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8032A - 벽체형 조립식 패널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벽체형 조립식 패널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8032A
KR20160108032A KR1020150031800A KR20150031800A KR20160108032A KR 20160108032 A KR20160108032 A KR 20160108032A KR 1020150031800 A KR1020150031800 A KR 1020150031800A KR 20150031800 A KR20150031800 A KR 20150031800A KR 20160108032 A KR20160108032 A KR 20160108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column
panel
fixing member
type prefabri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1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0090B1 (ko
Inventor
박세현
박준식
Original Assignee
박세현
박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세현, 박준식 filed Critical 박세현
Priority to KR1020150031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0090B1/ko
Publication of KR20160108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8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0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0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04B2/721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04B2/723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constituted of gypsum elements
    • E04B2002/725Corner or angle connection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형 조립식 패널 연결장치를 개시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기둥을 중심으로 연결되는 벽체형 조립식 패널들의 서로 마주하는 연결부위를 고정부재와 커버부재로 이루어진 연결장치로 연결 구성하는 한편, 고정부재에 다단의 확장 날개부를 형성하고 이러한 확장날개부를 서로 마주하는 조립식 패널들의 연결부위 이격거리에 따라 선택적으로 절단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며, 이에따라 벽체형 조립식 패널들의 연결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그 연결상태가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서로 마주하는 벽체형 조립식 패널들의 연결부위에 대한 연결장치의 조립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킨 것이다.

Description

벽체형 조립식 패널 연결장치 {Bonding construction of architectural assembly partition panel}
본 발명은 벽체형 조립식 패널을 연결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둥을 중심으로 서로 연결이 이루어지는 벽체형 조립식 패널들이 서로 마주하는 일정 이격거리의 연결부위를 고정부재와 커버부재로 이루어진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연결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벽체형 조립식 패널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체용 조립식 패널의 조립 구조는 다양한 목적으로 설치되며, 그 구성 또한 다양하게 제안되어, 등록특허공보 제 10-0625691 호(공고일 2006.09.28), 등록특허공보 제 10-0695700 호(공고일 2007.03.15), 등록특허공보 제 10-1071364 호(공고일 2011.10.11)에서와 같이 기존 벽체의 내,외측에 설치되거나 또는 룸의 공간 내부에서 벽을 구획할 때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벽체형 조립식 패널 조립구조 중 일반적인 구조는, 기존 벽 또는 바닥에 세워서 설치되는 기둥과, 상기 기둥의 정면 또는 배면에 고정되는 조립식 패널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기둥에 조립식 패널을 고정할 때 셀프 스크류 볼트 등을 사용하여 고정하는 구조이다.
한편, 종래에는 첨부된 도 1에서와 같이, 기둥(100)에 별도의 연결프레임(200)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연결프레임(200)에 이격거리가 넓은 상태로 서로 마주하는 벽체형 조립식 패널(300)(300')을 밀착시킨 후, 셀프 스크류 볼트(500)를 통해 상기 조립식 패널(300)(300')들을 연결프레임(200)에 고정하는 한편, 상기 조립식 패널(300)(300')들이 마주하는 이격거리가 넓은 연결부위(A)에 띠형의 원형 스티로폼(400)을 삽입하고, 다음으로 상기 원형 스티로폼(400)의 외부 노출을 차단하도록 벽체형 조립식 패널(300)(300')이 서로 마주하는 연결부위(A)에 실리콘(600)을 투입하여 경화시킴으로써 외부 마감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벽체형 조립식 패널(300)(300')들에 대한 연결작업을 완성시키는 방식을 적용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종래에는 첨부된 도 2에서와 같이, 기둥(100)에 이격거리가 좁은 상태로 서로 마주하는 벽체형 조립식 패널(300)(300')을 밀착시킨 후, 셀프 스크류 볼트(500)를 통해 상기 벽체형 조립식 패널(300)(300')을 상기 기둥(100)에 고정하고 나서, 이격거리가 좁은 상태로 시공된 벽체형 조립식 패널(300)(300')의 연결틈새(A')로 실리콘(600)을 투입하여 경화시키는 동시에, 상기 셀프 스크류 볼트(500) 및 실리콘(600) 마감부의 외부 노출을 차단하도록 서로 마주하는 벽체형 조립식 패널(300)(300')의 외부면에 마감커버(700)를 셀프 스크류 볼트(500)로 고정시켜 줌으로써, 상기 벽체형 조립식 패널(300)(300')의 연결작업을 완성시키는 방식을 적용하는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벽체형 조립식 패널의 조립구조는 조립식 패널을 기둥에 접촉시킨 후 조립식 패널(300)(300')을 셀프 스크류 볼트(500)로 고정하므로 견고하나, 간격이 넓거나 또는 간격이 좁은 상태에서 서로 마주하는 벽체형 조립식 패널(300)(300')의 연결부위(A)(A')에 실리콘(600)을 투입하여 경화시켜, 서로 마주하는 벽체형 조립식 패널(300)(300')을 잡아주게 되므로, 벽체형 조립식 패널(300)(300')의 연결부위(A)(A')에 대한 연결상태를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연결이 불량해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벽체형 조립식 패널의 후면에 다양한 구조의 걸이부를 형성하고, 상기 걸이부가 기둥의 정면에 삽입되도록 다양한 구성의 삽입부를 형성한 기둥을 제안하기도 했으며, 이는 구조가 복잡하고 구조의 취약성 때문에 패널의 견고한 조립을 얻을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기둥을 중심으로 연결되는 벽체형 조립식 패널들의 서로 마주하는 연결부위를 고정부재와 커버부재로 이루어진 연결장치로 연결 구성함으로써, 벽체형 조립식 패널들의 연결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그 연결상태가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벽체형 조립식 패널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부재에 다단의 확장 날개부를 형성하고 이러한 확장날개부를 서로 마주하는 조립식 패널들의 연결부위 이격거리에 따라 선택적으로 절단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서로 마주하는 벽체형 조립식 패널들의 연결부위에 대한 연결장치의 조립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벽체형 조립식 패널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벽체형 조립식 패널 연결장치는, 기둥을 기준으로 일정 이격거리의 연결부위를 유지하면서 상기 기둥에 셀프 스크류 볼트를 통해 서로 마주하게 되는 벽체형 조립식 패널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연결부위에는 상기 기둥으로 상기 벽체형 조립식 패널을 고정시키기 이전에 셀프 스크류 볼트에 의해 상기 기둥의 중심라인으로 다단의 걸림단을 형성한 고정부재를 결합 고정하고,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고정부재를 중심으로 상기 벽체형 조립식 패널이 셀프 스크류 볼트를 통해 상기 기둥에 좌우 대칭되게 결합시, 상기 벽체형 조립식 패널의 외부단에 일단이 멈춤되면서 다단의 상기 걸림단에 선택적으로 걸림되는 걸림쐐기를 선단측에 형성한 커버부재를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셀프 스크류 볼트의 관통을 위한 홀과, 상기 기둥에 밀착이 이루어지는 가이드돌기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연결부위의 이격거리에 따라 선택적으로 절단 사용이 가능하고, 상기 벽체형 조립식 패널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밀착되는 다단의 확장 날개부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는 플레이트 구조물을 절곡하여 상기 벽체형 조립식 패널의 외부단에 걸림이 이루어지는 멈춤프레임과, 상기 멈춤프레임으로부터 서로 마주보게 연장되며 상기 고정부재에 형성되는 다단의 걸림단에 선택적으로 걸림되는 걸림쐐기를 각각 형성한 제 1,2 연장부로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둥을 중심으로 연결되는 벽체형 조립식 패널들의 서로 마주하는 연결부위를 고정부재와 커버부재로 이루어진 연결장치로 연결 구성하는 한편, 고정부재에 다단의 확장 날개부를 형성하고 이러한 확장날개부를 서로 마주하는 조립식 패널들의 연결부위 이격거리에 따라 선택적으로 절단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이를 통해 벽체형 조립식 패널들의 연결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그 연결상태가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서로 마주하는 벽체형 조립식 패널들의 연결부위에 대한 연결장치의 조립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벽체형 조립식 패널 연결장치의 구조를 보인 평면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벽체형 조립식 패널 연결장치에 대한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벽체형 조립식 패널 연결장치의 구조를 보인 결합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벽체형 조립식 패널 연결장치의 구조를 보인 단면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벽체형 조립식 패널 연결장치의 구조를 보인 단면 확대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벽체형 조립식 패널 연결장치에 대한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벽체형 조립식 패널 연결장치의 구조를 보인 결합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벽체형 조립식 패널 연결장치의 구조를 보인 단면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벽체형 조립식 패널 연결장치의 구조를 보인 단면 확대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체형 조립식 패널 연결장치(B)는, 기둥(100)을 기준으로 일정 이격거리의 연결부위(A)를 유지하면서 상기 기둥(100)에 셀프 스크류 볼트(500)를 통해 서로 마주하게 되는 벽체형 조립식 패널(300)(300')을 고정함에 있어, 상기 연결부위(A)에 인입되어 상기 벽체형 조립식 패널(300)(300')들의 연결부위(A)를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벽체형 조립식 패널(300)이 기둥(100)에 결합되기 이전에 상기 기둥(100)에 결합되는 고정부재(10),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10)를 중심으로 좌우측에 벽체형 조립식 패널(300)(300')이 결합되었을 때 상기 고정부재(10)에 결합되는 커버부재(2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고정부재(10)는 상기 기둥(100)에 벽체형 조립식 패널(300)(300')이 결합되기 이전에 상기 기둥(100)의 중심라인에 셀프 스크류 볼트(500)를 통해 결합 고정되는 것으로, 양측면에 다단의 걸림단(11)이 형성됨은 물론, 셀프 스크류 볼트(500)의 관통을 위한 홀(12)과, 상기 기둥(100)에 밀착이 이루어지는 가이드돌기(13), 그리고 상기 연결부위(A)의 이격거리에 따라 선택적으로 절단 사용이 가능하고 상기 벽체형 조립식 패널(300)(300')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밀착되는 다단의 확장 날개부(14)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커버부재(20)는 상기 벽체형 조립식 패널(300)(300')의 외부단에 일단이 멈춤되면서 상기 고정부재(10)에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 고정되도록 다단의 상기 걸림단(11)에 선택적으로 걸림되는 걸림쐐기(21)를 선단측에 형성한 것으로, 플레이트 구조물을 절곡하여 상기 벽체형 조립식 패널(300)(300')의 외부단에 걸림이 이루어지는 멈춤프레임(22)과, 상기 멈춤프레임(22)으로부터 서로 마주보게 연장되며 상기 고정부재(10)에 형성되는 다단의 걸림단(11)에 선택적으로 걸림되는 걸림쐐기(21)를 각각 형성한 제 1,2 연장부(23)(24)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체형 조립식 패널 연결장치(B)는 첨부된 도 3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우선 기둥(100)의 중심라인으로 고정부재(10)의 선단측에 형성된 가이드돌기(13)를 밀착시킨 후, 상기 고정부재(10)에 형성되는 홀(12)에 셀프 스크류 볼트(500)를 관통시켜, 상기 셀프 스크류 볼트(500)를 상기 기둥(100)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10)를 상기 기둥(100)의 중심라인에 결합 고정한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부재(10)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측에 상기 기둥(100)에 일정폭이 포개어지도록 벽체형 조립식 패널(300)(300')을 배열한 상태에서, 상기 벽체형 조립식 패널(300)(300')을 셀프 스크류 볼트(500)를 이용하여 상기 기둥(100)에 결합 고정시킨다.
그러면, 상기 고정부재(10)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하는 상기 벽체형 조립식 패널(300)(300')의 사이에는 일정 이격거리의 연결부위(A)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10)에는 다단의 확장날개부(14)가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확장날개부(14)는 상기 벽체형 조립식 패널(300)(300')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밀착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확장날개부(14)는 기둥(100)과 결합되는 후방에만 형성하여도 되지만, 측벽에도 형성할 수 있으며, 측벽에 설치되는 확장날개부는 커버부재(20)의 설치시 상기 커버부재(20)의 선단에 의해 꺽이면서 분리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후, 상기 연결부위(A)에 커버부재(20)를 인입하여, 상기 커버부재(20)의 선단측에 마련되는 걸림쐐기(21)를 상기 고정부재(10)에 형성되는 다단의 걸림단(11) 중 어느 하나에 걸림시킨다.
즉, 상기 커버부재(20)에 포함되는 멈춤프레임(22)은 상기 벽체형 조립식 패널(300)(300')의 외부단에 걸림되어 멈춤이 이루어지고, 상기 멈춤프레임(22)으로부터 서로 마주보게 연장된 제 1,2 연장부(23)(24)의 선단측에 각각 마련되는 걸림쐐기(21)는 상기 다단의 걸림단(11) 중 어느 하나에 걸림되면서, 상기 커버부재(20)와 상기 고정부재(10)는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 고정이 완료되면서, 상기 벽체형 조립식 패널(300)(300')의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부위(A)의 조립틈새를 가릴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10)에 상기 커버부재(20)를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시키기 이전에, 상기 확장날개부(14)가 밀착되는 벽체형 조립식 패널(300)(300')의 연결부위(A)에 실리콘을 투입하여 경화층(30)을 형성한 후, 상기 고정부재(10)에 상기 커버부재(20)를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시키면, 상기 연결부위(A)의 틈새를 막게 되면서 상기 경화층(30)을 통해 냉기 차단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벽체형 조립식 패널(300)(300')은 연결부위(A)에 채워진 상기 고정부재(10)와 커버부재(20),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10)의 주변에 투입되어 경화된 실리콘의 경화층(30)으로부터 그 연결은 분리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10)에 형성되는 확장날개부(14)는 상기 벽체형 조립식 패널(300)(300')의 연결부위(A)에 대한 이격거리가 좁아질 경우 절단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확장날개부(14)에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절단홈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벽체형 조립식 패널 연결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고정부재 11; 걸림단
12; 홀 13; 가이드돌기
14; 확장날개부 20; 커버부재
21; 걸림쐐기 22; 멈춤프레임
23,24; 제 1,2 연장부 30; 경화층
100; 기둥 300,300'; 조립식 패널
500; 스크로 A; 연결부위
B; 연결장치

Claims (4)

  1. 기둥을 기준으로 일정 이격거리의 연결부위를 유지하면서 상기 기둥에 셀프 스크류 볼트를 통해 서로 마주하게 되는 벽체형 조립식 패널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연결부위에는 상기 기둥으로 상기 벽체형 조립식 패널을 고정시키기 이전에 셀프 스크류 볼트에 의해 상기 기둥의 중심라인으로 다단의 걸림단을 형성한 고정부재를 결합 고정하고,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고정부재를 중심으로 상기 벽체형 조립식 패널이 셀프 스크류 볼트를 통해 상기 기둥에 좌우 대칭되게 결합시, 상기 벽체형 조립식 패널의 외부단에 일단이 멈춤되면서 다단의 상기 걸림단에 선택적으로 걸림되는 걸림쐐기를 선단측에 형성한 커버부재를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형 조립식 패널 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셀프 스크류 볼트의 관통을 위한 홀과, 상기 기둥에 밀착이 이루어지는 가이드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형 조립식 패널 연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연결부위의 이격거리에 따라 선택적으로 절단 사용이 가능하고, 상기 벽체형 조립식 패널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밀착되는 다단의 확장 날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형 조립식 패널 연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플레이트 구조물을 절곡하여 상기 벽체형 조립식 패널의 외부단에 걸림이 이루어지는 멈춤프레임과, 상기 멈춤프레임으로부터 서로 마주보게 연장되며 상기 고정부재에 형성되는 다단의 걸림단에 선택적으로 걸림되는 걸림쐐기를 각각 형성한 제 1,2 연장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형 조립식 패널 연결장치.
KR1020150031800A 2015-03-06 2015-03-06 벽체형 조립식 패널 연결장치 KR101700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1800A KR101700090B1 (ko) 2015-03-06 2015-03-06 벽체형 조립식 패널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1800A KR101700090B1 (ko) 2015-03-06 2015-03-06 벽체형 조립식 패널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8032A true KR20160108032A (ko) 2016-09-19
KR101700090B1 KR101700090B1 (ko) 2017-01-26

Family

ID=57103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1800A KR101700090B1 (ko) 2015-03-06 2015-03-06 벽체형 조립식 패널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00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3949B1 (ko) 2021-11-01 2023-04-19 김현성 패널 시공 가이드 장치 및 이를 활용한 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8587B1 (ko) 2020-04-29 2021-01-05 강보식 벽체용 패널 연결장치 및 그 제작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9793A (ja) * 1991-11-19 1993-07-20 Ig Tech Res Inc 縦目地構造
JPH05340080A (ja) * 1992-06-12 1993-12-21 Ig Tech Res Inc 目地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9793A (ja) * 1991-11-19 1993-07-20 Ig Tech Res Inc 縦目地構造
JPH05340080A (ja) * 1992-06-12 1993-12-21 Ig Tech Res Inc 目地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3949B1 (ko) 2021-11-01 2023-04-19 김현성 패널 시공 가이드 장치 및 이를 활용한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0090B1 (ko) 2017-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7077B1 (ko) 단열 커튼월 창호 시스템
US9850700B2 (en) Waterproofing member and exterior wall structure
KR101445639B1 (ko) 건축물용 알루미늄 단열 하지틀 및 설치방법
KR100955878B1 (ko) 커튼 월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커튼 월 설치방법
EA036507B1 (ru) Профильное соединение, а также способ для создания профиль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EP3318686A1 (en) Vacuum insulating material providing assembly and vacuum insulating material providing method using same
KR20160108032A (ko) 벽체형 조립식 패널 연결장치
KR20170132030A (ko) 제진장치 설치공법
JP4845226B2 (ja) せき板取付枠及び型枠工法
US6581354B1 (en) Glass curtain wall system
KR20180048168A (ko) 스틸커튼월용 유리패널모듈의 수직고정장치
CN111963021B (zh) 一种铝合金门窗框的拼接方法
KR100889360B1 (ko) 커튼 월의 3차원 조립식 연결재의 시공방법
KR20160001541U (ko) 고차음 방음판 및 이를 갖는 방음벽
JPH11131913A (ja) 窓枠体
JP6788241B2 (ja) 開口部用埋設部材、それを用いた開口部構造の施工方法、及び開口部構造
GB2338977A (en) Wall framing system
KR101864615B1 (ko) 시공성이 향상된 조립식 창호 프레임
JP2002211860A (ja) エレベーター用三方枠の取付装置
KR101824461B1 (ko) 샌드위치 패널 커플링 유니트
CN210636992U (zh) 一种门窗系统的多功能中柱角码
SE540264C2 (en) Framing section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US20240175260A1 (en) Partition Wall with Two-Piece Columns
JP2024050117A (ja) つなぎ用金具のガイド治具
JP6511967B2 (ja) ドア枠へのアジャスター支持部材の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