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5592A - 티 트레이너 - Google Patents

티 트레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5592A
KR20160105592A KR1020150028023A KR20150028023A KR20160105592A KR 20160105592 A KR20160105592 A KR 20160105592A KR 1020150028023 A KR1020150028023 A KR 1020150028023A KR 20150028023 A KR20150028023 A KR 20150028023A KR 20160105592 A KR20160105592 A KR 20160105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el
ball
support
present
st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8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구
김용수
Original Assignee
김성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구 filed Critical 김성구
Priority to KR1020150028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5592A/ko
Publication of KR20160105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55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foot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95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volley-bal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파벳 "T"자 형태이며, "T"자 형태 중 가로방향부재가 곡률을 가지고, "T"자 형태 중 세로방향부재는 지면에 고정되는 지지대(110), 상기 지지대(110)의 세로방향부재의 양측면에 마주보게 고정 설치되며, 사용자가 릴을 돌릴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와 줄을 감는 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우측릴(141)과 좌측릴(142), 복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대(110)의 세로방향부재의 양측면에 각각 고정 설치되고, 상기 가로방향부재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줄안내부재(121, 122), 상기 우측릴(141)에 감겨서 공급되며, 일부가 상기 지지대(110)에 설치된 상기 복수의 줄안내부재(121)를 관통하여 공과 연결되는 우측줄(131), 그리고 상기 좌측릴(142)에 감겨서 공급되며, 일부가 상기 지지대(110)에 설치된 복수의 줄안내부재(122)를 관통하여 공과 연결되는 좌측줄(132)을 포함하는 티 트레이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티 트레이너{T-TRAINER}
본 발명은 축구, 배구, 야구 등의 구기 종목의 연습에 이용되는 트레이너(trainer)에 관한 것이다.
트레이너는 개인의 훈련 용도나 실전 감각을 익히기 위해 용도, 재활 훈련 등을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트레이너는 실내나 좁은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되므로, 공(ball)을 고정적으로 묶어 사용하거나, 축구의 경우에 골대나 스크린을 설치하여 공이 멀리 가지 않게 한다.
그러나 축구나 야구 등을 연습하기 위해서는 공을 멀리 보내야 하는 일이 잦은데, 아직까지 이러한 연습을 도와줄 트레이너가 개발되어 있지 않다.
일본공개특허 제1995-028579호(공개일자: 1995년 05월 30일) 일본등록특허 제2548100호(등록일자: 1996년 08월 08일)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공을 멀리 보내고 쉽게 공을 회수할 수 있으며, 구기볼 연습, 재활 훈련 등에 이용 가능한 티(T) 트레이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티 트레이너는 알파벳 "T"자 형태이며, "T"자 형태 중 가로방향부재가 곡률을 가지고, "T"자 형태 중 세로방향부재는 지면에 고정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세로방향부재의 양측면에 마주보게 고정 설치되며, 사용자가 릴을 돌릴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와 줄을 감는 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우측릴과 좌측릴, 복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대의 세로방향부재의 양측면에 각각 고정 설치되고, 상기 가로방향부재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줄안내부재, 상기 우측릴에 감겨서 공급되며 일부가 상기 지지대에 설치된 상기 복수의 줄안내부재를 관통하여 공과 연결되는 우측줄, 그리고 상기 좌측릴에 감겨서 공급되며, 일부가 상기 지지대에 설치된 복수의 줄안내부재를 관통하여 공과 연결되는 좌측줄을 포함한다.
상기 우측릴과 상기 좌측릴은 서로 연동하거나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한다. 그리고 상기 우측줄과 상기 좌측줄은 끝단에 공과 연결되는 연결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수단은 줄을 이용하여 만든 망이다.
본 발명에 따른 티 트레이너는 상기 지지대의 세로방향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세로방향부재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공을 줄에 연결하고 줄을 릴(reel)에 감고 풀어지도록 하여 고정 위치에서 연습하거나 공을 멀리 보내고 쉽게 회수 할 수 있으므로, 신체가 불편한 사용자도 쉽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티 트레이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티 트레이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티 트레이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을 줄에 연결하는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티 트레이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티 트레이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티 트레이너는 지지대(110), 줄안내부재(121, 122), 우측줄(131), 좌측줄(132), 우측릴(141), 그리고 좌측릴(14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대(110)는 알파벳 "T"자 형태이며, "T"자 형태 중 가로방향부재는 가운데 부분에서부터 양 끝단으로 갈수록 지면에 가까워지는 형태 즉, 전체적으로 곡률을 가지도록 제작되며, "T"자 형태 중 세로방향부재는 지면에 박혀 지지대(110)를 지면에 고정시킨다.
우측릴(141)과 좌측릴(142)은 지지대(110)의 세로방향부재의 양측면에 마주보게 고정 설치되며, 사용자가 릴을 돌릴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와 줄을 감는 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우측릴(141)과 좌측릴(142)은 사용자가 공(200)에 연결된 줄을 감거나 풀수 있게 한다.
줄안내부재(121, 122)는 복수개로 구성되며, 우측릴(141)과 좌측릴(142)에서 공급되는 줄이 엉키지 않게 하기 위한 것으로, 지지대(110)의 세로방향부재의 양측면에 각각 고정 설치되고, 가로방향부재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고정 설치된다. 줄안내부재(121)는 고정된 지지대(110) 부분에 줄이 관통될 수 있는 공간(space)를 형성한다.
우측줄(131)은 우측릴(141)에 감겨서 공급되며, 일부가 지지대(110)에 설치된 복수의 줄안내부재(121)를 관통하여 공(200)과 연결된다. 그리고 좌측줄(132)은 좌측릴(142)에 감겨서 공급되며, 일부가 지지대(110)에 설치된 복수의 줄안내부재(122)를 관통하여 다른 공(200)과 연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티 트레이너는 2개의 공 즉, 지지대(110)의 가로방향 부재의 양끝단에 연결된 2개의 공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축구, 배구, 야구, 농구 등의 운동을 연습하거나 재활 훈련에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지지대(110)에 연결된 2개의 공은 서로 다른 운동 종목의 공일 수 있으며, 같은 운동 종목의 공일 수 있다.
이상을 통해 사용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티 트레이너에 적어도 하나의 공을 연결한 후, 우측릴(141)이나 좌측릴(142)을 돌려 줄을 감아서 공이 위치하는 높이를 조정한 다음에 운동 연습을 한다. 이때 우측릴(141)과 좌측릴(142)에는 줄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또는, 사용자는 공을 지면에 위치시킨 후 공을 차거나 때리는 등의 행위를 통해 공을 멀리 보낸 후, 우측릴(141)이나 좌측릴(142)을 돌려 줄을 감아서 공을 자신의 위치로 오게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티 트레이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티 트레이너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와 동일하게 지지대(110), 줄안내부재(121, 122), 우측줄(131), 좌측줄(132), 우측릴(141), 그리고 좌측릴(14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이와 더불어 우측보호대(151)와 좌측보호대(152)가 추가로 구성되어 있다.
우측보호대(151)와 좌측보호대(152)는 사용자가 티 트레이너(100)에 발이나 손 등의 신체를 부딪혀 부상을 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우측보호대(151)는 지지대(110)의 가로방향부재에서 우측 끝단 부근에 설치되고, 좌측보호대(152)는 지지대(110)의 가로방향부재에서 좌측 끝단 부근에 설치된다.
우측보호대(151)와 좌측보호대(152)는 고무나 천 등과 같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은 가로방향부재의 일부 즉, 양끝단 부근에 보호대를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가로방향부재 전체에 보호대를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티 트레이너는 우측릴(141)과 좌측릴(142)을 연동하도록 구성하여, 우측릴(141)과 좌측릴(142) 중 하나를 돌리면 2개의 릴(141, 142)이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동작하여 줄을 감거나 줄이 풀어지도록 할 수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우측릴(141)과 좌측릴(142)을 연동하도록 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 예에 각각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티 트레이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티 트레이너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와 동일하게 지지대(110), 줄안내부재(121, 122), 우측줄(131), 좌측줄(132), 우측릴(141), 그리고 좌측릴(14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이와 더불어 지지대(110)에 연장부(160)가 추가로 구성되어 있다.
연장부(160)는 지지대(110)의 세로방향부재에서 우측릴(141), 그리고 좌측릴(142)의 하부에 설치되며, 세로방향부재의 길이를 연장시켜 공(200)이 위치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연장부(160)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며,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는 헬스기구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홈에 나사를 끼워 고정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티 트레이너는 우측릴(141)과 좌측릴(142)을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우측릴(141)의 동작에 영향을 받지 않고 좌측릴(142)을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하여, 우측릴(141)에서 줄을 감을 때에 좌측릴(142)에서 줄을 푸는 동작을 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우측릴(141)과 좌측릴(142)이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 예에 각각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을 줄에 연결하는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공을 이용하여 운동 또는 재활훈련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티 트레이너는 우측줄(141)과 좌측줄(142)의 끝단에 공(200)을 연결시킬 수 있는 연결수단이 마련된다.
일 예로, 이 연결수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줄을 이용하여 만든 망으로 구성되어, 망에 축구공, 배구공, 야구공 등 다양한 크기의 공이 줄에 연결되도록 한다. 여기서 망에 넣어진 공이 쉽게 외부로 빠져나오지 않게 망의 개구부에 조임수단을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망에 공을 넣은 후 조임수단을 이용하여 개구부를 조여 공이 망에서 이탈하지 않게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100 : 티 트레이너 110 : 지지대
121, 122 : 줄안내부재 131 : 우측줄
132 : 좌측줄 141 : 우측릴
142 : 좌측릴 151 : 우측보호대
152 : 좌측보호대 160 : 연장부

Claims (4)

  1. 알파벳 "T"자 형태이며, "T"자 형태 중 가로방향부재가 곡률을 가지고, "T"자 형태 중 세로방향부재는 지면에 고정되는 지지대(110),
    상기 지지대(110)의 세로방향부재의 양측면에 마주보게 고정 설치되며, 사용자가 릴을 돌릴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와 줄을 감는 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우측릴(141)과 좌측릴(142),
    복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대(110)의 세로방향부재의 양측면에 각각 고정 설치되고, 상기 가로방향부재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줄안내부재(121, 122),
    상기 우측릴(141)에 감겨서 공급되며, 일부가 상기 지지대(110)에 설치된 상기 복수의 줄안내부재(121)를 관통하여 공과 연결되는 우측줄(131), 그리고
    상기 좌측릴(142)에 감겨서 공급되며, 일부가 상기 지지대(110)에 설치된 복수의 줄안내부재(122)를 관통하여 공과 연결되는 좌측줄(132)
    을 포함하는 티 트레이너.
  2. 제1항에서,
    상기 우측릴(141)과 상기 좌측릴(142)은 서로 연동하거나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티 트레이너.
  3. 제2항에서,
    상기 우측줄(131)과 상기 좌측줄(132)은 끝단에 공과 연결되는 연결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수단은 줄을 이용하여 만든 망인 티 트레이너.
  4. 제3항에서,
    상기 지지대(110)의 세로방향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세로방향부재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연장부(160)를 더 포함하는 티 트레이너.

KR1020150028023A 2015-02-27 2015-02-27 티 트레이너 KR201601055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023A KR20160105592A (ko) 2015-02-27 2015-02-27 티 트레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023A KR20160105592A (ko) 2015-02-27 2015-02-27 티 트레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5592A true KR20160105592A (ko) 2016-09-07

Family

ID=56949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8023A KR20160105592A (ko) 2015-02-27 2015-02-27 티 트레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55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24289A (zh) * 2019-06-05 2019-08-16 浙江尚摩工贸有限公司 一种颠球训练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579A (ja) 1993-07-08 1995-01-31 Seiko Epson Corp 情報処理装置
JP2548100B2 (ja) 1993-04-05 1996-10-30 司郎 江原 サッカー用リフティングトレーナ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8100B2 (ja) 1993-04-05 1996-10-30 司郎 江原 サッカー用リフティングトレーナー
JPH0728579A (ja) 1993-07-08 1995-01-31 Seiko Epson Corp 情報処理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24289A (zh) * 2019-06-05 2019-08-16 浙江尚摩工贸有限公司 一种颠球训练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50338A (en) Football practice aid
EP2758138B1 (en) Variable gravity training device
US8257203B2 (en) Volleyball training system
US5358258A (en) Apparatus for soccer training
US5873798A (en) Soccer speed agility and conditioning training apparatus
US10207167B2 (en) Sport training devices
WO2005070068A2 (en) Extended-use ball striking training device
US20120202611A1 (en) Sports training device
US10596437B2 (en) Athletic training systems
US3658330A (en) Device for lawn tennis training
US20140113752A1 (en) Training device
US7041016B1 (en) Volleyball spiking training system
KR20100023698A (ko) 홀로하는 배드민턴 연습대
KR100697825B1 (ko) 공치기 운동기구
KR20160105592A (ko) 티 트레이너
US20110201457A1 (en) Sports Stations
CN205964921U (zh) 一种羽毛球训练器
US20110124442A1 (en) Multiple sport training device
AU2011331897B2 (en) Sports training device
WO2018203218A1 (en) Apparatus for developing and/or training ball skills
US8578875B1 (en) Portable score indicator
CN204767232U (zh) 训练用网球和网球训练器
US20160166908A1 (en) Ball Sport Training Aid
US20140274480A1 (en) Ball Travel-Modifying Device
KR101201988B1 (ko) 테니스 타격 연습기