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9067A - 자동공구 교환장치용 툴매거진 - Google Patents

자동공구 교환장치용 툴매거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9067A
KR20160109067A KR1020150032746A KR20150032746A KR20160109067A KR 20160109067 A KR20160109067 A KR 20160109067A KR 1020150032746 A KR1020150032746 A KR 1020150032746A KR 20150032746 A KR20150032746 A KR 20150032746A KR 20160109067 A KR20160109067 A KR 20160109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grip
grab
members
magaz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2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5327B1 (ko
Inventor
김향곤
최학봉
박유현
심재석
김익수
Original Assignee
김향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향곤 filed Critical 김향곤
Priority to KR1020150032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5327B1/ko
Publication of KR20160109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9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5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5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23Q3/157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of rotary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23Q3/157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of rotary tools
    • B23Q3/15713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of rotary tools a transfer device taking a single tool from a storage device and inserting it in a spindle
    • B23Q3/1572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of rotary tools a transfer device taking a single tool from a storage device and inserting it in a spindle the storage device comprising rotating or circulating storing means
    • B23Q3/15722Rotary discs or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8Protective coverings for parts of machine tools; Splash 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23Q3/157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of rotary tools
    • B23Q3/15713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of rotary tools a transfer device taking a single tool from a storage device and inserting it in a 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23Q3/157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of rotary tools
    • B23Q3/15713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of rotary tools a transfer device taking a single tool from a storage device and inserting it in a spindle
    • B23Q3/1572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of rotary tools a transfer device taking a single tool from a storage device and inserting it in a spindle the storage device comprising rotating or circulating stor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9/00Details or accessori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to milling machines or cut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Tool Replacement In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거진플레이트의 직경을 키워 많은 양의 공구를 설치하거나, 매거진플레이트의 회전속도를 높일 경우 그립퍼에 클램핑된 툴홀더에 가해지는 원심력이 커지더라도 툴홀더가 그립퍼로부터 이탈되지 않아 비절삭시간의 단축을 꾀하면서, 툴매거진에 저장된 공구에 의해 가공작업이 진행되는 중에 머시닝센터를 멈출 필요없이 툴매거진에 저장된 일 공구를 외부의 다른 공구와 교체할 수 있는 자동공구 교환장치용 툴매거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공구 교환장치용 툴매거진{TOOL MAGAZINE FOR AUTOMATIC TOOL CHANGER}
본 발명은 다수개의 공구를 저장하고, 필요한 가공에 따라 공구를 선별하여 자동으로 스핀들의 공구와 교환하는 자동공구 교환장치용 툴매거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머시닝 센터(Maching Center)는 보링 머신, 밀링 머신 및 드릴링 머신을 하나로 한 복합공작기계로서, 주축(Main Spindle)의 운동방향에 따라 수직형 또는 수평형 머시닝 센터로 구분한다.
이러한 머시닝 센터는 직선운동, 회전운동 및 스핀들회전과 같은 운동에 의해 복합가공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들 운동은 수치제어되는 서보모터(Servo Motor)와 스핀들에 의해 위치가 결정됨과 동시에 스핀들의 속도가 제어된다. 그리고 상기 머시닝 센터는 기계 본체와 여러 개의 공구를 절삭조건에 맞게 자동으로 바꾸어주는 자동공구 교환장치(Automatic Tool Changer, ATC) 및 수치제어장치(Number Controller, NC)로 이루어져 있다.
이중 자동공구 교환장치는 다수개의 공구(tool, 툴)를 저장하여 필요한 가공에 따라 공구를 선별하여 자동으로 공구를 교환한다. 이러한 자동공구교환장치는 공구를 저장하였다가 필요한 공구를 스핀들의 공구와 교환하는 툴매거진을 포함하고, 상기 툴매거진에 저장되는 공구는 일정한 크기의 툴홀더에 장착된 상태로 저장된다. 즉, 다양한 길이 및 크기를 가진 각각의 공구에 툴홀더는 동일한 크기로 제작되어 머시닝 센터의 스핀들에 교환되면서 툴홀더가 상기 스핀들에 교체 결합되는 것이다.
상술한 자동공구 교환장치가 구비된 머시닝센터의 경우 가공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대안으로, 크게 절삭시간의 단축과 비절삭시간의 단축으로 나눌 수 있고, 상기 비절삭시간의 단축방안으로 이송계의 이송속도를 향상시키는 방법과, 자동공구 교환장치에 의한 공구교환시간을 단축하는 방법 및 공작물의 교환시간을 단축하는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 비절삭시간의 단축방안 중 자동공구 교환장치에 의한 공구교환시간을 단축하는 방법으로서, 교환하고자 하는 공구가 툴매거진의 현재 위치로부터 교환위치로 더욱 빨리 이동하는 것이다.
도 1 및 2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공구 교환장치용 툴매거진은 회전모터(10)와, 상기 회전모터(1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매거진플레이트(20)와, 상기 매거진플레이트(20)의 일측면 외주에 방사상 등간격으로 각각 고정 설치되고, 공구(T)가 장착되는 툴홀더(H)를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하는 복수의 그립퍼(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공구교환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는 교환하고자 하는 공구(T)가 장착된 특정 그립퍼(30)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회전모터(1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매거진플레이트(20)가 더욱 빨리 회전하여 교환하고자 하는 상기 공구(T)가 장착된 그립퍼(30)를 교환위치로 이동시켜야 한다.
이때, 상기 그립퍼(30) 각각은, 도 3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매거진플레이트(20)에 고정 설치되는 키블럭(31)과, 상기 매거진플레이트(20)의 일측면에 회전축핀(32a)을 통해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각각의 일단에 상기 키블럭(31)을 기준으로 상기 툴홀더(H)를 클램핑할 수 있는 클램핑요홈(32b)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한 쌍의 그립부재(32)와, 한 쌍의 상기 그립부재(32)의 타단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그립부재(32) 각각의 클램핑요홈(32b)이 서로 근접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그립스프링(33)을 포함한다.
즉, 그립퍼(30)의 그립부재(32)가 서로 마주보면서 그립스프링(33)의 탄성력을 통해 클램핑요홈(32b)으로 삽입되는 툴홀더(H)를 클램핑하거나, 클램핑요홈(32b)으로부터 이탈되는 툴홀더(H)를 언클램핑하는 것이다. 따라서, 공구(T)가 장착된 툴홀더(H)가 그립퍼(30)에 클램핑되어 있을 때, 툴홀더(H)가 그립퍼(30)에 고정되도록 잡아주는 힘은 오로지 그립스프링(33)의 탄성력에 의존하게 된다.
상기 그립퍼(30)에 클램핑된 툴홀더(H)는 회전모터(10)의 회전력에 의해 매거진플레이트(20)가 회전할 경우 바깥쪽으로 이탈되려고 하는 원심력이 작용하는데, 이는 구심력과 크기가 같고 방향은 반대인 관성력의 일종이다. 이러한 툴홀더(H)의 원심력은 mrω2이다(여기서, m은 질량, r은 원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 ω는 회전각속도). 즉, 원심력은 공구(T)가 장착된 툴홀더(H)의 질량 및 거리에 비례하고, 각속도의 제곱에 비례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자동공구 교환장치용 툴매거진의 그립스프링(33)의 탄성력은, 최초 설계시 상술한 그립퍼(30)에 클램핑된 툴홀더(H)에 작용하는 원심력을 고려하여 정해진다. 때문에, 단순히 비절삭시간의 단축 및 공구교환시간을 단축하고자 매거진플레이트(20)를 더욱 빨리 회전시키게 되면 그립퍼(30)로부터 툴홀더(H)가 더 큰 원심력을 받아 설게된 그립스프링(33)의 탄성력을 넘어서 이탈될 수밖에 없어 단순히 매거진플레이트(20)의 회전속도를 늘릴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매거진플레이트(20)의 직경이 커지고, 더 많은 양의 공구(T)를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도 툴홀더(H)에 가해지는 원심력이 커질 수밖에 없고, 이 경우에도 역시 그에 맞는 그립퍼(30)의 그립스프링(33)으로 설계를 재변경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매거진플레이트(20)의 회전속도를 줄여서 원심력을 낮추어야 하므로 비절삭시간의 단축 방안이 마련되지 못하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상술한 자동공구 교환장치의 툴매거진은, 저장되는 공구의 개수가 수개부터 수십개까지이고, 공구의 개수가 적을수록 드럼식을 사용하며, 공구의 개수가 많을수록 체인식을 사용한다. 이때, 드럼식의 경우 저장되는 공구의 개수가 적으므로 복잡한 가공시 툴매거진에 저장된 공구만으로 가공이 종료되지 못한 상태로 머시닝센터를 멈춘 후 툴매거진에 저장된 공구를 외부의 다른 공구와 교체하여 가공작업을 수행해야될 때가 있다.
따라서, 머시닝센터의 가공작업은 툴매거진에 저장되는 공구의 개수에 한정될 수밖에 없고, 그 이상의 복잡한 가공이 필요시에는 중간에 머시닝센터를 멈춘 후 툴매거진에 저장된 공구를 외부의 다른 공구와 교체하여 가공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가공작업의 연속성이 깨지고, 가공 생산성을 저해하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매거진플레이트의 직경을 키워 많은 양의 공구를 설치하거나, 매거진플레이트의 회전속도를 높일 경우 그립퍼에 클램핑된 툴홀더에 가해지는 원심력이 커지더라도 툴홀더가 그립퍼로부터 이탈되지 않아 비절삭시간의 단축을 꾀하면서, 툴매거진에 저장된 공구에 의해 가공작업이 진행되는 중에 머시닝센터를 멈출 필요없이 툴매거진에 저장된 일 공구를 외부의 다른 공구와 교체할 수 있는 자동공구 교환장치용 툴매거진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에 따라, 가공작업의 연속성이 보장되어 가공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공구 교환장치용 툴매거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공구 교환장치용 툴매거진은,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매거진플레이트와, 상기 매거진플레이트의 일측면 외주에 방사상 등간격으로 각각 고정 설치되고, 공구가 장착되는 툴홀더를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하는 복수의 그립퍼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퍼 각각은, 상기 매거진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되는 키블럭과, 상기 매거진플레이트의 일측면에 회전축핀을 통해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각각의 일단에 상기 키블럭을 기준으로 상기 툴홀더를 클램핑할 수 있는 클램핑요홈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한 쌍의 그립부재와, 한 쌍의 상기 그립부재의 타단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그립부재 각각의 클램핑요홈이 서로 근접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그립스프링과, 한 쌍의 상기 그립부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그립부재 각각의 클램핑요홈이 서로 이격되지 않도록 상기 그립부재 각각의 회전을 구속하는 그립해제구속부를을 포함하고, 상기 그립퍼에 클램핑되고 일 공구가 장착된 툴홀더를 외부의 다른 공구가 장착된 툴홀더로 교체하는 툴시프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그립해제구속부는, 일단의 누름부재가 상기 그립부재 사이를 관통하여 돌출 형성되고, 중앙의 구속부재가 한 쌍의 상기 그립부재 사이에 밀착 삽입되며, 타단의 가이드부재가 상기 매거진플레이트의 일측면으로부터 타측면까지 관통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와, 상기 매거진플레이트의 타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가이드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시트와, 상기 슬라이더의 구속부재와 가이드시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구속부재를 상기 그립부재 각각의 사이에 밀착 삽입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구속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의 구속부재는, 상기 그립부재 각각의 밀착 삽입되는 면에 외주면이 경사진 원뿔대 형상으로 밀착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의 구속부재는, 원뿔대 형상의 외주면에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그립부재 각각은, 상기 구속부재의 외주면과 밀착 삽입되는 면에 형합되는 단차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그립해제구속부는, 상기 슬라이더의 구속부재가 상기 그립부재 각각의 사이에 밀착 삽입된 경우 상기 그립부재 각각의 클램핑요홈이 서로 이격되지 않도록 상기 그립부재 각각의 회전을 구속하고, 상기 슬라이더의 누름부재가 상기 가이드부재 방향으로 눌러지면서 상기 슬라이더의 구속부재가 상기 그립부재 각각의 사이로부터 이탈된 경우 상기 그립부재 각각의 클램핑요홈이 서로 근접될 수 있도록 상기 그립부재 각각의 회전구속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툴시프팅부는, 상기 매거진플레이트의 후방에 고정 설치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진 이동하는 가이드슈와, 일단이 상기 가이드슈와 결합되어 함께 전후진 이동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타단에 결합되어 함께 전후진 이동하고, 상기 그립퍼에 클램핑되고 일 공구가 장착된 툴홀더를 건네받아 외부로 반출하고, 외부의 다른 공구가 장착된 툴홀더를 상기 그립퍼에 클램핑시켜 교체하는 그랩퍼와, 상기 매거진플레이트의 후방에 고정 설치되고, 일 공구가 장착된 상기 툴홀더를 클램핑하는 그립퍼의 그립해제구속부 중 상기 슬라이더의 누름부재 일단을 누름 또는 누름해제하도록 전후진 작동하는 그립해제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그랩퍼는, 일단이 상기 그립퍼와 마주보도록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고, 타단에 장형의 손잡이가 형성된 그랩프레임과, 상기 그랩프레임의 내부에 힌지축핀을 통해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각각의 일단에 상기 툴홀더를 그래핑할 수 있는 그래핑요홈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한 쌍의 그랩부재와, 한 쌍의 상기 그랩부재의 타단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그랩부재 각각의 그래핑요홈이 서로 근접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며, 상기 그립퍼의 그립스프링보다 스프링상수가 작은 그랩스프링과, 일단은 상기 그랩프레임의 타단을 관통하여 상기 그랩프레임의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그랩프레임의 타단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그랩프레임의 타단 내부로 인입출 작동하는 그랩해제로드와, 한 쌍의 상기 그랩부재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그랩해제로드의 일단에 결합되어 함께 슬라이딩 이동하고, 상기 그랩해제로드의 타단이 상기 그랩프레임으로부터 외부로 인출시 상기 그랩부재 각각의 그래핑요홈이 서로 이격되지 않도록 상기 그랩부재 각각의 회전을 구속하는 그랩해제구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그랩해제구속부재는, 상기 그랩부재 각각과 마주보도록 접촉되는 면에 경사진 테이퍼면이 형성되고, 상기 그랩해제로드의 타단이 상기 그랩프레임으로부터 외부로 인출시 상기 그랩부재 각각의 타단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그랩부재 각각의 타단 사이에 접촉 고정되고, 상기 그랩해제로드의 타단이 상기 그랩프레임의 내부로 인입시 상기 그랩부재 각각의 회전구속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매거진플레이트 및 툴시프팅부는 머시닝센터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툴시프팅부의 설치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머시닝센터의 측벽에 개폐가능도록 설치된 툴시프팅도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공구 교환장치용 툴매거진은, 매거진플레이트의 직경을 키워 많은 양의 공구를 설치하거나, 매거진플레이트의 회전속도를 높일 경우 그립퍼에 클램핑된 툴홀더에 가해지는 원심력이 커지더라도 그립퍼의 그립해제구속부를 통하여 툴홀더가 그립퍼로부터 이탈되지 않아 비절삭시간의 단축을 꾀할 수 있고, 툴매거진에 저장된 공구에 의해 가공작업이 진행되는 중에 머시닝센터를 멈출 필요없이, 툴시프팅부를 통해 툴매거진에 저장된 일 공구를 외부의 다른 공구와 교체할 수 있으므로 가공작업의 연속성이 보장되어 가공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머시닝센터에 설치된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공구 교환장치용 툴매거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예 중 자동공구 교환장치용 툴매거진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실시예 중 툴홀더가 클램핑된 그립퍼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실시예에서 툴홀더가 언클램핑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실시예의 평면도이고,
도 6 및 7은 도 5의 실시예에서 툴홀더가 언클램핑되는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8은 도 2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공구교환과정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9는 머시닝센터에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공구 교환장치용 툴매거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의 실시예 중 자동공구 교환장치용 툴매거진만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실시예 중 툴홀더가 클램핑된 그립퍼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실시예에서 툴홀더가 언클램핑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1의 실시예의 평면도이며,
도 14 및 15는 도 13의 실시예에서 툴홀더가 언클램핑되는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6은 도 10의 실시예의 측단면도이며,
도 17 내지 20은 도 16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공구교환과정을 도시한 측단면도 및 요부 측단면도이고,
도 21은 도 10의 실시예를 반대편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22은 도 21의 실시예 중 툴시프팅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3은 도 22의 실시예 중 툴홀더가 그래핑된 그랩퍼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며,
도 24 및 25는 도 23의 실시예에서 툴홀더가 언그래핑되는 과정을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26 및 27은 도 23의 실시예에서 그랩해제로드 및 그랩해제구속부재의 작동으로 그랩부재 각각의 그래핑요홈이 서로 이격되지 않도록 상기 그랩부재 각각의 회전이 구속되는 과정을 도시한 정단면도이며,
도 28은 도 21의 실시예의 정면도이고,
도 29 내지 36은 도 28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툴시프팅부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요부 정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37은 도 21의 실시예가 설치된 머시닝센터의 외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8는 도 37의 실시예 중 툴시프팅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자동공구 교환장치용 툴매거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공구 교환장치용 툴매거진은, 도 9 내지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모터(100), 매거진플레이트(200), 그립퍼(300) 및 툴시프팅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퍼(300)는 키블럭(310), 그립부재(320), 그립스프링(330) 및 그립해제구속부(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그립해제구속부(340)는 슬라이더(341), 가이드시트(342) 및 구속스프링(34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툴시프팅부(400)는 가이드레일(410), 가이드슈(420), 브라켓(430), 그랩퍼(440) 및 그립해제실린더(45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그랩퍼(440)는 그랩프레임(441), 그랩부재(442), 그랩스프링(443), 그랩해제로드(444) 및 그랩해제구속부재(445)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모터(100)는 도 9 및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명칭 그대로 회전력을 발생하는 전동모터로서, 후술하는 매거진플레이트(200)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이때, 회전모터(100)의 회전력을 매거진플레이트(200)에 전달하기 위하여 동력전달수단(도면부호 미도시)이 구비되는데, 주로 회전모터(100)의 고속 회전을 감속하여 토크를 높이기 위한 감속기어부가 설치된다.
매거진플레이트(200)는 도 9, 10 및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모터(10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매거진플레이트(200)에는 후술하는 복수의 그립퍼(300)가 설치되는데, 회전모터(10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매거진플레이트(200)가 회전하여 그립퍼(300)에 클램핑된 공구(T)를 스핀들(S)에 전달하거나 교체하기 위한 주축교환위치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매거진플레이트(200)는 후술하는 툴시프팅부(400)와의 관계에서 그립퍼(300)에 클램핑된 일 공구(T)를 외부의 다른 공구(T)로 교환하기 위하여 회전모터(10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그립퍼(300)는 도 9 내지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가 구비되어 상기 매거진플레이트(200)의 일측면 외주에 방사상 등간격으로 각각 고정 설치되고, 공구(T)가 장착되는 툴홀더(H)를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한다. 공구(T)는 종류별로 형상이나 크기 및 무게가 다양하므로 이러한 공구(T)는 일정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진 툴홀더(H)에 장착되고, 이렇게 공구(T)가 장착된 툴홀더(H)를 상기 그립퍼(300)가 클램핑하여 상기 매거진플레이트(200)에 저장해 놓는다. 이후, 가공시 필요한 공구(T)가 장착된 그립퍼(300)를 교환위치로 회전시킨 후 스핀들(S)에 전달하거나 교체하기 위해 그립퍼(300)가 툴홀더(H)를 언클램핑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그립퍼(300)는 후술하는 툴시프팅부(400)와의 관계에서 클램핑된 일 공구(T)가 장착된 툴홀더(H)를 외부의 다른 공구(T)가 장착된 툴홀더(H')로 교환하기 위하여 언클램핑되기도 한다.
상기 그립퍼(300) 각각은, 도 11 내지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블럭(310), 그립부재(320), 그립스프링(330) 및 그립해제구속부(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키블럭(310)은 상기 매거진플레이트(200)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그립부재(320)는 한 쌍이 구비되어 상기 매거진플레이트(200)의 일측면에 회전축핀(321)을 통해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각각의 일단에 상기 키블럭(310)을 기준으로 상기 툴홀더(H)를 클램핑할 수 있는 클램핑요홈(322)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 형성된다.
이때, 그립스프링(330)은 한 쌍의 상기 그립부재(320)의 타단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그립부재(320) 각각의 클램핑요홈(322)이 서로 근접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즉, 도 11, 13 및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스프링(330)에 의해 그립부재(320)는 툴홀더(H)를 클램핑하도록 탄성력이 제공되는 상태이다. 반대로, 도 12 및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립스프링(330)이 압축되도록 상기 그립부재(320) 각각의 타단을 근접시키면, 바꿔말해서 상기 그립부재(320) 각각의 클램핑요홈(322)을 외력으로 이격시키면 상기 그립부재(320)에 클램핑된 툴홀더(H)는 언클램핑되어 상기 그립부재(320)로부터 이탈된다.
이 경우, 상기 그립퍼(300)가 키블럭(310), 그립부재(320) 및 그립스프링(330)으로만 이루어진 경우에는 종래와 같이 그립부재(320)에 클램핑된 툴홀더(H)가 그립스프링(330)의 설계된 스프링력 이상으로 원심력을 받을 경우 그립부재(320)로부터 이탈되어 떨어져 나갈 것이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그립부재(320)에 클램핑된 툴홀더(H)가 스핀들(S)에 교체될 때를 제외하고는, 원심력이 크게 작용하더라도 그립부재(32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즉 클램핑이 해제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고, 이는 후술하는 그립해제구속부(340)를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즉, 그립해제구속부(340)는 도 9 내지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상기 그립부재(320)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그립부재(320) 각각의 클램핑요홈(322)이 서로 이격되지 않도록 상기 그립부재(320) 각각의 회전을 구속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그립해제구속부(340)는 슬라이더(341), 가이드시트(342) 및 구속스프링(343)을 포함한다.
슬라이더(341)는 도 18 및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의 누름부재(341a)가 상기 그립부재(320) 사이를 관통하여 돌출 형성되고, 중앙의 구속부재(341b)가 한 쌍의 상기 그립부재(320) 사이에 밀착 삽입되며, 타단의 가이드부재(341c)가 상기 매거진플레이트(200)의 일측면으로부터 타측면까지 관통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가이드시트(342)는 상기 매거진플레이트(200)의 타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더(341)의 가이드부재(341c)가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더(341)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한다. 이때, 구속스프링(343)은 상기 슬라이더(341)의 구속부재(341b)와 가이드시트(341c)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341)의 구속부재(341b)를 상기 그립부재(320) 각각의 사이에 밀착 삽입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그립해제구속부(340)의 슬라이더(341)가 구속스프링(343)의 스프링력을 받는 동안은 상기 그립부재(320) 각각의 사이에 밀착 삽입되므로 상기 그립부재(320)의 타단 사이에 설치된 그립스프링(330)이 압축되지 못한다. 즉, 상기 그립부재(320) 각각의 클램핑요홈(322) 역시 서로 이격되지 못한 상태로 상기 툴홀더(H)가 그립부재(320)에 클램핑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슬라이더(341)의 구속부재(341b)는 도 17 내지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립부재(320) 각각의 밀착 삽입되는 면에 외주면이 경사진 원뿔대 형상으로 밀착 삽입된다. 구속부재(341b)가 원뿔대 형상일 경우, 첫째 그립부재(320) 사이로 밀착 삽입되기가 용이하고, 둘째 슬라이더(341)의 누름부재(341a)의 누름작동에 따라 슬라이딩될 때, 그립부재(320) 사이로부터 이탈되기가 용이해지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341)의 구속부재(341b)는 원뿔대 형상의 외주면에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그립부재(320) 각각은, 상기 구속부재(341b)의 외주면과 밀착 삽입되는 면에 형합되는 단차면(323)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속부재(341b)의 단차와 그립부재(320)의 단차면(323)은 상술한 삽입 및 이탈의 용이성은 가지되, 단차를 통해 슬라이딩에 대한 가이드기능과 그립부재(320)의 회전구속은 보다 강화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기 위한 것이다.
그에 따라, 상기 그립해제구속부(340)는 도 16, 19 및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341)의 구속부재(341b)가 상기 그립부재(320) 각각의 사이에 밀착 삽입된 경우 상기 그립부재(320) 각각의 클램핑요홈(322)이 서로 이격되지 않도록 상기 그립부재(320) 각각의 회전을 구속하고, 도 17 및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341)의 누름부재(341a)가 상기 가이드부재(341c) 방향으로 눌러지면서 상기 슬라이더(341)의 구속부재(341b)가 상기 그립부재(320) 각각의 사이로부터 이탈된 경우 상기 그립부재(320) 각각의 클램핑요홈(322)이 서로 근접될 수 있도록 상기 그립부재(320) 각각의 회전구속이 해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공구 교환장치용 툴매거진은, 매거진플레이트(200)의 직경을 키워 많은 양의 공구(T)를 설치하거나, 매거진플레이트(200)의 회전속도를 높일 경우 그립퍼(300)에 클램핑된 툴홀더(H)에 가해지는 원심력이 커지더라도 그립해제구속부(340)를 통하여 툴홀더(H)가 그립퍼(300)로부터 이탈되지 않아 비절삭시간의 단축을 꾀해 가공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툴시프팅부(400)는 도 21, 22 및 28 내지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립퍼(300)에 클램핑되고 일 공구(T)가 장착된 툴홀더(H)를 외부의 다른 공구(T)가 장착된 툴홀더(H')로 교체한다. 이러한 툴시프팅부(400)를 통해 툴매거진에 저장된 공구(T)에 의해 가공작업이 진행되는 중에 머시닝센터(MC)를 멈출 필요없이, 툴툴매거진에 저장된 일 공구(T)를 외부의 다른 공구(T)와 교체할 수 있으므로 가공작업의 연속성이 보장되어 가공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툴시프팅부(400)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21, 22 및 28 내지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410), 가이드슈(420), 브라켓(430), 그랩퍼(440) 및 그립해제실린더(450)를 포함한다. 가이드레일(410)은 상기 매거진플레이트(200)의 후방에 고정 설치되고, 가이드슈(420)는 상기 가이드레일(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진 이동하며, 브라켓(430)은 일단이 상기 가이드슈(420)와 결합되어 함께 전후진 이동한다. 이때, 그랩퍼(440)는 상기 브라켓(430)의 타단에 결합되어 함께 전후진 이동하고, 상기 그립퍼(300)에 클램핑되고 일 공구(T)가 장착된 툴홀더(H)를 건네받아 외부로 반출하고, 외부의 다른 공구(T)가 장착된 툴홀더(H')를 상기 그립퍼(300)에 클램핑시켜 교체한다. 또한, 상기 그립해제실린더(450)는 상기 매거진플레이트(200)의 후방에 고정 설치되고, 일 공구(T)가 장착된 상기 툴홀더(H)를 클램핑하는 상기 그립퍼(300)의 그립해제구속부(340) 중 상기 슬라이더(341)의 누름부재(341a) 일단을 누름 또는 누름해제하도록 전후진 작동한다.
상기 그립퍼(300)에 클램핑된 툴홀더(H)를 상기 툴시프팅부(400)의 그랩퍼(440)가 건네받아 외부의 다른 툴홀더(H')로 교체할 수 있기 위해서, 보다 구체적인 그랩퍼(440)의 구조 및 작동관계를 살펴본다. 즉, 그랩퍼(440)는 도 22 내지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랩프레임(441), 그랩부재(442), 그랩스프링(443), 그랩해제로드(444) 및 그랩해제구속부재(44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랩프레임(441)은 일단이 상기 그립퍼(300)와 마주보도록 상기 브라켓(430)에 결합되고, 타단에 장형의 손잡이(441a)가 형성된다. 따라서, 그랩프레임(441)의 손잡이(441a)를 사용자가 쥐고 그랩프레임(441)을 밀거나 당길 경우 그랩프레임(441)과 함께 브라켓(430) 및 가이드슈(420)가 상기 가이드레일(410)을 따라 전진 및 후진하는 것이다.
그랩부재(442)는 도 23 내지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이 구비되어 상기 그랩프레임(441)의 내부에 힌지축핀(442a)을 통해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각각의 일단에 상기 툴홀더(H)를 그래핑할 수 있는 그래핑요홈(442b)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그랩부재(442)는 상술한 그립퍼(300)의 그립부재(320)와 마찬가지로 툴홀더(H)를 그래핑 또는 언그래핑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그립(grip), 클램프(clamp) 및 그랩(grab) 등의 용어는 '잡다', '쥐다', '잡아채다' 등의 동의어로서 툴홀더(H)를 잡는 의미인데,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구분하기 위하여 달리 표현한 것이다.
그랩스프링(443)은 도 23 내지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상기 그랩부재(442)의 타단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그랩부재(442) 각각의 그래핑요홈(442b)이 서로 근접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며, 상기 그립퍼(300)의 그립스프링(330)보다 스프링상수가 작다. 상기 그랩스프링(443)의 스프링상수가 상기 그립퍼(300)의 그립스프링(330)의 스프링상수보다 작은 이유는, 도 34 및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툴홀더(H')를 그립퍼(300)에 물린 후 그랩프레임(441)의 손잡이(441a)을 당길 경우 그랩부재(442)에 그래핑된 툴홀더(H')가 그립퍼(300)의 그립부재(320)에 머물러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바꿔말해서, 그립부재(32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그립스프링(330)의 스프링상수가 그랩부재(442)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그랩스프링(443)의 스프링상수보다 커야 하는 이유이다.
반대로, 도 31 및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퍼(300)의 그립부재(320)에 클램핑된 툴홀더(H)를 외부로 반출해야 도 21 및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툴홀더(H')를 그립퍼(300)에 클램핑시킬 수 있다. 이때, 그랩스프링(443)의 스프링상수가 그립스프링(330)의 스프링상수보다 작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의 툴홀더(H')를 그립퍼(300)에 클램핑하기는 문제가 없으나, 그립퍼(300)에 클램핑된 기장착된 툴홀더(H)를 그랩퍼(440)가 그래핑하여 가져올 수가 없을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그랩퍼(440)는 후술하는 그랩해제로드(444) 및 그랩해제구속부재(445)가 설치된다.
즉, 도 23 내지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랩해제로드(444)는 일단은 상기 그랩프레임(441)의 타단을 관통하여 상기 그랩프레임(441)의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그랩프레임(441)의 타단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그랩프레임(441)의 타단 내부로 인입출 작동한다. 또한, 그랩해제구속부재(445)는 한 쌍의 상기 그랩부재(442)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그랩해제로드(444)의 일단에 결합되어 함께 슬라이딩 이동하고, 상기 그랩해제로드(444)의 타단이 상기 그랩프레임(441)으로부터 외부로 인출시 상기 그랩부재(442) 각각의 그래핑요홈(442b)이 서로 이격되지 않도록 상기 그랩부재(442) 각각의 회전을 구속한다. 즉, 그랩해제구속부재(445)는 상기 그랩부재(442) 각각과 마주보도록 접촉되는 면에 경사진 테이퍼면(445a)이 형성되고, 상기 그랩해제로드(444)의 타단이 상기 그랩프레임(441)으로부터 외부로 인출시 상기 그랩부재(442) 각각의 타단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그랩부재(442) 각각의 타단 사이에 접촉 고정되고, 상기 그랩해제로드(444)의 타단이 상기 그랩프레임(441) 내부로 인입시 상기 그랩부재(442) 각각의 회전구속을 해제한다.
따라서, 그랩퍼(440)의 그랩스프링(443)의 스프링상수가 그립퍼(300)의 그립스프링(330)의 스프링상수보다 작은 경우에도 상기 그랩해제로드(444) 및 그랩해제구속부재(445)의 작동을 통해, 그랩부재(442) 각각의 그래핑요홈(442b)이 서로 이격되지 않도록 회전이 구속되므로 도 31 및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퍼(300)의 그립부재(320)에 클램핑된 툴홀더(H)를 그랩퍼(440)의 그랩부재(442)가 건네받아 그래핑하여 외부로 반출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도 29의 상태에서 상기 그립퍼(300)의 경우 그립해제구속부(340)에 의해 툴홀더(H)를 고정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그랩퍼(440)가 도 31의 상태로 그랩해제로드(444) 및 그랩해제구속부재(445)를 작동시키더라도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퍼(300)로부터 그랩퍼(440)로 툴홀더(H)가 건네지지 못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30 및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툴시프팅부(400)는 그립해제실린더(450)가 구비되는 것이다.
즉, 툴시프팅부(400)를 통해 기장착된 툴홀더(H)를 외부의 다른 툴홀더(H')와 교체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해제실린더(450)가 작동하여 상기 그립퍼(300)의 그립해제구속부(340) 중 상기 슬라이더(341)의 누름부재(341a) 일단을 눌러 그립퍼(300)의 그립부재(320)의 회전구속을 해제한다. 그에 따라, 그립퍼(300)에 클램핑된 툴홀더(H)는 도 31 및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랩퍼(440)로 건네지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툴홀더(H')로 교체하여 그랩퍼(440)에 그래핑시킨 후 도 34 및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랩퍼(440)에 그래핑된 외부의 툴홀더(H')를 그립퍼(300)에 전달하면, 그립퍼(300)의 그립해제구속부(340)를 작동시켜 그립퍼(300)의 그립부재(320)의 그립핑요홈(320b)이 이격되지 않도록 회전을 구속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해제실린더(450)가 복귀 작동하여 상기 그립퍼(300)의 그립해제구속부(340) 중 상기 슬라이더(341)의 누름부재(341a) 일단을 누름해제하여 그립퍼(300)의 그립부재(320)의 그립핑요홈(320b)이 이격되지 않도록 회전을 구속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37 및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시닝센터(MC)의 내부에 자동공구 교환장치가 설치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자동공구 교환장치용 툴매거진의 상기 매거진플레이트(200) 및 툴시프팅부(400) 역시 머시닝센터(MC)의 내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외부에서 상기 머시닝센터(MC)의 내부에 설치된 툴시프팅부(400)를 작동시켜 외부의 툴홀더(H')를 내부의 툴홀더(H)와 교체하기 위해서는, 머시닝센터(MC)의 측벽을 통해서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 도 37 및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시닝센터(MC)의 측벽에는 개폐가능한 툴시프팅도어(D)가 상기 툴시프팅부(400)의 설치 위치에 대응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필요시에만 상기 툴시프팅도어(D)를 개방하여 내부의 툴홀더(H)를 외부로 반출하고, 외부의 툴홀더(H')를 내부로 제공하여 필요한 공구(T)를 편리하고 안전하게 교환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공구 교환장치용 툴매거진은, 툴매거진에 저장된 공구(T)에 의해 가공작업이 진행되는 중에 머시닝센터(MC)를 멈출 필요없이, 툴시프팅부(400)를 통해 툴매거진에 저장된 일 공구(T)가 장착된 툴홀더(H)를 외부의 다른 공구(T)가 장착된 툴홀더(H')와 교체할 수 있으므로 가공작업의 연속성이 보장되어 가공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MC : 머시닝센터
D : 툴시프팅도어
T : 공구
H : 툴홀더
S : 스핀들
100 : 회전모터
200 : 매거진플레이트
300 : 그립퍼 310 : 키블럭
320 : 그립부재 321 : 회전축핀
322 : 클램핑요홈 323 : 단차면
330 : 그립스프링 340 : 그립해제구속부
341 : 슬라이더 341a : 누름부재
341b : 구속부재 341c : 가이드부재
342 : 가이드시트 343 : 구속스프링
400 : 툴시프팅부
410 : 가이드레일 420 : 가이드슈
430 : 브라켓 440 : 그랩퍼
441 : 그랩프레임 441a : 손잡이
442 : 그랩부재
442a : 힌지축핀 442b : 그랩핑요홈
443 : 그랩스프링 444 : 그랩해제로드
445 : 그랩해제구속부재 445a : 테이퍼면
450 : 그립해제실린더

Claims (9)

  1.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매거진플레이트와,
    상기 매거진플레이트의 일측면 외주에 방사상 등간격으로 각각 고정 설치되고, 공구가 장착되는 툴홀더를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하는 복수의 그립퍼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퍼 각각은,
    상기 매거진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되는 키블럭과,
    상기 매거진플레이트의 일측면에 회전축핀을 통해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각각의 일단에 상기 키블럭을 기준으로 상기 툴홀더를 클램핑할 수 있는 클램핑요홈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한 쌍의 그립부재와,
    한 쌍의 상기 그립부재의 타단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그립부재 각각의 클램핑요홈이 서로 근접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그립스프링과,
    한 쌍의 상기 그립부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그립부재 각각의 클램핑요홈이 서로 이격되지 않도록 상기 그립부재 각각의 회전을 구속하는 그립해제구속부를을 포함하고,
    상기 그립퍼에 클램핑되고 일 공구가 장착된 툴홀더를 외부의 다른 공구가 장착된 툴홀더로 교체하는 툴시프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공구 교환장치용 툴매거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해제구속부는,
    일단의 누름부재가 상기 그립부재 사이를 관통하여 돌출 형성되고, 중앙의 구속부재가 한 쌍의 상기 그립부재 사이에 밀착 삽입되며, 타단의 가이드부재가 상기 매거진플레이트의 일측면으로부터 타측면까지 관통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와,
    상기 매거진플레이트의 타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가이드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시트와,
    상기 슬라이더의 구속부재와 가이드시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구속부재를 상기 그립부재 각각의 사이에 밀착 삽입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구속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공구 교환장치용 툴매거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구속부재는,
    상기 그립부재 각각의 밀착 삽입되는 면에 외주면이 경사진 원뿔대 형상으로 밀착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공구 교환장치용 툴매거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구속부재는,
    원뿔대 형상의 외주면에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그립부재 각각은,
    상기 구속부재의 외주면과 밀착 삽입되는 면에 형합되는 단차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공구 교환장치용 툴매거진.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해제구속부는,
    상기 슬라이더의 구속부재가 상기 그립부재 각각의 사이에 밀착 삽입된 경우 상기 그립부재 각각의 클램핑요홈이 서로 이격되지 않도록 상기 그립부재 각각의 회전을 구속하고,
    상기 슬라이더의 누름부재가 상기 가이드부재 방향으로 눌러지면서 상기 슬라이더의 구속부재가 상기 그립부재 각각의 사이로부터 이탈된 경우 상기 그립부재 각각의 클램핑요홈이 서로 근접될 수 있도록 상기 그립부재 각각의 회전구속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공구 교환장치용 툴매거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툴시프팅부는,
    상기 매거진플레이트의 후방에 고정 설치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진 이동하는 가이드슈와,
    일단이 상기 가이드슈와 결합되어 함께 전후진 이동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타단에 결합되어 함께 전후진 이동하고, 상기 그립퍼에 클램핑되고 일 공구가 장착된 툴홀더를 건네받아 외부로 반출하고, 외부의 다른 공구가 장착된 툴홀더를 상기 그립퍼에 클램핑시켜 교체하는 그랩퍼와,
    상기 매거진플레이트의 후방에 고정 설치되고, 일 공구가 장착된 상기 툴홀더를 클램핑하는 상기 그립퍼의 그립해제구속부 중 상기 슬라이더의 누름부재 일단을 누름 또는 누름해제하도록 전후진 작동하는 그립해제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공구 교환장치용 툴매거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그랩퍼는,
    일단이 상기 그립퍼와 마주보도록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고, 타단에 장형의 손잡이가 형성된 그랩프레임과,
    상기 그랩프레임의 내부에 힌지축핀을 통해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각각의 일단에 상기 툴홀더를 그래핑할 수 있는 그래핑요홈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한 쌍의 그랩부재와,
    한 쌍의 상기 그랩부재의 타단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그랩부재 각각의 그래핑요홈이 서로 근접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며, 상기 그립퍼의 그립스프링보다 스프링상수가 작은 그랩스프링과,
    일단은 상기 그랩프레임의 타단을 관통하여 상기 그랩프레임의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그랩프레임의 타단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그랩프레임의 타단 내부로 인입출 작동하는 그랩해제로드와,
    한 쌍의 상기 그랩부재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그랩해제로드의 일단에 결합되어 함께 슬라이딩 이동하고, 상기 그랩해제로드의 타단이 상기 그랩프레임으로부터 외부로 인출시 상기 그랩부재 각각의 그래핑요홈이 서로 이격되지 않도록 상기 그랩부재 각각의 회전을 구속하는 그랩해제구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공구 교환장치용 툴매거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그랩해제구속부재는,
    상기 그랩부재 각각과 마주보도록 접촉되는 면에 경사진 테이퍼면이 형성되고, 상기 그랩해제로드의 타단이 상기 그랩프레임으로부터 외부로 인출시 상기 그랩부재 각각의 타단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그랩부재 각각의 타단 사이에 접촉 고정되고, 상기 그랩해제로드의 타단이 상기 그랩프레임의 내부로 인입시 상기 그랩부재 각각의 회전구속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공구 교환장치용 툴매거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거진플레이트 및 툴시프팅부는 머시닝센터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툴시프팅부의 설치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머시닝센터의 측벽에 개폐가능도록 설치된 툴시프팅도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공구 교환장치용 툴매거진.
KR1020150032746A 2015-03-09 2015-03-09 자동공구 교환장치용 툴매거진 KR101705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2746A KR101705327B1 (ko) 2015-03-09 2015-03-09 자동공구 교환장치용 툴매거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2746A KR101705327B1 (ko) 2015-03-09 2015-03-09 자동공구 교환장치용 툴매거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067A true KR20160109067A (ko) 2016-09-21
KR101705327B1 KR101705327B1 (ko) 2017-02-09

Family

ID=57080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2746A KR101705327B1 (ko) 2015-03-09 2015-03-09 자동공구 교환장치용 툴매거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53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00449A1 (zh) * 2020-06-28 2022-01-06 太仓繁晟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石板雕刻的换笔装置
KR20220088076A (ko) * 2020-12-18 2022-06-27 주식회사 아스플로 전해연마 장치 및 연마대상 금속관의 전해연마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1640A (ja) * 1991-09-09 1993-10-12 Maho Ag 工具グリッパー
JPH08108332A (ja) * 1994-10-07 1996-04-30 Brother Ind Ltd 工作機械の工具交換用マガジン装置
KR20110069933A (ko) * 2009-12-18 2011-06-24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공작기계의 툴 매거진
KR20130050686A (ko) * 2011-11-08 2013-05-16 현대위아 주식회사 자동공구교환장치의 매거진용 도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1640A (ja) * 1991-09-09 1993-10-12 Maho Ag 工具グリッパー
JPH08108332A (ja) * 1994-10-07 1996-04-30 Brother Ind Ltd 工作機械の工具交換用マガジン装置
KR20110069933A (ko) * 2009-12-18 2011-06-24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공작기계의 툴 매거진
KR20130050686A (ko) * 2011-11-08 2013-05-16 현대위아 주식회사 자동공구교환장치의 매거진용 도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00449A1 (zh) * 2020-06-28 2022-01-06 太仓繁晟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石板雕刻的换笔装置
KR20220088076A (ko) * 2020-12-18 2022-06-27 주식회사 아스플로 전해연마 장치 및 연마대상 금속관의 전해연마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5327B1 (ko) 2017-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5436B1 (ko) 자동공구 교환장치용 툴매거진
US9789576B2 (en) Tool holder for receiving and locking a tool taper on a tool magazine, unlocking device, and tool magazine
US5372568A (en) Machine tool with automatic tool changer, having mechanism for utilizing relative movements of tool and tool changing gripper to clamp and unclamp the tool
US8777823B2 (en) Automatic tool changer
KR101713106B1 (ko) 자동공구 교환장치용 툴매거진
US4041601A (en) Machine tool with an automatic tool changer
US3874071A (en) Machine tool with automatic tool changing device
US8887601B2 (en) Machine tool
KR101705327B1 (ko) 자동공구 교환장치용 툴매거진
KR102102466B1 (ko) 대용량 툴 매거진을 갖는 복합가공기
US4700442A (en) Tool changing apparatus for a machine tool
US4091526A (en) Machine tool with an automatic tool exchanger
CZ20004343A3 (cs) Zařízení k výměně nástrojů pro víceoperační obráběcí stroj
KR101626999B1 (ko) 툴 서브 체인저의 툴 그리퍼 유닛
JPH11504574A (ja) ワークピースの放電加工に使用する装置
JP3547903B2 (ja) 盲蓋着脱方法
US3576144A (en) Part loader for turret lathes or the like
JP3995936B2 (ja) 自動工具交換方法、長尺工具の工具ホルダ及びタレット旋盤
JP2678856B2 (ja) 複合工作機械の工具取付装置
KR100734564B1 (ko) 선반의 척킹 보조장치 및 척킹방법
JPH01121106A (ja) 複合加工工作機械
JP7135247B2 (ja) チャック装置
JP4072888B2 (ja) チャック
JP2003231034A (ja) 工作機械のワーク把持工具
KR101876002B1 (ko) 선반용 파워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