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6926A - 조립식 텐트 - Google Patents

조립식 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6926A
KR20040016926A KR1020040006734A KR20040006734A KR20040016926A KR 20040016926 A KR20040016926 A KR 20040016926A KR 1020040006734 A KR1020040006734 A KR 1020040006734A KR 20040006734 A KR20040006734 A KR 20040006734A KR 20040016926 A KR20040016926 A KR 200400169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member
connector
support
horizontal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6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3935B1 (ko
Inventor
노태종
Original Assignee
노태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태종 filed Critical 노태종
Priority to KR1020040006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3935B1/ko
Publication of KR20040016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6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3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39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21V21/041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 F21V21/042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 F21V21/043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actuated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텐트의 지주대를 서로 연결하는 가로지지대를 지지하는 중심보를 구비하고 이를 사각형으로 형성함으로써 결합강도와 안정감을 향상시키고 그 중심보에 결합되는 가로지지대가 절첩되도록 함으로써 이동에 편리함을 제공토록 한 조립식 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바닥면에 결합되는 원형의 지지판이 형성되며, 가로폴대와 지주대의 단부를 각각 수용하기 위한 연결구가 형성되며, 고정 와이어가 끼움 결합될 수 있는 구멍이 관통된 연결편이 일체로 형성되는 하부 모서리 연결부재; 하부 연결부재와; 상기 하부 모서리 연결부재의 연결구에 삽입된 지주대와 연결되는 연결구를 구비한 중간 모서리 연결부재와; 상기 하부 연결부재의 연결구에 삽입된 지주대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를 구비한 중간 연결부재와; 상기 중간 모서리 연결부재의 연결구에 삽입된 가로지지대와 결합하기 위한 연결구를 구비한 상부 모서리 연결부재와; 상기 중간 연결부재의 연결구에 삽입된 가로지지대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를 구비한 상부 연결부재와; 상기 상부 모서리 연결부재에 연결된 가로지지대와 하부 모서리 연결부재의 연결구에 삽입되는 가로폴대에 수직으로 결합되며 대향되게 설치되는 지지봉과; 외피와; 상기 외피에 형성된 연결고리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설치 바닥면에 입설된 버팀구에 연결되어 상기 외피를 지지해주는 지지 와이어로 조립식 텐트를 구현한다.

Description

조립식 텐트{Prefab tent}
본 발명은 조립식 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조립식 텐트의 지주대간을 서로 연결하는 가로지지대를 지지하는 중심보를 구비하고 이를 사각형으로 형성함으로써 결합강도와 안정감을 향상시키고 그 중심보에 결합되는 가로지지대가 절첩되도록 함으로써 이동에 편리함을 제공토록 한 조립식 텐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텐트는, 다수개의 지주대를 땅에 입설하되 중앙부에 위치되는 지주대를 다른 지주대보다 더 높게 입설하고, 이 입설된 다수개의 지주대에 외피를 덮는 방식의 텐트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조립식 텐트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쉽게 조립되어 여행지 등에서 취침을 하거나 또는 쉴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기 위한 수단으로 자주 이용되며,군대에서는 막사로도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조립식 텐트는, 땅에 입설되는 다수개의 지주대와 이 지주대의 외부에 씌워지는 외피에 의해 구성되는 바, 텐트의 상부가 아래로 처지거나 함에 따라 이용하기에 불편하고, 또한 여름철의 경우 정면에 형성된 출입구 이외에는 바람이 통하지 않아 여름철에 텐트를 사용하기에 다소 역부족이었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조립식 텐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외피와 내피로 구성되며, 이 외피와 내피를 지지하는 지주대 이외에 이 지주대간을 서로 연결하는 가로지지대로 이루어진 조립식 텐트가 사용된다.
이러한 조립식 텐트는, 다수개의 지주대와 상기 지주대를 서로 연결하는 다수개의 가로지지대로 이루어지고, 이 지주대와 가로지지대로 이루어진 틀에 외피와 내피가 씌워져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조립식 텐트도 다수개의 지주대를 가로지지대로만 지지하기 때문에 대형 텐트를 구현하는 경우 안정감이 떨어지고, 또한 강풍에 쉽게 무너지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였다.
또한, 이동시에는 가로지지대를 전부 개별적으로 분리시켜 이동하거나, 두개가 연결된 가로지지대(예를 들어, V자형태)를 이동시켜야 하므로 그 이동에 많은 불편함이 따랐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조립식 텐트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텐트의 지주대간을 서로 연결하는 가로지지대를 지지하는 중심보를 구비하고 이를 사각형으로 형성함으로써 결합강도와 안정감을 향상시키고 그 중심보에 결합되는 가로지지대가 절첩되도록 함으로써 이동에 편리함을 제공토록 한 조립식 텐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텐트"는,
사각형의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의 각 모서리 바닥면에 결합되는 원형의 지지판이 형성되고, 이 지지판의 상부에 직각으로 설치되는 가로폴대의 단부와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주대의 단부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연결구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구의 내측으로 고정 와이어가 끼움 결합될 수 있는 구멍이 관통된 연결편이 일체로 형성되는 하부 모서리 연결부재와;
상기 하부 모서리 연결부재의 사이에 대향되며, 바닥면에 결합되는 원형의 지지판이 형성되고, 이 지지판의 상부에 상기 하부 모서리 연결부재의 연결구에 결합된 가로폴대의 단부를 수용하며,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주대의 단부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연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의 내측으로 고정 와이어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구멍이 관통된 연결편이 형성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하부 연결부재와;
상기 하부 모서리 연결부재의 연결구에 삽입된 지주대의 단부를 수용하고, 가로폴대와 가로지지대의 단부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연결구가 형성되며, 이 연결구의 내측으로 고정 와이어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구멍이 관통된 연결편이 일체로형성되는 중간 모서리 연결부재와;
상기 하부 연결부재와 대응하게 위치하며, 상기 하부 연결부재의 연결구에 삽입된 지주대의 단부를 수용하고, 상기 중간 모서리 연결부재의 연결구에 결합된 가로폴대의 단부를 양측에서 수용하며 일측에 가로지지대의 단부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연결구가 형성되며, 이 연결구의 내측으로 고정 와이어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구멍이 관통된 연결편이 형성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중간 연결부재와;
상기 중간 모서리 연결부재의 연결구에 삽입된 가로지지대의 단부를 양측에서 수용하며, 일측에 사각형의 중심보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연결구가 형성되고, 이 연결구의 내측으로 고정 와이어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구멍이 관통된 연결편이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 모서리 연결부재와;
상기 중간 연결부재의 연결구에 삽입된 가로지지대의 단부를 양측에서 수용하며 상기 상부 모서리 연결부재의 연결구에 결합된 중심보의 단부를 양측에서 수용하여 지지하는 연결구가 형성되며, 이 연결구의 내측으로 고정 와이어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구멍이 관통된 연결편이 일체로 형성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상부 연결부재와;
상기 상부 모서리 연결부재에 연결된 가로지지대와 하부 모서리 연결부재의 연결구에 삽입되는 가로폴대에 수직으로 결합되며 대향되게 설치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과 하부 모서리 연결부재와 하부 연결부재와 중간 모서리 연결부재와 중간 연결부재와 상부 모서리 연결부재와 상부 연결부재에 지주대와 가로지지대 및 중심보가 연결되어 형성된 골격의 외부를 감싸는 외피와;
상기 외피에 형성된 연결고리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설치 바닥면에 입설된 버팀구에 연결되어 상기 외피를 지지해주는 지지 와이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텐트(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하부 모서리 연결부재(110)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하부 연결부재(120)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중간 모서리 연결부재(130)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중간 연결부재(140)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상부 모서리 연결부재(150)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의 상부 연결부재(160)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1의 문 연결부재(230)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된 고정 와이어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서 가로지지대(132)(151)의 절첩 동작 상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적용된 중심보(152)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적용된 가로폴대(112)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적용된 지지봉(181)(182)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하부 모서리 연결부재
120 ..... 하부 연결부재
130 ..... 중간 모서리 연결부재
140 ..... 중간 연결부재
150 ..... 상부 모서리 연결부재
152 ..... 중심보
160 ..... 상부 연결부재
181, 182 ..... 지지봉
이하 상기와 같은 기술적 사상에 따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텐트(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하부 모서리 연결부재(110)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하부 연결부재(120)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중간 모서리 연결부재(130)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중간 연결부재(140)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상부 모서리 연결부재(150)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의 상부 연결부재(160)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1의 문 연결부재(230)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된 고정 와이어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서 가로지지대(132)(151)의 절첩 동작 상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적용된 중심보(152)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적용된 가로폴대(112)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적용된 지지봉(181)(182)의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의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의 각 모서리 바닥면에 팩(119)에 의해 결합되는 원형의 지지판(111)이 형성되고, 이 지지판(111)의 상부에 직각으로 설치되는 가로폴대(112)(113)의 단부와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주대(114)의 단부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연결구(115)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구(115)의 내측으로 고정 와이어가 끼움 결합될 수 있는 구멍(117)이 관통된 연결편(116)이 일체로 형성되는 하부 모서리 연결부재(110)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 모서리 연결부재(110)의 사이에 대향되며, 바닥면에 팩(128)에 의해 결합되는 원형의 지지판(121)이 형성되고, 이 지지판(121)의 상부에 상기 하부 모서리 연결부재(110)의 연결구(115)에 결합된 가로폴대(113) 및 다른 하부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가로폴대(122)의 단부를 수용하며,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주대(123)의 단부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연결구(124)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124)의 내측으로 고정 와이어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구멍(126)이 관통된 연결편(125)이 형성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하부 연결부재(12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하부 모서리 연결부재(110)의 연결구(115)에 삽입된 지주대(114)의 단부를 수용하고, 가로폴대(131)와 가로지지대(132)의 단부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연결구(133)가 형성되며, 이 연결구(133)의 내측으로 고정 와이어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구멍(135)이 관통된 연결편(134)이 일체로 형성되는 중간 모서리 연결부재(130)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 연결부재(120)와 대응하게 위치하며, 상기 하부 연결부재(120)의 연결구(124)에 삽입된 지주대(123)의 단부를 수용하고, 상기 중간 모서리 연결부재(130)의 연결구(133)에 결합된 가로폴대(131)의 단부와 다른 중간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가로폴대(141)의 단부를 수용하며 일측에 가로지지대(142)의 단부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연결구(143)가 형성되며, 이 연결구(143)의 내측으로 고정 와이어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구멍(144)이 관통된연결편(145)이 형성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중간 연결부재(14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중간 모서리 연결부재(130)의 연결구(133)에 삽입된 가로지지대(132)의 단부와 타측 중간 모서리 연결부재의 연결구에 삽입된 가로지지대를(151)의 단부를 수용하며, 일측에 사각형의 중심보(152)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연결구(153)가 형성되고, 이 연결구(153)의 내측으로 고정 와이어(170)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구멍(154)이 관통된 연결편(155)이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 모서리 연결부재(150)가 구비되고, 상기 중간 연결부재(140)의 연결구(143)에 삽입된 가로지지대(142)의 단부와 다른 중간 연결부재의 연결구에 삽입된 가로지지대(161)의 단부를 수용하며, 상기 상부 모서리 연결부재(150)의 연결구(153)에 결합된 중심보(152)의 단부와 다른 상부 연결부재의 연결구에 결합된 중심보(162)의 단부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연결구(163)가 형성되며, 이 연결구(163)의 내측으로 고정 와이어(170)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구멍(164)이 관통된 연결편(165)이 일체로 형성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상부 연결부재(160)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텐트(100)는, 상기 상부 모서리 연결부재(150)에 연결된 가로지지대(132)(151)와 하부 모서리 연결부재(110)의 연결구에 삽입되는 가로폴대(112)에 수직으로 결합되며 대향되게 설치되는 지지봉(181)(182)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봉(181)(182)과 하부 모서리 연결부재(110)와 하부 연결부재(120)와 중간 모서리 연결부재(130)와 중간 연결부재(140)와 상부 모서리 연결부재(150)와 상부 연결부재(160)에 지주대(114)(123)와 가로지지대(132)(142)(151)(161) 및 중심보(152)(162)가 연결되어 형성된 골격의외부를 감싸는 외피(190)가 구비되며, 상기 외피(190)에 형성된 연결고리(191)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바닥면에 입설된 버팀구(210)에 연결되어 상기 외피(190)를 지지해주는 지지 와이어(220)가 구비된다.
상기에서, 지지봉(181)은, 나사(184)에 의해 회전축(183)에 고정되며 위쪽 방향으로 회전하는 폴대(185)가 구비되며, 지지봉(182)은 상기 지지봉(181)의 폴대(185)와 내측으로 내측 지지봉(187)을 통해 결합하기 위한 관통공(18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텐트(100)는, 바닥면에 팩(237)에 의해 결합되는 원형의 지지판(235)이 형성되고, 이 지지판(235)의 상부에 상기 하부 모서리 연결부재(110)의 연결구(115)에 결합된 가로폴대(112)의 단부와 다른 문 연결부재와 연결되는 가로폴대(231)의 단부를 수용하며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지봉(181)의 단부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연결구(232)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232)의 내측으로 고정 와이어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구멍(233)이 관통된 연결편(234)이 형성되는 문 연결부재(23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텐트(100)의 조립 및 설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부 모서리 연결부재(110)를 원하는 위치에 놓은 후 원형 지지판(111)에 형성된 구멍(118)에 팩(119)을 박아 하부 모서리 연결부재(110)를 바닥면에 고정시키고, 그 지지판(111)의 상부에 형성된 연결구(115)에 가로폴대(112)(113)의 단부를 삽입하고,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주대(114)의 단부를 삽입한다. 여기서 연결구(115)의 내측에는 고정 와이어가 끼움 결합될 수 있는 구멍(117)이 관통된 연결편(116)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데, 이것은 골격을 완성한 후 도 9와 같은 고정 와이어를 결합함으로써, 인장력을 증가시키고 텐트를 더욱 견고하게 치기 위함이다. 상기에서 가로폴대(112)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봉형태이며, 단부(112a)를 몸체(112b)에 억지 끼움으로 삽입한 후 외부에서 몸체의 코킹결합부(112c)에 압력을 가하여 코킹(caulking) 결합을 함으로써, 결합 강도를 향상시킨다.
상기와 같이 가로폴대(112)(113) 및 지주대(114)가 삽입된 하부 모서리 연결부재(110)를 원하는 크기의 사각형의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한다.
다음으로, 하부 연결부재(120)를 하부 모서리 연결부재(110)와 가로 방향의 다른 하부 모서리 연결부재의 사이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위치시킨 후, 바닥면에 결합되는 원형의 지지판(121)에 형성된 구멍(127)에 팩(128)을 박아 바닥면에 하부 연결부재(120)를 고정시킨다. 그런 후 지지판(121)의 상부에 형성된 연결구(124)에 상기 하부 모서리 연결부재(110)의 연결구(115)에 결합된 가로폴대(113) 및 다른 하부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가로폴대(122)의 단부를 삽입하고,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주대(123)의 단부를 삽입한다.
다음으로, 상부 모서리 연결부재(150)의 연결구(153)에 가로지지대(132)(151)의 단부를 삽입하여 연결하고, 상기 연결구(153)의 일측에는 사각형의 중심보(152)를 삽입하여 연결한다.
여기서 연결구(153)에 삽입되는 가로지지대(132)(15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에 구멍(156)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로지지대(132)(151)를 연결구(153)에 삽입한 후, 연결구(153)의 구멍(154)과 가로지지대(132)(151)의 구멍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리벳(158)으로 체결한 후 리벳(158)의 끝부분을 타격하여 연결구(153)에 가로지지대(132)(151)를 체결한다.
한편, 이동중에는 상기 연결구(153)에 결합된 가로지지대(132)(151)를 해체하지 않고서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153)를 중심으로 한 양측의 가로지지대(132)(151)를 절첩시킴으로써 이동에 편리함을 준다. 여기서 가로지지대(132)(151)의 소정 위치에는 지지간(159)이 구비되어 있어 절첩시 양측의 가로지지대(132)(151)가 부딪혀서 파손되거나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구(153)에 결합되는 중심보(152)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으로 형성을 한다. 그리고 단부(152a)를 몸체(152b)에 억지 끼움으로 삽입한 후 외부에서 몸체의 코킹결합부(152c)에 압력을 가하여 코킹(caulking) 결합을 함으로써, 결합 강도를 향상시킨다. 이렇게 사각형으로 중심보를 형성하게 되면 상기 연결구(153)와 접촉되는 면적이 커져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더욱 견고하게 텐트를 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부 연결부재(160)의 연결구(163)에 주지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가로지지대(142)(161)의 단부를 삽입한 후 리벳(166)을 이용하여 체결을 하고, 아울러 상기 상부 모서리 연결부재(150)의 연결구(153)에 결합된 중심보(152)의 단부를 결합하고, 타측에는 다른 상부 연결부재의 연결구에 결합된 중심보(162)의 단부를 삽입하여 연결한다.
여기서 상부 연결부재(160)도 상기 하부 연결부재(120)와 대향되게 설치한다. 즉, 하부 연결부재(120)와 일대일 대응되게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조립식 텐트(100)의 상부 조립을 완료하면, 중간 모서리 연결부재(130) 및 중간 연결부재(140)를 이용하여 상부 조립 부분과 하부 조립 부분을 결합시킨다.
즉, 중간 모서리 연결부재(130)의 연결구(133)에 상기 하부 모서리 연결부재(110)의 연결구(115)에 삽입된 지주대(114)의 단부를 삽입하고, 연결구(133)의 일측에는 가로폴대(131)를 삽입하며, 타측에는 상기 상부 모서리 연결부재(150)의 연결구(153)에 결합된 가로지지대(132)의 단부를 삽입하여 결합을 한다.
또한, 중간 연결부재(140)의 연결구(143)에 상기 하부 연결부재(120)의 연결구(124)에 삽입된 지주대(123)의 단부를 삽입하고, 연결구(143)의 다른 부분에는 상기 중간 모서리 연결부재(130)의 연결구(133)에 결합된 가로폴대(131)의 단부와 다른 중간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가로폴대(141)의 단부를 삽입하여 연결하며, 또 다른 부분에는 상기 상부 연결부재(160)에 결합된 가로지지대(142)의 단부를 삽입하여 연결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종료하게 되면 기본적인 골격이 완성되며, 다음으로 문측에 지지봉(181)(182)을 결합하여 골격을 완성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에 결합되는 원형의 지지판(235)에 형성된 구멍(236)에 팩(237)을 박아 지지판(235)을 바닥면에 고정시키고, 지지판(235)의 상부에 형성된 연결구(232)의 일측에 상기 하부 모서리 연결부재(110)의 연결구(115)에 결합된 가로폴대(112)의 단부와 다른 문 연결부재와 연결되는 가로폴대(231)의 단부를 삽입하여 연결하고, 연결구(232)의 타측에는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지봉(181)의 단부를 삽입하여 연결한다. 그리고 지지봉(181)의 타측 단부는 가로지지대(132)의 지지간(158)에 연결하여 결합한다. 아울러 대향하는 측의 지지봉(182)도 주지한 지지봉(181)의 연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연결을 한다. 각 지지봉(181)(182)의 결합이 완료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봉(181)의 회전축(183)에 결합된 폴대(185)를 지지봉(182)의 관통공(186)에 위치시킨 후, 내측 지지봉(187)을 관통공(186)을 통해 폴대(185)에 삽입시켜 폴대(185)를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골격을 완료하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고정 와이어의 단부(171)를 상부 모서리 연결부재(150)의 연결편(155)에 걸은 후 타측 단부(172)를 연결편(155)에 형성된 구멍(157)과 상부 연결부재(160)의 연결편(165)에 형성된 구멍(164)으로 통과시킨 후, 끝단에서 상기 단부(172)에 턴버클(나사식 압력조절기)(173)을 체결한 후 나사를 조여 상부 조립체가 마치 하나의 단일 물품처럼 견고해지도록 한다.
다음으로 완성된 골격 외부에 외피(190)를 씌우고, 상기 외피(190)에 형성된 연결고리(191)에 지지 와이어(220)의 일단을 연결하고, 지지 와이어(220)의 타단을바닥면에 입설된 버팀구(210)에 연결시켜 상기 외피(190)를 견고하게 지지한다.
여기서 지지 와이어(220)는 조립식 텐트(100)의 문이 설치되는 부분과 그에 대향되는 부분, 그리고 텐트의 중간 중간에 적당하게 고정시킨다.
이로써 조립식 텐트(100)의 조립 및 설치가 완료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립식 텐트의 지주대간을 서로 연결하는 가로지지대를 지지하는 중심보를 구비함으로써 견고한 조립식 텐트를 제공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중심보를 사각형으로 형성시켜 연결구와의 접촉 면적을 넓힘으로써, 결합 강도와 안정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중심보에 결합되는 가로지지대가 절첩되도록 함으로써 이동에 편리함을 제공해주는 효과도 있다.

Claims (5)

  1. 조립식 텐트에 있어서,
    사각형의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의 각 모서리 바닥면에 팩(119)에 의해 결합되는 원형의 지지판(111)이 형성되고, 이 지지판(111)의 상부에 직각으로 설치되는 가로폴대(112)(113)의 단부와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주대(114)의 단부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연결구(115)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구(115)의 내측으로 고정 와이어가 끼움 결합될 수 있는 구멍(117)이 관통된 연결편(116)이 일체로 형성되는 하부 모서리 연결부재(110)와;
    상기 하부 모서리 연결부재(110)의 사이에 대향되며, 바닥면에 결합되는 원형의 지지판(121)이 형성되고, 이 지지판(121)의 상부에 상기 하부 모서리 연결부재(110)의 연결구(115)에 결합된 가로폴대(113) 및 다른 하부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가로폴대(122)의 단부를 수용하며,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주대(123)의 단부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연결구(124)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124)의 내측으로 고정 와이어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구멍(126)이 관통된 연결편(125)이 형성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하부 연결부재(120)와;
    상기 하부 모서리 연결부재(110)의 연결구(115)에 삽입된 지주대(114)의 단부를 수용하고, 가로폴대(131)와 가로지지대(132)의 단부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연결구(133)가 형성되며, 이 연결구(133)의 내측으로 고정 와이어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구멍(135)이 관통된 연결편(134)이 일체로 형성되는 중간 모서리연결부재(130)와;
    상기 하부 연결부재(120)와 대응하게 위치하며, 상기 하부 연결부재(120)의 연결구(124)에 삽입된 지주대(123)의 단부를 수용하고, 상기 중간 모서리 연결부재(130)의 연결구(133)에 결합된 가로폴대(131)의 단부와 다른 중간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가로폴대(141)의 단부를 수용하며 일측에 가로지지대(142)의 단부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연결구(143)가 형성되며, 이 연결구(143)의 내측으로 고정 와이어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구멍(144)이 관통된 연결편(145)이 형성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중간 연결부재(140)와;
    상기 중간 모서리 연결부재(130)의 연결구(133)에 삽입된 가로지지대(132)의 단부와 타측 중간 모서리 연결부재의 연결구에 삽입된 가로지지대를(151)의 단부를 수용하며, 일측에 사각형의 중심보(152)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연결구(153)가 형성되고, 이 연결구(153)의 내측으로 고정 와이어(170)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구멍(154)이 관통된 연결편(155)이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 모서리 연결부재(150)와;
    상기 중간 연결부재(140)의 연결구(143)에 삽입된 가로지지대(142)의 단부와 다른 중간 연결부재의 연결구에 삽입된 가로지지대(161)의 단부를 수용하며, 상기 상부 모서리 연결부재(150)의 연결구(153)에 결합된 중심보(152)의 단부와 다른 상부 연결부재의 연결구에 결합된 중심보(162)의 단부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연결구(163)가 형성되며, 이 연결구(163)의 내측으로 고정 와이어(170)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구멍(164)이 관통된 연결편(165)이 일체로 형성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상부 연결부재(160)와;
    상기 상부 모서리 연결부재(150)에 연결된 가로지지대(132)(151)와 하부 모서리 연결부재(110)의 연결구(115)에 삽입되는 가로폴대(112)에 수직으로 결합되며 대향되게 설치되는 지지봉(181)(182)과;
    상기 지지봉(181)(182)과 하부 모서리 연결부재(110)와 하부 연결부재(120)와 중간 모서리 연결부재(130)와 중간 연결부재(140)와 상부 모서리 연결부재(150)와 상부 연결부재(160)에 지주대(114)(123)와 가로지지대(132)(142)(151)(161) 및 중심보(152)(162)가 연결되어 형성된 골격의 외부를 감싸는 외피(190)와;
    상기 외피(190)에 형성된 연결고리(191)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바닥면에 입설된 버팀구(210)에 연결되어 상기 외피(190)를 지지해주는 지지 와이어(2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텐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181)은, 나사(184)에 의해 회전축(183)에 고정되며 위쪽 방향으로 회전하는 폴대(185)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텐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182)은, 상기 지지봉(181)과 직교되도록 회전된 폴대(185)의 내측으로 내측 지지봉(187)을 통해 결합하기 위한 관통공(18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텐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보(152)는,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단부(152a)가 몸체(152b)에 억지 끼움으로 삽입된 후 몸체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코킹 결합하여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코킹결합부(152c)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텐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에 결합되는 원형의 지지판(235)이 형성되고, 이 지지판(235)의 상부에 상기 하부 모서리 연결부재(110)의 연결구(115)에 결합된 가로폴대(112)의 단부와 다른 문 연결부재와 연결되는 가로폴대(231)의 단부를 수용하며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지봉(181)의 단부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연결구(232)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232)의 내측으로 고정 와이어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구멍(233)이 관통된 연결편(234)이 형성되는 문 연결부재(2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텐트.
KR1020040006734A 2004-02-02 2004-02-02 조립식 텐트 KR100663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6734A KR100663935B1 (ko) 2004-02-02 2004-02-02 조립식 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6734A KR100663935B1 (ko) 2004-02-02 2004-02-02 조립식 텐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2452U Division KR200350261Y1 (ko) 2004-02-02 2004-02-02 조립식 텐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6926A true KR20040016926A (ko) 2004-02-25
KR100663935B1 KR100663935B1 (ko) 2007-01-04

Family

ID=37322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6734A KR100663935B1 (ko) 2004-02-02 2004-02-02 조립식 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393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509B1 (ko) * 2011-05-03 2012-01-03 장근대 사물함 손잡이
KR200458415Y1 (ko) * 2010-03-09 2012-02-14 신종주 사물함열쇠고리잠금장치
KR101418387B1 (ko) * 2012-11-21 2014-07-09 양석호 조립식 텐트
KR101507713B1 (ko) * 2014-11-20 2015-04-07 신기중 플로어가 구비된 기능성 조립식 텐트
WO2016080618A1 (ko) * 2014-11-20 2016-05-26 신기중 플로어가 구비된 기능성 조립식 텐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096Y1 (ko) 2010-05-25 2012-08-27 김좌영 철문의 턴버클 연결용 결속구
KR102664965B1 (ko) 2021-07-22 2024-05-09 성기호 이동이 용이한 조립식 하우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6527Y1 (ko) 2001-06-29 2001-10-31 소재범 텐트겸용 다관절 평면파라솔
KR20030046890A (ko) * 2001-12-07 2003-06-18 충 현 이 천막
KR20030061717A (ko) * 2003-05-23 2003-07-22 김대환 마퀴형 간이 하우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415Y1 (ko) * 2010-03-09 2012-02-14 신종주 사물함열쇠고리잠금장치
KR101102509B1 (ko) * 2011-05-03 2012-01-03 장근대 사물함 손잡이
KR101418387B1 (ko) * 2012-11-21 2014-07-09 양석호 조립식 텐트
KR101507713B1 (ko) * 2014-11-20 2015-04-07 신기중 플로어가 구비된 기능성 조립식 텐트
WO2016080618A1 (ko) * 2014-11-20 2016-05-26 신기중 플로어가 구비된 기능성 조립식 텐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3935B1 (ko) 2007-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77686B1 (es) Sistema de armazon metalica.
US5261436A (en) Tent
KR100663935B1 (ko) 조립식 텐트
US5115828A (en) Demountable frame structure
US10081965B2 (en) Modular hyperbolic trapezoid fabric structure
US20030034061A1 (en) Triangular frame tent
CA2491305C (en) Ring and pole connector assembly for a tent corner
KR200350261Y1 (ko) 조립식 텐트
KR200153130Y1 (ko) 조립식 평상
CN210117981U (zh) 帐篷稳固装置
KR101300155B1 (ko) 보강력이 향상된 접철식 에어컨실외기 설치대
US7398792B2 (en) Bar table shelter
CN218092362U (zh) 一种帐篷立柱与帐篷顶部快装结构
KR100542638B1 (ko) 조립식 수영장
US20120180837A9 (en) Horizontal frame tensile structure and canted corner elements therefor
CN217461683U (zh) 一种旅游帐篷
CN217712027U (zh) 帐篷底角以及帐篷
CN216240051U (zh) 一种高稳定性的帐篷支撑骨架
US20080135079A1 (en) Yurt structure
KR102584370B1 (ko) 조립식 스크린 하우스 지붕 고정구조
CN215564910U (zh) 多单元多边形篷房支架和多单元多边形篷房
US20230043135A1 (en) Outdoor fixed tent with assembly structure, buckle mechanism, and assembly method for fixed tent
KR20100107134A (ko) 조립식 골조의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시설물의 골조 조립구조
CN212406316U (zh) 一种户外用双翼展开支撑式自动开合篷
CN209874059U (zh) 一种便于拆卸的竹制活动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11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