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7713B1 - 플로어가 구비된 기능성 조립식 텐트 - Google Patents

플로어가 구비된 기능성 조립식 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7713B1
KR101507713B1 KR20140162925A KR20140162925A KR101507713B1 KR 101507713 B1 KR101507713 B1 KR 101507713B1 KR 20140162925 A KR20140162925 A KR 20140162925A KR 20140162925 A KR20140162925 A KR 20140162925A KR 101507713 B1 KR101507713 B1 KR 101507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loor
connector
connection pip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62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기중
Original Assignee
신기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기중 filed Critical 신기중
Priority to KR20140162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77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7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7713B1/ko
Priority to PCT/KR2015/006433 priority patent/WO201608061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6Fl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야영장 등에 설치하도록 플로어가 구비된 조립식 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평평한 바닥을 이루는 플로어; 뼈대를 이루는 제1 내지 제4 프레임; 각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1 내지 제3 연격구; 및 플로어의 수평을 맞추기 위한 받침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설치가 더욱 편리할 뿐만 아니라 설치 후 사용이 더욱 편리하고 구조적으로 더욱 안정적인 플로어가 구비된 조립식 텐트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Description

플로어가 구비된 기능성 조립식 텐트{TENT}
본 발명은 야영장 등에 설치하도록 플로어가 구비된 조립식 텐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캠핑 문화가 대중화되면서 텐트에 대한 수요와 개발이 꾸준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지금까지의 개발되고 있는 텐트는 주로 휴대가 간편하고 설치 및 해체가 간편한 것으로서, 보통 개인이 휴대하면서 사용하기 때문에 무겁고 부피가 큰 플로어(flooer)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플로어가 없는 경우 바닥이 고르지 못하고 습기가 올라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보통은 플로어를 대체하여 가볍고 휴대가 좋은 스티로폼이나 에어 매트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스티로폼이나 에어 매트의 경우 파손되기 쉽고 수평 조절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상기 캠핑 문화의 확산과 함께 캠핑 사업 또한 활성화되고 있는데, 이런 캠핑 업소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바닥의 문제점을 막기 위해 텐트를 설치할 수 있도록 플로어를 준비해놓거나, 아예 플로어 위에 텐트를 설치한 상태로 소비자에게 임대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텐트와 플로어는 일체형으로 제공되는 것이 아니고 임의로 조합되는 것이므로 구매 및 설치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사용시 안정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바닥으로부터 일정높이 띄어진 평평한 플로어가 구비되고, 상기 플로어로부터 기둥과 지붕 프레임이 일체로 조립되는 플로어가 구비된 조립식 텐트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바닥의 수평을 맞추기 위한 다리의 높이 조절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내막의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플로어가 구비된 조립식 텐트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평평한 바닥을 이루도록 형성된 플로어;가 구성되고, 상기 플로어 양측에 기둥 형태로 설치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양측 제1 프레임 상단에서 서까래 형태로 대향 설치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의 상단이 접하는 지점에서 상도리 형태로 전후에 설치되는 제3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이 접하는 지점에서 하도리 형태로 전후에 설치되는 제4 프레임;이 구성되며, 상기 제1 프레임이 관통하는 상태로 새워 결합하기 위한 1-1 연결관과 상기 플로어의 측 단부에 결합하기 위한 브래킷이 일체로 형성된 제1 연결구;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단에 끼워 결합하기 위한 2-1 연결관과 상기 제2 프레임을 끼워 결합하도록 상기 2-1 연결관의 상단으로부터 사선 방향의 2-2 연결관과 상기 제4 프레임을 끼워 연결하도록 상기 2-2 연결관으로부터 전후 직각 방향의 2-3 연결관이 일체로 형성된 제2 연결구; 및 상기 양측 제2 프레임의 상단을 연결하도록 양측에 사선 방향의 3-1 연결관과 상기 제3 프레임을 끼워 연결하도록 상기 3-1 연결관으로부터 전후 직각 방향의 3-2 연결관이 일체로 형성된 제3 연결구;가 구성되는 한편,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단과 나사식 체결되어 회전을 통해 높이를 조절하도록 형성된 받침구;가 구성된다.
상기 제1 프레임 하부와 상기 제2 프레임 하단부 사이에 사선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5 프레임이 구성되고, 상기 제5 프레임의 상단과 제2 프레임이 접하는 지점에서 하도리 형태로 전후에 설치되는 제6 프레임이 구성되며, 상기 제1 연결구는 상기 제5 프레임의 하단을 끼워 연결하도록 상기 1-1 연결관으로부터 외측 사선 방향의 1-2 연결관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5 프레임의 상단에 끼워 결합하기 위한 4-1 연결관과 상기 제2 프레임을 끼워 결합하도록 상기 4-1 연결관으로부터 사선 방향의 4-2 연결관과 상기 제6 프레임을 연결하도록 상기 4-2 연결관으로부터 전후 직각 방향의 4-3 연결관이 일체로 형성된 제4 연결구;가 구성된다.
상기 플로어의 양측에 설치되는 전후의 제1 프레임 사이를 사선 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7 프레임이 구성되고, 상기 제1 연결구는 상기 제7 프레임의 하단을 끼워 연결하도록 상기 1-1 연결관으로부터 일측 사선 방향의 1-3 연결관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프레임에 끼워 결합하기 위한 5-1 연결관과 상기 5-1 연결관의 양측에 대향하여 상기 제7 프레임의 상단을 끼워 결합하도록 사선 방향의 제5-2 연결관이 일체로 형성된 제5 연결구;가 구성된다.
상기 각 연결구의 연결관과 상기 프레임의 말단부는 서로 대응하는 결합구를 형성하고, 상기 각 결합구에 끼워지는 볼트/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 프레임의 상부를 커버하는 외막;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하부와 양측 제1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공간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2 프레임과 제4 프레임에 걸어서 설치하기 위한 다수개의 고리를 포함하는 내막;이 구성된다.
본 발명의 플로어가 구비된 조립식 텐트에 의하면 바닥으로부터 일정높이 띄어진 평평한 플로어가 구비되고, 상기 플로어로부터 기둥과 지붕 프레임이 일체로 조립됨으로써 설치가 더욱 편리할 뿐만 아니라 설치 후 구조적으로 더욱 안정적인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플로어가 구비된 조립식 텐트에 의하면 플로어의 높이 조절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내막의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이 더욱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플로어가 구비된 조립식 텐트를 도시한 사용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플로어가 구비된 조립식 텐트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플로어가 구비된 조립식 텐트의 요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플로어가 구비된 조립식 텐트의 요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각 연결구 및 받침구를 도시한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각 프레임과 연결구 사이에 결합 수단을 도시한 설명도.
도 12는 본 발명의 요부를 도시한 설명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플로어가 구비된 조립식 텐트는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바닥을 이루는 플로어(100), 뼈대를 이루는 제1 내지 제4 프레임(210~240), 각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1 내지 제3 연결구(310~330) 및 플로어의 수평을 맞추기 위한 받침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구에는 프레임을 고정하기 위한 볼트(246)와 너트(247)를 형성하였다.
상기 플로어(100)는 평평한 바닥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목재를 이용하여 튼튼하게 형성한다.
상기 제1 프레임(210)은 상기 플로어(100) 양측에 기둥 형태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전후에 다수 개가 이격 설치된다.
상기 제2 프레임(220)은 상기 양측 제1 프레임(210) 상단에서 서까래 형태로 대향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프레임(210)과 마찬가지로 전후에 다수 개가 이격 설치된다.
상기 제3 프레임(230)은 상기 제2 프레임(220)의 상단이 접하는 지점에서 상도리 형태로 전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 프레임(220)의 전후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 개로 구성된다.
상기 제4 프레임(240)은 상기 제1 프레임(210)과 제2 프레임(220)이 접하는 지점에서 하도리 형태로 전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프레임(210)과 제2 프레임(220)이 연결되는 지점의 전후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 개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연결구(310)는 상기 제1 프레임(210)이 관통하는 상태로 새워 결합하기 위한 1-1 연결관(311)과 상기 플로어(100)의 측 단부에 결합하기 위한 브래킷(312)이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연결구(310)는 상기 플로어(100)의 측 단부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제1 프레임(210)을 설치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프래킷(312)은 실시 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로어(100)의 측 단부에 밀착시킨 후 스크루나 못 또는 볼트를 이용하여 체결하도록 결합구가 관통된 날개 형태로 형성한다.
상기 제2 연결구(320)는 상기 제1 프레임(210)의 상단에 끼워 결합하기 위한 2-1 연결관(321)과 상기 제2 프레임(220)을 끼워 결합하도록 상기 2-1 연결관(321)의 상단으로부터 사선 방향으로 기울어진 2-2 연결관(322)과 상기 제4 프레임(240)을 끼워 연결하도록 상기 2-2 연결관(322)으로부터 전후 직각 방향으로 돌출된 2-3 연결관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 연결구(3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2-3 연결관이 상기 2-2 연결관의 전방 또는 후방에만 형성되거나 전후방 동시에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제3 연결구(330)는 상기 양측 제2 프레임(220)의 상단을 연결하도록 양측에 사선 방향의 3-1 연결관(331)과 상기 제3 프레임(230)을 끼워 연결하도록 상기 3-1 연결관(331)으로부터 전후 직각 방향의 3-2 연결관(332)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3 연결구(3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3-2 연결관이 상기 3-1 연결관의 전방 또는 후방에만 형성되거나 전후방 동시에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받침구(400)는 상기 제1 프레임(210)의 하단과 나사식 체결되어 회전을 통해 높이를 조절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받침구(4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210)으로부터 회전하면서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서 플로어(100)의 수평을 간편하게 맞출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구조적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일 실시 예로서 상기 제1 프레임(210) 하부와 상기 제2 프레임(220) 하단부 사이에 사선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5 프레임(250)이 구성되고, 상기 제5 프레임(250)의 상단과 제2 프레임(220)이 접하는 지점에서 하도리 형태로 전후에 설치되는 제6 프레임(260)이 구성된다.
이에, 상기 제1 연결구(310)는 상기 제5 프레임(250)의 하단을 끼워 연결하도록 상기 1-1 연결관(311)으로부터 외측 사선 방향의 1-2 연결관(313)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도 8과 같이 상기 제5 프레임(250)의 상단에 끼워 결합하기 위한 4-1 연결관(341)과 상기 제2 프레임(220)을 끼워 결합하도록 상기 4-1 연결관(341)으로부터 사선 방향의 4-2 연결관(342
)과 상기 제6 프레임(260)을 연결하도록 상기 4-2 연결관(342)으로부터 전후 직각 방향의 4-3 연결관(343)이 일체로 형성된 제4 연결구(340)가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도 13과 도 14의 제4 연결구(340)는 상기 관통된 4-2 연결관(342)으로부터 전후 직각 방향의 4-3 연결관(343)을 형성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나사산(343-2)이 형성된 연결구(343-3)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구에 나사산(343-2)이 형성된 보조연결관(343-1)이 구성된다. 또한 4-1 연결관(341)은 탈부착이 되도록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나사산(343-2)이 형성된 연결구(341-3)와 상기 연결구에 나사산(341-2)이 형성된 보조연결관(341-1)으로 결합하여 장착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프레임을 장착하기 위해 길이를 길게 연결시에 연결구에서 보조연결관(341-1)을 결합하여 필요시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형성하였다.
본 발명의 구성에서 상기 구조적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플로어(100)의 양측에 설치되는 전후의 제1 프레임(210) 사이를 사선 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7 프레임(270)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 연결구(310)는 상기 제7 프레임(270)의 하단을 끼워 연결하도록 상기 1-1 연결관(211)으로부터 일측 사선 방향의 1-3 연결관(314)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프레임(210)에 끼워 결합하기 위한 5-1 연결관(351)과 상기 5-1 연결관(351)의 양측에 대향하여 상기 제7 프레임(270)의 상단을 끼워 결합하도록 사선 방향의 제5-2 연결관(352)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각 연결구의 연결관과 상기 각 프레임에는 서로 대응하는 결합구를 형성하고, 상기 각 결합구에 끼워지는 볼트/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연결구와 각 프레임을 조립한 상태에서 분리되지 않고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볼트/너트를 체결하는 구조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제2 프레임(220)의 상부를 커버하는 외막(500) 및 상기 제2 프레임(220)의 하부와 양측 제1 프레임(210)으로 이루어지는 공간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2 프레임(220)과 제4 프레임(240)에 걸어서 설치하도록 다수개의 고리(610)를 포함하는 내막(600)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외막(500)은 뜨거운 열기나 눈 또는 비를 1차적으로 막아주기 위한 것이고, 상기 내막(600)은 내부에서 숙식할 수 있도록 밀폐된 공간을 제공하면서 출입구 내지 창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리(610)는 밀어넣을 수는 있으나 당기면 빠지지 않아서 걸 때는 줄을 쉽게 당기고 뺄 때는 쉽게 뺄 수 있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바닥으로부터 일정높이 띄어진 평평한 플로어가 구비되고, 상기 플로어로부터 기둥과 지붕 프레임이 일체로 조립됨으로써 설치가 더욱 편리할 뿐만 아니라 설치 후 구조적으로 더욱 안정적이며, 플로어의 높이 조절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내막의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이 더욱 편리하다.
100: 플로어
210 ~270: 제1 내지 제7 프레임
310~350; 제1 내지 제 5 연결구
400: 받침구
500: 외막
600: 내막

Claims (5)

  1. 평평한 바닥을 이루도록 형성된 플로어;가 구성되고,
    상기 플로어 양측에 기둥 형태로 설치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양측 제1 프레임 상단에서 서까래 형태로 대향 설치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의 상단이 접하는 지점에서 상도리 형태로 전후에 설치되는 제3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이 접하는 지점에서 하도리 형태로 전후에 설치되는 제4 프레임;이 구성되며, 상기 제1 프레임이 관통하는 상태로 새워 결합하기 위한 1-1 연결관과 상기 플로어의 측 단부에 결합하기 위한 브래킷이 일체로 형성된 제1 연결구;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단에 끼워 결합하기 위한 2-1 연결관과 상기 제2 프레임을 끼워 결합하도록 상기 2-1 연결관의 상단으로부터 사선 방향의 2-2 연결관과 상기 제4 프레임을 끼워 연결하도록 상기 2-2 연결관으로부터 전후 직각 방향의 2-3 연결관이 일체로 형성된 제2 연결구; 및 상기 양측 제2 프레임의 상단을 연결하도록 양측에 사선 방향의 3-1 연결관과 상기 제3 프레임을 끼워 연결하도록 상기 3-1 연결관으로부터 전후 직각 방향의 3-2 연결관이 일체로 형성된 제3 연결구;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단과 나사식 체결되어 회전을 통해 높이를 조절하도록 형성된 받침구; 상기 제2 프레임의 상부를 커버하는 외막;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하부와 양측 제1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공간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2 프레임과 제4 프레임에 걸어서 설치하기 위한 다수개의 고리를 포함하는 내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가 구비된 기능성 조립식 텐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 하부와 상기 제2 프레임 하단부 사이에 사선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5 프레임이 구성되고, 상기 제5 프레임의 상단과 제2 프레임이 접하는 지점에서 하도리 형태로 전후에 설치되는 제6 프레임이 구성되며,
    상기 제1 연결구는 상기 제5 프레임의 하단을 끼워 연결하도록 상기 1-1 연결관으로부터 외측 사선 방향의 1-2 연결관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5 프레임의 상단에 끼워 결합하기 위한 4-1 연결관과 상기 제2 프레임을 끼워 결합하도록 상기 4-1 연결관으로부터 사선 방향의 4-2 연결관과 상기 제6 프레임을 연결하도록 상기 4-2 연결관으로부터 전후 직각 방향의 4-3 연결관이 일체로 형성된 제4 연결구;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가 구비된 기능성 조립식 텐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의 양측에 설치되는 전후의 제1 프레임 사이를 사선 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7 프레임이 구성되고,
    상기 제1 연결구는 상기 제7 프레임의 하단을 끼워 연결하도록 상기 1-1 연결관으로부터 일측 사선 방향의 1-3 연결관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프레임에 끼워 결합하기 위한 5-1 연결관과 상기 5-1 연결관의 양측에 대향하여 상기 제7 프레임의 상단을 끼워 결합하도록 사선 방향의 제5-2 연결관이 일체로 형성된 제5 연결구;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가 구비된 기능성 조립식 텐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연결구는 상기 관통된 4-2 연결관으로부터 전후 직각 방향의 4-3 연결관을 형성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구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구에 나사산이 형성된 보조연결관이 구성되고, 4-1 연결관은 탈부착이 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에 나사산이 형성된 보조연결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가 구비된 기능성 조립식 텐트.
  5. 삭제
KR20140162925A 2014-11-20 2014-11-20 플로어가 구비된 기능성 조립식 텐트 KR101507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62925A KR101507713B1 (ko) 2014-11-20 2014-11-20 플로어가 구비된 기능성 조립식 텐트
PCT/KR2015/006433 WO2016080618A1 (ko) 2014-11-20 2015-06-24 플로어가 구비된 기능성 조립식 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62925A KR101507713B1 (ko) 2014-11-20 2014-11-20 플로어가 구비된 기능성 조립식 텐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7713B1 true KR101507713B1 (ko) 2015-04-07

Family

ID=53032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62925A KR101507713B1 (ko) 2014-11-20 2014-11-20 플로어가 구비된 기능성 조립식 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77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5178A (ko) 2021-07-22 2023-01-31 성기호 이동이 용이한 조립식 하우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6926A (ko) * 2004-02-02 2004-02-25 노태종 조립식 텐트
KR20050030939A (ko) * 2005-03-09 2005-03-31 박충서 휴대용 조립식 금속재 마루가 붙은 텐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6926A (ko) * 2004-02-02 2004-02-25 노태종 조립식 텐트
KR20050030939A (ko) * 2005-03-09 2005-03-31 박충서 휴대용 조립식 금속재 마루가 붙은 텐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5178A (ko) 2021-07-22 2023-01-31 성기호 이동이 용이한 조립식 하우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34079A1 (en) Modular furniture system
US6854222B2 (en) Adjustable support brace and mounting shoe
US20200362587A1 (en) Engineered floor and scaffold system
US20130026308A1 (en) Mounting bracket means for solar arrays and the like
US20030167701A1 (en) Porch apparatus for modular structures with adjustable stair and handrail assembly
KR101893725B1 (ko) 간이 건축용물 용마루
KR101507713B1 (ko) 플로어가 구비된 기능성 조립식 텐트
US11643157B1 (en) Towable trailers and motorized homes with an exoskeleton
US20030126820A1 (en) Joist reinforcing bracket
KR100761558B1 (ko) 낙하물 방지망 설치용 고정구
EP3369869A1 (en) Column and beam unit for hut construction and hut structure using same
WO2016080618A1 (ko) 플로어가 구비된 기능성 조립식 텐트
KR200473592Y1 (ko) 화이트보드 스탠드
KR101715121B1 (ko) 측면막이 결합된 캠핑용 조립식 텐트
CN110878651A (zh) 一种便捷可延伸调节舞台结构
KR200411719Y1 (ko) 바닥재용 데크 시스템
KR100681317B1 (ko) 건축용 목조 구조체 및 그 시공공법
CN107023079B (zh) 一种房屋结构
KR101567301B1 (ko) 점검시설용 발판 설치구조
KR101384290B1 (ko) 건축구조물에 결합되는 벤치 결합장치
KR102443332B1 (ko) 조립식 평상 및 이를 이용한 원두막
KR102566348B1 (ko) 조립식 자바라 텐트
KR20140120624A (ko) 조립식 구조물과 그 조립식 구조물 프레임용 연결 장치
JPH0874412A (ja) 建築用足場及びその構築方法
CN217028355U (zh) 一种球形组合帐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