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5659A - Usn을 이용한 계측기 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Usn을 이용한 계측기 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5659A
KR20160105659A KR1020150028605A KR20150028605A KR20160105659A KR 20160105659 A KR20160105659 A KR 20160105659A KR 1020150028605 A KR1020150028605 A KR 1020150028605A KR 20150028605 A KR20150028605 A KR 20150028605A KR 20160105659 A KR20160105659 A KR 201601056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er
information
position information
unit
measuring instr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8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기
정진화
Original Assignee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28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5659A/ko
Publication of KR20160105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56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3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related to remote communic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02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측기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biquitous Sensor Network; USN)을 이용한 계측기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USN을 이용한 계측기 관리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MACHINE USING USN}
본 발명은 계측기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biquitous Sensor Network; USN)을 이용한 계측기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 전자 산업, 의료 산업, 기계, 생산 설비 등의 기술이 고도화 되면서 이런 산업을 유지 발전시키는데 필요한 개발 장비(계측기)나 진료 장비도 다양화되고 있고 첨단화되어 가고 있다. 이런 장비의 종류와 수가 증가하고 특수 용도화 되면서 장비의 가격도 매우 비싸져서, 수요처에서는 꼭 필요한데도 불구하고 막대한 투자비용으로 인해 투자를 망설이게 되는 경우가 많다.
지금까지는 이런 계측 장비에 대해 관리 대장을 만들고, 각 장비에는 장비 관리번호를 붙여 관리자가 일일이 수동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장비의 수나 종류가 많아지면서 분실되는 경우도 발생하고, 분실되지는 않더라도 필요할 때 찾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거나, 찾지 못하여 사용하지 못하고 시간이 한참 지나 발견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했다. 또한, 연구/개발/생산 부서나, 진료 부서 등에서는 비싼 장비를 계속 구매코자 하는데 전체적인 투자를 담당하는 부서는 요구하는 장비가 실제로 얼마나 많이 사용하는 장비인지 아닌지, 아니면 사용 시간 조정 등을 통해 공용화하여 사용할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만약 장비의 사용 현황, 사용률 등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면 예상 사용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주어 찾는 시간을 거의 소모하지 않음은 물론 계측기 투자도 효율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9-0012281호(1999.04.06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USN을 통해 관리 대상 계측기의 전원연결 여부와 단위 시간당 사용 전력량(전류량)을 모니터링하고 계측기의 위치, 사용률 등의 정보를 관리자에게 보고함으로써 효율적으로 계측기를 관리할 수 있는 USN을 이용한 계측기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USN을 이용한 계측기 관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SN을 이용한 계측기 관리 장치는 계측기와 연결된 모니터링 센서와 모니터링 게이터웨이를 통하여 통신 설정을 수행하는 계측기 통신 설정부, 모니터링 센서로부터 계측기의 사용 전력량 정보 및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계측기 정보 수집부, 수집한 사용 전력량 정보 및 위치정보가 과거의 사용 전력량 정보 및 위치정보와 미리 설정된 범위 밖의 변화가 있는 경우 알람을 수행하는 계측기 이상 알람부 및 미리 설정된 단위 시간 동안 수집된 계측기의 사용 전력량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유지관리데이터를 생성하고 리포트 자료를 생성하는 계측기 이력 리포트 작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USN을 이용한 계측기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SN을 이용한 계측기 관리 방법은 계측기와 연결된 모니터링 센서와 모니터링 게이터웨이를 통하여 초기 통신 설정을 수행하는 단계, 모니터링 센서로부터 계측기의 사용 전력량 정보 및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한 사용 전력량 정보 및 위치정보가 과거의 사용 전력량 정보 및 위치정보와 미리 설정된 범위 밖의 변화가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수집한 사용 전력량 정보 및 위치정보가 과거의 사용 전력량 정보 및 위치정보와 미리 설정된 범위 밖의 변화가 있는 경우 알람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계측기의 정확한 이력관리 및 관리상태의 파악이 용이하고, 계측기의 이동 관리가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은 계측기의 유지비용 및 비품 관리 비용이 감소하고, 계측기의 정확한 현황 파악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소수의 인력으로 단시간에 실사가 가능하고, 장비의 품질관리에 대한 검정 및 교정 자료 및 제반 데이터 관리 효율성이 증가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SN을 이용한 계측기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SN을 이용한 계측기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SN을 이용한 계측기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USN을 이용한 계측기 관리 시스템은 계측기 관리 장치(100), 모니터링 센서(200) 및 적어도 하나의 계측기(400)을 포함한다.
계측기 관리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계측기(200)와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적어도 연결된다. 여기서, 유무선 통신은 IP(Internet Protocol) 주소 기반의 통신망, 지그비와 같은 근거리 무선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계측기 관리 장치(100)는 계측기 관리 프로그램이 구동할 수 있는 컴퓨터, 예를 들면, 서버, 개인용 컴퓨터, 스마트폰 등 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계측기 관리 장치(100)는 계측기 통신 설정부(110), 계측기 정보 수집부(120), 계측기 이상 알람부(130), 계측기 이력 리포트 작성부(140)를 포함한다.
계측기 통신 설정부(110)는 계측기(400)와 연결된 모니터링 센서(200)와 모니터링 게이터웨이(300)를 통하여 통신 설정을 수행한다.
계측기 정보 수집부(120)는 계측기(400)와 연결된 모니터링 센서(200)와 모니터링 게이터웨이(300)를 통하여 계측기(400)의 사용 전력량 정보 및 위치정보를 수집한다.
계측기 이상 알람부(130)는 수신한 사용 전력량 정보 및 위치정보가 과거에 수신한 사용 전력량 정보 및 위치정보의 미리 설정된 범위 밖에 변화가 있는 경우 사용자에게 알람을 수행한다. 여기서, 알람은 이메일, 메시지 또는 문자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계측기 이력 리포트 작성부(140)는 미리 설정된 단위 시간동안 수집된 적어도 하나의 계측기(400)의 전력량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비용데이터, 사용이력데이터, 소모품교체데이터 등 유지관리데이터를 생성하고 리포트 자료를 생성한다.
계측기 관리 장치(100)는 모니터링 센서(200)를 통하여 계측기(400)의 사용 위치 및 사용이력을 조회할 수 있어 계측기(400)를 유지 및 관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다.
계측기 관리 장치(100)는 IP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모니터링센서(200)에서 수집된 계측기(400)의 상태정보를 구조화하여 계측기 사용 현황과 모니터링 센서(200)의의 운용 현황을 일목요연하게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다.
계측기 관리 장치(100)는 수신한 계측기의 사용 현황을 바탕으로 계측기의 사용률을 계산할 수 있으며, 이를 기준으로 계측기를 추가로 구매할지, 아니면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 등을 파악하여 투자 효율을 제고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센서(200)는 계측기 관리 장치(100)와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연결되어 계측기(400)의 전원 사용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수집한다.
모니터링 센서(200)는 계측기(400)와 연결되어 계측기(400)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 예를 들면, 지그비 등을 통하여 모니터링 게이트웨이(300)로 전달한다.
모니터링 센서(200)는 도 3를 참조하면, 센서 통신부(210), 전력량측정부(220), 센서 프로세서부(230), 센서 메모리부(240) 및 센서 전원공급부(250)를 포함한다.
센서 통신부(210)는 통신망을 통하여 계측기 관리장치(100) 또는 모니터링 게이트웨이(300)와 통신을 설정한다. 센서 통신부(210)는 모니터링 게이트웨이(300)와 근거리 통신망을 통하여 계측기(400)의 사용 전력량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전달한다.
계측기 전력량측정부(220)는 계측기(400)에서 전력 사용 여부 및 사용 전력량을 모니터링한다. 전력량측정부(220)는 이를 위하여 계측기(400)의 전원선과 연결될 수 있다.
센서 위치정보 생성부(230)는 모니터링 센서(200)의 위치정보를 생성한다.
센서 프로세서부(240)는 모니터링을 위한 프로그램을 구동한다.
센서 메모리부(250)는 모니터링을 위한 프로그램 및 관련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센서 전원공급부(260)는 모니터링 센서(200)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모니터링 게이트웨이(300)는 계측기 관리 장치(100)와 모니터링 센서(200)를 연결한다. 모니터링 게이트웨이(300)는 원활한 연결을 위하여 통신 데이터 변환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을 참조하면, 모니터링 게이트웨이(300)는 중계 통신부(310), 중계 데이터변환부(320), 중계 프로세서부(330), 중계 메모리부(340) 및 중계 전원공급부(350)를 포함한다.
중계 통신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링 센서(200)와 통신을 수행하여 계측기(400)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수신하고 계측기 관리장치(100)로 전송한다.
중계 데이터변환부(320)는 모니터링 센서(2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계측기 관리장치(100)로 전송하기 위하여 데이터 포맷을 변환한다.
중계 프로세서부(330)는 모니터링하여 수집한 정보를 중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구동한다.
중계 메모리부(340)는 모니터링하여 수집한 정보를 중계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관련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중계 전원공급부(250)는 모니터링 게이트웨이(300)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계측기(400)는 계측하는 장비를 모두 포함하며, 예를 들면, 초음파분석기, RF분석기, 스펙트럼분석기, 네트워크분석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측기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S510에서 계측기 관리 장치(100)는 모니터링 게이트웨이(300)를 통하여 모니터링 센서(200)와 초기 통신 설정을 수행한다.
단계 S520에서 계측기 관리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링 센서(200)로부터 상응하는 계측기(400)의 전력량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S530에서 계측기 관리 장치(100)는 과거의 전력량 정보 및 위치정보와 수신한 전력량 정보 및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범위 밖의 변화가 있는지 판단한다.
단계 S540에서 계측기 관리 장치(100)는 판단결과, 미리 설정된 범위 이상의 변화가 파악되는 경우, 운영자에게 알람을 수행한다. 여기서, 알람은 이메일, 메시지, 문자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단계 S550에서 계측기 관리 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단위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판단한다.
단계 S560에서 계측기 관리 장치(100)는 판단결과, 미리 설정된 단위 시간이 경과된 경우, 단위 시간 동안 수집된 적어도 하나의 계측기(400)의 전력량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비용데이터, 사용이력데이터, 소모품교체데이터 등 유지관리데이터를 생성하고 리포트 자료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계측기 관리 방법은 다양한 서버 등의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입력 영상 보정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컴퓨터 수단에 설치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다만,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계측기 관리 장치
200: 모니터링 센서
300: 모니터링 게이트웨이
400: 계측기

Claims (5)

  1. USN을 이용한 계측기 관리 장치에 있어서,
    계측기와 연결된 모니터링 센서와 모니터링 게이터웨이를 통하여 통신 설정을 수행하는 계측기 통신 설정부;
    상기 모니터링 센서로부터 상기 계측기의 사용 전력량 정보 및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계측기 정보 수집부;
    상기 수집한 사용 전력량 정보 및 위치정보가 과거의 사용 전력량 정보 및 위치정보와 미리 설정된 범위 밖의 변화가 있는 경우 알람을 수행하는 계측기 이상 알람부; 및
    미리 설정된 단위 시간 동안 수집된 상기 계측기의 사용 전력량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유지관리데이터를 생성하고 리포트 자료를 생성하는 계측기 이력 리포트 작성부를 포함하는 USN을 이용한 계측기 관리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센서는
    상기 계측기의 사용전력량 정보를 수집하는 계측기 전력량측정보;
    상기 계측기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센서 위치정보 생성부; 및
    근거리 통신망을 통하여 모니터링 게이트로 상기 계측기의 사용전력량 정보 및 위치정보를 전달하는 센서 통신부를 포함하는 USN을 이용한 계측기 관리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게이트웨이부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모니터링 센서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계측기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상기 계측기 관리장치로 전달하는 중계 통신부; 및
    상기 수집한 정보를 상기 계측기 관리 장치로 전송하기 위하여 데이터 포맷을 변환하는 중계 데이터 변환부를 포함하는 USN을 이용한 계측기 관리 장치.
  4. USN을 이용한 계측기 관리 방법에 있어서,
    계측기와 연결된 모니터링 센서와 모니터링 게이터웨이를 통하여 초기 통신 설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 센서로부터 상기 계측기의 사용 전력량 정보 및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한 사용 전력량 정보 및 위치정보가 과거의 사용 전력량 정보 및 위치정보와 미리 설정된 범위 밖의 변화가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한 사용 전력량 정보 및 위치정보가 과거의 사용 전력량 정보 및 위치정보와 미리 설정된 범위 밖의 변화가 있는 경우 알람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USN을 이용한 계측기 관리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단위 시간이 경과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 설정된 단위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단위 시간 동안 수집된 상기 계측기의 사용 전력량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유지관리데이터를 생성하고 리포트 자료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USN을 이용한 계측기 관리 방법.

KR1020150028605A 2015-02-27 2015-02-27 Usn을 이용한 계측기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601056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605A KR20160105659A (ko) 2015-02-27 2015-02-27 Usn을 이용한 계측기 관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605A KR20160105659A (ko) 2015-02-27 2015-02-27 Usn을 이용한 계측기 관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5659A true KR20160105659A (ko) 2016-09-07

Family

ID=56949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8605A KR20160105659A (ko) 2015-02-27 2015-02-27 Usn을 이용한 계측기 관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565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41390B (zh) 用于管理关于电缆测试设备操作的消息的基于云的系统和方法
KR101964430B1 (ko) 네트워크 분석을 위한 방법들, 장치들, 및 시스템들
CN106461500B (zh) 振动测试系统及方法
JP2017162440A (ja) ポータブルコンピュータ試験ツール用のクラウドサービス資産管理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9099144A (ja) Acモータシステムの残存寿命を遠隔予測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CN111786807B (zh) 故障提示系统、方法、装置和存储介质
US2013019106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water quality sensor faults using sensor data
JP2012244628A (ja) ネットワークトラフィックの監視に基づくネットワーク侵入検出のためのシステム、方法、および装置
CN108832213A (zh) 一种蓄电池监控方法、装置及系统
CN112180201A (zh) 一种设备状态监控方法与装置
JP6013385B2 (ja) 電力量計、及び電力量計の検定システム
TW201717510A (zh) 將模組自動聯繫至相應變頻器之方法及相關模組及發電系統
KR20160105659A (ko) Usn을 이용한 계측기 관리 장치 및 방법
US10274573B2 (en) Monitoring system,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serv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JP2014174755A (ja) 消費電力計測装置、消費電力計測方法、及び消費電力計測プログラム
CN110166322A (zh) 一种计量自动化终端的检测方法和相关装置
JP5054551B2 (ja) 待機電力削減支援システム、管理サーバ及び待機電力削減支援方法
JP2011193059A5 (ko)
JP2010033279A (ja) 空調機の運転監視装置、運転監視システム及び運転監視方法
JP5907926B2 (ja) 監視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1151826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harging, based on monitored communication signals associated with a charging session
KR20130118642A (ko) 원격 검침 방법 및 장치
CN112784316B (zh) 电器设备和电器设备管理方法、设备、存储介质
JP5543397B2 (ja) Sla契約支援方法及びシステム
JP2017091348A (ja) 使用管理システム、使用管理装置および使用管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235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0913

Effective date: 20211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