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0179A - 미용 콘택트 렌즈 내의 환형 형상의 투명 층 - Google Patents

미용 콘택트 렌즈 내의 환형 형상의 투명 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0179A
KR20160110179A KR1020160028179A KR20160028179A KR20160110179A KR 20160110179 A KR20160110179 A KR 20160110179A KR 1020160028179 A KR1020160028179 A KR 1020160028179A KR 20160028179 A KR20160028179 A KR 20160028179A KR 20160110179 A KR20160110179 A KR 20160110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lens
lens
pattern
contact lenses
ann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8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5251B1 (ko
Inventor
도니 제롬 두이스
엔지 린 보워스
에릭 제이손 오펠트
Original Assignee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60110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0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5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5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6Contact lenses having an iris pattern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21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with pattern for identification or with cosmetic or therapeutic effec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1Contact lenses for the eyes bifocal; multifocal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9Contact lenses having special fitting or structural features achieved by special materials or material struc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16Laminated or compound len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 Cosmetics (AREA)
  • Coloring (AREA)

Abstract

디자인/착색제를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는 콘택트 렌즈가 위치되는 눈의 외양을 향상시키거나/시키고 밝게 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콘택트 렌즈는 콘택트 렌즈 내에 디자인/착색제를 완전히 봉지하도록 전방 곡선 표면 상에 실질적으로 환형 형상인 투명 층을 포함한다. 환형 형상은 광학 영역 위에 투명 코트를 제공하지 않고, 그에 의해서 높은 광학 품질을 보장한다.

Description

미용 콘택트 렌즈 내의 환형 형상의 투명 층{ANNULAR SHAPED CLEAR LAYER IN COSMETIC CONTACT LENSES}
본 발명은 안과용 렌즈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콘택트 렌즈가 위치되는 눈의 외양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효과 층 및/또는 하나 이상의 안료 인쇄 층이 병합된 미용 콘택트 렌즈에 관한 것이다. 미용 콘택트 렌즈는 또한 안전하고, 편안하고, 그리고 높은 광학 품질의 콘택트 렌즈를 제공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효과 및/또는 안료 인쇄 층을 봉지하도록 환형 형상의 투명 층을 포함한다.
콘택트 렌즈 또는 콘택츠(contacts)는 간단히 눈 상에 배치되는 렌즈이다. 콘택트 렌즈는 의료 기구로 간주되며, 시력을 교정하기 위해 그리고/또는 미용상 또는 다른 치료상의 이유로 착용될 수 있다. 콘택트 렌즈는 1950년대 이래로 시력을 개선하기 위해 상업적으로 이용되어 왔다. 경질 물질로부터 만들어지거나 제조된 초기 콘택트 렌즈는 비교적 고가이며 부서지기 쉬웠다. 또한, 이들 초기 콘택트 렌즈는 콘택트 렌즈를 통한 결막 및 각막으로의 충분한 산소 투과를 허용하지 않는 물질로부터 제조되었고, 이로 인해 잠재적으로 많은 불리한 임상 효과를 초래할 수 있었다. 이들 콘택트 렌즈가 여전히 이용되지만, 이들은 그들의 부족한 초기 편안함으로 인해 모든 환자에게 적합하지는 않다. 해당 분야의 이후의 개발에 의해 하이드로겔에 기반한 소프트 콘택트 렌즈가 생겼으며, 이는 매우 인기가 있고 현재 널리 이용된다. 오늘날 이용가능한 실리콘 하이드로겔 콘택트 렌즈는 매우 높은 산소 투과성을 갖는 실리콘의 이점을, 하이드로겔의 입증된 편안함 및 임상 성능과 조합한다. 본질적으로, 이들 실리콘 하이드로겔 기반의 콘택트 렌즈는 보다 높은 산소 투과도 값을 갖고, 일반적으로 초기의 경질 물질로 만들어진 콘택트 렌즈보다 착용하기에 더욱 편안하다. 한편, 강성의 기체 투과성 하드 콘택트 렌즈는 실록산-함유 중합체로부터 제조되지만, 소프트 콘택트 렌즈보다 강성이고, 따라서 그들의 형상을 유지하고 더욱 내구성이 있다.
현재 이용가능한 콘택트 렌즈는 여전히 시력 교정을 위한 비용 효과적인 수단이다. 얇은 플라스틱 렌즈는 근시 또는 근시안, 원시 또는 원시안, 난시, 즉 각막의 비구면성(asphericity), 및 노안, 즉 수정체의 원근 조절 능력의 상실을 비롯한 시력 결함을 교정하기 위해 눈의 각막 위에 피팅된다. 콘택트 렌즈는 다양한 형태로 이용가능하고, 상이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재료로 제조된다. 매일 착용 소프트 콘택트 렌즈는 전형적으로 산소 투과성을 위해 물과 조합된 연질 중합체 물질로부터 제조된다. 매일 착용 소프트 콘택트 렌즈는 일일 착용 일회용(daily disposable) 또는 연속 착용 일회용(extended wear disposable)일 수 있다. 일일 착용 일회용 콘택트 렌즈는 보통 하루 동안 착용되고 그 후 버려지는 반면, 연속 착용 일회용 콘택트 렌즈는 보통 최대 30일의 기간 동안 착용된다. 컬러 소프트 콘택트 렌즈는 상이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상이한 물질들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가시성 색조(visibility tint) 콘택트 렌즈는 떨어뜨린 콘택트 렌즈를 찾을 때에 착용자를 돕도록 가벼운 색조를 사용하고, 강화 색조(enhancement tint) 콘택트 렌즈는 착용자의 본래 눈 색상을 향상시키도록 의도된 투명 또는 반투명 색조를 갖고, 컬러 색조 콘택트 렌즈는 착용자의 눈 색상을 변경시키도록 의도된 불투명 색조를 포함하고, 광 여과 색조(light filtering tint) 콘택트 렌즈는 다른 색상을 약화시키면서 소정의 색상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중초점 및 다초점 콘택트 렌즈는 특히 노안을 가진 환자를 위해 디자인되고, 소프트 및 강성 종류 모두로 이용가능하다. 원환체 콘택트 렌즈는 난시를 가진 환자를 위해 특별히 디자인되고, 또한 소프트 종류 및 강성 종류 모두로 이용가능하다. 상기의 다양한 양태들을 조합하는 조합 렌즈, 예를 들어 하이브리드(hybrid) 콘택트 렌즈가 또한 이용가능하다.
미용 콘택트 렌즈는 착용자의 홍체 위에 완전히 또는 바람직하게는 부분적으로 놓이는 하나 이상의 요소로 이루어진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렌즈는 또한 각막윤부 링(limbal ring)을 포함할 수 있다. 각막윤부 링은 본질적으로, 렌즈가 눈 상에 위치되고 중심 설정된 때 공막과 각막의 연결부인 렌즈 착용자의 각막윤부 영역 위에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놓이는, 색상을 갖는 환형 밴드(annular band)이다. 각막윤부 링을 포함함으로써 홍체가 더 크게, 더 어둡게, 그리고/또는 더 선명하게 보이게 할 수 있다. 각막윤부 링 및 홍체 패턴의 조합은 눈 위의 렌즈의 외양을 더 자연스럽게 만든다. 다시 말하면, 홍체 패턴은 각막윤부 링이 착용자의 눈과 자연스럽게 블렌딩되게 한다.
다른 미용 콘택트 렌즈는 홍채 이외의 또는 홍채에 더하여 공막에 중점을 둔다. 예를 들어, 콘택트 렌즈는 불투명, 반-불투명 및/또는 반투명일 수 있는 밝게 착색된 주연 부분, 즉 홍채 영역의 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밝은 부분은 각막윤부(limbus)의 에지로부터 콘택트 렌즈의 에지까지 연장되어, 더 밝거나 더 하얀 공막의 느낌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콘택트 렌즈는 또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홍채를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더 크게, 더 어둡게, 그리고/또는 더 선명하게 보이게 할 수 있는 각막윤부 링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된 모든 콘택트 렌즈에서, 다양한 디자인/패턴, 즉 하나 이상의 효과 및/또는 안료 인쇄 층을 콘택트 렌즈 내에 완전히 봉지하기 위해 투명 코트(clear coat)가 이용된다. 현재, 이러한 투명 코트는 콘택트 렌즈의 전체 전방 곡선 표면을 덮는다. 정밀한 광학 표면 및 경로를 유지하기 위하여, 완전한 안료 봉지와 관련된 기능을 유지하면서 손상되지 않은 광학 품질을 갖는 렌즈에 대한 필요성이 미용 콘택트 렌즈 영역에서 존재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효과 층 및/또는 하나 이상의 안료 인쇄 층을 봉지하기 위한 환형 형상의 투명 층을 갖는 미용 콘택트 렌즈는 앞서 간략히 설명된 문제들을 극복한다.
일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은 미용 콘택트 렌즈에 관한 것이다. 미용 콘택트 렌즈는 제1 재료로부터 형성된 환형 형상의 투명 코트 층, 환형 형상의 투명 코트 층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효과 층, 및 환형 형상의 투명 코트 층 및 하나 이상의 효과 층 모두를 덮고 둘러싸는 벌크 렌즈 재료를 포함한다.
다른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은 콘택트 렌즈에 관한 것이다. 콘택트 렌즈는 제1 재료로부터 형성된 전방 곡선 표면, 제1 재료로부터 형성된 후방 곡선 표면, 및 제2 재료로부터 형성되고 전방 및 후방 곡선 표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된 환형 형상의 층을 포함하고, 환형 형상의 층은 제1 환형 섹션, 전이 섹션, 및 광학 영역 개구 섹션을 포함한다.
미용 콘택트 렌즈는, 전체 눈 및/또는 눈의 다양한 영역들의 색상을 포함한, 다수의 방식들로 미용 콘택트 렌즈가 상부에 착용되는 눈의 외양을 변경하도록 디자인될 수 있다. 필수조건은 아니지만, 미용 콘택트 렌즈는 또한 굴절 이상(refractive error)을 교정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미용 콘택트 렌즈는 또한 직접적인 의료 응용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용 콘택트 렌즈는 손상된 눈의 외양을 복원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미용 콘택트 렌즈는 투명, 반투명, 불투명 색상 강화 또는 색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색조는 유기/무기 안료, 염료 또는 특별 효과 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콘택트 렌즈 상의 인쇄된 영역은 홍채 영역(홍채 패턴), 각막윤부 영역(각막윤부 링), 공막 영역(공막 브라이트닝(brightening)),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패턴은 연속적이거나, 간헐적이거나, 이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고품질의 시각적 성능을 제공하도록 광학 구역 내에 개구를 제공하면서 강화부 및/또는 색조부를 완전히 봉지하도록 환형 형상의 투명 베이스 코트 층(clear base coat layer)을 이용한다. 본 발명의 미용 콘택트 렌즈는 광학 품질 및 비-미용 콘택트 렌즈의 편안함을 제공하면서 착용자의 눈의 시각적 외양을 향상시키는 비용 효과적인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특징과 이점은 첨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하기의 더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예시적인 비-미용 콘택트 렌즈의 평면도.
도 2는 예시적인 제1 미용 콘택트 렌즈의 평면도.
도 3은 예시적인 제2 미용 콘택트 렌즈의 평면도.
도 4는 예시적인 제3 미용 콘택트 렌즈의 평면도.
도 5는 예시적인 제4 미용 콘택트 렌즈의 평면도.
도 6은 예시적인 제1 각막윤부 링/스포크(spoke) 패턴 미용 콘택트 렌즈의 평면도.
도 7은 예시적인 제2 각막윤부 링/스포크 패턴 미용 콘택트 렌즈의 평면도.
도 8은 예시적인 제3 각막윤부 링/스포크 패턴 미용 콘택트 렌즈의 평면도.
도 9는 예시적인 제4 각막윤부 링/스포크 패턴 미용 콘택트 렌즈의 평면도.
도 10은 예시적인 제5 각막윤부 링/스포크 패턴 미용 콘택트 렌즈의 평면도.
도 11은 예시적인 제6 각막윤부 링/스포크 패턴 미용 콘택트 렌즈의 평면도.
도 12는 예시적인 제7 각막윤부 링/스포크 패턴 미용 콘택트 렌즈의 평면도.
도 13은 예시적인 제8 각막윤부 링/스포크 패턴 미용 콘택트 렌즈의 평면도.
도 14는 일반화된 패드 인쇄 공정의 개략도.
도 15는 더 상세한 패드 인쇄 공정의 개략도.
도 16은 예시적인 콘택트 렌즈를 포함하는 층들의 개략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투명 베이스 클리셰(
Figure pat00001
)의 개략도.
도 17a는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베이스 클리셰의 일 섹션의 분해도.
도 17b는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베이스 클리셰의 분해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환형 투명 베이스 층을 갖는 미용 콘택트 렌즈를 포함하는 층들의 개략도.
콘택트 렌즈 또는 콘택츠(contacts)는 간단히 눈 상에 배치되는 렌즈이다. 콘택트 렌즈는 의료 기구로 간주되며, 시력을 교정하기 위해 그리고/또는 미용상 또는 다른 치료상의 이유로 착용될 수 있다. 콘택트 렌즈는 1950년대 이래로 시력을 개선하기 위해 상업적으로 이용되어 왔다. 경질 물질로부터 만들어지거나 제조된 초기 콘택트 렌즈는 비교적 고가이며 부서지기 쉬웠다. 또한, 이들 초기 콘택트 렌즈는 콘택트 렌즈를 통한 결막 및 각막으로의 충분한 산소 투과를 허용하지 않는 물질로부터 제조되었고, 이로 인해 잠재적으로 많은 불리한 임상 효과를 초래할 수 있었다. 이들 콘택트 렌즈가 여전히 이용되지만, 이들은 그들의 부족한 초기 편안함으로 인해 모든 환자에게 적합하지는 않다. 해당 분야의 이후의 개발에 의해 하이드로겔에 기반한 소프트 콘택트 렌즈가 생겼으며, 이는 매우 인기가 있고 현재 널리 이용된다. 오늘날 이용가능한 실리콘 하이드로겔 콘택트 렌즈는 매우 높은 산소 투과성을 갖는 실리콘의 이점을, 하이드로겔의 입증된 편안함 및 임상 성능과 조합한다. 본질적으로, 이들 실리콘 하이드로겔 기반의 콘택트 렌즈는 보다 높은 산소 투과성을 갖고, 일반적으로 초기의 경질 물질로 만들어진 콘택트 렌즈보다 착용하기에 더욱 편안하다. 그러나, 이들 새로운 콘택트 렌즈는 완전히 제한이 없는 것은 아니다.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비-미용 콘택트 렌즈(100)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콘택트 렌즈(100)는 광학 구역(102), 광학 구역(102)을 둘러싸는 주변 구역(104), 착용될 때 사람의 눈과 접촉하도록 디자인된 후방 곡선 표면 및 후방 곡선 표면의 반대쪽에 있는 전방 곡선 표면을 포함한다. 광학 구역(102)은 시력 교정이 얻어질 수 있게 하는 콘택트 렌즈(100)의 부분이다. 달리 말하면, 광학 구역(102)은 시력 교정을 제공하고, 근시 또는 원시의 단일 시력 교정, 난시 시력 교정, 이중 초점 시력 교정, 다초점 시력 교정, 맞춤 교정 또는 시력 교정을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디자인과 같은 특정 요구를 위해 디자인된다. 주변 구역(104)은 광학 구역(102)을 둘러싸고, 눈 상의 콘택트 렌즈(100)를 위한 기계적 안정성을 제공한다. 달리 말하면, 주변 구역(104)은 중심화 및 배향을 비롯한 눈 상의 콘택트 렌즈(100)의 안정화 및 위치설정에 영향을 주는 기계적 특징부를 제공한다. 배향은 광학 구역(102)이 난시 교정 및/또는 고위 수차 교정과 같은 비회전적 대칭 특징부들을 포함할 때 필수적이다. 일부 콘택트 렌즈 디자인에서, 광학 구역(102)과 주변 구역(104) 사이의 선택적 중간 구역이 이용될 수 있다. 선택적 중간 구역은 광학 구역(102)과 주변 구역(104)이 매끄럽게 블렌딩되는 것을 보장한다.
도 1에 도시된 렌즈(100)는 원형이지만, 타원형 또는 절단된 원형 형상과 같은, 콘택트 렌즈를 위한 임의의 편리한 형상일 수 있다. 둥글거나 둥글지 않은 것에 더하여, 콘택트 렌즈(100)는 평면형 또는 비-평면형일 수 있다.
미용 콘택트 렌즈는 렌즈가 상부에 착용되는 눈의 외양을 향상 또는 변경시키도록 디자인된다. 필수조건은 아니지만, 미용 콘택트 렌즈는 또한 굴절 이상의 교정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게다가, 미용 콘택트 렌즈는 또한 예를 들어 손상된 눈의 외양을 복원하는 직접적인 의료 응용을 가질 수 있다. 홍채의 부존재인 무홍채증(aniridia) 또는 홍채의 손상인 동공 이상(dyscoria)으로 고생하는 개인은 완전한 홍채의 외양을 제공할 컬러 콘택트 렌즈를 이용할 수 있다. 미용 콘택트 렌즈는 반투명/투명 색상 향상, 색조, 불투명 색상 색조, 인공적인 홍채 패턴, 각막윤부 링, 공막 브라이트닝 색조 및/또는 상기의 것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미용 콘택트 렌즈는 공막을 밝게 하는 데 이용될 수 있고/있거나 착용자의 홍체의 선명도를 향상시켜서 렌즈 착용자의 관찰자에게 홍체가 더 크게 보이게 하는 역할을 하는 각막윤부 링을 포함하는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더욱이, 미용 콘택트 렌즈는 착용자의 홍체 위에 완전히 또는 바람직하게는 부분적으로 놓이는 추가 패턴 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미용 렌즈는 어두운 눈을 갖는 개인의 홍체를 향상시키기 위해 이용될 수 있지만, 또한 밝은 눈을 갖는 렌즈 착용자의 홍체를 향상시키는 데에도 역시 이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예시적인 제1 미용 콘택트 렌즈(200)가 도시되어 있다. 이 렌즈(200)는 도 1의 콘택트 렌즈(100)에 대하여 전술된 의미 내에서 광학 구역 및 주변 구역을 포함하지만, 미용 콘택트 렌즈의 다양한 영역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상이한 용어들이 이용된다. 미용 콘택트 렌즈(200)는 개별 동공의 크기 및 위치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도록 크기 설정된 중심 영역(202)을 포함한다. 중심 영역(202)은 전형적으로 시력을 방해하지 않도록 어떠한 착색 또는 디자인도 갖지 않는다. 중심 부분(204)은 중심 영역(202)을 둘러싸고, 개인의 홍채의 크기 및 위치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도록 크기 설정된다. 중심 부분(204)은 착용자의 홍채의 외양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색상, 및/또는 하나 이상의 색상에 의해 형성된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주변 부분(206)이 중심 부분(204) 둘레에 배치되고 콘택트 렌즈(200)의 주위 에지로 연장된다. 주변 부분(206)은 지점(201)으로부터 측정된 내경, 및 콘택트 렌즈(200)의 외측 에지와 전체적으로 일치할 수 있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는 지점(203)으로부터 측정된 외경을 갖는 환형 형상을 포함한다. 주변 부분(206)은 밝은 색상, 예를 들어 백색, 준백색(near white), 회백색(off white), 연황색, 담청색, 연분홍색, 연녹색 또는 상기의 임의의 조합으로 착색될 수 있다. 밝은 색이 착용자의 공막과 점차적으로 블렌딩하도록 배치된다.
주변 부분(206)은 공막의 외양을 향상시키기 위해 착색된다. 주변 부분(206)의 착색은 불투명하거나, 반투명하거나, 그 둘 사이의 어딘가이거나, 반-불투명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는 공막에 산뜻한 자연스러운 외양을 제공함으로써 공막의 외양을 향상시킨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불투명은 0 내지 약 50 퍼센트, 바람직하게는 7 내지 약 50 퍼센트의, 380 내지 780 nm 범위에서의 평균 광 투과율을 허용하는 색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반투명은 약 50 내지 약 85 퍼센트, 바람직하게는 약 65 내지 약 85 퍼센트의, 380 내지 780 nm 범위에서의 평균 광 투과율을 허용하는 색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3은 예시적인 제2 미용 콘택트 렌즈(300)를 도시한다. 미용 콘택트 렌즈(300)는 중심 영역(302), 중심 영역(302)을 둘러싸는 중심 부분(304), 중심 부분(304)을 둘러싸는 주변 부분(306), 및 각막윤부 링(308)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각막윤부 링은 본질적으로, 렌즈가 눈 상에 위치되고 중심 설정된 때 렌즈 착용자의 각막윤부 영역 위에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놓이는, 색상을 갖는 환형 밴드이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각막윤부 링이 더 크게 되어 광륜 효과(halo effect)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주변 부분(306)에서의 착색은 지점(301)에서부터 측정된 내경으로부터 지점(303)에서부터 측정된 외경까지 불투명으로부터 반투명 또는 투명으로 점차 변화되거나 변화될 수 있다. 앞서 기술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처럼, 중심 부분(304)은 착용자의 홍채의 외양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색상 및/또는 하나 이상의 색상에 의해 형성된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조합은 짙은 각막윤부 링의 대비와 함께 가장 자연스러운 홍채를 제공하면서, 주변 부분(306)에 적용된 밝은 착색의 추가적인 이득을 제공한다. 각막윤부 링(308)은 링(308)이 홍채, 중심 부분 착색/패턴(304) 및 밝은 착색된 주변 부분(306)과 자연스럽게 블렌딩되게 하는 임의의 적합한 폭 또는 패턴의 것일 수 있다. 각막윤부 링(308)은 반투명하거나 불투명할 수 있다.
도 4는 주변 부분(406)에서의 밝은 착색이 기하학적 패턴의 형태로 적용된, 예시적인 제3 미용 콘택트 렌즈(400)를 도시한다. 미용 콘택트 렌즈(400)는 중심 영역(402), 중심 영역(402)을 둘러싸는 중심 부분(404), 중심 부분(404)을 둘러싸는 주변 부분(406), 및 각막윤부 링(408)을 포함한다. 도 3 및 도4의 콘택트 렌즈들 사이의 차이는 주변 부분(406)에서의 기하학적 패턴에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미용 렌즈(400)에서, 기하학적 패턴은 그렇지 않다면 백색으로 착색될 렌즈 표면으로부터 제거된 원(410)들의 외양을 띠어, 각각의 원(410)은 그의 이웃하는 원(410)과 접선으로 접촉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는 기하학적 형상으로서 원(410)을 이용하지만, 임의의 기하학적 형상이 이용될 수 있음에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원(410)들에 의해 형성된 십자 형상의 밝게 착색된 구조체들의 행(row)들 및 열(column)들로서 또한 생각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원(412)은 또한 중심 부분(404)에서의 패턴으로 확장될 수 있다.
기하학적 형상들을 포함하는 패턴화(patterning)는 도 4에 대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규칙적인 형상의 구조들로부터,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용 콘택트 렌즈(500)의 중심 부분(504)과 주변 부분(506) 모두 내에 있는 복수의 랜덤 도트(dot)들 또는 형상(510)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중심 영역(502) 및 각막윤부 링(508)은 이러한 예시적인 콘택트 렌즈(500)에서 패턴을 갖지 않는데, 예를 들어 스포크 또는 블렌딩을 갖지 않는다. 현실적이거나 향상된 색감을 전달하기 위한 임의의 편리한 형상이 이용될 수 있는데, 특히, 여기서 그러한 기하학적 형상은 원하는 색조(hue) 또는 음영(shade)에 기여한다. 이용되는 도트는 임의의 크기 및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트는 미용 콘택트 렌즈의 상이한 요소들의 경계들의 블렌딩을 돕는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미용 렌즈는 각막윤부 링 및 복수의 테이퍼형 스포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각막윤부 링은, 렌즈가 착용 중이고 중심에 놓일 때, 렌즈 착용자의 각막윤부 영역, 또는 공막과 각막의 접합부 위에 부분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완전하게 놓이는, 유색의 환형 밴드이다. 바람직하게는, 각막윤부 링은 완전하게 각막윤부 영역 위에 놓인다. 각막윤부 링의, 최내측 경계, 또는 렌즈의 기하학적 중심에 가장 가까운 에지는 약 8 mm 내지 약 12 mm, 바람직하게는 약 9 내지 약 11 mm의 직경을 갖는 원을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원은 렌즈의 기하학적 중심에 맞추어 중심에 놓인다. 링은 임의의 적합한 폭을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폭이 약 0.5 내지 약 2.5 mm, 더 바람직하게는 폭이 약 0.75 내지 약 1.25 mm이다.
바퀴의 스포크와 유사한 실질적으로 삼각형 형상인 구조들이 각막윤부 링의 최내측 경계로부터 렌즈의 기하학적 중심을 향하여 내향 연장되어 있다. 테이퍼형 스포크들은 렌즈의 전체 홍체 부분 위로 연장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그렇게 연장되지 않으며, 이는 렌즈가 착용 중이고 중심에 놓인 경우에 렌즈의 상기 부분이 홍체 위에 놓이는 것을 의미한다. 오히려, 바람직하게는, 스포크는 스포크 패턴의 최내측 에지가 렌즈의 기하학적 중심으로부터 약 6.5 mm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약 7 mm 이상에 위치되도록 각막윤부 링의 최내측 에지로부터 내향 연장된다. 스포크는 균일하거나 또는 가변하는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길이가 약 1 내지 약 2 mm이다.
도 6에는, 각막윤부 링-테이퍼형 스포크 패턴의 예시적인 제1 실시예가 콘택트 렌즈(600) 상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각막윤부 링(602)은 폭이 대략 1 mm인 검은 불투명한 밴드이다. 콘택트 렌즈(600)의 기하학적 중심으로부터 측정될 때 직경이 7 mm인 원을 최내측 경계(612)가 형성하는 복수의 랜덤하게 배열된 테이퍼형 스포크(606)들이 각막윤부 링(602)의 최내측 경계(604)에서 시작하여 콘택트 렌즈(600)의 기하학적 중심을 향하여 내향으로 연장된다. 모든 스포크(606)들이 대체적으로 유사하게 구성되더라도, 바람직하게는 스포크(606)들 중 어느 하나도 스포크(606)들 중 다른 하나와 정확히 동일하지 않다. 스포크(606)들은 어떠한 요소들도 존재하지 않는 공간(608)들에 의해 배치되거나 경계가 지어진다. 공간(608)들은 또한 대체로 모두가 유사하게 구성되지만, 바람직하게는 공간(608)들 중 어느 하나도 공간(608)들 또는 스포크(606)들 중 나머지와 정확히 동일한 구성을 갖지 않는다. 영역(610)은 패턴 요소들이 없는 영역으로, 상기 영역은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눈의 홍제 부분 및 착용자의 눈의 동공 부분의 전체, 또는 렌즈가 착용 중이고 중심에 놓이는 동안 착용자의 동공 위에 놓이는 렌즈의 부분을 부분적으로 구성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역(610)이 투명하지만, 이는 또한 반투명하게 또는 불투명하게 착색될 수 있다. 최내측 경계(60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하고 규칙적인 형상을 갖지만, 균일하지 않고 불규칙적인 경계를 가질 수 있다. 유사하게, 테이퍼형 스포크 경계(612)가 대체적으로 균일한 경계를 형성하더라도, 이는 균일하지 않은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도 7은 콘택트 렌즈(700) 상의 대안적인 테이퍼형 스포크 패턴을 도시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랜덤하게 배열된 테이퍼형 스포크(706)들이 각막윤부 링(704)의 최내측 경계(702)에서 시작하여 콘택트 렌즈(700)의 기하학적 중심을 향하여 내향 연장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테이퍼형 스포크(706)는 콘택트 렌즈(700)의 기하학적 중심을 향하여 갈수록 점차 가늘어지는 하나 이상의 물결 선을 포함한다. 최내측 각막윤부 링 경계(702)는, 도시된 바와 같이, 균일하지 않고 불규칙적인 형상을 갖는다. 영역(708)은 패턴 요소들이 없는 영역으로, 상기 영역은 전술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눈의 홍제 부분 및 착용자의 눈의 동공 부분의 전체를 부분적으로 구성할 것이다.
도 8은 콘택트 렌즈(800) 상의 또 다른 테이퍼형 스포크 패턴을 도시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스포크(806)가 스포크(808)보다 더 길고 스포크(806, 808)들 모두가 물결 선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스포크(806, 808)들이 각막윤부 링(804)의 최내측 경계(802)에서 시작하여 콘택트 렌즈(800)의 기하학적 중심으로 내향 연장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포크(806, 808)들을 서로로부터 실질적으로 규칙적인 간격으로 이격되지만, 또한 불규칙적으로 이격될 수도 있다. 더욱이, 스포크(806)들의 각각은 모두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지만, 이들은 스포크(808)들에 대한 경우에 그러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영역(810)은 패턴 요소들이 없는 영역으로, 상기 영역은 전술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눈의 홍제 부분 및 착용자의 동공의 전체를 부분적으로 구성할 것이다.
도 9는 콘택트 렌즈(900) 상의 또 다른 예시적인 테이퍼형 스포크 패턴을 도시하는데, 이는 도 8에 도시된 패턴의 변형이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스포크 패턴은 다수의 스포크(902, 904)들을 갖는데, 스포크(902)는 스포크(904)보다 더 길고, 스포크(902, 904)들의 모두는 물결 선에 의해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포크(902, 904)들은 클러스터(906)들을 형성하도록 함께 랜덤하게 그룹화된다. 이들 클러스터(906)는 각막윤부 링(910)의 최내측 반경부(908)로부터 연장된다.
도 10은 콘택트 렌즈(1000) 상의 예시적인 테이퍼형 스포크 패턴을 도시하는데, 여기서는 각막윤부 링(1002)이 존재하고 랜덤하게 이격된 복수의 스포크(1004)들이 내향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스포크(1004)는 하나 이상의 위치에서 만곡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10에 대해 설명된 패턴의 모두에서, 스포크는 렌즈의 기하학적 중심으로 내향 연장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스포크의 최내측 경계, 또는 렌즈의 기하학적 중심에 대한 에지는 렌즈의 기하학적 중심으로부터 약 6.5 mm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7 mm 이상에 위치된다.
스포크 및 각막윤부 링 요소에 더하여, 패턴은 다수의 추가 구성요소들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구성요소는 도트 및 선과 같은 기하학적 구조, 또는 줄무늬, 깃털형 형상 등을 포함하여 비현실적인 구조,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택트 렌즈(1100)는 스포크(1104)들 및 스포크(1104)들 사이의 공간들을 덮는 복수의 랜덤 도트(1102)들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복수의 도트들은 스포크들 및 이들 사이의 공간들의 영역의 단지 일부만을 덮을, 예컨대, 그들의 최내측 부분들 또는 각막윤부 링(1106)에 가장 가까운 부분들 또는 그러한 영역의 약 1 내지 약 90 퍼센트, 바람직하게는 약 25 내지 75 퍼센트만을 덮을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랜덤 도트 패턴은 렌즈의 기하학적 중심을 향하여 내향함에 따라 도트들이 더 적게 많아져서 도트 밀도 구배를 형성하도록 있을 수 있다. 도트는 각막윤부 링(1106)과 스포크(1104) 사이의 경계의 블렌딩을 돕는다.
또 다른 대안예로서, 도 12에는, 복수의 랜덤 도트(1202)들 및 선(1204)들이 스포크(1206)들 및 스포크(1206)들 사이의 공간들을 덮는 콘택트 렌즈(1200)가 도시되어 있다. 도트(1202)들은 스포크(1206)들 및 이들 사이의 공간들 전체를 덮는다. 선(1204)들은 해치(hatch)형 분포로 배열되는데, 이는 선들이 둘 이상의 평행한 선들의 그룹으로 되고 스포크들 및 이들 사이의 공간들의 일부만을 덮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패턴들에 사용되는 도트들은 임의의 크기의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직경이 약 0.060 내지 약 0.180 mm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직경이 약 0.0075 내지 약 0.0125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미용 콘택트 렌즈의 패턴들 중 임의의 패턴에서, 중심은 바람직하게는 투명하여 시력에 대한 영향이 없도록 한다. 그러나, 중심 영역은 반투명/투명 또는 불투명 색상, 또는 불투명 색상과 반투명/투명 색상의 임의의 조합의 영역일 수 있다.
착용자의 눈 색상을 향상시키거나 변경하기 위한 콘택트 렌즈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각막윤부 링 요소는 렌즈 착용자의 각막윤부 영역의 색상을 차폐하는 고른(solid) 색상의 밴드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차폐 색상은 불투명 색상이다. 또 다시, 적절히 크기 설정된 각막윤부 링은 광륜 효과를 생성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나머지 요소, 스포크, 도트 및 기타 패턴 요소는 원하는 미용의 눈에 착용(on-eye) 결과에 따라 반투명하거나 불투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상, "반투명"은 380 내지 780 nm 범위에서 약 60 내지 약 99%, 바람직하게는 약 65 내지 약 85% T의 평균 광 투과율(% T)을 허용하는 색을 의미한다. "불투명"은 380 내지 780 nm 범위에서 0 내지 약 55, 바람직하게는 7 내지 약 50% T의 평균 광 투과율(% T)을 허용하는 색을 의미한다.
각막윤부 링 및 홍체 패턴 요소들의 각각에 대해 선택된 색상은 렌즈 착용자의 홍체의 본래 색상 및 원하는 강화 또는 색상 변화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따라서, 요소는 임의의 다양한 색조 및 채도(chroma)의 청색, 녹색, 회색, 갈색, 흑색, 황색, 적색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임의의 색상일 수 있다. 각막윤부 링을 위해 바람직한 색상에는 임의의 다양한 색조 및 채도의 흑색, 갈색, 회색, 암청색 및 암녹색이 포함된다.
각막윤부 링, 스포크 및 다른 패턴 요소의 색상은 또한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할 수 있거나 또는 서로 보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는 각막윤부 링(1302) 및 스포크(1304)가 동일한 색상을 갖는 패턴을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1300)가 도시되어 있다. 스포크(1306)는 각막윤부 링(1302) 및 스포크(1304)의 색상과 상이하지만 그에 보완적인 색상을 갖는다. 동공 부분(1308)은 각막윤부 링 및 스포크 색상에 보완적인 또 다른 색상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동공 부분은 투명하고, 이는 동공 부분이 무색임을 의미한다.
주변 부분을 포함한 밝게 착색된 요소는 순백색(pure white), 준백색, 회백색, 연황색, 담청색, 연분홍색, 연녹색, 또는 상기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는 렌즈에 의해 덮이지 않는 공막의 가시적 부분과 현저하게 대조를 이루지 않도록 매칭된다. 이들 색상은 바람직하게는 TiO2를 사용하여 얻어지는데, 이때 양이 많아질수록 불투명도 및 대비가 더 커진다. 더 하얗게 착색된 요소로 조정하기 위해, 흑색 산화철, 갈색 산화철, 황색 산화철, 적색 산화철, 이산화티타늄 등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안료가 소량으로 첨가된다. 이들 안료에 더하여, 다이클로로트라이아진 및 비닐 설폰계 염료를 포함한 가용성 및 불용성 염료가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는 적절한 반투명도를 제공하기 위하여 10% 내지 20%의 TiO2 및 80% 내지 90%의 투명 결합 중합체를 갖는 착색제이다.
일반적으로, 착색된 요소는 콘택트 렌즈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유기 또는 무기 안료, 또는 그러한 안료들의 조합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불투명성은 이용되는 안료 및 이산화티타늄의 농도를 변동시킴으로써 제어될 수 있으며, 이때 양이 많아질수록 불투명성이 커지게 된다. 예시적인 유기 안료는 프탈로시아닌 블루(pthalocyanine blue), 프탈로시아닌 그린(pthalocyanine green), 카르바졸 바이올렛(carbazole violet), 배트 오렌지(vat orange) # 1 등뿐만 아니라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유용한 무기 안료의 예는 흑색 산화철, 갈색 산화철, 황색 산화철, 적색 산화철, 이산화티타늄 등뿐만 아니라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이들 안료에 더하여, 다이클로로트라이아진 및 비닐 설폰계 염료를 포함한 가용성 및 불용성 염료가 사용될 수 있다. 유용한 염료 및 안료는 구매가능하다.
미용 콘택트 렌즈의 다양한 영역들을 위한 디자인/패턴/색상은 시장 조사에 기초하여 개발된다. 이어서, 이들 패턴은 대체로 클리셰로 지칭되는 금속 구조로 에칭된다. 더 구체적으로, 바람직하게는 강철로부터 제조된, 더욱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강으로부터 제조된 금속 플레이트(plate)를, 경화되고 나면 수 불용성(water insoluble)으로 될 수 있는 포토 레지스트(photo resist) 재료로 덮는다. 패턴이 선택 또는 디자인되고, 이어서 사진 기술과 같은 다수의 적합한 기술들 중 임의의 것을 이용하여 원하는 크기로 감소되어, 금속 플레이트 위에 배치되고, 포토 레지스트 재료가 경화된다. 금속 플레이트 또는 클리셰가 후속하여 수용액으로 세척되고, 생성된 이미지 또는 패턴이 적합한 깊이, 예를 들어 약 20 마이크로미터로 금속 플레이트 내로 에칭된다. 클리셰가 일단 제조되면, 다중 단계 공정이 이용되어 아래 설명되는 바와 같이 미용 콘택트 렌즈를 제조한다.
도 14는 제조 공정에 이용되는 패드 인쇄 공정의 전반적인 개요를 도시한다. 공정에서의 제1 단계(1402)는 원하는 착색제로 클리셰 공동을 충전하는 것이다. 클리셰(1401)는 전술된 바와 같이 특정 패턴이 에칭된 다수의 클리셰 공동(1403)들을 포함한다. 공정에서의 제2 단계(1404)는 클리셰(1401)의 표면으로부터의 과잉 잉크 또는 착색제의 제거를 수반한다. 과잉 잉크는 전형적으로 컵(1405) 상의 닥터링 블레이드(doctoring blade) 또는 닥터링 블레이드들의 사용을 통해 클리셰(1401)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된다. 공정의 제3 단계(1406)에서, 착색제가 클리셰(1401) 상에서 건조된다. 공정의 제4 단계(1408)에서, 클리셰(1401) 내의 착색제가 패드에 의해 픽업된다. 공정의 제5 단계(1410)에서, 착색제는 패드들 상에서 건조되거나 건조가 허용된다. 공정의 제6 단계(1412)에서, 착색제는 패드로부터 전방 곡선 표면으로 전사되고, 여기서 추가적인 처리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수행된다. 공정의 제7 단계(1414)에서, 착색제는 전방 곡선 금형 반부의 전방 곡선 표면 상에서 건조되거나 건조가 허용된다. 이어서, 공정은 임의의 남아있는 효과 층들을 위해 반복된다.
도 15는 더 상세한 공정 설명을 제공한다. 제1 단계(1502)에서, 콘택트 렌즈를 위한 인쇄되지 않은 전방 곡선 금형이 제공된다. 제2 단계(1504)에서, 투명 베이스, 즉 어떠한 안료 또는 염료도 없는 베이스가 전방 곡선부에 도포된다. 투명 베이스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용되는 렌즈 재료에 의존한다. 제3 단계(1506)에서, 투명 베이스가 인쇄된 전방 곡선부에 용매, 투명 베이스 및 안료를 포함하는 잉크가 도포된다. 다시 한번, 이는 모든 효과 층들 및/또는 안료 인쇄 층들이 투명 베이스가 인쇄된 베이스 곡선부에 적용될 때까지 반복된다. 제4 단계(1508)에서, 인쇄된 전방 곡선부에는 이어서 반응성 단량체 혼합물, 예를 들어 에타필콘 A가 투입된다. 공정의 제5 단계(1510)에서, 콘택트 렌즈를 위한 후방 곡선 금형은 전방 곡선 금형 상에 위치되고, 여기서 후방 곡선 금형은 온도가 섭씨 70도에서 유지되면서 2분 동안 유지된다. 공정의 제6 단계(1512)에서, 전방 곡선부와 후방 곡선부 사이의 반응성 단량체 혼합물이 경화를 위해 가시 광에 노출된다. 이러한 경화 단계는 섭씨 70도의 온도에서 4분 동안 5 mW의 가시 광을 이용한다. 공정의 제7 단계(1514)에서, 금형으로부터의 콘택트 렌즈는 800 ppm 트윈(Tween) 80과 탈이온수의 섭씨 70도 용액에서 1시간 동안 그리고 섭씨 45도 탈이온수에서 추가 1시간 동안 수화된다. 공정의 제8 단계(1516)에서, 콘택트 렌즈는 섭씨 124도의 온도에서 18분 동안 그 자신의 포장되는 식염수 내에서 스팀 살균된다. 전술된 공정이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간략화되었음에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위에 기재된 바와 같이, 렌즈 형성 재료는 에타필콘 A를 포함한다. 에타필콘 A는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기 위한 잘 알려진 특허 허여된 물질이다. 에타필콘 A는 에틸렌 글리콜 다이메타크릴레이트 및 1, 1, 1-트라이메티올 프로포프 트라이메타크릴레이트와 가교결합된 메타크릴산 및 2-하이드록시에탈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이다. 에타필콘 A는 존슨 앤드 존슨 비전 케어, 인크.(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의 부문인 비스타콘(VISTAKON)(등록상표)으로부터 입수 가능한 다수의 콘택트 렌즈에서 이용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에타필콘 A가 이용되지만, 임의의 적합한 렌즈 형성 재료가 이용될 수 있음에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에타필콘 A의 경우, 바람직한 결합성 중합체는 HEMA 및 MAA의 랜덤 블록 공중합체 또는 HEMA의 단일중합체이다. 이들 실시예에서 각각의 성분의 중량 백분율은, 결합 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93 내지 약 100 중량% HEMA, 및 약 0 내지 약 2 중량% MAA이다.
도 16은 전술된 공정으로부터 형성되는 미용 콘택트 렌즈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다. 하나 이상의 효과 층(1604)은 투명 베이스(1602)와 벌크 렌즈 재료(1606) 사이에 개재 또는 봉지된다. 단지 하나의 효과 층이 도시되어 있지만, 다수의 효과 층들 또는 안료 인쇄 층들이 다른 2개의 층들 사이에 봉지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콘택트 렌즈는 하나 이상의 안료 인쇄 층이 실질적으로 환형인 구조를 갖더라도 렌즈 재료 내에 하나 이상의 안료 인쇄 층을 봉지하기 위하여 완전한 투명 베이스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스포크에 의해서도, 채색된 디자인이 렌즈의 광학 구역 내로 연장되지는 않는다. 다시 말하면, 이러한 디자인에 의해, 콘택트 렌즈의 중심 광학 구역 또는 중심 광학 영역은 투명 베이스 재료로 덮인다. 정밀한 광학 표면 및 경로를 유지하고 따라서 환자를 위해 최적의 시력, 안전성 및 편안함을 제공하기 위하여, 앞서 단계(1504)에서 설명된 완전한 커버리지(coverage)와 대조적으로 전방 곡선부 상에 투명한 환형 밴드를 인쇄하도록 환형 패턴 인쇄 클리셰를 이용함으로써 투명 베이스 재료는 중심 광학 영역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투명 환형 밴드는 임의의 디자인 층을 봉지하거나 덮도록 크기가 설정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클리셰를 적절히 치수설정함으로써, 환형 구조 내의 개구는 안료 인쇄 층의 봉지를 보장하면서 광학 품질을 유지하도록 최적화될 수 있다. 어떠한 디자인도 광학 구역 내로 들어가지 않아야 하기 때문에, 그 영역 내의 어떠한 것도 봉지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봉지되는 채색된 영역을 설명하기 위하여 다수의 용어들이 이용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채색된 층은 효과 층, 인쇄 층, 디자인 층 및 안료 인쇄 층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7, 도 17a 및 도 17b는 본 발명에 따라 이용될 수 있는 클리셰(1700)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클리셰(1700)는 투명 베이스 재료를 전방 곡선 금형 상에 실질적으로 환형인 패턴으로 침착시키는 데 이용된다. 잉크 침착에 대한 전술된 공정은 예시적인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코트 재료와 함께 먼저 이용된다. 다시 말하면, 중심 광학 영역, 즉 눈의 동공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어떠한 투명 베이스 코트 재료도 없도록 하면서 임의의 적합한 디자인을 포함하는 안료의 봉지를 허용할 위치에서 투명 베이스 코트 재료를 전방 곡선 금형 상에 침착시키기 위하여, 도 14 및 도 15에 관해 전술된 공정이 먼저 이용된다. 변형된 투명 베이스 클리셰(1700)는 임의의 채색된 디자인을 덮으면서 광학 구역 내의 투명 베이스 코트 재료의 존재를 제거하거나 또는 콘택트 렌즈의 전면의 모든 나머지 부분을 덮으면서 투명 베이스 코트 재료의 존재를 제거한다. 다시 말해서, 투명 베이스는 디자인을 지나서 렌즈의 에지로 연장될 수 있다. 클리셰(1700)는 제1 환형 섹션(1702), 전이 섹션(1706) 및 광학 영역 개구(1704)를 포함한다. 제1 환형 섹션(1702)은 콘택트 렌즈의 에지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또는 채색된 디자인에 근접한 위치에 대응하는 렌즈 에지로부터 삽입된 임의의 점으로부터 전이 섹션(1706)까지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환형 섹션(1702)은 내경이 약 3.9 mm이고 외경이 약 17 mm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환형 섹션(1702)은 내경이 약 6 mm이고 외경이 약 13.5 mm이다. 제1 환형 섹션(1702)은 패드로 전사하기 위해 투명 베이스 재료를 픽업할 클리셰(1700)의 일부이다. 전이 섹션(1706)은 제1 환형 섹션(1702)의 내경으로부터 광학 영역 개구(1704)의 외경으로 연장된 더욱 더 작은 환형 밴드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전이 섹션(1706)은 내경이 약 1.9 mm이고 외경이 약 8 mm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이 섹션(1706)은 내경이 약 4.4 mm이고 외경이 약 6 mm이다. 전이 섹션(1706)은 광학 영역 개구(1704)에 접근함에 따라 줄어드는 양의 투명 베이스 코트 재료를 보유하도록 구성되고 이는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은 많은 상이한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이 섹션(1706)은 전방 곡선 금형 상의 침착을 위해 소정 양의 베이스 코트 재료를 픽업하는 디더링(dithering) 패턴 또는 매트릭스를 포함한다. 전이 섹션 또는 구역(1706)은 두 가지 재료들을 함께 더 잘 블렌딩 또는 통합하기 위해 이용된다. 더 구체적으로, 패턴/매트릭스 및 줄어드는 양의 베이스 코트 재료가 전사된 전이 섹션(1706)은 투명 베이스 코트 재료 및 렌즈 단량체의 더 나은 블렌딩/통합을 제공하고, 그에 의해 전이 섹션(1706)의 부재 시 일어날 수 있는 임의의 유도 응력을 감소시킨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전이 섹션(1706)은 제1 환형 섹션(1702) 근처에서 두께가 약 30 마이크로미터이고 광학 영역 개구(1704) 근처에서 두께가 약 0 마이크로미터이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전이 섹션(1706)은 제1 환형 섹션(1702) 근처에서 두께가 약 20 마이크로미터이고 광학 영역 개구(1704) 근처에서 두께가 약 10 마이크로미터이다. 그러나, 패드 인쇄 후에, 인쇄된 전방 곡선부에는 반응성 단량체 혼합물이 투입되고 후방 곡선 금형은 렌즈의 두께에 변화가 없이 앞서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렌즈를 형성하도록 전방 곡선 금형 상에 위치된다.
중심 광학 구역에 베이스 코트 재료가 침착되지 않고 오히려 단지 렌즈 단량체만이 침착되는 한 채색된 디자인을 봉지하기 위하여 임의의 적합한 공정 또는 기법이 이용될 수 있음에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욱이, 클리셰(1700)로부터 전사되는 투명 베이스 코트 재료의 치수가 패드의 기하학적 형상 및 경도와 같은 인자들에 그리고 궁극적으로 렌즈 팽윤(swell) 및 측정 기법에 기초한다는 것에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술된 예시적인 전이 섹션(1706)은 도 17a의 분해도에 상세히 도시된 패턴/매트릭스 및 도 17b의 분해 단면도에 상세히 도시된 두께 구배 모두를 포함한다. 그러나, 다른 예시적인 전이 섹션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조합보다는 오히려 단지 어느 하나만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안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이 섹션은 단지 패턴/매트릭스만을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패턴의 밀도의 감소는 재료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기능을 하고 그에 의해 잠재적인 유도 응력의 감소로 이어진다. 다른 대안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줄어드는 양의 재료로 된 중실 층이 이용되고 그에 의해 잠재적인 유도 응력의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패턴/매트릭스는, 단독으로 이용되든 또는 두께 구배 프로파일과 조합하여 이용되든, 임의의 적합한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턴은 임의의 적합한 기하학적 디자인, 디더링 디자인, 도트 매트릭스 디자인 또는 임의의 랜덤 디자인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17a에 도시된 디자인은 특징부의 밀도가 제1 환형 섹션(1702)으로부터 광학 영역 개구(1704)를 향하여 감소하는 기본 디자인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술된 공정으로부터 형성된 미용 콘택트 렌즈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다. 하나 이상의 효과 층 및/또는 안료 인쇄 층(1804)은 환형 형상의 투명 베이스(1802)와 벌크 렌즈 재료(1806) 사이에 개재 또는 봉지된다. 앞에서와 같이, 단지 하나의 효과 층이 도시되어 있지만, 다수의 효과 층들이 다른 2개의 층들 사이에 봉지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콘택트 렌즈는 벌크 렌즈 재료, 즉 반응성 단량체 혼합물 내에 하나 이상의 안료 인쇄 층을 봉지하도록 환형 형상의 투명 베이스 재료 층(1802)을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이러한 디자인으로, 콘택트 렌즈의 중심 광학 구역 또는 중심 광학 영역(1808)은 덮이지 않고 그에 의해 채색된 층(1804)의 완전한 커버리지/봉지를 보장하면서 높은 정도의 편안함을 유지하는 것에 더하여 정밀한 광학 표면 및 경로를 유지한다. 전이 섹션(1706)을 갖는 클리셰(1700)의 디자인은 앞서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재료들 사이의 더 나은 블렌딩/통합을 제공하는 환형 형상의 투명 베이스 층(1802) 내의 전이 영역(1810)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개구(1808)는 직경이 약 1.9 mm 내지 약 8.8 mm의 범위에 있고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직경이 약 5.75 mm이다.
미용 또는 비-미용 콘택트 렌즈가 안료를 봉지하는 것 이외의 다른 이유로, 예를 들어, 편안함을 위한 윤활 코팅을 위해, 전방 표면, 후방 표면, 또는 양 표면들 상에 코팅되는 예시적인 대안 실시예에서, 높은 광학 품질을 유지하면서 재료를 더 잘 블렌딩/통합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전이 섹션을 갖는 환형 구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콘택트 렌즈가 제1 재료로부터 형성되고 이어서 제2 재료가 렌즈의 윤활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표면들 중 하나 또는 둘 모두 상에 추가되었으면, 두 재료의 블렌딩은 전술된 바와 같이 응력을 유도할 것이다. 임의의 잠재적인 유도 응력을 감소시키는 해결책은 또 다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전이 섹션을 갖는 환형 코팅/구조일 것이다.
가장 실용적이고 바람직한 실시예로 여겨지는 것이 도시되고 기술되었지만, 기술되고 도시된 특정 디자인 및 방법으로부터의 벗어남이 그 자체를 당업자에게 제안할 것이며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본 발명은 기술되고 도시된 특정 구성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속할 수 있는 모든 변경과 일관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Claims (9)

  1. 미용 콘택트 렌즈로서,
    제1 재료로부터 형성된 환형 형상의 투명 코트 층;
    상기 환형 형상의 투명 코트 층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효과 층; 및
    상기 환형 형상의 투명 코트 층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효과 층 모두를 덮고 둘러싸는 벌크 렌즈 재료를 포함하는, 미용 콘택트 렌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형상의 투명 코트 층은 제1 환형 섹션, 전이 섹션, 및 광학 영역 개구 섹션을 포함하는, 미용 콘택트 렌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 섹션은 상기 제1 환형 섹션으로부터 상기 광학 영역 개구 섹션으로 감소하는 두께 구배를 포함하는, 미용 콘택트 렌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 섹션은 패턴을 포함하는, 미용 콘택트 렌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기하학적 패턴을 포함하는, 미용 콘택트 렌즈.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도트 매트릭스(dot matrix) 패턴을 포함하는, 미용 콘택트 렌즈.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디더링(dithering) 패턴을 포함하는, 미용 콘택트 렌즈.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상기 광학 영역 개구에 근접한 특징부들의 더 낮은 밀도로 줄어드는 상기 제1 환형 섹션에 근접한 특징부들의 더 높은 밀도를 포함하는, 미용 콘택트 렌즈.
  9. 콘택트 렌즈로서,
    제1 재료로부터 형성된 전방 곡선 표면;
    상기 제1 재료로부터 형성된 후방 곡선 표면; 및
    제2 재료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전방 및 후방 곡선 표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된 환형 형상의 층을 포함하고, 상기 환형 형상의 층은 제1 환형 섹션, 전이 섹션, 및 광학 영역 개구 섹션을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KR1020160028179A 2015-03-11 2016-03-09 미용 콘택트 렌즈 내의 환형 형상의 투명 층 KR1025252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644,511 US9798162B2 (en) 2015-03-11 2015-03-11 Annular shaped clear layer in cosmetic contact lenses
US14/644,511 2015-03-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0179A true KR20160110179A (ko) 2016-09-21
KR102525251B1 KR102525251B1 (ko) 2023-04-26

Family

ID=55527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8179A KR102525251B1 (ko) 2015-03-11 2016-03-09 미용 콘택트 렌즈 내의 환형 형상의 투명 층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9798162B2 (ko)
EP (1) EP3067735B1 (ko)
JP (1) JP6797536B2 (ko)
KR (1) KR102525251B1 (ko)
CN (1) CN105974604B (ko)
AU (1) AU2016200852A1 (ko)
BR (1) BR102016005115A2 (ko)
CA (1) CA2922594A1 (ko)
IL (1) IL244086A0 (ko)
RU (1) RU2637613C2 (ko)
SG (1) SG10201601122UA (ko)
TW (1) TWI66848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1765A (ko) * 2020-12-24 2022-07-01 (주)비젼사이언스 청광차단 콘택트렌즈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58061B2 (en) * 2018-05-31 2020-02-11 Brighten Optix Corp. Lens with star-shaped optical zone to increase defocus image area
DE102018219881A1 (de) * 2018-11-20 2020-05-20 Carl Zeiss Smt Gmbh Verfahren und Beschichtungsanlage zum Herstellen beschichteter optischer Komponenten
EP3865289A1 (en) * 2020-02-12 2021-08-18 Essilor International Concealing non-optically transparent components of optical articles
TWD214891S (zh) * 2021-01-29 2021-10-21 晶碩光學股份有限公司 隱形眼鏡
TWD214687S (zh) * 2021-01-29 2021-10-11 晶碩光學股份有限公司 隱形眼鏡
TWD214892S (zh) * 2021-01-29 2021-10-21 晶碩光學股份有限公司 隱形眼鏡
TWD218109S (zh) * 2021-01-29 2022-04-11 晶碩光學股份有限公司 隱形眼鏡
JP1725301S (ja) * 2021-02-19 2022-09-21 コンタクトレンズ
WO2023039815A1 (zh) * 2021-09-17 2023-03-23 晶硕光学股份有限公司 隐形眼镜及其制造方法
CN114176895A (zh) * 2021-11-23 2022-03-15 天津世纪康泰生物医学工程有限公司 一种动物用角膜保护镜
US11789181B1 (en) * 2022-02-03 2023-10-17 Atheneum Optical Sciences, Llc Polymeric additive manufacturing and ophthalmic lenses formed thereby
USD1002915S1 (en) * 2022-05-18 2023-10-24 Chen Wu Len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15593A (en) * 1985-07-03 1986-10-07 Neefe Charles W Fluorescent non-optical corneal color change device
US20040114101A1 (en) * 2002-12-13 2004-06-17 Ocular Sciences, Inc. Contact lenses with color shifting properties
JP2005514638A (ja) * 2001-12-05 2005-05-19 オキュラー サイエンシ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カラーコンタクトレンズ
KR20130105607A (ko) * 2010-07-29 2013-09-25 노파르티스 아게 컬러 콘택트 렌즈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40113570A (ko) * 2013-03-15 2014-09-24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안정화 특징부를 갖는 안과용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269512B (de) 1965-11-18 1969-03-25 Ceskoslovenska Akademie Ve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efärbten Kontaktlinsen und Augenprothesen
US3536386A (en) * 1967-10-27 1970-10-27 Morris Spivack Contact lens with simulated iris
FR2330025A1 (fr) * 1975-10-27 1977-05-27 Ceskoslovenska Akademie Ved Lentilles de contact en un polymere hydrophile
US5723541A (en) * 1993-06-16 1998-03-03 Rasor Associates, Inc. Ocular lens composition and method of formation
JP3452506B2 (ja) * 1999-04-13 2003-09-29 株式会社日本オプティカル コンタクトレンズのための化粧リング
US20020167640A1 (en) * 2000-12-22 2002-11-14 Francis Charles Auxilium Contact lens with opaque iris pattern
US6890075B2 (en) * 2001-05-30 2005-05-10 Novartis Ag Contact lens with PVA cover layer
US7278736B2 (en) 2004-02-25 2007-10-09 Novartis Ag Contact lenses imparting a vivacious appearance to the eye
WO2006063836A1 (en) * 2004-12-17 2006-06-22 Novartis Ag Colored contact lenses for enhancing a wearer’s natural eye color
CN2775707Y (zh) * 2005-04-05 2006-04-26 曹望平 瞳孔区周围可变色隐形眼镜
RU50407U1 (ru) * 2005-06-01 2006-01-2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чреждение "Межотраслевой научно-технический комплекс "Микрохирургия глаза" имени академика С.Н. Федорова Федерального агентства по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ю и социальному развитию" Мягкая контактная линза
US7802883B2 (en) * 2007-12-20 2010-09-28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Cosmetic contact lenses having a sparkle effect
EP3290003B1 (en) * 2009-08-13 2023-12-13 AcuFocus, Inc. Method of manufacturing masked intraocular implants and lenses
TWI526730B (zh) * 2009-09-23 2016-03-21 諾華公司 基於不規則影像之經著色之隱形眼鏡
KR20180096806A (ko) * 2010-12-14 2018-08-29 노파르티스 아게 컬러 콘택트 렌즈
WO2013013259A1 (en) * 2011-07-26 2013-01-31 Iro Lenses Limited Contact lenses
US9104042B2 (en) * 2011-11-02 2015-08-11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Oriented contact lens with brightly colored sclera
EP2785296B1 (en) * 2011-12-02 2018-06-20 AcuFocus, Inc. Ocular mask having selective spectral transmission
CN202939377U (zh) * 2012-10-23 2013-05-15 苏州康特蓝思眼睛护理产品有限公司 覆膜式彩色隐形眼镜
US9664927B2 (en) * 2014-03-31 2017-05-30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Contact lens with pearlescent sclera
CN204065581U (zh) 2014-08-08 2014-12-31 开眼光学研发股份有限公司 隐形眼镜的色彩图像贴片
US20160041407A1 (en) * 2014-08-11 2016-02-11 Openvision Corporation Color image patch for contact lens
JP3194754U (ja) * 2014-09-01 2014-12-11 開眼光學研發股▲ふん▼有限公司 コンタクトレンズ用カラーパターンステッカ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15593A (en) * 1985-07-03 1986-10-07 Neefe Charles W Fluorescent non-optical corneal color change device
JP2005514638A (ja) * 2001-12-05 2005-05-19 オキュラー サイエンシ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カラーコンタクトレンズ
US20040114101A1 (en) * 2002-12-13 2004-06-17 Ocular Sciences, Inc. Contact lenses with color shifting properties
KR20130105607A (ko) * 2010-07-29 2013-09-25 노파르티스 아게 컬러 콘택트 렌즈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40113570A (ko) * 2013-03-15 2014-09-24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안정화 특징부를 갖는 안과용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1765A (ko) * 2020-12-24 2022-07-01 (주)비젼사이언스 청광차단 콘택트렌즈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974604B (zh) 2020-02-07
RU2016107743A (ru) 2017-09-07
CA2922594A1 (en) 2016-09-11
US20160266403A1 (en) 2016-09-15
SG10201601122UA (en) 2016-10-28
TW201702693A (zh) 2017-01-16
JP6797536B2 (ja) 2020-12-09
EP3067735B1 (en) 2021-10-13
BR102016005115A2 (pt) 2016-09-13
KR102525251B1 (ko) 2023-04-26
EP3067735A1 (en) 2016-09-14
CN105974604A (zh) 2016-09-28
AU2016200852A1 (en) 2016-09-29
TWI668487B (zh) 2019-08-11
US9798162B2 (en) 2017-10-24
RU2637613C2 (ru) 2017-12-05
IL244086A0 (en) 2016-07-31
JP2016170414A (ja) 2016-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5251B1 (ko) 미용 콘택트 렌즈 내의 환형 형상의 투명 층
US20200218086A1 (en) Contact lens with improved, multiple and integrated effects
KR102363994B1 (ko) 진주광택 공막을 갖는 콘택트 렌즈
KR102538163B1 (ko) 다층 패턴을 갖는 콘택트 렌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