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6905A - 형광 비등방성 측정시스템 - Google Patents

형광 비등방성 측정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6905A
KR20160106905A KR1020150029596A KR20150029596A KR20160106905A KR 20160106905 A KR20160106905 A KR 20160106905A KR 1020150029596 A KR1020150029596 A KR 1020150029596A KR 20150029596 A KR20150029596 A KR 20150029596A KR 20160106905 A KR20160106905 A KR 20160106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orescence
light
reflector
filter
polarization spl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9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0451B1 (ko
Inventor
김학용
주재범
최재원
김길중
민경미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29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0451B1/ko
Publication of KR20160106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6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0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0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01N21/6428Measuring fluorescence of fluorescent products of reactions or of fluorochrome labelled reactive substances, e.g. measuring quenching effects, using measuring "optro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01N21/6486Measuring fluorescence of biological material, e.g. DNA, RNA,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2Use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for colorimetric, spectrophotometric or fluorometric investigation, e.g. use of reagent paper and including single- and multilayer analytical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06Illumination; Optics
    • G01N2201/061Sources
    • G01N2201/06113Coherent sources; las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06Illumination; Optics
    • G01N2201/062LE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ell Biology (AREA)
  • Investigating, Analyzing Materials By Fluorescence Or Luminesc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형광 비등방성 측정시스템은, 형광물질을 여기시키기 위한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상기 광원에서의 광이 단일 방향성을 갖도록 선별해주는 편광 필터와, 상기 편광 필터를 통과하여 일정한 방향성을 갖는 광을 대물렌즈로 보내주기 위해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되는 반사경과, 미세 액적 부분을 확대하여 초점을 맞추어 상기 반사경을 통한 광을 쪼여주기 위한 대물렌즈와, 상기 대물렌즈가 액적을 쪼여주어 발생하는 형광이 통과하면서 최종 노이즈가 걸러진 형광을 만들기 위한 형광 필터와, 상기 형광 필터를 통과하여 최종 노이즈가 걸러진 형광을 통해 상기 액적이 흐르는 미세유체 채널을 관찰하기 위한 카메라와, 상기 형광 필터를 통과하여 최종 노이즈가 걸러진 형광을 수직편광과 수평편광으로 선별하기 위한 편광 분할기와, 상기 편광 분할기에서 선별된 각각의 편광의 형광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와, 상기 형광 필터를 통과한 형광을 상기 카메라 또는 상기 편광 분할기에 선택적으로 보내도록 전방 또는 후방으로 유동되는 빛방향 조절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형광 비등방성 측정시스템{SYSTEM FOR MEASURING FLUORESCENCE ANISOTROPY}
본 발명은 형광 비등방성 측정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사경을 포함한 빛방향 조절장치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유동시킴으로써, 미세액적의 이미지를 관찰하는 기능과, 상기 미세액적 내 형광 신호를 측정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어 한 개의 장치로 2가지 기능을 겸할 수 있는 형광 비등방성 측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유전체학(genomics), 단백질체학(proteomics) 등의 학문을 연구하는 목표 중의 하나는 세포의 생리학적 메커니즘(mechanism)을 이해하는 것이며, 이러한 유전체학, 단백질체학 관련 연구를 통해 질병과 관련된 핵산이나 단백질을 동정하여 질병 치료에 핵심이 되는 물질을 찾아내는 것이 목적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단백질-단백질, 핵산-단백질 등의 생체 분자간의 상호작용이 다양한 생물학적 작용에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면 세포의 외부에서 내부로 혹은 내부에서 외부로 신호를 전달할 때 단백질간의 상호작용이 필수적이며, 세포내에서의 신호전이에도 단백질 간의 상호작용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단백질이 존재하기 위해서는 핵산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신호전이는 정상적인 생물학적 메커니즘 및 질병관련 메커니즘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초고속으로 생체 분자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하는 것은 효과적인 질병 진단 기술의 발전과 새로운 신약 후보 물질의 스크리닝(screening) 방법에 획기적인 발전을 가져다줄 것으로 기대된다.
지금까지 단백질체학 연구를 위해 주로 사용되어왔던 기술은 2차원 전기영동과 질량분석 기술이다. 하지만 단백질의 양이 적거나, 분자량이 크거나, 단백질이 소수성의 성질을 갖는 시료의 경우 2차원 전기영동과 질량분석기술을 이용하여 초고속으로 분석 및 정량을 하기는 어렵다.
단백질 마이크로어레이(microarray) 기술은 지난 십여 년 간의 연구를 통해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였다. 단백질 마이크로어레이는 저분자 유기화합물-단백질, 핵산-단백질, 펩타이드-단백질, 단백질-단백질, 수용체-리간드, 효소-기질 등의 상호작용과 같은 다양한 상호작용을 한 번의 실험을 통해 다량 분석해낼 수 있는 이점 및 분석에 사용되는 시료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마이크로어레이 기반의 기술은 단백질 및 핵산을 잡아주는 물질을 지지체 표면에 고정해야 하는데, 이러한 고정 과정이 단백질 및 핵산의 활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더 나아가 단백질 및 핵산의 고정은 지지체 표면과의 결합에 의해 단백질 결합 부위가 가려지거나 변형되어 특이적인 생체 분자간의 상호작용을 방해함으로써 생물학적인 상태에서의 생체 분자간의 상호작용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존재한다. 게다가 마이크로어레이 기반의 기술은 장시간의 시료 처리 시간, 세정 과정의 반복 등으로 인해 생체 분자간의 상호작용의 정확도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액적 기반의 미세유체시스템을 이용하여 생체분자간의 상호작용의 결과를 신속 정확하게 측정해 낼 수 있는 형광 비등방성(Fluorescence Polarization, FP) 측정법이 개발된 바 있다.
형광 비등방성 측정법은 물질 특성 변화에 따른 형광 신호의 변화를 감지하여 샘플 용액 내에 존재하는 물질의 정량 및 정성 분석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또는 생화학적 물질의 검출에 유용하게 응용될 수 있어서, 생명과학, 유전공학 및 의료, 환경, 식품, 군사, 해양, 농축산 분야 등에서 분석 및 진단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샘플 용액 내에 존재하는 표적 물질을 분석하는데 있어서, 감도가 높고 소형화된 형광 비등방성 측정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37790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감도가 높고 소형화된 형광 비등방성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한 개의 장치를 통해 미세액적의 이미지를 관찰할 수 있음과 아울러, 수직면과 수평면의 편광을 동시에 검출이 가능하여 액적을 분석하는데 탁월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형광 비등방성 측정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형광 비등방성 측정시스템은, 형광물질을 여기시키기 위한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상기 광원에서의 광이 단일 방향성을 갖도록 선별해주는 편광 필터와, 상기 편광 필터를 통과하여 일정한 방향성을 갖는 광을 대물렌즈로 보내주기 위해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되는 반사경과, 미세액적 부분을 확대하여 상기 반사경을 통한 광을 쪼여주기 위한 대물렌즈와, 상기 대물렌즈가 액적을 쪼여주어 발생하는 형광이 통과하면서 최종 노이즈가 걸러진 형광을 만들기 위한 형광 필터와, 상기 형광 필터를 통과하여 최종 노이즈가 걸러진 형광을 통해 상기 액적이 흐르는 미세유체 채널을 관찰하기 위한 카메라와, 상기 형광 필터를 통과하여 최종 노이즈가 걸러진 형광을 수직편광과 수평편광으로 선별하기 위한 편광 분할기와, 상기 편광 분할기에서 선별된 각각의 편광의 형광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와, 상기 형광 필터를 통과한 형광을 상기 카메라 또는 상기 편광 분할기에 선택적으로 보내도록 전방 또는 후방으로 유동되는 빛방향 조절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빛방향 조절장치는 상기 형광 필터를 통과한 형광을 상기 카메라 또는 편광 분할기로 보내기 위한 반사경과, 상기 반사경의 위치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조절하기 위해 상기 반사경에 연결되는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형광 필터와 상기 편광 분할기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반사경은 상기 형광 필터와 상기 편광 분할기 사이에 유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반사경이 상기 형광 필터와 상기 편광 분할기 사이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형광 필터를 통과한 형광이 상기 반사경에 반사되어 상기 카메라로 보내지고, 상기 레버가 반사경을 후방으로 당기는 경우, 상기 형광 필터를 통과한 형광이 상기 편광 분할기에 직접 들어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레버를 당길 때 안내하는 가이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빛방향 조절장치와 카메라 사이에는 상기 카메라로 들어가는 광의 초점을 맞추어주기 위한 렌즈가 선택적으로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반사경은 상기 편광 필터와 이격 배치되는 제1 반사경과, 상기 대물렌즈 측에 설치되는 제2 반사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반사경과 제2 반사경 사이에는 특정 파장을 기준으로 기준 이하는 반사하고 기준 이상은 투과하는 색선별 거울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편광 분할기에서 선별된 수직편광과 수평편광은 각각 수직면 편광 필터와 수평면 편광 필터를 통해 노이즈를 제거하고, 이를 통과한 수직면과 수평면의 편광이 각각 검출기를 통해 검출되는 것이다.
상기 광원은 레이저 또는 엘이디(LED)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형광 비등방성 측정시스템은, 미세액적의 이미지를 관찰하는 기능과, 상기 액적 내 형광 신호를 측정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어 액적 내 존재하는 물질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는데 탁월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형광 비등방성 측정시스템은, 한 개의 장치 내에 2가지 기능을 겸하여 형광 비등방성 측정장치를 포함하고 있으며, 현미경 등의 고가의 장비와 무진동 광학 테이블 등을 갖춘 특화된 연구시설을 필요로 하는 기존 시스템의 치명적인 단점을 극복하여 소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이동형 장비로의 제작이 가능하고 기존 시스템 대비 제조 원가 절감 등의 경제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형광 비등방성 측정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형광 비등방성 측정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미세유체 채널의 이미지를 관찰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미세유체 채널의 형광 신호를 측정할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형광 비등방성 측정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형광 비등방성 측정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형광 비등방성 측정 시스템은 액적 채널(100)의 하류를 흐르는 미세액적의 상대적 형광 세기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형광 비등방성 측정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히 설명한다면, 광원(1)과, 상기 광원(1)에서의 광이 단일 방향성을 갖도록 선별해주는 편광 필터(polarization filter 또는 polarizer)(2)와, 상기 편광 필터(2)를 통과하여 일정한 방향성을 갖는 광을 대물렌즈(6)로 보내주기 위한 반사경(3)(5)과, 미세액적 부분을 확대하여 광을 쪼여주기 위한 대물렌즈(6)와, 상기 대물렌즈(6)가 액적을 쪼여주어 발생하는 형광이 통과하면서 최종 노이즈가 걸러진 형광을 만들기 위한 형광 필터(7)와, 상기 형광 필터(7)를 통과한 형광을 카메라(10) 또는 편광 분할기(11)에 선택적으로 보내도록 전방 또는 후방으로 유동되는 빛방향 조절장치(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광원(1)은 형광물질을 여기(excitation)시키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레이저(laser)로 이루어지며, 이외에도 엘이디(LED)로 상기 광원(1)을 대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편광 필터(2)는 광을 단일 방향성을 갖도록 선별해주는 필터로서, 상기 광원(1)으로부터 소정만큼 이격 배치되며 0 ~ 360°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대물렌즈(6)는 미세액적 부분을 확대하여, 초점을 맞추어 빛을 쪼여주기 위한 것으로, 배율은 미세액적의 크기(미세유체 채널의 너비)에 따라 적절한 형광 신호 측정을 위해 선택적으로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다(1.25X, 4X, 10X, 20X, 40X, 50X, 60X, 100X).
본 발명에서, 상기 반사경(3)(5)은 2개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편광 필터(2)와 이격 배치되는 제1 반사경(3)과, 상기 대물렌즈(6) 측에 설치되는 제2 반사경(5)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반사경(3)과 제2 반사경(5) 사이에는 특정 파장을 기준으로 기준 이하는 반사하고 기준 이상은 투과하는 색선별 거울(4)이 설치된다.
상기 색선별 거울(dichroic mirror)(4)은 투명한 다층박막 코팅을 한 평면거울로서, 빛의 입사각을 45°로 했을 때, 박막 내의 빛의 간섭효과에 의해서 특정 파장범위의 빛은 반사하고, 나머지 파장범위의 빛은 투과하는 성질을 가지는 것이므로,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제1 반사경(3)을 통해 반사된 빛이 45°각도로 입사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형광 필터(emission filter 또는 band pass filter)(7)는 상기 색선별 거울(4)을 투과한 빛에 존재하는 모든 파장 중에서, 형광물질의 파장만 순수하게 걸러주기 위한 필터이다. 상기 형광 필터(7)는 형광 물질에 따라 각각의 형광물질이 갖는 고유 파장에 맞도록 변경이 가능하며, 상기 형광 필터(7)를 통과하여 최종 노이즈가 걸러진 형광은 상기 빛방향 조절장치(8)를 통해 상기 카메라(10) 또는 편광 분할기(11)로 입사된다.
상기 카메라(10)는 상기 액적이 흐르는 미세유체 채널을 관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빛방향 조절장치(8)와 카메라(10) 사이에는 상기 카메라(10)로 들어가는 광의 초점을 맞추어주기 위한 렌즈(9)가 더 포함될 수 있지만, 렌즈(9)가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렌즈(9)의 거리 혹은 배율을 조절하여 대물렌즈(6)로 보는 영역보다 좁게 혹은 넓게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빛방향 조절장치(8)는 상기 형광 필터(7)를 통과한 형광을 상기 카메라(10) 또는 편광 분할기(11)로 보내기 위한 반사경(8)과, 상기 반사경(8)의 위치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조절하기 위해 상기 반사경(8)에 연결되는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형광 필터(7)와 상기 편광 분할기(11)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10)는 형광 필터(7)와 90°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것을 실시예로 도시하였다.
따라서, 상기 반사경(8)이 상기 형광 필터(7)와 상기 편광 분할기(11) 사이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형광 필터(7)를 통과한 형광이 상기 반사경(8)에 반사되어 상기 카메라(10)로 보내지고, 상기 레버를 당겨 반사경(8)을 후방으로 위치시키는 경우, 상기 형광 필터(7)를 통과한 형광이 상기 편광 분할기(11)에 직접 들어가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레버를 당길 때 안내하는 가이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레버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레버가 소정길이만큼 끼워져 가이드 내에서 레버가 이동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레버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유동시켜 상기 반사경(8)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도시안함)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장치(도시안함)와, 상기 구동모터를 온/오프 작동시키는 스위치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어장치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데, 예컨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될 휠과, 상기 휠과 연결된 랙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랙기어와 상기 레버는 연결편 등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가 동작하면 상기 레버가 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유동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빛방향 조절장치(8)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유동하기 위한 구성을 상술한 예에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 빛방향 조절장치(8)는 공지된 다양한 구성을 통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설치됨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편광 분할기(11)는 상기 형광 필터(7)를 통과하여 최종 노이즈가 걸러진 형광을 수직편광과 수평편광으로 선별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편광 분할기(11)에서 선별된 수직편광과 수평편광은 각각 수직면 편광 필터(12-1)와 수평면 편광 필터(12-2)를 통해 노이즈를 제거하고, 이를 통과한 수직면과 수평면의 편광이 각각 검출기(13-1)(13-2)를 통해 검출되는 것이다.
이때, 수직면 편광 필터(12-1)와 수평면 편광 필터(12-2)는 편광 분할기(11)의 편광 분할 방향에 따라 위치가 서로 바뀔 수 있으며,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포함된 것이므로 필수구성요소는 아니다.
도 3은 미세유체 채널의 이미지를 관찰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미세유체 채널의 형광 신호를 측정할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로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형광 비등방성 측정 시스템의 작동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광원(1)에서 광을 조사하여 편광 필터(2)를 통과시켜 일정한 방향성을 갖도록 빛을 필터링 한 후, 상기 제1 반사경(3), 색선별 거울(4)(이때 레이저는 반사), 제2 반사경(5)을 거쳐 상기 대물렌즈(6)로 들어간다.
편광을 갖는 빛이 대물렌즈(6)를 통해 액적을 쪼여주게 되고, 이로부터 발생하는 형광이 다시 제2 반사경(5), 색선별 거울(4)(이때, 형광은 투과), 형광 필터(7)를 통해 최종 노이즈가 걸러진 형광이 걸러진다.
이후, 미세액적(미세유체 채널)의 이미지를 관찰할 경우에는 액적에 정확한 영역에 레이저를 쪼여주기 위해 이미지를 관찰해야 하므로, 반사경(8)이 부착된 레버를 도 3과 같이 위치시켜 상기 렌즈(9)를 통해 카메라(10)로 들어가게 한다.
이로써, 미세액적(미세유체 채널)의 이미지를 관찰할 수 있다.
또한, 미세액적의 형광 신호를 측정할 경우에는 상술한 과정을 통해 액적에 레이저가 제대로 쪼여지는 것을 확인한 후에 반사경(8)이 부착된 레버를 후방으로 당겨 형광 필터(7)를 통과한 형광이 직접 편광 분할기(11)로 들어가게 한다.
상기 편광 분할기(11)에서 들어온 형광을 수직면과 수평면으로 나누어주며, 수직면의 형광은 수직면 편광 필터(12-1)를 통해 보다 확실한 수직면의 편광으로 선별되고, 수평면의 형광은 수평면 편광 필터(12-2)를 통해 보다 확실한 수평면의 편광으로 선별되며, 수직면 편광필터(12-1)와 수평면 편광필터(12-2)는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이를 통과한 수직면과 수평면의 편광이 각각 검출기(13-1, 13-2)를 통해 동시에 검출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형광 비등방성 측정 시스템의 구성은 미세 액적으로부터 방사되는 빛에 대하여 미세액적의 이미지를 관찰하는 기능과, 상기 액적의 수직 편광도 및 수평 편광도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는 점에 장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광원 2: 편광 필터
3, 5: 반사경 4: 색선별거울
6: 대물렌즈 7: 형광 필터
8: 빛방향 조절장치 9: 렌즈
10: 카메라 11: 편광 분할기
12: 편광 필터 13: 검출기

Claims (8)

  1. 형광물질을 여기시키기 위한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상기 광원에서의 광이 단일 방향성을 갖도록 선별해주는 편광 필터;
    상기 편광 필터를 통과하여 일정한 방향성을 갖는 광을 대물렌즈로 보내주기 위해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되는 반사경;
    미세액적 부분을 확대하여 상기 반사경을 통한 광을 쪼여주기 위한 대물렌즈;
    상기 대물렌즈가 액적을 쪼여주어 발생하는 형광이 통과하면서 최종 노이즈가 걸러진 형광을 만들기 위한 형광 필터;
    상기 형광 필터를 통과하여 최종 노이즈가 걸러진 형광을 통해 상기 액적이 흐르는 미세유체 채널을 관찰하기 위한 카메라;
    상기 형광 필터를 통과하여 최종 노이즈가 걸러진 형광을 수직편광과 수평편광으로 선별하기 위한 편광 분할기;
    상기 편광 분할기에서 선별된 각각의 편광의 형광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 및
    상기 형광 필터를 통과한 형광을 상기 카메라 또는 상기 편광 분할기에 선택적으로 보내도록 전방 또는 후방으로 유동되는 빛방향 조절장치;
    를 포함하는 형광 비등방성 측정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빛방향 조절장치는 상기 형광 필터를 통과한 형광을 상기 카메라 또는 편광 분할기로 보내기 위한 반사경과,
    상기 반사경의 위치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조절하기 위해 상기 반사경에 연결되는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 비등방성 측정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 필터와 상기 편광 분할기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반사경은 상기 형광 필터와 상기 편광 분할기 사이에 유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반사경이 상기 형광 필터와 상기 편광 분할기 사이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형광 필터를 통과한 형광이 상기 반사경에 반사되어 상기 카메라로 보내지고,
    상기 레버가 반사경을 후방으로 당기는 경우, 상기 형광 필터를 통과한 형광이 상기 편광 분할기에 직접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 비등방성 측정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를 당길 때 안내하는 가이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 비등방성 측정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빛방향 조절장치와 카메라 사이에는 상기 카메라로 들어가는 광의 초점을 맞추어주기 위한 렌즈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 비등방성 측정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은 상기 편광 필터와 이격 배치되는 제1 반사경과,
    상기 대물렌즈 측에 설치되는 제2 반사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반사경과 제2 반사경 사이에는 특정 파장을 기준으로 기준 이하는 반사하고 기준 이상은 투과하는 색선별 거울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 비등방성 측정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분할기에서 선별된 수직편광과 수평편광은 각각 수직면 편광 필터와 수평면 편광 필터를 통해 노이즈를 제거하고,
    이를 통과한 수직면과 수평면의 편광이 각각 검출기를 통해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 비등방성 측정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레이저 또는 엘이디(LED)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 비등방성 측정시스템.

KR1020150029596A 2015-03-03 2015-03-03 형광 비등방성 측정시스템 KR101680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596A KR101680451B1 (ko) 2015-03-03 2015-03-03 형광 비등방성 측정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596A KR101680451B1 (ko) 2015-03-03 2015-03-03 형광 비등방성 측정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6905A true KR20160106905A (ko) 2016-09-13
KR101680451B1 KR101680451B1 (ko) 2016-11-28

Family

ID=56946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9596A KR101680451B1 (ko) 2015-03-03 2015-03-03 형광 비등방성 측정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04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670B1 (ko) * 2017-12-13 2019-02-25 한국과학기술원 미세액적 내 유전자 검출을 위한 광학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790B1 (ko) 2010-04-23 2011-05-27 나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듀얼 광원을 포함하는 형광 편광 분석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3154A (ja) * 2004-06-16 2006-01-05 Olympus Corp 試料解析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790B1 (ko) 2010-04-23 2011-05-27 나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듀얼 광원을 포함하는 형광 편광 분석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670B1 (ko) * 2017-12-13 2019-02-25 한국과학기술원 미세액적 내 유전자 검출을 위한 광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0451B1 (ko) 2016-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99192B2 (en) Fast thermo-optical particle characterisation
US8618508B2 (en) Detection system and method
CN111589478B (zh) 一种双通道实时荧光定量pcr仪光路系统及检测方法
US20200376488A1 (en) Microfluidic determination of low abundance events
JP7175885B2 (ja) サンプル分析装置における動作条件を光学的に監視するためのシステム
EP2240613A1 (en) Thermo-optical characterisation of nucleic acid molecules
JP2011038922A (ja) 光検出用チップおよび該光検出用チップを用いた光検出装置
JP5824325B2 (ja) 散乱および吸光分析を行うシステム
JP2020204604A (ja) 粒子分析装置及び粒子分析方法
WO2015022781A1 (ja) 細胞検出方法および細胞検出装置
KR101680451B1 (ko) 형광 비등방성 측정시스템
CA2962320A1 (en) Detection of analytes using nanoparticles as light scattering enhancers
US1008246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optical-based measurement with selectable excitation light paths
US20080266546A1 (en) Device for Analyzing Samples
CN115053118A (zh) 使用特殊化细胞识别进行循环流式细胞术的装置和方法
JP2010117287A (ja) 蛍光偏光検出装置
JP2007232613A (ja) 蛍光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