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7755A - Bumper stay unit for vehicle - Google Patents

Bumper stay unit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7755A
KR20160107755A KR1020150030978A KR20150030978A KR20160107755A KR 20160107755 A KR20160107755 A KR 20160107755A KR 1020150030978 A KR1020150030978 A KR 1020150030978A KR 20150030978 A KR20150030978 A KR 20150030978A KR 20160107755 A KR20160107755 A KR 20160107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member
beads
rear member
bumper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09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85398B1 (en
Inventor
김문철
이문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to KR1020150030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5398B1/en
Publication of KR20160107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775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5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53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2019/18
    • B60R2019/24

Abstract

A bumper stay unit for a vehicle is disclos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mper stay unit for a vehicle comprises: a front member connected to a bumper beam and having an expansion unit and a fastening unit; and a rear member forming an overlapping unit to be coupled to each other while a portion of a front end unit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unit of the front member. A diameter of the expansion unit is gradually increased from a boundary between the expansion unit and the fastening unit to be bonded to the bumper beam through a front end.

Description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BUMPER STAY UNIT FOR VEHICLE}[0001] BUMPER STAY UNIT FOR VEHICLE [0002]

본 발명은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범퍼빔과 범퍼빔과 프론트 사이드 멤버 혹은 리어 사이드 멤버를 연결하여 전후방으로부터의 충격에너지를 차체에 고르게 전달 및 흡수하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mper sta- tionary unit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mper sta- tionary unit for a vehicle which connects a bumper beam, a bumper beam and a front side member or a rear side member to uniformly transmit and absorb impact energy from the front and rear to the vehicle body will be.

일반적으로 차량용 범퍼는 차량의 저속 및 중속 충돌 시, 탄성적으로 변형하여 차량의 물리적인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다른 자동차나 고정체와의 충돌 시, 그 충격을 흡수하여 승차자의 안전을 도모하며, 동시에 차체의 변형을 최소화하도록 차량의 전방과 후방에 배치되는 완충장치이다.In general, a vehicle bumper is designed to elastically deform at a low speed and medium speed collision of a vehicle to prevent physical damage to the vehicle. In the event of collision with another vehicle or a fixed body, , And a shock absorber dispos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vehicle to minimize deformation of the vehicle body at the same time.

상기한 범퍼(10)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전, 후방에서 차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범퍼빔(21)의 후방 양측에 스태이(23)가 장착되어 차체측 사이드 멤버(31)에 고정되는 범퍼빔 유닛(25)과, 상기 범퍼빔(21)의 전방에 배치되어 충격력을 흡수하는 에너지 업소버(27), 그리고 상기 범퍼빔(21)과 에너지 업소버(27)를 감싸는 범퍼 커버(29)로 이루어진다.1, the stamper 23 is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rear side of the bumper beam 21 arranged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from the front and rear of the vehicle, and the vehicle side side members 31 A bumper beam unit 25 fixed to the bumper beam 21 and an energy absorber 27 disposed in front of the bumper beam 21 for absorbing an impact force and a bumper cover 21 surrounding the bumper beam 21 and the energy absorber 27. [ (29).

상기한 종래의 범퍼빔 유닛(25)에서 스태이(23)는 그 전방이 범퍼빔(21)의 후방 양측면에 용접 또는 볼트 조립되고, 그 후방은 사이드 멤버(31)에 바로 조립되어 설치된다.In the conventional bumper beam unit 25 described above, the stays 23 are welded or bolted to the rear both side surfaces of the bumper beam 21 at the front side thereof, and the rear side thereof is directly assembled to the side members 31.

여기서, 상기 스태이(23)는 범퍼빔(21)을 통해 전달되는 충돌 에너지에 의해 변형되면서 충돌 에너지를 흡수함으로써, 차체로 충돌 에너지의 전달을 최소화하게 된다.Here, the stamper 23 is deformed by the impact energy transmitted through the bumper beam 21 and absorbs the impact energy, thereby minimizing the transfer of the impact energy to the vehicle body.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태이(23)는 차량의 충돌 발생 시, 충돌 에너지에 대한 초기 충격 흡수력이 낮아 차체로 전달되는 초기 충격력이 너무 크게 나타나고, 시간이 경과할수록 점차적으로 감소하게 됨으로써, 스태이(23)의 초기 충돌 에너지 흡수 효과가 미비하여 차체 측 사이드 멤버 등의 손상을 피할 수 없고, 이로 인해 탑승자의 상해치를 가중시키는 원인이 된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state 23,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vehicle, the initial impact force against the impact energy is low, so that the initial impact force transmitted to the vehicle body becomes too large and gradually decreases as time elapses. The initial impact energy absorbing effect of the tie 23 is insufficient and damage to the side members on the vehicle side can not be avoided, which causes the injury value of the occupant to be increased.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The matters described in the background section are intended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and may include matters not previousl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직경이 서로 다른 부재가 상호 결합되며, 충돌 에너지 작용 시에 각 부재가 접촉되면서 발생하는 마찰력과 소성 변형력을 이용하여 충돌 에너지에 대한 충돌흡수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을 제공한다.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members having different diameters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a bumper for vehicle bumper which improves collision absorbing performance against impact energy by using a frictional force and a plastic deformation force, Provide the Taei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범퍼빔에 연결되며, 확관부와 체결부를 포함하는 프론트 부재; 및 상기 프론트 부재의 체결부에 전단부가 일정 부분 삽입된 상태로 중첩부를 형성하여 상호 결합하는 리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확관부는 상기 체결부와의 경계에서부터 직경이 점점 확대되어 형성되며, 선단을 통하여 상기 범퍼빔에 접합되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ront member connected to the bumper beam and including a bendable portion and a fastening portion; And a rear member which forms an overlapping portion in a state where a front end portion of the front member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front member and which mutually engages with each other, wherein the expanding portion is formed by increasing the diameter from the boundary with the fastening portion, The bumper stuck unit for a vehicle is connected to the bumper beam.

또한, 상기 리어 부재 및 프론트 부재 각각은 상기 중첩부 둘레를 따라 복수의 체결홈을 형성하여 상기 프론트 부재와 상호 결합될 수 있다.Further, each of the rear member and the front member may be coupled to the front member by forming a plurality of engagement grooves along the periphery of the overlap portion.

또한, 상기 프론트 부재의 체결홈은 상기 체결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프론트 부재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fastening groove of the front member may be formed concavely inward of the front membe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astening portion.

또한, 상기 리어 부재의 체결홈은 상기 리어 부재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engagement groove of the rear member may be recessed inward of the rear member.

또한, 상기 프론트 부재는 상기 프론트 부재의 체결홈 사이에 형성되며, 길이 방향에 따라 복수의 제1 비드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ont member may be formed between the fastening grooves of the front member, and a plurality of first beads may b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상기 복수의 제1 비드는 상기 프론트 부재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설정각도로 이격된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first beads may be form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angle a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ont member.

또한, 상기 제1 비드는 상기 프론트 부재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first bead may be recessed inward of the front member.

또한, 상기 리어 부재는 길이 방향에 따라 복수의 제2 비드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second beads may b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ar member.

또한, 상기 복수의 제2 비드는 상기 리어 부재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설정 각도로 이격된 위치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2 체결홈과 동일 선상에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econd beads may be form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angle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member, and may be formed in line with the second fastening groove.

또한, 상기 제2 비드는 상기 리어 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bead may protrude outward from the rear member.

또한, 상기 리어 부재의 내경은 상기 프론트 부재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inner diameter of the rear member may be the same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front member.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범퍼빔과 선단이 접촉되며, 확관부 및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의 경계에서부터 선단까지 상기 확관부의 직경이 점점 확대되는 프론트 부재; 상기 프론트 부재의 체결부에 전단부가 일정 부분이 삽입된 상태로 중첩부를 형성하여 상호 결합되는 리어 부재; 상기 프론트 부재와 상기 리어 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중첩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체결홈을 포함하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mper beam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ront end, the front member including the bumper portion and the bumper portion, and the diameter of the bumper portion is gradually enlarged from the boundary to the front end of the bumper beam. A rear member which is coupled to the front member by mutually forming an overlapping portion in a state where a front end portion of the front member is inserted with a predetermined portion; And a plurality of engaging grooves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overlapping portion in a state where the front member and the rear member are engaged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프론트 부재는 상기 복수의 체결홈 사이에 길이 방향에 따라 내측으로 오목하며, 외주면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의 제1 비드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ront member may be recessed inward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engagement grooves, and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first beads spac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circumference.

또한, 상기 리어 부재는 상기 리어 부재의 체결홈과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며 외측으로 돌출되며, 외주면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의 제2 비드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ar member may be formed in parallel with the coupling groove of the rear member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protrude outwardly, and may be spac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form a plurality of second beads.

또한, 상기 제2 비드의 폭은 상기 제2 결합홈의 직경 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Further, the width of the second bead may be narrow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engagement groove.

또한, 상기 제1 비드의 개수는 상기 제2 비드의 개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number of the first beads may be the same as the number of the second beads.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직경이 서로 다른 부재가 상호 결합되어 구성되며, 차량의 저속 충돌에 의한 충돌 에너지 발생 시, 각 부재가 접촉되면서 발생하는 마찰력과 소성 변형력으로 충돌 에너지가 범퍼 스태이 유닛의 전체에 걸쳐 고르게 분산되어 흡수됨으로써, 충돌흡수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mbers having different diameters are coupled to each other. When a collision energy is generated due to a low-speed collision of a vehicle, a frictional force generated by contacting each member and a plastic deformation force, So that the collision absorbing performance can be improved.

또한, 리어 부재에 비드를 형성함에 따라 프론트 부재와 리어 부재 사이의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Further, by forming the bead in the rear member,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front member and the rear member can be increased.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In addition, effects obtainable or predict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irectly or implicitly disclo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various effects to be predict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isclo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o be described later.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범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론트 부재 및 리어 부재의 조립 사시도 및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론트 부재 및 리어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범퍼 스태이 유닛이 충격을 받았을 때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general automotive bumper.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mper sta- tion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of a bumper sta- tion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and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the front member and the rear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ront member and a rear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case where the bumper stage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acted.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의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실시 예들 중에서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에만 한정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operation principle of an embodiment of a bumper sta- tion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descrip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drawings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of various embodiments for effectively illustrating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following drawings and descriptions.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terms us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 intention or custom of the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이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 또는 통합, 또는 분리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In order to efficiently explain the essential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will appropriately modify, integrate, or separate terms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by no means thereby limited.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론트 부재 및 리어 부재의 조립 사시도 및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mper sta- tion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lan view of a bumper sta- tion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member and the rear memb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100)은 범퍼빔(80)과 연결 플레이트(90)를 상호 연결하며, 차량의 전방 충돌 시, 충돌 에너지를 흡수 및 분산 작동을 이루는 동시에, 충돌에 의한 붕괴 방향을 안정적으로 유도함으로써, 충돌흡수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 vehicular bumper stasis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terconnects a bumper beam 80 and a connecting plate 90, and absorbs and disperses collision energy during a frontal collision of the vehicle. The collision absorbing performance is improved by stably inducing the collapse direction due to the collision.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100)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부재(110) 및 리어 부재(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o this end, the vehicular bumper stasis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ont member 110 and a rear member 150, as shown in Figs.

프론트 부재(110)는 범퍼빔(80)의 후방 양측에 선단이 각각 연결된다. 이러한 프론트 부재(110)는 범퍼빔(80)에 플랜지 또는 마운팅 브라켓 등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Front members 110 are connected to the rear ends of the bumper beams 80, respectively. The front member 110 may be connected to the bumper beam 80 through a flange or a mounting bracket or the like.

이러한 프론트 부재(110)는 확관부(120)와 체결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front member 110 includes an expanding portion 120 and a fastening portion 130.

확관부(120)는 선단이 범퍼빔(80)과 연결되며, 체결부(130)와의 경계에서부터 직경이 점점 확대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distal end of the expanding part 120 is connected to the bumper beam 80, and the diameter of the expanding part 120 can be gradually enlarged from the boundary with the fastening part 130.

즉, 확관부(120)는 원추형 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선단에서 체결부(130)와의 경계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점 작아지게 형성된다. 이에 확관부(120) 선단의 직경과 체결부(130)의 직경은 상이할 수 있다. That is, the expanding part 120 may be formed in a conical cup shape, and its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tip to the boundary with the engaging part 130. Therefore, the diameter of the tip of the bending portion 120 and the diameter of the fastening portion 130 may be different.

체결부(130)는 리어 부재(150)의 전단부(160)에 내측면으로 삽입되어 리어 부재(150)와 결합된다.The fastening portion 130 is inserted into the front end portion 160 of the rear member 150 and is coupled to the rear member 150.

이러한 체결부(13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면의 형상이 원형을 포함하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astening part 13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may have a polygonal shape including a circular shape in cross section.

프론트 부재(110)는 리어 부재(150)와 결합된 상태에서 체결부(130)의 둘레를 따라 제1 체결홈(135)을 형성한다. 여기서 제1 체결홈(135)은 프론트 부재(110)와 프론트 부재(1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중첩부에서 프론트 부재(110)의 체결부(13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일정 각도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체결혼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부재(11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90° 각도로 이격되어 4개가 형성될 수 있다.The front member 110 forms the first fastening groove 135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astening part 130 in a state of being engaged with the rear member 150. The first fastening groove 135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t a predetermined angl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astening portion 130 of the front member 110 in the overlapping portion in a state where the front member 110 and the front member 110 are engaged, As shown in FIG.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the first body marriage may be formed at four angularly spaced angle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ont member 110.

이러한 제1 체결홈(135)은 프론트 부재(110)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fastening groove 135 may be recessed inward of the front member 110.

프론트 부재(110)는 내측면에서 복수의 제1 체결홈(135) 사이에 위치하며, 프론트 부재(110)의 길이 방향에 따라 제1 비드(145)가 형성된다. The front member 110 is position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engagement grooves 135 at the inner side and the first bead 145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ont member 110.

이러한 제1 비드(145)는 프론트 부재(11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즉, 제1 비드(145)는 프론트 부재(11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설정각도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비드(14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부재(11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90° 각도로 이격되어 4개가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beads 145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ont member 110. That is, the first bead 145 may be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ont member 110 by a predetermined angl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the first beads 145 may be spaced apart at an angle of 90 degrees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ont member 110 to form four.

제1 비드(145)는 프론트 부재(110)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bead 145 may be recessed inward of the front member 110.

리어 부재(150)는 프론트 부재(110)의 후단에 일단부 내주면이 일정부분 삽입된 상태로 결합되고 타단은 연결 플레이트(90)를 통해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사이트 멤버와 연결된다.The rear member 150 is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front member 110 in a state in whic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end is inserted at a certain position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front or rear site member of the vehicle through the connecting plate 90.

이러한 리어 부재(150)는 프론트 부재(110)의 체결부(130)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면의 형상이 원형을 포함하는 다각형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The rear member 15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oupling part 130 of the front member 110 and may b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including a circular shape in cross section.

여기서, 리어 부재(150)는 체결부(130)의 후단 외주면이 억지 끼움으로 끼워져 결합되도록 체결부(130)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전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부재(110)의 체결부(130)에 리어 부재(150)의 전단부(160)가 일정 부분 삽입된 상태인 중첩부를 형성할 수 있다.Here, the rear member 150 may have a whole tube portion having an inner diameter equal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coupling portion 130, so tha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ar end of the coupling portion 130 is fitted and fitted with interference. 4, the bumper pedestal unit 100 for a vehicle includes an overlapping portion in which the front end portion 160 of the rear member 150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coupling portion 130 of the front member 110 .

즉, 프론트 부재(110)는 후단 외주면이 리어 부재(150)의 일단부에 형성된 전관부의 내주면에 억지 끼움으로 끼워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at is, the rear e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ont member 110 is held by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hole pipe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rear member 150 by interference fit.

이에 따라,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100)은 프론트 부재(110)가 충돌 에너지에 의해 리어 부재(150)의 내부로 삽입될 경우, 프론트 부재(110)의 외주면과 리어 부재(150)의 내주면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면서 소성 변형이 일어나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front member 110 is inserted into the rear member 150 by the collision energy, the bumper pedestal unit 100 for a vehicle is positione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ont member 110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ar member 150 The plastic deformation occurs while friction occurs, so that the impact force can be absorbed.

여기서, 리어 부재(150)는 프론트 부재(110)와 결합된 상태에서 중첩부 둘레를 따라 복수의 제2 체결홈(165)을 형성된다. 이때, 제2 체결홈(165)은 리어 부재(150)에서 프론트 부재(110)에 형성된 제1 체결홈(135)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프론트 부재(110)와 리어 부재(150)는 제1 체결홈(135)과 제2 체결홈(165)을 통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Here, the rear member 15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fastening grooves 165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verlapping portion in a state where the rear member 150 is engaged with the front member 110. At this time, the second fastening groove 165 may be form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first fastening groove 135 formed in the front member 110 in the rear member 150. That is, the front member 110 and the rear member 150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irst engagement groove 135 and the second engagement groove 165. [

제2 체결홈(165)은 리어 부재(150)와 프론트 부재(110)가 결합된 중첩부에서 리어 부재(150)에 포함된 전관부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일정 각도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체결홈(165)은 리어 부재(15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90° 각도로 이격되어 4개가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engagement groove 165 may be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at an angl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rear member 150 in the overlapping portion where the rear member 150 and the front member 110 are engaged .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the second fastening groove 165 may be formed at an angle of 90 degrees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member 150 to form four.

이러한 제2 체결홈(165)은 리어 부재(150)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fastening groove 165 may be recessed inward of the rear member 150.

따라서, 프론트 부재(110)에 형성된 제1 체결홈(135)과 리어 부재(150)에 형성된 제2 체결홈(165)은 차량의 전방 충돌 발생에 의한 충돌 에너지가 작용하여 프론트 부재(110)가 리어 부재(150)의 내부로 삽입될 경우 프론트 부재(110)의 외주면과 리어 부재(150)의 내주면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The first engaging groove 135 formed in the front member 110 and the second engaging groove 165 formed in the rear member 150 act as collision energy due to the front collision of the vehicle, The function of increasing the frictional force generat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ont member 11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member 150 when inserted into the rear member 150 is provided.

리어 부재(150)는 길이 방향에 따라 제2 비드(175)가 형성된다. The rear member 150 is formed with a second bead 175 along its lengthwise direction.

제2 비드(175)는 리어 부재(150)의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즉, 제2 비드(175)는 리어 부재(15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설정 각도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비드(17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부재(15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90° 각도로 이격되어 4개가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beads 175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rear member 150. That is, the second bead 175 may be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member 150 by a predetermined angl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the second beads 175 may be spaced at an angle of 90 degrees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member 150, thereby forming four second beads 175.

이러한 제2 비드(175)는 제2 체결홈(165)과 동일 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 비드(175)는 제2 체결홈(165)과 리어 부재(150)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bead 175 may be located on the same line as the second coupling groove 165. That is, the second beads 175 may be formed in parallel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fastening groove 165 and the rear member 150.

제2 비드(175)는 리어 부재(15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비드(175)의 폭은 제2 결합홈의 직경 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비드(175)의 개수는 제1 비드(145)의 개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bead 175 may protrude outward from the rear member 150. The width of the second bead 175 may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coupling groove. The number of the second beads 175 may be the same as the number of the first beads 145.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제1 비드(145), 제1 체결홈(135), 제2 비드(175) 및 제2 체결홈(165)이 90° 각도로 이격되어 리어 부재(150) 상에 4개가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비드(145), 제1 체결홈(135), 제2 비드(175) 및 제2 체결홈(165)의 위치 및 개수는 변경하여 적용이 가능하다.
The first bead 145, the first bead 135, the second bead 175 and the second bead 165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n angle of 90 degrees, The first bead 145, the second bead 175,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165 are formed on the first bead 145, the first bead 175, and the second bead 165.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number may be changed and appli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범퍼 스태이 유닛이 충격을 받았을 때를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case where the bumper stage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acted.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은 도 6의 A,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충동 및 추돌에 의하여 범퍼빔을 통하여 충격 에너지(F)가 입력되면, 도 6의 B,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적으로 프론트 부재가 리어 부재로 삽입되어 충격량을 흡수한다. 또한, 프론트 부재 및 리어 부재 각각에 형성된 체결홈을 통해 마찰을 증대시켜 보다 호율적으로 충돌 에너지를 분산하여 흡수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impact energy F is inputted through the bumper beam by the impulse and collision of the vehicle as shown in A and A 'of FIG. 6, the bumper sta- tion unit for a vehicle having the above- , B ', the front member is first inserted into the rear member to absorb the impact amount. Further, friction can be increased through engagement grooves formed in the front member and the rear member, respectively, so that the collision energy can be dispersed and absorbed more favorably.

이후, 도 6의 C,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적으로 프론트 부재가 프론트 부재에 형성된 제1 비드 및 리어 부재에 형성된 제2 비드의 형상을 따라 수축되어 리어 부재에 삽입되어 자연스러운 붕괴 모드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reafter, as shown in C and C 'of FIG. 6, the front member is contracted along the shape of the first bead formed on the front member and the second bead formed on the rear member, and inserted into the rear member to form a natural collapse mode Can be import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varied and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80: 범퍼빔
90: 연결 플레이트
100: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
110: 프론트 부재
120: 확관부
130: 체결부
150: 리어 부재
160: 전단부
170: 중첩부
80: Bumper beam
90: connecting plate
100: Vehicle bumpers unit
110: front member
120:
130:
150:
160:
170:

Claims (16)

범퍼빔에 연결되며, 확관부와 체결부를 포함하는 프론트 부재; 및
상기 프론트 부재의 체결부에 전단부가 일정 부분 삽입된 상태로 중첩부를 형성하여 상호 결합하는 리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확관부는 상기 체결부와의 경계에서부터 직경이 점점 확대되어 형성되며, 선단을 통하여 상기 범퍼빔에 접합되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
A front member connected to the bumper beam and including an expanding portion and a fastening portion; And
And a rear member which forms an overlapping portion in a state in which a front end portion of the front member is inserted into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front member,
Wherein the expanding portion is formed by gradually increasing the diameter from the boundary with the engaging portion, and is joined to the bumper beam through the leading en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부재 및 프론트 부재 각각은
상기 중첩부 둘레를 따라 복수의 체결홈을 형성하여 상기 프론트 부재와 상호 결합되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rear member and the front member
And a plurality of engagement grooves ar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verlap portion to be coupled with the front member.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부재의 체결홈은
상기 체결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프론트 부재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astening groove of the front member
And is recessed inwardly of the front member along the periphery of the fastening portion.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부재의 체결홈은
상기 리어 부재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astening groove of the rear member
And is formed concavely inward of the rear member.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부재는
상기 프론트 부재의 체결홈 사이에 형성되며, 길이 방향에 따라 복수의 제1 비드가 형성되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
The method of claim 3,
The front member
And a plurality of first beads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beads being formed between the fastening grooves of the front member.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비드는
상기 프론트 부재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설정각도로 이격된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
6. The method of claim 5,
The plurality of first beads
And are form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angle along the periphery of the front member.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드는
상기 프론트 부재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bead
And is formed concavely inward of the front member.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부재는
길이 방향에 따라 복수의 제2 비드가 형성되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
The method of claim 3,
The rear member
And a plurality of second beads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비드는
상기 리어 부재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설정 각도로 이격된 위치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2 체결홈과 동일 선상에 형성되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
9. The method of claim 8,
The plurality of second beads
And are form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angle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member, and are formed in the same line as the second fastening groove.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비드는
상기 리어 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econd bead
Wherein the bumper stopper protrudes outside the rear memb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부재의 내경은
상기 프론트 부재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ner diameter of the rear member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front member is the same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front member.
범퍼빔과 선단이 접촉되며, 확관부 및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의 경계에서부터 선단까지 상기 확관부의 직경이 점점 확대되는 프론트 부재;
상기 프론트 부재의 체결부에 전단부가 일정 부분이 삽입된 상태로 중첩부를 형성하여 상호 결합되는 리어 부재; 및
상기 프론트 부재와 상기 리어 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중첩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체결홈;
을 포함하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
A front member having a bumper beam and a tip abutted thereon and including an expanding portion and a fastening portion, wherein the diameter of the expanding portion gradually increases from a boundary to a front end of the fastening portion;
A rear member which is coupled to the front member by mutually forming an overlapping portion in a state where a front end portion of the front member is inserted with a predetermined portion; And
A plurality of engaging grooves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overlapping portion in a state where the front member and the rear member are engaged;
And a bumper unit for a vehicle.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부재는
상기 복수의 체결홈 사이에 길이 방향에 따라 내측으로 오목하며, 외주면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의 제1 비드가 형성되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front member
Wherein a plurality of first beads are formed by being recessed inward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engaging grooves and being equidistantly spac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부재는
상기 리어 부재의 체결홈과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며 외측으로 돌출되며, 외주면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의 제2 비드가 형성되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rear member
And a plurality of second beads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mper staunch unit.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비드의 폭은 상기 제2 결합홈의 직경 보다 좁게 형성되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
15. The method of claim 14,
And the width of the second bead is narrow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engagement groove.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드의 개수는 상기 제2 비드의 개수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number of the first beads is equal to the number of the second beads.
KR1020150030978A 2015-03-05 2015-03-05 Bumper stay unit for vehicle KR1016853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978A KR101685398B1 (en) 2015-03-05 2015-03-05 Bumper stay unit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978A KR101685398B1 (en) 2015-03-05 2015-03-05 Bumper stay unit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7755A true KR20160107755A (en) 2016-09-19
KR101685398B1 KR101685398B1 (en) 2016-12-13

Family

ID=57103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0978A KR101685398B1 (en) 2015-03-05 2015-03-05 Bumper stay unit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539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2230B1 (en) * 2016-12-20 2018-09-28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Crash box unit for vehic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4127A (en) * 1999-10-21 2001-05-08 Nippon Petrochem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absorbing impact energy
JP2009126182A (en) * 2007-11-19 2009-06-11 Toyota Motor Corp Shock absorbing structure
KR20100034274A (en) * 2008-09-23 2010-04-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tructure of bumper-stay for automobile
KR20140032226A (en) * 2012-09-06 2014-03-14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Bumper stay unit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4127A (en) * 1999-10-21 2001-05-08 Nippon Petrochem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absorbing impact energy
JP2009126182A (en) * 2007-11-19 2009-06-11 Toyota Motor Corp Shock absorbing structure
KR20100034274A (en) * 2008-09-23 2010-04-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tructure of bumper-stay for automobile
KR20140032226A (en) * 2012-09-06 2014-03-14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Bumper stay unit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5398B1 (en) 2016-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30878B2 (en) Shock absorbing structure
KR20090093426A (en) The Collision Energy Absorbable Steering Column for Vehicle
KR101685398B1 (en) Bumper stay unit for vehicle
KR101408421B1 (en) Steering Column For Vehicle
KR101770780B1 (en) a tube type absorbing device
KR20160075190A (en) Crash box for vehicle
KR20140063198A (en) Crash box for vehicle
KR101826541B1 (en) Bumper assembly for vehicle
KR20110037399A (en) Crash box in automotive bumper system
KR20160026056A (en) Bumper stay unit for veh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KR20170057081A (en) Bumper stay for vehicles
KR101902230B1 (en) Crash box unit for vehicle
KR101659951B1 (en) Crash box for vehicle
KR100932673B1 (en) Car Crash Box
KR20090101726A (en) Bumper stay of automotive bumper unit
KR101932689B1 (en) Bumper beam unit for vehicles
KR101539601B1 (en) Bumper stay unit for vehicle
KR20100047622A (en) Bumper stay of automotive bumper unit
KR20140032226A (en) Bumper stay unit for vehicle
KR20170070981A (en) Car crash box
KR101547279B1 (en) Bumper beam unit for vehicles
KR101138073B1 (en) Collision Energy Absorbing Structure of Steering Column Equipped with Wire
KR101464968B1 (en) Bumper stay unit for vehicle
KR101398226B1 (en) Bumper stay unit for vehicle
KR101413196B1 (en) Bumper stay unit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