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6408A - 흙 시공용 앵커 - Google Patents

흙 시공용 앵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6408A
KR20160106408A KR1020150029286A KR20150029286A KR20160106408A KR 20160106408 A KR20160106408 A KR 20160106408A KR 1020150029286 A KR1020150029286 A KR 1020150029286A KR 20150029286 A KR20150029286 A KR 20150029286A KR 20160106408 A KR20160106408 A KR 20160106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bolt
present
bolt portion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9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부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부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부경
Priority to KR1020150029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6408A/ko
Publication of KR20160106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64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02D5/805Ground anchors with deformable anchor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돌출부재가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볼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볼트부를 회전시키면, 몸체부의 일측이 볼트부가 삽입된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돌출부재가 외측으로 부풀어 오르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흙 시공용 앵커{ANCHOR FOR EARTH CONSTRUCTION}
본 발명은 독립된 구조를 가지는 흙 시공용 앵커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몸체부와 몸체부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볼트부가 결합되어 독립된 구조를 가지되, 볼트부의 일측을 회전시키면 몸체부에 구비된 돌출부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시공된 앵커의 일부분이 흙 내부에서 부풀어 오르는 형태가 됨으로써, 물림효과를 극대화하여 앵커를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흙 시공용 앵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앵커는 지반 속에 인장재(PC강봉, PC강선 및 스트랜드 등)를 타설하고, 타설된 앵커를 긴장함으로써, 구조물로부터 하중을 지반에 전하는 구조체를 의미한다.
이러한 앵커는 사용되는 장소와 지반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앵커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 중 콘크리트 벽체와 같이 단단한 벽체 또는 지반에 사용되는 앵커는 단단한 벽체 또는 지반 자체의 강도에 의해 앵커의 긴장되는 정도가 미비한 앵커들이 사용되는 반면, 단단한 벽체 또는 지반과 달리 흙 등의 연약한 지반에 사용되는 앵커는 긴장되는 정도를 보다 강하게 하거나 또는 앵커 내부에 모르타르를 더 매입하여 인발 저항을 크게 하는 등의 보강이 더 요구된다.
이에, 연약한 지반에 사용되는 앵커의 긴장되는 정도 즉, 매입된 앵커의 부피를 최대화시켜 쐐기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앵커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앵커 중 하나로 등록특허공보 제10-1413191호에 기능이 개선된 앵커볼트가 기재되었다.
도 1은 종래 기능이 개선된 앵커볼트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그 구성은 일측에 원통형 직각의 머리부(41)와 타측에 나사부(42)가 형성된 앵커볼트(40) 및 상기 앵커볼트(40)의 외주면에 앵커슬리브(10)가 조립 설치되며, 콘크리트 타설이 완료된 구멍에 넣고 너트(50)를 조이면 돌출부(25)에 의해 고정되도록 앵커슬리브(10)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1쐐기부(20)가 포함된 기능이 개선된 앵커볼트에 있어서,
상기 제1쐐기부(20)는, 가로방향의 한 쌍의 절개부(21)와 이 절개부(21)의 사이에 세로로 개구부(22)에 의해 양단에 각각 깔리는면(23)과 올라타는면(24)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21)와 또 다른 절개부(21)의 사이에는 너트(50) 조임시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5);가 포함됨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기능이 개선된 앵커볼트는 앵커볼트(40), 제1쐐기부(20), 돌출부(25)가 구비된 앵커슬리브(10)가 구비되어, 앵커볼트 설치시 너트(50)를 조이는 동작만으로 앵커슬리브(10)가 압착되면서 돌출부(25)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쐐기효과를 극대화시킴으로써, 앵커볼트가 장시간이 지나도 흔들거리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 기능이 개선된 앵커볼트는 앵커볼트(40), 앵커슬리브(10), 와셔(52), C링(51) 및 너트(50)의 구성이 다수 개로 이루어짐으로써, 그 구성이 복잡하며, 제조과정이 어려워 원가상승이 초래되고, 설치비 등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또한 다수 개의 구성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현장에서 앵커볼트 시공시 각 구성이 분실되는 경우, 하나의 완제품으로 이루어진 앵커볼트를 시공할 수 없어 작업의 난이도를 증가시키며, 앵커볼트 자체를 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413191호(2014.06.23.)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몸체부와 몸체부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볼트부가 결합되어 독립된 구조를 가지되, 볼트부의 일측을 회전시키면 몸체부에 구비된 돌출부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시공된 앵커의 일부분이 흙 내부에서 부풀어 오르는 형태가 됨으로써, 물림효과를 극대화하여 앵커를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흙 시공용 앵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구조적으로 간단하면서 독립된 구조로 이루어져, 각 구성이 분실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제조 및 설치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흙 시공용 앵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흙 시공용 앵커는 돌출부재가 형성된 몸체부; 몸체부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볼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볼트부를 회전시키면, 몸체부의 일측이 볼트부가 삽입된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돌출부재가 외측으로 부풀어 오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 시공용 앵커를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몸체부와 몸체부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볼트부가 결합되어 독립된 구조를 가지되, 볼트부의 일측을 회전시키면 몸체부에 구비된 돌출부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시공된 앵커의 일부분이 흙 내부에서 부풀어 오르는 형태가 됨으로써, 물림효과를 극대화하여 오랜시간이 지나도 앵커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적으로 간단하면서 독립된 구조로 이루어져, 각 구성이 분실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제조 및 설치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능이 개선된 앵커볼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흙 시공용 앵커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흙 시공용 앵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흙 시공용 앵커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흙 시공용 앵커에서 돌출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흙 시공용 앵커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독립된 구조를 가지는 흙 시공용 앵커에 관한 것으로, 몸체부와 몸체부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볼트부가 결합되어 독립된 구조를 가지되, 볼트부의 일측을 회전시키면 몸체부에 구비된 돌출부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시공된 앵커의 일부분이 흙 내부에서 부풀어 오르는 형태가 됨으로써, 물림효과를 극대화하여 앵커를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흙 시공용 앵커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흙 시공용 앵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흙 시공용 앵커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흙 시공용 앵커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흙 시공용 앵커의 분해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흙 시공용 앵커는 흙 등의 연약한 지반에 설치되는 것으로, 몸체부(10) 및 볼트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몸체부(10)와 볼트부(20)가 결합된 구조로, 독립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몸체부(10)는 흙으로 이루어진 지반에 인입되어 물림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앵커의 몸체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돌출부재(11) 및 암나사(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몸체부(10)는 후술되는 볼트부(20)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 형태로 이루어진다.
돌출부재(11)는 몸체부(10)의 중간 부분에 형성되어 후술되는 볼트부(20)의 회전에 의해 몸체부(10) 외측으로 부풀어 오르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돌출부재(11)는 몸체부(1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돌출부재(11)가 다수 개 형성되는 경우, 돌출부재(11)와 돌출부재(11) 사이에 절개홈(12)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볼트부(20)의 회전에 의해 다수 개의 돌출부재(11)가 외측으로 각각 부풀어 오르게 됨으로써, 지반 내부에서 보다 넓은 면적으로 돌출부재(11) 부풀어 오르는 형태가 되어 물림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돌출부재(11)는 외측으로 원활하게 부풀어 오를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외접철부재(11a)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외접철부재(11a)는 돌출부재(11)의 중간부분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후술되는 볼트부(20)의 회전에 의해 몸체부(10)의 일측이 타측으로 이동되면, 주름진 형태의 외접철부재(11a)를 중심으로 돌출부재(11)가 외측으로 원활하게 부풀어오를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보다 적은 힘의 회전력만으로도 돌출부재(11)를 외측으로 부풀어오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볼트부(20) 회전시 용이하게 앵커를 설치할 수 있다.
암나사(13)는 몸체부(10)에 볼트부(20)가 삽입되는 측, 즉 몸체부(10)의 일측에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져, 후술되는 볼트부(20)의 수나사(23)와 맞물림 된다.
이에, 몸체부(10)에 삽입된 볼트부(20)를 회전시키면, 암나사(13)와 수나사(23)의 맞물림에 의해 암나사(13)가 몸체부(10)의 타측으로 이동되면서, 돌출부재(11)가 외측으로 부풀어오르게 된다.
볼트부(20)는 그 일측 방향으로 몸체부(10)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지지부재(21), 회전돌기(22) 및 수나사(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부재(21)는 볼트부(20)의 타측에 형성되며, 몸체부(10)에 볼트부(20)가 삽입되면 몸체부(10)의 타측 단부와 접촉되어 몸체부(10)가 볼트부(20)의 타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볼트부(20) 회전시 몸체부(10)의 타측은 지지부재(21)에 접촉되어 지지됨으로써, 몸체부(10)의 암나사(13)가 지지부재(21) 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지지부재(21)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경은 앵커가 인입되는 방향으로 점점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앵커가 원활하게 인입되도록 할 수 있다.
회전돌기(22)는 볼트부(20)의 일측에 형성되되, 몸체부(10)에 볼트부(20)가 삽입되면, 몸체부(1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회전돌기(22)는 사용자가 볼트부(20)를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회전돌기(22)의 끝단에 십자(+) 또는 일자(-) 형태의 홈이 더 형성되거나 또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각형 등의 너트 형태로 이루어져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볼트부(20)를 회전시키고자 하는 경우, 일자(-) 또는 십자(+) 드라이버 등을 통해 볼트부(20)를 회전시키거나 또는 너트형태로 이루어진 볼트부(20)를 렌치 등과 같은 별도의 너트 회전장치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수나사(23)는 볼트부(20)의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져, 암나사(13)와 맞물림된다.
이때, 몸체부(10)에 볼트부(20)가 삽입되는 경우,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나사(13)와 수나사(23)는 맞물림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앵커 보관시 몸체부(10)와 볼트부(20)가 독립된 구조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몸체부(10) 또는 볼트부(20)가 분실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하고, 작업현장에서 보관 및 설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흙 시공용 앵커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흙 시공용 앵커는 흙 등으로 이루어진 지반에 앵커를 인입하고, 볼트부(20)의 회전돌기(22)를 회전시키면, 암나사(13)는 수나사(23)와 맞물림 상태에서 몸체부(10)의 암나사(13)가 볼트부(20)의 지지부재(21) 측으로 이동됨으로써, 돌출부재(11)가 외측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풀어 오르는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부풀어 오른 돌출부재(11)에 의해 물림효과가 극대화 됨으로써, 오랜시간이 지나도 앵커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조적으로 간단하면서 독립된 구조로 이루어져, 각 구성이 분실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제조 및 설치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 : 몸체부 11 : 돌출부재
11a : 외접철부재 12 : 절개홈
13 : 암나사 20 : 볼트부
21 : 지지부재 22 : 회전돌기
23 : 수나사

Claims (3)

  1. 돌출부재(11)가 형성된 몸체부(10);
    상기 몸체부(10)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볼트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볼트부(20)를 회전시키면, 몸체부(10)의 일측이 볼트부(20)가 삽입된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돌출부재(11)가 외측으로 부풀어 오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 시공용 앵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는 일측에 내측으로 돌출된 암나사(13)가 형성되며,
    상기 볼트부(20)는 일측에 몸체부(10)의 타측이 지지되는 지지부재(21)가 형성되고, 타측에 회전돌기(22)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21) 및 회전돌기(22) 사이에 외측으로 돌출된 수나사(23)가 형성되되,
    상기 볼트부(20)를 회전시키면, 상기 암나사(13)와 수나사(23)가 맞물림되어 암나사(13)가 지지부재(21) 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 시공용 앵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11)는 외접철부재(11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 시공용 앵커.
KR1020150029286A 2015-03-02 2015-03-02 흙 시공용 앵커 KR201601064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286A KR20160106408A (ko) 2015-03-02 2015-03-02 흙 시공용 앵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286A KR20160106408A (ko) 2015-03-02 2015-03-02 흙 시공용 앵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6408A true KR20160106408A (ko) 2016-09-12

Family

ID=56950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9286A KR20160106408A (ko) 2015-03-02 2015-03-02 흙 시공용 앵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640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82369A (zh) * 2020-11-24 2021-03-12 河海大学 一种基于仿生学的静压式后撑螺旋桩及其施工方法
CN112761145A (zh) * 2020-12-23 2021-05-07 苏交科集团股份有限公司 变形边坡的自适应锚固装置及其施工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191B1 (ko) 2013-12-05 2014-06-30 경민금속주식회사 기능이 개선된 앵커볼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191B1 (ko) 2013-12-05 2014-06-30 경민금속주식회사 기능이 개선된 앵커볼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82369A (zh) * 2020-11-24 2021-03-12 河海大学 一种基于仿生学的静压式后撑螺旋桩及其施工方法
CN112482369B (zh) * 2020-11-24 2022-01-28 河海大学 一种基于仿生学的静压式后撑螺旋桩及其施工方法
CN112761145A (zh) * 2020-12-23 2021-05-07 苏交科集团股份有限公司 变形边坡的自适应锚固装置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62223C (en) Radially expanding bolt assembly
US4287807A (en) Pull-to-set anchoring device
WO2012102401A1 (ja) 雌ねじ構造
CA2797176C (en) One-touch pipe connection device
WO2007083428A1 (ja) 鉄筋係止具
KR20160106408A (ko) 흙 시공용 앵커
WO2016206351A1 (zh) 一种可调距的连接件
JP6096420B2 (ja) ロックナット
KR20150137910A (ko) 풀림방지 볼트 및 너트
KR20080006710U (ko) 이중결합 나사유닛
KR100586078B1 (ko) 인장재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정착체
KR20100097932A (ko) 이중나사 커플링 유닛
JP4270406B1 (ja) 貫通孔形成器具、外皮材保持部材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貫通孔形成方法
JP4878889B2 (ja) 補強金物
JP2013181279A (ja) 鉄筋連結装置および鉄筋連結方法
JP2001054221A (ja) ケーブルコネクタ
KR20200032814A (ko) 철근 이음용 커플러
KR200386826Y1 (ko) 인장재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정착체
KR102560757B1 (ko) 토목용 옹벽의 그리드 연결구조
KR20110103748A (ko) 앵커 볼트 고정용 매립 너트
KR101515895B1 (ko) 스터드볼트용 체결구
KR20110022124A (ko) 암거의 연결구조 및 연결방법
KR200300975Y1 (ko) 셋트 앙카볼트
KR200227274Y1 (ko) 울타리용 기초콘크리트의 지주 고정장치
JP3122536U (ja) 六角穴付きボルト用緩み防止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