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7428A - 측면막이 결합된 캠핑용 조립식 텐트 - Google Patents

측면막이 결합된 캠핑용 조립식 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7428A
KR20160107428A KR1020150030126A KR20150030126A KR20160107428A KR 20160107428 A KR20160107428 A KR 20160107428A KR 1020150030126 A KR1020150030126 A KR 1020150030126A KR 20150030126 A KR20150030126 A KR 20150030126A KR 20160107428 A KR20160107428 A KR 20160107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loor
coupled
coupling
connec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0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5121B1 (ko
Inventor
신기진
Original Assignee
신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기진 filed Critical 신기진
Priority to KR1020150030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5121B1/ko
Publication of KR20160107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7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5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5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2Supporting means, e.g. frames external type, e.g. frame outside cov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6Fl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야영장 등에 설치하도록 플로어가 구비된 조립식 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평평한 바닥을 이루는 플로어; 상기 플로어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는 제1,2 브래킷; 상기 제1,2 브래킷 위에 설치되면서 뼈대를 이루는 제1 내지 제6 프레임; 및 각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1 내지 제4 연격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설치가 더욱 편리할 뿐만 아니라 설치 후 사용이 더욱 편리하고 구조적으로 더욱 안정적인 플로어가 구비된 조립식 텐트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측면막이 결합된 캠핑용 조립식 텐트{TENT}
본 발명은 야영장 등에 설치하도록 플로어가 구비되어 있으며 프레임 양쪽에 결합된 측면막이 결합된 캠핑용 조립식 텐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캠핑 문화가 대중화되면서 텐트에 대한 수요와 개발이 꾸준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지금까지의 개발되고 있는 텐트는 주로 휴대가 간편하고 설치 및 해체가 간편한 것으로서, 보통 개인이 휴대하면서 사용하기 때문에 무겁고 부피가 큰 플로어(flooer)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플로어가 없는 경우 바닥이 고르지 못하고 습기가 올라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보통은 플로어를 대체하여 가볍고 휴대가 좋은 스티로폼이나 에어 매트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스티로폼이나 에어 매트의 경우 파손되기 쉽고 수평 조절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상기 캠핑 문화의 확산과 함께 캠핑 사업 또한 활성화되고 있는데, 이런 캠핑 업소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바닥의 문제점을 막기 위해 텐트를 설치할 수 있도록 플로어를 준비해놓거나, 아예 플로어 위에 텐트를 설치한 상태로 소비자에게 임대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텐트와 플로어는 일체형으로 제공되는 것이 아니고 임의로 조합되는 것이므로 구매 및 설치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사용시 안정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바닥에 평평한 플로어가 구비되고, 상기 플로어로부터 기둥과 지붕 프레임이 일체로 조립되며 측면막이 결합된 조립식 텐트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평평한 바닥을 이루도록 형성된 플로어(100);
상기 플로어(100)의 상부면 테두리를 따라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플로어(100) 양측 테두리의 전후에 설치되면서 수직 방향으로 제1 결합구가 돌출 형성된 제1 브래킷(210);
상기 플로어(100) 전후 테두리의 양측에 설치되면서 한 쌍의 제2 결합구가 내외측을 향해 사선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2 브래킷(220);
상기 제1 브래킷(210)의 제1 결합구를 통해 플로어(100)의 양측 전후에 기둥 형태로 설치되는 제1 프레임(310);
상기 양측 제1 프레임(310, 310')의 상단을 전후로 연결하면서 하도리 형태로 설치되는 제2 프레임(320);
상기 제2 브래킷(220)의 외측을 향한 제2 결합구에 결합되면서 상기 제1 프레임(310)과 연결되는 제3 프레임(330);
상기 내측을 향한 제2 결합구에 결합되면서 상기 양측 제2 브래킷 사이의 상부 지점에서 끝단이 교차하도록 설치되는 제4 프레임(340);
상기 양측 제2 프레임 상단에서 서까래 형태로 대향 설치되는 제5 프레임(350);
상기 제5 프레임의 상단을 전후로 연결하면서 상도리 형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전후의 끝단은 상기 제4 프레임의 교차하는 단부 위에 올려지는 제6 프레임(360);
상기 제2 프레임이 관통하여 결합되는 제1-1 연결관과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단을 끼워 결합하도록 직각방향의 제1-2 연결관이 일체로 형성된 제1 연결구(410);
상기 제1 프레임이 관통하여 결합되는 제2-1 연결관과 상기 제3 프레임의 상단을 끼워 결합하도록 사선방향의 제2-2 연결관이 일체로 형성된 제2 연결구(420);
상기 제2 프레임이 관통하여 결합되는 제3-1 연결관과 상기 제5 프레임의 하단을 끼워 결합하도록 직각방향의 제3-2 연결관이 일체로 형성된 제3 연결구(430); 상기 제6 프레임이 관통하여 결합되는 제4-1 연결관과 상기 양측 제5 프레임의 상단을 끼워 결합하도록 양측 사선방향의 제4-2 연결관이 일체로 형성된 제4 연결구(440); 및
양쪽 측면을 커버할 수 있도록 제2 프레임(320, 320') 양쪽에 결합된 측면막(10, 10')로 이루어져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측면막은 접은 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구(30)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텐트는 하부결합봉(20)의 삽입홀(42)에 삽입할 수 있도록 봉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 측면막(10)이 결합되어 있는 하부결합봉(20); 및 상기 하부결합봉(20)이 삽입될 수 있도록 봉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봉 중앙에 삽입홀(42)이 형성되어 있고, 봉 상부에 지붕막(500)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부에 결합된 지붕막(500)의 하단에 가림막(44)이 부착되어 상부결합봉(20);으로 이루어져 있어 지붕막(500)과 측면막(10)이 분리 결합 형태로 설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플로어가 구비된 조립식 텐트에 의하면 바닥에 평평한 플로어가 구비되고, 상기 플로어로부터 기둥과 지붕 프레임이 일체로 조립됨으로써 설치가 더욱 편리할 뿐만 아니라 설치 후 구조적으로 더욱 안정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플로어가 구비된 조립식 텐트를 도시한 사용상태 사시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플로어가 구비된 조립식 텐트의 조립과정과 각 부분을 도시한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플로어가 구비된 조립식 텐트의 실시 예를 도시한 요부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된 플로어가 구비된 조립식 텐트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요부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조립식 텐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조립식 텐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조립식 텐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조립식 텐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조립식 텐트를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플로어가 구비된 조립식 텐트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바닥을 이루는 플로어(100), 상기 플로어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는 제1,2 브래킷(210, 220), 상기 제1,2 브래킷 위에 설치되면서 뼈대를 이루는 제1 내지 제6 프레임(310~360) 및 각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1 내지 제4 연격구(410~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플로어(100)는 평평한 바닥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목재를 이용하여 튼튼하게 형성한다. 이때, 상기 플로어(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막(600) 하부에 위치하여 이중으로 설치되는 보조 플로어(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조 플로어(110)를 설치함으로써 내막(600)에 의한 실내와 실외를 구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보조 플로어(110)를 스티로폼 재질로 형성할 경우 단열 및 완충 기능을 갖추게 된다.
상기 제1 브래킷(210)은 상기 플로어(100)의 상부면 양측 테두리의 전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수직 방향으로 제1 결합구(211)가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브래킷(210)은 후술하는 제1 프레임(310)을 플로어(100)의 테두리에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제1 브래킷(210)에는 두 개 이상의 제1 결합구(2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브래킷(220)은 상기 플로어(100)의 상부면 전후 테두리의 양측에 설치되면서 한 쌍의 제2 결합구(221a, 221b)가 내외측을 향해 사선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제2 브래킷(210)은 후술하는 제3,4 프레임(330, 340)을 플로어(100)의 테두리에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제2 브래킷(220) 사이에 통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각각의 제2 결합구(221a, 221b)는 외측으로 몰아서 형성한다.
한편, 상기 제2 브래킷(220)은 다른 실시 예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선단을 따라 레일 홈(222)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 홈(222) 사이의 중심선을 따라 상하로 관통하는 다수개의 간격조절구(223)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제2 브래킷(220)을 커버하면서 양측 선단이 상기 레일 홈(222)에 끼워진 상태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패널(224)을 구성하고, 상기 슬라이드 패널(224)에 상기 외측으로 향하는 제2 결합구(221a)를 형성하되, 상기 슬라이드 패널(224)에는 상기 간격조절구(223)에 대응하는 하나의 고정구(225)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225)에 체결되면서 상기 간격조절구(223)에 끼워지는 조절볼트(226)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3 프레임의 길이에 따라 간격조절구(223)에 대한 고정구(225)의 위치를 조절하면서 상기 조절볼트(226)를 채워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프레임(310)은 상기 제1 브래킷(210)의 제1 결합구(211)를 통해 플로어(100)의 양측 전후에 기둥 형태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정적인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해 전후에 다수 개가 구비된다.
상기 제2 프레임(320)은 상기 양측 제1 프레임(310)들의 상단을 전후로 연결하면서 하도리 형태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으로 한 쌍이 구비된다. 상기 제2 프레임(32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프레임(350)을 설치하기 위한 하도리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제3 프레임(330)은 상기 제2 브래킷(220)의 외측을 향한 제2 결합구(221a)에 결합되면서 상기 제1 프레임(310)과 연결되는 것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3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4 프레임(340)은 상기 내측을 향한 제2 결합구(221b)에 결합되면서 상기 양측 제2 브래킷(220) 사이의 상부 지점에서 끝단이 교차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제6 프레임의 전후 단부를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5 프레임(350)은 상기 양측 제2 프레임(320) 상단에서 서까래 형태로 대향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식 텐트의 지붕을 형성한다. 상기 제5 프레임(350)은 후술하는 지붕막(500)을 안정적으로 펼쳐 고정할 수 있도록 다수 개를 전후 등 간격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6 프레임(360)은 상기 제5 프레임(350)의 상단을 전후로 연결하면서 상도리 형태로 설치하는 것인데, 전후의 끝단은 상기 제4 프레임(330)의 교차하는 단부 위에 올려지도록 한다.
상기 제1 연결구(4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프레임(320)이 관통하여 결합되는 제1-1 연결관(411)과 상기 제1 프레임(310)의 상단을 끼워 결합하도록 직각방향의 제1-2 연결관(412)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2 연결구(4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프레임(310)이 관통하여 결합되는 제2-1 연결관(421)과 상기 제3 프레임(330)의 상단을 끼워 결합하도록 사선방향의 제2-2 연결관(422)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3 연결구(430)는 상기 제2 프레임이 관통하여 결합되는 제3-1 연결관(431)과 상기 제5 프레임(350)의 하단을 끼워 결합하도록 직각방향의 제3-2 연결(432)관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4 연결구(440)는 상기 제6 프레임(360)이 관통하여 결합되는 제4-1 연결관(441)과 상기 양측 제5 프레임(350)의 상단을 끼워 결합하도록 양측 사선방향의 제4-2 연결관(442)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각 연결구의 연결관과 상기 각 프레임에는 서로 대응하는 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각 통공에 끼워지는 볼트/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브래킷, 연결구 및 각 프레임을 조립한 상태에서 분리되지 않고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볼트/너트를 체결하는 구조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플로어가 구비된 조립식 텐트는 상기 제2,5,6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지붕면을 커버하는 지붕막(500) 및 상기 지붕막(500) 하부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내막(600)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붕막(500)은 뜨거운 열기나 눈 또는 비를 1차적으로 막아주기 위한 것이고, 상기 내막(600)은 내부에서 숙식할 수 있도록 밀폐된 공간을 제공하면서 출입구 내지 창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지붕막(5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프레임과 제5 프레임을 따라 와이어나 끈을 이용하여 얽어서 설치하는 것이고, 상기 내막(600)은 예를 들어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및 제6 프레임을 따라 와이어나 끈을 이용하여 얽어서 설치하는 것이다.
도 9 내지 도 13과 같이 본 발명의 텐트는 양쪽 측면을 커버할 수 있도록 제2 프레임(320, 320') 양쪽에 결합된 측면막(10, 10')로 이루어져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2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측면막은 접은 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구(30)가 부착되어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3과 같이 본 발명의 텐트는 하부결합봉(20)의 삽입홀(42)에 삽입할 수 있도록 봉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 측면막(10)이 결합되어 있는 하부결합봉(20); 및 상기 하부결합봉(20)이 삽입될 수 있도록 봉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봉 중앙에 삽입홀(42)이 형성되어 있고, 봉 상부에 지붕막(500)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부에 결합된 지붕막(500)의 하단에 가림막(44)이 부착되어 상부결합봉(20);으로 이루어져 있어 지붕막(500)과 측면막(10)이 분리 결합 형태로 설치될 수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플로어로부터 기둥과 지붕 프레임이 일체로 조립됨으로써 설치가 더욱 편리할 뿐만 아니라 설치 후 구조적으로 더욱 안정적이며, 플로어의 높이 조절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내막의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이 더욱 편리하다.
100: 플로어
210 ~220: 제1, 2 브래킷
310~360: 제1 내지 제6 프레임
410~440: 제1 내지 제2 연결구
500: 지붕막
600: 내막

Claims (3)

  1. 평평한 바닥을 이루도록 형성된 플로어(100);
    상기 플로어(100)의 상부면 테두리를 따라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플로어(100) 양측 테두리의 전후에 설치되면서 수직 방향으로 제1 결합구가 돌출 형성된 제1 브래킷(210);
    상기 플로어(100) 전후 테두리의 양측에 설치되면서 한 쌍의 제2 결합구가 내외측을 향해 사선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2 브래킷(220);
    상기 제1 브래킷(210)의 제1 결합구를 통해 플로어(100)의 양측 전후에 기둥 형태로 설치되는 제1 프레임(310);
    상기 양측 제1 프레임(310, 310')의 상단을 전후로 연결하면서 하도리 형태로 설치되는 제2 프레임(320);
    상기 제2 브래킷(220)의 외측을 향한 제2 결합구에 결합되면서 상기 제1 프레임(310)과 연결되는 제3 프레임(330);
    상기 내측을 향한 제2 결합구에 결합되면서 상기 양측 제2 브래킷 사이의 상부 지점에서 끝단이 교차하도록 설치되는 제4 프레임(340);
    상기 양측 제2 프레임 상단에서 서까래 형태로 대향 설치되는 제5 프레임(350);
    상기 제5 프레임의 상단을 전후로 연결하면서 상도리 형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전후의 끝단은 상기 제4 프레임의 교차하는 단부 위에 올려지는 제6 프레임(360);
    상기 제2 프레임이 관통하여 결합되는 제1-1 연결관과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단을 끼워 결합하도록 직각방향의 제1-2 연결관이 일체로 형성된 제1 연결구(410);
    상기 제1 프레임이 관통하여 결합되는 제2-1 연결관과 상기 제3 프레임의 상단을 끼워 결합하도록 사선방향의 제2-2 연결관이 일체로 형성된 제2 연결구(420);
    상기 제2 프레임이 관통하여 결합되는 제3-1 연결관과 상기 제5 프레임의 하단을 끼워 결합하도록 직각방향의 제3-2 연결관이 일체로 형성된 제3 연결구(430); 상기 제6 프레임이 관통하여 결합되는 제4-1 연결관과 상기 양측 제5 프레임의 상단을 끼워 결합하도록 양측 사선방향의 제4-2 연결관이 일체로 형성된 제4 연결구(440); 및
    양쪽 측면을 커버할 수 있도록 제2 프레임(320, 320') 양쪽에 결합된 측면막(10, 10')로 이루어져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막이 결합된 캠핑용 조립식 텐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면막은 접은 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구(30)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막이 결합된 캠핑용 조립식 텐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텐트는 하부결합봉(20)의 삽입홀(42)에 삽입할 수 있도록 봉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 측면막(10)이 결합되어 있는 하부결합봉(20); 및 상기 하부결합봉(20)이 삽입될 수 있도록 봉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봉 중앙에 삽입홀(42)이 형성되어 있고, 봉 상부에 지붕막(500)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부에 결합된 지붕막(500)의 하단에 가림막(44)이 부착되어 상부결합봉(20);으로 이루어져 있어 지붕막(500)과 측면막(10)이 분리 결합 형태로 설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막이 결합된 캠핑용 조립식 텐트.












KR1020150030126A 2015-03-04 2015-03-04 측면막이 결합된 캠핑용 조립식 텐트 KR101715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126A KR101715121B1 (ko) 2015-03-04 2015-03-04 측면막이 결합된 캠핑용 조립식 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126A KR101715121B1 (ko) 2015-03-04 2015-03-04 측면막이 결합된 캠핑용 조립식 텐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7428A true KR20160107428A (ko) 2016-09-19
KR101715121B1 KR101715121B1 (ko) 2017-03-10

Family

ID=57103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0126A KR101715121B1 (ko) 2015-03-04 2015-03-04 측면막이 결합된 캠핑용 조립식 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51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938U (ko) * 2017-04-04 2018-10-12 이동혁 차양 방갈로 프레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0598Y1 (ko) * 2000-08-24 2001-01-15 우준식 파라솔을 이용한 그늘막 겸용 텐트
KR20100128873A (ko) * 2009-05-29 2010-12-08 허갑신 천막 연결장치
KR101403575B1 (ko) * 2014-01-16 2014-06-05 임기자 캠핑 텐트
KR101493512B1 (ko) * 2014-01-28 2015-02-16 김종선 조립식 천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0598Y1 (ko) * 2000-08-24 2001-01-15 우준식 파라솔을 이용한 그늘막 겸용 텐트
KR20100128873A (ko) * 2009-05-29 2010-12-08 허갑신 천막 연결장치
KR101403575B1 (ko) * 2014-01-16 2014-06-05 임기자 캠핑 텐트
KR101493512B1 (ko) * 2014-01-28 2015-02-16 김종선 조립식 천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938U (ko) * 2017-04-04 2018-10-12 이동혁 차양 방갈로 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5121B1 (ko) 2017-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28056B2 (en) Modular furniture system
ES2213779T3 (es) Panel de pared.
US20130031851A1 (en) Modular Dwellings
US10808419B2 (en) Fence system
KR101470875B1 (ko) 텐트 설치용 조립식 평상
US10465375B2 (en) Demountable/modular structure system
US20030167701A1 (en) Porch apparatus for modular structures with adjustable stair and handrail assembly
KR101462789B1 (ko) 주택형 이동 조립텐트
US2811935A (en) Fabricated sheet metal trailer awning
KR20140100729A (ko) 구조물용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구조물
KR101715121B1 (ko) 측면막이 결합된 캠핑용 조립식 텐트
US10017935B2 (en) Quick attachment system for modular construction
KR102087159B1 (ko) 조립형 텐트
WO2016080618A1 (ko) 플로어가 구비된 기능성 조립식 텐트
KR101507713B1 (ko) 플로어가 구비된 기능성 조립식 텐트
US20050022854A1 (en) Party tent
KR20190030292A (ko) 데크 조립용 클립 및 이를 이용한 데크 결합구조물
JP4367940B2 (ja) 軽金属製手摺
KR20140120624A (ko) 조립식 구조물과 그 조립식 구조물 프레임용 연결 장치
KR200390378Y1 (ko) 펜스
KR102566348B1 (ko) 조립식 자바라 텐트
CA2884904A1 (en) Modular wraparound wall
JPH0612139Y2 (ja) 組合せ塀
KR101384290B1 (ko) 건축구조물에 결합되는 벤치 결합장치
CN102979287B (zh) 一种无螺钉连接的地板连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