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7437A - 촬상 렌즈,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디지털 기기 - Google Patents

촬상 렌즈,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디지털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7437A
KR20160107437A KR1020150030145A KR20150030145A KR20160107437A KR 20160107437 A KR20160107437 A KR 20160107437A KR 1020150030145 A KR1020150030145 A KR 1020150030145A KR 20150030145 A KR20150030145 A KR 20150030145A KR 20160107437 A KR20160107437 A KR 20160107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imaging
image
curvature
objec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0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3388B1 (ko
Inventor
김범근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0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3388B1/ko
Priority to US15/555,423 priority patent/US10656410B2/en
Priority to PCT/KR2016/002108 priority patent/WO2016140520A1/ko
Publication of KR20160107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7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3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3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34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four component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our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1Charge-coupled device [CCD] sensors; Charge-transfer registers specially adapted for CCD sens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es (AREA)

Abstract

실시예는 대상측으로부터 결상측으로 순서대로 배치되고 굴절력을 가지는 적어도 제1 렌즈 내지 제4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렌즈의 대상측 방향의 제1 면의 전면에 보호 렌즈가 배치되고, 상기 보호 렌즈는 두께가 1.2 밀리미터 이하이고, 유효경이 22 밀리미터 이상이고, 대상층 방향의 직경이 결상측 방향의 직경보다 크고, 제1 렌즈로부터 3 밀리미터 이내에 배치되는 촬상 렌즈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촬상 렌즈,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디지털 기기{IMAGE PICKUP LENS, CAMERA MODULE AND DIGITAL DEVICE INCLUDING THE SAME}
실시예는 촬상 렌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필름 카메라는 CCD와 CMOS 등의 소형 고체 촬상 소자를 사용하는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 모듈, 디지털 스틸 카메라(DSC; Digital Still Camera), 캠코더, PC 카메라(퍼스널 컴퓨터에 부속된 촬상장치) 등으로 대체되고 있으며, 이러한 촬상 장치는 소형화, 박형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있어서, 소형화 촬상 장치에 탑재되는 CCD(Charge Coupled Device)와 같은 수광소자의 소형화가 진행되고 있으나, 촬상 장치에서 가장 부피를 차지하는 부분은 촬상 렌즈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촬상 장치에서 소형화, 박형화에 가장 이슈가 되는 구성요소는 대상물의 상을 결상하는 촬상 렌즈이다.
여기서, 문제는 단순히 작은 촬상 렌즈를 구현하는 것뿐만이 아니라, 상기 수광소자의 고성능화에 대응하여 촬상 렌즈 또한 고성능인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소형화된 촬상 렌즈는 필연적으로 수광소자와의 거리가 가까워지고, 이는 촬상 장치의 결상면에 대해 빛의 입사각도가 비스듬하게 입사되는 문제가 발생하여 촬상 렌즈의 집광성능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으며, 화상의 밝기가 화상 중앙부에서 주변부로 갈수록 극단적으로 변화할 수 있는 문제점을 수반하게 된다.
광각용으로 설계된 촬상 렌즈는 광각을 표현하기 위하여 피사체로부터 가장 가깝게 배치되는 렌즈의 피사체측 표면이 돌출되어 제조되고 있는데, 촬상 렌즈의 표면에 배치된 돌출형의 렌즈가 오염되거나 기스 등이 발생할 때 교체할 수 없으므로 렌즈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실시예는 광각 렌즈에서 특히 첫 번째 렌즈의 손상을 방지하고자 한다.
실시예는 대상측으로부터 결상측으로 순서대로 배치되고 굴절력을 가지는 적어도 제1 렌즈 내지 제4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렌즈의 대상측 방향의 제1 면의 전면에 보호 렌즈가 배치되고, 상기 보호 렌즈는 두께가 1.2 밀리미터 이하이고, 유효경이 22 밀리미터 이상이고, 대상층 방향의 직경이 결상측 방향의 직경보다 크고, 제1 렌즈로부터 3 밀리미터 이내에 배치되는 촬상 렌즈를 제공한다.
제1 렌즈의 대상측 방향의 제1 면의 곡률은 0.04 보다 크고 0.1 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렌즈의 대상측 방향의 제1 면의 곡률 반경은 0.04 보다 크고 0.1 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렌즈의 결상측 방향의 제2 면의 곡률 반경은 0.04 보다 크고 0.1 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렌즈는 음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상술한 촬상 렌즈; 상기 촬상 렌즈를 통과한 빛을 파장에 따라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필터; 및 상기 필터를 투과한 빛을 수용하는 수광 소자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수광 소자는 이미지 센서이고, 상기 이미지 센서의 단위 픽셀의 가로 및/또는 세로의 길이는 각각 2 마이크로 미터 이하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는 상술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는, 제1 렌즈의 전면에 보호 렌즈가 구비되어, 광각 렌즈에서 전면의 볼록한 제1 렌즈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광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촬상 렌즈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촬상 렌즈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촬상 렌즈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촬상 렌즈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대상면'이라 함은 광축을 기준으로 하여 대상측(object side)을 향하는 렌즈의 면을 의미하며, '결상면'이라 함은 광축을 기준으로 하여 결상측(image side)을 향하는 렌즈의 면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렌즈의 "+ 파워"는 평행광을 수렴시키는 수렴 렌즈를 나타내며, 렌즈의 "- 파워"는 평행광을 발산시키는 발산 렌즈를 나타낸다.
도 1은 촬상 렌즈의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촬상 렌즈의 제1 실시예는 대상측에서부터 결상측으로 보호 렌즈(100)와, 제1 렌즈(110), 제2 렌즈(120), 제3 렌즈(130), 제4 렌즈(140), 제5 렌즈(150) 및 제6 렌즈(160)를 순서대로 포함한다. 제3 렌즈(130)와 제4 렌즈(140)의 사이에는 조리개(stop)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필터(170)와 커버 유리(cover glass, 180) 및 수광소자(190)가 순서대로 포함되어 카메라 모듈 내의 촬상 렌즈를 이룰 수 있다.
수광소자(190)는 이미지센서일 수 있으며, 이미지센서의 단위 픽셀의 가로 및/또는 세로의 길이는 2um(마이크로 미터) 이하일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와 후술하는 실시예들은 화소 및/또는 화소수가 높은 카메라 모듈에 적용될 수 있는 촬상 렌즈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술한 카메라 모듈은 화소 및/또는 화소수가 높은 이미지센서 또는 수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단위 픽셀의 가로 및/또는 세로길이는 2um 이하일 수 있다.
도 1에서, 'S01'은 보호 렌즈(100)의 대상면, 'S02'는 보호 렌즈(100)의 결상면이고, 'S11'은 제1 렌즈(110)의 대상면, 'S12'는 제1 렌즈(110)의 결상면이고, 'S21'은 제2 렌즈(120)의 대상면, 'S22'는 제2 렌즈(120)의 결상면이고, 'S31'은 제3 렌즈(130)의 대상면, 'S32'는 제3 렌즈(130)의 결상면이고, 'S41'은 제4 렌즈(140)의 대상면, 'S42'는 제4 렌즈(140)의 결상면이고, 'S51'은 제5 렌즈(150)의 대상면, 'S52'는 제5 렌즈(150)의 결상면이고, 'S61'은 제6 렌즈(160)의 대상면, 'S62'는 제6 렌즈(160)의 결상면이다.
상술한 'Sxy'는 후술하는 촬상 렌즈의 다른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필터(170)는 적외선 필터(Infrared Ray Filter) 등의 평판 형상의 광학 부재가 배치되며, 커버 유리(180)는 광학 부재, 예를 들어 촬상면 보호용 커버유리일 수 있고, 수광소자(190)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 상에 적층되는 이미지 센서(image sensor)일 수 있다.
표 1은 촬상 렌즈의 제1 실시예의 각 렌즈들의 곡률과 두께 및 거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곡률 두께 또는 거리(mm)
보호 렌즈의 대상면(S01) 15.0000 1.2000
결상면(S02) 12.0000 2.0000
제1 렌즈의 대상면(S11) 12.7032 1.5900
결상면(S12) 2.8500 2.6000
제2 렌즈의 대상면(S21) -10.3753 0.5000
결상면(S22) 1.5076 0.1200
제3 렌즈의 대상면(S31) 1.8350 2.1100
결상면(S32) 4.0903 0.4000
제4 렌즈의 대상면(S41) -28.4671 1.6800
결상면(S42) -1.4912 0.1000
제5 렌즈의 대상면(S51) 5.3168 2.5600
제6 렌즈의 대상면(S61) -2.8000 0.7000
결상면(S62) -26.2307 0.1000
필터의 대상면 Infinity 0.7000
결상면 Infinity 0.1000
커버 유리의 대상면 Infinity 0.4400
결상면 Infinity 0.6712
표 1에서 보호 렌즈(100)와 제1 렌즈 내지 제6 렌즈(110~160)와 필터(170) 및 커버 유리(180)의 대상면 및 결상면의 곡률이 차례로 기재되고 있으며, 각각의 대상면에 대응하여 두께가 기재되고, 결상면에 대응하여 인접한 렌즈 등과의 거리가 기재되고 있다. 그리고, 제5 렌즈(150)와 제6 렌즈(160)가 서로 면접촉하므로, 제5 렌즈(150)의 결상면(S52)의 곡률이나 제5 렌즈(150)와 제6 렌즈(160) 사이의 거리는 기재되지 않고 있다.
보호 렌즈(100)와 제3 렌즈(130)와 제4 렌즈(140)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고, 제1 렌즈(110)와 제2 렌즈(120)와 제5 렌즈(150) 및 제6 렌즈(160)는 글래스(glass)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보호 렌즈(100)는 대상면(S01)과 결상면(S02)이 볼록한 매니스커스(meniscuc) 형상일 수 있다.
제1 렌즈(110)는 대상면(S11)과 결상면(S12)이 볼록한 매니스커스 형상일 수 있다. 제2 렌즈(120)는 대상면(S21)이 오목한 형상이고, 결상면(S22)이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제3 렌즈(130)는 대상면(S31)과 결상면(S32)이 볼록한 매니스커스 형상일 수 있다. 제4 렌즈(140)는 대상면(S41)과 결상면(S42)이 오목한 매니스커스 형상일 수 있다. 제5 렌즈(150)는 대상면(S51)이 볼록한 형상이고, 결상면(S52)이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제6 렌즈(160)는 대상면(S61)과 결상면(S62)이 오목한 매니스커스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렌즈(100, 110~160) 들의 대상면과 결상면은 구면이거나 적어도 하나는 비구면일 수도 있다. 비구면이 렌즈들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면, 각종 수차, 예를 들면 구면 수차, 코마 수차 및 왜곡 수차 등의 보정에 우수할 수 있다.
도 2는 촬상 렌즈의 제2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촬상 렌즈의 제2 실시예는 대상측에서부터 결상측으로 보호 렌즈(200)와, 제1 렌즈(210), 제2 렌즈(220), 제3 렌즈(230), 제4 렌즈(240), 제5 렌즈(250) 및 제6 렌즈(260)를 순서대로 포함한다. 제3 렌즈(230)와 제4 렌즈(240)의 사이에는 조리개(stop)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필터(270)와 커버 유리(cover glass, 280) 및 수광소자(290)가 순서대로 포함되어 카메라 모듈 내의 촬상 렌즈를 이룰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보호 렌즈(200)와 제1 렌즈 내지 제6 렌즈(210~260)와 필터(270) 및 커버 유리(280)의 구성 중 제1 실시예와 상이한 부분을 주로 설명한다.
표 2는 촬상 렌즈의 제2 실시예의 각 렌즈들의 곡률과 두께 및 거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곡률 두께 또는 거리(mm)
보호 렌즈의 대상면(S01) 15.0000 1.2000
결상면(S02) 12.0000 1.0000
제1 렌즈의 대상면(S11) 9.10000 0.8000
결상면(S12) 2.4200 1.6800
제2 렌즈의 대상면(S21) -4.6700 0.8000
결상면(S22) 2.4200 0.4000
제3 렌즈의 대상면(S31) 2.2800 0.9300
결상면(S32) -30.2000 0.4600
제4 렌즈의 대상면(S41) -6.4912 1.0000
결상면(S42) -2.2300 0.4000
제5 렌즈의 대상면(S51) 3.2100 2.1300
제6 렌즈의 대상면(S61) -2.5500 0.8000
결상면(S62) -11.2800 1.19640
필터의 대상면 Infinity 0.4000
결상면 Infinity 0.2000
커버 유리의 대상면 Infinity 0.4873
결상면 Infinity -0.0616
표 2에서 보호 렌즈(200)와 제1 렌즈 내지 제6 렌즈(210~260)와 필터(270) 및 커버 유리(280)의 대상면 및 결상면의 곡률이 차례로 기재되고 있으며, 각각의 대상면에 대응하여 두께가 기재되고, 결상면에 대응하여 인접한 렌즈 등과의 거리가 기재되고 있다. 그리고, 제5 렌즈(250)와 제6 렌즈(260)가 서로 면접촉하므로, 제5 렌즈(250)의 결상면(S52)의 곡률이나 제5 렌즈(250)와 제6 렌즈(260) 사이의 거리는 기재되지 않고 있다.
보호 렌즈(200)와 제1 렌즈 내지 제6 렌즈(210~260)와 필터(270) 및 커버 유리(280)의 대상면 및 결상면 중, 제3 렌즈(230)의 대상면(S32)과 제4 렌즈(240)의 결상면은 비구면(asphere)일 수 있고, 나머지는 모두 구면(sphere)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보호 렌즈(200)는 대상면(S01)과 결상면(S02)이 볼록한 매니스커스(meniscuc) 형상일 수 있다.
제1 렌즈(210)는 대상면(S11)과 결상면(S12)이 볼록한 매니스커스 형상일 수 있다. 제2 렌즈(220)는 대상면(S21)이 오목한 형상이고, 결상면(S22)이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제3 렌즈(230)는 대상면(S31)과 결상면(S32)이 볼록한 매니스커스 형상일 수 있다. 제4 렌즈(240)는 대상면(S41)과 결상면(S42)이 오목한 매니스커스 형상일 수 있다. 제5 렌즈(250)는 대상면(S51)이 볼록한 형상이고, 결상면(S52)이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제6 렌즈(260)는 대상면(S61)과 결상면(S62)이 오목한 매니스커스 형상일 수 있다.
도 3은 촬상 렌즈의 제3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촬상 렌즈의 제3 실시예는 대상측에서부터 결상측으로 보호 렌즈(300)와, 제1 렌즈(310), 제2 렌즈(320), 제3 렌즈(330) 및 제4 렌즈(440)를 순서대로 포함한다. 제3 렌즈(330)와 제4 렌즈(340)의 사이에는 조리개(stop)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필터(370)와 수광소자(390)가 순서대로 포함되어 카메라 모듈 내의 촬상 렌즈를 이룰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보호 렌즈(300)와 제1 렌즈 내지 제4 렌즈(310~340)와 필터(370)의 구성 중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상이한 부분을 주로 설명한다.
표 3에서 렌즈의 제3 실시예의 각 렌즈들의 곡률과 두께 및 거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곡률 두께 또는 거리(mm)
보호 렌즈의 대상면(S01) 15.0000 1.2000
결상면(S02) 12.0000 1.0000
제1 렌즈의 대상면(S11) 11.50000 0.6191
결상면(S12) 3.3599 2.9482
제2 렌즈의 대상면(S21) -150.0000 0.5500
결상면(S22) 0.8566 0.4503
제3 렌즈의 대상면(S31) 1.1871 2.0000
결상면(S32) -4.2859 0.5182
제4 렌즈의 대상면(S41) 8.7011 1.6668
결상면(S42) -1.2434 0.1000
필터의 대상면 Infinity 0.4000
결상면 Infinity 1.3084
표 3에서 보호 렌즈(300)와 제1 렌즈 내지 제4 렌즈(310~340)와 필터(370)의 대상면 및 결상면의 곡률이 차례로 기재되고 있으며, 각각의 대상면에 대응하여 두께가 기재되고, 결상면에 대응하여 인접한 렌즈 등과의 거리가 기재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보호 렌즈(300)는 대상면(S01)과 결상면(S02)이 볼록한 매니스커스(meniscuc) 형상일 수 있다.
제1 렌즈(310)는 대상면(S11)과 결상면(S12)이 볼록한 매니스커스 형상일 수 있다. 제2 렌즈(320)는 대상면(S21)이 오목한 형상이고, 결상면(S22)이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제3 렌즈(330)는 대상면(S31)이 볼록한 형상이고, 결상면(S32)이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제4 렌즈(440)는 대상면(S41)이 볼록한 형상이고, 결상면(S42)이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도 4는 촬상 렌즈의 제4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을 참조하면, 촬상 렌즈의 제4 실시예는 대상측에서부터 결상측으로 보호 렌즈(400)와, 제1 렌즈(410), 제2 렌즈(420), 제3 렌즈(430), 제4 렌즈(440) 및 제5 렌즈(540)를 순서대로 포함한다. 제3 렌즈(430)와 제4 렌즈(440)의 사이에는 조리개(stop)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필터(470)와 커버 유리(480) 및 수광소자(490)가 순서대로 포함되어 카메라 모듈 내의 촬상 렌즈를 이룰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보호 렌즈(400)와 제1 렌즈 내지 제5 렌즈(410~450)와 필터(470) 및 커버 유리(480)의 구성 중 상술한 실시예들과 상이한 부분을 주로 설명한다.
표 4에서 렌즈의 제4 실시예의 각 렌즈들의 곡률과 두께 및 거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곡률 두께 또는 거리(mm)
보호 렌즈의 대상면(S01) 15.0000 1.2000
결상면(S02) 12.0000 1.0000
제1 렌즈의 대상면(S11) 10.24590 0.7000
결상면(S12) 2.6512 2.3042
제2 렌즈의 대상면(S21) -24.6344 0.5112
결상면(S22) 1.1971 0.2551
제3 렌즈의 대상면(S31) 1.7269 1.3048
결상면(S32) 5.0700 0.3736
제4 렌즈의 대상면(S41) 21.2147 1.6667
결상면(S42) -1.5118 1.1000
제5 렌즈의 대상면(S51) 5.5581 1.2556
결상면(S52) -9.5139 0.1000
필터의 대상면 Infinity 0.3169
결상면 Infinity 1.1884
커버 유리의 대상면 Infinity 0.4357
결상면 Infinity 0.6208
표 4에서 보호 렌즈(400)와 제1 렌즈 내지 제5 렌즈(410~450)와 필터(470) 및 커버 유리(480)의 대상면 및 결상면의 곡률이 차례로 기재되고 있으며, 각각의 대상면에 대응하여 두께가 기재되고, 결상면에 대응하여 인접한 렌즈 등과의 거리가 기재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보호 렌즈(400)는 대상면(S01)과 결상면(S02)이 볼록한 매니스커스(meniscuc) 형상일 수 있다.
제1 렌즈(410)는 대상면(S11)과 결상면(S12)이 볼록한 매니스커스 형상일 수 있다. 제2 렌즈(420)는 대상면(S21)이 오목한 형상이고, 결상면(S22)이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제3 렌즈(430)는 대상면(S31)이 볼록한 형상이고, 결상면(S32)이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제4 렌즈(440)는 대상면(S41)이 볼록한 형상이고, 결상면(S42)이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제5 렌즈(450)는 대상면(S41)이 볼록한 형상이고, 결상면(S42)이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상술한 촬상 렌즈가 포함된 카메라 모듈은, 디지털 카메라나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및 테블릿(tablet) PC 등의 다양한 디지털 기기(digital device)에 내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200, 300, 400: 보호 유리 110, 210, 310, 410: 제1 렌즈
120, 220, 320, 420: 제2 렌즈 130, 230, 330, 430: 제3 렌즈
140, 240, 340, 440: 제4 렌즈 150, 250, 450: 제5 렌즈
160,260: 제6 렌즈 170, 270, 370, 470: 필터
180, 280, 480: 커버 유리 190:, 290, 390, 490 수광소자

Claims (8)

  1. 대상측으로부터 결상측으로 순서대로 배치되고 굴절력을 가지는 적어도 제1 렌즈 내지 제4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렌즈의 대상측 방향의 제1 면의 전면에 보호 렌즈가 배치되고,
    상기 보호 렌즈는 두께가 1.2 밀리미터 이하이고, 유효경이 22 밀리미터 이상이고, 대상층 방향의 직경이 결상측 방향의 직경보다 크고, 제1 렌즈로부터 3 밀리미터 이내에 배치되는 촬상 렌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의 대상측 방향의 제1 면의 곡률은 0.04 보다 크고 0.1 보다 작은 촬상 렌즈.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의 대상측 방향의 제1 면의 곡률 반경은 0.04 보다 크고 0.1 보다 작은 촬상 렌즈.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의 결상측 방향의 제2 면의 곡률 반경은 0.04 보다 크고 0.1 보다 작은 촬상 렌즈.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는 음의 굴절력을 가지는 촬상 렌즈.
  6.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의 촬상 렌즈;
    상기 촬상 렌즈를 통과한 빛을 파장에 따라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필터; 및
    상기 필터를 투과한 빛을 수용하는 수광 소자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 소자는 이미지 센서이고, 상기 이미지 센서의 단위 픽셀의 가로 및/또는 세로의 길이는 각각 2 마이크로 미터 이하인 카메라 모듈.
  8. 제7 항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
KR1020150030145A 2015-03-04 2015-03-04 촬상 렌즈,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디지털 기기 KR102493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145A KR102493388B1 (ko) 2015-03-04 2015-03-04 촬상 렌즈,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디지털 기기
US15/555,423 US10656410B2 (en) 2015-03-04 2016-03-03 Imaging lens, camera module and digital device comprising same
PCT/KR2016/002108 WO2016140520A1 (ko) 2015-03-04 2016-03-03 촬상 렌즈,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디지털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145A KR102493388B1 (ko) 2015-03-04 2015-03-04 촬상 렌즈,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디지털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7437A true KR20160107437A (ko) 2016-09-19
KR102493388B1 KR102493388B1 (ko) 2023-01-30

Family

ID=57103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0145A KR102493388B1 (ko) 2015-03-04 2015-03-04 촬상 렌즈,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디지털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33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63511A1 (ko) * 2022-02-22 2023-08-3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학계 및 카메라 모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016A (ja) * 1987-04-24 1988-01-07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
JP2010060692A (ja) * 2008-09-02 2010-03-18 Fujinon Corp 撮像光学系および撮像装置
US20140313594A1 (en) * 2013-04-18 2014-10-23 Ability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Wide-angle imaging lens assembly with five lenses
EP2796913A2 (en) * 2013-04-24 2014-10-29 Ability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An imaging lens assembly with five lens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016A (ja) * 1987-04-24 1988-01-07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
JP2010060692A (ja) * 2008-09-02 2010-03-18 Fujinon Corp 撮像光学系および撮像装置
US20140313594A1 (en) * 2013-04-18 2014-10-23 Ability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Wide-angle imaging lens assembly with five lenses
EP2796913A2 (en) * 2013-04-24 2014-10-29 Ability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An imaging lens assembly with five lens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63511A1 (ko) * 2022-02-22 2023-08-3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학계 및 카메라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3388B1 (ko) 202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0077B1 (ko) 촬상 렌즈,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디지털 기기
KR102380229B1 (ko) 촬영 렌즈계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TWI519810B (zh) 廣視角光學鏡頭
TWI616679B (zh) Camera lens, camera module and camera
KR101762006B1 (ko) 촬상 광학계 및 서로 다른 화각을 가진 복수의 촬상 광학계가 장착된 모바일 기기
TWI479187B (zh) 取像光學鏡頭、取像裝置以及可攜式裝置
TWI485424B (zh) Camera lens
US10656410B2 (en) Imaging lens, camera module and digital device comprising same
US9429735B2 (en) Optical lens system, image capturing unit and electronic device
KR20140089005A (ko) 촬상 렌즈 시스템
KR20180070870A (ko) 촬상 렌즈,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디지털 기기
KR101724264B1 (ko) 촬영 렌즈계
KR102422781B1 (ko) 촬상 렌즈,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디지털 기기
KR102599615B1 (ko) 촬상 렌즈,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디지털 기기
KR20180071015A (ko) 촬상 렌즈,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디지털 기기
KR102008497B1 (ko) 촬상 렌즈 시스템
KR102568944B1 (ko) 촬상 렌즈,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디지털 기기
CN114967044B (zh) 成像透镜组及摄像模组
KR102422780B1 (ko) 촬상 렌즈,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디지털 기기
KR102493388B1 (ko) 촬상 렌즈,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디지털 기기
KR102427796B1 (ko) 촬상 렌즈,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디지털 기기
KR102599618B1 (ko) 촬상 렌즈,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디지털 기기
KR20190088700A (ko) 촬상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JP2006292991A (ja) 撮像レンズおよびそれを用いた撮像装置
KR102528499B1 (ko) 촬상 렌즈,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디지털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