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6350A - As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보호 계전기 - Google Patents

As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보호 계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6350A
KR20160106350A KR1020150029142A KR20150029142A KR20160106350A KR 20160106350 A KR20160106350 A KR 20160106350A KR 1020150029142 A KR1020150029142 A KR 1020150029142A KR 20150029142 A KR20150029142 A KR 20150029142A KR 20160106350 A KR20160106350 A KR 20160106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connector
protection relay
uni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9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2985B1 (ko
Inventor
변영복
박재형
안창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루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루텍
Priority to KR1020150029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2985B1/ko
Publication of KR20160106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6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2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2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01H50/047Details concerning mounting a rel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01H50/047Details concerning mounting a relays
    • H01H50/048Plug-in mounting or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5/00Details of relays
    • H01H45/02Bases; Casings; Covers
    • H01H45/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01H2050/049Assembling or mounting multiple relays in one common hou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보호 계전기는, 전력 선로가 관통하는 관통형 CT; DC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 전원 공급부; 및 디지털 입력 기능 및 디지털 출력 기능을 수행하는 I/0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보호 계전기에 있어서, 상기 보호 계전기는 물리적으로 서로 착탈가능하거나 분리된 제 1 모듈(100) 및 제 2 모듈(200)을 포함한 복수의 모듈로써 구현되되, 적어도 상기 관통형 CT(121)는 상기 제 1 모듈(100)에, 적어도 상기 제어 전원 공급부 및 상기 I/0부는 상기 제 2 모듈(200)에 분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부분 AS 요인에 대응하여 보호 계전기를 AS 할 때 AS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고장 또는 손상 부분의 수리 및 교체를 위한 작업이 매우 간편해지며, 제 1 모듈(100)과 제 2 모듈(200) 사이에 전달되는 신호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AS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보호 계전기{Protective Relay Easing AS Difficulty}
본 발명은 AS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보호 계전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보호 계전기의 대부분 고장 유형에 대응하여 전력 선로를 보호 계전기의 관통구로부터 빼내지 않고도 AS가능한 보호 계전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전형적인 CT 내장형 보호 계전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력선로는 관통구(11)를 통해 관통되어 보호 대상이 되는 모터 등으로 연결된다.
그런데, 보호 계전기(10)의 관통구(11)에 전력선로가 관통하고 있으므로, 만약 보호 계전기(10)에 고장등이 발생하여 보호 계전기(10)를 교체하는 등의 AS가 필요한 경우, 전력선로의 전력 공급을 중단하고 보호 계전기(10)의 관통구(11)로부터 전력선로를 빼내고 새로운 보호 계전기(10)의 관통구(11)에 전력선로를 삽입하는 등의 작업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종래의 CT 내장형 보호 계전기에 대한 AS를 위해서는 보호대상이 되는 모터 등의 운전을 중지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전력 선로의 끝에는 압착단자가 형성되는 바, 이러한 압착단자의 외곽 사이즈는 관통구(11)보다 큰 경우가 많아서 통상 압착단자를 잘라내야만 관통구(11)를 통해 전력선로를 빼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CT 내장형 보호 계전기에 대한 AS를 위해서는 압착단자를 잘라내고 부착하는 작업 공정이 추가로 필요한 문제점이 있으며, 만약 잘라낸 압착단자의 길이만큼 전력 선로에 여유가 없는 경우에는 전력선로까지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도 있다.
한편, 외장형 CT 모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으나, 외장형 CT 모듈과 본체 사이에 케이블을 사용하여 연결하여야 하므로, 신호의 케이블 전송에 따른 계측의 신뢰성 저하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 및 과제에 대한 인식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 아니므로 이러한 인식을 기반으로 선행기술들과 대비한 본 발명의 진보성을 판단하여서는 아니됨을 밝혀둔다.
본 발명의 목적은 AS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보호 계전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계측의 신뢰성이 높으면서도 AS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보호 계전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보호 계전기는, 전력 선로가 관통하는 관통형 CT; DC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 전원 공급부; 및 디지털 입력 기능 및 디지털 출력 기능을 수행하는 I/0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보호 계전기에 있어서,
상기 보호 계전기는 물리적으로 서로 착탈가능하거나 분리된 제 1 모듈(100) 및 제 2 모듈(200)을 포함한 복수의 모듈로써 구현되되, 적어도 상기 관통형 CT(121)는 상기 제 1 모듈(100)에, 적어도 상기 제어 전원 공급부 및 상기 I/0부는 상기 제 2 모듈(200)에 분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호 계전기에 있어서, 상기 관통형 CT(121)가 구성된 상기 제 1 모듈(100)이 상기 관통형 CT(121)에 대한 캘리브레이션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호 계전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듈(100)의 일측에 제 1 커넥터(141)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모듈(200)의 일측에 제 2 커넥터(241)가 형성되며, 결합된 상기 제 1 커넥터(141) 및 상기 제 2 커넥터(241)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모듈(100) 및 상기 제 2 모듈(200) 사이에 전원 및 신호를 주고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호 계전기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 2 모듈(200)이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브라켓(3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호 계전기에 있어서, 상기 제 2 모듈(200)의 저면에는 제 2 후크 가이더(211)가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300)의 상면에는 상기 제 2 후크 가이더(211)를 가이드하여 직선상 이동만을 허용하는 제 3 후크 가이더(32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호 계전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듈(100)에 제 1 커넥터(141)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모듈(200)에 제 2 커넥터(241)가 형성되되, 상기 제 1 모듈(100)과 상기 제 2 모듈(200)이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각각 상기 제 1 커넥터(141) 및 상기 제 2 커넥터(241)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모듈(200)이 상기 브라켓(300)에 대하여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제 1 커넥터(141)와 상기 제 2 커넥터(241)가 서로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호 계전기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300)과 체결가능한 것으로서, 상기 제 2 모듈(200)이 상기 제 1 모듈(100)과 마주하는 측면과는 반대의 타측면에서 상기 제 2 모듈(200)을 지지하는 체결 스토퍼(4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호 계전기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입력 기능을 이용하여 차단기 상태 신호 및 외부 운전 명령 신호를 입력하며, 상기 디지털 출력 기능을 이용하여 과전류 알람 신호 및 마그네틱 컨텍터(MC)에 대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호 계전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듈(100)은, 상기 CT에 의해 획득된 전류신호를 적어도 이용하여 상기 전력 선로에 대한 계측을 수행하고, 보호 계전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연산 제어부; 계측의 결과와 보호 계전을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호 계전기에 있어서, 상기 제 2 모듈(200)의 I/O부는, 상기 연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디지털 출력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연산 제어부로 디지털 입력 신호를 제공하는 I/O 회로; 상기 I/O 회로와 연결되는 I/O용 커넥터(2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호 계전기에 있어서, 상기 제 2 모듈(200)은, 상기 제어 전원 공급부와 상기 I/O회로가 형성되는 제 2 PCB 모듈(240); 상기 I/O회로가 형성되는 제 3 PCB 모듈(2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대부분 AS 요인에 대응하여 보호 계전기를 AS 할 때 AS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고장 또는 손상 부분의 수리 및 교체를 위한 작업이 매우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으며, 제 1 모듈(100)과 제 2 모듈(200) 사이에 전달되는 신호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제 2 모듈(200)이 교체되는 경우에도 장착된 CT에 대응하는 캘리브레이션 데이터는 바뀌지 않게 되므로 교체로 인해서 다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전형적인 보호 계전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계전기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계전기를 구성하는 제 1 모듈, 제 2 모듈, 브라켓 및 체결 스토퍼 등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모듈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모듈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명칭 및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계전기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계전기를 구성하는 제 1 모듈, 제 2 모듈, 브라켓 및 체결 스토퍼 등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계전기는 제 1 모듈(100), 제 2 모듈(200) 및 브라켓(3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브라켓(300)을 패널(2)에 장착할 수 있는 방법은 크게 2가지가 가능한 바, 먼저 브라켓(300)의 좌우 측면 또는/및 상하 측면에 형성된 마운팅윙 장착구(310)에 마운팅윙(510)을 삽입 고정한 후 스크류 볼트(520)을 이용하여 브라켓(300)을 패널(2)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서, 패널(2)에 표준 규격의 레일(1)을 장착한 후, 브라켓(300)의 저면에 형성된 레일 장착부(미도시)를 이용하여 레일(1)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브라켓(300)에는 제 1 모듈(100) 및 제 2 모듈(200)이 탈착가능하게 고정된다.
제 1 모듈(100)의 저면에는 제 1 후크 가이더(113)가 형성되고 제 2 모듈(200)의 저면에는 제 2 후크 가이더(211)가 형성되며, 브라켓(300)의 상면에는 제 1 후크 가이더(113) 및 제 2 후크 가이더(211)를 가이드하여 직선상 이동만을 허용하는 제 3 후크 가이더(322)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모듈(100)의 제 1 리브(112)는 브라켓(300)의 제 2 리브(323)와 정합하여 가이드되며, 제 1 모듈(100)을 브라켓(300)에 탑재하여 좌측으로 밀면 제 1 모듈(100)에서 제 1 리브(112)의 좌측 끝이 브라켓(300)의 리브 스토퍼(321)에 의해 막히면서 제 1 모듈(100)이 브라켓(300)의 좌측에 정렬하여 자리를 잡을 수 있게 된다.
제 1 모듈(100)이 브라켓(300)에 장착된 다음, 제 2 모듈(200)을 브라켓(300)에 탑재한 후 역시 좌측으로 밀면 제 2 모듈(200)은 제 1 모듈(100)에 의해서 막히면서 정위치로 자리잡게 되며, 그 후 체결 스토퍼(410)를 브라켓(300)에 탑재하고 볼트(420)로써 고정함으로써, 체결 스토퍼(410)는 제 2 모듈(200), 나아가 제 1 모듈(100)이 우측으로 슬라이딩하여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체결 스토퍼(410)는 브라켓(300)과 체결가능한 것으로서, 2 모듈(200)이 제 1 모듈(100)과 마주하는 측면과는 반대의 타측면에서 제 2 모듈(200)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제 1 모듈(100)에는 제 1 커넥터(141)가 형성되고 제 2 모듈(200)에는 제 2 커넥터(241)(도 5 참조)가 형성되되, 제 1 모듈(100)과 제 2 모듈(200)이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각각 제 1 커넥터(141) 및 제 2 커넥터(241)가 형성된다.
제 1 모듈(100)이 장착된 상태에서 제 2 모듈(200)을 좌측으로 밀면 제 1 모듈(100)의 제 1 커넥터(141)와 제 2 모듈(200)의 제 2 커넥터(241)는 서로 결합한다. 제 1 모듈(100)이 장착된 상태에서 제 2 모듈(200)이 브라켓(300)에 대하여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제 1 커넥터(141)와 제 2 커넥터(241)가 서로 결합되거나 분리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모듈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모듈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 1 모듈(100)은 제 1 프론트 케이스(131), 제 1 리어 케이스(132), 탑 케이스(133), 3개의 관통형 CT(121), ZCT(122) 및 제 1 PCB 모듈(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프론트케이스(131)와 제 2 프론트 케이스(132)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에 관통형 CT(121) 및 ZCT(122)가 재치 고정되며, 제 1 프론트 케이스(131) 및 제 2 리어 케이스(132)의 상면과 탑 케이스(133)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에 제 1 PCB 모듈(140)이 재치 고정된다.
제 1 모듈(100)에는 전력선로가 관통하는 관통형 CT(121)가 형성되며, 특징적으로 관통형 CT(121)가 구성된 제 1 모듈(100)은 관통형 CT(121)에 대한 캘리브레이션 데이터를 저장하며, 이러한 캘리브레이션 데이터는 제 1 PCB 모듈(140)에 구성되는 메모리 소자 또는 MCU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생산된 CT(121)는 제조상의 미세한 공차로 인해서, 그 특성값에 있어서 변동폭이 있으며, 정밀한 계측을 위해서는 보정을 위한 캘리브레이션 데이터를 이용하게 되는 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캘리브레이션 데이터를 제 1 모듈(100)에 저장하며, 만약 제 2 모듈(200)이 교체되는 경우에도 장착된 CT(121)에 대응하는 캘리브레이션 데이터는 바뀌지 않게 되며, 교체로 인해서 다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반면 종래 외장형 CT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고장난 본체의 교체후 다시 캘리브레이션을 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제 1 모듈(100)의 제 1 PCB 모듈(140)은, PCB 기판(144)에 형성된 제 1 커넥터(141), ADC, 연산 제어부, 조작부 및 표시부(1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DC는 CT(121)에 의해 획득된 전류 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여 연산 제어부로 전류 데이터를 제공하며, 연산 제어부는 CT(121)에 의해 획득된 전류신호를 이용하여, 더 구체적으로는 ADC에 의해 제공되는 전류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력 선로에 대한 계측을 수행하고, 보호 계전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며, 보호 계전기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표시부(142)는 계측의 결과와 보호 계전을 위한 정보를 표시하며, 예를 들면 LED 모듈이나 LCD 모듈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조작부는 사용자로부터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스위치(143)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커넥터(141)는 제 2 모듈(200)의 제 2 커넥터(241)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제 1 모듈(100)과 제 2 모듈(200) 사이에 전원 및 신호를 주고받기 위한 것이다.
제 2 모듈(200)은 제 2 프론트 케이스(231), 제 2 리어 케이스(232), 제 2 PCB 모듈(240), 제 3 PCB 모듈(250) 및 I/O용 커넥터(2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2 프론트 케이스(231) 및 제 2 리어 케이스(232) 사이의 공간에는 제 2 PCB 모듈(240), 제 3 PCB 모듈(250) 및 I/O용 커넥터(260)가 재치되어 고정된다.
제어 전원 공급부는 제 1 모듈(100) 및 제 2 모듈(200)의 각 부분에 DC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 2 PCB 모듈(240) 상에 구성될 수 있다. 제 2 모듈(200)의 제어 전원 공급부에 의해 생성된 DC 전원은 제 2 커넥터(241) 및 제 1 커넥터(141)을 개재하여 제 1 모듈(100)로 공급될 수 있다.
I/O부는 디지털 입력(DI) 기능 및 디지털 출력(DO)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디지털 입력(DI) 기능을 이용하여 차단기 상태 신호 및 외부 운전 명령 신호 등을 보호 계전기로 입력하며, 디지털 출력(DO) 기능을 이용하여 과전류 알람 신호 및 마그네틱 컨텍터(MC)에 대한 제어 신호 등을 출력한다.
제 2 모듈(200)의 I/O부는, 연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디지털 출력 신호를 생성하고 연산 제어부로 디지털 입력 신호를 제공하는 I/O 회로와, I/O 회로와 연결되는 I/O용 커넥터(2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O회로는 제 2 PCB 모듈(240) 및 제 3 PCB 모듈(250)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I/O용 커넥터(260)는 제 2 프론트 케이스(231) 및 제 2 리어 케이스(232)의 외부로 각각 부분 노출될 수 있다.
I/O 회로는 제 2 커넥터(241) 및 제 1 커넥터(141)을 개재하여 제 1 모듈(100)의 연산 제어부와 연결되며, 디지털 입력(DI)을 받아들여 연산 제어부로 제공하거나 연산 제어부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디지털 출력(DO)을 생성할 수 있다.
보호 계전기는 전력 선로가 관통하는 관통형 CT(121)와, DC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 전원 공급부; 디지털 입력 기능 및 디지털 출력 기능을 수행하는 I/0부와, CT(121)에 의해 획득된 전류신호를 이용하여 전력 선로에 대한 계측을 수행하고 보호 계전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연산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보호 계전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물리적으로 서로 착탈가능하거나 분리된 제 1 모듈(100) 및 제 2 모듈(200)을 포함한 복수의 모듈로써 구현하되, 적어도 관통형 CT(121)는 제 1 모듈(100)에, 적어도 제어 전원 공급부 및 I/0부는 제 2 모듈(200)에 분리 구성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보호 계전기에 있어서의 AS 요인을 분석하면, DC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 전원 공급부 또는 디지털 입력 기능 및 디지털 출력 기능을 수행하는 I/O부가 고장나거나 외부 요인에 의해서 손상받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CT 및 연산 제어부 등은 고장 또는 손상의 빈도가 적은 편임을 발견한다.
따라서, 보호 계전기에서 AS가 발생할 때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제 2 모듈(200)만을 교체하거나 수리하면 되며, 이때 전력선로가 관통하고 있는 제 1 모듈(100)을 탈거하거나 제 1 모듈(100)로부터 전력선로를 빼내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대부분 고장유형에서 보호 계전기를 AS할때 AS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보호 대상이 되는 모터 등으로 전력 공급하는 경로에 있는 마그네틱 컨텍터(MC)의 동작 방식 등에 따라서는 제 2 모듈(200)을 탈거하더라도 마그네틱 컨텍터의 접점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대부분의 AS 요인에 대응하여 보호 계전기를 AS 할 때에 모터의 운전 상태를 유지하면서, 또는 무정전 상태에서 AS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 1 모듈(100)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 1 커넥터(141)와 제 2 모듈(200)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 2 커넥터(241)가 결합하여, 제 1 커넥터(141) 및 제 2 커넥터(241)를 이용하여 제 1 모듈(100) 및 제 2 모듈(200) 사이에 전원 및 신호를 주고받으며, 특히, 제 1 모듈(100)과 제 2 모듈(200)이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각각 제 1 커넥터(141) 및 제 2 커넥터(241)가 형성되며, 제 2 모듈(200)이 브라켓(300)에 대하여 슬라이딩함으로써, 제 1 커넥터(141)와 제 2 커넥터(241)가 서로 결합되거나 분리된다.
제 2 모듈(200)의 교체 또는 수리를 위해서 체결 스토퍼(410)를 해제하고 제 2 모듈(200)을 탈거할 때 제 2 모듈(200)을 우측으로 밀어서 슬라이딩시키면 제 1 커넥터(141) 및 제 2 커넥터(241)가 동시에 분리되며, 새로운 제 2 모듈(200)을 장착하기 위하여 제 2 모듈(200)을 좌측으로 밀면 이와 함께 제 1 커넥터(141) 및 제 2 커넥터(241)가 결합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고장 또는 손상 부분의 수리 및 교체를 위한 작업이 매우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제 1 모듈(100)과 제 2 모듈(200) 사이에 별도의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고 신호 경로의 길이가 매우 짧게 되므로, 전달되는 신호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 제 1 모듈 111 : 관통구
112 : 제 1 리브 113 : 제 1 후크 가이더
141 : 제 1 커넥터 200 : 제 2 모듈
211 : 제 2 후크 가이더 241 : 제 2 커넥터
300 : 브라켓 310 : 마운팅윙 장착구
321 : 리브 스토퍼 322 : 제 3 후크 가이더
323 : 제 2 리브 410 : 체결 스토퍼
510 : 마운팅윙

Claims (11)

  1. 전력 선로가 관통하는 관통형 CT; DC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 전원 공급부; 및 디지털 입력 기능 및 디지털 출력 기능을 수행하는 I/0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보호 계전기에 있어서,
    상기 보호 계전기는 물리적으로 서로 착탈가능하거나 분리된 제 1 모듈(100) 및 제 2 모듈(200)을 포함한 복수의 모듈로써 구현되되, 적어도 상기 관통형 CT(121)는 상기 제 1 모듈(100)에, 적어도 상기 제어 전원 공급부 및 상기 I/0부는 상기 제 2 모듈(200)에 분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계전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통형 CT(121)가 구성된 상기 제 1 모듈(100)이 상기 관통형 CT(121)에 대한 캘리브레이션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계전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듈(100)의 일측에 제 1 커넥터(141)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모듈(200)의 일측에 제 2 커넥터(241)가 형성되며,
    결합된 상기 제 1 커넥터(141) 및 상기 제 2 커넥터(241)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모듈(100) 및 상기 제 2 모듈(200) 사이에 전원 및 신호를 주고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계전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 2 모듈(200)이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브라켓(3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계전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2 모듈(200)의 저면에는 제 2 후크 가이더(211)가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300)의 상면에는 상기 제 2 후크 가이더(211)를 가이드하여 직선상 이동만을 허용하는 제 3 후크 가이더(32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계전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듈(100)에 제 1 커넥터(141)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모듈(200)에 제 2 커넥터(241)가 형성되되, 상기 제 1 모듈(100)과 상기 제 2 모듈(200)이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각각 상기 제 1 커넥터(141) 및 상기 제 2 커넥터(241)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모듈(200)이 상기 브라켓(300)에 대하여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제 1 커넥터(141)와 상기 제 2 커넥터(241)가 서로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계전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300)과 체결가능한 것으로서, 상기 제 2 모듈(200)이 상기 제 1 모듈(100)과 마주하는 측면과는 반대의 타측면에서 상기 제 2 모듈(200)을 지지하는 체결 스토퍼(4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계전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입력 기능을 이용하여 차단기 상태 신호 및 외부 운전 명령 신호를 입력하며,
    상기 디지털 출력 기능을 이용하여 과전류 알람 신호 및 마그네틱 컨텍터(MC)에 대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계전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듈(100)은,
    상기 CT에 의해 획득된 전류신호를 적어도 이용하여 상기 전력 선로에 대한 계측을 수행하고, 보호 계전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연산 제어부;
    계측의 결과와 보호 계전을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계전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 2 모듈(200)의 I/O부는,
    상기 연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디지털 출력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연산 제어부로 디지털 입력 신호를 제공하는 I/O 회로;
    상기 I/O 회로와 연결되는 I/O용 커넥터(2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계전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 2 모듈(200)은,
    상기 제어 전원 공급부와 상기 I/O회로가 형성되는 제 2 PCB 모듈(240);
    상기 I/O회로가 형성되는 제 3 PCB 모듈(2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계전기
KR1020150029142A 2015-03-02 2015-03-02 As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보호 계전기 KR101712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142A KR101712985B1 (ko) 2015-03-02 2015-03-02 As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보호 계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142A KR101712985B1 (ko) 2015-03-02 2015-03-02 As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보호 계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6350A true KR20160106350A (ko) 2016-09-12
KR101712985B1 KR101712985B1 (ko) 2017-03-07

Family

ID=56950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9142A KR101712985B1 (ko) 2015-03-02 2015-03-02 As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보호 계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29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60808A (zh) * 2021-06-08 2022-12-09 上海电器股份有限公司人民电器厂 一种具有快拆式电力载波模块的智能控制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6313B1 (ko) 2021-03-05 2021-06-18 주식회사 월드인텍 분기회로 보호용 온도 과부하 및 과전압 감시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16538B2 (en) * 2003-02-18 2006-10-03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Modular overload relay system
KR20100117893A (ko) * 2009-04-27 2010-11-04 주식회사 신양산전 배전반 전류 감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16538B2 (en) * 2003-02-18 2006-10-03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Modular overload relay system
KR20100117893A (ko) * 2009-04-27 2010-11-04 주식회사 신양산전 배전반 전류 감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60808A (zh) * 2021-06-08 2022-12-09 上海电器股份有限公司人民电器厂 一种具有快拆式电力载波模块的智能控制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2985B1 (ko) 2017-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76407B2 (ja) 保守バイパス装置
US10175718B2 (en) User interface for power quality monitoring and measuring devices
JP4922959B2 (ja) 転流式直流遮断器を有する直流回路用配電盤
KR101712985B1 (ko) As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보호 계전기
CN108281901B (zh) 一种多功能电气控制柜
KR101561620B1 (ko) 전동기 제어반
JP6597394B2 (ja) アーク発生位置検出装置およびアーク発生位置検出方法
KR101640748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전력 모니터링 분·배전반
JP2016163363A (ja) 分電盤
JP2015164168A (ja) 電子機器
JP6035530B2 (ja) 電源供給制御システム
JP4984577B2 (ja) 検電装置を備えた開閉器
CN202799494U (zh) 一种紧凑型抽屉式电器柜
CN102693881B (zh) 一种断路器
CN104319194A (zh) 一种电表漏电保护器
KR200366551Y1 (ko) 저압 단자대가 부착된 계량기함 케이스
JP6350825B2 (ja) 計測ユニットおよび分電盤
CN212182801U (zh) 一种控制柜的防雷保护装置
JP7045258B2 (ja) キュービクルのモニタ装置
CN220019828U (zh) 一种ups电源电流异常检测报警系统
CN203167447U (zh) 一种电器控制台
CN211342276U (zh) 一种用于行车电控柜的铰链
JP2017173203A (ja) テストプラグ
JP4626311B2 (ja) 分電盤用機器
KR101698196B1 (ko) 회로카드 시험기기 및 이를 이용한 회로카드 시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