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5765A - 스마트 윈도우를 이용한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 윈도우를 이용한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5765A
KR20160105765A KR1020167007332A KR20167007332A KR20160105765A KR 20160105765 A KR20160105765 A KR 20160105765A KR 1020167007332 A KR1020167007332 A KR 1020167007332A KR 20167007332 A KR20167007332 A KR 20167007332A KR 20160105765 A KR20160105765 A KR 20160105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media
media information
digital
smart window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7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1001B1 (ko
Inventor
정용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프엠케이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프엠케이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프엠케이솔루션
Publication of KR20160105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5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1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1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09F19/18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involving the use of optical projection means, e.g. projection of images on clou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G06K2009/00322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027/001Comprising a presence or proximity detector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 윈도우(smart window)를 이용하여 정보, 엔터테인먼트, 프로모션, 광고 등과 같은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는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제공하는 디지털 미디어 정보 제공 장치와, 전시 공간에 설치되며, 디지털 미디어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수신하여 스마트 윈도우에 표시하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Digital Information Display: DID)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윈도우를 이용한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Digital signage apparatus using smart window}
본 발명은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 윈도우(smart window)를 이용하여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제공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고는 잠재적인 소비자에게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정보와 구입 방법을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활동을 의미한다. 광고 매체로는 광고지, 광고판, 신문, 라디오, 텔레비전 등이 주로 이용되었으나, 최근에는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와 같은 새로운 매체들이 등장하고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컨텐츠, 네트워크 등 다양한 IT 기술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정지영상, 동영상 등 다양한 형태의 정보와 광고 데이터(이하 '디지털 미디어 정보'라 함)를 출력할 수 있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Digital Information Display: DID)를 의미한다.
이러한 디지털 사이니지는 현재 터미널, 관공서, 버스 정류장, 백화점, 지하철, 공항, 호텔, 병원 등 유동 인구가 많은 대형 건물 및 업소, 엘리베이터, 영화관, 식당, 쇼핑몰, 상점 등 사람들이 일정 시간 머무르는 장소에 설치 운영되고 있으며, 디지털 사이니지에 대한 수요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의 초기 형태는 간판이나 빌보드를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의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로 구성하고, 미리 제작된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저장하여 재생하는 방식이었다. 최근에는 통신망을 통해 광고 제공 장치가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디지털 사이니지가 수신된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출력하는 네트워크형 디지털 사이니지가 주목 받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사이니지는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의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를 설치할 수 있는 별도의 전시 공간이 필요하다.
또한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로 출력되는 디지털 미디어 정보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의 화면의 크기로 제한되기 때문에,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는 디지털 미디어 정보의 크기에 제한이 따른다. 물론 화면 크기가 큰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면 되겠지만,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는 화면 크기가 증가할수록 디지털 사이니지의 설치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는 스탠드 형태나 벽걸이 형태로 전시 공간에 설치되고, 전시 공간과의 조화보다는 정보 및 광고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 주안점을 두기 때문에, 전시 공간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4-0025091호(2014.03.04.)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가 차지하는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스마트 윈도우를 이용한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의 화면 크기 제한으로 인한 디지털 미디어 정보의 크기 제한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스마트 윈도우를 이용한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시 공간과 조화되면서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윈도우를 이용한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물 인식을 통하여 사용자에 적합한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윈도우를 이용한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윈도우 안의 전시물을 전시하면서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출력하는 스크린으로 사용하는 스마트 윈도우를 이용한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제공하는 디지털 미디어 정보 제공 장치와, 전시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디지털 미디어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스마트 윈도우를 구비하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는 통신부, 영상 투사부, 상기 스마트 윈도우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디지털 미디어 정보 제공 장치와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영상 투사부는 전시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디지털 미디어 정보 제공 장치가 제공하는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스마트 윈도우에 투사한다. 상기 스마트 윈도우는 상기 영상 투사부가 설치된 상기 전시 공간에 설치되며, 인가 전압에 따라 광투과율 및 반사율을 조절하여 상기 영상 투사부로부터 입사되는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표시하거나 안쪽의 전시물을 보여준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디지털 미디어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영상 투사부 및 상기 스마트 윈도우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스마트 윈도우에 수신한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는 상기 디지털 미디어 정보 제공 장치 또는 상기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와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스마트 윈도우의 온/오프, 광투과율 또는 반사율을 조정하는 통신 단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디지털 미디어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상기 영상 투사부로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투사부는 전달받은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상기 스마트 윈도우에 투사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윈도우로 인가되는 전압의 제어를 통해서 상기 스마트 윈도우의 광투과율 및 반사율을 조절하여 상기 영상 투사부로부터 입사되는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는 상기 전시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스마트 윈도우의 주변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한 주변 정보에 따른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상기 디지털 미디어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스마트 윈도우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는 상기 전시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스마트 윈도우에 근접한 고객을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로 촬영한 고객의 영상으로부터 고객의 안면을 인식하고, 인식한 안면 분석을 통해서 고객의 성별 및 연령대를 추정한다. 상기 제어부는 추정한 고객의 성별 및 연령대에 맞는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상기 디지털 미디어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스마트 윈도우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로 촬영한 고객의 영상으로부터 눈 또는 머리의 위치를 확인하여 고객의 눈높이를 확인한다. 상기 제어부는 확인한 고객의 눈높이에 맞게 디지털 미디어 정보가 투사될 수 있도록 상기 영상 투사부의 투사각을 조절한다. 상기 제어부는 투사각이 조절된 상기 영상 투사부를 통하여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상기 스마트 윈도우에 투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윈도우는 PDLC(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또는 SPD(suspended particle devices)의 디스플레이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 윈도우는 상기 디스플레이 플레이트의 일면 또는 양면에 부착되는 광투과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윈도우는 상기 광투과 플레이트에 복수의 디스플레이 플레이트가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는 배열된 복수의 스마트 윈도우와, 상기 복수의 스마트 윈도우로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투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 투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스마트 윈도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 투사부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스마트 윈도우에 수신한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는 상기 스마트 윈도우에 설치되는 터치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부를 통한 터치 신호에 따라서 상기 스마트 윈도우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상기 스마트 윈도우의 광투과율 및 반사율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또한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제공하는 디지털 미디어 정보 제공 장치와, 전시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디지털 미디어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는 영상 투사부, 스마트 윈도우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 투사부는 전시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디지털 미디어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수신하여 디지털 미디어 영상을 투사한다. 상기 스마트 윈도우는 상기 영상 투사부가 설치된 상기 전시 공간에 설치되며, 인가 전압에 따라 광투과율 및 반사율을 조절하여 상기 영상 투사부로부터 입사되는 디지털 미디어 영상을 표시하거나 안쪽의 전시물을 보여준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투사부 및 스마트 윈도우의 구동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는 전시 공간에 설치되는 윈도우에 스마트 윈도우를 설치함으로써, 스마트 윈도우 안의 전시물을 전시하면서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출력하는 스크린으로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는 스마트 윈도우를 통하여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이가 차지하는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는 스마트 윈도우 전체를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의 화면 크기 제한으로 인한 디지털 미디어 정보의 크기 제한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는 기존의 윈도우의 위치에 스마트 윈도우가 대체하여 설치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전시 공간과 조화되면서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는 사물 인식을 통하여 사용자에 적합한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스마트 윈도우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사물은 스마트 윈도우에 근접하는 사람, 조도, 시간, 날씨 등이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윈도우를 이용한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 윈도우를 구비하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스마트 윈도우를 구비하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의 제1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스마트 윈도우를 구비하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의 제2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스마트 윈도우의 제1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스마트 윈도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스마트 윈도우의 제2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스마트 윈도우의 제3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스마트 윈도우의 제4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윈도우를 이용한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의 사용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는 범위에서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윈도우를 이용한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100)는 공공장소나 상업공간과 같은 전시 공간에 전시물을 전시하기 위해서 설치되는 쇼 윈도우를 스마트 윈도우(37)(smart window)로 대체하고, 스마트 윈도우(37)를 이용하여 전시 공간을 방문한 고객에게 정보, 엔터테인먼트, 프로모션, 광고 등과 같은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디지털 미디어 정보는 텍스트를 포함하여, 동영상 또는 애니메이션 형태의 영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미디어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는 고객에게 유익함을 알려주는 컨텐츠로서, 예컨대 날씨, 뉴스, 교통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엔터테인먼트는 사람들을 즐겁고 흥미롭게 하는 컨텐츠로서, 예컨대 잠재 고객들에게 관심을 유발할 수 있는 컨텐츠나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엔터테인먼트는 매장 내 진입 고객들에 대해 매장과 브랜드에 대한 충성심을 가질 수 있는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모션은 고객들에게 구매를 어필하는 컨텐츠로서, 광고와 달리 매장별로 발생 또는 변화하는 프로모션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모션은 템플릿 형태의 정적 프로모션과, 동영상, 애니메이션 또는 이벤트의 상호 작용하는 동적 프로모션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광고는 전시물에 대한 정보, 브랜드 또는 매장의 신뢰 및 이미지를 확대하는 컨텐츠로서, 예컨대 전시물에 대한 TV, 웹(web) 또는 왑(wap)의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광고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광고는 기존 광고에 동영상 레이어(layer) 처리를 통한 추가 메시지를 노출하는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100)는 통신망(20)을 매개로 연결된 디지털 미디어 정보 제공 장치(10)와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30)를 포함하며, 통신 단말(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미디어 정보 제공 장치(10)는 통신망(20)을 통하여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30)에 제공한다. 디지털 미디어 정보 제공 장치(10)는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30)에 제공할 수 있다.
통신망(20)은 디지털 미디어 정보 제공 장치(10)와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30) 간의 정보의 송수신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통신망(20)으로는 다양한 형태의 통신망이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망(20)은 이동통신망,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고속하향패킷접속(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방식이나, 무선랜(WLAN, 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등의 근거리 통신방식이나, RFID,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근접 또는 근방 통신방식이나,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통신망(20)은 상술한 통신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통신방식 이외에도 기타 널리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형태의 통신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30)는 전시 공간에 설치되며, 디지털 미디어 정보 제공 장치(10)로부터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수신하여 스마트 윈도우(37)에 표시한다. 스마트 윈도우(37)는 윈도우 안쪽의 전시물을 전시하는 쇼 윈도우로서의 기능과,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한다. 스마트 윈도우(37)는 인가 전압에 따라 광투과율과 반사율을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쇼 윈도우로서 기능할 때는 투명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할 때는 반투명하거나 불투명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30)는 스마트 윈도우(37)를 통하여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다음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30)는 전시 중인 전시물 또는 전시물의 브랜드에 대한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되는 디지털 미디어 정보는 시간대별 또는 계절별로 다른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지털 미디어 정보로 자사 광고가 아닌 협력 업체의 광고 노출을 통한 IR(Investor Relations)을 강화할 수 있다. 유휴 시간을 활용한 광고 노출을 통하여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30)의 운영자는 추가 수익을 확보할 수 있다.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30)는 쇼 윈도우를 대체하는 스마트 윈도우(37)가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영역을 확대할 수 있다.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별도의 PDP, LCD, LED 디스플레이와 같은 표시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30)가 차지하는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단말(60)은 통신망(20)을 통하여 디지털 미디어 정보 제공 장치 또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30)와 통신을 수행한다. 관리자는 통신 단말(60)을 통하여 디지털 미디어 정보 제공 장치(10) 또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30)에 접속하여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30)로 수신할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선택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단말(60)은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3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 단말(60)은 스마트 윈도우(37)의 온/오프, 광투과율 및 반사율을 조정할 수 있다. 통신 단말(60)은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60)의 영상 투사부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단말(60)은 관리자가 소유하거나 관리하는 이동통신단말, 스마트폰, 태블릿, 웨어러블 단말, PC 또는 리모콘과 같은 전용 단말 등이 될 수 있으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30)에 대해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2는 도 1의 스마트 윈도우(37)를 구비하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30)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30)는 영상 투사부(36), 스마트 윈도우(37) 및 제어부(39)를 포함하고, 그 외 통신부(31), 터치 입력부(32), 저장부(33), 센서부(34) 및 카메라부(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1)는 통신망(20)을 통해서 디지털 미디어 정보 제공 장치(10)와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부(31)는 디지털 미디어 정보 제공 장치(10)로부터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수신한다. 통신부(31)는 제어부(39)의 제어에 따라 디지털 미디어 정보 제공 장치(10)로 디지털 미디어 정보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터치 입력부(32)는 스마트 윈도우(37)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터치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39)로 전달한다. 사용자(또는 고객)는 터치 입력부(32)를 통해서 스마트 윈도우(37)의 온/오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 입력부(32)를 통해서 스마트 윈도우(37)에 표시된 디지털 미디어 정보에 연결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부재로 터치 입력부(32)를 예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는 버튼, 키패드와 같은 입력 부재를 더 포함하거나, 이러한 입력 부재가 터치 입력부(32)를 대신할 수 있다.
저장부(33)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30)의 동작 제어시 필요한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부(33)는 디지털 미디어 정보의 표시에 필요한 실행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저장부(33)는 디지털 미디어 정보 제공 장치(10)로부터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39)의 제어에 따라 저장부(33)에 저장된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영상 투사부(36)로 전달할 수 있다.
센서부(34)는 전시 공간에 설치되며, 스마트 윈도우(37)의 주변 정보를 감지하여 제어부(39)에 전달한다. 센서부(34)는 스마트 윈도우(37)에 고객이 근접하는 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와, 전시 공간 또는 외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센서는 시간 및 날씨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9)는 센서부(34)에서 감지한 주변 정보에 따른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상기 디지털 미디어 정보 제공 장치(10)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하는
카메라부(35)는 피사체의 촬영 기능을 수행하며, 제어부(39)의 제어에 따라 스마트 윈도우(37)에 근접한 고객의 안면을 포함한 영상을 촬영하여 획득한다. 카메라부(35)는 이미지 센서, 신호처리부 및 영상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촬영한 영상의 광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신호처리부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영상처리부는 신호처리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영상정보를 획득하며, 획득한 영상정보를 제어부(39)로 전달한다.
영상 투사부(36)는 전시 공간에 설치되며, 디지털 미디어 정보 제공 장치(10)가 제공하는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전달받아 스마트 윈도우(37)에 투사한다. 이러한 영상 투사부(36)는 프로젝터 일 수 있다.
스마트 윈도우(37)는 쇼 윈도우가 설치되는 곳에 쇼 윈도우를 대체하여 설치된다. 이러한 스마트 윈도우(37)는 영상 투사부(36)가 설치된 전시 공간에 설치되며, 인가 전압에 따라 광투과율 및 반사율을 조절하여 영상 투사부(36)로부터 입사되는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표시하거나 안쪽의 전시물을 보여준다. 이러한 스마트 윈도우(37)로는 PDLC(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또는 SPD(suspended particle devices)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 윈도우(37)는 영상 투사부(36)로부터 입사되는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서, 디지털 미디어 정보가 투사되는 경우 제어부(39)의 제어에 따라 반투명 또는 불투명 상태로 변경된다. 스마트 윈도우(37) 안의 전시물을 보여줄 경우, 스마트 윈도우(37)는 제어부(39)의 제어에 따라 투명 상태로 변경된다.
스마트 윈도우(37)는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 불투명 상태를 유지하고,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에 투명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또는 반대로 스마트 윈도우(37)는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 투명 상태를 유지하고,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에 불투명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9)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3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이다. 제어부(39)는 스마트 윈도우(37)를 통한 디지털 미디어 정보의 표시를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39)는 통신부(31)를 통하여 디지털 미디어 정보 제공 장치(10)로부터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수신하면, 영상 투사부(36) 및 스마트 윈도우(37)의 구동을 제어하여 스마트 윈도우(37)에 수신한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표시한다. 즉 제어부(39)는 통신부(31)를 통하여 디지털 미디어 정보 제공 장치(10)로부터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영상 투사부(36)로 전달한다. 영상 투사부(36)는 제어부(39)의 제어에 따라 전달받은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스마트 윈도우(37)에 투사한다. 이때 제어부(39)는 스마트 윈도우(37)로 인가되는 전압의 제어를 통해서 스마트 윈도우(37)의 광투과율 및 반사율을 조절하여 영상 투사부(36)로부터 입사되는 디지털 미디어 영상을 표시한다.
제어부(39)는 센서부(34)를 통하여 획득한 스마트 윈도우(37)의 주변 정보에 따라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제어부(39)가 센서부(34)를 통하여 스마트 윈도우(37)의 주변 정보를 수신하면, 디지털 미디어 정보 제공 장치(10)로 수신한 주변 정보에 따른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요청한다. 제어부(39)는 디지털 미디어 정보 제공 장치(10)로부터 주변 정보에 따른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수신하여 스마트 윈도우(37)를 통하여 표시한다. 예컨대 센서부(34)가 근접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근접 센서가 스마트 윈도우(37)에 고객이 근접한 것을 감지하여 제어부(39)로 전달하면, 제어부(39)는 스마트 윈도우(37)를 통하여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9)는 스마트 윈도우(37)를 반투명 또는 불투명 상태로 변경하여 디지털 미디어 정보가 스마트 윈도우(37)를 통하여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39)는 근접 센서로부터 스마트 윈도우(37)에 근접한 고객이 없다는 감지 신호를 수신한 경우, 스마트 윈도우(37)를 투명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제어부(39)는 센서부(34)를 통하여 획득한 시간 정보에 따라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제어부(39)는 영업 시간과 비영업 시간을 구분하여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현재 시간이 영업 시간에 포함되는 경우, 제어부(39)는 전시 중인 전시물과 관련하여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제공한다. 현재 시간이 비영업 시간에 포함되는 경우, 제어부(39)는 전시 중인 전시물과 무관한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제공한다.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100)를 운용하는 사업자는 비영업 시간에 다른 업체의 광고가 포함된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표시해 주는 대가로 광고비 수익을 얻을 수 있다.
제어부(39)는 센서부(34)를 통하여 획득한 시간 정보에 따라 스캐줄된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제어부(39)는 현재 시간에 따라 스캐줄된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순차적으로 스마트 윈도우(37)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39)는 카메라부(35)를 통하여 획득한 고객의 영상 정보에 따라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제어부(39)는 카메라부(35)로 촬영한 고객의 영상으로부터 고객의 안면을 인식하다. 제어부(39)는 인식한 안면 분석을 통해서 고객의 성별 및 연령대를 추정한다. 그리고 제어부(39)는 추정한 고객의 성별 및 연령대에 맞는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디지털 미디어 정보 제공 장치(10)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39)는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표시할 때, 추정한 고객의 성별 및 연령대에 따라 디지털 미디어 정보에 포함된 객체의 크기를 달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연령대가 장년인 경우, 제어부(39)는 객체의 크기를 확대한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표시하거나, 디지털 미디어 정보의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단순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연령대가 중년인 경우, 제어부(39)는 전시물과 같은 객체에 대한 상세한 정보가 포함되게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연령대가 어린이인 경우, 제어부(39)는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도록 애니메이션이 가미되며 단순화된 형태의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39)는 고객의 눈높이에 맞게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제어부(39)는 카메라부(35)로 촬영한 고객의 영상으로부터 눈 또는 머리의 위치를 확인하여 고객의 눈높이를 확인한다. 제어부(39)는 고객의 눈높이에 맞게 디지털 미디어 정보가 투사될 수 있도록 영상 투사부(36)의 투사각을 조절한다. 그리고 제어부(39)는 영상 투사부(36)를 통하여 고객의 눈높이로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스마트 윈도우(37)에 투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39)는 터치 입력부(32)를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제어부(39)는 터치 입력부(32)를 통한 터치 신호에 따라서 스마트 윈도우(37)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스마트 윈도우(37)의 광투과율 및 반사율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또는 고객)가 커튼을 내리듯이 터치 입력부(32)를 통하여 아래 방향으로 쓸어내리는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제어부(39)는 스마트 윈도우(37)에 인가되는 전원을 오프시켜 불투명하게 변경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또는 고객)가 커튼을 올리듯이 터치 입력부(32)를 통하여 위 방향으로 쓸어올리는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제어부(39)는 스마트 윈도우(37)에 인가되는 전원을 온시켜 투명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30)는 전시 공간에 도 3 또는 도 4와 같이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도 3은 도 1의 스마트 윈도우(37)를 구비하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30)의 제1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스마트 윈도우(37)를 구비하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30)의 제2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30)는 스마트 윈도우(37)와, 천장에 설치된 영상 투사부(36)를 포함한다. 이때 영상 투사부(36)는 고객이 스마트 윈도우(37)를 바라보는 쪽의 천장에 설치되고, 고객이 스마트 윈도우(37)를 바라보는 면에 디지털 미디어 정보(50)를 투사할 수 있다. 디지털 미디어 정보(50)가 스마트 윈도우(37)에 투사되는 경우, 스마트 윈도우(37)는 반투명 또는 불투명 상태로 변경되기 때문에, 고객은 스마트 윈도우(37)에 투사되어 표시되는 디지털 미디어 정보(50)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30)는 스마트 윈도우(37)와, 천장에 설치된 영상 투사부(36)를 포함한다. 이때 영상 투사부(36)는 스마트 윈도우(37)를 중심으로 고객이 위치하는 쪽의 반대쪽의 천장에 설치되고, 고객이 스마트 윈도우(37)를 바라보는 면의 반대면에 디지털 미디어 정보(50)를 투사할 수 있다. 디지털 미디어 정보(50)가 스마트 윈도우(37)에 투사되는 경우, 스마트 윈도우(37)는 반투명 또는 불투명 상태로 변경되기 때문에, 고객은 스마트 윈도우(37)에 투사되어 표시되는 디지털 미디어 정보(50)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서는 영상 투사부(36)가 천장에 설치될 예를 개시하였지만, 반대로 바닥면에 설치되어 바닥면에서 스마트 윈도우(37)를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서는 스마트 윈도우(37)가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지면에 수평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투사부(36)는 지면에 수평하게 설치된 스마트 윈도우(37)의 면에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투사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윈도우(37)는 도 5 내지 도 9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도 5는 도 1의 스마트 윈도우(37)의 제1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스마트 윈도우(37)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스마트 윈도우(37)의 제2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스마트 윈도우(37)의 제3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9는 도 1의 스마트 윈도우(37)의 제4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예에 따른 스마트 윈도우(37)는 디스플레이 플레이트(38a)와, 디스플레이 플레이트(38a)의 양면에 부착된 광투과 플레이트(38b)를 포함한다. 이때 디스플레이트 플레이트(38a)로는 PDLC 또는 SPD가 사용될 수 있다. 광투과 플레이트(38b)로는 광투과성이 양호한 유리 또는 플라스틱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예에 따른 스마트 윈도우(37)는 광투과 플레이트(38b)의 일면에 디스플레이트 플레이트(38a)가 부착된 구조를 갖는다.
도 8을 참조하면, 제3 예에 따른 스마트 윈도우(37)는 광투과 플레이트(38b)에 복수의 디스플레이트 플레이트(38a)가 부착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복수의 디스플레이 플레이트(38a)는 띠 형태로 열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광투과 플레이트(38b)의 외곽은 윈도우 프레임(38c)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한편 제3 예에서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플레이트(38a)는 열 방향으로 배열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반대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플레이트(38a)는 행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4 예에 따른 스마트 윈도우(37)는 복수개의 단위 스마트 윈도우(37a, 37b,37c, 37d)를 포함한다. 쇼 윈도우는 하나로 설치될 수도 있지만, 복수개의 윈도우를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4 예에 따른 스마트 윈도우(37)는 복수개의 단위 스마트 윈도우(37a, 37b,37c, 37d)를 행 방향으로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복수개의 단위 스마트 윈도우(37a, 37b,37c, 37d)에 각각 영상 투사부를 설치하여, 다양한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복수의 단위 스마트 윈도우(37a, 37b,37c, 37d)를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복수개의 단위 스마트 윈도우(37a, 37b,37c, 37d)를 그룹핑하고, 그룹핑된 스마트 윈도우 당 영상 투사부를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윈도우(37)를 이용한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100)를 이용하여 전시물(40)을 전시하고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표시하는 예를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윈도우(37)를 이용한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100)의 사용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100)가 자동차 전시장에 설치된 예를 개시하였다.
먼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30)는 스마트 윈도우(37)를 통하여 안쪽의 전시 공간에 전시된 전시물(40)인 자동차를 전시한다. 이때 스마트 윈도우(37)는 안쪽에 전시된 자동차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상태를 유지한다.
다음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윈도우(37)에 고객이 근접하면,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30)는 센서부(34)를 통하여 고객의 근접을 확인한다.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30)는 영상 투사부(36)를 통하여 디지털 미디어 정보(51)를 스마트 윈도우(37)에 투사하여 표시한다. 이때 스마트 윈도우(37)는 입사되는 디지털 미디어 정보(51)를 표시할 수 있도록, 투명 상태에서 반투명 또는 불투명 상태로 변경된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30)는 카메라부를 통하여 스마트 윈도우(37)에 근접한 고객의 안면을 촬영한다.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30)는 카메라부로 촬영한 고객의 영상으로부터 고객의 안면을 인식하고, 인식한 안면 분석을 통해서 고객의 성별 및 연령대를 추정한다. 그리고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30)는 추정한 고객의 성별 및 연령대에 맞는 디지털 미디어 정보(53)를 디지털 미디어 정보 제공 장치(10)로부터 수신하여 스마트 윈도우(37)에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30)는 다음과 같이 자동차 광고를 수행할 수 있다. 먼저 도 11과 같이 고객의 근접을 확인하면,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30)는 전시 중인 자동차에 대한 일반적인 광고 내용이 포함된 디지털 미디어 정보(51)를 스마트 윈도우(37)에 표시한다.
그리고 도 12와 같이 고객의 성별 및 연령대를 추정한 경우,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30)는 추정한 고객의 성별 및 연령대에 맞는 자동차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디지털 미디어 정보(53)로 변경하여 스마트 윈도우(37)에 표시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 : 디지털 미디어 정보 제공 장치 20 : 통신망
30 :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31 : 통신부
32 : 터치 입력부 33 : 저장부
34 : 센서부 35 : 카메라부
36 : 영상 투사부 37 : 스마트 윈도우
38a : 디스플레이 플레이트 38b : 광투과 플레이트
38c : 윈도우 프레임 39 : 제어부
40 : 전시물 50, 51, 53 : 디지털 미디어 정보
60 : 통신 단말 100 :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Claims (14)

  1.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제공하는 디지털 미디어 정보 제공 장치;
    전시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디지털 미디어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스마트 윈도우를 구비하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를 포함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는,
    상기 디지털 미디어 정보 제공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전시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디지털 미디어 정보 제공 장치가 제공하는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스마트 윈도우에 투사하는 영상 투사부;
    상기 영상 투사부가 설치된 상기 전시 공간에 설치되며, 인가 전압에 따라 광투과율 및 반사율을 조절하여 상기 영상 투사부로부터 입사되는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표시하거나 안쪽의 전시물을 보여주는 상기 스마트 윈도우;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디지털 미디어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영상 투사부 및 상기 스마트 윈도우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스마트 윈도우에 수신한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표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미디어 정보 제공 장치 또는 상기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와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스마트 윈도우의 온/오프, 광투과율 또는 반사율을 조정하는 통신 단말;
    을 더 포함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4.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제공하는 디지털 미디어 정보 제공 장치;
    전시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디지털 미디어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는,
    전시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디지털 미디어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수신하여 디지털 미디어 영상을 투사하는 영상 투사부;
    상기 영상 투사부가 설치된 상기 전시 공간에 설치되며, 인가 전압에 따라 광투과율 및 반사율을 조절하여 상기 영상 투사부로부터 입사되는 디지털 미디어 영상을 표시하거나 안쪽의 전시물을 보여주는 스마트 윈도우; 및
    상기 영상 투사부 및 스마트 윈도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5. 디지털 미디어 정보 제공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전시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디지털 미디어 정보 제공 장치가 제공하는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전달받아 스마트 윈도우에 투사하는 영상 투사부;
    상기 영상 투사부가 설치된 상기 전시 공간에 설치되며, 인가 전압에 따라 광투과율 및 반사율을 조절하여 상기 영상 투사부로부터 입사되는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표시하거나 안쪽의 전시물을 보여주는 스마트 윈도우;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디지털 미디어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영상 투사부 및 상기 스마트 윈도우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스마트 윈도우에 수신한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표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의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디지털 미디어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상기 영상 투사부로 전달하고, 상기 영상 투사부는 전달받은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상기 스마트 윈도우에 투사하고, 상기 스마트 윈도우로 인가되는 전압의 제어를 통해서 상기 스마트 윈도우의 광투과율 및 반사율을 조절하여 상기 영상 투사부로부터 입사되는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의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시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스마트 윈도우의 주변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한 주변 정보에 따른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상기 디지털 미디어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스마트 윈도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의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시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스마트 윈도우에 근접한 고객을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로 촬영한 고객의 영상으로부터 고객의 안면을 인식하고, 인식한 안면 분석을 통해서 고객의 성별 및 연령대를 추정하고, 추정한 고객의 성별 및 연령대에 맞는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상기 디지털 미디어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스마트 윈도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의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시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스마트 윈도우에 근접한 고객을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로 촬영한 고객의 영상으로부터 눈 또는 머리의 위치를 확인하여 고객의 눈높이를 확인하고, 확인한 고객의 눈높이에 맞게 디지털 미디어 정보가 투사될 수 있도록 상기 영상 투사부의 투사각을 조절하고, 투사각이 조절된 상기 영상 투사부를 통하여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상기 스마트 윈도우에 투사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의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윈도우는,
    PDLC(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또는 SPD(suspended particle devices)의 디스플레이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의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윈도우는,
    상기 디스플레이 플레이트의 일면 또는 양면에 부착되는 광투과 플레이트;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의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윈도우는,
    상기 광투과 플레이트에 복수의 디스플레이 플레이트가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의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13. 제11항에 있어서,
    배열된 복수의 스마트 윈도우와, 상기 복수의 스마트 윈도우로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투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 투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스마트 윈도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 투사부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스마트 윈도우에 수신한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표시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의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윈도우에 설치되는 터치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부를 통한 터치 신호에 따라서 상기 스마트 윈도우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상기 스마트 윈도우의 광투과율 및 반사율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의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KR1020167007332A 2015-02-02 2016-02-01 스마트 윈도우를 이용한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및 그의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KR1017410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10805P 2015-02-02 2015-02-02
US62/110,805 2015-02-02
PCT/KR2016/001063 WO2016126060A1 (ko) 2015-02-02 2016-02-01 스마트 윈도우를 이용한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5765A true KR20160105765A (ko) 2016-09-07
KR101741001B1 KR101741001B1 (ko) 2017-05-29

Family

ID=56564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7332A KR101741001B1 (ko) 2015-02-02 2016-02-01 스마트 윈도우를 이용한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및 그의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41001B1 (ko)
WO (1) WO2016126060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9308A (ko) * 2016-09-12 2018-03-21 주식회사 동진컴퍼니 스마트 필름 스크린을 이용한 광고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스마트필름 광고 셋탑박스 시스템
KR101982327B1 (ko) 2018-02-12 2019-05-28 정용진 다중 송출시스템을 이용한 지하철역사 광고시스템
KR101987772B1 (ko) * 2018-05-02 2019-06-12 주식회사 에스에프엠케이솔루션 스마트글라스의 영상 다중 송출시스템
KR102080813B1 (ko) * 2018-12-17 2020-02-24 주식회사 이음기술 휴먼인지 및 데이터 분석 기법이 결합된 지능형 사이니지 콘텐츠 전달 장치
KR102223758B1 (ko) * 2019-12-03 2021-03-05 주식회사 인터브리드 스크린 연동형의 빔 프로젝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247326B1 (ko) * 2019-10-28 2021-05-04 스마트필름피디엘씨그룹 주식회사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KR102381464B1 (ko) * 2021-12-24 2022-04-01 주식회사 부시밥 건물의 유리를 이용한 영상 출력 시스템
KR102442190B1 (ko) * 2022-06-02 2022-09-08 주식회사 더원에프앤디 디지털 간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1355B1 (ko) * 2017-12-28 2022-07-15 주식회사 케이티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니지 장치, 모바일 단말 및 방법
KR102098120B1 (ko) * 2019-10-02 2020-04-07 주식회사 홀로티브글로벌 스크린 도어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235033B1 (ko) * 2020-02-05 2021-04-01 주식회사 홀로티브글로벌 스크린 도어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522965B1 (ko) * 2022-10-05 2023-04-18 주식회사 제이이노베이션 다양한 장르 구현이 가능한 영상투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5091A (ko) 2012-08-21 2014-03-0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무인 단말을 이용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8393A (ja) * 2003-10-27 2005-05-19 Dentsu Tec Inc 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843097B1 (ko) * 2006-12-19 2008-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843337B1 (ko) * 2010-10-28 2018-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1274362B1 (ko) * 2010-10-29 2013-06-13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컨텐츠 재생 방법
KR101348142B1 (ko) * 2013-09-14 2014-01-07 주식회사 코어셀 얼굴인식기술을 이용하여 분류된 개인 또는 그룹 유형별 맞춤형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러한 시스템
KR101480948B1 (ko) * 2013-12-26 2015-01-14 전자부품연구원 스마트 윈도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5091A (ko) 2012-08-21 2014-03-0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무인 단말을 이용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9308A (ko) * 2016-09-12 2018-03-21 주식회사 동진컴퍼니 스마트 필름 스크린을 이용한 광고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스마트필름 광고 셋탑박스 시스템
KR101982327B1 (ko) 2018-02-12 2019-05-28 정용진 다중 송출시스템을 이용한 지하철역사 광고시스템
KR101987772B1 (ko) * 2018-05-02 2019-06-12 주식회사 에스에프엠케이솔루션 스마트글라스의 영상 다중 송출시스템
KR102080813B1 (ko) * 2018-12-17 2020-02-24 주식회사 이음기술 휴먼인지 및 데이터 분석 기법이 결합된 지능형 사이니지 콘텐츠 전달 장치
KR102247326B1 (ko) * 2019-10-28 2021-05-04 스마트필름피디엘씨그룹 주식회사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KR102223758B1 (ko) * 2019-12-03 2021-03-05 주식회사 인터브리드 스크린 연동형의 빔 프로젝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381464B1 (ko) * 2021-12-24 2022-04-01 주식회사 부시밥 건물의 유리를 이용한 영상 출력 시스템
KR102442190B1 (ko) * 2022-06-02 2022-09-08 주식회사 더원에프앤디 디지털 간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1001B1 (ko) 2017-05-29
WO2016126060A1 (ko) 2016-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1001B1 (ko) 스마트 윈도우를 이용한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및 그의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US10304417B2 (en) Digital signag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5535626B2 (ja) ショップウィンドーに沿って自動的に分布するプライベート用スクリーン
KR101212893B1 (ko) 광고 시스템 및 광고 디스플레이 방법
US10061551B2 (en) Device configuration including a master communications device with a slave device extension
WO2014099976A1 (en) Interactive display system
CN103578400A (zh) 显示设备及其方法
KR20190108226A (ko)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WI504931B (zh) 投影系統及其投影方法
KR102636867B1 (ko) 디지털 사이니지 및 그 제어 방법
US20160118016A1 (en) Portable digital sign system
KR101635639B1 (ko) 기능성 필름을 이용한 영상서비스 시스템
US20170249654A1 (en) Information apparatus, server, method of posting advertisements, method of providing special bonuse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KR100999939B1 (ko) 대중 공간에 설치되는 전자 광고 매체
KR102180258B1 (ko)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KR100994968B1 (ko) 대중 공간에 설치되는 전자 광고 매체
KR20150116532A (ko) 광고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101551819B1 (ko) 기능성 필름을 이용한 영상서비스 시스템 및 영상서비스 방법
KR101337041B1 (ko) 키오스크 제어 시스템
JP2019138945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210067506A (ko)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및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의 제어 방법
US20170251043A1 (en) Communication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web acces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KR20210047421A (ko) 영상 제공 장법 및 이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EP3429235B1 (en) Mobile media delivery system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20180091227A (ko)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친화적 광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