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0332A -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 전기 절연용 점착 필름 및 그것이 첩합된 광학 부재 - Google Patents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 전기 절연용 점착 필름 및 그것이 첩합된 광학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0332A
KR20160110332A KR1020160114946A KR20160114946A KR20160110332A KR 20160110332 A KR20160110332 A KR 20160110332A KR 1020160114946 A KR1020160114946 A KR 1020160114946A KR 20160114946 A KR20160114946 A KR 20160114946A KR 20160110332 A KR20160110332 A KR 20160110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crylate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4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0103B1 (ko
Inventor
아츠시 스즈키
사토미 이가라시
류스케 시마구치
시로 후지타
타케시 나가쿠라
료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177270A external-priority patent/JP591183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177269A external-priority patent/JP5934158B2/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10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0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0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01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5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09J7/02
    • C09J7/0217
    • C09J7/0225
    • C09J7/0228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09J7/403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release fea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6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having an anti-static effect, e.g. electrically conducting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4Insulating
    • C09J2201/62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성분으로서 일반적인 구조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만을 함유한 점착제 조성물임에도 불구하고, 저유전율이며 우수한 절연 성능과, 고온·고습에서의 백탁 방지 성능을 함께 갖는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 전기 절연용 점착 필름 및 그것이 첩합된 광학 부재를 제공한다. 전체 모노머의 합계를 100중량부로 하여 1종 또는 2종 이상의 폴리알킬렌옥사이드 사슬을 갖는 비닐 모노머의 합계 4∼60중량부와, 알킬기의 탄소수가 1∼14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합계 95.5∼25중량부와, 히드록실기 및 카르복실기 중 어느 1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공중합성 비닐 모노머의 합계 0.5∼15중량부를 공중합시킨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와, 가교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가교시켜 이루어지는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이다.

Description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 전기 절연용 점착 필름 및 그것이 첩합된 광학 부재{ADHESIVE LAYER FOR ELECTRICAL INSULATION, ADHESIVE FILM FOR ELECTRICAL INSULATION, AND OPTICAL MEMBER ATTACHED WITH THE SAME}
본 발명은 광학 부재의 층간 첩합(貼合) 등에 사용되는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 전기 절연용 점착 필름 및 그것이 첩합된 광학 부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주성분으로서 일반적인 구조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만을 함유한 점착제 조성물임에도 불구하고, 저유전율이며 우수한 절연 성능과, 고온·고습에서의 백탁 방지 성능을 함께 갖는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 전기 절연용 점착 필름 및 그것이 첩합된 광학 부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은 광학 부재 외에, 전기 부재 및 전자 회로 부재 등을 첩합하는 전기 절연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절연용 점착 필름은 전기 절연성을 갖는 터치 패널용 필름, 전자 종이용 필름 및 디스플레이용 필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최근에는 광섬유 통신 회선, 무선 통신 회선을 경유한 동영상의 전송이 보급된 것으로 대표되는 바와 같이, 취급하는 정보 통신량이 급격하게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전자·전기 기기의 소형화, 고주파화 및 고속화가 요구됨과 함께, 안전성, 신뢰성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이 때문에, 전자·전기 기기의 고주파화에 대응하여, 저유전율의 전기 절연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로 되고 있다.
종래부터, 저유전율의 전기 절연 재료를 얻기 위해, 전기 절연 재료에 중공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3 참조).
특허문헌 1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합성 수지 필름에 미세 공동을 함유시킨 전기 절연 재료의 한쪽 면에 발포형 점착제층이 적층된 전기 절연 부재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절연 재료의 유전율이 2.5 이하가 되도록, 유리, 실리카 등의 미소 공구체(마이크로 벌룬)를 함유시킨 점착제를 사용한 점착 테이프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실리카를 함유시켜 무기질 함유미다공막으로 이루어지는 전선용 절연 필름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저유전율의 절연용 점착 테이프로서 기재에 저유전율의 액정 폴리머를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4 참조).
또한, 특허문헌 5에는 주파수 100KHz에 있어서의 비유전율이 3.5 이하인 점착제층을 얻기 위해, 탄소수 10∼18의 알킬기를 에스테르 말단에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30∼99.5중량% 및 고리형 질소 함유 모노머를 0.5∼50중량% 포함하는 모노머 성분을 중합함으로써 얻어진 (메타)아크릴계 폴리머를 포함하는 점착제층으로 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최근에는 전자 기기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을 장착한 스마트 폰(휴대 전화와 휴대 정보 단말의 기능을 융합한 다기능 휴대 전화), 태블릿, 터치 패널 탑재 노트북 등이 급격하게 보급되고 있다.
하지만,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은 전자계의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인 점에서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쉽고, 접촉한 위치의 오인식을 막기 위해, 그 적층 구조 중에 저유전율막을 적층하는 것이나, 정전 용량 센서의 배선 라인에 저유전율의 부재를 형성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5, 6 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02575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28862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02447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32165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08288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09401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003758호
그런데, PDP, 액정 패널, 유기 EL 패널 등의 각종 화상 표시용 디스플레이 등에 사용되는 광학 필름, 혹은 광학용 점착 필름에서는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투명성이 필요로 되고 있다. 하지만, 특허문헌 3에 개시되어 있는 합성 수지나 점착제층에 중공 구조를 형성시키기 위해 실리카 미립체를 혼합하는 방법에서는 실리카 미립체의 입자 직경을 가시광선의 적색광의 파장인 500㎚(0.5㎛) 이하로 하지 않으면 광산란에 의한 전광선 투과율의 저하가 생긴다. 하지만, 입자 직경이 0.5㎛ 이하인 실리카 미분체는 제조가 어려운 점에서 가격이 높아, 저렴할 것이 필요로 되는 범용의 절연체 제조에는 이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근래에는 차량 탑재용의 화상 표시용 디스플레이에서는 출하 전에 행해지는 디스플레이의 성능 시험에 있어서, 오븐을 사용하여 행해지는 고온·고습도에서의 환경 조건하에 있어서의 내구 시험에 합격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고온·고습에서의 백탁 방지 성능을 갖는 점착제층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오븐으로부터 꺼낸 후, 점착제층이 백탁되어, 화상 표시용 디스플레이의 상품 가치를 해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때문에, 화상 표시용 디스플레이에 장착되는 광학 필름을 첩합하기 위한 점착 필름은 고온·고습에서의 백탁 방지 성능을 갖는 점착제층으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특허문헌 4에 기재된 발명은 우수한 내열성, 내습성, 유전 특성을 유지한 보다 저렴한 전기·전자 절연용 점착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4의 발명에 따른 점착 테이프는 기재에 저유전율의 액정 폴리머를 사용하고 있지만, 점착제층에는 일반적인 실리콘 점착제를 사용하고 있는 점에서, 점착 테이프의 유전율을 더욱 저감시켜 절연성을 높일 수 없다.
또한, 특허문헌 5에 따른 점착제는 비유전율이 3.5 이하인 우수한 절연성을 갖지만, 고온·고습에서의 백탁 방지 성능을 갖는 점착제층인지 여부가 불명확하다.
또한, 특허문헌 6, 7에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의 오인식을 막기 위해, 그 적층 구조 중에 저유전율막을 적층하는 것이나, 정전 용량 센서의 배선 라인에 저유전율 부재를 형성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지만, 사용하는 저유전율 부재의 제조 방법은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지 않았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광학 부재의 첩합에도 사용 가능하고, 저유전율에 의해 우수한 절연 성능과, 고온·고습에서의 백탁 방지 성능을 함께 갖는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 및 전기 절연용 점착 필름은 알려져 있지 않았다.
이들 요구 사항 및 문제를 극복한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 전기 절연용 점착 필름 및 그것이 첩합된 광학 부재 등이 필요로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주성분으로서 일반적인 구조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만을 함유한 점착제 조성물임에도 불구하고, 저유전율이며 우수한 절연 성능과, 고온·고습에서의 백탁 방지 성능을 함께 갖는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 전기 절연용 점착 필름 및 그것이 첩합된 광학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주성분으로서 일반적인 구조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만을 함유한 점착제 조성물임에도 불구하고, 폴리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를 함유시킴으로써, 저유전율에 의한 우수한 절연 성능과, 고온·고습에서의 백탁 방지 성능을 함께 갖는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으로 하는 것을 기술 사상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폴리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의 모노머와, 비닐기를 갖는 공중합성 비닐 모노머를 공중합시켜 이루어지는, 폴리알킬렌옥사이드 사슬을 측쇄에 갖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와, 가교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가교시켜 이루어지는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전체 모노머의 합계를 100중량부로 하여 폴리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의 화합물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폴리알킬렌옥사이드 사슬을 갖는 비닐 모노머의 합계 4∼60중량부와, 상기 폴리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이외의, 비닐기를 갖는 공중합성 비닐 모노머의 합계 96∼40중량부를 공중합시킨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와, 가교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전체 모노머의 합계를 100중량부로 하여
하기 화학식(1)
CH2=C(R1)-COO-(R2-O)n-R3 (1)
(식 중,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R2는 탄소수 2∼4의 알킬렌기를, R3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3의 알킬기를 각각 나타내고, n은 2∼30의 정수를 나타낸다)로 나타내는 폴리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의 화합물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폴리알킬렌옥사이드 사슬을 갖는 비닐 모노머(A)의 합계 4∼60중량부와,
알킬기의 탄소수가 1∼14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화합물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공중합성 비닐 모노머(B)의 합계 95.5∼25중량부와,
히드록실기 및 카르복실기 중, 어느 1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공중합성 비닐 모노머의 화합물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공중합성 비닐 모노머(C)의 합계 0.5∼15중량부를 공중합시킨 아크릴계 공중합체와, 가교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가교시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은 주파수 1MHz에 있어서의 비유전율이 3.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은 주파수 1MHz에 있어서의 비유전율이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리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가 에틸렌옥사이드 사슬, 프로필렌옥사이드 사슬, 부틸렌옥사이드 사슬로 이루어지는 알킬렌옥사이드 사슬군 중에서 선택된 1개 이상이며, 그 반복수가 2 내지 30인 폴리알킬렌옥사이드 사슬을 갖는 비닐 모노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이 이형 필름의 한쪽 면 위에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이형 필름/전기 절연용 점착제층/이형 필름의 구성인 전기 절연용 점착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재의 한쪽 면 위에 상기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이 적층된 전기 절연용 점착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학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상기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이 적층되어 있는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이 형성된 광학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기 절연용 점착 필름이 첩합된 광학 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기 절연용 점착 필름이 첩합된 전기 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광학 부재를 사용한 터치 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요구 사항 및 문제를 극복하여, 일반적인 구조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만을 함유한 점착제 조성물임에도 불구하고, 저유전율에 의한 우수한 절연 성능과, 고온·고습에서의 백탁 방지 성능을 함께 갖는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 전기 절연용 점착 필름 및 그것이 첩합된 광학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은 폴리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의 모노머와, 비닐기를 갖는 공중합성 비닐 모노머를 공중합시켜 이루어지는, 폴리알킬렌옥사이드 사슬을 측쇄에 갖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와, 가교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가교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보다 상세하게는 전체 모노머의 합계를 100중량부로 하여 폴리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의 화합물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폴리알킬렌옥사이드 사슬을 갖는 비닐 모노머의 합계 4∼60중량부와, 상기 폴리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이외의, 비닐기를 갖는 공중합성 비닐 모노머의 합계 96∼40중량부를 공중합시킨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와, 가교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은 보다 상세하게는 전체 모노머의 합계를 100중량부로 하여 하기 화학식(1)
CH2=C(R1)-COO-(R2-O)n-R3 (1)
(식 중,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R2는 탄소수 2∼4의 알킬렌기를, R3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3의 알킬기를 각각 나타내고, n은 2∼30의 정수를 나타낸다)로 나타내는 폴리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의 화합물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폴리알킬렌옥사이드 사슬을 갖는 비닐 모노머(A)의 합계 4∼60중량부와,
알킬기의 탄소수가 1∼14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화합물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공중합성 비닐 모노머(B)의 합계 95.5∼25중량부와,
히드록실기 및 카르복실기 중, 어느 1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공중합성 비닐 모노머의 화합물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공중합성 비닐 모노머(C)의 합계 0.5∼15중량부를 공중합시킨 아크릴계 공중합체와, 가교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가교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의 원료로서 사용되는, 폴리알킬렌옥사이드 사슬을 갖는 폴리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는 유전율을 현저하게 저감 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아크릴계 공중합체에 폴리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를 함유시키면, 유전율이 현저하게 저감되는 이유는 명확하지 않지만, 다음과 같은 것이 그 이유 중 하나는 아닌지 생각할 수 있다.
(1)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은 폴리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한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가교한 것이다. 이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측쇄로서 다수의 폴리알킬렌옥사이드 사슬(여기에서는 「수염」이라고 약칭한다)이 길게 연신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아크릴계 공중합체(폴리머)는 길이 방향으로만 길게 연신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가로폭 방향으로도 길게 연신되어 있는 「수염」의 효과로 굵기가 있는 형상이 되어 있다. 말하자면, 고주파의 전하가 인가되어도 분극되기 어려운 경단 형상의 구조를 하고 있는 것이 유전율을 저감시킨다.
(2) 또한, 아크릴계 공중합체(폴리머)의 측쇄로서 연신되어 있는 다수의 「수염」이 서로 간섭함으로써, 아크릴계 공중합체(폴리머)의 골격부가 서로 접근하는 것을 방해하고,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가교시킨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에 다수의 공기층으로 이루어지는 미세한 공극을 발생시켜, 유전율을 저감시킨다.
폴리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로는, 에틸렌옥사이드 사슬, 프로필렌옥사이드 사슬, 부틸렌옥사이드 사슬 등의 폴리알킬렌옥사이드 사슬의 반복 구조를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식 (1)로 나타내는 폴리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는 CH2=C(R1)-CO-로 나타내는 (메타)아크릴로일기를 1분자에 1개 갖는 단관능(메타)아크릴레이트이다. 알킬렌옥사이드 사슬의 1개의 말단에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화합물, 또는, 에틸렌옥사이드 사슬, 프로필렌옥사이드 사슬, 부틸렌옥사이드 사슬 등이 랜덤 또는 블록으로 결합한 알킬렌옥사이드 사슬 중 1개의 말단에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화합물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상기 폴리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가 에틸렌옥사이드 사슬, 프로필렌옥사이드 사슬, 또는 부틸렌옥사이드 사슬을 갖고, 그 반복수가 2 내지 30인 (메타)아크릴레이트의 모노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알킬렌옥사이드 사슬의 반복수가 5 내지 25인 폴리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이다. 폴리알킬렌옥사이드 사슬의 반복수가 2 미만인 폴리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에서는 주파수 1MHz에 있어서의 비유전율을 3.5 이하로 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폴리알킬렌옥사이드 사슬의 반복수가 30을 초과하는 폴리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에 있어서는 그 반복수가 30 미만인 화합물과 비교하여, 주파수 1MHz에 있어서의 비유전율이 거의 감소하지 않기 때문이다.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사슬을 갖는 폴리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의 모노머로는,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사슬을 갖는 폴리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의 모노머로는, 메톡시폴리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폴리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폴리부틸렌옥사이드 사슬을 갖는 폴리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의 모노머로는, 메톡시폴리부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폴리부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부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사슬과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사슬 양쪽 모두를 갖는 폴리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의 모노머로는,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입수가 가능한, 시판의 폴리알킬렌옥사이드 사슬을 갖는 폴리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로는,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신나카무라 화학 공업 주식회사의 상품명으로는, NK 에스테르 AM30G(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폴리알킬렌옥사이드 사슬의 반복수: n=3), NK 에스테르 M40G(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크릴레이트, n=4), NK 에스테르 AM90G(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n=9), NK 에스테르 M90G(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크릴레이트, n=9), NK 에스테르 AM130G(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n=13), NK 에스테르 AM230G(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n=23)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교에이샤 화학 주식회사의 상품명으로는, 라이트 아크릴레이트 MTG-A(메톡시트리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n=3), 라이트 아크릴레이트 130A(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n=9)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니치유 주식회사의 상품명으로는, 블렘머 AE-200(폴리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n=4.5), 블렘머 AE-350(폴리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n=8), 블렘머 AE-400(폴리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n=10), 블렘머 PE-200(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크릴레이트, n=4.5), 블렘머 PE-350(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크릴레이트, n=8), 블렘머 AP400(폴리프로필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n=6), 블렘머 AP550(폴리프로필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n=9), 블렘머 PP-500(폴리프로필렌글리콜메타크릴레이트, n=9), 블렘머 PP-800(폴리프로필렌글리콜메타크릴레이트, n=13), 블렘머 PP-1000(폴리프로필렌글리콜메타크릴레이트, n=16), 블렘머 AME-400(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n=9), 블렘머 PME-200(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크릴레이트, n=4), 블렘머 PME-400(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크릴레이트, n=9), 블렘머 PME-1000(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크릴레이트, n=23)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오사카 유기 화학 공업 주식회사의 상품명으로는, MPE400A(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n=약 7), MPE550A(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n=약 9)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에 있어서, 점착제 조성물의 아크릴계 모노머의 전체(이것을 100중량부로 한다)에서 차지하는 폴리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함유 비율은 4∼60중량부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4∼50중량부이다. 폴리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함유 비율이 4중량부 미만에서는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의 유전율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적어,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의 비유전율을 3.5 이하로 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폴리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함유 비율이 60중량부를 초과하면, 점착제 조성물의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공중합 반응이 곤란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알킬기의 탄소수가 C1∼C14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모노머로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헵틸(메타)아크릴레이트, 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운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도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적어도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알킬기는 직쇄, 분기형, 고리형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에 있어서, 점착제 조성물에 함유시키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C1∼C14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아크릴계 모노머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해, 95.5∼25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공중합 모노머로는, 초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스티렌, α-메틸스티렌, N-비닐카프로락탐, N-비닐피롤리돈 등의 비닐계 모노머; (메타)아크릴산폴리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산폴리프로필렌글리콜, (메타)아크릴산메톡시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산메톡시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의 글리콜계 아크릴에스테르 모노머; (메타)아크릴산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 불소(메타)아크릴레이트, 실리콘(메타)아크릴레이트나 2-메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산에스테르계 모노머; 아미드기 함유 모노머,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 이미드기 함유 모노머, N-아크릴로일모르폴린 등의 함질소 모노머; 비닐에테르 모노머 등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점착제의 응집력을 조정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활성 수소를 갖지 않는 아미드기를 갖는 비닐 모노머나, 활성 수소를 갖지 않는 아미노기를 갖는 비닐 모노머 등의 함질소 모노머를 함유할 수 있다. 여기서, 「활성 수소」란, 탄소 이외의, 예를 들면, 산소나 질소 등의 원자에 결합되어 있는 수소 원자를 의미한다.
활성 수소를 갖지 않는 함질소 모노머로는, 예를 들면, N-비닐피롤리돈, N-비닐카프로락탐, (메타)아크릴로일모르폴린 등의 고리형 질소 비닐 화합물, N-에틸-N-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틸-N-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틸-N-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부틸(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의 디알킬 치환 (메타)아크릴아미드, N-에틸-N-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메틸-N-프로필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메틸-N-이소프로필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프로필아미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부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디알킬아미노(메타)아크릴레이트, N-에틸-N-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틸-N-프로필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틸-N-이소프로필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프로필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의 디알킬 치환 아미노알킬(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의 적어도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상기 함질소 모노머로는, 후술한 히드록실기를 갖는 비닐 모노머와 구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활성 수소를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히드록실기 및 카르복실기를 함유하지 않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모노머로는, 상기 예시한 모노머, 예를 들면, N,N-디알킬 치환 아미노기나 N,N-디알킬 치환 아미드기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모노머; N-비닐피롤리돈, N-비닐카프로락탐 등의 N-비닐 치환 락탐류; N-(메타)아크릴로일모르폴린 등의 N-(메타)아크릴로일 치환 고리형 아민류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에 있어서, 점착제 조성물에 함유시키는 아미드기를 갖는 비닐 모노머로는, N-비닐피롤리돈, N,N-디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부틸(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 N-비닐카프로락탐 등이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에 있어서, 점착제 조성물에 함유시키는 활성 수소를 갖지 않는 함질소 모노머는 점착제층에 대해 필요한 점착력 및 내구성을 부여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점착제층에 피착체와의 큰 점착력이 요구되고 있는 용도에 대해서는,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와 동일하게 활성 수소를 갖지 않는 함질소 모노머의 함유 비율을 가감함으로써 점착력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은 용도, 예를 들면, 피착체가 ITO 투명 도전막이면, 부식성을 갖는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를 대신하여, 활성 수소를 갖지 않는 함질소 모노머를 사용하여 점착력을 조정할 수 있다.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공중합성 비닐 모노머(히드록실기 함유 모노머)로는, 예를 들면, 8-히드록시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류나, N-히드록시(메타)아크릴아미드, N-히드록시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의 히드록실기 함유 (메타)아크릴아미드류 등의 적어도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에 있어서, 점착제 조성물에 함유시키는 히드록실기 함유 모노머는 얻어지는 점착제층이 투명 도전성 필름의 ITO 표면 등 부식되기 쉬운 피착체에 대한 부식성에 영향을 준다고 여겨지는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의 함유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공중합성 모노머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히드록실기 함유 모노머는 점착제층의 점착력을 향상시키고, 또한 부식성을 저감시키는 것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공중합성 비닐 모노머(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카르복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시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헥사히드로프탈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헥사히드로프탈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프탈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숙신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말레산, 카르복시폴리카프로락톤 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테트라히드로프탈산 등의 적어도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메타)아크릴산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에 있어서, 점착제 조성물에 함유시키는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는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에 대해 필요한 응집력을 부여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점착제층이 피착체와의 큰 점착력이 요구되고 있는 용도에 대해서는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의 함유 비율을 가감함으로써, 점착력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에 있어서는 히드록실기 및 카르복실기 중, 어느 1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공중합성 비닐 모노머의 화합물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공중합성 비닐 모노머(관능기 함유 공중합성 모노머)의 합계가 아크릴계 모노머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해, 0.5∼15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능기 함유 공중합성 모노머는 아크릴계 모노머 성분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해, 접착력 및 응집력의 유지면에서 0.5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관능기 함유 공중합성 모노머가 지나치게 많아지면, 점착제가 단단해져, 접착력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고, 또한, 점착제 조성물의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지거나 겔화되는 경우가 있는 점에서, 상기 관능기 함유 공중합성 모노머는 아크릴계 모노머 성분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해, 15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중합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용액 중합법, 유화 중합법 등 적절히 공지된 중합 방법을 사용 가능하다.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20만∼200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나 (메타)아크릴산, (메타)아크릴아미드류 등의 아크릴계 모노머를 50∼100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에 가교제나, 적절히 임의의 첨가제를 배합함으로써, 필요로 되는 물성값 등의 특성을 조정할 수 있다.
가교제로는, 예를 들면,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디이소시아네이트류의 뷰렛 변성체나 이소시아누레이트 변성체, 트리메틸올프로판이나, 글리세린 등 3가 이상의 폴리올과의 어덕트체 등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금속계 킬레이트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등의 적어도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또한, 자외선 등 광가교에 의해 점착제를 가교시켜도 된다.
가교제를 사용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가교시키는 경우, 아크릴계 공중합체가 가교제와 가교 반응 가능한 관능기(가교제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히드록실기나 카르복실기 등)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이들 관능기를 측쇄에 갖는 모노머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제 조성물이 아크릴계 모노머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해, 가교제 0.01∼5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밖의 임의의 성분으로서 실란 커플링제, 산화 방지제, 계면활성제, 경화 촉진제, 가소제, 충전제, 가교 촉매, 가교 지연제, 경화 지연제, 가공 보조제, 노화 방지제 등의 공지된 첨가제를 적절하게 배합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는 2종 이상 함께 사용해도 된다. 전기 절연의 용도에 있어서는, 점착제가 알칼리 금속염, 알칼리토류 금속염, 4급 오늄염 등의 이온성 화합물이나, 금속, 카본 등의 도전체, 대전 방지제 등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은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기재나 이형 필름에 도포한 후, 점착제 조성물을 가교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을 전자·전기 기기의 고주파화에 대응한 저유전율의 전기 절연 재료로서 사용하는 경우, 상기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의 주파수 1MHz에 있어서의 비유전율이 3.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5∼400㎛정도이다. 예를 들면,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에 본 발명의 전자 절연용 점착제층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하기 식과 같이 점착제층의 비유전율(εr)과 점착제층의 두께(점착 두께)(d)에 의해,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의 센서 응답성이 변경되기 때문에, 탑재되는 전자 기기의 설계에 따른 비유전율과 점착 두께의 컨트롤이 필요로 된다. 최근에는 전자 기기, 터치 패널의 박형화가 요구되고 있어, 구성 부재인 점착제층도 박막화의 요구가 강해지고 있다. 본 발명의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을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점착제층을 사용했을 경우와 동등한 감도를 얇은 점착 두께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오작동 방지를 중시하는 경우에는 종래의 점착제층을 본 발명의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으로 치환함으로써, 터치 패널의 응답 속도나 감도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식: C=εr·ε0·A/d
C: 정전 용량, εr: 점착제층의 비유전율, ε0: 공간(진공)의 유전율, A: 면적, d: 점착제층의 두께.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을 광학 부재의 층간 첩합 등에 사용하는 경우,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과 광학 부재의 계면에서의 광선 반사를 저감시키기 위해, 굴절률차가 가능한 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상기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의 굴절률이 1.47∼1.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의 점착력은 피착체에 첩합하는 목적에 따라, 점착제의 조성을 조제함으로써 점착력을 가감 조정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0.1∼20N/25㎜ 정도이다.
본 발명의 전기 절연용 점착 필름은 본 발명의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을 기재 또는 이형 필름의 한쪽 면 위에 형성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의 형성에 사용하는 기재 필름이나, 점착면을 보호하는 이형 필름(세퍼레이터)으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의 수지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기재 필름에는 수지 필름의 점착제층이 형성된 측과는 반대면에 실리콘계, 불소계의 이형제나 코트제, 실리카 미립자 등에 의한 방오 처리, 대전 방지제의 도포나 혼입 등에 의한 대전 방지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이형 필름에는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의 점착면과 맞춰지는 측의 면에, 실리콘계, 불소계의 이형제 등에 의해 이형 처리가 실시된다.
1개의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의 양면에 각각 이형 필름의 이형 처리가 실시된 면을 맞춤으로써, 「이형 필름/전기 절연용 점착제층/이형 필름」의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양측의 이형 필름을 순차적으로 혹은 동시에 박리하여 점착면을 표출시킴으로써, 광학 필름 등의 광학 부재와 첩합 가능하게 된다. 광학 필름으로는 커버 유리, ITO 유리, ITO 필름, 도전성 고분자에 의한 투명 도전성 필름, 나노 은와이어에 의한 투명 도전성 필름, 카본 나노 튜브에 의한 투명 도전성 필름, 편광 필름, 위상차 필름, 자외선 흡수 필름, 광학 보상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 절연용 점착 필름은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의 첩합에 사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로는 액정 표시 장치나 유기 EL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전기 부재 및 전자 회로 부재 등을 첩합하는 전기 절연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 절연용 점착 필름은 터치 패널용 각종 광학 필름, 편광판을 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주변 부재용 각종 광학 필름, 전자 종이용 각종 광학 필름, 유기 EL용 각종 광학 필름 등의 첩합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광학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상기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이 형성된 광학 필름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광학 필름/전기 절연용 점착제층/광학 필름」, 「광학 필름/전기 절연용 점착제층/이형 필름」, 「광학 필름/전기 절연용 점착제층」, 「광학 필름/전기 절연용 점착제층/광학 필름/전기 절연용 점착제층/광학 필름」, 「광학 필름/전기 절연용 점착제층/광학 필름/전기 절연용 점착제층/이형 필름」, 「이형 필름/전기 절연용 점착제층/광학 필름/전기 절연용 점착제층/이형 필름」 등의 구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학 필름/전기 절연용 점착제층/이형 필름」과 같이 이형 필름으로 보호된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을 갖는 경우, 이형 필름을 박리하여 「광학 필름/전기 절연용 점착제층」과 같이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을 표출시키고, 다른 광학 필름과 첩합함으로써,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이 층간 첩합에 사용된 「광학 필름/전기 절연용 점착제층/광학 필름」과 같은 구성이 얻어진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
[실시예 1]
교반기, 온도계, 환류 냉각기 및 질소 도입관을 구비한 반응 장치에 질소 가스를 도입하여, 반응 장치 내의 공기를 질소 가스로 치환하였다. 그 후, 반응 장치에,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76.2중량부,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400 메타크릴레이트(EO≒9) 19.0중량부,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4.8중량부와 함께 용제(초산에틸)를 60중량부 첨가하였다. 그 후, 중합 개시제로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1중량부를 2시간에 걸쳐 적하시키고, 65℃에서 6시간 반응시켜, 중량 평균 분자량 50만의 실시예 1에 사용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용액을 얻었다.
[실시예 2∼9 및 비교예 1∼7]
모노머의 조성을 각각 표 1 및 표 2의 모노머의 기재와 같이 하는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에 사용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용액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2∼9 및 비교예 1∼7에 사용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용액을 얻었다. 또한, 특별히 측정 결과를 나타내지 않지만, 실시예 2∼9 및 비교예 1∼7의 아크릴계 공중합체 용액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20만∼200만의 범위 내이다.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 및 전기 절연용 점착 필름의 제조>
[실시예 1]
상기와 같이 제조한 실시예 1의 아크릴계 공중합체 용액에 대해서, 가교제를 첨가하고 교반 혼합하여 실시예 1의 점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이 점착제 조성물을 실리콘 수지 코트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이형 필름 위에 건조 후의 두께가 50㎛가 되도록 도포 후, 90℃에서 건조시킴으로써 용제를 제거한 후, 23℃, 50%RH의 분위기하에서 7일간 에이징함으로써, 점착제 조성물을 가교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을 이형 필름의 한쪽 면 위에 갖는 실시예 1의 전기 절연용 점착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2∼9 및 비교예 1∼7]
첨가제의 조성을 각각 표 1 및 표 2의 가교제의 기재와 같이 하는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의 전기 절연용 점착 필름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2∼9 및 비교예 1∼7의 전기 절연용 점착 필름을 얻었다. 또한, 가교제의 코로네이트(등록상표) L45(니혼 폴리우레탄 공업 주식회사 제조), 듀라네이트(등록상표) P301-75E(아사히카세이 케미컬즈 주식회사 제조)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의 상품명이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표 1 및 표 2에서는 전체 모노머의 합계를 100중량부로 하여 구한 중량부의 수치를 나타낸다. 다만, 반올림 오차 때문에, 전체 모노머의 합계에 ±0.1중량부 정도의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표 1 및 표 2에 사용한 각 성분의 약기호의 화합물명을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3
<시험 방법 및 평가>
실시예 1∼9 및 비교예 1∼7에 있어서의 전기 절연용 점착 필름으로부터 이형 필름(실리콘 수지 코트된 PET 필름)을 박리하여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을 표출시키고, PET 필름의 한쪽 면에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을 전사하였다.
<비유전율의 측정 방법>
유전율 측정 장치(휴렛 패커드사 제조, LCR 미터, 형식: 4284A)를 이용하여, 점착제층의 비유전율을 측정하였다.
<점착력의 측정 방법>
편면 점착 테이프(닛토 전공 제조·제품명: NO.31B)의 점착면에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을 전사하여, 시료가 되는 전기 절연용 점착 필름(전기 절연용 점착제층이 형성된 광학 필름)을 얻었다.
전기 절연용 점착 필름을 소다 석회 유리의 아세톤으로 세정한 비주석면에 압착 롤로 첩합하고, 40℃, 0.5MPa×20분간의 조건에서 오토 클레이브 처리한 후, 23℃×50%RH의 분위기하에 되돌리고, 1시간 경과 후의 전기 절연용 점착 필름의 박리 강도를 인장 시험기에 의해, JIS Z0237 「점착 테이프·점착 시트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하고, 180°방향으로 300㎜/min의 속도로 박리했을 때의 박리 강도를 전기 절연용 점착 필름의 점착제층의 점착력으로 하였다.
<발포 시험 방법>
두께 100㎛의 폴리에스테르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도요 방적 주식회사 제조, 제품명: A4100)의 이접착 처리면에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을 전사하여 제작한 전기 절연용 점착 필름(전기 절연용 점착제층이 형성된 광학 필름)의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을 소다 석회 유리판에 첩합하여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이 시험편을 온도 85℃×습도 85%RH의 고온 고습도의 환경하에 투입하고, 50시간 후에 꺼냈다. 꺼내고 나서, 5분 후에 육안으로 시험편을 확인하여, 발포를 관찰할 수 없는 것을 (○), 발포를 관찰할 수 있는 것을 (×)로 평가하였다.
<헤이즈의 시험 방법>
두께 100㎛의 폴리에스테르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도요 방적 주식회사 제조, 제품명: A4100)의 이접착 처리면에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을 전사하여 제작한 전기 절연용 점착 필름(전기 절연용 점착제층이 형성된 광학 필름)의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을 소다 석회 유리판에 첩합하여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헤이즈 미터(제조자: 닛폰 전색 주식회사, 형식: Haze Meter, NDH4000)를 이용하여,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의 헤이즈 값을 측정하였다.
표 1 및 표 2에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1∼9의 전기 절연용 점착 필름은 저유전율에 의한 우수한 절연 성능과, 고온·고습에서의 백탁 방지 성능을 함께 갖고 있었다. 즉, 실시예 1∼9의 전기 절연용 점착 필름에서는 요구 사항 및 문제를 극복할 수 있었다.
비교예 1∼7의 전기 절연용 점착 필름은 저유전율에 의한 우수한 절연 성능과, 고온·고습에서의 백탁 방지 성능을 함께 갖고 있지 않았다.
이와 같이, 비교예 1∼7의 전기 절연용 점착 필름에서는 종래의 요구 사항 및 문제를 극복할 수 없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은 일반적인 구조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만을 함유한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저유전율에 의한 우수한 절연 성능과, 고온·고습에서의 백탁 방지 성능을 함께 갖는 점에서, 광학 부재, 전기 부재, 전자 회로 부재 등의 첩합용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절연용 점착 필름은 터치 패널용 필름, 전자 종이용 필름 디스플레이용 필름으로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산업상 이용 가치가 크다.

Claims (8)

  1. 폴리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의 모노머(A)와,
    다른 공중합성 모노머로서,
    알킬기의 탄소수가 1∼14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화합물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공중합성 비닐 모노머(B)와,
    히드록실기를 갖는 공중합성 비닐 모노머의 화합물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공중합성 비닐 모노머(C)와,
    활성 수소를 갖지 않는 함질소 모노머(D)를 공중합시켜 이루어지는, 폴리알킬렌옥사이드 사슬을 측쇄에 갖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와, 가교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가교시켜 이루어지고,
    주파수 1MHz에 있어서의 비유전율이 3.5 이하이며, 헤이즈 값이 0.5% 이하인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의 모노머(A)가 폴리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의 화합물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폴리알킬렌옥사이드 사슬을 갖는 비닐 모노머이고,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전체 모노머의 합계를 100중량부로 하여, 상기 폴리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의 모노머(A)의 합계 4∼60중량부와, 상기 다른 공중합성 모노머(B)∼(D)의 합계 96∼40중량부를 공중합시킨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와, 가교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의 모노머(A)가, 하기 화학식(1)
    CH2=C(R1)-COO-(R2-O)n-R3 (1)
    (식 중,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R2는 탄소수 2∼4의 알킬렌기를, R3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3의 알킬기를 각각 나타내고, n은 2∼30의 정수를 나타낸다)로 나타내는 폴리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의 화합물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폴리알킬렌옥사이드 사슬을 갖는 비닐 모노머이고,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가, 전체 모노머의 합계를 100중량부로 하여,
    상기 폴리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의 모노머(A)의 합계 4∼60중량부와,
    상기 알킬기의 탄소수가 1∼14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화합물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공중합성 비닐 모노머(B)의 합계 76.2∼25중량부와,
    상기 히드록실기를 갖는 공중합성 비닐 모노머의 화합물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공중합성 비닐 모노머(C)의 합계 0.5∼15중량부를 포함하는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의 모노머(A)가 에틸렌옥사이드 사슬, 프로필렌옥사이드 사슬, 부틸렌옥사이드 사슬로 이루어지는 알킬렌옥사이드 사슬군 중에서 선택된 1개 이상이며, 그 반복수가 2 내지 30인 폴리알킬렌옥사이드 사슬을 갖는 비닐 모노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의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이 이형 필름의 한쪽 면 위에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이형 필름/전기 절연용 점착제층/이형 필름의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절연용 점착 필름.
  6. 기재의 한쪽 면 위에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의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이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절연용 점착 필름.
  7. 제 5 항의 전기 절연용 점착 필름이 첩합된 광학 부재.
  8. 제 6 항의 전기 절연용 점착 필름이 첩합된 광학 부재.
KR1020160114946A 2013-08-28 2016-09-07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 전기 절연용 점착 필름 및 그것이 첩합된 광학 부재 KR1018301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77270A JP5911830B2 (ja) 2013-08-28 2013-08-28 電気絶縁用粘着剤層、電気絶縁用粘着フィルム、及びそれが貼合された光学部材
JPJP-P-2013-177270 2013-08-28
JPJP-P-2013-177269 2013-08-28
JP2013177269A JP5934158B2 (ja) 2013-08-28 2013-08-28 電気絶縁用粘着剤層、電気絶縁用粘着フィルム、及びそれが貼合された光学部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88323A Division KR20150026793A (ko) 2013-08-28 2014-07-14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 전기 절연용 점착 필름 및 그것이 첩합된 광학 부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6654A Division KR101918013B1 (ko) 2013-08-28 2018-02-12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 전기 절연용 점착 필름 및 그것이 첩합된 광학 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0332A true KR20160110332A (ko) 2016-09-21
KR101830103B1 KR101830103B1 (ko) 2018-02-20

Family

ID=52969491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88323A KR20150026793A (ko) 2013-08-28 2014-07-14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 전기 절연용 점착 필름 및 그것이 첩합된 광학 부재
KR1020160093932A KR101666837B1 (ko) 2013-08-28 2016-07-25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 전기 절연용 점착 필름 및 그것이 첩합된 광학 부재
KR1020160114946A KR101830103B1 (ko) 2013-08-28 2016-09-07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 전기 절연용 점착 필름 및 그것이 첩합된 광학 부재
KR1020180016654A KR101918013B1 (ko) 2013-08-28 2018-02-12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 전기 절연용 점착 필름 및 그것이 첩합된 광학 부재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88323A KR20150026793A (ko) 2013-08-28 2014-07-14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 전기 절연용 점착 필름 및 그것이 첩합된 광학 부재
KR1020160093932A KR101666837B1 (ko) 2013-08-28 2016-07-25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 전기 절연용 점착 필름 및 그것이 첩합된 광학 부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6654A KR101918013B1 (ko) 2013-08-28 2018-02-12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 전기 절연용 점착 필름 및 그것이 첩합된 광학 부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4) KR20150026793A (ko)
CN (1) CN104419357B (ko)
TW (2) TWI58218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9289B1 (ko) * 2018-01-11 2021-06-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 조성물, 점착 필름 및 점착 필름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패널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757A (ja) 1997-06-27 1999-01-29 Toyobo Co Ltd 電気絶縁材料、電気絶縁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機器
JPH11288621A (ja) 1998-04-03 1999-10-19 Techno Onishi:Kk 低誘電率絶縁材料および電気・電子機器
JP2003321659A (ja) 2002-04-26 2003-11-14 Dengiken:Kk 電気・電子絶縁材料
JP2006024473A (ja) 2004-07-08 2006-01-26 Nippon Sheet Glass Co Ltd 電線用絶縁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電線
JP2012094017A (ja) 2010-10-28 2012-05-17 Sanyo Electric Co Ltd 静電容量型タッチパネル
JP2013003758A (ja) 2011-06-15 2013-01-07 Mitsubishi Electric Corp タッチスクリーン、タッチパネル及び表示装置
JP2013082880A (ja) 2011-09-30 2013-05-09 Nitto Denko Corp 粘着剤、粘着剤層、および粘着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449A (ja) * 1991-06-28 1993-01-19 Toyo Ink Mfg Co Ltd 再剥離型粘着剤組成物
DE602006018708D1 (de) * 2005-01-21 2011-01-20 Nippon Soda Co Polymer, vernetztes polymer, zusammensetzung für elektrolyt und klebstoffzusammensetzung
JP2008001739A (ja) * 2006-06-20 2008-01-10 Bridgestone Corp 電子ディスプレイ用粘着剤組成物、電子ディスプレイ用粘着剤層、および粘着性電子ディスプレイ用フィルタ
KR101938894B1 (ko) * 2010-03-18 2019-01-15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광학 부재용 점착제 조성물 및 광학 부재용 점착 테이프
JP5971997B2 (ja) 2011-04-28 2016-08-17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シート
JP5688338B2 (ja) 2011-07-12 2015-03-25 綜研化学株式会社 粘着剤、粘着シートおよびタッチパネル用積層体
JP5906064B2 (ja) * 2011-11-21 2016-04-20 藤森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5770607B2 (ja) * 2011-11-21 2015-08-26 藤森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5671485B2 (ja) 2012-01-11 2015-02-18 綜研化学株式会社 導電膜用粘着テープおよびタッチパネル用積層体
JP5841867B2 (ja) 2012-03-09 2016-01-13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部材貼付用粘着剤、タッチパネル部材貼付用粘着シート、及びタッチパネル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757A (ja) 1997-06-27 1999-01-29 Toyobo Co Ltd 電気絶縁材料、電気絶縁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機器
JPH11288621A (ja) 1998-04-03 1999-10-19 Techno Onishi:Kk 低誘電率絶縁材料および電気・電子機器
JP2003321659A (ja) 2002-04-26 2003-11-14 Dengiken:Kk 電気・電子絶縁材料
JP2006024473A (ja) 2004-07-08 2006-01-26 Nippon Sheet Glass Co Ltd 電線用絶縁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電線
JP2012094017A (ja) 2010-10-28 2012-05-17 Sanyo Electric Co Ltd 静電容量型タッチパネル
JP2013003758A (ja) 2011-06-15 2013-01-07 Mitsubishi Electric Corp タッチスクリーン、タッチパネル及び表示装置
JP2013082880A (ja) 2011-09-30 2013-05-09 Nitto Denko Corp 粘着剤、粘着剤層、および粘着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8013B1 (ko) 2018-11-13
KR20150026793A (ko) 2015-03-11
KR20160095650A (ko) 2016-08-11
KR101666837B1 (ko) 2016-10-17
CN104419357A (zh) 2015-03-18
TWI532803B (zh) 2016-05-11
TW201510130A (zh) 2015-03-16
TWI582186B (zh) 2017-05-11
KR101830103B1 (ko) 2018-02-20
KR20180021026A (ko) 2018-02-28
TW201625761A (zh) 2016-07-16
CN104419357B (zh) 2017-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1498B1 (ko)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필름
KR101918003B1 (ko) 점착제층 및 점착 필름
CN108690535B (zh) 粘着剂组合物以及粘着膜
JP6896822B2 (ja) 粘着剤層及び粘着フィルム
CN109971396B (zh) 粘着剂组合物及粘着膜
JP5911830B2 (ja) 電気絶縁用粘着剤層、電気絶縁用粘着フィルム、及びそれが貼合された光学部材
KR101918013B1 (ko) 전기 절연용 점착제층, 전기 절연용 점착 필름 및 그것이 첩합된 광학 부재
JP5934158B2 (ja) 電気絶縁用粘着剤層、電気絶縁用粘着フィルム、及びそれが貼合された光学部材
JP6314336B2 (ja) 電気絶縁用粘着剤層、電気絶縁用粘着フィルム、及びそれが貼合された光学部材
JP7047024B2 (ja) 電気絶縁用粘着剤層、電気絶縁用粘着フィルム、及びそれが貼合された光学部材
JP6514378B2 (ja) 電気絶縁用粘着剤層、電気絶縁用粘着フィルム、及びそれが貼合された光学部材
JP6740416B2 (ja) 電気絶縁用粘着剤層、電気絶縁用粘着フィルム、及びそれが貼合された光学部材
JP6460541B2 (ja)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フィルム
JP6604691B2 (ja) 粘着剤層及び粘着フィルム
JP2022001650A (ja) 粘着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