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패럴렉스 배리어 방식의 3D 디스플레이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구현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도 4b, 도 5a 및 도 5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구현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일 실시예에 패럴렉스 배리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출력되는 입체 영상의 확대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정전식 터치 스크린 패널의 일 예에 관한 분해 평면도이다.
도 9는 구동 라인과 감지 라인 사이에 형성되는 상호 정전용량에 관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검출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생 정전용량을 감쇄시키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검출부를 예시한 회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검출부의 예시적인 파형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시스템을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3a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지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310)과 그 일측(예를 들면, 전면)에 배치되는 패럴렉스 배리어(320)로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패널(310)에서는 입체 영상용 다시점 영상이 출력된다. 다시점 영상은 영상을 입체적으로 표시하기 위하여 다양한 시점으로부터 획득한 오브젝트에 대한 영상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310)은 좌안용 영상(L)과 우안용 영상(R)이 제1 열 방향(예를 들면, 세로 열 방향)으로 교번적으로 배치된 프레임을 출력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310)은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전계 발광 표시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플라즈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Panel) 또는 전기 발광 표시 장치(Electroluminescent Display)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패럴렉스 배리어(320)는 디스플레이 패널(310)에서 출력되는 다시점 영상의 일 방향 빛은 투과시키면서, 타 방향 빛은 차단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입체 영상을 구성하는 픽셀에 투사되는 빛 중 좌안으로 시청할 수 있는 방향의 빛을 투과시키면서, 우안으로 시청할 수 있는 방향의 빛은 차단시킨다. 반대로 좌안으로 시청할 수 있는 방향의 빛을 차단시키면서, 우안으로 시청할 수 있는 방향의 빛은 투과시킬 수도 있다. 결국 하나의 픽셀에 대해서 시청자는 좌안 또는 우안 중 하나로만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패럴렉스 배리어(320)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전극(321)을 포함한다. 각각의 전극(321)은 디스플레이 패널(310)에서 좌안용 영상(L)과 우안용 영상(R)의 길이 방향, 즉, 영상의 상하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각 전극(321)의 너비(W1)는 디스플레이 패널(310)에서 기본적으로 출력되는 좌안용 영상(L) 및 우안용 영상(R)의 너비(W2), 즉, 단위 픽셀의 너비와 동일할 수 있으나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각 전극(321) 간의 간격이 없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각 전극(321) 간에 미세한 간격이 형성될 수도 있다.
각 전극(321)에 해당하는 영역은 액정셀(Liquid Crystal Cell)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패럴렉스 배리어(320)는 복수의 상부 전극(321), 상기 상부 전극(321)들과 대향하는 하부 전극(미도시됨), 상부 전극(321)과 하부 전극 사이의 액정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 전극(321)과 하부 전극에는 제어 회로(330)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제어 회로(330)는 상부 전극(321)에 대해 선택적으로 구동 신호를 인가하거나 접지시킨다. 상부 전극(321)에 구동 신호가 입력되면 대향하는 하부 전극과의 관계에서 전위차가 형성되고, 그 영역의 액정층은 턴 온되어 광투과 영역을 형성한다. 반대로, 상부 전극(321)이 접지되면 그 영역의 액정층이 턴오프되어 광차단 영역을 형성한다. 전극(321)들은 투명 전극(예를 들면, ITO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310)에서 출사되는 영상 프레임은 도 3a에 도시되는 것처럼 픽셀별로 좌안용 영상(L)과 우안용 영상(R)이 교대로 배열되어 구성된다. 이 때, 패럴렉스 배리어(320)의 홀수 번째 전극(321a)이 접지되면, 홀수 번째 전극(321a)에 해당하는 영역은 광차단 영역이 되고, 접지되지 않은 짝수 번째 전극(321b)에 해당하는 영역은 모두 광투과 영역이 된다. 좌안용 영상(L) 및 우안용 영상(R)은 각각 패럴렉스 배리어(320)에 의해 투과 또는 차단되어 시청자의 좌안 및 우안에만 입사된다.
본 발명은 원본 영상의 줌 인 또는 줌 아웃에 따라 패럴렉스 배리어의 광차단 영역과 광투과 영역도 변화되도록 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는 도 3a의 원본 영상이 2배 줌 인 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4b는 이 때 패럴렉스 배리어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310)에 표시되는 원본 영상이 2배 줌 인 됨에 따라 좌안용 영상(L)과 우안용 영상(R)의 너비가 2배가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원본 영상에서의 좌안용 영상(L)과 우안용 영상(R)의 너비가 한 픽셀의 너비와 동일했다면, 2배 줌 인 되었을 때 각 영상(L, R)의 너비는 두 픽셀의 너비와 같아진다. 예를 들어, 800×480 픽셀 사이즈의 영상을 2배 줌 인 한 경우에는 해당 영상이 1600×960 픽셀 사이즈가 된다.
이 때, 패럴렉스 배리어(320)의 전극(321)에 인가되는 신호가 바뀌게 된다. 구체적으로, 영상이 줌 인 된 정도에 따라 각각의 전극(321)에 구동 신호 및 접지 신호가 인가되는 주기가 가변된다. 영상이 N배 줌 인 된 경우, N개의 전극(321)에 연속하여 구동 신호 또는 접지 신호가 인가되게 된다. 즉, N개의 전극(321)에 연속으로 구동 신호가 인가되고, 그 다음 N개의 전극(321)에는 접지 신호가 인가되어, N개씩의 전극(321)이 번갈아가며 광투과 영역 및 광차단 영역을 형성한다. 도 4a에 도시된 예를 들어 설명하면, 영상이 원본 영상 대비 2배 줌 인 된 경우에는 패럴렉스 배리어(320)의 첫번째 전극(321a)과 두번째 전극(321b)에는 접지 신호가 입력되어 광차단 영역을 형성하게 되고, 세번째 전극(321c)과 네번째 전극(321d)에는 구동 신호가 입력되어 광투과 영역을 형성하게 된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310)에서 출사되는 영상이 N배 줌 인 됨에 따라 패럴렉스 배리어(320)의 광투과 영역 및 광차단 영역의 너비 또한 N배가 되며, 이에 따라, N배 확대된 좌안용 영상은 패럴렉스 배리어(320)에 의해 정확히 차단 또는 투과되어 시청자의 좌안에 입사되고, N배 확대된 우안용 영상은 패럴렉스 배리어(320)에 의해 정확히 차단 또는 투과되어 시청자의 우안에 입사된다.
이러한 동작을 위해 영상이 원본 영상 대비 N배 줌 인 되었다는 사실을 인지하여야 하는데, 그 동작은 제어 회로(330) 또는 이와는 다른 컨트롤러(미도시됨)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1024×768 픽셀의 해상도를 갖는 원본 영상이 2048×1536 픽셀 사이즈로 확대되어 표시되는 경우라면, 영상이 2배 확대되었다는 것을 인지하여 패럴렉스 배리어(320)의 전극(321)에 구동 신호 또는 접지 신호를 적절하게 인가해준다.
도 5a 및 도 5b는 도 3a에 도시되는 원본 영상이 4배 줌 인 된 상태에서의 패럴렉스 배리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원본 영상 대비 4배 줌 인 된다면, 좌안용 영상(L)과 우안용 영상(R)의 너비가 각각 4배로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패럴렉스 배리어(320)의 전극(321)에 있어서는 4개씩의 전극(321)들에 번갈아 가면서 접지 신호와 구동 신호가 인가되게 된다. 예를 들면,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첫번째 전극(321a)으로부터 네번째 전극(321d)까지 모두 접지 신호가 공급되고, 다섯번째 전극(321e)으로부터 연속해서 여덟번째 전극(321h)까지 구동 신호가 공급될 수 있다.
즉, 영상이 4배 줌인 될 때 각각의 광투과 영역 및 광차단 영역 또한 적응적으로 4배로 확대되어 입체감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에서는 패럴렉스 베리어(320)의 전극(321)이 일층으로 형성되는 경우만을 도시하였으나, 전극(321) 간의 간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각각의 전극은 2개 이상의 층으로 형성되는 형태, 즉, 적층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a 및 도 6b는 패럴렉스 베리어(320)의 전극(321)이 2개의 층으로 구현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도 3a의 원본 영상이 2배 줌 인 된 경우의 전극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b는 도 3a의 원본 영상이 4배 줌 인 된 경우의 전극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전극(321) 중 일부 전극, 예를 들면, 홀수번째 전극(321a, 321c)이 제1 층에 형성되고, 짝수번째 전극(321b, 321d)들은 제2 층에 형성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2개의 층으로 형성되는 경우만을 예로 들었으나, 3개 이상의 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전극(321)이 다층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영상 줌 인에 따른 전극(321)에의 신호 인가는 동일하게 동작한다. 영상이 2배 줌 인 된 경우에는 도 6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두개씩의 전극에 번갈아 가면서 접지 신호와 구동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또한, 영상이 4배 줌 인 된 경우에는 도 6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연속하여 네개씩의 전극에 번갈아 가면서 접지 신호와 구동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이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이러한 신호 인가에 따라서, 전극(321)이 적층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전체 패럴렉스 베리어(320)는 단층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와 동일하게 광차단 영역 및 광투과 영역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원본 영상이 줌 인 될 때 그 기준점의 위치에 따라 패럴렉스 배리어(320)에서도 기준이 되는 전극(321)이 특정될 수 있다.
도 7은 원본 영상이 동일한 배율로 줌 인 되는 경우일지라도 그 기준점이 각각 상이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도 7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원본 영상이 확대되되 디스플레이 패널(310)의 좌측 상단을 기준점으로 확대되는 경우를 가정해보자. 디스플레이 패널(310)에 원본 영상이 표시될 때 패널 최좌측 영상이 좌안용 영상이었다면, 확대된 영상에서도 디스플레이 패널(310)의 최좌측에서 출사되는 영상은 좌안용 영상일 것이다. 따라서, 패럴렉스 배리어에서도 최좌측 전극이 기준 전극이 되어야 할 것이며, 이 전극에 인가되는 신호는 확대에 따라 바뀌지 않아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영상이 N배 줌 인 되는 경우, 패럴렉스 배리어를 구성하는 전극들에는 N개씩 연속하여 구동 신호 또는 접지 신호 중 어느 하나가 인가되어야 할 것인데, 기준 전극에 인가되는 신호는 영상이 N배 줌 인 되기 전과 후에 변함이 없어야 한다. 기준 전극은 해당 전극을 포함하며 동일한 신호가 인가되는 연속되는 전극들의 그룹 중 중간 지점의 전극 또는 이와 최근접 위치에 존재하는 전극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동작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310)에서 출력되는 영상이 확대되는 기준점과, 패럴렉스 배리어가 형성하는 광투과 영역 및 광차단 영역의 너비가 확대되는 기준점이 일치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도 6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310)의 우측 상단을 기준점으로 영상이 확대되는 경우에는, 패럴렉스 배리어를 구성하는 전극 중 N번째 전극을 특정하기 위한 시작점이 되는 전극이 최우측 전극이 되어야 할 것이다.
도 6의 (c), (d)에 도시되는 경우도 동일한 이유에 의해 각각 최좌측 전극 및 최우측 전극이 N번째 전극 특정을 위한 시작점이 되는 기준 전극이 되어야 한다.
한편, 도 6의 (e)는 디스플레이 패널(310)의 특정 지점(예를 들면, 중앙 지점)을 기준으로 원본 영상이 확대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 때에도 역시 해당 지점과 가장 인접해 있는 전극이 기준 전극이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터치 검출 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생 정전용량을 감쇄시켜 터치 감도를 향상시키는 터치 검출 방식과 관련된다.
이하에서는, 서로 교호적으로 배치된 구동 라인과 감지 라인 사이에 발생하는 상호 정전용량(Cm; Mutual Capacitance)을 이용한 터치 검출 방식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구동 라인과 감지 라인 사이에 형성되는 상호 정전용량에 관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도체 사이에는 플럭스(Flux)의 흐름에 따라 전기장(Electric Field)이 형성되고, 이 값에 의해 상호 간의 고유한 커패시턴스, 즉 상호 정전용량(Cm)이 형성된다.
도 9와 같이, 제1 도체(210)와 제2 도체(220)를 포함하는 구조의 상면에 임의의 도체(예를 들어, 제1 도체(210)와 제2 도체(220)가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TSP)을 이루는 구성요소로 가정했을 경우에는 손가락 등)에 의한 접촉이 이루어지면 접촉 물체가 흡수하는 전기 플럭스(Electric Flux)의 양에 비례하여 제1 도체(210)와 제2 도체(220) 간의 상호 정전용량(Cm)의 값이 변화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은 이러한 도체(210, 220) 간의 상호 정전용량(Cm)의 변화를 감지하여 터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터치 검출을 수행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을 뮤추얼(Mutual) 방식의 터치 스크린 패널이라고 한다. 이러한 뮤추얼 방식의 터치 스크린 패널은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구동 라인 및 터치 검출을 위한 신호 감지 지점을 제공하는 감지 라인을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구동 라인과 감지 라인은 서로 접하지 않도록 교호적으로 배치되는데, 이러한 구동 라인과 감지 라인을 각각 도 9의 제1 도체(210) 및 제2 도체(220)에 대응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검출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검출 장치는 터치 패널(100)과 구동 장치(200)를 포함한다.
터치 패널(100)은 복수의 센서 노드(110)를 포함하는데, 센서 노드(110)는 복수의 구동 라인(120), 복수의 구동 라인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감지 라인(130) 및 구동 라인과 감지 라인의 교차점에 형성되는 복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구동 라인(120)과 복수의 감지 라인(130)은 복수의 다이아몬드 모양 또는 막대 모양이 일렬로 배치된 규칙적인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구동 라인(120)과 감지 라인(130)이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된 뮤추얼(Mutual) 방식의 터치 패널(100)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 되는 것은 아니며, 구동 라인(120)과 감지 라인(130)이 동일한 층에 형성된 뮤추얼 방식의 터치 패널을 포함한다.
센서 노드(110)는 두 개의 패턴층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제1 패턴층은 기판 위에 열 방향을 따라 연결된 복수의 구동 라인(120)이 배치될 수 있으며, 열 단위로 신호 배선(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패턴층은 행 방향을 따라 연결된 복수의 감지 라인(130)이 배치될 수 있으며, 행 단위로 신호 배선(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패턴층과 제2패턴층 사이에는 절연 물질로 이루어진 절연막층이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구동 라인과 감지 라인이 배치되는 방향은 서로 바뀔 수 있다. 즉, 열 방향에 복수의 감지 라인이 배치되고, 행 방향에 복수의 구동 라인이 배치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센서 노드(110)는 한 개의 기판 위에 행 방향의 패턴 및 열 방향의 패턴을 포함할 수 있으며, 행 방향의 패턴과 열 방향의 패턴이 교차하는 부분에 절연 물질이 형성될 수 있다.
구동 라인(120)은 전원(예를 들어, 교번전압)이 인가되며, 감지 라인(130)은 터치 검출을 위한 영역이다. 예를 들어, 구동 라인(120)에는 소정 주파수로 교번하는 교번전압이 인가되고, 감지 라인(130)은 교번전압에 응답하여 터치 상태에 따른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구동 장치(200)는 터치 검출부(210) 및 감쇄부(220)를 포함한다.
터치 검출부(210)는 센서 노드(110), 즉 센서 노드(110)를 형성하는 구동 라인(120) 및 감지 라인(130) 사이에 발생하는 상호 정전용량(Cm)의 변화로 터치 발생 여부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특정 센서 노드의 터치 여부를 검출하는 경우, 터치 검출부(210)는 특정 센서 노드에 포함되는 구동 라인 및 감지 라인 사이에 발생하는 상호 정전용량(Cm)을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특정 센서 노드를 포함하는 구동 라인에는 교번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감쇄부(220)는 복수의 센서 노드(110) 중 현재 터치 여부 검출 대상이 되는 특정 센서 노드를 포함하는 특정 감지 라인의 출력단 전압을 다른 센서 노드에 공급한다. 이로 인해, 감쇄부(220)는 복수의 센서 노드 중 터치 여부 검출 대상이 되는 특정 센서 노드를 제외한 다른 센서 노드에 발생하는 기생 정전용량(Cp)을 감쇄시킬 수 있다. 여기서, 기생 정전용량(Cp)은 센서 노드(110)에 부수되는 정전용량을 의미하는 것으로 센서 노드(110), 신호 배선(120) 등에 의해 형성되는 일종의 기생 용량이다. 기생 정전용량(Cp)은 터치 검출부(210), 터치 패널, 영상 표시 장치에 의해 발생하는 임의의 기생 용량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센서 노드에 발생하는 상호 정전용량(Cm)은 터치 여부를 검출하는데 이용된다. 하지만, 도 10에 도시된 터치 패널(100)의 경우, 터치 여부 검출 대상인 특정 센서 노드 뿐만 아니라, 다른 센서 노드에도 상호 정전용량(Cm’)이 발생하기 때문에, 특정 센서 노드를 제외한 다른 센서 노드에 발생한 상호 정전용량(Cm’)의 총합이 기생 정전용량으로 작용하게 된다. 예를 들어, 터치 여부 검출 대상이 ‘Tx2Rx2’ 센서 노드인 경우, ‘Tx2Rx2’ 센서 노드를 교차하는 구동 라인(Tx2) 및 감지 라인(Rx2) 사이에 상호 정전용량(Cm)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각 구동 라인(Tx1, Tx2, Tx3, …, Txn)과 각 감지 라인((Rx1, Rx2, Rx3, …, Rxn)이 교차하는 다른 센서 노드(Tx1Rx1, Tx1Rx2, …, TxnRxn)들에도 상호 정전용량(Cm’)이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터치 여부 검출 대상인 특정 센서 노드를 제외한 다른 센서 노드에 발생하는 상호 정전용량(Cm’)들은 특정 센서 노드에 대한 터치 여부를 검출하는데 있어, 기생 정전용량(Cp)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감쇄부(220)를 이용하여 이러한 기생 정전용량(Cp)을 감쇄시켜 터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정전용량이 발생하는 원리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서로 다른 극성으로 대전된 도체의 근처가 유전율(ε)을 갖는 물질로 둘러싸여 있을 때, 각 도체 간 전위의 크기에 따라 도체에 모이는 전하의 양(Q)을 정전용량(C)이라고 한다. 즉, 정전용량(C)은 다음의 [수학식 1]으로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1]
C=ε*A/d
[수학식 1]을 참조하면, 정전용량(C)은 도체의 면적(A)에 비례하고 도체 사이의 거리(d)에 반비례한다.
도 3에 도시된 터치 검출 장치에 있어서, 센서 노드의 제1패턴층과 제2패턴층 사이에는 유리(Glass) 또는 OCA 등과 같은 유전 물질이 존재하며, 제1패턴층과 제2패턴층은 서로 이러한 유전 물질을 통해 절연되어 있다. 제1패턴층과 제2패턴층에 배치된 구동 라인 또는 감지 라인은 도체로 형성되며, 터치 검출 장치는 수많은 도체와 그 주변에 존재하는 유전 물질을 포함하는 구조, 즉, 정전용량을 형성하는 커패시터 구조를 갖게 된다.
각 도체(구동 라인 또는 감지 라인)의 넓이와 도체 간 거리, 도체 사이에 존재하는 유전물질의 유전율(ε)에 의해 원하지 않는 정전용량이 형성되게 되며, 이러한 정전용량이 기생 정전용량(Cp)이 된다. 예를 들어, 특정 센서 노드의 상호 정전용량(Cm) 외에 다른 센서 노드에 의해 발생하는 상호 정전용량(Cm’)들이 기생 정전용량(Cp)이 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센서 노드에 포함된 구동 라인 및 감지 라인이 행 또는 열로 밀집하여 배치되는 터치 스크린 패널에서는 도체의 배열이 매우 조밀하고, 또한, 다수가 분포되어 있으므로, 이에 따라 발생하는 기생 정전용량(Cp)의 양은 매우 커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기생 정전용량(Cp)을 감쇄 또는 보상하는 것은 터치 스크린 패널에 있어서 터치 검출과 관련된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생 정전용량을 감쇄시키는 감쇄부(220)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기생 정전용량 감쇄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감쇄부(220)는 복수의 센서 노드 중 현재 터치 여부 검출 대상이 되는 센서 노드(Tx2Rx2)를 포함하는 특정 감지 라인(Rx2)의 출력단 전압을 다른 센서 노드(Tx1Rx1, Tx1Rx2, …, TxnRxn)에 공급한다. 즉, 감쇄부(220)는 복수의 센서 노드 중 현재 터치 여부 검출 대상이 되는 센서 노드(Tx2Rx2)를 포함하는 특정 감지 라인(Rx2)의 출력단 전압을 특정 센서 노드(Tx2Rx2)에서 교차되는 구동 라인(Tx2) 및 감지 라인(Rx2)을 제외한 다른 구동 라인(Tx1, Tx3, …, Txn) 및 감지 라인(Rx1, Rx3, …, Rxn)에 각각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감쇄부(220)는 격리되어 배치되는 각 구동 라인(Tx1, Tx2, Tx3, …, Txn) 또는 각 감지 라인(Rx1, Rx2, Rx3, …, Rxn) 간의 쇼트(short) 방지 등을 위한 버퍼(22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터치 검출 대상으로 선택된 센서 노드을 포함하는 특정 감지 라인의 출력단 전압이 감쇄부(220)의 버퍼(221)를 거쳐 다른 구동 라인 및 감지 라인들로 입력된다. 즉, 버퍼(221)의 입력단은 현재 터치 검출 대상이 되는 센서 노드(Tx2Rx2)를 포함하는 특정 감지 라인(Rx2)의 출력단과 연결되고, 버퍼(221)의 출력단은 특정 구동 라인(Tx2) 및 특정 감지 라인(Rx2)을 제외한 구동 라인(Tx1, Tx3, …, Txn) 및 감지 라인(Rx1, Rx3, …, Rxn)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특정 센서 노드(Tx2Rx2)를 포함하는 특정 감지 라인(Rx2)의 출력단 전압이 특정 센서 노드(Tx2Rx2)에서 교차되는 구동 라인(Tx2) 및 감지 라인(Rx2)을 제외한 다른 구동 라인(Tx1, Tx3, …, Txn) 및 감지 라인(Rx1, Rx3, …, Rxn)에 모두 공급될 수도 있으나, 그 중 일부인 구동 라인 및 감지 라인에 공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감쇄부(220)는 특정 센서 노드(Tx2Rx2)를 포함하는 특정 감지 라인(Rx2)의 출력단 전압을 특정 센서 노드(Tx2Rx2)와 인접한 다른 센서 노드에서 교차되는 구동 라인(Tx1, Tx3) 및 감지 라인(Rx1, Rx3)에 공급할 수 있다.
감쇄부(220)에 의해 기생 정전용량이 감쇄되는 이유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2개의 도체와 그 사이에 존재하는 유전 물질로 이루어지는 커패시터 구조에 있어서, 해당 구조에 충전되는 전하량(Q)은 Q=CV와 같은 수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C는 해당 구조의 정전용량 값이며, V는 양 도체 사이의 전위차이다.
상기 수식에서, 전압(V)을 0에 가깝도록 수렴시키면, 도체간 전위 차에 의해 끌려지는 전하량(Q)도 0에 가깝게 수렴시킬 수 있다. 정전용량(C)은 전하의 충전 능력에 비례하는 것이므로, 충전되는 전하량(Q)이 0에 가깝게 된다면, 도체 간 관계에 의해 형성되는 정전용량(C)도 0에 가깝게 수렴한다는 의미가 된다.
다시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의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특정 센서 노드(Tx2Rx2)에 대해 터치 여부 검출을 하는 경우, 해당 센서 노드(Tx2Rx2)를 포함하는 감지 라인(Rx2)과 주변에 존재하는 구동 라인(Tx1, Tx3, …, Txn) 및 감지 라인(Rx1, Rx3, …, Rxn)의 전위를 동일 레벨에 가깝도록 제어하여, 터치 여부 검출에 영향을 미치는 기생 정전용량(Cp)을 ‘0’에 가깝도록 보상하는 것이다.
예컨대,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센서 노드들 중 현재 터치 검출 대상이 되는 센서 노드(Tx2Rx2)를 포함하는 특정 감지 라인(Rx2)의 출력단 전압을 감쇄부(220)의 버퍼(221)를 통해, 특정 구동 라인(Tx2) 및 특정 감지 라인(Rx2)을 제외한 다른 구동 라인(Tx1, Tx3, …, Txn) 및 감지 라인(Rx1, Rx3, …, Rxn)에 각각 인가하면, 특정 감지 라인(Rx2), 다른 구동 라인(Tx1, Tx3, …, Txn) 및 감지 라인(Rx1, Rx3, …, Rxn) 간 전위차가 최소화되며, 이에 따라, 센서 노드에 발생하였던 기생 정전용량이 효과적으로 감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감쇄부(220)를 통해 기생 정전용량(Cp) 중 가장 크게 기여하는 부분, 즉, 특정 센서 노드 외의 다른 센서 노드에 형성되는 상호 정전용량(Cm’)이 최소한으로 감쇄될 수 있다.
한편, 버퍼(221)는 현재 터치 여부 검출 대상이 되는 센서 노드(Tx2Rx2)를 포함하는 감지 라인(Rx2)과 다른 구동 라인(Tx1, Tx3, …, Txn) 또는 감지 라인(Rx1, Rx3, …, Rxn) 간 쇼트의 방지, 신호의 조정 및 간섭 방지 등의 기능을 하는 버퍼 증폭기(Buffer Amplifier)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검출 대상인 센서 노드(Tx2Rx2)를 포함하는 감지 라인(Rx2)의 출력단 전압을 그대로 다른 구동 라인(Tx1, Tx3, …, Txn) 및 감지 라인(Rx1, Rx3, …, Rxn)에 인가해주어 센서 노드 간 전위를 동일 레벨로 만들어야 하므로, 버퍼 증폭기의 이득은 1이 되어야 하나,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다. 즉, 센서 노드 간 전위차를 ‘0’에 가깝게 하기 위해 감쇄부(220)에 포함되는 버퍼(221)의 이득은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감쇄부(220)에 의해 다른 센서 노드에 발생하는 기생 정전용량 발생이 억제될 수 있고, 이로 인해, 기생 정전용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터치 발생 여부 검출의 감도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검출부를 예시한 회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검출부의 예시적인 파형도이다.
터치 검출부(210)는 충전부(212) 및 교번전압 생성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충전부(212)는 감지 라인(130)을 충전 후 플로팅시킨다. 구체적으로, 충전부(212)는 감지 라인(130)에 연결되어 충전 신호(Vb)를 공급한다. 충전부(212)는 온/오프 제어단자에 공급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3단자 형의 스위칭 소자이거나, 제어신호에 따라 신호를 공급하는 OP-AMP 등의 선형 소자일 수 있다.
교번전압 생성부(214)는 구동 라인(120)에 교번전압(KB)을 인가한다. 즉, 교번전압 생성부(214)는 소정 주파수로 교번하는 교번전압(KB)을 구동 라인(120)의 출력단에 인가하여 전위를 변동시킨다. 교번전압 생성부(214)는 듀티비(duty ratio)가 동일한 클록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으나, 듀티비가 상이한 교번전압을 생성할 수도 있다.
충전부(212)를 턴 온 시킨 상태에서 충전부(212)의 입력단에 충전 신호(Vb)를 인가하면, 감지 라인(130)이 충전된다. 이 후, 충전부(212)를 턴 오프 시키면 감지 라인(130)에 충전된 신호는 별도로 방전시키지 않는 한 충전된 상태로 고립된다. 이러한 고립 상태를 플로팅(Floating) 상태라 칭한다.
즉, 플로팅 상태는, 충전부(212)에 의해 턴 온 시켜 전하를 충전시킨 후, 충전부(212)를 턴 오프 시켜 충전된 신호가 별도로 방전시키지 않는 한 충전된 상태에서 고립된 상태를 의미한다.
이 때, 충전된 전하를 안정적으로 고립시키기 위하여 감지 라인(130)의 입력단은 하이 임피던스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센서 노드(110)에 배치된 감지 라인(130)에서 분기된 하나 이상의 라인의 두께가 구동 라인(120)에서 분기된 하나 이상의 라인의 두께보다 작도록 하여, 하이 임피던스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감지 라인(130)이 플로팅 상태일 때, 구동 라인(120)에 공급되는 교번전압(KB)이, 예를 들면 0V에서 5V로 상승하면 감지 라인(130)의 출력 노드에서의 출력 전압(Vo)은 순간적으로 상승되고, 다시 교번전압이 5V에서 0V로 하강하면 출력 전압(Vo)의 레벨은 순간적으로 강하된다. 이 때의 전압 레벨의 상승과 강하는 연결된 정전용량에 따라 상이한 값을 갖게 된다. 이렇게 연결된 정전용량에 따라 전압 레벨의 상승 값 또는 하강 값이 바뀌는 현상은 "kick-back"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터치 스크린 패널에 발생하는 터치를 검출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충전부(212)가 충전 신호(Vb)를 인가하여 감지 라인(130)을 충전한다. 충전 신호(Vb)는 계속적으로 하이 신호를 유지할 수도 있고, 도 1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일정 주파수를 갖는 클록 신호 형태가 될 수도 있다.
충전부(212)의 스위치(SW)가 온 상태가 될 때 충전 신호(Vb)가 인가되어 감지 라인(130)을 충전할 수 있다. 스위치(SW)는 일정 주파수를 가지며, 온/오프 전환될 수 있다.
이후, 스위치(SW)가 오프 상태가 되면, 감지 라인(130)에 충전 신호(Vb)가 충전된 상태에서 고립되어 플로팅 상태가 될 수 있다.
이 때, 구동 라인(120)에 공급되는 교번전압(KB)의 레벨이 바뀌게 되면, 감지 라인(130)의 출력 노드 전압(Vo)의 레벨이 바뀌게 된다. 예를 들어, 교번전압(KB)이 5V에서 0V로 하강하면, 감지 라인(130)의 출력 노드 전압(Vo) 또한 하강하게 되고, 반대로, 교번전압(KB)이 0V에서 5V로 상승하면, 감지 라인(130)의 출력 노드 전압(Vo)도 상승하게 된다.
터치 미발생인 경우를 가정해보면, 감지 라인(130)의 플로팅 상태에서 구동 라인(120)에 공급되는 교번전압(KB)이 0V로 하강하면 감지 라인(130)의 출력 노드 전압(Vo)이 순간적으로 하강하게 된다.
한편, 터치가 발생한 경우를 가정해보면, 감지 라인(130)의 플로팅 상태에서 구동 라인(120)에 인가된 교번전압(KB)이 0V로 하강하면, 감지 라인(130)의 출력 노드 전압(Vo)이 하강하기는 하지만 터치 미발생인 경우보다 그 하강폭이 작게 형성된다.
즉, 도 13을 참조하면, 감지 라인(130)이 플로팅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동안 구동 라인(120)에 교번전압(KB)을 인가해줄 때, 감지 라인(130)의 출력 노드(Vo) 전압의 변화량(ΔV)은 비터치시와 터치시에 상이하게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감지 라인(130)과 구동 라인(120) 사이에서 형성되는 상호 정전용량(Cm)의 변화에 의해 터치가 발생한 경우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 감지 라인(130)의 출력 노드 전압 변화량(ΔV) 값이 다르게 되기 때문이다.
이 때, 도 13의 파형도와 같이 스위치(SW)의 온/오프 전환과 구동 라인(120)에 인가되는 교번전압은 동일한 타이밍으로 기동하여도 터치와 비터치 간의 감지 라인(130)의 전압 변화량(ΔV)을 획득할 수 있으므로, 터치 검출 장치 내부(예를 들어 컨트롤러 등)의 동일 신호를 사용할 수도 있다.
터치정전용량(Ct)을 이용하여 터치를 검출하는 방식은 손가락 등이 터치시 발생하는 터치 노이즈에 의해 센서 노드(110)에서 검출되는 출력 전압(Vo)에 영향을 미치게 되나, 본 발명에 따른 터치 검출 장치는 구동 라인(120)과 감지 라인(130)에 의해 형성되는 상호 정전용량(Cm)이 터치정전용량(Ct)을 대신하도록 하여 터치 노이즈에 따른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검출 장치는 터치정전용량(Ct)을 대신하여 상호 정전용량(Cm)의 변화에 따라 터치를 검출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터치 패널
110: 센서 노드
130: 감지 라인
200: 구동 장치
310: 디스플레이 패널
320: 패럴렉스 배리어
321: 전극

Claims (9)

  1.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으로 이루어지는 입체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입체 영상이 줌 인 될 때, 광투과 영역 및 광차단 영역을 형성하는 패럴렉스 배리어를 포함하며, 상기 패럴렉스 배리어를 구성하는 요소들은 두 개 이상의 층으로 형성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구동 라인과 복수의 감지 라인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센서 노드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의 터치 검출 장치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센서 노드 중 터치 여부 검출 대상이 되는 특정 센서 노드를 제외한 다른 센서 노드에 발생하는 기생 정전용량을 감쇄시키는 감쇄부를 포함하되,
    상기 감쇄부는 상기 특정 센서 노드의 검출 시기에 상기 특정 센서 노드를 포함하는 특정 감지 라인의 출력단 전압을 상기 다른 센서 노드에 인가되도록 하는, 터치 검출 장치를 갖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감지 라인을 플로팅시킨 상태에서 상기 특정 센서 노드를 포함하는 특정 구동 라인에 인가된 교번전압에 따른 상기 특정 감지 라인의 전압 변화량 검출을 통해 터치를 검출하는 터치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검출부는,
    상기 특정 감지 라인을 충전한 후 플로팅시키는 충전부; 및
    상기 특정 구동 라인에 교번전압을 인가하는 교번전압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쇄부는 버퍼를 포함하며,
    상기 버퍼의 입력단은 상기 특정 감지 라인의 출력단과 연결되고, 상기 버퍼의 출력단은 상기 특정 센서 노드에 포함되는 구동 라인 및 감지 라인을 제외한 다른 구동 라인 및 감지 라인에 각각 연결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5.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으로 이루어지는 입체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입체 영상이 줌 인 될 때, 광투과 영역 및 광차단 영역을 형성하는 패럴렉스 배리어를 포함하며, 상기 패럴렉스 배리어를 구성하는 요소들은 두 개 이상의 층으로 형성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구동 라인과 복수의 감지 라인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센서 노드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의 터치 검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 노드 중 터치 여부 검출 대상이 되는 특정 센서 노드와 인접한 다른 센서 노드에 발생하는 기생 정전용량을 감쇄시키는 감쇄부를 포함하되,
    상기 감쇄부는 상기 특정 센서 노드의 검출 시기에 상기 특정 센서 노드를 포함하는 특정 감지 라인의 출력단 전압을 상기 다른 센서 노드에 포함되는 구동 라인 및 감지 라인에 인가되도록 하는, 터치 검출 장치를 갖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6.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으로 이루어지는 입체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입체 영상이 줌 인 될 때, 광투과 영역 및 광차단 영역을 형성하는 패럴렉스 배리어를 포함하며, 상기 패럴렉스 배리어를 구성하는 요소들은 두 개 이상의 층으로 형성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내,
    복수의 구동 라인과 복수의 감지 라인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센서 노드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의 터치 검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 노드 중 터치 여부 검출 대상이 되는 특정 센서 노드를 제외한 다른 센서 노드에 발생하는 기생 정전용량을 감쇄시키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센서 노드의 출력단 전압 변화의 차이에 기초하여 터치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감쇄 단계는 상기 특정 센서 노드를 포함하는 특정 감지 라인의 출력단 전압을 상기 다른 센서 노드에 인가되도록 하는, 터치 검출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단계는, 상기 특정 감지 라인을 플로팅시킨 상태에서 상기 특정 센서 노드를 포함하는 특정 구동 라인에 인가된 교번전압에 따른 상기 특정 감지 라인의 전압 변화량 검출을 통해 터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터치 검출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검출 단계는,
    상기 특정 감지 라인을 충전한 후 플로팅시키는 단계; 및
    상기 특정 구동 라인에 교번전압을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터치 검출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감쇄 단계는 버퍼를 포함하되,
    상기 버퍼의 입력단은 상기 특정 감지 라인의 출력단과 연결되고, 상기 버퍼의 출력단은 상기 특정 센서 노드에 포함되는 구동 라인 및 감지 라인을 제외한 다른 구동 라인 및 감지 라인에 각각 연결되는 것인, 터치 검출 방법.
KR1020150036800A 2015-03-17 2015-03-17 기생 정전용량을 감쇄하는 터치 검출 장치를 갖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터치 검출 방법 KR201601120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800A KR20160112070A (ko) 2015-03-17 2015-03-17 기생 정전용량을 감쇄하는 터치 검출 장치를 갖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터치 검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800A KR20160112070A (ko) 2015-03-17 2015-03-17 기생 정전용량을 감쇄하는 터치 검출 장치를 갖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터치 검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070A true KR20160112070A (ko) 2016-09-28

Family

ID=57101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6800A KR20160112070A (ko) 2015-03-17 2015-03-17 기생 정전용량을 감쇄하는 터치 검출 장치를 갖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터치 검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207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09619B2 (ja) ジェスチャ検出および追跡のための電極配列
KR102017410B1 (ko) 액정 표시 장치
EP2437143B1 (en) Flat Panel Display with Built-In Touch Screen Panel
KR102230549B1 (ko) 접촉 감지 기능을 가진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0261644B2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9058780B2 (en) 2D/3D switchable and touch sensitive display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JP5807035B2 (ja) タッチ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電子機器及びタッチ検出デバイス
CN107783689B (zh) 驱动芯片、电路膜、膜上芯片型驱动电路及显示装置
CN102262478A (zh) 触摸式液晶狭缝光栅、立体显示装置以及计算机系统
JP2017528803A5 (ko)
CN103293726A (zh) 液晶盒、3d触控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US20150168761A1 (en) Stereoscopic touch display device
KR20150109890A (ko) 기생 정전용량 보상 회로를 갖는 터치 검출 가능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20150109887A (ko) 픽셀과 일정 각도를 형성하는 센서패드를 갖는 터치 검출 가능 입체 영상 표시 장치
CN109799931B (zh) 光线分配可控触摸面板装置
KR20160112070A (ko) 기생 정전용량을 감쇄하는 터치 검출 장치를 갖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터치 검출 방법
KR20160112071A (ko) 터치 검출 정확성이 향상된 터치 검출 장치를 갖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JP6001764B2 (ja) タッチ検出モジュールおよび該タッチ検出モジュールにおける接触体のタッチ検出方法
KR20160103771A (ko) 복수의 패럴렉스 배리어를 갖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20160109056A (ko) 터치 검출 정확도를 향상할 수 있는 터치 검출 장치를 갖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터치 검출 방법
KR20150109888A (ko) 동전위 인가 구동장치를 갖는 터치 검출 가능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KR20160107791A (ko) 성능 편차가 개선된 터치 검출 장치를 갖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20160107792A (ko) 정현파 전압을 이용한 터치 검출 장치를 갖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터치 검출 방법
JP2015135699A (ja) タッチ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
KR101503330B1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