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2031A - A Grinding Apparatus for Fine Powder - Google Patents

A Grinding Apparatus for Fine Pow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2031A
KR20160112031A KR1020150036446A KR20150036446A KR20160112031A KR 20160112031 A KR20160112031 A KR 20160112031A KR 1020150036446 A KR1020150036446 A KR 1020150036446A KR 20150036446 A KR20150036446 A KR 20150036446A KR 20160112031 A KR20160112031 A KR 20160112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fine powder
pulverized
fine
micro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64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봉석
윤상필
Original Assignee
김봉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석 filed Critical 김봉석
Priority to KR1020150036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2031A/en
Publication of KR20160112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203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17/04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to pow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48Cutting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68Crushing, i.e. disintegrating into small p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roducing micropowder, which comprises: a hopper section which supplies a material to be pulverized; a micropulverization section which pulverizes the material to be pulverized to produce micropowder; and a micropowder conveying section which conveys the micropowder produced in the micropulverization section and collecting the micropowder. In the apparatus, the micropulverization section comprises: a micropulverization chamber forming a space therein; a pair of cutting plates received in the space so that the cutting surfaces are opposite to each other and pulverizing the material to be pulverized to discharge micropowder; and a pipe for supplying the material to be pulverized, which supplies the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hopper between the cutting surfaces. In addition, in the cutting plate, the gradation size of a cutting blade formed on the cutting surface is reduced gradually toward the direction of discharging the micropowder so that the material to be pulverized may be pulverized gradually more fine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for producing micropowder includes a cutting plate having a cutting blade which has a gradation size gradually decreasing toward the direction of discharge of the micropowder, so that the material to be pulverized may be pulverized sequentially more finely while moving between the saw tooth-like cutting blades formed on the cutting plate. Thus, it is possible to pulverize a material to be pulverized to a desired level of fine particle diameter merely by a single pulverization step.

Description

미세분말 생성장치{A Grinding Apparatus for Fine Powder}[0002] A Grinding Apparatus for Fine Powder [0003]

본 발명은 칩 등의 형태로 공급되는 폐타이어와 같은 피분쇄물을 미세한 분말로 분쇄하기 위한 미세분말 생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멧돌 형상과 같이 절삭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두 개의 절삭날을 회전시켜 미세분말을 생성시키되 상기 절삭날의 눈금 크기가 미세분말의 배출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감소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피분쇄물의 분쇄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미세분말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ne powder producing apparatus for pulverizing pulverized materials such as waste tires supplied in the form of chips and the like into fine powd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ne powder producing apparatus capable of maximizing the grinding efficiency of a pulverized product by constituting a fine powder by rotating the cutting edge so that the scale size of the cutting edge decreases sequentially along the discharging direction of the fine powder.

현대 사회의 급속한 산업화 및 도시화 경향으로 인하여 여러 가지 소재로 이루어진 다양한 공업 제품들이 대량으로 생산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에 따라 이들 공업 제품들의 폐기 처분으로 인한 각종 산업 폐기물들도 대량으로 발생되고 있다. Due to the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tendency of modern society, various industrial products made of various materials are being mass produced, and various industrial wastes resulting from the disposal of these industrial products are also generated in large quantities.

이러한 산업 폐기물들을 야적장에 오랜 시간동안 방치하거나 소각할 경우에는 오염물질의 배출로 인하여 주변 환경을 심각하게 오염시키게 됨은 물론, 이들 폐기물에 포함된 재활용 가능한 자원들이 그대로 버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When these industrial wastes are left in the yard for a long time or incinerated, the environment is seriously polluted due to the discharge of pollutants, and the recyclable resources contained in these wastes are discarded as they are.

따라서, 최근에는 이들 산업 폐기물에서 배출되는 폐자원들을 적극적으로 재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그 중 대표적인 예가 폐전선 피복이나 폐타이어 등에서 얻을 수 있는 합성수지 소재 또는 고무 소재 등의 폐자원들을 분쇄하여 보도블럭 또는 건축자재 등으로 재활용하는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Recently, researches for actively recycling waste resources discharged from industrial wastes have been actively carried out. Typical examples thereof include waste materials such as synthetic resin materials or rubber materials obtained from waste wire covering or waste tires It can be said that it is crushed and recycled as sidewalk block or building materials.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분쇄장치들은 서로 맞물리도록 회전하는 분쇄용 칼날을 사용하는 방식이어서 유효 분쇄면적이 작고 칼날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키는데도 한계가 있거나, 하기 [문헌 1] 등에 개시된 전체적으로 눈금의 크기가 일정한 절삭날을 이용하는 방식이어서 하나의 분쇄공정에서는 칼날의 조도에 따라서 분쇄 결과물의 입경이 동일하기 때문에 원하는 수준의 입경으로 피분쇄물을 분쇄하기 위해서는 칼날의 조도를 변경하면서 순차적으로 분쇄하는 것이 불가피하였다.However, since the grinding apparatuses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use grinding blades that rotate so as to mesh with each other, there is a limit in the effective grinding area and in increas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blades, Is a method using a constant cutting edge. In one grinding step, the particle size of the resultant powder is the same according to the roughness of the blade. Therefore, it is inevitable to sequentially crush the grinding object while changing the roughness of the blade Respectively.

이로 인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분쇄장치는 상기 폐자원을 원하는 수준의 조밀한 입경으로 분쇄하기 위해서는 복수 단계의 분쇄 공정(예를 들어, 조립 분쇄공정, 중립 분쇄공정 및 미립 분쇄공정 등)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장치의 구성이 전체적으로 대형임은 물론, 그에 따라 생산비용도 크게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Therefore, in order to crush the waste resources to a desired level of dense particle size, the conventional crushing apparatus must undergo a plurality of crushing processes (for example, a granulation crushing process, a neutral crushing process and a fine crushing process)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apparatus is large as a whole, and thus the production cost is greatly increased.

또한,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분쇄장치들은 복수의 공정을 거쳐야 비로소 원하는 입경의 미세분말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다량의 피분쇄물을 처리할 경우 전체적인 공정 시간이 크게 증가되어 장치의 생산효율 및 경제성을 크게 저감시키는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grinding apparatuses can obtain a fine powder having a desired particle size only through a plurality of processes, the entire process time is greatly increased when a large amount of the pulverized material is processed, There was also a problem to reduce.

[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2002-0076661호(2002. 10. 11. 공개)
[Patent Document 1] Published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2002-0076661 (published on October 11, 2002)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분쇄물이 분쇄용 절삭날을 이동하면서 순차적으로 조밀하게 분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 번의 분쇄공정만으로도 피분쇄물을 원하는 수준의 조밀한 입경으로 분쇄할 수 있는 미세분말 생성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grinding a milled product by grinding a milled product in a single grinding step, To thereby produce a fine powder-producing apparatus capable of pulverizing at a high-density fine particle siz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이 고속으로 회전하는 분쇄용 절삭날에서 발생되는 가공열에 의하여 분쇄된 미세분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냉각장치를 구비한 미세분말 생성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ne powder producing apparatus having a cooling device for preventing damage to fine powder pulverized by processing heat generated in a cutting blade for rotating at high speed as described above .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미분쇄된 분말에 포함된 먼지나 분진 등이 피분쇄물을 분쇄한 미세분말에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작업장의 환경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집진장치를 별도로 구비한 미세분말 생성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ust collecting apparatus which can prevent contamination of dust and dust contained in the pulverized powder into fine pulverized powder and minimize environmental pollution in the workplace And to provide a fine powder production apparatus.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세분말 생성장치는 피분쇄물을 공급하는 호퍼부, 상기 공급된 피분쇄물을 분쇄하여 미세분말을 생성하는 미분쇄부, 및 상기 미분쇄부에서 생성된 미세분말을 이송시켜 수집하는 미세분말 이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미분쇄부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미분쇄실, 상기 공간에 절삭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수용되고 피분쇄물을 분쇄하여 미세분말로 배출하는 한 쌍의 절삭판, 상기 호퍼부에서 배출되는 피분쇄물을 상기 절삭면 사이에 공급하는 피분쇄물 공급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절삭판은 피분쇄물이 점차적으로 미세하게 분쇄될 수 있도록 절삭면에 형성된 절삭날의 눈금 크기가 미세분말의 배출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apparatus for producing fine pow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opper for feeding a pulverized material, a pulverizing part for pulverizing the supplied pulverized material to produce a fine powder, And a fine powder transferring unit for transferring and collecting the fine powder produced in the forming unit, wherein the fine pulverizing unit includes a fine pulverizing chamber for forming a space therein, And a grinding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grind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hopper part between the grinding surfaces, wherein the grinding grates are gradually finely pulverized So that the size of the scale of the cutting edge formed on the cutting surface gradually decreases along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fine powder.

또한, 상기 미분쇄부는 한 쌍의 절삭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절삭판은 절삭면이 링(ring) 형상으로 형성된 원판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절삭면에는 분쇄된 미세분말이 원심력에 의해 절삭판의 외경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톱니 형상의 절삭날이 원주 방향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rind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motor for rotating at least one of the pair of cutting plates, wherein the cutting plate is formed in a disc shape having a cutting surface formed in a ring shape, Like cutting edge is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that the fine powder that has been cut out can be discharged in the outer diameter direction of the cutting board by centrifugal force.

또한, 상기 절삭판은 제1절삭면, 상기 제1절삭면의 외측에 형성된 제2절삭면, 및 상기 제1절삭면과 제2절삭면 사이에 형성된 요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절삭면에 형성된 절삭날의 눈금 크기가 제2절삭면에 형성된 절삭날의 눈금크기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utting plate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utting surface, a second cutting surface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first cutting surface, and a groove formed between the first cutting surface and the second cutting surface, The scale size of the cutting edge formed on the surface is larger than the scale size of the cutting edge formed on the second cutting surface.

또한, 상기 미분쇄부는 미분쇄실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미분쇄실의 내부를 냉각시키기 위한 유체가 유동되는 제1냉각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fine pulveriz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ooling pipe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fine pulverizing chamber, through which a fluid for cooling the inside of the fine pulverizing chamber flows.

또한, 상기 절삭판은 고정된 제1절삭판과 상기 구동모터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 제2절삭판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절삭판과 제2절삭판 중 어느 하나에는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피분쇄물 공급관은 호퍼부의 출구와 상기 관통공을 연통시키도록 형성되어 상기 피분쇄물을 절삭면 사이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utting plate may include a fixed first cutting plate and a second cutting plate rotatably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wherein one of the first cutting plate and the second cutting plate has a through hole at the center thereof, And the pulverized water supply pipe is formed to communicate the outlet of the hopper part with the through hole so that the pulverized material is supplied between the cutting surfaces.

또한, 상기 제1절삭판과 제2절삭판 중 상기 관통공이 형성되지 않은 어느 하나의 절삭판에는 공급되는 피분쇄물이 절삭면에 용이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관통공에 대응하는 위치인 중앙부에 오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y one of the first cutting plate and the second cutting plate, which does not have the through-hole, may be provided at a central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through-hole so as to be easily supplied to the cutting surface And a concave portion is formed.

또한, 상기 미세분말 이송부는, 제1이송관을 통해 상기 미분쇄실 내부에 배출되는 미세분말을 공기와 함께 흡입하여 이송시키는 흡기팬과, 상기 제1이송관의 중도에 설치되어 공기와 함께 이송되는 미세분말을 분리시켜 수집하는 싸이클론(cyclone) 수집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ne powder conveying portion may include an intake fan for sucking and conveying fine powder discharged into the fine pulverizing chamber through the first conveyance pipe together with air, and a suction fan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first conveying pipe, And a cyclone collector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the fine powder.

또한, 상기 미세분말 이송부는, 제2이송관을 통해 상기 흡기팬과 연결되는 집진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집진기는 상기 제1이송관을 경유한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또는 분진을 집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ne powder convey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dust collector connected to the suction fan through a second conveyance pipe, wherein the dust collector collects dust or dust contained in the air passed through the first conveyance pipe .

또한, 상기 제1이송관의 일측에는 유동하는 공기 및 미세분말을 냉각시키기 위한 유체가 유동되는 제2냉각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transfer pip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ooling pipe through which a fluid for cooling the air and the fine powder flows.

또한, 상기 미세분말 이송부는 상기 싸이클론 수집기에 수집된 미세분말을 입경에 따라 분류하기 위한 진동스크린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fine powder transfer part may further include a vibration screen for sorting the fine powder collected in the cyclone collector according to the particle size.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세분말 생성장치는 절삭판의 절삭날이 미세분말의 배출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눈금 크기가 감소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피분쇄물이 절삭판에 형성된 톱니형 절삭날 사이를 이동하면서 순차적으로 조밀하게 분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 번의 분쇄공정만으로도 피분쇄물을 원하는 수준의 조밀한 입경으로 분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the apparatus for producing fine pow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utting edge of the cutting plate gradually decreases in size along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fine powder, the grinding- So that the pulverized material can be pulverized to a desired level of dense particle size by a single pulverizing step.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세분말 생성장치는 피분쇄물이 분쇄되는 미분쇄실과 분쇄된 미세분말이 이송되는 제1이송관의 일측에 냉각용 유체가 유동되는 제1,2냉각관을 별도로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고속으로 회전하는 분쇄용 절삭판에서 발생되는 가공열에 의하여 고무재질의 특성상 분쇄된 미세분말이 쉽게 손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apparatus for producing a fine pow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first and a second cooling tube through which a cooling fluid flows to one side of a first conveyance pipe through which a pulverized material is crushed and a pulverized fine powder is convey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crushed fine powder from being easily damaged due to the nature of the rubber material due to the processing heat generated in the crushing cutting board rotating at high spe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세분말 생성장치는 미세분말을 수집하는 과정에서 먼지나 분진 등을 별도로 분리하기 위한 집진장치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공업적으로 활용성이 거의 없는 이들 먼지나 분진이 미세분말에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작업장의 환경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apparatus for producing fine pow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dust collecting device for separately separating dust, dust and the like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fine powder, dust or dust which is industrially hardly used, It is possible to prevent contamination and to minimize environmental pollution in the workplace.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분말 생성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2a와 도2b는 각각 도1의 미세분말 생성장치에 적용된 원판형 절삭판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와 부분단면도, 및
도3은 도2에 도시한 절삭판의 실제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a fine powder 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A and 2B are a plan view and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k-shaped cutting board applied to the apparatus for producing fine powder of FIG.
3 is a view showing an actual shape of the cutting board shown in Fi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분말 생성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2a와 도2b는 각각 도1의 미세분말 생성장치에 적용된 원판형 절삭판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및 부분단면도이며, 도3은 도2에 도시한 절삭판의 실제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k-shaped cutting board applied to the apparatus for producing fine powder of FIG. 1, and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k- Fig. 3 is a view showing the actual shape of the cutting board shown in Fig. 2. Fig.

본 발명에 따른 미세분말 생성장치는 피분쇄물(미도시)을 공급하는 호퍼부(1), 상기 공급된 피분쇄물을 분쇄하여 미세분말을 생성하는 미분쇄부(2), 및 상기 미분쇄부(2)에서 생성된 미세분말을 이송시켜 수집하는 미세분말 이송부(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apparatus for producing a fine pow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opper portion 1 for supplying a pulverized material (not shown), a fine pulverizing portion 2 for pulverizing the supplied pulverized material to produce a fine powder, And a fine powder transfer part 3 for transferring and collecting the fine powder produced in the part 2.

이때, 상기 호퍼부(1)는 미분쇄부(2)에 피분쇄물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범위내에서는 여러 가지 공지된 방식의 호퍼를 사용하여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opper part 1 can be preferably implemented using various well-known hoppers within the range of performing the function of supplying the pulverized material to the pulverizing part 2. [

또한, 상기 피분쇄물은 칩 형태로 가공된 폐타이어 또는 폐전선 피복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미분쇄의 필요성이 있는 여러 가지 다른 재질이나 폐품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pulverized material may be a waste tire processed in a chip form, a wire covering the waste wire, or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If necessary, the material may be various other materials or waste products that require pulverization to be.

한편, 상기 미분쇄부(2)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미분쇄실(S), 상기 공간에 수용되고 피분쇄물을 분쇄하여 미세분말로 배출하는 한 쌍의 절삭판(30), 상기 호퍼부(1)에서 배출되는 피분쇄물을 상기 절삭판(30) 사이에 공급하는 피분쇄물 공급관(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ine pulverizing unit 2 includes a fine grinding chamber S for forming a space therein, a pair of cutting plates 30 accommodated in the space for grinding the pulverized material and discharging the pulverized material to fine powder, And a pulverized water supply pipe (25) for supplying the pulverized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part (1) between the cutting boards (30).

또한, 상기 미분쇄부(2)는 한 쌍의 절삭판(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한 쌍의 절삭판(30) 중 어느 하나는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구동모터(40)에 연결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The milling unit 2 further includes a driving motor 40 that rotates at least one of the pair of cutting plates 30. In this embodiment, the pair of cutting plates 30, And the other is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40 so as to be rotatable.

이때, 상기 구동모터는 통상의 전기모터를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기모터가 일예로서 2500 rpm 내지 3600 rpm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하였다.At this time, the driving motor can be preferably implemented using a conventional electric moto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lectric motor is configured to rotate at 2500 rpm to 3600 rpm as an example.

또한, 상기 고정된 절삭판(30)과 회전가능한 절삭판(30) 중 어느 하나에는 중앙부에 관통공(31)이 형성되고, 상기 피분쇄물 공급관(25)은 호퍼부(1)의 출구와 상기 관통공(31)을 연통시키도록 형성되어 상기 피분쇄물을 절삭면(33,35) 사이에 공급하게 된다.A through hole 31 is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any one of the fixed cutting board 30 and the rotatable cutting board 30 and the pulverized water supply pipe 25 is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hopper unit 1 And the through holes 31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to feed the pulverized material between the cutting surfaces 33 and 35.

또한, 상기 관통공(31)이 형성되지 않은 어느 하나의 절삭판(30)에는 공급되는 피분쇄물이 절삭면(33,35)에 용이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관통공(31)에 대응하는 위치인 중앙부에 소정 넓이의 오목부(미도시)가 필요에 따라 더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ny one of the cutting plates 30 on which the through holes 31 are not forme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1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s 31 so as to be easily supplied to the cutting surfaces 33 and 35 A concave portion (not shown)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may be further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as a position.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절삭판(30) 중 어느 하나만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경우를 일예로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2개의 절삭판(30) 모두 회전가능하도록(바람직하게는 분쇄효율의 향상을 위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only one of the pair of cutting boards 30 is coupled to be rotatab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f necessary, the two cutting boards 30 can be rotated Preferably to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to improve the grinding efficiency).

한편, 피분쇄물이 열에 약한 합성수지 재질이거나 고무 재질인 경우 절삭판(30)의 마찰로 인한 가공열의 누적으로 인하여 분쇄된 미세분말의 물리적 및/또는 화학적 성질이 변하게 되어 상기 미세분말을 원하는 용도로 활용되지 못하게 될 소지가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object to be ground is a synthetic resin material weak in heat or rubber material, the physical and / or chemical properties of the ground fine powder are changed due to accumulation of processing heat due to friction of the cutting board 30,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t will not be utilized.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미분쇄부(2)가 미분쇄실(S)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미분쇄실(S)의 내부를 냉각시키기 위한 유체가 유동되는 제1냉각관(26)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냉각유체는 물이나 냉매 같은 액체(수냉식)나 공기와 같은 기체(공냉식)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냉각관(26)은 열전도성이 우수한 동관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ly, in order to prevent th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ne pulverizing unit 2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fine pulverizing chamber S, and a first cooling pipe (not shown) for flowing fluid for cooling the inside of the fine pulverizing chamber S 26), wherein the cooling fluid may be composed of a liquid (water-cooled) such as water or a refrigerant, or a gas (air-cooled) such as air, and the first cooling pipe 26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And can be constructed using copper pipes.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세분말 생성장치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분쇄용 절삭판(30)에서 발생되는 가공열에 의하여 고무재질의 특성상 분쇄된 미세분말이 쉽게 손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apparatus for producing fine pow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prevent the crushed fine powder from being easily damaged due to the nature of the rubber material due to the processing heat generated from the crushing cutting board 30 rotating at high speed There are advantages.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한 쌍의 절삭판(30)은 결합공(32)에 결합되는 결합부재(미도시)에 의하여 절삭면(33,35)이 서로 대향되도록 설치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원심력에 의하여 배출되는 경로에 따라 피분쇄물이 점차적으로 미세하게 분쇄될 수 있도록 절삭면(33,35)에 형성된 절삭날(33a,35a)의 눈금 크기가 미세분말의 배출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air of cutting boards 3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provided such that the cutting surfaces 33 and 35 are opposed to each other by a coupling member (not shown)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32.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cale size of the cutting edges 33a and 35a formed on the cutting surfaces 33 and 35 gradually decreases along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fine powder so that the grinding product can be gradually finely pulverized along the path discharged by the centrifugal force .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절삭판(30)이 절삭면(33,35)이 링(ring) 형상으로 형성된 원판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절삭면(33,35)에는 분쇄된 미세분말이 원심력에 의해 절삭판(30)의 외경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톱니 형상의 절삭날(33a,35a)이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구성하였다.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utting plate 30 is formed in a disc shape in which the cutting faces 33 and 35 are formed in a ring shape, and the ground fine powder is formed on the cutting faces 33 and 35 by a centrifugal force Like cutting edges 33a and 35a are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as to be discharged in the outer diameter direction of the cutting board 30. [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상기 절삭판(30)이, 원판의 중심에 가까운 쪽에 형성된 제1절삭면(33)과, 상기 제1절삭면(33)의 외측에 형성된 제2절삭면(35), 및 상기 제1절삭면(33)과 제2절삭면(35) 사이에 형성된 요홈(34)을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하였으며, 도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절삭면(33)에 형성된 절삭날(33a)의 눈금 크기가 제2절삭면(35)에 형성된 절삭날(35a)의 눈금크기보다 더 크도록 구성하였다.In this embodiment, for example, the cutting board 30 includes a first cutting surface 33 formed on a side closer to the center of the disk and a second cutting surface 35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first cutting surface 33 And a groove 34 formed between the first cutting surface 33 and the second cutting surface 35. As shown in FIG. 2B, the first cutting surface 33 and the second cutting surface 35 The scale size of the cutting edge 33a is larger than the scale size of the cutting edge 35a formed on the second cutting surface 35. [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피분쇄물이 일측 절삭판(30)의 중심부를 통해 공급될 경우 한 쌍의 절삭판(30)에 각각 형성된 제1,2절삭면(33,35) 사이의 마찰에 의하여 분쇄된 미세분말은 절삭날(33a,35a)의 눈금사이를 통하여 원심력에 의해 외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배출된다.As described later, when the pulverized material is supplied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one side cutting board 30, the first and second cutting surfaces 33 and 35 formed on the pair of cutting boards 30 The fine powder pulverized by the friction is discharged while being moved outwardly by the centrifugal force through the interval between the scales of the cutting edges 33a and 35a.

이때, 제1절삭면(33)를 통과하면서 분쇄된 미세분말은 절삭판(30)의 요홈(34)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1차적으로 수집된 후 절삭날(35b)의 눈금 크기가 더욱 감소된 제2절삭면(35)을 통과하면서 더욱 미세하게 분쇄된 후 절삭판(30)의 단부를 통하여 미분쇄실(S) 내부 공간으로 배출된다. At this time, the fine powder that has been pulveriz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rst cutting surface 33 is first collected in a space formed between the grooves 34 of the cutting plate 30, and then the scale size of the cutting edge 35b is further reduced Is further finely pulverized while passing through the second cutting surface (35), and then discharged to the inner space of the pulverizing chamber (S) through the end of the cutting plate (30).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미세분말 생성장치는 피분쇄물이 절삭판(30)에 형성된 절삭날(33a,35a) 사이를 이동하면서 순차적으로 조밀하게 분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 번의 분쇄공정만으로도 피분쇄물을 원하는 수준의 조밀한 입경으로 분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ly, the apparatus for producing fine pow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equentially and densely crush the crushed material while moving between the cutting edges 33a and 35a formed on the cutting board 30, so that even if only one crushing process is performed, Can be crushed to a desired level of dense particle size.

한편, 상기 미세분말 이송부는(3), 제1이송관(22a,22b)을 통해 상기 미분쇄실(S) 내부에 배출되는 미세분말을 공기와 함께 흡입하여 이송시키는 흡기팬(60)과, 상기 제1이송관(22a,22b)의 중도에 설치되어 공기와 함께 이송되는 미세분말을 분리시켜 수집하는 싸이클론(cyclone) 수집기(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Meanwhile, the fine powder conveying unit includes an intake fan 60 for sucking and conveying the fine powder discharged into the fine pulverizing chamber S through the first conveyance pipes 22a and 22b together with air, And a cyclone collector 50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first conveyance pipes 22a and 22b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the fine powder conveyed together with the air.

이때, 상기 제1이송관(22a,22b)의 경우 일예로서 일측 단부가 상기 미분쇄실(S)의 상부면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싸이클론(cyclone) 수집기(50)에 연결되는 전방 제1이송관(22a)과, 일측 단부는 상기 싸이클론(cyclone) 수집기(50)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흡기팬(60)의 흡입구측에 연결되는 후방 제1이송관(22b)으로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one end of the first conveyance pipe 22a or 22b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ulverizing chamber S,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cyclone collector 50, 1 conveying pipe 22a and a rear first conveying pipe 22b connected at one end to the cyclone collector 50 and at the other end to the suction port of the suction fan 60 .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흡기팬(60)이 작동하여 후방 제1이송관(22b)의 타측 단부를 통해 공기 흡입을 하게 되면, 이로 인한 흡입력에 의하여 상기 전방 제1이송관(22a)의 일측 단부를 통해 미분쇄실(S) 내부 공간으로 배출되는 미세분말이 전방 제1이송관(22a)을 통해 이송하게 된다. When the suction fan 60 operates to suck air through the other end of the rear first transfer pipe 22b by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suction end of the front first transfer pipe 22a, The fine powder discharg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fine grinding chamber S is transferred through the front first transfer pipe 22a.

이와 같이 상기 전방 제1이송관(22a)을 통해 이송되는 미세분말은 그 하중에 의하여 상기 싸이클론 집진기에 대부분 수집되고, 그 결과 상기 후방 제1이송관(22b)에는 미세분말에 포함되어 있던 먼지나 분진과 같이 공업적으로 이용가능성이 없는 성분만이 유동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most of the fine powder transferred through the front first transfer pipe 22a is collected in the cyclone dust collector by the load, and as a result, the dust contained in the fine powder is transferred to the rear first transfer pipe 22b, Only components that are not industrially usable, such as dust or dust, flow.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미세분말 이송부(3)는 후방 제1이송관(22b)을 유동하는 먼지나 분진 등을 집진하기 위한 집진기(10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집진기는 제2이송관(62)에 의하여 흡기팬(60)의 배출구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Accordingly, the fine powder transfer unit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configured to include a dust collector 100 for collecting dust or dust flowing through the rear first transfer pipe 22b, Is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suction fan (60) by a pipe (62).

이때, 상기 집진기(100)는 먼지나 분진 등을 집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범위내에서는 공지된 통상의 집진 방식을 이용한 집진기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바람직하게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ust collector 100 may be configured by any one of known dust collectors using a dust collecting method within a range of collecting dust or dust.

또한, 상기 전방 제1이송관(22a)의 일측에는 유동하는 공기 및 미세분말을 냉각시키기 위한 유체가 유동되는 제2냉각관(미도시)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때 상기 냉각유체는 물이나 냉매 같은 액체(수냉식)나 공기와 같은 기체(공냉식)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rst cooling pipe (not shown) may be furthe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ront first transfer pipe 22a, through which a fluid for cooling air and fine powder flows, (Water-cooled) such as water or a refrigerant or a gas (air-cooled) such as air.

이때, 상기 제1이송관(22a,22b) 및 제2이송관(62)은 일예로서 내열성 및 내부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2냉각관은 열전도성이 우수한 동관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conveyance pipes 22a and 22b and the second conveyance pipe 62 may be made of a stainless steel material hav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and corrosion resistance, for example, and the second cooling pipe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a copper pipe ≪ / RTI >

또한, 상기 제2냉각관은 제1이송관(22a)의 내면 또는 외면에 권취되도록 구성되거나, 필요에 따라서는 제1이송관(22a)의 관체 내부에 이중관의 형태로 매입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second cooling pipe may be configured to be wound on the inner surface or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nveyance pipe 22a or may be configured to be embedded in the tubular body of the first conveyance pipe 22a in the form of a double pipe if necessary .

한편, 상기 싸이클론 수집기(50)는 제1이송관(22a,22b)으로 분리하여 수집한 미세분말이 습한 공기의 유입에 의하여 덩어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에어록모터(air lock motor)(70)를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나아가 수집된 미세분말을 입경에 따라 분류하기 위한 진동스크린(80)이 더 설치될 수도 있다.The cyclone collector 50 is connected to an air lock motor 70 to prevent fine powder collected by the first conveyance pipes 22a and 22b from being accumulated by the introduction of humid air, And further a vibration screen 80 for sorting the collected fine powder according to the particle size may be further provided.

이때, 상기 에어록모터(70)와 진동스크린(80)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범위내에서는 공지된 기술이나 제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구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ir lock motor 70 and the vibration screen 80 can be preferably configured using any one of known technologies and products within the range of performing the same function.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상기 진동스크린의 눈금 크기를 50 메시(mesh)와 100 메시로 각각 구성하였다.
In this embodiment, as an example, the scale size of the vibration screen is composed of 50 meshes and 100 meshes, respectively.

1 : 호퍼부 2 : 미분쇄부
3 : 미세분말 이송부 30 : 절삭판
50 : 싸이클론 수집기 60 : 흡기팬
100 : 집진기
1: hopper part 2: fine grinding part
3: fine powder feed part 30: cutting plate
50: Cyclone collector 60: Intake fan
100: Dust collector

Claims (10)

피분쇄물을 공급하는 호퍼부;
상기 공급된 피분쇄물을 분쇄하여 미세분말을 생성하는 미분쇄부; 및
상기 미분쇄부에서 생성된 미세분말을 이송시켜 수집하는 미세분말 이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미분쇄부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미분쇄실, 상기 공간에 절삭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수용되고 피분쇄물을 분쇄하여 미세분말로 배출하는 한 쌍의 절삭판, 상기 호퍼부에서 배출되는 피분쇄물을 상기 절삭면 사이에 공급하는 피분쇄물 공급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절삭판은 피분쇄물이 점차적으로 미세하게 분쇄될 수 있도록 절삭면에 형성된 절삭날의 눈금 크기가 미세분말의 배출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분말 생성장치.
A hopper part for feeding the pulverized material;
A pulverization unit for pulverizing the supplied pulverized material to produce a fine powder; And
And a fine powder transferring unit for transferring and collecting the fine powder produced in the fine pulverizing unit,
Wherein the fine grinding portion includes a fine grinding chamber for forming a space therein, a pair of cutting plates accommodated in the space so as to face the cutting surfaces so as to face each other and grinding the pulverized material to discharge it as fine powder, And a grinding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water between the cutting surfaces,
Wherein the scale of the cutting edge formed on the cutting surface gradually decreases along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fine powder so that the grinding product can be gradually finely pulveriz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분쇄부는 한 쌍의 절삭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절삭판은 절삭면이 링(ring) 형상으로 형성된 원판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절삭면에는 분쇄된 미세분말이 원심력에 의해 절삭판의 외경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톱니 형상의 절삭날이 원주 방향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분말 생성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ne grinding portion further includes a driving motor for rotating at least one of the pair of cutting plates,
The cutting plate is formed in a disc shape having a cutting surface formed in a ring shape, and a saw tooth-shaped cutting edge i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that the ground fine powder can be discharged in the outer diameter direction of the cutting plate by centrifugal force . The apparatus for producing fine powder according to claim 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판은 제1절삭면, 상기 제1절삭면의 외측에 형성된 제2절삭면, 및 상기 제1절삭면과 제2절삭면 사이에 형성된 요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절삭면에 형성된 절삭날의 눈금 크기가 제2절삭면에 형성된 절삭날의 눈금크기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분말 생성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utting plate includes a first cutting surface, a second cutting surface formed outside the first cutting surface, and a groove formed between the first cutting surface and the second cutting surface,
Wherein the scale size of the cutting edge formed on the first cutting surface is larger than the scale size of the cutting edge formed on the second cutting surfa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분쇄부는 미분쇄실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미분쇄실의 내부를 냉각시키기 위한 유체가 유동되는 제1냉각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분말 생성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ne pulverizing part further comprises a first cooling pipe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fine pulverizing chamber and through which a fluid for cooling the inside of the fine pulverizing chamber flow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판은 고정된 제1절삭판과 상기 구동모터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 제2절삭판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절삭판과 제2절삭판 중 어느 하나에는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피분쇄물 공급관은 호퍼부의 출구와 상기 관통공을 연통시키도록 형성되어 상기 피분쇄물을 절삭면 사이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분말 생성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utting plate is composed of a fixed first cutting plate and a second cutting plate rotatably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cutting plate and the second cutting plate has a through hole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Wherein the pulverized water supply pipe is formed to communicate the outlet of the hopper part with the through hole so as to supply the pulverized material between the cutting surface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삭판과 제2절삭판 중 상기 관통공이 형성되지 않은 어느 하나의 절삭판에는 공급되는 피분쇄물이 절삭면에 용이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관통공에 대응하는 위치인 중앙부에 오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분말 생성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one of the first cutting plate and the second cutting plate is provided with a concave portion at a center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so that the ground material to be supplied to the cutting face can be easily supplied to the cutting face, Wherein the fine powder is formed on the substrate.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분말 이송부는, 제1이송관을 통해 상기 미분쇄실 내부에 배출되는 미세분말을 공기와 함께 흡입하여 이송시키는 흡기팬과, 상기 제1이송관의 중도에 설치되어 공기와 함께 이송되는 미세분말을 분리시켜 수집하는 싸이클론(cyclone) 수집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분말 생성장치.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Wherein the fine powder conveying portion includes an intake fan for sucking and conveying a fine powder discharged into the fine pulverizing chamber through the first conveyance pipe together with air and a fine powder which is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first conveying pipe and is conveyed together with air, And a cyclone collector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the fine powd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분말 이송부는, 제2이송관을 통해 상기 흡기팬과 연결되는 집진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집진기는 상기 제1이송관을 경유한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또는 분진을 집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분말 생성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fine powder convey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dust collector connected to the suction fan through a second conveyance pipe,
Wherein the dust collector collects dust or dust contained in the air passed through the first conveyance pip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관의 일측에는 유동하는 공기 및 미세분말을 냉각시키기 위한 유체가 유동되는 제2냉각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분말 생성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a second cooling pipe through which a fluid for cooling the air and the fine powder flows, on one side of the first conveyance pip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분말 이송부는 상기 싸이클론 수집기에 수집된 미세분말을 입경에 따라 분류하기 위한 진동스크린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분말 생성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ne powder transfer part further comprises a vibration screen for sorting the fine powder collected in the cyclone collector according to the particle size.
KR1020150036446A 2015-03-17 2015-03-17 A Grinding Apparatus for Fine Powder KR2016011203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446A KR20160112031A (en) 2015-03-17 2015-03-17 A Grinding Apparatus for Fine Pow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446A KR20160112031A (en) 2015-03-17 2015-03-17 A Grinding Apparatus for Fine Pow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031A true KR20160112031A (en) 2016-09-28

Family

ID=57101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6446A KR20160112031A (en) 2015-03-17 2015-03-17 A Grinding Apparatus for Fine Pow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203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3762B1 (en) A Grinding Apparatus for Fine Powder
FI121870B (en) Process and plant for sorting fine particles
CN110918203A (en) Agitator ball mill and method for operating agitator ball mill
KR101662464B1 (en) Rotating classifier and vertical mill
KR20090115147A (en) Pulverizer
CN1946482A (en) Crushing equipment
JP4585494B2 (en) Crusher with wind sorter
JP2007111574A (en) Crusher
CN214288686U (en) Chromium corundum powder grinding and winnowing equipment
KR20160112031A (en) A Grinding Apparatus for Fine Powder
JP2010201289A (en) Pulverizer
JP3583374B2 (en) Waste plastic recycling equipment
CN203209121U (en) Raymond mill
JP2008200952A (en) Processing method/processing system for turning waste resin into fuel
CN205462635U (en) Supersonic speed jet mill
KR20120028433A (en) A grinding apparatus for fine powder
CN212468401U (en) Horizontal high-pressure three-dimensional flow ultrafine grinding equipment
CN103785614A (en) Multistage powder separating machine for multilayer stacking material distribution gas inlet fluidization
KR102275321B1 (en) System for Manufacturing Dry Type Recycled Aggregate by Removing Fine Powder
CN209049496U (en) A kind of disc type side's knife pulverizer
RU2436634C1 (en) Tube mill with classifying partition
CN207899509U (en) A kind of double mill scratch systems of novel plastic
JP3295688B2 (en) Wood chip recovery system and equipment
KR102530088B1 (en) The production equipment of powder material from the waste rubber
CN112138880A (en) Graded dust collecting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