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9554A - 자전거에 설치되는 안전기능을 갖는 수납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에 설치되는 안전기능을 갖는 수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9554A
KR20160109554A KR1020150034207A KR20150034207A KR20160109554A KR 20160109554 A KR20160109554 A KR 20160109554A KR 1020150034207 A KR1020150034207 A KR 1020150034207A KR 20150034207 A KR20150034207 A KR 20150034207A KR 20160109554 A KR20160109554 A KR 20160109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shock absorber
article
storage bag
sh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4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6872B1 (ko
Inventor
이상태
Original Assignee
이상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태 filed Critical 이상태
Priority to KR1020150034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6872B1/ko
Publication of KR20160109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9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6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6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9/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e.g. panniers or saddle bags
    • B62J9/2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e.g. panniers or saddle bags attached to the cycle as accessories
    • B62J9/00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27/00Safety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휴대용품을 수납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수납장치에 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전거의 핸들이 연결되는 프레임(탑튜브 또는 상부프레임)에 충격력을 흡수하는 쇼버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쇼버수단의 일단부에 신축력에 의해 수납공간의 크기를 변형시켜 휴대용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수납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면서 그 상면부에 수납공간부를 열고 닫을 수 있는 개폐수단이 구비되는 수납가방을 설치 구성함으로써, 자전거 라이딩 시에 수납공간부에 휴대용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충돌시에 쇼버수단과 수납가방에 의해 사용자의 가슴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 주행 안전성과 더불어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켜 주는 자전거에 설치되는 안전기능을 갖는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전거에 설치되는 안전기능을 갖는 수납장치{a safety bag}
본 발명은 자전거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휴대용품을 수납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수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전거의 핸들이 연결되는 프레임(탑튜브 또는 상부프레임)에 충격력을 흡수하는 쇼버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쇼버수단의 일단부에 신축력에 의해 수납공간의 크기를 변형시켜 휴대용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수납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면서 그 상면부에 수납공간부를 열고 닫을 수 있는 개폐수단이 구비되는 수납가방을 설치 구성함으로써, 자전거 라이딩 시에 수납공간부에 휴대용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충돌시에 쇼버수단과 수납가방에 의해 사용자의 가슴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 주행 안전성과 더불어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켜 주는 자전거에 설치되는 안전기능을 갖는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전거는 오래전부터 이용되어 온 이동수단 가운데 하나이지만 산업사회에 들어서면서 자동차 등에 밀려 이용자의 수가 한때 감소하는 듯 하였으나, 최근 정보화 사회로 일컬어지는 현대에 이르러서는 운동량이 부족해진 현대인들에게 있어서 운동을 겸한 레저의 한 수단으로서, 더욱이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자전거를 이용하여 운동을 즐기는 사람들의 수가 최근 현저히 늘어나고 있으며, 운동을 위해 따로 시간을 내기 어려운 직장인들 가운데는 운동을 겸해 출·퇴근시 자전거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수도 꾸준히 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사람의 힘으로 바퀴를 회전시켜 움직이는 운송수단의 일종으로, 주행시 손이 자전거 핸들을 잡아 주어야 하는 부자연스러운 점으로 인해 휴대가 곤란하거나 지니고 있기에는 번거로운 물건들을 보관하기 위해 자전거의 전방에 일정한 물품이나 물건을 담을 수 있는 바구니가 설치되고 후방에는 짐받이가 설치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이와같이 종래의 자전거에 구비되는 수납수단으로는 바구니수단 또는 짐받이수단이 대부분이고 근래에 이르러 자전거 전용의 배낭이나 자전거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보조가방 등이 추가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자전거의 물품을 수납하는 장치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324612호의 '이륜차 운전대 거치용 가방'과 등록실용신안 제20-0427362호의 '커버링이 가설된 자전거용 수납바구니' 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근래에 이르러 자전거의 보급율이 증가되고, 운송수단으로서의 사용이 빈번하게 이루어지면서 이를 이용한 레져활동으로도 많이 활용되고 있다.
더욱이 4대강 사업의 일환으로 자전거 전용도로가 전국에 걸쳐 이어지는 인프라가 갖추어지게 되면서 자전거를 이용한 동호회가 활발하게 운용되고 있고 심지어 개인적으로 자전거를 이용하여 전국 일주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국가나 지자체에서는 이와 같은 레져활동을 장려하기 위해 자전거 국토종주, 4대강 종주, 제주도를 포함한 울트라 종주 코스를 개발하여 이들 구간을 종주한 자에게는 메달과 인증서를 부여하는 제도까지 운영하고 있다.
이와 같이 자전거의 활용성이 확대됨에 따라 자전거의 성능이나 구조에도 많은 개선이 이루어져 자전거의 주행속도가 높아지는 추세이다
그러다 보니 자전거의 충돌시에 인명피해가 속출하고 있으며 주행중 넘어지면서 큰 피해를 입는 등 크고 작은 안전 사고가 빈발하게 일어나고 있다.
이와 같은 안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의 자전거에는 부져와 같은 경보장치나 방향등 또는 후사경 등과 같은 다양한 안전장치를 부착하여 사고 예방에 활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안전장치로는 등록특허 제10-0316046호의 '자전거의 충격 완화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KR 20-0324612 (등록번호) 2003.08.14. KR 20-0427362 (등록번호) 2006.09.19. KR 10-0316046 (등록번호) 2001.11.15.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전거는 수납수단으로 바구니수단 또는 짐받이수단이 대부분이고 근래에 이르러 자전거 전용의 배낭이나 자전거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보조가방 등이 추가적으로 활용되고 있으나, 이들은 단지 라이딩에 필요한 물품을 수납하는데 그치고 있어 기능적으로 안전과는 거리가 멀다.
또한 종래의 충격 완화장치로 상기 등록특허 제10-0316046호에 개시되어 있는 수단으로는 전방프레임의 상부와 하부측에 각각의 고정부를 형성하고, 이들 고정부 사이에 코일스프링과 같은 완충부재를 설치하여 충돌시에 충격을 환화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이나 이는 자전거를 사용하는 사람의 체격에 따라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기능이 결여되어 있고 또 휴재용 물건을 수납할 수 없어 그 효용성에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자전거 라이딩 시에 자전거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휴대 물품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물품 저장공간이 마련되어 주행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높이도록 하는 수납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납가방에 완충기능이 구비되도록 하여 자전거 주행 중의 사고시에 쇼버수단이나 수납가방에 의해 사용자의 가슴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 수납공간의 확장성을 도모하는 동시에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납 물품이 사고시에도 안전하게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 자전거용 수납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일반 가방처럼 사용이 가능하여 자전거 이용에 편리성을 제공하는 자전거용 수납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전거에 구비되어 휴대 물품을 수납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수납장치에 있어서,
상부프레임부에 그 일단부가 장착모듈에 의해 설치되어 가해지는 충격력을 완화시키는 충격 흡수용 쇼버수단과, 상기 쇼버수단에 탈·장착되며 자전거의 핸들수단과 자전거의 안장 사이에 설치되어 휴대 물품이 수납 저장되는 물품수납가방을 포함하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전거에 설치되는 안전기능을 갖는 수납장치는 라이딩 시에 자전거에 휴대용 물품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물품 저장공간이 마련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전거 주행 중의 충돌 사고시에 쇼버수단이나 수납가방에 의해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켜 주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하는 물품에 따라 수납가방을 신축하여 그 부피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납가방을 탈착하여 일반 가방으로도 활용할 수 있으면서 주행의 편의성을 높여주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방의 벽면이 완충수단으로 되어 수납 물품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전거의 핸들과 연결되는 프레임측에 충격력을 흡수하는 쇼버수단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 구성함으로써, 자전거 사용자의 신체 특성에 따라 이를 가변시킬 수 있어 그 효용성이 더욱 확대되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에 설치되는 안전기능을 갖는 수납장치가 자전거에 설치된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에 설치되는 안전기능을 갖는 수납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에 설치되는 안전기능을 갖는 수납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에 설치되는 안전기능을 갖는 수납장치의 사용상태도이고,(개방한 상태, 닫은 상태, 수축상태 등)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에 설치되는 안전기능을 갖는 수납장치에 구비되는 쇼버수단에 가방수단이 접혀지는 작동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에 설치되는 안전기능을 갖는 수납장치에 구비되는 쇼버수단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의 개략적인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에 설치되는 안전기능을 갖는 수납장치가 자전거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가슴에서 떨어져 사용되는 사용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에 설치되는 안전기능을 갖는 수납장치가 자전거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가슴에 지지되면서 사용되는 사용상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에 설치되는 안전기능을 갖는 수납장치의 물품수납가방을 접어 보관된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에 설치되는 안전기능을 갖는 수납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자전거의 핸들수단(101)이 연결되는 프레임부(102, 탑튜브 또는 상부프레임이라고도 함)에 장착모듈(110)에 의해 설치 고정되어 가해지는 충격력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충격 흡수용 쇼버수단(120)과,
상기 충격 흡수용 쇼버수단(120)에 탈·장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면서 자전거 주행(라이딩)시에 휴대하는 물품을 수납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물품수납가방(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상기 물품수납가방(130)은 자전거의 핸들수단(101)과 자전거의 안장(103) 사이에 설치 구비되게 된다.
이는 사용자가 상기 자전거의 안장(103)에 올라 타 주행을 하게 되면 사용자의 가슴 전방과 자전거의 핸들수단(101) 사이에 상기 물품수납가방(130)이 구비되어 그 내부에 수납된 휴대용 물품에 대해 사용 및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장착모듈(110)은 상기 충격 흡수용 쇼버수단(120)을 자전거의 상기 프레임부(102)에 장착 고정하고 이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그 회전을 잠금 또는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장착모듈(110)은 상기 충격 흡수용 쇼버수단(120)의 일단부를 상기 프레임부(102)에 장착하여 고정하는 수단으로 상기 프레임부(102)의 상부측에 구비되는 상부브라케트(111)와, 상기 프레임부(102)의 하부측에 구비되는 하부브라케트(112), 상기 상부브라케트(111)와 상기 하부브라케트(112)를 연결하여 상기 프레임부(102)에 고정하는 체결수단(113), 상기 상부브라케트(111)의 양측 모서리부에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기부(111a)에 삽설 구비되면서 상기 충격 흡수용 쇼버수단(120)의 끝단부가 상기 상부브라케트(111)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삽설되면서 이를 잠금 또는 해제되도록 하는 쇼버고정구(114)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수단(113)은 상기 상부브라케트(111)와 상기 하부브라케트(112)를 상하로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상하체결구(113a)와 상기 상부브라케트(111)가 상기 프레임부(102)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자전거 핸들고정축(104)을 지지하면서 삽설하여 체결하는 U자 형상의 상부체결구(113b)와 상기 하부브라케트(112)가 상기 프레임부(102)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자전거 핸들고정축(104)을 지지하면서 삽설하여 체결하는 U자 형상의 하부체결구(113c)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브라케트(111)를 상기 프레임부(102)의 상부측면에 상기 하부브라케트(112)를 상기 프레임부(102)의 하부측면에 각각 장착한 후 상기 상하체결구(113a)를 통해 이들을 고정 체결하고 이어 상기 상부체결구(113b)를 이용하여 상기 상부브라케트(111)를 견고하게 체결 고정한 다음 상기 하부체결구(113c)를 이용하여 상기 하부브라케트(112)를 견고하게 체결 고정시키게 되면 상기 장착모듈(110)이 상기 프레임부(102)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여기서 상하체결구(113a)와 상기 상부체결구(113b) 및 상기 하부체결구(113c)의 순서는 어느 것을 먼저 체결하여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상부브라케트(111)와 상기 하부브라케트(112)가 각각 상기 프레임부(102)에 장착되는 접촉면은 상기 프레임부(102)의 원통형의 곡면 외주면에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라운드부가 각각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상부브라케트(111)와 상기 하부브라케트(112)를 각각 상기 프레임부(102)에 상기 체결수단(113)을 이용하여 체결하게 되면 상기와 같이 설치 고정이 간단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어 상기 상부브라케트(111)에 형성되는 상기 돌기부(111a) 사이에 상기 충격 흡수용 쇼버수단(120)의 끝단부를 삽입하고 나서 상기 돌기부(111a)에 구비되는 상기 쇼버고정구(114)를 통해 이를 체결하게 되면 상기 쇼버수단(120)의 끝단부가 상기 프레임부(102)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되게 된다.
또한 상기 쇼버고정구(114)는 이를 느슨하게 한 다음 상기 쇼버수단(120)을 일정한 각도로 회전하여 잠금시키게 되면 그 회전된 상태에서 고정시킬 수가 있다.
이로써 상기 쇼버수단(120)의 설치 각도가 조절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쇼버수단(120)은 원통형상의 몸체부(121)와 상기 몸체부(121)의 내부에 왕복 슬라이딩되도록 삽설되는 실린더수단(122), 상기 몸체부(121)와 상기 실린더수단(122)의 외부에 삽설되면서 상기 실린더수단(122)의 왕복 슬라이딩시에 압축 또는 이완되는 탄성스프링(123)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수단(122)의 끝단부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실린더수단(122)이 상기 몸체부(121)의 내부로 슬라이딩되는 동시에 상기 탄성스프링(123)은 압축되면서 외력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외력이 제거되면 이들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121)와 상기 실린더수단(122)에는 상기 탄성스프링(123)의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브라케트(124)가 각각 설치 구비되어 있어 상기 탄성스프링(123)이 상기 지지브라케트(124)를 지지하면서 압축 또는 이완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수단(122)의 끝단부에는 상기 물품수납가방(130)이 왕복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되면서 탈장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연결수단(125)이 설치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쇼버수단(120)은 충격을 흡수하여 이를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 상기 쇼버수단(120) 이외에 아래와 같이 다양한 구성으로 된 충격완화수단이 적용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충격완화수단으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반발력이 강한 판스프링수단(120a)과, 아크형의 판스프링과 스프링코일을 적용하여 상기 아크형의 판스프링 양단부에 상기 스프링코일을 연결하여 판스프링의 탄성력과 스프링코일의 탄성력이 이중으로 발휘도록 하는 판코일스프링수단(120b), 상기 쇼버수단(120)을 2중 이상으로 설치하는 다중쇼버수단(120c), 및 탄성 복원력을 갖는 관절수단(120d, 또는 자바라수단이라고도 함) 등을 적용할 수 있으며, 상기 열거한 수단 이외에도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은 어떠한 것으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즉, 상기 열거한 수단 이외에 에어나 가스 또는 오일과 같은 유체(流體)를 이용한 쇽압쇼버(유체쇽압쇼버라고도 함) 등도 설치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유체쇽압쇼버는 해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구성으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물품수납가방(130)은 상기 쇼버수단(120)의 단부측에 연결 설치되면서 그 하부면을 형성하는 바닥지지프레임(131)과, 상기 바닥지지프레임(131)에 대향되어 설치되면서 그 상부면을 형성하되 지퍼수단과 같은 개폐수단(132a)이 구비되는 뚜껑지지프레임(132), 및 상기 바닥지지프레임(131)과 상기 뚜껑지지프레임(132)의 모서리부를 상호 연결하여 설치하여 그 내측으로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수납공간부(133)가 형성되도록 하는 벽면지지수단(134)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뚜껑지지프레임(132)은 그 형상이 평평한 판 형상일수도 있고, 외부로 약간 만곡된 형상일수도 있다. 약간 만곡된 형상이 사고시 운전자에게 좀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뚜껑지지프레임(132)에는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기기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포켓수단(132b)과 이동 및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끈수단(132c)이 더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끈수단(132c)은 고리 형식으로 하여 탈부착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끈수단(132c)은 좀더 길게 형성하여 탈착시 사용자의 어깨에 매도록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포켓수단(132b)은 외부에서 수납된 모바일 기기 등을 작동할 수 있도록 비닐수단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포켓수단(132b)에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기기를 수납하여 활용할 수 있고 또 자전거에서 상기 물품수납가방(130)을 탈거하여 상기 끈수단(132c)을 통해 용이하게 이동수단으로 활용할 수도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물품수납가방(130)을 구성하는 상기 바닥지지프레임(131)의 하면에는 상기 연결수단(125)이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하는 레일브라케트(135)가 설치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수단(125)은 상기 실린더수단(122)의 단부가 레버고정구26a)에 의해 삽설되도록 양측에 돌기부(126b)를 갖는 고정브라케트(126)와, 하부플레이트(127a)와 상부플레이트(127b)로 구성되고 그 일측면에 힌지수단(127c)이 구비되면서 상기 하부플레이트(127a)가 상기 고정브라케트(126)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127b)가 상기 힌지수단(127c)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하는 작동플레이트(127), 및 T자 단면형상으로 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127b)에 연결되면서 그 단부가 상기 레일브라케트(135)에 삽설되는 고정돌기부(128a)와 상기 고정돌기부(128a)에 나사 체결되는 나사부(128b)로 이루어진 고정수단(128)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플레이트(127b)에 연결 설치되는 상기 고정돌기부(128a)의 끝단부를 상기 레일브라케트(135)에 삽설하게 되면 상기 레일브라케트(135)가 상기 고정돌기부(128a)를 따라 왕복 슬라이딩 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상기 고정돌기부가(128a)로부터 상기 레일브라케트(135)를 슬라이딩으로 이탈시키게 되면 상기 물품수납가방(130)이 탈착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나사부(128b)를 돌려 상기 레일브라케트(135)가 상기 고정돌기부(128a)를 따라 왕복 슬라이딩하는 것을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물품수납가방(130)의 측면부를 형성하는 상기 벽면지지수단(134)은 스폰지 부재와 같은 탄성 복원력이 강한 신축수단으로 구성되며, 또 상기 물품수납가방(130)의 외측면에는 상기 벽면지지수단(134)이 압축하여 축소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잠금수단(136)이 다 수개 설치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잠금수단(136)은 상기 물품수납가방(130)의 외측면 전방 후방 또는 양측면에 각각 1개씩 2개소의 설치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상기 잠금수단(136)을 해제하게 되면 상기 벽면지지수단(134)이 팽창하여(늘어나) 그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수납공간부(133)의 공간이 커지게 되면서 수납 물건을 저장할 수가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납공간부(133)에는 그 저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칸막이(133a)를 더 설치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벽면지지수단(134)은 공기를 충전하거나 방전하도록 하는 충방전캡이 구비되는 에어튜브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에어튜브수단은 상기 물품수납가방(130)에 구비되는 상기 잠금수단(136)을 해제한 후 상기 충방전캡을 통해 공기를 주입하게 되면 상기 에어튜브수단이 팽창하면서 그 내측으로 상기 수납공간부(133)가 형성될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물품수납가방(130)에 구비되는 상기 벽면지지수단(134)은 그 전면부가 후면부보다 더 높게 팽창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뚜껑지지프레임(132)이 상기 안장(103)쪽으로 갈수록 점점 더 낮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충돌시에 상기 뚜껑지지프레임(132)이 사용자의 가슴에 닿는 면적이 커질 수 있어 안전성이 커지는 동시에 상기 뚜껑지지프레임(132)에 구비된 상기 포켓수단(132b)에 수납된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기기 등을 더욱 더 용이하게 사용할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에 구비되는 상기 벽면지지수단(134)은 상기와 같은 신축수단이나 에어튜브수단 이외에도 신축이 가능한 부재를 이용하여 다양한 구성으로 변형 응용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상기 물품수납가방(130)은 상기와 같이 상기 쇼버수단(120)에 연결 설치되고 그 내부의 상기 수납공간부(133)에 휴대용 물건을 수납 사용할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물품수납가방(130)은 상기 벽면지지수단(134)이 형성되는 상기 수납공간부(133)에 외력이 가해지면 그 충격력을 흡수할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물품수납가방(130)을 상기 핸들수단(101)과 상기 안장(103) 사이에 설치하여 사용자의 가슴 전방에 위치되도록 구비함으로써 자전거의 충돌시에 사용자의 가슴 등이 상기 물품수납가방(130)에 먼저 부딪히게 되면서 1차적으로 충격 완화가 이루어지고 이어 상기 쇼버수단(120)에 의해 2차적으로 충격 완화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안전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상기 물품수납가방(130)을 상기 쇼버수단(120)의 단부에 연결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브라케트(135)를 이용하여 슬라이딩으로 이동하면서 그 위치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플레이트(127)를 구성하는 상기 하부플레이트(127a)와 상기 상부플레이트(127b) 중 어느 한쪽에는 잠금수단(A)이 설치 구비되고 다른 한쪽에는 해제수단(B)이 설치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해제수단(B)을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하부플레이트(127a)에서 상기 상부플레이트(127b)가 잠금 해제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127b)가 상기 힌지수단(127c)에 의해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해제수단(B)은 버튼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또 회전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누구나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구성이면 가능하다.
그리고 단면형상이 T자 모양으로 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127b)에 연결되면서 그 단부가 상기 레일브라케트(135)에 삽설되는 상기 고정돌기부(128a)는 원형플레이트(128aa)와 연결로드부(128ab)로 구성되어, 상기 원형플레이트(128aa)는 상기 레일브라케트(135)에 삽설되어 슬라이딩되는 동시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되며 수나사가 형성되는 상기 연결로드부(128ab)에는 상기 나사부(128b)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나사부(128b)를 돌려 상기 레일브라케트(135)와 상기 원형플레이트(128aa)를 가압하여 고정시키게 되면 상기 레일브라케트(135)가 슬라이딩되는 것을 록킹시킬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레일브라케트(135)는 상기 바닥지지프레임(131)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135a)와 상기 지지플레이트(135a)의 하면부 양측에 각각 설치 고정되는 'ㄴ'자 형상의 레일지지부(135b)로 구성되며 상기 레일지지부(135b) 사이에는 상기 고정수단(128)이 삽설되어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하는 슬롯홈부(135c)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상기 지지플레이트(135a)와 상기 레일지지부(135b)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에는 상기 고정돌기부(128a)에 구비되는 상기 원형플레이트(128aa)가 삽설 안착되고, 상기 레일지지부(135b)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슬롯홈부(135c)에는 상기 고정돌기부(128a)에 구비되는 상기 연결로드부(128ab)가 삽설되게 된다.
또한 상기 충격흡수용 쇼버수단(120)의 상기 몸체부(121)는 나사식으로 그 길이를 신축(伸縮)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신축수단(미도시)이 구성될 수가 있다. 이는 자전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상기 충격흡수용 쇼버수단(120)의 크기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신축수단은 당해 분야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구성으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자전거에 설치되는 안전기능을 갖는 수납장치(100)에 대한 기능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상기 자전거에 설치되는 안전기능을 갖는 수납장치(100)가 자전거의 상부프레임(102)에 설치한 상태에서, 자전거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상기 쇼바수단(120)의 길이를 상기 신축수단을 이용하여 신축 조정하고 이어 상기 쇼버고정구(114)를 통해 상기 쇼바수단(120)을 회전하여 적당한 각도에서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128)에 구비되는 상기 나사부(128b)를 통해 상기 물품수납가방(130)의 위치를 슬라이딩하여 신체 조건에 알맞게 조절 고정시킨다.
이 경우 이들의 조정 순서는 어느 것을 먼저 수행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한 후에 상기 물품수납가방(130)에 구비된 상기 잠금수단(136)을 해제하고 이로 인해 형성되는 상기 수납공간부(133) 내부로 휴대용 물품을 수납 저장한다.
이어 사용자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를 사용하면 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 사용자가 피곤하거나 또는 처음부터 의도적으로 상기 쇼바수단(120)의 길이를 상기 신축수단을 이용하여 길게 신장시켜 사용자의 가슴에 상기 물품수납가방(130)이 지지되도록 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이는 사용자가 상기 물품수납가방(130)에 가슴을 지지하면서 사용함으로써 피곤함을 줄여 줌은 물론 안전하게 사용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물품수납가방(13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상기 물품수납가방(130)에 구비된 상기 뚜껑지지프레임(132)를 눌러 상기 벽면지지수단(134)을 압축한 다음 상기 잠금수단(136)을 잠그어 상기 물품수납가방(130)을 납작한 상태로 유지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연결수단(125)의 상기 작동플레이트(127)에 구비된 상기 해제수단(B)을 작동시켜 상기 고정수단(128)을 눌러주게 되면 상기 상부플레이트(127b)가 상기 힌지수단(127c)에 의해 회전되게 된다.
그러면 납짝해진 상기 물품수납가방(130)이 측면으로 꺾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한 다음 상기 물품수납가방(130)을 회전시켜서 자전거의 상기 상부프레임(102)의 측면으로 접어 두고 자전거를 사용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자전거에 설치되는 안전기능을 갖는 수납장치는 자전거의 핸들이 연결되는 프레임(탑튜브 또는 상부프레임)에 충격력을 흡수하는 쇼버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쇼버수단의 일단부에 신축력에 의해 수납공간의 크기를 변형시켜 휴대용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수납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면서 그 상면부에 수납공간부를 열고 닫을 수 있는 개폐수단이 구비되는 수납가방을 설치 구성함으로써, 자전거 라이딩 시에 수납공간부에 휴대용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충돌시에 쇼버수단과 수납가방에 의해 사용자의 가슴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 주행 안전성과 더불어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켜 줄 수 있게 된다.
100:자전거에 설치되는 안전기능을 갖는 수납장치
101:핸들수단 102:프레임부 103:안장 104:핸들고정축
110:장착모듈
111:상부브라케트 112:하부브라케트 113:체결수단
113a:상하체결구 113b:상부체결구 113c:하부체결구
114:쇼버고정구
120:충격 흡수용 쇼버수단 A:잠금수단 B:해제수단
121:몸체부 122:실린더부 123:탄성스프링 124:지지브라케트
125:연결수단 126:고정브라케트 126a:레버고정구 126b:돌기부
127:작동플레이트 127a:하부플레이트 127b:상부플레이트
127c:힌지수단 128:고정수단 128a:고정돌기부 128b:나사부
128aa:원형플레이트 128ab:연결로드부
130:물품수납가방
131:바닥지지프레임 132:뚜껑지지프레임 132a:개폐수단
132b:포켓수단 132c:끈수단 133:수납공간부
134:벽면지지수단 135:레일브레케트 135a:지지플레이트
135b:레일지지부 135c:슬롯홈부 136:잠금수단

Claims (9)

  1. 자전거에 구비되어 휴대 물품을 수납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수납장치에 있어서,
    상부프레임부에 그 일단부가 장착모듈에 의해 설치되어 가해지는 충격력을 완화시키는 충격 흡수용 쇼버수단과,
    상기 쇼버수단에 탈·장착되며 자전거의 핸들수단과 자전거의 안장 사이에 설치되어 휴대 물품이 수납 저장되는 물품수납가방을 포함하는 자전거에 설치되는 안전기능을 갖는 수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쇼버수단은 원통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왕복 슬라이딩되도록 삽설되는 실린더수단, 상기 몸체부와 상기 실린더수단의 외부에 삽설되면서 상기 실린더수단의 왕복 슬라이딩시에 압축 또는 이완되는 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자전거에 설치되는 안전기능을 갖는 수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쇼버수단의 상기 몸체부는 그 길이를 신축(伸縮)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신축수단으로 구성된 자전거에 설치되는 안전기능을 갖는 수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쇼버수단은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 구성되되, 탄성 반발력이 있는 판스프링수단과, 아크형의 판스프링과 스프링코일을 적용하여 상기 아크형의 판스프링 양단부에 상기 스프링코일을 연결하여 판스프링의 탄성력과 스프링코일의 탄성력이 이중으로 발휘도록 하는 판코일스프링수단, 상기 쇼버수단을 2중 이상으로 설치하는 다중쇼버수단, 및 탄성 복원력을 갖는 관절수단, 에어나 가스 또는 오일을 사용하는 쇽압쇼버수단 중 어느 하나의 수단으로 구성되는 자전거에 설치되는 안전기능을 갖는 수납장치.
  5.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수납가방은 상기 쇼버수단의 단부측에 연결 설치되면서 그 하부면을 형성하는 바닥지지프레임과, 상기 바닥지지프레임에 대향되어 설치되면서 그 상부면을 형성하되 개폐수단이 구비되는 뚜껑지지프레임, 및 상기 바닥지지프레임과 상기 뚜껑지지프레임의 모서리부를 상호 연결하여 그 내측으로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수납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벽면지지수단으로 구성된 자전거에 설치되는 안전기능을 갖는 수납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수납가방의 상기 뚜껑지지프레임에는 소형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포켓수단과 이동 및 관리가 가능한 끈수단이 더 구비되는 자전거에 설치되는 안전기능을 갖는 수납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수납가방의 상기 바닥지지프레임에는 상기 실린더수단의 끝단부에 설치되는 연결수단이 연결되어 상기 물품수납가방이 탈장착과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하는 레일브라케트가 설치 구비되며,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실린더수단의 단부가 레버고정구에 의해 삽설되도록 양측에 돌기부를 갖는 고정브라케트와, 하부플레이트와 상부플레이트로 구성되고 그 일측면에 힌지수단이 구비되면서 상기 하부플레이트가 상기 고정브라케트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가 상기 힌지수단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하는 작동플레이트, 및 T자 단면형상으로 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연결되면서 그 단부가 상기 레일브라케트에 삽설되는 고정돌기부와 상기 고정돌기부에 나사 체결되는 나사부로 된 고정수단으로 구성되는 자전거에 설치되는 안전기능을 갖는 수납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수납가방의 측면부를 형성하는 상기 벽면지지수단은 탄성 복원력을 갖는 신축부재로 구성되며, 또 상기 물품수납가방의 외측면에는 상기 벽면지지수단이 압축된 상태로 록킹되도록 하는 잠금수단이 다 수개 설치 구비되는 자전거에 설치되는 안전기능을 갖는 수납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지지수단은 공기를 충전 또는 방전하도록 하는 충방전캡이 구비된 에어튜브수단으로 구성되는 자전거에 설치되는 안전기능을 갖는 수납장치.
KR1020150034207A 2015-03-12 2015-03-12 자전거에 설치되는 안전기능을 갖는 수납장치 KR101756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207A KR101756872B1 (ko) 2015-03-12 2015-03-12 자전거에 설치되는 안전기능을 갖는 수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207A KR101756872B1 (ko) 2015-03-12 2015-03-12 자전거에 설치되는 안전기능을 갖는 수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554A true KR20160109554A (ko) 2016-09-21
KR101756872B1 KR101756872B1 (ko) 2017-07-11

Family

ID=57080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4207A KR101756872B1 (ko) 2015-03-12 2015-03-12 자전거에 설치되는 안전기능을 갖는 수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68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414Y1 (ko) * 2017-10-18 2018-09-13 서보람 자전거 헤드튜브 설치의 전방 헤드라이트가 부착된 가방 거치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6046B1 (ko) 1999-04-14 2001-12-12 최영수 자전거의 충격 완화장치
KR200324612Y1 (ko) 2003-05-28 2003-08-25 변종섭 이륜차 운전대 거치용 가방
KR200427362Y1 (ko) 2006-06-29 2006-09-25 임창규 커버링이 가설된 자전거용 수납바구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9873B2 (ja) * 1993-11-26 2000-08-21 株式会社ノーリツ 石油給湯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6046B1 (ko) 1999-04-14 2001-12-12 최영수 자전거의 충격 완화장치
KR200324612Y1 (ko) 2003-05-28 2003-08-25 변종섭 이륜차 운전대 거치용 가방
KR200427362Y1 (ko) 2006-06-29 2006-09-25 임창규 커버링이 가설된 자전거용 수납바구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414Y1 (ko) * 2017-10-18 2018-09-13 서보람 자전거 헤드튜브 설치의 전방 헤드라이트가 부착된 가방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6872B1 (ko) 2017-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6311B2 (en) Retractable wheel assembly for a carrier
US7997591B2 (en) Chassis with retractable wheels
US7426985B2 (en) Expandable luggage with locking expansion mechanism
US8201837B2 (en) Skateboard backpack system
US6298964B1 (en) Rolling case
US20160014243A1 (en) Carrier apparatus for mobile devices
JPH078319A (ja) バックパック
US10251467B2 (en) Backpack support system for hands-free transport of a bike on the wearer's back
JP2009522025A (ja) ジッパーレス拡張システム
US20160185369A1 (en) Collapsible carrying device
US7001315B1 (en) Portable exercise kit
KR101279536B1 (ko) 자전거의 휴대폰 거치대
US10098431B2 (en) Frames for luggage items
KR101756872B1 (ko) 자전거에 설치되는 안전기능을 갖는 수납장치
US7243667B2 (en) Crutch bag
WO2015073123A1 (en) Single action four point harness for a backpack
US20070090140A1 (en) Packing apparatus
US9038245B2 (en) Fatigue reduction device
CN110897287A (zh) 一种箱包
KR20120136715A (ko) 다변형 접이식 자전거
US20160157632A1 (en) Carrier support system
US9560908B2 (en) Camera carrying case
US20040050636A1 (en) Attachment for a wheeled container
CN214759655U (zh) 一种具有内部防盗暗袋的旅游休闲包
CN220391409U (zh) 一种储物盒连接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