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7524B1 - 어류 유인 회전 인공미끼 - Google Patents

어류 유인 회전 인공미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7524B1
KR101747524B1 KR1020150088470A KR20150088470A KR101747524B1 KR 101747524 B1 KR101747524 B1 KR 101747524B1 KR 1020150088470 A KR1020150088470 A KR 1020150088470A KR 20150088470 A KR20150088470 A KR 20150088470A KR 101747524 B1 KR101747524 B1 KR 101747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it
fish
cradle
artificial
fixed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8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50452A (ko
Inventor
송태원
송봉기
Original Assignee
송태원
송봉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태원, 송봉기 filed Critical 송태원
Priority to KR1020150088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7524B1/ko
Publication of KR20160150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50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7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7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12Artificial bait for fishing comprising a body rotating around its longitudinal axis, e.g. dev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류의 특성을 이용하여 복수의 모형 인공 미끼로 어류를 유인하여 포획하는 어로용 미끼에 관한 것으로 생미끼의 사용 없이 어류를 유인하여 환경오염을 유발 하지 않을 뿐 아니라 미끼의 구매비용과 장착시간을 절감하여 어부들의 소득을 증대 시키고 각 어류의 종류와 크기에 능동적으로 대응 할 수 있으며 다량의 어류를 적은 인력으로 용이하게 포획할 수 있도록 한 복수의 양면 인공미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어류미끼 모양의 형상이 복수로 구성되며 앞과 뒤면 구분 없이 양면 모두에서 미끼의 정면으로 보이게 구성되며 조류에 의해 생동감 있게 움직이며 어떠한 위치나 구조에도 흐트러지지 않고 원위치로 돌아오는 회전 인공미끼로서 다양한 종류의 통발이나 어망의 본체에 설치되어 어류를 유인하는 복수의 양면 인공미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어로용 미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어류 유인 회전 인공미끼{Fish trap}
본 발명은 어류 유인 회전 인공미끼에 관한 것으로, 통발이나 어망 안에 설치되며 어망이나 통발이 어떠한 방향으로 설치되든 방법에 관계없이 양면의 인공미끼는 통발이나 어망이 놓이는 즉시 정면이나 후면에서 바로 보이며 어망이나 통발이 조류에 따라 흔들리고 회전 또는 돌아가도 어류를 유인하는 인공미끼가 흐트러지거나 한 방향으로 쏠리지 않고 자연적으로 회동하여 제 위치에 정착하여 어류를 유인하는 복수의 양면 인공미끼와 회전미끼를 이용한 어류 유인 회전 인공미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류를 잡기 위한 수단으로 다양한 미끼가 있으며 미끼를 이용하여 통발이나 어망 그리고 낚시로 잡는다. 어류의 종류나 잡는 방법과 그물의 모양에 따라 통발. 어망으로 나뉘며 통발은 원통형이나 사각형 돔 형태의 형상이 대부분이며 어류를 유인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미끼는 물고기를 토막낸 것이나 애기고기 떡밥 향이 나는 밑밥 등을 사용하며 정면이나 측면에 1개 이상의 유인구가 형성되어 위의 미끼를 이용하여 어류를 유인하여 포획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포획방법은 미끼를 바늘에 끼우거나 작은 미끼그물망에 넣거나 실로 묶어 통발이나 어망에 설치하였다. 그러나 통발을 바다에 침하시키면 미끼가 조류에 능동적으로 대응이 되지 않았으며 통발의 방향이 뒤집어지면 미끼가 고정이 되지 않고 흐트러져 원래의 자리를 이탈하며 또한 자주 미끼를 갈아 끼워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 인력소모가 많이 있었다. 그리고 생미끼와 떡밥은 환경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미끼는 어류를 내부로 유인하기 위하여 생미끼를 사용함에 따라 인건비와 생미끼의 구매비용이 추가소비됨으로써, 어부들의 소득을 감소시키고, 어류를 대량 포획하기 위하여 다수의 통발을 바다에 설치함에 따라 통발 내부에 투입된 생미끼가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미끼가 통발과 어망 안의 제 위치에 있지 않고 조류나 통발의 방향에 따라 한곳으로 쏠리거나 흐트러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1288909 B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생미끼를 사용하지 않고도 다량의 어류를 유인하여 포획할 수 있도록 인공미끼를 사용하고, 인공미끼가 조류에 의해 자연스럽게 유동하며 또한 인공미끼와 흐트러지지 않는 어로용 인공 회전미끼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줄에 연결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의 전측에 연결되는 미끼거치대;와, 상기 미끼거치대에 설치되는 인공미끼;와, 상기 미끼거치대의 후측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몸체와 연결되어 조류에 의해 상기 미끼거치대가 상기 고정몸체에 대하여 회동이 이루어지는 회동수단;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어류의 특성을 이용하여 생미끼나 떡밥의 사용 없이 어류를 유인하여 포획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사용되던 미끼의 비용이 절감되어 어부의 소득을 증대시키며 생미끼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어류를 포획하는데 인력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인공 미끼를 대량 생산할 수 있어 다양한 어류를 포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어류의 크기와 종류 계절에 따라 다양한 인공미끼를 간단하게 갈아 끼울 수 있으며 또한 장기간 사용하므로 인력과 시간을 절감하고 통발이나 어망이 어떠한 조건이나 조류에도 인공미끼는 자체의 회전에 의해 항상 제자리의 정 방향에 회동되어 있으며 다량의 어류를 적은 인력으로 용이하게 포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인 어류 유인 회전 인공미끼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인 어류 유인 회전 인공미끼의 결합 구성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인 어류 유인 회전 인공미끼가 통발에 설치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어류 유인 회전 인공미끼가 낚시줄에 설치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어류 유인 회전 인공미끼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결합 구성단면도이다.
도 1과 2에서처럼 줄(7)에 연결되는 고정몸체(4)와, 상기 고정몸체(4)의 전측에 연결되는 미끼거치대(10)와, 상기 미끼거치대에 설치되는 인공미끼(2)와, 상기 미끼거치대(10)와 상기 고정몸체(4) 사이에 연결되어 조류에 의해 상기 미끼거치대(10)가 상기 고정몸체(4)에 대하여 회동이 이루어지는 회동수단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몸체(4)는 판으로 형성되며 줄(7)과 연결되어 어망이나 그물 본체에 연결될 수 있다.
미끼거치대(10)는 상기 고정몸체(4)의 전측에 위치하며 인공미끼(2)를 장착할 수 있는 거치대이고, 미끼거치대(10)의 전측에는 양방향으로 인공미끼(2)가 설치된다.
인공미끼(2)는 지렁이나 새우, 애기고기 등의 어류 미끼형상으로 구성되어 물고기를 유인할 수 있다.
그리고, 회동수단은 인공미끼(2)가 장착되는 미끼거치대(10)를 고정몸체(4)에 연결할 수 있는 장치이다.
회동수단이 설치됨으로써 미끼거치대(10)는 고정몸체(4)에 대하여 좌,우방향과 상,하 방향 또는 회전이 자유롭게 되는데 상세한 구성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회동수단은 상기 미끼거치대(10)의 후면중앙에는 볼트(3)가 설치되고, 볼트(3)는 고정몸체(4)의 중앙에 관통 형성되는 회전구멍(5)에 끼워지며, 회전구멍(5)을 통과한 볼트(3)는 너트(8)에 의해 잠그는 것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구멍(5)의 직경은 상기 볼트(3)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유격을 가지며 조류에 의해 미끼거치대(10)의 회동이 자유롭게 됨으로써 미끼거치대(10)에 장착된 인공미끼(2)도 연동되어 유격된 거리만큼 일정각도 회전이 되게 된다.
상기 미끼거치대(10)가 고정몸체(4)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수단은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단하게 미끼거치대에는 둥근볼이 형성되게 하고 고정몸체에는 둥근볼을 수용하는 삽입구가 형성되어 상호 결합에 의해 볼조인트 형상으로 하여 자유자재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미끼거치대(10)는 하부의 자중이 상부보다 무겁도록 구성되어 중력에 의해 항상 원래의 제자리로 회동되며 인공미끼(2)는 복수의 마리로 양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항상 조류를 따라 생동감 있게 움직일 수 있다.
자세하게 미끼거치대(10)의 하부 쪽을 상부 쪽을 6;4정도 약간 두껍게 제작하여 무게중심을 하부에 두어 무겁게 한다. 이는 미끼거치대(10)가 조류의 움직임과 동시에 자중에 의해 원위치로 회동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어류의 눈은 근시로 먼 곳의 물체를 잘 보지 못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넓은 시야를 가지며 이를 통해 천적이나 먹이를 용이하게 발견한다
이에 따라 복수의 모형유인 인공미끼(2)를 멀리서도 쉽게 볼 수 있게 횡대로 복수로 설치하여 미끼로 오인하여 유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면과 후면의 양면의 인공미끼(2)가 횡대로 설치되는 것은 인공미끼(2)가 주변 환경에 융화될 뿐 아니라 생동감이 유지되어 어류를 더욱 효과적으로 유인하며 이 방법은 어류의 근시 즉 넓은 시야를 보는 어류의 특성을 이용한 것이다.
상기의 인공미끼(2)를 회전 또는 회동할 수 있도록 고정시키는 고정몸체(4)는 통발의 본체에 튼튼한 줄(7)로 고정몸체(4)에 양쪽의 줄구멍에 끼워서 어망의 본체 양쪽에 줄(7)로 묶어 인공미끼(2)가 필요 한곳에 위치하도록 고정하여 인공미끼(2)가 제자리에서 유동하고 이격하여 어류를 유인할 수 있게 설치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각종 어류를 유인하고 포획하기 위하여 어망이나 통발 본체의 유인구나 중심에 설치하는 것이다.
이때 복수의 모형 인공미끼(2)는 조류에 의하여 좌. 우 상.하 전. 후 방향으로 생동감 있게 항상 움직이며 미세한 조류에도 항상 움직이며 어류를 유인한다.
즉 어류가 본체의 유입구에 가까이 오면 고정몸체(4)의 회전구멍(5)의 유격에 의하여 인공미끼(2)의 무게중심과 조류에 항상 생동감 있게 회동하므로 어류를 쉽게 유인한다.
또한 어류의 크기와 종류 계절 환경에 따라 인공미끼(2)의 모형과 크기 종류도 다양하게 생산하여 교체할 수 있으며 현재 사용 중인 어망이나 통발에도 쉽게 설치할 수 있어 어떠한 어류에도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어획량을 높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어류 유인 회전 인공미끼가 통발에 설치된 예시도이다. 도 3에서는 어류 유인 회전 인공미끼를 통발 내에 본체(1) 설치 고정하였다.
그리고 포획된 어류는 활어 상태로 상처 입지 않고 어획하므로 상품의 가치를 높이고 다양한 종류의 통발이나 어망에 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모형 인공미끼만을 사면으로 만들어 설치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어류유인 회전 인공미끼(2)는 종래의 통발에 사용되던 생미끼를 사용하지 않고 다량의 어류를 유인하여 포획할 수 있으며 생미끼에 의한 환경오염도 방지할 수 있고 한번 설치한 인공미끼(2)를 장기간 사용하므로 인력절감과 시간을 절약하여 부가가치를 높여서 소득을 증대시키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어류 유인 회전 인공미끼가 낚시줄에 설치된 예시도이다. 도 4에서는 인공미끼(2)의 상측에는 낚시줄(11)과 연결되고, 인공미끼(2)의 하측에는 낚시 바늘(9)이 형성되게 하여 실시하였다. 즉 인공미끼(2)에 의해 유인된 물고기를 잡을 수 있도록 낚시 바늘(9)이 형성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변형 및 변환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명백할 것이다.
1: 본체 2: 인공미끼
3: 볼트 4: 고정몸체
5: 회전구멍 7: 줄
8: 너트 9: 낚시 바늘
10: 미끼거치대

Claims (6)

  1. 줄(7)에 연결되는 고정몸체(4);와,
    상기 고정몸체(4)의 전측에 연결되는 미끼거치대(10);와,
    상기 미끼거치대에 설치되는 인공미끼(2);와,
    상기 미끼거치대(10)의 후측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몸체(4)와 연결되어 조류에 의해 상기 미끼거치대(10)가 상기 고정몸체(4)에 대하여 회동이 이루어지는 회동수단;이 포함되며,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고정몸체(4)에 관통 형성된 회전구멍(5)과, 상기 미끼거치대(10)의 후면에 상기 회전구멍(5)으로 삽입되는 볼트(3)와, 상기 볼트(3)의 단부에 체결되는 너트(8)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구멍(5)의 직경은 상기 볼트(3)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유격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유인 회전 인공미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끼거치대(10)는,
    무게중심이 하측에 위치하도록 하측이 상측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어 자중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유인 회전 인공미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미끼(2)는,
    상기 미끼거치대(1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유인 회전 인공미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4)는 어망이나 통발의 본체 내부에 상기 줄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유인 회전 인공미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미끼(2)에는 낚시 바늘(9)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유인 회전 인공미끼.
KR1020150088470A 2015-06-22 2015-06-22 어류 유인 회전 인공미끼 KR101747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8470A KR101747524B1 (ko) 2015-06-22 2015-06-22 어류 유인 회전 인공미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8470A KR101747524B1 (ko) 2015-06-22 2015-06-22 어류 유인 회전 인공미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50452A KR20160150452A (ko) 2016-12-30
KR101747524B1 true KR101747524B1 (ko) 2017-06-16

Family

ID=57737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8470A KR101747524B1 (ko) 2015-06-22 2015-06-22 어류 유인 회전 인공미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75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1192B1 (ko) * 2019-10-04 2020-01-29 송태원 곡류와 해양생물을 이용한 접착식 미끼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6595B2 (ja) * 1995-09-27 2001-08-06 日本電気株式会社 音声符号化装置
JP2003289760A (ja) 2002-04-04 2003-10-14 Johshuya Co Ltd ルア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909B1 (ko) 2011-06-29 2013-07-29 송태원 어로용 통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6595B2 (ja) * 1995-09-27 2001-08-06 日本電気株式会社 音声符号化装置
JP2003289760A (ja) 2002-04-04 2003-10-14 Johshuya Co Ltd ルア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50452A (ko) 2016-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38791A (en) Fishing lure
KR102099046B1 (ko) 낚시용 인조미끼
US20190104712A1 (en) Fishing Accesory for Lures
KR101144267B1 (ko) 평행한 이중의 바늘허리가 구비되는 루어낚시용 지그헤드
US11399524B2 (en) Multi-facet lure
US20110094144A1 (en) Self baiting fishing rig and method of fishing
US20100083560A1 (en) Snag-proof multi-purpose fishing tackle
KR200473123Y1 (ko) 상하 바늘을 갖는 문어 포획용 낚시 어구
US20100229453A1 (en) Jig head with a rattle
KR101747524B1 (ko) 어류 유인 회전 인공미끼
KR101453990B1 (ko) 조식동물 포획을 위한 유인장치
US20100313463A1 (en) Stinger Spinner Jig
KR20150140065A (ko) 어식성 물고기 포획용 작살의 유인용 음향발생장치
JP2016214214A (ja) 漁撈用の筌
US20210000094A1 (en) Fishing Lure with Spinning Device
US20110239521A1 (en) Compact Fake Bait Structure
KR101288909B1 (ko) 어로용 통발
US20180055024A1 (en) Buzz Bait
US20140182188A1 (en) Motorized fishing pole
KR20190000756U (ko) 집어등과 반사부를 가진 낚시용 루어
CN2418680Y (zh) 鱼饵构造
Stavenow et al. What attracts Baltic sea grey seals to seal-safe cod pots and when do they attempt to attack fish in the pots?
CN212260210U (zh) 一种节肢动物仿生假饵
RU181025U1 (ru) Блесна-незацепляйка
CN212969790U (zh) 具有鱼饵投放功能的影像采集装置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