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9486A - 조류에 휩슬리지 않는 어로용 통발 - Google Patents

조류에 휩슬리지 않는 어로용 통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9486A
KR20160109486A KR1020150033961A KR20150033961A KR20160109486A KR 20160109486 A KR20160109486 A KR 20160109486A KR 1020150033961 A KR1020150033961 A KR 1020150033961A KR 20150033961 A KR20150033961 A KR 20150033961A KR 20160109486 A KR20160109486 A KR 20160109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main body
bait
opening
in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3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태원
Original Assignee
송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태원 filed Critical 송태원
Priority to KR1020150033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9486A/ko
Publication of KR20160109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94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어류의 특성을 이용하여 미끼그림과 인공미끼로 어류를 유인하여 포획하는 조류에 휩슬리지 않는 어로용 통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심한 조류가 발생하여 어로용 통발 자체가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하는 어로용 통발을 만들어 통발의 망실을 줄여 어로인들에게 더욱더 큰 생산성 증대를 향상시키고, 어부들의 소득을 증대시키고, 각 어류의 크기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 어류 크기에 제한받지 않아 다양한 어류를 포획할 수 있으며, 다량의 어류를 적은 인력으로 용이하게 포획할 수 있도록 한 조류에 휩슬리지 않는 어로용 통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류에 휩슬리지 않는 어로용 통발{Fish trap}
본 발명은 조류에 휩슬리지 않는 어로용 통발에 관한 것으로, 어류의 특성을 이용하여 미끼그림과 인공미끼로 어류를 유인하여 포획하는 어로용 통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미끼를 사용하지 않아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생미끼의 구매에 소요되는 구매비를 절감하여 어부들의 소득을 증대시키고, 각 어류의 크기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 어류 크기에 제한받지 않아 다양한 어류를 포획할 수 있으며, 다량의 어류를 적은 인력으로 용이하게 포획할 수 있도록 하고, 본체에 지지체를 형성하여 조류에 휩슬리지 않는 어로용 통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류를 포획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단으로 통발과 어망이 있다.
통발은 물고기, 낙지, 문어, 게, 장어 등의 어류를 잡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원통형의 그물 구조를 가지며, 측면에 1개 이상의 포획구가 형성되어, 포획구를 통해 내부로 들어온 어류가 외부로 빠져 나가는 것을 막아 어류를 포획하는 수단이며, 이런 통발은 내부에 어류를 유인하기 위하여 물고기를 토막 낸 것이나 떡밥 등의 생미끼를 넣은 후 바다의 바닥으로 침강시켜 각종 어류 등을 통발의 내부로 유인하여 포획하게 된다.
또한 어망은 물고기를 잡는 데 쓰이는 그물로서, 어군이 형성된 바다에 일정 범위로 펼쳐 어군을 포획하게 된다.
또한, 심한 조류에 통발에 망실되는 위험이 있다.
특허 10-1025488호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통발은 어류를 내부로 유인하기 위하여 생미끼를 사용함에 따라 생미끼의 구매비용이 추가 소비됨으로써 어부들의 소득을 감소시키고, 어류를 대량 포획하기 위하여 다수의 통발을 바다에 설치함에 따라 통발 내부에 투입된 생미끼가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어망을 이용한 어류 포획의 경우, 먼저 어군을 탐지해야 하나 이를 탐지하는 것이 힘들며, 어군을 찾았더라도 어망이 펼쳐진 바다로 어군을 유인하는 것이 힘들어 어획량이 적고, 어류의 포획에 시간과 인력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생미끼를 사용하지 않고도 다량의 어류를 유인하여 포획할 수 있도록 한 조류에 휩슬리지 않는 어로용 통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어망에 의해 사각통체 형상으로 구성되되, 후방이 개구된 본체와; 본체의 전방 및 좌우방에 각각 설치되어 생미끼의 사용 없이 본체의 내부로 어류를 유인하여 가두는 복수의 유인구와; 본체의 후방과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유인구를 통해 유입되는 어류를 살아 있는 상태로 저장하는 공간이 어망에 의해 구획된 저장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조류에 휩슬리지 않는 어로용 통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어류의 특성을 이용하여 생미끼를 사용하지 않고 다량의 어류를 유인하여 포획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통발에 사용되던 생미끼의 구매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어부의 소득을 증대시키며, 다량의 어류를 포획하기 위하여 바다에 투입되는 다수의 통발에 들어가는 생미끼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어류를 포획함에 있어 소요되는 인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어류의 크기에 제한 받지 않아 다양한 어류를 포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유인구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유인구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어로용 통발(100)은 어망에 의해 사각통체 형상으로 구성되되, 후방이 개구된 본체(1)와; 본체(1)의 전방 및 좌우방에 각각 설치되어 생미끼의 사용 없이 본체(1)의 내부로 어류를 유인하여 가두는 복수의 유인구(2)와; 본체(1)의 후방과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유인구(2)를 통해 유입되는 어류를 살아 있는 상태로 저장하는 공간이 어망에 의해 구획된 저장부(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인구(2)는 본체(1)에 설치되어 본체(1)의 내부와 외부가 연결될 수 있도록 일정 면적의 개구부를 형성하는 복수의 유입틀(4)과; 유입틀(4)의 상단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면서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상단이 축설되며, 유입틀(4)의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고, 하단에는 어류 먹이 형상을 가진 인공미끼(5)가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되며, 전면에는 어류 먹이 형상의 미끼그림(6)이 복수로 프린트되고, 후면에는 어류 천적 형상의 천적그림(7)이 프린트된 복수의 개폐구(8)와; 유입틀(4)과 개폐구(8) 사이에 위치하며, 유입틀(4)의 상단에서 하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면서 수평으로 설치되어 개폐구(8)를 일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유지하는 지지대(9)와; 유입틀(4)의 상단과 지지대(9) 사이에 위치하며, 유입틀(4)의 좌우에서 일정 길이 본체(1)의 내부로 각각 돌출된 한 쌍의 지지돌기(10)와; 상기 한 쌍의 지지돌기(10)에 수평으로 설치되면서 개폐구(8)의 상부에 위치하여 개폐구(8)가 일정 각도 이상 상부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대(11)로 구성된다.
상기 유입틀(4)의 하단에는 평면 형상의 하부탈출방지턱(12)이 수평으로 일정길이 돌설되며, 상기 복수의 개폐구(8) 중 최양측에 위치한 한 쌍의 개폐구(8) 하단 전면에는 "L" 형의 측부탈출방지턱(13)이 각각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각종 어류를 포획하기 위하여 어류의 이동이 잦은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인공 미끼를 사용하여 해양오염 없이 어류를 포획할 수 있고, 생미끼 사용에 따른 구매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다량의 어류를 적은 인력으로 포획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류를 살아 있는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를 어류가 어로용 통발(100)의 내부에 포획되는 과정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어류의 눈은 근시로 가까운 곳의 물체는 잘 보지만 반대로 먼 곳의 물체를 잘 보지 못해, 이를 극복할 수 있도록 넓은 범위의 시야를 가지며, 이를 통해 천적이나 먹이를 용이하게 발견한다.
이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구(8) 전면에 프린트된 미끼그림(6)을 어류가 포착하게 되면 먹이로 오인함과 동시에 어로용 통발(100)로 접근하게 되며, 미끼그림(6)을 먹기 위해 어류가 머리로 개폐구(8)를 건드리게 되고, 이에 따라 개폐구(8)가 상부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개폐구(8)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틀(4)의 하부가 일부 개방된 상태가 되도록 지지대(9)에 의해 상부로 일정 각도 회동한 상태로 유입틀(4)에 설치되며, 이는 어류의 머리에 의해 개폐구(8)가 용이하게 상부로 회동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어류의 머리가 유입틀(4)과 개폐구(8) 사이에 삽입되어 삽입된 머리를 지렛대로 유입틀(4)의 하단을 지지점으로 하여 개폐구(8)를 용이하게 회동 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를 통해 개폐구(8)는 상부로 완전히 회동하여 어류가 본체(1)의 내부로 용이하게 들어 갈 수 있도록 유입틀(4)을 개방하게 되며, 개폐구(8)가 상부로 회동함과 동시에 개폐구(8) 하단에 부착된 인공미끼(5)도 함께 상부로 이동하여 어류의 시야에 포착된다.
다시 어류는 미끼그림(6) 이외에 움직이는 인공미끼(5)를 먹기 위하여 본체(1)의 내부로 들어가게 되며, 이와 동시에 개폐구(8)가 중력으로 인해 하부로 회동하여 어류를 본체(1) 내부에 가두게 된다.
이때, 본체(1)의 내부에서 유인구(2)를 보았을 때, 유입틀(4)이 개폐구(8)에 의해 닫힌 형상이 된다.
그리고 개폐구(8)는 도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 회동할 수 있는 각도가 걸림대(11)에 의해 제한되는데, 이는 개폐구(8)가 어류에 의해 상부로 90도 이상 회동하게 되면 본체(1)의 내부로 어류가 들어갔다가 다시 빠져 나올 수 있으므로, 어류가 본체(1)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과 동시에 하부로 회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체(1)의 내부로 들어간 어류가 후방에서 개폐구(8)를 밀더라도 개폐구(8)가 지지대(9)에 의해 회동이 제재됨으로써 어류는 본체(1)의 내부에서 탈출 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복수의 개폐구(8) 후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적그림(7)이 프린트됨에 따라 어류가 유인구(2)로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여 탈출을 미연에 방지하게 되며, 도 2와 같이 어류가 본체(1) 내부의 하방에서 탈출을 시도하더라도 유입틀(4)의 하단에 수평으로 설치된 하부탈출방지턱(12)에 의해 제재을 받아 어류의 탈출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하부탈출방지턱(12)의 하면에도 천적그림(7)이 프린트됨에 따라 어류의 접근을 차단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이 또한 어류의 근시를 이용한 것이며, 이는 작은 물고기들이 천적이 자신들의 어군에 접근하는 것을 막기 위해 무리지어 커다란 그림자를 형성하여 천적의 접근을 막는 원리와 대등하다.
그리고 어류가 본체(1) 내부의 양측방에서 탈출을 시도하더라도 도 2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개폐구(8) 중 최양측에 위치한 한 쌍의 개폐구(8) 하단 전면에 설치된 측부탈출방지턱(13)이 유입틀(4)과 개폐구(8)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막아 어류의 탈출을 방지한다.
한편 개폐구(8)가 복수로 설치됨에 따라 어류의 다양한 크기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큰 어류가 본체(1) 내부로 들어갈 때는 다수의 개폐구(8)가 회동하여 큰 어류에 대응되는 크기로 유입틀(4)을 개방하고, 작은 어류가 본체(1) 내부로 들어갈 때는 소수의 개폐구(8)가 회동하여 작은 어류에 대응되는 크기로 유입틀(4)을 개방하게 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개폐구(8)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유입틀(4)의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미끼그림(6)과 인공미끼(5)가 주변환경에 융화될 뿐만 아니라 생동감이 유지되어 어류를 더욱 효과적으로 유인할 수 있도록 하며, 개폐구(8)의 이격 간격은 포획하고자 하는 어류가 통과하지 못할 정도로 이격시키면 된다.
그리고 미끼그림(6)으로는 갯지렁이나 작은 물고기 등이 사용되며, 계절에 따라 적절한 미끼그림(6)을 선택하여 변경 할 수 있다.
또한 천적그림(7)으로는 상어이빨이나 아귀 입, 돌출된 낚시 바늘 등 어류들에게 공포감을 줄 수 있도록 커다란 그림이 사용된다.
이 뿐만 아니라 도 4와 같이 상기 본체(1)가 사각통체형으로 구성됨에 따라 본체(1)의 후방을 제외한 전방과 좌우방에 유인구(2)가 설치되어 어류의 포획량을 늘리게 된다.
또한 본체(1)의 후방에 어류가 생존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도록 저장부(3)가 설치되며, 이에 따라 포획된 어류의 가치를 증대시키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어로용 통발(100)을 복수로 적층하여 다단으로 구성함으로써 더욱 효율적으로 어류를 포획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적은 인력으로도 용이하게 어류 포획 작업을 행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어로용 통발(100)은 어류의 특성을 이용하여 생미끼를 사용하지 않고 다량의 어류를 유인하여 포획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통발에 사용되던 생미끼의 구매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어부의 소득을 증대시키며, 다량의 어류를 포획하기 위하여 바다에 투입되는 다수의 통발에 들어가는 생미끼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어류를 포획함에 있어 소요되는 인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어류의 크기에 제한 받지 않아 다양한 어류를 포획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 하측으로 지지체를 형성하여 통발이 조류에 휩슬리지 않도록 하는것이 좋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변형 및 변환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명백할 것이다.
1 : 본체 2 : 유인구
3 : 저장부 4 : 유입틀
5 : 인공미끼 6 : 미끼그림
7 : 천적그림 8 : 개폐구
9 : 지지대 10 : 지지돌기
11 : 걸림대 12 : 하부탈출방지턱
13 : 측부탈출방지턱 100 : 어로용 통발

Claims (3)

  1. 어망에 의해 사각통체 형상으로 구성되되, 후방이 개구된 본체(1); 본체(1)의 전방 및 좌우방에 각각 설치되어 본체(1)의 내부와 외부가 연결될 수 있도록 일정 면적의 개구부를 형성하는 복수의 유입틀(4)과, 유입틀(4)의 상단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면서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상단이 축설되고 유입틀(4)의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하단에는 어류 먹이 형상을 가진 인공미끼(5)가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본체(1)에 하측방향로 상기 유입틀(4)를 지지하여 지지체(미도시)가 형성되어 조류에 휩슬리지 않는 것을 특징로 하는 조류에 휩슬리지 않는 어로용 통발.
  2. 제 1항에 있어서,
    전면에는 어류 먹이 형상의 미끼그림(6)이 복수로 프린트되며 후면에는 어류 천적 형상의 천적그림(7)이 프린트된 복수의 개폐구(8)와, 유입틀(4)과 개폐구(8) 사이에 위치되고 유입틀(4)의 상단에서 하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면서 수평으로 설치되어 개폐구(8)를 일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유지하는 지지대(9)와, 유입틀(4)의 상단과 지지대(9) 사이에 위치되고 유입틀(4)의 좌우에서 일정 길이 본체(1)의 내부로 각각 돌출된 한 쌍의 지지돌기(10)와, 상기 한 쌍의 지지돌기(10)에 수평으로 설치되면서 개폐구(8)의 상부에 위치되어 개폐구(8)가 일정 각도 이상 상부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대(1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에 휩슬리지 않는 어로용 통발.
  3. 제 2항에 있어서,
    생미끼의 사용 없이 본체(1)의 내부로 어류를 유인하여 가두는 복수의 유인구(2); 본체(1)의 후방과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유인구(2)를 통해 유입되는 어류를 살아 있는 상태로 저장하는 공간이 어망에 의해 구획된 저장부(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에 휩슬리지 않는 어로용 통발.
KR1020150033961A 2015-03-11 2015-03-11 조류에 휩슬리지 않는 어로용 통발 KR201601094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961A KR20160109486A (ko) 2015-03-11 2015-03-11 조류에 휩슬리지 않는 어로용 통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961A KR20160109486A (ko) 2015-03-11 2015-03-11 조류에 휩슬리지 않는 어로용 통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486A true KR20160109486A (ko) 2016-09-21

Family

ID=57079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3961A KR20160109486A (ko) 2015-03-11 2015-03-11 조류에 휩슬리지 않는 어로용 통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948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47307A (zh) * 2018-08-24 2019-01-22 上海海洋大学 一种主动式深海宏生物诱捕装置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5488B1 (ko) 2009-04-30 2011-04-04 정인규 핸들커버에 구비된 묵주 또는 염주 조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5488B1 (ko) 2009-04-30 2011-04-04 정인규 핸들커버에 구비된 묵주 또는 염주 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47307A (zh) * 2018-08-24 2019-01-22 上海海洋大学 一种主动式深海宏生物诱捕装置及方法
CN109247307B (zh) * 2018-08-24 2023-08-25 上海海洋大学 一种主动式深海宏生物诱捕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07057B2 (en) Bait container and variable dispenser
JP6721660B2 (ja) 頭足類釣り用漁具
US20190008128A1 (en) Fishing lure with interchangeable body and head segments
US8991094B2 (en) Fishing lure
US7490432B2 (en) Refillable bait bag and integrated hook
KR101723768B1 (ko) 낚시바늘의 밑걸림 방지장치
US20110094144A1 (en) Self baiting fishing rig and method of fishing
US10368533B1 (en) Sidetracker
US4922645A (en) Magnetic fishing hook guard and method
US20160000057A1 (en) Steve's spinners
US20140215894A1 (en) Fishing Lure Accessory for Similating Fish Strike Motion
KR101453990B1 (ko) 조식동물 포획을 위한 유인장치
KR101288909B1 (ko) 어로용 통발
JP2016214214A (ja) 漁撈用の筌
KR20160109486A (ko) 조류에 휩슬리지 않는 어로용 통발
US3748772A (en) Fish lure
ES2611500A1 (es) Dispositivo capturador de avispas
US20210000094A1 (en) Fishing Lure with Spinning Device
Fu Effects of group size on schooling behavior in two cyprinid fish species
KR101502289B1 (ko) 유인구 자동 차단 통발
KR101561298B1 (ko) 어로용 통발의 진입유도구
KR20160106876A (ko) 친환경 어로용 통발
KR102486227B1 (ko) 전 층 수평이 가능한 낚시용 애기 루어
JP2003158960A (ja) 生エサ用ルアー
KR101747524B1 (ko) 어류 유인 회전 인공미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