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9245A -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및 사물 인터넷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및 사물 인터넷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9245A
KR20160109245A KR1020150033311A KR20150033311A KR20160109245A KR 20160109245 A KR20160109245 A KR 20160109245A KR 1020150033311 A KR1020150033311 A KR 1020150033311A KR 20150033311 A KR20150033311 A KR 20150033311A KR 20160109245 A KR20160109245 A KR 20160109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ysical resource
computing device
iot
iot device
phys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3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5822B1 (ko
Inventor
김성진
홍우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3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5822B1/ko
Priority to US15/001,228 priority patent/US10382928B2/en
Publication of KR20160109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9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5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5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74Peer-to-peer [P2P] networks for supporting data block transmission mechanisms
    • H04L67/1076Resource dissemination mechanisms or network resource keeping policies for optimal resource availability in the overlay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Abstract

IoT 시스템의 컴퓨팅 디바이스가 IoT 디바이스로부터 IoT 디바이스의 물리적 자원의 사용 여부를 지시하는 지시 신호를 수신하고, 지시 신호에 기초하여서 물리적 자원이 사용 중인지를 판단한다. 물리적 자원이 사용 중이지 않은 경우, 컴퓨팅 디바이스가 IoT 디바이스의 물리적 자원을 사용한다.

Description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및 사물 인터넷 통신 방법{internet of things device AND internet of things communication method}
아래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및 사물 인터넷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에서 컴퓨팅 디바이스는 다양한 IoT 디바이스를 공유하고 활용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디바이스는 기지국을 통해 IoT 디바이스에 연결될 수도 있지만, 블루투스(BluetoothTM) 등의 방법으로 컴퓨팅 디바이스가 IoT 디바이스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현재 블루투스는 디바이스 사이의 연결 방법으로 페어링(paring) 기반 방법, 연결 기반 방법 등의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페어링 기반 방법에서는 IoT 디바이스가 컴퓨팅 디바이스와 페어링을 통해 우선 디바이스를 설정한다. IoT 디바이스가 페어링을 통해 어떤 컴퓨팅 디바이스를 우선 연결자로 선정하면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는 IoT 디바이스에서 페어링 해제 과정을 수행하기 전까지는 IoT 디바이스에 접속이 불가능하다. 연결 기반 방법에서는, IoT 디바이스가 컴퓨팅 디바이스와 연결이 된 상태에서 연결이 해제되기 전까지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는 IoT 디바이스에 연결할 수 없다. 따라서 IoT 디바이스에 컴퓨팅 디바이스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컴퓨팅 디바이스가 IoT 디바이스의 물리적 자원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가 IoT 디바이스의 물리적 자원을 사용할 수 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컴퓨팅 디바이스가 IoT 디바이스의 물리적 자원의 사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IoT 시스템의 IoT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상기 IoT 디바이스는 컴퓨팅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로 상기 IoT 디바이스의 물리적 자원의 사용 여부를 지시하는 지시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물리적 자원이 사용 중이지 않은 경우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물리적 자원을 통해 수행될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로 상기 물리적 자원의 사용 여부를 문의하는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서 상기 지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와 연결된 후에 상기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요청 신호는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로부터 방송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지시 신호를 방송할 수 있다.
상기 지시 신호는 소정 대역의 사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정 대역은 비가청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IoT 디바이스와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 사이의 연결과 다른 연결을 통해 상기 지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연결은, 상기 IoT 디바이스와 상기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 사이에 형성된 채널과 동일한 채널에서의 다른 연결, 상기 IoT 디바이스와 상기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 사이에 형성된 링크와 동일한 링크에서의 다른 채널 또는 상기 IoT 디바이스와 상기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 사이에 형성된 링크와 다른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시 신호는 상기 IoT 디바이스 또는 상기 물리적 자원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소정의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블루투스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물리적 자원은 상기 IoT 디바이스의 출력 자원 또는 상기 IoT 디바이스의 입력 자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리적 자원은 상기 IoT 디바이스의 컴퓨팅 자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리적 자원은 상기 IoT 디바이스의 무선 통신 자원이 아닐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에서, 프로세서는 복수의 컴퓨팅 디바이스의 우선 순위를 등록하며, 우선 접속 디바이스로 등록된 제1 컴퓨팅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IoT 디바이스의 물리적 자원의 사용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물리적 자원의 현재 사용 여부와 관계 없이 상기 제1 컴퓨팅 디바이스의 상기 물리적 자원의 사용을 승인한다.
상기 IoT 디바이스에 차선 접속 디바이스로 등록된 제2 컴퓨팅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IoT 디바이스의 물리적 자원의 사용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물리적 자원이 사용되고 있으면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의 상기 물리적 자원의 사용을 거부할 수 있다.
상기 물리적 자원이 사용되고 있지 않으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의 상기 물리적 자원의 사용을 승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디바이스의 물리적 자원 사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컴퓨팅 디바이스로 상기 IoT 디바이스의 물리적 자원의 사용 여부를 알리는 단계, 그리고 상기 물리적 자원이 사용 중이지 않은 경우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물리적 자원을 통해 수행될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물리적 자원의 사용 여부를 문의하는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리적 자원의 사용 여부를 알리는 단계는, 상기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물리적 자원의 사용 여부를 지시하는 지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시 신호는 상기 물리적 자원이 사용 중이지 않음을 지시하고, 상기 물리적 자원의 사용 여부를 알리는 단계는 상기 물리적 자원이 사용 중인 경우에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로 상기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을 송신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물리적 자원이 사용 중임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물리적 자원의 사용 여부를 문의하는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물리적 자원의 사용 여부를 알리는 단계는, 상기 물리적 자원이 사용 중인 경우에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로 상기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을 송신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물리적 자원이 사용 중임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리적 자원의 사용 여부를 알리는 단계는, 상기 물리적 자원이 사용 중인 경우에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로 상기 IoT 디바이스와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 사이의 연결 불허를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리적 자원의 사용 여부를 알리는 단계는, 상기 물리적 자원이 사용 중이지 않은 경우에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로 상기 IoT 디바이스와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 사이의 연결 승인을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방송되는, 상기 물리적 자원의 사용 여부를 문의하는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리적 자원의 사용 여부를 알리는 단계는, 상기 물리적 자원의 사용 여부를 지시하는 지시 신호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리적 자원의 사용 여부를 알리는 단계는, 상기 물리적 자원이 사용 중이지 않은 경우에 지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팅 디바이스로부터 IoT 디바이스의 물리적 자원의 사용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우선 접속 디바이스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우선 접속 디바이스인 경우, 상기 물리적 자원의 현재 사용 여부와 관계 없이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의 상기 물리적 자원의 사용을 승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물리적 자원이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물리적 자원이 사용되고 있는 경우, 상기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의 물리적 자원 점유를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팅 디바이스가 IoT 디바이스의 물리적 자원의 사용 상태를 확인해서, 사용되고 있지 않는 물리적 자원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한 실시예에 따른 IoT 시스템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한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디바이스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한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한 실시예에 따른 IoT 통신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IoT 통신 방법에서 임시 연결의 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1은 각각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IoT 통신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IoT 시스템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한 실시예에 따른 중개 서버의 물리적 자원 사용 상태 관리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실제로 구현된 형태로 여러 가지로 상이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한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시스템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은 가능한 시스템의 한 예이며, 실시예는 다른 다양한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한 실시예에 따른 IoT 시스템(100)은 IoT 디바이스(111, 112, 113)를 포함한다. IoT 디바이스는 다른 디바이스를 위해 자신의 컴퓨팅 자원을 제공할 수 있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IoT 디바이스는 다양한 유형의 컴퓨팅 디바이스의 주변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양한 유형의 주변 디바이스는 한정되지 않는 예로서 스피커(111), 프린터(112), 카메라(11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IoT 디바이스는 다양한 유형의 가전 기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양한 유형의 가전 기기는 한정되지 않는 예로서 텔레비전, 냉장고, 에어콘, 식기세척기, 세탁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IoT 디바이스는 컴퓨팅 디바이스일 수 있다.
IoT 시스템(100)은 IoT 디바이스(111, 112, 113)에 연결하여 IoT 디바이스(111, 112, 113)의 물리적 자원을 사용할 수 있는 컴퓨팅 디바이스(121, 122)를 더 포함한다. 어떤 실시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는 다양한 유형의 단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양한 유형의 단말은 한정되지 않는 예로서 스마트폰(smartphone)과 같은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랩톱 컴퓨터(laptop computer), 데스크톱 컴퓨터(desktop computer), 스마트 시계(smart watch),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121, 122)는 무선 접속 기술을 통해 IoT 디바이스(111, 112, 113)에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무선 접속 기술은 IEEE 802.15.1 등을 통해 표준화되고 있는 무선(wireless) 개인 영역 네트워크(personal area network, PAN)일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무선 접속 기술은 무선 PAN의 블루투스(BluetoothTM)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 접속 기술은 IEEE 802.11 등을 통해 표준화되고 있는 무선랜(wireless LAN) 또는 와이파이 얼라이언스(WiFi Alliance)를 통해 표준화되고 있는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 접속 기술은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한 연결을 제공하는 다른 기술일 수 있다.
도 2는 한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디바이스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며, 도 3은 한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입출력(input/output, I/O) 인터페이스(220)에 연결된 프로세서(210)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다양한 실시예를 구현하는 기능을 제공하거나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물리적인 프로세서일 수 있다. 물리적인 프로세서는 한정되지 않는 예로서 범용 프로세서 및/또는 특수 프로세서일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한정되지 않는 예로서 복합 명령어 세트 컴퓨팅(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ing, CISC) 마이크로프로세서, 간단 명령어 세트 컴퓨팅(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ing, RISC)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매운 긴 명령어(very long instruction word, VLIW)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특수 프로세서는 한정되지 않는 예로서 응용 특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 그래픽 처리 유닛(graphic processing unit, GPU) 등일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I/O 인터페이스(220)에 연결된 메모리(230), 표시 장치(240), 입력 장치(250) 및/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60)를 더 포함한다.
메모리(230)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휘발성 메모리 장치,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또는 이차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한정되지 않는 예로서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정적 RAM(static RAM, SRAM), 동기식 동적 RAM(synchronous dynamic RAM, SDRAM), 램버스 동적 RAM(Rambus dynamic RAM, RDRAM) 등의 RAM 유형의 메모리일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한정되지 않는 예로서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프로그램 가능한 ROM(programmable ROM, PROM) 삭제 가능한 PROM(erasable PROM, EPROM), 전기적으로 삭제 가능한 PROM(electrically erasable ROM, EEPROM) 등의 ROM 유형의 메모리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이차 메모리 장치는 자기 또는 광학 디스크 유형의 메모리일 수 있다.
메모리(230)는 아래에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명령어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명령어는 프로세서(2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명령어가 메모리(230) 중 이차 메모리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프로세서(210)에 의해 실행되기 위해서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로드되어 저장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서버 등의 기록 매체로부터 무선 또는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된 명령어 및/또는 데이터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50)를 거쳐 메모리(230)에 저장될 수 있다.
표시 장치(240)는 영상을 표시하며,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은 한정되지 않는 예로서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또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패널 등일 수 있다.
입력 장치(250)는 키보드 또는 키패드, 포인팅 장치 및/또는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표시부(240)와 중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60)는 네트워크를 통해 IoT 디바이스 및/또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것으로,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 및/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60)는 한정되지 않는 예로서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각 블록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장치(270)를 더 포함한다.
도 3을 참고하면, IoT 디바이스(300)는 I/O 인터페이스(320)에 연결된 프로세서(310)를 포함한다. 어떤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10)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다양한 실시예를 구현하는 기능을 제공하거나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물리적인 프로세서일 수 있다. 물리적인 프로세서는 한정되지 않는 예로서 범용 프로세서 및/또는 특수 프로세서일 수 있다.
IoT 디바이스(300)는 I/O 인터페이스(320)에 연결된 메모리(33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40)를 더 포함한다. 메모리(33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40)는 도 2의 메모리(23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40)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IoT 디바이스(300)는 해당 디바이스에서 제공하는 물리적 자원(350)을 더 포함한다. 어떤 실시예에서 물리적 자원(350)은 출력 및/또는 입력 자원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자원은 한정되지 않는 예로서 스피커 자원, 표시 자원, 또는 프린팅 자원일 수 있으며, 입력 자원은 한정되지 않는 예로서 마이크 자원, 센싱 자원 또는 카메라 모듈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IoT 디바이스의 프로세서(310) 및/또는 메모리(330)와 같은 컴퓨팅 자원도 물리적 자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물리적 자원(350)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한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무선 통신 자원은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IoT 디바이스(300)는 각 블록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장치(360)를 더 포함한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IoT 시스템(100)에서 컴퓨팅 디바이스(예를 들면 121)가 IoT 디바이스(111, 112, 113)의 물리적 자원을 사용하려고 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컴퓨팅 디바이스(121)가 스피커(111)에 연결하여서 스피커(111)의 물리적 자원을 통해 사운드를 출력하려고 할 수 있다.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121)가 프린터(112)에 연결하여서 프린터(112)의 물리적 자원을 통해 문서를 출력하려고 하거나, 카메라(113)에 연결하여서 카메라(113)의 물리적 자원을 통해 주변을 촬영하려고 할 수 있다. 또는 랩톱 컴퓨터와 같은 컴퓨팅 디바이스(121)가 스마트폰에 연결하여서 스마트폰의 물리적 자원 중 하나인 조도 센서를 통해 주변의 밝기를 측정하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IoT 디바이스(예를 들면 111)의 물리적 자원을 다른 디바이스가 점유하고 있는 경우, 컴퓨팅 디바이스(121)가 IoT 디바이스(111)의 해당 물리적 자원을 사용할 수 없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디바이스가 IoT 디바이스(111)의 물리적 자원을 사용하고 있지는 않지만 IoT 디바이스(111)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컴퓨팅 디바이스(121)가 IoT 디바이스(111)의 해당 물리적 자원을 사용할 수 없을 수도 있다.
아래에서는 컴퓨팅 디바이스(121)가 IoT 디바이스(111)의 물리적 자원의 사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한 실시예에 따른 IoT 통신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한 IoT 통신 방법에서 임시 연결의 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IoT 디바이스(111)의 물리적 자원을 사용하고자 하는 컴퓨팅 디바이스(121)는 IoT 디바이스(111)에 임시로 연결하고(S410), IoT 디바이스(111)로 물리적 자원의 사용을 요청 또는 물리적 자원 사용 여부를 질의하는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한다(S420). 어떤 실시예에서, 요청 신호는 사용하려고 하는 물리적 자원을 지시하는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복수의 물리적 자원을 가지는 IoT 디바이스의 경우 해당 식별자를 통해 지시된 물리적 자원이 사용 중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IoT 디바이스(111)는 요청 신호를 통해서 요청받은 물리적 자원이 현재 사용되고 있는지를 판단하고(S430),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물리적 자원의 사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지시 신호를 생성하여 컴퓨팅 디바이스(121)로 전송한다(S440). 한 실시예에서 지시 신호는 IoT 디바이스의 식별자 및/또는 물리적 자원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지시 신호는 IoT 디바이스 및/또는 물리적 자원을 지시하는 고유한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IoT 디바이스(111)는 전원 공급 장치(360)에서 물리적 자원(350)으로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지에 기초해서 해당 물리적 자원의 사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IoT 디바이스(111)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40)을 통해 물리적 자원(350)에서 수행될 데이터가 수신되고 있는지에 기초해서 해당 물리적 자원의 사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IoT 디바이스(111)는 물리적 자원(350)이 사용되고 있는지를 메모리(330)에 기록하고, 메모리(330)에 기록된 정보에 기초해서 물리적 자원의 사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IoT 디바이스(111)의 프로세서(310)에서 직접 물리적 자원의 사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지시 신호가 물리적 자원이 사용 중인 것으로 지시하는 경우(S450), 컴퓨팅 디바이스(121)는 IoT 디바이스(111)와의 임시 연결을 해제하고(S460), 다른 IoT 디바이스를 탐색한다(S462). 어떤 실시예에서 물리적 자원이 사용 중인 경우 IoT 디바이스(111)는 지시 신호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컴퓨팅 디바이스(121)는 소정 시간 내에 지시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IoT 디바이스(111)의 물리적 자원이 사용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지시 신호가 물리적 자원이 사용 중이지 않은 것으로 지시하는 경우(S450), 컴퓨팅 디바이스(121)는 IoT 디바이스(111)와의 임시 연결을 해제하고(S470), IoT 디바이스(111)에 정식으로 연결하여 해당 물리적 자원을 점유한다(S472). 다음 IoT 디바이스의 물리적 자원을 통해 수행할 데이터를 IoT 디바이스로 전송한다(S474). 예를 들면 물리적 자원이 스피커 자원인 경우, 컴퓨팅 디바이스(121)는 IoT 디바이스(111)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121)은 다른 종류의 물리적 자원을 지원할수 있는 IoT 디바이스(113)와 연결할 수 있고, 컴퓨팅 디바이스(121)와 IoT 디바이스(113)는 서로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컴퓨팅 디바이스(121)는 IoT 디바이스(111)의 물리적 자원의 사용 여부에 대해서 질의한 후에, 물리적 자원이 사용되고 있는 경우 IoT 디바이스(111)와의 임시 연결을 해제하므로, 컴퓨팅 디바이스(121)와 IoT 디바이스(111)의 연결에 사용되는 무선 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21)는 IoT 디바이스로(111)부터 직접 물리적 자원의 사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으므로, IoT 디바이스(111)의 물리적 자원의 사용 여부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단계 S420의 임시 연결은 블루투스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IoT 디바이스(111)에 이미 다른 디바이스가 블루투스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컴퓨팅 디바이스(121)는 IoT 디바이스(111)와 다른 디바이스 사이에서 예약된 타임 슬롯 이외의 구간에서 IoT 디바이스(111)에 임시로 연결하여 요청 신호와 지시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루투스는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서 동기식 연결 지향형(synchronized connection-oriented, SCO) 링크를 사용할 수 있다. SCO 링크는 규칙적인 간격에서 예약된 타임 슬롯을 사용하여서 유지될 수 있다. HV3 패킷을 사용하는 SCO 링크에서는,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각각 625㎲의 송신 타임 슬롯(TS)과 수신 타임 슬롯(RS)이 반복되는 3.75㎳의 SCO 구간의 1.25㎳를 점유하고 있다. 따라서 IoT 디바이스(111)는 SCO 구간 중 625㎲의 송신 타임 슬롯(TS)에서 이미 연결된 다른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SCO 구간 중 625㎲의 수신 타임 슬롯(RS)에서 이미 연결된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SCO 구간에서 남아 있는 2.5㎳의 휴지 구간은 이미 연결된 다른 디바이스를 위해 예약되지 않았으므로, 컴퓨팅 디바이스(121)가 휴지 구간 동안 IoT 디바이스(111)에 임시로 연결하여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임시 연결은 이와 같이 시차를 달리하여 동일 채널을 사용할 수도 있고 다른 채널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IoT 디바이스(111)에 이미 다른 디바이스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임시 연결은 IoT 디바이스(111)와 다른 디바이스 사이의 연결과 다른 연결일 수 있다. 이때, 다른 연결은 IoT 디바이스(111)와 다른 디바이스 사이에 형성된 채널과 동일한 채널에서의 다른 연결, IoT 디바이스(111)와 다른 디바이스 사이에 형성된 링크와 동일한 링크에서의 다른 채널 또는 IoT 디바이스(111)와 다른 디바이스 사이에 형성된 링크와 다른 링크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임시 연결은 IoT 디바이스(111)의 물리적 자원 사용 여부를 통지하기 위해서 할당된 채널을 통한 연결일 수 있다.
지시 신호로서 IoT 디바이스(111)는 고유한 패턴을 가지는 응답을 송출할 수 있다(S440). 예를 들면, IoT 디바이스(111)에서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 특정 대역의 사운드에 자신의 시그너처(signature)를 넣어서 송출할 수 있다. 특정 대역의 사운드에 사람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특정 대역으로 비가청 대역이 사용될 수 있다. 비가청 대역은 20 MHz에서 20000 MHz 범위의 가청 대역 이외의 대역일 수 있다. 이 경우, 컴퓨팅 디바이스(121)는 요청 신호를 송신한 후에(S420), IoT 디바이스(111)로부터의 사운드를 수신할 수 있도록 마이크로폰과 같은 사운드 입력 장치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서, IoT 디바이스(111)가 발광 소자, 예를 들면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를 포함하는 경우, 발광 소자의 점멸 방식으로 고유한 패턴을 가지는 응답을 송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컴퓨팅 디바이스(121)는 발광 소자의 점멸을 인식할 수 있도록 카메라 등의 영상 수신 장치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IoT 디바이스(111)가 표시부를 포함하는 경우, 표시부에 고유한 패턴에 대응하는 바코드 또는 QR(quick response) 코드를 출력함으로써 응답을 송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컴퓨팅 디바이스(121)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인식할 수 있도록 카메라 등의 영상 수신 장치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IoT 디바이스(111)은 무선 PAN 디바이스 사이에서 사용되는 소정의 신호를 고유한 패턴에 대응하는 응답으로 송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른 디바이스가 이미 IoT 디바이스(111)에 연결되어 있지만 물리적 자원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임시 연결을 통해 물리적 자원이 사용되고 있지 않는 IoT 디바이스(111)를 활용할 수 있으므로, 유휴 IoT 디바이스의 활용률을 높일 수 있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IoT 통신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IoT 디바이스(111)의 물리적 자원을 사용하고자 하는 컴퓨팅 디바이스(121)는 IoT 디바이스에 연결하고(S610), IoT 디바이스(111)로 물리적 자원의 사용을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한다(S620). 어떤 실시예에서, IoT 디바이스(111)에 이미 다른 디바이스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IoT 디바이스(111)와 다른 디바이스 사이에 형성된 채널과 동일한 채널에서의 다른 연결을 통해 컴퓨팅 디바이스(121)는 IoT 디바이스(111)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IoT 디바이스(111)와 다른 디바이스 사이에 형성된 링크와 동일한 링크에서의 다른 채널을 통해 컴퓨팅 디바이스(121)는 IoT 디바이스(111)에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IoT 디바이스(111)와 다른 디바이스 사이에 형성된 링크와 다른 링크를 통해 컴퓨팅 디바이스(121)는 IoT 디바이스(111)에 연결될 수 있다.
IoT 디바이스(111)는 요청 신호를 통해서 요청받은 물리적 자원이 현재 사용되고 있는지를 판단하고(S630),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물리적 자원의 사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지시 신호를 생성하여 컴퓨팅 디바이스(121)로 전송한다(S640).
지시 신호가 물리적 자원이 사용 중인 것으로 지시하는 경우(S650), 컴퓨팅 디바이스(121)는 IoT 디바이스(111)와의 연결을 해제하고(S660), 다른 IoT 디바이스를 탐색한다(S662). 지시 신호가 물리적 자원이 사용 중이지 않은 것으로 지시하는 경우(S650), 컴퓨팅 디바이스(121)는 IoT 디바이스(111)의 물리적 자원을 점유하고 해당 물리적 자원을 통해 수행할 데이터를 IoT 디바이스(111)로 전송한다(S670).
이와 같이, 컴퓨팅 디바이스(121)는 임시 연결 절차 없이 IoT 디바이스(111)의 물리적 자원 사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물리적 자원의 사용 요청은 연결 절차에 통합될 수도 있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IoT 통신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IoT 디바이스(111)의 물리적 자원을 사용하고자 하는 컴퓨팅 디바이스(121)는 IoT 디바이스(111)로 연결을 요청한다(S710). 연결 요청을 수신한 IoT 디바이스(111)는 물리적 자원이 현재 사용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S720). 물리적 자원이 현재 사용 중인 경우(S720), IoT 디바이스(111)는 컴퓨팅 디바이스(121)의 인증이 실패한 것으로 가정하고 컴퓨팅 디바이스(121)로 연결 불허를 통지한다(S730). 물리적 자원이 현재 사용 중이지 않은 경우(S720), IoT 디바이스(111)는 컴퓨팅 디바이스(121)의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가정하고 컴퓨팅 디바이스(121)로 연결 승인을 통지한다(S740). 이에 따라 연결이 설정되어 컴퓨팅 디바이스(121)는 물리적 자원을 점유하고 해당 물리적 자원을 통해 수행될 데이터를 IoT 디바이스(111)로 전송한다(S750).
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121)가 IoT 디바이스(111)로 연결을 요청하기 위해 전송하는 연결 요청 신호는 물리적 자원의 사용 요청을 지시하는 필드에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복수의 물리적 자원을 가지는 IoT 디바이스(111)의 경우 해당 필드를 통해 지시된 물리적 자원을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연결 요청 신호는 물리적 자원의 사용 요청을 지시하는 필드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IoT 디바이스(111)는 컴퓨팅 디바이스로(121)부터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연결 요청 신호를 물리적 자원의 사용 요청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연결 요청 신호는 IoT 디바이스로 인증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IoT 통신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IoT 디바이스(111)의 물리적 자원을 사용하고자 하는 컴퓨팅 디바이스(121)는 물리적 자원의 사용을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810). 어떤 실시예에서 요청 신호는 IoT 디바이스와의 연결 설정 없이 전송될 수 있다. 요청 신호는 한정되지 않는 예로서 방송 패킷 또는 비컨(beacon) 슬롯과 같은 방송 신호로 전송될 수 있다. 요청 신호는 사용하고자 하는 물리적 자원을 가지는 IoT 디바이스(111)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포함할 수도 있고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요청 신호는 사용하고자 하는 물리적 자원을 지시하는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요청 신호를 수신한 IoT 디바이스(111)는 물리적 자원이 현재 사용되고 있는지를 판단하고(S820), 물리적 자원의 사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을 전송한다(S830).
한 실시예에서 IoT 디바이스(111)는 응답을 방송 신호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IoT 디바이스(111)는 고유한 패턴을 가지는 응답을 송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IoT 디바이스(111)는 물리적 자원이 사용 중이지 않은 경우에만 응답을 송출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121)는 IoT 디바이스(111)로부터 응답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IoT 디바이스(111)의 물리적 자원이 사용 중인 것으로 판단하고, 다른 IoT 디바이스를 탐색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121)는 IoT 디바이스(111)로 소정 횟수만큼 요청 신호를 재전송한 후에도 응답을 수신하지 못하면, IoT 디바이스(111)의 물리적 자원이 사용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IoT 디바이스(111)로부터의 응답이 물리적 자원이 사용 중인 것으로 지시하는 경우(S840), 컴퓨팅 디바이스(121)는 다른 IoT 디바이스를 탐색한다(S850). 응답이 물리적 자원이 사용 중이지 않은 것으로 지시하는 경우(S840), 컴퓨팅 디바이스(121)는 IoT 디바이스(111)에 연결하여 IoT 디바이스(111)의 물리적 자원을 점유한 후(S860). 해당 물리적 자원을 통해 수행할 데이터를 IoT 디바이스(111)로 전송한다(S862).
이와 같이 임시 연결 절차 없이 방송 또는 사운드 송출 등의 방법으로 IoT 디바이스(111)의 물리적 자원의 사용 여부를 알릴 수 있다.
이상 질의/응답 절차를 통해 IoT 디바이스의 물리적 자원 사용 여부를 확인하는 실시예에서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질의 절차 없이 IoT 디바이스가 물리적 자원 사용 여부를 알려줄 수도 있다. 아래에서는 이러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 9 및 도 10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IoT 통신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고하면, IoT 디바이스(111)는 현재 자신의 물리적 자원의 사용 여부를 판단한다(S910). IoT 디바이스(111)는 물리적 자원의 사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지시 신호를 전송한다(S920). 한 실시예에서 지시 신호는 IoT 디바이스의 식별자 및/또는 물리적 자원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지시 신호는 IoT 디바이스(111) 및/또는 물리적 자원을 지시하는 고유한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지시 신호는 방송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지시 신호는 스피커 등을 통해 송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시 신호는 특정 대역의 사운드일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지시 신호는 주기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지시 신호를 수신한 컴퓨팅 디바이스(121)는 지시 신호가 IoT 디바이스(111)의 물리적 자원이 사용 중이지 않는 것을 지시하는 경우(S930), IoT 디바이스(111)에 연결하여 물리적 자원을 점유한 후(S940), 해당 물리적 자원을 통해 수행될 데이터를 IoT 디바이스(111)로 전송한다(S942). 지시 신호를 수신한 컴퓨팅 디바이스(121)는 지시 신호가 IoT 디바이스(111)의 물리적 자원이 사용 중인 것을 지시하는 경우(S930), 물리적 자원을 사용할 수 있을 때까지 대기한다(S950).
이와 같은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팅 디바이스(121)가 IoT 디바이스(111)로 질의하는 절차 없이 IoT 디바이스(111)의 물리적 자원의 사용 여부를 알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IoT 디바이스(111)는 현재 자신의 물리적 자원의 사용 여부를 판단한다(S1010). IoT 디바이스(111)는 물리적 자원이 사용 중이지 않은 경우(S1010), 물리적 자원이 사용 중이지 않다는 것을 지시하는 지시 신호를 전송한다(S1020). IoT 디바이스(111)는 물리적 자원이 사용 중인 경우(S1010), 지시 신호를 전송하지 않고 대기한다(S1025).
지시 신호를 수신한 컴퓨팅 디바이스(121)는 IoT 디바이스(111)의 물리적 자원이 사용 중이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IoT 디바이스(111)에 연결하여 물리적 자원을 점유한 후(S1030), 해당 물리적 자원을 통해 수행될 데이터를 IoT 디바이스(111)로 전송한다(S1040).
이와 같은 실시예에 따르면 IoT 디바이스(111)는 물리적 자원이 사용 중이지 않은 경우에만 이를 통보함으로써, 물리적 자원이 사용 중인 경우에 불필요하게 지시 신호를 전송하지 않아도 되므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한편, IoT 디바이스는 자신의 물리적 자원이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점유되어 있더라도, 특정 컴퓨팅 디바이스에 물리적 자원의 사용을 허락할 수도 있다. 아래에서는 이러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 11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도 11을 참고하면, IoT 디바이스(111)가 컴퓨팅 디바이스(121)로부터 물리적 자원의 사용 요청을 수신한다(S1110). IoT 디바이스(111)는 물리적 자원 사용을 요청한 컴퓨팅 디바이스(121)가 우선 접속 디바이스인지 차선 접속 디바이스인지를 판단한다(S1120). 요청한 컴퓨팅 디바이스(121)가 우선 접속 디바이스인 경우, IoT 디바이스는 물리적 자원이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어 점유되고 있는지에 관계 없이 컴퓨팅 디바이스(121)로 물리적 자원의 사용을 승인한다(S1140). 이때, IoT 디바이스(111)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물리적 자원이 사용되고 있는 경우, 해당 컴퓨팅 디바이스의 물리적 자원 점유를 해제한다(S1130). 다른 실시예에서, 도 11에 도시한 실시예와 달리, 물리적 자원의 사용 승인(S1140) 후에 물리적 자원 점유 해제(S1130)가 수행되거나, 물리적 자원 점유 해제(S1130)와 물리적 자원의 사용 승인(S1140)이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요청한 컴퓨팅 디바이스(121)가 차선 접속 디바이스인 경우, IoT 디바이스(111)는 물리적 자원이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점유되어 있는지 판단한다(S1150). 물리적 자원이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고 있지 않은 경우(S1150), IoT 디바이스(111)는 컴퓨팅 디바이스(121)로 물리적 자원의 사용을 승인한다(S1140). 물리적 자원이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경우(S1150), IoT 디바이스(111)는 물리적 자원의 사용을 거부한다(S1160).
물리적 자원의 사용 승인에 따라, 컴퓨팅 디바이스(121)는 IoT 디바이스(111)와 연결하여서 물리적 자원을 사용하기 위한 데이터를 IoT 디바이스(111)로 전송한다(S1170).
한편, 도 11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도 4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실시예에도 적용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121)가 우선 접속 디바이스인지 차선 접속 디바이스인지는 컴퓨팅 디바이스(121)와 IoT 디바이스(111)의 최초 연결 시에 IoT 디바이스에 등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컴퓨팅 디바이스(121)와 IoT 디바이스(111)가 블루투스로 연결되는 경우, 컴퓨팅 디바이스(121)와 IoT 디바이스(111)의 페어링(paring) 시에 컴퓨팅 디바이스(121)가 우선 접속 디바이스인지 차선 접속 디바이스인지에 대한 정보가 등록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121)가 우선 접속 디바이스인지 차선 접속 디바이스인지는 IoT 시스템을 관리하는 서버에 등록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IoT 디바이스(111)는 서버로부터 등록 정보를 다운로드받아서 저장하고 있거나, 컴퓨팅 디바이스(121)로부터 요청 신호를 수신했을 때 서버에 질의하여서 등록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IoT 시스템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IoT 시스템(1200)은 IoT 디바이스(111, 112, 113), 컴퓨팅 디바이스(121, 122) 및 중개 서버(130)를 포함한다. 중개 서버(130)는 IoT 디바이스(111, 112, 113)와 컴퓨팅 디바이스(121, 122)에 무선 접속 기술 및/또는 유선 접속 기술을 통해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중개 서버(130)는 IoT 시스템에 로컬하게 존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중개 서버(130)는 IoT 시스템이 연결된 클라우드 네트워크 상에 존재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IoT 시스템의 어떤 컴퓨팅 디바이스가 중개 서버(130)로 동작할 수도 있다.
중개 서버(130)는 각 IoT 디바이스(111, 112, 113)의 물리적 자원의 사용 상태를 관리한다. 아래에서는 도 13을 참고로 하여 중개 서버(130)의 물리적 자원의 사용 상태 관리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을 참고하면, 중개 서버(130)는 각 IoT 디바이스(111, 112, 113)로부터 자신의 물리적 자원의 사용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S1310), 수신한 정보를 등록한다(S1320). 한 실시예에서, 물리적 자원의 사용 상태에 대한 정보는 현재 물리적 자원이 사용 중인지 사용 중이 아닌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물리적 자원의 사용 상태에 대한 정보는 현재 물리적 자원이 사용 중인 경우 물리적 자원 사용의 종료 시간 또는 물리적 자원의 사용이 예약된 예약 시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중개 서버(130)가 컴퓨팅 디바이스(121)로부터 특정 IoT 디바이스(111)의 물적 자원의 사용 상태에 대한 질의를 수신하면(S1330), 중개 서버(130)는 해당 IoT 디바이스(111)의 물리적 자원의 사용 상태를 검색한다(S1340). 어떤 실시예에서, 질의는 IoT 디바이스(111)의 식별자 및/또는 물리적 자원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개 서버(130)는 질의에 대한 응답으로 검색 결과를 컴퓨팅 디바이스(121)로 전송한다(S1350). 검색 결과가 물리적 자원이 사용 중이지 않는 것을 지시하면, 컴퓨팅 디바이스(121)는 IoT 디바이스(111)로 해당 물리적 자원의 사용을 요청할 수 있다. 검색 결과가 물리적 자원이 사용 중인 것을 지시하는 경우 컴퓨팅 디바이스(121)는 다른 IoT 디바이스의 물리적 자원의 사용 상태를 중개 서버(130)로 다시 질의할 수 있다. 또는 검색 결과가 물리적 자원의 사용 종료 시간이나 예약 시간을 포함하는 경우, 컴퓨팅 디바이스(121)는 종료 시간이나 예약 시간이 경과한 후에 IoT 디바이스(111)로 해당 물리적 자원의 사용을 요청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컴퓨팅 디바이스(121)는 종료 시간이나 예약 시간이 경과한 후에 중개 서버(130)로 해당 물리적 자원에 대해서 다시 질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따르면 중개 서버(130)를 통해서 IoT 시스템의 IoT 디바이스의 물리적 자원 상태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개시된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포함한다.

Claims (28)

  1.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시스템의 IoT 디바이스로서,
    컴퓨팅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로 상기 IoT 디바이스의 물리적 자원의 사용 여부를 지시하는 지시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물리적 자원이 사용 중이지 않은 경우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물리적 자원을 통해 수행될 데이터를 수신하는 프로세서,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2. 제1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로 상기 물리적 자원의 사용 여부를 문의하는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서 상기 지시 신호를 송신하는 디바이스.
  3. 제2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와 연결된 후에 상기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디바이스.
  4. 제3항에서,
    상기 요청 신호는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로부터 방송되는 디바이스.
  5. 제2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지시 신호를 방송하는 디바이스.
  6. 제2항에서,
    상기 지시 신호는 소정 대역의 사운드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7. 제6항에서,
    상기 소정 대역은 비가청 대역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8. 제2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IoT 디바이스와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 사이의 연결과 다른 연결을 통해 상기 지시 신호를 송신하는 디바이스.
  9. 제8항에서,
    상기 다른 연결은, 상기 IoT 디바이스와 상기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 사이에 형성된 채널과 동일한 채널에서의 다른 연결, 상기 IoT 디바이스와 상기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 사이에 형성된 링크와 동일한 링크에서의 다른 채널 또는 상기 IoT 디바이스와 상기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 사이에 형성된 링크와 다른 링크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10. 제2항에서,
    상기 지시 신호는 상기 IoT 디바이스 또는 상기 물리적 자원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11. 제10항에서,
    상기 정보는 소정의 패턴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12. 제2항에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블루투스 연결을 제공하는 디바이스.
  13. 제2항에서,
    상기 물리적 자원은 상기 IoT 디바이스의 출력 자원 또는 상기 IoT 디바이스의 입력 자원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14. 제2항에서,
    상기 물리적 자원은 상기 IoT 디바이스의 컴퓨팅 자원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15. 제2항에서,
    상기 물리적 자원은 상기 IoT 디바이스의 무선 통신 자원이 아닌 디바이스.
  16.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시스템의 IoT 디바이스로서,
    복수의 컴퓨팅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기 복수의 컴퓨팅 디바이스의 우선 순위를 등록하며, 우선 접속 디바이스로 등록된 제1 컴퓨팅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IoT 디바이스의 물리적 자원의 사용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물리적 자원의 현재 사용 여부와 관계 없이 상기 제1 컴퓨팅 디바이스의 상기 물리적 자원의 사용을 승인하는 프로세서,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17. 제16항에서,
    상기 IoT 디바이스에 차선 접속 디바이스로 등록된 제2 컴퓨팅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IoT 디바이스의 물리적 자원의 사용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물리적 자원이 사용되고 있으면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의 상기 물리적 자원의 사용을 거부하는 디바이스.
  18. 제17항에서,
    상기 물리적 자원이 사용되고 있지 않으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컴퓨팅 디바이스의 상기 물리적 자원의 사용을 승인하는 디바이스.
  19.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디바이스의 물리적 자원 사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컴퓨팅 디바이스로 상기 IoT 디바이스의 물리적 자원의 사용 여부를 알리는 단계, 그리고
    상기 물리적 자원이 사용 중이지 않은 경우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물리적 자원을 통해 수행될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19항에서,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물리적 자원의 사용 여부를 문의하는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물리적 자원의 사용 여부를 알리는 단계는, 상기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물리적 자원의 사용 여부를 지시하는 지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1. 제20항에서,
    상기 지시 신호는 상기 물리적 자원이 사용 중이지 않음을 지시하며,
    상기 물리적 자원의 사용 여부를 알리는 단계는, 상기 물리적 자원이 사용 중인 경우에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로 상기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을 송신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물리적 자원이 사용 중임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2. 제19항에서,
    상기 물리적 자원의 사용 여부를 알리는 단계는, 상기 물리적 자원이 사용 중인 경우에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로 상기 IoT 디바이스와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 사이의 연결 불허를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3. 제19항에서,
    상기 물리적 자원의 사용 여부를 알리는 단계는, 상기 물리적 자원이 사용 중이지 않은 경우에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로 상기 IoT 디바이스와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 사이의 연결 승인을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4. 제19항에서,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방송되는, 상기 물리적 자원의 사용 여부를 문의하는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5. 제19항에서,
    상기 물리적 자원의 사용 여부를 알리는 단계는, 상기 물리적 자원의 사용 여부를 지시하는 지시 신호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6. 제19항에서,
    상기 물리적 자원의 사용 여부를 알리는 단계는, 상기 물리적 자원이 사용 중이지 않은 경우에 지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7. 컴퓨팅 디바이스로부터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디바이스의 물리적 자원의 사용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우선 접속 디바이스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우선 접속 디바이스인 경우, 상기 물리적 자원의 현재 사용 여부와 관계 없이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의 상기 물리적 자원의 사용을 승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8. 제27항에서,
    상기 물리적 자원이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물리적 자원이 사용되고 있는 경우, 상기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의 물리적 자원 점유를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150033311A 2015-03-10 2015-03-10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및 사물 인터넷 통신 방법 KR102325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311A KR102325822B1 (ko) 2015-03-10 2015-03-10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및 사물 인터넷 통신 방법
US15/001,228 US10382928B2 (en) 2015-03-10 2016-01-19 Internet of things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311A KR102325822B1 (ko) 2015-03-10 2015-03-10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및 사물 인터넷 통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245A true KR20160109245A (ko) 2016-09-21
KR102325822B1 KR102325822B1 (ko) 2021-11-11

Family

ID=56888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3311A KR102325822B1 (ko) 2015-03-10 2015-03-10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및 사물 인터넷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382928B2 (ko)
KR (1) KR1023258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8854A1 (ko) * 2016-11-11 2018-05-17 홍익대학교세종캠퍼스산학협력단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iot 모니터링 시스템
WO2023075225A1 (ko) * 2021-10-25 2023-05-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12504B2 (en) * 2016-06-28 2021-05-18 Alcatel Lucent Method and apparatus for query selection and admission (QSA) optimization for IoT and other applications
US10785313B2 (en) * 2016-09-23 2020-09-22 Apple Inc. Quick relay traffic management for cloud messaging
JP2019140632A (ja) * 2018-02-15 2019-08-22 富士通株式会社 中継装置、中継方法、データ構造、ゲートウェイ装置、及び中継システム
CN110493120B (zh) * 2019-08-20 2022-01-11 上海掌门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发送设备操作指令的方法与设备
US11576039B2 (en) * 2019-09-12 2023-02-07 At&T Mobility Ii Llc Authentication of a 3G cellular device over 4G mobile network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24973A1 (en) * 2013-04-25 2014-10-30 Qualcomm Incorporated Coordinated resource sharing in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using a network-based group management and floor control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2905B1 (en) 1989-12-15 1994-04-07 Ibm Apparatus for conditioning priority arbitration in buffered direct memory addressing
US5297142A (en) 1991-07-18 1994-03-22 Motorola, Inc. Data transfer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between a peripheral and a master
JPH1125035A (ja) 1997-07-08 1999-01-29 Oki Electric Ind Co Ltd バス調停装置
JP4254873B2 (ja) 2007-02-16 2009-04-15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撮像装置、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515899B1 (en) 2008-04-23 2009-04-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tributed grid computing method utilizing processing cycles of mobile phones
JP5230311B2 (ja) 2008-09-09 2013-07-10 沖電気工業株式会社 障害分析システム、障害分析方法
US8321870B2 (en) 2009-08-14 2012-11-27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ed computation having sub-task processing and sub-solution redistribution
US8825731B2 (en) 2010-05-18 2014-09-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obile device workload management for cloud computing using SIP and presence to control workload and method thereof
US9092209B2 (en) 2011-06-17 2015-07-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Wireless cloud-based computing for rural and developing areas
US8942715B2 (en) 2012-08-02 2015-01-27 Apple Inc. Distributed comput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479950B1 (ko) 2012-10-12 2015-01-07 주식회사 케이티 M2m 네트워크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US20160028605A1 (en) * 2014-05-30 2016-01-28 Reylabs Inc. Systems and methods involving mobile linear asset efficiency, exploration, monitoring and/or display aspects
DE112015003945T5 (de) * 2014-08-28 2017-05-11 Knowles Electronics, Llc Mehrquellen-Rauschunterdrücku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24973A1 (en) * 2013-04-25 2014-10-30 Qualcomm Incorporated Coordinated resource sharing in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using a network-based group management and floor control mechanis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8854A1 (ko) * 2016-11-11 2018-05-17 홍익대학교세종캠퍼스산학협력단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iot 모니터링 시스템
WO2023075225A1 (ko) * 2021-10-25 2023-05-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5822B1 (ko) 2021-11-11
US10382928B2 (en) 2019-08-13
US20160270054A1 (en) 2016-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5822B1 (ko)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및 사물 인터넷 통신 방법
CN109845373B (zh) 确定直连链路资源的方法、装置、用户设备及基站
US10356794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nd storage medium
WO2020056745A1 (zh) 带宽部分的切换触发方法及装置、信息配置方法及装置
KR101899744B1 (ko) Wifi 네트워크 발견 및 트래픽 모니터링의 위임
WO2022094907A1 (zh) 信息发送方法及装置、存储介质
US7818784B2 (en)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and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US20160100369A1 (en) Delegating wifi network discovery and traffic monitoring
US11622319B2 (e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AP list and method for operating electronic device
CN105530684B (zh) 网络接入方法、装置和系统
KR20180114466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3879922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resolving du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dual sim (ds), paging conflict, and storage medium
US2011009960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with access point in mobile terminal
WO2022104512A1 (zh) 确定寻呼原因的方法及装置、存储介质
KR10239088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기기 등록 방법 및 장치
US2012018421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multiple devices
KR102659070B1 (ko)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101581708B1 (ko) 단말 장치의 자동 테더링 방법
US12028835B2 (en) Methods, apparatuses,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s for determining sidelink resource
US20230180233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EP4376508A1 (en) On-demand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requesting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WO2024060248A1 (zh) 业务接入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用户设备以及网络侧设备
CN110622551B (zh) 数据发送方法及装置
WO2023202473A1 (zh) 用户设备、无线通信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6642182B2 (ja) 無線通信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