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8808A -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8808A
KR20160108808A KR1020157036091A KR20157036091A KR20160108808A KR 20160108808 A KR20160108808 A KR 20160108808A KR 1020157036091 A KR1020157036091 A KR 1020157036091A KR 20157036091 A KR20157036091 A KR 20157036091A KR 20160108808 A KR20160108808 A KR 20160108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motion
feedback
trajector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6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4115B1 (ko
Inventor
황성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퓨처플레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퓨처플레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퓨처플레이
Publication of KR20160108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8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4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4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59Exercising apparatus with rewar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4Exercis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ompetitions, e.g. virtual r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30Spe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6Sensors arranged on the body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2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means for remote communication, e.g. internet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Biophys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자세 또는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되는 자세 또는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사용자가 행하는 동작의 궤적 및 속도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궤적 및 속도가 기설정된 수준 이상으로 유사한 동작을 반복적으로 행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반복적으로 행해지는 동작의 궤적 및 속도를 참조로 하여 상기 사용자가 행하고 있는 운동을 특정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되는 운동을 참조로 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될 피드백의 속성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METHOD, DEVICE,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FEEDBACK}
본 발명은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등과 같이 다양한 통신 및 센싱 기능과 강력한 연산 기능을 갖춘 이동식 스마트 디바이스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식 스마트 디바이스 중에는 사용자가 신체에 착용하여 휴대할 수 있는 비교적 작은 크기의 것(예를 들면, 스마트 글래스, 스마트 워치, 스마트 밴드, 링이나 브로치와 같은 형태의 스마트 디바이스, 신체나 의류에 직접적으로 부착되거나 매립되는 스마트 디바이스 등)도 있다.
특히,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디바이스에 구비된 각종 센서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행하는 동작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이 소개된 바 있는데, 지금까지 소개된 종래 기술에 따르면, 걸음 수, 이동 거리, 운동 시간 등에 관한 해석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데에 그쳤기 때문에, 사용자가 행하고 있는 동작에 관한 직관적인 피드백을 제공하기는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자세 또는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위의 획득되는 자세 또는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참조로 하여 사용자가 행하는 동작의 궤적 및 속도를 인식하고, 사용자가 궤적 및 속도가 기설정된 수준 이상으로 유사한 동작을 반복적으로 행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위의 반복적으로 행해지는 동작의 궤적 및 속도를 참조로 하여 사용자가 행하고 있는 운동을 특정하고, 위의 특정되는 운동을 참조로 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피드백의 속성을 제어함으로써, 반복적인 단위 동작으로 구성되는 운동을 행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운동에 관한 다양한 피드백이 직관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자세 또는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되는 자세 또는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사용자가 행하는 동작의 궤적 및 속도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궤적 및 속도가 기설정된 수준 이상으로 유사한 동작을 반복적으로 행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반복적으로 행해지는 동작의 궤적 및 속도를 참조로 하여 상기 사용자가 행하고 있는 운동을 특정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되는 운동을 참조로 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될 피드백의 속성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로서,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자세 또는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 모듈, 및 상기 획득되는 자세 또는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사용자가 행하는 동작의 궤적 및 속도를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가 궤적 및 속도가 기설정된 수준 이상으로 유사한 동작을 반복적으로 행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반복적으로 행해지는 동작의 궤적 및 속도를 참조로 하여 상기 사용자가 행하고 있는 운동을 특정하고, 상기 특정되는 운동을 참조로 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될 피드백의 속성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하는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자세 또는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되는 자세 또는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사용자가 행하는 동작의 궤적 및 속도를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가 궤적 및 속도가 기설정된 수준 이상으로 유사한 동작을 반복적으로 행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반복적으로 행해지는 동작의 궤적 및 속도를 참조로 하여 상기 사용자가 행하고 있는 운동을 특정하고, 상기 특정되는 운동을 참조로 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될 피드백의 속성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부터 제공 받은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소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디바이스,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미리 선택되거나 저장되지 않은 운동을 행하는 경우에도, 즉, 동작을 인식하거나 운동을 특정하기 위한 사전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반복적으로 행하는 동작의 궤적, 속도 또는 세기를 인식하고, 그 인식 결과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행하는 운동을 특정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반복적인 단위 동작으로 구성되는 운동을 행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해당 운동에 관한 다양한 피드백을 직관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자신이 정확한 동작으로 운동을 하고 있는지에 관하여 보다 쉽고 빠르게 파악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운동을 행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해당 사용자와 연관된 다른 사용자가 행하는 운동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자신의 운동 상태뿐만 아니라 다른 사용자의 운동 상태까지 파악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운동 성과를 높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양쪽 손목에 각각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를 착용한 사용자가 운동을 위한 동작을 행하는 상황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손목에 디바이스를 착용한 사용자가 다양한 동작을 행하는 상황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행하는 동작이 운동을 구성하는 단위 동작과 유사한지 여부에 기초하여 피드백의 속성을 제어하는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다양한 피드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피드백의 속성을 제어하는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유사한 운동을 행하는 복수의 사용자를 군집화하는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체 신호를 참조로 하여 동작을 인식하는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전체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통신망(100), 피드백 제공 시스템(200) 및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310, 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00)은 유선 통신이나 무선 통신과 같은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통신망(100)은 공지의 인터넷 또는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일 수 있다. 그러나, 통신망(100)은, 굳이 이에 국한될 필요 없이, 공지의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공지의 전화망 또는 공지의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을 그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망(100)은 와이파이, 블루투스, RFID, NFC 등에 의해 구현되는 공지의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그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제공 시스템(200)은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일 수 있다. 이러한 피드백 제공 시스템(200)은 서버 시스템일 수 있다. 피드백 제공 시스템(200)은 통신망(100)을 통하여 디바이스(310, 320) 중 하나가 다른 하나로 소정의 정보나 제어 명령을 제공하거나, 하나가 다른 하나로부터 소정의 정보나 제어 명령을 제공 받도록 매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제공 시스템(200)은, 아래에서 자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310, 320)의 자세 또는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위의 획득되는 자세 또는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참조로 하여 사용자가 행하는 동작의 궤적 및 속도를 인식하고, 사용자가 궤적 및 속도가 기설정된 수준 이상으로 유사한 동작을 반복적으로 행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위의 반복적으로 행해지는 동작의 궤적 및 속도를 참조로 하여 사용자가 행하고 있는 운동을 특정하고, 위의 특정되는 운동을 참조로 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피드백의 속성을 제어함으로써, 반복적인 동작으로 구성되는 운동을 행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운동에 관한 다양한 피드백이 직관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피드백 제공은 피드백 제공 시스템(200)에 의하여 포함되는 제어부(미도시됨)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는 피드백 제공 시스템(200) 내에서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모듈은 피드백 제공 시스템(200)과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프로그램 모듈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제공 시스템(200)은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310, 320)로부터 제공 받은 자세 또는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이것이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310, 320)에 의하여 이용되도록 하는 기능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저장은 피드백 제공 시스템(200)에 의하여 포함되는 저장소(미도시됨)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소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협의의 데이터베이스뿐만 아니라 파일 시스템에 기반을 둔 데이터 기록 등을 포함하는 광의의 데이터베이스일 수도 있다.
피드백 제공 시스템(200)의 기능에 관하여는 아래에서 더 자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한편, 피드백 제공 시스템(200)에 관하여 위와 같이 설명되었으나, 이러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이고, 피드백 제공 시스템(200)에 요구되는 기능이나 구성요소의 적어도 일부가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310, 320)에서 실현되거나 포함될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310)는 피드백 제공 시스템(200) 또는 다른 디바이스(320)(바람직하게는, 디바이스(310)와 다른 디바이스(320)는 서로 분리되어 있거나 외부화(externalization) 되어 있을 수 있음)에 접속한 후 통신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로서,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라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310, 320)로서 채택될 수 있다. 디바이스(310, 320)는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스마트 글래스, 스마트 워치, 스마트 밴드, 스마트 링 등과 같은 소위 스마트 디바이스이거나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PDA, 웹 패드, 이동 전화기, 버튼, 마우스, 키보드, 전자 펜 등과 같은 다소 전통적인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310, 320)는 리모컨, 가전기기 등의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310, 320)에는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을 입력 받을 수 있는 기술 수단이 적어도 하나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기술 수단의 예로서, 공지의 구성요소인, 터치 패널, 포인팅 도구(예를 들면, 마우스, 스타일러스, 전자 펜 등), 사용자 조작이 가능한 그래픽 객체, 키보드, 토글 스위치, 생채 정보(지문 등) 인식 센서, 거리 센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310, 320)에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피드백을 발생시킬 수 있는 기술 수단이 적어도 하나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기술 수단의 예로서, 공지의 구성요소인, 표시 패널, 진동 액츄에이터, 스피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310, 320)에는 그 디바이스(310, 320)의 자세나 움직임에 관한 물리적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기술 수단(즉, 센서 모듈)이 적어도 하나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기술 수단의 예로서, 공지의 구성요소인, 움직임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스코프, 자기 센서, 위치 결정 모듈(GPS 모듈, 비콘 기반의 위치 결정(확인) 모듈 등), 기압계, 거리 센서, 카메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310, 320)에는 해당 디바이스(310, 320)를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의 인체로부터 획득되는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기술 수단(즉 센서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기술 수단의 예로서, 근전도 신호 측정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310, 320)에는 앞서 언급된 다양한 기술 수단을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나 제어 명령을 생성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더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해당 디바이스(310, 320) 내에서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의 성격은 전술한 바와 같은 피드백 제공 시스템(200)의 제어부와 전반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은 그 적어도 일부가 필요에 따라 그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균등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 장치나 펌웨어 장치로 치환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디바이스(310)와 제2 디바이스(320)가 소정의 연관성(예를 들면, 동일한 사용자에게 속하는 것이라는 연관성이나, 동일한 사용자를 위하여 기능하는 것이라는 연관성이나, 서로 실질적으로 가까운 곳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라는 연관성이나, 이들 중 하나가 다른 하나를 인증하거나 허용하는 것이 합당하다는 연관성)을 갖는 것이라는 점이 인식되는 경우에, 제1 디바이스(310)와 제2 디바이스(320) 간에 소정의 연결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인식 또는 연결은 피드백 제공 시스템(200)에 의해 수행되거나 제1 디바이스(310) 및 제2 디바이스(3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피드백 제공 시스템(200)이 여러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310, 320)가 개입된 상태에서 피드백을 제공하는 구체적인 예에 관하여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드백 제공 시스템(200)은,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310, 320)의 자세 또는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위의 획득되는 자세 또는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참조로 하여 사용자가 행하는 동작의 궤적 및 속도를 인식하고, 사용자가 궤적 및 속도가 기설정된 수준 이상으로 유사한 동작을 반복적으로 행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위의 반복적으로 행해지는 동작의 궤적 및 속도를 참조로 하여 사용자가 행하고 있는 운동을 특정하고, 위의 특정되는 운동을 참조로 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피드백의 속성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와 같은 피드백은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디바이스(310, 320)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310, 320)는 그것을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신체 중 적어도 일부와 결합되어 움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310, 320)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될 수 있는 스마트 워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드백 제공 시스템(200)은, 디바이스(310, 320)의 자세 또는 움직임에 관한 정보에 더하여, 디바이스(310, 320)가 사용자에 의해 착용된 위치에 관한 정보를 더 참조로 하여, 사용자가 행하는 동작의 궤적 및 속도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제공 시스템(200)은, 위의 특정되는 운동을 구성하는 단위 동작의 궤적 또는 속도와 사용자가 행하고 있는 동작의 궤적 또는 속도를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를 참조로 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피드백의 속성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운동을 구성하는 단위 동작을 정확하게 행하고 있는지 여부에 관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드백 제공 시스템(200)은, 디바이스(310, 320)로부터 획득되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에 관한 정보를 더 참조로 하여 사용자가 행하는 동작의 세기를 더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드백 제공 시스템(200)은, 사용자가 궤적, 속도 및 세기가 기설정된 수준 이상으로 유사한 단위 동작을 반복적으로 행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위의 반복적으로 행해지는 단위 동작의 궤적, 속도 및 세기를 참조로 하여 사용자가 행하고 있는 운동을 특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드백 제공 시스템(200)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디바이스(310, 320)의 움직임이나 자세에 관한 정보가 없이도, 사용자의 생체 신호에 관한 정보만을 참조로 하여 사용자가 행하는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체 신호를 참조로 하여 동작을 인식하는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제공 시스템(200)은, 사용자의 손목 부위에서 측정되는 근전도 신호에서 나타나는 패턴(910)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주먹을 폈다가 쥐는 동작을 반복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드백 제공 시스템(200)은, 사용자가 반복적으로 행하는 동작으로 구성되는 운동을 특정함에 있어서, 해당 운동을 특정함에 있어서 참조가 되고 해당 운동이 특정되기 전에 행해진 반복 동작의 횟수도 운동을 구성하는 동작의 총 반복 횟수에 포함시킴으로써, 운동을 구성하는 동작의 총 반복 횟수를 카운팅함에 있어서 해당 운동의 초기에 행해진 동작의 반복 횟수가 누락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1회부터 3회까지 반복적으로 행한 동작의 궤적 및 속도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벤치프레스라는 운동을 행하고 있는 것으로 특정되고, 운동이 특정된 이후에 사용자가 운동을 구성하는 반복 동작을 7회 더 행한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제공 시스템(200)은, 운동이 특정된 이후에 동작이 반복적으로 행해진 횟수인 7회에 더하여, 운동을 특정함에 있어서 참조가 되고 해당 운동이 특정되기 전에 행해진 동작이 반복적으로 행해진 횟수인 3회를 카운팅함으로써, 사용자가 벤치프레스라는 운동을 행하면서 총 10회의 동작을 반복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양쪽 손목에 각각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를 착용한 사용자가 운동을 위한 동작을 행하는 상황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양쪽 손목에 각각 디바이스(310, 320)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양팔로 덤벨(dumbbell)을 올리고 내리는 동작을 여러 번 반복적으로 행하는 것(330)에 대응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제공 시스템(200)은, 궤적, 속도 및 세기가 기설정된 수준 이상으로 유사한 동작이 반복적으로 행해지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고, 위와 같이 반복적으로 행해지는 동작의 궤적, 속도 및 세기를 참조로 하여 사용자가 행하고 있는 운동을 특정할 수 있으며, 후술할 바와 같이, 해당 사용자가 올바른 동작으로 덤벨 운동을 하고 있는지에 관한 피드백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손목에 디바이스를 착용한 사용자가 다양한 동작을 행하는 상황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제공 시스템(200)은, 사용자가 행하고 있다고 특정되는 운동을 구성하는 단위 동작의 궤적, 속도 및 세기와 사용자가 행하고 있는 동작의 궤적, 속도 및 세기 사이의 유사도를 참조로 하여, 사용자가 특정 운동을 구성하는 단위 동작을 정확하게 행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제1 피드백을 발생시킬 수 있고, 반대로, 사용자가 특정 운동을 구성하는 단위 동작을 정확하게 행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제2 피드백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제공 시스템(200)은, 단위 동작을 정의하는 궤적(trajectory) 중 특정 지점에 디바이스(310, 320)가 위치하는 시점(時點)에 위와 같은 피드백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행하는 동작이 운동을 구성하는 단위 동작과 유사한지 여부에 기초하여 피드백의 속성을 제어하는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양쪽 손목에 각각 디바이스(310, 320)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역기를 어깨에 얹은 채로 앉았다가 일어서는 동작을 반복하는 스쿼트(squat) 운동을 하고 있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사용자가 정확한 동작을 행하고 있으면 제1 피드백이 발생될 수 있고(도 4의 (a) 참조), 사용자가 정확한 동작을 행하고 있지 않으면 제1 피드백과는 구별되는 제2 피드백이 발생될 수 있다(도 4의 (b) 참조). 여기서, 피드백이 발생되는 시점은, 디바이스(310, 320)가 위의 동작을 정의하는 궤적 중 최고점(411, 421)과 최저점(412, 422)에 위치하는 시점이거나, 디바이스(310, 320)가 위의 동작을 정의하는 궤적 중 시작점(411, 421)과 종료점(412, 422)에 위치하는 시점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다양한 피드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시각적 피드백(532), 청각적 피드백(531), 촉각적 피드백(533)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유형의 피드백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제공 시스템(200)은, 사용자의 운동 시간, 운동 성과, 컨디션 등에 관한 문맥(Context) 정보를 더 참조로 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피드백의 속성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피드백의 속성을 제어하는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운동 시간(611, 612)이 길어질수록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피드백의 주기가 짧아질 수 있고, 사용자의 근육(621, 622)으로부터 획득되는 생체 신호에 기초한 컨디션이 나쁠수록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피드백의 세기가 작아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피드백의 속성이 반드시 앞서 언급된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제공 시스템(200)은, 앞서 자세하게 설명된 피드백을 제공하는 기능에 더하여, 사용자가 운동하는 과정에서 획득되는 다양한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디바이스(310, 320)를 통하여 제공하는 기능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걸음 횟수, 심박수, 이동 거리, 칼로리 소모량 등의 다양한 정보가 해당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디바이스(310, 32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드백 제공 시스템(200)은, 사용자와 같은 집단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가 행한 운동을 참조로 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될 가이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와 같은 집단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에는, 신체 상태, 건강 상태 또는 운동 상태에 있어서 해당 사용자와 기설정된 수준 이상으로 유사한 다른 사용자,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상에서 해당 사용자와 기설정된 관계를 맺고 있는 다른 사용자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드백 제공 시스템(200)은, 사용자와 같은 집단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가 행한 운동을 구성하는 단위 동작의 궤적, 속도 또는 세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남들만큼 크게", "친구에 비해 운동량이 부족함", "친구들 중에 운동량이 가장 많음" 등의 메시지가 제공되거나, 사용자가 속하는 집단의 체형, 운동 수준 등을 고려한 추천 동작에 관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유사한 운동을 행하는 복수의 사용자를 군집화하는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벤치 프레스(bench press)(821), 스쿼트(squat)(823) 등의 운동을 공통적으로 행하는 것으로 나타난 제1 사용자, 제2 사용자 및 제3 사용자는 같은 집단으로 군집화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0: 통신망
200: 피드백 제공 시스템
310: 제1 디바이스
320: 제2 디바이스

Claims (24)

  1.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자세 또는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되는 자세 또는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사용자가 행하는 동작의 궤적 및 속도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궤적 및 속도가 기설정된 수준 이상으로 유사한 동작을 반복적으로 행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반복적으로 행해지는 동작의 궤적 및 속도를 참조로 하여 상기 사용자가 행하고 있는 운동을 특정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되는 운동을 참조로 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될 피드백의 속성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중 적어도 일부와 일체로 움직이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 단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착용된 위치에 관한 정보를 더 참조로 하여, 상기 사용자가 행하는 동작의 궤적 및 속도를 인식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은, 시각적 피드백, 청각적 피드백 및 촉각적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에서,
    상기 특정되는 운동을 구성하는 단위 동작의 궤적 또는 속도와 상기 사용자가 행하는 동작의 궤적 또는 속도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를 참조로 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될 피드백의 속성을 제어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의 운동 시간, 운동 성과 및 컨디션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문맥 정보를 더 참조로 하여, 상기 피드백의 속성을 제어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더 획득하고,
    상기 인식 단계에서,
    상기 획득되는 생체 신호를 참조로 하여, 상기 사용자가 행하는 동작의 세기를 더 인식하고,
    상기 특정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가 궤적, 속도 및 세기가 기설정된 수준 이상으로 유사한 동작을 반복적으로 행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반복적으로 행해지는 동작의 궤적, 속도 및 세기를 참조로 하여 상기 사용자가 행하고 있는 운동을 특정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와 같은 집단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가 행한 운동을 참조로 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될 가이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에는, 신체 상태, 건강 상태 및 운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와 기설정된 수준 이상으로 유사한 사용자 및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상에서 상기 사용자와 기설정된 관계를 맺고 있는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정보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가 행하는 운동을 구성하는 단위 동작의 궤적, 속도 또는 세기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되는 운동을 구성하는 동작의 횟수에는, 상기 운동을 특정함에 있어서 참조가 되고 상기 운동이 특정되기 전에 행해진 동작의 반복 횟수 중 적어도 일부가 포함되는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3.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로서,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자세 또는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 모듈, 및
    상기 획득되는 자세 또는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사용자가 행하는 동작의 궤적 및 속도를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가 궤적 및 속도가 기설정된 수준 이상으로 유사한 동작을 반복적으로 행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반복적으로 행해지는 동작의 궤적 및 속도를 참조로 하여 상기 사용자가 행하고 있는 운동을 특정하고, 상기 특정되는 운동을 참조로 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될 피드백의 속성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모듈
    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14.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자세 또는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되는 자세 또는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사용자가 행하는 동작의 궤적 및 속도를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가 궤적 및 속도가 기설정된 수준 이상으로 유사한 동작을 반복적으로 행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반복적으로 행해지는 동작의 궤적 및 속도를 참조로 하여 상기 사용자가 행하고 있는 운동을 특정하고, 상기 특정되는 운동을 참조로 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될 피드백의 속성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부터 제공 받은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소를 포함하는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중 적어도 일부와 일체로 움직이는 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착용된 위치에 관한 정보를 더 참조로 하여, 상기 사용자가 행하는 동작의 궤적 및 속도를 인식하는 시스템.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은, 시각적 피드백, 청각적 피드백 및 촉각적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되는 운동을 구성하는 단위 동작의 궤적 또는 속도와 상기 사용자가 행하는 동작의 궤적 또는 속도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를 참조로 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될 피드백의 속성을 제어하는 시스템.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운동 시간, 운동 성과 및 컨디션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문맥 정보를 더 참조로 하여, 상기 피드백의 속성을 제어하는 시스템.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더 획득하고, 상기 획득되는 생체 신호를 참조로 하여, 상기 사용자가 행하는 동작의 세기를 더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가 궤적, 속도 및 세기가 기설정된 수준 이상으로 유사한 동작을 반복적으로 행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반복적으로 행해지는 동작의 궤적, 속도 및 세기를 참조로 하여 상기 사용자가 행하고 있는 운동을 특정하는 시스템.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와 같은 집단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가 행한 운동을 참조로 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될 가이드 정보를 결정하는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에는, 신체 상태, 건강 상태 및 운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와 기설정된 수준 이상으로 유사한 사용자 및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상에서 상기 사용자와 기설정된 관계를 맺고 있는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시스템.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정보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가 행하는 운동을 구성하는 단위 동작의 궤적, 속도 또는 세기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는 시스템.
  24.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되는 운동을 구성하는 동작의 횟수에는, 상기 운동을 특정함에 있어서 참조가 되고 상기 운동이 특정되기 전에 행해진 동작의 반복 횟수 중 적어도 일부가 포함되는 시스템.
KR1020157036091A 2015-02-11 2015-10-23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7241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20723 2015-02-11
KR1020150020723 2015-02-11
PCT/KR2015/011265 WO2016129773A1 (ko) 2015-02-11 2015-10-23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8959A Division KR20170106289A (ko) 2015-02-11 2015-10-23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8808A true KR20160108808A (ko) 2016-09-20
KR101724115B1 KR101724115B1 (ko) 2017-04-18

Family

ID=5661557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8959A KR20170106289A (ko) 2015-02-11 2015-10-23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57036091A KR101724115B1 (ko) 2015-02-11 2015-10-23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8959A KR20170106289A (ko) 2015-02-11 2015-10-23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20170106289A (ko)
WO (1) WO201612977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8409A1 (ko) * 2021-12-28 2023-07-06 주식회사 디랙스 운동성과비교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7342B1 (ko) 2017-08-29 2019-04-10 주식회사 라이프시맨틱스 웨어러블 기기 기반 운동 가이드 시스템
KR20200086946A (ko) * 2019-01-10 2020-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장치의 사용 방법을 가이드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220150086A (ko) * 2021-05-03 2022-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인화된 운동 코칭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30024B2 (en) * 2000-05-17 2004-05-04 Brava,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patient compliance data including processing and display thereof over a computer network
KR100822483B1 (ko) * 2007-06-08 2008-04-16 문창수 근육 강화와 근육 재활치료를 위한 근전도신호바이오피드백 게임을 이용한 근육 자가운동 시스템 및 그에사용되는 근전도신호 바이오피드백 게임방법
KR101032978B1 (ko) * 2009-04-29 2011-05-09 한국과학기술원 모션센서를 이용한 운동 피드백 기능과 운동기록이 가능한 아령세트
JP2014526714A (ja) * 2011-09-09 2014-10-06 アーティキュレイト 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発話および言語訓練のための口腔内触覚生体フィードバック方法、装置、およびシステム
US20140087685A1 (en) * 2012-09-21 2014-03-27 Cheryl Kellond More efficient display and control for wearable sports instrumentation
EP2973215B1 (en) * 2013-03-15 2023-05-17 NIKE Innovate C.V. Feedback signals from image data of athletic performan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8409A1 (ko) * 2021-12-28 2023-07-06 주식회사 디랙스 운동성과비교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4115B1 (ko) 2017-04-18
WO2016129773A1 (ko) 2016-08-18
KR20170106289A (ko) 2017-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7406B2 (en) Wearable device systems and methods for guiding physical movements
CN104238736B (zh) 利用抓握对象识别运动的装置、方法和系统
KR101724115B1 (ko)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2017023229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wearable sensors to determine user movements
CN114341779A (zh) 用于基于神经肌肉控制执行输入的系统、方法和界面
CN109074217A (zh) 用于多点触摸输入检测的应用
KR20160063126A (ko) 운동 정보 제공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20160166180A1 (en) Enhanced Real Time Frailty Assessment for Mobile
US20170353986A1 (en) Method for matching multiple devices, device for enabling matching thereof and server system
US9753539B2 (en) Method, device,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CN104023802A (zh) 使用神经分析的电子装置的控制
US20220155866A1 (en) Ring device having an antenna, a touch pad, and/or a charging pad to control a computing device based on user motions
US20210089116A1 (en) Orientation Determination based on Both Images and Inertial Measurement Units
KR20170076379A (ko) 웨어러블 장치 및 웨어러블 장치와 연결 가능한 사용자 단말장치
WO201316555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rehabilitation exergaming
KR101709983B1 (ko) 복수의 디바이스를 매칭시키는 방법, 그리고 상기 매칭이 가능하게끔 하여 주는 디바이스 및 서버 시스템
US1179407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ercise type recognition
KR20210054349A (ko) 환자의 상지 동작에 의해 도출되는 특징값을 이용한 임상평가척도 예측 방법
US2020027583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act less control of an appliance technical field
CN113795813A (zh) 用于预测性执行的生物测定
US201502785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guided continuous body tracking for complex interaction
KR20180085375A (ko) 운동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US20240082638A1 (en) Wearable device systems and methods for movement signatures
US20220096896A1 (en) Measurement device, measuremen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20230056850A (ko) 사용자 자세에 대한 평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