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9681A - 홍채를 촬영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광을 조사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홍채를 촬영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광을 조사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9681A
KR20160109681A KR1020150034522A KR20150034522A KR20160109681A KR 20160109681 A KR20160109681 A KR 20160109681A KR 1020150034522 A KR1020150034522 A KR 1020150034522A KR 20150034522 A KR20150034522 A KR 20150034522A KR 20160109681 A KR20160109681 A KR 201601096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is
light
lens
lenses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4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6539B1 (ko
Inventor
정대광
고준호
곽병훈
김성찬
김양욱
김창한
김현중
나인학
윤강진
이용찬
정재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4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6539B1/ko
Priority to US14/960,828 priority patent/US10238286B2/en
Priority to EP15884782.2A priority patent/EP3268895B1/en
Priority to PCT/KR2015/013300 priority patent/WO2016143983A1/en
Priority to CN201580077581.1A priority patent/CN107427211B/zh
Publication of KR20160109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9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6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6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K9/00597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13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determining or recording eye move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6K9/0060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 G06V40/19Sensor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2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 A61B3/1216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for diagnostics of the ir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ultimedia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홍채를 촬영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광을 조사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사용자의 홍채를 촬영하기 위한 광을 조사하는 디바이스는, 복수의 나열된 렌즈들로 형성된 렌즈 어레이를 포함하는 렌즈부; 상기 복수의 렌즈들을 향하여 복수의 광을 각각 방출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렌즈들을 경유하여 상기 사용자의 홍채에 상기 복수의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 및 상기 디바이스와 상기 홍채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나열된 복수의 렌즈들의 위치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 어레이는 상기 광원부와 상기 홍채의 사이에 위치한다.

Description

홍채를 촬영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광을 조사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METHOD AND DEVICE FOR IRRADIATING LIGHT USED TO CAPTURE IRIS}
본 개시는 홍채를 촬영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광을 조사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나열된 렌즈들로 복수의 광을 방출함으로써 홍채로 광을 조사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멀티 미디어 기술 및 네트워크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사용자는 디바이스를 통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함에 있어서,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홍채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사용자의 홍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하여는 사용자의 홍채를 촬영하여야 하는데, 사용자의 홍채를 촬영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홍채에 적절한 양의 광을 조사할 필요가 있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에는 다중 렌즈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홍채에 광을 조사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의 눈을 보호하면서 광을 사용자의 홍채에 조사하기 힘든 문제가 있었다. 특히, 사용자가 걸어다니거나 차량 등을 타고 이동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홍채에 광을 효과적으로 조사하기 힘든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안전하게 광을 사용자의 홍채에 조사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이동하는 상황에서도 적응적으로 사용자의 홍채에 광을 조사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일부 실시예는 복수의 나열된 렌즈들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홍채에 효과적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는 방법 및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디바이스와 사용자의 홍채와의 거리에 기초하여, 복수의 나열된 렌즈들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방법 및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복수의 나열된 렌즈로 방출되는 광들의 광량을 서로 상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방법 및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개시의 제 1 측면은, 복수의 나열된 렌즈들로 형성된 렌즈 어레이를 포함하는 렌즈부; 상기 복수의 렌즈들을 향하여 복수의 광을 각각 방출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렌즈들을 경유하여 상기 사용자의 홍채에 상기 복수의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 및 상기 디바이스와 상기 홍채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나열된 복수의 렌즈들의 위치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 어레이는 상기 광원부와 상기 홍채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인, 사용자의 홍채를 촬영하기 위한 광을 조사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의 홍채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된 홍채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디바이스와 상기 홍채 간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바이스와 상기 홍채 간의 거리에 따라, 상기 나열된 복수의 렌즈들 간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나열된 복수의 렌즈들 간의 간격을 좁힘으로써, 상기 복수의 광원들로부터 방출된 광들을 집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바이스와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디바이스와 상기 홍채 간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홍채의 중심 부분에 대응되는 렌즈를 향하여 조사될 광의 양을 상기 홍채의 주변 부분에 대응되는 렌즈를 향하여 조사될 광의 양보다 작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홍채의 이동을 감지하며, 상기 홍채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복수의 렌즈들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바이스와 수평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홍채가 이동된 방향 및 이동 거리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된 방향 및 이동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렌즈들을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렌즈 어레이 내에 나열된 복수의 전극들 중 적어도 일부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렌즈 어레이를 형성하는 렌즈들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부로부터 방출되어 상기 렌즈들을 통과한 상기 복수의 광들은 서로 중첩되며, 상기 홍채의 전체 영역에 상기 중첩된 광들이 기설정된 범위 내의 양으로 조사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제 2 측면은, 상기 디바이스와 상기 홍채 간의 거리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렌즈 어레이를 형성하는 복수의 렌즈들의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렌즈들을 향하여 복수의 광을 방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 어레이는 광원과 상기 홍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방출된 복수의 광은 상기 복수의 렌즈들을 각각 경유하여 상기 사용자의 홍채에 도달할 수 있다가 사용자의 홍채를 촬영하기 위한 광을 조사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홍채를 촬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거리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된 홍채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디바이스와 상기 홍채 간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와 상기 홍채 간의 거리에 따라, 상기 나열된 복수의 렌즈들 간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나열된 복수의 렌즈들 간의 간격을 좁히며, 상기 복수의 광원들로부터 방출된 광들은 상기 간격이 좁아진 상기 복수의 렌즈들을 통과함으로써 집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리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와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디바이스와 상기 홍채 간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렌즈를 향하여 조사될 복수의 광들의 광량을 각각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홍채의 중심 부분에 대응되는 렌즈를 향하여 조사될 광의 양은, 상기 홍채의 주변 부분에 대응되는 렌즈를 향하여 조사될 광의 양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홍채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복수의 렌즈들을 이동시키는 것인, 방법.
또한, 상기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와 수평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홍채가 이동된 방향 및 이동 거리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된 방향 및 이동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렌즈들을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렌즈 어레이 내에 나열된 복수의 전극들 중 적어도 일부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렌즈 어레이를 형성하는 렌즈들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제 3 측면은, 제 2 측면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가 사용자의 홍채를 촬영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홍채에 광을 조사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가 렌즈 어레이에 포함된 렌즈들 각각에게 광을 조사함으로써, 렌즈를 통하여 사용자의 홍채에 광을 조사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홍채를 촬영하기 위하여 광을 조사하는 디바이스(1000)의 블록도이다.
도 5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렌즈 어레이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가 복수의 광원을 이용하여 렌즈 어레이에 포함된 렌즈들 각각에 광을 조사함으로써, 사용자의 홍채에 기설정된 범위 내의 양의 광을 조사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가 디바이스(1000)와 홍채와의 거리에 따라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양을 조절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가 렌즈 어레이에 포함된 렌즈들 각각에게 조사되는 광량을 조절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렌즈 어레이 및 광원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렌즈 어레이에 포함된 렌즈의 굴절률을 변경함으로써 홍채에 조사되는 광을 조절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홍채의 위치가 이동됨에 따라 렌즈 어레이 내의 렌즈를 이동시키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극의 변화를 이용하여 렌즈 어레이 내의 렌즈를 이동시키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렌즈 어레이 내의 렌즈의 간격을 조절하여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들을 집중시키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광의 조사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도달 거리를 증가시키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8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1320)가 복수의 광을 조사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가 홍채에 조사되는 광을 조절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0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가 동공의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렌즈 어레이에 포함된 렌즈들을 이동시키고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량을 조절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가 사용자의 홍채를 촬영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홍채에 광을 조사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의 홍채의 위치 또는 홍채와의 거리를 측정하고, 홍채를 촬영하기 위하여 홍채에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홍채에 조사되는 광의 양을 상대적으로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홍채가 움직임에 따라 디바이스(1000) 내의 렌즈를 이동시킴으로써 조사되는 광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에 의해 촬영된 홍채는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디바이스(1000)의 사용자를 인증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서비스는 서비스 제공자 또는 디바이스(1000)에 의해 제공되는 모든 종류의 서비스를 포함한다. 서비스는, 예를 들어, 방송 서비스, 콘텐트 공유 서비스, 콘텐트 제공 서비스, 전력 관리 서비스, 게임 제공 서비스, 채팅 서비스, 문서 작성 서비스, 검색 서비스, 통화 서비스, 사진 촬영 서비스, 교통 수단 추천 서비스 및 동영상 재생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디바이스(10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PC, 스마트 TV,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마이크로 서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키오스크,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가전기기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통신 기능 및 데이터 프로세싱 기능을 구비한 시계, 안경, 헤어 밴드 및 반지 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홍채에 광을 조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가 렌즈 어레이에 포함된 렌즈들 각각에게 광을 조사함으로써, 렌즈를 통하여 사용자의 홍채에 광을 조사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디바이스(1000)는 복수의 렌즈가 나열된 렌즈 어레이를 이용하여 복수의 광원으로부터 사용자의 홍채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복수의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들의 일부들이 서로 중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의 홍채에 기설정된 양의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의 홍채에 상대적으로 균일한 양의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홍채를 촬영하기 위하여 광을 조사하는 디바이스(1000)의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는, 렌즈부(1310), 광원부(1320), 촬영부(1330), 메모리(1700) 및 제어부(18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구성 요소 모두가 디바이스(1000)의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 3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디바이스(10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도 3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 디바이스(10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 입력부(1100), 출력부(1200), 센싱부(1400), 통신부(1500), 및 A/V 입력부(16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홍채 촬영부(1300)는, 렌즈부(1310), 광원부(1320) 및 촬영부(13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촬영부(1330)는 적외선 카메라(1332) 및 TOF(Time-of-Flight) 카메라(1334)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100)는, 사용자가 디바이스(100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100)에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입력부(1100)는, 사용자의 홍채에 광을 조사하고 사용자의 홍채를 촬영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100)는 소정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출력부(120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출력부(1200)는 디스플레이부(1210), 음향 출력부(1220), 및 진동 모터(123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10)는 디바이스(10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210)는, 사용자의 홍채에 광을 조사하고 사용자의 홍채를 촬영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10)는 소정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210)와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21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1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바이스(10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바이스(1000)는 디스플레이부(1210)를 2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2개 이상의 디스플레이부(1210)는 힌지(hinge)를 이용하여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220)는 통신부(150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220)는 디바이스(10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알림음)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220)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진동 모터(1230)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터(1230)는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예컨대,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의 출력에 대응하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진동 모터(1230)는 터치스크린에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홍채 촬영부(1300)는 제어부(1800)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사용자의 홍채를 촬영할 수 있다. 홍채 촬영부(1300)는 렌즈부(1310), 광원부(1320) 및 촬영부(133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부(1310)는 복수의 배열된 렌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들은 1차원 또는 2차원적으로 배열됨으로써 렌즈 어레이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렌즈들은 일렬로 배열되거나, 소정 면에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렌즈부(1310)는 제어부(1800)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렌즈들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렌즈의 굴절률을 변경시킬 수 있다. 렌즈 어레이를 형성하는 렌즈는, 예를 들어, 멤브레인(membrane) 렌즈, 전기습윤(electrowetting) 렌즈 및 액정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멤브레인(membrane) 렌즈는, 렌즈의 박막에 가해지는 압력의 변화에 따라 박막의 곡률이 변경될 수 있으며, 곡률이 변경됨에 따라 렌즈의 굴절률이 변경될 수 있다. 렌즈의 박막에 가해지는 압력은, 렌즈 내부의 유체(예를 들어, 물, 기름 등) 또는 공기에 의해 박막에 가해질 수 있다. 멤브레인(membrane) 렌즈는, 예를 들어, 액츄에이터(actuator) 방식의 멤브레인 렌즈 및 마이크로 유체 펌프(micro fluid pump) 방식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습윤 렌즈는, 전기 습윤 렌즈를 형성하는 두 유체의 경계 면의 형상을 변화시킴으로써 렌즈의 특성이 조절될 수 있다. 전기 습윤 렌즈를 형성하는 유체들은 전도성 유체들일 수 있다. 전기 습윤 렌즈를 형성하는 유체들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유체들의 표면 장력이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기 습윤 렌즈를 형성하는 두 유체의 경계 면의 곡률이 변경될 수 있으며, 전기 습윤 렌즈의 굴절률이 조절될 수 있다.
액정 렌즈는, 액정 렌즈 내부에 포함된 액정을 구성하는 물질들의 특성을 이용하여 렌즈의 굴절률을 조절할 수 있다. 액정 렌즈 내부에 포함된 액정을 구성하는 물질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액정 렌즈 내부의 액정을 구성하는 물질들의 위치 및 방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액정 렌즈의 굴절률이 조절될 수 있다.
광원부(1320)는 제어부(1800)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사용자의 홍채에 광을 조사할 수 있다. 광원부(1320)는 렌즈 어레이에 포함된 복수의 렌즈들 각각에게 광을 조사함으로써, 복수의 렌즈를 경유하여 사용자의 홍채에 광을 조사할 수 있다. 광원부(1320)는 렌즈의 위치에 따라 상이한 양의 광을 조사할 수 있다. 광원부(1320)에서 조사되는 광은, 예를 들어, 적외선 및 자연광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촬영부(1330)는 제어부(1800)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사용자의 홍채를 촬영할 수 있다. 촬영부(1330)는, 예를 들어, 적외선 카메라(1332) 및 TOF 카메라(1334)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400)는, 디바이스(1000)의 상태 또는 디바이스(1000) 주변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1800)로 전달할 수 있다.
센싱부(1400)는,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1410),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1420), 온/습도 센서(1430), 적외선 센서(1440), 자이로스코프 센서(1450), 위치 센서(예컨대, GPS)(1460), 기압 센서(1470), 근접 센서(1480), 및 RGB 센서(illuminance sensor)(149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센서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통신부(1500)는, 다른 디바이스(미도시) 및 서버(미도시)와의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500)는, 근거리 통신부(1510), 이동 통신부(1520), 방송 수신부(1530)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151)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통신부(1520)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530)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 디바이스(1000)가 방송 수신부(153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1500)는, 소정의 서비스를 수신하고, 서비스의 이용을 위한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다른 디바이스(미도시) 및 서버(미도시)와 송수신할 수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160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610)와 마이크로폰(162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610)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를 통해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얻을 수 있다. 이미지 센서를 통해 캡쳐된 이미지는 제어부(1800) 또는 별도의 이미지 처리부(미도시)를 통해 처리될 수 있다.
카메라(1610)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700)에 저장되거나 통신부(150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610)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카메라(1610)는 전술한 촬영부(1330) 내에 포함되거나, 촬영부(1330)와는 별도의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620)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1620)은 외부 디바이스 또는 화자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620)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메모리(1700)는, 제어부(18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디바이스(1000)로 입력되거나 디바이스(100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70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7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UI 모듈(1710), 터치 스크린 모듈(1720), 알림 모듈(1730)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UI 모듈(1710)은, 애플리케이션 별로 디바이스(1000)와 연동되는 특화된 UI, GUI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720)은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제스처를 감지하고, 터치 제스처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800)로 전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모듈(1720)은 터치 코드를 인식하고 분석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720)은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의 터치 또는 근접 터치를 감지하기 위해 터치스크린의 내부 또는 근처에 다양한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일례로 촉각 센서가 있다. 촉각 센서는 사람이 느끼는 정도로 또는 그 이상으로 특정 물체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를 말한다. 촉각 센서는 접촉면의 거칠기, 접촉 물체의 단단함, 접촉 지점의 온도 등의 다양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일례로 근접 센서가 있다.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에는 탭, 터치&홀드, 더블 탭, 드래그, 패닝, 플릭, 드래그 앤드 드롭, 스와이프 등이 있을 수 있다.
알림 모듈(1730)은 디바이스(10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일정 알림 등이 있다. 알림 모듈(1730)은 디스플레이부(1210)를 통해 비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음향 출력부(1220)를 통해 오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진동 모터(1230)를 통해 진동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제어부(1800)는, 통상적으로 디바이스(1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0)는, 메모리(17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입력부(1100), 출력부(1200), 센싱부(1400), 통신부(1500), A/V 입력부(1600), 메모리(1700) 및 홍채 촬영부(1300)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0)는, 사용자의 동공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800)는 디바이스(1000)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동공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동공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0)는 촬영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디바이스(1000)로부터 홍채까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0)는 촬영된 이미지 내에 포함된 사용자의 동공의 크기에 기초하여, 디바이스(1000)와 사용자의 홍채 간의 상대적인 거리 값(거리 지수)를 산출할 수도 있다. 제어부(1800)는 촬영된 홍채의 이미지로부터 동공을 검출하고, 검출된 동공의 크기로부터 디바이스(1000)로부터 홍채까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검출된 동공의 크기가 큰 경우, 제어부(1800)는 디바이스(1000)로부터 사용자의 홍채까지의 거리가 가까운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검출된 동공의 크기가 작은 경우, 제어부(1800)는 디바이스(1000)로부터 사용자의 홍채까지의 거리가 먼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800)는 검출된 동공의 크기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디바이스(1000)로부터 홍채까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0)는 TOF 카메라(1334)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000)로부터 사용자의 홍채까지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800)는 사용자의 홍채로 광을 조사하고 사용자의 홍채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0)는 TOF 카메라(1334)를 제어함으로써, TOF 카메라(1334)의 광원으로부터 사용자의 홍채로 광을 조사하고 홍채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TOF 카메라(1334)의 광원은 광원부(1320)에 포함되거나 광원부(1320)와는 별도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0)는 조사된 광 및 반사된 광의 위상차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000)와 사용자의 홍채 간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그러나, 제어부(1800)가 디바이스(1000)와 사용자의 홍채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은 위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어부(1800)는, 예를 들어, 적외선 센서 및 초음파 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000)와 사용자의 홍채 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0)는 촬영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디바이스(1000)에 대한 홍채의 상대적 위치 및 방향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800)는 촬영된 이미지 내에서의 동공의 위치에 기초하여, 디바이스(1000)에 대한 동공의 상대적 위치 및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800)는 기설정된 주기로 동공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0)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에 동공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800)는 렌즈 어레이 내의 렌즈들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800)는 디바이스(1000)와 홍채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렌즈 어레이 내의 렌즈들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와 홍채와의 거리가 멀수록 제어부(1800)는 렌즈 어레이 내의 간격을 좁힐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렌즈에 조사될 광의 광량을 고려하여 렌즈들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0)는 디바이스(1000)에 대한 홍채의 상대적 위치에 기초하여, 렌즈 어레이 내의 렌즈들이 균일하게 이동되도록 렌즈들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술할 도 11에서와 같이, 제어부(1800)는 렌즈 어레이 내의 각각의 렌즈들이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되도록 렌즈들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렌즈들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이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와 홍채와의 거리, 디바이스(1000)와 홍채의 상대적 위치, 렌즈에 조사되는 광의 세기, 렌즈의 굴절률 등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렌즈들을 통과한 광들이 조합되어 홍채에 다다를 수 있으며, 렌즈들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은 홍채에 다다른 조합된 광의 광량이 홍채의 전체 영역에 대하여 기설정된 값을 가질 수 있도록 결정될 수 있다.
제어부(1800)는 렌즈 어레이 내의 각각의 렌즈에 조사될 광량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800)는 홍채의 위치에 기초하여 렌즈 어레이 내의 각각의 렌즈에 조사될 광의 광량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0)는 산출된 거리에 기초하여 렌즈 어레이 내의 각각의 렌즈에 조사될 광의 광량을 결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와 홍채와의 거리가 멀수록 제어부(1800)는 렌즈에 조사될 광의 광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0)는 렌즈 어레이 내의 렌즈들 별로 광량을 상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0)는 홍채의 중심 부분에 대응되는 렌즈에 조사될 광량을 작게 설정하고, 홍채의 중심 부분에서 먼 부분에 대응되는 렌즈에 조사될 광량을 크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렌즈들에 조사될 광들의 광량을 결정하기 위한 기준이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와 홍채와의 거리, 디바이스(1000)와 홍채의 상대적 위치, 광원 및 홍채에 대한 렌즈의 위치, 렌즈의 굴절률 등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렌즈들을 통과한 광들이 조합되어 홍채에 다다를 수 있으며, 렌즈들에 조사될 광량을 결정하기 위한 기준은, 홍채에 다다른 조합된 광의 광량이 홍채의 전체 영역에 대하여 기설정된 값을 가질 수 있도록 결정될 수 있다.
제어부(1800)는 결정된 위치에 따라 렌즈 어레이 내의 렌즈들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800)는 상기에서 결정된 위치에 따라 렌즈 어레이 내의 렌즈들을 이동시킬 수 있다.
렌즈 어레이의 내부에 복수의 전극이 위치할 수 있으며, 제어부(1800)는 복수의 전극 중 일부의 전극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렌즈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전압이 인가된 전극이 위치한 지점을 포함하는 영역으로 렌즈가 이동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0)는 렌즈 어레이를 형성하는 판을 이동시킴으로써 렌즈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어부(1800)는 결정된 광량에 따라 각각의 렌즈를 향하여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제어부(1800)는 렌즈들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광원을 이용하여 렌즈들 각각에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0)는 복수의 삼각 핀 렌즈를 포함하는 플레인 렌즈를 이용하여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분산시키고, 분산된 광들을 렌즈들에 각각 조사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제어부(1800)는 홍채의 위치 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으며, 홍채의 위치가 변화함에 따라, 렌즈 어레이 내의 렌즈들의 위치 및 렌즈들에 조사되는 광의 광량을 실시간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렌즈 어레이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 따른 렌즈 어레이는 1차원적으로 나열된 렌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들은 소정의 선을 따라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 따른 렌즈 어레이는 2차원적으로 나열된 렌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들은 소정의 면에 소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 따른 렌즈 어레이는 1차원적으로 나열될 수 있으며, 렌즈 어레이를 형성하는 렌즈들 간의 간격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렌즈 어레이를 형성하는 렌즈들의 굴절률이 각각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렌즈 어레이를 형성하는 렌즈들의 크기가 각각 상이할 수 있다. 렌즈 어레이를 형성하는 렌즈들 간의 간격, 렌즈들의 굴절률 및 크기는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렌즈 어레이를 형성하는 렌즈들 간의 간격, 렌즈들의 굴절률 및 크기는 상황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5(d)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 따른 렌즈 어레이는 2차원적으로 나열될 수 있으며, 렌즈 어레이를 형성하는 렌즈들 간의 간격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렌즈 어레이를 형성하는 렌즈들의 굴절률이 각각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렌즈 어레이를 형성하는 렌즈들의 크기가 각각 상이할 수 있다. 렌즈 어레이를 형성하는 렌즈들 간의 간격, 렌즈들의 굴절률 및 크기는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렌즈 어레이를 형성하는 렌즈들 간의 간격, 렌즈들의 굴절률 및 크기는 상황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렌즈 어레이는 반사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의 후면의 일부분에 반사판이 위치할 수 있으며, 렌즈로 조사된 광 중 일부가 반사판에 의해 반사되어 렌즈를 통과할 수 있다. 반사판에 의해 반사된 광은 렌즈에 의해 굴절되어 홍채로 조사될 수 있다.
또한, 도 5의 렌즈 어레이를 구성하는 플레이트는 플렉시블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디바이스(1000)는 플레이트를 구부림으로써 렌즈의 위치 및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가 복수의 광원을 이용하여 렌즈 어레이에 포함된 렌즈들 각각에 광을 조사함으로써, 사용자의 홍채에 기설정된 범위 내의 양의 광을 조사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 따른 광원(60)은 렌즈 어레이 내의 렌즈(63)를 경유하여 사용자의 홍채(66)에게 광을 조사하고, 광원(61)은 렌즈 어레이 내의 렌즈(64)를 경유하여 사용자의 홍채(66)에게 광을 조사하고, 광원(62)은 렌즈 어레이 내의 렌즈(65)를 경유하여 사용자의 홍채(66)에게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도 6(b)를 참조하면, 광원(60)으로부터 조사된 광, 광원(61)로부터 조사된 광, 및 광원(62)로부터 조사된 광 중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홍채에는 광량 a ~ 광량 b의 범위 내에서 상대적으로 균일한 양의 광이 조사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홍채의 촬영시에 눈부심을 적게 느낄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6(c)를 참조하면, 조사된 광량을 나타내는 곡선 중에서 광량 0으로부터 광량 a에 도달하는 부분의 기울기가 높을 수 있도록, 광원(60)으로부터 조사된 광, 광원(61)로부터 조사된 광, 및 광원(62)로부터 조사된 광 중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될 수 있다. 또한, 홍채에 조사되는 광 중에서 동공 부분에 상대적으로 적은 량의 광이 조사될 수 있다.
또한, 도 6(d)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동공 부분에 조사되는 광의 양은 광량 a보다 적을 수 있도록, 광원(60)으로부터 조사된 광, 광원(61)로부터 조사된 광, 및 광원(62)로부터 조사된 광 중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될 수 있다.
도 7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가 디바이스(1000)와 홍채와의 거리에 따라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양을 조절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광원(70, 71, 72)으로부터 홍채(76)까지의 거리가 25cm인 경우에, 광원(70)은 광량 10의 광을 홍채(76)로 조사하고, 광원(71)은 광량 10의 광을 홍채(72)로 조사하고, 광원(73)은 광량 10의 광을 홍채(76)로 조사할 수 있다.
또한, 도 7(b)를 참조하면, 광원(70, 71, 72)으로부터 홍채(76)까지의 거리가 증가하여 50cm가 된 경우에, 광원(70)은 광량 30의 광을 홍채(76)로 조사하고, 광원(71)은 광량 30의 광을 홍채(72)로 조사하고, 광원(73)은 광량 30의 광을 홍채(76)로 조사할 수 있다. 이 경우, 광원(70, 71, 72)으로부터 홍채(76)까지의 거리 변화에 따라 광원(70, 71, 72)으로부터 조사될 광량의 변화량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도 8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가 렌즈 어레이에 포함된 렌즈들 각각에게 조사되는 광량을 조절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000)는 광원(80), 광원(81) 및 광원(82) 중에서 홍채의 중심에 가까운 광원(81)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광량을 광원(80)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광량 및 광원(82)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광량보다 작게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원(81)은 렌즈(84)를 통하여 홍채(86)에게 광량 20의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광원(80)은 렌즈(83)를 통하여 홍채(86)에게 광량 40의 광을 조사하고, 광원(82)는 렌즈(85)를 통하여 홍채(86)에게 광량 40의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도 9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렌즈 어레이 및 광원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0)는 5개의 광원(90-1, 90-2, 90-3, 90-4, 90-5)을 이용하여 홍채에 광을 조사할 수 있다. 5개의 광원(90-1, 90-2, 90-3, 90-4, 90-5)은 렌즈 어레이에 포함된 5개의 렌즈들(91-1, 91-2, 91-3, 91-4, 91-5)에 각각 대응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홍채에 기설정된 범위 내의 광량을 가지는 광을 조사하기 위하여, 홍채의 중심과 먼 부분에 대응되는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양을 홍채의 중심과 가까운 부분에 대응되는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양보다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90-3)은 광량 20의 광을 조사하고, 광원(90-2) 및 광원(90-4)은 광량 30의 광을 조사하고, 광원(90-1) 및 광원(90-5)은 광량 40의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홍채에는 상대적으로 균일한 광량의 광이 조사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광원의 개수 및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양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광원으로부터 복수의 렌즈에 관이 조사될 수 있으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양은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10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렌즈 어레이에 포함된 렌즈의 굴절률을 변경함으로써 홍채에 조사되는 광을 조절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000)는 홍채에 기설정된 양의 광을 조사하기 위하여, 렌즈 어레이에 포함된 렌즈들(106, 107, 108)의 굴절률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홍채의 중심에 가까운 부분에 대응되는 렌즈(107)의 굴절률을, 홍채의 중심으로부터 먼 부분에 대응되는 렌즈(106) 및 렌즈(108)의 굴절률보다 크게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원(101)로부터 조사되어 렌즈(107)을 통과한 광은 넓게 퍼져 조사될 수 있으며, 광원(100)으로부터 조사된 광, 광원(101)으로부터 조사된 광 및 광원(102)으로부터 조사된 광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됨으로써, 광량 a ~ b의 범위 내에서 상대적으로 균일한 양의 광이 홍채에 조사될 수 있다. 특히, 조사 위치 c 부근에 조사되는 광의 양이 광량 a ~ b의 범위 내에서 다소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108)가 멤브레인 렌즈인 경우에, 렌즈(108)의 박막에 가해지는 압력의 변화함으로써 렌즈(108)의 굴절률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108)가 전기 습윤 렌즈인 경우에, 렌즈(108)를 형성하는 두 유체의 경계 면의 형상을 변화시킴으로써 렌즈의 굴절률을 변경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렌즈(108)를 형성하는 유체들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두 유체의 경계 면의 곡률을 변경할 수 있으며 렌즈(108)의 굴절률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108)가 액정 렌즈인 경우, 디바이스(1000)는 렌즈(108)에 포함된 액정을 구성하는 물질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렌즈(108) 내부의 액정을 구성하는 물질들의 위치 및 방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렌즈(108)의 굴절률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1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홍채의 위치가 이동됨에 따라 렌즈 어레이 내의 렌즈를 이동시키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광원(110) 및 광원(111)은 각각 렌즈(112) 및 렌즈(113)을 통하여 홍채(115)에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홍채(115)의 위치가 이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디바이스(1000)는 렌즈(112) 및 렌즈(113)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와 홍채 간의 상대적 위치의 변화를 검출하고, 위치가 변경된 방향 및 거리에 기초하여 렌즈(112) 및 렌즈(113)를 균일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는 렌즈(112)의 굴절률, 렌즈(113)의 굴절률, 렌즈(112, 113)과 사용자의 홍채 사이의 거리 d1, 홍채(115)의 이동 방향 및 홍채(115)가 이동한 거리 d2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렌즈(112) 및 렌즈(113)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112) 및 렌즈(113)의 이동 방향은 홍채(115)의 이동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112) 및 렌즈(113)의 이동 거리는, 홍채(115)가 이동한 거리 d2에 비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알고리즘에 의해 렌즈(112) 및 렌즈(113)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는 촬영된 홍채 이미지의 품질에 기초하여, 렌즈(112) 및 렌즈(113)의 이동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촬영된 홍채 이미지로부터 홍채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가 유효하게 추출되지 않는 경우에, 디바이스(1000)는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렌즈(112) 및 렌즈(113)의 이동 거리를 결정하고, 결정된 이동 거리에 따라 렌즈(112) 및 렌즈(113)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된 홍채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홍채 정보를 기설정된 사용자의 홍채 정보와 유효하게 비교하기 힘든 경우에, 디바이스(1000)는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렌즈(112) 및 렌즈(113)의 이동 거리를 결정하고, 결정된 이동 거리에 따라 렌즈(112) 및 렌즈(113)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는 홍채 이미지의 명도, 채도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도록, 디바이스(1000)는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렌즈(112) 및 렌즈(113)의 이동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의 머리의 움직임 또는 홍채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렌즈(112) 및 렌즈(113)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머리 또는 홍채가 움직임에 따라, 디바이스(1000)는 렌즈(112) 및 렌즈(113)를 실시간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의 머리 또는 홍채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고려하여, 렌즈(112) 및 렌즈(113)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의 홍채가 특정 영역 내에서 움직이는 경우(예컨대, 특정 영역 범위 내에서 홍채가 불규칙적으로 흔들리는 경우)에, 디바이스(1000)는 특정 영역에 광이 비교적 균일하게 조사될 수 있도록 렌즈(112) 및 렌즈(113)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광원(110)으로부터 조사되는 광량, 광원(120)으로부터 조사되는 광량, 렌즈(112)의 굴절률 및 렌즈(113)의 굴절률 중 적어도 하나가, 렌즈(112, 113)과 사용자의 홍채 사이의 거리 d1, 홍채(115)가 이동한 거리 d2, 촬영된 홍채 이미지의 품질 및 홍채의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다.
도 1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극의 변화를 이용하여 렌즈 어레이 내의 렌즈를 이동시키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12(a) 및 도 12(b)와 같이, 렌즈(123), 렌즈(124) 및 렌즈(125)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2(a)를 참조하면, 전극(120), 전극(121) 및 전극(122)에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전극(120)의 주변에 렌즈(123)가 위치하고, 전극(121)의 주변에 렌즈(124)가 위치하고 전극(122)의 주변에 렌즈(125)가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전극(120)을 중심으로 렌즈(123)가 형성되고, 전극(121)을 중심으로 렌즈(124)가 형성되고, 전극(123)을 중심으로 렌즈(12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2(b)를 참조하면, 전극(126), 전극(127) 및 전극(128)에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렌즈(123), 렌즈(124) 및 렌즈(125)가 이동될 수 있다. 렌즈(123)은 전극(126)의 주변으로 이동하고, 렌즈(124)은 전극(127)의 주변으로 이동하고, 렌즈(125)은 전극(127)의 주변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는, 전극(126)을 중심으로 렌즈(123)가 형성되고, 전극(127)을 중심으로 렌즈(124)가 형성되고, 전극(128)을 중심으로 렌즈(12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도 12(c) 및 도 12(d)와 같이, 렌즈(123-1), 렌즈(124-1) 및 렌즈(125-1)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도 12(c)를 참조하면, 전극(120-1), 전극(121-1) 및 전극(122-1)에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전극(120-1)의 주변에 렌즈(123-1)가 위치하고, 전극(121-1)의 주변에 렌즈(124-1)가 위치하고 전극(122-1)의 주변에 렌즈(125-1)가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전극(120-1)을 중심으로 렌즈(123-1)가 형성되고, 전극(121-1)을 중심으로 렌즈(124-1)가 형성되고, 전극(123-1)을 중심으로 렌즈(125-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2(d)를 참조하면, 전극(126-1), 전극(121-1) 및 전극(128-1)에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렌즈(123-1), 렌즈(124-1) 및 렌즈(125-1)가 이동될 수 있다. 렌즈(123-1)은 전극(126-1)의 주변으로 이동하고, 렌즈(124-1)은 전극(121-1)의 주변으로 이동하고, 렌즈(125-1)은 전극(127-1)의 주변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는, 전극(126-1)을 중심으로 렌즈(123-1)가 형성되고, 전극(121-1)을 중심으로 렌즈(124-1)가 형성되고, 전극(128-1)을 중심으로 렌즈(125-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렌즈 어레이를 형성하는 렌즈들의 이동은 도 12에 제한되지 않으며, 렌즈 어레이를 형성하는 렌즈들은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다양한 거리만큼 각각 이동될 수 있다.
도 1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렌즈 어레이 내의 렌즈의 간격을 조절하여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들을 집중시키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a)를 참조하면 광원(130), 광원(131) 및 광원(132)은 각각 렌즈(133), 렌즈(134) 및 렌즈(135)를 통하여 홍채(136)에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도 13(b)를 참조하면, 홍채(136)가 광원(130, 131, 132)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디바이스(1000)는 렌즈(133) 및 렌즈(135)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와 홍채 간의 거리의 변화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렌즈(133) 및 렌즈(135)를 렌즈(134)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는 도 12에서와 유사한 방식으로, 소정의 전극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렌즈(133) 및 렌즈(135)를 렌즈(134)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광원(130), 광원(131) 및 광원(132)으로부터 조사된 광들이 집중될 수 있으며, 집중된 광들의 도달 거리가 증가될 수 있다.
도 1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광의 조사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도달 거리를 증가시키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a)를 참조하면, 광원(140), 광원(141) 및 광원(142)는 각각 홍채(145)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도 14(b)를 참조하면, 광원들(140, 141, 142)과 홍채(145)와의 거리가 멀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디바이스(1000)는 광원(140) 및 광원(142)를 광원(141)의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는 광원(140)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광원(142)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광원(140)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방향 및 광원(142)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광원(140)으로부터 조사되는 광, 광원(141)으로부터 조사되는 광, 및 광원(142)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집중될 수 있으며, 광원들(140, 141, 142)로부터 조사된 광의 도달 거리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면, 광원(140), 광원(141) 및 광원(142)은 소정의 플레이트(146)에 부착되어 있을 수 있으며, 플레이트(146)가 구부려짐으로써 광원(140), 광원(141) 및 광원(142)의 조사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플레이트(146)는 플렉시블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디바이스(1000)는 소정의 전기 신호를 플레이트(146)에 인가함으로써 플레이트(146)을 구부릴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8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1320)가 복수의 광을 조사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복수의 삼각 핀(pin) 렌즈들로 구성된 플레인 렌즈(150)에 광원(152) 및 광원(153)이 각각 광을 조사할 수 있다. 광원(152) 및 광원(153)은 플레인 렌즈(150)의 4개의 꼭지점들 중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보는 2개의 꼭지점들 주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광원(152)는 광원(153)의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고, 광원(153)는 광원(152)의 방향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광원(152)로부터 조사된 광 및 광원(153)으로부터 조사된 광은 플레인 렌즈(150) 내의 복수의 삼각 핀 렌즈들에 의해 분산될 수 있다. 분산된 광들은 사용자의 홍채를 향하여 조사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광원(152) 및 광원(153)을 연결하는 선을 따라, 복수의 삼각 핀 렌즈들(160)이 배열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광원(152)은 삼각 핀 렌즈들(160)을 경유하여 광원(153)을 향하여 광을 조사할 수 있으며, 광원(153)은 삼각 핀 렌즈들(160)을 경유하여 광원(152)을 향하여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광원(152)으로부터 조사된 광의 일부는 삼각 핀 렌즈들(160)을 관통하고, 광원(152)으로부터 조사된 광의 나머지 일부는 삼각 핀 렌즈들(160)에 의해 반사될 수 있다. 또한, 광원(153)으로부터 조사된 광의 일부는 삼각 핀 렌즈들(160)을 관통하고, 광원(153)으로부터 조사된 광의 나머지 일부는 삼각 핀 렌즈들(160)에 의해 반사될 수 있다.
삼각 핀 렌즈들(160) 각각에 의해 반사된 광은 사용자의 홍채(165)를 향하여 조사될 수 있다. 또한, 삼각 핀 렌즈들(160)의 특성(예를 들어, 투명도)를 조절함으로써, 삼각 핀 렌즈들(160) 각각에 의해 반사된 광은 상대적으로 균일한 광량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삼각 핀 렌즈들(160)을 포함하는 플레인 렌즈(150)와 홍채(165) 사이에 렌즈 어레이가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7을 참조하면, 광원(152) 및 광원(153)을 연결하는 선을 따라, 복수의 삼각 핀 렌즈들(170)이 배열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광원(152)은 삼각 핀 렌즈들(170)을 경유하여 광원(153)을 향하여 광을 조사할 수 있으며, 광원(153)은 삼각 핀 렌즈들(170)을 경유하여 광원(152)을 향하여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광원(152)으로부터 조사된 광의 일부는 삼각 핀 렌즈들(170)을 관통하고, 광원(152)으로부터 조사된 광의 나머지 일부는 삼각 핀 렌즈들(170)에 의해 반사될 수 있다. 또한, 광원(153)으로부터 조사된 광의 일부는 삼각 핀 렌즈들(170)을 관통하고, 광원(153)으로부터 조사된 광의 나머지 일부는 삼각 핀 렌즈들(170)에 의해 반사될 수 있다.
삼각 핀 렌즈들(170) 각각에 의해 반사된 광은 사용자의 홍채(165)를 향하여 조사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삼각 핀 렌즈들(170)의 특성(예를 들어, 투명도)를 조절함으로써, 삼각 핀 렌즈들(170)을 관통하는 빛의 양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원(152) 및 광원(153)으로부터 멀리 위치하는 삼각 핀 렌즈에 의해 반사된 광의 광량이, 광원(152) 및 광원(153)으로부터 가까이 위치하는 삼각 핀 렌즈에 의해 반사된 광의 광량보다 작아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삼각 핀 렌즈들(170)을 포함하는 플레인 렌즈(150)와 홍채(165) 사이에 렌즈 어레이가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8을 참조하면, 복수의 삼각 핀(pin) 렌즈들로 구성된 플레인 렌즈(150)에 광원(152), 광원(153), 광원(154) 및 광원(155)이 각각 광을 조사할 수 있다. 광원(152), 광원(153), 광원(154) 및 광원(155)은 플레인 렌즈(150)의 4개의 꼭지점들 주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광원(152)는 광원(153)의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고, 광원(153)는 광원(152)의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고, 광원(154)는 광원(155)의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고, 광원(155)는 광원(154)의 방향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광원(152)로부터 조사된 광, 광원(153)으로부터 조사된 광, 광원(154)으로부터 조사된 광 및 광원(155)으로부터 조사된 광은 플레인 렌즈(150) 내의 복수의 삼각 핀 렌즈들에 의해 분산될 수 있다. 분산된 광들은 사용자의 홍채를 향하여 조사될 수 있다.
도 19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가 홍채에 조사되는 광을 조절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S1900에서 디바이스(1000)는 동공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동공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동공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촬영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디바이스(1000)로부터 홍채까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는 렌즈로부터 홍채까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디바이스(1000)는 촬영된 이미지 내에 포함된 사용자의 동공의 크기에 기초하여, 디바이스(1000)와 사용자의 홍채 간의 상대적인 거리 값(거리 지수)를 산출할 수도 있다.
디바이스(1000)는 촬영된 홍채의 이미지로부터 동공을 검출하고, 검출된 동공의 크기로부터 디바이스(1000)로부터 홍채까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검출된 동공의 크기가 큰 경우,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로부터 사용자의 홍채까지의 거리가 가까운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검출된 동공의 크기가 작은 경우,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로부터 사용자의 홍채까지의 거리가 먼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검출된 동공의 크기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디바이스(1000)로부터 홍채까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 내의 TOF 카메라(1334)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000)로부터 사용자의 홍채까지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의 홍채로 광을 조사하고 사용자의 홍채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는 TOF 카메라(1334)를 제어함으로써, TOF 카메라(1334)의 광원으로부터 사용자의 홍채로 광을 조사하고 홍채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조사된 광 및 반사된 광의 위상차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000)와 사용자의 홍채 간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그러나, 디바이스(1000)가 디바이스(1000)와 사용자의 홍채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은 위에 제한되지 않는다. 디바이스(1000)는, 예를 들어, 적외선 센서 및 초음파 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000)와 사용자의 홍채 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촬영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디바이스(1000)에 대한 홍채의 상대적 위치 및 방향 등을 결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촬영된 이미지 내에서의 동공의 위치에 기초하여, 디바이스(1000)에 대한 동공의 상대적 위치 및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기설정된 주기로 동공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에 동공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단계 S1910에서 디바이스(1000)는 렌즈 어레이 내의 렌즈들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와 홍채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렌즈 어레이 내의 렌즈들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와 홍채와의 거리가 멀수록 디바이스(1000)는 렌즈 어레이 내의 간격을 좁힐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렌즈에 조사될 광의 광량을 고려하여 렌즈들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에 대한 홍채의 상대적 위치에 기초하여, 렌즈 어레이 내의 렌즈들이 균일하게 이동되도록 렌즈들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서와 같이, 디바이스(1000)는 렌즈 어레이 내의 각각의 렌즈들이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되도록 렌즈들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렌즈들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이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와 홍채와의 거리, 디바이스(1000)와 홍채의 상대적 위치, 렌즈에 조사되는 광의 세기, 렌즈의 굴절률 등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예를 들어, 렌즈 어레이에 포함된 렌즈들의 굴절률, 렌즈로부터 사용자의 홍채 사이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렌즈 어레이에 포함된 렌즈들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움직여 사용자의 홍채가 움직이면, 디바이스(1000)는 홍채의 이동 방향 및 홍채가 이동한 거리를 고려하여, 렌즈 어레이에 포함된 렌즈들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홍채 이미지의 품질에 따라 렌즈 어레이 내의 렌즈들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촬영된 홍채 이미지로부터 홍채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가 유효하게 추출되지 않는 경우에, 디바이스(1000)는 렌즈 어레이 내의 렌즈들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각각 결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예를 들어, 홍채의 전체 영역 중에서 홍채 정보가 유효하게 추출되지 않는 부분의 홍채 이미지가 유효하게 촬영될 수 있도록, 렌즈 어레이 내의 렌즈들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가 움직임에 따라 홍채가 움직이면 홍채의 움직인 방향 및 움직인 거리에 기초하여 렌즈 어레이 내의 렌즈들에 조사되는 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렌즈들을 통과한 광들이 조합되어 홍채에 다다를 수 있으며, 렌즈들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은 홍채에 다다른 조합된 광의 광량이 홍채의 전체 영역에 대하여 기설정된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도록 결정될 수 있다.
단계 S1920에서 디바이스(1000)는 렌즈 어레이 내의 각각의 렌즈에 조사될 광량을 결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홍채의 위치에 기초하여 렌즈 어레이 내의 각각의 렌즈에 조사될 광의 광량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산출된 거리에 기초하여 렌즈 어레이 내의 각각의 렌즈에 조사될 광의 광량을 결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와 홍채와의 거리가 멀수록 디바이스(1000)는 렌즈에 조사될 광의 광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렌즈 어레이 내의 렌즈들 별로 광량을 상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는 홍채의 중심 부분에 대응되는 렌즈에 조사될 광량을 작게 설정하고, 홍채의 중심 부분에서 먼 부분에 대응되는 렌즈에 조사될 광량을 크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렌즈들에 조사될 광들의 광량을 결정하기 위한 기준이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와 홍채와의 거리, 디바이스(1000)와 홍채의 상대적 위치, 광원 및 홍채에 대한 렌즈의 위치, 렌즈의 굴절률 등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렌즈들을 통과한 광들이 조합되어 홍채에 다다를 수 있으며, 렌즈들에 조사될 광량을 결정하기 위한 기준은, 홍채에 다다른 조합된 광의 광량이 홍채의 전체 영역에 대하여 기설정된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도록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홍채 이미지의 품질에 따라 렌즈 어레이 내의 렌즈들에 조사되는 광량을 결정할 수 있다. 촬영된 홍채 이미지로부터 홍채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가 유효하게 추출되지 않는 경우에, 디바이스(1000)는 렌즈 어레이 내의 렌즈들에 조사될 광량을 각각 결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예를 들어, 홍채의 전체 영역 중에서 홍채 정보가 유효하게 추출되지 않는 부분에 좀 더 많은 광이 조사될 수 있도록, 렌즈 어레이 내의 렌즈들에 조사되는 광량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가 움직임에 따라 홍채가 움직이면 홍채의 움직인 방향 및 움직인 거리에 기초하여 렌즈 어레이 내의 렌즈들에 조사되는 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단계 S1930에서 디바이스(1000)는 결정된 위치에 따라 렌즈 어레이 내의 렌즈들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단계 S1910에서 결정된 위치에 따라 렌즈 어레이 내의 렌즈들을 이동시킬 수 있다.
렌즈 어레이의 내부에 복수의 전극이 위치할 수 있으며, 디바이스(1000)는 복수의 전극 중 일부의 전극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렌즈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전압이 인가된 전극이 위치한 지점을 포함하는 영역으로 렌즈가 이동될 수 있다. 또는 디바이스(1000)는 렌즈 어레이를 형성하는 판을 이동시킴으로써 렌즈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 S1940에서 디바이스(1000)는 결정된 광량에 따라 각각의 렌즈를 향하여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렌즈들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광원을 이용하여 렌즈들 각각에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또는 디바이스(1000)는 복수의 삼각 핀 렌즈를 포함하는 플레인 렌즈를 이용하여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분산시키고, 분산된 광들을 렌즈들에 각각 조사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0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가 동공의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렌즈 어레이에 포함된 렌즈들을 이동시키고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량을 조절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S2000에서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의 동공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동공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동공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촬영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디바이스(1000)로부터 홍채까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디바이스(1000)는 촬영된 이미지 내에 포함된 사용자의 동공의 크기에 기초하여, 디바이스(1000)와 사용자의 홍채 간의 상대적인 거리 값(거리 지수)를 산출할 수도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촬영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디바이스(1000)에 대한 홍채의 상대적 위치 및 방향 등을 결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촬영된 이미지 내에서의 동공의 위치에 기초하여, 디바이스(1000)에 대한 동공의 상대적 위치 및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기설정된 주기로 동공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에 동공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단계 S2010에서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에 대한 홍채의 방향이 변경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가 움직이거나 사용자의 얼굴이 움직이는 경우에, 디바이스(1000)와 홍채 간의 상대적 위치가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 11에서와 같이 디바이스(1000)에 대한 홍채의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단계 S2010에서의 판단 결과, 디바이스(1000)에 대한 홍채의 방향이 변경되었다고 판단되면, 단계 S2020에서 디바이스(1000)는 렌즈 어레이 내의 렌즈를 이동시킬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광이 이동된 홍채에 다다를 수 있도록, 렌즈 어레이 내의 렌즈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는 렌즈 어레이 내의 렌즈들을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시킴으로써, 렌즈 어레이를 균일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와 수평인 방향으로 홍채가 얼마만큼 이동되었는지에 따라, 렌즈들을 이동시킬 거리 및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렌즈 어레이의 표면을 따라 복수의 전극들이 배열되어 있을 수 있으며, 디바이스(1000)는 복수의 전극들 중 일부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렌즈를 이동시킬 수 있다. 렌즈는 전압이 인가된 전극을 포함하는 영역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는, 전압이 인가된 전극을 포함하는 영역에 렌즈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렌즈 어레이의 판을 이동시킴으로써, 렌즈 어레이 내의 렌즈들을 이동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 S2030에서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와 홍채 간의 거리가 변경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가 움직이거나 사용자의 얼굴이 움직이는 경우에, 디바이스(1000)와 홍채 간의 상대적 위치가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디바이스(1000)로부터 홍채까지의 거리가 변경될 수 있다.
단계 S2030에서의 판단 결과, 디바이스(1000)와 홍채 간의 거리가 변경되었다고 판단되면, 단계 S2040에서 디바이스(1000)는 렌즈 어레이 내의 렌즈들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와 홍채와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디바이스(1000)는 렌즈 어레이 내의 간격을 좁힐 수 있으며, 디바이스(1000)와 홍채와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디바이스(1000)는 렌즈 어레이 내의 간격을 넓힐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렌즈에 조사될 광의 광량을 고려하여 렌즈들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단계 S2050에서 디바이스(1000)는 렌즈 어레이 내의 렌즈들의 굴절률을 조절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홍채에 상대적으로 균일한 양의 광을 조사하기 위하여, 렌즈 어레이에 포함된 렌즈들의 굴절률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홍채의 중심에 가까운 부분에 대응되는 렌즈의 굴절률을, 홍채의 중심으로부터 먼 부분에 대응되는 렌즈의 굴절률보다 크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가 멤브레인 렌즈인 경우에, 렌즈의 박막에 가해지는 압력의 변화함으로써 렌즈의 굴절률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렌즈가 전기 습윤 렌즈인 경우에, 렌즈를 형성하는 두 유체의 경계 면의 형상을 변화시킴으로써 렌즈의 굴절률을 변경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렌즈를 형성하는 유체들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두 유체의 경계 면의 곡률을 변경할 수 있으며 렌즈의 굴절률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렌즈가 액정 렌즈인 경우, 디바이스(1000)는 렌즈에 포함된 액정을 구성하는 물질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렌즈 내부의 액정을 구성하는 물질들의 위치 및 방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렌즈의 굴절률을 조절할 수 있다.
단계 S2060에서 디바이스(1000)는 렌즈 어레이 내의 각각의 렌즈들에 조사할 광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와 수평인 방향으로 홍채가 얼마만큼 이동되었는지에 따라 렌즈 어레이에 포함된 렌즈들에 조사할 광들의 광량을 각각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로부터 홍채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렌즈 어레이에 포함된 렌즈들에 조사할 광들의 광량을 각각 조절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는 프로세서 또는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hardware component), 및/또는 프로세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구성(software component)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사용자의 홍채를 촬영하기 위한 광을 조사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복수의 나열된 렌즈들로 형성된 렌즈 어레이를 포함하는 렌즈부;
    상기 복수의 렌즈들을 향하여 복수의 광을 각각 방출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렌즈들을 경유하여 상기 사용자의 홍채에 상기 복수의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 및
    상기 디바이스와 상기 홍채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나열된 복수의 렌즈들의 위치를 변경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 어레이는 상기 광원부와 상기 홍채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인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홍채를 촬영하는 카메라;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된 홍채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디바이스와 상기 홍채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것인,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바이스와 상기 홍채 간의 거리에 따라, 상기 나열된 복수의 렌즈들 간의 간격을 조정하는 것인, 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나열된 복수의 렌즈들 간의 간격을 좁힘으로써, 상기 복수의 광원들로부터 방출된 광들을 집중시키는 것인, 디바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바이스와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디바이스와 상기 홍채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것인, 디바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홍채의 중심 부분에 대응되는 렌즈를 향하여 조사될 광의 양을 상기 홍채의 주변 부분에 대응되는 렌즈를 향하여 조사될 광의 양보다 작게 설정하는 것인, 디바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홍채의 이동을 감지하며, 상기 홍채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복수의 렌즈들을 이동시키는 것인, 디바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바이스와 수평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홍채가 이동된 방향 및 이동 거리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된 방향 및 이동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렌즈들을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것인, 디바이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렌즈 어레이 내에 나열된 복수의 전극들 중 적어도 일부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렌즈 어레이를 형성하는 렌즈들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인, 디바이스.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로부터 방출되어 상기 렌즈들을 통과한 상기 복수의 광들은 서로 중첩되며, 상기 홍채의 전체 영역에 상기 중첩된 광들이 기설정된 범위 내의 양으로 조사되는 것인, 디바이스.
  11.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홍채를 촬영하기 위한 광을 조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와 상기 홍채 간의 거리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렌즈 어레이를 형성하는 복수의 렌즈들의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렌즈들을 향하여 복수의 광을 방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 어레이는 광원과 상기 홍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방출된 복수의 광은 상기 복수의 렌즈들을 각각 경유하여 상기 사용자의 홍채에 도달하는 것인,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홍채를 촬영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거리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된 홍채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디바이스와 상기 홍채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것인,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와 상기 홍채 간의 거리에 따라, 상기 복수의 렌즈들 간의 간격을 조정하는 것인,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렌즈들 간의 간격을 좁히며, 상기 복수의 광원들로부터 방출된 광들은 상기 간격이 좁아진 상기 복수의 렌즈들을 통과함으로써 집중되는 것인,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와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디바이스와 상기 홍채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것인,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를 향하여 조사될 복수의 광들의 광량을 각각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홍채의 중심 부분에 대응되는 렌즈를 향하여 조사될 광의 양은, 상기 홍채의 주변 부분에 대응되는 렌즈를 향하여 조사될 광의 양보다 작게 설정되는 것인, 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홍채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복수의 렌즈들을 이동시키는 것인,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와 수평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홍채가 이동된 방향 및 이동 거리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된 방향 및 이동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렌즈들을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것인, 방법.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렌즈 어레이 내에 나열된 복수의 전극들 중 적어도 일부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렌즈 어레이를 형성하는 렌즈들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인, 방법.
  20. 제 11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50034522A 2015-03-12 2015-03-12 홍채를 촬영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광을 조사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306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522A KR102306539B1 (ko) 2015-03-12 2015-03-12 홍채를 촬영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광을 조사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US14/960,828 US10238286B2 (en) 2015-03-12 2015-12-07 Method and device for radiating light used to capture iris
EP15884782.2A EP3268895B1 (en) 2015-03-12 2015-12-07 Method and device for radiating light used to capture iris
PCT/KR2015/013300 WO2016143983A1 (en) 2015-03-12 2015-12-07 Method and device for radiating light used to capture iris
CN201580077581.1A CN107427211B (zh) 2015-03-12 2015-12-07 用于照射用于拍摄虹膜的光的方法和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522A KR102306539B1 (ko) 2015-03-12 2015-03-12 홍채를 촬영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광을 조사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681A true KR20160109681A (ko) 2016-09-21
KR102306539B1 KR102306539B1 (ko) 2021-09-29

Family

ID=56880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4522A KR102306539B1 (ko) 2015-03-12 2015-03-12 홍채를 촬영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광을 조사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238286B2 (ko)
EP (1) EP3268895B1 (ko)
KR (1) KR102306539B1 (ko)
CN (1) CN107427211B (ko)
WO (1) WO201614398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5617A (ko) * 2017-10-24 2019-05-03 (주)에스엠에스 실시간으로 거리값과 렌즈 초점값을 출력할 수 있는 검안용 거리측정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검안 거리측정 방법
EP3557951A1 (en) 2018-04-19 2019-10-23 Meerecompany Inc. Camera using light source having subject eye protection function
KR20190123669A (ko) 2018-04-24 2019-11-01 (주)미래컴퍼니 피사체 눈 보호 기능이 구비된 광원을 이용한 카메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359520A1 (en) * 2016-06-14 2017-12-14 Gentex Corporation Imaging systems having an electrowetting lens
CN107463877A (zh) * 2017-07-05 2017-12-12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虹膜采集方法、电子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055430A (zh) * 2017-12-13 2018-05-1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装置
JP7297891B2 (ja) 2018-07-19 2023-06-26 アクティブ サージカ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自動化された外科手術ロボットのためのビジョンシステム内の深度のマルチモード感知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1227155B2 (en) 2019-01-23 2022-01-18 Alclear, Llc Remote biometric identification and lighting
CA3132350A1 (en) 2019-04-08 2020-10-15 Stephen Tully Systems and methods for medical imaging
CN114599263A (zh) 2019-08-21 2022-06-07 艾科缇弗外科公司 用于医疗成像的系统和方法
CN110995992B (zh) 2019-12-04 2021-04-06 深圳传音控股股份有限公司 补光装置、补光装置的控制方法及计算机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3655A (ko) * 2001-03-15 2002-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홍채 인식 시스템의 촛점 각도 표시장치
US20080002960A1 (en) * 2006-06-30 2008-01-03 Yujiro Ito Auto-focus apparatus, image-capture apparatus, and auto-focus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15648B2 (ja) 1998-07-17 2002-08-19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アイリスコード生成装置およびアイリス認識システム
KR100320465B1 (ko) * 1999-01-11 2002-01-16 구자홍 홍채 인식 시스템
US6247813B1 (en) 1999-04-09 2001-06-19 Iritech, Inc. Iris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of identifying a person through iris recognition
US7271839B2 (en) * 2001-03-15 2007-09-18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of focal angle and focal distance in iris recognition system
JP2004164483A (ja) 2002-11-15 2004-06-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目画像認証装置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入退出管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
US7248720B2 (en) * 2004-10-21 2007-07-24 Retica Systems, Inc.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combined retina/iris pattern biometric
US7726843B2 (en) 2006-03-17 2010-06-01 Production Resource Group, Llc Multiple focus point light
US20080247606A1 (en) * 2007-04-03 2008-10-09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gile illumination for biometric authentication
US20100149073A1 (en) * 2008-11-02 2010-06-17 David Chaum Near to Eye Display System and Appliance
US8213782B2 (en) * 2008-08-07 2012-07-0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Predictive autofocusing system
KR20100057983A (ko) 2008-11-24 2010-06-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생체 인식 시스템의 다중 영상 획득 장치
GB2495328B (en) * 2011-10-07 2018-05-30 Irisguard Inc Improvements relating to Iris cameras
GB2495325B (en) * 2011-10-07 2014-07-16 Irisguard Inc Improvements relating to Iris cameras
KR20130115840A (ko) 2012-04-13 2013-10-22 이광희 모바일용 홍채인식 카메라시스템
JP6075644B2 (ja) * 2014-01-14 2017-02-0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3655A (ko) * 2001-03-15 2002-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홍채 인식 시스템의 촛점 각도 표시장치
US20080002960A1 (en) * 2006-06-30 2008-01-03 Yujiro Ito Auto-focus apparatus, image-capture apparatus, and auto-focus method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5617A (ko) * 2017-10-24 2019-05-03 (주)에스엠에스 실시간으로 거리값과 렌즈 초점값을 출력할 수 있는 검안용 거리측정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검안 거리측정 방법
EP3557951A1 (en) 2018-04-19 2019-10-23 Meerecompany Inc. Camera using light source having subject eye protection function
CN110389357A (zh) * 2018-04-19 2019-10-29 韩商未来股份有限公司 使用具有被摄体眼睛保护功能的光源的相机
US10481470B2 (en) 2018-04-19 2019-11-19 Meerecompany Inc. Camera using light source having subject eye protection function
KR20190123669A (ko) 2018-04-24 2019-11-01 (주)미래컴퍼니 피사체 눈 보호 기능이 구비된 광원을 이용한 카메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68895B1 (en) 2019-02-27
US20160262615A1 (en) 2016-09-15
WO2016143983A1 (en) 2016-09-15
EP3268895A1 (en) 2018-01-17
US10238286B2 (en) 2019-03-26
EP3268895A4 (en) 2018-03-21
KR102306539B1 (ko) 2021-09-29
CN107427211A (zh) 2017-12-01
CN107427211B (zh) 2019-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6539B1 (ko) 홍채를 촬영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광을 조사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376954B1 (ko) 홍채를 촬영하기 위한 광을 조사하는 방법 및 그 디바이스
KR102406327B1 (ko) 출력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11809623B2 (en) Head-mounted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US11079839B2 (en) Eye tracking device and eye tracking method applied to video glasses and video glasses
US10440349B2 (en) 3-D 360 degrees depth projector
KR20160059406A (ko) 가상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한 웨어러블 장치 및 방법
KR20170005649A (ko) 3차원 깊이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KR20170000773A (ko)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70134212A (ko) 이동 단말기
WO2018078777A1 (ja) 空中映像表示システム、波長選択結像装置、映像表示装置、及び空中映像表示方法
US20160252725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127863B1 (ko) 원통형 스크린장치에서 영상을 조정하는 방법
KR20180054401A (ko) 거리 결정 방법 및 디바이스
US10599097B2 (en) Image and/or video capture from different viewing angles of projected mirror like reflective holographic image surface
KR20170026002A (ko) 3차원 깊이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CN113661433B (zh) 头戴式显示设备及其操作方法
KR102211476B1 (ko)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07004A (ko) 위상 변조기 및 이를 포함하는 위상 변조기 어레이
KR20130000231A (ko) 양안의 위치 인식을 통한 3d 영상을 표시하는 모바일 기기
US11080874B1 (en)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high-sensitivity active illumination imaging
US11343415B1 (en) Multi-camera alignment in a rollable display device
KR2018012882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1527004B2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210174697A1 (en) Awareness enhancement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