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1225A - 적립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방법 및 서버,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적립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방법 및 서버,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1225A
KR20160111225A KR1020150036103A KR20150036103A KR20160111225A KR 20160111225 A KR20160111225 A KR 20160111225A KR 1020150036103 A KR1020150036103 A KR 1020150036103A KR 20150036103 A KR20150036103 A KR 20150036103A KR 20160111225 A KR20160111225 A KR 201601112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ustomer
radio frequency
mobile device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6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순
강승훈
나준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터치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터치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터치웍스
Priority to KR1020150036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1225A/ko
Publication of KR20160111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12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3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reader and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selectively switching between reader and record carrier appearance, e.g. i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s where the NFC device may function as an RFID reader or as an RFID ta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4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based on user his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38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at point-of-sale [P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xicology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적립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방법은 상점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주파수 카드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주파수 카드에 대응하는 고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고객 정보를 사업자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업자 서버로부터 상기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적립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고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립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적립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방법 및 서버,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METHOD AND SERVER FOR TRANSMITTING POINT INFORMATION TO MOBILE DEVICE, AND THE MOBILE DEVICE}
본원은 적립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방법 및 서버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고객 관계 관리는 기업이 고객 관계를 관리해 나가기 위해 필요한 방법론이나 소프트웨어 등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현재의 고객과 잠재 고객에 대한 정보 자료를 정리, 분석해 마케팅 정보로 변환함으로써, 고객의 구매 관련 행동을 지수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마케팅 프로그램을 개발, 실현, 수정하는 고객 중심의 경영 기법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기업들이 고객들의 성향과 욕구를 미리 파악해 이를 충족시켜 주고 기업들이 목표로 하는 수익이나 광고효과 등 원하는 바를 얻어내는 것이다. 신규고객 창출보다는 기존고객의 관리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이 특징이며, 기존고객을 잘 관리해 고객들의 욕구를 수용하고 이들로부터 기업이 원하는 수익을 얻을 수 있다.
고객에게 상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은 거래 고객을 대상으로 고정 고객 확보를 위하여 다양한 고객관리 프로그램을 활용하고 있으며, 많은 비용을 들여 자체적인 고객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이러한 고객관리 시스템은 한 매장이나 브랜드 본사에 한정되어 운영되고 있으나, 고객 입장에서는 매장 및 브랜드 마다 고객관리를 위해 발급해주는 멤버쉽 카드, 종이 쿠폰 등을 모두 발급 받고 항상 소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하나의 통합된 고객관리 서비스를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으나, 고객이 사전에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고 가입하는 것이 필수적으로 요구될 뿐만 아니라, 기존에 구축되어 있는 매장의 고객관리 서버에 별도로 다시 가입하고, 필요한 정보를 다운로드하고, 해당 정보를 매장에 제시하는 것과 같은 번거로운 절차를 거쳐야 한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13-0100863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객이 소지한 RF 카드(무선 주파수 카드) 또는 RF 카드 기능을 갖는 것을 매장 내 RF 카드 리더기에 터치하는 것만으로도, 고객의 적립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서버,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원은 고객에 의한 RF 카드 터칭 동작만으로 다수의 고객 관리 서버 각각의 포인트를 일괄 적립하거나 사용할 수 있도록, 다수의 고객 관리 서버와 연동하는 통합 고객 정보 관리 서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원은 고객에 의해 고객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또는 가입되지 않은 기간에도 고객의 RF 카드 터칭 동작으로 포인트 적립이 가능하게 하며, 고객에 의해 고객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또는 가입되는 시점에 기 적립된 포인트까지 일괄적으로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서버,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원은 고객이 자신의 멤버쉽 카드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바코드 이미지를 제공하지 않고, 자신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매장 내 리더기에 터칭하는 것만으로도, 매장과 관련된 고객의 적립정보를 고객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즉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방법 및 서버,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립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방법은 상점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주파수 카드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주파수 카드에 대응하는 고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고객 정보를 사업자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업자 서버로부터 상기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적립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고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립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고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주파수 카드에 대응하는 고유 아이디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고유 아이디에 기초하여 상기 고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정보는 상기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의 명령어 및 상기 명령어의 응답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의 정보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상기 상점 디바이스의 리더기 사이의 근접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것이되, 상기 적립 정보는 푸시 메시지에 포함되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것이되, 상기 푸시 메시지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 상기 적립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제 2 상점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주파수 카드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의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되, 상기 적립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상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 2 적립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되, 상기 적립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는, 제 1 상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 1 적립 정보 및 상기 제 2 적립 정보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적립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회원 가입 요청이 수신된 경우, 상기 적립 정보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상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사업자 서버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고객 정보를 사업자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고객 정보를 상기 사업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상점 디바이스로 복수의 사업자 서버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상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복수의 사업자 서버 중 상기 사업자 서버에 관한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고객 정보를 사업자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에 기초하여 상기 고객 정보를 상기 사업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적립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태가 회원 가입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적립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되,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태가 회원 가입 상태인 경우 상기 적립 정보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적립 정보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태가 회원 가입 상태가 아닌 기간 동안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었던 이전 적립 정보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태가 회원 가입 상태인 이후의 현재 적립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고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주파수 카드가 기 등록된 카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무선 주파수 카드가 기 등록되지 않은 카드인 경우, 상기 상점 디바이스로 상기 무선 주파수 카드의 고객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상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고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고객 정보를 사업자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사업자 서버로부터 고객 세부 정보에 관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업자 서버로 상기 고객 세부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회원 가입 상태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소정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모바일 디바이스로 쿠폰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적립 정보는 상기 쿠폰 정보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립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서버는 상점 다바이스로부터 무선 주파수 카드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의 정보를 수신하는 상점 디바이스 연동부,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주파수 카드에 대응하는 고객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처리부, 상기 고객 정보를 사업자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사업자 서버로부터 상기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적립 정보를 수신하는 사업자 서버 연동부 및 상기 고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립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연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점 디바이스로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의 정보를 전송하는 무선 주파수 카드 및 적립 정보 전송 서버로부터 적립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적립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하되, 상기 적립 정보는 상기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의 정보에 대응하는 것이되, 상기 상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사업자 서버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고객이 소지한 RF 카드(무선 주파수 카드) 또는 RF 카드 기능을 갖는 것을 매장 내 RF 카드 리더기에 터치하는 것만으로도, 고객의 적립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서버,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은 고객에 의한 RF 카드 터칭 동작만으로 다수의 고객 관리 서버 각각의 포인트를 일괄 적립하거나 사용할 수 있도록, 다수의 고객 관리 서버와 연동하는 통합 고객 정보 관리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은 고객에 의해 고객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또는 가입되지 않은 기간에도 고객의 RF 카드 터칭 동작으로 포인트 적립이 가능하게 하며, 고객에 의해 고객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또는 가입되는 시점에 기 적립된 포인트까지 일괄적으로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서버,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은 고객이 자신의 멤버쉽 카드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바코드 이미지를 제공하지 않고, 자신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매장 내 리더기에 터칭하는 것만으로도, 매장과 관련된 고객의 적립정보를 고객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즉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방법 및 서버,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정보 관리 시스템을 개괄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정보 관리 서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로 적립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로 적립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로 적립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로 적립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앱 가입 요청, 번호 변경 요청 및 앱 탈퇴 요청 각각을 처리하는 과정의 일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모바일 디바이스로 쿠폰을 발송하고, 쿠폰을 사용하는 과정의 일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정보 관리 시스템의 각 구성의 동작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립 정보 전송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립 정보 표시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원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정보 관리 시스템을 개괄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고객 정보 관리 시스템은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 사업자 서버들(210 및 220), 상점 디바이스들(310 및 320), 리더기들(311 및 312) 및 모바일 디바이스(400)를 포함한다. 다만, 도 1의 고객 정보 관리 시스템은 본원의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원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고객 정보 관리 시스템은 도 1과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의 각 구성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는 상점 디바이스(310)로부터 무선 주파수 카드의 정보를 수신하고, 무선 주파수 카드의 정보에 대응하는 고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고객 정보는 고객 고유의 유니크 아이디일 수 있으며, 이러한 유니크 아이디는 무선 주파수 카드의 정보에 포함된 무선 주파수 카드 명령어 및 그 응답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는 고객 정보를 사업자 서버(210)로 전송하고, 사업자 서버(210)로부터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적립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사업자 서버(210)는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를 의미할 수도 있다. 사업자 서버(210)는 자체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고객 정보를 저장하고, 고객 정보를 관리하며,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의 요청에 대응하여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로 고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는 다수의 사업자 서버와 연동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는 사업자 서버(210) 및 사업자 서버(220)와 연동될 수 있다. 이 때, 사업자 서버(210)는 사업자 서버(220)와 브랜드, 운영주체, 업종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달리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사업자 서버(210)가 의류 회사에서 운용하며, 의류 회사에 가입된 고객을 관리하는 서버인 경우, 사업자 서버(220)는 카페 프렌차이즈 회사에서 운용하고, 카페 프렌차이즈 회사에 가입된 고객을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
상점 디바이스(310)는 상점 내 설치되어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 사업자 서버(210) 및 사업자 서버(2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데이터 또는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상점 디바이스(310)는 리더기(311)와 연결될 수 있다. 리더기(311)는 모바일 디바이스(400) 또는 RF 카드와 터칭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400) 또는 RF 카드로부터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의 명령어 및 그 명령어에 대한 응답을 주고 받을 수 있다.
상점 디바이스(320)는 상점 디바이스(310)와 다른 매장 내에 위치한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 때, 상점 디바이스(320)는 상점 디바이스(310)와 동일한 브랜드, 운영주체 또는 업종의 상점들에 위치한 것일 수도 있고, 상기 언급된 것이 다른 상점들에 위치한 것일 수도 있다. 일 예로, 상점 디바이스(310)와 상점 디바이스(320)는 의류 회사의 A 브랜드에 대응하는 상점들 각각에 위치한(또는 설치된) 것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상점 디바이스(310)는 의류 회사의 A 브랜드에 대응하는 상점에 위치하고, 상점 디바이스(320)는 의류 회사의 B 브랜드에 대응하는 상점에 위치한 것일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400)는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의 정보를 상점 내 리더기(311) 또는 상점 디바이스(310)로 제공하고, 이에 대응하여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로부터 적립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 정보를 제공하는 주체는 모바일 디바이스(400) 내의 무선 주파수 카드일 수도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400) 또는 무선 주파수 카드는 리더기(311) 사이의 터칭에 기초하여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 정보를 리더기(311)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터칭의 결과로서,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어플리케이션 화면에는 상점과 관련된 포인트 또는 로열티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400)에는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와의 연동, 또는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또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에는 다수의 사업자 서버들 각각에 대응하는 그래픽 아이콘들이 포함되거나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고객은 이러한 그래픽 아이콘들을 통해 적립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4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이동 통신 장치로서, 예를 들면,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40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지원하는 기기 또는, PC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는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에 개시된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형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에 불과하므로, 본원에서 이야기하는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종류 및 형태가 도 1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도 1의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정보 관리 서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는 상점 디바이스 연동부(110), 정보 처리부(120), 사업자 고개 관리 서버 연동부(130), 모바일 디바이스 연동부(140) 및 데이터베이스(150)를 포함한다. 다만, 도 2의 구성은 본원의 다양한 실시예들 각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점 디바이스 연동부(110)는 상점디바이스(310)로부터 무선 주파수 카드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정보는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의 명령어 및 명령어의 응답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의 정보는 모바일 디바이스(400)와 상점 디바이스(310)의 리더기(311) 사이의 근접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근접은 터칭을 의미할 수도 있다.
무선 주파수 카드는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는 정보를 주고 받는 비접촉성 카드로서, MIFARE, ISO1443 Type A, ISO1443 Type B 및 Felica 등의 RF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카드일 수 있다. 또한, 무선 주파수 카드의 일 예는 IC(Integrated Circuit) 칩, IC칩을 내장한 카드, Combi-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장치 등일 수 있다. 또한, 무선 주파수 카드는 PICC(Proximity IC Card)라고 표현될 수도 있으며, 일반적인 RF 카드일 수도 있다. 무선 주파수 카드의 형태는 선/후불 교통카드, 출입증, 사원증, 학생증 등일 수 있다. 또한, 무선 주파수 카드는 모바일 디바이스(400) 자체, 모바일 디바이스(400)에 포함된 것,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400)에 부착된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주파수 카드는 무선 주파수 카드 기능을 탑재한 모바일 디바이스(400) 자체, 모바일 디바이스(400)에 부착된 교통카드 액세서리, 모바일 디바이스에 포함된 NFC 카드일 수 있다.
리더기(311) 또는 상점 디바이스(310)는 모바일 디바이스(400) 또는 별도의 무선 주파수 카드를 인식할 수 있다. 이때, 무선 주파수 카드는 사용되는 시스템에 따라 서로 다른 알에프(RF)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알에프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둘 이상의 무선 주파수 카드는 서로 다른 제조사의 칩을 포함할 수 있다. 리더기(311) 또는 상점 디바이스(310)는 앞서 예시된 다양한 무선 주파수 카드를 인식할 수 있다.
리더기(311) 또는 상점 디바이스(310)는 인식된 무선 주파수 카드로 복수의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명령어를 전송하고, 무선 주파수 카드로부터 복수의 명령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더기(311) 또는 상점 디바이스(310)는 무선 주파수 카드가 지원하는 프로토콜 규격 수준에서 서로 다른 명령어에 따라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리더기(311) 또는 상점 디바이스(310)는 ISO 14443 Type A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무선 주파수 카드, ISO 14443 Type B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무선 주파수 카드 및 Felica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무선 주파수 카드에 서로 다른 명령어를 전송할 수 있다. 리더기(311) 또는 상점 디바이스(310)는 인식된 다양한 종류의 무선 주파수 카드로 전송된 명령어에 대응하는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리더기(311) 또는 상점 디바이스(310)는 무선 주파수 카드로 전송한 명령어와 그에 대응 응답의 정보를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의 정보로서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의 정보는 모바일 디바이스(400) 또는 무선 주파수 카드와 상기 상점 디바이스의 리더기 사이의 근접 또는 터칭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것일 수 있다.
상점 디바이스 연동부(110)는 상점 디바이스(310)로부터 상점 또는 사업자 서버에 대응하는 상점 아이디 또는 사업자 아이디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상점 아이디 또는 사업자 아이디는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 정보 내에 또는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 정보와 함께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상점 아이디 또는 사업자 아이디는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가 상점 디바이스(310), 상점 또는 사업자 서버(210)를 식별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정보 처리부(120)는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의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주파수 카드에 대응하는 고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정보 처리부(120)는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주파수 카드에 대응하는 고유 아이디를 생성하고, 생성한 고유 아이디에 기초하여 고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정보 처리부(120)는 리더기(311) 또는 상점 디바이스(310)에서 무선 주파수 카드로 전송된 명령어 및 그 명령어의 응답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무선 주파수 카드의 고유 아이디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부(120)는 ISO14443 Type A 프로토콜에 의해 수신한 복수의 응답을 조합하여 무선 주파수 카드의 고유 아이디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유 아이디는 무선 주파수 카드를 식별하는 좋은 수단이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주파수 카드는 제조 과정에서 아이디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아이디는 프로토콜 수준에서 부여된 값으로서, 무선 주파수 카드를 발급 및 관리하는 시스템에 따라 서로 다른 아이디 체계를 가진다. 예를 들어, 아이디는 무선 주파수 카드 제조사, IC칩 제조사, 칩 OS 개발사, 카드 발급사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의 아이디 체계를 가진다. 더군다나, 어느 하나의 프로토콜에 대한 아이디를 발급할 때, 다른 하나의 프로토콜에 기 발급된 아이디를 조회하는 것은 아니므로, 동일한 아이디를 갖는 복수개의 무선 주파수 카드가 존재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어느 하나의 시스템에서 모든 형태의 무선 주파수 카드의 아이디를 통합 관리하는 것은 매우 어려우며, 이러한 아이디를 통해 무선 주파수 카드를 식별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못하다. 이와 대조적으로, 정보 처리부(120)는 무선 주파수 카드 제조사, IC칩 제조사, 칩 OS 개발사, 카드 발급사에 따라 독립적으로 부여된 아이디와 무관하게, 무선 주파수 카드를 식별하는 고유 아이디를 생성할 수 있다.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고유 아이디는 리더기(311) 또는 상점 디바이스(310)에 의해 생성되고, 상점 디바이스 연동부(110) 또는 정보 처리부(120)는 리더기(311) 또는 상점 디바이스(310)로부터 고유 아이디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의 정보에는 고유 아이디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 정보에 기초하여 고유 아이디를 생성하는 과정의 일 예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다시금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 연동부(130)는 고객 정보를 사업자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 연동부(130)는 사업자 서버로부터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적립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사업자 서버는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를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고객 정보의 일 예는 고객의 전화번호, 아이디, 주민등록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와 같은 고객 고유 정보일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연동부(140)는 고객 정보에 기초하여 적립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적립 정보의 일 예는 포인트 정보, 로열티 정보 또는 쿠폰 정보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적립 정보는 푸시 메시지에 포함되어 모바일 디바이스(4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 때, 푸시 메시지는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화면에 적립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연동부(140)는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상태가 회원 가입 상태가 아닌 경우 적립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하되,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상태가 회원 가입 상태인 경우 적립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400)로 전송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모바일 디바이스 연동부(140)는 모바일 디바이스(400)로부터 회원 가입 요청이 수신된 경우, 적립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400)로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400)로 전송되는 적립 정보는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상태가 회원 가입 상태가 아닌 기간 동안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되었던 이전 적립 정보 및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상태가 회원 가입 상태인 이후의 현재 적립 정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회원 가입 상태란 모바일 디바이스(400)에 소정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소정 어플리케이션은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또한, 회원 가입 상태란 사용자 또는 고객의 요청에 의하여 사용자 또는 고객의 회원 또는 어플리케이션 가입 정보가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150)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정보의 일 예는 고객 정보, 적립 정보, 고유 아이디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150)는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비휘발성의 다양한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고,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외부 메모리 디바이스 또는 클라우드(cloud) 메모리일 수도 있다.
본원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무선 주파수 카드는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에 기 등록된 카드이거나 등록되지 않은 카드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고객은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에 기존 고객(또는 가입된 고객)이거나 기존 고객이 아닐 수(또는 가입되지 않은 고객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400)는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에 회원 가입된 모바일 디바이스거나 또는 회원 가입되지 않은 모바일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조합에 대해 구분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원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무선 주파수 카드는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에 기 등록된 카드이고, 고객의 모바일 디바이스(400)는 회원 가입된 상태이고, 고객은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의 기존 고객일 수 있다.
이러한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상점 디바이스 연동부(110)는 상점 디바이스(310)로부터 무선 주파수 카드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의 정보를 수신하고, 정보 처리부(120)는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주파수 카드에 대응하는 고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정보 처리부(120)는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주파수 카드가 기 등록된 카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기 등록된 카드인 경우, 데이터베이스(150)로부터 무선 주파수 카드에 대응하는 고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정보 처리부(120)는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주파수 카드의 고유 아이디를 생성하고, 데이터베이스(150)에 생성한 고유 아이디가 고객 정보와 함께 기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무선 주파수 카드가 기 등록된 카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 연동부(130)는 고객 정보를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로 전송하고,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로부터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적립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는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고객이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의 기존 고객이라고 판단된 경우,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적립 정보를 고객 정보 관리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는 고객 정보에 기초하여 적립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4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원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무선 주파수 카드는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에 기 등록된 카드이고, 고객의 모바일 디바이스(400)는 회원 가입된 상태이고, 고객은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의 기존 고객이 아닐 수 있다. 여기서, 기존 고객이 아니라는 것은 가입 절차를 통해 고객으로 가입하지 않은 상태 또는 고객의 개인 정보를 입력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상점 디바이스 연동부(110)는 상점 디바이스(310)로부터 무선 주파수 카드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의 정보를 수신하고, 정보 처리부(120)는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주파수 카드에 대응하는 고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정보 처리부(120)는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주파수 카드가 기 등록된 카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기 등록된 카드인 경우, 데이터베이스(150)로부터 무선 주파수 카드에 대응하는 고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정보 처리부(120)는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주파수 카드의 고유 아이디를 생성하고, 데이터베이스(150)에 생성한 고유 아이디가 고객 정보와 함께 기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무선 주파수 카드가 기 등록된 카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 연동부(130)는 고객 정보를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로 전송하고,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로부터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적립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는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고객이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의 기존 고객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기존 고객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로 모바일 디바이스(400)에 관한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고, 이를 수신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사용자를 신규 고객으로 등록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는 것은 고객 세부 정보를 요청하는 것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고객 세부 정보에는 고객의 이름, 성별, 생일, 이메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는 고객 세부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50)에 기 저장하고 있을 수도 있고,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의 요청에 대응하여 상점 디바이스(310)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400)로 고객 세부 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할 수도 있다. 또한, 고객 세부 정보는 모바일 디바이스(400)가 고객 정보 관리 서버에 대해 회원 가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획득될 수도 있다. 이후,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는 신규 고객의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적립 정보를 고객 정보 관리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는 고객 정보에 기초하여 적립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4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원의 제 3 내지 제 4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무선 주파수 카드는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에 등록되지 않은 카드이고, 고객의 모바일 디바이스(400)는 회원 가입된 상태이고, 고객은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의 기존 고객이거나, 기존 고객이 아닐 수 있다. 여기서, 기존 고객이 아니라는 것은 가입 절차를 통해 고객으로 가입하지 않은 상태 또는 고객의 개인 정보를 입력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제 3 내지 제 4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점 디바이스 연동부(110)는 상점 디바이스(310)로부터 무선 주파수 카드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의 정보를 수신하고, 정보 처리부(120)는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주파수 카드에 대응하는 고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정보 처리부(120)는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주파수 카드가 기 등록된 카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기 등록된 카드가 아닌 경우 상점 디바이스(310)로 카드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카드 등록의 요청은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가 판단한 무선 주파수 카드의 고유 아이디에 대응하는 고객 정보(예를 들어, 전화번호)를 요청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정보 처리부(120)는 무선 주파수 카드가 기 등록된 카드가 아닌 경우, 무선 주파수 카드의 고객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한편, 상점 디바이스(310)는 무선 주파수 카드에 대응하는 고객 정보를 사용자(또는 고객) 또는 상점(또는 매장)의 종사자로부터 입력받고, 입력받은 고객 정보를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 또는 정보 처리부(120)로 전송할 수 있다. 정보 처리부(120)는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주파수 카드의 고유 아이디를 생성하고, 데이터베이스(150)에 생성한 고유 아이디가 고객 정보와 함께 기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무선 주파수 카드가 기 등록된 카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 연동부(130)는 고객 정보를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로 전송하고,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로부터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적립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는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고객이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의 기존 고객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기존 고객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로 모바일 디바이스(400)에 관한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고, 이를 수신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사용자를 신규 고객으로 등록할 수 있다. 이후,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는 신규 고객의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적립 정보를 고객 정보 관리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는 고객 정보에 기초하여 적립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400)로 전송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제 1 내지 제 4 실시예들은 각자 개별적으로 실시될 수도 있으나, 함께 실시될 수도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된 제 1 내지 제 4 실시예들을 도 3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예시하도록 한다. 도 3은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로 적립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리더기(311)는 상점 디바이스(310)로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 정보를 전달하고, 단계 S302에서 상점 디바이스(310)는 전달받은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 정보를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로 전달할 수 있다. 단계 S303에서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 또는 정보 처리부(120)는 무선 주파수 카드가 기 등록된 카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기 등록된 카드인 경우, 고객 정보를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로 전달할 수 있다(S307). 이 때, 고객 정보의 일 예는 전화번호일 수 있으며, 전화번호는 모바일 디바이스(40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또는 무선 주파수 카드에 대응하는 전화번호일 수 있다.
한편, 단계 S303에서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 또는 정보 처리부(120)는 무선 주파수 카드가 기 등록된 카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기 등록된 카드가 아닌 경우, 상점 디바이스(310)로 카드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S304). 단계 S305에서 상점 디바이스(310)는 고객 정보 입력을 요청하는 화면을 상점 디바이스(310)에 표시하고(S305), 무선 주파수 카드에 대응하는 고객 정보를 사용자(또는 고객) 또는 상점(또는 매장)의 종사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단계 S306에서 상점 디바이스(310)는 카드 등록의 응답으로서, 입력받은 고객 정보를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 또는 정보 처리부(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고객 정보는 전화번호일 수 있다. 또한, 단계 S307에서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 또는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 연동부(130)는 고객 정보를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로 전달할 수 있다(S307).
단계 S308에서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는 고객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주파수 카드의 고객이 기존 고객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기존 고객일 경우, 고객 정보를 상점 디바이스(310)로 전달할 수 있다(S312). 이 때, 고객 정보는 전화번호일 수도 있고, 고객의 이름 또는 포인트 정보일 수도 있다.
다만, 단계 S308에서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는 고객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주파수 카드의 고객이 기존 고객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기존 고객이 아닌 경우,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로 모바일 디바이스(400)에 관한 사용자 정보를 고객 세부 정보로서 요청하고(S309),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로 고객 세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310). 이 때, 고객 세부 정보는 고객 가입에 필요한 세부 정보로서, 사용자의 이름, 주소, 취미 등 사용자의 개인 신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311에서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는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사용자를 신규 고객으로 등록하고, 신규 고객의 고객 정보를 상점 디바이스(310)로 전달할 수 있다(S312). 이 때, 고객 정보는 전화번호일 수도 있고, 고객의 이름 또는 포인트 정보일 수도 있다. 또한, 고객 정보는 신규 등록된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사용자 정보일 수 있다.
단계 S313에서 상점 디바이스(310)는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로 구매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구매 정보의 일 예는 포인트 적립 정보 또는 구매이력일 수 있다. 단계 S314에서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는 고객의 적립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적립 정보를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적립 정보에는 고객의 전화번호, 고객 아이디, 포인트 적립 정보, 포인트 사용 정보 및 최종 포인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단계 S315를 통해 전달되는 적립 정보는 업데이트 완료 정보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업데이트 완료 정보는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에서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로 전달될 뿐만 아니라,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에서 상점 디바이스(310)로도 전달될 수 있다. 단계 S316에서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 연동부(140)는 모바일 디바이스(400)로 적립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모바일 디바이스(400) 또는 고객(또는 사용자)는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에 대응하는 소정 어플리케이션에 기 가입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단계 S316에서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 연동부(140)는 적립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모바일 디바이스(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메시지는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E-mail의 형태일 수도 있고, 푸시(PUSH) 메시지 형태일 수도 있다. 이 때, 푸시 메시지는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화면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적립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푸시 메시지는 모바일 디바이스(400)로 하여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도록 하는 것일 수도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301 내지 S316는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원의 제 5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무선 주파수 카드는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에 기 등록된 카드이고, 고객의 모바일 디바이스(400)는 회원 가입되지 않은 상태이고, 고객은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의 기존 고객일 수 있다.
이러한 제 5 실시예에 따르면, 상점 디바이스 연동부(110)는 상점 디바이스(310)로부터 무선 주파수 카드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의 정보를 수신하고, 정보 처리부(120)는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주파수 카드에 대응하는 고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정보 처리부(120)는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주파수 카드가 기 등록된 카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기 등록된 카드인 경우, 데이터베이스(150)로부터 무선 주파수 카드에 대응하는 고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부(120)는 모바일 디바이스(400)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사용자가 회원 가입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회원 가입 상태는 모바일 디바이스(400)에 고객 정보 관리 서버가 다운로드되어 설치된 상태(또는 설치된 후 인증된 상태)를 의미할 수도 있고,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에 회원으로 등록된 사용자를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정보 처리부(120)는 모바일 디바이스(400)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사용자가 회원 가입 상태가 아닌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400)로 회원가입을 유도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메시지는 모바일 디바이스(400)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것을 유도하기 위한 메시지로서, SMS, MMS, e-mail, IMS(Instant messaging service) 또는 푸시 메시지와 같은 것일 수 있다.
또한,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 연동부(130)는 고객 정보를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로 전송하고,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로부터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적립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는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고객이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의 기존 고객이라고 판단된 경우,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적립 정보를 고객 정보 관리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는 고객 정보에 기초하여 적립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4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원의 제 6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무선 주파수 카드는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에 등록되지 않은 카드이고, 고객의 모바일 디바이스(400)는 회원 가입되지 않은 상태이고, 고객은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의 기존 고객일 수 있다.
이러한 제 6 실시예에 따르면, 상점 디바이스 연동부(110)는 상점 디바이스(310)로부터 무선 주파수 카드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의 정보를 수신하고, 정보 처리부(120)는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주파수 카드에 대응하는 고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정보 처리부(120)는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주파수 카드가 기 등록된 카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기 등록된 카드가 아닌 경우 상점 디바이스(310)로 카드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카드 등록의 요청은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가 판단한 무선 주파수 카드의 고유 아이디에 대응하는 고객 정보(예를 들어, 전화번호)를 요청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부(120)는 모바일 디바이스(400)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사용자가 회원 가입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정보 처리부(120)는 모바일 디바이스(400)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사용자가 회원 가입 상태가 아닌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400)로 회원가입을 유도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 연동부(130)는 고객 정보를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로 전송하고,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로부터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적립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는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고객이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의 기존 고객이라고 판단된 경우,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적립 정보를 고객 정보 관리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는 고객 정보에 기초하여 적립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4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원의 제 7 내지 제 8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무선 주파수 카드는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에 등록 또는 등록되지 않은 카드이고, 고객의 모바일 디바이스(400)는 회원 가입되지 않은 상태이고, 고객은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의 기존 고객이 아닐 수 있다.
이러한 제 7 내지 제 8 실시예에 따르면, 상점 디바이스 연동부(110)는 상점 디바이스(310)로부터 무선 주파수 카드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의 정보를 수신하고, 정보 처리부(120)는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주파수 카드에 대응하는 고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정보 처리부(120)는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주파수 카드가 기 등록된 카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기 등록된 카드가 아닌 경우 상점 디바이스(310)로 카드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카드 등록의 요청은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가 판단한 무선 주파수 카드의 고유 아이디에 대응하는 고객 정보(예를 들어, 전화번호)를 요청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정보 처리부(120)는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주파수 카드가 기 등록된 카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 이미 등록된 카드인 경우, 데이터베이스(150)로부터 무선 주파수 카드에 대응하는 고객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부(120)는 모바일 디바이스(400)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사용자가 회원 가입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정보 처리부(120)는 모바일 디바이스(400)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사용자가 회원 가입 상태가 아닌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400)로 회원가입을 유도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 연동부(130)는 고객 정보를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로 전송하고,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로부터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적립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는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고객이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의 기존 고객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기존 고객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고객 정보를 이용하여 신규 고객 등록일 진행하고, 상점 디바이스(310)로 이를 알릴 수 있다. 이 때,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는 상점 디바이스(310)로 하여금 신규 고객의 고객 세부 정보를 수집하도록 요청하고, 상점 디바이스(310)로부터 고객 세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점 디바이스(310)는 고객(또는 사용자) 또는 상점 종사자로부터 고객 세부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는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로 모바일 디바이스(400)에 관한 고객 세부 정보를 요청하고, 이를 수신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사용자를 신규 고객으로 등록할 수도 있다. 이 때, 고객 세부 정보에는 고객의 이름, 성별, 생일, 이메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는 고객 세부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50)에 기 저장하고 있을 수도 있고,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의 요청에 대응하여 상점 디바이스(310)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400)로 고객 세부 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할 수도 있다. 이후,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는 신규 고객의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적립 정보를 고객 정보 관리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는 고객 정보에 기초하여 적립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400)로 전송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제 1 내지 제 8 실시예들은 각자 개별적으로 실시될 수도 있으나, 함께 실시될 수도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된 제 5 내지 제 8 실시예들을 도 4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예시하도록 한다. 도 4는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로 적립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리더기(311)는 상점 디바이스(310)로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 정보를 전달하고(S401), 단계 S402에서 상점 디바이스(310)는 전달받은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 정보를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로 전달할 수 있다. 단계 S403에서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 또는 정보 처리부(120)는 무선 주파수 카드가 기 등록된 카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기 등록된 카드인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400)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사용자가 회원 가입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09). 또한, 정보 처리부(120)는 판단 결과 회원 가입 상태인 경우 단계 S411을 수행하도록 하고, 회원 가입 상태가 아닌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400)로 회원가입을 유도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410).
한편, 단계 S403에서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 또는 정보 처리부(120)는 무선 주파수 카드가 기 등록된 카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등록되지 않은 카드인 경우, 상점 디바이스(310)로 카드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S404). 단계 S405에서 상점 디바이스(310)는 고객 정보 입력을 요청하는 화면을 상점 디바이스(310)에 표시하고, 무선 주파수 카드에 대응하는 고객 정보를 사용자(또는 고객) 또는 상점(또는 매장)의 종사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단계 S406에서 상점 디바이스(310)는 카드 등록의 응답으로서, 입력받은 고객 정보를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 또는 정보 처리부(1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407에서,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 또는 정보 처리부(120)는 모바일 디바이스(400)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사용자가 회원 가입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07). 또한,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 또는 정보 처리부(120)는 판단 결과 회원 가입 상태인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400)로 카드 등록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S408), 단계 S411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반면,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 또는 정보 처리부(120)는 판단 결과 회원 가입 상태가 아닌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400)로 회원가입을 유도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410). 이와 같은 메시지는 모바일 디바이스(400)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것을 유도하기 위한 메시지로서, SMS, MMS, e-mail, IMS(Instant messaging service) 또는 푸시 메시지와 같은 것일 수 있다.
또한, 단계 S307에서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 또는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 연동부(130)는 고객 정보를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로 전달할 수 있다(S411).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는 고객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주파수 카드의 고객이 기존 고객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기존 고객일 경우, 고객 정보를 상점 디바이스(310)로 전달할 수 있다(S412). 이 때, 고객 정보는 전화번호일 수도 있고, 고객의 이름 또는 포인트 정보일 수도 있다.
다만, 도 4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는 고객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주파수 카드의 고객이 기존 고객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기존 고객이 아닌 경우,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로 모바일 디바이스(400)에 관한 사용자 정보를 고객 세부 정보로서 요청하고,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로 고객 세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는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사용자를 신규 고객으로 등록하고, 신규 고객의 고객 정보를 상점 디바이스(310)로 전달할 수 있다.
단계 S414에서 상점 디바이스(310)는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로 구매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구매 정보의 일 예는 포인트 적립 정보 또는 구매이력일 수 있다. 단계 S415에서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는 고객의 적립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적립 정보를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적립 정보에는 고객의 전화번호, 고객 아이디, 포인트 적립 정보, 포인트 사용 정보 및 최종 포인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단계 S416에서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 연동부(140)는 모바일 디바이스(400)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사용자가 회원 가입 상태인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400)로 적립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반면,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 연동부(140)는 모바일 디바이스(400)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사용자가 회원 가입 상태가 아닌 경우, 적립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적립 정보는 이후 모바일 디바이스(400)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사용자가 회원 가입 상태가 된 이후, 모바일 디바이스(400)로 전송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417에서 고객은 매장에 방문하여 고객 정보 변경 요청을 할 수 있다. 이 때, 단계 S418에서 상점 디바이스(310)는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로 고객 정보 변경 요청을 할 수 있다. 단계 S419에서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는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로 고객 정보 변경 요청을 할 수 있다. 단계 S420에서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는 고객 정보 변경 요청에 대한 고객 정보 변경 응답을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로 전달할 수 있다. 단계 S421에서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는 모바일 디바이스(400)로 정보 변경에 대한 안내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100)는 안내 문자 또는 앱으로 푸시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401 내지 S421는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원의 제 9 실시예에 따르면, 상점 디바이스 연동부(110)는 상점 디바이스(310)로부터 무선 주파수 카드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의 정보를 수신하고, 정보 처리부(120)는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주파수 카드에 대응하는 고객 정보를 획득하고,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 연동부(130)는 고객 정보를 사업자 서버로 전송하고,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 연동부(130)로부터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적립 정보를 수신한 이후, 상점 디바이스 연동부(110)는 제 2 상점 디바이스(320)로부터 무선 주파수 카드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의 정보를 수신하고, 정보 처리부(120)는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주파수 카드에 대응하는 고객 정보를 획득하고,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 연동부(130)는 고객 정보를 사업자 서버로 전송하고,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 연동부(130)로부터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제 2 적립 정보를 수신하고, 모바일 디바이스 연동부(140)는 제 1 상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 1 적립 정보 및 상기 제 2 적립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로 적립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통해 제 9 실시예를 설명하면, 단계 S501에서 리더기(311)는 상점 디바이스(310)로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단계 S502에서 상점 디바이스(310)는 전달받은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 정보를 다시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로 전달할 수 있다. 단계 S503에서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 또는 정보 처리부(120)는 모바일 디바이스(400)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사용자가 회원 미가입 상태라는 것을 인식하고(S503),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 또는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 연동부(130)는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로 고객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505에서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는 상점 디바이스(310)로 고객 정보를 전달하고, 단계 S506에서 상점 디바이스(310)는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로 구매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단계 S507에서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가 생성된 적립 정보를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 또는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 연동부(130)로 전달하면, 단계 S508에서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 또는 정보 처리부(120)는 제 1 적립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 또는 정보 처리부(120)는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상태가 회원 가입 상태가 아닌 경우 적립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하는 반면,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상태가 회원 가입 상태인 경우 적립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509에서 모바일 디바이스(400)가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로 회원 가입 요청하고, 단계 S510에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가 모바일 디바이스(400)로 회원 가입 승인을 전송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상태가 회원 가입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 때, 도 5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 연동부(140)는 기존에 저장되어 있던 제 1 적립 정보를 회원 가입 승인과 함께, 또는 별도로 모바일 디바이스(400)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511에서 제 2 리더기(321)는 제 2 상점 디바이스(320)로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단계 S512에서 제 2 상점 디바이스(320)는 전달받은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 정보를 다시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로 전달할 수 있다. 단계 S513에서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 또는 정보 처리부(120)는 고객의 회원 가입 상태를 확인하고, 단계 S514에서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 또는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 연동부(130)는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로 고객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단계 S515에서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는 제 2 상점 디바이스(320)로 고객 정보를 전달하고, 단계 S516에서 제 2 상점 디바이스(320)는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로 구매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단계 S517에서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에 생성된 적립 정보(또는 제 2 적립 정보)는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로 전달될 수 있다. 단계 S519에서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는 기 저장되어 있던 제 1 적립 정보와 제 2 적립 정보 모두를 모바일 디바이스(4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501 내지 S518는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원의 제 10 실시예에 따르면, 상점 디바이스 연동부(110)는 상점 디바이스(310)로부터 무선 주파수 카드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의 정보를 수신하고, 정보 처리부(120)는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주파수 카드에 대응하는 고객 정보를 획득하고, 상점 디바이스 연동부(110)는 상점 디바이스(310)로부터 사업자 서버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수신하고,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 연동부(130)는 식별자에 기초하여 고객 정보를 사업자 서버로 전송하고,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 연동부(130)로부터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적립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적립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4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원의 제 11 실시예에 따르면, 상점 디바이스 연동부(110)는 상점 디바이스(310)로부터 무선 주파수 카드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의 정보를 수신하고, 정보 처리부(120)는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주파수 카드에 대응하는 고객 정보를 획득하고, 상점 디바이스 연동부(110)는 상점 디바이스(310)로 복수의 사업자 서버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고, 상점 디바이스(310)로부터 복수의 사업자 서버 중 사업자 서버(310)에 관한 선택을 수신하고,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 연동부(130)는 선택에 기초하여 고객 정보를 사업자 서버로 전송하고,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 연동부(130)로부터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적립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적립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4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원의 제 12 실시예에 따르면, 상점 디바이스 연동부(110)는 상점 디바이스(310)로부터 무선 주파수 카드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의 정보를 수신하고, 정보 처리부(120)는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주파수 카드에 대응하는 고객 정보를 획득하고,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 연동부(130)는 복수의 사업자 서버들로 고객 정보를 전송하고, 복수의 사업자 서버들 각각으로부터 적립 정보들을 수신하고, 수신한 적립 정보들을 모바일 디바이스(400)로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사업자 서버 각각은 서로 다른 브랜드, 운영주체, 업종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달리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어느 하나의 사업자 서버가 의류 회사에서 운용하며, 의류 회사에 가입된 고객을 관리하는 서버인 경우, 다른 하나의 사업자 서버는 카페 프렌차이즈 회사에서 운용하고, 카페 프렌차이즈 회사에 가입된 고객을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어느 하나의 사업자 서버가 백화점의 사업자 서버이고, 다른 하나의 사업자 서버가 백화점에 입점된 특정 매장의 사업자 서버, 또 다른 사업자 서버들은 특정 매장에서 판매하는 브랜드들 각각의 사업자 서버들일 수 있다. 이 경우, 고객은 자신의 모바일 디바이스(400)를 특정 매장 내 리더기에 터치하는 것만으로, 백화점에 대응하는 제 1 포인트, 특정 매장에 대응하는 제 2 포인트, 특정 매장에서 판매하는 브랜드들 각각에 대응하는 제 3 포인트 내지 제 5 포인트를 사용 또는 적립할 수 있다.
도 6은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로 적립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제 11 실시예를 예시하면, 단계 S601에서 리더기(311)는 상점 디바이스(310)로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단계 S602에서 상점 디바이스(310)는 전달받은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 정보를 다시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로 전달할 수 있다. 단계 S603에서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 또는 상점 디바이스 연동부(110)는 사업자 선택 요청을 상점 디바이스(3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점 디바이스(310)는 사용자(또는 고객) 또는 상점(또는 매장)의 종사자로부터 사업자의 선택을 입력받고 (S604), 사업자 선택 요청에 대한 응답을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 또는 상점 디바이스 연동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S605).
단계 S606에서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 또는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 연동부(130)는 응답에 기초하여 고객 정보를 사업자 서버로 전송하고, 단계 S607에서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는 상점 디바이스(310)로 고객 정보를 전달하고, 단계 S608에서 상점 디바이스(310)는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로 구매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단계 S609에서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에 생성된 적립 정보는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로 전달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601 내지 S609는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제 12 실시예를 예시하면, 단계 S610에서 리더기(311)는 상점 디바이스(310)로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단계 S611에서 상점 디바이스(310)는 전달받은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 정보를 다시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로 전달할 수 있다. 단계 S612에서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 또는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 연동부(130)는 고객 정보를 제 1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또는 사업자 서버)로 전송하고, 제 1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는 적립 정보 생성 프로세스를 진행하고(S613), 적립 정보 생성 프로세스의 결과인 제 1 적립 정보를 고객 정보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S614). 이 때, 적립 정보 생성 프로세스는 적립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615에서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 또는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 연동부(130)는 고객 정보를 제 2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20)(또는 제 2 사업자 서버)로 전송하고, 제 2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20)는 적립 정보 생성 프로세스를 진행하고(S616), 적립 정보 생성 프로세스의 결과인 제 2 적립 정보를 고객 정보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S617). 단계 S618에서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는 제 1 적립 정보와 제 2 적립 정보 모두를 모바일 디바이스(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는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 정보를 1회 수신하는 것으로, 복수의 사업자 서버에 대응하는 적립 정보 모두를 모바일 디바이스(4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610 내지 S618는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7은 앱 가입 요청, 번호 변경 요청 및 앱 탈퇴 요청 각각을 처리하는 과정의 일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701에서 모바일 디바이스(400)는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로 앱 가입 요청을 할 수 있다. 단계 S702에서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는 모바일 디바이스(400)로 앱 가입 요청에 대한 인증 번호를 발송할 수 있다. 단계 S703에서 모바일 디바이스(400)는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로 고객 세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고객 세부 정보는 이름, 성별, 생일 및 이메일 일 수 있다. 단계 S704에서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는 고객 정보 업데이트 알림을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705에서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는 고객 정보 업데이트 응답을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로 할 수 있다. 단계 S706에서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는 고객 세부 정보를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707에서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는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로 고객 정보 업데이트에 대한 완료 상황을 전송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708에서 고객은 매장을 방문하지 않고, 모바일 디바이스(400)를 통해 번호를 변경할 수 있다. 단계 S709에서 모바일 디바이스(400)는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로 번호 변경 요청을 할 수 있다. 단계 S710에서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는 인증 번호를 모바일 디바이스(400)로 전달할 수 있다. 단계 S711에서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는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로 번호 변경에 대한 요청을 할 수 있다. 단계 S712에서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는 변경된 고객 정보를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로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713에서 모바일 디바이스(400)는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로 앱 탈퇴 요청을 할 수 있다. 단계 S714에서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는 모바일 디바이스(400)로 탈퇴 처리 완료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715에서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는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로 고객 탈퇴 요청을 할 수 있다. 단계 S716에서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는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로 고객 정보 삭제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716 내지 S716는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8은 모바일 디바이스로 쿠폰을 발송하고, 쿠폰을 사용하는 과정의 일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통해 본원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단계 S801에서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는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로 쿠폰 코드를 요청할 수 있다. 단계 S802에서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는 코드를 부여하고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로 전달할 수 있다. 단계 S803에서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는 쿠폰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804에서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는 모바일 디바이스(400)로 쿠폰을 발송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단계 S805에서 리더기(311)는 상점 디바이스(310)로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단계 S302에서 상점 디바이스(310)는 전달받은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 정보를 다시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로 전달할 수 있다. 단계 S807에서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는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로 고객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 정보는 이름, 포인트 쿠폰 정보 일 수 있다. 단계 S808에서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는 상점 디바이스(310)로 고객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단계 S809에서 상점 디바이스(310)는 쿠폰 사용 입력을 할 수 있다. 단계 S810에서 상점 디바이스(310)는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로 쿠폰 사용 요청을 할 수 있다. 단계 S811에서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는 요청 받은 쿠폰을 사용 처리할 수 있다. 단계 S812에서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는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로 쿠폰 사용 알림을 전달할 수 있다. 단계 S813에서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는 모바일 디바이스(400)로 쿠폰 사용 알림을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앱의 푸시 메시지를 이용하여 쿠폰 사용을 고객에게 알릴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801 내지 S813는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 연동부(140)는 모바일 디바이스(400)로 쿠폰 정보를 제공하고, 상점 디바이스 연동부(110)는 상점 디바이스(310)로부터 무선 주파수 카드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의 정보를 수신하고, 정보 처리부(120)는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주파수 카드에 대응하는 고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정보 처리부(120)는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주파수 카드가 기 등록된 카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기 등록된 카드인 경우, 데이터베이스(150)로부터 무선 주파수 카드에 대응하는 고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 연동부(130)는 고객 정보를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로 전송하고,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로부터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적립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적립 정보는 쿠폰 정보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적립 정보는 쿠폰 정보의 소비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고객은 자신의 모바일 디바이스(400)를 리더기(311)에 터칭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400)에 표시 또는 저장된 쿠폰(또는 쿠폰 이미지)의 소비를 의도할 수 있다.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는 고객 정보에 기초하여 적립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4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정보 관리 시스템의 각 구성의 동작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여, 본원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면, 상점 디바이스(310) 또는 리더기(311)를 통해 고객의 무선 주파수 카드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무선 주파수 카드와의 터칭이 이루어지면(S901),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는 무선 주파수 카드가 등록된 카드인지 판단하고(S902), 판단 결과 등록 카드인 경우 단계 S903을 수행하고, 등록 카드가 아닌 경우 S905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단계 S903에서,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는 데이터베이스(150)에 고객 아이디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903), 판단 결과 고객 아이디가 존재하는 경우 단계 S910을 수행하고, 고객 아이디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S904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단계 S904에서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는 고객 전화번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고객 전화번호가 존재하면 고객 전화번호를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로 전달하고, 고객 전화번호가 존재하지 않으면 S905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단계 S905에서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는 회원 정보가 없다는 것을 인식하고, 상점 디바이스(310)로 하여금 고객 전화번호를 입력받도록 하고(S906), 상점 디바이스(310)로부터 고객 전화번호를 수신하여, 카드 아이디(또는 카드 고유 아이디)와 고객 전화번호를 데이터베이스(150)에 함께 저장할 수 있다(S907). 단계 S908에서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는 고객 전화번호로 고객 아이디가 조회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고객 아이디가 조회되지 않는 경우 고객 전화번호를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로 전달하고, 고객 아이디가 조회되는 경우 단계 S910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단계 S912에서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는 자신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고객 전화번호로 고객 아이디가 조회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고객 아이디가 조회되는 경우, 고객 아이디를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로 리턴하고(S914), 판단 결과 고객 아이디가 조회되지 않는 경우 신규 고객 아이디를 생성하고(S913), 신규 생성된 고객 아이디를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로 리턴할 수 있다.
단계 S915에서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는 데이터베이스(150)에 고객 아이디를 저장하고, 고객 아이디를 상점 디바이스(310)로 전달 또는 리턴할 수 있다(S910). 단계 S911 및 단계 S916에서 상점 디바이스(310) 및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는 각각 또는 서로 연동하여 적립 정보 조회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고, 단계 917 및 단계 S918에서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210) 및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는 적립 정보에 관한 처리를 완료 후 이를 동기화시킬 수 있다. 한편, 단계 S919에서,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는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고객 앱으로 푸시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푸시알림은 적립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901 내지 S919는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립 정보 전송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적립 정보 전송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에 의하여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여도, 도 2에서 도시된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10에도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적립 정보 전송 방법에도 적용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계 S1001에서 상점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주파수 카드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1002에서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주파수 카드에 대응하는 고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1003에서 고객 정보를 사업자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1004에서 사업자 서버로부터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적립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1005에서 고객 정보에 기초하여 적립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고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002)는,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주파수 카드에 대응하는 고유 아이디를 생성하는 단계(미도시) 및 고유 아이디에 기초하여 고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적립 정보 전송 방법은 상점 디바이스로부터 사업자 서버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하되, 이 때 고객 정보를 사업자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1003)는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고객 정보를 사업자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적립 정보 전송 방법은 상점 디바이스로 복수의 사업자 서버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미도시), 및 상점 디바이스로부터 복수의 사업자 서버 중 사업자 서버에 관한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하되, 이 때, 고객 정보를 사업자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1003)는 선택에 기초하여 고객 정보를 사업자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고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002)는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주파수 카드가 기 등록된 카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미도시), 무선 주파수 카드가 기 등록되지 않은 카드인 경우, 상점 디바이스로 무선 주파수 카드의 고객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미도시), 상점 디바이스로부터 고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적립 정보 전송 방법은 고객 정보를 사업자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1003) 이후에, 사업자 서버로부터 고객 세부 정보에 관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미도시), 및 사업자 서버로 상기 고객 세부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001) 이전에, 모바일 디바이스로 쿠폰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하되, 이 때, 적립 정보는 쿠폰 정보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001 내지 S1005는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1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립 정보 표시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적립 정보 표시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400)에 의하여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여도, 도 1에서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4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11에도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적립 정보 표시 방법에도 적용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계 S1101에서 모바일 디바이스(400)는 상점 디바이스로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1102에서 모바일 디바이스(400)는 적립 정보 전송 서버(100)로부터 적립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1103에서 모바일 디바이스(400)는 수신한 적립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적립 정보는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의 정보에 대응하는 것이되, 상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사업자 서버에 의해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11을 통해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400)는 디바이스로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의 정보를 전송하는 무선 주파수 카드(미도시), 및 적립 정보 전송 서버(100)로부터 적립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적립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프로세스(미도시) 및 데이터 또는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및 도 11 각각을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적립 정보 전송 방법 및 적립 정보 표시 방법 각각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 정보에 기초하여 고유 아이디를 생성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원이 이러한 일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리더기(311)는 모바일 디바이스(400)에 포함된 또는 별도의 무선 주파수 카드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더기(311)는 Mifare, ISO 14443 Type A, ISO 14443 Type B, Felica 등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무선 주파수 카드 또는, Mifare 와 ISO 14443 Type A를 함께 지원하는 등의 복수의 프로토콜을 동시에 지원하는 다양한 무선 주파수 카드를 인식할 수 있다.
리더기(311)는 인식된 무선 주파수 카드로 복수의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명령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더기(311)는 복수의 프로토콜에 정의된, REQA(Request A command), WUPA(Wake-UP A command), REQB(Request B command), WUPB(Wake-UP B command), Polling, ANTICOLLISION, SELECT, RATS(Request for Answer To Select) 및 복수의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 명령어 등을 포함하는 복수의 명령어를 인식된 무선 주파수 카드로 전송할 수 있다.
리더기(311)는 제 1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제 1 명령어를 무선 주파수 카드로 전송하고, 제 2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제 2 명령어를 무선 주파수 카드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리더기(311)는 ISO 14443 Type A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REQA, WUPA, SELECT, RATS(Request for Answer To Select) 등의 명령어를 무선 주파수 카드에 전송할 수 있고, ISO 14443 Type B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REQB, WUPB, SELECT 등의 명령어를 무선 주파수 카드에 전송할 수 있으며, Felica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Polling 명령어를 무선 주파수 카드에 전송할 수 있다.
리더기(311)는 제 1 유형의 명령어 및 제 2 유형의 명령어를 무선 주파수 카드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유형의 명령어는 무선 주파수 카드를 감지하는 위한 폴링(Polling) 명령어이고, 제 2 유형의 명령어는 선택(SELECT) 명령어일 수 있다. 리더기(311)는 제 1 유형의 명령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제 2 유형의 명령어를 무선 주파수 카드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더기(311)는 ISO 14443 Type A 프로토콜의 폴링 명령어에 대응하는 REQA 명령어를 무선 주파수 카드로 전송하고, REQA 명령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ANTICOLLISION 명령어 및, 선택 명령어인 SELECT 명령어를 무선 주파수 카드로 전송할 수 있다.
리더기(311)는 복수의 폴링 명령어 중 제 1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제 1 폴링 명령어를 무선 주파수 카드로 전송하고, 제 2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제 2 폴링 명령어를 무선 주파수 카드로 전송할 수 있다. 제 1 폴링 명령어는 REQA 명령어 및 WUPA 명령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제 2 폴링 명령어는 REQB 명령어 및 WUPB 명령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리더기(311)는 제 1 폴링 명령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 경우, 선택 명령어를 무선 주파수 카드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리더기(311)는 Mifare, ISO 14443 Type A 또는 두 프로토콜을 동시에 지원하는 폴링 명령어인 REQA 명령어를 무선 주파수 카드로 전송할 수 있고, ISO 14443 Type B 프로토콜의 폴링 명령어인 REQB 명령어를 무선 주파수 카드로 전송할 수 있으며, Felica 프로토콜의 폴링 명령어인 Polling 명령어를 무선 주파수 카드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리더기(311) REQA 명령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 경우, ANTICOLLISION 명령어 및 SELECT 명령어를 무선 주파수 카드로 전송할 수 있다.
리더기(311)는 제 1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REQA 명령어, 제 1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WUPA 명령어, 제 2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REQB 명령어, 제 2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WUPB 명령어 및 제 3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폴링 명령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리더기(311)는 제 1 주파수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REQA 명령어에 대한 응답 또는 WUPA 명령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 경우, 무선 주파수 카드로 해당 제 1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선택 명령어를 전송할 수 있다.
리더기(311)는 무선 주파수 카드로부터 복수의 명령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항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더기(311)는 전송된 복수의 명령어에 대한 응답으로 무선 주파수 카드로부터 ATQA(Answer To Request, Type A), ATQB(Answer To Request, Type B), UID(Unique Identifier), SAK(Select AcKnowledge, Type A), ATS(Answer To Select) 및 복수의 APDU 명령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리더기(311)는 제 1 유형의 명령어에 대한 응답 및 제 2 유형의 명령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리더기(311)는 REQA 또는 WUPA 명령어에 대한 응답으로 ATQA를 수신할 수 있고, 또는, SELECT 명령어에 대한 응답으로 SAK를 수신할 수 있다.
리더기(311)는 인식된 무선 주파수 카드의 제조 과정에서 부여된 무선 주파수 카드의 아이디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더기(311)는 ISO 14443 Type A 프로토콜의 ANTICOLLISION 명령어에 대한 응답으로 인식된 무선 주파수 카드의 UID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리더기(311)는 ISO 14443 Type B 프로토콜의 ANTICOLLISION 명령어에 대한 응답으로 인식된 무선 주파수 카드의 PUPI(Pseudo-Unique PICC Identifier)를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리더기(311)는 Felica 프로토콜의 IDm(Manufacture ID of acquired System) 또는 PMm(Manufacture Parameter of acquired System)를 수신할 수도 있다.
리더기(311), 상점 디바이스(310) 또는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는 무선 주파수 카드로부터 수신된 응답에 기초하여 무선 주파수 카드의 고유 아이디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더기(311), 상점 디바이스(310) 또는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는 ISO 14443 Type A 프로토콜의 경우, REQ 명령어에 대한 응답인 ATQA, ANTICOLLISION 명령어에 대한 응답인 UID, SELECT 명령어에 대한 응답인 SAK 를 조합하여 무선 주파수 카드의 고유 아이디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리더기(311), 상점 디바이스(310) 또는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는 RATS 명령어에 대한 응답인 ATS 및 복수의 APDU 명령어에 대한 응답을 더 포함하여 무선 주파수 카드의 고유 아이디를 생성할 수 있다.
리더기(311), 상점 디바이스(310) 또는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는 무선 주파수 카드로부터 제 1 명령어에 대응하는 제 1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제 1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아이디를 무선 주파수 카드의 고유 아이디로서 생성하고, 제 2 명령어에 대응하는 제 2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제 2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아이디를 무선 주파수 카드의 고유 아이디로서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리더기(311), 상점 디바이스(310) 또는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는 REQA 명령어에 대응하는 ATQA를 수신하는 경우, ISO 14443 Type A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고유 아이디를 무선 주파수 카드의 고유 아이디로서 생성하고, REQB 명령어에 대응하는 ATQB를 수신하는 경우, ISO 14443 Type B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고유 아이디를 무선 주파수 카드의 고유 아이디로서 생성할 수 있다. 또는, Felica 프로토콜의 명령어에 대응하는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Felica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고유 아이디를 무선 주파수 카드의 고유 아이디로서 생성할 수 있다.
리더기(311), 상점 디바이스(310) 또는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는 제 1 폴링 명령어 또는 제 2 폴링 명령어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응답을 이용하여 고유 아이디의 제 1 파트를 결정하고, 선택 명령어에 대한 응답에 기초하여 고유 아이디의 제 2 파트를 결정하고, 결정된 제 1 파트와 결정된 제 2 파트의 조합을 통하여 고유 아이디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더기(311), 상점 디바이스(310) 또는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는 ISO 14443 Type A 프로토콜의 폴링 명령어인 REQA 명령어에 대한 응답인 ATQA를 고유 아이디의 제 1 파트로 결정하고, ANTICOLLSION 명령어에 대한 응답인 UID 및 SELECT 명령어에 대한 응답인 SAK 를 고유 아이디의 제 2 파트로 결정하여, ATQA, UID, SAK의 조합으로 고유 아이디로 생성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ATS 및 APDU 명령어에 대한 응답을 더 포함하여 고유 아이디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리더기(311), 상점 디바이스(310) 또는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는 수신된 응답 및 수신된 아이디에 기초하여 무선 주파수 카드의 고유 아이디를 생성할 수 있다. 무선 주파수 카드로부터 수신된 아이디는 프로토콜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byte)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더기(311), 상점 디바이스(310) 또는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는 Mifare 및 ISO 14443Type A 프로토콜의 경우, 무선 주파수 카드에 따라 4byte, 7byte 또는 10byte의 크기를 갖는 UID에 기초하여 고유 아이디를 생성할 수 있고, ISO 14443 Type B 프로토콜의 경우, PUPI(Pseudo-Unique PICC Identifier), Application Data 및 Protocol Info로 구성된 11byte의 크기를 갖는 UID에 기초하여 고유 아이디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Felica 프로토콜의 경우 IDm(Manufacture ID of acquired System) 및 PMm(Manufacture Parameter of acquired System)로 구성된 16byte의 크기를 갖는 UID에 기초하여 무선 주파수 카드의 고유 아이디를 생성할 수 있다.
리더기(311), 상점 디바이스(310) 또는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는 다수의 응답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생성된 숫자 또는 문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소정 코드를 무선 주파수 카드를 식별하는 고유 아이디로서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리더기(311), 상점 디바이스(310) 또는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는 수신한 ATQA, ATQB, UID, SAK 및 ATS를 포함하는 복수의 응답을 적어도 하나 이상 조합하여 생성된 소정 코드를 고유 아이디로 생성할 수 있다.
리더기(311), 상점 디바이스(310) 또는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는 무선 주파수 카드의 감지를 위한 복수의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폴링 명령어를 반복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리더기(311), 상점 디바이스(310) 또는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는 무선 주파수 카드로부터 REQA 또는 WUPA 명령어에 응답하는 ATQA를 수신(S502)하는 경우, 무선 주파수 카드가 Mifare 또는 ISO 14443 Type A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으로 인지하고, 인지한 무선 주파수 카드에 ANTICOLLISION 명령어를 전송하여, UID를 수신하고, SELECT 명령어를 전송하여, 전송된 명령어에 대한 응답으로 SAK을 수신할 수 있다. 리더기(311), 상점 디바이스(310) 또는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는 수신된 ATQA, UID 및 SAK를 조합하여 무선 주파수 카드의 고유 아이디를 생성할 수 있다.
리더기(311), 상점 디바이스(310) 또는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는 무선 주파수 카드로부터 REQB 또는 WUPB 명령어에 응답하는 ATQB를 수신하는 경우, 무선 주파수 카드가 ISO 14443 Type B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으로 인지하고, 인지한 무선 주파수 카드에 ANTICOLLISION 명령어를 전송하여, UID를 수신하고, 수신된 ATQB 및 UID를 조합하여 무선 주파수 카드의 고유 아이디를 생성할 수 있다.
리더기(311), 상점 디바이스(310) 또는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는 무선 주파수 카드로부터 Polling 명령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무선 주파수 카드가 Felica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으로 인지하고, 인지한 무선 주파수 카드의 UID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리더기(311), 상점 디바이스(310) 또는 고객 정보 관리 서버(100)는 Polling 명령어에 대한 응답 및 수신한 UID를 조합하여 무선 주파수 카드의 고유 아이디를 생성할 수 있다.
표 1은 생성된 무선 주파수 카드의 고유 아이디의 복수의 파트들의 일예를 나타낸다.
고유아이디 구성 Mifare 프로 ISO 14443 Type A 프로토콜 Mifare + ISO 14443 Type A 프로토콜 ISO 14443 Type B 프로토콜 Felica 프로토콜
제 1 파트 REQA, WUPA 명령어에 응답할 때의 식별코드 A토콜 REQA, WUPA 명령어에 응답할 때의 식별코드 A REQA, WUPA 명령어에 응답할 때의 식별코드 A REQB, WUPB 명령어에 응답할 때의 식별코드 B Polling 명령어에 응답할 때의 식별코드 C
제 2 파트 UID(4Byte, 7Byte, 10Byte) UID(4Byte, 7Byte, 10Byte) UID(4Byte, 7Byte, 10Byte) UID(PUIP + Application Data + Protocol Info) UID(IDm + PMm)
제 3 파트 SAK (1byte) = 08h SAK (1byte) = 20h SAK (1byte) = 28h 해당 없음(null) 해당 없음(null)
제 4 파트 해당 없음(null) ATS 값 ATS 값 해당 없음(null) 해당 없음(null)
제 5 파트 해당 없음(null) APDU 명령어에 대한 응답데이터 APDU 명령어에 대한 응답데이터 APDU 명령어에 대한 응답데이터 해당 없음(null)
표 1을 참조하면, 생성된 무선 주파수 카드의 고유 아이디는 복수의 프로토콜 각각에 대응하는 소정 응답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SO 14443 Type A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무선 주파수 카드의 고유 아이디는 제 1 파트 내지 제 5 파트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파트는 REQA 또는, WUPA 명령어에 대한 응답인 ATQA를 수신할 때의 소정 식별코드(예를 들어, 001 또는 0011)이고, 제 2 파트는 ANTICOLLISION 명령어에 대한 응답인 UID이고, 제 3 파트는 SELECT 명령에 대한 응답인 20h 값을 갖는 SAK이고, 제 4 파트는 RATS 명령어에 대한 응답인 ATS의 값이고, 제 5 파트는 APDU 명령어의 일종인 GETDATA 명령어에 대한 응답 데이터일 수 있다. 다만, 본원의 표 1의 내용으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원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표 1의 내용은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주파수 카드가 소정 카드 제조사에 의하여 만들어진 경우, Mifare 프로토콜에서 제 3 파트의 SAK는 88h로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Mifare 프로토콜에서 제 2 파트의 UID는 Tag 값을 포함하는 경우 Tag 값에 따라 4, 8, 또는 12 Byt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겹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고객 정보 관리 서버
110: 상점 디바이스 연동부
120: 정보 처리부
130: 사업자 고객 관리 서버 연동부
140: 모바일 디바이스 연동부
150: 데이터베이스
210, 220: 사업자 서버
310, 320: 상점 디바이스
311, 321: 리더기
400: 모바일 디바이스

Claims (16)

  1. 적립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점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주파수 카드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주파수 카드에 대응하는 고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고객 정보를 사업자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업자 서버로부터 상기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적립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고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립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주파수 카드에 대응하는 고유 아이디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고유 아이디에 기초하여 상기 고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의 명령어 및 상기 명령어의 응답에 관한 정보인 것인,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의 정보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상기 상점 디바이스의 리더기 사이의 근접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것이되,
    상기 적립 정보는 푸시 메시지에 포함되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것이되,
    상기 푸시 메시지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 상기 적립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인,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제 2 상점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주파수 카드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의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되,
    상기 적립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상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 2 적립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되,
    상기 적립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는, 제 1 상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 1 적립 정보 및 상기 제 2 적립 정보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인,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립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회원 가입 요청이 수신된 경우, 상기 적립 정보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인,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사업자 서버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고객 정보를 사업자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고객 정보를 상기 사업자 정보를 전송하는 것인,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점 디바이스로 복수의 사업자 서버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상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복수의 사업자 서버 중 상기 사업자 서버에 관한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고객 정보를 사업자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에 기초하여 상기 고객 정보를 상기 사업자 정보를 전송하는 것인,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립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태가 회원 가입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적립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되,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태가 회원 가입 상태인 경우 상기 적립 정보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인,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적립 정보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태가 회원 가입 상태가 아닌 기간 동안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었던 이전 적립 정보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태가 회원 가입 상태인 이후의 현재 적립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회원 가입 상태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소정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것인,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주파수 카드가 기 등록된 카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무선 주파수 카드가 기 등록되지 않은 카드인 경우, 상기 상점 디바이스로 상기 무선 주파수 카드의 고객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상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고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정보를 사업자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사업자 서버로부터 고객 세부 정보에 관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업자 서버로 상기 고객 세부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모바일 디바이스로 쿠폰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적립 정보는 상기 쿠폰 정보에 대응하는 것인, 방법.
  15. 적립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서버에 있어서,
    상점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주파수 카드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의 정보를 수신하는 상점 디바이스 연동부;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주파수 카드에 대응하는 고객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처리부;
    상기 고객 정보를 사업자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사업자 서버로부터 상기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적립 정보를 수신하는 사업자 서버 연동부; 및
    상기 고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립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연동부를 포함하는 서버.
  16.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점 디바이스로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의 정보를 전송하는 무선 주파수 카드; 및
    적립 정보 전송 서버로부터 적립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적립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하되,
    상기 적립 정보는 상기 무선 주파수 프로토콜의 정보에 대응하는 것이되, 상기 상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사업자 서버에 의해 생성된 것인, 모바일 디바이스.
KR1020150036103A 2015-03-16 2015-03-16 적립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방법 및 서버,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 KR201601112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103A KR20160111225A (ko) 2015-03-16 2015-03-16 적립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방법 및 서버,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103A KR20160111225A (ko) 2015-03-16 2015-03-16 적립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방법 및 서버,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1225A true KR20160111225A (ko) 2016-09-26

Family

ID=57068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6103A KR20160111225A (ko) 2015-03-16 2015-03-16 적립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방법 및 서버,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122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1693A (ko) * 2018-08-21 2020-03-02 유한회사 하존솔루션 안면 인식을 사용한 샵앤샵 고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1693A (ko) * 2018-08-21 2020-03-02 유한회사 하존솔루션 안면 인식을 사용한 샵앤샵 고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62227T3 (es) Sistema y método de información de producto que usa una etiqueta y un dispositivo móvil
CA2900605C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payment credentials
US8180289B1 (en) Public kiosk providing near field communication services
JP5686834B2 (ja) 画像配信サーバおよび画像配信方法
US20110270617A1 (en) Loyalty, membership and identification card system, process and computer program
US9985699B1 (en) NFC center
JP6016253B2 (ja) 無線周波数カードの固有idを生成する装置及び方法
KR20170067697A (ko) 전자 쿠폰 발행/구독 모델을 이용한 전자 쿠폰 사용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40288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신용카드 결제방법 및 기록매체
US20110166921A1 (en) Method for enabling the use of a mobile loyalty card
KR20160121688A (ko) 이미지코드를 이용한 스캔 보상 서비스 시스템
KR20160111225A (ko) 적립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방법 및 서버,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
KR101454835B1 (ko) Nfc 기반 광고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쿠폰 발행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60404A (ko) 전자쿠폰을 이용한 광고 시스템 및 방법
JP7350368B2 (ja) モバイル端末を使用して情報を送信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90044939A (ko) 멤버십 공유 시스템 및 방법
JP5497501B2 (ja) ユーザ登録装置およびユーザ登録方法
KR101948532B1 (ko) 쿠폰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쿠폰 통합 관리 방법
WO2014092106A1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US20130325577A1 (en) Communication system with customer loyalty database and related methods
KR101855314B1 (ko) 사물인터넷 기반 쇼핑서비스 제공장치 및 사물인터넷 기반 쇼핑서비스 제공방법
KR20160044798A (ko) 제약 영업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30281689A1 (en) Control method, recording medium, and terminal
KR20150030302A (ko) 개인 주문형 쿠폰 발행 방법
KR20170118005A (ko) 앱 기반 카드 발급 유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