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6997A - 차량용 eCall 서비스 방법 및 이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차량용 eCall 서비스 방법 및 이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6997A
KR20160106997A KR1020150029834A KR20150029834A KR20160106997A KR 20160106997 A KR20160106997 A KR 20160106997A KR 1020150029834 A KR1020150029834 A KR 1020150029834A KR 20150029834 A KR20150029834 A KR 20150029834A KR 20160106997 A KR20160106997 A KR 20160106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martphone
ecall service
infotainment
e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9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열
김민철
조성호
Original Assignee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9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6997A/ko
Publication of KR20160106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69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W4/2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6Alarm destination chosen according to type of event, e.g. in case of fire phone the fire service, in case of medical emergency phone the ambulan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04W4/046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텔레매틱스 시스템이 내장되지 않은 차량에서도 eCall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차량용 eCall 서비스 방법 및 이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차량용 eCall 서비스 방법은, 탑승자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용 eCall 서비스 방법으로, 상기 탑승자 스마트폰이 상기 차량에 탑재된 인포테인먼트로부터 상기 차량의 사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차량의 사고정보를 상기 탑승자 스마트폰이 eCall 서비스 센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eCall 서비스 방법 및 이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eCall servicing method for vehicle and recording medium in which program of the method}
본 발명은 차량용 eCall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eCall 서비스는 유럽지역의 국가프로젝트로 진행한 사업으로, 사고발생시 요구되는 긴급서비스를 위해 텔레매틱스를 이용하여 안전과 관련된 여러 정보들을 eCall 서비스 센터로 전송하는 것이다.
여기서, 차량용 eCall 서비스에 이용되는 텔레매틱스(telematics)는 텔레커뮤니케이션(telecommunication)과 인포매틱스(informatics)의 합성어로, 자동차 안에서 이메일을 주고 받고, 인터넷을 통해 각종 정보도 검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차량 무선인터넷 서비스이다.
이렇듯 차량용 eCall 서비스를 위해서는 차량 내에 전화망(CDMA, GSM, LTE 등)과 통신이 가능한 텔레매틱스 시스템이 차량에 내장되어야 하므로, 텔레매틱스 시스템이 내장되지 않은 차량에서는 eCall 서비스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텔레매틱스 시스템이 내장되지 않은 차량에서도 eCall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차량용 eCall 서비스 방법 및 이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eCall 서비스 방법은, 탑승자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용 eCall 서비스 방법으로, 상기 탑승자 스마트폰이 상기 차량에 탑재된 인포테인먼트로부터 상기 차량의 사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차량의 사고정보를 상기 탑승자 스마트폰이 eCall 서비스 센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예로, 상기 인포테인먼트는, 상기 차량의 사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차량에 탑재된 사고 감지부와 통신을 통해 사고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인포테인먼트는, 상기 차량의 사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인포테인먼트는 자체에 내장된 자이로센서 및 가속도센서를 통해 사고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사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인포테인먼트는 상기 탑승자 스마트폰과 통신모뎀을 통해 연동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사고정보는, 발생시간, 차량속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사고정보는 블랙박스 영상 기록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eCall 서비스 방법은, 상기 eCall 서비스 센터로 전송하는 단계 후, 상기 탑승자 스마트폰이 상기 eCall 서비스 센터를 통해 주변 차량에 사고 발생 사실을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으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eCall 서비스 방법을 탑승자 스마트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eCall 서비스 방법 및 이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탑승자 스마트폰을 통해 인포테인먼트의 차량 사고정보를 eCall 서비스 센터로 전송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텔레매틱스 시스템이 내장되지 않은 차량에서도 eCall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eCall 서비스 방법을 구현하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eCall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eCall 서비스 방법을 구현하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eCall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eCall 서비스 방법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 스마트폰(100)을 이용하여 차량용 eCall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다.
먼저, 탑승자 스마트폰(100)이 차량(10)에 탑재된 인포테인먼트(in-vehicle infotainment)로부터 차량의 사고정보를 수신한다(S110). 인포테인먼트(11)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통신모뎀이 내장된 탑승자 스마트폰(100)과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인포테인먼트(11)는, 주지된 기술로, 차량에서 즐길 수 있는 엔터테인먼트(entertainment)를 포함하는 정보(information)를 갖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인포테인먼트(1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에 탑재된 에어백 전개 감지 센서(12a), 충돌 감지 센서(12b), 차량 속도계(12c), GPS(12e) 등의 사고 감지부(12)와 연결되어 차량(10)의 위치, 차량(10)의 속도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고, 특히 차량 사고가 발생되면 사고 발생에 대한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시간 정보는 GPS(12e)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이외에도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인포테인먼트(11)는 라디오, 오디오, 내비게이션, 공조기, 좌석 열선 등과 연결되어 라디오의 채널, 오디오의 볼륨, 재생곡, 내비게이션, 공조기, 좌석 열선 등의 다양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인포테인먼트(11)는 차량(10)에 탑재된 사고 감지부(12)와 CAN통신(Controller Area Network)을 통해 사고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CAN통신은, 주지된 기술로, 차량(10) 내에서 호스트 컴퓨터 없이 마이크로 컨트롤러나 장치들이 서로 통신하기 위해 설계된 표준 통신 규격으로, 메시지 기반 프로토콜이다.
또한, 인포테인먼트(11)는, 사고 감지부(12)를 통한 사고정보와 별도로 인포테인먼트(11) 자체에 내장된 자이로센서(11a) 및 가속도센서(11b)를 통해서도 사고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물론, 탑승자 스마트폰(100)은 사고 감지부(12)를 통한 사고정보와 자이로센서(11a) 및 가속도센서(11b)를 통한 사고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도 있다. 나아가, 인포테인먼트(11)가 블랙박스(미도시)와도 연결될 경우, 사고정보에는 블랙박스 영상 기록물도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렇게 수신된 차량(10)의 사고정보를 탑승자 스마트폰(100)이 eCall 서비스 센터(20)로 전송한다(S120). 예를 들어, 수신된 사고정보에는, 차량위치, 발생시간, 차량속도 중 하나 이상이 포함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블랙박스 영상 기록물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고정보는 블랙박스 영상 기록물만일 수도 있다. 또한, 탑승자 스마트폰(100)은 eCall 서비스 센터(20)와 주지된 통신모뎀 등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eCall 서비스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0" 단계 후, 즉시 탑승자 스마트폰(100)이 eCall 서비스 센터(20)를 통해 주변 차량(미도시)에 사고 발생 사실을 알리는 단계(S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고 지역을 기준으로 대략 반경 5km 내에 있는 텔레매틱스(Telematics) 시스템이 내장된 주변 차량 또는 스마트폰 연결을 지원하는 인포테인먼트가 내장된 주변 차량에 대해 근처에 사고가 발생하였음 알려 운전시 주의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eCall 서비스 방법은 또한 스마트폰(100)으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스마트폰(100)이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마트폰(100)이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스마트폰 장치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스마트폰(100)이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롬(ROM), 램(RAM), SD 메모리 카드(Secure Digital memory card), Micro SD 메모리 카드, USB Storage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스마트폰(100)이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된 스마트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스마트폰(100)이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eCall 서비스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탑승자 스마트폰(100)을 통해 인포테인먼트(11)의 차량 사고정보를 eCall 서비스 센터(20)로 전송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텔레매틱스 시스템이 내장되지 않은 차량(10)에서도 eCall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차량 11: 인포테인먼트
11a: 자이로센서 11b: 가속도센서
12: 사고 감지부 12a: 에어백 전개 감지 센서
12b: 충돌 감지 센서 12c: 차량 속도계
12d: 차량 시계 12e: GPS
20: eCall 서비스 센터 100: 스마트폰

Claims (8)

  1. 탑승자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용 eCall 서비스 방법으로,
    상기 탑승자 스마트폰이 상기 차량에 탑재된 인포테인먼트로부터 상기 차량의 사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차량의 사고정보를 상기 탑승자 스마트폰이 eCall 서비스 센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용 eCall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차량의 사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인포테인먼트는 상기 차량에 탑재된 사고 감지부와 통신을 통해 사고정보를 수신하는 차량용 eCall 서비스 방법.
  3. 제1항에서,
    상기 차량의 사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인포테인먼트는 자체에 내장된 자이로센서 및 가속도센서를 통해 사고정보를 획득하는 차량용 eCall 서비스 방법.
  4. 제1항에서,
    상기 차량의 사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인포테인먼트는 상기 탑승자 스마트폰과 통신모뎀을 통해 연동되는 차량용 eCall 서비스 방법.
  5. 제1항에서,
    상기 사고정보는 차량위치, 발생시간, 차량속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차량용 eCall 서비스 방법.
  6. 제1항에서,
    상기 사고정보는 블랙박스 영상 기록물을 포함하는 차량용 eCall 서비스 방법.
  7. 제1항에서,
    상기 차량용 eCall 서비스 방법은,
    상기 eCall 서비스 센터로 전송하는 단계 후, 상기 탑승자 스마트폰이 상기 eCall 서비스 센터를 통해 주변 차량에 사고 발생 사실을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eCall 서비스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량용 eCall 서비스 방법을 탑승자 스마트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스마트폰으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50029834A 2015-03-03 2015-03-03 차량용 eCall 서비스 방법 및 이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201601069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834A KR20160106997A (ko) 2015-03-03 2015-03-03 차량용 eCall 서비스 방법 및 이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834A KR20160106997A (ko) 2015-03-03 2015-03-03 차량용 eCall 서비스 방법 및 이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6997A true KR20160106997A (ko) 2016-09-13

Family

ID=56946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9834A KR20160106997A (ko) 2015-03-03 2015-03-03 차량용 eCall 서비스 방법 및 이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699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1495A (ko) 2017-11-07 2019-05-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개인 정보의 보호 강화를 위한 eCall Data 확보 방법
KR102006590B1 (ko) * 2019-02-22 2019-08-01 (주)이씨스 WAVE 및 LTE 통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C-ITS 및 eCall 서비스 지원 방법
KR102024914B1 (ko) * 2019-06-14 2019-11-04 주식회사 사브오토모티브 위기상황 관리 기능을 구비한 블랙박스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1495A (ko) 2017-11-07 2019-05-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개인 정보의 보호 강화를 위한 eCall Data 확보 방법
KR102006590B1 (ko) * 2019-02-22 2019-08-01 (주)이씨스 WAVE 및 LTE 통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C-ITS 및 eCall 서비스 지원 방법
KR102024914B1 (ko) * 2019-06-14 2019-11-04 주식회사 사브오토모티브 위기상황 관리 기능을 구비한 블랙박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585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ug-in wireless safety devices
US9227595B2 (e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otification that a vehicle has been accessed
US8930041B1 (en) Methods of operation for plug-in wireless safety device
EP2831858B1 (en) Service of an emergency event based on proximity
US9393918B2 (e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pplication generated information for presentation at an automotive head unit
KR102099745B1 (ko) 차량-대-차량 인터페이스를 통해 교통 체증의 종료에 관한 유용한 정보를 생성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9247040B1 (en) Vehicle event recorder mobile phone mount
US20120146809A1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vehicles
US20130157647A1 (en) In-vehicle tablet
JP6942413B2 (ja)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
WO2018032632A1 (zh) 一种车辆预警方法及装置
GB2556386A (en) Adaptive transmit power control for vehicle communication
KR20160106997A (ko) 차량용 eCall 서비스 방법 및 이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EP2902985A1 (en) Receiving device
CN111161551A (zh) 用于检测、警报和响应紧急车辆的设备、系统和方法
EP2793491B1 (en) Process for data transmission between a vehicle and a mobile device
JP2007265074A (ja) 道路状況情報提供システム、車載装置及び道路状況情報提供方法
KR20210084243A (ko) 차량 텔레매틱스 유닛을 위한 안테나 시스템
KR20210063023A (ko) 긴급 구조 요청 알림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및 그 방법
JP6064872B2 (ja) 車載器
JP6712753B2 (ja) 通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WO2017217144A1 (ja) 無線装置
JP6124464B2 (ja) 運転支援装置、運転支援方法、及び運転支援プログラム
JPWO2014002485A1 (ja) 無線装置
Albertengo et al. Smartphone enabled connected vehicles pave the way to intelligent mo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