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7485A - Mooring facility for seaweed forming - Google Patents

Mooring facility for seaweed form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7485A
KR20160107485A KR1020150030267A KR20150030267A KR20160107485A KR 20160107485 A KR20160107485 A KR 20160107485A KR 1020150030267 A KR1020150030267 A KR 1020150030267A KR 20150030267 A KR20150030267 A KR 20150030267A KR 20160107485 A KR20160107485 A KR 20160107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oring
line
farm
guide
seaw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02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현
김영수
김상일
우희철
김남길
최국진
이병준
김건우
이계광
Original Assignee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filed Critical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Priority to KR1020150030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7485A/en
Publication of KR20160107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748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 Y02P60/64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ultivation Of Seaweed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oring device for a seaweed farm. The mooring device for a seaweed fa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mooring device for a seaweed farm that maintains a position of a seaweed farm mooring on a sea surface, includes: an anchor received by a seabed; a floating line extending from the anchor; a buoyancy portion connected to a free end of the floating line; and a mooring guide portion supported by the buoyancy portion and having a mooring guide line guiding a movement of the seaweed farm resulting from a vertical sea surface movement.

Description

해조류 양식장 계류 장치{Mooring facility for seaweed forming}{Mooring facility for seaweed forming}

본 발명은 해조류 양식장 계류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weed farm mooring device.

외해 해조류 양식 시설은 육지와 떨어져 해양 환경이 연근해에 비해 가혹하나 양식을 위한 공간이 넓고 오염에 관한 영향을 덜 받는 곳에 설치된 해조류 양식 시설을 말한다.Seaweed aquaculture facility is a seaweed aquaculture facility that is separated from the land and has a marine environment that is harsh compared to the open sea, but has a large space for cultivation and is less affected by pollution.

일반적으로 연근해에 설치된 기존의 해조류 양식 시설은 로프, 와이어, 부이, 망, 계류삭 등을 적절히 활용하여 녹조류 등을 양식한다. 연근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해수의 교환이 외해에 비해 원활하지 않아 해수오염 등에 취약하고 활발한 연근해 개발에 따른 사용공간이 제한된다. 따라서, 외해에서 해조류 양식 시설이 확장될 필요가 있다.In general, existing seaweed farming facilities installed in the coastal area cultivate green algae by using ropes, wires, buoys, net, mooring rope, etc. appropriately. Since it is installed in the coastal waters, the exchange of seawater is not smooth compared to the sea, which is vulnerable to seawater pollution, and the use space due to the active development of the coastal waters is limited. Therefore, seaweed farming facilities need to be expanded in the offshore region.

이를 위해, 이하에서 설명되는 해조류 양식장 계류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이하, 종래의 해조류 양식장 계류 장치에 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To this end, a seaweed farm mooring device described below has been proposed. Hereinafter, a conventional seaweed farm mooring apparatu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해조류 양식장은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202)과, 프레임(202)에 설치되는 연승줄(204)과 보강줄(205), 그리고 부이(203)로 구성되며, 프레임(202)은 사각 형상을 형성하도록 배치되고, 프레임(202)의 내측에는 미역, 다시마 등의 해조류를 양식하기 위한 연승줄(204)이 연결된다. 부이(203)는 수면으로부터 일정 위치에 뜬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양식장이 수면에서 계류되도록 유지된다. 1, a conventional seaweed farm is composed of a frame 202 forming an outer appearance, a stretch line 204 installed on the frame 202, a reinforcing string 205, and a buoy 203, (202) is arranged to form a rectangular shape, and a winning line (204)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frame (202) for preparing seaweeds such as seaweed, sea tangle and the like. The buoy 203 is provided so as to be kept floating at a predetermined position from the water surface, so that the farm is kept moored at the water surface.

이러한 양식장의 위치가 유지되면서 안정적으로 계류되도록 하기 위해, 양식장 계류 장치(200)가 제공되며, 종래의 양식장 계류 장치(200)는 양식장을 해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앵커를 포함하고, 부이(210), 앵커와 부이(210)를 연결하는 와이어(220), 와이어(220)의 장력을 조절하는 밸러스팅 장치(240), 와이어(220)들 사이에서 양식장의 프레임(202) 형상을 유지시키는 간격 유지부(230)로 구성된다. A conventional farm mooring apparatus 200 is provided with an anchor for fixing a farm site to the sea floor, and a buoy 210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farm 200. In order to maintain the stable position of the farm, A wire 220 connecting the anchor and the buoy 210, a balustering device 240 for controlling the tension of the wire 220, an interval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frame 202 of the farm between the wires 220 (230).

여기서, 간격 유지부(230)는 파이프(231)와, 파이프(231)를 와이어(220)에 연결하기 위한 링 형상의 연결부재(232)와, 파이프(231)를 지지하는 파이프 지지부(233)와, 파이프 지지부(233)를 부이(203)로부터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탈부착식 연결부재(234)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The gap holding portion 230 includes a pipe 231, a ring-shaped connecting member 232 for connecting the pipe 231 to the wire 220, a pipe support portion 233 for supporting the pipe 231, And a detachable connecting member 234 detachably connecting the pipe supporting portion 233 to the buoy 203.

이러한 종래의 해조류 양식장 계류 장치는 해조류 양식장의 계류 보강 및 형태 유지를 할 수 있어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 할 수 있고, 거대 규모의 양식장을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외해에 설치되는 안정적이고 경제적인 운용이 가능한 양식장으로서 적용이 가능하다.Such a conventional seaweed farm mooring apparatus can enhance the mooring of the seaweed farm and maintain its shape, thereby securing the structural stability and stably forming a large scale farm. In this respect, it can be applied as a farm where stable and economical operation is possible in the offshore area.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양식장 계류 장치는 기 설치된 양식장의 양식 면적을 확장할 필요가 있을 경우, 기 설치된 양식장 계류 장치를 활용하지 못하고 양식장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양식장 계류 장치 모두를 새로 설치해야 하므로, 양식 면적의 확장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conventional farm mooring apparatus, if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farming area of the pre-installed farms, all the farms constituting the frame of the farms must be newly installed without utilizing the pre-installed farms. There is a problem that expansion is not easy.

또한, 태풍 등 해상 환경이 악화될 경우 수면에 계류중인 양식장이 파손될 가능성이 있고, 양식장 표면에서 양식되는 해조류가 유실될 위험이 존재한다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if the marine environment such as a typhoon deteriorate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pond pond may be damaged on the surface of the water, and there is a risk that seaweeds cultured on the surface of the pond may be lost.

한국등록특허 제10-1412023호Korean Patent No. 10-1412023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양식 면적의 확장이 용이한 해조류 양식장 계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aweed farm mooring apparatus which can easily expand a cultivated area.

또한, 해상 환경 악화에 따른 양식장 파손 및 해조류 유실의 가능성을 억제할 수 있는 해조류 양식장 계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lso, it is intended to provide a marine aquaculture mooring device capable of restraining the possibility of destruction of the aquaculture site and loss of algae due to deterioration of the marine environmen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해수면에 계류하는 해조류 양식장의 위치를 유지하는 해조류 양식장 계류 장치에 있어서, 해저면에 안착되는 앵커; 상기 앵커로부터 연장되는 부유라인; 상기 부유라인의 자유단에 연결되는 부력부; 및 상기 부력부에 의해 지지되고, 해수면의 상하 방향 이동에 따른 상기 해조류 양식장의 이동을 안내하는 계류 가이드 라인을 포함하는 계류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해조류 양식장 계류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aweed farm mooring apparatus for maintaining the position of a seaweed farm moored on sea level, comprising: an anchor seated on the sea floor; A floating line extending from the anchor; A buoyant portion connected to the free end of the floating line; And a mooring guide part supported by the buoyant part and including a mooring guide line for guiding movement of the seaweed farm in accordance with movement of the sea level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상기 해조류 양식장이 연결되고, 상기 해조류 양식장의 해수면에서 수중으로의 하강 내지는 수중에서 해수면으로의 상승을 안내하는 승하강 가이드 라인을 포함하는 승하강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해조류 양식장 계류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Further, there is provided a seaweed farm mooring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n up-and-down guide unit connected to the seaweed farm and including an up-and-down guide line for guiding a descent from the sea surface of the seaweed farm to water or upward from sea to sea .

또한, 상기 승하강 가이드부는, 해수면에 부유하는 가이드 부이를 포함하고, 상기 승하강 가이드 라인의 일단이 상기 앵커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 부이에 연결되는 해조류 양식장 계류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lso, the upward / downward guide portion may include a guide portion floating on the sea surface, and one end of the up / down guide line may be connected to the anchor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guide portion.

또한, 상기 승하강 가이드부는, 상기 승하강 가이드 라인과 상기 계류 가이드 라인을 연결하는 연결라인을 더 포함하는 해조류 양식장 계류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scending / descending guide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line connecting the ascending / descending guide line and the mooring guide line.

또한, 상기 해조류 양식장과 상기 연결라인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링 형상의 고리를 통해 상기 승하강 가이드 라인 및 상기 계류 가이드 라인에 연결되는 해조류 양식장 계류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lso, the seaweed farm and the connection line may be connected to the ascending / descending guide line and the mooring guide line through a ring-shaped ring so as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상기 계류 가이드부의 상면에 제공되고, 작업자가 작업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플랫폼을 더 포함하는 해조류 양식장 계류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Further, a seaweed farm mooring device, which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oring guide portion and further includes a platform for providing work space for an operator,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부력부는 상기 부유라인에 장력을 가하고 상기 계류 가이드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잉여부력을 제공하는 밸러스팅 수단을 포함하는 해조류 양식장 계류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uoyant portion may include a balustering means for applying tension to the floating line and providing surplus buoyancy to support the mooring guide portion.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해조류 양식장 계류 장치에 연결되고, 외곽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고, 해조류의 서식처를 제공하는 연승줄; 상기 연승줄에 교차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연승줄을 보강하는 보강줄; 상기 프레임, 상기 연승줄 및 상기 보강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되어 해수면에 계류하도록 부력을 제공하는 계류 부이; 및 상기 계류 부이의 부력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상기 프레임, 상기 연승줄 및 상기 보강줄을 상기 해조류 양식장 계류 장치에 의해 안내되면서 수중으로 하강시키는 승하강 수단을 포함하는 해조류 양식장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arine algae farm mooring device, A consecutive line connected to the frame and providing habitat of seaweed; A reinforcing bar provided to intersect the winning line and reinforcing the winning line; A mooring part provided at least on at least one of the frame, the winning line and the reinforcing bar to provide buoyancy to moor on the sea surface; And an ascending and descending means for selectively lowering the buoyancy of the mooring buoy and lowering the frame, the winning line and the reinforcing string into water while being guided by the seaweed farm mooring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양식 면적의 확장시 기 설치된 양식장 계류 장치를 활용할 수 있으므로, 확장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dvantageous that expansion is easy since it is possible to utilize the installed farm mooring device when the farm area is expanded.

또한, 해상 환경 악화에 따른 양식장 파손 및 해조류 유실의 가능성을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possibility of the destruction of a farm site and loss of algae due to deterioration of the marine environment.

도 1은 종래의 해조류 양식장 계류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식장 전체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양식장 계류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양식장이 수면에서 계류 중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양식장이 양식장 계류 장치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수중으로 하강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양식장의 양식 면적을 확장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eaweed farm mooring apparatus.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entire structure of a fa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farm mooring apparatus of FIG. 2;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farm in FIG. 2 is plowing from the surface of the water.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farm in FIG. 2 is lowered into water while being guided by a farm mooring device.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expanding the culture area of the farm in FIG. 2;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식장 전체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양식장 계류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FIG.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a fa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front view showing a farm mooring apparatus of FIG.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조류 양식장 계류 장치(100)는 해수면에 계류하는 해조류 양식장(10)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2 and 3, a seaweed farm moo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for maintaining the position of a seaweed farm 10 moored at sea level.

양식장(10)은 계류 장치(100)에 연결되고, 외곽을 형성하는 프레임(12), 프레임(12)에 연결되고 해조류의 서식처를 제공하는 연승줄(14), 연승줄(14)에 교차하도록 제공되고 연승줄(14)을 구조적으로 보강하는 보강줄(16) 및 프레임(12)과 연승줄(14)과 보강줄(16) 중 일부 또는 전부에 설치되어 해수면에 계류하도록 부력을 제공하는 계류 부이(18)를 포함한다.The farm site 10 is connected to the mooring device 100 and includes a frame 12 forming an outer frame, a winch line 14 connected to the frame 12 and providing habitat for seaweeds, A reinforcing line 16 provided structurally reinforcing the winning line 14 and a mooring provided on the frame 12 and some or all of the winning line 14 and the reinforcing line 16 to provide buoyancy to moor at sea level And a buoy (18).

양식장(10)을 구성하는 프레임(12), 연승줄(14) 및 보강줄(16)은 일 예로 로프(rope)일 수 있으나, 해조류가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부재라면 어느 것이라도 적용 가능하다.The frame 12, the continuous strand 14 and the reinforcing string 16 constituting the farm 10 may be rope as an example, but any member capable of providing an environment in which the seaweed can live can be used. Is also applicable.

프레임(12)은 전체로서 다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형인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계류 장치(100)는 상기 다각형의 꼭지점에 배치된다.The frame 12 may be configured to have a polygonal shape as a whole, and a rectangular shape is shown as an examp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ooring device 100 is disposed at the vertex of the polygon.

연승줄(14)과 보강줄(16)은 프레임(12)의 서로 인접하지 않은 두 변을 연결하도록 제공되며, 프레임(12)을 구성하는 하나의 변에 대하여 하나 이상이 제공될 수 있다.The winning line 14 and the reinforcing string 16 are provided to connect two non-adjacent sides of the frame 12, and one or more of them may be provided for one side constituting the frame 12. [

또한, 연승줄(14)과 보강줄(16)은 서로 교차되도록 제공되며, 연승줄(14)의 위치가 해상 환경에 의해 변동되는 것을 억제하여 위치가 유지되도록 보강줄(16)이 연승줄(14)에 고정된다.The extension line 16 and the reinforcement line 16 are provided so as to interse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reinforcement line 16 is positioned on the extension line 16 so that the position of the extension line 14 is prevented from being varied by the marine environment, 14).

계류 부이(18)는 프레임(12), 연승줄(14) 및 보강줄(16)이 해수면에 계류되도록 부력을 제공하며, 프레임(12), 연승줄(14) 및 보강줄(16) 각각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프레임(12), 연승줄(14) 및 보강줄(16) 중 두 개가 서로 만나는 교차점에 계류 부이(18)가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mooring buoy 18 provides buoyancy to moor the frame 12, the winner string 14 and the reinforcement string 16 to the sea level and the buoyancy of the frame 12, the win string 14 and the reinforcement string 16 A plurality of them can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mooring buoy 18 is disposed at an intersection where, for example, two of the frame 12, the winning line 14 and the reinforcing line 16 meet.

계류 부이(18)는 미도시된 승하강 수단과 연결되어 부력이 선택적으로 제거되도록 밸러스팅 기능을 가질 수 있으며, 계류 부이(18)의 부력이 제거되면 계류 장치(100)에 의해 안내되면서 수중으로 하강되고, 이로써 프레임(12), 연승줄(14) 및 보강줄(16)도 함께 수중으로 하강될 수 있다.The mooring buoy 18 may have a balancing function to selectively remove the buoyant force when the buoyant force of the mooring buoy 18 is removed. The mooring buoy 18 is guided by the mooring device 100, Whereby the frame 12, the winning line 14, and the reinforcing line 16 can be lowered together.

여기서, 상기 승하강 수단은 일 예로 해수를 공급 및 흡입하는 펌프와, 계류 부이(18)에 연결된 파이프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일 예로 후술하는 플랫폼(110)에 제공될 수 있다. Here, the up-down means may include, for example, a pump for supplying and sucking seawater and a pipe connected to the mooring unit 18, and may be configured to be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not shown). The controller may be provided on a platform 1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상기 승하강 수단은 계류 부이(18)의 부력을 선택적으로 제공 또는 제거할 수 있는 주지의 구성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적용이 가능하다.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lifting means can be applied to any well-known structure capable of selectively providing or removing the buoyancy of the mooring buoy 18.

한편, 계류 장치(100)는 잉여부력에 의해 수중에 계류되면서 해저면에 안착되는 앵커(160)에 의해 일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제공되며, 프레임(12)과 연결되어 양식장(10)의 위치를 유지시킨다.On the other hand, the mooring apparatus 100 is provided to be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y an anchor 160 that is moored in the water due to surplus buoyancy and seated on the sea floor, and is connected to the frame 12 to maintain the position of the farm 10 .

이를 위해, 계류 장치(100)는 해저면에 안착되는 중량물을 포함하는 앵커(160), 앵커(160)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부유라인(150), 부유라인(150)의 자유단에 연결되고 잉여부력을 제공하여 부유라인(150)에 장력을 가하는 부력부(130) 및 부력부(130)에 의해 지지되는 계류 가이드부(120)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mooring apparatus 100 includes an anchor 160 including a heavy load placed on the seabed surface, a float line 150 extending upward from the anchor 160, a free line 150 connected to the free end of the float line 150, And a buoyant portion 130 for applying buoyancy to the buoyant line 150 to apply tension to the buoyant line 150 and a mooring guide portion 120 supported by the buoyant portion 130.

또한, 계류 장치(100)는 계류 가이드부(120)의 상면에 제공되어 작업자가 작업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플랫폼(110) 및 양식장(10)의 해수면에서 수중으로의 하강 내지는 수중에서 해수면으로의 상승을 안내하는 승하강 가이드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oring device 100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oring guide part 120 and is provided with a platform 110 for providing a space for a worker to work and an elevation from the sea surface of the aquaculture platform 10 to the water, And a lifting / lowering guide part 140 for guiding the lifting /

플랫폼(110)은 해수면의 상측에 돌출되도록 제공되며, 계류 가이드부(120)의 상면에 제공된다. 또한, 플랫폼(110)은 해수의 요동에 의해 해수로 작업자가 낙하하지 않도록 난간이 상면 둘레를 따라 제공될 수 있고, 작업자가 계류 가이드부(120)의 내부로 진입할 수 있는 통로와, 상기 통로의 입구에 해당되는 해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atform 110 is provided to protrude above the sea surface and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oring guide portion 120. In addition, the platform 110 can be provide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railing so that the worker does not fall by the sea water due to the swinging of the seawater, and a passageway through which the operator can enter the mooring guide portion 120, And a hatch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entrance of the door.

계류 가이드부(12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관 형상으로 제공되어 중량이 적게 제공될 수 있다. 계류 가이드부(120)의 둘레면을 따라 계류 가이드 라인(122)이 복수 개 제공되며, 계류 가이드 라인(122)의 양 단이 고정되는 러그(124)가 계류 가이드부(120)의 둘레면에 부착된다.The mooring guide portion 120 may be provided in a tubular shape in which a hollow is formed to provide a small weight. A plurality of mooring guide lines 122 are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oring guide unit 120 and a lug 124 to which both ends of the mooring guide line 122 are fixed is provid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oring guide unit 120 Respectively.

계류 가이드 라인(122)은 와이어로 제공될 수 있고, 일 예로 로프로 구성될 수 있다. 계류 가이드 라인(122)은 양 단이 러그(124)에 의해 계류 가이드부(120)의 둘레면으로부터 소정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The mooring guideline 122 may be provided as a wire, and may be configured as a rope, for example. The mooring guide line 122 can be fix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oring guide portion 120 by the lugs 124 at both ends.

계류 가이드부(120)의 둘레면 중 일부에 대하여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는 래더(ladder: 126)가 제공될 수 있다.A ladder 126 may be provided to allow an operator to move with respect to a part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oring guide portion 120.

부력부(130)는 밸러스트 탱크를 포함할 수 있고, 밸러스트 탱크에 해수를 선택적으로 유입시키거나 배출시킬 수 있는 밸러스팅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buoyant portion 130 may include a ballast tank and may further include a ballasting device capable of selectively introducing or discharging seawater into the ballast tank.

부력부(130)는 플랫폼(110)과 계류 가이드부(120)의 하중 및 부력부(130) 자체 하중을 이길 수 있는 잉여부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부력부(130)의 잉여부력에 의해 앵커(160)와 연결된 부유라인(150)에 장력이 가해질 수 있다.The buoyant portion 130 is configured to provide surplus buoyancy that can overcome the loads of the platform 110 and the mooring guide portion 120 and the buoyancy portion 130 itself. Accordingly, tension can be applied to the floating line 150 connected to the anchor 160 by the surplus buoyancy of the buoyancy portion 130. [

또한, 구조적인 안정성을 위해 계류 가이드부(120)가 부력부(130)의 내부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For the purpose of structural stability, the mooring guide 120 may be provided so as to pass through the buoyancy part 130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부력부(130)는 수면 아래로 잠기고, 부력부(130)의 상부에서 상방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계류 가이드부(120)는 해수면과 만나는데, 이‹š 계류 가이드부(120)의 단면적이 부력부(130)의 단면적보다 작으므로, 양식장의 위치 고정을 위해 해수면에 계류하는 부이(buoy)가 사용되는 종래의 일반적인 양식장 구조보다 수면에서의 파랑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저감된다. 이에 따라, 파랑의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The buoyant portion 130 is locked below the water surface and the mooring guide portion 120 formed to extend up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buoyant portion 130 meets with the sea surface. The sectional area of the mooring guide portion 120 Is less than th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buoyant portion 130, the influence of waves on the water surface is relatively reduced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general farm structure in which buoys mooring on the sea surface are used to fix the position of the farm. Thereby, the effect of the wave can be minimized.

한편, 승하강 가이드부(140)는 해수면에 계류되는 가이드 부이(142), 가이드 부이(142)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앵커(160)에 연결되는 승하강 가이드 라인(144) 및 승하강 가이드 라인(144)과 연결라인(146)을 포함한다.The up / down guide portion 140 includes a guide portion 142 moored on the sea surface, an up / down guide line 144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guide portion 142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anchor 160, A guideline 144 and a connection line 146.

가이드 부이(142)는 승하강 가이드 라인(144)이 해수면으로부터 해저면에 안착된 앵커(160)까지 연결되도록 해수면에 계류되는 일반적인 부이(buoy)이다.The guide buoy 142 is a general buoy moored on the sea surface so that the up / down guide line 144 is connected from the sea surface to the anchor 160 seated on the sea floor.

연결라인(146)은 일단에 링 형상의 고리(146a)가 고정되고, 고리(146a)에 계류 가이드 라인(122)이 삽입되어, 연결라인(146)이 계류 가이드 라인(122)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제공된다. The connection line 146 is fixed at one end to the ring-shaped ring 146a and the mooring guide line 122 is inserted into the ring 146a so that the connection line 146 can mov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mooring guide line 122 As shown in FIG.

또한, 연결라인(146)의 타단은 승하강 가이드 라인(144)에 매듭 등을 통해 고정 연결된다. 이로써, 해수면이 조력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요동하면, 승하강 가이드부(140)가 계류 가이드 라인(122)에 의해 안내되면서 해수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요동될 수 있다.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line 146 is fixedly connected to the lifting / lowering guide line 144 through a knot or the like. Thus, when the sea surface swings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aid force, the up-down guide portion 140 can be swung up and down along the sea surface while being guided by the mooring guide line 122.

해수면의 상하 방향 요동에 따라 승하강 가이드부(140)가 요동되더라도 계류 가이드 라인(122)에 의해 안내되므로, 가이드 부이(142)의 계류 장치(100)에 대한 상대 위치가 어느 정도 유지되면서 해수면에 계류될 수 있다.Descent guide portion 140 is guided by the mooring guide line 122 even if the upward / downward guide portion 140 is oscillated in accordance with the upward / downward rotation of the sea surface,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guide portion 142 with respect to the mooring device 100 is maintained to some extent, Can be moored.

승하강 가이드 라인(144)에는 프레임(12)이 연결되며, 구체적으로 프레임(12)의 변을 구성하는 부재의 일단이 링 형상의 고리(12a)를 통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승하강 가이드 라인(144)에 연결된다.The frame 12 is connected to the up / down guide line 144. Specifically, one end of the member constituting the side of the frame 12 is vertically movable through the ring-shaped loop 12a, (144).

이에 따라, 계류 부이(18)의 부력이 제거되어 프레임(12), 연승줄(14) 및 보강줄(16)이 수중으로 하강할 때, 승하강 가이드 라인(144)에 의해 안내되면서 하강하므로, 계류 장치(100)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가 어느 정도 유지되면서 하강할 수 있다. Thus, when buoyancy of the mooring buoy 18 is removed and the frame 12, the winning line 14 and the reinforcing line 16 descend into the water, they descend while being guided by the elevating / lowering guide line 144, Can be lowered while maintaining a relativ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mooring device 100. [

또한, 수중에 잠겨 있던 계류 부이(18)에 부력을 다시 공급하여 프레임(12), 연승줄(14) 및 보강줄(16)이 해수면으로 상승할 때에도 마찬가지로 승하강 가이드 라인(144)에 의해 안내되므로, 계류 장치(100)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가 어느 정도 유지되면서 상승할 수 있다.When the buoyant force is again supplied to the mooring buoy 18 that has been submerged in the water and the frame 12, the winning line 14 and the reinforcing line 16 rise to the sea level, So that the relativ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mooring device 100 can be raised while maintaining a certain position.

부유라인(150)은 부력부(130)와 앵커(160)를 연결하며, 장력이 걸릴 수 있는 와이어와 같은 부재일 수 있으며, 일 예로 체인일 수 있다. The floating line 150 connects the buoyant portion 130 and the anchor 160 and may be a member such as a wire to which tension can be applied, for example, a chain.

앵커(160)는 해저면에 가라앉도록 제공되는 중량물이며, 일 예로 콘크리트 부재일 수 있다.The anchor 160 is a heavy material provided to sink on the sea floor, and may be, for example, a concrete member.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계류 장치(100)에 따른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moo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to FIG.

도 4는 도 2의 양식장이 수면에서 계류 중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양식장이 양식장 계류 장치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수중으로 하강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2의 양식장의 양식 면적을 확장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farm in FIG. 2 is plowing from the water surface, FIG. 5 is a view showing the farm in FIG. 2 being guided by a farm mooring device and descending into water, In which the cultivation area of the farm is enlarged.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계류 장치(100)는 양식장(10)의 외곽을 구성하는 프레임(12)의 각 꼭지점에 배치되어 해조류 양식장의 형상 및 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다. 4 to 6, the mooring device 100 may be disposed at each vertex of the frame 12 constitut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farm 10 to maintain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seaweed farm.

계류 장치(100)는 해저면의 일 지점에 자중에 의해 고정 설치된 앵커(160)에 의해 해저면의 일 지점에 대하여 위치가 고정되며, 부력부(130)에서 제공되는 잉여부력에 의해 부유라인(150)에 장력이 걸려서 해상으로 돌출되는 다른 부재들의 위치도 일정 범위 내로 유지된다.The mooring apparatus 100 is fixed at one point on the sea bed surface by an anchor 160 fixed by one of its own weight at one point on the seabed surface and the surplus buoyancy provided by the buoyancy portion 130 causes the floating line 150 are held in a certain range by the tension of the other members protruding in the sea.

한편, 프레임(12)은 승하강 가이드 라인(144)에 상하방향 이동이 자유롭게 연결되고, 승하강 가이드 라인(144)은 연결라인(146)을 통해 상하방향 이동이 자유롭게 계류 가이드 라인(122)에 연결된다.On the other hand, the frame 12 is vertically movably connected to the up / down guide line 144, and the up / down guide line 144 is vertically movable through the connection line 146 to the mooring guide line 122 .

이에 따라, 해수면이 제 1 높이(S1)에서 제 2 높이(S2)로 변동되면, 연결라인(146)이 계류 가이드 라인(122)에 의해 안내되면서 계류 장치(100)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계류 부이(18)와 가이드 부이(142)가 해수면에 계류되는 상태가 유지되면서, 계류 장치(100)에 대한 상하 방향 위치를 제외한 상대적인 위치가 일정 범위 내에서 유지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sea level changes from the first height S1 to the second height S2, the connecting line 146 is moved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mooring device 100 while being guided by the mooring guide line 122 . Thus, while the mooring buoy 18 and the guide buoy 142 are moored on the sea surface,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mooring apparatus 100 excluding the vertical position can be maintained within a certain range.

한편, 태풍 등 해상 환경이 악화되어 해수면에 계류되는 해조류가 유실되거나, 양식장(10)이 파손될 가능성이 있다. On the other hand, seaweeds moored on the sea surface may be lost or the farm 10 may be damaged due to deterioration of sea environment such as typhoons.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해상 환경이 악화된 경우에는 상술한 승하강 수단(미도시)에 의해 계류 부이(18)의 부력을 제거하여 계류 부이(18)를 해수면(S0)으로부터 하강시킬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hen the marine environment deteriorates, buoyant force of the mooring buoy 18 can be removed by the above-mentioned lifting means (not shown), and the mooring buoy 18 can be lowered from the sea level S0 .

계류 부이(18)가 하강함으로써, 양식장(10)을 구성하는 프레임(12), 연승줄(14) 및 보강줄과 함께, 양식중이던 해조류가 모두 해수면(S0)에 계류할 때의 제 1 수심(H1)에서 제 2 수심(H2)으로 수중으로 하강할 수 있다. 이때, 프레임(12)이 승하강 가이드 라인(144)에 의해 안내되면서 하강한다.The lower portion of the mooring buoy 18 descends to the first depth of the sea (S0) when all of the seaweeds under culturing are moored to the sea surface S0 together with the frame 12, the winning line 14 and the reinforcing rope constituting the farm 10 H1) to the second depth H2 (H2). At this time, the frame 12 descends while being guided by the up / down guide line 144.

또한, 해상 환경이 다시 좋아지면 수중에 잠겨 있던 계류 부이(18)에 다시 부력을 제공하여 양식장(10)을 해수면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marine environment is improved again, buoyancy can be provided to the mooring buoy 18, which has been submerged in the water, so that the farm 10 can be raised to sea level.

이로써, 해상 환경이 악화되면 수중으로 양식장(10)을 하강시켜서 해조류 유실 및 양식장의 파손을 방지하면서도, 양식장(10)의 형상 및 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Thereby, when the marine environment deteriorate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farm 10 can be maintained while the farm 10 is lowered in water to prevent seaweed loss and destruction of the farm.

한편, 외해에 설치된 양식장(10)에 대하여 양식장의 규모를 확장할 경우, 기 설치된 양식장의 각 변에 있어서 확장하려는 방향의 변에 포함되는 계류 장치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확장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cale of the farm is expanded with respect to the farm 10 installed in the offshore area, it can be easily expanded by using a mooring device included in the side of the direction to expand on each side of the established farm.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설치된 양식장(10)의 확장하고자 하는 측의 변의 양 꼭지점에 배치된 계류 장치(100a)의 계류 가이드 라인(122) 중 양식장(10)이 설치되지 않아서 자유로운 라인에 새로운 승하강 가이드부(140)를 연결한다. 6, among the mooring guide lines 122 of the mooring apparatus 100a disposed at both vertexes of the side of the pre-installed farm site 10 to be enlarged, the farm site 10 is not installed, And the new up / down guide portion 140 is connected to the line.

그리고, 확장될 양식장의 꼭지점이 되는 위치에 새로운 계류 장치(100b)를 설치한다.Then, a new mooring device 100b is installed at a position that becomes the vertex of the farm to be expanded.

이후에, 설치된 승하강 가이드부(140)의 승하강 가이드 라인(144)에 새로 확장될 양식장의 프레임(12)의 일단을 상하 방향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새로 설치된 계류 장치(100b)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프레임(12)을 연결한다.Thereafter, one end of the frame 12 of the farm site to be newly expanded is movably connected to the up-and-down guide line 144 of the installed up-and-down guide section 140 so as to be vertically movable. In the newly installed mooring apparatus 100b, As shown in Fig.

마지막으로, 연결된 프레임(12)에 연승줄(14), 보강줄(16) 및 계류 부이(18)를 설치하여 양식장(10)의 확장을 완료할 수 있다. Finally, the extension of the farm 10 can be completed by installing the winning line 14, the reinforcement rope 16 and the mooring buoy 18 in the connected frame 12.

본 실시예에서는 기 설치된 프레임(12)에 연승줄(14), 보강줄(16) 및 계류 부이(18)를 설치하는 방법을 통해 양식장(10)을 확장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연승줄(14), 보강줄(16) 및 계류 부이(18)가 기 설치된 프레임(12)을 계류 장치(100a, b)에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n example is shown in which the fish farm 10 is extended through the method of installing the winning line 14, the reinforcing rope 16 and the mooring boats 18 in the installed frame 12.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o connect the frame 12 provided with the continuous string 14, the reinforcing string 16 and the mooring buoy 18 to the mooring devices 100a and 100b.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해조류 양식장 계류 장치에 따르면, 새롭게 설치해야 하는 계류 장치(100)의 개수를 최소화할 수 있고, 부력부(130)의 잉여부력을 이용함으로써 추가적인 계류 라인이 없어도 부력부(130)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유라인(150)만으로 안정적인 위치 고정이 가능하므로, 해조류 양식장(10)의 영역 확장을 위해 설치해야 하는 부재들을 종래보다 현저하게 줄일 수 있어서 용이하게 확장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marine aquaculture farm moo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number of mooring devices 100 to be newly installed can be minimized and the buoyancy portion 130 It is possible to stably fix the position of the seaweed farm 10 only by the floating line 150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members to be installed for expanding the area of the seaweed farm 10 can be remarkably reduced, .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You will understand. For exampl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change the material, size and the like of each constituent element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field or can combine or substitute the embodiments in a form not clearly disclo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rang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at such modified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해조류 양식장 12: 프레임
14: 연승줄 16: 보강줄
18: 계류 부이 100: 해조류 양식장 계류 장치
110: 플랫폼 120: 계류 가이드부
122: 계류 가이드 라인 124: 러그
126:래더 130: 부력부
140: 승하강 가이드부 142: 가이드 부이
144: 승하강 가이드 라인 146: 연결라인
150: 부유라인 160: 앵커
10: Seaweed farm 12: Frame
14: continuous line 16: reinforcement line
18: Mooring buoy 100: Seaweed farm mooring device
110: platform 120: mooring guide section
122: mooring guideline 124: rug
126: Ladder 130: buoyancy part
140: ascending / descending guide portion 142: guide portion
144: ascending / descending guide line 146: connecting line
150: Floating line 160: Anchor

Claims (8)

해수면에 계류하는 해조류 양식장의 위치를 유지하는 해조류 양식장 계류 장치에 있어서,
해저면에 안착되는 앵커;
상기 앵커로부터 연장되는 부유라인;
상기 부유라인의 자유단에 연결되는 부력부; 및
상기 부력부에 의해 지지되고, 해수면의 상하 방향 이동에 따른 상기 해조류 양식장의 이동을 안내하는 계류 가이드 라인을 포함하는 계류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해조류 양식장 계류 장치.
A seaweed farm mooring apparatus that maintains the position of a marine aquaculture farm moored at sea level,
Anchors seated on the sea floor;
A floating line extending from the anchor;
A buoyant portion connected to the free end of the floating line; And
And a mooring guide part supported by the buoyant part and including a mooring guide lin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seaweed farm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sea level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조류 양식장이 연결되고, 상기 해조류 양식장의 해수면에서 수중으로의 하강 내지는 수중에서 해수면으로의 상승을 안내하는 승하강 가이드 라인을 포함하는 승하강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해조류 양식장 계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up / down guide unit connected to the seaweed farm and including an up / down guide line for guiding a descent from the sea surface of the seaweed farm to water or an upward movement to the sea surface in the sea.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가이드부는,
해수면에 부유하는 가이드 부이를 포함하고,
상기 승하강 가이드 라인의 일단이 상기 앵커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 부이에 연결되는 해조류 양식장 계류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upward / downward guide portion
And a guide part floating on the sea surface,
Wherein one end of the up / down guide line is connected to the anchor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guide par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가이드부는,
상기 승하강 가이드 라인과 상기 계류 가이드 라인을 연결하는 연결라인을 더 포함하는 해조류 양식장 계류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upward / downward guide portion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on line connecting the up / down guide line and the mooring guide lin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해조류 양식장과 상기 연결라인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링 형상의 고리를 통해 상기 승하강 가이드 라인 및 상기 계류 가이드 라인에 연결되는 해조류 양식장 계류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aweed farm and the connection line are connected to the ascending / descending guide line and the mooring guide line through a ring-shaped hook so as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 가이드부의 상면에 제공되고, 작업자가 작업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플랫폼을 더 포함하는 해조류 양식장 계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latform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ooring guide portion and providing a space for an operator to wor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부는 상기 부유라인에 장력을 가하고 상기 계류 가이드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잉여부력을 제공하는 밸러스팅 수단을 포함하는 해조류 양식장 계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uoyant portion includes ballasting means for applying a tension to the floating line and providing surplus buoyancy to support the mooring guide portion.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해조류 양식장 계류 장치에 연결되고, 외곽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고, 해조류의 서식처를 제공하는 연승줄;
상기 연승줄에 교차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연승줄을 보강하는 보강줄;
상기 프레임, 상기 연승줄 및 상기 보강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되어 해수면에 계류하도록 부력을 제공하는 계류 부이; 및
상기 계류 부이의 부력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상기 프레임, 상기 연승줄 및 상기 보강줄을 상기 해조류 양식장 계류 장치에 의해 안내되면서 수중으로 하강시키는 승하강 수단을 포함하는 해조류 양식장.
A frame connected to the seaweed farm moor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and forming an outer frame;
A consecutive line connected to the frame and providing habitat of seaweed;
A reinforcing bar provided to intersect the winning line and reinforcing the winning line;
A mooring part provided at least on at least one of the frame, the winning line and the reinforcing bar to provide buoyancy to moor on the sea surface; And
And a lifting means for selectively lowering the buoyancy of the mooring buoy to lower the water into the water while being guided by the seaweed farm mooring device to the frame, the longing bar and the reinforcing bar.
KR1020150030267A 2015-03-04 2015-03-04 Mooring facility for seaweed forming KR2016010748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267A KR20160107485A (en) 2015-03-04 2015-03-04 Mooring facility for seaweed form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267A KR20160107485A (en) 2015-03-04 2015-03-04 Mooring facility for seaweed form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7485A true KR20160107485A (en) 2016-09-19

Family

ID=57103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0267A KR20160107485A (en) 2015-03-04 2015-03-04 Mooring facility for seaweed form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7485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2023B1 (en) 2012-11-12 2014-06-27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Mooring facility for seaweed form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2023B1 (en) 2012-11-12 2014-06-27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Mooring facility for seaweed form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265775B9 (en) Floating structure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AU2011238426B2 (en) Aquaculture assembly and method
JP2019512223A (en) Semi-submersible aquaculture system
AU2007205290B2 (en) Mooring system
KR20090129003A (en) Mooring apparatus for a floating structure using weights
CN102669033B (en) Operation platform for floating-rope type abalone raising net cage and operation method of operation platform
CN105638532A (en) Submerged net cage
JP6793012B2 (en) Lifting device for fishing gear and lifting method for fishing gear
CA2490575A1 (en) Improved submersible farm
JP3211403U (en) Self-drying device for laver culture and tidal self-drying all-floating nori culture device
JP5690116B2 (en)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equipment
KR20160107484A (en) rising or droping facility for seaweed forming AND seaweed forming facility INCLUDING SAME
KR100963763B1 (en) semi-submerge type aquaculture brim apparatus in deep-sea
CN110384062A (en) Deep water mesh cage
KR20120126218A (en) Fixed deep sea cage facility
US20210214048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tructure suspended in water
KR19990055863A (en) Aquaculture Equipment
KR20160107485A (en) Mooring facility for seaweed forming
KR101412023B1 (en) Mooring facility for seaweed forming
RU2669304C1 (en) Construction for growing marine hydrobionts on the shelf and the continental margin
SE2000207A1 (en) Mooring system
RU2314684C1 (en) Artificial biotope
KR101080982B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using tidal current
KR20200063853A (en) Floating fish cage
KR20200113944A (en) susanmul-ui yangsigjangch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